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0528A - 저 항복비를 갖는 건축용 내화성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저 항복비를 갖는 건축용 내화성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0528A
KR20110120528A KR1020100039975A KR20100039975A KR20110120528A KR 20110120528 A KR20110120528 A KR 20110120528A KR 1020100039975 A KR1020100039975 A KR 1020100039975A KR 20100039975 A KR20100039975 A KR 20100039975A KR 20110120528 A KR20110120528 A KR 20110120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less
quenching
weight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규협
김종호
황성두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9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0528A/ko
Publication of KR20110120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05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18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2Bai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저 항복비를 갖는 내화성 강재 및 제조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 항복비를 갖는 내화성 강재의 제조 방법은 질량%로, C: 0.05 내지 0.15%, Si: 0.6% 이하, Mn: 0.8 내지 1.8%, P: 0.03%이하, S: 0.005%이하, Mo: 0.35 내지 0.8%, Ti: 0.005 내지 0.025%, Al: 0.06% 이하 및 N: 0.006% 이하를 포함하는 강재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강재를 1차 퀀칭(Quenching)하여 미세오스테나이트 조직을 형성하는 단계 ; 및
상기 1차 퀀칭(Quenching)한 강재를 2차 퀀칭(Quenching)하여 최종 조직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저 항복비를 갖는 건축용 내화성 강재 및 그 제조 방법{FIRE-RESISTANT STEEL FOR CONSTRUCTION HAVING LOW YIELD RATIO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본 발명은 저 항복비를 갖는 내화성 강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용 강재로서 화재 시 열적 부상에 의한 강재 강도를 잃지 않도록 600℃에서의 항복강도가 상온시의 70%가 되는 강재이며, 항복강도가 34 kg/mm2 이상, 항복비가 75% 이상인 내화성 강재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는 건축, 토목, 해양구조물 등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빌딩과 같은 건조물의 경우 화재 시에 건조물의 도파 등을 방지하기 위해 강재의 내화성이 중시된다.
따라서 내화성이 우수한 건축용 강재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 항복비를 갖고 내화성이 우수한 강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항복비를 갖고 내화성이 우수한 강재를 얻기 위해 2회의 퀀칭(Quenching)처리를 포함하는 내화성 강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 항복비를 갖는 건축용 내화성 강재는 질량%로, C: 0.05 내지 0.15%, Si: 0.6% 이하, Mn: 0.8 내지 1.8%, P: 0.03%이하, S: 0.005%이하, Mo: 0.35 내지 0.8%, Ti: 0.005 내지 0.025%, Al: 0.06% 이하 및 N: 0.006% 이하를 포함하는 내화성 강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 항복비를 갖는 건축용 내화성 강재의 제조 방법은 질량%로, C: 0.05 내지 0.15%, Si: 0.6% 이하, Mn: 0.8 내지 1.8%, P: 0.03%이하, S: 0.005%이하, Mo: 0.35 내지 0.8%, Ti: 0.005 내지 0.025%, Al: 0.06% 이하 및 N: 0.006% 이하를 포함하는 강재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강재를 1차 퀀칭(Quenching)하여 미세오스테나이트 조직을 형성하는 단계 ; 및
상기 1차 퀀칭(Quenching)한 강재를 2차 퀀칭(Quenching)하여 최종 조직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 항복비를 갖는 건축용 내화성 강재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600℃에서의 항복강도가 상온시의 70% 이상을 갖는 강재를 얻을 수 있어, 경제성 측면에서 유리한 강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재는 항복강도가 34 kg/mm2 이상이고, 항복비가 75% 이하로서, 화재하중이 낮을 경우 무피복으로도 사용이 가능한 강재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저 항복비를 갖고 내화성이 우수한 강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 항복비를 갖는 내화성 강재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1차 퀀칭(Quenching) 단계의 세부적 공정으로서 재가열, 급냉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2차 퀀칭 단계의 세부적 공정으로서 재가열, 급냉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과 이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 항복비을 갖는 건축용 내화성 강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저 항복비를 갖는 건축용 내화성 강재
본 발명에 따른 저 항복비을 갖는 건축용 내화성 강재는 질량 %로, C: 0.05 내지 0.15%, Si: 0.6% 이하, Mn: 0.8 내지 1.8%, P: 0.03%이하, S: 0.005%이하, Mo: 0.35 내지 0.8%, Ti: 0.005 내지 0.025%, Al: 0.06% 이하 및 N: 0.006% 이하를 포함하는 성분으로 한다.
또한, 질량%로, Nb: 0.005 내지 0.05%, V: 0.005 내지 0.1%, Ni:0.05 내지 0.5%, Cu:0.05 내지 0.1%, Cr:0.05 내지 1.0% 및 Ca:0.001 내지 0.006%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나머지는 Fe와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저 항복비를 갖는 건축용 내화성 강재에 포함되는 각 성분의 역할 및 그 함량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탄소(C)
본 발명에서 탄소(C)는 내화성 강재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첨가된다.
상기 탄소(C)는 내화강의 모재 및 열영향부의 강도 보상과 니오븀(Nb) 및 몰리브덴(Mo)의 첨가효과를 발휘하게 하기 위해 필요하다. 상기 탄소(C)의 첨가량이 전체 중량의 0.05중량% 미만에서는 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에 하한은 전체 중량의 0.05중량%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소(C)량이 너무 많으면 용접열영향부(HAZ)의 저온인성에 악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모재인성 및 용접성도 열화시키므로 전체 중량의 0.15중량% 가 상한으로 됨이 바람직하다.
실리콘(Si)
본 발명에서 실리콘(Si)은 모재의 강도를 확보하고, 탈산 효과 및 고용강화 효과를 위해 필수적으로 첨가된다.
상기 실리콘(Si)은 전체 중량의 0.6중량% 이하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Si)의 양이 많아지면 용접성 및 HAZ 인성이 열화되기 때문이다.
망간(Mn)
본 발명에서 망간(Mn)은 강도와 인성을 확보하기 위한 필수 구성 원소에 해당한다.
상기 망간(Mn)의 첨가량은 전체 중량의 0.8 내지 1.8 중량%로 첨가됨이 바람직하다. 내화성 강재의 충분한 강도 및 인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망간(Mn)의 첨가량을 전체 중량의 0.8중량% 이상으로 한정하였다. 상기 망간(Mn)의 양이 많으면 소입성이 증가하여 용접성 및 HAZ 인성이 열화되는 것 뿐만 아니라 목표로 하는 규격에 적합한 모재강도를 얻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상기 망간(Mn) 첨가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전체중량의 1.8중량% 이하이다.
인(P), 황(S)
인(P)은 강재의 저온인성 및 강재의 두께방향강도를 열화시키는 대표적인 원소로서 그 함량이 낮을수록 좋다. 상기 인(P)의 첨가량이 전체중량의 0.03중량%를 초과하면 저온인성, 강재의 두께방향강도가 현저히 열화되므로 상기 인(P)의 첨가량은 0.03 중량% 이하가 됨이 바람직하다.
황(S)은 상기 인(P)과 함께 강의 제조시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원소이다. 함유량이 0.005중량%를 초과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 저온인성 및 판 두께방향강도를 열화시킨다. 상기 황(S) 첨가량의 상한은 전체중량의 0.005중량% 로 됨이 바람직하다.
몰리브덴(Mo)
본 발명에서 몰리브덴(Mo)은 강재의 고온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필수 원소이다.
특히 상기 몰리브덴(Mo)은 내화강의 페라이트기지 강화에 유리하다. 따라서 그 첨가량이 전체중량의 0.35중량% 이상의 첨가가 필요하다. 다만 상기 몰리브덴(Mo)의 첨가량이 전체중량의 0.8중량%를 초과하면 내화강의 용접성 및 모재인성을 열화 시키므로 상한은 전체중량의 0.8중량%가 바람직하다.
티타늄(Ti)
본 발명에서 티타늄(Ti)은 TiN을 형성하여 강재의 조직 미세화를 도모하고, 재가열 및 템퍼링(tempering)시에 아주 미세하고 균일한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티타늄(Ti)의 첨가량이 전체중량의 0.005중량% 미만에서는 상기의 효과가 적기 때문에 첨가량의 하한을 0.005중량% 이하로 한다. 한편, 첨가량이 0.025중량%를 초과하면 내화성 강재의 인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상기 티타늄(Ti) 첨가량의 상한을 전체중량의 0.025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Al)
본 발명에서 알루미늄(Al)은 탈산 원소로서 첨가된다.
다만, 본 발명은 실리콘(Si) 및 티타늄(Ti)에 의해서도 탈산은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알루미늄(Al) 첨가량의 하한을 한정하지 않았다. 그러나, 상기 알루미늄(Al) 첨가량이 0.06중량%를 초과하면 강재의 청정도가 나빠지고, 용접부의 인성이 저하되므로 그 상한을 전체중량에서 0.06중량%로 함이 바람직하다.
질소(N)
본 발명에서 질소(N)는 일반적으로 불순물로서 항상 포함되는 것이지만, TiN을 형성하여 내화성 강재의 인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질소(N)의 첨가량는 최소량으로서 전체중량의 0.001중량%가 필요하다. 다만, 상기 질소(N)의 첨가량이 0.006중량%를 초과하면 내화강의 HAZ 인성이 열화되고, 연소 주조 슬라브의 표면에 흠이 생기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기 때문에 상기 질소(N) 첨가량의 상한은 0.006중량% 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질소(N)의 첨가량은 0.001 내지 0.006 중량%가 된다.
이상의 기본 성분계에 의해서도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다만, 내화성 강재의 강도, 인성 등 특성을 높이기 위해서 하기의 원소에서 1종 이상을 더 추가하여 선택적으로 첨가할 수 있다.
니오븀(Nb)
본 발명에서 니오븀(Nb)은 미세한 탄질화물을 형성하고 상온에서 강재의 강도, 인성 확보에 유효하다.
상기 니오븀(Nb) 첨가량이 전체중량의 0.005중량% 미만이면 내화성 강재의 강도 및 인성 확보에 효과가 불충분하다. 따라서 상기 니오븀(Nb) 첨가량은 전체중량의 0.005중량% 로 하한을 한정한다. 다만, 0.05중량%를 초과하면 내화성 강재의 용접부 인성을 열화시킨다. 따라서, 상기 니오븀(Nb)의 첨가량은 상한을 전체중량의 0.05중량%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나듐(V)
본 발명에서 바나듐(V)은 내화성 강재의 HAZ 인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바나듐(V) 첨가량은 전체중량의 0.005 내지 0.1중량%의 범위에서 내화성 강재의 HAZ 인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바나듐(V) 첨가량이 전체중량의 0.005중량% 미만에서는 상기의 효과가 불충분하다. 또한, 상기 바나듐(V) 첨가량이 전체중량의 0.1중량%를 초과하면 내화강의 HAZ 인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상기 바나듐(V)의 첨가량은 전체중량의 0.005 내지 0.1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니켈(Ni)
본 발명에서 니켈(Ni)은 용접성, HAZ 인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모재의 강도, 인성을 향상시킨다.
다만, 상기 니켈(Ni)의 첨가량이 전체중량의 0.05중량% 미만에서는 내화성 강재의 모재의 강도, 인성 향상의 효과가 적다. 그리고 상기 니켈(Ni)의 첨가량이 전체중량의 0.5중량%을 초과하면 건축용 강재로서 경제성이 고려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니켈(Ni)의 첨가량은 0.05 내지 0.5중량% 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리(Cu)
본 발명에서 구리(Cu)는 니켈(Ni)과 거의 동등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구리(Cu)석출물에 의한 고강도, 내식성, 내후성 향상에도 효과가 있다.
상기 구리(Cu) 첨가량이 전체중량의 0.1중량%를 초과하면 열간 압연시에 강재의 열발생으로 제조가 곤란해진다. 또한, 0.05중량% 미만에서는 내화성 강재의 고강도, 내식성, 내후성 향상에 효과가 없다. 따라서, 상기 구리(Cu)의 첨가량은 전체중량의 0.05 내지 0.1중량%로 한정함이 바람직하다.
크롬(Cr)
본 발명에서 크롬(Cr)은 내화성 강재의 모재 및 용접부의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크롬(Cr)의 첨가량은 전체중량의 0.05중량% 이상에서는 내화성 강재의 내식성, 내후성을 향상시키지만, 그 미만에서는 효과가 불충분하다. 또한, 그 첨가량이 전체중량의 1.0중량%를 초과하면 내화성 강재의 용접성, HAZ 인성을 열화시킨다. 따라서, 상기 크롬(Cr)의 첨가량은 전체중량의 0.05 내지 1.0중량%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칼슘(Ca)
본 발명에서 칼슘(Ca)은 MnS의 형태를 제어하고, 샤르피 흡수에너지를 증가시켜 내화성 강재의 저온인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칼슘(Ca)은 그 첨가량이 전체중량의 0.001중량% 미만에서는 실용상 효과가 없다. 또한 그 첨가량이 0.006중량%를 초과하면 CaO, CaS가 다량으로 생성되어 대형개재물이 되기 때문에, 내화성 강재의 인성 뿐 아니라, 청정도 및 용접성을 저하시키는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칼슘(Ca)의 첨가량은 전체중량의 0.001 내지 0.006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의 조성으로 이루어진 내화성 강재는 실험 결과 600℃ 에서의 항복강도가 상온시의 70%이상이 되고, 항복강도가 34 kg/mm2 이상이고, 항복비 75% 이하를 만족하였다.
내화성 강재의 제조 방법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 항복비를 갖는 건축용 내화성 강재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에 의하면, 도시된 내화강의 제조 방법은 강재 마련 단계(S110)와, 압연단계(S120), 1차 퀀칭(Quenching) 단계(S130), 2차 퀀칭 단계(S140), 템퍼링(Tempering) 처리 단계(S150)를 포함한다.
도 2는 1차 퀀칭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의하면, 1차 퀀칭(Quenching) 단계(S130)는 다시 재가열 단계(S131)와 급냉 단계(S132)로 구분된다.
도 3은 2차 퀀칭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의하면, 2차 퀀칭 단계(S140)는 다시 재가열 단계(S141)와 급냉 단계(S142)로 구분된다.
강재 마련 단계 및 압연단계
질량%로, C: 0.05 내지 0.15%, Si: 0.6% 이하, Mn: 0.8 내지 1.8%, P: 0.03%이하, S: 0.005%이하, Mo: 0.35 내지 0.8%, Ti: 0.005 내지 0.025%, Al: 0.06% 이하 및 N: 0.006% 이하를 포함하는 강재를 마련한다. 이후 마련된 강재를 압연한다. 상기 압연은 열간압연일 수 있다.
1차 퀀칭(Quenching) 단계
몰리브덴(Mo)은 고온강도를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의 적용분야에서는 용접성이 중요시되기 때문에 그 첨가량을 낮추어야 한다. 다만, 두께가 50mm 이상의 강재에서 As-roll 제조방법으로 소정의 강도를 얻기 위해서는 다량의 몰리브덴(Mo)을 첨가 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몰리브덴(Mo) 첨가량을 전체중량의 0.35 내지 0.80중량%의 범위로 하여 저항복비와 내화성이 우수한 내화성 강재의 제조가 가능하다. 고강도를 얻기 위해서는 종래부터 퀀칭(Quenching)하는 방법이 잘 알려져 있지만, 저 항복비와 내화성 모두를 만족시키기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2회의 퀀칭 처리로 저 항복비와 내화성 모두를 만족시킨다.
1차 퀀칭(Quenching)에서는 강재를 850 내지 1000℃의 온도범위로 재가열한 후 급냉하여 처리한다. 상기의 온도로 한정하여 재가열하는 이유는, 강재가 미세오스테나이트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후 재가열된 강재를 급냉한다. 급냉은 수냉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2차 퀀칭(Quenching) 단계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재하였듯이, 2회의 퀀칭(Quenching)처리를 한다. 2차 퀀칭에서 재가열하는 온도는 1차 퀀칭의 재가열하는 온도 보다 낮은 온도에서 실시한다. 바람직한 재가열 온도 범위는 740 내지 820℃이다. 상기의 온도 범위는 오스테나이트와 페라이트 2상공존역으로 약 30 내지 80%의 페라이트가 생성된다. 이후 상기의 강재를 급냉하여 페라이트, 마르텐사이트, 베이나이트의 혼합조직을 얻는다.
템퍼링(Tempering)처리
2회에 걸친 퀀칭(Quenching) 이후 강재에 경도를 부여하기 위해 템퍼링(Tempering)처리를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템퍼링 처리 온도는 450 내지 700℃ 범위에서 실시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강재의 탄화물을 안정화하여 강재 소정의 재질과 특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내화성 강재의 마련 및 제조
표 1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내화성 강재의 화학 성분(질량%)을 나타낸 것이다.
표 2는 본 발명에 따라 마련된 강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강재의 두께, 퀀칭(Quenching)단계의 재가열 온도 및 템퍼링(Tempering) 처리 온도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1은 강재 두께를 55mm로 하여 제조한다. 1차 퀀칭에서 915℃로 재가열하고, 2차 퀀칭에서는 1차 퀀칭 재가열 온도보다 낮은 온도인 810℃로 재가열한다. 두 번의 퀀칭 단계를 마친 후 템퍼링 처리를 한다. 처리 온도는 450℃에서 실시한다.
실시예 2는 강재 두께를 80mm로 하여 제조한다. 1차 퀀칭(Quenching)에서 910℃로 재가열하고, 2차 퀀칭에서는 1차 퀀칭 재가열 온도보다 낮은 온도인 750℃로 재가열한다. 두 번의 퀀칭단계를 마친 후 템퍼링(Tempering)처리를 한다. 처리 온도는 500℃에서 실시한다.
[표1]
Figure pat00001
단위 : 질량%
[표2]
Figure pat00002

2. 내화성 강재의 특성
표 3은 실시예 1 및 2의 상온(10 내지 30℃), 600℃에서의 항복강도, 인장강도와 연신율 및 항복비와 상온에 대한 600℃에서의 항복강도 비율에 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1은 상온에서의 항복강도가 37 kg/mm2 이고, 인장강도는 55 kg/mm2 이다. 즉, 본 강재의 항복강도는 34 kg/mm2 이상을 만족한다. 그리고 항복비(항복강도/인장강도)는 67%에 해당하는 바 75% 이하를 만족한다. 또한, 600℃에서의 항복강도는 26 kg/mm2 인 바, 상온에 대한 600℃의 항복강도 비율는 70% 이상을 만족한다.
다음으로, 실시예 2는 상온에서의 항복강도가 34 kg/mm2 이고, 인장강도는 51 kg/mm2 이다. 즉, 본 강재의 항복강도는 34 kg/mm2 이상을 만족한다. 그리고 항복비(항복강도/인장강도)는 74%에 해당하는 바 75% 이하를 만족한다. 또한, 600℃에서의 항복강도는 26 kg/mm2 인 바, 상온에 대한 600℃의 항복강도 비율은 70% 이상을 만족한다.
[표3]
Figure pat00003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강재는 항복강도 34 kg/mm2 이상이고, 항복비(항복강도/인장강도)는 75% 이하를 만족한다. 또한, 600℃의 고온에서의 항복강도가 상온에 대하여 70% 이상을 만족한다. 상기의 상온은 통상 10 내지 30℃ 정도를 지칭한다.
따라서, 제조된 강재는 건조물에 사용 시 요구되는 내화성을 지니며, 고가의 첨가 원소량을 줄이고 내화피복량을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성 면에서도 유리한 강재이다. 또한 화재 하중이 낮을 경우에는 무피복으로도 사용이 가능한 강재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S110 : 강재 마련 단계
S120 : 압연 단계
S130 : 1차 퀀칭 단계
S140 : 2차 퀀칭 단계
S150 : 템퍼링 처리 단계

Claims (14)

  1. 질량%로, C: 0.05 내지 0.15%, Si: 0.6% 이하, Mn: 0.8 내지 1.8%, P: 0.03%이하, S: 0.005%이하, Mo: 0.35 내지 0.8%, Ti: 0.005 내지 0.025%, Al: 0.06% 이하 및 N: 0.006% 이하를 포함하는 강재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강재를 1차 퀀칭(Quenching)하여 미세오스테나이트 조직을 형성하는 단계 ; 및
    상기 1차 퀀칭(Quenching)한 강재를 2차 퀀칭(Quenching)하여 최종 조직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내화성 강재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성 강재의 최종 조직은 페라이트, 마르텐사이트 및 베이나이트를 포함하는 복합조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강재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는 질량%로, Nb: 0.005 내지 0.05%, V: 0.005 내지 0.1%, Ni: 0.05 내지 0.5%, Cu: 0.05 내지 0.1%, Cr: 0.05 내지 1.0% 및 Ca: 0.001 내지 0.006%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강재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퀀칭(Quenching)은 상기 1차 퀀칭(Quenching)의 재가열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재가열한 후 급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강재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퀀칭(Quenching)은 850 내지 1000℃의 온도로 재가열한 후 급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강재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퀀칭(Quenching)은 740 내지 820℃의 온도로 재가열한 후 급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강재의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성 강재의 제조 방법은 상기 1차 퀀칭(Quenching) 이전에 압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강재의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성 강재의 제조 방법은 상기 2차 퀀칭(Quenching) 이후에 템퍼링(Tempering)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강재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템퍼링(Tempering)은 450 내지 700℃ 온도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강재의 제조 방법.
  10. 질량%로, C: 0.05 내지 0.15%, Si: 0.6% 이하, Mn: 0.8 내지 1.8%, P: 0.03%이하, S: 0.005%이하, Mo: 0.35 내지 0.8%, Ti: 0.005 내지 0.025%, Al: 0.06% 이하 및 N: 0.006% 이하를 포함하는 내화성 강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성 강재는 질량%로, Nb: 0.005 내지 0.05%, V: 0.005 내지 0.1%, Ni:0.05 내지 0.5%, Cu:0.05 내지 0.1%, Cr:0.05 내지 1.0% 및 Ca:0.001 내지 0.006%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강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성 강재는 항복강도가 34 kg/mm2 이상, 항복비가 7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강재.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성 강재는 600℃에서의 항복강도가 상온시의 70% 이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강재.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성 강재는 페라이트, 마르텐사이트 및 베이나이트를 포함하는 복합조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강재.





KR1020100039975A 2010-04-29 2010-04-29 저 항복비를 갖는 건축용 내화성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1205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975A KR20110120528A (ko) 2010-04-29 2010-04-29 저 항복비를 갖는 건축용 내화성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975A KR20110120528A (ko) 2010-04-29 2010-04-29 저 항복비를 갖는 건축용 내화성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528A true KR20110120528A (ko) 2011-11-04

Family

ID=45391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975A KR20110120528A (ko) 2010-04-29 2010-04-29 저 항복비를 갖는 건축용 내화성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05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43261A (zh) * 2013-05-03 2013-08-14 武汉钢铁(集团)公司 抗疲劳性能优良的海洋平台耐火钢及其生产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43261A (zh) * 2013-05-03 2013-08-14 武汉钢铁(集团)公司 抗疲劳性能优良的海洋平台耐火钢及其生产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4310B1 (ko) 저온인성이 우수한 용접성 초고강도강 및 그 제조방법
JP5439973B2 (ja) 優れた生産性と溶接性を兼ね備えた、pwht後の落重特性に優れた高強度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056833A (en) Thermomechanically controlled processed high strength weathering steel with low yield/tensile ratio
JP2022177108A (ja) 少なくとも100mmの厚さを有する鋼セクシ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327212A (ja) 耐サワーラインパイプ用鋼板の製造方法
KR101318227B1 (ko) 구리를 함유한 복합 베이나이트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JP2019504192A (ja) 靭性及び耐切断割れ性に優れた高硬度耐摩耗鋼、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101553108B1 (ko) 압력용기용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JP7232910B2 (ja) クリープ強度に優れたクロムモリブデン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319726A (ja) 溶接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の製造方法
RU2711696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холоднокатаной стальной полосы из высокопрочной, содержащей марганец стали с trip-свойствами
KR102375748B1 (ko) 우수한 인성을 갖는 강판, 강관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1696051B1 (ko) 저온인성 및 수소유기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후판 강재 및 그 제조방법
JPS5952687B2 (ja) 低温靭性のすぐれた調質型高張力鋼板の製造法
KR20130110623A (ko)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120528A (ko) 저 항복비를 갖는 건축용 내화성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498144B1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8150B1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35467B1 (ko) 연속소둔에 의한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2498149B1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43445B1 (ko) 비열처리형 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498147B1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12445B1 (ko) 고강도 강재 제조 방법
KR101572319B1 (ko) 열연강판 및 고강도 강관 제조 방법
KR101443446B1 (ko) 비열처리형 열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