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865A - 통신기기 - Google Patents

통신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865A
KR20110002865A KR1020107026008A KR20107026008A KR20110002865A KR 20110002865 A KR20110002865 A KR 20110002865A KR 1020107026008 A KR1020107026008 A KR 1020107026008A KR 20107026008 A KR20107026008 A KR 20107026008A KR 20110002865 A KR20110002865 A KR 20110002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antenna
box body
intensity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6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6096B1 (ko
Inventor
미츠히로 니시조노
신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02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9Combinations of different interacting antenna units for giving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30Combinations of separate antenna units operating in different wavebands and connected to a common feeder sys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01Q7/005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with variable reactance for tuning the antenn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ransceiver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계 상의 자유를 저해하지 않고 메인 안테나의 이득을 향상할 수 있는 통신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힌지기구(4) 내를 거쳐 프린트 기판(80)과 프린트 기판(50)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신호선과, 표시부 측 박스체부(3) 및 조작부 측 박스체부(2)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배치되어 설치됨과 함께, 프린트 기판(80) 또는 프린트 기판(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메인 안테나(51)를 가지고, 표시부 측 박스체부(3) 내에는, 프린트 기판(80)과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금속부가 배치되어 설치되고, 조작부 측 박스체부(2) 내에는, 프린트 기판(50)과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함께, 개방상태에서 금속부와 용량 결합되는 자계 안테나(53)(제 2 안테나)가 배치되어 설치된다.

Description

통신기기{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안테나를 가지는 통신기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통신기기에서는, 유저에 의한 조작용으로 제공되는 조작부 측으로서의 제 1 박스체와, 여러가지 정보의 표시용으로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측으로서의 제 2 박스체가, 힌지기구에 의해 연결되고, 힌지기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개방상태와 폐쇄상태의 사이를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주류로 되어 있다. 또, 이와 같은 통신기기에서는, 통화·데이터 통신용 메인 안테나는, 제 1 박스체의 한쪽 끝부, 또는 제 2 박스체의 한쪽 끝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 통신기기에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박스체에 내장되어 있는 회로 기판의 기준 전위부(GND)와 제 2 박스체의 회로 기판의 기준 전위부(GND)를 용량 결합시킨다. 이에 의하여, 기기 전체의 기준 전위(GND)를 고주파적으로 안정화시키고, 메인 안테나의 이득의 열화를 방지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여기서, 특허문헌 1에 관한 통신단말은, 제 1 박스체와, 제 2 박스체와, 제 1 박스체와 제 2 박스체가 겹쳐지는(superpose) 폐쇄상태와 당해 폐쇄상태에 비하여 겹쳐지는 정도가 작은 개방상태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제 1 박스체와 제 2 박스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제 1 박스체 내 및 제 2 박스체 내에 배치되어 설치된 도체부(회로 기판)와, 연결부 근방에 배치되어 설치된 제 1 안테나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 1 박스체 내의 도체부와 상기 제 2 박스체 내의 도체부를 용량 결합하기 위하여, 양자의 거리는, 소정 간격(L) 이하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4-134975호 공보
그러나, 제 1 박스체에 내장되어 있는 도전부와 제 2 박스체에 내장되어 있은 도전부를 용량 결합하기 위하여, 양자의 거리는, 소정 간격(L)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통신단말을 설계하는 데에 있어서 자유도가 제한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의 하나는, 설계상의 자유의 저해 요인을 저감하면서 제 1 안테나의 이득을 향상할 수 있는 통신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1) 본 발명에 관한 통신기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 1 박스체와, 제 2 박스체와, 상기 제 1 박스체와 상기 제 2 박스체가 겹쳐지는 폐쇄상태와 상기 폐쇄상태에 비하여 상기 겹쳐지는 정도가 작은 개방상태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 1 박스체와 상기 제 2 박스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제 1 박스체 내에 배치되어 설치되는 제 1 도전부와, 상기 제 2 박스체 내에 배치되어 설치되는 제 2 도전부와, 상기 연결부 내를 거쳐 상기 제 1 도전부와 상기 제 2 도전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신호선과, 상기 제 1 박스체 및 상기 제 2 박스체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배치되어 설치됨과 함께, 상기 제 1 도전부 또는 상기 제 2 도전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안테나와, 상기 제 1 박스체 및 상기 제 2 박스체의 적어도 한쪽에 배치되어 설치됨과 함께, 상기 제 1 도전부 또는 상기 제 2 도전부에 용량 결합되는 제 2 안테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본 발명에서는, (1)의 통신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는, 제 1 주파수대에 관한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안테나의 고차(高次)의 부차(副次) 공진점(共振点)은, 상기 제 1 주파수대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본 발명에서는, (1)의 통신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는, 제 1 주파수대에 관한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안테나는, 고차의 부차 공진점이 상기 제 1 주파수대에 포함되지 않은 제 2 주파수대에 관한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주파수대를 조정하는 조정수단을 가지고,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제 2 안테나의 고차의 공진점이 상기 제 1 주파수대에 포함되도록 상기 제 2 주파수대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본 발명에서는, (3)의 통신기기에 있어서, 상기 개방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가지고,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개방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제 2 안테나의 고차의 공진점이 상기 제 1 주파수대에 포함되도록 상기 제 2 주파수대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본 발명에서는, (4)의 통신기기에 있어서, 상기 폐쇄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가지고,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폐쇄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조정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본 발명에서는, (3)의 통신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에 의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제 1 주파수대에 관한 신호에 의거하는 제 1 소정의 제어를 행하는 제 1 제어수단을 가지고,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제 1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제 1 소정의 제어가 행하여지면 상기 제 2 안테나의 고차의 공진점이 상기 제 1 주파수대에 포함되도록 상기 제 2 주파수대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7) 본 발명에서는, (6)의 통신기기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제 1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제 1 소정의 제어가 억제되면 상기 조정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8)본 발명에서는, (3)의 통신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에 의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상기 제 1 주파수대에 관한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는 제 1 강도 측정수단을 가지고,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제 1 강도 측정수단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값의 강도가 측정되면 상기 제 2 안테나의 고차의 공진점이 상기 제 1 주파수대에 포함되도록 상기 제 2 주파수대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9) 본 발명에서는, (8)의 통신기기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제 1 강도 측정수단에 의해 소정값보다 작은 값의 강도가 측정되면 상기 조정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본 발명에서는, (3)의 통신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에 의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상기 제 1 주파수대에 관한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는 제 1 강도 측정수단을 가지고,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제 1 강도 측정수단에 의해 소정값보다 작은 값의 강도가 측정되면 상기 제 2 안테나의 고차의 공진점이 상기 제 1 주파수대에 포함되도록 상기 제 2 주파수대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1) 본 발명에서는, (10)의 통신기기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제 1 강도 측정수단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값의 강도가 측정되면 상기 조정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2) 본 발명에서는, (3)의 통신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테나에 의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제 2 주파수대에 관한 신호에 의거하는 제 2 소정의 제어를 행하는 제 2 제어수단을 가지고,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제 2 제어수단에 의한 상기 제 2 소정의 제어가 행하여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 2 안테나의 고차의 공진점이 상기 제 1 주파수대에 포함되도록 상기 제 2 주파수대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3) 본 발명에서는, (12)의 통신기기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제 2 제어수단에 의한 상기 제 2 소정의 제어가 행하여지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조정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4) 본 발명에서는, (3)의 통신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테나에 의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상기 제 2 주파수대에 관한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는 제 2 강도 측정수단을 가지고,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제 2 강도 측정수단에 의해 소정값보다 작은 값의 강도가 측정되면 상기 제 2 안테나의 고차의 공진점이 상기 제 1 주파수대에 포함되도록 상기 제 2 주파수대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5) 본 발명에서는, (14)의 통신기기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제 2 강도 측정수단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값의 강도가 측정되면 상기 조정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6) 본 발명에서는, (3)의 통신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테나에 의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상기 제 2 주파수대에 관한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는 제 2 강도 측정수단을 가지고,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제 2 강도 측정수단에 의해 소정값보다 큰 값의 강도가 측정되면 상기 제 2 안테나의 고차의 공진점이 상기 제 1 주파수대에 포함되도록 상기 제 2 주파수대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7) 본 발명에서는, (16)의 통신기기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제 2 강도 측정수단에 의해 소정값 이하의 값의 강도가 측정되면 상기 조정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8) 본 발명에서는, (1)의 통신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는, 상기 제 1 박스체 내에 배치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설계의 자유도의 저해 요인을 저감하면서 메인 안테나의 이득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 전화장치(1)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휴대 전화장치(1)를 접은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
도 3은 조작부 측 박스체부(2)에 내장되는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표시부 측 박스체부(3)에 내장되는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휴대 전화장치(1)의 기능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 전화장치(1)에 구비되어 있는 자계 안테나(53)의 제 1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 전화장치(1)에 구비되어 있는 자계 안테나(53)의 제 2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호스트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휴대 전화장치의 제 1 실시형태인 휴대 전화장치(1)의 내관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휴대 전화장치(1)를 A-A 선에 의해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 통신기기의 일례로서 휴대 전화기에 대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PHS(Personal Handy phone System : 등록상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포터블 네비게이션장치, 노트 퍼스널 컴퓨터 등의 안테나를 구비한 다른 통신기기이어도 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호스트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본 발명에 관한 통신기기의 일례인 휴대 전화장치(1)의 외관 사시도를 나타낸다. 또, 도 2는, 휴대 전화장치(1)를 접은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휴대 전화장치(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이 프런트 패널(2a)과 프런트 케이스(2b)와 리어 케이스(2c)와 도시 생략한 리어 패널(2d)에 의해 구성되는 조작부 측 박스체부(2)(제 2 박스체)와, 표면이 프런트 패널(3a)과 프런트 케이스(3b)와 리어 케이스(3c)와 리어 패널(3d)에 의해 구성되는 표시부 측 박스체부(3)(제 1 박스체)를 구비한다.
조작부 측 박스체부(2)는, 프런트 패널(2a)의 표면에, 조작 버튼군(11)과, 휴대 전화장치(1)의 사용자가 통화 시에 낸 음성이 입력되는 음성 입력부(12)가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또, 조작 버튼군(11)은, 각종 설정이나 전화번호부 기능이나 메일 기능 등의 각종 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한 기능 설정 조작 버튼(13)과, 전화번호의 숫자나 메일 등의 문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조작 버튼(14)과, 각종 조작에서의 결정이나 스크롤 등을 행하는 결정 조작 버튼(15)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조작부 측 박스체부(2)의 측면에는, 외부 기기(예를 들면, 호스트 장치)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덮는 캡이 설치되어 있다.
또, 표시부 측 박스체부(3)는, 프런트 패널(3a)에,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21)와, 통화의 상대측 음성을 출력하는 리시버(22)가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또, 조작부 측 박스체부(2)의 상단부와 표시부 측 박스체부(3)의 하단부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기구(4)(연결부)를 거쳐 연결되어 있다. 또, 휴대 전화장치(1)는, 힌지기구(4)를 거쳐 연결된 조작부 측 박스체부(2)와 표시부 측 박스체부(3)를 상대적으로 움직임으로써, 조작부 측 박스체부(2)의 표면과 표시부 측 박스체부(3)의 표면이 서로 마주 보고 접힌 상태(서로 겹쳐지는 제 1 상태, 개방상태)로 하거나, 조작부 측 박스체부(2)의 표면과 표시부 측 박스체부(3)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서로 개방된 상태(겹쳐지는 정도가 접힘상태보다 작은 제 2 상태, 개방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힌지기구(4)에 의한 폴더식의 휴대 전화장치(1)의 설명을 하고 있으나, 폴더식이 아닌, 양 박스체(2, 3)를 겹친 상태로부터 한쪽의 박스체를 일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도록 한 슬라이드식이나, 겹쳐지는 방향을 따르는 축선을 중심으로 한쪽의 박스체를 회전시키도록 한 회전식이나, 양 박스체(2, 3)가 2축 힌지를 거쳐 연결된 것이어도 된다.
조작부 측 박스체부(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 측면에, 소정의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사이드키(30)와, 외부 메모리의 삽입 및 인출이 행하여지는 인터페이스용 캡(31)을 구비하고 있다. 또, 표시부 측 박스체부(3)는, 한쪽 측면에, 상세한 것은 뒤에서 설명하는 슬라이드키(32)가 구비되어 있다. 또, 표시부 측 박스체부(3)의 리어 패널(3d) 표면에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카메라(33)와, 피사체에 광을 조사하는 라이트(34)가 노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카메라(33)와 라이트(34)는, 카메라 모듈을 구성한다.
또, 도 3은, 조작부 측 박스체부(2)에 내장되는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 측 박스체부(2)는, 프런트 패널(2a)과, 프런트 케이스(2b)[본 도면에서는 프런트 패널(2a)과 프런트 케이스(2b)는 결합되어 있다]와, 상기한 조작 버튼군(11)을 구성하는 키시트(40)와, 플렉시블 배선기판(45)과, 기준 전위 패턴층 및 RF(Radio Frequency) 모듈 등의 각종 전자부품을 구비하는 프린트 기판(50)(제 2 도전부)과, 힌지기구(4a, 4b)와, 메인 안테나(51)(제 1 안테나)와, 자계 안테나(53)(제 2 안테나)와, 리어 케이스(2c)와, 충전지(60)를 보호하는 리어 패널(2d)을 구비한다.
또, 조작부 측 박스체부(2)에서, 프런트 케이스(2b)와, 키시트(40)와, 프린트 기판(50)과, 리어 케이스(2c)는, 적층적으로 배치된다. 또, 충전지(60)는, 리어 패널(2d)의 바깥쪽으로부터 삽입 이탈 가능하게 수납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런트 케이스(2b)와 리어 케이스(2c)는, 서로의 오목형상의 안쪽 면이 마주 보도록 배치되고, 서로의 바깥 둘레 가장자리가 겹치도록 하여 결합된다. 또, 프런트 케이스(2b)와 리어 케이스(2c)의 사이에는, 키시트(40)와, 프린트 기판(50)이 끼워지도록 하여 내장된다. 즉, 프린트 기판(50)의 상면에 키시트(40)가 적층 배치된다.
플렉시블 배선기판(45)은, 프런트 패널(2a) 측의 면에 복수의 키스위치를 가지고, 각각의 키스위치는, 공기모양으로 만곡되어 입체적으로 형성된 금속판의 메탈돔을 가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메탈돔은, 그 공기모양 형상의 정점이 가압되면, 플렉시블 배선기판(45)의 표면에 인쇄된 도시 생략한 전기회로에 형성되는 스위치 단자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된다. 또한, 플렉시블 배선기판(45)은, 복수의 절연 필름 사이에 배선을 끼워 넣은 것이다.
또, 프린트 기판(50)에는, 도시 생략한 각종 전자부품이 배치된다. 각종 전자부품은, 소정의 조합에 의하여 복수의 회로 블럭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무선회로, 전원회로, 디지털회로 등을 포함하는 각종 회로 블럭이 형성된다.
프런트 패널(2a)에는, 휴대 전화장치(1)를 접은 상태에서 표시부 측 박스체부(3)의 디스플레이(21)와 대향하는 안쪽 면에, 키구멍(L)이 복수 형성된다. 복수의 키구멍 각각으로부터는, 키시트(40) 상에 형성되는 기능 설정 조작 버튼(13), 입력 조작 버튼(14) 및 결정 조작 버튼(15)의 가압면이 노출된다. 이 노출된 조작 버튼군(11)을 구성하는 기능 설정 조작 버튼(13), 입력 조작 버튼(14) 및 결정 조작 버튼(15)의 가압면을 눌러 가압함으로써, 대응하는 키스위치 각각에서의 메탈돔(그릇모양 형상)의 정점이 가압되고, 스위치 단자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리어 케이스(2c)의 한쪽 끝 측에는, 기초대에 수납된 메인 안테나(51)가 배치된다. 즉, 메인 안테나(51)는, 휴대 전화장치(1)에서의 한쪽 끝 측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메인 안테나(51)는, 휴대 전화장치(1)에서의 힌지기구(4) 측과 반대인 끝부 측에 배치된다. 또, 메인 안테나(51)는, 띠형상의 판금으로 형성된다.
메인 안테나(51)(제 1 안테나)는, 통화나 전자 메일 등에 관한 전자파의 송수신을 행하는 안테나이고, 도시 생략한 급전 단자를 거쳐 프린트 기판(50)으로부터 급전되어 구성된다. 이에 의하여, 메인 안테나(51)는, 급전 단자를 거쳐 프린트 기판(50)으로부터 급전됨과 함께, 프린트 기판(50)에 설치된 RF 모듈 등과 접속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메인 안테나(51)의 위치를 리어 케이스(2c)의 한쪽 끝에 설치하도록 하였으나, 조작부 측 박스체부(2) 내부의 어느 장소에 배치하여도 된다. 또, 메인 안테나(51)의 위치를 표시부 측 박스체부(3) 내부의 어느 장소에 배치하여도 된다.
도 4는, 표시부 측 박스체부(3)에 내장되는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 측 박스체부(3)는, 프런트 패널(3a)과, 프런트 케이스(3b)와, 힌지기구(4)와, 스피커(70a, 70b)와, 모터(75)와, 디스플레이(21)와, 디스플레이(21)가 접속된 프린트 기판(80)(제 1 도전부)과, 리어 케이스(3c)와, 리어 패널(3d)을 구비한다. 또, 표시부 측 박스체부(3)에서, 프런트 패널(3a)과, 프런트 케이스(3b)와, 디스플레이(21)와, 프린트 기판(80)과, 리어 케이스(3c)와, 리어 패널(3d)이 적층적으로 배치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런트 케이스(3b)와 리어 케이스(3c)는, 서로의 오목형상의 안쪽 면이 마주 보도록 배치되고, 서로의 바깥 둘레 가장자리가 겹치도록 하여 결합된다. 또, 프런트 케이스(3b)와 리어 케이스(3c)의 사이에는, 디스플레이(21)와, 프린트 기판(80)이 끼워지도록 하여 내장된다. 또, 스피커(70a, 70b)와, 모터(75)가 프린트 기판(80)에 접속된다.
또, 도 5는, 휴대 전화장치(1)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이다. 휴대 전화장치(1)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부로서의 제 2 통신부(5)와, 외부의 단말과 통신을 행하는 제 1 통신부(6)와, 제 1 통신부(6)에 의해 통신되는 정보를 처리하는 처리부(7)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통신부(5)의 구성>
제 2 통신부(5)는, 상기한 RFID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RFID 칩(9)과, 제 2 사용 주파수대(예를 들면, 13.56 MHz)(제 2 주파수대)에 의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자계 안테나(53)와, 조정용 콘덴서(54)를 구비한다.
자계 안테나(53)는, 예를 들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재료로 이루어지는 시트 상에 복수회 소용돌이모양으로 감긴 코일을 구비하고 있고, 외부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제 2 사용 주파수대의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자계 안테나(53)는, 도선이 권회되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RFID 칩(9)은, 자계 안테나(53)로 수신된 신호에 의해 유기(誘起)된 전력에 의거하여 소정의 전압을 생성하는 전원회로(55)와, 자계 안테나(53)에 의해 통신되는 신호에 대하여 변조처리 또는 복조처리 등의 신호처리를 행하는 RF 회로(56)와, 소정의 연산처리를 행하는 CPU(57)와, 소정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58)를 구비하고 있다. 전원회로(55)는, 예를 들면, DC-DC 컨버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CPU(57)는, 뒤에서 설명하는 CPU(71)와 신호선(S)으로 연결되어 있고, 신호선 (S)을 거쳐 제 2 통신부(5)에 의해 처리된 정보가 CPU(71)에 공급된다.
여기서, 제 2 통신부(5)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계 안테나(53)는,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리더·라이터장치에 대하여, 소정 거리까지 접근하였을 때에, 당해 리더·라이터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자계[제 2 사용 주파수대인 캐리어 주파수(예를 들면, 13.56 MHz)에 대하여 변조되어 있다]를 수신한다. 또한, 콘덴서(54)는, 제 2 사용 주파수대의 자계가 자계 안테나(53)를 거쳐 RF 회로(56)에 공급되도록, 소정의 조정(튜닝)이 되어 있다.
또, 자계 안테나(53)에 의해 자계가 수신되면, 전자 유도작용에 의해 기전력이 발생한다. 전원회로(55)는, 전자 유도작용에 의해 발생한 기전력으로부터 소정의 전원전압을 생성하여, RF 회로(56)와, CPU(57)와, 메모리(58)에 공급한다. 또, RF 회로(56)와, CPU(57)와, 메모리(58)는, 전원회로(55)로부터 소정의 전원전압이 공급됨으로써 정지상태로부터 기동상태로 이행된다.
RF 회로(56)는, 자계 안테나(53)를 거쳐 공급된 제 2 사용 주파수대의 신호에 대하여 복조 등의 신호처리를 행하고, 처리 후의 신호를 CPU(57)에 공급한다.
CPU(57)는, RF 회로(56)로부터 공급된 신호에 의거하여, 메모리(58)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또는, 메모리(58)로부터 데이터를 읽어 낸다. CPU(57)는, 메모리(58)로부터 데이터를 읽어 낸 경우에는, 당해 데이터를 RF 회로(56)에 공급한다. RF 회로(56)는, 메모리(58)로부터 읽어 내진 데이터에 대하여 변조 등의 신호처리를 행하여, 자계 안테나(53)를 거쳐 외부의 리더·라이터 장치에 송신한다.
또, 제 2 통신부(5)는, 상기에서는, 전원부를 가지지 않는, 이른바 수동형(Passive)의 유도전자계방식(전자유도방식)인 것으로서 설명을 행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수동형의 상호 유도방식(전자 결합방식) 또는 방사전자계방식(전파방식)이어도 되고, 또는, 전원부를 가지는 능동형(Active)이어도 된다. 또, 제 2 통신부(5)의 액세스방식으로서, 리드·라이트형인 것으로서 설명을 행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리드 온리형이나, 라이트 원스형 등이어도 된다.
<제 1 통신부(6)의 구성>
또, 제 1 통신부(6)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사용 주파수대보다도 높은 주파수대인 제 1 사용 주파수대(제 1 주파수대)에 의해 외부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메인 안테나(51)와, RF 회로를 포함하고, 변조처리 또는 복조처리 등의 신호처리를 행하는 통신처리부(52)를 구비한다. 또, 제 1 통신부(6)는, 충전지(60)로부터 전원의 공급을 받고 있다.
메인 안테나(51)는, 제 1 사용 주파수대(예를 들면, 800 MHz)에서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사용 주파수대로서, 800 MHz로 하였으나, 이것 이외의 주파수대이어도 된다. 또, 메인 안테나(51)는, 제 1 사용주파수대 외에, 제 3 사용 주파수대(예를 들면, 2 GHz)에 대응할 수 있는, 이른바 듀얼 밴드 대응형에 의한 구성이어도 되고, 또한, 제 4 사용 주파수대에도 대응할 수 있는 복수 밴드 대응형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통신처리부(52)는, 메인 안테나(51)에 의하여 수신한 신호를 복조 처리하고, 처리 후의 신호를 처리부(7)에 공급하며, 처리부(7)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변조처리하여, 메인 안테나(51)를 거쳐 외부 장치로 송신한다.
<처리부(7)의 구성>
또, 처리부(7)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버튼군(11)과, 음성 입력부(12)와, 디스플레이(21)와, 리시버(22)와, 소정의 연산처리를 행하는 CPU(71)와, 소정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72)와, 소정의 음처리를 행하는 음향 처리부(73)와, 소정의 화상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부(74)와, 일정 주기로 진동하는 모터(75)와, 피사체를 촬상하는 카메라(33)와, 착신음 등이 출력되는 스피커(70a, 70b)를 구비하고 있다. 또, 처리부(7)는, 충전지(60)로부터 전원의 공급을 받고 있다. 또한, 휴대 전화장치(1)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PU(57)와 CPU(71)가, 신호선(S)으로 연결되어 있고, 신호선(S)을 거쳐 제 2 통신부(5)에 의해 처리된 정보가 CPU(71)에 공급되어, 필요에 따른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자계 안테나(53)의 고차 공진점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메인 안테나(51)의 안테나 이득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메인 안테나(51)와 자계 안테나(53)는, 조작부 측 박스체부(2)에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메인 안테나(51)와 자계 안테나(53)가, 표시부 측 박스체부(3)에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메인 안테나(51)가, 조작부 측 박스체부(2)와 표시부 측 박스체부(3)의 한쪽에 배치되어 설치되고, 자계 안테나(53)가, 조작부 측 박스체부(2)와 표시부 측 박스체부(3)의 다른쪽에 배치되어 설치되어도 된다.
<제 1 구성>
휴대 전화장치(1)는, 힌지기구(4) 내를 거쳐 프린트 기판(80)과 프린트 기판(50)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신호선과, 표시부 측 박스체부(3) 및 조작부 측 박스체부(2)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배치됨과 함께, 프린트 기판(80) 또는 프린트 기판(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메인 안테나(51)(제 1 안테나)를 가진다. 표시부 측 박스체부(3) 내에는, 프린트 기판(8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금속부가 배치되어 설치되고, 표시부측 박스체부(3) 및 조작부 측 박스체부(2)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개방상태에서 금속부 또는 프린트 기판(50) 또는 프린트 기판(80)과 용량 결합되는 자계 안테나(53)(제 2 안테나)가 배치되어 설치된다. 또, 금속부는, 예를 들면, 스피커(70a, 70b)나 모터(75) 등이 해당한다. 또한, 자계 안테나(53)는, 금속부를 거치지 않고 프린트 기판(80)과 직접 용량 결합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개방상태에서, 금속부 또는 프린트 기판(50) 또는 프린트 기판(80)과 자계 안테나(53)가 용량 결합함으로써, 표시부 측 박스체부(3)(제 1 박스체)와 조작부 측 박스체부(2)(제 2 박스체)의 고주파적인 그라운드 레벨을 안정화할 수 있다. 따라서, 자계 안테나(53)를 이용하여 메인 안테나(51)의 감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또, 박스체 내의 설계상의 자유도를 향상할 수 있다.
<제 2 구성>
또, 본 발명에서는, 메인 안테나(51)는, 제 1 사용 주파수대(제 1 주파수대)에 관한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자계 안테나(53)의 고차의 부차 공진점은, 제 1 사용 주파수대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금속부 또는 프린트 기판(80)과 자계 안테나(53)와의 용량 결합의 정도가 향상하여, 개방상태에서의 메인 안테나(51)의 감도를 더욱 향상할 수 있다.
<제 3 구성>
또, 본 발명에서는, 메인 안테나(51)는, 제 1 사용 주파수대에 관한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자계 안테나(53)는, 고차의 부차 공진점이 제 1 사용 주파수대에 포함되지 않은 제 2 사용 주파수대(제 2 주파수대)에 관한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 이 경우에는, 휴대 전화장치(1)는, 제 2 사용 주파수대를 조정하는 조정수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정수단은, 자계 안테나(53)의 고차의 공진점이 제 1 사용 주파수대에 포함되도록 제 2 사용 주파수대를 조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조정수단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하는 <조정수단의 구체적 구성 1> 및 <조정수단의 구체적 구성 2>에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어느 조건 하에서, 자계 안테나(53)의 고차 공진점에 의한 조정에 의해, 금속부 또는 프린트 기판(80)과 자계 안테나(53)와의 용량 결합의 정도가 향상하여, 메인 안테나(51)의 감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 4 구성>
또, 휴대 전화장치(1)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방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76)(검출수단)를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조정수단은, 검출부(76)에 의해 개방상태가 검출되면 자계 안테나(53)의 고차의 공진점이 제 1 사용 주파수대에 포함되도록 제 2 사용 주파수대를 조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메인 안테나(51)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할 가능성이 높은 상태, 즉 메인 안테나(51)의 감도 향상을 도모할 필요성이 높은 개방상태에서는, 금속부 또는 프린트 기판(80)과 자계 안테나(53)와의 용량 결합의 정도가 향상하여, 메인 안테나(51)의 감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폐쇄상태에 있어서는, 제 2 사용 주파수대의 조정을 행하지 않기 때문에, 조정수단에 의한 자계 안테나(53)의 조정에 의거하는 자계 안테나(53)의 열화를 저감할 수 있다.
<제 5 구성>
또, 휴대 전화장치(1)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쇄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76)를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조정수단은, 검출부(76)에 의해 폐쇄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조정을 억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제 4 구성>에서, 개방상태일 때에 제 2 사용 주파수대를 조정하고 있을 때에,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 상태가 변위하였을 때에는, 당해 조정을 억제한다. 따라서, 조정수단에 의한 자계 안테나(53)의 조정에 의거하는 자계 안테나(53)의 열화를 저감할 수 있다.
<제 6 구성>
또, 휴대 전화장치(1)는, 메인 안테나(51)에 의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제 1 사용 주파수대에 관한 신호에 의거하는 제 1 소정의 제어[예를 들면, 메인 안테나(51)에 의해 통화·데이터 통신을 행할 때의 통신제어]를 행하는 통신처리부(52)(제 1 제어수단)를 가진다(도 5를 참조.).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조정수단은, 통신처리부(52)에 의해 제 1 소정의 제어가 행하여지면 자계 안테나(53)의 고차의 공진점이 제 1 사용 주파수대에 포함되도록 제 2 사용 주파수대를 조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메인 안테나(51)의 감도 향상을 도모할 필요성이 높은 상태[통신처리부(52)에 의한 제 1 소정의 제어가 행하여지는 상태]에서, 금속부 또는 프린트 기판(80)과 자계 안테나(53)와의 용량 결합의 정도가 향상하여, 메인 안테나(51)의 감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 7 구성>
또, 조정수단은, 통신처리부(52)에 의해 제 1 소정의 제어가 억제되면 상기조정을 억제하는, 즉, 조정을 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제 6 구성>에서, 제 2 사용 주파수대를 조정하고 있을 때에, 메인 안테나(51)의 감도 향상을 도모할 필요성이 낮은 상태[통신 처리부(52)에 의한 제 1 소정의 제어가 억제되어 있는 상태]가 된 경우는, 조정수단에 의한 조정이 억제된다. 따라서, 조정수단에 의한 자계 안테나(53)의 조정에 의거하는 자계 안테나(53)의 열화를 저감할 수 있다.
<제 8 구성>
또, 휴대 전화장치(1)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안테나(51)에 의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제 1 사용 주파수대에 관한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는 강도 측정부(78)(제 1 강도 측정수단)를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조정수단은, 강도 측정부(78)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값의 강도가 측정되면 자계 안테나(53)의 고차의 공진점이 제 1 사용 주파수대에 포함되도록 제 2 사용 주파수대를 조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메인 안테나(51)의 감도 향상을 도모할 필요성이 높은 상태[강도 측정부(78)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값의 강도가 측정된 상태로서, 메인 안테나(51)를 사용하여 통신할 가능성이 높은 상태]에서, 금속부 또는 프린트 기판(80)과 자계 안테나(53)와의 용량 결합의 정도가 향상하여, 메인 안테나(51)의 감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 9 구성>
또, 조정수단은, 강도 측정부(78)에 의해 소정값보다 작은 값의 강도가 측정되면 상기 조정을 억제하는, 즉, 조정을 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제 8 구성>에서, 제 2 사용 주파수대를 조정하고 있을 때에, 메인 안테나(51)의 감도 향상을 도모할 필요성이 낮은 상태[강도 측정부(78)에 의해 소정값보다 작은 값의 강도가 측정된 상태로서, 메인 안테나(51)를 사용하여 통신할 가능성이 낮은 상태]가 된 경우에는, 당해 조정을 억제한다. 따라서, 조정수단에 의한 자계 안테나(53)의 조정에 의거하는 자계 안테나(53)의 열화를 저감할 수 있다.
<제 10 구성>
휴대 전화장치(1)는, 메인 안테나(51)에 의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제 1 사용주파수대에 관한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는 강도 측정부(78)를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조정수단은, 강도 측정부(78)에 의해 소정값보다 작은 값의 강도가 측정되면 자계 안테나(53)의 고차의 공진점이 제 1 사용 주파수대에 포함되도록 제 2 사용 주파수대를 조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메인 안테나(51)의 전파상황이 약할 때에 자계 안테나(53)의 고차의 공진점을 제 1 사용 주파수대에 포함되도록 조정함으로써, 금속부 또는 프린트 기판(80)과 자계 안테나(53)와의 용량 결합의 정도가 향상하여, 메인 안테나(51)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1 구성>
조정수단은, 강도 측정부(78)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값의 강도가 측정되면 상기 조정을 억제하는, 즉, 조정을 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제 10 구성>에서, 제 2 사용 주파수대를 조정하고 있을 때에, 메인 안테나(51)의 감도가 양호한 상태가 된 경우에는, 당해 조정을 억제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소비전력을 억제할 수 있고, 또, 조정수단에 의한 자계 안테나(53)의 조정에 의거하는 자계 안테나(53)의 열화를 저감할 수 있다.
<제 12 구성>
자계 안테나(53)에 의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제 2 사용 주파수대에 관한 신호에 의거하는 제 2 소정의 제어[예를 들면, 자계 안테나(53)에 의해 통신을 행할 때의 통신제어]를 행하는 RFID 칩(9)(제 2 제어수단)을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조정수단은, RFID 칩(9)에 의한 제 2 소정의 제어가 행하여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자계 안테나(53)의 고차의 공진점이 제 1 사용 주파수대에 포함되도록 제 2 사용 주파수대를 조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자계 안테나(53)의 감도 향상을 도모할 필요성이 낮은 상태[RFID 칩(9)에 의해 행하여지는 제 2 소정의 제어가 억제된 상태로서, 예를 들면, RFID 칩(9)이 사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당해 조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자계 안테나(53)의 감도 향상을 도모할 필요성이 낮은 상태에서는, 조정수단에 의한 조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금속부 또는 프린트 기판(80)과 자계 안테나(53)와의 용량 결합의 정도가 향상하여, 메인 안테나(51)의 감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 13 구성>
조정수단은, RFID 칩(9)에 의한 제 2 소정의 제어가 행하여지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조정을 억제하는, 즉, 조정을 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제 12 구성>에서, 제 2 사용 주파수대를 조정하고 있을 때에, 자계 안테나(53)의 감도 향상을 도모할 필요성이 높은 상태[RFID 칩(9)에 의해 제 2 소정의 제어가 행하여진 상태]가 된 경우에는, 당해 조정을 억제한다. 따라서, 조정수단에 의한 자계 안테나(53)의 조정에 의거하는 자계 안테나(53)의 열화를 저감할 수 있다.
<제 14 구성>
또, 휴대 전화장치(1)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계 안테나(53)에 의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제 2 사용 주파수대에 관한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는 강도 측정부(78)(제 2 강도 측정수단)를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조정수단은, 강도 측정부(78)에 의해 소정값보다 작은 값의 강도가 측정되면 자계 안테나(53)의 고차의 공진점이 제 1 사용 주파수대에 포함되도록 제 2 사용 주파수대를 조정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강도 측정부(78)는, 메인 안테나(51)에 의한 제 1 사용 주파수대에 관한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고, 자계 안테나(53)에 의한 제 2 사용 주파수대에 관한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 전용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자계 안테나(53)의 감도 향상을 도모할 필요성이 낮은 상태[예를 들면, 자계 안테나(53)에 의한 자계 통신이 행하여지지 않은 상태]에서, 금속부 또는 프린트 기판(80)과 자계 안테나(53)와의 용량 결합의 정도가 향상하여, 메인 안테나(51)의 감도 향상을 우선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제 15 구성>
조정수단은, 강도 측정부(78)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값의 강도가 측정되면 상기 조정을 억제하는, 즉, 조정을 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제 14 구성>에서, 제 2 사용 주파수대를 조정하고 있을 때에, 자계 안테나(53)를 이용하여 자계통신을 행하는 상태에서는, 당해 조정을 억제한다. 따라서, 조정수단에 의한 자계 안테나(53)의 조정에 의거하는 자계 안테나(53)의 열화를 저감할 수 있다.
<제 16 구성>
또, 휴대 전화장치(1)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계 안테나(53)에 의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제 2 사용 주파수대에 관한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는 강도 측정부(78)를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조정수단은, 강도 측정부(78)에 의해 소정값보다 큰 값의 강도가 측정되면 자계 안테나(53)의 고차의 공진점이 제 1 사용 주파수대에 포함되도록 제 2 사용 주파수대를 조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자계 안테나(53)의 감도가 양호한 상태에서는, 적극적으로 조정수단에 의해 조정을 행한다. 이에 의하여, 금속부 또는 프린트 기판(80)과 자계 안테나(53)와의 용량 결합의 정도가 향상하여, 메인 안테나(51)의 감도도 적합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제 17 구성>
조정수단은, 강도 측정부(78)에 의해 소정값 이하의 값의 강도가 측정되면 상기 조정을 억제하는, 즉, 조정을 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제 16 구성>에서, 제 2 사용 주파수대를 조정하고 있을 때에, 강도 측정부(78)에 의해 소정값 이하의 강도를 측정, 즉, 자계 안테나(53)에 의한 자계통신의 필요성이 저하한 경우에는, 당해 조정을 억제하기 때문에, 메인 안테나(51)의 감도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제 18 구성>
메인 안테나(51)와 자계 안테나(53)는 다른 박스체 내에 배치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물리적으로 메인 안테나(51)와 자계 안테나(53)의 거리를 둘 수 있어, 메인 안테나(51)와 자계 안테나(53)가 근접함으로써 생기는 불이익을 회피할 수 있다.
<조정수단의 구체적 구성 1>
이하에, 자계 안테나(53)의 고차 공진점을 메인 안테나(51)의 사용 주파수대로 시프트하는 조정수단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휴대 전화장치(1)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안테나(51)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기 위하여, 일정 조건 하에서, 자계 안테나(53)의 안테나 패턴의 접속경로를 스위칭에 의해 변경하고, 자계 안테나(53)의 인덕턴스값을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자계 안테나(53)는, 한쪽 측에서, 제 1 스위치부(81)와, 제 2 스위치부(82)와, 집중 정수회로(83)(조정수단)가 배선 패턴에 부가됨으로써, 제 1 경로와 제 2 경로가 선택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 1 스위치부(81)는, 단자(A1)와, 단자(B1)와, 단자(C1)로 구성되어 있고, 제 2 스위치부(82)는, 단자(A2)와, 단자(B2)와, 단자(C2)로 구성되어 있다.
집중 정수회로(83)는, 예를 들면, 코일이나 병렬 공진회로 등의 위상 회전소자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한쪽 끝 측이 제 1 스위치부(81)의 단자(C1)에 접속되어 있고, 다른쪽 끝 측이 제 2 스위치부(82)의 단자(C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집중 정수회로(83)를 부가하고 있으나, 인덕턴스값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구성요소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페라이트 등을 부가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CPU(71)(제어부)는, 일정 조건 하에서, 제 1 스위치부(81)와 제 2 스위치부(82)를 제어하고, 단자(A1)와 단자(B1)를 도통시키며, 또한 단자(A2)와 단자(B2)를 도통시킴으로써 제 1 경로를 구성한다. 한편, CPU(71)는, 단자(A1)와 단자(C1)를 도통시키고, 또한 단자(A2)와 단자(C2)를 도통시킴으로써 집중 정수회로(83)를 거쳐 접속되는 제 2 경로를 구성한다.
여기서, 제 1 경로는, 제 2 통신부(5)에서의 통신 품질이 가장 좋고, 통신 전력 효율이 가장 좋은 경로이다. 또, 제 2 경로는, 집중 정수회로(83)를 경유하는 경로이고, 이 상태에서는, 자계 안테나(53)의 인덕턴스값이 변경되어, 메인 안테나(51)의 사용 주파수대에 자계 안테나(53)에 의한 고차 공진점이 겹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경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자계 안테나(53)의 고차 공진점에 의한 메인 안테나(51)의 이득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자계 안테나(53)는, 제 2 경로가 선택된 경우에도, 제 2 사용 주파수대에 의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스펙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제 1 스위치부(81)와, 제 2 스위치부(82)와, 집중 정수회로(83)에 의해 구성되는 제 2 경로는, 자계 안테나(53)를 구성하는 일부의 선에만부가되는 것으로서 나타내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선에 제 2 경로를 부가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조정수단의 구체적 구성 2>
또, 휴대 전화장치(1)는, 상기한 구성(도 6) 이외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계 안테나(53)를 구성하는 선의 소정의 위치에 제 1 스위치부(81) 및 제 2 스위치부(82)를 각각 설치한다. 그리고, 일정 조건 하에서, CPU(71)는, 제 1 스위치부(81)와 제 2 스위치부(82)를 제어하고, 단자(A1)와 단자(B1)를 도통시키며, 또한 단자(A2)와 단자(B2)를 도통시킴으로써 제 1 경로를 구성한다. 한편, CPU(71)는, 제 1 스위치부(81)와 제 2 스위치부(82)를 제어하고, 단자(A1)와 단자(C1)를 도통시키며, 또한 단자(A2)와 단자(C2)를 도통시킴으로써 제 2 경로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제 1 경로에 의한 경우와 제 2 경로에 의한 경우에, 자계 안테나(53)의 엘리먼트 길이(인덕턴스값)를 변경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 1 경로가 선택되어 있을 때에는, 자계 안테나(53)에 의한 통신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제 2 경로가 선택되어 있을 때에는 자계 안테나(53)의 고차 공진점이 메인 안테나(51)의 사용 주파수대에 겹친다. 따라서, 메인 안테나(51)의 이득을 향상할 수 있다.
<자계 안테나(53)와 금속부의 배치 관계>
여기서, 도 8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장치(1)의 제 1 내관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 측 박스체부(2)의 리어 케이스(2c) 상에 프린트 기판(50)이 배치되고, 표시부 측 박스체부(3)의 리어 케이스(3c) 상에 프린트 기판(80)과, 디스플레이(21)가 배치되어 있다.
조작부 측 박스체부(2)의 리어 케이스(2c)와 프린트 기판(50)의 사이에는, 전파를 수신하기 위한 메인 안테나(51)가 배치되어 있다. 표시부 측 박스체부(3)의 리어 케이스(3c)와 프린트 기판(80)의 사이에는, 수화 음성을 발생하기 위한 리시버(22)가 배치되어 있다. 또, 표시부 측 박스체부(3)의 리시버(22)와는 반대 측의 리어 케이스(3c)와 프린트 기판(80)의 사이에는 금속 등의 도전부를 가짐과 함께 프린트 기판(80)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스피커(70a, 70b)(금속부)가 배치되어 있다.
또, 조작부 측 박스체부(2)의 프린트 기판(50) 상에는 힌지기구(4) 사이를 삽입함과 함께 복수의 신호선과 시일드선으로 이루어지는 동축 케이블(90)의 한쪽 끝이 커넥터(95a)를 거쳐 접속되어 있다. 표시부 측 박스체부(3)의 프린트 기판(80)에는 동축 케이블(90)의 다른쪽 끝이 커넥터(95b)를 거쳐 접속되어 있다. 또, 조작부 측 박스체부(2)에 배치된 메인 안테나(51)와는 반대 측의 한쪽 끝에는, 도 3에 나타내는 힌지기구(4a)를 구성하는 금속 힌지(4c)(금속부)가 스피커(70a, 70b)와 대향하는 부위에 배치되어 있다. 금속 힌지(4c)는, 프린트 기판(5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금속 힌지(4c)는, 플라스틱이나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비도전성의 힌지의 안쪽 표면에 금속 증착을 실시한 것[의사(擬似)적인 금속 힌지]을 사용하여도 된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장치(1)에서의 특징적인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계 안테나(53)와 금속 힌지(4c)와 스피커(70a)와의 사이에는 용량 결합이 이루어져 있다. 호스트 장치로부터 공중을 전파하여 도래하는 전파의 도래파(W)가 휴대 전화장치(1)에 설치된 메인 안테나(51)에 의해 공진되어 고주파 전류가 유기되고, 전기력선(101)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도래파(W)에 의해 유기된 고주파 전류는, 메인 안테나(51)로부터 프린트 기판(50) - 자계 안테나(53) - 스피커(70a, 70b) - 프린트 기판(80)으로 전파되어 전기적인 고주파 그라운드가 형성된다. 이 때의 개략적인 모양을 도 9에서는, 고주파 전류(W1, W2, W3, W4, W5)로서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는, 설계 상의 자유를 저해시키지 않고 메인 안테나(51)의 이득을 향상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표시부 측 박스체부(3)에 배치되어 있는 금속부[스피커(70a, 70b) 등]와, 조작부 측 박스체부(2)에 배치되어 있는 자계 안테나(53)가 직접적으로 용량 결합을 행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해 금속부와 자계 안테나(53)가 간접적으로 용량 결합을 행하는 구성[예를 들면, 자계 안테나(53)와 힌지기구(4)를 구성하는 금속부가 용량 결합을 행하고, 또한 힌지기구(4)를 구성하는 금속부와 표시부 측 박스체부(3)에 배치되어 있는 금속부 스피커(70a, 70b) 등이 용량 결합을 행하도록 구성]이어도 된다.
1 : 휴대 전화장치 2 : 조작부 측 박스체부
2a : 프런트 패널 2b : 프런트 케이스
2c : 리어 케이스 2d : 리어 패널
3 : 표시부 측 박스체부 3c : 리어 케이스
3a : 프런트 패널 3b : 프런트 케이스
3c : 리어 케이스 3d : 리어 패널
4 : 힌지기구 4a : 힌지기구
4b : 힌지기구 4c : 금속 힌지
50 : 프린트 기판 55 : 안테나 엘리먼트
56 :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 70a, 70b : 스피커
75 : 모터 80 : 프린트 기판

Claims (18)

  1. 제 1 박스체와,
    제 2 박스체와,
    상기 제 1 박스체와 상기 제 2 박스체가 겹쳐지는 폐쇄상태와 상기 폐쇄상태에 비하여 상기 겹쳐지는 정도가 작은 개방상태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 1 박스체와 상기 제 2 박스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제 1 박스체 내에 배치되어 설치되는 제 1 도전부와,
    상기 제 2 박스체 내에 배치되어 설치되는 제 2 도전부와,
    상기 연결부 내를 거쳐 상기 제 1 도전부와 상기 제 2 도전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신호선과,
    상기 제 1 박스체 및 상기 제 2 박스체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배치되어 설치됨과 함께, 상기 제 1 도전부 또는 상기 제 2 도전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안테나와,
    상기 제 1 박스체 및 상기 제 2 박스체의 적어도 한쪽에 배치되어 설치됨과 함께, 상기 제 1 도전부 또는 상기 제 2 도전부에 용량 결합되는 제 2 안테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는, 제 1 주파수대에 관한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안테나의 고차(高次)의 부차(副次) 공진점은, 상기 제 1 주파수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는, 제 1 주파수대에 관한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안테나는, 고차의 부차 공진점이 상기 제 1 주파수대에 포함되지 않는 제 2 주파수대에 관한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주파수대를 조정하는 조정수단을 가지고,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제 2 안테나의 고차의 공진점이 상기 제 1 주파수대에 포함되도록 상기 제 2 주파수대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가지고,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개방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제 2 안테나의 고차의 공진점이 상기 제 1 주파수대에 포함되도록 상기 제 2 주파수대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가지고,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폐쇄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조정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에 의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제 1 주파수대에 관한 신호에 의거하는 제 1 소정의 제어를 행하는 제 1 제어수단을 가지고,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제 1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제 1 소정의 제어가 행하여지면 상기 제 2 안테나의 고차의 공진점이 상기 제 1 주파수대에 포함되도록 상기 제 2 주파수대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제 1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제 1 소정의 제어가 억제되면 상기 조정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에 의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상기 제 1 주파수대에 관한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는 제 1 강도 측정수단을 가지고,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제 1 강도 측정수단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값의 강도가 측정되면 상기 제 2 안테나의 고차의 공진점이 상기 제 1 주파수대에 포함되도록 상기 제 2 주파수대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제 1 강도 측정수단에 의해 소정값보다 작은 값의 강도가 측정되면 상기 조정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에 의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상기 제 1 주파수대에 관한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는 제 1 강도 측정수단을 가지고,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제 1 강도 측정수단에 의해 소정값보다 작은 값의 강도가 측정되면 상기 제 2 안테나의 고차의 공진점이 상기 제 1 주파수대에 포함되도록 상기 제 2 주파수대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제 1 강도 측정수단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값의 강도가 측정되면 상기 조정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12.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테나에 의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제 2 주파수대에 관한 신호에 의거하는 제 2 소정의 제어를 행하는 제 2 제어수단을 가지고,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제 2 제어수단에 의한 상기 제 2 소정의 제어가 행하여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 2 안테나의 고차의 공진점이 상기 제 1 주파수대에 포함되도록 상기 제 2 주파수대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제 2 제어수단에 의한 상기 제 2 소정의 제어가 행하여지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조정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1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테나에 의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상기 제 2 주파수대에 관한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는 제 2 강도 측정수단을 가지고,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제 2 강도 측정수단에 의해 소정값보다 작은 값의 강도가 측정되면 상기 제 2 안테나의 고차의 공진점이 상기 제 1 주파수대에 포함되도록 상기 제 2 주파수대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제 2 강도 측정수단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값의 강도가 측정되면 상기 조정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1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테나에 의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상기 제 2 주파수대에 관한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는 제 2 강도 측정수단을 가지고,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제 2 강도 측정수단에 의해 소정값보다 큰 값의 강도가 측정되면 상기 제 2 안테나의 고차의 공진점이 상기 제 1 주파수대에 포함되도록 상기 제 2 주파수대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제 2 강도 측정수단에 의해 소정값 이하의 값의 강도가 측정되면 상기 조정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는, 상기 제 1 박스체 내에 배치되어 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KR1020107026008A 2008-05-28 2009-05-28 통신기기 KR1011760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39942A JP5150369B2 (ja) 2008-05-28 2008-05-28 通信機器
JPJP-P-2008-139942 2008-05-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865A true KR20110002865A (ko) 2011-01-10
KR101176096B1 KR101176096B1 (ko) 2012-08-22

Family

ID=41377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6008A KR101176096B1 (ko) 2008-05-28 2009-05-28 통신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94601B2 (ko)
JP (1) JP5150369B2 (ko)
KR (1) KR101176096B1 (ko)
CN (1) CN102037604B (ko)
WO (1) WO20091452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2166A (ko) * 2013-03-13 2014-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음향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용 하우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02484B2 (ja) * 2010-04-26 2014-10-08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JP5619565B2 (ja) * 2010-10-27 2014-11-05 京セラ株式会社 通信装置
US9246221B2 (en) 2011-03-07 2016-01-26 Apple Inc. Tunable loop antennas
US9166279B2 (en) 2011-03-07 2015-10-20 Apple Inc. Tunable antenna system with receiver diversity
EP2562868A1 (en) * 2011-08-22 2013-02-27 Laird Technologies AB A multiple-turn loop antenna arrangement and a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such an arrangement
US9350069B2 (en) 2012-01-04 2016-05-24 Apple Inc. Antenna with switchable inductor low-band tuning
US10122182B2 (en) 2015-02-27 2018-11-06 Qualcomm Incorporated Multi-turn coil on metal backplate
KR102164704B1 (ko) * 2015-11-13 202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금속 프레임 안테나를 구비한 전자 장치
CN113972496B (zh) * 2019-05-13 2022-09-09 华为技术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1158232B (zh) * 2019-06-13 2023-12-22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智能主机及多天线线路切换方法、智能手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1122B2 (ja) * 2000-04-07 2004-08-04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装置
JP3798733B2 (ja) * 2001-06-13 2006-07-19 株式会社東芝 無線モジュールとこの無線モジュールを備えた無線通信端末
JP2004096341A (ja) * 2002-08-30 2004-03-25 Fujitsu Ltd 共振周波数が可変な逆f型アンテナを含むアンテナ装置
JP2004134975A (ja) * 2002-10-09 2004-04-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通信端末
JP3800331B2 (ja) * 2002-10-22 2006-07-26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回路、無線通信端末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7132946B2 (en) * 2004-04-08 2006-11-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Variable frequency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ags
JP4649183B2 (ja) * 2004-11-30 2011-03-09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端末
JP4167649B2 (ja) * 2004-12-03 2008-10-15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非接触icカード機能を内蔵した折畳み型携帯無線電話機
JPWO2006112160A1 (ja) * 2005-03-30 2008-12-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折畳式携帯無線機
JP4257349B2 (ja) * 2005-09-08 2009-04-22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アンテナ装置及び無線通信端末
JP4466689B2 (ja) * 2006-08-31 2010-05-26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アンテナ及び携帯電子機器
US8219143B2 (en) * 2006-09-28 2012-07-10 Kyocera Corporation Mobile radio device
JP4696049B2 (ja) * 2006-10-26 2011-06-08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話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2166A (ko) * 2013-03-13 2014-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음향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용 하우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45264A1 (ja) 2009-12-03
US20110130102A1 (en) 2011-06-02
JP2009290480A (ja) 2009-12-10
KR101176096B1 (ko) 2012-08-22
CN102037604A (zh) 2011-04-27
JP5150369B2 (ja) 2013-02-20
US8494601B2 (en) 2013-07-23
CN102037604B (zh) 201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096B1 (ko) 통신기기
US8219143B2 (en) Mobile radio device
US760315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impedance matching circuit
JP2009033680A (ja) 携帯無線装置
JP2007336480A (ja) 電子機器
US8521240B2 (en) Portable terminal
US20120154225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2009111698A (ja) 携帯端末及び携帯端末の給電ケーブル配線方法
JP4642588B2 (ja) 携帯無線装置
JP2006166225A (ja) 折畳式携帯無線装置
JPWO2005004342A1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電力供給方法
US20110183730A1 (en) Portable wireless device
JP2006148669A (ja) スライド式携帯電話装置
JP5074281B2 (ja) 通信機器
EP1643655A1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power supply method, and power supply program
JP4447446B2 (ja) 折畳式携帯無線装置
JP4836850B2 (ja) 通信機器
JP2008211598A (ja) 通信機器
JP4896807B2 (ja) 通信機器
JP4318605B2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JP4818973B2 (ja) 携帯端末装置
JP5188838B2 (ja) 通信機器
JP2011135249A (ja) 携帯無線端末装置
EP1965505A1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power supply method and power supply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