KR20120015508A - 수처리용 여과기 - Google Patents
수처리용 여과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15508A KR20120015508A KR1020100077664A KR20100077664A KR20120015508A KR 20120015508 A KR20120015508 A KR 20120015508A KR 1020100077664 A KR1020100077664 A KR 1020100077664A KR 20100077664 A KR20100077664 A KR 20100077664A KR 20120015508 A KR20120015508 A KR 201200155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uid
- housing
- filter
- nozzle
- water treat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4—Downward filtration, the container having distribution or collection headers or pervious condu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과기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드레인 콕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드레인 콕이 하우징에 장착된 모습의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유체포집관 및 노즐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 부분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12 : 유체인릿 13 : 유체아웃릿
20 : 유체포집관 21 : 커플링
22 : 지지대 23 : 소켓
30 : 노즐 31 : 중공부
32 : 외부지지프레임 33 : 극세공
34 : 내부지지프레임 35 : 링프레임
36 : 몸체벽
40 : 여과재 50 : 분사헤드
60 : 유체공급관 70 : 유체배출관
80 : 드레인 콕 81 : 중공부
82 : 극세공 83 : 플랜지
84 : 연통부 85 : 연통프레임
86 : 걸름실린더 87 : 밸브
88 : 조임볼트 89, 90 : 고무링
θ : 경사각
Claims (10)
- 수영장, 스파, 수족관 등 수조에 담긴 물을 여과하여 수조로 재공급하는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여과공간(11)이 구비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에 깔린 자갈의 상부에 구비되는 유체포집관(20);
상기 유체포집관(20)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노즐(30);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내장되고, 상기 노즐(30)의 상부에 위치하는 여과재(40);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여과재(40)의 상부에 위치하는 분사헤드(50);
상기 분사헤드(50)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유체를 공급받는 유체인릿(12)과 연통되어 상기 분사헤드(50)에서 분사되는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관(60);
상기 유체포집관(20)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어 외부로 유체를 방출하는 유체아웃릿(13)과 연통되어 상기 여과재(40)를 거쳐 1차로 여과된 후, 상기 노즐(30)을 거쳐 2차로 여과된 청수를 배출하는 유체배출관(70); 및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여과공간(11)의 유체를 배수시킬 수 있는 드레인 콕(80);을 포함하는 수처리용 여과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콕(80)은,
상기 하우징(10)에 끼워져 여과공간(11)으로 돌출되는 선단은 막혀 있고, 내부에 중공부(81)가 구비된 실린더 형상으로,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극세공(82)이 구비되어 상기 여과공간(11)에 채워진 여과재(40)의 누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여과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콕(80)은,
상기 하우징(10)의 외벽에 걸리는 플랜지(83)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10)의 외벽에 끼워져서 상기 여과공간(11)과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부(84)를 구비하는 원통형의 연통프레임(85);
상기 연통프레임(85)의 연통부(84)에 끼워져 여과공간(11)으로 돌출되는 선단은 막혀 있고, 내부에 중공부(81)가 구비된 실린더 형상으로,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극세공(82)이 구비되어 상기 여과공간(11)에 채워진 여과재(40)의 누수를 방지하는 걸름실린더(86); 및
상기 걸름실린더(86)의 말단을 막아주는 밸브(8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여과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름실린더(86)는,
상기 여과공간(11)으로 돌출이 시작되는 부분에서 선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의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여과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름실린더(86)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구비되고, 상기 연통부(84)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구비되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여과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프레임(85)이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구비되어, 링 형상이고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구비된 조임볼트(88)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의 외벽에 단단히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여과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름실린더(86)와 상기 연통부(84) 사이에는 고무링(89)이 구비되어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여과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프레임(85)이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에는 고무링(90)이 구비되어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여과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름실린더(86)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등의 강화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여과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름실린더(86)에 구비되는 극세공(82)은 레이저 가공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여과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7664A KR20120015508A (ko) | 2010-08-12 | 2010-08-12 | 수처리용 여과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7664A KR20120015508A (ko) | 2010-08-12 | 2010-08-12 | 수처리용 여과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5508A true KR20120015508A (ko) | 2012-02-22 |
Family
ID=45838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77664A KR20120015508A (ko) | 2010-08-12 | 2010-08-12 | 수처리용 여과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15508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603231A (zh) * | 2019-01-31 | 2019-04-12 | 吴时福 | 一种渗透式饮用水净化装置 |
-
2010
- 2010-08-12 KR KR1020100077664A patent/KR2012001550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603231A (zh) * | 2019-01-31 | 2019-04-12 | 吴时福 | 一种渗透式饮用水净化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951420B2 (en) | Filter apparatus and method | |
US10427076B2 (en) | Diatomaceous earth filter apparatus and method | |
KR101398653B1 (ko) | 수조용 공기 공급 장치 | |
US20130105374A1 (en) | Water filter | |
US20060124527A1 (en) | Filter devices including a porous body | |
KR101328039B1 (ko) | 수영장 또는 목욕장용 여과기 | |
US12084358B2 (en) | Tide water filtering tanks having high circulation | |
KR20120015508A (ko) | 수처리용 여과기 | |
KR101466765B1 (ko) | 여과지의 역세척수 배출 방법 및 장치 | |
KR101022339B1 (ko) | 수처리용 여과기 | |
US20080156719A1 (en) | Automated self cleaning filter | |
KR200418627Y1 (ko) | 공기를 이용한 샤워폐수 여과장치 | |
US8419934B1 (en) | Filter | |
KR101966304B1 (ko) | 수질관리가 특별한 수영장 | |
KR100973773B1 (ko) | 수족관 정수장치 | |
KR20160042577A (ko) | 유지관리가 용이한 바닥분수장치 | |
KR101672517B1 (ko) | 폐수열원 히트펌프 열교환기의 오염물질제거를 위한 전처리장치 | |
KR101580920B1 (ko) | 기화식 냉각 및 가습 장치용 급수 시스템 | |
CN206915806U (zh) | 一种水体净化过滤装置 | |
KR101070383B1 (ko) | 탈착이 가능한 분리막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오염방지형 분리막 모듈유닛 | |
JP2012040473A (ja) | 濾過装置 | |
KR102641918B1 (ko) | 분뇨 및 가축분뇨 처리시설 탈리여액 여과장치 | |
JP2001145676A (ja) | ジェットバス装置 | |
CN102240478B (zh) | 防冻型过滤器 | |
KR20140100265A (ko) | 반신욕과 전신욕을 할 수 있는 습식 사우나 욕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2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208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12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