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0361A - 키 홀더, 키 홀더를 관리하는 지능형 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키 홀더, 키 홀더를 관리하는 지능형 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0361A
KR20110090361A KR1020100010089A KR20100010089A KR20110090361A KR 20110090361 A KR20110090361 A KR 20110090361A KR 1020100010089 A KR1020100010089 A KR 1020100010089A KR 20100010089 A KR20100010089 A KR 20100010089A KR 20110090361 A KR20110090361 A KR 20110090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holder
key holder
identification numb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8093B1 (ko
Inventor
지만구
박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to KR1020100010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8093B1/ko
Publication of KR20110090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0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0Key holders; Key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5/00Key-ring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07C2009/0093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key cabin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키 보관함과 연동하여 동작하며 사용자의 키가 체결되어 있는 키 홀더는 플러그, 식별 번호 관리부, 제1 가이드부, 제2 가이드부 및 키링을 포함한다. 플러그는 키 보관함의 키 홀더 수납부에 삽입되며, 키를 관리하기 위한 통신라인의 형성을 위해 적어도 두 개의 단자를 포함한다. 식별 번호 관리부는 플러그의 적어도 두 개의 단자 중 제1 단자에 연결되어 있으며, 키 홀더에 할당된 키 식별 번호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제1 가이드부는 식별 번호 관리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2 가이드부는 플러그의 적어도 두 개의 단자 중 제1 단자를 제외한 제2 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키링은 제1 가이드부와 제2 가이드부에 양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키를 체결한다.

Description

키 홀더, 키 홀더를 관리하는 지능형 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KEY HOLDER, INTELLIGENT KEY MANAGEMENT SYSTEM AND METHOF FOR MANAGING KEY HOLDER}
본 발명은 키 홀더, 키 홀더를 관리하는 지능형 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관리시설, 호텔, 집합건물, 은행 및 사무실 등에는 사용되는 복수의 키들을 키 보관함에 수납하여 보관 및 관리하고 있다. 키 보관함에는 함체의 내부에 키를 걸 수 있는 복수의 걸이 부재를 포함하는 키걸이부가 구비되어 있어서, 복수의 키들을 보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키 보관함들은 단순히 키를 보관하는 기능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키의 보관과 효율적인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키 관리의 문제를 보다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각 키마다 아날로그 방식으로 고유의 식별자를 할당하여 키의 수납 여부를 감지하였다. 이처럼 아날로그 방식의 저항을 이용하여 고유의 식별자를 생성하는 방식은 온도 변화 등과 같은 주변 환경의 변화 시 저항값이 변하게 되며, 저항값의 변화로 한정된 키에만 식별자를 할당하게 되므로 복수의 키에 식별자를 할당하기 어렵다. 그리고, 저항값의 변화에 따라 식별자가 달라지게 되어 적법한 키가 반출 및 반납되었는지의 여부를 인식하는데 실패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키 보관함이 복수 개로 연결된 경우 아날로그 방식으로 식별자를 할당하게 되면 동일 키 보관함에서의 위치 인식은 가능하지만 다른 키 보관함으로의 이동 시에는 키의 위치를 인식하지 못하여 해당 키가 초기 할당된 위치가 아닌 다른 곳에 반납되어 키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주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 식별자를 할당하여 각 키를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식별자를 생성하여 보다 효율적이면서도 안정적으로 키를 관리할 수 있는 키 홀더, 키 홀더를 관리하는 지능형 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키 보관함과 연동하여 동작하며 사용자의 키가 체결되어 있는 키 홀더에 있어서,
상기 키 보관함의 키 홀더 수납부에 삽입되며, 상기 키를 관리하기 위한 통신라인의 형성을 위해 적어도 두 개의 단자를 포함하는 플러그, 상기 플러그의 적어도 두 개의 단자 중 제1 단자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키 홀더에 할당된 키 식별 번호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식별 번호 관리부, 상기 식별 번호 관리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1 가이드부, 상기 플러그의 적어도 두 개의 단자 중 상기 제1 단자를 제외한 제2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제2 가이드부, 그리고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에 양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키를 체결하는 키 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하여 출입 관리 시스템과 연계하여 복수의 키 보관함에 수납되는 복수의 키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가 체결되어 있는 복수의 키 홀더에 각각 할당된 키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키 홀더의 반출 및 반납을 검출하는 키 검출부, 상기 복수의 키 홀더의 반출 상태 및 반납 상태를 기록하는 저장부, 상기 출입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인증받은 사용자에 대한 정보와 함께 상기 복수의 키 보관함으로부터 반출되는 제1 키 홀더의 반출을 관리하고, 반출된 상기 제1 키 홀더의 반납을 관리하며, 상기 제1 키 홀더의 반출 상태 및 반납 상태를 상기 저장부에 기록하는 키 관리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키 관리 제어부는 상기 제1 키 홀더의 반출 시, 상기 제1 키 홀더가 결합되어 있던 해당 키 보관함으로부터 반출되었음을 알리는 키 반출 신호를 상기 키 검출부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해당 키 보관함을 확인하며, 상기 제1 키 홀더의 반납 시, 상기 제1 키 홀더가 복수의 키 보관함 중 어느 키 보관함과 결합되었는지를 알리는 키 반납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키 홀더가 반납된 키 보관함을 확인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하여 출입 관리 시스템과 연계하여 복수의 키 보관함에 수납되는 복수의 키를 관리하는 시스템의 키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출입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 입장을 알리는 정보가 전송되고, 상기 복수의 키 보관함 중 상기 사용자의 키가 체결된 제1 키 홀더가 해당 키 보관함으로부터 반출됨이 검출되면, 상기 제1 키 홀더가 반출되었음을 알리는 키 반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키 홀더를 반출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와 상기 키 반출 신호를 포함하는 반출 상태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 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키 보관함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제1 키 홀더가 반납됨이 검출되면, 상기 제1 키 홀더가 반납되었음을 알리는 키 반납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키 반납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키 보관함 중 어느 키 보관함으로 상기 제1 키 홀더가 결합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제1 키 홀더의 반납을 허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1 키 홀더가 초기 등록된 위치로 반납되도록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식별자를 생성하며, 이러한 식별자를 이용하여 키를 관리함에 따라 키의 개수의 제한 없이 효율적이면서도 안정적으로 키를 보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키 보관함을 증설할 수 있으며, 복수의 키 보관함 중 초기 등록된 위치에 키들이 반납되지 않더라도 키들이 수납되어 있는지의 여부와 함께 수납된 키가 적법한 키인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으며, 키들이 초기에 등록된 위치로 반납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키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 보관함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키 홀더 검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 홀더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 보관함의 외부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키 보관함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지능형 키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 반출에 따른 키 관리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 반납에 따른 키 관리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키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지능형 키 관리 시스템(10)은 키 보관함(20)에 보관되는 키들의 반입 및 반출을 검출하고 식별하는 키 검출부(11), 키 보관함(20)의 개폐 여부를 검출하는 개폐 검출부(12), 검출부들(11,12)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들에 따라 키 관리를 수행하는 키 관리 제어부(13), 키 반납이나 반출 등의 수납 상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14), 키의 강제적인 이탈 상태 발생시 이를 경고하는 경고부(15)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키 관리를 위한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16), 원격에 위치된 관제 센터(30)와의 정보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7)를 더 포함한다. 또한 키를 반입하거나 반출하는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18), 키 보관함(20)의 개페를 수행하는 자동 개폐부(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지능형 키 관리 시스템(1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소정 구역으로 출입하는 사용자들을 관리하는 출입 관리 시스템(50)과 연결되어, 상기 구역으로 어떠한 사용자들이 출입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지능형 키 관리 시스템(10)은 출입 관리 시스템(50)으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토대로 직접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또는 별도로 인증은 수행하지 않고 출입 관리 시스템(50)으로부터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출입 관리 시스템(50)은 다양한 수단을 이용하여 출입하는 사용자가 출입에 대한 권한을 부여받은 적법한 사용자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 카드, 지문 인식, 홍채 인식 등 다양한 수단들이 사용될 수 있다.
저장부(16)는 키 보관함(20)에 보관되는 키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제1 저장부(161), 키를 사용할 수 있는 적법한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제2 저장부(162), 그리고 키들의 반출 및 반출 상태를 관리하는 키 관리 테이블이 저장되는 제3 저장부(163)을 포함한다.
제1 저장부(161)에는 키의 수납을 위해 키 보관함(20)에 키가 삽입되면 키들에게 각각 부여된 키 식별 번호가 수신되어 저장된다. 제1 저장부(161)에는 현재 키 보관함(20)에 삽입된 키가 어느 위치에 수납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현재 키 보관함(20)에 수납된 키들에게 부여되어 있는 키 식별 번호별로 해당 키가 수납되는 키 보관함(20)의 위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추후에 설명될 키 홀더가 수납되는 키 보관함(20)의 키 홀더 수납부(21)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며, 예를 들어, 키 홀더 수납부(21)에 부여된 식별 번호일 수 있다.
제2 저장부(162)은 키별로 사용이 가능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식별 번호에 대응하여 사용 가능한 키 식별 번호가 저장되어 있다.
키 관리 제어부(13)는 키 검출부(11)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키의 반납 및 반출 상태를 판단하고, 키 검출부(11)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반납되거나 반출되는 키를 식별하며, 이러한 판단 및 식별 결과를 토대로 키의 사용 상태를 확인하고 키 관리를 수행한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 보관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 보관함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특히 키 보관함의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키 홀더 검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 홀더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 보관함(20)은 복수의 키 홀더들이 장착되는 키 홀더 수납부(21)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키 홀더 수납부(21)는 키 홀더를 꽂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키 홀더 연결공(211), 키 홀더 연결공(211)과 연결되어 있는 신호 수신부(212)를 포함한다. 키 홀더 수납부(21)들의 각 신호 수신부(212)는 키 검출부(11)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키 검출부(11)는 신호 수신부(212)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를 토대로 어느 키 홀더 수납부에 현재 어떤 키 즉, 키 홀더가 수납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키 보관함(20)은 키 홀더 수납부(21)들의 형성되어 있는 패널(22)과, 도어(23)를 포함하며, 패널(22)의 일측 하단부에 도어(23)의 개폐 여부를 검출하는 개폐 검출부(12)가 형성되어 있다. 개폐 검출부(12)는 도어(23)가 닫히는 경우 눌려지는 힘에 의하여 동작되는 스위치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도어(23)가 닫혀져서 눌려지는 경우 온 되고 도어(23)가 열려서 눌림이 해제되면 오프되는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이외에도, 각각의 키 홀더 수납부(21)들에는 수납되는 키 홀더를 고정시키는 잠금 구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잠금 구조는 키 보관함(20)의 패널(22)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각 키들은 각각의 키 홀더에 결합되어 사용된다. 키 홀더(4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할당된 키 식별 번호를 키 보관함(20)의 키 홀더 연결공(211)으로 전달하는 플러그(41), 플러그(41)와 연결되어 있으며 키 식별 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식별 번호 관리부(42), 식별 번호 관리부(42)에 연결되어 있는 제1 가이드부(43), 플러그(41)에 연결되어 있는 제2 가이드부(44), 제1 가이드부(43)와 제2 가이드부(44)에 양단의 연결되며 키가 결속되는 키 링(45)을 포함한다. 여기서 키 링(45)은 탄성력 있는 소재로 형성되므로 키 링(45)의 양단은 제1 가이드부(43)와 제2 가이드부(44)에 항상 접점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외에도, 키 링(45)을 소정 위치에 잠금시키는 잠금부(46)를 더 포함한다. 잠금부(46)는 키 링(45)이 제1 방향으로 설정량 이상 가이드 라인(47)을 따라 이동할 경우, 키 링(45)을 해당 위치에서 고정시켜 제1 가이드부(43)와 제2 가이드부(44)에 연결되도록 한다.
키 링(45)이 잠금부(46)와 체결되지 않은 상태는 첨부한 도 6과 같다. 키 링(45)이 잠금부(46)와 체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키 링(45)의 양측단이 개방되어 있어서, 개방된 양측단 사이로 키를 키 링(45)에 체결시킬 수 있다. 사용되는 키를 키 링(45)에 체결시킨 다음에 키 링(45)을 잠금부(46)가 위치된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가이드 라인(47)을 따라 키 링(45)이 이동하여 도 5와 같이 키 링(45)이 잠금부(46)에 의해 체결되어 키 링(45)의 양단이 제1 가이드부(43)와 제2 가이드부(44)에 각각 연결된다.
키 링(45)이 제1 방향으로 설정량 이상 이동되어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키 링(45)은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사용자는 키를 키 홀더(40)의 키 링(45)에 체결한 다음에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키 링(45)을 잠금부(46)에 체결시켜, 임의로 키를 키 홀더(40)로부터 분리할 수 없도록 한다.
식별 번호 관리부(42)는 해당 키를 식별할 수 있도록 디지털 방식으로 생성된 고유의 키 식별 번호를 저장하며, 플러그(41)가 키 홀더 수납부(21)의 키 홀더 연결공(211)에 결합되면, 플러그(41)를 통하여 고유의 키 식별 번호를 키 검출부(11)로 전달한다. 또한, 식별 번호 관리부(42)는 키 링(45)이 단락되어 키 홀더(40)가 단락된 경우, 키 홀더(40)가 단락된 상태임을 알리는 통신 이상 신호를 생성하여 키 검출부(11)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디지털 방식은 종래 저항 등과 같은 소자에 의해 키 식별 번호를 생성하던 아날로그 방식과 달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키 식별 번호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 홀더와 키 홀더 수납부의 연결 상태에 따른 키 검출 상태를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홀더(40)의 플러그(41)가 키 홀더 수납부(21)의 키 홀더 연결공(211)으로 삽입되면, 플러그(41)가 키 홀더 수납부(21)의 신호 수신부(212)와 결합되면서 통신라인이 형성된다. 따라서, 신호 수신부(212)를 통하여 키 홀더(40)의 플러그(41)로부터 고유의 키 식별 번호에 해당하는 신호가 키 검출부(11)로 입력되며, 키 검출부(11)는 키 홀더(40)의 고유의 키 식별 번호를 수신하고 그에 해당하는 키 검출 신호를 키 관리 제어부(13)로 전달한다. 이러한 키 검출부(11)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키 홀더(40)에서 사용자가 키 링(45)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켜 잠금부(46)를 동작시킨 상태에서, 키 링(45)이 절단되면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통신라인이 단락되어 검출되는 키 검출 신호의 값이 비정상적으로 전달된다. 즉, 키 검출부(11)는 키 링(45)의 식별 번호 관리부(42)로부터 통신 이상 신호를 전달받아 통신라인이 단락되었음을 확인한다. 그리고 키 검출부(11)는 키 홀더(40)가 키 홀더 수납부(21)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단락 상태를 검출하면 이를 키 관리 제어부(13)로 전달하여, 키가 강제적으로 키 홀더(40)로부터 분리된 상태임을 알린다. 키 관리 제어부(13)는 키가 소정 키 홀더로부터 강제적으로 분리된 상태가 검출되면, 통신부(17)를 통하여 관제 센터(30)로 이를 통보하여, 이에 상응하는 후속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키 홀더(40)가 키 홀더 수납부(21)에 결합 및 분리되는 것과, 키 홀더(40)의 키 링(45)이 파손되어 키가 무단으로 절취되는 것을 각각 감지하기 위하여, 키 홀더 수납부(21)에 결합되는 키 홀더(40)의 플러그(41)를 스테레오 잭 또는 오디오 잭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스테레오 잭 형태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단자가 둘 이상이므로, 두 개의 채널 단자를 이용하여 하나의 통신라인이 형성되도록 한다. 즉, 첫 번째 채널 단자(T1)가 식별 번호 관리부(42)의 일단에 연결되고, 식별 번호 관리부(42)의 타단이 제1 가이드부(43)에 연결되며, 제1 가이드부(43)에 키 링(45)이 연결되며, 키 링(45)에 제2 가이드부(44)가 연결되며, 제2 가이드부(44)가 두 번째 채널 단자(T2)에 연결하도록 하여 하나의 통신라인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렇게 형성된 하나의 통신라인을 통해 식별 번호 관리부(42)에 저장된 키 홀더의 키 검출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키 링(45)을 감지하는 통신 이상 신호를 검출 할 수 있다.
따라서, 키 홀더(40)가 키 홀더 수납부(21)에 결합되고 키 링(45)이 절단되지 않은 경우에는, 식별 번호 관리부(42)에 저장된 키 검출 신호가 첫 번째 채널 단자(T1)로부터 플러그(41)를 통해 키 검출부(11)로 전달되어 제어부(13)로 전달된다. 그러나 키 홀더 수납부(21)에 결합되고 키 링(45)이 절단된 경우에는, 통신라인에 정상적인 루프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식별 번호 관리부(42)에 저장된 통신 이상 신호가 첫 번째 채널 단자(T1)로부터 플러그(41)를 통해 키 검출부(11)로 전달되어 키 관리 제어부(13)로 전달된다. 키 관리 제어부(13)는 키 링(45)이 절단되어 키가 무단으로 절취된 상태임을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키 관리 제어부(13)는 통신부(17)를 통하여 관제 센터(30)로 이를 통보한다.
이외에도 예를 들어, 키 관리 제어부(13)는 입력부(18)를 통하여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개폐 검출부(12)를 통하여 키 보관함(20)이 개방된 것으로 검출되고, 키 검출부(11)를 통하여 통신라인이 단락된 상태가 검출되면, 키 홀더(40)가 키 홀더 수납부(21)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키 홀더(40)로부터 키가 강제적으로 분리되어 절취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상 신호를 관제 센터(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키 홀더(40)가 키 보관함(20)의 키 홀더 수납부(21)로부터 인출된 다음에 키 링(45)이 절단되면서 상기 키홀더(40)로부터 무단으로 키가 절취된 후, 키 홀더(40)가 키 보관함(20)에 반납된 경우에도 키 검출부(11)가 상기 통신라인의 단락 상태를 검출하여 이를 키 관리 제어부(13)로 전달하며, 키 관리 제어부(13)는 이러한 상태를 통신부(17)를 통하여 관제 센터(3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키 관리 제어부(13)는 입력부(18)를 통하여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고 개폐 검출부(12)를 통하여 키 보관함(20)이 개방된 이후에도, 해당 사용자가 인출한 키 홀더가 반납된 것으로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키 홀더가 반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키가 상기 키 홀더로부터 무단으로 절취되어 상기 통신라인이 단락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이상 신호를 관제 센터(3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14)는 키 보관함(20)에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키 보관함(20)에 키를 반입하거나 반출하는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18)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 보관함의 외부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키 보관함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지능형 키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4)는 키 보관함(20)의 도어(23) 외부에 형성되어, 키 보관함(20)에 현재 수납되어 있는 키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즉, 표시부(14)는 키 보관함(20)에 삽입된 키가 어느 위치에 수납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홀더 수납부(21)의 식별 번호를 표시하거나 또는 각각의 키 홀더 수납부(21)에 해당 키 홀더가 수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며, 예를 들어 단순히 점멸 동작에 의하여 키의 수납 상태를 나타내는 복수의 키 식별등이나, 홀더 수납부(21)의 식별 번호를 디지털 정보 등의 형태로 표시하는 복수의 LED 또는 액정 표시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표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이것은 하나의 예일 뿐이며, 표시부(14)는 키 보관함(20) 이외의 어느 곳에나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8)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예를 들어, 도 7에서와 같이 사용자 식별 번호가 내장된 카드를 판독하는 카드 판독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에도, 입력부(18)로 사용자 식별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키들로 이루어진 키패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키 보관함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능형 키 관리 시스템(10)에 복수 개로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의 키 보관함(201-20N)은 반입 및 반출되는 복수의 키 홀더에 관한 정보를 지능형 키 관리 시스템(10)으로 전달한다. 이처럼 하나의 지능형 키 관리 시스템(10)에 키 보관함이 복수 개로 증설 가능한 것은 키 홀더(40)에 저장된 키 식별 번호가 종래와 같이 저항을 이용한 아날로그 방식으로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방식에 의해 생성됨에 따라 복수의 키 보관함 중 어느 곳에 키 홀더가 수납되더라도 해당 키 식별 번호를 인식하여 지능형 키 관리 시스템(10)으로 전달하여 키의 반입 및 반출을 판단하여 동작하므로 도 8에서와 같이 키 보관함을 복수 개로 증설할 수 있다. 또한, 키 홀더(40)에 저장된 키 식별 번호가 종래와 같이 저항을 이용한 아날로그 방식으로 생성되는 경우, 초기 키 홀더(40)가 등록된 키 보관함에서는 위치 인식이 가능하지만 다른 키 보관함에서는 위치 인식되지 않아 키 보관함을 증설할 수 없었던 반면 본 발명에서와 같은 구조를 갖는 키 홀더(40)에 저장된 키 식별 번호를 이용하면 키 보관함을 복수 개로 증설할 수 있으며, 모든 복수의 키 보관함에서 키 홀더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조를 토대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특히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 반출에 따른 키 관리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 반납에 따른 키 관리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에서는 도 8에 도시한 지능형 키 관리 시스템(10)에 복수의 키 보관함(201-20N)이 연결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키를 고유의 키 홀더(40)에 결합시켜 사용하며, 키 홀더(40)에는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식별 가능한 디지털 방식으로 생성된 고유의 키 식별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이러한 각각의 키 홀더들은 복수의 키 보관함(201-20N)에 수납되어 관리되며, 사용자들은 소정 구역에 설치되는 복수의 키 보관함(201-20N)에 수납된 키 홀더들을 반출하여 사용하고, 사용이 끝나면 키 홀더들을 복수의 키 보관함(201-20N)에 반납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키 관리 시스템(10)은 이러한 키 홀더들의 키 반출 및 반납 상태를 관리하면서, 부적합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키 보관함(201-20N)이 경비 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예로 들었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키 관리 시스템(10)에 의하여 출입 관리 및 방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경비 구역에, 출입 및 키 사용 권한을 부여 받은 적법한 사용자가 입장하면, 지능형 키 관리 시스템(1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출입 관리 시스템(50)으로부터 입장한 사용자에 대한 출입자 정보를 제공받는다. 여기서 출입자 정보는 사용자 식별 번호를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인증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출입 관리 시스템(50)이 출입하는 사용자들을 인증하고, 적법한 사용자로 인증된 경우에 사용자들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지능형 키 관리 시스템(10)은 전송되는 출입자 정보를 토대로 현재 어떠한 사용자가 입장하였는지를 판별한다(S100). 이후 사용자가 복수의 키 보관함(201-20N) 중 사용자의 키가 보관된 키 보관함(201)을 열면, 해당 키 보관함의 도어(23)의 개방에 따라 개폐 검출부(12)가 온되어 그에 해당하는 도어 개방 신호를 키 관리 제어부(13)로 출력한다(S11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키 보관함(201-20N) 중 키 보관함(201)에 사용자의 키가 보관된 것으로 가정한다.
키 보관함(201)의 도어(23)가 개방되어 사용자가 키 홀더 수납부(21)에 수납되어 있는 다수의 키 홀더들 중에서 하나의 키 홀더(40)를 반출하면, 해당 키 홀더(40)의 플러그(41)가 키 홀더 수납부(21)의 신호 수신부(212)와 분리되면서 키 홀더 연결공(211)으로부터 이탈된다. 이에 따라 신호 수신부(212)에 연결되어 있는 키 검출부(11)는 해당 키 홀더 수납부(21)에 수납되어 있던 키 홀더(40)가 반출되었음을 나타내는 키 반출 신호를 키 관리 제어부(13)로 전달한다(S120). 여기서 키 반출 신호는 키 홀더가 반출된 키 홀더 수납부(21)에 부여된 식별 번호, 반출된 키 홀더의 키 식별 번호를 포함한다.
키 관리 제어부(13)는 키 검출부(11)로부터 전달되는 키 반출 신호를 토대로 복수의 키 보관함(201-20N) 중 어느 키 보관함의 키 홀더 수납부에 있던 키 홀더(40)가 반출되었는지를 판단하고(S130), 해당 키 홀더(40)의 반출 상태를 저장부(16)의 제3 저장부(163)의 관리 테이블에 저장한다(S140). 예를 들어, 키 반출 신호에 포함된 해당 키 홀더 수납부의 식별 번호, 해당 키 홀더의 키 식별 번호, 반출 상태 코드를 관리 테이블에 저장하며, 필요에 따라 해당 키 홀더를 반출한 사용자의 식별 번호를 추가적으로 대응시켜 저장한다. 이에 따라 어떤 사용자가 복수의 키 보관함(201-20N) 중 어느 키 보관함에서 어떤 키 홀더를 사용하였는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고, 이러한 관리 테이블을 토대로 키 홀더 이용 상태를 파악할 수도 있다. 여기서, 키 홀더 수납부의 식별 번호에는 복수의 키 보관함(201-20N) 중 어느 키 보관함에 위치하는 키 홀더 수납부 인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해당 키 보관함에 대한 정보도 포함된다.
한편, 키 홀더별로 사용 가능한 사용자들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 키 홀더가 반출되면 적법한 사용자만이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의 단계(S130)에서 키 반출 신호가 전달되면, 키 관리 제어부(13)는 키 반출 신호에 포함된 키 식별 번호를 토대로 저장부(16)의 제2 저장부(162)을 검색하여 해당 키 식별 번호에 대응되어 있는 사용자 식별 번호를 찾는다. 그리고 찾아진 사용자 식별 번호와 상기 키 반출 신호에 포함되어 있던 사용자 식별 번호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사용자가 해당 키 홀더(40)를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만약에 일치하지 않는 경우, 키 관리 제어부(13)는 경고부(15)를 작동시켜 해당 키 홀더를 사용할 수 없음을 경고한다. 이에 따라 출입 카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면 키 보관함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에, 단지 출입 카드를 이용하여 소정 구역 내에 출입만 하면 모두 키 보관함에 수납되어 있는 키들을 사용하도록 함에 따라 발생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과정들을 통하여 복수의 키 홀더가 복수의 키 보관함(201-20N)으로부터 반출되어 사용된 다음에 사용자들이 반출한 키 홀더를 반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과정이 수행된다.
도 10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키 홀더(40)를 반납하기 위하여 복수의 키 보관함(201-20N) 중 소정의 키 홀더 수납부(21)에 키 홀더(40)의 플러그(41)를 삽입하면, 키 홀더 수납부(21)의 신호 수신부(212)를 통하여 키 홀더(40)의 플러그(41), 식별 번호 관리부(42), 제1 가이드부(43), 키 링(45) 및 제2 가이드부(44)를 통해 통신라인이 형성되어, 키 검출부(11)는 키 홀더(40)의 식별 번호 관리부(42)에 저장된 키 식별 번호를 전달받는다. 그리고 반납된 키 홀더에서 검출된 키 식별 번호를 토대로 키 반납 신호를 생성하여 키 관리 제어부(13)로 전달한다. 여기서 키 반납 신호는 해당 키 홀더에 저장된 키 식별 번호 그리고 복수의 키 보관함(201-20N) 중 반납된 키 홀더가 위치된 해당 키 보관함의 키 홀더 수납부의 식별 번호를 포함한다(S200∼S210).
키 관리 제어부(13)는 복수의 키 보관함(201-20N) 중 어느 키 보관함에 반납되었는지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키 관리 제어부(13)는 전달된 키 반납 신호에 포함된 키 식별 번호를 토대로 저장부(16)의 제1 저장부(161)에서 키 식별 번호와 키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키 홀더 수납부의 식별 번호를 검색한다. 그리고 키 관리 제어부(13)는 키 반납 신호에 포함된 키 식별 번호와 키 홀더 수납부의 식별 번호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220). 키 관리 제어부(13)는 일치하는 경우 해당 키 홀더(40)의 반납이 이루어지도록 허용하고(S230), 일치하지 않는 경우 표시부(14)나 경고부(15)를 통하여 현재 키 홀더(40)가 원래의 위치로 반납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이상 반납 상태를 표시한다(S240). 그리고 키 관리 제어부(13)는 복수의 키 보관함(201-20N) 중 키 홀더(40)가 반납되어야 하는 원래의 위치의 키 보관함의 키 홀더 수납부의 식별 번호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초기 키 홀더(40)를 등록한 올바른 위치로 키 홀더(40)를 반납하도록 유도한다(S250). 한편 키 관리 제어부(13)는 제3 저장부(163)에 있는 키 관리 테이블에 저장된 반출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키 홀더가 초기 등록된 적정 위치로 반납되었는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키 홀더(40)의 반납 시 키 홀더(40)가 복수의 키 보관함(201-20N) 중 어느 키 보관함의 키 홀더 수납부(21)에 초기 등록되었는지를 나타내는 키 홀더 수납부의 식별 번호와 해당 키에 할당된 키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키가 올바른 위치로 반납되었는지 판단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키에 할당된 키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키가 복수의 키 보관함(201-20N) 중 소정의 위치에 반납되었는지의 여부만 판단할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반납기준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키 홀더(40)의 반납이 이루어지면, 키 관리 제어부(13)는 제3 저장부(163)의 관리 테이블에 키 홀더(40)의 키 식별 번호에 대응하여 키 홀더(40)가 반납되었음을 나타내는 반납 상태 코드를 저장한다(S260). 이에 따라 어떠한 사용자가 사용한 어떤 키 홀더를 반납하였는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출입 관리 시스템(50)으로부터 소정 사용자가 나가려고 하는 퇴장 신호가 전달되면, 키 관리 제어부(13)는 퇴장 신호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 번호를 토대로 저장부(16)의 제3 저장부(163)을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가 사용한 키 홀더를 모두 반납하였는지를 확인한다.
제3 저장부(163)의 관리 테이블에서 사용자 식별 번호를 가지는 사용자가 어떠한 키 홀더들을 반출하였는지를 확인하고, 해당 키 홀더들이 또한 반납되었는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소정 키 홀더를 반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반납되지 않은 경우에는 표시부(14) 또는 경고부(15)를 통하여 키 홀더 미반납 상태를 표시한다. 이 때, 해당 사용자가 반납하지 않은 키 홀더들의 식별 번호가 표시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실시 예에 따르면, 어떠한 사용자가 출입하여 어떠한 키 홀더를 사용하고 사용된 키 홀더를 반납하였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하여 키들을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위의 실시 예에서는 지능형 키 관리 시스템(10)이 출입 관리 시스템(50)을 통하여 제공되는 출입한 사용자들의 사용자 식별 번호를 토대로 어떠한 사용자가 현재 복수의 키 보관함(201-20N) 중 어느 키 보관함에 있는 키 홀더들을 사용하는지를 확인하였지만, 이와는 달리 도 7에서와 같이, 키 보관함(20)에 형성되어 있는 입력부(18)를 통하여 제공되는 정보를 토대로 어떠한 사용자가 키 홀더를 사용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출입 관리 시스템(50)을 통하여 인증을 받고 입장하여도 복수의 키 보관함(201-20N) 중 어느 하나를 열고자 하는 경우, 입력부(18)를 통하여 사용자 식별 번호를 입력하거나 또는 출입 카드 등을 사용하여 출입 카드가 판독되도록 한다.
입력부(18)는 입력되거나 판독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키 관리 제어부(13)로 전달하며, 키 관리 제어부(13)는 전달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토대로 해당 사용자가 복수의 키 보관함(201-20N)에 수납된 키 홀더들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인지를 판단한다. 즉, 제2 저장부(162)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 정보들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가 키 홀더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인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키 홀더들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만 키 관리 제어부(13)는 자동 개폐부(19)를 동작시켜 해당 키 보관함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물론 키 보관함(20)의 개방이 이루어진 다음에는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키 홀더의 반출이 이루어지면 해당 키 홀더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인지를 확인하는 단계가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출입만 가능한 사용자가 키를 사용하고자 하는지, 출입도 가능하고 키 보관함도 개폐할 수 있는 사용자가 키를 사용하고자 하는지, 출입도 가능하고 키 보관함도 개폐할 수 있고 소정 키 홀더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가 키를 사용하고자 하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하여, 키 홀더에 결합된 키들을 안정적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위에 기술된 키 홀더를 반납 과정에서 키 관리 제어부(13)는 키 홀더(40)의 키 링(45)이 절단되어 키가 무단으로 절취된 상태가 검출되면, 이를 통신부(17)를 통하여 관제 센터(30)로 통보하여, 후속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6)

  1. 키 보관함과 연동하여 동작하며 사용자의 키가 체결되어 있는 키 홀더에 있어서,
    상기 키 보관함의 키 홀더 수납부에 삽입되며, 상기 키를 관리하기 위한 통신라인의 형성을 위해 적어도 두 개의 단자를 포함하는 플러그,
    상기 플러그의 적어도 두 개의 단자 중 제1 단자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키 홀더에 할당된 키 식별 번호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식별 번호 관리부,
    상기 식별 번호 관리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1 가이드부,
    상기 플러그의 적어도 두 개의 단자 중 상기 제1 단자를 제외한 제2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제2 가이드부, 그리고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에 양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키를 체결하는 키 링
    을 포함하는 키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링을 소정의 위치에 잠금 시키는 잠금부, 그리고
    상기 키 링에 상기 키가 체결된 후 상기 키 링을 상기 잠금부가 위치된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 라인을 더 포함하는 키 홀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링에 상기 키가 체결된 후 상기 플러그가 상기 키 홀더 수납부의 신호 수신부와 결합되면,
    상기 키 보관함의 상기 플러그의 제1 단자, 상기 식별 번호 관리부, 상기 제1 가이드부, 상기 키 링 및 상기 제2 가이드부의 경로를 통해 상기 통신라인이 형성되는 키 홀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번호 관리부는,
    상기 통신라인을 통해 상기 키 식별 번호를 상기 키 홀더 수납부의 신호 수신부로 전달하는 키 홀더.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번호 관리부는,
    상기 키 링에 상기 키가 체결되어 상기 잠금부에 의해 잠금된 상태에서 상기 통신라인이 단락되면 상기 키 홀더가 단락된 상태임을 알리는 통신 이상 신호를 상기 키 홀더 수납부의 신호 수신부로 전달하는 키 홀더.
  6. 네트워크를 통하여 출입 관리 시스템과 연계하여 복수의 키 보관함에 수납되는 복수의 키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가 체결되어 있는 복수의 키 홀더에 각각 할당된 키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키 홀더의 반출 및 반납을 검출하는 키 검출부,
    상기 복수의 키 홀더의 반출 상태 및 반납 상태를 기록하는 저장부,
    상기 출입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인증받은 사용자에 대한 정보와 함께 상기 복수의 키 보관함으로부터 반출되는 제1 키 홀더의 반출을 관리하고, 반출된 상기 제1 키 홀더의 반납을 관리하며, 상기 제1 키 홀더의 반출 상태 및 반납 상태를 상기 저장부에 기록하는 키 관리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키 관리 제어부는,
    상기 제1 키 홀더의 반출 시, 상기 제1 키 홀더가 결합되어 있던 해당 키 보관함으로부터 반출되었음을 알리는 키 반출 신호를 상기 키 검출부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해당 키 보관함을 확인하며,
    상기 제1 키 홀더의 반납 시, 상기 제1 키 홀더가 복수의 키 보관함 중 어느 키 보관함과 결합되었는지를 알리는 키 반납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키 홀더가 반납된 키 보관함을 확인하는 키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키 반출 신호는 상기 제1 키 홀더의 키 식별 번호 및 상기 제1 키 홀더의 반출 시 복수의 키 보관함 중 상기 제1 키 홀더가 결합되어 있던 해당 키 보관함의 키 홀더 수납부에 부여된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키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키 관리 제어부는,
    상기 제1 키 홀더의 반출 시, 상기 제1 키 홀더의 키 식별 번호 및 상기 제1 키 홀더가 결합되어 있던 해당 키 보관함의 키 홀더 수납부에 부여된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키 보관함 중 어느 키 보관함에서 상기 제1 키 홀더가 반출되었는지 판단하여 상기 반출 상태를 저장하는 키 관리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키 반납 신호는 상기 제1 키 홀더의 키 식별 번호 및 상기 제1 키 홀더의 반납 시 복수의 키 보관함 중 상기 제1 키 홀더가 결합한 해당 키 보관함의 키 홀더 수납부에 부여된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키 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키 관리 제어부는,
    기 제1 키 홀더의 반납 시, 상기 제1 키 홀더의 키 식별 번호 및 상기 제1 키 홀더가 결합한 해당 키 보관함의 키 홀더 수납부에 부여된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키 보관함 중 어느 키 보관함에 상기 제1 키 홀더가 반납되었는지 판단하여 상기 반납 상태를 저장하는 키 관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키 관리 제어부는,
    상기 제1 키 홀더의 키 식별 번호 및 상기 제1 키 홀더가 결합한 해당 키 보관함의 키 홀더 수납부에 부여된 식별 번호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내용과 일치하지 않으면, 초기 제1 키 홀더가 등록된 위치로 상기 제1 키 홀더의 반납을 유도하는 키 관리 시스템.
  12. 네트워크를 통하여 출입 관리 시스템과 연계하여 복수의 키 보관함에 수납되는 복수의 키를 관리하는 시스템의 키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출입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 입장을 알리는 정보가 전송되고, 상기 복수의 키 보관함 중 상기 사용자의 키가 체결된 제1 키 홀더가 해당 키 보관함으로부터 반출됨이 검출되면, 상기 제1 키 홀더가 반출되었음을 알리는 키 반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키 홀더를 반출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와 상기 키 반출 신호를 포함하는 반출 상태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 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키 보관함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제1 키 홀더가 반납됨이 검출되면, 상기 제1 키 홀더가 반납되었음을 알리는 키 반납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키 반납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키 보관함 중 어느 키 보관함으로 상기 제1 키 홀더가 결합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제1 키 홀더의 반납을 허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1 키 홀더가 초기 등록된 위치로 반납되도록 유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키 관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키 반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키 홀더의 반출 시 상기 제1 키 홀더의 키 식별 번호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복수의 키 보관함 중 상기 제1 키 홀더가 결합되어 있던 해당 키 보관함의 키 홀더 수납부에 부여된 식별 번호를 전달받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키 홀더의 키 식별 번호와 상기 제1 키 홀더가 결합되어 있던 해당 키 보관함의 키 홀더 수납부에 부여된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키 반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키 관리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키 반납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키 홀더의 반납 시 상기 제1 키 홀더의 키 식별 번호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복수의 키 보관함 중 상기 제1 키 홀더가 결합한 해당 키 보관함의 키 홀더 수납부에 부여된 식별 번호를 전달받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키 홀더의 키 식별 번호와 상기 제1 키 홀더가 결합한 해당 키 보관함의 키 홀더 수납부에 부여된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키 반납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키 관리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키 반납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 키 홀더의 키 식별 번호와 상기 제1 키 홀더가 결합한 해당 키 보관함의 키 홀더 수납부에 부여된 식별 번호가 저장된 해당 내용과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제1 키 홀더가 상기 초기 등록된 위치로 반납되도록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키 관리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키 반납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 키 홀더의 키 식별 번호와 상기 제1 키 홀더가 결합한 해당 키 보관함의 키 홀더 수납부에 부여된 식별 번호가 저장된 해당 내용과 일치하면, 상기 제1 키 홀더의 반납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키 관리 방법.
KR1020100010089A 2010-02-03 2010-02-03 키 홀더, 키 홀더를 관리하는 지능형 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58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089A KR101158093B1 (ko) 2010-02-03 2010-02-03 키 홀더, 키 홀더를 관리하는 지능형 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089A KR101158093B1 (ko) 2010-02-03 2010-02-03 키 홀더, 키 홀더를 관리하는 지능형 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361A true KR20110090361A (ko) 2011-08-10
KR101158093B1 KR101158093B1 (ko) 2012-07-03

Family

ID=44928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089A KR101158093B1 (ko) 2010-02-03 2010-02-03 키 홀더, 키 홀더를 관리하는 지능형 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809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768B1 (ko) * 2016-05-02 2016-12-22 주식회사 신생 키박스를 구비한 이중 보안 연계형 물품 보관함
JP2019027203A (ja) * 2017-08-01 2019-02-21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物品管理機、管理部材および物品管理方法
JP2022020819A (ja) * 2017-08-01 2022-02-01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物品管理機、管理部材および物品管理方法
CN114022977A (zh) * 2021-10-20 2022-02-08 江西锐盾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智能钥匙箱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2545A (ja) * 2002-02-18 2003-08-29 Mei Kawamura 貸出管理装置
KR100933603B1 (ko) 2009-07-14 2009-12-23 문덕영 전기정 키 보관함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768B1 (ko) * 2016-05-02 2016-12-22 주식회사 신생 키박스를 구비한 이중 보안 연계형 물품 보관함
JP2019027203A (ja) * 2017-08-01 2019-02-21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物品管理機、管理部材および物品管理方法
JP2022020819A (ja) * 2017-08-01 2022-02-01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物品管理機、管理部材および物品管理方法
CN114022977A (zh) * 2021-10-20 2022-02-08 江西锐盾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智能钥匙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8093B1 (ko) 2012-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0700B1 (en) Vehicle key system
EP3142036B1 (en) Device security management apparatus, financial processing system, device security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KR101158093B1 (ko) 키 홀더, 키 홀더를 관리하는 지능형 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28936A (ko) 서류 관리 시스템
WO2011155899A1 (en) A secure access system employing biometric identification
KR100823204B1 (ko) 보관함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WO2013082443A1 (en) Biometric security apparatus for access and control of a physical locking storage unit
KR20090027961A (ko) 자동문서관리 기능을 구비한 캐비닛 장치
KR20190051751A (ko)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제어 방법
US20100237989A1 (en) Goods management device and goods management system
CN107316356A (zh) 控锁方法和控锁系统
JP2002021383A (ja) 物品保管庫及び物品管理システム
CN213297610U (zh) 一种设有二道门的保管柜
JP3548693B2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KR101018859B1 (ko) 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5584501B2 (ja) 鍵管理システム
CN110223420A (zh) 一种指纹开锁系统
US11544980B2 (en) Electronic key storage device
KR102067067B1 (ko) 고객 처의 차량 이동식 키 금고 키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이동식 키 금고 키 관리 방법
JP4950253B2 (ja) 鍵管理システム
KR101260652B1 (ko) 키 관리 시스템 및 키 관리 방법
KR100634567B1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US11842587B1 (en) System, comprising a lock unit for a cabinet and at least one portable user terminal
KR102546283B1 (ko) 전자 키 보관장치
KR100681754B1 (ko) 이중 인증을 통한 보관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