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2126A - 무빙 스크린 - Google Patents

무빙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2126A
KR20110022126A KR1020090079540A KR20090079540A KR20110022126A KR 20110022126 A KR20110022126 A KR 20110022126A KR 1020090079540 A KR1020090079540 A KR 1020090079540A KR 20090079540 A KR20090079540 A KR 20090079540A KR 20110022126 A KR20110022126 A KR 20110022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coupled
bar
guide rail
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9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연
이강윤
김종윤
Original Assignee
오성산업(주)
주식회사 제이씨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산업(주), 주식회사 제이씨엔텍 filed Critical 오성산업(주)
Priority to KR1020090079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2126A/ko
Publication of KR20110022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21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Abstract

본 발명은 무빙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유입수로의 입구측으로 유입되어지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설치된 무빙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유입수로의 양측벽에 "U"형태를 갖는 가이드레일이 각각 대응되게 설치되어지며,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로 구동모터에 체인으로 연결된 종동스프라켓휘일이 설치되어지고, 상기 가이드레일과 종동스프라켓휘일에 스크린바를 갖는 링크체인이 맞물려지게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수, 정수, 오수, 폐수, 중계 펌프장 및 배수펌프장에 설치된 펌프의 손상 및 막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구동부위가 유입수로에 잠기지 않도록 하여 부식이나 기타의 원인으로 인하여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보수 및 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유입수로의 구석진 바닥 부분에 침전된 침전물 까지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무빙 스크린, 가이드레일, 구동모터, 스크린바, 링크체인

Description

무빙 스크린{Moving screen}
본 발명은 무빙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입수로의 양측벽에 U형태의 가이드레일이 설치되어지고, 가이드레일 사이로 설치된 링크체인의 스크린바가 외부에 설치된 구동모터에 의하여 구동되어 유입수로의 입구측으로 유입되어지는 이물질이 분리 제거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 정수, 오수, 폐수, 중계 펌프장 및 배수펌프장 유입수로에는 이물질 제거용 스크린이 설치되어 유입수중에 포함된 협잡물 또는 부유물, 침전물을 제거하여 후단설비인 펌프의 손상 및 막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이물질 제거용 스크린은 스크린바(Screen bar)를 유입수로에 고정설치하고, 스크린바에 돌출되게 형성된 레이크(Rake)를 이용해 스크린을 긁어 협잡물 및 부유물이 제거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장기간 사용하는 과정에서 스크린바를 포함하는 스크린에 손상이 있 을 경우, 전체를 교체해야 됨으로써 유지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스크린은 스크린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스프라켓과 축 및 베어링이 수중에 잠겨져 있음으로써, 수중부에 잠겨진 부분을 보수 및 점점을 하는데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크린은 수중부에 별도의 전위 스크린(Front screen)을 사용하여 하부로 유입되는 협잡물 및 부유물이 제거되어지도록 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전위 스크린의 설치가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스크린의 하부가 유입수로의 바닥에 맞닿게 설치되어짐으로써, 유입수로의 바닥에 침전된 협잡물 및 부유물, 침전물(철근, 음료수캔 등)등이 유입수로의 바닥에 그대로 쌓이게 되며, 유입수로의 바닥에 쌓인 이물질이 제거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하수, 정수, 오수, 폐수, 중계 펌프장 및 배수펌프장에 설치된 펌프의 손상 및 막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구동부위가 유입수로에 잠기지 않도록 하여 부식이나 기타의 원인으로 인하여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보수 및 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유입수로의 구석진 바닥 부분에 침전된 침전물까지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무빙 스크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유입수로의 입구측으로 유입되어지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설치된 무빙 스크린(100)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100)은 유입수로(200)의 양측벽에 "U"형태를 갖는 가이드레일(110)이 각각 대응되게 설치되어지며, 상기 가이드레일(110)의 상부로 구동모터(120)에 체인(130)으로 연결된 종동스프라켓휘일(140)이 설치되어지고, 상기 가이드레일(110)과 종동스프라켓휘일(140)에 스크린바(150)를 갖는 링크체인(160)이 맞물려지게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크체인(160)은 인너링크(161)와 아우터링크(162) 사이의 양측으로 각각 일측에 걸림턱(163-1)이 형성된 로울러(163)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로울러(163)의 걸림턱(163-1)이 지그재그형태로 결합되어 가이드레일(110)의 내부에 구비된 가이드바(111)를 따라 이송되어지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111)는 로울러(163)와 맞대어지는 부분에 완충패드(111)가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바(150)는 사각형태의 프레임(151) 양측이 각각 가이드레일(110)에 삽입된 링크체인(160)의 인너링크(161)에 볼트(B)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프레임(151)의 외측에 다수개의 바(152)가 스크린형태로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바(150)는 링크체인(160)에 볼트(B)로 결합된 사이로 구비된 바(152)의 끝에 레이크(153)가 돌출되게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110)이 구비된 유입수로(200)의 하부에 침전물 이송부(30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침전물 이송부(300)는 유입수로(200)에 형성된 단턱부(210)에 가이드레일(110)의 방향이 전환되어지는 부분이 맞대어지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단턱부(210)의 끝에 갈퀴바(310)가 결합되어지며, 상기 갈퀴바(310) 사이로 스크린바(150)에 구비된 레이크(152)가 통과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종동스프라켓휘일(140)의 하부에는 분리용 스크래퍼(40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분리용 스크래퍼(400)는 갈퀴형태를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스크린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유입수로의 양측벽에 U형태의 가이드레일이 설치되어지고, 가이드레일 사이로 설치된 링크체인의 스크린바가 외부에 설치된 구동모터에 의하여 구동되어 유입수로의 입구측으로 유입되어지는 이물질이 분리제거되어지도록 함으로써, 하수, 정수, 오수, 폐수, 중계 펌프장 및 배수펌프장에 설치된 펌프의 손상 및 막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구동부위가 유입수로에 잠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부식이나 기타의 원인으로 인하여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며 보수 및 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가이드레일의 형태에 따라 유입수로의 바닥이나 구석진 부분에 침전된 침전물까지도 용이하게 제거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빙 스크린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빙 스크린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빙 스크린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는 무빙 스크린의 종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빙 스크린의 횡단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무빙 스크린의 종단면도이고,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무빙 스크린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빙 스크린(100)은 유입수로(200)의 입구측으로 유입되어지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 도1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수로(200)의 양측벽에 하부가 만곡형태로 방향이 전환되어지도록 하는 "U"형태를 갖는 가이드레일(110)이 각각 대응되게 설치되어지고, 상기 가이드레일(110)의 상부로 구동모터(120)에 체인(130)으로 연결된 종동스프라켓휘일(140)이 설치되어지고, 상기 가이드레일(110)과 종동스프라켓휘일(140)에 스크린바(150)를 갖는 링크체인(160)이 맞물려지게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바(111)는 후술하는 로울러(163)와 맞대어지는 부분에 완충패드(111)가 결합되어 구동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종동스프라켓휘일(140)의 하부에는 별도의 분리용 스크래퍼(400)가 구비되어 유입수로(200)의 바닥으로 부터 끌어 올려진 침전물이 용이하게 분리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분리용 스크래퍼(400)는 갈퀴형태를 갖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린바(150)는 사각형태의 프레임(151) 양측이 각각 가이드레일(110)에 삽입된 링크체인(160)의 인너링크(161)에 볼트(B)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프레임(151)의 외측에 다수개의 바(152)가 스크린형태로 결합되어 물빠짐이 용이하게 됨과 동시에 이물질이 용이하게 걸려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크린바(150)는 링크체인(160)에 볼트(B)로 결합된 사이로 구비된 바(152)의 끝에 레이크(153)가 돌출되게 결합되어짐으로써, 유입수로(200)의 바닥에 침전된 이물질이 더 용이하게 끌어 올여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링크체인(160)은 가이드레일(110)에 폐속선형태를 갖도록 삽입되어지며 가이드레일(110)의 상부로 노출된 부분이 종동스프라켓휘일(140)에 맞물려지게 결합되어 구동부분이 물속에 잠기지 않은 상태에서 링크체인(160) 즉, 스크린바(150)가 연속적으로 구동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링크체인(160)은 스크린바(150)의 양측으로 각각 결합되어진 것으로 각각의 링크체인(160)은 인너링크(161)와 아우터링크(162) 사이의 양측으로 일측에 걸림턱(163-1)이 형성된 로울러(163)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로울러(163)의 걸림턱(163-1)이 지그재그형태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로울러(163)가 가이드레일(110)의 내부에 구비된 가이드바(111)를 따라 이송되어지게 결합됨으로써, 일정한 진동력이 발생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110)이 구비된 유입수로(200)의 하부에는 침전물 이송부(300)가 구비되어 바닥에 침전된 침전물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침전물 이송부(300)는 유입수로(200)에 형성된 단턱부(210)에 가이드레일(110)의 방향이 전환되어지는 부분이 맞대어지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단턱부(210)의 끝에 갈퀴바(310)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갈퀴바(310) 사이로 스크린바(150)에 구비된 레이크(152)가 통과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무빙 스크린에 의하여 유입수로를 통과하는 유입수중에 포함된 협잡물과 부유물 및 기타 침전물(철근, 음료수캔 등)이 제거되어지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구동모터(120)의 구동으로 인하여 체인(130)으로 연결된 종동스프라켓휘일(140)이 회전되어짐과 동시에 종동스프라켓휘일(140)에 맞물리게 결합된 링크체인(160)이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이송되어지게 된다.
다음, 링크체인(160)이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이송되어지는 과정에서 스크린바(150)가 수중에서 상부로 연동되어짐에 따라 유입수로(200)를 통과하는 유입수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스크린바(150)에 실려 상부로 이송되어지고, 상부로 이송되어진 이물질은 종동스프라켓휘일(140)의 하부에는 구비된 갈퀴형태를 갖는 분리용 스크래퍼(400)에 의하여 분리되어지는 과정의 반복을 통해 유입수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제거되어지게 된다.
다음, 링크체인(160)이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유입수로(200)의 상부에서 유입수로(200)의 바닥을 향하여 이송되어진 후 다시 유입수로(200)의 바닥에서 유입수로(200)의 상부로 이동하는 방향이 전환되어지는 순간 스크린바(150)를 구성하 는 바(152)의 끝에 돌출된 레이크(153)에 의하여 바닥에 침전된 침전물이 걸려진 상태로 이송되어 외부로 배출되어지게 된다.
한편, 무빙 스크린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에스컬레이터 형태의 스크린으로 유입수로(200)의 바닥 밑에 설치하여 유입수로(200)의 협잡물과 부유물 및 기타 침전물(철근, 음료수캔 등)까지도 제거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입수로(200)의 바닥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무빙 스크린은 기존 스크린의 단점을 보완하여 무한궤도형태로 구비된 스크린 및 레이크가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스크린의 막힘현상이 없고, 스크린 및 레이크 파손시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함으로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보수비용이 절감된다.
그리고 무빙 스크린은 유입수로(200)의 바닥 밑으로 설치되어 설치조건에 따라 다양한 각도 (10~90°)로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크고 작은 협잡물과 부유물 및 침전물 까지 다양하게 제거가 가능하여 하수, 정수, 오수, 폐수 중계펌프장 및 배수펌프장 등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빙 스크린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빙 스크린의 요부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빙 스크린의 요부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는 무빙 스크린의 종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빙 스크린의 횡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무빙 스크린의 종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무빙 스크린의 요부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무빙 스크린 110:가이드레일
120:구동모터 130:체인
140:종동스프라켓휘일 150:스크린바
160:링크체인 200:유입수로

Claims (7)

  1. 유입수로의 입구측으로 유입되어지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설치된 무빙 스크린(100)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100)은 유입수로(200)의 양측벽에 "U"형태를 갖는 가이드레일(110)이 각각 대응되게 설치되어지며, 상기 가이드레일(110)의 상부로 구동모터(120)에 체인(130)으로 연결된 종동스프라켓휘일(140)이 설치되어지고, 상기 가이드레일(110)과 종동스프라켓휘일(140)에 스크린바(150)를 갖는 링크체인(160)이 맞물려지게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스크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체인(160)은 인너링크(161)와 아우터링크(162) 사이의 양측으로 각각 일측에 걸림턱(163-1)이 형성된 로울러(163)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로울러(163)의 걸림턱(163-1)이 지그재그형태로 결합되어 가이드레일(110)의 내부에 구비된 가이드바(111)를 따라 이송되어지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스크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111)는 로울러(163)와 맞대어지는 부분에 완충패드(111)가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스크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바(150)는 사각형태의 프레임(151) 양측이 각각 가이드레일(110)에 삽입된 링크체인(160)의 인너링크(161)에 볼트(B)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프레임(151)의 외측에 다수개의 바(152)가 스크린형태로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스크린.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바(150)는 링크체인(160)에 볼트(B)로 결합된 사이로 구비된 바(152)의 끝에 레이크(153)가 돌출되게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스크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110)이 구비된 유입수로(200)의 하부에 침전물 이송부(30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침전물 이송부(300)는 유입수로(200)에 형성된 단턱부(210)에 가이드레일(110)의 방향이 전환되어지는 부분이 맞대어지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단턱부(210)의 끝에 갈퀴바(310)가 결합되어지며, 상기 갈퀴바(310) 사이로 스크린바(150)에 구비된 레이크(152)가 통과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스크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스프라켓휘일(140)의 하부에는 분리용 스크래퍼(40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분리용 스크래퍼(400)는 갈퀴형태를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스크린.
KR1020090079540A 2009-08-27 2009-08-27 무빙 스크린 KR201100221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540A KR20110022126A (ko) 2009-08-27 2009-08-27 무빙 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540A KR20110022126A (ko) 2009-08-27 2009-08-27 무빙 스크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126A true KR20110022126A (ko) 2011-03-07

Family

ID=43930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9540A KR20110022126A (ko) 2009-08-27 2009-08-27 무빙 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212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12610A (zh) * 2015-01-31 2015-05-13 成都科盛石油科技有限公司 防溅省力型钻井液筛分装置
CN112726789A (zh) * 2020-12-25 2021-04-30 王东早 一种用于园林排水系统的防堵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12610A (zh) * 2015-01-31 2015-05-13 成都科盛石油科技有限公司 防溅省力型钻井液筛分装置
CN112726789A (zh) * 2020-12-25 2021-04-30 王东早 一种用于园林排水系统的防堵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4319B1 (ko) 제진기의 잔류 진개물 제거장치
KR101003717B1 (ko) 조목·세목 일체형 바 스크린식 제진기
KR101259093B1 (ko) 제진기
KR20110022126A (ko) 무빙 스크린
KR100969824B1 (ko) 준설물 종합 처리 시스템
KR101199266B1 (ko) 수처리장치
KR101207999B1 (ko) 세척수 재활용 장치를 구비한 벨트 크리너 세척 시스템
JP6984811B2 (ja) 沈殿池設備
KR200260031Y1 (ko) 종합수처리장치
JP4981734B2 (ja) 沈砂池
JP4750050B2 (ja) スクリーン循環式除塵機
KR101270023B1 (ko) 토사 침전조
KR100840373B1 (ko) 협잡물 처리장치
KR20120133060A (ko) 제진기
KR101170509B1 (ko) 슬러지 수집기
KR101737273B1 (ko) 조립식 비금속 무빙스크린장치
KR20080104788A (ko) 제진기의 전위스크린
US8136673B2 (en) Grit elevator
KR20100115969A (ko) 협잡물 제거용 수직 스크린 장치
KR100384198B1 (ko) 협잡물 및 침사 제거장치
KR102481167B1 (ko) 삼방향종합물질제거기
KR100366776B1 (ko) 무빙스크린장치
KR101151292B1 (ko) 스컴 스크린의 구동장치
KR102556575B1 (ko) 부유물 제거형 체인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CN216837240U (zh) 一种煤化工废水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