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3691A -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3691A
KR20120013691A KR1020100075834A KR20100075834A KR20120013691A KR 20120013691 A KR20120013691 A KR 20120013691A KR 1020100075834 A KR1020100075834 A KR 1020100075834A KR 20100075834 A KR20100075834 A KR 20100075834A KR 20120013691 A KR20120013691 A KR 20120013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long side
battery pack
protrusion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5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6476B1 (ko
Inventor
이원일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5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476B1/ko
Priority to US13/072,632 priority patent/US8691428B2/en
Publication of KR20120013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3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전자 기기에 장착시 결합 라인을 노출시키지 않아 외부 전자 기기에 대해 깔끔한 외부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일례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 상기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모듈; 상기 배터리 셀의 일측을 커버하는 제 1 케이스; 상기 배터리 셀의 타측과 상기 회로 모듈의 일측을 커버하며, 상기 제 1 케이스와 결합하는 제 2 케이스; 및 상기 회로 모듈의 타측을 커버하며,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에 결합하는 제 3 케이스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배터리 팩{BATTERY PACK}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캠코더 등과 같은 휴대용 외부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이 갖는 용량의 한계 때문에 여러 개의 배터리 셀을 하나로 묶어서 제조되고 있다.
이러한 배터리 팩은 구체적으로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1 케이스와 결합되는 제 2 케이스와, 상기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가 이루는 공간에 수납되는 다수의 배터리 셀과, 상기 배터리 셀의 일측에 설치되어 충방전을 제어하는 보호회로기판을 포함하여 제조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배터리 팩은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캠코더 등의 외부 전자 기기에 장착됨으로써, 외부 전자 기기에 소정 전원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전자 기기에 장착시 결합 라인을 노출시키지 않아 외부 전자 기기에 대해 깔끔한 외부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 상기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모듈; 상기 배터리 셀의 일측을 커버하는 제 1 케이스; 상기 배터리 셀의 타측과 상기 회로 모듈의 일측을 커버하며, 상기 제 1 케이스와 결합하는 제 2 케이스; 및 상기 회로 모듈의 타측을 커버하며,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에 결합하는 제 3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케이스의 측면은 연속적일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의 측면은 상기 배터리 팩이 외부 전자 기기에 장착되는 경우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의 결합 라인은 상기 제 3 케이스를 기준으로 하부 또는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3 케이스는 상기 제 1 케이스와 접촉하는 영역의 일부에 형성되는 차단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기 제 2 케이스와 상기 제 3 케이스의 결합 라인의 일부에 부착되는 라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는 일측에 형성되는 제 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케이스는 일측에 형성되는 제 3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돌출부와 제 3 돌출부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돌출부의 공간에 상기 회로 모듈이 수용되고, 상기 돌출부의 일측을 통해 상기 회로 모듈의 커넥터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은 원통형 리튬 이온 전지일 수 있다.
제 1 케이스는 상기 제 2 케이스와 결합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제 1 체결홀; 및 상기 제 3 케이스와 결합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제 1 체결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는 제 1 베이스면; 상기 제 1 베이스면의 가장자리에서 절곡되고 연장되는 제 1 장측면; 상기 제 1 베이스면과 상기 제 1 장측면에 연결되는 제 1 단측면; 상기 제 1 장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장측 연장면; 상기 제 1 장측면과 대향하며, 상기 제 1 베이스면의 가장자리에서 절곡되고 연장되는 제 1 대향면; 및 상기 제 1 대향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대향 연장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체결홀은 상기 제 1 장측 연장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체결 돌기는 상기 제 1 대향 연장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는 상기 제 1 케이스와 결합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제 2 체결 후크; 및 상기 제 3 케이스와 결합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체결 후크와 제 2 리브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는 제 2 베이스면; 상기 제 2 베이스면의 가장자리에서 절곡되고 연장되는 제 2 장측면; 상기 제 2 베이스면과 상기 제 2 장측면에 연결되는 제 2 단측면; 및 상기 제 2 장측면의 일측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 2 장측면과 상기 제 2 단측면에 연결되는 돌출면들로 이루어진 제 2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는 상기 제 2 장측면에 형성되는 제 2 라벨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체결 후크는 상기 제 2 단측면과 상기 제 2 장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리브홀은 상기 돌출면들의 내부에 상기 돌출면들과 평행하게 배치된 리브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케이스는 상기 제 1 케이스와 결합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제 3 수용 개구와 제 3 수용홀; 및 상기 제 2 케이스와 결합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제 3 체결홀과 제 3 체결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케이스는 제 3 베이스면; 상기 제 3 베이스면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는 제 3 장측면; 상기 제 3 장측면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 3 장측면과 단차를 형성하는 제 3 연장면; 및 상기 제 3 장측면과 제 3 연장면의 일측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 3 장측면, 제 3 연장면 및 제 3 베이스면과 연결되는 돌출면들로 이루어진 제 3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케이스는 상기 제 3 장측면에 형성되는 제 3 라벨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수용 개구와 상기 제 3 수용홀은 상기 제 3 베이스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3 체결홀은 상기 제 3 연장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3 체결 후크는 상기 돌출면들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연속적인 측면을 갖는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 및 제 3 케이스를 구비함으로써, 외부 전자 기기에 장착시 결합 라인을 노출시키지 않아 외부 전자 기기에 대해 깔끔한 외부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복잡한 형상을 가지는 제 1 케이스와 제 3 케이스를 별도로 형성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제 1 케이스의 사출 성형 후에도 제 1 케이스로부터 금형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팩 중 돌출부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배터리 팩을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배터리 팩 중 제 2 케이스를 제외하고 제 1 케이스와 제 3 케이스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배터리 팩 중 제 2 케이스에 배터리 셀과 회로 모듈이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배터리 팩 중 제 2 케이스와 제 3 케이스에 부착된 라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팩 중 돌출부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은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100), 회로 모듈(200), 제 1 케이스(300), 제 2 케이스(400) 및 제 3 케이스(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팩(10)은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외부 전자 기기에 장착되어 전원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팩(10)은 뒤집힌 상태로 외부 전자 기기의 측면과 하면에 걸쳐 형성된 배터리 팩 수용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100)은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로서, 작동전압이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은 원통형 리튬 이차 전지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셀(100)은 도 2에서 제 1 배터리 셀(100A)과 제 2 배터리 셀(100B)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6개일 수 있으며, 여기서 그 갯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제 1 배터리 셀(100A)과 제 2 배터리 셀(100B)은 연결 부재(도 6의 203)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회로 모듈(200)은 도전성 부재(205)를 통해 배터리 셀(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회로 모듈(200)은 배터리 셀(100)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회로(미도시), 또는 과방전 및 과충전을 방지하는 회로와 같은 보호회로(미도시)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로 모듈(200)은 일측에 회로 기판과 외부 전자 기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설치된 커넥터(도 6의 21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케이스(300), 제 2 케이스(400) 및 제 3 케이스(500)는 배터리 셀(100)과 회로 모듈(200)을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케이스(300), 제 2 케이스(400) 및 제 3 케이스(500)는 배터리 팩(10)이 외부 전자 기기에 장착시 케이스 간 결합 라인이 사용자의 눈에 보이지 않도록, 즉 미관을 확보하도록 형성된다.
다음은 상기 제 1 케이스(300), 제 2 케이스(400) 및 제 3 케이스(5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팩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배터리 팩을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배터리 팩 중 제 2 케이스를 제외하고 제 1 케이스와 제 3 케이스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배터리 팩 중 제 2 케이스에 배터리 셀과 회로 모듈이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케이스(300)는 배터리 셀(100)의 일측, 예를 들어 제 1 배터리 셀(100A)의 일측을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셀(100)의 일측과 접촉하는 제 1 케이스(300)의 측면은 연속적이며, 배터리 셀(100)의 일측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 1 케이스(300)의 측면은 배터리 팩(10)이 외부 전자 기기에 장착되는 경우 노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케이스(300)는 제 1 베이스면(310), 제 1 장측면(320), 제 1 단측면(330), 제 1 장측 연장면(340), 제 1 대향면(350) 및 제 1 대향 연장면(3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이스면(310)은 제 1 케이스(300)의 베이스를 이루며, 예를 들어 제 1 배터리 셀(100A)과, 제 1 배터리 셀(100A)과 나란히 배치된 제 2 배터리 셀(100B)과 접촉한다.
상기 제 1 장측면(320)은 제 1 베이스면(310)의 가장자리에서 절곡되고 연장된다. 상기 제 1 장측면(320)은 실질적으로 제 1 케이스(300)의 연속된 측면으로, 배터리 팩(10)이 외부 전자 기기에 장착되는 경우 노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장측면(320)은 상기 베이스면(310)의 가장자리들 중 긴 길이를 갖는 제 1 가장 자리로부터 연장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제 1 단측면(330)은 제 1 베이스면(310)과 제 1 장측면(320)에 연결되는 측면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단측면(330)은 제 1 베이스면(310)의 가장 자리들 중 짧은 길이를 갖는 제 2, 3 가장자리들로부터 연장되는 면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단측면(330)은 제 2 케이스(400)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단차부(330a)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장측 연장면(340)은 제 1 장측면(320)으로부터 연장되는 면이며, 제 1 케이스(40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장측 연장면(340)은 제 1 케이스(300)와 제 2 케이스(400)의 결합을 위한 제 1 결합홈(341)과 제 1 체결홀(34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체결홀(342)은 제 1 단측면(330)에도 형성된다. 상기 제 1 체결홀(342)은 제 2 케이스(400)의 제 2 체결 후크(431)와 결합한다.
상기 제 1 대향면(350)은 제 1 장측면(320)과 대향하며, 제 1 베이스면(310)의 제 4 가장자리에서 절곡되고 연장된다. 여기서, 제 1 베이스면(310) 중 제 1 가장자리와 제 4 가장자리가 서로 평행하며, 제 2 가장자리와 제 3 가장자리가 서로 평행하다.
상기 제 1 대향 연장면(360)은 상기 제 1 대향면(350)으로부터 연장되는 면이며, 제 3 케이스(50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대향 연장면(360)은 제 1 케이스(300)와 제 3 케이스(500)의 결합을 위한 제 1 체결 돌기(36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대향 연장면(360)은 제 1 대향면(350)보다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제 3 케이스(500)의 제 3 수용 개구(511)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체결 돌기(361)는 제 3 케이스(500)의 제 3 수용홀(512)과 결합한다.
상기 제 2 케이스(400)는 배터리 셀(100)의 타측과 회로 모듈(200)의 일측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며, 제 1 케이스(300)와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케이스(400)와 제 1 케이스(300)의 결합 라인은 제 3 케이스(500)를 기준으로 하부 또는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배터리 팩(10)이 외부 전자 기기의 측면과 하면에 걸쳐 형성된 배터리 팩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경우 제 2 케이스(400)와 제 1 케이스(300)의 결합 라인이 사용자의 눈에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케이스(400)는 제 2 베이스면(410), 제 2 장측면(420), 제 2 단측면(430), 제 2 돌출부(440) 및 제 2 고정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이스면(410)은 제 2 케이스(400)의 베이스를 이루며, 예를 들어 제 1 배터리 셀(100A)의 타측부터 제 2 배터리 셀(100B)을 지나 회로 모듈(200)의 일측을 커버한다. 여기서, 상기 회로 모듈(200)의 일측은 회로 모듈(200) 중 커넥터(210)의 금속 단자(210a)가 노출되지 않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제 2 장측면(420)은 제 2 베이스면(410)의 가장자리에서 절곡되고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장측면(420)은 상기 베이스면(410)의 가장자리들 중 긴 길이를 갖는 제 1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장측면(420)은 제 2 라벨 수용홈(425)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단측면(430)은 제 2 베이스면(410)과 제 2 장측면(420)에 연결되는 측면이다. 여기서, 상기 제 2 단측면(430)은 제 2 베이스면(410)의 가장자리들 중 짧은 길이를 갖는 제 2, 3 가장자리들로부터 연장되는 면들일 수 있다. 상기 제 2 단측면(430)은 제 1 케이스(300)의 단차부(330a)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단측면(430)은 제 1 케이스(300)와 제 2 케이스(400)의 결합을 위해 제 2 체결 후크(431)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체결 후크(431)는 제 1 케이스(300)의 제 1 체결홀(342)과 결합한다. 한편, 상기 제 2 체결 후크(431)는 제 2 장측면(420)에도 형성되어, 제 3 케이스(500)와 제 2 케이스(400)를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제 2 체결 후크(431)는 제 3 케이스(500)의 제 3 체결홀(532)과 결합한다.
상기 제 2 돌출부(440)는 제 2 장측면(420)의 일측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제 2 장측면(420) 및 제 2 단측면(430)과 연결되는 돌출면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 돌출부(440)는 커넥터(210)가 배치된 회로 모듈(200)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돌출부(440)는 제 3 돌출부(540)와 제 2 돌출부(440)의 결합을 위해 돌출면들 내부에 돌출면들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 2 리브면(도 2의 441)에 형성된 제 2 리브홀(도 2의 441a)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리브홀(441a)은 제 3 케이스(500)의 제 3 체결 후크(541)와 결합된다.
상기 제 2 고정부(450)는 제 2 베이스면(410)의 외측에 배치되며, 외부 전자 기기에 장착되는 배터리 팩(10)의 부착 및 탈착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 2 고정부(450)는 좌ㆍ우로 움직이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케이스(500)는 회로 모듈(200)의 타측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며, 제 1 케이스(300)와 제 2 케이스(400)에 결합된다. 상기 제 3 케이스(500)와 제 1 케이스(300)의 결합 형상은 제 2 케이스(400)의 형상과 대략 대응된다. 여기서, 제 1 케이스(300)가 단독으로 제 2 케이스(400)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은 사출 공정상 어렵다. 즉, 제 1 케이스(300)의 내부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제 2 케이스(400)와 대응되게 제 1 케이스(300)를 형성하면 제 1 케이스(300)의 형성 후 제 1 케이스(300)로부터 금형을 분리시키기 어렵다. 이에 따라, 제 1 케이스(300)와 제 3 케이스(500)가 결합된 구조가 제 2 케이스(400)와 대응되도록 제 1 케이스(300)와 제 3 케이스(500)가 별도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3 케이스(500)는 제 3 베이스면(510), 제 3 장측면(520), 제 3 연장면(530) 및 제 3 돌출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베이스면(510)은 제 3 케이스(500)의 베이스를 이룬다. 이러한 제 3 베이스면(510)은 1 케이스(300)와 제 3 케이스(500)의 결합을 위해 제 3 수용 개구(511)와 제 3 수용홀(512)을 포함한다. 상기 제 3 수용 개구(511)는 제 1 케이스(300)의 제 1 장측 연장면(360)과 결합하며, 제 3 수용홀(512)은 제 1 케이스(300)의 제 1 체결 돌기(361)과 결합한다.
상기 제 3 장측면(520)은 제 3 베이스면(510)의 가장자리로부터 절곡되고 연장된다. 상기 제 3 장측면(520)은 제 3 라벨 수용홈(525)을 가질 수 있으며, 제 3 라벨 수용홈(525)은 제 2 라벨 수용홈(425)과 함께 후술되는 라벨(600)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제 3 연장면(530)은 제 3 장측면(520)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 3 장측면(520)과 단차를 형성한다. 이러한 제 3 연장면(530)은 제 2 케이스(400)와 제 3 케이스(500)의 결합을 위해 제 3 체결홀(532)을 포함한다. 상기 제 3 체결홀(532)은 제 2 케이스(400)의 제 2 체결 후크(431)와 결합한다.
상기 제 3 돌출부(540)는 제 3 장측면(520)과 제 3 연장면(530)의 일측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제 3 장측면(520), 제 3 연장면(530) 및 제 3 베이스면(510)과 연결되는 돌출면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3 돌출부(540)는 제 2 돌출부(440)와 함께 커넥터(210)가 배치된 회로 모듈(200)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 3 돌출부(540)는 제 2 돌출부(440)와 제 3 돌출부(540)의 결합을 위해 돌출면들에 형성되는 제 3 체결 후크(541)를 포함한다. 상기 제 3 체결 후크(541)는 제 2 케이스(400)의 제 2 리브홀(도 2의 441a)과 결합한다.
한편, 상기 제 3 케이스(500)는 제 1 케이스(300)와 접촉하는 영역의 일부, 즉 제 3 돌출부(540) 부분에 형성되는 차단벽(5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차단벽(550)은 돌출부(540)에 수용된 회로 모듈(200)이 배터리 셀(10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배터리 팩(10)은 라벨을 부착하여 완성될 수 있다.
도 7은 도 4의 배터리 팩 중 제 2 케이스와 제 3 케이스에 부착된 라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팩(10)은 제 2 케이스(400)와 제 3 케이스(500)의 결합 라인의 일부, 즉 제 2 케이스(400)의 제 2 라벨 수용홈(도 4의 425)과 제 3 케이스(500)의 제 3 라벨 수용홈(도 4의 525)에 의해 형성되는 라벨 수용홈(600a)에 부착되는 라벨(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벨(600)은 라벨 수용홈(600a)에 수용되는 형태로 부착되기 때문에 배터리 팩(10)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이러한 라벨(600)은 배터리 팩(10)의 정보가 인쇄된 부착 가능한 스티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은 연속적인 측면을 갖는 제 1 케이스(300), 제 2 케이스(400) 및 제 3 케이스(500)를 구비함으로써, 외부 전자 기기에 장착시 결합 라인을 노출시키지 않아 외부 전자 기기에 대해 깔끔한 외부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은 복잡한 형상을 가지는 제 1 케이스(300)와 제 3 케이스(500)를 별도로 형성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제 1 케이스(300)의 사출 성형 후에도 제 1 케이스(300)로부터 금형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배터리 팩 100: 배터리 셀
200: 회로 모듈 300: 제 1 케이스
400: 제 2 케이스 500: 제 3 케이스
600: 라벨

Claims (19)

  1.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
    상기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모듈;
    상기 배터리 셀의 일측을 커버하는 제 1 케이스;
    상기 배터리 셀의 타측과 상기 회로 모듈의 일측을 커버하며, 상기 제 1 케이스와 결합하는 제 2 케이스; 및
    상기 회로 모듈의 타측을 커버하며,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에 결합하는 제 3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의 측면은 연속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의 측면은 상기 배터리 팩이 외부 전자 기기에 장착되는 경우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의 결합 라인은 상기 제 3 케이스를 기준으로 하부 또는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케이스는 상기 제 1 케이스와 접촉하는 영역의 일부에 형성되는 차단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스와 상기 제 3 케이스의 결합 라인의 일부에 부착되는 라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스는 일측에 형성되는 제 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케이스는 일측에 형성되는 제 3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돌출부와 제 3 돌출부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돌출부의 공간에 상기 회로 모듈이 수용되고, 상기 돌출부의 일측을 통해 상기 회로 모듈의 커넥터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은 원통형 리튬 이온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9.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케이스는
    상기 제 2 케이스와 결합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제 1 체결홀; 및
    상기 제 3 케이스와 결합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제 1 체결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는
    제 1 베이스면;
    상기 제 1 베이스면의 가장자리에서 절곡되고 연장되는 제 1 장측면;
    상기 제 1 베이스면과 상기 제 1 장측면에 연결되는 제 1 단측면;
    상기 제 1 장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장측 연장면;
    상기 제 1 장측면과 대향하며, 상기 제 1 베이스면의 가장자리에서 절곡되고 연장되는 제 1 대향면; 및
    상기 제 1 대향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대향 연장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홀은 상기 제 1 장측 연장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체결 돌기는 상기 제 1 대향 연장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스는
    상기 제 1 케이스와 결합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제 2 체결 후크; 및
    상기 제 3 케이스와 결합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체결 후크와 제 2 리브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스는
    제 2 베이스면;
    상기 제 2 베이스면의 가장자리에서 절곡되고 연장되는 제 2 장측면;
    상기 제 2 베이스면과 상기 제 2 장측면에 연결되는 제 2 단측면; 및
    상기 제 2 장측면의 일측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 2 장측면과 상기 제 2 단측면에 연결되는 돌출면들로 이루어진 제 2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스는 상기 제 2 장측면에 형성되는 제 2 라벨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체결 후크는 상기 제 2 단측면과 상기 제 2 장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리브홀은 상기 돌출면들의 내부에 상기 돌출면들과 평행하게 배치된 리브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케이스는
    상기 제 1 케이스와 결합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제 3 수용 개구와 제 3 수용홀; 및
    상기 제 2 케이스와 결합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제 3 체결홀과 제 3 체결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케이스는
    제 3 베이스면;
    상기 제 3 베이스면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는 제 3 장측면;
    상기 제 3 장측면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 3 장측면과 단차를 형성하는 제 3 연장면; 및
    상기 제 3 장측면과 제 3 연장면의 일측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 3 장측면, 제 3 연장면 및 제 3 베이스면과 연결되는 돌출면들로 이루어진 제 3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케이스는 상기 제 3 장측면에 형성되는 제 3 라벨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수용 개구와 상기 제 3 수용홀은 상기 제 3 베이스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3 체결홀은 상기 제 3 연장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3 체결 후크는 상기 돌출면들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KR1020100075834A 2010-08-06 2010-08-06 배터리 팩 KR101146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834A KR101146476B1 (ko) 2010-08-06 2010-08-06 배터리 팩
US13/072,632 US8691428B2 (en) 2010-08-06 2011-03-25 Battery pack comprising three case coverin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834A KR101146476B1 (ko) 2010-08-06 2010-08-06 배터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691A true KR20120013691A (ko) 2012-02-15
KR101146476B1 KR101146476B1 (ko) 2012-05-21

Family

ID=45556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5834A KR101146476B1 (ko) 2010-08-06 2010-08-06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91428B2 (ko)
KR (1) KR1011464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836B1 (ko) * 2013-03-25 2019-06-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팩
GB2572303B (en) 2017-06-19 2020-12-02 Tti Macao Commercial Offshore Ltd Surface clean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232413U (de) * 1972-09-01 1973-01-18 Sel Ag Kommandosignalgebergehäuse für Fernseh- und Rundfunkgeräte
US4974130A (en) * 1990-06-18 1990-11-27 Friedman Arthur S Miniature portable light
JPH07122249A (ja) * 1993-10-27 1995-05-12 Sanyo Electric Co Ltd パック電池
KR20010028714A (ko) 1999-09-22 2001-04-06 서평원 휴대폰용 배터리
US6877551B2 (en) * 2002-07-11 2005-04-12 Avaya Technology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weatherproof cabinets with variably cooled compartments
KR200404743Y1 (ko) * 2005-10-20 2005-12-27 주식회사 미광월드 휴대용 휴대폰 충전기
JP2008218210A (ja) * 2007-03-05 2008-09-18 Lenovo Singapore Pte Ltd 電池パックおよび携帯式電子機器
KR100870367B1 (ko) 2007-04-11 2008-11-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0864887B1 (ko) * 2007-05-25 2008-10-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0917750B1 (ko) 2007-09-17 2009-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0965711B1 (ko) 2008-05-09 2010-06-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1182150B1 (ko) * 2008-05-13 2012-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향상된 생산성과 안전성 구조의 전지팩
KR100988655B1 (ko) 2008-09-19 2010-10-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6476B1 (ko) 2012-05-21
US8691428B2 (en) 2014-04-08
US20120034495A1 (en) 201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25239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
EP2405508B1 (en) Battery pack
KR100928120B1 (ko) 이차 전지
EP2838135B1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EP2763208B1 (en) Battery pack
JP5413746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
EP2763204B1 (en) Battery Pack
US10062886B2 (en) Integrated component cap and spacer for battery pack
KR101397028B1 (ko) 배터리 팩
US20140044995A1 (en) Battery pack
JP2005317460A (ja) パック電池
KR101364096B1 (ko) 배터리팩 조립체
US20140370356A1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KR20140081658A (ko) 배터리 팩
JP2010277692A (ja) パック電池およびパック電池中間体
JP2008112654A (ja) 二次電池装置および携帯型電子機器
KR101146476B1 (ko) 배터리 팩
CN103887457B (zh) 电池组
US8679657B2 (en) Battery pack
KR20100058116A (ko) 휴대용 단말기용 배터리 팩
JP2009004264A (ja) 端子基板、外装体及び電池パ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