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106U - 마늘수확기 부착용 검불 및 마늘줄기 정리기 - Google Patents
마늘수확기 부착용 검불 및 마늘줄기 정리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06106U KR20120006106U KR2020110001494U KR20110001494U KR20120006106U KR 20120006106 U KR20120006106 U KR 20120006106U KR 2020110001494 U KR2020110001494 U KR 2020110001494U KR 20110001494 U KR20110001494 U KR 20110001494U KR 20120006106 U KR20120006106 U KR 2012000610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rlic
- coupling
- harvester
- pair
- arranging
- Prior art date
Links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40000000218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title 1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10000000988 Bone and Bones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10000001520 Comb Anatomy 0.000 abstract 1
- 241001124569 Lycaenidae Species 0.000 abstract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1
- 229920000591 gum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370 groom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020091 Dicranocarpus parviflo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236653 Lavinia exilicau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475481 Nebu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07305 PIFO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1700011900 PIFO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3 ground sta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83 mobili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16 radical scaveng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7 radioactive fallou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1/00—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 A01B51/04—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drawn by animal or tract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1/00—Other digging harvesters
- A01D31/02—Other digging harvesters combined with other agricultural machines, e.g. drilling, planting, hay-harvesting machin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3/00—Accessories for digging harvesters
- A01D33/12—Driving mechanisms, with or without mot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7/0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57/14—Single-platform rakes
Abstract
본 고안은 마늘수확기 부착용 검불 및 마늘줄기 정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입구 외측면에 암나사부(101a)를 형성한 한 쌍의 결합관(101)을 후방으로 돌출 형성하고, 외주면에 스프링연결부(102a)를 형성한 한 쌍의 연결관(102)을 전방으로 돌출 형성한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의 연결관(102)과 일렬로 정렬하여 회전축(3)으로 한꺼번에 끼워서 설치되며, 외주면 상부에는 통공(201a)을 구비한 돌출편(201)을 형성하여 상기 스프링연결부(102a)와 돌출편(201) 간에 코일스프링(202)을 연결하고, 외주면 후방에는 마늘줄기를 정리하는 정리빗(203)과, 검불을 정리하는 갈퀴(204)를 하향으로 형성한 회전관(2)과;
일정 간격으로 결합공(401a)을 형성한 한 쌍의 결합봉(401)을 하부에 형성하여 상기 결합관(101)에 끼운 후 결합관(101)의 암나사부(101a)에 나사 결합되는 높이조절볼트(402)를 상기 결합공(401a)에 관통시켜 결합하며, 정면에는 다수의 통공(403)을 형성한 고정판(4)으로 구성함으로써 마늘수확기와 같이 경운기에 의해 견인되면서 마늘수확기가 땅으로 투입되기 전에 정리빗과 갈퀴가 지면의 검불뿐만 아니라 마늘 줄기도 경운기의 진행 방향으로 가지런하게 정렬시켜 줌으로써 마늘 뿌리와 또 다른 마늘 뿌리 사이에 있는 골을 따라 마늘수확기의 쇄토기가 검불이나 마늘 줄기에 의한 방해를 받지 않고 투입되기 때문에 마늘 수확에 따른 작업 환경이 개선되어 마늘 수확 작업의 능률이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프레임(1)의 연결관(102)과 일렬로 정렬하여 회전축(3)으로 한꺼번에 끼워서 설치되며, 외주면 상부에는 통공(201a)을 구비한 돌출편(201)을 형성하여 상기 스프링연결부(102a)와 돌출편(201) 간에 코일스프링(202)을 연결하고, 외주면 후방에는 마늘줄기를 정리하는 정리빗(203)과, 검불을 정리하는 갈퀴(204)를 하향으로 형성한 회전관(2)과;
일정 간격으로 결합공(401a)을 형성한 한 쌍의 결합봉(401)을 하부에 형성하여 상기 결합관(101)에 끼운 후 결합관(101)의 암나사부(101a)에 나사 결합되는 높이조절볼트(402)를 상기 결합공(401a)에 관통시켜 결합하며, 정면에는 다수의 통공(403)을 형성한 고정판(4)으로 구성함으로써 마늘수확기와 같이 경운기에 의해 견인되면서 마늘수확기가 땅으로 투입되기 전에 정리빗과 갈퀴가 지면의 검불뿐만 아니라 마늘 줄기도 경운기의 진행 방향으로 가지런하게 정렬시켜 줌으로써 마늘 뿌리와 또 다른 마늘 뿌리 사이에 있는 골을 따라 마늘수확기의 쇄토기가 검불이나 마늘 줄기에 의한 방해를 받지 않고 투입되기 때문에 마늘 수확에 따른 작업 환경이 개선되어 마늘 수확 작업의 능률이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마늘수확기 부착용 검불 및 마늘줄기 정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확시기의 마늘밭에서 지면으로 늘어진 마늘줄기와 각종 잡초를 경운기의 진행 방향으로 가지런히 정렬시킴으로써 경운기에 의해 견인되는 마늘수확기에 의한 마늘 수확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마늘수확기 부착용 검불 및 마늘줄기 정리기에 관한 것이다.
마늘을 수확할 때 사용되는 일반적인 마늘수확기는 동력원을 갖는 구동수단과 연결되는 커터 축에 결합부재를 장착하고, 상기 장착된 결합부재에 쇄토날을 설치하여 커터축의 회전에 의해 쇄토날이 마늘이 심어진 이랑의 흙을 굴삭하면서 마늘을 수확하게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마늘수확기의 쇄토날은 회전하면서 땅속으로 투입되기 때문에 투입 장소에 잡초와 같은 검불이나 마늘 줄기가 많이 있을 경우 바람개비형 쇄토날에 검불이나 마늘 줄기가 휘감겨서 원만한 투입을 방해하므로 쇄토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그로 인해 마늘 수확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마늘을 수확하기에 앞서, 잡초와 같은 검불이나 마늘 줄기를 가지런하게 정렬해주는 작업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 종래에는 사람이 일일이 마늘 밭을 걸어가면서 정리작업을 수행하였기에 노동 강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높아진 노동 강도의 해결을 위해서 인력을 동원할 경우 인건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마늘 수확시에 잡초와 같은 검불과 마늘 줄기를 동시에 가지런히 정렬해주어 마늘 수확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마늘수확기 부착용 검불 및 마늘줄기 정리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입구 외측면에 암나사부(101a)를 형성한 한 쌍의 결합관(101)을 후방으로 돌출 형성하고, 외주면에 스프링연결부(102a)를 형성한 한 쌍의 연결관(102)을 전방으로 돌출 형성한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의 연결관(102)과 일렬로 정렬하여 회전축(3)으로 한꺼번에 끼워서 설치되며, 외주면 상부에는 통공(201a)을 구비한 돌출편(201)을 형성하여 상기 스프링연결부(102a)와 돌출편(201) 간에 코일스프링(202)을 연결하고, 외주면 후방에는 마늘줄기를 정리하는 정리빗(203)과, 검불을 정리하는 갈퀴(204)를 하향으로 형성한 회전관(2)과;
일정 간격으로 결합공(401a)을 형성한 한 쌍의 결합봉(401)을 하부에 형성하여 상기 결합관(101)에 끼운 후 결합관(101)의 암나사부(101a)에 나사 결합되는 높이조절볼트(402)를 상기 결합공(401a)에 관통시켜 결합하며, 정면에는 다수의 통공(403)을 형성한 고정판(4)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회전관(2)은 프레임(1)에 형성된 한 쌍의 연결관(102) 양측 바깥쪽과 가운데에서 하나의 회전축(3)으로 동시에 결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고안은, 마늘수확기와 같이 경운기에 의해 견인되면서 마늘수확기가 땅으로 투입되기 전에 정리빗과 갈퀴가 지면의 검불뿐만 아니라 마늘 줄기도 경운기의 진행 방향으로 가지런하게 정렬시켜 줌으로써 마늘 뿌리와 또 다른 마늘 뿌리 사이에 있는 골을 따라 마늘수확기의 쇄토기가 검불이나 마늘 줄기에 의한 방해를 받지 않고 투입되기 때문에 마늘 수확에 따른 작업 환경이 개선되어 마늘 수확 작업의 능률이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경운기에 의해 견인되는 일반적인 마늘수확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과 경운기와 마늘수확기의 조립 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5,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과 경운기와 마늘수확기의 조립 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5,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들 중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도면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음을 유의해야 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공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먼저, 첨부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첨부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결합관(101)과 연결관(102)으로 구성되는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에 회전축(3)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코일스프링(202)으로 연결되어 검불과 마늘줄기를 정리하는 정리빗(203)과 갈퀴(204)를 구비한 회전관(2)과; 상기 프레임(1)을 경운기기와 마늘수확기 사이에 견고하게 설치하기 위한 고정판(4)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주요 구성 요소를 구조와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프레임(1)은 금속제로 길게 형성된 봉체의 후방에 일정한 간격으로 한 쌍의 결합관(101)을 돌출 형성하되, 그 결합관(101)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입구의 외측면에는 암나사부(101a)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봉체의 전방에는 한 쌍의 연결관(102)을 봉체와 수평이 되도록 봉체의 양측에서 돌출 형성하되, 상기 연결관(102)의 외주면에는 코일스프링(202)의 일측 단부를 걸어서 연결할 수 있도록 스프링연결부(102a)를 일체로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1)의 연결관(102)에 결합되는 회전관(2)은 연결관(102)과 일렬로 정렬한 상태에서 회전축(3)이 연결관(102)과 회전관(2)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끼운 후 회전축(3)의 양단부에 핀을 끼워서 회전축(3)이 빠지지 않도록 결합된다.
또한, 회전관(2)의 외주면 상부에는 통공(201a)을 구비한 돌출편(201)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연결관(102)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스프링연결부(102a)와 상기 돌출편(201) 간에 코일스프링(202)을 연결함으로써 회전관(2)에는 항상 코일스프링(202)의 탄성이 작용하게 된다.
아울러, 회전관(2)의 외주면 후방에는 마늘줄기를 정리하는 정리빗(203)과, 검불을 정리하는 갈퀴(204)가 하향하도록 일체로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회전관(2)은 프레임(1)에 형성된 한 쌍의 연결관(102) 양측 바깥쪽과 가운데에서 하나의 회전축(3)으로 동시에 결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프레임(1)을 경운기와 마늘수확기 사이에 견고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고정판(4)은 일정 간격으로 결합공(401a)을 형성한 한 쌍의 결합봉(401)을 하부에 형성하여 프레임(1)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관(101)에 상기 결합봉(401)을 끼운 후 결합관(101)의 암나사부(101a)에 나사 결합되는 높이조절볼트(402)가 상기 결합공(401a)에 투입되도록 나사 결합하게 되면 프레임(1)에 결합되는 고정판(4)의 높이를 지면의 상태자 사용 조건에 따라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판(4)의 정면에는 다수의 통공(403)을 형성함으로써 첨부도면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경운기의 히치판과 마늘수확기 사이에 고정판(4)을 위치시킨 후 마늘수확기에서 경운기 쪽으로 체결볼트를 체결할 때 그 체결볼트를 고정판(4)의 통공(403)으로 관통시킴으로써 고정판(4)을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첨부도면 도 5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첨부도면 도 5와 같이 회전관(2)의 정리빗(203)과 갈퀴(204)가 마늘밭의 지면에 근접하도록 경운기와 마늘수확기 사이에 본원을 설치하게 된다.
그리하여 첨부도면과 같이 경운기를 이용하여 본원과 마늘수확기를 견인하게 되면, 경운기가 지나간 경로를 따라서 마늘수확기가 진행하기 이전에 본원의 정리빗(203)과 갈퀴(204)가 지면을 긁고 지나가면서 정리빗(203)이 마늘 줄기를 일렬로 정렬함과 동시에 잡초 등의 윗부분을 먼저 정리하고, 이어서 갈퀴(204)가 한번 더 잡초 등을 긁어서 정리하게 된다.
따라서 본원에 이어서 진행하는 마늘수확기에 잡초와 같은 검불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늘 줄기를 일렬로 정렬함으로써 마늘 수확 작업도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정리빗(203)과 갈퀴(204)에 의해 검불이 정리되고, 마늘줄기가 정렬되는 과정에서 너무 많은 검불이 정리빗(203)과 갈퀴(204)에 걸려서 경운기의 진행에 방해가 될 정도로 부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프레임(1)과 스프링으로 연결된 회전관(2)이 첨부도면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으로 회전하면서 정리빗(203)과 갈퀴(204)에 걸려있는 검불이 빠져나가기 때문에 과부하에 따른 경운기의 운행 방해를 쉽게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A: 경운기 B: 마늘수확기
1: 프레임 101: 결합관
101a: 암나사부 102: 연결관
102a: 스프링연결부 2: 회전관
201: 돌출편 201a: 통공
202: 코일스프링 203: 정리빗
204: 갈퀴 3: 회전축
4: 고정판 401: 결합봉
401a: 결합공 402: 높이조절볼트
403: 통공
1: 프레임 101: 결합관
101a: 암나사부 102: 연결관
102a: 스프링연결부 2: 회전관
201: 돌출편 201a: 통공
202: 코일스프링 203: 정리빗
204: 갈퀴 3: 회전축
4: 고정판 401: 결합봉
401a: 결합공 402: 높이조절볼트
403: 통공
Claims (1)
- 입구 외측면에 암나사부(101a)를 형성한 한 쌍의 결합관(101)을 후방으로 돌출 형성하고, 외주면에 스프링연결부(102a)를 형성한 한 쌍의 연결관(102)을 전방으로 돌출 형성한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의 연결관(102)과 일렬로 정렬하여 회전축(3)으로 한꺼번에 끼워서 설치되며, 외주면 상부에는 통공(201a)을 구비한 돌출편(201)을 형성하여 상기 스프링연결부(102a)와 돌출편(201) 간에 코일스프링(202)을 연결하고, 외주면 후방에는 마늘줄기를 정리하는 정리빗(203)과, 검불을 정리하는 갈퀴(204)를 하향으로 형성한 회전관(2)과;
일정 간격으로 결합공(401a)을 형성한 한 쌍의 결합봉(401)을 하부에 형성하여 상기 결합관(101)에 끼운 후 결합관(101)의 암나사부(101a)에 나사 결합되는 높이조절볼트(402)를 상기 결합공(401a)에 관통시켜 결합하며, 정면에는 다수의 통공(403)을 형성한 고정판(4)으로 구성되는 마늘수확기 부착용 검불 및 마늘줄기 정리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1494U KR200463251Y1 (ko) | 2011-02-23 | 2011-02-23 | 마늘수확기 부착용 검불 및 마늘줄기 정리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1494U KR200463251Y1 (ko) | 2011-02-23 | 2011-02-23 | 마늘수확기 부착용 검불 및 마늘줄기 정리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6106U true KR20120006106U (ko) | 2012-08-31 |
KR200463251Y1 KR200463251Y1 (ko) | 2012-10-24 |
Family
ID=47560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01494U KR200463251Y1 (ko) | 2011-02-23 | 2011-02-23 | 마늘수확기 부착용 검불 및 마늘줄기 정리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3251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115606A (zh) * | 2014-07-24 | 2014-10-29 | 沂水沭拖机械有限公司 | 一种四驱大蒜收获机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9955Y1 (ko) | 2007-06-14 | 2008-05-15 | 이정근 | 마늘 수확기용 검불 제거기 |
-
2011
- 2011-02-23 KR KR2020110001494U patent/KR200463251Y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115606A (zh) * | 2014-07-24 | 2014-10-29 | 沂水沭拖机械有限公司 | 一种四驱大蒜收获机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3251Y1 (ko) | 2012-10-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733753B (zh) | 一种适于全秸秆覆盖地作业的小麦免耕播种机 | |
CN109174846A (zh) | 一种可拆卸式农业机械烟囱清理架 | |
KR200463251Y1 (ko) | 마늘수확기 부착용 검불 및 마늘줄기 정리기 | |
CN210137578U (zh) | 一种农业用除草装置 | |
CN204031818U (zh) | 一种设有捡拾器的割台装置 | |
Rolston et al. | Italian ryegrass seed yield: trinexapac-ethyl and closing date interaction | |
RU2537526C1 (ru) | Способ возделывания кормовых культур | |
CN204860132U (zh) | 一种带清扫刷子的拨禾轮结构 | |
Donald | Control of both winter annual and summer annual weeds in no-till corn with between-row mowing systems | |
Sidhu et al. | Machinery development for crop residue management under direct drilling | |
CN110337841A (zh) | 一种新型多用旋耕刀 | |
US2707909A (en) | Two-row weeder attachment | |
US2227774A (en) | Cultivator weeder attachment | |
CN205213460U (zh) | 一种秸秆转移器及装有该转移器的播种装置 | |
CN207978803U (zh) | 一种少花蒺藜草收割收集装置 | |
RU138155U1 (ru) |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агрегат для уборки урожая и одновременного выполнения других сопутствующих работ | |
KR102480845B1 (ko) | 마늘수확기 부착용 검불 및 마늘줄기 정리기 | |
CN209267947U (zh) | 一种简易高效除草装置 | |
Stafford | Techniques for the establishment of kangaroo grass in South Australian conservation reserves | |
CN211960112U (zh) | 一种锥筒式起垄切草机 | |
CN107771436A (zh) | 水稻中耕除草机 | |
Ramroudi et al. | The effects of cover crops, tillage systems and nitrogen rates on yield of forage sorghum (Sorghum bicolor L.) | |
RU195545U1 (ru) | Зерноуборочный комбайн | |
CN208175375U (zh) | 一种匍匐蔓生作物刈割抄底搂草装置 | |
Hill et al. | Integration of winter grazing and irrigated cotton produ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