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7570A - 고소작업대 - Google Patents

고소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7570A
KR20110107570A KR1020100026766A KR20100026766A KR20110107570A KR 20110107570 A KR20110107570 A KR 20110107570A KR 1020100026766 A KR1020100026766 A KR 1020100026766A KR 20100026766 A KR20100026766 A KR 20100026766A KR 20110107570 A KR20110107570 A KR 20110107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xing
elevating
lifting
aerial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6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8089B1 (ko
Inventor
박용기
권혁숭
Original Assignee
박용기
권혁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기, 권혁숭 filed Critical 박용기
Priority to KR1020100026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8089B1/ko
Publication of KR20110107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7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하여 고소작업 하는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외관프레임에서 승강되는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프레임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과, 상기 승강수단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체적으로 제공되는 동력과 사용자의 적은 힘을 이용하여 승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고소작업대 {VERTICALLY MOVABLE WORKTABLE}
본 발명은 도르래 및 탄성부재의 힘을 이용하여 승강동작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고소작업대는 아파트 또는 연립주택과 같은 대규모 주거단지, 다세대 등의 실내 전선공사 및 천장의 외장공사 등을 지속적으로 작업하기 위해 사용하는 보조기구이다.
종래의 고소작업대는 첨부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소재의 파이프인 다수의 수직바(2)와 수평바(4)를 일정한 형상으로 용접 및 볼트에 의해 결합함으로서 작업대(1)의 본체(1-1)를 형성한다.
상기 본체(1-1)의 양측에는 상측으로 올라가기 위한 사다리(3)가 설치되며, 본체의 하부에는 이동가능한 캐스터(5)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체(1-1)의 상부에는 작업발판(6)이 안착되며, 작업발판(6)의 가장자리 부분은 본체의 상부측에 해당하는 수평바(4)와 연결끈(6a)으로서 연결 지지되는 구조이다.
상기 본체의 4지점에 해당하는 수직바는 중공형으로 되어있어 여기에 연결부재(7)의 설치에 따라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소작업대(1)와 동일한 또 하나의 고소작업대(1)를 높이방향으로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소작업대는 수직바의 하부가 상기 연결부재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그 높이를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통상 연장되는 고소작업대의 수는 한대 내지 세대까지 그 높이를 연장하거나 단층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소작업대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본체의 양측에 형성된 사다리를 통해 작업자가 상측 작업발판까지 올라갈 수 도록 하였으나, 본체의 측면측으로 부터 사다리를 쥐고 발을 딛는 동작으로서 가야 하기 때문에 불편한 점이 있고, 다층으로 적층될 때에는 작업자의 안전이 무방비상태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사다리를 통해 상층부로 이동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직접 작업하고자 하는 작업용구 및 이에 사용되는 자재 등의 물건을 가지고 올라갈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고소작업대는 상층부에서 작업자가 작업발판을 딛고 작업하는데 있어서, 상층부의 가장자리부분은 고소작업대의 연장설치에 따른 특성상 별도의 보호난간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는 물론, 작업도중 작업용구, 자재 등이 낙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이에 의해 작업자는 물론 고소작업대 근처를 지나는 또 다른 작업자에게 위험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체적으로 제공되는 동력과 사용자의 힘을 이용하여 승강할 수 있는 고소작업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발로 고정수단을 해제하고 사용자의 손으로 승강동작 하므로 안전사고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편리하게 이동될 수 있고 승강시 고정이 자동으로 고정되어 승강동작이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고소작업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이드수단에 의해 수평상태가 유지된 상태로 승강할 수 있는 고소작업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강되는 충격이 완화되도록 하여 탑승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고소작업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탑승자의 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력을 조절하여 제공할 수 있는 고소작업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외관프레임에서 승강되는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프레임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과, 상기 승강수단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관프레임을 이동시키고 상기 승강프레임의 승강시 외관프레임을 고정시키는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외관프레임의 하부 일측 및 타측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이동바퀴와, 상기 이동바퀴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바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바퀴스프링과, 상기 바퀴스프링이 압축되면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프레임의 승강시 상기 외관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지지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지지수단은 상기 외관프레임에 수평하게 마련되는 가이드하우징의 내측에서 슬라이딩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가이드하우징의 일단과 지지부재의 일단에 연결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지지부재가 가이드하우징에서 슬라이딩되어 외관프레임의 내측으로 이동되게 지지부재의 일단에 형성되는 돌출턱을 밀도록, 상기 승강프레임의 하부에 마련되는 경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관프레임의 전복을 방지하는 전복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복방지수단은 상기 외관프레임에 마련되는 연결로프의 끝단에 형성되어 외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외관프레임과 외부의 거리를 이격시키는 이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프레임이 상기 외관프레임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외관프레임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에 가이드 되도록 상기 승강프레임에 마련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외관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양단이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승강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승강프레임에 설치되는 레버박스와, 상기 레버박스가 가이드부재에서 승강되도록 레버박스를 동작시키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외관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양단이 각각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외측을 가압 및 해제하며, 상기 승강프레임에 설치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를 동작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하강되는 가압부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로프탄성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외측을 커버하며 일측이 개구되는 가압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는 가압힌지와, 상기 가압힌지에 의해 회전되는 가압부재가 고정부재를 가압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가압부의 가압동작을 해제하도록 가압부의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는 작동로프와, 상기 작동로프의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승강프레임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페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의 작동에 의해 암수형태로 결합 및 분리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을 상기 외관프레임에 고정 및 해제시키는 안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프레임의 중량초과시 상기 고정수단의 작동을 구속하는 과부하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부하방지수단은 상기 승강수단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에 슬라이딩가능 하도록 상기 승강프레임에 마련되는 승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과 승강브라켓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인장스프링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수단까지 연장되는 방지샤프트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방지돌기 및 상기 방지돌기와 대응되도록 고정수단에 마련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제공수단은 상기 외관프레임의 하부에 마련되는 동력제공부재와, 상기 외관프레임의 상부에 마련되는 도르래에 개재되어 일단이 동력제공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승강프레임에 연결되는 동력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제공수단은 상기 동력제공부재의 동력을 조절하는 동력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조절부는 턴버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조절부는 동력제공부재의 하단에 연결되는 조절핀이 삽입되는 장홀이 형성되는 조절부재와, 상기 조절부재의 하부에 조절힌지에 의해 결합되는 베이스와, 상기 조절부재를 베이스에 암수형태로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홀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고정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체적으로 제공되는 동력과 사용자의 적은 힘을 이용하여 승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발로 고정수단을 해제하고 사용자의 손으로 승강동작 하므로 안전사고에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편리하게 이동될 수 있고 승강시 고정이 자동으로 고정되어 승강동작이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가이드수단에 의해 수평상태가 유지된 상태로 승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하강되는 충격이 완화되도록 하여 탑승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탑승자의 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력을 조절하여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고소작업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승강프레임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외관프레임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이동수단을 보인 도면.
도 7은 도 6의 동작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동작 전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0은 도 8의 동작 후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승강수단의 동작 전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3은 도 12의 승강수단의 동작 후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승강프레임을 보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적용된 과부하방지수단의 동작상태를 보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동력제공부를 보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적용된 동력조절부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적용된 동력조절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관프레임(10)에서 승강되는 승강프레임(30)과, 상기 승강프레임(30)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50)과, 상기 승강프레임(30)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70)과, 상기 승강수단(50)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수단(90)을 포함한다.
먼저, 외관프레임(10)은 다수개의 외관샤프트(11)들의 끝단들이 서로 연결되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사각형상의 외측에 다른 다수개의 외관샤프트(11)들이 수직으로 형성되며, 수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외관샤프트(11)들의 상부를 또 다른 다수개의 외관샤프트(11)들이 연결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승강프레임(30)은 바닥판(31)의 외측에 서로 연결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승강샤프트(33)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승강프레임(30)에 탑승한 상태에서 발로 고정수단(70)을 해제하면서 승강수단(50)을 동작시키면 승강프레임(30)은 동력제공수단(90)에서 제공되는 힘에 의해 손쉽게 외관프레임(10)에서 승강되게 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프레임(10)은 상기 승강프레임(30)이 상기 외관프레임(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수단(4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수단(40)은 외관프레임(10)의 양측에 대칭되게 가이드레일(41)이 형성되고, 가이드레일(41)에 가이드 되도록 승강프레임(30)의 양측에 가이드부재(43)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가이드부재(43)는 승강프레임(30)에 형성되는 가이드브라켓(43a)과, 가이드브라켓(43a)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되, 가이드레일(41)의 양측에 대칭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롤러(43b)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고정수단(70)의 작동에 의해 암수형태로 결합 및 분리되어 상기 승강프레임(30)을 상기 외관프레임(10)에 고정 및 해제시키는 안전수단(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안전수단(300)은 회전부재(75b)에 일체로 형성되는 걸고리(310)와, 걸고리(310)에 걸리도록 외관프레임(10)의 하부에 형성되는 링부재(330)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페달(75c)을 밟아서 회전부재(75b)를 회전시키면 링부재(330)에서 걸고리(76)가 해제되고, 페달(75c)을 역회전시키면 걸고리(310)가 링부재(330)에 걸리게 된다.(도 12참조)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외관프레임(10)을 이동시키고 상기 승강프레임(30)의 승강시 외관프레임(10)을 고정시키는 이동수단(20)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동수단(20)은 외관프레임(10)의 하부 일측에 복수개의 이동바퀴(21)가 설치되고, 외관프레임(10)의 하부 타측에 바퀴스프링(25)이 설치되며, 바퀴스프링(25)의 내측에서 서로 신축되도록 안테나 형상의 스프링샤프트(25a)가 외관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되고, 바퀴스프링(25)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회전바퀴(23)가 스프링샤프트(25a)의 끝단에 설치되며, 바퀴스프링(25)과 이격되면서 고정부재(27)가 외관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이동바퀴(21) 및 회전바퀴(23)에 의해 외관프레임(10)은 작업장까지 이동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고소작업을 위해 승강프레임(30)에 탑승하면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바퀴스프링(25)이 압축되어 고정부재(27)가 지면에 지지되므로, 외관프레임(10)은 지면에 고정되게 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승강프레임(30)의 승강시 상기 외관프레임(10)을 지지하는 프레임지지수단(60)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지지수단(60)은 외관프레임(10)의 하부에 가이드하우징(61)이 수평하게 설치되고, 가이드하우징(61)의 내측으로 지지부재(62)가 슬라이딩되게 삽입되어 마련되며, 가이드하우징(61)의 일단과 지지부재(62)의 일단에 탄성부재(63)가 연결되고, 지지부재(62)의 양측에 돌출턱(64)이 각각 형성되고, 승강프레임(30)의 하부에 돌출턱(64)을 밀 수 있는 복수개의 경사부재(65)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탄성부재(63)는 인장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턱(64)은 경사부재(65)와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되거나 또는 경사부재(65)와 마찰면적이 최소화 되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돌출턱(64)은 경사부재(65)와 마찰력을 줄이도록 롤러로 구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승강프레임(30)이 하강하면 승강프레임(3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경사부재(65)의 경사면이 돌출턱(64)을 밀게 된다. 이때, 탄성부재(63)가 인장되면서 외관프레임(10)의 외측으로 돌출되었던 지지부재(62)가 가이드하우징(61)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어서 외관프레임(10)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된다.
또한, 승강프레임(30)이 상승하면 돌출턱(64)을 밀고 있던 경사부재(65)도 함께 상승하게 되므로, 탄성부재(63)의 복원력에 의해 지지부재(62)가 외관프레임(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지지부재(62)의 끝단이 지면에 밀착되도록 하면 외관프레임(10)은 지면에 견고하게 지지되게 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외관프레임(10)의 전복을 방지하는 전복방지수단(8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복방지수단(80)은 상기 외관프레임(10)의 외측에 연결로프(81)가 연결되고, 연결로프(81)의 끝단에는 연결부재(83)가 설치되며, 외관프레임(10)의 외측에 이격부재(85)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연결부재(83)는 클립 또는 자석일 수 있고, 이격부재(85)는 바퀴일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83)가 작업하고자 하는 외부의 특정부위에 연결되면 외관프레임(10)은 외부의 특정부위에 연결되어 고정된 상태이므로, 작업 중에 외부저항이 발생되어도 전복되지 않는다.
또한, 이격부재(85)에 의해 작업 중에 외관프레임(10)은 외부의 특정부위에 충돌되지 않게 되므로, 작업자는 안정된 상태로 작업하게 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수단(50)은 상기 외관프레임(10)의 상부 및 하부에 가이드부재(51)의 양단이 각각 설치되고, 승강프레임(30)에 설치되는 레버박스(53)가 가이드부재(51)를 따라 승강되도록 결합되며, 레버박스(53)를 동작시키는 레버(55)로 구성된다.
여기서, 가이드부재(51)는 체인으로 구현되고, 레버박스(53)는 체인에 물려서 결합되는 기어형상의 물림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레버(55)가 기어형상의 물림부재를 회전시키도록 레버박스(53)에 설치된다.
따라서, 고정수단(70)을 해제한 상태에서 레버(55)를 회전시키면 기어형상의 물림부재가 회전되게 되므로, 레버박스(53)가 가이드부재(51)를 따라 승강되게 되어 승강프레임(30)은 외관프레임(10)의 내측에서 승강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승강프레임(30)이 위치되면 해제되었던 고정수단(70)을 이용하여 승강프레임(3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수단(70)이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레버(55)의 회전을 방지하는 레버회전방지수단(1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레버회전방지수단(P)은 고정수단(70)에 일단이 연결되는 방지와이어(110)의 타단에 방지부재(120)가 연결되고, 방지부재(120)의 일단이 승강샤프트(33)의 일측에 힌지(130)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며, 방지부재(120)의 타단에 연결되는 방지스프링(140)이 승강샤프트(33)의 타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고정수단(70)을 해제하면 방지와이어(110)가 당겨지게 되므로, 방지부재(120)가 힌지(130)에 회전되어 승강샤프트(33)에 밀착되게 되어 레버(55)는 방지부재(120)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회전되게 된다. 이때, 고정수단(70)이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방지부재(120)가 승강샤프트(33)에서 내밀어지게 위치되므로, 레버(55)는 방지부재(120)에 간섭되어 회전되지 않게 된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70)은 상기 외관프레임(10)의 상부 및 하부에 고정부재(71)의 양단이 각각 설치되고, 고정부재(71)의 외측을 가압 및 해제하는 가압부(73)가 승강프레임(30)에 설치되며, 가압부(73)를 동작시키도록 가압부(73)에 작동부(75)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고정부재(71)의 하부에는 상기 하강되는 가압부(73)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로프탄성부(71a)가 마련된다. 이때, 고정부재(71)는 로프이고, 로프탄성부(71a)는 압축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압부(73)는 상기 고정부재(71)의 외측을 커버하며 일측이 개구되는 가압케이스(73a)의 일측에 설치되는 가압힌지(73b)와, 상기 가압힌지(73b)에 의해 회전되는 가압부재(73c)가 고정부재(71)를 가압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탄성부재(73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탄성부재(73d)는 인장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탄성부재(73d)의 탄력에 의해 고정부재(71)의 외측을 눌러서 가압하는 가압부재(73c)의 끝단은 삼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작동부(75)는 가압부(73)의 일측에 작동로프(75a)의 일단이 연결되고, 승강프레임(30)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75b)에 작동로프(75a)의 타단이 연결되며, 회전부재(75b)를 회전시키는 페달(75c)이 회전부재(75b)에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고정수단(70)은 가압케이스(73a)에 고정부재(71)가 삽입된 상태이므로, 탄성부재(73b)의 탄성에 의해 가압부재(73c)가 가압케이스(73a)의 측면에서 고정부재(71)의 외측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페달(75c)을 이용하여 회전부재(75b)를 회전시키면 작동로프(75a)가 당겨지게 되므로, 가압부재(73c)가 회전되어 고정부재(71)의 가압이 해제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고정수단(70)을 해제한 상태로 승강수단(50)을 이용하여 승강프레임(30)을 승강시키게 된다.
또한, 고정수단(70)이 바닥판(31)의 상하부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고정수단(70)에 의해 승강프레임(30)은 상부 및 하부로 이동되지 못하면서 정확하게 고정된다.
한편, 페달(75c)을 이용하여 고정부재(71)의 가압을 해제하면 이를 알리는 경보수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경보수단(L)은 페달(75c)에 의해 동작되는 스위치(S)에 의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B)와, 배터리(B)의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알람 또는 램프(L)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프레임(30)의 중량초과시 상기 고정수단(70)의 작동을 구속하는 과부하방지수단(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과부하방지수단(500)은 상기 승강수단(50)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510)에 슬라이딩가능 하도록 상기 승강프레임(30)에 마련되는 승강브라켓(530)과, 상기 고정브라켓(510)과 승강브라켓(530)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인장스프링(520)과, 상기 고정브라켓(51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수단(70)까지 연장되는 방지샤프트(550)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방지돌기(570) 및 상기 방지돌기(570)와 대응되도록 고정수단(70)에 마련되는 고정돌기(5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다수의 작업자들이 승강프레임(30)에 탑승하게 되어 제한하는 중량이 초과되면 승강수단(50)이 가이드부재(51)에 매달리게 되므로, 고정브라켓(510)에서 인장스프링(520)에 의해 지지되는 승강브라켓(530)과 승강프레임(33)이 하강하게 된다. 그러면, 승강브라켓(530)에 연결된 방지샤프트(550)가 하강되어서 방지돌기(570)가 고정수단(70)의 회전부재(75b)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돌기(590)에 접촉되어, 회전부재(75b)의 회전이 방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 탑승자 또는 작업도구의 하중이 초과되면 승강프레임(30)이 승강되지 못하도록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제공수단(90)은 외관프레임(10)의 하부에 외측에 마련되는 동력제공부재(91)의 상부에 일단이 연결되는 동력로프(95)와, 동력로프(95)의 타단이 승강프레임(30)에 연결되며, 동력로프(95)가 개재되는 도르래(9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동력제공부재(91)는 인장스프링이면서 승강프레임(30)에 탑승하는 최대인원의 무게를 고려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동력로프(95)의 타단에 보조도르래(96)를 연결하고, 보조로프(97)를 보조도르래(96)에 개재한 상태에서 보조로프(97)의 일단은 승강프레임(30)에 연결하고 타단은 외관프레임(10)의 하부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승강프레임(30)의 하중이 외관프레임(10)에 전달되므로, 승강프레임(30)은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승강되게 된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제공수단(90)은 상기 동력제공부재(91)의 동력을 조절하는 동력조절부(9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동력조절부(98)는 턴버클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동력조절부(98)인 턴버클은 상부 및 하부에 서로 다른 방향의 암나사산이 형성된 턴버클몸체(981)와, 턴버클몸체(98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나사결합 되도록 서로 다른 방향의 숫나산이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부재(983)와, 동력제공부재(91)의 하단과 외관샤프트(11)의 끝단에 복수개의 삽입부재(983)를 각각 체결시키는 복수개의 체결부재(98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동력제공부재(91)를 파지한 상태에서 턴버클몸체(981)를 회전시키거나 역회전시키면 복수개의 삽입부재(983)는 턴버클몸체(981)의 내측으로 삽입되거나 인출되게 된다. 즉, 복수개의 삽입부재(983)는 서로 다른 왼나사와 오른나사를 각각 사용하여 턴버클몸체(981)의 회전방향에 따라 조여지거나 풀려지게 되므로, 동력제공부재(91)의 길이는 조절되게 된다.
도 16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상기 동력조절부(98)는 외관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베이스(98a)의 양측에서 복수개의 베이스부재(98b)가 형성된다. 베이스부재(98b)의 상단에 형성되는 조절힌지(98c)에 조절부재(98d)가 회전되게 설치된다. 이때, 조절부재(98d)는 동력제공부재(91)가 수용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관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조절부재(98d)의 양측에는 동일한 형상의 장홀(98e)이 형성되어 동력제공부재(91)의 하단에 연결되는 조절핀(98f)의 수평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장홀(98e)을 따라 조절핀(98f)의 수평상태로 이동되게 된다. 이때, 조절핀(98f)은 볼트형상의 부재와 너트형상의 부재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조절핀(98f)은 동력제공부재(91)의 하단과 장홀(98e)을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되게 되면서 볼트형상의 헤드와 너트형상의 부재에 의해 장홀(98e)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조절부재(98d)가 조절힌지(98c)를 축으로 상부로 회전되어 세워지면 조절핀(98f)이 상부로 이동되므로, 동력제공부재(91)인 인장스프링의 장력은 약하게 되고, 이와 반대로 조절부재(98d)를 조절힌지(98c)를 축으로 하부로 회전시켜서 고정하면 조절핀(98f)이 하부로 이동되어 동력제공부재(91)인 인장스프링의 장력은 강하게 된다. 따라서, 탑승자의 수(중량)를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장력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홀(98e)에는 다수개의 고정홀(98g)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정홀(98g)은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조절부재(98d)가 조절힌지(98c)를 축으로 상부로 회전되어 세워진 상태에서는 조절핀(98f)이 고정홀(98g)에서 이탈되고, 조절부재(98d)가 조절힌지(98c)를 축으로 하부로 회전되어 수직된 상태에서는 조절핀(98f)이 고정홀(98g)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다수개의 고정홀(98g) 중 어느 하나에 조절핀(98f)이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조절부재(98d)를 하부로 회전시켜서 고정하게 된다. 즉, 조절핀(98f)이 고정홀(98g)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것으로, 동력제공부재(91)인 인장스프링의 장력은 정밀하게 조절되게 된다.
또한, 조절부재(98d)와 베이스부재(98b)에 암수형태로 결합 및 분리되는 고정부(98h)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조절부재(98d)가 조절힌지(98c)에 의해 베이스부재(98b)의 상단에서 하부로 회전되면, 암수형태의 고정부(98h)에 의해 조절부재(98d)와 베이스부재(98b)는 서로 결합되게 된다. 이때, 고정부(98h)는 돌기와 홈으로 구현되거나, 걸고리와 홀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외관프레임에 미리 설치된 동력제공부에서 동력이 제공되므로 사용자의 적은 힘으로 자신과 승객 또는 작업도구를 승강시킬 수 있으므로, 고소작업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외관프레임
30 : 승강프레임
50 : 승강수단
70 : 고정수단
90 : 동력제공수단

Claims (18)

  1. 외관을 형성하는 외관프레임(10)에서 승강되는 승강프레임(30)과,
    상기 승강프레임(30)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50)과,
    상기 승강프레임(30)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70)과,
    상기 승강수단(50)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수단(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프레임(10)을 이동시키고 상기 승강프레임(30)의 승강시 외관프레임(10)을 고정시키는 이동수단(2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수단(20)은
    상기 외관프레임(30)의 하부 일측 및 타측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이동바퀴(21)와,
    상기 이동바퀴(21)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바퀴(21)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바퀴스프링(25)과,
    상기 바퀴스프링(25)이 압축되면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프레임(30)의 승강시 상기 외관프레임(10)을 지지하는 프레임지지수단(60)을 더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지지수단(60)은
    상기 외관프레임(10)에 수평하게 마련되는 가이드하우징(61)의 내측에서 슬라이딩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62)와,
    상기 가이드하우징(61)의 일단과 지지부재(62)의 일단에 연결되는 탄성부재(63)와,
    상기 지지부재(62)가 가이드하우징(61)에서 슬라이딩되어 외관프레임(10)의 내측으로 이동되게 지지부재(62)의 일단에 형성되는 돌출턱(64)을 밀도록, 상기 승강프레임(30)의 하부에 마련되는 경사부재(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프레임(10)의 전복을 방지하는 전복방지수단(8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복방지수단(80)은
    상기 외관프레임(10)에 마련되는 연결로프(81)의 끝단에 형성되어 외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83) 및
    상기 외관프레임(10)과 외부의 거리를 이격시키는 이격부재(8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프레임(30)이 상기 외관프레임(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수단(40)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수단(40)은
    상기 외관프레임(10)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41)에 가이드 되도록 상기 승강프레임(30)에 마련되는 가이드부재(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50)은
    상기 외관프레임(10)의 상부 및 하부에 양단이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부재(51)와,
    상기 가이드부재(51)를 따라 승강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승강프레임(30)에 설치되는 레버박스(53)와,
    상기 레버박스(53)가 가이드부재(51)에서 승강되도록 레버박스(53)를 동작시키는 레버(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70)은
    상기 외관프레임(10)의 상부 및 하부에 양단이 각각 설치되는 고정부재(71)와,
    상기 고정부재(71)의 외측을 가압 및 해제하며, 상기 승강프레임(30)에 설치되는 가압부(73)와,
    상기 가압부(73)를 동작시키는 작동부(7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71)의 하부에는 상기 하강되는 가압부(73)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로프탄성부(71a)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73)는
    상기 고정부재(71)의 외측을 커버하며 일측이 개구되는 가압케이스(73a)의 일측에 설치되는 가압힌지(73b)와,
    상기 가압힌지(73b)에 의해 회전되는 가압부재(73c)가 고정부재(71)를 가압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탄성부재(73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75)는
    상기 가압부(73)의 가압동작을 해제하도록 가압부(73)의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는 작동로프(75a)와,
    상기 작동로프(75a)의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승강프레임(30)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75b)와,
    상기 회전부재(75b)를 회전시키는 페달(75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70)의 작동에 의해 암수형태로 결합 및 분리되어 상기 승강프레임(30)을 상기 외관프레임(10)에 고정 및 해제시키는 안전수단(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프레임(30)의 중량초과시 상기 고정수단(70)의 작동을 구속하는 과부하방지수단(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과부하방지수단(500)은
    상기 승강수단(50)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510)에 슬라이딩가능 하도록 상기 승강프레임(30)에 마련되는 승강브라켓(530)과,
    상기 고정브라켓(510)과 승강브라켓(530)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인장스프링(520)과,
    상기 고정브라켓(51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수단(70)까지 연장되는 방지샤프트(550)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방지돌기(570) 및
    상기 방지돌기(570)와 대응되도록 고정수단(70)에 마련되는 고정돌기(5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제공수단(90)은
    상기 외관프레임(10)의 하부에 마련되는 동력제공부재(91)와,
    상기 외관프레임(10)의 상부에 마련되는 도르래(93)에 개재되어 일단이 동력제공부재(9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승강프레임(30)에 연결되는 동력로프(9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제공수단(90)은
    상기 동력제공부재(91)의 동력을 조절하는 동력조절부(9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조절부(98)는 턴버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조절부(98)는
    동력제공부재(91)의 하단에 연결되는 조절핀(98f)이 삽입되는 장홀(98e)이 형성되는 조절부재(98d)와,
    상기 조절부재(98d)의 하부에 조절힌지(98c)에 의해 결합되는 베이스(98a)와,
    상기 조절부재(98d)를 베이스(98a)에 암수형태로 고정시키는 고정부(98h)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장홀(98e)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고정홀(98g)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KR1020100026766A 2010-03-25 2010-03-25 고소작업대 KR101168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766A KR101168089B1 (ko) 2010-03-25 2010-03-25 고소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766A KR101168089B1 (ko) 2010-03-25 2010-03-25 고소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570A true KR20110107570A (ko) 2011-10-04
KR101168089B1 KR101168089B1 (ko) 2012-07-24

Family

ID=45025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6766A KR101168089B1 (ko) 2010-03-25 2010-03-25 고소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808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131B1 (ko) * 2014-03-17 2014-09-25 주식회사 정우기술 머시닝 센터 공작물 자동 교환장치의 승강유닛
KR101674186B1 (ko) * 2016-03-07 2016-11-08 김한흠 고소작업용 안전로프 지지장치
WO2018199519A1 (ko) * 2017-04-24 2018-11-01 미래이동양봉 주식회사 양봉 적재함의 구조
CN110356853A (zh) * 2019-07-12 2019-10-22 安徽韩华建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地板堆叠装置
KR20210041787A (ko) 2019-10-08 2021-04-16 김성은 접이식 고소작업대
KR20210041778A (ko) 2019-10-08 2021-04-16 김성은 밸런스 웨이트를 이용하는 수동식 고소작업대
KR20210041782A (ko) 2019-10-08 2021-04-16 김성은 자동 지면 지지 고소작업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845B1 (ko) 2015-07-10 2015-12-29 비에이치중공업 주식회사 작업효율을 향상한 리프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7740A (ja) 2001-07-19 2003-01-29 Kajima Corp 建築工事用の自昇式外部足場
JP2009084901A (ja) * 2007-10-01 2009-04-23 瑞樹 ▲たか▼岡 昇降作業台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131B1 (ko) * 2014-03-17 2014-09-25 주식회사 정우기술 머시닝 센터 공작물 자동 교환장치의 승강유닛
KR101674186B1 (ko) * 2016-03-07 2016-11-08 김한흠 고소작업용 안전로프 지지장치
WO2018199519A1 (ko) * 2017-04-24 2018-11-01 미래이동양봉 주식회사 양봉 적재함의 구조
CN110356853A (zh) * 2019-07-12 2019-10-22 安徽韩华建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地板堆叠装置
KR20210041787A (ko) 2019-10-08 2021-04-16 김성은 접이식 고소작업대
KR20210041778A (ko) 2019-10-08 2021-04-16 김성은 밸런스 웨이트를 이용하는 수동식 고소작업대
KR20210041782A (ko) 2019-10-08 2021-04-16 김성은 자동 지면 지지 고소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8089B1 (ko) 201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8089B1 (ko) 고소작업대
KR101197832B1 (ko) 승강 보조기
KR100196671B1 (ko) 보수용 승강체 부착 입출장치
KR101390150B1 (ko) 추락방지용 난간대
CN112722103B (zh) 一种具有自锁功能的爬杆机器人
KR102250079B1 (ko) 자동 지면 지지 고소작업대
KR20180095473A (ko) 전자동 사다리
CN110439247A (zh) 一种安全性更高的建筑施工用的滑动托架
CN210598089U (zh) 一种高层建筑中附着式升降脚手架
CN113911886B (zh) 高层建筑消防和救援机械平台
CN214550686U (zh) 一种高层建筑安全防护逃生装置
CN212716106U (zh) 一种内置作业安全维护结构的输电线路铁塔
KR102272103B1 (ko)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
KR20140079058A (ko) 협착 방지용 폴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고소 작업대
CN111732024A (zh) 一种室内装修重物辅助吊升安装设备
JP3662064B2 (ja) 手動式昇降床装置
KR20110001477A (ko) 지붕작업용 발판 승강장치
KR20220075163A (ko) 베란다 안전 코킹작업대
CN218292560U (zh) 一种墙壁用防跌倒装置
CN2457267Y (zh) 防倾防坠附着升降脚手架
CN217840795U (zh) 一种房建施工作业平台
CN219863931U (zh) 一种建筑工程建筑爬架
CN219100654U (zh) 建筑施工支架
KR20200106642A (ko) 안전난간의 피난계단 자동 원상 복원 장치
CN211647407U (zh) 一种建筑施工用的防坠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