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2698A - Crop booth oxygen supply device - Google Patents
Crop booth oxygen suppl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32698A KR20110132698A KR1020100052170A KR20100052170A KR20110132698A KR 20110132698 A KR20110132698 A KR 20110132698A KR 1020100052170 A KR1020100052170 A KR 1020100052170A KR 20100052170 A KR20100052170 A KR 20100052170A KR 20110132698 A KR20110132698 A KR 201101326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xygen
- nutrient solution
- unit
- booth
- cultiv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5—Special apparatus therefor with means for recycling the nutritive solu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7/00—Plant husbandry
- Y10S47/06—Plant growth regulation by control of light there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작물 재배용 부스내에 재배부를 통해 재배 가능한 농작물로부터 발생 되는 산소를 포집하여, 양액실측으로 산소를 공급하여 양액내에 용존 산소량을 증가시켜 농작물의 뿌리로 대사 작용이 촉진되도록 하므로서 농작물의 성장성을 촉진시키도록 함은 물론, 포집 되는 산소를 실내 산소농도가 일정치 이하일 경우 실내로 배출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실내 공기의 쾌적성이 항상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농작물 재배용 부스 산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the oxygen generated from the crops cultivable through the cultivation unit in the crop cultivation booth, supply oxygen to the nutrient solution chamber to increase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in the nutrient solution to promote metabolism to the roots of the crops, thereby promoting the growth of the crop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oth oxygen supply device for cultivating crops so that the collected oxygen can be discharged to the room when the indoor oxygen concentration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so that the comfort of indoor air can be maintained at all times.
Description
본 발명은 농작물 재배용 부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하나의 부스내에 다단으로 형성되는 재배부를 형성하여 농작물을 건물 실내, 일반 가정집, 식당 등에서 효용 될 수 있는 농작물을 하나의 부스를 이용하여 재배, 생산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농작물 재배용 부스에서, 상기 재배부의 농작물에서 발생되는 산소를 실내측으로 배출토록 하여, 실내의 산소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농작물 재배용 부스 산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p cultivation booth, and in particular, by forming a cultivation unit formed in multiple stages in one booth, the crops can be cultivated and produced using a single booth, which can be utilized in buildings indoors, general homes, restaurants, etc. In the agricultural crop cultivation booth to enable the discharge, oxygen generated from the crops of the cultivation unit to the indoor side, and to the oxygen cultivation booth for crop cultivation to increase the oxygen concentration in the room.
일반적으로 식용되는 야채를 재배하기 위해서는 비닐하우스나 노지 등에서 재배한 후 수확하여 중간 유통과정을 거쳐 소비자들에게 전달되고 있다.In order to cultivate edible vegetables, they are grown in vinyl houses or open fields, harvested, and delivered to consumers through an intermediate distribution process.
생산지에서의 수확으로부터 중간 유통자를 거쳐 소비자들에게 야채 등의 식물이 전달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유통과정에서의 변질 우려가 있어, 소비자들에게는 일반적으로 신선한 야채를 공급하는 것이 사실상 어렵다.It takes considerable time for the delivery of plants such as vegetables to the consumers from the harvest at the production site to the intermediate distributors, and there is a fear of deterioration in the distribution process, so it is generally difficult to supply fresh vegetables to the consumers.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중의 한 예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출원되어 공개된 공개특허 2000-36499(2000. 7. 5자 공개)가 공개되어 있는데, 이는 소비자는 자신이 관리하여 자라는 농작물을 계속 수확하여 이용하므로 시장에서 구입한 농작물보다 더 싸고 신선하며 농약 등의 걱정이 없는 안전한 무공해 채소를 먹을 수 있도록 한 농작물 재배상자를 제공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various technical developments are being made. For example,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0-36499 (published on July 5, 2000) published by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is published. As these crops continue to be harvested and used, they provide crop boxes that are safer, fresher, and free of pollution-free vegetables than those purchased on the market.
그러나 이러한 선행 기술의 경우 박스 형태를 단순히 다단으로 배열한 후 야채를 재배하는 구성을 제공하게 되는바, 주로 실내의 온도에 따라 재배될 수 있어 식물의 효율적 재배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충분한 온도와 빛 및 수분의 적정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또는 수분의 과다한 공급으로 인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However, this prior art is to provide a configuration for growing vegetables after simply arranging the box form in multiple stages, it can be grown mainly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room there is a problem that does not meet the efficient growing conditions of plants, sufficient Inadequate supply of temperature and light and moisture may result or problems due to excessive supply of moisture.
이외에도 2007. 3. 29자 대한민국 특허청에 공개된 특허 2007-34752의 경우, 조립식 텃밭에 관한 것인바 주로 베란다, 옥상 등에서 화초나 채소등을 소비자가 직접 재배하는 수단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는 재배 수단의 이동이 불가능하고 공간 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Patent 2007-34752 published by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on March 29, 2007, relates to prefabricated gardens, and mainly provides a means of directly cultivating flowers or vegetables on the veranda, roof, etc. There is a problem that is impossible to move and the space utilization is poor.
이외에도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되어 공개된, 공개특허 2007-88847(2007. 8. 30 공개)의 경우, 수용 홈을 갖으면서 상단 뒤면 일부에 접속단자 및 체결홈을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여 그 하우징 상단에 내장되어 빛을 비추는 조명등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 홈에 장착되는 식물재배용 방수박스를 구비하되, 상기 조명등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등을 제공하게 되는데, 이러한 구성의 경우 조명등의 점등 및 소등 시기에 따라 내부 온도의 상승 하락 작용을 반복 수행하게 되어, 야채 등의 식물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쳐 신선하고 질 좋은 신뢰성을 갖는 농작물을 재배할 수 없다.In additio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7-88847 (published on Aug. 30, 2007), filed and filed with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has a housing having a receiving groove and a housing having a connection terminal and a fastening groove on a part of the upper rear side thereof and embed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It is provided with a light that illuminates the light, and equipped with a waterproof box for plant cultivation mounted in the receiving groove, to provide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lamp, in this case the internal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lighting and lighting time of the lamp Repeatedly increasing and decreasing the effect of, adversely affects plants such as vegetables, it is not possible to cultivate fresh, high-quality crops.
특히, 농작물에서는 빛과의 광합성 작용에 의해 산소가 발생하게 되는데 기존의 개시되는 다양한 농작물 재배 수단의 경우 광합성 작용에 의해 발생 되는 산소를 활용하는 수단이 전혀 제시되고 있지 않다.Particularly, in the crops, oxygen is generated by photosynthesis with light. However, in the case of various conventional crop cultivation means, no means for utilizing oxygen generated by photosynthesis has been proposed.
최근 들어서는 "산소농법"이라는 이름으로 국내 담양군 농업기술센터에서 산소농법시스템을 이용하여 식물을 재배하고 있는 사례들이 있다.Recently, there is a case of growing plants using oxygen farming system in the Damyang County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under the name of "oxygen farming".
이와 같은 산소농법의 일 예와 같이, 식물을 재배하는데 있어서도 자양분에 산소가 포함되면 작황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실험 결과들이 다양하게 발표되고 있으나, 식물 재배 상자와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재배되는 식물군에, 재배되는 식물로부터 발생되는 산소를 자양분에 포함되도록 이용하는 산소 공급 장치나, 식물로부터 발생되는 산소를 실내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장치 등을 갖는 식물재배상자 또는 식물재배부스 등이 개시되고 있지 않다.As an example of such an oxygen farming method, there are various experimental results that increase the efficiency of crops when oxygen is included in nutrients in plant cultivation. There is no disclosure of a plant cultivation box or plant cultivation booth having an oxygen supply device that uses oxygen generated from a cultivated plant to be contained in a nourishment, a device that discharges oxygen generated from a plant to an indoor side, and the lik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원인에 의해 일반 건축물의 실내, 가정, 식당, 학교 등에서 설치하여 농작물의 재배가 가능하도록 개시되는 농작물 재배용 부스를 이용하여, 부스내에서 생산되는 농작물과 빛과의 광합성 작용에 의해 부수적으로 얻게 되는 산소를 처리하되, 일부는 농작물의 뿌리에 제공되는 양액과 혼합되어 농작물의 성장을 촉진되도록 하고, 양액과 혼합되는 산소의 농도가 과할 경우 또는 실내 산소농도가 기준치 이하에 있을 경우에는 이미 포집되어 있는 산소를 실내측으로 공급하여, 실내 공기가 항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은 물론, 농작물의 뿌리에 제공되는 양액 즉 자양분에 산소가 충분히 제공되도록 하여, 농작물의 작황 효율성을 극대화 시키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etc., which is produced in the booth by using the crop cultivation booth is disclosed by the present applicant to be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a general building, home, restaurant, school, etc. Treats oxygen that is incidentally obtained by photosynthesis between crops and light, with some mixed with nutrient solutions provided to the roots of the crops to promote growth of the crops, and when the concentration of oxygen mixed with nutrient solutions is excessive or indoors When the oxygen concentration is lower than the standard value, oxygen already collected is supplied to the indoor side, so that the indoor air is always kept in a comfortable state, as well as sufficient oxygen is provided to the nutrient solution, that is, the nutrient provided to the root of the crop, The aim is to maximize the crop efficiency of crop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전면에 도어(101)를 구비하는 농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부스(100)에 있어서, In the
상단으로 공조실(110)이 구비되고 하단으로 양액실(120)이 구비되며, 상기 공조실(110) 하면에 조명램프(111)를 구비하고, 상기 부스(100) 내벽으로 다수의 고정부(150)가 이격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150)에 고정 설치되는 재배부(200)가 설치되고, 상기 양액실(120)에서 모터펌프(121)의 구동에 의해 재배부(200)와 연결되는 호스(122)를 따라 양액이 상기 재배부(200)측으로 공급되어 재배부(200)에 구비되는 농작물에 양액이 공급되도록 한 후, 일부 양액은 재배부(200) 하단으로 연결되는 양액유도부(223)를 통해 상기 양액실(120)로 회수관(123)을 통해 회수되도록 하고, 상기 양액실(120)에서의 양액 공급과 상기 조명램프(111)의 조도, 부스(100)내 설치되는 온도센서(130)를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40)가 구비되어지되, An
상기 공조실(110) 저부에는 상기 재배부(200)의 농작물이 광합성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산소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공(112)이 공조실(110) 하단측에 무수히 통공되고, 공조실(110) 내부에는 상기 유입공(112)을 통해 유입되는 산소를 포집하기 위한 포집탱크(113)가 구비되고, 상기 포집탱크(113)와 상기 양액실(120)을 연결하는 산소공급관(114)이 구비되고, 공조실(110) 전면으로는 실내측으로 상기 포집탱크(113)와 연결되어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공급부(11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부스 산소공급장치를 제공한다.At the bottom of the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물 실내에 유니트화된 상태로 제공되는 부스 내부에 구비되어 농작물의 재배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재배부를 이용하여, 농작물을 재배하게 되는 유니트화된 농작물 재배용 부스를 제공하되, 상기 재배부에서 재배되는 농작물과 조명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에 의한 광합성 작용에 의해 발생 되는 산소를 이용하여, 농작물의 뿌리에 적정 산소 농도를 갖는 양액을 제공함과 동시에 실내측으로도 산소를 공급하여 실내에 항상 쾌적한 공기가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united crop cultivation booth, which is cultivated crops by using a plurality of cultivation units provided inside the booth provided in a united state inside the building and configured to cultivate crops, By using oxygen generated by the photosynthesis action of the crops grown in the cultivation unit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illumination lamp, the nutrient solution having an appropriate oxygen concentration is provided to the roots of the crops, and at the same time, the oxygen is also supplied to the indoor side. You can expect the effect of maintaining a comfortable air at all times.
도 1은 본 발명의 일예를 도시한 농작물 재배용 부스
도 2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재배부를 분리 도시한 분리 사시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채택되는 부스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부스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단면도
도 5 내지 도 8은 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부스의 재배부가 상하 승강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을 도시한 각 도면1 is a crop cultivation booth showing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paration of the cultivation unit adopted in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the booth adopted by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front;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side
5 to 8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to enable the cultivation of the booth adopted in the present invention up and dow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재배용 부스를 나타낸다.1 shows a crop cultivation b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농작물 재배용 부스(100)는 일반적으로 사각 형태를 갖는 것으로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전면측에 내부가 투시될 수 있는 유리 또는 아크릴 투명체 등으로 도어(101)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아울러 부스(100) 상단으로는 공조실(110)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한 공조실(110)은 부스(100) 내부에서 작황 되는 농작물로부터 발생 되는 산소 등을 포집한 후, 필요에 따라 실내 내부로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이와 같은 공조실(110)의 일예로서, 부스(100) 내부에 다단 설치되는 재배부(200)의 농작물과 부스(100)내 조명램프(111)의 빛 조사에 의한 광합성 작용으로 발생 되는 산소가 상기 공조실(1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그 유입된 산소는 일부 회수되어 양액실(120) 측으로 유도 유입되어 용존되도록 하되, 그 용존율이 높을 경우 결과적으로 농작물의 재배에 효용성이 떨어지므로, 과하게 포집 되는 산소는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좋다.As an example of such an
즉, 상기 양액실(120)에 농도센서(124)를 구비하여 양액실(120)의 양액내에 산소 농도가 제어부(140)에 입력된 값을 초과하면 산소공급부(115)와 포집탱크(113)를 연결하는 산소배출관(116)이 개방되어 산소공급부(115)를 통해 공조실(110)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That is, when the oxygen concentration in the nutrient solution of the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산소를 외부 즉 부스(100) 상단의 공조실(11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변수를, 양액실(120)에 공조실(110)측에서 유입되는 산소의 량이 양액 용존률을 기준으로 하는 것과는 달리, 실내 산소 농도를 측정하여, 실내 공기 중에 일정 산소 농도 이하를 갖게 되면 공조실(110)에서 외부 즉 실내로 공조실(110) 내부에 포집되어 있는 산소를 배출토록 하므로서, 실내 산소농도의 측정값이 판단 변수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Here, as described above, a variable for discharging oxygen through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2가지의 변수값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을 감안하여 설명하게 된다.Therefor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it can be implemented by the above two variable values.
상기 공조실(110) 하단측으로는 재배부(200)의 농작물이 광합성 작용에 의해 발생 되는 산소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공(112)이 무수히 통공되도록 하고, 동시에 공조실(110) 하단측에 조명램프(111)가 구비되어 부스(100) 내부를 조사하게 된다.At the lower side of the
또한 공조실(110) 내부에는 산소를 포집하기 위한 포집탱크(113)가 구비되고, 상기 포집탱크(113)와 양액실(120)을 연결하는 산소공급관(114)이 구비되어, 포집탱크(113)측에 유입되며 모아지는 산소를 상기 산소공급관(114)을 통하여 양액실(120)측으로 유도, 양액실(120) 내부의 양액에 용존되도록 한 후, 양액실(120)과 연결되는 재배부(200)의 양액공급호스(222)를 통해 그 단부측에 연결되는 것으로 재배부(200)의 노즐(221)로 유도된 후 농작물의 뿌리에 분사되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산소공급부(115)는 평상시에는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는데, 예컨데 재배부(200)의 농작물이 조명램프(111)에서 조사되는 빛과의 광합성 작용에 의해 발생 된 산소는 공조실(110) 저면의 유입공(112)을 통해 포집탱크(113)측으로 유입 저장된 후, 일부 산소는 산소공급관(114)을 통해 양액실(120)측으로 유입되어 양액실내 양액에 용존 된 후, 양액을 활성화 시키며 양액과 함께 재배부(200)의 농작물의 뿌리에 제공되도록 하여 농작물 뿌리 신진대사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공급되도록 하고, 실내 공기의 산소농도가 기준치 이하일 경우에는 포집탱크(113)와, 공조실(110) 전면으로는 실내측으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공급부(115)간을 연결하는 산소배출관(116)을 개방하여, 포집탱크(113) 내부에 포집되어 있는 산소를 실내측으로 배출토록 하였다.Here, the
한편, 산소공급부(115)에서 산소를 원할하면서도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그 전단부에 송풍휀(118)을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discharge the oxygen from the
아울러, 필요에 따라 또는 상기 포집탱크(113) 측에 유입되며 포집되는 산소의 양이 과다하거나, 상기 산소공급관(114)을 통해 양액실(120)측으로 유입되는 산소의 양이 과다하여 이를 제어할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포집탱크(113)측에 포집되어 있는 산소를 외부 즉 실내측으로 방출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if necessary or the amount of oxygen introduced into the
따라서 이를 위해 포집탱크(113)와 공조실(110) 전면측에 구비되는 산소공급부(115)를 연결하는 산소배출관(116)을 개방하여, 상기 산소공급부(115)를 통해 실내측으로 산소를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ly, for this purpose, the
여기서, 상기 산소배출관(116)을 개방하거나 또는 차폐하기 위한 별도의 차폐수단이 필요하고, 이러한 차폐수단은 공지된 기술에 의한 적용이 가능하다.Here, a separate shielding means for opening or shielding the
예를 들면, 실린더 등에 의해 산소배출관(116) 내부를 차폐하기 위한 차폐판을 구성하여, 양액실(120)측으로 유입되는 산소의 농도를 체크하게 되는 산소농도체크센서의 농도를 제어부(140)를 통해 인식되도록 한 다음, 그 인식값에 의해 상기 차폐판의 개폐 여부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결정 변수에 의해 차폐판을 개방 또는 닫혀지도록 하므로서, 포집탱크(113)에서 산소공급부(115)측으로 배출되는 산소를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the
상기와 같이 산소배출관(116)을 통해 포집탱크(113) 내부에 포집되어 있는 산소를 산소공급부(115)측으로 유도한 후, 실내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시기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산소농도센서(117)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산소농도센서(117)는 공조실(110)의 외부에 구비되도록 하여 실내의 산소농도를 측정하여 기준치 이하로 산소농도가 측정될 경우, 포집탱크(113)를 연결하는 산소배출관(116)이 제어부(140)의 통신에 따라 개방되어 산소공급부(115)를 통해 공조실(11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The
또한 부스(100)의 하단측으로는 양액실(120)이 구비되고, 부스(100) 내부의 공간으로 다단으로 간격을 유지하며 고정 배치되는 재배부(200)로 구성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재배부(200)의 구성으로는 대략적으로 도 2 에서 보는 바와 같은데, 본 발명의 재배부(200)에는 토사를 포함하지 않는다.Here, the configuration of the
재배부(20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태를 갖는 함체를 이루되, 상면측으로는 농작물의 뿌리 부분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구(211)가 다수개 배열되는 상판체(210)를 형성하되, 그 상판체(210)는 재배부(200)의 상부에 안착된다.The
따라서, 농작물의 뿌리부분은 상기한 삽입구(211)를 관통하여 꽂혀지는 형상을 갖으며, 그 뿌리부분은 상판체(210) 하단으로 노출되는 상태에 있게 된다.Therefore, the root portion of the crop has a shape that is inserted through the
아울러, 상판체(210) 하단으로 본체(220)가 이루어지되 본체(220)의 저면은 일측방향으로 구배되도록 하고, 본체(200)의 일측으로 양액실(120)의 양액이 공급되는 양액공급호스(222)와 연결되는 노즐(221)이 구비되어, 상기 노즐(221)을 통해 양액이 분무 분사되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상기 노즐(221)을 통해 분무, 분사되는 양액은 상기 상판체(210)의 삽입구(211)에 삽입되어 노출되어 있는 농작물의 뿌리 부분을 간헐적으로 적셔주게 되어 자양분을 공급하면서 뿌리 대사 작용이 촉진되도록 하여, 농작물의 성장성이 향상되도록 한다.As such, the nutrient solution sprayed and sprayed through the
한편, 농작물의 뿌리 부분을 적셔준 양액은 일방향으로 구배되어 경사진 하단면을 갖는 본체(220) 하단면의 구배면을 따라 흘러 일측의 이물질걸름부(240)를 갖는 양액배출구(250)로 유도된 후,재배부(200)와 재배부(200)를 연결하는 양액유도부(223)를 통해 흘러 내리도록 하여, 양액실(120)의 상단측을 관통하고 있는 회수관(123)으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nutrient solution that wetted the root portion of the crop flows along the gradient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본 발명에서 양액유도부(223)는 사슬 형태를 갖도록 하여 각각의 재배부(200)를 연결하도록 하였는데 이와는 달리 호스 또는 관 등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trient
한편, 상기한 재배부(200)의 하단면으로도 조명램프(230)가 구비되어 하단측으로 구성되는 재배부(200)의 농작물에 빛이 조사되도록 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end of the
이와 같이 하나의 재배부(200) 또는 다단으로 구성되는 재배부(200)에 의해 최상단의 재배부(200)는 공조실(110) 하단측에 구비되는 조명램프(111)에 의해 빛이 조사되도록 하고, 재배부(200)와 재배부(200) 사이에는 상방에 위치되는 각 재배부(200) 하단에 구비되는 조명램프(230)에 의해 빛이 조사되도록 하여, 농작물의 광합성 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로부터 발생되는 산소는 전술한 공조실(110)의 포집탱크(113)측으로 유입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As such, the
또한, 부스(100) 내벽으로 재배부(200)를 고정 거치하기 위한 고정부(150)가 형성되어 있어, 재배부(200)를 일정 간격 유격시켜 재배하고자 하는 농작물의 크기에 따라 가변 되며 고정 설치하게 된다.In addition, the fixing
상기 고정부(1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재배부(200)를 부스(100)내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며, 재배부(200)간 이격 거리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예를 들어, 도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부(150)를 부스(100) 양측 내벽에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하되 고정부(150)를 등간격으로 관통하는 관통홀(151)을 형성하고, 상기 재배부(200)의 양측으로 각각 후크(240)를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fixing
이와 같이 고정부(150)의 관통홀(151)을 따라 재배부(200)를 농작물의 종류에 따라 적당히 이격시켜 재배부(200)의 후크(240)를 적정 위치의 관통홀(151)에 끼워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As such, the
한편, 상기한 수작업에 의한 구성과는 달리 도 5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50)를 래크로 형성하고, 상기 래크와 치차 결합되는 피니언(251)을 갖으며 상기 피니언(251)을 정역구동시키기 위한 정역구동모터(250)를 각각의 재배부(200) 일측에 구성하고, 상기 정역구동모터(250)는 제어부(140)를 통해 온/오프 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e configuration by the manual operation as shown in Figures 5 to 6, the fixing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사용자가 재배부(200)에 원하는 농작물 즉 각 재배부(200) 마다 종류가 상이한 농작물을 파종한 후, 도어(101)를 닫은 상태에서 제어부(140)를 조작하여, 각각의 재배부(200)의 위치를 조절하며 셋팅할 수 있을 것이다.In this configuration, after the user sows the desired crops to the
아울러, 농작물의 성장 속도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로 재배부(20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여기서 상기 정역구동모터(250)는 도면상에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습기가 많을 수 밖에 없는 특성상, 정역구동모터(250)를 에워싸는 하우징(미도시)은 방수처리되어야 할 것이다.Here, the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또한, 상기 정역구동모터(250)의 동력을 전달 받아 구동하게 되는 피니언(251)은 어느 한측이 구동피니언이 되어야 하고, 이러한 구동피니언의 구동력을 스프로켓(S) 등을 이용하여 타측 피니언 즉 종동피니언측에 그 구동력이 동일하게 전달되도록 하여, 정역구동모터(250)의 구동에 따라 동일 회전비에 의해 재배부(200) 양측으로 구비되는 피니언(251)을 회전시켜 상기 래크로 되는 고정부(150)를 따라 상하 승강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도면부호 251은 구동피니언을 의미하고, 251'는 종동피니언을 의미하며, S는 구동피니언과 종동피니언을 연결하는 동력전달수단인 스프로켓이 된다.
상기 구동피니언(251)와 종동피니언(251')은 각각 재배부(200)의 전후단에 축(252,252')에 의해 연결된다.The driving
한편, 상기한 구동피니언(251) 및 종동피니언(251')과, 이들과 치차결합되는 고정부(150) 즉 래크는 부스(100) 내부에 항상 습기가 상존하는 특성을 감안하여, 고강도를 갖는 합성수지재료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driving
상기한 동력전달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스프로켓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을 것이다.Although the sprocket is illustr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it will not be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구동 및 종동피니언(251,251')의 동축상으로 로울러를 각각 구비하여 벨트로의 치환이 가능할 것임은 자명하고, 벨트 이외에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므로, 서술하는 실시예에 본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국한 시킬 필요는 없다.For example, it is obvious that the rollers may be replaced by the rollers in the coaxial form of the driving and driven
한편, 이와는 다른 구성에 의해 재배부(200)의 상하 승강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즉, 도 7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스(100)의 양측 내벽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고정부(150)를 래크로 형성하고, 재배부(200)의 중앙을 관통하는 중심축(260)을 구성하되 상기 중심축(260) 전후단에 각각 로울러(261)를 구비하고, 상기 중심축(260)을 회전시키는 회전손잡이(270)와, 상기 회전손잡이(27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인접되는 위치에 스토퍼(271)를 형성하고, 상기 재배부(200)의 양측과 전후단에 각각 축(252,252')을 구성하고 그 축(252,252')단에 피니언(251,251')을 형성하고, 상기 각 피니언(251,251')의 전단부에 피동로울러(253,253')를 구성하여, 상기 중심축(260)의 로울러(261)와 상기 피동로울러(253,253')를 크로스 시키며 연결하는 벨트(V)로 구성되도록 하였다.That is, as shown in FIGS. 7 to 8, the
앞서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는 251을 구동피니언, 251'를 종동피니언으로 지칭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종동 및 피동의 구분이 필요 없으므로 피니언으로 통일하였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251 is referred to as the driving pinion and 251 'as the driven pinion.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distinction between driven and driven is not necessary, the pinion is unified.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회전손잡이(270)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회전손잡이(270)의 회전과 연동되어 중심축(260)이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중심축(260) 전단의 로울러(261)와 벨트(V)에 의해 크로싱 연결되는 각 피니언(251,251')의 전단측 피동로울러(253,253')도 연동 회전하게 되는데, 벨트(V)에 의해 크로싱 연결되어 있으므로 각 피니언(251,251')은 서로 항상 반대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 각 피니언(251,251')과 치차 결합되어 있는 래크로 되는 고정부(150)를 따라 상하 승하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user rotates the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을 이용할 경우, 건축물 실내에 유니트화된 상태의 재배부(200)를 하나로 설치하여 책상이나 탁자 등에 놓아 인테리어 효과를 갖는 장식품으로서의 역할도 가능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부스(100)내에 재배부(200)를 다단 설치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농작물의 작황이 가능할 수 있다.In the case of using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serve as an ornament having an interior effect by installing a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할 경우, 사용자 즉 재배자가 자신이 재배하고자 하는 농작물을 하나의 농작물 부스에서 다양한 작황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각 농작물과 조명램프간의 광합성 작용에 의해 생성되는 산소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조실(110)의 포집탱크(113)측으로 유입 저장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hat is, the grower is able to produce a variety of crops in one crop booth that is intended to grow, in this process oxygen generated by the photosynthesis between each crop and the lighting lamp is As described above, the inflow and storage of the
상기 포집탱크(113)측에 유입, 저장된 산소는 양액실(120)측으로 산소공급관(114)에 의해 양액실(120)로 산소가 공급되어 양액과 용존되도록 한 후, 재배부(200)의 양액공급호스(222) 및 노즐(221)을 통해 농작물의 뿌리를 적셔 대사작용 촉진이 가능하도록 하여 농작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되, 양액실(120) 내부에 구비되는 농도센서(124)의 측정에 의해 항상 양액에는 적정 산소 농도가 함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Oxygen is introduced into the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공조실(110) 외측으로도 산소농도센서(117)를 구비하여, 실내 산소 농도를 측정한 후 실내 산소 농도가 기준치 이하로 측정될 경우에는 포집탱크(113)에 포집되어 있는 산소를 배출하여, 실내의 산소 농도 충진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실내 공기의 쾌적성을 향상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100; 부스 101; 도어
110; 공조실 111; 조명램프
112; 유입공 113; 포집탱크
114; 산소공급관 115; 산소공급부
116; 산소배출관 117; 산소농도센서
120; 양액실 121; 모터펌프
122; 호스 123; 회수관
124; 농도센서
130; 온도센서 140; 제어부
150; 고정부 151; 관통홀
200; 재배부 210; 상판체
211; 삽입구 220; 본체
221; 노즐 222; 양액공급호스
223; 양액유도부 230; 조명램프
240; 후크 250; 정역구동모터
251; 구동피니언 251'; 종동피니언
S; 스프로켓100;
110;
112;
114;
116;
120;
122;
124; Concentration sensor
130;
150; Fixing part 151; Through hole
200;
211;
221;
223;
240;
251; Drive pinion 251 '; Driven pinion
S; sprocket
Claims (4)
상단으로 공조실(110)이 구비되고 하단으로 양액실(120)이 구비되며, 상기 공조실(110) 하면에 조명램프(111)를 구비하고, 상기 부스(100) 내벽으로 다수의 고정부(150)가 이격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150)에 고정 설치되는 재배부(200)가 설치되고, 상기 양액실(120)에서 모터펌프(121)의 구동에 의해 재배부(200)와 연결되는 호스(122)를 따라 양액이 상기 재배부(200)측으로 공급되어 재배부(200)에 구비되는 농작물에 양액이 공급되도록 한 후, 일부 양액은 재배부(200) 하단으로 연결되는 양액유도부(223)를 통해 상기 양액실(120)로 회수관(123)을 통해 회수되도록 하고, 상기 양액실(120)에서의 양액 공급과 상기 조명램프(111)의 조도, 부스(100)내 설치되는 온도센서(130)를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4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공조실(110) 저부에는 상기 재배부(200)의 농작물이 광합성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산소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공(112)이 공조실(110) 하단측에 무수히 통공되고, 공조실(110) 내부에는 상기 유입공(112)을 통해 유입되는 산소를 포집하기 위한 포집탱크(113)가 구비되고, 상기 포집탱크(113)와 상기 양액실(120)을 연결하는 산소공급관(114)이 구비되고, 공조실(110) 전면으로는 실내측으로 상기 포집탱크(113)와 연결되어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공급부(11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부스 산소공급장치.In the booth 100 for growing a crop having a door 101 in the front,
An air conditioning chamber 110 is provided at an upper end, and a nutrient solution chamber 120 is provided at a lower end thereof, an illumination lamp 111 is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air conditioning chamber 110, and a plurality of fixing parts 150 are formed on an inner wall of the booth 100. Is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planting unit 200 is fixed to the fixing unit 150 is installed, the hose 122 connected to the planting unit 200 by the driving of the motor pump 121 in the nutrient solution chamber 120 After the nutrient solution is supplied to the cultivation unit 200 to supply the nutrient solution to the crops provided in the cultivation unit 200, the nutrient solution is partially through the nutrient solution inducing unit 223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cultivation unit 200. The nutrient solution chamber 120 to be recovered through the recovery pipe 123,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from the nutrient solution chamber 120 and the illuminance of the illumination lamp 111, the temperature sensor 130 is installed in the booth 100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140 for controlling each,
At the bottom of the air conditioning chamber 110, the inflow hole 112 for introducing oxygen generated by the crops of the cultivation unit 200 by the photosynthetic action is innumerably perforated in the lower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hamber 110, an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hamber 110. A collecting tank 113 for collecting oxygen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hole 112 is provided, and an oxygen supply pipe 114 connecting the collection tank 113 and the nutrient solution chamber 120 is provided. (110) Front of the booth oxygen supply device for crops cultiv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oxygen supply unit 115 for supplying oxygen is connected to the collection tank 113 to the interior side.
상기 양액실(120)에 농도센서(124)를 구비하여 양액실(120)의 양액내에 산소 농도가 제어부(140)에 입력된 값을 초과하면 산소공급부(115)와 포집탱크(113)를 연결하는 산소배출관(116)이 개방되어 산소공급부(115)를 통해 공조실(11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부스 산소공급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oxygen concentration in the nutrient solution of the nutrient solution chamber 120 is provided with a concentration sensor 124 in the nutrient solution chamber 120 exceeds the value input to the control unit 140, the oxygen supply unit 115 and the collection tank 113 is connected. Oxygen discharge pipe 116 is open to the booth oxygen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hamber 110 through the oxygen supply unit 115.
공조실(110)의 외부에 산소농도센서(117)를 구비되도록 하여 실내의 산소농도를 측정하여 기준치 이하로 산소농도가 측정될 경우, 포집탱크(113)를 연결하는 산소배출관(116)이 제어부(140)의 통신에 따라 개방되어 산소공급부(115)를 통해 공조실(11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농작물 재배용 부스 산소공급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oxygen concentration sensor 117 is provided outside the air conditioning room 110 to measure the oxygen concentration in the room and the oxygen concentration is measured below the reference value, the oxygen discharge pipe 116 connecting the collection tank 113 is a control unit ( Opening in accordance with the communication of 140, the booth oxygen supply device for crop cultivation comprising the discharge to the air conditioning chamber 110 through the oxygen supply unit 115.
상기 산소공급부(115) 선단에 송풍휀(118)이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는 농작물 재배용 부스 산소공급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booth oxygen supply device for crop cultivation, comprising an air blowing fan (118) provided at the tip of the oxygen supply unit (11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2170A KR20110132698A (en) | 2010-06-03 | 2010-06-03 | Crop booth oxygen suppl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2170A KR20110132698A (en) | 2010-06-03 | 2010-06-03 | Crop booth oxygen supply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2698A true KR20110132698A (en) | 2011-12-09 |
Family
ID=45500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52170A Ceased KR20110132698A (en) | 2010-06-03 | 2010-06-03 | Crop booth oxygen supply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132698A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3332B1 (en) * | 2012-09-19 | 2013-03-18 | (주)인성테크 | Plant growing system including a extendable growing housing |
KR101339204B1 (en) * | 2013-06-13 | 2013-12-10 | 최영택 | Method for circulating water culture with circulating water culture system |
WO2014051204A1 (en) * | 2012-09-25 | 2014-04-03 | (주)유양디앤유 | Independent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s to cultivate and harvest seedlings of grown crops |
CN106508654A (en) * | 2016-12-22 | 2017-03-22 | 江苏省农业科学院 | Suitable hydroponic device for root system culture of Agrobacterium rhizogenes transgenic plant |
KR101864250B1 (en) * | 2017-01-25 | 2018-06-04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Optical fiber luminescent patch type wearable device which can be used in a dangerous environment of gas leakage and its control method |
CN115250997A (en) * | 2022-09-06 | 2022-11-01 | 孙文文 | A living aquatic product transport box |
-
2010
- 2010-06-03 KR KR1020100052170A patent/KR20110132698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3332B1 (en) * | 2012-09-19 | 2013-03-18 | (주)인성테크 | Plant growing system including a extendable growing housing |
WO2014051204A1 (en) * | 2012-09-25 | 2014-04-03 | (주)유양디앤유 | Independent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s to cultivate and harvest seedlings of grown crops |
KR101339204B1 (en) * | 2013-06-13 | 2013-12-10 | 최영택 | Method for circulating water culture with circulating water culture system |
CN106508654A (en) * | 2016-12-22 | 2017-03-22 | 江苏省农业科学院 | Suitable hydroponic device for root system culture of Agrobacterium rhizogenes transgenic plant |
KR101864250B1 (en) * | 2017-01-25 | 2018-06-04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Optical fiber luminescent patch type wearable device which can be used in a dangerous environment of gas leakage and its control method |
CN115250997A (en) * | 2022-09-06 | 2022-11-01 | 孙文文 | A living aquatic product transport box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903351B2 (en) | Grow cups for hydroponic growing systems | |
CN105104158B (en) | Intelligent water planting vegetable cultivation cabinet | |
CN204540246U (en) | Plant cultivation facility | |
KR101423127B1 (en) | A hydroponics culture apparatus | |
KR101408932B1 (en) | Vegetables growing apparatus of home electronic appliance type based on digital for growing vegetables | |
CN203590790U (en) | Integrated intelligent-control plant cultivation equipment | |
US20180317400A1 (en) | Device and method for cultivating plants, and sowing and planting mat therefor | |
KR101893196B1 (en) | Plant cultivation device | |
KR101424058B1 (en) | Industrial hydroponic system for ginseng | |
CN205018017U (en) | Intelligence water planting vegetable planting cabinet | |
KR101259674B1 (en) | Plant cultivation system using united crop cultivation booth | |
KR20110132698A (en) | Crop booth oxygen supply device | |
JP2007306895A (en) | Hydroponic culture apparatus for vegetable | |
KR20120007420A (en) | Stacked Drawer Planter | |
US20130340338A1 (en) | Hydroponic Device for Liquid Supply | |
KR102241200B1 (en) | Vertical Hydroponic Cultivation | |
KR101248985B1 (en) | A plant cultivation box | |
KR101582388B1 (en) | Plant Cultivation Equipment | |
KR101248986B1 (en) | A plant cultivation box transfer equipment | |
RU2402200C1 (en) | Phytowall with polychromatic stimulators of plant growth | |
JP2010154822A (en) | Hydroaeroponic culture device | |
WO2023086186A1 (en) | Grow cups for hydroponic growing systems | |
KR101325616B1 (en) | Device and method for hydroponics of vegetables | |
KR101989449B1 (en) | Plant cultivation device | |
KR200416056Y1 (en) | I incub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3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209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3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