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4401A - 건축물의 조립식 외벽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조립식 외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4401A
KR20110024401A KR1020090082388A KR20090082388A KR20110024401A KR 20110024401 A KR20110024401 A KR 20110024401A KR 1020090082388 A KR1020090082388 A KR 1020090082388A KR 20090082388 A KR20090082388 A KR 20090082388A KR 20110024401 A KR20110024401 A KR 20110024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uilding
horizontal profile
wall structure
profi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2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웅
손병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신석재
손병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신석재, 손병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신석재
Priority to KR1020090082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4401A/ko
Publication of KR20110024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440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조립식 외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되고 내부에 단열패널과 지지프레임이 구비된 프레임틀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입구에 한조의 걸림턱을 갖는 긴 안내홈부가 구비되며, 상기 안내홈부와 대응되는 면에는 한조의 긴 용착홈이 형성된 수평프로파일과 상기 프레임틀과 상기 수평프로파일을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앵글유닛과 상기 수평프로파일에 설치되는 외장패널로 이루어져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외장패널, 앵글유닛, 프로파일, 프레임틀

Description

건축물의 조립식 외벽구조{Assembly External wall structure of a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의 조립식 외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벽체에 프레임틀을 고정시킨 후 수평프로파일이 구비된 외장패널을 프레임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하여 건축물의 외벽을 형성함으로써,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건축물의 조립식 외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외장 공사시에 외장패널을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 설치하는 마감처리 공법에는 습식 공법과 건식 공법이 있으며, 습식 공법은 건물벽과 외장패널 사이에 시멘트몰탈을 접착용재로 사용하여 시공하는 것으로써, 시멘트의 양생시간이 길고 작업 및 시공상의 문제점으로 비 경제적이고 비 생산적인 단점이 있다.
상기에서 건식 공법(DRY WALL FIXING)은 건축물과 외장패널 사이에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별도의 고정장치를 개재하여 외장패널을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 고정하 도록 한 것으로, 시공 시간이 짧고 작업의 편의성 및 시공상의 장점이 많아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법이다.
최근에는 상기한 습식 공법과 건식 공법 중 건식 공법이 주로사용되고 있으며, 분리 교체가 용이하도록 프레임틀과 외장패널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외벽을 형성하는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에 프레임틀을 고정시킨 후 수평프로파일이 구비된 외장패널을 프레임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하여 건축물의 외벽을 형성함으로써,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건축물의 조립식 외벽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되고 내부에 단열패널과 지지프레임이 구비된 프레임틀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입구에 한조의 걸림턱을 갖는 긴 안내홈부가 구비되며, 상기 안내홈부와 대응되는 면에는 한조의 긴 용착홈이 형성된 수평프로파일과 상기 프레임틀과 상기 수평프로파일을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앵글유닛과 상기 수평프로파일에 설치되는 외장패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홈부의 일면에는 중앙으로 하향경사지도록 경사면이 서로마 주보게 한조를 이루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프로파일의 단부에는 연결앵글유닛에 의해 직립된 구조로 수직프로파일이 설치되며, 상기 수직프로파일에는 상기 외장패널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건축물의 조립식 외벽구조는 건축물의 벽체에 프레임틀을 고정시킨 후 수평프로파일이 구비된 외장패널을 프레임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하여 건축물의 외벽을 형성함으로써,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조립식 외벽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 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조립식 외벽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조립식 외벽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조립식 외벽구조에 있어, 수평프로파일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본 발명인 건축물의 조립식 외벽구조(1)(이하 조립식 외벽구조)는 프레임틀(2)과 수평프로파일(3)과 고정앵글유닛(4)과 외장패널(5)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틀(2)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사각의 틀로서, 이러한 프레임틀(2)은 건축물의 벽면에 볼트 또는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되고 내부에는 단열패널(21)과 다수의 지지프레임(2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22)은 상기 프레임틀(1)의 내부에 직립되게 용접고정되며, 상기 단열패널(21)은 상기 프레임틀(2)의 내측면 및 상기 지지프레임(22)에 접착 또는 나사체결된다.
상기 수평프로파일(3)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긴 바 형태로 형성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22)에 수평방향으로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면에는 입구에 한조의 걸림턱(311)을 갖는 긴 안내홈부(31)가 구비되며, 상기 안내홈부(31)와 대응되는 면에는 한조의 긴 용착홈(3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기 프레임틀(2)과 상기 수평프로파일(3)은 고정앵글유닛(4)에 의해 상호 고정되며, 상기 수평프로파일(3)에는 외장패널(4)이 설치된다.
즉, 상기 프레임틀(2)의 지지프레임(22)에 상기 수평프로파일(3)을 고정앵글유닛(4)에 의해 볼트체결시켜 연결고정시킨 후 상기 수평프로파일(3)의 용착홈(32) 이 형성된 면과 그 용착홈(32)에 접착제를 도포 및 충진시킨 다음 상기 외장패널(5)을 상기 수평프로파일(3)에 접착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외장패널(5)은 통상의 단열재로 이루어지며 금속의 패널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고정앵글유닛(4)과 상기 수평프로파일(3)을 연결하는 볼트가 상기 안내홈부(31)에 걸림되게 체결되므로 상기 외장패널(5)을 상기 안내홈부(31)에 가이드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설치 후 위치변경이 용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외장패널(5)은 상기 수평프로파일(3)에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조립식 외벽구조의 다른실시예에 있어, 수평프로파일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에서는 수평프로파일(3)에 안내홈부(31)를 형성시켜, 상기 외장패널(5)이 상기 수평프로파일(3)에 위치변경 또는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안내홈부(31)의 일면에 중앙으로 하향경사지도록 경사면(312)을 서로마주보게 한조를 이루며 형성시켜, 볼트에서 수평프로파일(3)이 분리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안내홈부(31)에 체결되는 볼트의 헤드에 경사면(312)이 지지되므로, 외부에서 충격이 발생시 이동된 수평프로파일(3)은 볼트에 지지된 경사면에 의해 재차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경사면(311)에는 다수의 고정홈(도시생략)을 형성시켜 볼트의 헤드가 상기 고정홈에 안착되어 고정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조립식 외벽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에서는 지지프레임(22)에 수평프로파일(3)이 설치된 외장패널(5)을 설치하여 건축물의 외벽 일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수평프로파일(3)의 단부에 직립된 구조로 수직프로파일(6)을 설치하고, 상기 수평프로파일(3)과 상기 수직프로파일(6)을 연결앵글유닛(7)으로 볼트체결하여 연결고정되게 하되, 외벽을 이루도록 상기 수직프로파일(6)에 상기 외장패널(5)을 설치하게 된다.
즉, 수평프로파일(3)의 일측 또는 양측에 수직프로파일(6)을 설치하여 건축물의 내,외벽을 감싸면서 벽체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직프로파일(6)은 상기 수평프로파일(3)과 도일한 형태 및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조립식 외벽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조립식 외벽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조립식 외벽구조에 있어, 수평프로파일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조립식 외벽구조의 다른실시예에 있어, 수평프로파일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조립식 외벽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 조립식 외벽구조 2 : 프레임틀
3 : 수평프로파일 4 : 고정앵글유닛
5 : 외장패널 6 : 수직프로파일
7 : 연결앵글유닛 21 : 단열패널
22 : 지지프레임 31 : 안내홈부
311 : 걸림턱 312 : 경사면
32 : 용착홈

Claims (3)

  1.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되고 내부에 단열패널과 지지프레임이 구비된 프레임틀;
    상기 지지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입구에 한조의 걸림턱을 갖는 긴 안내홈부가 구비되며, 상기 안내홈부와 대응되는 면에는 한조의 긴 용착홈이 형성된 수평프로파일;
    상기 프레임틀과 상기 수평프로파일을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앵글유닛; 및
    상기 수평프로파일에 설치되는 외장패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조립식 외벽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부의 일면에는 중앙으로 하향경사지도록 경사면이 서로마주보게 한조를 이루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조립식 외벽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로파일의 단부에는 연결앵글유닛에 의해 직립된 구조로 수직프로파일이 설치되며, 상기 수직프로파일에는 상기 외장패널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건축물의 조립식 외벽구조.
KR1020090082388A 2009-09-02 2009-09-02 건축물의 조립식 외벽구조 Ceased KR201100244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388A KR20110024401A (ko) 2009-09-02 2009-09-02 건축물의 조립식 외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388A KR20110024401A (ko) 2009-09-02 2009-09-02 건축물의 조립식 외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401A true KR20110024401A (ko) 2011-03-09

Family

ID=43932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2388A Ceased KR20110024401A (ko) 2009-09-02 2009-09-02 건축물의 조립식 외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440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13505A (zh) * 2016-06-22 2016-10-12 国家林业局竹子研究开发中心 一种可拆卸电暖玻璃墙体及其制造方法
CN112746685A (zh) * 2020-12-28 2021-05-04 王爱林 一种适用于无供暖室内浴室节能墙体
CN112982718A (zh) * 2021-02-01 2021-06-18 王爱林 一种浴室保温墙体快速组装机构
CN113931402A (zh) * 2021-10-23 2022-01-14 浙江耀华规划建筑设计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结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13505A (zh) * 2016-06-22 2016-10-12 国家林业局竹子研究开发中心 一种可拆卸电暖玻璃墙体及其制造方法
CN106013505B (zh) * 2016-06-22 2018-07-24 国家林业局竹子研究开发中心 一种可拆卸电暖玻璃墙体及其制造方法
CN112746685A (zh) * 2020-12-28 2021-05-04 王爱林 一种适用于无供暖室内浴室节能墙体
CN112982718A (zh) * 2021-02-01 2021-06-18 王爱林 一种浴室保温墙体快速组装机构
CN113931402A (zh) * 2021-10-23 2022-01-14 浙江耀华规划建筑设计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8417B1 (ko) 내,외장패널 구조보강용 지지 바
KR20140049413A (ko) 벽체 외장설비
KR20110024401A (ko) 건축물의 조립식 외벽구조
KR101508960B1 (ko) 외단열 벽체의 창틀 시공방법
WO2006095562A1 (ja) エレベータの三方枠
CN107558633A (zh) 设置有带配电箱的预制墙板的安装方法
KR20120094458A (ko) 건축물의 테라코타 타일 고정구조
KR101235760B1 (ko) 스틸 커튼월 장착구조
JP2010150871A (ja) 型枠兼用外断熱材の化粧板取付工法と外壁取付用掛止め部材
KR20100113901A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KR101847827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와, 단열재와 결합된 거푸집을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및 건축용 외장 패널 시공방법
JP6691515B2 (ja) トンネル内巻覆工におけるレジンコンクリートパネルの固定工法
KR101550712B1 (ko)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ITUB20159339A1 (it) Sistema per la realizzazione di facciate di edifici.
CN205063248U (zh) 预制外墙板与预制梁的干挂连接结构
KR101712851B1 (ko) 건축물의 내,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130081410A (ko)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의 연결고정구
KR20100117795A (ko) 건물용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190078792A (ko) 건축용 다용도 시스템 브라켓
JP3621054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壁式構造の外断熱建築物に於ける帳壁取付方法及び取付金具
TWI592555B (zh) 預鑄外牆工法
KR101273087B1 (ko) 종벽 록킹구법에 의한 에이엘씨 패널 설치방법
KR20130126211A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160120828A (ko) 방수턱틀 고정지지대
KR20140114319A (ko) 건축물의 리모델링 마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11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7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