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6343A - Pendant type led ligh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Pendant type led light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96343A KR20110096343A KR1020100015736A KR20100015736A KR20110096343A KR 20110096343 A KR20110096343 A KR 20110096343A KR 1020100015736 A KR1020100015736 A KR 1020100015736A KR 20100015736 A KR20100015736 A KR 20100015736A KR 20110096343 A KR20110096343 A KR 201100963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ndant
- light source
- led lighting
- holder
- body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04—Penda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 F21S8/06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with a rigid pendant, i.e. a pipe or ro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8—Suspending from a cable or suspension lin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12—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85—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29/89—Meta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많은 수의 조명기구를 필요로 하며 상당한 조도로 장시간 조명을 필요로 하는 장소에 적합하고, 펜던트 시공이 간편하며, 경제적인 코스트로 제조할 수 있고 방열효능이 우수한 펜던트형 엘이디(LED)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a place that requires a large number of lighting fixtures and lighting for a long time with a considerable illuminance, pendant construction is simple, can be manufactured at an economic cost and excellent heat dissipation effect pendant LED (LED) Relates to a lighting fixture.
최근 아파트, 백화점, 사무용 빌딩, 주상복합빌딩 등과 같은 대형 건물이 증가하고, 자가용 수가 증가하면서 건물의 지하를 주차장으로 이용하고 있다. Recently, large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department stores, office buildings, residential complexes, etc. are increasing, and as the number of cars increases, the basement of the building is used as a parking lot.
건물의 지하에 주차되는 차량의 숫자가 증가함에 따라 주차장 역시 대형화되어 주차장의 관리에 많은 비용이 소모되게 된다. 이러한 비용 소모중 하나는 주차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주차장 관리인력에 소모되는 비용과, 그리고 사고예방과 주차장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조명 등과 같은 시설유지 비용이다.
As the number of vehicles parked in the basement of the building increases, the parking lot also becomes large, which is expensive to manage. One of these costs is the cost of separate parking lot management personnel to prevent accidents that may occur in the parking lot, and the cost of facility maintenance such as accident prevention and lighting for the convenience of the parking lot user.
규모가 큰 지하주차장에서는 범죄와 같은 사고가 발생할 경우가 있어서, 대부분의 지하주차장에서는 상당한 조도로 조명을 하고 또한 CCTV를 설치한다. 지하주차장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기구로서는, 상대적으로 전력소비가 적은 형광등을 사용하고 있지만, 상당한 조도를 얻기 위해 많은 숫자의 형광등을 사용하게 되어 전력소비가 많아지게 된다. 또한, 현재 시행되고 있는 지하주차장의 조명등 관리는 스위치를 이용한 일괄 온오프에 의존하기 때문에, 건물의 사용자에게 또는 아파트인 경우에는 입주민에 많은 부담을 지우게 된다.
In large underground parking lots, crime-like accidents can occur, and most underground parking lots are illuminated with considerable illumination and CCTV is installed. As a luminaire for illuminating an underground parking lot, a fluorescent lamp having a relatively low power consumption is used, but a large number of fluorescent lamps are used to obtain a considerable illuminance, resulting in high power consumption. In addition, since the management of the lighting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currently implemented depends on the collective on / off using a switch, it puts a lot of burden on the user of the building or in the case of the apartment.
지구온난화를 방지하고 또한 환경을 위해, 백열등, 형광등 및 수은등과 같은 종래 방식의 조명장치들이 현재 퇴출되고 있는 실정이고, 또한 차후에는 완전히 퇴출될 예정이다. 이러한 조명장치의 대안으로 여러 방식이 고려되고 있는데, 그중 유력한 후보는 엘이디(LED) 조명장치이다.
In order to prevent global warming and also for the environment, conventional lighting devices such as incandescent lamps, fluorescent lamps and mercury lamps are currently being discharged, and will be completely discharged in the future. Several alternatives are being considered as alternatives to such lighting devices, the leading candidate being LED lighting devices.
LED는 P형과 N형이 접합된 반도체 양쪽에 전극단자를 만들고 단자간에 전압을 가하면 전류가 흘러 P-N 접합 부근에서 빛을 방출하는 원리로 만들어져 있다. LED의 발광파장은 반도체 결정의 재료 및 농도에 의하여 차이를 나타내며 색이 다양하게 연출된다. LED는 친환경조명기구라는 장점이 있는데, 대부분의 조명이 수은을 사용하는 것과 달리 LED는 수은과 납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세계의 모든 국가에서 ‘차세대 광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게다가 전구나 형광등과 달리 필라멘트나 전극이 없어 수명이 30배 이상 길고 에너지효율이 18배 이상 높아 전력을 70% 이상 절감할 수 있다. LED는 소형 경량으로 소비전력이 적고, 한 번의 설치로 형광등의 100배 정도인 10만 시간 동안 지속될 정도로 수명이 매우 길며, 반도체의 발광파장을 이용하여 다양한 색상을 연출할 수 있고, 수은을 사용하지 않아 매우 환경친화적인 광원이며, 발광 효율이 높아 전류가 낮은 상태에서도 고출력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저렴하고, 전구처럼 필라멘트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소형이며 진동에 강한 장점이 있다.
LEDs are made on the principle of making electrode terminals on both P-type and N-type semiconductors and applying a voltage between the terminals to allow light to flow around the PN junction. The light emission wavelength of the LED varies depending on the material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semiconductor crystal, and various colors are produced. LED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lighting fixture. Unlike most lights that use mercury, LEDs do not use mercury or lead, so they are attracting attention as 'next generation light sources' in all countries of the world. In addition, unlike light bulbs and fluorescent lamps, there is no filament or electrode, so the lifespan is more than 30 times longer and the energy efficiency is more than 18 times higher, which can reduce power by more than 70%. The LED is small and light in size, consumes little power, and has a very long life that lasts for 100,000 hours, which is about 100 times that of a fluorescent lamp in one installation, and can produce various colors using the light emission wavelength of semiconductors. It is a very environmentally friendly light source, has a high luminous efficiency, and has the advantage of obtaining high output even at low currents, and because of its simple structure, mass production is possible and inexpensive. Has a strong advantage.
현재 반도체 제조기술과 반도체 재료기술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 관계로, LED의 광효율이 점진적으로 향상되고 또한 다양한 색깔을 방출할 수 있는 LED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As semiconductor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semiconductor material technology are developing day by day, LEDs that can gradually improve light efficiency and emit various color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따라서, 지하주차장 등과 같이 상당한 조도로 장시간 조명을 필요로 하는 곳에는 LED를 이용한 조명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use a lighting apparatus using LED in a place where a long time illumination is required at a considerable illuminance such as an underground parking lot.
최근 지하주차장 등에서 형광등을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LED 조명기구는 기존의 형광등 조명기구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게 한 형광등 타입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형광등 타입 LED 조명등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한국 특허공개 제10-2010-0003609호, 한국특허공개 제10-2010-0006046호, 한국특허등록 제10-0923982호, 한국특허등록 제10-0913925호, 한국특허등록 제10-0906088호, 한국특허등록 제10-0905893호 등이 있다. Recently, LED lighting fixtures developed to replace fluorescent lamps in underground parking lots are mainly made of fluorescent lamp types that can be inserted into existing fluorescent lighting fixtures. Prior arts related to such fluorescent lamp type LED lighting,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03609,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06046,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2398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13925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06088,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05893, and the like.
그러나 이러한 형광등 타입의 LED 조명등은 설치가 간편한 장점이 있으나 경량구조로 제조되기 때문에 부서지거나 고장나기 쉽고 LED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는 것이 어려운 단점이 있어서, 형광등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코스트가 높은 형광등 타입의 LED 조명등으로 많은 수의 조명등이 요구되는 지하주차장 등과 같은 장소에서 형광등을 대체하는 것을 주저하고 있는 실정이다.
However, such fluorescent type LED lighting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install, but because it is manufactured in a light weight structure, it is difficult to break or break down, and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radiate heat generated from the LED. The type of LED light is hesitant to replace the fluorescent light in places such as underground parking lot where a large number of lights are required.
따라서 지하주차장 등과 같이 상당한 조도로 장시간 조명을 필요로 하는 곳에 LED를 이용한 조명기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견고하면서도 고가의 설비 없이도 LED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으며, 시공이 간편한 LED 조명기구를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n order to be able to use the lighting equipment using LED where it requires a long time illumination with considerable illumination such as underground parking lo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dissipate heat generated from the LED without the need for robust and expensive equipment. It is desirable to develop.
한편, 한국특허등록 제10-0837139호에는 하나 이상의 LED가 피씨비(PCB)에 탑재되는 광원부, 일면에 광원부 접합면이 구비되는 광원부 설치홈과 타면에 조명기구 설치를 위한 홈이 각각 하나 이상 형성되며 금속으로 이루어져 방열수단을 겸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장착되어 광원부를 습기 및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는 투명체 보호커버, 및 상기 몸체부의 좌우 양단에 끼워지는 단부 마감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조명기구 설치홈에 거치대로서 자석이 삽입되거나 상기 설치홈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거치대로서 아이볼트가 체결되는 LED 조명기구가 제안되어 있다.
Meanwhile,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37139, at least one light source unit in which one or more LEDs are mounted in a PCB, one light source unit installation groove having a light source unit bonding surface on one surface, and one or more grooves for installing lighting fixtures ar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A body made of metal and serving as a heat dissipation means, a transparent protective cover mounted on the body to protect the light source from moisture and foreign matter, and end closure members fitted to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body portion, and as a holder in the luminaire installation groove LED lighting fixtures have been proposed in which a magnet is inserted or a thread is form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and the eye bolt is fastened as a holder.
상기한 LED 조명기구는 견고하면서도 LED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부착형에 비해 열방출효율이 높은 펜던트형으로 사용하기 위한 몸체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압출 후에 아이볼트용 나사를 가공하는 공정을 필요로 하므로 압출만으로 가능한 부착형 몸체의 제조에 비해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The above-mentioned LED lighting fixture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issipate heat generated from LED effectively while being firm but processing the bolt for eye bolt after extrusion to manufacture a body for use as a pendant type with higher heat dissipation efficiency than the attached type. Since it requires a process that has a disadvantage in productivity compared to the manufacture of the attachment-type body only by extrusion.
통상적으로 지하주차장 등과 같이 대형 공간에 적용되는 펜던트형 조명기구 설치구는 파이프 또는 바 형태로 천정에서 아래쪽으로 현수(懸垂)되며, 이러한 펜던트형 조명기구 설치구에는 상면에 개구가 있는 거치대가 적합하고 측면방향에 개구가 있는 아이볼트형 거치대는 부적절하다.
Generally, pendant lighting fixtures that are applied to large spaces such as underground parking lots are suspended from the ceiling in the form of pipes or bars, and these pendant lighting fixtures are suitable for mounting with openings on the top and side surfaces. Eyebolt holders with openings in the direction are inappropriate.
따라서 본 발명의 한 목적은 많은 수의 조명기구를 필요로 하며 상당한 조도로 장시간 조명을 필요로 하는 장소에 적합한 LED 조명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Accordingly,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LED luminaire suitable for a place requiring a large number of luminaires and requiring a long time illumination with considerable illumin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펜던트형으로 설치하기에 적합하고 시공이 간편한 LED 조명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LED lighting fixture suitable for installation in a pendant shape and easy to construc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제적인 코스트로 제조할 수 있고 방열효능이 우수한 LED 조명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LED lighting device which can be manufactured at an economical cost and has excellent heat dissipation efficiency.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자의 연구에서 몸체에 상면개구가 있는 거치대의 수평이동만 가능하고 수직이동이 제한되는 압출 홈을 형성시키고, 몸체의 단부를 커버하는 마감부재에 상기 거치대의 출입구를 부여하면, 금속을 압출 가공하는 것만으로 펜던트형에 적합한 LED 조명기구용 몸체를 제조할 수 있고, LED 조명기구 완제품상태에서 펜던트 시공에 적합한 거치대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어, 상기한 목적에 부합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된 것이다.
In the study of the present inventor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nly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holder having a top opening in the body to form an extrusion groove that is limited to vertical movement, and the entrance of the holder in the finishing member covering the end of the bod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n LED luminaire body suitable for a pendant type only by extruding metal, and to easily assemble a holder suitable for pendant construction in the state of finished LED luminaires, thus meeting the above-mentioned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개의 LED가 인쇄회로기판(PCB)에 탑재된 하나 이상의 광원부와,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광원부를 설치하기 위한 광원부설치홈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펜던트(pendant) 거치대를 삽입하기 위한 팬던트거치대설치홈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광원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광원부 커버부재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결합되어 단부를 마감 커버하는 한 쌍의 단부마감부재를 구비하며,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LEDs are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PCB), and at least one light source unit mounting groove for installing the light source un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outside and has a length outside. A body portion having at least one pendant holder mounting groove for inserting a pendant holder in a direction; a light source cover member coupled to the body portion to protect the light source; and an end portion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It has a pair of end closure members for closing cover,
상기 팬던트거치대설치홈의 길이방향 개방부에 상기 팬던트 거치대의 길이방향 끼움 및 슬라이딩만을 허용하며 상하 착탈을 방지하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부마감부재들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펜던트거치대설치홈과 연통하는 펜던트거치대출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던트형 엘이디 조명기구가 제공된다.
A stepped portion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opening of the pendant holder mounting groove to allow only the longitudinal fitting and sliding of the pendant holder and prevents up and down detachment, and communicates with the pendant holder mounting groove on any one of the end closure members. Provided is a pendant LED lumina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pendant holder entrance is formed.
본 발명에 따르는 엘이디 조명기구는 지하주차장이나 백화점 등과 같이 많은 수의 조명기구를 필요로 하며 상당한 조도로 장시간 조명을 필요로 하는 장소에 적합하며, 펜던트형으로 설치하기에 적합하고, 시공이 간편하며, 부품의 제조 및 조립이 간단하여 경제적인 코스트로 제조할 수 있고 방열효능이 우수하다.
The LED lighting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quires a large number of lighting fixtures, such as underground parking lot or department store, and is suitable for a place requiring a long time illumination with considerable illumination, and is suitable for installation in a pendant type, and is easy to construct. It is easy to manufacture and assemble the parts, so it can be manufactured at economic cost and has excellent heat dissipation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구현에 따르는 펜던트형 LED 조명기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펜던트형 LED 조명기구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펜던트형 LED 조명기구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펜던트형 LED 조명기구의 일 부품인 단부마감부재의 배면사시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낸 펜던트형 LED 조명기구의 일 부품인 몸체부의 측면도
도 6은 도 2에 나타낸 펜던트형 LED 조명기구의 일측단면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endant LED lighting fix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ation of the pendant LED luminaire shown in Figure 1,
3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pendant LED lighting fixture shown in FIG.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n end closure member that is a component of the pendant LED lighting fixture shown in FIG.
FIG. 5 is a side view of a body part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endant LED lighting fixture shown in FIG. 1; FIG.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pendant LED lighting fixture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구현을 예시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구현에 따르는 펜던트형 LED 조명기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결합 사시도, 도 3은 사용상태도, 도 4는 단부마감부재의 배면사시도, 도 5는 몸체부의 측면도, 도 6은 펜던트형 LED 조명기구의 일측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endant LED lighting fix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ation, Figure 3 is a state of use, Figure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end closure member, Figure 5 is a body 6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 pendant LED luminaire.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구현에 따르는 펜던트형 LED 조명기구는 몸체부(10)와, 광원부(20)와, 광원부 커버부재(30)와, 단부마감부재(40)를 구비한다.
As shown in Figures 1 to 6, the pendant LED lighting fix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광원부를 몸체부(10)에 일직선으로 결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광원부설치홈(11)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길이방향으로 펜던트(pendant) 거치대(50)를 삽입하기 위한 팬던트거치대설치홈(12)이 형성된다. The inner side of the
도시되는 실시구현에서는 광원부설치홈(11)이 한 개이고 팬던트거치대설치홈(12)이 두 개인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원할 경우 광원부설치홈(11)을 두 개 이상 형성하여 두 개 이상의 광원부(20)를 결합할 수도 있고, 팬던트거치대설치홈(12)도 팬던트거치대(50)의 형태에 따라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Although the illustrated embodiment illustrates that the light source unit installation groove 11 is one and the pendant holder mounting groove 12 is two, but if desired, by forming two or more light source unit installation grooves 11, two or more
팬던트거치대설치홈(12)의 길이방향 개방부에는 형성되는 단턱(12-1)은 팬던트 거치대(50)의 길이방향 끼움 및 슬라이딩만을 허용하며 팬던트 거치대(50)의 상하 착탈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팬던트 시공 후에 본 LED 조명기구의 안전한 고정상태를 보장한다. The stepped portion 12-1 formed in the longitudinal opening of the pendant holder mounting groove 12 allows only the longitudinal insertion and sliding of the
몸체부(10)는 자체가 LED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는 방열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금속을 압출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중에서도 열전도율이 높고 코스트가 경제적인 금속이 바람직하며 그 대표적인 예로는 알루미늄이 있다. 또한 몸체부(10)에는 팬던트거치대설치홈(12)의 반대쪽 면을 요철면(13)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표면에 요철을 부여하면 표면적이 증대되어 방열성능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특별히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지만, 몸체부(10)에는 광원부설치홈(11)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소정의 각도로 빛을 모아주는 플랜지부(16)를 일체로 형성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Although not particularly limited, it is effective to integrally form the flange portion 16 in the
본 실시구현에서 예시되는 구조의 몸체부(10)는 금속을 압출가공하여 원하는 크기로 절단하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광원부(20)는 PCB(21)와 여기에 탑재되는 다수개의 LED(22)로 주 구성되어 전선이 연결되며, 접착제 등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하여 몸체부(10)의 광원부설치홈(11)에 결합고정된다.
The
광원부 커버부재(30)는 상기 광원부(20)를 보호하고 빛을 효율적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광원부(20)를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10)에 결합되는 투명체이다. 도시되는 예에서 광원부 설치홈(11)의 양측에 참조부호 14로 표시된 부분이 투명커버 부재를 끼워 몸체부에 결합하기 위한 광원부커버부재설치홈이다. 도시되는 광원부커버부재설치홈(14)은 곡면형 광원부커버부재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것이다. 광원부 커버부재는 곡면형 이외의 다른 형태(예를 들어 평판형 등)로 제작할 수도 있으며, 광원부커버부재설치홈(14)도 광원부 커버부재의 형태에 맞는 구조로 압출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광원부 커버부재(30)의 재질은 투명성, 성형성, 내열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합성수지가 바람직하며, 그 대표적인 예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와 같은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이 있다.
The light source
단부마감부재(40)는 몸체부(10)의 양단에 결합되어 단부를 마감 커버하는 한 쌍의 부재로서, 이들 중 하나에는 펜던트거치대설치홈(12)과 연통하는 펜던트거치대출입구(41)가 형성되어 LED 조명기구 완제품상태에서 간편하게 펜던트 시공작업을 할 수 있다.
팬던트거치대설치홈(12)의 길이방향 개방부에 팬던트거치대(50)의 길이방향 끼움 및 슬라이딩만을 허용하며 상하 착탈을 방지하는 단턱(12-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부마감부재(40)에 펜던트거치대출입구(41)를 부여하지 않으면 완제품상태에서 펜던트거치대를 조립할 수 없게 되어, 부득이 단부마감부재(40)를 결합하기 전에 펜던트거치대(50)를 끼우거나 또는 펜던트 시공시에 단부마감부재(40)를 떼어낸 후 펜던트거치대(50)를 끼우고나서 단부마감부재(40)를 결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In the
일반적으로 펜던트형 조명기구 설치구(60)는 파이프, 바 또는 줄 형태로 천정에서 아래쪽으로 현수(懸垂)되고 하단에 너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으로 펜던트거치대를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펜던트형 조명기구 설치구(60)에 본 LED 조명기구를 펜던트시공하는 것은 예를 들어 상면에 중앙 구멍이 형성된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를 지지하며 펜던트거치대설치홈(12)에 끼워져 슬라이딩되고 펜던트거치대설치홈(12)에서 상하착탈되지 않는 구조의 다리부를 갖는 펜던트거치대(50) 2개를 본 LED 조명기구 완제품상태에서 단부마감부재(40)의 펜던트거치대출입구(41)를 통해 펜던트거치대설치홈(12)에 끼우고 나서, 펜던트거치대(50)의 중앙구멍으로 펜던트형 조명기구 설치구(60)의 하단을 삽입하고 너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체결하는 것으로 완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시공은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맨손으로 용이하게 완료할 수 있으며, LED 조명기구의 교체작업도 간편하다.
In general, the pendant light fixture installation port 60 is suspended from the ceiling in the form of a pipe, bar or string (懸垂) is to be able to combine the pendant cradle with a fastening means such as a nut at the bottom. Pendant construction of the LED lighting fixture in the pendant light fixture mounting fixture 60 is, for example, a flat portion with a central hol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flat portion is supported and slides into the pendant holder mounting groove 12, the pendant holder The pendant holder mounting groove (2) through the pendant holder stand (41) of the end finishing member (40) in the state of the LED lighting fixture finished product, seeing two
단부마감부재(40)에는 그 상면 또는 측면에 광원부(20)에 연결된 전선의 통로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통로에 패킹을 부여하여 이물질의 투입을 방지하고 전선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o form a passage of the wire connected to the
도시되는 예에서 단부마감부재(40)에 부여된 나사체결공(43)은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몸체부(10)의 나사체결홈(15)에 나사를 사용하여 단부마감부재(40)를 몸체부(10)의 단부에 결합할 수 있도록 부여한 것이다. 물론 단부마감부재(40)와 몸체부(10)는 나사를 이용한 결합방식 이외에도 다양한 인서트 결합방식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고, 단부마감부재(40)와 몸체부(10) 간의 결합구조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특별히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지만, 단부마감부재(40)는 몸체부(10)의 양단부가 끼워질 수 있는 치수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펜던트거치대출입구(41)는 몸체부(10)의 펜던트거치대설치홈(12)과 유사하게 단턱을 형성하되 이 단턱이 펜던트거치대설치홈(12) 방향으로 테이퍼지게 하여 펜던트거치대(50)의 끼움이 용이하고 끼워진 상태에서 펜던트거치대출입구(41)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hough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또한 단부마감부재(40)에는 도시되는 예와 같이 그 외측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벽면고정용 돌기(42)를 부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본 LED 조명기구를 펜던트 시공뿐만 아니라 벽면시공도 가능하게 되어 설치장소에 LED 조명을 다양하게 표출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10: 몸체부 11: 광원부설치홈
12: 펜던트거치대설치홈 12-1: 단턱
13: 요철면 14: 광원부커버부재설치홈
15: 나사체결홈 16: 플랜지부
20: 광원부 21: PCB
22: LED 30: 광원부 커버부재
40: 단부마감부재 41: 펜던트거치대출입구
42: 돌기 43: 나사체결공
50: 펜던트거치대10: body portion 11: light source mounting groove
12: pendant holder mounting groove 12-1: step
13: uneven surface 14: light source cover member mounting groove
15: Screw tightening groove 16: Flange
20: light source unit 21: PCB
22: LED 30: light source cover member
40: end closure member 41: pendant stand entrance
42: protrusion 43: screw fastener
50: pendant stand
Claims (4)
상기 팬던트거치대설치홈의 길이방향 개방부에 상기 팬던트거치대의 길이방향 끼움 및 슬라이딩만을 허용하며 상하 착탈을 방지하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부마감부재들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펜던트거치대설치홈과 연통하는 펜던트거치대출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던트형 엘이디 조명기구.
At least one light source unit on which a plurality of LEDs are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PCB), and at least one light source unit mounting groove for installing the light source un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inside, and a pendant hold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side A body portion having one or more pendant holder mounting grooves for inserting the insert, a light source cover member coupled to the body portion to protect the light source portion, and a pair of end portion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to cover an end; With a finishing member,
A stepped portion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opening of the pendant holder mounting groove to allow longitudinal insertion and sliding only of the pendant holder and prevents up and down detachment, and communicates with the pendant holder mounting groove on any one of the end closure members. Pendant-type LED lighting fix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pendant mounting entrance.
According to claim 1, Pendant type LED ligh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fixing member 40 is formed with a wall fixing projection extending integrally to the outside thereof.
The pendant LED light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a screw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end closing member, and a screw fastening groov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crew fastening hole in the body portion.
The pendant LED light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body part is an extruded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15736A KR101100640B1 (en) | 2010-02-22 | 2010-02-22 | Pendant type led light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15736A KR101100640B1 (en) | 2010-02-22 | 2010-02-22 | Pendant type led light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96343A true KR20110096343A (en) | 2011-08-30 |
KR101100640B1 KR101100640B1 (en) | 2012-01-03 |
Family
ID=44931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15736A KR101100640B1 (en) | 2010-02-22 | 2010-02-22 | Pendant type led light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0064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641917A (en) * | 2016-12-23 | 2017-05-10 | 杨波 | Crystal chandelier pendan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7900Y1 (en) | 2011-11-24 | 2013-07-09 | 희성전자 주식회사 | Lighting Lamp |
KR101257816B1 (en) * | 2012-12-26 | 2013-05-07 | 주식회사 엘에스조명 | Led lighting of parking lot |
KR101262238B1 (en) * | 2012-12-28 | 2013-05-16 | 주식회사 대진디엠피 | Frame for tubular led lamp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1404B1 (en) * | 2006-06-30 | 2006-12-27 | 주식회사 누리플랜 | Line type led lighting |
KR100933890B1 (en) * | 2009-09-30 | 2009-12-29 | 주식회사 누리플랜 | Manufacturing method of led lighting device |
-
2010
- 2010-02-22 KR KR1020100015736A patent/KR101100640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641917A (en) * | 2016-12-23 | 2017-05-10 | 杨波 | Crystal chandelier penda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00640B1 (en) | 2012-0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66407B2 (en) | Electronic luminaire based on light emitting diodes | |
KR100707874B1 (en) | Attachment structure of light emitting diode type streetlight | |
DK2378193T3 (en) | Lighting apparatus utilizing light emitting diode | |
KR101262232B1 (en) | Led lamp for underground parking lot | |
KR101251305B1 (en) | Led light | |
US10253965B2 (en) | Heated lens lighting arrangement with optic cable extending from light source to an opening in heat exchanger | |
US10208945B1 (en) | LED light | |
KR100882592B1 (en) | Illuminator | |
KR101100640B1 (en) | Pendant type led lighting apparatus | |
US10830429B2 (en) | Luminaire housing | |
KR101137293B1 (en) | Street light apparatus | |
KR101478628B1 (en) | Body of Light Emitting Diode Lamp | |
KR100945175B1 (en) | Led lighting apparatus | |
JP5444484B1 (en) | LED lighting device | |
KR101420734B1 (en) | Led lighting module and led lamp using the same | |
KR101370654B1 (en) | LED fluorescent apparatus for pendant type | |
KR102078681B1 (en) | Rectangular Ceiling Recessed Lights | |
KR101150830B1 (en) | a frame for light-instrument with radiation of heat and LED lighting using frame | |
RU85784U1 (en) | LED LAMP | |
KR101270585B1 (en) | Mounting brakcet for lamp | |
US8789976B2 (en) | Integrated multi-layered illuminating unit and integrated multi-layered illuminating assembling unit | |
RU186401U1 (en) | LED downlight | |
CN101566316B (en) | Light-emitting diode lamp | |
WO2019125218A1 (en) | Led ceiling light fitting | |
KR101114510B1 (en) | Power led lamp with common use type vertical and horizontal arm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5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