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8863A - Finger insert cutlery - Google Patents

Finger insert cutl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8863A
KR20110088863A KR1020100008575A KR20100008575A KR20110088863A KR 20110088863 A KR20110088863 A KR 20110088863A KR 1020100008575 A KR1020100008575 A KR 1020100008575A KR 20100008575 A KR20100008575 A KR 20100008575A KR 20110088863 A KR20110088863 A KR 20110088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lery
finger
insertable
main body
assisting to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5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남구
Original Assignee
이남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남구 filed Critical 이남구
Priority to KR1020100008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8863A/en
Publication of KR20110088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863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2Forks; Forks with ejectors; Combined forks and spoons; Salad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4For person with a handica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47G2400/025Avoiding contact with unclean surface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PURPOSE: A finger insertion type tableware tool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who is not accustomed to using tableware tools to easily use the tableware tools. CONSTITUTION: A finger insertion type tableware tool includes auxiliary units(120,220) which are equipped in the upper part of the tableware tool main bodies(110,210) in order to insert user's hand thereinto. The main body is formed in a shape of chopsticks. The bottom end of the main body is formed to have a certain area in order to pick up food.

Description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A dining device of finger inserting type}A dining device of finger inserting type}

본 발명은 식기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기도구의 상단부에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보조구를 구비함으로써 식기도구의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라도 손쉽게 식기도구을 사용할 수 있는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tl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nger-insertable cutlery which can be easily used by a person who is not familiar with the use of the cutlery by providing an auxiliary tool for inserting a finger on the upper part of the cutlery.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섭취하기 위하여 포크, 나이프, 숟가락, 젓가락 등의 식기도구를 사용함으로써 손으로 직접 음식물을 집어먹는 것에 비해 위생적인 생활을 영위하고 있다.In general, by using cutlery such as forks, knives, spoons, and chopsticks to ingest foods, they lead a hygienic life compared to eating foods by hand.

그리고 간단히 음식물을 포크로 집거나 숟가락으로 떠서 음식물을 섭취하는 식생활이 있는 반면에 아시아 지역, 특히 한국, 중국, 일본에서는 식기도구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집어 올림으로써 음식물을 섭취하는 식생활을 오랫동안 유지하고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diet where people simply eat food with a fork or spoon, while in Asia, especially Korea, China, and Japan, they use a tableware to pick up food to maintain their diet.

그러나 식기도구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집는 것은 포크나 숟가락과 같은 다른 도구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집는 것에 비하여 훨씬 고난이도의 기술을 요구한다.However, picking food using utensils requires much more advanced skill than picking food using other tools such as forks and spoons.

또한 식기도구, 특히 젓가락을 올바르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복적인 학습을 통하여 습관화하여야하며, 유아시절에 올바른 식기도구 방법을 배우지 못하면 성인이 되어 올바르게 식기도구를 사용하도록 교정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Also, in order to use utensils, especially chopsticks, it is necessary to make them habitual through repetitive learning. If children do not learn how to make utensils correctly during the early years, it takes a lot of time to correct them as adults.

또한, 성인이 노령화되거나 손에 질병이 발생하거나 부상 및 장애를 당하게 되어 손가락을 구부리기가 어려운 경우 종래의 식기도구를 취부하기가 어려워 사용할 수 없었고, 특히 젓가락의 경우에는 그것을 사용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하였다.In addition, when an adult is aging, a hand disease, an injury and a disability make it difficult to bend a finger, it is difficult to use conventional utensils, and in the case of chopsticks, in particular, it is impossible to use it. Occurred.

특히, 관광산업의 발전에 따라 많은 외국인들이 우리 나라를 찾게 되었고, 외국인들이 한국 음식을 즐기게 되었으나, 한국 음식 중에는 포크보다는 젓가락이 어울리는 음식이 상당수가 존재하여 젓가락 사용이 익숙하지 못한 외국인들은 한국 음식을 먹는데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In particular, with the development of the tourism industry, many foreigners visited Korea, and foreigners enjoyed Korean food. However, many Korean foods are suitable for chopsticks rather than forks. There was an inconvenience in eat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식기도구의 사용에 익숙하지 못한 외국인이나 어린이 또는 노약자들이 손쉽게 식기도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finger-insertable cutlery that allows foreigners, children or elderly people who are not familiar with the use of cutlery can easily use the cutlery.

또한, 본 발명은 단순히 보조구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교육이나 노력을 들이지 않고도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는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nger-insertable cutlery that can be used freely without additional training or effort by simply inserting the finger into the assisting tool.

또한, 본 발명은 식기도구 본체의 상단부에 보조구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통상의 식기도구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을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nger-insertable cutlery that can be used as a normal cutlery by being provided in the upper end of the cutlery main body detachabl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길이를 갖는 식기도구에 있어서, 상기 식기도구 본체의 상단부에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깊이의 삽입홈을 갖는 보조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tlery having a certain length,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tool having an insertion groove of a predetermined depth so that the finger can be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cutlery main body.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기도구는 젓가락일 수 있다.Preferably, the cutlery may be chopsticks.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기도구는 수저일 수 있다.Preferably, the cutlery may be a cutlery.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기도구는 포크일 수 있다.Preferably, the cutlery may be a fork.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홈은 중앙부가 오목하도록 서서히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손가락의 끝단이 밀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to be gradually inclined so as to concave the center portion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end of the finger.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구는 개구된 상부 테두리를 따라 밴드부가 구비되어 손가락 삽입시 상기 밴드부가 손가락에 밀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assisting tool is provided with a band portion along the open upper edge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nger when the finger insert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홈은 내측에 깊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융기부가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insertion groove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raised portion protruding in the depth direc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구는 상기 식기도구 본체의 상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assisting tool may be detachably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cutlery body.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구는 그 하부가 상기 식기도구 본체의 상단부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assisting tool may be screwed in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utlery main body.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구는 그 하부가 상기 식기도구 본체의 상단부에 억지끼움될 수 있다.Preferably, the assisting tool may be fitted at its lower end to the upper end of the cutlery body.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는 식기도구 본체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보관대가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finger-insertable cutlery may be provided with a storage table into which one end of the cutlery body is inserted.

또한, 본 발명은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단이 개구되고 일정길이를 갖는 본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is opened so that the fingers can b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having a certain length.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는 살균 및 소독처리가 이루어진 후 밀폐 포장될 수 있다.Preferably, the finger-insertable cutlery may be hermetically packaged after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식기도구 사용에 익숙하지 못한 외국인이나 어린이 또는 노약자들이 별도의 교육이나 노력을 들이지 않고도 단순히 보조구에 손가락을 삽입함으로써 손가락으로 직접 음식물을 집는 것과 같이 자유자재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foreigners, children or elderly people who are not used to using utensils can conveniently and conveniently pick up food directly with their fingers by simply inserting their fingers into the assisting tools without additional education or effor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s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a)는 젓가락형 b)는 수저형 c)는 포크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보조구와 본체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a)는 억지끼움 결합인 경우 b)는 나사결합인 경우.
도 3은 본 발명에 구비되는 보조구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이 보관대에 보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nger insert-type cutl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chopstick b) a cutlery c) is a fork type.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assisting tool and the main body a) is a case of interference fit b) is a case of screwing.
3 is a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assisting tool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tate of use of the finger-insertable cutl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finger-insertable cutl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in a storage stand.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nger-insertable cutl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a)는 젓가락형 b)는 수저형 c)는 포크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보조구와 본체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a)는 억지끼움 결합인 경우 b)는 나사결합인 경우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구비되는 보조구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이 보관대에 보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nger-insertable cutl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chopstick b) cutlery c) is a fork type,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assisting tool and the main body a) is a case of interference fit b) is a case of screw connec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assisting tool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tate of use of the finger-insertable cutl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finger-insertable cutl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in a storage stand,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nger-insertable cutl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을 표시하였다 하더라도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to refer to the same elements even though different drawings are used to ad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100,200,300)는 음식물을 집을 수 있도록 일정길이를 갖는 식기도구에 있어서, 식기도구 본체(110,210,310)의 상단부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보조구(120,220)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아무런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가락으로 직접 음식물을 집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Finger-insertable cutlery (100, 200, 3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tlery having a certain length to pick up food, aids to allow the user to insert a finger on the upper end of the cutlery main body (110,210,310) ( 120,220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be used in the same manner as the user directly picks food with a finger without using any tools.

이러한 본 발명의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100,200,30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음식물을 집는 통상의 젓가락 상부에 보조구가 구비될 수도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수저의 상부에 보조구를 구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Finger-insertable cutlery (100, 200,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pairs may be provided with an auxiliary tool on the upper portion of the usual chopsticks to pick up food, or may be provided with an auxiliary tool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mmonly used cutlery.

즉,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는 공지의 젓가락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상부에 보조구(120,220)가 구비되어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0)의 하부단이 음식물을 뜰 수 있도록 일정면적을 갖는 형태로 구비되고 그 상부에 보조구(120,220)가 구비되어 손가락을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10)의 하부가 공지의 포크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상부에 보조구(120,220)가 구비되어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1a the main body 110 is formed in the form of a known chopsticks and the auxiliary tool (120,220) is provided on the top may be provided to insert a finger, as shown in Figure 1b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210 may be provided in a form having a predetermined area to float food, and the auxiliary tools 120 and 220 may b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to insert and use a finger, as shown in FIG. 1C. Likewise,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310 may be formed in a known fork shape, and the auxiliary holes 120 and 22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thereof to insert a finger.

상기 보조구(120,220)는 사용자의 손가락 끝이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로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삽입홈(122)이 구비된다.The assisting tool (120, 220) is a portion of the user's finger tip is inserted, the upper portion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groove 122 is formed to be recessed to a certain depth to the bottom.

이때, 상기 삽입홈(122)은 그 중앙부가 오목하도록 테두리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서서히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원호의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는 사람의 손가락 끝 부분과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손가락 끝 부분이 삽입홈(122)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밀착력을 높이고 착용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insertion groove 122 is preferably provided to be gradually inclined toward the center from the edge so that the center portion is concave. This is to increase the adhesion and increase the wearing comfort by being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finger tip of the person bent in the shape of an arc so that the finger tip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ertion groove 122.

한편, 유아, 어린이, 성인, 노약자 등과 같이 사용자에 따라서 손가락의 굵기가 다르고 엄지,검지,중지 등 손가락 부위에 따라서 그 굵기가 다르므로 상기 삽입홈(122)의 형성폭을 다양하게 형성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thickness of the finger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user, such as infants, children, adults, senior citizens and the like, and the thickness of the finger, such as thumb, index finger, middle finger, etc., the width of the insertion groove 122 is formed in various ways.

그리고, 상기 보조구(120,220)에 구비되는 삽입홈(122)의 깊이는 손가락 끝마디의 길이보다 짧도록 형성함으로써 손가락 관절의 구부림이 방해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epth of the insertion groove 122 provided in the auxiliary tool (120, 220) is preferably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ingertip so that the bending of the finger joint is not disturbed.

이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122)이 구비되는 보조구(120,22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122)에 삽입된 손가락과 보조구(120,220)와의 밀착력을 높여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개구된 상부 테두리를 따라 탄력성을 갖는 밴드부(124)가 구비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3A, the auxiliary tools 120 and 220 provided with the insertion grooves 122 to allow the user's fingers to be inserted may have close contact force between the finger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s 122 and the auxiliary tools 120 and 220. The band portion 124 may be provided with elasticity along the upper edge of the opening so as not to be easily separated.

이는 삽입홈(122)에 손가락 삽입시 상기 밴드부(124)가 탄성력을 발휘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에 밀착되어 구속력을 제공함으로써 식기도구 사용시 사용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식기도구가 손가락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is prevents the cutler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nger regardless of the user's intention when using the cutlery by providing the binding force by the band part 124 exerts an elastic force when the finge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22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finger. For sake.

한편,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122)의 내측에 깊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융기부(126)가 구비되어 상기 융기부(126)가 손가락 둘레에 밀착되어 마찰력을 증가시킴으로써 구속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3B, at least one ridge 126 protruding in the depth direction is provided inside the insertion groove 122 so that the ridge 126 is in close contact with a finger to increase frictional force. By providing a binding force.

여기서, 상기 융기부(126)는 실리콘이나 고무재질을 포함한 탄력적인 소재로 이루어진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삽입홈(122)의 내측에 부착되어 구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Here, the ridge 126 is provided as a separate member made of a resilient material including silicon or rubber material to be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insertion groove 122, it will be apparent.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삽입홈(122)의 내측에는 융기부(126)를 구비하고 개구된 상부에는 밴드부(124)를 동시에 구비하여 구속력을 높일 수 있음을 밝혀둔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inside of the insertion groove 122 is provided with the ridge 126 and the opening is provided with the band portion 124 at the same time to increase the constraint force.

그리고 상기 밴드부(124)와 융기부(126)가 나사결합되는 보조구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결합되도록 구비되는 보조구에도 밴드부와 융기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결합방식과는 별개로 식기도구 본체의 상단에 구비되는 모든 보조구에 밴드부나 융기부 또는 그 조합이 구비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Although the band portion 124 and the ridge 126 are shown as being provided in the assisting tool screwed,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assisting tool provided to be fitted as shown in FIG. It can be noted that, apart from the coupling method, all the assisting tool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utlery body may be provided with a band part or a ridge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상기 보조구(120,220)는 실리콘이나 고무를 포함하여 탄력성을 갖는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시 사용자의 착용감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ssisting tool (120,220) is preferably made of a soft material having elasticity, including silicon or rubber to increase the user's wearing comfort.

이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홈(122)이 구비되는 보조구(120,220)는 통상의 식기도구 본체(110,210,31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In this way, the auxiliary holes 120 and 220 having the insertion grooves 122 to insert the user's fingers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ends of the general cutlery bodies 110, 210, and 310, and may be detachably provided.

도 2는 상기 식기도구 본체(110,210,310)의 상단에 상기 보조구(120,22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FIG. 2 illustrates a method in which the auxiliary tools 120 and 220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ends of the cutlery bodies 110, 210, and 310.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구(120)는 그 하부에 식기도구 본체(110,210,310)의 상부단과 동일한 직경으로 중공의 연장부(128)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110,210,310)의 상부단에 억지끼움됨으로써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A, the assisting tool 120 has a hollow extension 128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upper end of the cutlery main body 110, 210, and 310 at the lower end thereof, to be pressed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10, 210, and 310. By fitting it can be detachably coupled.

그리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구(220)의 하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장부(128)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10,210,310)의 상부단에 상기 연장부(128)가 삽입되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나사산(112)을 갖는 중공의 결합홈(114)이 구비되어 나사결합될 수도 있다.And, as shown in Figure 2b, there is provided an extension portion 128 is formed with a screw threa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auxiliary tool 220, the extension portion 128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10, 210, 310) screw A hollow coupling groove 114 having a corresponding thread 112 may be provided and screwed to be coupled.

이와 같이 상기 보조구(120,220)가 식기도구 본체(110,210,310)의 상부단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보조구(120,220)가 불필요한 숙련자의 경우 본체(110,210,310)의 상부로부터 보조구(120,220)를 분리하여 제거한 후, 통상의 식기도구로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In this way, the assisting tool (120,2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utlery main body (110,210,310), the assisting tool (120,220) is removed by removing the assisting tool (120,220) from the top of the main body (110,210,310) for those skilled in the unnecessary After that, it can be used as a normal cutlery.

도면과 설명에는 본체의 상부단에 결합홈이 구비되고 보조구의 연장부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나사결합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역으로 본체의 상부단에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의 연장부가 구비되어 결합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In the drawings and description, although the coupling groove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and the extension of the auxiliary tool is inserted and screwed into the coupling gro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be appreciated that a hollow extension having a thread formed thereon and threaded to the extension may be provided and coupled.

또한, 보조구의 하부면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홈이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상부단이 상기 홈에 삽입되어 억지끼움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assisting tool is provided with a recess formed in a certain depth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is inserted into the groove may be coupled in a manner that is interfitted.

한편, 상기에서 보조구와 본체의 결합을 끼움결합과 나사결합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핀과 같은 고정부재를 삽입하는 방식 등 간편하게 착탈가능한 방식이면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shown and described in the fitting and screw coupling of the assisting tool and the main body in the above, it is not limited to thi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can be easily applied if the removable method such as a method of inserting a fixing member such as a pin.

사용자는 상기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100,200,300)을 적어도 2개 이상 손가락에 각각 삽입하여 착용함으로써 간편하게 손가락으로 음식물을 집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user can easily use the finger-insertable cutlery 100, 200 and 300 by inserting the at least two finger inserts into at least two fingers, respectively.

도 4는 본 발명의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100)가 젓가락의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가 엄지,검지,중지 세 개의 손가락에 각각 착용하여 음식물을 집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100)를 이와 같은 사용상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식기도구(100)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2개,3개,4개 또는 5개를 사용할 수도 있다.Figure 4 shows that when the finger-insertable cutler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form of chopsticks, the user picks food by wearing the thumb, index finger and middle finger respectively. However, the finger-insertable cutler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use state, and two, three, four, or five cutler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1a과 같이 젓가락 형태로 이루어진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100)와 도 1b에 도시된 수저 형태로 이루어진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200)를 혼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s shown in FIG. 1A, the chopstick-shaped cutlery utensil 100 and the cutlery cutlery 200 may be used in combination.

이는 통상 젓가락과 수저를 한 손에 취부하여 동시에 사용하는 것처럼 수저형태로 이루어진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200)와 젓가락 형태로 이루어진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100)를 손가락에 동시에 착용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저와 젓가락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It is common to use a cutlery-type cutlery in the form of a cutlery and a finger-insertable cutlery in the form of chopsticks 100 on a finger at the same time as the chopsticks and the cutlery are used at the same time. It can be used in the form of chopsticks.

더불어, 젓가락 형태로 이루어진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100)와 수저 형태로 이루어진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200) 및 포크형으로 이루어진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300) 각각을 서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In addition, the finger-insertable cutlery 100 having a chopstick shape, the finger-insertable cutlery 200 having a cutlery shape, and the finger-insertable cutlery 300 having a fork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식기도구 사용에 익숙하지 못한 외국인이나 어린이들과 기존의 젓가락 사용이 불편한 노약자나 사용자들이 별도의 교육이나 노력을 들이지 않고도 단순히 보조구에 손가락을 삽입함으로써 손가락으로 직접 음식물을 집는 것과 같이 자유자재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foreigners or children who are not familiar with the use of conventional utensils and the elderly or users who are inconvenient to use the existing chopsticks by simply inserting a finger into the assisting tool without additional training or effort Like picking food directl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freely.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100,200,300)의 일부를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는 보관대(400,50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식기도구(100,200,300)를 상기 보관대(400,500)에 각각 삽입하여 보관함으로써, 음식물을 집는 부분이 먼지 등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삽입홈(122)이 보관대(400,500)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배치되어 사용자가 식기도구 사용시 간편하게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5 may be provided with a table (400, 500) that can be stored by inserting a portion of the finger-insertable cutlery (100, 200,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by inserting the tableware utensils (100, 200,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the storage (400, 500), respectively, to prevent the food picking portion is contaminated by dust and the like, while the insertion groove 122 is ground by the storage (400, 500) It is arranged vertically from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insert a finger when using the cutlery.

상기 보관대(400,500)는 젓가락 형태의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100)와 수저 형태의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200)의 일단부가 각각 삽입 배치될 수 있도록 수저와 젓가락의 형태에 맞도록 거치홈이 형성된다.The holders 400 and 500 are provided with mounting grooves so as to match the shape of the cutlery and the chopsticks so that one end of the chopstick-type finger insertable cutlery 100 and the cutlery-type finger insertable cutlery 200 can be inserted.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하나의 보관대에 젓가락형과 수저형의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100,200,300)를 동시에 삽입하여 거치할 수 있도록 거치홈이 혼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mounting groove may be formed to be mixed so that the chopstick-type and cutlery-type finger utensils 100, 200, and 300 may be inserted and mounted at the same time in one storage stand.

또한, 본 발명의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100,200,300)는 세라믹, 금 또는 은과 같은 금속재질이나 플라스틱 재질과 같이 외부의 힘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한 후 사용시 사용자의 위생을 위하여 표면을 소독처리를 한 후 과자봉지나 음식봉지 등에 밀폐시켜 포장함으로써 사용자가 위생적이고 일회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inger-insertable cutlery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200, 300)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not deformed by external force, such as a metal or plastic material such as ceramic, gold or silver, and then disinfects the surface for hygiene of the user during use. After the packaging is sealed by confectionery or food bags, etc. may be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use hygienic and one-time.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500,5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통상의 젓가락이나 수저 형태의 식기도구에 보조구를 구비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단이 개구되고(A) 일정길이를 갖는 본체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부에 개구된 부분에 단순히 손가락을 삽입하여 착용한 후 음식물에 본체를 꽂거나 집거나 뜨는 방식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nger-insertable cutlery 500,5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rather than using an auxiliary tool in the usual chopsticks or cutlery-type cutlery, the upper end is opened so that a finger can be inserted (A) and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having a certain length so that the user simply After inserting your finger, you can use it by inserting the body into food, pinching or floating it.

이와 같은 상기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50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가 외부의 힘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세라믹이나 금 또는 은 등을 포함하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삽입되어 손가락의 형태로 변형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플라스틱이나 고무 또는 비닐 등과 같이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nger-insertable cutlery 50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including ceramic, gold, silver, or the like so that the main body is not deformed by external force as shown in FIG. 6A, or as shown in FIG. 6B. It may be provided with a material having flexibility such as plastic, rubber or vinyl so that the deformation can be made in the form of a finger is inserted into the user's finger.

이러한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500)는 사용시 사용자의 위생을 위하여 표면을 소독처리를 하여 과자봉지나 음식봉지 등에 밀폐시켜 포장함으로써 사용자가 일회용으로 사용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finger-insertable cutlery 50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use it hygienically for one-time use by disinfecting the surface for sealing and packing the cookie bag or food bag for the user's hygiene.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와 같은 단순한 실시 예의 수정 또는 설계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specific structu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or chang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However, it will be apparent in advance that modifications or design variations of such a simple embodiment are 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200,300,500,500' :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
110,210,310 : 식기도구 본체 112 : 나사산
120,220 : 보조구 122 : 삽입홈
124 : 밴드부 126 : 융기부
128 : 연장부 400,500 : 보관대
100,200,300,500,500 ': Finger-insertable utensils
110, 210, 310: cutlery main body 112: thread
120,220: Aid 122: Insertion groove
124: band portion 126: ridge
128: extension 400,500: storage

Claims (13)

일정길이를 갖는 식기도구에 있어서,
상기 식기도구 본체의 상단부에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깊이의 삽입홈을 갖는 보조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
In the cutlery having a certain length,
And an assisting tool having an insertion groove of a predetermined depth so that a finger can be inserted into an upper end of the cutlery main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도구는 젓가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cutlery is chopstick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도구는 수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cutlery utensil is cutl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cutler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도구는 포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cutlery is a fork.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중앙부가 오목하도록 서서히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손가락의 끝단이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to be gradually inclined so that the center portion is concave so that the tip of the finger is in close contac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구는 개구된 상부 테두리를 따라 밴드부가 구비되어 손가락 삽입시 상기 밴드부가 손가락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assisting tool is provided with a band portion along the open upper edge, the finger insertion type cutl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band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nger when the finger is inser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내측에 깊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융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insertion groove is a finger-insertable cutlery,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t least one raised portion protruding in the depth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구는 상기 식기도구 본체의 상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assisting tool is detachably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cutlery main body.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구는 그 하부가 상기 식기도구 본체의 상단부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
The method of claim 8,
The assisting tool is a finger-insertable cutl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ortion is screwed with the upper end of the cutlery body.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구는 그 하부가 상기 식기도구 본체의 상단부에 억지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
The method of claim 8,
The assisting tool is a finger-insertable cutl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ortion is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cutlery main body.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는 식기도구 본체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보관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The finger-insertable cutlery is a finger-insertable cutl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table is provided with a holder i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cutlery body.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단이 개구되고 일정길이를 갖는 본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Finger-type cutl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is opened so that the finger can b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제 1항 내지 제 10항 또는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는 살균 및 소독처리가 이루어진 후 밀폐 포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or 12,
The finger-insertable cutlery is a finger-insertable cutl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packaging is sealed after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KR1020100008575A 2010-01-29 2010-01-29 Finger insert cutlery Ceased KR2011008886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575A KR20110088863A (en) 2010-01-29 2010-01-29 Finger insert cutl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575A KR20110088863A (en) 2010-01-29 2010-01-29 Finger insert cutle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863A true KR20110088863A (en) 2011-08-04

Family

ID=44927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575A Ceased KR20110088863A (en) 2010-01-29 2010-01-29 Finger insert cutl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8863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58512A1 (en) * 2015-06-03 2016-12-08 Natasha Gonshor Training Utensil for Utensil Handling Practice
KR20240001429U (en) * 2023-02-15 2024-08-22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gripping stuff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58512A1 (en) * 2015-06-03 2016-12-08 Natasha Gonshor Training Utensil for Utensil Handling Practice
KR20240001429U (en) * 2023-02-15 2024-08-22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gripping stuff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3091B2 (en) Spoon
RU2406431C2 (en) Study guide for children on proper use of cutlery
KR20110088863A (en) Finger insert cutlery
US20230115579A1 (en) Eating utensil accessories and methods of use
JP5713384B2 (en) Eating and drinking utensils
KR101012813B1 (en) Improved Chopsticks
KR200248506Y1 (en) Learning chopsticks
JP2021112441A (en) Self-help tool
KR200450867Y1 (en) Learning chopsticks
CN106333587A (en) Pincerlike chopsticks
KR200220831Y1 (en) Hygiene Thimble
JP3174413U (en) Multifunctional cup
KR20130122873A (en) Easy-to-Grip Meal
CN204862448U (en) Scissors shape food anchor clamps
JP3162395U (en) Feeding aids
KR200233449Y1 (en) to useful chopsticks
CN209863182U (en) a sticky spoon
CN106618087A (en) Scissors-shaped chopsticks
KR200181207Y1 (en) Hygienic spoon and chopsticks
JP2015037513A (en) Fingertip substitute tool
JP4031212B2 (en) Noodle fork
KR20160001370U (en) Spoon for correcting using an infant
JP2005028008A (en) Eating/drinking cup for the hand's locomotor inferior
KR101723125B1 (en) Health chopsticks
KR20150004011U (en) Spoon for correcting using an inf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4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10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