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4893A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f door lock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f door 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4893A
KR20110014893A KR1020090072488A KR20090072488A KR20110014893A KR 20110014893 A KR20110014893 A KR 20110014893A KR 1020090072488 A KR1020090072488 A KR 1020090072488A KR 20090072488 A KR20090072488 A KR 20090072488A KR 20110014893 A KR20110014893 A KR 20110014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oor lock
control
lock device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4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38924B1 (en
Inventor
박병희
강병식
박종국
조필형
정용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90072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924B1/en
Publication of KR20110014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48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9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Abstract

PURPOSE: A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f a door lock are provided to receive information according to events such as the change of a door lock state, a fire, damage, and forced invasion. CONSTITUTION: An input unit receives input information through button manipulation. An authentication unit authenticates the inputted information using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e authentication unit generates an authentication result. A modem driving unit operates a communication modem through button manipulation. If authentication is confirmed, a door controller controls the operation of a door lock(110) according to the inputted information through analyzing an authentication result. A door control unit generate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door lock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door lock. A message converter converts the status information into a predetermined type message, which is transmitted to a mobile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modem.

Description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f door lock}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f door lock

본 발명은 도어락 제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통신 모뎀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를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door lock contro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door lock device having a communication modem using a portable terminal.

최근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키(key) 조작에 의한 도어 개폐 시스템은 해당 키 없이 도어를 개폐하기가 거의 불가능할 정도로 복잡하고 견고하게 설계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도어 개폐 시스템의 잠금 설정 및 잠금 해제를 위한 키의 구조 역시 매우 복잡하게 제작되고 있다. Recently, a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using a key operation, which is mainly used, has been designed to be so complicated and robust that it is almost impossible to open and close the door without the key.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key for setting and unlocking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is also very complicated.

그러나, 종래의 키 조작에 의한 도어 개폐 시스템은 해당 키를 복제하기가 용이하여 보안에 대한 안정성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키 조작에 의한 도어 개폐 장치를 복수로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각각의 도어 개폐 장치들(예를 들어, 일반 출입문, 자동차, 책상 등) 각각에 대응되는 키들을 모두 소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이 있을 뿐 아니라, 복수의 키를 관리함에도 많은 불편함이 존재하였다.However,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by a conventional key operation is easy to duplicate the key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tability of the security is very low. In addition, for a user who uses a plurality of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s by key operation, it is inconvenient to carry all the key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s (for example, a general door, a car, and a desk). In addition, there were many inconveniences in managing a plurality of keys.

또한, 근래에는 도어의 개폐 시스템에 있어서 종래의 접촉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개폐 방식에서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출입문 개폐 방식으로 기술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도어 개폐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일지라도 사용자는 별도의 스마트 카드를 소지하고 있어야 하므로 사용 및 관리 측면에서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Also, in recent years, in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of the door, there is a technological development from the opening and closing method using a contact smart card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thod using a contactless smart card. Even in the case of using a door opening and closing method using a non-contact smart card, the user must have a separate smart card, which causes inconvenience in terms of use and management.

이러한 사용 및 관리상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의 개폐 장치 및 방법이 고려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방법은 기지국을 통해서만 도어를 개폐할 수 있어서, 별도의 통화료를 부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기지국을 경유하여 통신을 실행한 후에 도어가 개폐되기 때문에 개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such inconvenience in use and management,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have been considered. However, the conventional method using the mobile terminal can open and close the door only through the base station, and there is a problem of having to pay a separate call fee, and because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after the communication through the base station takes a long time to open and close There was a problem.

또한, 상술한 종래의 이동 단말기 및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은 한번의 인증절차만을 수행하기 때문에 보안성이 많이 뒤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단말기 및 스마트 카드를 분실했을 경우에는 도어를 개폐하기가 불편하다는 문제점도 존재한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and a smart card has a problem inferior in security because it performs only one authentication procedure, and if the terminal and the smart card is lost, it is difficult to open and close the door. There is also a problem of inconvenience.

현재까지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도어 시스템 중 하나는 비밀번호를 눌러서 인증절차를 수행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버튼식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별도의 키를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은 해소되었지만, 버튼이 도어의 외부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고장의 위험성이 컸다. 또한, 비밀번호 누출에 따른 보안상의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One of the door systems that are still widely used up to now is a button-typ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system that opens and closes the door by performing an authentication process by pressing a password. Through th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carry a separate key has been eliminated, but since the button is located outside the door, there was a high risk of failure. It also had security problems due to password leaks.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는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lock control method and system that can control the door lock using a portab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구성원별 출입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lock control method and system that can check the access status for each member.

또한, 본 발명은 도어락의 상태 변경 또는 화재, 파손, 강제 침임 등의 이벤트 발생에 따른 정보를 메시지로써 수신받을 수 있는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lock control method and system that can receive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vent of the state of the door lock or the occurrence of events such as fire, breakage, forced invasion as a messag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되어 도어락을 제어하는 도어락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oor lock device for controlling the door lock in conjun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뎀; 키버튼 조작에 상응하여 입력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기저장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정보에 대해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인증부; 상기 키버튼 조작에 상응하여 상기 통신 모뎀을 구동시키는 모뎀 구동부; 상기 인증 결과 정보를 분석하여 인증 성공이면, 상기 입력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가 동작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도어락 장치의 제어에 따라 변화된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도어 제어부; 및 상기 상태 정보를 미리 정해진 형식의 메시지로 변환하는 메시지 변환 부를 포함하되, 상기 변환된 메시지는 상기 통신 모뎀을 통해 등록된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 communication modem; An input unit for receiving inpu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key button operation; An authentic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uthentication result information by performing authentication on the input information by using previously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 modem driver for driving the communication modem in response to the key button manipulation; A door controller configured to analyze the authentication result information and, if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control the door lock device to operate accor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and generate state information on a changed stat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door lock device; And a message converting unit converting the status information into a message of a predetermined format, wherein the converted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registered mobile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em.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뎀; 도어락 장치의 물리적 충격, 전기적 충격 및 화재 발생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여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이벤트 감지부; 상기 이벤트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통신 모뎀을 구동시키는 모뎀 구동부; 상기 이벤트 정보의 입력에 따라 상기 이벤트 정보 입력 시간 및 이벤트 유형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도어 제어부; 및 상기 이벤트 발생 정보를 미리 정해진 형식의 메시지로 변환하는 메시지 변환부를 포함하되, 상기 변환된 메시지는 상기 구동된 통신 모뎀을 통해 등록된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 communication modem; An event detection unit generating event information by detecting at least one of physical shock, electric shock, and fire occurrence of the door lock device; A modem driver for driving the communication modem in response to the event information; A door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including the event information input time and event typ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event information; And a message converting unit converting the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into a message of a predetermined format, wherein the converted message is transmitted to a registered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driven communication modem. .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도어락 장치가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되어 도어락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door lock by interlocking with a portable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락 장치가 도어락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키버튼 조작에 상응하여 입력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기저장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정보에 대해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키버튼 조작에 상응하여 상기 통신 모뎀을 구동시키는 단계; (d) 상기 인증 결과 정보를 분석하여 인증 성공이면, 상기 입력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가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e) 상기 도어락 장치의 제어에 따 라 변화된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상태 정보를 미리 정해진 형식의 메시지로 변환하고, 구동된 통신 모뎀을 통해 등록된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어락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controlling a door lock by a door lock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a) receiving inpu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key button operation; (b) generating authentication result information by performing authentication on the input information using previously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c) driving the communication modem in correspondence with the keybutton operation; (d) analyzing the authentication result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he door lock device to operate accor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if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e) generating state information on the changed stat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door lock device; And (f) converting the status information into a message of a predetermined format, and transmitting the status information to a registered portable terminal through a driven communication modem.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락 장치가 도어락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도어락 장치의 물리적 충격, 전기적 충격 및 화재 발생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여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이벤트 정보에 상응하여 통신 모뎀을 구동하는 단계; (c) 상기 이벤트 정보의 입력에 따라 상기 이벤트 정보 입력 시간 및 이벤트 유형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이벤트 발생 정보를 미리 정해진 형식의 메시지로 변환하여 상기 구동된 통신 모뎀을 통해 등록된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어락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controlling a door lock by a door lock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a) generating event information by detecting at least one of physical shock, electric shock and fire occurrence of the door lock device; (b) driving a communication modem in response to the event information; (c) generating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including the event information input time and event typ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event information; And (d) converting the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into a message of a predetermined format, and transmitting the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to a registered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driven communication modem.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By providing a door lock control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control the door lock using a portab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구성원별 출입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heck the access status for each member.

또한, 본 발명은 도어락의 상태 변경 또는 화재, 파손, 강제 침임 등의 이벤트 발생에 따른 정보를 메시지로써 수신받을 수 있는 이점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received as a message to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vent of a state change or fire, breakage, forced invasion of the door lock.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은 도어락 장치(110) 및 휴대용 단말기(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or lock device 110 and a portable terminal 120.

도어락 장치(110)는 문이나 창문 등에 부착(또는 구비)되며, 당해 도어락 장치(110)에 상응하여 설정된 제어 신호에 따라 도어 개폐, 상태 조회 또는/및 당해 도어락 장치(110)의 상태를 변경하여 설정한다.The door lock device 110 is attached (or provided) to a door or a window, and the lik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set corresponding to the door lock device 110 to open or close the door, display a state, and / or change the state of the door lock device 110. Set it.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도어락 장치(110)가 출입문에 부착(또는 구비)된 것을 가정하여 이를 중점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assumed that the door lock device 110 is attached (or provided) to the door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도어락 장치(110)는 이동통신이 가능한 통신 모뎀을 구비한다. 이에 도어락 장치(110)는 당해 도어락 장치(110)에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도어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이벤트 발생 정보 또는 보고 정보를 생성하여 통신 모뎀을 통해 설정된 휴대용 단말기(120)로 전송한다.The door lock device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modem capable of mobile communication. Accordingly, when an event occurs in the door lock device 110 or the door state is changed, the door lock device 110 generates event generation information or report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event information or report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120 set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em.

이에 따라, 도어락 장치(110)는 자사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가입되어 있으며, 자사 통신 사업자로부터 통신 식별 정보를 부여 받아 등록된다. 여기서, 통신 식별 정보는 도어락 장치(110)가 자사 통신 사업자로부터 부여받은 전화번호, MIN 번호, IMSI 번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락 장치(110)는 해당 통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120)와 데이터 를 송수신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oor lock device 110 is subscribed to use 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d by the company's communication company, and is registered by receiving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company's communication company. Here, th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any one of a telephone number, a MIN number, and an IMSI number that the door lock device 110 has received from its communication provider. Accordingly, the door lock device 11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portable terminal 120 using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본 실시예에서 도어락 장치(110)는 구비된 키버튼의 조작 또는 이벤트 발생에 따라 당해 도어락 장치(110)에 구비된 통신 모뎀을 구동시키며, 구동된 통신 모뎀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1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oor lock device 110 drives a communication modem provided in the door lock device 110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n provided key button or an event, and transmits data to the portable terminal 120 through the driven communication modem. Can send and receive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below.

휴대용 단말기(120)는 원격으로 도어락 장치(110)와 연결되어 도어락 장치(110)를 제어하거나 당해 도어락 장치(110)로부터 도어락 장치(110)의 제어에 따라 변경된 상태 정보 또는 도어락 장치(110)의 이벤트 발생 정보를 메시지의 형태로 제공받는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20)는 도어락 장치(110)로부터 방문자를 촬상한 촬상 영상을 수신받아 출력할 수도 있다.The portable terminal 120 is remotely connected to the door lock device 110 to control the door lock device 110 or the state information chang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door lock device 110 from the door lock device 110 or of the door lock device 110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message.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120 may receive and output a captured image of the visitor from the door lock device 110.

휴대용 단말기(120)는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가입되어 당해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기로써,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 PDA, MBS, 노트북 등일 수 있다. 이외에도, 휴대용 단말기(120)는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에 가입되어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이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20 is a terminal that receives various additional services provided by 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by subscribing to a service provided by 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and may be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DA, MBS, laptop, or the like.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120 may be applied to any terminal that can use various communication services by subscribing to a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d by a communication provider.

이하, 휴대용 단말기(120)의 각각의 구성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110)는 통신 모뎀(210), 입력부(215), 모뎀 구동부(220), 카메라(225), 잠금부(230), 전원부(235), 인증부(240), 메시지 변환부(245), 저장부(250) 및 도어 제어부(2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the door lock device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munication modem 210, input unit 215, modem driver 220, camera 225, lock 230, power supply 235 ), An authentication unit 240, a message conversion unit 245, a storage unit 250, and a door control unit 255.

통신 모뎀(210)은 모뎀 구동부(220)의 제어에 따라 구동 개시 또는 구동 종료된다. 즉, 통신 모뎀(210)은 모뎀 구동부(220)의 구동 개시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되며, 모뎀 구동부(220)의 구동 종료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 종료된다.The communication modem 210 starts or ends driving under the control of the modem driver 220. That is, the communication modem 210 is driven according to the driving start control signal of the modem driver 220, and the driving is terminated according to the driving end control signal of the modem driver 220.

통신 모뎀(210)은 모뎀 구동부(220)의 제에 따라 구동되어 휴대용 단말기(1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modem 210 is driven by the modem driver 220 and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portable terminal 120.

통신 모뎀(210)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모뎀으로, 예를 들어, CDMA, WCDMA, WIBRO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를 변/복조할 수 있는 모뎀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em 210 may be a modem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modem 210 may be a modem capable of modulating / demodulating data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protocol such as CDMA, WCDMA, or WIBRO.

입력부(215)는 사용자로부터 당해 도어락 장치(110)의 제어를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입력부(215)는 복수의 키버튼(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숫자 키버튼, 특수기호 키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방법에 따라 입력부(215)는 터치스크린 또는 음성 인식 등에 따른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The input unit 215 is a means for receiving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door lock apparatus 110 from the user. For example, the input unit 215 may include a plurality of key buttons (eg, one or more numeric key buttons, special symbol key buttons, etc.). In some embodiments, the input unit 215 may be implemented as an input means based on a touch screen or voice recognition.

또한, 입력부(215)는 당해 도어락 장치(110)가 설치 또는 부착되는 출입문의 내측 및 외측에 각각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input unit 215 is provided inside and outside the door to which the door lock device 110 is installed or attached.

모뎀 구동부(220)는 입력부(215)에 구비된 키버튼 조작에 따라 통신 모 뎀(210)을 구동시킨다. 또한, 모뎀 구동부(220)는 휴대용 단말기(120)로부터 당해 통신 모뎀(210)의 구동 종료를 위한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제어 명령에 상응하여 통신 모뎀(210)의 구동을 종료시킨다.The modem driver 220 drives the communication modem 210 according to the key button manipulation provided in the input unit 215. In addition, when a control message including a control command for terminating the driving of the communication modem 210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20, the modem driver 220 may drive the communication modem 210 in response to the control command. Quit.

예를 들어, 모뎀 구동부(220)는 당해 통신 모뎀(210)으로 전원을 인가시키거나 전원 인가를 절연하여 당해 통신 모뎀(210)의 구동 개시하거나 구동 종료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odem driver 220 may start or stop driving the communication modem 210 by applying power to the communication modem 210 or isolating power supply.

카메라(225)는 도어 제어부(255)의 제어에 따라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방문자를 촬상하여 촬상 영상을 생성한다. 또한, 카메라(225)는 도어 제어부(255)의 제어에 따라 구동 종료된다. 카메라(225)를 통해 피사체를 촬상하는 방법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camera 225 is driven under the control of the door controller 255 to capture the visitor to generate a captured image. In addition, the camera 225 is driven under the control of the door controller 255. Since a method of photographing a subject through the camera 225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 separ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잠금부(230)는 도어 제어부(255)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 상태를 설정한다.The lock unit 230 is driven under the control of the door controller 255 to set the locked or released state of the door.

전원부(235)는 당해 도어락 장치(110)의 각 구성부가 구동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ower supply unit 235 performs a function of supplying power so that each component of the door lock device 110 can be driven.

인증부(240)는 입력부(215)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정보 또는 통신 모뎀을 통해 수신되는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명령에 대해 미리 설정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결과 정보를 생성한다.The authentication unit 240 generates authentication result information by performing authentication using pres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the control command included in the inpu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215 or the control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em.

예를 들어, 인증부(240)는 입력부(215)를 통해 입력된 입력 정보에 대해 인증을 수행하여 유효한 정보(또는 명령)이 입력된 것인지에 대해 인증을 수행한다.For example, the authentication unit 240 performs authentication on inpu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215 and performs authentication on whether valid information (or a command) is input.

또한, 인증부(240)는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명령에 대해 인증을 수행하 여 유효한 명령인지에 대해 인증을 수행한다. 제어 명령은 경우에 따라 당해 제어 명령의 구동을 위해 설정된 설정 정보(예를 들어, 비밀 번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thentication unit 240 performs authentication on the control command included in the control message and performs authentication on whether it is a valid command. In some cases, the control command may further include setting information (eg, a password) set for driving the control command.

또한, 제어 메시지는 경우에 따라 제어 명령 이외에도 구성원에 따라 설정된 고유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고유 식별 정보는 각 구성원별로 설정된 식별 정보로써 휴대용 단말기(120)를 통해 도어락 장치(110)를 제어하기 위해 제어 메시지에 더 포함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essage may further includ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t according to members in addition to the control command in some cases. Here,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control message to control the door lock device 110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120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t for each member.

구현 방법에 따라 도어락 장치(110)는 도어 오픈을 위해 고유 식별 정보와 함께 제어 명령을 입력부(215)를 통해 입력 정보로써 입력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구성원의 출입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method, the door lock device 110 may be configured to input a control command as input information through the input unit 215 together with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opening the door. This has the advantage of checking the access status of members.

또한, 인증부(240)는 휴대용 단말기(120)의 발신 정보를 이용하여 등록된 단말인지에 대해 인증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uthenticator 240 may further perform authentication on whether the terminal is registered using the origin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20.

이를 통해 도어락 장치(110)는 등록된 단말인지에 대한 1차 인증, 등록된 구성원인지에 대한 2차 인증 및 유효한 명령인지에 대한 3차 인증을 통해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Through this, the door lock device 110 also has an advantage of strengthening security through primary authentication for whether the terminal is registered, secondary authentication for whether the registered member, and third authentication for valid command.

메시지 변환부(245)는 도어 제어부(255)의 제어에 따라 도어 제어에 따른 상태 정보를 미리 정해진 형식의 메시지로 변환한다. 또한, 메시지 변환부(245)는 도어 제어부(255)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225)를 통해 촬상된 촬상 영상을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The message converter 245 converts the st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oor control into a message of a predetermined format under the control of the door controller 255. In addition, the message converter 245 may include the captured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225 in the message under the control of the door controller 255.

예를 들어, 메시지 변환부(245)는 단문 메시지, 장문 메시지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메시지를 변환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essage converter 245 may convert the message into one of a short message, a long message and a multimedia message.

저장부(250)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110)를 운용하기 위해 필요한 알고리즘, 인증 정보, 도어락 장치(110)의 상태 정보, 구성원별 고유 식별 정보, 구성원별 휴대용 단말기의 식별 정보 등이 저장된다.The storage unit 250 includes algorithms,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door lock device 110,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memb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portable terminal for each member, and the like, required to operate the door lock device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tored.

도어 제어부(25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110)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통신 모뎀(210), 입력부(215), 모뎀 구동부(220), 카메라(225), 잠금부(230), 전원부(235), 인증부(240), 메시지 변환부(245), 저장부(250) 등)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door controller 255 may include internal components of the door lock device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modem 210, the input unit 215, the modem driver 220, the camera 225, and the lock part). 230, the power supply unit 235, the authentication unit 240, the message conversion unit 245, the storage unit 250, and the like.

또한, 도어 제어부(255)는 입력부(215)를 통해 입력된 입력 정보 또는 구동된 통신 모뎀(210)를 통해 수신된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명령에 따라 당해 도어락 장치(110)의 내부 구성들이 동작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door controller 255 operates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door lock apparatus 110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included in the inpu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215 or the control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driven communication modem 210. Control as possible.

또한, 도어 제어부(255)는 도어락 장치(110)의 동작에 상응하여 변경된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메시지 변환부(245)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어 제어부(255)는 카메라(225)를 통해 입력된 촬상 영상을 메시지 변환부(245)를 통해 메시지의 형태로 변환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oor controller 255 may generate st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oor lock apparatus 110 and output the changed state information to the message converter 245. In addition, the door controller 255 may control to convert the captured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225 into a message form through the message converter 245.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110)는 통신 모뎀(310), 입력부(315), 모뎀 구동부(320), 이벤트 감지부(325), 잠금부(330), 전원 부(335), 인증부(340), 메시지 변환부(345), 저장부(350) 및 도어 제어부(3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3, the door lock device 1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em 310, an input unit 315, a modem driver 320, an event detector 325, a lock unit 330, and a power supply. The unit 335, the authenticator 340, the message converter 345, the storage 350, and the door controller 355 are configured to be included.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ompon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will be omitted, and only different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이벤트 감지부(325)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거나 각 센서와 연결되어 각 센서로부터 계측 정보를 획득한다. 이벤트 감지부(325)는 각 센서를 통해 획득된 계측 정보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The event detector 325 includes one or more sensors or is connected to each sensor to obtain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each sensor. The event detector 325 generates and outputs event information when the measurement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each sens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예를 들어, 이벤트 감지부(325)는 출입문 파손, 화재, 강제 침입 등에 따른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여 이벤트 정보를 생성한 후 도어 제어부(355)로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vent detector 325 may generate an event information by detecting an event caused by a door break, fire, forced intrusion, etc., and then output the event information to the door controller 355.

예를 들어, 도어락 장치(110)에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고압 전류가 인가된다고 가정하자. 이와 같은 경우, 도어락 장치(110)는 고의 또는 악의적으로 당해 도어락 장치(110)를 오픈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이벤트 감지부(325)는 고압 전류 인가에 따른 강제 침입에 따른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도어 제어부(355)로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suppose that a high-voltage current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set in the door lock device 110 is applied. In such a case, the door lock device 110 may be determined to intentionally or maliciously open the door lock device 110. Accordingly, the event detector 325 may generate event information according to forced intrusion due to the application of a high voltage current and output the event information to the door controller 355.

도어 제어부(355)는 이벤트 감지부(325)로부터 이벤트 정보가 입력되면, 당해 이벤트 정보가 입력된 이벤트 정보 입력 시간 및 이벤트 정보 유형을 포함하는 이벤트 발생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도어 제어부(355)는 이벤트 발생 정보를 메시지 변환부(345)로 출력하며, 메시지 변환부(345)는 이를 미리 정해진 형식의 메 시지로 변환하여 지정된 휴대용 단말기(120)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When event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event detector 325, the door controller 355 generates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including an event information input time and event information type in which the event information is input. The door controller 355 outputs the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to the message converter 345, and the message converter 345 converts the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into a message of a predetermined format and outputs the message to the designated portable terminal 120. hav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가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되어 도어락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어 개폐 제어를 위해 설정된 제어 명령이 도어락 장치(110)에 구비된 입력 인터페이스(즉, 키버튼)의 조작에 따라 입력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oor lock device by interlocking with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a control command set for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is input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n input interface (ie, a key button) provided in the door lock device 110.

단계 410에서 도어락 장치(110)는 당해 도어락 장치(110)에 구비된 입력 인터페이스의 조작에 따른 입력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입력 정보는 제어 명령 및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가정하기로 한다.In operation 410, the door lock apparatus 110 receives inpu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n input interface provided in the door lock apparatus 110.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input information includes a control command an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단계 415에서 도어락 장치(110)는 입력 인터페이스의 조작에 상응하여 구비된 통신 모뎀을 구동시킨다.In step 415, the door lock device 110 drives the communication modem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put interface.

단계 420에서 도어락 장치(110)는 입력 정보에 대해 미리 설정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성공인지를 판단한다.In operation 420, the door lock apparatus 110 performs authentication by us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preset for the input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예를 들어, 도어락 장치(110)는 입력 정보에 포함된 제어 명령이 유효한 명령인지에 대해 인증을 수행하며, 당해 입력 정보에 포함된 고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등록된 구성원인지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결과 정보를 생성한다.For example, the door lock device 110 authenticates whether the control command included in the input information is a valid command, and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on whether a member is registered us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nput information. To generate authentication result information.

도어락 장치(110)는 인증 결과 정보를 분석하여 인증 성공 또는 실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door lock apparatus 110 may determine whether the authentication succeeds or fails by analyzing the authentication result information.

만일 인증 실패인 경우, 도어락 장치(110)는 이후의 단계로 진행하지 않는 다.If the authentication failure, the door lock device 110 does not proceed to a later step.

그러나 만일 인증 성공인 경우, 단계 425에서 도어락 장치(110)는 입력 정보에 상응하여 당해 도어락 장치가 동작되도록 제어한다. 즉, 입력 정보에 포함된 제어 명령이 도어 오픈을 위한 제어 명령인 경우, 당해 도어락 장치(110)는 제어 명령에 상응하여 도어가 오픈되도록 당해 도어락 장치(110)를 제어할 수 있다.However, if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in step 425 the door lock device 110 controls to operate the door lock device correspon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That is, when the control command included in the input information is a control command for opening the door, the door lock device 110 may control the door lock device 110 to open the door in response to the control command.

그리고, 단계 430에서 도어락 장치(110)는 도어락 장치(110)의 동작에 상응하여 변화된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In operation 430, the door lock device 110 generates changed st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oor lock device 110.

예를 들어, 도어락 장치(110)는 고유 식별 정보와 제어 명령에 상응하여 설정된 도어 제어 유형을 포함하여 상태 정보를 생성 또는 갱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oor lock device 110 may generate or update st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door control type set in correspondence with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control command.

단계 435에서 도어락 장치(110)는 상태 정보를 미리 정해진 형식의 메시지로 변환하여 지정된 휴대용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락 장치(110)는 하나 이상의 휴대용 단말기(120)의 식별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어락 장치(110)는 해당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착신 정보로 하여 변환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In operation 435, the door lock device 110 converts the status information into a message of a predetermined format and transmits the message to the designated portable terminal 120. As described above, the door lock device 110 is registered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one or more portable terminal 120. Accordingly, the door lock device 110 may extract the correspon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converted message using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the incoming information.

단계 440에서 도어락 장치(110)는 휴대용 단말기(120)로부터 제어 메시지를 수신받는다. 여기서, 제어 메시지는 제어 명령을 포함하며, 당해 제어 명령은 통신 모뎀 종료를 위해 설정된 제어 명령인 것을 가정하기로 한다.In operation 440, the door lock apparatus 110 receives a control message from the portable terminal 120. Here, it is assumed that the control message includes a control command, and the control command is a control command set for terminating the communication modem.

단계 445에서 도어락 장치(110)는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명령을 추출하고, 제어 명령에 따라 통신 모뎀의 구동을 종료시킨다. 예를 들어, 도어락 장치(110)는 제어 명령에 상응하여 통신 모뎀(210)으로의 전원이 인가되지 못하도록 절연하여 통신 모뎀의 구동을 종료시킬 수 있다.In operation 445, the door lock apparatus 110 extracts a control command included in the control message and terminates the driving of the communication modem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For example, the door lock device 110 may terminate the driving of the communication modem by insulating the power to the communication modem 210 in response to the control command.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와 휴대용 단말기가 연동되어 도어락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구성원이 없는 상태에서 방문자가 방문한 경우 원격으로 휴대용 단말기(120)를 통해 도어락 장치(110)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oor lock device by interlocking a door lock device and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method of remotely controlling the door lock device 110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120 when a visitor visits without a member will be described.

단계 510에서 도어락 장치(110)는 입력 인터페이스 조작에 따른 입력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입력 정보는 미리 설정된 키버튼 조작인 것을 가정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방문 키버튼 조작에 따른 정보이거나 도어 오픈을 위해 설정된 키버튼 조작에 다른 정보일 수도 있다.In operation 510, the door lock apparatus 110 receives inpu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input interface operation.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input information is a preset key button operation. For example, th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based on the visit key button manipulation or other information on the key button manipulation set for the door opening.

단계 515에서 도어락 장치(110)는 키버튼 조작에 따라 통신 모뎀을 구동시킨다.In step 515 the door lock device 110 drives the communication modem in accordance with the key button operation.

단계 520에서 도어락 장치(110)는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손님 방문 또는 인터폰 연결로 판단되면, 카메라를 구동시킨다.In operation 520, the door lock apparatus 110 analyzes the input information and drives the camera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isitor visits or the intercom connection.

단계 525에서 도어락 장치(110)는 구동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방문자를 촬상하여 촬상 영상을 생성한다.In operation 525, the door lock apparatus 110 generates a captured image by capturing the visitor using the driven camera.

단계 530에서 도어락 장치(110)는 촬상 영상을 등록된 휴대용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20)로부터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수신받는다(단계 535).In operation 530, the door lock apparatus 110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to the registered portable terminal 120. Accordingly, a control message including a control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20 (step 535).

단계 540에서 도어락 장치(110)는 수신된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명령에 상응하여 도어락 장치(110)가 동작되도록 제어한다. 단계 545 이전에 도어락 장치(110)는 제어 명령에 상응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도 있다.In operation 540, the door lock apparatus 110 controls the door lock apparatus 110 to operate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included in the received control message. Before step 545, the door lock device 110 may further perform authentication in response to a control command.

또한, 제어 메시지는 제어 명령 이외에도 구성원에 따라 설정된 고유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도어락 장치(110)는 해당 고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등록된 구성원으로부터의 제어 명령인지에 대해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control command, the control message may further includ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t according to the member. Accordingly, the door lock device 110 may authenticate whether the control command from the registered member us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또한, 제어 메시지는 당해 제어 메시지를 발송한 휴대용 단말기(120)의 발신 정보(식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어락 장치(110)는 등록된 단말인지에 대해서도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message may further include the origination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20 that sent the control message, through which the door lock device 110 may perform authentication even if the terminal is registered. .

인증이 성공한 경우, 단계 545로 진행하며, 인증이 실패한 경우에는 인증 실패를 위한 안내 메시지를 제어 메시지를 발신한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며 이후의 단계는 진행하지 않는다.If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545. If the authentication fails, a guide message for the authentication failure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that sent the control message, and subsequent steps do not proceed.

그리고, 단계 545에서 도어락 장치(110)는 도어락 장치(110)의 동작에 따라 변화된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In operation 545, the door lock apparatus 110 generates state information chang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oor lock apparatus 110.

단계 550에서 도어락 장치(110)는 상태 정보를 미리 정해진 형식의 메시지로 변환하여 등록된 휴대용 단말기(120) 또는 제어 메시지를 발송한 휴대용 단말기(120)로 전송한다.In operation 550, the door lock device 110 converts the status information into a message of a predetermined format and transmits the registered information to the registered portable terminal 120 or the portable terminal 120 that has sent the control message.

예를 들어, 도어락 장치(110)는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발신 정보를 착신 정보로 이용하여 해당 제어 메시지를 발송한 휴대용 단말기(120)로 변환된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oor lock device 110 may send the converted message to the portable terminal 120 that sends the control message by using the outgo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rol message as the incoming information.

이후의 단계는 도 4의 440 및 445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ubsequent steps are the same as 440 and 445 of FIG. 4, and thus a separ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이벤트 발생에 따른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흐름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mi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vent occurrence of a door lock device to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610에서 도어락 장치(110)는 당해 도어락 장치(110)의 이벤트 발생을 감지한다.In operation 610, the door lock device 110 detects an event occurrence of the door lock device 110.

예를 들어, 도어락 장치(110)는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상의 물리적 또는/및 전기적 충격이 당해 도어락 장치(110)에 가해지거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한다. For example, the door lock device 110 detects whether a physical or / and electric shock of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or more is applied to the door lock device 110 or a fire occurs.

단계 615에서 도어락 장치(110)는 이벤트 발생에 따라 도어락 장치(110)에 구비된 통신 모뎀을 구동시킨다.In operation 615, the door lock device 110 drives a communication modem provided in the door lock device 110 according to an event occurrence.

단계 620에서 도어락 장치(110)는 이벤트 발생에 따른 시간 정보 및 이벤트 발생 유형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발생 정보를 생성한다.In operation 620, the door lock device 110 generates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including time information and event occurrence typ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vent occurrence.

단계 625에서 도어락 장치(110)는 이벤트 발생 정보를 미리 정해진 형식의 메시지로 변환하여 등록(또는 지정)된 휴대용 단말기(120)로 전송한다.In operation 625, the door lock device 110 converts the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into a message of a predetermined format and transmits the generated event information to the registered (or designated) portable terminal 120.

단계 630에서 도어락 장치(110)는 휴대용 단말기(120)로부터 통신 모뎀의 종료를 위한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수신받는다.In operation 630, the door lock apparatus 110 receives a control message including a control command for terminating the communication modem from the portable terminal 120.

단계 635에서 도어락 장치(110)는 제어 명령에 상응하여 통신 모뎀의 구동을 종료시킨다. In operation 635, the door lock device 110 terminates the driving of the communication modem in response to the control command.

본 실시예에서는 단계 630에서 수신된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명령이 통 신 모뎀의 구동 종료를 위한 제어 명령인 것을 가정하여 이를 중점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카메라 구동, 인터폰 기능 등과 같은 도어락 장치(11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명령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어락 장치(110)는 해당 제어 명령에 상응하도록 도어락 장치(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물론, 단계 630에서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후 도어락 장치(110)는 인증 수행을 위한 인증 절차를 더 수행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는 이미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별도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 command included in the control message received in step 630 is assumed to be a control command for terminating the driving of the communication modem. It may be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n this case, it is natural that the door lock device 11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oor lock device 110 to correspond to the corresponding control command. Of course, after receiving the control message in step 630, the door lock device 110 may further perform an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performing the authentication. Since this is the same as already described above, a separate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도어락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door lock device by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10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20)는 방문자를 촬상한 촬상 영상을 도어락 장치(110)로부터 수신받는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20)는 71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도어락 장치(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명령의 입력을 안내하는 메시지(편의상 제1 메시지라 칭함)를 출력한다.As shown in 710, the portable terminal 120 receives a captured image of the visitor from the door lock device 110. Accordingly, the portable terminal 120 outputs a message (referred to as a first message for convenience) for guiding input of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door lock device 110 as illustrated at 715.

이에 따라 구성원은 도어락 장치(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명령을 선택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20)는 구성원에 상응하여 입력된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도어락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120)는 제어 명령 이외에도 구성원에 상응하여 설정된 고유 식별 정보를 더 입력받고, 이를 제어 메시지에 더 포함할 수 있다. 구현 방법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20)는 구성원에 상응하는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구성원의 입력 절차 필요 없이 저장된 고유 식별 정보를 제어 메시지에 더 포함하여 도어락 장치(110)로 전송할 수도 있다(720).Accordingly, the member may select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door lock device 110. The portable terminal 120 may generate a control message including a control command input corresponding to the member and transmit the generated control message to the door lock device 110. Here, the portable terminal 120 may further receiv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t corresponding to the member in addition to the control command, and may further include it in the control message.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method, the portable terminal 120 may stor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ember, and may further include the store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control message and transmit the store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door lock device 110 without the need for an input procedure of the member (720). ).

이어, 휴대용 단말기(120)는 도어락 장치(110)로부터 휴대용 단말기(120)를 통한 도어락 장치(110)의 제어에 따른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받아 출력할 수 있다(725).Subsequently, the portable terminal 120 may receive and output a message including st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door lock apparatus 110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120 from the door lock apparatus 110 (725).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varied and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1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가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되어 도어락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oor lock device by interlocking with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와 휴대용 단말기가 연동되어 도어락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oor lock device by interlocking a door lock device and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이벤트 발생에 따른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흐름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vent occurrence of a door lock device to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도어락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7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door lock device by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7)

통신 모뎀;Communication modem; 키버튼 조작에 상응하여 입력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An input unit for receiving inpu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key button operation; 기저장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정보에 대해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인증부;An authentic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uthentication result information by performing authentication on the input information by using previously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상기 키버튼 조작에 상응하여 상기 통신 모뎀을 구동시키는 모뎀 구동부;A modem driver for driving the communication modem in response to the key button manipulation; 상기 인증 결과 정보를 분석하여 인증 성공이면, 상기 입력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가 동작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도어락 장치의 제어에 따라 변화된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도어 제어부; 및A door controller configured to analyze the authentication result information and, if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control the door lock device to operate accor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and generate state information on a changed stat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door lock device; And 상기 상태 정보를 미리 정해진 형식의 메시지로 변환하는 메시지 변환부를 포함하되,Including a message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status information into a message of a predetermined format, 상기 변환된 메시지는 상기 통신 모뎀을 통해 등록된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The converted message is a door loc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ransmitted to the registered mobile terminal via the communication modem.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영상 촬상을 위한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It further comprises a camera for imaging; 상기 입력 정보가 원격 제어 또는 인터폰 기능을 위해 설정된 정보이면, 상기 카메라는 상기 도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방문자를 촬상하여 촬상 영 상을 생성하며,If the input information is information set for a remote control or interphone function, the camera is driven under the control of the door controller to capture an image of a visitor to generate an image. 상기 도어 제어부는 상기 촬상 영상을 상기 통신 모뎀을 통해 정해진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And the door controller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to a portable terminal determin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em. 제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촬상 영상의 수신에 상응하여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되,The portable terminal generates and transmits a control message including a control command in response to the reception of the captured image. 상기 도어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뎀을 통해 상기 제어 메시지를 수신받고, 상기 제어 메시지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도어락 장치가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The door controller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control messag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em, and control the door lock device to operate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 message. 제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도어락 장치의 도어 개폐 제어를 위한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The control command is a door loc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lock device. 제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어 메시지는 구성원 식별을 위한 고유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되,The control message further include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member identification, 상기 인증부는 상기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명령의 유효성에 대해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고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등록된 구성원인지에 대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And the authentication unit performs authentication on the validity of the control command by using the control command, and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on whether a member is registered us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제5 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인증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발신 정보를 이용하여 등록된 단말인지에 대해 인증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The authentication unit is a door loc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performing further authentication whether the terminal is registered using the outgoing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통신 모뎀은 CDMA, WCDMA 및 WIBRO 중 어느 하나의 이동통신 기반 기술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The communication modem is a door loc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a protocol of any 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d technology of CDMA, WCDMA and WIBRO. 통신 모뎀;Communication modem; 도어락 장치의 물리적 충격, 전기적 충격 및 화재 발생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여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이벤트 감지부;An event detection unit generating event information by detecting at least one of physical shock, electric shock, and fire occurrence of the door lock device; 상기 이벤트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통신 모뎀을 구동시키는 모뎀 구동부;A modem driver for driving the communication modem in response to the event information; 상기 이벤트 정보의 입력에 따라 상기 이벤트 정보 입력 시간 및 이벤트 유 형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도어 제어부; 및A door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including the event information input time and event typ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event information; And 상기 이벤트 발생 정보를 미리 정해진 형식의 메시지로 변환하는 메시지 변환부를 포함하되,Including a message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into a message of a predetermined format, 상기 변환된 메시지는 상기 구동된 통신 모뎀을 통해 등록된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And the converted message is transmitted to a registered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driven communication modem. 제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도어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뎀을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모뎀 종료를 위한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 명령에 상응하는 구동 종료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되,When the door controller receives a control message including a control command for terminating the modem from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em, the door controller generates and outputs a driving end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상기 모뎀 구동부는 상기 구동 종료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통신 모뎀으로의 전원을 절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And the modem driver insulates power to the communication modem according to the driving end control signal. 도어락 장치가 도어락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the door lock device to control the door lock, (a) 키버튼 조작에 상응하여 입력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a) receiving inpu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key button manipulation; (b) 기저장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정보에 대해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b) generating authentication result information by performing authentication on the input information using previously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c) 상기 키버튼 조작에 상응하여 상기 통신 모뎀을 구동시키는 단계;(c) driving the communication modem in correspondence with the keybutton operation; (d) 상기 인증 결과 정보를 분석하여 인증 성공이면, 상기 입력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가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d) analyzing the authentication result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he door lock device to operate accor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if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e) 상기 도어락 장치의 제어에 따라 변화된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e) generating state information on the changed stat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door lock device; And (f) 상기 상태 정보를 미리 정해진 형식의 메시지로 변환하고, 구동된 통신 모뎀을 통해 등록된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어락 제어 방법.(f) converting the status information into a message of a predetermined format, and transmitting the registered information to a mobile terminal registered through a driven communication modem. 제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c) 단계는 상기 (b) 단계와 병렬로 수행되거나 상기 (b) 단계 이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제어 방법.The step (c) is performed in parallel with the step (b) or before the step (b)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lock control method. 제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e) 상기 입력 정보가 원격 제어 또는 인터폰 기능을 위해 설정된 정보이면,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단계;(e) driving the camera if the input information is information set for a remote control or interphone function; (f) 상기 카메라가 방문자를 촬상하여 촬상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f) the camera photographing the visitor to generate a captured image; And (g) 상기 촬상 영상을 상기 구동된 통신 모뎀을 통해 정해진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도어락 제어 방법.and (g) transmitting the captured image to a predetermined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driven communication modem. 제12 항에 있어서,13. The method of claim 12, (h)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촬상 영상의 수신에 상응하는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수신받는 단계; 및(h) receiving a control message including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reception of the captured image from the portable terminal; And (i) 상기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도어락 장치가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도어락 제어 방법.(i) controlling the door lock device to operate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included in the control message. 제12 항에 있어서,13. The method of claim 12, (h)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촬상 영상의 수신에 상응하는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수신받는 단계; 및(h) receiving a control message including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reception of the captured image from the portable terminal; And (i) 상기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도어락 장치가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도어락 제어 방법.(i) controlling the door lock device to operate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included in the control message. 제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i) 단계 이전에, Before step (i), 상기 제어 메시지가 구성원 식별을 위한 고유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 명령을 이용한 상기 제어 명령의 유효성에 대한 인증과 상기 고유 식별 정보를 이용한 등록된 구성원인지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도어락 제어 방법.If the control message further include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member identification, performing authentication of the validity of the control command using the control command and user authentication of whether the member is a registered member us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door lock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도어락 장치가 도어락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the door lock device to control the door lock, (a) 도어락 장치의 물리적 충격, 전기적 충격 및 화재 발생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여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a) generating event information by detecting at least one of physical shock, electric shock and fire occurrence of the door lock device; (b) 상기 이벤트 정보에 상응하여 통신 모뎀을 구동하는 단계;(b) driving a communication modem in response to the event information; (c) 상기 이벤트 정보의 입력에 따라 상기 이벤트 정보 입력 시간 및 이벤트 유형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c) generating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including the event information input time and event typ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event information; And (d) 상기 이벤트 발생 정보를 미리 정해진 형식의 메시지로 변환하여 상기 구동된 통신 모뎀을 통해 등록된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어락 제어 방법.and (d) converting the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into a message of a predetermined format and transmitting the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to a registered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driven communication modem. 제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e) 상기 구동된 통신 모뎀을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모뎀 종료를 위한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수신받는 단계; 및(e) receiving a control message including a control command for terminating a modem from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driven communication modem; And (f) 상기 제어 명령에 상응하여 상기 통신 모뎀으로의 전원 인가를 절연시켜 구동 종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도어락 제어 방법. and (f) isolating and terminating driving of the power supply to the communication modem in response to the control command.
KR1020090072488A 2009-08-06 2009-08-06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f door lock KR1011389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488A KR101138924B1 (en) 2009-08-06 2009-08-06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f door 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488A KR101138924B1 (en) 2009-08-06 2009-08-06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f door l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893A true KR20110014893A (en) 2011-02-14
KR101138924B1 KR101138924B1 (en) 2012-05-14

Family

ID=43773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488A KR101138924B1 (en) 2009-08-06 2009-08-06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f door 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8924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6428A (en) * 2014-05-01 2015-11-12 김성기 Access control method, device and system using access control terminal
KR20170024414A (en) 2015-08-25 2017-03-07 천대우 Digital door-lock apparatus using a smart phone
KR20220096811A (en) 2020-12-31 2022-07-07 윤종대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blockchain and time inform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673B1 (en) 2018-12-06 2019-07-08 주식회사 푸시풀시스템 Digital electronic device based on dual block chain comprising virtual blockchain
KR20200113103A (en) 2019-03-22 2020-10-06 주식회사 블록체인시스템 Digital electronic device operation based on dual block chain comprising virtual blockchain and its operation method
KR102037848B1 (en) 2019-03-27 2019-10-29 주식회사 푸시풀시스템 Digital electronic device operation method based on dual block chain comprising virtual blockchain
KR20220072657A (en)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푸시풀시스템 SECURITY CONSTRUCTION METHOD FOR IoT DEVICES PLATFORM AND SECURITY CONSTRUCTION SYSTEM FOR IoT DEVICES PLATFORM BASED ON DUAL BLOCKCHAIN COUPLED WITH VIRTUAL BLOCKCHAI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413B1 (en) * 2005-07-06 2007-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System for controlling of a door opening/closing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station and method thereof
KR20070056571A (en) * 2005-11-30 2007-06-04 주식회사 팬택 System for key data transmitting of digital door lock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6428A (en) * 2014-05-01 2015-11-12 김성기 Access control method, device and system using access control terminal
KR20170024414A (en) 2015-08-25 2017-03-07 천대우 Digital door-lock apparatus using a smart phone
KR20220096811A (en) 2020-12-31 2022-07-07 윤종대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blockchain and time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8924B1 (en) 2012-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2122B1 (en)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doorlock apparatus using smart phone and the doorlock appratus
KR101138924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f door lock
CN104504796B (en) A kind of machine room intelligent gate inhibition open method and open system based on wireless network
KR101623743B1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door lock of the home network system
KR101315940B1 (en) Door lock system using smart phone
KR10121166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input/output of sers in digital door lock system
CN107067516A (en) Method for unlocking and system and door-locking system
CN105261100A (en) Entrance guard unlocking method and system
CN106127900A (en) A kind of user identity comprehensive verification method for unlocking and device
CN106716503A (en) A safety verification method, device and server
CN106097490B (en) A kind of intelligent lock, the door-locking system and method for unlocking being made of lockset
KR20160128644A (en) Disital door remote control device
CN204926231U (en) Entrance guard and access control system
KR100722990B1 (en) System for controlling opening/locking of door using mobile terminal and recording-medium storing the controlling method
US20200357214A1 (en) Managing and controlling access to secured areas
KR102459799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entrance and exit of common entrance door
CN104891283A (en) Elevator control system combined with card password
KR101024284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f door lock
JP2008057112A (en) System and program for management of entry into/exit from room
CN205302421U (en) Mobile terminal , gate host computer and entrance guard system of unblanking in entrance guard system of unblanking
KR20150035644A (en) Digital Door-Lock and Door-Lock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16540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ement input/output of sers in digital door lock system
KR101237830B1 (en) The Method And Mobile Phone for Auto Change Of Control Mode in Home Network
CN210038899U (en) Intelligent lock
KR101063751B1 (en) Biometrics-based Passenger Identification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