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6882A - 옥상용 주차 설비 - Google Patents

옥상용 주차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6882A
KR20110026882A KR1020090084721A KR20090084721A KR20110026882A KR 20110026882 A KR20110026882 A KR 20110026882A KR 1020090084721 A KR1020090084721 A KR 1020090084721A KR 20090084721 A KR20090084721 A KR 20090084721A KR 20110026882 A KR20110026882 A KR 20110026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building
parking
rai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4404B1 (ko
Inventor
권회왕
Original Assignee
권회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회왕 filed Critical 권회왕
Priority to KR1020090084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404B1/ko
Publication of KR20110026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6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주차 승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유휴공간인 건물의 옥상을 주차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건물의 외벽에 승강기를 설치하고, 상기 승강기를 이용하여 차량을 건물의 옥상에 주차할 수 있는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주차 승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의 옥상에 설치된 래크형태인 한 쌍의 제2레일과; 상기 제2레일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래크형태인 한 쌍의 제1레일이 형성되고, 구동수단에 의해 제1레일이 상기 제2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이동프레임과; 파레트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구비한 승강기와; 프레임에 구비된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이동프레임의 제1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승강모터의 구동으로 와이어로 연결된 상기 승강기를 승강시키는 이동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차, 승강기, 옥상

Description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주차 승강기 {Car elevator for building roof parking}
본 발명은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주차 승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유휴공간인 건물의 옥상을 주차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건물의 외벽에 승강기를 설치하고, 상기 승강기를 이용하여 차량을 건물의 옥상에 주차할 수 있는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주차 승강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차량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하여 주차공간의 확보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도심과 같이 주택이 밀집되어 있는 곳에서는 주차 공간의 부족으로 인해 주민들간의 분란이 잦을 뿐만 아니라, 이면도로에 주차된 차량들이나 불법 주차 차량들에 의해 화재 발생시 소방차의 진입이 차단되어 화재로 인한 피해가 커지는 등의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하여 요즘은 신축되는 건물에 반드시 충분한 주차공간을 확보하도록 법으로 규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존의 건물들은 주차공간을 확보할 별다른 대책이 없는 실정이어서 별도의 주차장을 신설하고 있으나, 도심에서 주차장으로 사용할 공간 확보가 어려워 앞으로도 주차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주차무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의 주차시설들이 개발되어 설치되고 있는데, 대부분이 주차타워를 설치하는 방법으로 주차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시설설치비용과 공사비용이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건물주가 설치를 꺼리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부분 불필요한 물건을 적재하 등 유휴 공간으로 사용하고 있지 않은 건물의 옥상 공간을 주차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기존 건물의 외벽에 주차 승강기를 설치함으로써, 승강기를 통해 옥상의 유휴 공간을 주차장으로 활용할 수 있는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주차 승강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의 옥상에 설치된 래크형태인 한 쌍의 제2레일과; 상기 제2레일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래크형태인 한 쌍의 제1레일이 형성되고, 구동수단에 의해 제1레일이 상기 제2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이동프레임과; 파레트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구비한 승강기와; 프레임에 구비된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이동프레임의 제1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승강모터의 구동으로 와이어로 연결된 상기 승강기를 승강시키는 이동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동프레임의 구동수단은 제1레일 양측에 판넬이 형성되고, 판넬에는 제2레일과 치합되는 한 쌍의 피니언이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을 구동시키는 제1모터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파레트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은 하부 프레임의 일측에 두 개의 고정편과 하부 프레임의 타측에 두 개의 고정편이 형성되고,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기 고정편이 회전하여 파레트에 삽입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기의 구동수단은 프레임 양측에 판넬이 형성되고, 판넬에는 이동프레임의 제1레일과 치합되는 한 쌍의 피니언이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을 구동시키는 제2모터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기가 승강하는 경로에는 승강기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의 일측에는 여분의 파레트를 수납하는 파레트 수납실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주차타워 같은 별도의 주차시설을 설치할 필요 없이 기존 건물의 외벽에 주차 승강기를 설치하여 차량을 옥상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유휴 공간인 옥상을 주차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구성이 간단하여 설치비가 적게 소요되고, 유지 보수가 매우 간편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주차 승강기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이동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이송기와 승강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주차 승강기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주차 승강기는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제2레일(140)과, 상기 제2레일(14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프레임(130)과, 상기 이동프레임(130)의 제1레일(131)을 따라 이동하고 승강기(110)를 승강시키는 이동기(120)와, 차량을 탑재하여 승강하는 승강기(11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레일(140)은 건물의 유휴 공간인 옥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면이 기어가 형성된 래크 형태이고 두 개의 제2레일(140)이 지지대(141)에 고정되어 옥상의 바닥으로부터 소정거리 상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도 1과 같이 상기 제2레일(140)은 승강기(110)가 설치되는 건물의 일측방향으로 소정거리 돌출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이동프레임(130)은 건물 상부에서 상기 제2레일(140)을 따라 건물 옥상을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동프레임(13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크 형태를 지닌 한 쌍의 제1레일(131)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옥상에 설치된 제2레일(140)을 따라 상기 제1레일(131)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수단의 예로서, 상기 제1레일(131)의 양 단부에는 판넬(132)이 형성되고, 판넬(132)에는 제2레일(140)과 치합되는 한 쌍의 피니언(133)이 형성되며, 상기 제1레일(131) 양 단부의 판넬(132)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의 판넬(132)에는 제1모터(134)가 피니언(133)과 치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모터(134)의 구동에 의해 피니언(133)이 회전하게 되고, 옥 상에 설치된 제2레일(140)과 치합되어 있는 피니언(133)이 회전하면서 이동프레임(130)이 제2레일(140)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동기(120)는 이후 설명하는 승강기(110)를 승강시키고 상기 이동프레임(130)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인데, 도 3과 같이 프레임(121)의 상부에 승강모터(122)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모터(122)에는 와이어(104)가 권취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104)는 승강기(110)와 체결되어 승강모터(122)의 구동에 의해 승강기(110)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기(120)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서 이동프레임(130)의 제1레일(131)을 따라 이동하는데 상기 구동수단의 예로서, 이동기(120)의 프레임(121) 양측에는 판넬(123)이 형성되고 상기 판넬(123)에는 이동프레임(130)의 제1레일(132)과 치합되는 한 쌍의 피니언(124)이 형성되며, 프레임(121) 양측에 형성된 하나의 판넬(123) 또는 두 개의 판넬(123)에는 제2모터(125)가 상기 피니언(124)과 치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2모터(125)의 구동에 의해 이동기(120)가 이동프레임(130)의 제1레일(131)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기(120)와 와이어(104)로 연결된 승강기(1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육면체로 와이어(104)가 체결된 프레임(111)이 형성되고 차량이 탑재된 파레트(101)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으로 구성되는데, 파레트(101)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의 예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수단은 승강기(110)의 프레임(111) 상부에 실린더(112)가 설치되고 두 개의 연결대(113)가 상기 실린더(112)의 로드와 체결되며, 상기 연결대(113)는 프레임(111)의 하부까지 연결 된 회전봉(115)의 일측 단부의 회전편(114)과 힌지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봉(115)의 타측단부에는 고정편(116)이 체결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체결수단은 실린더(112)가 작동하여 로드가 돌출되면, 연결대(113)에 힌지 체결된 회전편(114)이 회전하며 회전봉(115)을 회전시키고, 회전봉(115)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고정편(116)이 회전하며 파레트(101) 양측에 형성된 홈(미도시)에 상기 고정편(116)이 삽입되어 파레트(101)를 승강기(110)에 체결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이동기(120)와 승강기(110)는 도 3과 같이 와이어(104)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동기(120)의 승강모터(122)가 회전하여 와이어(104)를 당기면 도 4와 같이 승강기(110)가 상승하며 이동기(120)의 프레임(121) 내부에 안착 고정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기(110)가 지면으로부터 이동기(120)까지 승강하는 경로에는 가이드(103)를 설치함으로써 승강기(110)가 지면과 이동기(120)까지 승강하는 동안 가이드(103)에 의해 승강기(110)가 안정적으로 승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103)는 육면체 형상의 승강기(110)에 맞도록 단면 형상이 'ㄱ'형태인 프레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주차 승강기 작동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옥상에 주차할 차량이 승강기(110)내에 진입하여 파레트(101)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이동기(120)의 승강모터(122)의 구동에 의해 와이어(104)를 당겨 승강기(110)가 상승하여 도 5와 같이 승강기(110)가 이동기(120) 내부에 안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승강기(110)가 이동기(120) 내부에 안착한 상태에서 이동프레임(130)의 제1모터(134)가 구동하여 도6 과 같이 이동프레임(130)이 옥상에 설치된 제2레일(140)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동기(120)의 제2모터(125) 구동하여 이동기(120)가 이동프레임(130)의 제1레일(131)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이동기(120)가 옥상의 빈 주차구획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옥상의 주차구획에 상부에 이동기(120)가 위치하면 도 7과 같이 이동기(120)의 승강모터(122)가 구동하여 승강기(110)를 주차구획에 내려 놓고, 주차구획에 승강기(110)가 내려오면 승강기(110)의 실린더(112) 로드가 실린더(112) 내부로 삽입되면서 파레트(101) 양측 홈에 삽입된 고정편(116)을 회전시켜 파레트(101) 체결을 해제한 후 이동기(120)의 승강모터(122)를 구동하여 승강기(110)를 상승시키면 차량이 올려진 파레트(110)가 옥상의 주차구획에 놓여지면서 차량 주차가 완결되는 것이다.
만일, 옥상에 주차된 차량을 꺼내기 위해서는 이동기(120)가 옥상의 주차된 차량 중 출차할 차량이 위치한 주차구획 상부로 이동하여 도 7과 같이 승강기(110)를 내려놓고, 승강기(110)의 실린더(112)를 구동하여 승강기(110) 하부의 고정편(116)을 회전시켜 차량이 올려진 파레트(101)를 체결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파레트(101)가 승강기(110)에 체결 고정되면 고정되면. 이동기(120)의 승강모터(122)를 구동하여 승강기(110)를 올려 이동기(120) 내부에 삽입하고, 이동기(120)의 제2모터(125) 및 이동프레임(130)의 제1모터(134)를 구동하여서 도 1과 같이 이동기(120)를 건물 외벽의 가이드(103) 상부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이동기(120)의 승강모터(122)를 구동시켜서 승강기(110)가 가이드(103)를 따라 하강하여 파레트(101)를 지상에 위치시킨 후 차량을 출차시킨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103)의 일측에 파레트 수납실(102)을 구성하고 여분의 파레트(101)를 수납함으로써, 차량이 주차를 위해 승강기(110)에 진입하여 승강기(110)가 차량을 옥상에 주차하는 동안 수납실(102)의 파레트(101)를 미리 꺼내어 놓음으로써 이동기(120)의 이동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주차할 차량의 운전자가 미리 상기 파레트(101)에 차를 올려 놓은 후 자리를 떠나도 되기 때문에 간편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모든 작동은 컨트롤러와 센서에 의해 제어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주차 승강기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 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주차 승강기의 설치상태도.
도 2는 이동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이송기와 승강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주차 승강기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파레트
102 : 파레트 수납실
103 : 가이드
104 : 와이어
110 : 승강기
111 : 프레임
112 : 실린더
113 : 연결대
114 : 회전편
115 : 회전봉
116 : 고정편
120 : 이동기
121 : 프레임
122 : 승강모터
123 : 판넬
124 : 피니언
125 : 제2모터
130 : 이동프레임
131 : 제1레일
132 : 판넬
133 : 피니언
134 : 제1모터
140 : 제2레일
141 : 지지대

Claims (6)

  1. 건물의 옥상에 설치된 래크형태인 한 쌍의 제2레일(140)과;
    상기 제2레일(14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래크형태인 한 쌍의 제1레일(131)이 형성되고, 구동수단에 의해 제1레일(131)이 상기 제2레일(140)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이동프레임(130)과;
    파레트(101)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구비한 승강기(110)와;
    프레임(121)에 구비된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이동프레임(130)의 제1레일(131)을 따라 이동하고, 승강모터(122)의 구동으로 와이어(104)로 연결된 상기 승강기(110)를 승강시키는 이동기(1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주차 승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130)의 구동수단은 제1레일(131) 양측에 판넬(132)이 형성되고, 판넬(132)에는 제2레일(140)과 치합되는 한 쌍의 피니언(133)이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133)을 구동시키는 제1모터(13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주차 승강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110)의 파레트(101)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은 프레임(111) 하부의 일측에 두 개의 고정편(116)과 하부 프레임(111)의 타측에 두 개의 고정편(116)이 형성되고, 실린더(112)의 구동에 의해 상기 고정편(116)이 회전하여 파레트(101)의 양측에 삽입 체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주차 승강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120)의 구동수단은 프레임(121) 양측에 판넬(123)이 형성되고, 판넬(123)에는 이동프레임(130)의 제1레일(131)과 치합되는 한 쌍의 피니언(124)이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124)을 구동시키는 제2모터(12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주차 승강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110)가 승강하는 경로에는 승강기(110)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10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주차 승강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103)의 일측에는 여분의 파레트를 수납하는 파레트 수납실(102)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주차 승강기
KR1020090084721A 2009-09-09 2009-09-09 옥상용 주차 설비 KR101134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721A KR101134404B1 (ko) 2009-09-09 2009-09-09 옥상용 주차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721A KR101134404B1 (ko) 2009-09-09 2009-09-09 옥상용 주차 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882A true KR20110026882A (ko) 2011-03-16
KR101134404B1 KR101134404B1 (ko) 2012-04-09

Family

ID=43933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721A KR101134404B1 (ko) 2009-09-09 2009-09-09 옥상용 주차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40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12272A (zh) * 2018-04-09 2018-08-17 安徽凯旋智能停车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智能停车设备的汽车升降机
CN108868247A (zh) * 2017-05-10 2018-11-23 徐建宁 全自动阵列停车柜
CN109184299A (zh) * 2018-10-12 2019-01-11 常州工学院 一种双排双层立体式机械停车装置及其车辆停取方法
CN109610906A (zh) * 2018-10-23 2019-04-12 梁正奎 分段式组合轨道多层升降横移泊车方法及设备
CN114000747A (zh) * 2021-12-20 2022-02-01 苏州赛思英诺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智能停车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2822A (ja) * 1993-01-18 1994-08-02 Nissei Build Kogyo Co Ltd 屋上駐車装置
WO2002099228A1 (en) * 2001-06-05 2002-12-12 Hae Suk Jung A parking machine, a park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parking cars
KR100399995B1 (ko) 2001-11-16 2003-09-29 남산봉 차량주차용 주차대의 수평이송장치
KR200281460Y1 (ko) 2002-04-24 2002-07-13 송성강 주차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8247A (zh) * 2017-05-10 2018-11-23 徐建宁 全自动阵列停车柜
CN108868247B (zh) * 2017-05-10 2020-05-12 徐建宁 全自动阵列停车柜
CN108412272A (zh) * 2018-04-09 2018-08-17 安徽凯旋智能停车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智能停车设备的汽车升降机
CN109184299A (zh) * 2018-10-12 2019-01-11 常州工学院 一种双排双层立体式机械停车装置及其车辆停取方法
CN109184299B (zh) * 2018-10-12 2020-08-14 常州工学院 一种双排双层立体式机械停车装置及其车辆停取方法
CN109610906A (zh) * 2018-10-23 2019-04-12 梁正奎 分段式组合轨道多层升降横移泊车方法及设备
CN114000747A (zh) * 2021-12-20 2022-02-01 苏州赛思英诺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智能停车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4404B1 (ko) 2012-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404B1 (ko) 옥상용 주차 설비
WO2011126408A2 (ru) Модульная многоярусная роботизированная парковка
CN103835555B (zh) 一种伞形立体式停车库及工作方式
KR20090130622A (ko) 저 피트(pit)형 승강기식 주차장치
CN204112813U (zh) 立体停车设备
RU2376430C1 (ru) Многоярусная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автостоянка модульного типа
CN211923772U (zh) 可升降式地沟防护围栏
RU2459916C1 (ru) Механизированный модульный гараж
CN103603525A (zh) 一种悬臂式侧方位简易停车设备
CN209011655U (zh) 一种可折叠式立体车库
CN202945838U (zh) 地上地下多层停车自动升降车库
KR101785951B1 (ko) 저피트 차량용 주차 시스템
JP2016014296A (ja) エレベータ式駐車場設備の乗降デッキ装置、こ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式駐車場設備
RU97419U1 (ru) Модульная многоярусная роботизированная парковка
CN203755748U (zh) 一种伞形立体式停车库
RU76665U1 (ru) Подземный многоуровневый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ый гараж-склад
CN205100619U (zh) 路边空中停车系统
RU2322560C2 (ru) Многоэтажный гараж-стоянка с энергоэкономным подъемником
JP2544846B2 (ja) ガレ―ジ付ユニット住宅
CN108397019A (zh) 一种可折叠式立体车库
JPH06158891A (ja) 多段式駐車装置
CN105064749A (zh) 路边空中停车系统
KR20190067640A (ko) 입체형 주차장의 주차시스템
RU2393311C1 (ru) Многоярусная механизированная автостоянка открытого типа
JP2005113655A (ja) 2台収納駐車装置(発明の名称)2台収納駐車装置用ガレー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