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878U - 광통신 모듈 - Google Patents

광통신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878U
KR20110007878U KR2020100001178U KR20100001178U KR20110007878U KR 20110007878 U KR20110007878 U KR 20110007878U KR 2020100001178 U KR2020100001178 U KR 2020100001178U KR 20100001178 U KR20100001178 U KR 20100001178U KR 20110007878 U KR20110007878 U KR 201100078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optical cable
coupler
cabl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1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6905Y1 (ko
Inventor
김명석
신만철
Original Assignee
(주) 시스메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시스메이트 filed Critical (주) 시스메이트
Priority to KR20201000011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905Y1/ko
Publication of KR201100078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8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9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9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89Bidirectional transmission
    • H04B10/25891Transmission compon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 스위치, 커플러 및 광케이블을 케이스에 내장하여 하나의 모듈로 형성함으로써, 광 스위치 및 커플러 를 불량 등의 이유로 교체해야할 경우, 각 요소를 일일이 교체하지 않고 단일화된 모듈만 교체하여 교체작업 및 관리가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는 광통신 모듈에 관한 것으로, 광섬유를 내장하여 광신호를 전달하도록 배치되는 광케이블과, 상기 광케이블로부터 전달된 광신호를 패스 또는 차단하는 광스위치와, 상기 광케이블로부터 전달된 광신호를 분배 또는 결합하는 커플러 및 상기 광스위치, 커플러, 광케이블을 내부에 배치하고, PCB기판상에 고정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광통신 모듈{optical communications madule}
본 고안은 광통신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 스위치, 커플러 및 광케이블을 케이스에 내장하여 하나로 모듈화하는 광통신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통신 모듈에 설치되는 광 스위치와 커플러는 PCB기판에 광 스위치의 리드부분을 납땜(soldering)하여 전원 및 컨트롤 신호를 받아 동작하도록 고정되고, 커플러는 전원 공급 없이 외부 광신호를 받아 정해진 분배비에 따라 광신호를 분배 및 결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광 스위치와 커플러는 광케이블과 연결되어 외부에서 입력된 광신호를 전달받으며, 상기 광케이블의 경우 내부 광섬유의 손상이나 광 감쇄를 방지할 수 있도록 PCB기판 상에 홀더에 의해 고정되어 포설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광 스위치와 커플러가 사용되는 제품은 각각의 제품마다 광 스위치와 커플러 고정 후 광케이블을 포설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광케이블의 포설 시 광섬유 단선 등의 이유로 발생하는 광케이블의 손상이나 광 감쇄의 빈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광 스위치 및 커플러 불량으로 교체 시 포설한 광케이블을 일일이 해체하고 새로운 부품으로 교체 후 다시 포설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외관상 광 스위치와 커플러 및 광케이블이 복잡하게 얽혀있어, 정리되지 못한 느낌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광 스위치, 커플러 및 광케이블을 케이스에 내장하여 하나의 모듈로 형성함으로써, 광 스위치 및 커플러 를 불량 등의 이유로 교체해야할 경우, 각 요소를 일일이 교체하지 않고 단일화된 모듈만 교체하여 교체작업 및 관리가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으며, 외관상으로도 번잡해 보이지 않는 광통신 모듈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광섬유를 내장하여 광신호를 전달하도록 배치되는 광케이블과, 상기 광케이블로부터 전달된 광신호를 패스 또는 차단하는 광스위치와, 상기 광케이블로부터 전달된 광신호를 분배 또는 결합하는 커플러 및 상기 광스위치, 커플러, 광케이블을 내부에 배치하고, PCB기판상에 고정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광통신 모듈을 제공한다.
본 고안 광통신 모듈은 광 스위치, 커플러 및 광케이블을 케이스에 내장하여 하나의 모듈로 형성함으로써, 광 스위치 및 커플러 를 불량 등의 이유로 교체해야할 경우, 각 요소를 일일이 교체하지 않고 단일화된 모듈만 교체하여 교체작업 및 관리가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으며, 외관상으로도 번잡해 보이지 않고 정리된 느낌을 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광통신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광통신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스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에 따른 케이스의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광통신 모듈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광통신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광통신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광통신 모듈은 광섬유를 내장하여 광신호를 전달하도록 배치되는 광케이블(100)과, 상기 광케이블(100)로부터 전달된 광신호를 패스 또는 차단하는 광스위치(200)와, 상기 광케이블(100)로부터 전달된 광신호를 분배 또는 결합하는 커플러(300) 및 상기 광케이블(100), 광스위치(200), 커플러(300)를 내부에 배치하고, PCB기판(20)상에 고정되는 케이스(400)를 포함한다.
광케이블(100)은 광섬유를 내장하여 광신호를 외부로부터 유입하여 광스위치(200), 커플러(300) 등에 전달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광케이블(100)은 광스위치(200), 커플러(300)에 연결된 후, 각각의 자유단부는 케이스(400)의 외부로 노출되어 광신호를 입력받고 출력가능하도록 별도의 연결단자(110)를 마련하여 외부단자와 광(optical)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광스위치(200)는 상기 광케이블(100) 사이에 설치되어 광케이블(100)로부터 전달된 광신호를 패스 또는 차단하여 스위칭한다.
상기 광스위치(200)는 Non-latching 광 스위치 및 Latching 광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Latching 광 스위치는 선택적으로 구성되며, Non-latching 광 스위치 및 Latching 광 스위치가 구비될 경우, 상호 광(optical)통신이 가능하도록 광케이블(100)로 연결된다.
커플러(300)는 상기 광케이블(100)로부터 전달된 광신호를 분배 또는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커플러(300)는 대부분 광섬유를 분기하도록 구비되며, 광스위치(200)와 광(optical)통신이 가능하도록 광케이블(100)로 연결된다. 또한, 광스위치(200)가 Non-latching 광 스위치 및 Latching 광 스위치 2개로 구비될 경우 커플러(300) 또한 각각의 광스위치(200)에 연결하도록 2개 구비된다.
케이스(400)는 상기 광케이블(100), 광스위치(200), 커플러(300)를 내부에 배치하고, PCB기판(20)상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케이스(400)는 광케이블(100), 광스위치(200), 커플러(300)를 하나의 모듈로 고정해주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광스위치(200) 및 커플러(300)를 내장하고, 상기 광스위치(200) 및 커플러(300)와 연결된 광케이블(100)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범위에서 상기 케이스(400)의 형태 및 소재는 다양한 실시 예가 발생할 수 있다.
먼저, 케이스(400) 소재의 경우, 스틸,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소재를 비롯하여 아크릴과 같은 합성수지, 고무 등과 같이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400) 형상은 최대한 작고, 낮은 높이를 형성하여 각종 제품에 장착 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하며, 사각의 박스형상 또는 원통 형상을 비롯하여 내부에 광스위치(200) 및 커플러(300)를 수용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400)는 일면이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광케이블(100), 광스위치(200), 커플러(300)를 내장하며, PCB기판상(20)에 고정되는 하부몸체(410)와, 상기 하부몸체(410)의 개구된 일면을 개방 또는 패쇄하는 상부커버(420)를 포함한다.
하부몸체(410)의 경우 PCB기판상(20)에 고정되며, 대체적으로 상측이 개구된 박스의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내부 공간에 광스위치(200), 커플러(300)를 내장하여 바닥면에 고정하고, 상기 광스위치(200), 커플러(300)를 외부의 광케이블(100)과 연결하여 하나의 모듈을 형성한다.
상부커버(420)는 상기 하부몸체(410)의 개구된 일면을 개방 또는 패쇄하도록 구성되며,상기 하부몸체(410)에 내장된 광스위치(200), 커플러(300), 광케이블(100)을 점검 및 보수할 때, 상부커버(420)를 열고 작업하고, 작업이 완료되면 상부커버(420)를 닫아 하부몸체(410)를 외부와 차단한다.
이때, 상기 상부커버(420)와 하부몸체(410)는 별도의 체결수단이 별도로 마련될 수 있고, 상부커버(420)는 양측에 측벽을 형성하고, 하부몸체(410)는 상기 측벽이 끼워지는 요입부를 형성하여 결합할 수 있다. 또한, 하부몸체(410)와 상부커버(420)는 힌지 결합하여 상부커버(420)가 하부몸체(410)를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상부커버(420)가 하부몸체(410) 전체 또는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몸체(410)는 양측 하단에 상기 광케이블(100)이 통과하도록 개방부(411)를 마련한다.
상기 개방부(411)는 광케이블(100)이 통과하도록 타공되어 통로로 작용하며, 광스위치(200), 커플러(300)는 빠져나오지 못하지만 광케이블(100)은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개방부(411)는 광케이블(100)이 통과하지 않을 때 개방부(411)를 차단할 수 있도록 덮개(412)를 구비한다. 상기 덮개(412)는 평소에는 개방부(411)는 폐쇄하고, 광케이블(100)이 설치되면 개방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몸체(410)는 내부 바닥면에 상기 광케이블(100), 광스위치(200), 커플러(300)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413)가 마련된다.
상기 홀더(413)는 광케이블(100)이 끼워지도록 마련된 탄력지지방식의 홀더를 비롯하여 광스위치(200), 커플러(300)를 감싸도록 마련된 밴드 형태의 홀더를 포함할 수 있으며, 광케이블(100), 광스위치(200), 커플러(300)가 하부몸체(410)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고정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홀더(413)는 광케이블(100)의 광 감쇄를 없애기 위하여 광케이블(100)의 곡률을 3cm 또는 8cm이상 유지하도록 포설된 광케이블(100)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광스위치(200)와 커플러(300)는 광파장에 따라 850nm인 멀티모드(Multi mode)와 1310nm인 싱글모드(Single mode)로 구분되는데 상기 두 종류의 모드는 광스위치(200)나 커플러(300)의 사이즈나 모양은 동일하기에 광통신 모듈에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광케이블(100)의 포설 시 광 케이블(100)의 곡률에 따라 광 감쇄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곡률이 작을수록 광 감쇄의 발생확률이 높다. 대략적으로 멀티모드는 약 지름 8cm이상의 곡률에서 가장 광감쇄가 적으며 싱글모드는 약 지름 3cm이상의 곡률에서 광 감쇄가 없다.
멀티모드의 경우, 8cm미만의 곡률에서는 광 감쇄 현상이 심각하게 발생하였고, 싱글모드의 경우, 3cm미만의 곡률에서 광 감쇄 현상이 감지되었다.
따라서, 멀티모드인 경우, 광케이블(100)의 포설 시 광 케이블(100)의 곡률이 8cm이상을 유지하도록 포설되어야 하며, 싱글모드(Single mode)인 경우, 광케이블(100)의 포설 시 광 케이블(100)의 곡률이 3cm이상을 유지하도록 포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몸체(410)는 내부 바닥면에 상기 광스위치(200)가 PCB기판(20)과 회로적으로 연결하여 통신하도록 접속구(414)를 형성한다.
상기 접속구(414)를 통해 스위치(200)는 PCB기판(20)과 접속하여 회로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접속구(414)는 PCB기판(20)의 접속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타공의 방식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에 따른 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몸체(410)는 내부 바닥면에 광케이블(100)의 포설을 안내하는 가이드 라인(415)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라인(415)은 광케이블(100)의 광 감쇄를 방지하기 위해 하부몸체(410)는 내부 바닥면에 광케이블(100) 포설 시 가이드가 될 수 있는 안내선을 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케이블(100) 포설 시 가이드 라인(415)을 따라서 포설작업을 하면 되므로, 초보자도 쉽게 광케이블(100)을 포설할 수 있고, 포설작업이 실수없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참고로, 케이블(100)의 광 감쇄 현상을 고려하여 케이블(100)의 곡률 반경이 8cm이상으로 포설되어야 하는 멀티모드와, 케이블(100)의 곡률 반경이 3cm이상으로 포설되어야 하는 싱글모드는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가이드 라인(415)을 표시할 수 있지만, 비교적 곡률 반경이 더 큰 멀티모드의 가이드 라인(415)이 싱글모드의 가이드 라인(415) 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 광통신 모듈에 따르면, 광 스위치(200), 커플러(300) 및 광케이블(100)을 케이스(400)에 내장하여 하나의 모듈(10)로 형성함으로써, 광 스위치(200) 및 커플러(300)를 불량 등의 이유로 교체해야할 경우, 각 요소를 일일이 교체하지 않고 단일화된 모듈(10)만 교체하여 교체작업 및 관리가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으며, 외관상으로도 번잡해 보이지 않고 정리된 느낌을 주는 장점이 있다.
10 : 광통신 모듈 20 : PCB기판
100 : 광테이블 200 : 광스위치
300 : 커플러 400 : 케이스
410 : 하부몸체 420 : 상부커버
411 : 개방부 412 : 덮개
413 : 홀더 414 : 접속구
415 : 가이드 라인

Claims (8)

  1. 광섬유를 내장하여 광신호를 전달하도록 배치되는 광케이블;
    상기 광케이블로부터 전달된 광신호를 패스 또는 차단하는 광스위치;
    상기 광케이블로부터 전달된 광신호를 분배 또는 결합하는 커플러; 및
    상기 광스위치, 커플러, 광케이블을 내부에 배치하고, PCB기판상에 고정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광통신 모듈.
  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일면이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광스위치, 커플러, 광케이블을 내장하며, PCB기판상에 고정되는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의 개구된 일면을 개방 또는 패쇄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광통신 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는 양측 하단에 상기 광케이블이 통과하도록 개방부를 마련하는 광통신 모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광케이블이 통과하지 않을 때 차단할 수 있도록 덮개를 구비하는 광통신 모듈.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는 내부 바닥면에 상기 광스위치, 커플러, 광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홀더가 마련되는 광통신 모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광케이블의 광 감쇄를 없애기 위하여 광케이블의 곡률을 3cm 또는 8cm이상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 모듈.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는 내부 바닥면에 상기 광스위치가 PCB기판과 회로적으로 연결하여 통신하도록 접속구가 마련되는 광통신 모듈.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는 내부 바닥면에 광케이블의 포설을 안내하는 가이드 라인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 모듈.


KR2020100001178U 2010-02-02 2010-02-02 광통신 모듈 KR2004569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178U KR200456905Y1 (ko) 2010-02-02 2010-02-02 광통신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178U KR200456905Y1 (ko) 2010-02-02 2010-02-02 광통신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878U true KR20110007878U (ko) 2011-08-10
KR200456905Y1 KR200456905Y1 (ko) 2011-11-28

Family

ID=45569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178U KR200456905Y1 (ko) 2010-02-02 2010-02-02 광통신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90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822B1 (ko) * 2019-04-09 2019-11-18 이호기술단(주) 광통신 어셈블리 제작방법
KR102045819B1 (ko) * 2019-04-09 2019-11-18 이호기술단(주) 광통신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9040A (ja) * 1998-09-09 2000-03-31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配線収容ユニット
JP2003050364A (ja) * 2001-06-01 2003-02-21 Hitachi Metals Ltd 光スイッチおよび光スイッチ組立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822B1 (ko) * 2019-04-09 2019-11-18 이호기술단(주) 광통신 어셈블리 제작방법
KR102045819B1 (ko) * 2019-04-09 2019-11-18 이호기술단(주) 광통신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6905Y1 (ko) 201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17253B (zh) 插座装置
JP2010527463A (ja) 光ファイバの接続及び配線のための筐体
KR100645503B1 (ko) 세대단자함용 광분배함
CN109949710A (zh) Led显示屏箱体组及led显示屏
KR200456905Y1 (ko) 광통신 모듈
CN105093451B (zh) 一种分纤及配电装置及通信站点
CN104934912A (zh) 一种网络布线系统、桥架及可装卸配线装置
KR101694313B1 (ko) 이동 가능한 광분기어댑터가 수용되는 광케이블 단자함
CN101846780B (zh) 一种通用的分路器一体化光纤分线盒
JP2007236150A (ja) 光・電力共用引込盤
KR20090012698A (ko) 가입자 인입용 광케이블 성단시 소형의 접속점 보호장치 및이를 장착한 광케이블 단자함
KR101366810B1 (ko) 광케이블 단자함
KR200405463Y1 (ko) 광분기함
CN202975425U (zh) 分光分纤箱
KR102217677B1 (ko) 계단식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서랍형 광케이블 단자함
KR200477972Y1 (ko) 마이크로 덕트 함체
KR200423984Y1 (ko) 세대단자함용 광분배함
CN104582396B (zh) 标准多媒体集成箱
KR101819113B1 (ko) 광케이블 접속함
CN102540368A (zh) 通信用壳体
KR101237516B1 (ko) 다심 광 케이블 리본 유니트
KR101662188B1 (ko) 광단자함
KR102210781B1 (ko) 계단식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
KR101848932B1 (ko) 스플리터 모듈
KR102103213B1 (ko) 광케이블 접속 단자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