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7523A - 장식프레임 연마장치 - Google Patents

장식프레임 연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7523A
KR20110047523A KR1020090104190A KR20090104190A KR20110047523A KR 20110047523 A KR20110047523 A KR 20110047523A KR 1020090104190 A KR1020090104190 A KR 1020090104190A KR 20090104190 A KR20090104190 A KR 20090104190A KR 20110047523 A KR20110047523 A KR 20110047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motor
shaft
decorative fram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4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창원
Original Assignee
강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창원 filed Critical 강창원
Priority to KR1020090104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7523A/ko
Publication of KR20110047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75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076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grinding machines comprising two or more grind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6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휴대전화기나 PDA등 각종 이동통신기기를 장식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식프레임의 표면에 대한 연마작업시 단일의 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좌우 한 쌍의 연마롤러가 동시에 동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장식프레임을 연마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장식프레임의 연마작업시 발생되는 미세 분진이나 냄새를 실시간으로 흡입하여 여과한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분진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장식프레임 연마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설계에 따라 정해진 위치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다수개의 받침다리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부면에 수평의 플레이트가 설치된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후방 일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류의 인가에 따라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구동되는 제1모터와; 상기 테이블의 아랫쪽에 해당되는 공간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며,제1모터로부터 전동부재를 통하여 전달되는 동력에 의하여 제자리 회전되는 샤프트와; 다수매의 천이 중첩되게 끼워져 롤러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샤프트의 좌우 양단에 회전되게 결합된 상태에서 제1모터의 구동에 따라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면서 장식프레임의 표면을 연마하는 좌우 한 쌍의 연마롤러와; 상기 연마롤러의 전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상부면에 배출공이 형성된 롤러커버와: 내부가 비어 있고, 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면이 막혀 있으며, 좌우 양측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테이블을 구성하는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내부로 유입된 미세 분진을 여과할 수 있도록 다수매의 여과포가 상부 양측 내면의 가장자리를 가로질러 설치된 구조의 여과챔버(Chamber)와; 일측단은 상기 롤러커버상에 형성된 배출공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여과챔버상에 형성된 관통공에 연결된 상태에서 연마롤러에 의한 장식프레임의 연마작업시 밸생되는 미세 분진이 여과챔버쪽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흡기덕트와; 상기 여과챔버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하부면이 개방되고, 나머지 면이 막혀 있으며, 일측면에 외부의 배기덕트가 끼워지는 배기덕트연결공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여과챔버의 상부에 고정되게 탑재된 상태에서 여과챔버를 통하여 여과된 공기를 빨아들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챔버와; 상기 배기챔버의 상부면 외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그 축이 배기챔버의 내측 아랫부분 까지 끼워져 설치되는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의 축 하단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모터의 구동에 따라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제자리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여과챔버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공기를 배기챔버내로 빨아들인 후 배기덕트쪽으로 배출시키는 흡기팬으로 이루어진다.
이동통신기기, 장식프레임, 연마장치, 연마롤러, 여과포

Description

장식프레임 연마장치{APPARATUS FOR POLISHING DECORATION FRAME OF MOBILE COMMUNICATION INSTRUMENTS}
본 발명은 장식프레임 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전화기나 PDA등 각종 이동통신기기를 장식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식프레임의 표면에 대한 연마작업시 단일의 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좌우 한 쌍의 연마롤러가 동시에 동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장식프레임을 연마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장식프레임의 연마작업시 발생되는 미세분진이나 냄새를 실시간으로 흡입하여 여과한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분진과 악취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장식프레임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기나 PDA 등 각종 이동통신기기의 본체에는 디스플레이부나 조작패널 등이 마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나 조작패널의 윤곽선을 따라 제품을 돋보이게 하거나 고급스러운 느낌을 부여하기 위하여 얇은 금속재의 장식프레임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각종 이동통신기기 등에 적용되는 장식프레임은 다양한 모델로 형 성되는 본 제품의 디자인에 따라 정해지는 형상과 크기로 제조된 후 가공과정에서 표면에 광택을 내기 위하여 연마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장식프레임을 연마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작업자가 장식용 프레임을 하나하나 별도의 지그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단일의 연마롤러에 지그로 고정된 장식용 프레임을 하나씩 접촉시키는 방식으로 표면을 연마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지극히 불량하다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연마작업시 작업자가 연마롤러의 전면에 앉아서 작업하기 때문에 장식용 프레임과 연마롤러와의 접촉시 발생되어 주위로 비산(飛散)되는 미세 분진 및 악취에 직접 노출되어 작업자의 건강을 크게 해칠 염려가 있는 것은 물론, 비산된 후 작업장 곳곳에 쌓이게 되는 미세 분진는 작업 후 청소과정에서 적절한 여과과정을 거치지 않은채 수거되거나 그대로 폐기되기 때문에 환경을 크게 오염시킬 수 있다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휴대전화기나 PDA등 각종 이동통신기기를 장식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식프레임의 표면에 대한 연마작업시 단일의 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좌우 한 쌍의 연마롤러가 동시에 동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장식프레임을 연마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장식프레임 연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식프레임의 연마작업시 발생되는 미세 분진과 냄새를 작업중 실시간으로 흡입하여 여과한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분진과 악취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장식프레임 연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식프레임 연마장치는 설계에 따라 정해진 위치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다수개의 받침다리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부면에 수평의 플레이트가 설치된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후방 일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류의 인가에 따라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구동되는 제1모터와; 상기 테이블의 아랫쪽에 해당되는 공간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며,제1모터로부터 전동부재를 통하여 전달되는 동력에 의하여 제자리 회전되는 샤프트와; 다수매의 천이 중첩되게 끼워져 롤러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샤프트의 좌우 양단에 회전되게 결합된 상태에서 제1모터의 구동에 따라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면 서 장식프레임의 표면을 연마하는 좌우 한 쌍의 연마롤러와; 상기 연마롤러의 전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상부면에 배출공이 형성된 롤러커버와: 내부가 비어 있고, 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면이 막혀 있으며, 좌우 양측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테이블을 구성하는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내부로 유입된 미세 분진을 여과할 수 있도록 다수매의 여과팩이 상부 양측 내면의 가장자리를 가로질러 설치된 구조의 여과챔버(Chamber)와; 일측단은 상기 롤러커버상에 형성된 배출공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여과챔버상에 형성된 관통공에 연결된 상태에서 연마롤러에 의한 장식프레임의 연마작업시 밸생되는 미세 분진이 여과챔버쪽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흡기덕트와; 상기 여과챔버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하부면이 개방되고, 나머지 면이 막혀 있으며, 일측면에 외부의 배기덕트가 끼워지는 배기덕트연결공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여과챔버의 상부에 고정되게 탑재된 상태에서 여과챔버를 통하여 여과된 공기를 빨아들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챔버와; 상기 배기챔버의 상부면 외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그 축이 배기챔버의 내측 아랫부분 까지 끼워져 설치되는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의 축 하단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모터의 구동에 따라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제자리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여과챔버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공기를 배기챔버내로 빨아들인 후 배기덕트쪽으로 배출하는 흡기팬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모터의 동력을 받아 회전되는 샤프트 및 연마롤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전동벨트가 감겨지는 상기 제1모터의 구동축의 외주면과 테이블의 아랫부분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샤프트 외주면의 서로 엇갈린 위치에는 외경이 다른 복수의 풀리(Pulley)가 설치되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휴대전화기나 PDA등 각종 이동통신기기를 장식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식프레임의 표면에 대한 연마작업시 단일의 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좌우 한 쌍의 연마롤러가 동시에 동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장식프레임을 연마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과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 장식프레임의 연마작업시 발생되는 미세 분진과 악취가 작업중 여과챔버내로 흡입된 후 다수개의 여과포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배기덕트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분진 및 냄새에 노출되지 않으며,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프레임 연마장치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프레임 연마장치의 내부를 보인 배면도이다.
또,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프레임 연마장치의 내부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프레임 연마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또,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프레임 연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식프레임 연마장치(10)에서는 설계에 따라 정해진 위치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다수개의 받침다리(12)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부면에 수평의 플레이트(14)가 설치된 테이블(16)이 마련된다.
상기 테이블(16)의 후방 일측에는 전류의 인가에 따라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구동되는 제1모터(18)가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18)의 아랫쪽에 해당되는 공간부에는 제1모터(18)로부터 전동벨트 같은 전동부재(20)를 통하여 전달되는 동력에 의하여 제자리 회전되는 샤프트(22)가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샤프트(22)의 좌우 양단에는 제1모터(18)의 구동에 따라 샤프트(22)와 함께 회전되면서 장식프레임(50)의 표면을 연마하는 연마롤러(24)가 설치되는데, 상기 연마롤러(24)는 다수매의 천이 중첩되게 끼워져 롤러형태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마롤러(24)의 전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상부면에 배출공(26a)이 형성된 롤러커버(26)가 감싸여진 형태로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테이블(16)을 구성하는 플레이트(14)의 상부면에는 내부로 유입된 미세 분진 및 냄새를 여과시키기 위한 별도의 여과챔버(30)가 고정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여과챔버(30)는 내부가 비어 있고, 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면이 막혀 있으며, 좌우 양측면에는 관통공(30a)이 형성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여과챔버(30) 내부로 유입된 미세 분진과 냄새를 여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매의 여과포(28)가 상부 양측 내면의 가장자리를 가로질러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마롤러(24)에 의한 장식프레임(50)의 연마작업시 발생되는 미세 분진 과 냄새가 여과챔버(30)쪽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롤러커버(26)상의 배출공(26a)과 여과챔버(30)상의 관통공(30a) 사이에는 별도의 흡기덕트(32)가 연결되게 설치된다.
또, 상기 여과챔버(30)의 상부에는 여과챔버(30)를 통하여 여과된 공기를 빨아들여 외부로 배출하는 별도의 배기챔버(36)가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기챔버(36)는 여과챔버(3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하부면이 개방되고, 나머지 면이 막혀 있으며, 그 일측면에는 외부의 배기덕트(34)가 끼워지는 배기덕트 연결공(36a)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기챔버(36)의 상부면 외측에는 그 축(38a)이 배기챔버(36)의 내측 아랫부분 까지 끼워져 설치되는 제2모터(38)가 고정되게 설치되며,상기 제2모터(38)의 축(38a) 하단부에는 제2모터(38)의 구동에 따라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제자리 회전되면서 여과챔버(3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다수매의 여과포(28)에 의하여 여과된 공기를 배기챔버(36)의 내측으로 빨아들인 다음 배기덕트(3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흡기팬(40)이 고정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모터(18)의 동력을 받아 회전되는 샤프트(22) 및 연마롤러(24)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제1모터(18)의 구동축(18a)의 외주면과 테이블(16)의 아랫부분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샤프트(22) 외주면상에는 전동부재(20)의 일종인 전동벨트가 필요한 회전속도에 맞추어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외경이 다른 복수의 풀리(Pulley:42)가 서로 엇갈린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제1모터(18)의 구동축(18a)에 직경이 다른 복수개의 풀리(42)가 설치되고, 연마롤러(24)가 결합된 샤프트(22)상에도 직경이 다른 복수개의 풀리가(42)가 설치된다.
이 경우 구동축(18a)상에 설치된 작은 직경의 풀리(42)와 샤프트(22)상에 설치된 큰 직경의 풀리(42)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오도록 배치되고, 구동축(18a)상에 설치된 큰 직경의 풀리(42)와 샤프트(22)상에 설치된 작은 직경의 풀리(42)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오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연마롤러(24)를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제1모터(18)가 구동되면 제2모터(38)가 동시에 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제1모터(18)와 제2모터(38)로 인가되는 전원은 통상적인 스위치의 "ON" 또는 "OFF"조작에 의하여 제어되거나 타이머와의 연결을 통하여 자동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작업자가 이동통신기기에 적용되는 장식프레임(50)을 연마하고자 하는 경우, 단일 또는 다수개의 장식프레임(50)을 별도의 고정지그에 끼워 고정시켜 준비한다.
그런 다음, 스위치를 "ON"상태로 조작하여 장치내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면 제1모터(18)와 제2모터(38)가 동시에 구동되는데, 상기 제1모터(18)의 구동에 따라구동축(18a)이 회전되면, 전동벨트 같은 전동부재(20)의 동력전달작용에 의하여 샤프트(22)가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샤프트(22)의 좌우 양단에 결합된 연마롤러(24)가 설계에 따라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 이와 동시에 상기 제2모터(38)의 구동에 따라 그 축(38a)및 축의 하단에 설치된 흡기팬(40)이 회전되기 시작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장치의 앞쪽에서 고정지그에 끼워진 장식프레임(50)을 회전되고 있는 연마롤러(24)에 일정 시간 동안 접촉시키면 상기 연마롤러(22)를 구성하는 다수매의 천이 장식프레임(50)의 표면과 밀착된 상태로 회전되면서 장식프레임(50)의 표면이 연마되어 광택이 나게 된다.
이와 같이 작업자는 회전되는 연마롤러(24)에 대하여 장식프레임(50)을 설계에 따라 정해진 시간 동안 접촉시켜 연마시켜 광택을 나게 하고, 또 다른 장식프레임을 같은 방식으로 연마시키는 작업을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되는 연마롤러(24)에 대하여 장식프레임(50)을 접촉시키는 방식으로 연마하는 경우, 연마롤러(24)와 장식프레임(50)의 마찰력에 의하여 미세한 분진 및 냄새가 발생되는데, 상기 미세 분진과 냄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의 공기와 함께 제2모터(38)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흡기팬(40)의 흡인작용에 의하여 롤러커버(26)상의 배출공(26a)과 흡기덕트(32) 및 관통공(30a)을 경유하여 여과챔버(30) 및 배기챔버(36)내로 흡입된다.
이와 같이 여과챔버(30)내로 흡입된 미세 분진 및 냄새가 포함된 공기는 여과챔버(30)의 내부에서 조밀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다수매의 여과포(28)를 통과하면서 여과되고, 여과과정을 거친 상대적으로 깨끗한 상태의 공기는 배기챔버(36)로 흡입된 후 배기덕트 연결공(36a) 및 배기덕트(3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이용하여 장식프레임(50)을 연마하는 과정에서 장식프레임의 재질에 따라 연마롤러(24)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또는 느리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마롤러(24)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하고자 하는 경우 전동부재(20)를 구성하는 전동벨트의 한쪽을 제1모터(18)상의 구동축(18a)에 설치된 큰 직경의 풀리(42)에 감고, 다른 한쪽을 샤프트(22)상에 설치된 작은 직경의 풀리에 감아주면 샤프트(22)의 회전속도가 빨라지면서 연마롤러(24)의 회전 또한 상대적으로 빨라지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연마롤러(24)의 회전속도를 느리게 하고자 하는 경우 전동부재(20)를 구성하는 전동벨트의 한쪽을 제1모터(18)상의 구동축(18a)에 설치된 작은 직경의 풀리(42)에 감고, 다른 한쪽을 샤프트(22)상에 설치된 큰 직경의 풀리에 감아주면 샤프트(22)의 회전속도가 느려지면서 연마롤러(24)의 회전 또한 상대적으로 느려지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프레임 연마장치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프레임 연마장치의 내부를 보인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프레임 연마장치의 내부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프레임 연마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프레임 연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 테이블 18 : 제1모터
20 : 전동부재 22 : 샤프트
24 : 연마롤러 26 : 롤러커버
28 : 여과포 30 : 여과챔버
32 : 흡기덕트 34 : 배기덕트
36 : 배기챔버 38 : 제2모터
40 : 흡기팬 42 : 전동부재
50 : 장식프레임.

Claims (2)

  1. 설계에 따라 정해진 위치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다수개의 받침다리(12)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부면에 수평의 플레이트(14)가 설치된 테이블(16)과;
    상기 테이블(16)의 후방 일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류의 인가에 따라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구동되는 제1모터(18)와;
    상기 테이블(18)의 아랫쪽에 해당되는 공간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며, 제1모터(18)로부터 전동부재(20)를 통하여 전달되는 동력에 의하여 제자리 회전되는 샤프트(22)와;
    다수매의 천이 중첩되게 끼워져 롤러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샤프트(22)의 좌우 양단에 회전되게 결합된 상태에서 제1모터(18)의 구동에 따라 샤프트(22)와 함께 회전되면서 장식프레임(50)의 표면을 연마하는 좌우 한 쌍의 연마롤러(24)와;
    상기 연마롤러(24)의 전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상부면에 배출공(26a)이 형성된 롤러커버(26)와:
    내부가 비어 있고, 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면이 막혀 있으며, 좌우 양측면에는 관통공(30a)이 형성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테이블(16)을 구성하는 플레이트(14)의 상부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내부로 유입된 미세 분진을 여과할 수 있도록 다수매의 여과포(28)가 상부 양측 내면의 가장자리를 가로질러 설치된 구조의 여과챔버(Chamber:30)와;
    일측단은 상기 롤러커버(26)상에 형성된 배출공(26a)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여과챔버(30)상에 형성된 관통공(30a)에 연결된 상태에서 연마롤러(24)에 의한 장식프레임(50)의 연마작업시 발생되는 미세 분진이 여과챔버(30)쪽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흡기덕트(32)와;
    상기 여과챔버(3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하부면이 개방되고, 나머지 면이 막혀 있으며, 일측면에 외부의 배기덕트(34)가 끼워지는 배기덕트 연결공(36a)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여과챔버(30)의 상부에 고정되게 탑재된 상태에서 여과챔버(30)를 통하여 여과된 공기를 빨아들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챔버(36)와;
    상기 배기챔버(36)의 상부면 외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그 축(38a)이 배기챔버(36)의 내측 아랫부분에 이르도록 끼워져 설치되는 제2모터(38)와;
    상기 제2모터(38)의 축(38a) 하단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모터(38)의 구동에 따라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제자리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여과챔버(30)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공기를 배기챔버(36)내로 빨아들인 후 배기덕트(34)쪽으로 배출하는 흡기팬(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프레임 연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터(18)의 동력을 받아 회전되는 샤프트(22) 및 연마롤러(24)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제1모터(18)의 구동축(18a)의 외주면과 테이블(16)의 아랫부분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샤프트(22) 외주면에는 직경이 다른 복수개의 풀리(Pulley:42)가 서로 엇갈린 위치에 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프레임 연마장치.
KR1020090104190A 2009-10-30 2009-10-30 장식프레임 연마장치 KR201100475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190A KR20110047523A (ko) 2009-10-30 2009-10-30 장식프레임 연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190A KR20110047523A (ko) 2009-10-30 2009-10-30 장식프레임 연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523A true KR20110047523A (ko) 2011-05-09

Family

ID=44238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4190A KR20110047523A (ko) 2009-10-30 2009-10-30 장식프레임 연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752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63681A (zh) * 2017-08-23 2017-11-21 芜湖凝鑫机械有限公司 带粉尘收集器的模具打磨装置
CN110977777A (zh) * 2019-10-16 2020-04-10 重庆顺多利机车有限责任公司 一种多功能打磨除尘一体机
KR102392589B1 (ko) * 2021-12-07 2022-04-28 정민호 연마 분진 집진 시스템
CN115056090A (zh) * 2022-08-16 2022-09-16 苏州华纳精密模具有限公司 一种注塑模具加工用抛光磨削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63681A (zh) * 2017-08-23 2017-11-21 芜湖凝鑫机械有限公司 带粉尘收集器的模具打磨装置
CN110977777A (zh) * 2019-10-16 2020-04-10 重庆顺多利机车有限责任公司 一种多功能打磨除尘一体机
KR102392589B1 (ko) * 2021-12-07 2022-04-28 정민호 연마 분진 집진 시스템
CN115056090A (zh) * 2022-08-16 2022-09-16 苏州华纳精密模具有限公司 一种注塑模具加工用抛光磨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236604A (ja) パッド押圧力調整機能を備えた床面艶出機
KR20110047523A (ko) 장식프레임 연마장치
CN207155405U (zh) 一种圆盘类刀片加工打磨装置
CN108247770A (zh) 一种木材用刨平打磨装置
CN112676995B (zh) 一种钢模板打磨装置
CN108098524A (zh) 能够有效防尘防飞溅的铸件打磨机
CN110813922B (zh) 一种跑步机及其静电除尘方法
CN217167819U (zh) 一种眼镜胶板边角砂光装置
CN206825138U (zh) 一种钢化玻璃表面抛光装置
CN216473635U (zh) 一种汽车吸音棉加工用梳理机
CN205085116U (zh) 一种用于汽车仪表盘上平板玻璃的擦拭装置的除尘结构
CN215612163U (zh) 一种用于焊接机的焊渣清理装置
CN207930462U (zh) 一种防尘防飞溅铸件打磨机
JP2008126348A (ja) 携帯用ベルト研磨機
KR100806602B1 (ko) 부품 연마장치
CN205096209U (zh) 一种用于汽车仪表盘上平板玻璃的擦拭装置的吸尘结构
CN103990615B (zh) 一种注塑件喷砂自动除尘装置
CN103084949A (zh) 排气管毛刺干涉砂轮修整设备
CN203141261U (zh) 排气管毛刺干涉砂轮修整设备
CN220680262U (zh) 一种装饰装修墙面打磨设备
CN221640444U (zh) 一种电子产品用边缘打磨设备
CN205085114U (zh) 一种用于汽车仪表盘上平板玻璃的擦拭装置
RU2002127559A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плоскошлифовальная машина
CN222627178U (zh) 一种毛刺打磨装置
CN220051332U (zh) 一种树脂纽扣抛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8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11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8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