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017A - 플로어 패널 및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플로어 패널 및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017A
KR20110007017A KR1020090095233A KR20090095233A KR20110007017A KR 20110007017 A KR20110007017 A KR 20110007017A KR 1020090095233 A KR1020090095233 A KR 1020090095233A KR 20090095233 A KR20090095233 A KR 20090095233A KR 20110007017 A KR20110007017 A KR 20110007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unit
floor
floor panel
base iso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8861B1 (ko
Inventor
미츠오 카나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카나자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카나자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카나자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10007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6Bearings or like supports allo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E04F15/225Shock absorber member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oor Finish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진폭이 큰 지진에 대하여 면진(免震)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플로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초 부재에 접촉할 수 있는 하측부와 상기 하측부에 지지된 상측부를 갖는 플로어 유닛 부재와, 상부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물 고정면과 상기 플로어 유닛 부재의 상기 상측부의 상면과 당접하는 당접면을 가지며 상기 당접면이 상기 상면과 습동 자재로 설치된 패널 부재를 갖는 습동 유닛과, 벽과 상기 습동 유닛의 상기 패널 부재의 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 인서트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패널이다.
플로어 패널, 면진, 플로어 유닛 부재, 패널 부재, 습동 유닛

Description

플로어 패널 및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 {Floor Panel and Floor Panel Assembly}
본 발명은 플로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면진 장치에 있어서, 지지하는 건축물이나 바닥 위의 물품의 하측에 활동(滑動) 또는 전동(轉動)할 수 있는 부재를 개재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면진면 형성용 상측 기반의 하면 중심부에 하단을 노출시킨 상태로 면진용 구체를 회전 자재로 수납 장착한 구체 유지 금구를 고정 설치하고, 당해 상측 기반의 하면측에 대향시켜 설치한 기초면 형성용 하측 기반의 중심부에 상기 면진용 구체의 하단을 전동 가능하게 접촉시킨 면진 작용을 담당하는 면진 제어용 기구부(基構部)에 대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무반발 고무재로 형성한 복원용 원통형 외장을 그 상단연을 상기 면진면 형성용 상측 기반의 주연에 또한 그 하단연을 상기 기초면 형성용 하측 기반의 주연에 각각 연결함으로써, 당해 면진 제어용 기구부의 측부 둘레면 부분을 덮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진 면진용 반체(盤體)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전자기기에 돌출 설치되는 각체(脚體)와, 상기 각체를 습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대좌로 이루어진 전자기기의 대족(臺足)에 있어서, 상기 각체의 하단부가 곡률 반경을 갖는 구면형의 볼록면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볼록부와 습동 가능한 상기 대좌의 받이면이 상기 곡률 반경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갖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를 중심으로 유발형으로 경사진 면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대좌의 저면부가 평활면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대족이 기재되어 있다.
나아가, 특허문헌 3에는 상부 구조물에 고정된 오목형의 구면 부분이 형성된 상측 부재와, 기초 부재에 지지되고 오목형의 구면 부분이 형성된 하측 부재와, 상기 상측 부재와 상기 하측 부재의 사이에 개재된 상하가 대칭적인 볼록형 구면 부분을 갖는 강성의 전동 부재가 구비된 제진 장치로서, 상기 전동 부재는 금속구와 당해 금속구를 회전 자재로 유지하는 유지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유지 부재는 경질 고무성의 탄성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아울러, 특허문헌 4에는 상부 구조물에 고정되고 내면이 오목형의 곡면 부분이 형성된 상측 부재와, 기초 부재에 지지되고 내면이 오목형의 곡면 부분이 형성된 하측 부재와, 상기 상측 부재와 상기 하측 부재의 사이에 개재된 상하가 대칭적인 볼록형의 곡면 부분을 갖는 전동 부재를 구비한 면진 장치로서, 상기 전동 부재는 전체 형상이 거의 원반형으로 형성되고, 곡면으로 형성된 중앙부와 상기 곡면에 매끄럽게 접속하는 평판면이 형성된 주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선행 특허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 특개2007-24123호 공보
[특헌문헌 2] 일본 특허 제3058364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3117029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특개2006-283959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면진용 반체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전자기기의 대족은 양자 모두 진폭이 큰 지진에 대하여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아니었다.
구체적으로는, 가옥 등의 건축물에서는 지진의 진폭이 증폭되어 건축물 자체가 받는 흔들림의 진폭이 커질 때가 있는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면진용 반체는 구체가 전동할 수 있는 범위가 좁기 때문에 이와 같은 진폭이 큰 흔들림에 대하여 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전자기기의 대족은 구조상 각체의 전자기기와의 접속부에 큰 응력이 걸리기 쉽기 때문에 큰 진폭의 흔들림으로 그 접속부 부근이 파손되기 쉽다. 따라서, 진폭이 큰 지진에 대해서는 파손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제진 장치 및 특허문헌 4에 기재된 면진 장치는 어느 정도 큰 흔들림에는 대응할 수 있지만, 상측 부재가 하측 부재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완전히 어긋나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진폭이 큰 지진에 대하여 면진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플로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1) 내지 (14)를 제공한다.
(1) 기초 부재에 접촉할 수 있는 하측부와 상기 하측부에 지지된 상측부를 갖는 플로어 유닛 부재와, 상부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물 고정면과 상기 플 로어 유닛 부재의 상기 상측부의 상면과 당접하는 당접면을 가지며 상기 당접면이 상기 상면과 습동 자재로 설치된 패널 부재를 갖는 습동 유닛과,
벽과 상기 습동 유닛의 상기 패널 부재의 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 인서트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패널(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
(2) 상기 플로어 유닛 부재의 상기 상측부의 상기 상면 및/또는 상기 패널 부재의 상기 당접면이 엠보스를 가짐으로써, 상기 당접면이 상기 상면과 습동 자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플로어 패널.
(3) 상기 플로어 유닛 부재의 상기 상측부의 상기 상면 및/또는 상기 패널 부재의 상기 당접면이 습동용 재료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당접면이 상기 상면과 습동 자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플로어 패널.
(4) 더욱이, 상기 벽과 상기 습동 유닛의 상기 플로어 유닛 부재의 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2 탄성 인서트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로어 패널.
(5) 상기 제2 탄성 인서트 부재의 압축 탄성률이 상기 탄성 인서트 부재의 압축 탄성률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에 기재된 플로어 패널.
(6) 기초 부재에 접촉할 수 있는 하측부와, 상기 하측부에 지지되어 상부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물 고정면을 갖는 상측부를 갖는 플로어 유닛 부재와,
벽과 상기 플로어 유닛 부재의 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 인서트 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기초 부재와 접촉하는 상기 하측부의 하면이 상기 하면과 접촉하는 상기 기초 부재의 상면과의 사이에서 습동 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패널(본 발명의 제2 양태의 플로어 패널).
(7) 상기 플로어 유닛 부재의 상기 하측부의 하면이 엠보스를 가짐으로써, 상기 하면이 상기 상면과 습동 자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6)에 기재된 플로어 패널.
(8) 상기 플로어 유닛 부재의 상기 하측부의 상기 하면이 습동용 재료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하면이 상기 상면과 습동 자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6)에 기재된 플로어 패널.
(9) 상부 구조물이 고정될 수 있는 상측 부재와, 기초 부재에 고정될 수 있는 하측 부재와, 상기 상측 부재와 상기 하측 부재의 사이에 습동 자재로 끼워진 습동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상측 부재의 상기 습동 부재와의 당접면과 상기 하측 부재의 상기 습동 부재와의 당접면이 모두 오목면이고, 상기 습동 부재가 상기 상측 부재와 당접하는 볼록형 상측면과, 상기 하측 부재와 당접하는 볼록형 하측면과, 상기 상측면과 상기 하측면 사이에 존재하는 주상(周狀)인 측부에 의해 형성되는 면진 유닛과,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로어 패널을 가지며,
상기 면진 유닛의 상기 상측 부재와 상기 플로어 패널의 상기 패널 부재가 인접하면서 또한 일체가 되어 상기 면진 유닛의 상기 하측 부재와 상기 플로어 패널의 상기 플로어 유닛 부재의 위를 습동할 수 있도록 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
(10) 상부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는 상측 부재와, 기초 부재에 고정될 수 있는 하측 부재와, 상기 상측 부재와 상기 하측 부재의 사이에 습동 자재로 끼워진 습동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상측 부재의 상기 습동 부재와의 당접면과 상기 하측 부재의 상기 습동 부재와의 당접면이 모두 오목면이고, 상기 습동 부재가 상기 상측 부재와 당접하는 볼록형 상측면과, 상기 하측 부재와 당접하는 볼록형 하측면과, 상기 상측면과 상기 하측면 사이에 존재하는 주상(周狀)인 측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면진 유닛과,
상기 (6)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로어 패널을 가지며,
상기 면진 유닛의 상기 상측 부재와 상기 플로어 유닛 부재가 인접하면서 또한 일체가 되어 상기 면진 유닛의 상기 하측 부재와 상기 기초 부재의 위를 습동할 수 있도록 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본 발명의 제2 양태의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
(11) 상기 면진 유닛이,
상기 상측 부재와 상기 하측 부재가 모두 주연부에 있어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형부를 가지고,
상기 습동 부재의 상기 측부의 둘레 방향의 전부 또는 일부에 오목부가 존재하며,
상기 습동 부재가 상기 상측 부재와 상기 하측 부재의 사이에서 습동하는 경우에 상기 상측 부재의 상기 주연부의 돌출형부와 상기 하측 부재의 상기 주연부의 상기 돌출형부가 상기 습동 부재의 상기 측부의 상기 오목부와 계합할 수 있는 면진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9) 또는 (10)에 기재된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
(12) 상기 면진 유닛이 상기 습동 부재의 상기 상측면과 상기 하측면의 양쪽 또는 한쪽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면진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9)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
(13) 상기 면진 유닛이 상기 습동 부재의 상기 상측면과 상기 하측면의 양쪽 또는 한쪽이 꼭지부(頂部)가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꼭지부의 주위가 복수의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면진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9)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
(14) 상기 면진 유닛이 상기 습동 부재의 상기 상측면과 상기 하측면의 양쪽 또는 한쪽이 꼭지부가 복수의 평면으로 형성되고, 꼭지부의 주위가 상기 꼭지부의 상기 평면보다 수평 방향에 대한 경사도가 큰 복수의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면진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9)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
본 발명의 플로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는 진폭이 큰 지진에 대해서도 면진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플로어 패널 및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를 첨부 도면에 도시 된 적합한 실시 형태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양태인 플로어 패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의 일 예를 도시한 모식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의 일 예를 도시한 모식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100)은,
기초 부재(1)에 접촉할 수 있는 하측부(21)와 하측부(21)에 지지된 상측부(22)를 갖는 플로어 유닛 부재(2)와, 상부 구조물(도시 않음)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물 고정면(31)과 플로어 유닛 부재(2)의 상측부(22)의 상면(23)과 당접하는 당접면(32)을 가지며 당접면(32)이 상면(23)과 습동 자재로 설치된 패널 부재(3)를 갖는 습동 유닛(4)과,
벽(9)과 습동 유닛(4)의 패널 부재(3)의 측면(33)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 인서트 부재(5)를 구비한다.
습동 유닛(4)은 플로어 유닛 부재(2)와 패널 부재(3)를 갖는다.
플로어 유닛 부재(2)는 기초 부재(1)에 접촉할 수 있는 하측부(21)와 하측부(21)에 지지된 상측부(22)를 갖는다.
기초 부재(1)는 예를 들면 바닥, 건축의 기초부를 들 수 있다. 바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면 콘크리트 마감 바닥, 목재 마감 바닥, 이들에 방진 시트, 방음 시트 등의 시트를 시공한 바닥을 들 수 있다.
하측부(21)는 도 1 및 도 2에서는 거의 직육면체의 상측부(22)의 하면의 네 모서리를 지지하는 4개의 거의 사각기둥형 다리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본 발명에서 하측부는 기초 부재에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형상, 수, 상측부를 지지하는 위치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하측부의 형상은 예를 들면 사각기둥(직육면체), 삼각기둥 등의 다각형 기둥, 원기둥, 부정형 기둥 형체로 할 수 있다.
하측부의 수는 상측부에 대하여 1개이어도 되고, 2개 이상이어도 된다.
하측부의 상측부를 지지하는 위치는 단부이어도 되고, 내부이어도 되고, 이들의 조합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하측부가 상측부와 같은 모양으로 구성되고, 하측부와 상측부가 일체가 되어 기둥형{예를 들면 사각기둥(직육면체), 삼각기둥 등의 다각형 기둥, 원기둥, 부정형 기둥 형체}을 구성하고 있어도 된다.
하측부(21)와 기초 부재(1)는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고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면 종래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측부(22)는 하측부(21)에 지지되어 있다. 상측 부재(22)는 후술되는 패널 부재(3)의 당접면(32)과 당접하는 상면(23)을 갖는다.
상측부의 형상은 하측부(21)에 지지되고 또한 상면(23)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면 판형으로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평면 형상이 거의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인 판형인 것이 복수의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을 기초 부재(1)상에 간극 없이 설치하기 용이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플로어 유닛 부재(2)를 구성하는 재료는 패널 부재(3)와의 사이에서 습동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염화비닐수지(예를 들면 경질염화비닐수지), 우레탄수지, 폴리프로필렌수지(예를 들면 재생 폴리프로필렌수지) 등의 합성수지 재료, 코르크 등의 목질 재료, 타일, 벽돌, 인공석, 합성석 등의 무기 재료, 대리석, 화강암 등의 자연석을 들 수 있다.
패널 부재(3)는 상부 구조물(도시 않음)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물 고정면(31)과 플로어 유닛 부재(2)의 상측부(22)의 상면(23)과 당접하는 당접면(32)을 갖는다.
상부 구조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면 정밀기기(예를 들면 컴퓨터 서버, 다기능 복사기), 미술품 수납 케이스, 진열선반, 로커, 자동판매기 등의 물품을 들 수 있다.
구조물 고정면(31)은 상부 구조물과 고정할 수 있다. 고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면 종래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당접면(32)은 상술된 플로어 유닛 부재(2)의 상측부(22)의 상면(23)과 당접하고 있다. 또한, 당접면(32)은 상면(23)이 엠보스를 가짐으로써, 상면(23)과 습동 자재로 설치되어 있다.
패널 부재(3)의 형상은 직육면체(높이가 낮기 때문에 판형으로도 할 수 있다)로 되어 있다.
패널 부재(3)를 구성하는 재료는 플로어 유닛 부재(2)와의 사이에서 습동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에 있어서, 패널 부재의 당접면을 플로어 유닛 부재의 상측부의 상면과 습동 자재로 설치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면 및/또는 당접면이 엠보스를 가짐으로써 당접면이 상면과 습동 자재로 되어 있어도 되고, 상면 및/또는 당접면이 습동용 재료에 의해 구성됨으로써 당접면이 상면과 습동 자재로 되어 있어도 되며, 상면 및/또는 당접면이 구멍을 가짐으로써 양자의 접촉 면적이 작아 마찰 계수가 낮아져 당접면이 상면과 습동 자재로 되어 있어도 된다.
엠보스를 설치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면 종래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패널 부재 및/또는 플로어 유닛 부재의 성형시에 엠보스를 갖는 금형을 이용하는 방법, 엠보스를 가진 시트(예를 들면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다)를 패널 부재 및/또는 플로어 유닛 부재에 붙이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모식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플로어 패널(200)은 기본적으로 플로어 패널(100)과 동일하지만, 상면(23a)은 엠보스를 갖지 않고 당접면(32a)이 엠보스를 가짐으로써, 상면(23a)과 습동 자재로 설치되어 있다.
플로어 유닛 부재의 상측부의 상면 및/또는 패널 부재의 당접면을 습동용 재료로 구성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플로어 유닛 부재의 상측부 및/또는 패널 부재의 전체를 습동용 재료로 구성하는 방법, 플로어 유닛 부재의 상측부의 상면을 구성하는 부재 및/또는 패널 부재의 당접면을 구성하는 부재를 플로어 유닛 부재 및/또는 패널 부재의 본체를 구성하는 부재와는 다른 부재로서 습동용 재료로 구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습동용 재료로는 예를 들면 합성수지 재료, 목질 재료, 무기 재료, 자연석을 들 수 있다.
합성수지 재료로는 열가소성수지, 열경화성수지를 들 수 있다. 열가소성수지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수지(예를 들면, 고밀도 폴리에틸렌수지, 저밀도 폴리에틸렌수지), 폴리프로필렌수지(예를 들면, 재생 폴리프로필렌수지) 등의 폴리올레핀수지 및 올레핀계 공중합수지; 폴리스티렌수지 및 스티렌계 공중합수지; 폴리염화비닐수지(예를 들면, 경질염화비닐수지) 및 염화비닐계 공중합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수지; 폴리우레탄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 등의 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아미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메타)아크릴수지; 열가소성엘라스토머를 들 수 있다.
목질 재료로는 예를 들면 코르크를 들 수 있다.
무기 재료로는 예를 들면 타일, 벽돌, 인공석, 합성석을 들 수 있다.
자연석으로는 예를 들면 대리석, 화강암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열가소성수지가 바람직하고, 미분탄연소보일러에서 발생하는 석탄회와 상용화제를 함유하는 열가소성수지가 바람직하다.
열가소성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수지를 적합하게 들 수 있다.
미분탄연소보일러에서 발생하는 석탄회는 화력발전소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미분탄연소보일러의 연소 가스로부터 집진기에서 채취된 '플라이 애쉬' 및/또는 미분탄연소보일러의 로 바닥에 낙하 채취된 '클링커'이다. 모두 SiO2, Al2O3, Fe2O3, CaO, MaO, SO3 등의 성분을 함유하는 미분말이다. 석탄회는 평균 입경이 10~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용화제는 상기 석탄회를 열가소성수지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한 첨가제이다. 상용화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면 일본 폴리켐사의 ADTEX ER320P, ER333F-2, ER353LA 및 ER313E-1; 아사히화성사의 터프텍 P2000 및 H1043; 미쓰비시화학사의 모딕 P533A, P502, P565, P908A 및 H511L112A를 들 수 있다.
이들 함유량은 열가소성수지 30~87질량%, 미분탄연소보일러에서 발생하는 석탄회 10~80질량%, 상용화제 3~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습동용 재료는 플로어 유닛 부재의 상측부의 상면과 패널 부재의 당접면 사이에서 마찰 계수가 0.5 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4 이하가 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3 이하가 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2 이하가 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0.1 이하가 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05 이하가 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습동용 재료 자체가 상기 범위의 마찰 계수인 것을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팅 처리나 고체 윤활제의 사용에 의해 상기 범위의 마찰 계수로 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모식적 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플로어 패널(300)은 기본적으로 플로어 패널(100)과 동일하지만, 상면(23b)은 엠보스를 갖지 않으며 상면(23b) 및 당접면(32b)이 습동용 재료로 구성됨에 따라 당접면(32b)이 상면(23b)과 습동 자재로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플로어 패널(100)에 있어서, 플로어 유닛 부재(2)는 벽(9)과 이간되어 설치되는데,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에서는 플로어 유닛 부재와 벽이 접촉하도록 설치되어도 된다.
플로어 패널(100)에 있어서, 탄성 인서트 부재(5)는 벽(9)과 습동 유닛(4)의 패널 부재(3)의 측면(33) 사이에 설치된다.
탄성 인서트 부재는 패널 부재의 플로어 유닛 부재에 대한 위치가 진동에 의해 어긋난 경우에 원래 위치로 복원시키는 작용을 한다. 탄성 인서트 부재는 예를 들면 종래 공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들 들면 발포 재료, 고무, 스프링(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 와이어 스프링, 판 스프링), 서스펜션, 공기 실린더, 유압 실린더, 에어 서스펜션을 들 수 있다.
플로어 패널(100)에 있어서, 탄성 인서트 부재(5)는 벽(9)과 습동 유닛(4)의 패널 부재(3)의 측면(33) 사이의 전부에 설치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제1 양태인 플로어 패널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부에만 설치되어도 된다.
플로어 패널(100)은 더욱이 벽(9)과 습동 유닛(4)의 플로어 유닛 부재(2)의 측면(24) 사이에 설치되는 제2 탄성 인서트 부재(6)를 구비한다.
제2 탄성 인서트 부재는 플로어 유닛 부재가 기초 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 지 않은 경우에 플로어 유닛 부재의 기초 부재에 대한 위치가 진동에 의해 어긋나면 이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작용을 한다. 제2 탄성 인서트 부재는 예를 들면 종래 공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발포 재료, 고무, 스프링(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 와이어 스프링, 판 스프링), 서스펜션, 공기 실린더, 유압 실린더, 에어 서스펜션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제2 탄성 인서트 부재(6)의 압축 탄성률이 탄성 인서트 부재(5)의 압축 탄성률과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2 탄성 인서트 부재(6)와 탄성 인서트 부재(5)간의 마찰에 의해 진동 에너지의 일부를 흡수할 수 있다.
제2 탄성 인서트 부재(6)의 압축 탄성률을 탄성 인서트 부재(5)의 압축 탄성률과 달리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발포률이 다른 발포 재료를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플로어 패널(100)에 있어서, 제2 탄성 인서트 부재(6)는 벽(9)과 습동 유닛(4)의 플로어 유닛 부재(2)의 측면(24) 사이의 전부에 설치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부에만 설치되어도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플로어 패널(100)은 상술된 습동 유닛(4)과, 탄성 인서트 부재(5)를 각각 1개씩 구비하는데,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1개 또는 2개 이상의 습동 유닛과 1개 또는 2개 이상의 탄성 인서트 부재를 조합하여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초 부재상에 복수의 습동 유닛을 가득 깔고, 벽과 단부에 존재하는 습동 유닛의 패널 부재의 측면과의 사이에만 탄성 인서트 부재를 설치한 플로 어 패널은 본 발명의 적합한 양태 중 하나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1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100)이 지진 등의 흔들림을 받으면, 패널 부재(3)의 플로어 유닛 부재(2)에 대한 위치가 어긋난다{예를 들면, 도 2에서 패널 부재(3)가 오른쪽으로 어긋난다}. 패널 부재(3)가 어긋남에 따라 탄성 인서트 부재(5)가 압축되고, 이에 따라 진동 에너지가 흡수된다. 따라서, 상부 구조물의 전도 등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다음에는 탄성 인서트 부재(5)가 압축됨으로써 복원력을 발생시켜 패널 부재(3)를 되민다{예를 들면, 도 2에서 패널 부재(3)를 왼쪽 방향으로 되민다}. 이에 따라, 패널 부재(3)의 플로어 유닛 부재(2)에 대한 위치가 바람직하게는 원래의 위치까지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100)은 진동 에너지를 흡수하고 또한 상부 구조물의 위치를 바람직하게는 원래의 위치까지 복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진폭이 큰 지진이어도 면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플로어 패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플로어 패널의 일 예를 도시한 모식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플로어 패널(400)은,
기초 부재(1)에 접촉할 수 있는 하측부(71)와, 하측부(71)에 지지되며 상부 구조물(도시 않음)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물 고정면(75)을 갖는 상측부(72)를 갖는 플로어 유닛 부재(7)와,
벽(9)과 플로어 유닛 부재(7)의 측면(73)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 인서트 부재(8)를 구비한다.
플로어 유닛(7)은 기초 부재(1)에 접촉할 수 있는 하측부(71)와, 하측부(71)에 지지되며 상부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물 고정면(75)을 갖는 상측부(72)를 갖는다.
기초 부재(1)는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의 경우와 동일하지만,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면(11)은 플로어 패널(400)의 하면(74)과 습동 자재로 될 수 있는 것이다.
상면(11)을 구성하는 재료는, 예를 들면 염화비닐수지(예를 들면, 경질 염화비닐수지), 우레탄수지, 폴리프로필렌수지(예를 들면, 재생 폴리프로필렌수지) 등의 합성수지 재료; 코르크 등의 목질 재료; 타일, 벽돌, 인공석, 합성석 등의 무기 재료; 대리석, 화강암 등의 자연석을 들 수 있다.
하측부(71)는 도 5에서는 상측부(72)의 하면을 지지하는 다리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본 발명에서 하측부는 기초 부재에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형상, 수, 상측부를 지지하는 위치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하측부의 형상은, 예를 들면 사각기둥(직육면체), 삼각기둥 등의 다각형 기둥, 원기둥, 부정형 기둥 형체로 할 수 있다.
하측부의 수는 상측부에 대하여 1개이어도 되고, 2개 이상이어도 된다.
하측부의 상측부를 지지하는 위치는 단부이어도 되고, 내부이어도 되며, 이 들의 조합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하측부가 상측부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고, 하측부와 상측부가 일체가 되어 기둥형{예를 들면, 사각기둥(정육면체), 삼각기둥 등의 다각형 기둥, 원기둥, 부정형 기둥 형체}을 구성해도 된다.
하측부(71)의 하면(74)은 기초 부재(1)의 상면(11)과 접촉하고 있다. 또한, 하면(74)은 엠보스를 가짐으로써 기초 부재(1)의 상면(11)과 습동 자재로 설치되어 있다.
상측부(72)는 하측부(71)에 지지되며 상부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물 고정면(75)을 갖는다.
상부 구조물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의 경우와 동일하다.
구조물 고정면(75)은 상부 구조물과 고정할 수 있다. 고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면 종래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측부의 형상은 하측부(71)에 지지되며 또한 상부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물 고정면(75)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면 판형으로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평면 형상이 거의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인 판형인 것이 복수의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플로어 패널을 기초 부재(1)상에 간극 없이 설치하기 용이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플로어 유닛 부재(7)를 구성하는 재료는 기초 부재(1)와 접촉하는 하측부(71)의 하면(74)이 하면(74)과 접촉하는 기초 부재(1)의 상면(11)과의 사이에서 습동 자재가 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플로어 유닛 부재(7)에 있어서, 기초 부재(1)와 접촉하는 하측부(71)의 하면(74)이 하면(74)과 접촉하는 기초 부재(1)의 상면(11)과의 사이에서 습동 자재이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플로어 패널에 있어서, 플로어 유닛 부재의 하면을 기초 부재의 상면과 습동 자재로 설치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플로어 유닛 부재의 하면이 엠보스를 가짐으로써 기초 부재의 상면과 습동 자재로 되어 있어도 되고, 하면이 습동용 재료로 구성됨으로써 기초 부재의 상면과 습동 자재로 되어 있어도 된다.
엠보스를 설치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면 종래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된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의 경우와 동일하다.
플로어 유닛 부재의 하측부의 하면을 습동용 재료로 구성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플로어 유닛 부재의 하측부의 전체를 습동용 재료로 구성하는 방법, 플로어 유닛 부재의 하측부의 하면을 구성하는 부재를 플로어 유닛 부재의 본체를 구성하는 부재와는 다른 부재로 하여 습동용 재료로 구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플로어 패널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모식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플로어 패널(500)은 기본적으로 플로어 패널(400)과 동일하지만, 하면(74a)은 엠보스를 갖지 않으며, 하면(74a)을 포함하는 플로어 유닛 부재(7)의 전체가 습동용 재료로 구성됨으로써 하면(74a)이 기초 부재(1)의 상면(11)과 습동 자재로 설치되어 있다.
습동용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의 플로어 유닛 부재에 이용되는 습동용 재료를 들 수 있다.
습동용 재료는 하측부(71)의 하면(74)과 기초 부재(1)의 상면(11)간의 마찰계수가 0.5 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4 이하가 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3 이하가 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2 이하가 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0.1 이하가 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05 이하가 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습동용 재료 자체가 상기 범위의 마찰계수인 것을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팅 처리나 고체 윤활제의 사용에 의해 상기 범위의 마찰계수로 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플로어 패널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모식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플로어 패널(600)은 기본적으로 플로어 패널(400)과 동일하지만, 하면(74b)은 엠보스를 갖지 않으며, 하면(74b)을 구성하는 부재가 플로어 유닛 부재(7)의 본체를 구성하는 부재와는 다른 습동용 부재(76, 77)로 구성됨으로써 하면(74a)이 기초 부재(1)의 상면(11)과 습동 자재로 설치되어 있다.
플로어 패널(600)에 있어서, 플로어 유닛 부재(7)의 하측부(71a)(도면 중 2군데)의 하단에 습동용 부재(76, 77)가 설치되어 있다. 습동용 부재(76, 77)의 하면은 각각 기초 부재(1)의 상면(11)과 접촉하는 하면(74b)을 구성하고 있다.
습동용 부재(76)는 하측부(71)의 하단에 매립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습동용 부재(76)에 이용되는 습동용 재료가 적어도 되고, 또한 하측부(71)와 습동용 부재(76)와의 밀착성이 우수하다는 이점이 있다.
습동용 부재(77)는 하측부(71)의 하단을 피복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플로어 유닛 부재(7)와 기초 부재(1)간의 습동의 안정성이 우수하고, 또한 하측부(71)와 습동용 부재(77)와의 밀착성이 우수하다는 이점이 있다.
습동용 부재를 설치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면 종래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플로어 패널에 이용되는 플로어 유닛 부재의 여러 예를 도시한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8(A)에 도시된 플로어 유닛 부재(7c)는 하면(74c)을 포함하는 플로어 유닛 부재(7c)의 전체가 습동용 재료로 구성됨으로써, 하면(74c)이 기초 부재(1)의 상면(11)과 습동 자재로 설치되어 있다.
도 8(B)에 도시된 플로어 유닛 부재(7d)는 하면(74d)을 구성하는 부재가 플로어 유닛 부재(7d)의 본체를 구성하는 부재와는 다른 습동용 부재(77)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하면(74d)이 기초 부재(1)의 상면(11)과 습동 자재로 설치되어 있다. 습동용 부재(77)는 플로어 패널(600)에 이용되는 습동용 부재(77)와 동일하다.
도 5에 도시된 플로어 패널(400)에 있어서, 탄성 인서트 부재(8)는 벽(9)과 플로어 유닛 부재(7)의 측면(73) 사이에 설치된다.
탄성 인서트 부재(8)를 구성하는 재료는 본 발명의 제1 플로어 패널에 이용되는 것과 동일하다.
탄성 인서트 부재는 벽과 플로어 유닛 부재의 측면 사이의 전부에 설치되어 도 되고, 일부에만 설치되어도 된다.
도 5에 도시된 플로어 패널(400)은 상술된 플로어 유닛 부재(7)와 탄성 인서트 부재(8)를 각각 1개씩 구비하는데,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플로어 패널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1개 또는 2개 이상의 플로어 유닛 부재와 1개 또는 2개 이상의 탄성 인서트 부재를 조합하여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초 부재상에 복수의 플로어 유닛 부재를 가득 깔고, 벽과 단부에 존재하는 플로어 유닛 부재의 측면 사이에만 탄성 인서트 부재를 설치한 플로어 패널은 본 발명의 적합한 양태 중 하나이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플로어 패널(4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플로어 패널(400)이 지진 등의 흔들림을 받으면, 플로어 유닛 부재(7)의 기초 부재(1)에 대한 위치가 어긋난다{예를 들면, 도 5에서 플로어 유닛 부재(7)가 오른쪽으로 어긋난다}. 플로어 유닛 부재(7)가 어긋남으로써 탄성 인서트 부재(8)가 압축되고, 이에 따라 진동 에너지가 흡수된다. 따라서, 상부 구조물의 전도 등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다음에는 탄성 인서트 부재(8)가 압축됨으로써 복원력을 발생시켜 플로어 유닛 부재(7)를 되민다{예를 들면, 도 5에서 플로어 유닛 부재(7)를 왼쪽 방향으로 되민다}. 이에 따라, 플로어 유닛 부재(7)의 기초 부재(1)에 대한 위치가 바람직하게는 원래의 위치까지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플로어 패널(400)은 진동 에너지를 흡수하고, 또한 상부 구조물의 위치를 바람직하게는 원래의 위치까지 복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진폭이 큰 지진이어도 면진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과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플로어 패널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는,
상부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는 상측 부재와, 기초 부재에 고정될 수 있는 하측 부재와, 상기 상측 부재와 상기 하측 부재의 사이에 습동 자재로 끼워진 습동 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상측 부재의 상기 습동 부재와의 당접면과 상기 하측 부재의 상기 습동 부재와의 당접면이 모두 오목면이고, 상기 습동 부재가 상기 상측 부재와 당접하는 볼록형 상측면과, 상기 하측 부재와 당접하는 볼록형 하측면과, 상기 상측면과 상기 하측면 사이에 존재하는 주상(周狀)의 측부에 의해 형성되는 면진 유닛과,
상술된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을 가지고,
상기 면진 유닛의 상기 상측 부재와 상기 플로어 패널의 상기 패널 부재가 인접하며 또한 일체가 되어 상기 면진 유닛의 상기 하측 부재와 상기 플로어 패널의 상기 플로어 유닛의 위를 습동할 수 있도록 조합되어 있는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에 이용되는 면진 유닛의 일 예를 도시한 모식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진 유닛(700)은,
상부 구조물(1)에 고정될 수 있는 상측 부재(82)와,
기초 부재(3)에 고정될 수 있는 하측 부재(84)와,
상측 부재(82)와 하측 부재(84) 사이에 습동 자재로 끼워진 습동 부재(85)를 구비한다.
상부 구조물(1)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의 경우와 동일하다.
기초 부재(3)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의 경우와 동일하다.
상측 부재(82)의 습동 부재(85)와의 당접면(822)과 하측 부재(84)의 습동 부재(85)와의 당접면(842)은 모두 오목면이다.
오목면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주연부로부터 중앙에 걸쳐 함몰이 깊어진 형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전체가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일부 또는 전부가 1개 이상의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당접면(822)과 당접면(842)이 모두 오목면임에 따라 흔들림에 의해 상측 부재(82)와 하측 부재(84)의 위치 관계가 어긋나는 경우에도 습동 부재(85)를 통해 원래대로 되돌아가기 쉽다.
그 중에서도 당접면(822)의 오목면 형상은 습동 부재(85)의 상측면(851)의 형상보다 곡률 반경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습동 부재(85)의 습동이 보다 원활해진다. 또한, 마찬가지로 당접면(842)의 오목면 형상은 습동 부재(85)의 하측면(853)의 형상보다 곡률 반경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측 부재(82)와 하측 부재(84)의 평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원형(실질적으로 원형인 것을 포함) 또는 정다각형(바람직하게는 꼭짓점이 8개 이상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평면 형상이면 전 방향의 흔들림에 대하여 균일하게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면진 유닛(700)에 있어서, 상측 부재(82)와 하측 부재(84)는 각각 주연부에서 내측으로 튀어나온 돌출형부(821, 841)를 가지고 있다.
도 11은 진폭이 매우 커진 경우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에 이용되는 면진 유닛의 일 예의 모식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형부(821, 841)는 습동 부재(85)의 측부(855)에 오목부(852)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진폭이 매우 커진 경우에 오목부(852)와 계합된 상태가 되는데, 이에 따라 면진 유닛(700)이 큰 면진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상측 부재와 하측 부재에 있어서, 돌출형부가 주연부의 전부에 걸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일부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되는데, 일부에만 형성하는 경우에도 습동 부재의 측부의 오목부와 계합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에 이용되는 면진 유닛은 이와 같은 상측 부재와 하측 부재에 돌출형부를 갖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측 부재(82) 및 하측 부재(84)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면 금속, 세라믹스, 플라스틱을 들 수 있다.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는 금속이 바람직하고, 철 또는 철합금, 알루미늄합금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철 또는 철합금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무게가 가볍다는 점에서는 플라스틱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폐플라스틱은 저가인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측 부재(82)의 습동 부재(85)와의 당접면(822)과 하측 부재(84)의 습동 부재(85)와의 당접면(842)은 습동 부재(85)의 습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미리 코 팅 처리를 실시하여 두거나, 윤활제를 도포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한 양태 중 하나이다.
면진 유닛(700)에 있어서, 습동 부재(85)는 상측 부재(82)와 당접하는 볼록형의 상측면(851)과, 하측 부재(84)와 당접하는 볼록형의 하측면(853)과, 상측면(851)과 하측면(853) 사이에 존재하는 주상(周狀)의 측부(855)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습동 부재(85)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습동 부재의 일 예의 모식적인 평면도이고, 도 13은 습동 부재의 일 예의 모식적인 측면도이며, 도 14는 도 12의 XIV-XIV선에 따른 습동 부재의 일 예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동 부재(85)의 볼록형인 상측면(851) 및 하측면(853)은 모두 꼭지부(850)가 곡면으로 형성되고, 꼭지부(850)의 주위가 12개의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습동 부재(85)의 상측면(851) 및 하측면(853)에 있어서, 모든 꼭지부(850)가 사발형의 곡면으로 형성되고, 꼭지부(850)의 주연은 원을 형성하고 있으며, 꼭지부(850)의 주위가 동일 형상인 12개의 평면을 가지고, 이들 평면이 꼭지부(850)의 주연으로부터 상측면(851) 및 하측면(853)의 주연부(854)까지 존재하고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은 습동 부재(85)와는 다른 양태의 습동 부재(86)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5는 습동 부재의 다른 일 예의 모식적인 평면도이고, 도 16은 습동 부재의 다른 일 예의 모식적인 측면도이며, 도 17은 도 15의 XVII-XVII선에 따 른 습동 부재의 다른 일 예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동 부재(86)는 상측 부재(82)와 당접하는 볼록형의 상측면(861)과, 하측 부재(84)와 당접하는 볼록형의 하측면(863)과, 상측면(861)과 하측면(863) 사이에 존재하는 주상(周狀)의 측부(865)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습동 부재(86)의 볼록형의 상측면(861) 및 하측면(863)은 모두 꼭지부(860)가 12개의 평면으로 형성되고, 꼭지부(860)의 주위가 꼭지부(860)의 평면보다 수평 방향에 대한 경사도가 큰 복수의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습동 부재(86)의 상측면(861) 및 하측면(863)에 있어서, 모든 꼭지부(860)가 동일 형상인 12개의 평면으로 형성되고, 꼭지부(860)의 주연은 정12각형을 형성하고 있으며, 꼭지부(860)의 주위가 동일 형상인 12개의 평면을 가지고, 이들 평면이 꼭지부(860)의 주연으로부터 상측면(861) 및 하측면(863)의 주연부(864)까지 존재하고 있다.
습동 부재(86)는 상술된 형상의 상측면(861)과 하측면(863)과, 이들 사이에 존재하는 주상(周狀)의 측부(865)에 의해 형성되고, 측부(865)의 둘레 방향의 전부에 오목부(862)가 존재한다.
도 19 내지 도 21은 습동 부재(85) 및 습동 부재(86)와는 또 다른 양태의 습동부재(87)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9는 습동 부재의 또 다른 일 예의 모식적인 평면도이고, 도 20은 습동 부재의 또 다른 일 예의 모식적인 측면도이며, 도 21은 도 19의 XXI-XXI선에 따른 습동 부재의 또 다른 일 예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동 부재(87)의 볼록형인 상측면(871) 및 하측면(873)은 모두 꼭지부(870)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습동 부재(87)의 상측면(871) 및 하측면(873)에 있어서, 모든 꼭지부(870)로부터 상측면(871) 및 하측면(873)의 주연부(874)에 이르기까지 사발형 곡면으로 형성되고, 주연부(874)는 원을 형성하고 있다. 곡면의 수평 방향에 대한 경사도는 꼭지부(870)로부터 주연부(874)를 향해 커져 있다. 곡면의 형상은 주연 방향에 있어서 동일하다.
습동 부재(87)는 상술된 형상의 상측면(871)과 하측면(873)과, 이들 사이에 존재하는 주상(周狀)의 측부(875)에 의해 형성되고, 측부(875)의 둘레 방향의 전부에 오목부(872)가 존재한다.
도 22 내지 도 24는 습동 부재(85), 습동 부재(86) 및 습동 부재(87)와는 또 다른 양태의 습동 부재(88)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2는 습동 부재의 또 다른 일 예의 모식적인 평면도이고, 도 23은 습동 부재의 또 다른 일 예의 모식적인 측면도이며, 도 24는 도 22의 XXIV-XXIV선에 따른 습동 부재의 또 다른 일 예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동 부재(88)의 볼록형인 상측면(881) 및 하측면(883)은 모두 꼭지부(880)로부터 상측면(881) 및 하측면(883)의 주연부(884)에 이르기까지 4개의 평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습동 부재(88)의 상측면(881) 및 하측면(883)에 있어서, 모든 꼭지부(880)가 동일 형상인 4개의 평면으로 형성되고, 주연부(884)는 정사각형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평면은 모두 완전한 평면이 아니라 수평 방향에 대한 경사도가 꼭지부(880)로부터 주연부(884)를 향해 커지도록 다소의 모따기가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서 '평면'은 이와 같은 완전한 평면뿐만 아니라 모따기 등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어 있는 것도 포함된다.
습동 부재(88)는 상술된 형상의 상측면(881)과 하측면(883)과, 이들 사이에 존재하는 주상(周狀)의 측부(885)에 의해 형성되고, 측부(885)의 둘레 방향의 전부에 오목부(882)가 존재한다.
습동 부재의 상측면 및 하측면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습동 부재의 상측면 및 하측면의 형상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습동 부재의 상측면 및 하측면은 모두 볼록형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측면 및 하측면의 형상은 동일하여도 되고 달라도 된다. 이하, 상측면을 예로 들어 설명하는데, 하측면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상측면은 곡면에 의해서만 형성되어 있는 양태(이하 '양태 A'라고도 한다), 꼭지부가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꼭지부의 주위가 복수의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양태(이하 '양태 B'라고도 한다), 꼭지부가 복수의 평면으로 형성되고 꼭지부의 주위가 상기 꼭지부의 상기 평면보다 수평 방향에 대한 경사도가 큰 복수의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양태(이하 '양태 C'라고도 한다), 꼭지부가 복수의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평면이 꼭지부의 중심으로부터 주연부까지 존재하고 있는 양태(이하 '양태 D'라고도 한다)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양태 A, 양태 B, 양태 C가 바람직하다.
양태 A는 구름 저항이 발생하는 상태와 마찰 저항이 발생하는 상태의 상호의 이행이 원활하게 발생하는 점, 주연 방향에서의 저항의 변화가 원활하게 발생하는 점에 이점이 있다.
양태 B는 마찰 저항이 발생하는 상태에서 습동 부재가 상측 부재 및 하측 부재와 각각 4점에서 접촉하기 때문에 높은 마찰 저항이 발생하는 점에 이점이 있다.
양태 C는 마찰 저항이 발생하는 상태에서 흔들림이 작으면 습동 부재가 상측 부재 및 하측 부재와 각각 3점에서 접촉하고, 흔들림이 크면 습동 부재가 상측 부재 및 하측 부재와 각각 4점에서 접촉하기 때문에 흔들림의 크기에 따라 마찰 저항이 변화하는 점에 이점이 있다. 특히, 교각, 가늘고 긴 빌딩 등의 가늘고 긴 형상의 구조물에 대하여 면진 효과가 우수하다.
양태 A에서는 곡면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지만, 곡면의 수평 방향에 대한 경사도가 꼭지부로부터 주연부를 향해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예를 들면,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습동 부재(87)}. 곡면의 형상은 주연 방향에 있어서 동일하여도 되고, 서로 달라도 된다.
양태 B에서는 곡면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곡면의 수평 방향에 대한 경사도가 꼭지부로부터 주연부를 향해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곡면의 형상은 주연 방향에 있어서 동일하여도 되고, 서로 달라도 된다.
꼭지부 주위의 평면의 주연 방향의 수는 복수(2개 이상)이다. 그 중에서도 4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라면 전 방향의 흔들림에 대하여 균일하게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12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라면 제조가 용이하다. 꼭지부 주위의 평면의 주연 방향의 수가 4개인 경우에는 교각, 가늘 고 긴 빌딩 등의 가늘고 긴 형상의 구조물에 대하여 면진 효과가 우수하다.
복수의 평면의 형상은 동일하여도 되고, 서로 달라도 된다. 그 중에서도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평면의 존재 위치는 꼭지부의 주연으로부터 상측면의 주연부까지 존재하여도 되고, 꼭지부의 주연과 상측면의 주연부 사이의 임의의 위치까지 존재하여도 된다. 평면이 꼭지부의 주연으로부터 꼭지부의 주연과 상측면의 주연부 사이의 임의의 위치까지 존재하는 경우, 그 위치와 주연부와의 사이까지는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평면의 존재 위치는 주연 방향에 있어서 동일하여도 되고, 서로 달라도 된다.
평면의 방사 방향의 수는 꼭지부의 주위로부터 상측면의 주연부까지 1개이어도 되고{예를 들면,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습동 부재(85)}, 2개 이상이어도 된다. 꼭지부의 주위로부터 상측면의 주연부까지 방사 방향으로 2개 이상의 평면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 꼭지부의 주위로부터 상측면의 주연부를 향함에 따라 수평 방향에 대한 경사도가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꼭지부의 주연 부근에 있어서, 평면의 수평 방향에 대한 경사도는 곡면의 수평 방향에 대한 경사도보다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태 C에 있어서, 꼭지부의 평면의 주연 방향의 수는 복수(2개 이상)이다. 그 중에서도 4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라면 전 방향의 흔들림에 대하여 균일하게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12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라면 제조가 용이하다. 꼭지부의 주위의 평면의 주연 방향의 수가 4개인 경우에는 교각, 가늘고 긴 빌딩 등의 가늘고 긴 형상의 구조물에 대하여 면진 효과가 우 수하다.
복수의 꼭지부의 평면 형상은 동일하여도 되고, 서로 달라도 된다. 그 중에서도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꼭지부 주위의 평면의 존재 위치는 꼭지부의 주연으로부터 상측면의 주연부까지 존재하여도 되고, 꼭지부의 주연과 상측면의 주연부와의 사이의 임의의 위치까지 존재하여도 된다. 평면이 꼭지부의 주연으로부터 상측면의 주연부와의 사이의 임의의 위치까지 존재하는 경우, 그 위치로부터 상측면의 주연부까지는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평면의 존재 위치는 주연 방향에 있어서 동일하여도 되고, 서로 달라도 된다.
평면의 방사 방향의 수는 꼭지부의 주연으로부터 상측면의 주연까지 1개 이어도 되고{예를 들면,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습동 부재(86)}, 2개 이상이어도 된다. 꼭지부의 주위로부터 상측면의 주연부까지 방사 방향으로 2개 이상의 평면이 배치되는 경우, 꼭지부의 주위로부터 상측면의 주연부를 향함에 따라 수평 방향에 대한 경사도가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꼭지부의 주연 부근에 있어서, 평면의 수평 방향에 대한 경사도는 곡면의 수평 방향에 대한 경사도보다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꼭지부의 주연 부근에 있어서, 꼭지부의 평면의 주연 방향의 수와 꼭지부 주위의 평면의 주연 방향의 수는 서로 달라도 동일하여도 된다. 그 중에서도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 꼭지부의 평면의 단부와 꼭지부 주위의 평면의 단부가 같은 위치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양태 D에 있어서, 꼭지부의 평면의 주연 방향의 수는 복수(2개 이상)이다. 그 중에서도 4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라면 전 방향의 흔들림에 대하여 균일하게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12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라면 제조가 용이하다. 꼭지부 주위의 평면의 주연 방향의 수가 4개인 경우에는 교각, 가늘고 긴 빌딩 등의 가늘고 긴 형상의 구조물에 대하여 면진 효과가 우수하다.
복수의 꼭지부의 형상은 동일하여도 되고 서로 달라도 된다. 그 중에서도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면은 완전한 평면이 아니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수평 방향에 대한 경사도가 꼭지부로부터 주연부를 향해 커지도록 다소의 모따기가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예를 들면,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된 습동 부재(88)}.
습동 부재(85)는 상술된 형상의 상측면(851)과 하측면(853)과, 이들 사이에 존재하는 주상(周狀)의 측부(855)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습동 부재(85)에 있어서, 측부(855)의 둘레 방향의 전부에 오목부(852)가 존재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측부의 둘레 방향의 일부에 오목부가 존재하는 것이어도 되고, 오목부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어도 된다.
습동 부재의 측부의 둘레 방향의 전부에 오목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습동 부재의 방향에 상관없이 상측 부재 및 하측 부재의 돌출형부와 용이하게 계합할 수 있다.
습동 부재의 측부의 둘레 방향의 일부에만 오목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오목 부가 아닌 부분이 있기 때문에 습동 부재의 상하 방향의 강도가 보다 높아진다.
습동 부재(85)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도 되고, 복수의 부재를 조합하여 형성되어도 된다.
습동 부재(85)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면 금속, 세라믹스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내구성의 점에서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고, 철 또는 철합금, 알루미늄합금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철 또는 철합금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습동 부재(85)의 상측면(851)과 하측면(853)에는 습동 부재(85)의 습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미리 코팅 처리를 실시하여 두거나, 윤활제를 도포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한 양태 중 하나이다.
습동 부재(85)는 상측 부재(82)와 하측 부재(84) 사이에서 습동할 수 있도록 끼워져 있다. 이 경우, 상측 부재(82)의 주연부의 돌출형부(821)와 하측 부재(84)의 주연부의 돌출형부(841)가 습동 부재(85)의 측부(855)의 오목부(852)와 계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진 유닛(700)은 통상 습동 부재(85)가 상부 구조물(1)에 고정된 상측 부재(82) 및 기초 부재(3)에 고정된 하측 부재(84)와, 이들의 당접면(822, 842)의 각 중앙부에서 당접하도록 설치된다(이 위치를 '당초 위치'라고 한다).
도 18은 흔들림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에 이용되는 면진 유닛의 일 예의 모식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지진 등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하여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부재(84)가 도면의 오른쪽으로 어긋난 경우에 하측 부재(84)와 당접하고 있는 습동 부재(85)에 힘이 전달되고, 습동 부재(85)는 도면중의 반시계 방향으로 기운다. 이와 같이 습동 부재(85)가 기울어짐으로써, 흔들림의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습동 부재(85)는 기운 상태, 기운 상태로부터 자중으로 되돌아가려는 상태 또는 되돌아온 상태에서 상측 부재(82)와 하측 부재(84) 사이에 끼워지면서 습동한다. 이 습동은 습동 부재(85)와 상측 부재(82) 및 하측 부재(84)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습동 부재(85)가 습동하는 것에 의해서도 흔들림의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이 습동 부재(85)의 습동은 흔들림이 발생하여 당초 위치로부터 어긋난 경우, 상측 부재(82)의 습동 부재(85)와의 당접면(822)과 하측 부재(84)의 습동 부재(85)와의 당접면(842)이 어긋나도 오목면이면서 또한 상측 부재(82)와 당접하는 상측면(851)과 하측 부재(84)와 당접하는 하측면(853)이 모두 볼록형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당초 위치로 되돌아가고자 하는 복원력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따라서, 면진 유닛(700)에서는 흔들림의 에너지를 흡수하는 효율이 매우 높아진다.
이와 같은 동작은 수평 방향의 전 방향에 대하여 가능하다.
지진의 진폭이 매우 커지면,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부재(83)에 고정된 하측 부재(84)가 상부 구조물(1)에 고정된 상측 부재(8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도면의 오른쪽으로 크게 어긋난 상태가 되고, 습동 부재(85)의 측부(855)의 오목면(852)의 도면 중 왼쪽 부분이 하측 부재(84)의 주연부(도면 중 그 왼쪽 부분)의 돌출형부(841)와 계합하고, 또한 습동 부재(85)의 측부(855)의 오목부(852)의 도면 중 오른쪽 부분이 상측 부재(82)의 주연부(도면 중 그 오른쪽 부분)의 돌출형부(841)와 계합한다.
이와 같이 하측 부재(84)가 습동 부재(85)를 통해 상측 부재(82)에 걸려서 이 상태에서 더 이상(도면 중 오른쪽으로) 어긋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측 부재(82)가 하측 부재(84)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다.
더욱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부재(84)가 상측 부재(8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도면 중 오른쪽으로 어긋나는 힘을 받고 있는 경우에 습동 부재(85)는 왼쪽으로부터 하측 부재(84)에 의해 오른쪽 방향으로 힘을 받고, 또한 오른쪽으로부터 상측 부재(82)에 의해 왼쪽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좌하로부터 우상 방향으로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습동 부재(85)의 자중에 의해 상측 부재(82)를 오른쪽으로, 하측 부재(84)를 왼쪽으로 움직이는 힘이 발생하고, 이 힘은 진폭에 의해 어긋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즉 상측 부재(82) 및 하측 부재(84)의 상대 위치를 복원시키도록 작용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에 이용되는 면진 유닛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종래 공지의 면진 유닛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6-84014호 공보에 기재된 면진 장치, 일본 특개2006-242371호 공보에 기재된 면진 장치, 일본 특개2006-283959호 공보에 기재된 면진 장치, 일본 특개2007-71380호 공보에 기재된 면진 장치, 일본 특개2007-225101호 공보에 기재된 제진 장치, 일본 특개2009-24473호 공보에 기재된 제진 장치, 일본 특개2009-41351호 공보에 기재된 제진 장치,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3117029호 공보에 기재된 제진 장치,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3118144호 공보에 기재된 제진 장치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는 상술된 면진 유닛과, 상술된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을 가지며, 상기 면진 유닛의 상기 상측 부재와 상기 플로어 패널의 상기 패널 부재가 인접하고, 또한 일체가 되어 상기 면진 유닛의 상기 하측 부재와 상기 플로어 패널의 상기 플로어 유닛의 위를 습동할 수 있도록 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합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면 면진 유닛(700)의 상측 부재(82)가 플로어 패널(100)의 패널 부재(3)와 접촉하면서 또한 플로어 패널(100)의 플로어 유닛 부재(2)와 접촉하지 않도록 면진 유닛(700)과 플로어 패널(100)을 인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진 등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하면 면진 유닛의 상측 부재와 플로어 패널의 패널 부재가 일체가 되어 면진 유닛의 하측 부재와 플로어 패널의 플로어 유닛 위를 습동한다. 이때, 면진 유닛의 습동 부재의 기울어짐이나 습동과, 플로어 패널의 탄성 인서트 부재의 압축에 의해 진동 에너지가 흡수된다.
그 후, 면진 유닛의 습동 부재의 당초 위치로 되돌아가고자 하는 복원력과 플로어 패널의 탄성 인서트 부재에 의해 어긋난 패널 부재를 되돌리고자 하는 복원력에 의해 면진 유닛의 상측 부재와 플로어 패널의 패널 부재가 일체가 되어 면진 유닛의 하측 부재와 플로어 패널의 플로어 유닛 위를 습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돌아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는 진동 에너지를 흡수하고 또한 상부 구조물의 위치를 원래의 위치까지 복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진폭이 큰 지진이어도 면진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는,
상부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는 상측 부재와, 기초 부재에 고정될 수 있는 하측 부재와, 상기 상측 부재와 상기 하측 부재 사이에 습동 자재로 끼워진 습동 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상측 부재의 상기 습동 부재와의 당접면과 상기 하측 부재의 상기 습동 부재와의 당접면이 모두 오목면이고, 상기 습동 부재가 상기 상측 부재와 당접하는 볼록형인 상측면과, 상기 하측 부재와 당접하는 볼록형인 하측면과, 상기 상측면과 상기 하측면 사이에 존재하는 주상(周狀)의 측부에 의해 형성되는 면진 유닛과,
상술한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플로어 패널을 가지고,
상기 면진 유닛의 상기 상측 부재와 상기 플로어 유닛 부재가 인접하며 또한 일체가 되어 상기 면진 유닛의 상기 하측 부재와 상기 기초 부재 위를 습동할 수 있도록 조합되어 있는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이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에 이용되는 면진 유닛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에 이용되는 면진 유닛과 동일하다.
상술된 면진 유닛과 상술된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플로어 패널을 상기와 같이 조합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면 면진 유닛(700)의 상측 부재(82)가 플로어 패널(400)의 플로어 유닛 부재(7)와 접촉하면서 또한 면진 유닛(700)의 하측 부재(84)가 플로어 패널(400)의 플로어 유닛 부재(7)와 접촉하지 않도록{예를 들면, 상측 부재(82)보다 하측 부재(82) 쪽이 작은 면진 유닛(700)을 이용한다} 면진 유닛(700)과 플로어 패널(400)을 인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에 있어서의 면진 유닛과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플로어 패널과의 조합의 일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0(A)는 평면도이고, 도 10(B)는 도 10(A)의 XB-XB선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1000)는 직사각형인 기초 부재(1) 위에 평면 형상이 정사각형이며 같은 크기인 4개의 면진 유닛(800)과 56개의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플로어 패널(650)의 플로어 유닛 부재(7e)가 정사각형의 각 변이 일치하도록 인접하면서 또한 벽(9)으로부터 이간되어 깔려있고, 벽(9)과 플로어 유닛 부재(7e)의 측면 사이에 탄성 인서트 부재인 고무(8a)와 코일 스프링(8b)과 판 스프링(8c)이 설치되어 있다.
면진 유닛(800)의 상측 부재(82a)는 플로어 패널(650)의 플로어 유닛 부재(7e)와 접촉하며 또한 면진 유닛(800)의 하측 부재(84a)가 상측 부재(82a)보다 작게 구성되어 플로어 패널(650)의 플로어 유닛 부재(7e)와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해 면진 유닛(800)의 상측 부재(82a)와 플로어 패 널(650)의 플로어 유닛 부재(7e)가 일체가 되어 면진 유닛(800)의 하측 부재(84a)와 기초 부재(1)의 위를 습동하도록 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진 등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하면 면진 유닛의 상측 부재와 플로어 패널의 플로어 유닛 부재가 일체가 되어 면진 유닛의 상측 부재는 면진 유닛의 하측 부재의 위를, 플로어 유닛 부재는 기초 부재의 위를 습동한다. 이때, 면진 유닛의 습동 부재의 기울어짐이나 습동과, 플로어 패널의 탄성 인서트 부재의 압축에 의해 진동 에너지가 흡수된다.
그 후, 면진 유닛의 습동 부재의 당초 위치로 되돌아가려는 복원력과, 플로어 패널의 탄성 인서트 부재에 의해 어긋난 패널 부재를 되돌리려는 복원력에 의해 면진 유닛의 상측 부재와 플로어 패널의 플로어 유닛 부재가 일체가 되어 면진 유닛의 하측 부재와 플로어 패널의 플로어 유닛 위를 습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는 진동 에너지를 흡수하면서 또한 상부 구조물의 위치를 원래의 위치까지 복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진폭이 큰 지진이어도 면진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제1 양태 및 제2 양태의 플로어 패널 및 본 발명의 제1 양태 및 제2 양태의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를 적합한 실시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종 변경이나 개량을 수행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각 부재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도 되고, 복수의 부재를 조합하여 형성되어도 된다. 각 부재는 모따기를 수행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각부의 구성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임의의 구성과 치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의 일 예를 도시한 모식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의 일 예를 도시한 모식적인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모식적인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모식적인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플로어 패널의 일 예를 도시한 모식적인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플로어 패널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모식적인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플로어 패널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모식적인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플로어 패널에 이용되는 플로어 유닛 부재의 여러 예를 도시한 모식적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에 이용되는 면진 유닛의 일 예를 도시한 모식적인 부분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의 면진 유닛과 본 발명 의 제2 양태의 플로어 패널과의 조합의 일 예를 도시한 모식도,
도 11은 진폭이 매우 커진 경우의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에 이용되는 면진 유닛의 일 예의 모식적인 부분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에 이용되는 면진 유닛의 습동 부재의 일 예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에 이용되는 면진 유닛의 습동 부재의 일 예의 모식적인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에 이용되는 면진 유닛의 습동 부재의 일 예의 모식적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에 이용되는 면진 유닛의 습동 부재의 다른 일 예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에 이용되는 면진 유닛의 습동 부재의 다른 일 예의 모식적인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에 이용되는 면진 유닛의 습동 부재의 다른 일 예의 모식적인 단면도,
도 18은 흔들림이 발생한 경우의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에 이용되는 면진 유닛의 일 예의 모식적인 부분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에 이용되는 면진 유닛의 습동 부재의 또 다른 일 예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에 이용되는 면진 유닛 의 습동 부재의 또 다른 일 예의 모식적인 측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에 이용되는 면진 유닛의 습동 부재의 또 다른 일 예의 모식적인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에 이용되는 면진 유닛의 습동 부재의 또 다른 일 예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에 이용되는 면진 유닛의 습동 부재의 또 다른 일 예의 모식적인 측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에 이용되는 면진 유닛의 습동 부재의 또 다른 일 예의 모식적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초 부재
2, 7, 7a, 7b, 7c, 7d, 7e : 플로어 유닛 부재
3 : 패널 부재
4 : 습동 유닛
5, 8 : 탄성 인서트 부재
6 : 제2 탄성 인서트 부재
8a : 고무
8b : 코일 스프링
8c : 판 스프링
9 : 벽
21, 21a, 71, 71a : 하측부
22, 22a, 72 : 상측부
11, 23, 23a, 23b : 상면
24, 73 : 측면
31, 31a, 75 : 구조물 고정면
32, 32a, 32b : 당접면
33, 33a : 측면
74, 74ab 74b, 74c, 74d : 하면
76, 77 : 습동용 부재
82, 82a : 상측 부재
84, 84a : 하측 부재
85, 86, 87, 88 : 습동 부재
100, 200, 300, 400, 500, 600, 650 : 플로어 패널
700, 800 : 면진 유닛
821, 841 : 돌출형부
822, 842 : 당접면
850, 860, 870, 880 : 꼭지부
851, 861, 871, 881 : 상측면
852, 862, 872, 882 : 오목부
853, 863, 873, 883 : 하측면
854, 864, 874, 884 : 주연부
855, 865, 875, 885 : 측부
1000 :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

Claims (17)

  1. 기초 부재에 접촉할 수 있는 하측부와 상기 하측부에 지지된 상측부를 갖는 플로어 유닛 부재와, 상부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물 고정면과 상기 플로어 유닛 부재의 상기 상측부의 상면과 당접하는 당접면을 가지며 상기 당접면이 상기 상면과 습동 자재로 설치된 패널 부재를 갖는 습동 유닛과,
    벽과 상기 습동 유닛의 상기 패널 부재의 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 인서트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유닛 부재의 상기 상측부의 상기 상면 및/또는 상기 패널 부재의 상기 당접면이 엠보스를 가짐으로써, 상기 당접면이 상기 상면과 습동 자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유닛 부재의 상기 상측부의 상기 상면 및/또는 상기 패널 부재의 상기 당접면이 습동용 재료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당접면이 상기 상면과 습동 자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패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과 상기 습동 유닛의 상기 플로어 유닛 부재의 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2 탄성 인서트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패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 인서트 부재의 압축 탄성률이 상기 탄성 인서트 부재의 압축 탄성률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패널.
  6. 기초 부재에 접촉할 수 있는 하측부와, 상기 하측부에 지지되어 상부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물 고정면을 갖는 상측부를 갖는 플로어 유닛 부재와,
    벽과 상기 플로어 유닛 부재의 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 인서트 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기초 부재와 접촉하는 상기 하측부의 하면이 상기 하면과 접촉하는 상기 기초 부재의 상면과의 사이에서 습동 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패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유닛 부재의 상기 하측부의 하면이 엠보스를 가짐으로써, 상기 하면이 상기 상면과 습동 자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패널.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유닛 부재의 상기 하측부의 상기 하면이 습동용 재료로 구성됨 으로써, 상기 하면이 상기 상면과 습동 자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패널.
  9. 상부 구조물이 고정될 수 있는 상측 부재와, 기초 부재에 고정될 수 있는 하측 부재와, 상기 상측 부재와 상기 하측 부재의 사이에 습동 자재로 끼워진 습동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상측 부재의 상기 습동 부재와의 당접면과 상기 하측 부재의 상기 습동 부재와의 당접면이 모두 오목면이고, 상기 습동 부재가 상기 상측 부재와 당접하는 볼록형 상측면과, 상기 하측 부재와 당접하는 볼록형 하측면과, 상기 상측면과 상기 하측면 사이에 존재하는 주상(周狀)의 측부에 의해 형성되는 면진 유닛과,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플로어 패널을 가지며,
    상기 면진 유닛의 상기 상측 부재와 상기 플로어 패널의 상기 패널 부재가 인접하면서 또한 일체가 되어 상기 면진 유닛의 상기 하측 부재와 상기 플로어 패널의 상기 플로어 유닛 부재의 위를 습동할 수 있도록 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
  10. 상부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는 상측 부재와, 기초 부재에 고정될 수 있는 하측 부재와, 상기 상측 부재와 상기 하측 부재의 사이에 습동 자재로 끼워진 습동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상측 부재의 상기 습동 부재와의 당접면과 상기 하측 부재의 상기 습동 부재와의 당접면이 모두 오목면이고, 상기 습동 부재가 상기 상측 부 재와 당접하는 볼록형 상측면과, 상기 하측 부재와 당접하는 볼록형 하측면과, 상기 상측면과 상기 하측면 사이에 존재하는 주상(周狀)의 측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면진 유닛과,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플로어 패널을 가지며,
    상기 면진 유닛의 상기 상측 부재와 상기 플로어 유닛 부재가 인접하면서 또한 일체가 되어 상기 면진 유닛의 상기 하측 부재와 상기 기초 부재의 위를 습동할 수 있도록 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면진 유닛이,
    상기 상측 부재와 상기 하측 부재가 모두 주연부에 있어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형부를 가지고,
    상기 습동 부재의 상기 측부의 둘레 방향의 전부 또는 일부에 오목부가 존재하며,
    상기 습동 부재가 상기 상측 부재와 상기 하측 부재의 사이에서 습동하는 경우에 상기 상측 부재의 상기 주연부의 돌출형부와 상기 하측 부재의 상기 주연부의 상기 돌출형부가 상기 습동 부재의 상기 측부의 상기 오목부와 계합할 수 있는 면진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
  12.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면진 유닛이 상기 습동 부재의 상기 상측면과 상기 하측면의 양쪽 또는 한쪽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면진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면진 유닛이 상기 습동 부재의 상기 상측면과 상기 하측면의 양쪽 또는 한쪽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면진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
  14.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면진 유닛이 상기 습동 부재의 상기 상측면과 상기 하측면의 양쪽 또는 한쪽이 꼭지부(頂部)가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꼭지부의 주위가 복수의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면진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면진 유닛이 상기 습동 부재의 상기 상측면과 상기 하측면의 양쪽 또는 한쪽이 꼭지부(頂部)가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꼭지부의 주위가 복수의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면진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
  16.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면진 유닛이 상기 습동 부재의 상기 상측면과 상기 하측면의 양쪽 또는 한쪽이 꼭지부가 복수의 평면으로 형성되고, 꼭지부의 주위가 상기 꼭지부의 상기 평면보다 수평 방향에 대한 경사도가 큰 복수의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면진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면진 유닛이 상기 습동 부재의 상기 상측면과 상기 하측면의 양쪽 또는 한쪽이 꼭지부가 복수의 평면으로 형성되고, 꼭지부의 주위가 상기 꼭지부의 상기 평면보다 수평 방향에 대한 경사도가 큰 복수의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면진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
KR1020090095233A 2009-07-15 2009-10-07 플로어 패널 및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 KR1010888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82839A JP2011021451A (ja) 2009-07-15 2009-07-15 フロアパネル及びフロアパネルアセンブリ
JPJP-P-2009-182839 2009-07-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017A true KR20110007017A (ko) 2011-01-21
KR101088861B1 KR101088861B1 (ko) 2011-12-06

Family

ID=43464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233A KR101088861B1 (ko) 2009-07-15 2009-10-07 플로어 패널 및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011013A1 (ko)
JP (1) JP2011021451A (ko)
KR (1) KR101088861B1 (ko)
CN (1) CN1019564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96378A1 (en) * 2007-02-06 2008-08-14 Alga S.P.A. Sliding pendulum seismic isolator
JP5855916B2 (ja) * 2011-11-17 2016-02-09 特許機器株式会社 減震装置
US9097027B2 (en) * 2013-03-15 2015-08-04 EQX Global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base isolation against seismic activity
JP2015068161A (ja) * 2013-09-30 2015-04-13 株式会社金澤製作所 免震揺動フロア
US9812758B2 (en) * 2014-10-24 2017-11-07 Tessco Communications Incorporated Antenna floor tile for a raised floo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26239E (en) * 1967-07-18 Floor pad
US846249A (en) * 1906-06-16 1907-03-05 Paul Seiler Foundation for buildings.
US1789576A (en) * 1929-12-13 1931-01-20 Oliver S Bowman Resilient hard-surfaced floor
US2002934A (en) * 1933-04-10 1935-05-28 George R Collins Building construction
US2116654A (en) * 1935-02-21 1938-05-10 William D Barge Soundproof building construction
US2035143A (en) * 1935-07-29 1936-03-24 Grace F Marquis Earthquake protected building construction
US2115238A (en) * 1935-12-12 1938-04-26 Walter E Rutledge Soundproof building construction
US3510999A (en) * 1967-08-08 1970-05-12 Carl Hubacher Shock absorption system
DE2432898C2 (de) * 1974-07-09 1976-07-29 Kober Ag Gleitkipplager fur brucken od. ahnliche tragwerke
US4436274A (en) * 1981-02-23 1984-03-13 The B. F. Goodrich Company Vibration dampening support
JPS58189455A (ja) * 1983-03-23 1983-11-05 株式会社大林組 上床の免振装置
US4763869A (en) * 1985-03-20 1988-08-16 Tokico Ltd. Vibration isolating apparatus
JPH0420105Y2 (ko) * 1985-10-11 1992-05-08
JPH0618966Y2 (ja) * 1988-04-16 1994-05-18 功生 林 床部材
US4945697A (en) * 1988-04-28 1990-08-07 Saar-Gummiwerk Gmbh Floor tile and floor
JPH0643745B2 (ja) * 1988-06-22 1994-06-08 功生 林 床部材
JPH0253437U (ko) * 1988-10-12 1990-04-18
JPH076276B2 (ja) * 1989-03-20 1995-01-30 功生 林 免震装置
CA2076225C (en) * 1991-10-03 1997-02-25 Tadanobu Matsumura Earthquake-proof leg support structure of electronic apparatus
US5365710A (en) * 1993-02-12 1994-11-22 Connor/Aga Sports Flooring Corporation Resilient subfloor pad
US5461835A (en) * 1993-06-11 1995-10-31 Tarics; Alexander G. Composite seismic isolator and method
JP2834980B2 (ja) * 1993-08-04 1998-12-14 良三 米田 構造物の耐震支持構造
DE19507927C2 (de) * 1995-02-24 1999-08-12 Haidermetall Eduard Haider Kg Schwingfähiger Stehboden
WO1996029477A1 (fr) * 1995-03-17 1996-09-26 Kuninori Mori Fondation
JPH0932261A (ja) * 1995-07-17 1997-02-04 Ohbayashi Corp 免震床構造
JP3222762B2 (ja) * 1996-04-26 2001-10-29 シャープ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044606A (en) * 1997-08-15 2000-04-04 Horner Flooring, Inc. Floor system
JPH10246287A (ja) * 1997-03-07 1998-09-14 Fujitsu Ltd 台足構造
JPH11264262A (ja) * 1998-03-16 1999-09-28 Tsutomu Mizuno 小規模建築物用免震装置
US6122873A (en) * 1998-06-12 2000-09-26 Connor/Aga Sports Flooring Corporation Subfloor assembly for athletic playing surface having improved deflection characteristics
US6474030B1 (en) * 1999-02-03 2002-11-05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Pile foundation structure
US6189279B1 (en) * 1999-02-12 2001-02-20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Floating floor underlay
US6230460B1 (en) * 2000-03-21 2001-05-15 Wesley Howard Huyett Resilient flooring system
KR100414569B1 (ko) * 2001-05-04 2004-01-07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방향성 롤링마찰진자 지진격리장치와 그에 사용되는롤러이동 조립체
US6883287B2 (en) * 2003-05-29 2005-04-26 Robbins, Inc. Panel-type subfloor assembly for anchored/resilient hardwood floor
US7096630B1 (en) * 2003-10-01 2006-08-29 Keene James R Composite tangled filament mat with overlying liquid moisture barrier for cushioning and venting of vapor, and for protection of underlying subfloor
US7521368B2 (en) * 2004-05-07 2009-04-2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100722746B1 (ko) 2004-12-07 2007-05-3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바닥충격음 저감을 위한 이중바닥재용 지지대
JP4613333B2 (ja) * 2005-04-01 2011-01-19 株式会社金澤製作所 免震装置
CN2784667Y (zh) * 2005-04-05 2006-05-31 蔡崇兴 隔震器
JP4757302B2 (ja) * 2005-06-10 2011-08-24 ピレリ・アンド・チ・ソチエタ・ペル・アツィオーニ 遮音性耐力床の作成方法
US7908810B2 (en) * 2005-06-30 2011-03-22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Corrugated steel deck system including acoustic features
US7651757B2 (en) * 2005-08-31 2010-01-26 Sealed Air Corporation (Us) Floor underlayment
JP2007225101A (ja) * 2006-02-23 2007-09-06 Kanazawa Seisakusho:Kk 制震装置
US8484911B2 (en) * 2006-05-12 2013-07-16 Earthquake Protection Systems, Inc. Sliding pendulum seismic isolation system
JP2008116039A (ja) * 2006-10-12 2008-05-22 Takanori Sato 免震装置
TW200823387A (en) * 2006-11-28 2008-06-01 Chung-Shing Tsai Shock isolator
KR101415561B1 (ko) * 2007-06-14 2014-08-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090013619A1 (en) * 2007-07-13 2009-01-15 Carlos Marroquin Earthquake resistant house
TWI429833B (zh) * 2007-10-12 2014-03-11 Takanori Sato 免震裝置及具有該免震裝置構成之構造物
JP2009150198A (ja) * 2007-12-19 2009-07-09 Shoichi Sakamoto 滑り膨張管シールド材を使用した空気浮揚式免震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56447B (zh) 2014-06-11
JP2011021451A (ja) 2011-02-03
KR101088861B1 (ko) 2011-12-06
US20110011013A1 (en) 2011-01-20
CN101956447A (zh) 201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8861B1 (ko) 플로어 패널 및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
JP6567246B2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
JP3129330U (ja) 支持クッション
JP6118194B2 (ja) 防音床構造
JP5278857B2 (ja) 免震ユニット
JPH11190390A (ja) 免震装置
JP3198133U (ja) Oaフロアパネル及びoaフロアパネルアセンブリ
JP2011021471A (ja) 免震装置
JP2012021382A (ja) 免震装置
WO2014178109A1 (ja) 重力バランス式免震装置
JPH09242818A (ja) 構造物の免震構造
JP2005030071A (ja) 減衰機能付き転がり免震支承
JP3888887B2 (ja) 免震装置
CN103225663A (zh) 振动控制设备
TWI258523B (en) Spherical damper capable of damping and absorbing vibration energy
KR101285236B1 (ko) 장치 구조물의 면진 장치
JP2010230057A (ja) 制振装置を備えた免震装置及び制振装置付き免震構造物
JP2007070857A (ja) 建造物の免震構造
JP2005249210A (ja) 減衰装置
JP4102211B2 (ja) 免震装置
KR102528564B1 (ko) 층간소음 저감시스템
JP5542858B2 (ja) 重力バランス式免震装置
CN209780137U (zh) 制震隔音层结构
JPH0914346A (ja) 免震装置
JP5639379B2 (ja) 弾性滑り支承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