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416A -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416A
KR20120000416A KR1020100060768A KR20100060768A KR20120000416A KR 20120000416 A KR20120000416 A KR 20120000416A KR 1020100060768 A KR1020100060768 A KR 1020100060768A KR 20100060768 A KR20100060768 A KR 20100060768A KR 20120000416 A KR20120000416 A KR 20120000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wheel
airbag module
coupling
elastic member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유선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0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0416A/ko
Publication of KR20120000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4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60R21/203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1Switches therefor
    • B60Q5/003Switches therefor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에어백모듈을 스티어링 휠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은, 스티어링 휠과, 상기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어 운전자를 보호하는 에어백모듈과, 상기 스티어링 휠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탄성력을 발생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에어백모듈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백모듈을 상기 스티어링 휠에 장착시에 상기 탄성부재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여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Structure for combining steering wheel and airbag module}
본 발명은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티어링 휠에 배치된 탄성부재가, 에어백모듈에 배치된 결합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결합부재와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운전석 전방에 운전자 조작에 의해 자동차의 조향기능을 수행하는 스티어링 휠이 배치된다. 즉, 상기 운전자가 상기 스티어링 휠을 좌회전 또는 우회전시킴으로서 상기 자동차가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티어링 휠에는 상기 자동차의 사고시에 팽창 전개되어 상기 운전자를 보호하는 에어백 쿠션이 포함된 에어백모듈이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에어백모듈을 스티어링 휠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은, 스티어링 휠과, 상기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어 운전자를 보호하는 에어백모듈과, 상기 스티어링 휠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탄성력을 발생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에어백모듈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백모듈을 상기 스티어링 휠에 장착시에 상기 탄성부재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여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은, 에어백모듈을 누르면 결합부재가 탄성부재를 가압하여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발생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결합부재가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에어백모듈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상기 에어백모듈을 스티어링 휠에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로 상기 스티어링 휠에 상기 에어백모듈을 장착하기 때문에 작업공수, 중량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경적음을 조작하기 위한 기존의 혼플레이트를 삭제할 수 있으며, 상기 에어백모듈이 상하로 이동되어 상기 혼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혼플레이트와 상기 에어백모듈과의 사이에 설치하였던 복수의 스프링을 삭제할 수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프링의 불량으로 인한 작동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에 의해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이 결합된 외부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티어링 휠의 내부를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에 점선으로 구획한 A부의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에 의해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이 결합되기 직전의 내부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에 의해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이 결합 완료된 내부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에 의해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이 결합된 외부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운전석 전방에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자동차의 조향기능을 수행하는 스티어링 휠(10)이 배치되고, 스티어링 휠(10)의 중앙부에는 자동차 사고시에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모듈(20)이 삽입 장착된다.
도 1에서 에어백모듈(20)은 외부케이스만 도시된 것이고, 상기 외부케이스 내부에는 가스가 유입되면 팽창 전개되어 상기 운전자를 보호하는 에어백 쿠션(미도시)이 접혀져서 수납되어져 있으며, 상기 외부케이스의 하단에는 가스를 발생시켜 상기 에어백 쿠션으로 공급하는 인플레이터(미도시)가 장착되어져 있다.
또한, 스티어링 휠(10)의 내부에는 경적음을 울리기 위한 혼스위치(미도시)가 배치되어져 있으며, 상기 운전자가 상기 외부케이스를 누르면 상기 혼스위치가 온(ON)되어 경적음이 울리게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티어링 휠의 내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티어링 휠(10)의 내부에는 탄성부재(30,32)가 배치된다.
탄성부재(30,32)는 스티어링 휠(10)의 중심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치우쳐서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배치된다.
탄성부재(30,32)는, 좌측 탄성부재(32)의 전단과 우측 탄성부재(30)의 전단 사이의 거리가, 좌측 탄성부재(32)의 후단과 우측 탄성부재(30)의 후단 사이의 거리보다 멀게 배치되어, 두 탄성부재(30,32)는 전방으로 더 벌어지게 스티어링 휠(10)에 결합된다. 이하, 두 탄성부재(30,32)는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우측 탄성부재(30)만을 예로들어 탄성부재(30)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점선으로 구획한 A부의 상세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티어링 휠(10)에는 축부재(50,52)와, 고정부재(60,62)가 배치된다.
축부재(50,52)에는 탄성부재(3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고정부재(60,62)는 탄성부재(30)가 축부재(50,52)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탄성부재(30)를 고정시킨다. 이하, 탄성부재(30)는 가운데를 기준으로 양쪽이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축부재(50) 및 고정부재(60)에 결합되는 한쪽만을 예로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탄성부재(30)는 고정부재(50)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30a)와, 고정부(30a)로부터 연장되고 축부재(50)의 둘레를 따라 감기는 권선부(30b)와, 권선부(30b)로부터 연장되어 'ㄱ'자로 절곡된 제1 결합부(30c)와, 제1 결합부(30c)로부터 연장되어 'ㄱ'자로 절곡된 제2 결합부(30d)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에 의해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이 결합되기 직전의 내부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에 의해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이 결합 완료된 내부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에어백모듈을 생략하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에어백모듈(20)의 하측에는 에어백모듈(20)을 스티어링 휠(10)에 장착하기 위해 탄성부재(30)와 결합되는 결합부재(40)가 배치된다.
결합부재(40)는 에어백모듈(20)을 스티어링 휠(10)에 장착하기 위해 에어백모듈(20)을 작업자가 누르면 탄성부재(30)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30)는 도 4에서와 같이 축부재(50)를 중심으로 내측으로 회전되어서 탄성력이 발생되고, 이 탄성력에 의해 도 5에서와 같이 결합부재(40)는 탄성부재(30)와 결합된다.
결합부재(40)는 에어백모듈(20)을 스티어링 휠(10)에 장착시키는 마운팅후크(42,44)와, 마운팅후크(42,44)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경적음을 조작하기 위한 혼후크(46)를 포함한다.
마운팅후크(42,44)는 2개로 구비된다. 즉, 마운팅후크(42,44)는 혼후크(46)로부터 양쪽으로 이격되어 혼후크(46)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맞은편에 배치된 제1 마운팅후크(42) 및 제2 마운팅후크(44)를 포함한다. 이하, 제1 마운팅후크(42) 및 제2 마운팅후크(44)는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제1 마운팅후크(42)만을 예로들어 마운팅후크(42)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작업자가 에어백모듈(20)을 누르면 마운팅후크(42)는 탄성부재(30)의 제1 결합부(30c)를 가압하고, 혼후크(46)는 탄성부재(30)의 제2 결합부(30d)를 가압한다. 따라서 탄성부재(30)가 회전되고, 이 때 발생되는 탄성부재(30)의 탄성력에 의해 마운팅후크(42)는 제1 결합부(30c)와 결합되고, 혼후크(46)는 제2 결합부(30d)와 결합된다.
마운팅후크(42)의 하단에는 상측으로 갈수록 제1 결합부(30c)를 향해 돌출되게 경사진 제1 경사부(42a)가 형성되고, 혼후크(46)의 하단에는 상측으로 갈수록 제2 결합부(30d)를 향해 돌출되게 경사진 제2 경사부(46a)가 형성된다. 상기 작업자가 에어백모듈(20)을 누르면 마운팅후크(42) 및 혼후크(46)가 에어백모듈(20)과 함께 하측으로 이동되게 되는데, 이때 제1 경사부(42a)에 의해 탄성부재(30)의 제1 결합부(30c)가 가압되고, 제2 경사부(46a)에 의해 탄성부재(30)의 제2 결합부(30d)가 가압된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30)가 축부재(5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마운팅후크(42)에는 탄성부재(30)의 제1 결합부(30c)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홀(42b)이 형성되고, 혼후크(46)에는 탄성부재(30)의 제2 결합부(30d)가 안착되는 안착단(46b)이 형성된다.
결합홀(42b)은 제1 경사부(42a)의 상측에 형성된다. 또한, 안착단(46b)은 제2 경사부(46a)의 상측에 평평하게 형성되고, 그 평평한 면에는 제2 결합부(30d)가 걸림되는 걸림홈(46c)이 형성된다.
에어백모듈(20)이 장착위치에 왔을 때 탄성부재(30)의 제1 결합부(30c)는 결합홀(42b)로 삽입되고, 제2 결합부(30d)는 안착단(46b)에 안착되어 걸림홈(46c)에 걸림되는 것에 의해, 에어백모듈(20)을 스티어링 휠(10)에 장착하는 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 운전자가 경적음을 울리기 위해서 에어백모듈(20)을 누르면 혼후크(46)가 에어백모듈(20)과 함께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혼스위치를 눌러서 경적음을 울리고, 상기 운전자가 에어백모듈(20)로부터 손을 때면 혼후크(46)가 에어백모듈(20)과 함께 상측으로 이동되어 경적음이 해제되게 되는데, 이와 같이 혼후크(46)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30)의 제1 결합부(30c)와 결합되는 결합홀(42b)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에 의한 스티어링 휠(10)과 에어백모듈(20)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가 에어백모듈(20)을 스티어링 휠(10)에 장착하기 위해, 에어백모듈(20)을 스티어링 휠(10)의 중앙부에 삽입하여 누르게 되면, 에어백모듈(20)의 하측에 배치된 마운팅후크(42) 및 혼후크(46)는 에어백모듈(20)과 함께 하측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마운팅후크(42)의 제1 경사부(42a)는 탄성부재(30)의 제1 결합부(30c)와 접촉되고, 혼후크(46)의 제2 경사부(46a)는 탄성부재(30)의 제2 결합부(30d)와 접촉된다. 이때, 제1 경사부(42a)의 선단이 제1 결합부(30c)의 외측과 접촉되고, 제2 경사부(46a)의 선단은 제2 결합부(30d)의 외측과 접촉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30), 마운팅후크(42) 및 혼후크(46)의 위치가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마운팅후크(42) 및 혼후크(46)가 계속하여 하측으로 이동되면, 제1 결합부(30c)는 제1 경사부(42a)의 경사면에 의해 내측으로 가압되고, 제2 결합부(30d)는 제2 경사부(46a)의 경사면에 의해 내측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탄성부재(30)는 축부재(60)를 중심으로 내측으로 회전되어서 마운팅후크(42) 및 혼후크(46)를 향해 원상태로 복원될려는 탄성력이 발생된다.
이후, 에어백모듈(20)이 장착위치에 오면 제1 결합부(30c)는 마운팅후크(42)의 결합홀(42b)로 삽입되고, 제2 결합부(30d)는 혼후크(46)의 안착단(46b)에 안착되어 걸림홈(46c)에 걸림되는 것에 스티어링 휠(10)에 에어백모듈(20)을 장착하는 작업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은, 에어백모듈(20)을 누르면 결합부재(40)가 탄성부재(30)를 가압하여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발생된 탄성부재(30)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부재(30)와 결합부재(40)가 결합되기 때문에, 에어백모듈(20)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에어백모듈(20)을 스티어링 휠(10)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로 스티어링 휠(10)에 에어백모듈(20)을 장착하기 때문에 작업공수, 중량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경적음을 조작하기 위한 기존의 혼플레이트를 삭제할 수 있으며, 에어백모듈(20)이 상하로 이동되어 상기 혼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혼플레이트와 에어백모듈(20)과의 사이에 설치하였던 복수의 스프링을 삭제할 수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프링의 불량으로 인한 작동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스티어링 휠 20: 에어백모듈
30: 탄성부재 30a: 고정부
30b: 권선부 30c: 제1 결합부
30d: 제2 결합부 40: 결합부재
42: 마운팅후크 42a: 제1 경사부
42b: 결합홀 46: 혼후크
46a: 제2 경사부 46b: 안착단
46c: 걸림홈 50: 축부재
60: 고정부재

Claims (11)

  1. 스티어링 휠;
    상기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어 운전자를 보호하는 에어백모듈;
    상기 스티어링 휠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탄성력을 발생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에어백모듈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백모듈을 상기 스티어링 휠에 장착시에, 상기 탄성부재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여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에어백모듈을 상기 스티어링 휠에 장착시키는 마운팅후크와,
    상기 마운팅후크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경적음을 조작하기 위한 혼후크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후크는 상기 혼후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맞은편에 배치된 제1 마운팅후크 및 제2 마운팅후크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휠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부재와,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축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탄성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더 배치된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축부재의 둘레를 따라 감기는 권선부와,
    상기 권선부로부터 연장되어 절곡되고, 상기 마운팅후크와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제1 결합부로부터 연장되어 절곡되고, 상기 혼후크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후크는 상기 제1 결합부를 가압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결합부를 향해 돌출되게 경사진 제1 경사부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혼후크는 상기 제2 결합부를 가압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2 결합부를 향해 돌출되게 경사진 제2 경사부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후크에는 상기 제1 결합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는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혼후크에는 상기 제2 결합부가 안착되는 안착단이 형성된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안착단에는 상기 제2 결합부가 걸림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은 상기 혼후크가 상하이동되어 경적음을 조작할 수 있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된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
KR1020100060768A 2010-06-25 2010-06-25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 KR201200004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768A KR20120000416A (ko) 2010-06-25 2010-06-25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768A KR20120000416A (ko) 2010-06-25 2010-06-25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416A true KR20120000416A (ko) 2012-01-02

Family

ID=45608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768A KR20120000416A (ko) 2010-06-25 2010-06-25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04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755A (ko) * 2017-11-29 2019-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혼 작동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755A (ko) * 2017-11-29 2019-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혼 작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21315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9969309B2 (en) Vehicle seat
US20130154242A1 (en) Attachment structure for driver seat airbag device
KR102521366B1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20120000416A (ko)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
KR20090050682A (ko) 운전석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장착구조
CN109153361B (zh) 驾驶席安全气囊模块的安装装置
CN103429467A (zh) 气囊装置以及方向盘
KR20120078899A (ko) 스티어링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
JP2011213251A (ja) ハンドル
JP2017114260A (ja) 自動車部品
KR101962466B1 (ko) 자동차
JP2017177927A (ja) ハンドル
KR20130012731A (ko) 운전자 에어백 장치
JP2009161023A (ja) ハンドルのスイッチ装置及びハンドル
KR101292424B1 (ko) 차량용 시트
KR101697931B1 (ko) 스티어링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
KR101198837B1 (ko) 차량용 무릎에어백 어셈블리
KR20120047680A (ko)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의 결합구조물
JP2016068782A (ja) ハーネス支持構造
KR101291370B1 (ko) 운전대모듈과 에어백모듈의 뒤틀림방지 결합구조
JP5568648B2 (ja) 車室内部品
JP5470737B2 (ja) 車両用シート
KR101644375B1 (ko)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
JP2011213302A (ja) ハンド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