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2721A - Round logs within reinforcement pipe and its manufacturing - Google Patents
Round logs within reinforcement pipe and its manufactur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32721A KR20100132721A KR1020090051472A KR20090051472A KR20100132721A KR 20100132721 A KR20100132721 A KR 20100132721A KR 1020090051472 A KR1020090051472 A KR 1020090051472A KR 20090051472 A KR20090051472 A KR 20090051472A KR 20100132721 A KR20100132721 A KR 201001327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ood
- core
- semi
- columnar
- reinforcemen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6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3
- 239000011162 cor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9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2
- 239000011152 fibre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0481 Breast Anatomy 0.000 claims 1
- 230000002421 anti-septic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522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03 Joint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2 fr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심재 보강 원주목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심부의 심(Pith)을 제거한 중공의 간벌재 원주목의 내부에, 철재나 그라파이트(Graphite) 또는 FRP(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파이프의 심재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원목에 비하여 가벼우면서도 외부의 충격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심재 보강 원주목의 양측에 숫나사산 및 암나사산을 형성함으로써, 수평방향으로의 연장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e reinforcement columnar wood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the inside of the hollow thinning columnar tree from which the core of the core is removed, such as iron, graphite, or FRP (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By providing a core of a pipe made of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or the like, it is lighter than solid wood and ensures sufficient strength against external impacts, as well as a male thread and a female thread on both sides of the core reinforced core. By forming it, extension installa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is made easy.
더불어, 중심부의 심(Pith)을 제거한 상태에서 원주목을 건조함으로써, 응력에 의한 원주목의 크랙을 미연에 방지하여, 친환경주의를 추구하는 최근 추세에 따른 구조물의 미관을 향상시키도록 한 심재 보강 원주목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by drying the main wood with the core removed, the core wood reinforcement prevents cracking of the main wood due to stress and improves the aesthetics of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recent trend of pursuing environmentalism. It is to provide a columnar woo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일반적으로, 울타리나 난간, 가드레일 등은 주로 철재 파이프의 지주에 철판을 용접 또는 볼트결합하여 설치되며, 도로의 경계를 나타내거나 보행자의 추락방 지, 차량의 차선이탈 등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된다.In general, fences, railings, guardrails, etc. are mainly installed by welding or bolting steel plates to the pillars of steel pipes, and for the purpose of indicating road boundaries, preventing pedestrians from falling down, and lane departure from vehicles. Is installed.
최근 들어, 토목이나 건설분야의 구조물은 친환경주의의 영향으로 인해, 자연상태에서 생산되는 원재료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으며, 특히 원목 등의 목재를 이용하는 경우가 빈번해지고 있다.Recently, due to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ism, the use of raw materials produced in the natural state is increasing in the structure of civil engineering or construction field, and in particular, the use of wood, such as timber is frequently used.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상기한 울타리나 난간, 가드레일 등도 목재를 이용한 시공이 증가되고 있다.In keeping with these trends, construction of the fences, railings, guardrails, and the like described above is increasing.
한편, 토목이나 건설분야의 구조물로 간벌재 등의 원주목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벌목한 원주목을 건조해야 하는 바, 건조하는 과정에서 원주목의 외부에서부터 중심부까지 모두 건조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요구되고, 이로 인하여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응력에 의하여 원주목의 외부에서 중심부의 수(Pith)를 향해 갈라짐의 결함이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use the main wood such as thinning materials as a structure in the field of civil engineering or construction, it is necessary to dry the main wood which has been lumbered. Due to the stress generated during the drying process, cracking defects occur toward the center of the core at the outside of the main wood.
따라서, 원주목의 경우 중심의 수를 향해서 수의 깊이까지 섬유방향으로 절단하여 파내는 배할, 다시 말해 크랙방지선을 형성하여 다른 부위에서의 갈라짐을 방지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columnar wood, a method of cutting and digging in the fiber direction to the depth of the number toward the center of the number is used, that is, forming a crack prevention line to prevent cracking at other sites.
그러나, 이러한 배할처리는 원주목의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크랙방지선으로 인하여, 가공시 수에 가까운 부분에서 배할을 해야 하므로 방향선별에 어려움이 있고, 설치시 원주목의 아래 위가 정해지는 등 사용에 불편이 있으며, 또 미관상으로도 원주목의 가운데가 갈려져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is allocation process is difficult to select the direction because it should be distributed in the portion close to the number of times due to the crack prevention lin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urface of the main wood, the top and bottom of the main wood is determined during installation, etc. It is inconvenient to use, and there is a problem such that the center of the columnar is also divided in appearance.
또한, 원주목이나 각재 등의 목재를 이용하여 울타리나 난간, 가드레일 등을 설치함에 있어, 수평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하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원주목이나 각재 등의 이음매 부분을 억지 맞춤식으로 연결하거나 덧목 등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으며, 이러한 부분도 구조물의 미관을 해치는 요인이 되었다.In addition, when installing fences, railings, guardrails, etc. using timbers such as columnar wood or lumber, in the process of extending the install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joints of different columnar wood or lumber, etc. are forcibly customized or There is a difficulty in connecting by using a lumber, etc. This part also became a factor that undermines the aesthetics of the structure.
특히, 원주목 자체의 무게가 상당히 무겁고, 무게에 비하여 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원주목의 운반은 물론, 울타리나 난간, 가드레일 등의 구조물을 설치함에 있어서도 어려움이 많았다.In particular, since the weight of the main wood itself is considerably heavy and the strength is inferior to the weight, it was difficult to carry the main wood as well as to install a structure such as a fence, a railing, a guard rail, and the lik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중심부의 심(Pith)을 제거한 중공의 간벌재 원주목의 내부에, 철재나 그라파이트(Graphite) 또는 FRP(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파이프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원목에 비하여 가벼우면서도 외부의 충격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보장할 수 있는 심재 보강 원주목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iron, graphite or FRP (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etc. By providing a pipe made of, it is to provide a core reinforced wood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is lighter than solid wood and can ensure sufficient strength against external impact.
특히, 심재 보강 원주목의 양측에 숫나사산 및 암나사산을 형성함으로써, 수평방향으로의 연장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male and female thread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re reinforcement column, so that the install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facilitated.
더불어, 중심부의 심(Pith)을 제거한 상태에서 원주목을 건조함으로써, 응력에 의한 원주목의 크랙을 미연에 방지하여, 친환경주의를 추구하는 최근 추세에 따른 구조물의 미관을 향상시키도록 한 심재 보강 원주목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by drying the main wood with the core removed, the core wood reinforcement prevents cracking of the main wood due to stress and improves the aesthetics of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recent trend of pursuing environmentalism. It provides a main tre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다시 말해, 철재를 이용함에 의해 자연환경과 위화감을 증가시켰던 표식용 지주, 난간, 자전거 도로 경계지주, 도로경계울타리, 가로수용 지주, 가드레일, 가로수 주변용 벤치, 파고라 등을 친환경적인 목재로 대체함으로 자연경관과 조화시킬 수 있으며, 실내용도로 계단 손잡이, 장애인용 손잡이, 베란다 난간, 서까래 등에도 이용할 수 있어, 광범위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심재 보강 원주목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other words, eco-friendly wood replaces marker posts, railings, bicycle road borders, road boundary fences, roadside props, guardrails, benches around roadsides, and pagoras that increased natural environment and discomfort by using steel. It can be harmonized with natural scenery, and can be used for staircase handles, handrails for handicapped people, porch railings, rafters, etc. for indoor use, and is intended to provide core wood reinforcem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pplicable to a wide range of fields.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심재 보강 원주목은, 원주목(10)의 내부에 심재(20)가 삽입되어 보강되어지는 심재 보강 원주목(A)에 있어서, 상기 원주목(10)의 내부를 파내어 공간부(110)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공간부(110)의 내주연부에 암나사산(111)이 형성되게 하며, 상기 심재(20)의 외주연부에는 숫나사산(211)이 형성되게 하여, 상기 심재(20)가 상기 원주목(10)의 공간부(110)에 나사결합되어 삽입되어지되, 상기 원주목(10)의 일측에는 상기 심재(20)가 깊게 삽입되어 암나사끼움홈(120)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re material reinforcement column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re material reinforcement columnar (A) is inserted into the
특히, 상기 원주목(10)의 타측에는 심재(20)가 내밀어져 숫나사끼움부(130)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other side of the
또한, 상기 원주목(10)의 타측에도 심재(20)가 깊게 삽입되어, 상기 원주목(10)의 양단에 암나사끼움홈(120)(120')이 각각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심재 보강 원주목의 제조방법은, 원주목(10)을 길이방향으로 2등분하여 반원주목(10')이 각각 형성되게 하고, 상기 반원주목(10')의 평면부 가운데를 반원형으로 파내어 반원형홈부(110')가 형성되게 하며, 상기 2등분된 반원주목(10') 중 어느 하나의 반원주목(10')의 반원형홈부(110')에 심재(20)를 안치시킨 다음, 상기 어느 하나의 반원주목(10')의 평면부와 다른 하나의 반원주목(11')의 평면부가 맞대어져 결합되어 제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core reinforcement columnar 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mi-tree columnar 10 'is formed by dividing the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강도를 보강한 심재를 구비한 원주 목을 이용하여, 토목이나 건설분야의 구조물 예를 들어, 자전거 도로 경계목 및 울타리, 도로방호 울타리, 안전표시판의 지주, 반사경의 지주, 도로경계울타리, 가로수용 지주, 가로수 주변용 벤치, 파고라(그늘막) 등을 설치함으로써, 친환경주의적 미관을 향상시킴은 물론, 보행자의 추락방지 및 차량의 차선이탈 등을 위해 요구되는 강도를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By means of the above solu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column neck having a core reinforced with strength, structures of civil engineering or construction, for example bicycle road borders and fences, road protection fences, props of safety signs By installing reflector, road boundary fence, roadside supporter, roadside bench, and pagora, it is possible to improve eco-friendly appearance, prevent pedestrians from falling down and lane departure. Strength can be guaranteed.
특히, 심(Pith)을 포함하는 원목에 비하여 상당한 경량화가 가능하여 취급 및 운반이 매우 용이함은 물론, 다수의 심재 보강 원주목을 연결하도록 설치하는 경우에도, 이음매의 조인트 접합표시가 거의 나지 않으며, 일반목재와 같은 짜맞춤이 필요 없으므로, 시공기간을 단축함은 물론, 인건비 등을 대폭 줄일 수 있다.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considerably lighter weight than the solid wood, including the seam (Pith) is very easy to handle and transport, as well as when connecting to connect a number of core reinforcement raw wood, there is almost no joint joint mark of the seam, Since there is no need for framing like ordinary wood, construction time can be shortened and labor costs can be greatly reduced.
더욱이, 일반목재의 경우 주로 접합부에서 발생되는 부후(물질이 세균따위의 작용으로 나쁘게 변함) 또는 건재해충의 피해를 미연에 예방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general wood mainly by preventing the swelling (material is badly changed by the action of bacteria) or building pests that occur at the junc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durability.
또한, 울타리나 난간, 가드레일 등의 경우, 목재 조립에서 가장 시간이 많이 걸리는 부분이 이음매 부분이나, 생산과정에서 지주에 일체화하여 생산하고, 생산된 지주에 횡목을 연결하는 것 만으로도 용이하게 울타리나 난간, 가드레일 등을 설치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fences, railings, guardrails, etc., the most time-consuming part in the assembly of wood is the seam part, or it is produced by integrating it with props in the production process, and it is easy to connect the fence to the produced props easily. Handrails, guard rails, etc. can be installed.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심재 보강 원주목을 이용하여 토목이나 건설분야의 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 해당 구조물이 자연경관과 자연스럽게 조화될 수 있으며, 조경이나 내장 및 외장재 등, 그 활용범위가 넓기 때문에,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Moreover, when installing the structure of the civil engineering or construction field using the core wood reinforcement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can be naturally harmonized with the natural landscape, such as landscap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such as the wide range of use,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product.
본 발명에 따른 심재 보강 원주목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Examples of the core reinforcement columnar woo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심재 보강 원주목의 예를 나타낸 부분절개 사시도로서, 중공의 간벌재 원주목(10)과 철재, 그라파이트(Graphite) 또는 FRP(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심재(20)로 구성된다.1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re material reinforcement column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llow thinning
상기 중공의 간벌재 원주목(10)은 내부의 심[수(髓), Pith]를 제거한 후 건조하여 된 것으로, 상기 심(Pith)이 제거된 공간부(110)의 내주연부에 암나사산(111)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원주목(10)은 부후(물질이 세균 등에 의해 썩는 것)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부처리함이 바람직하다.The hollow thin timber
상기 심재(20)는 중공의 파이프(Pipe) 형상으로, 그 외주연부에는 상기 원주목(10)의 암나사산(111)에 대응하는 숫나사산(211)이 형성되며, 강도보강을 위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철재나 그라파이트 또는 FRP로 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심재(20)는 부식방지 등을 위하여 방청처리함이 바람직하다.The
상기와 같은 심재(20)를 철재로 할 경우에는 재료의 공급 및 생산이 용이하고, 탄소섬유인 카본을 고온처리한 그라파이트로 할 경우에는 강도를 보다 강화할 수 있으며, FRP로 할 경우 별도의 방청처리가 불필요하고 가벼우면서도 강도를 강화할 수 있음은 물론 가공하기가 쉬운 장점이 있다.When the
본 발명에 의한 심재 보강 원주목(A)은 상기와 같은 원주목(10)의 공간부(110)에 심재(20)를 나사결합하여 이루어지며,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심재(20)를 원주목(10)의 내부(우측상단방향에서 좌측하단방향으로)로 깊게 삽입하여 암나사끼움홈(120)을 형성한다.Core material reinforcement columnar wood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by screwing the
이때, 원주목(10)의 길이와 심재(20)의 길이가 동일하면,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숫나사끼움부(130)를 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length of the
따라서, 도 1에 나타난 심재 보강 원주목(A)의 암나사끼움홈(120)에 다른 심재 보강 원주목(A)의 숫나사끼움부(130)를 나사결합함으로써, 다수의 원주목(A)을 연장하여 설치할 수 있다.Therefore, by screwing the male
만약, 원주목(10)의 길이가 심재(20)의 길이보다 길 경우, 심재(20)를 원주목(10)의 중앙에 삽입하게 되면, 원주목(10)의 양측으로 암나사끼움홈(120)을 형성할 수 있고, 원주목(10)의 길이가 심재(20)의 길이보다 짧을 경우, 원주목(10)의 양측으로 숫나사끼움부(130)를 형성할 수 있다.If the length of the
따라서,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원주목(10)과 심재(20)의 길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결합형태를 갖는 심재 보강 원주목(A)을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한편, 상기와 같은 원주목(10)의 길이가 길어지게 될 경우, 원주목(10)의 공간부(110)에 암나사산(111)을 형성하는 것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ength of the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심재 보강 원주목(A)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re reinforcement columnar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다시 말해, 간벌재 원주목을 길이방향으로 2등분하여 반원주목(10')으로 형 성하고, 상기 두개의 반원주목(10')의 내부 심[수(髓), Pith]를 제거하여 반원형홈부(110')를 형성하여 건조한다.In other words, the thin timber round main wood is divided into two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semi-round wood 10 ', and the semi-circular grooves are formed by removing the inner cores [pi] of the two
그리고, 상기 두개의 반원주목(10') 중 어느 하나의 반원주목(10')의 반원형홈부(110')에 심재(20)가 안치되게 하고, 다른 하나의 반원주목(10')을 맞대어 상기 어느 하나의 반원주목(10')의 평면부(절단면 중 제거되지 않은 부분)와 다른 하나의 반원주목(11')의 평면부가 맞대어지도록 한 후, 볼트 및 너트 등의 결합부재(미부호)를 이용하여 결합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심재 보강 원주목(A)을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두개의 반원주목(10')은 나무접합용 접착제로 결합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Then, the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심재 보강 원주목(A)을 이용하여, 안전표시판의 지주, 반사경의 지주, 가로수용 지주, 울타리 및 가드레일용 지주 등을 구성함으로써, 자연경관과 자연스럽게 조화될 수 있는 도로용 구조물의 설치가 가능해진다.Therefore, by using the core wood reinforcement column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configuring the struts of the safety sign, the struts of the reflector, the lateral receptacle, the fence and the guardrail struts, to be naturally harmonized with the natural landscape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road structure.
또한, 실내용도로 계단 손잡이, 장애인용 손잡이, 베란다 난간, 서까래 등에 적용하여 설치가 가능하다.In addition, it can be installed by applying to a handrail, handrail for the handicapped, porch railing, rafters and the like for indoor use.
특히, 철재 계단 손잡이의 경우, 겨울철에는 표면이 차갑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손잡이를 만지는 것을 꺼리게 되나, 본 발명에 의한 심재 보강 원주목(A)을 사용할 경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steel staircase handle, the user is reluctant to touch the handle because the surface is cold in winter, this problem can be solved when using the core wood reinforcement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전주나 가로등과 같은 야외시설물이 철재로 된 경우에는 우천시 누전에 의한 사고가 발생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한 심재 보강 원주목(A)은 절연 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이러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outdoor facilities such as electric poles or street lights are made of steel, accidents may occur due to a short circuit during rain, but the core wood reinforcement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very high insulation, so such an accident may not be disclosed in advance. It can prevent.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심재 보강 원주목(A)의 경우, 간벌재 원주목(10)의 강도가 낮은 경우에도 내부의 심재(20)의 강도에 의해 보상되므로,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은 품종의 나무들에 대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core wood reinforcement main wood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strength of the thin
이하에서, 본 발명에 의한 심재 보강 원주목(A)을 이용하여 자전거 도로 경계목 및 울타리, 도로방호 울타리, 도로경계울타리, 가로수 주변용 벤치, 파고라(그늘막) 등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함에 있어, 심재 보강 원주목(A)의 그 크기와 길이가 다소 다르다 하더라도, 도 1에 나타난 심재 보강 원주목(A)과 동일한 구성이면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Hereinafter, using the core reinforcement columnar wood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or the method of installing a bicycle road boundary wood and fence, road protection fence, road boundary fence, roadside surrounding bench, pagora (shade), etc. Therefore, even if the size and length of the core reinforcement columnar A slightly differ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ore reinforcement columnar A shown in FIG. 1.
먼저, 도 3a 및 도 3b와 같이, 지주용 심재 보강 원주목(A)에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도록 관통공(140)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140)의 내부에서 두 개의 횡목용 심재 보강 원주목(A)을 나사결합함으로써, 두 개의 횡목용 심재 보강 원주목(A)의 결합에 의한 이음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도 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미관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S. 3A and 3B, through
또한, 상기 지주용 심재 보강 원주목(A)의 상부에는 도 3a에 나탄나 바와 같은 마감용 원주목(30)을 설치하며, 상기 마감용 원주목(30)의 하부에는 지주용 심재 보강 원주목(A)의 암나사끼움홈(120)에 대응하는 숫나사끼움부(330)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core material reinforcement columnar for holding (A) is installed in the
다른 방법으로는, 지주용 심재 보강 원주목(A)의 일측면에 암나사선이 형성된 결합홈(150)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150)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돌기(450)를 갖 는 연결용 원주목(40)을 지주용 심재 보강 원주목(A)에 설치하고, 연결용 원주목(40)의 양측으로 횡목용 심재 보강 원주목(A)의 숫나사끼움부(130)를 나사결합하여 연결함으로써, 작업현장에서 횡목용 심재 보강 원주목(A)을 연결하는 것으로도 도 4b와 같이 설치할 수 있게 된다.Alternatively, the
여기서, 상기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난 횡목용 심재 보강 원주목(A)는 원주목(10)에 비하여 심재(20)의 길이를 길게 하여, 원주목(10)의 양측에 숫나사끼움부(130)를 형성한 경우이다.4A and 4B, the longitudinal wood reinforcement column A shown in FIGS. 4A and 4B has a length longer than that of the
한편, 울타리나 난간 또는 가드레일의 경우, 도로의 형태에 따라 일정한 각도를 갖도록 지주에 결합하는 것이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fences, railings or guardrails, it is necessary to couple to the shore so as to have a constant angle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road.
이러한 요구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도 5a 내지 도 5c에 나타난 바와 같은 설치방법을 제공한다.In accordance with this dem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stallation method as shown in Figures 5a to 5c.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지주용 심재 보강 원주목(A)의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꺾인 관통공(140')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140')의 내부에는, 외주연부에 숫나사선이 형성된 연결구(520)가 상기 관통공(140')의 꺾임각에 대응하도록 꺾여 형성된 연결봉(510)의 양측으로 구비된 연결부재(50)를 위치시킨다.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the through-hole 140 'is formed to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core material reinforcement column (A) for holding, the male thread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through-hole 140' The
그리고, 도 5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횡목용 심재 보강 원주목(A)의 암나사끼움홈(120)이 연결부재(50)의 연결구(520)에 나사결합되면서, 지주용 심재 보강 원주목(A)의 관통공(140')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여, 도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설치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ure 5a, while the female threaded
또한,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도 5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결부재(50')의 연 결봉(510') 및 연결구(520')를 봉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520')가 횡목용 심재 보강 원주목(A)의 암나사끼움홈(120)에 고정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구(520')는 암나사끼움홈(120)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횡목용 심재 보강 원주목(A)의 외부로부터 봉형태의 연결구(520')의 중공부(도시하지 않음)로 나사를 결합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need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as shown in Figure 5c, the connecting rod 510 'and the connector 520' of the connecting member 50 'in the form of a rod, the connector 520' is a horizontal wood core It may be installed to be fixed to the
한편, 도 5a 내지 도 5c에 나타난 바와 같은 일정한 꺾임각뿐만 아니라, 다양한 꺾임각이 요구되는 경우도 있다.On the other hand, not only the constant angle of inclination as shown in Figs. 5a to 5c, but also various angles of inclination may be required.
이러한 요구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도 6a 내지 도 6c에 나타난 바와 같은 설치방법을 제공한다.In accordance with this dem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stallation method as shown in Figures 6a to 6c.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6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주용 심재 보강 원주목(A)의 일측에 나사선이 형성되지 않은 회동축부(10a)를 형성한다.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ure 6a to form a rotating shaft portion (10a) is not formed with a screw thread on one side of the core material reinforcement column (A) for holding.
그리고, 일측에 회동부(620)를 갖는 회동용 원주목(60)을 상기 회동축부(10a)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한다.Then, the rotating
이때, 도 6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동축부(10a)에는 서로 다른 두개의 회동용 원주목(60)이 설치되며, 상기 서로 다른 두개의 회동용 원주목(60)은 회동부(620)가 엇갈려 결합되도록 형성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6a, the
다시 말해, 하나의 회동용 원주목(60)을 뒤집어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one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주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6c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횡목용 심재 보강 원주목(A)를 연결하는 것만으로도 울타리나 난간 또는 가드레일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6B by the above method,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support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6C, the installation of the fence, the railing, or the guardrail is simply performed by connecting the core wood reinforcement column A. It's done.
여기서, 도 6c에 나타난 횡목용 심재 보강 원주목(A)은 원주목(10)의 길이보다 심재(20)의 길이가 짧은 경우로, 횡목용 심재 보강 원주목(A)의 양측에 모두 암나사끼움홈(120)이 형성된 경우이다.Here, when the length of the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심재 보강 원주목(A)를 이용할 경우, 다양한 도로용 구조물 등의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충분한 강도를 보장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using the core wood reinforcement column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install a variety of road structures, etc., as well as to ensure a sufficient strength.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심재 보강 원주목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core reinforcement column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have been described above. Such a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the meanings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scope and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심재 보강 원주목의 예를 나타낸 부분절개 사시도이다.1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re reinforcement column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심재 보강 원주목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re reinforcement column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심재 보강 원주목을 이용한 도로용 가드레일의 일 예를 나타낸 분해 및 설치사시도이다.Figure 3a and Figure 3b is an exploded and instal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road guardrail using the core reinforcement column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심재 보강 원주목을 이용한 도로용 가드레일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 및 설치사시도이다.4a and 4b is an exploded and instal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road guardrail using the core reinforcement column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심재 보강 원주목을 이용한 도로용 가드레일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조립 및 설치단면도이다.5a to 5c is an assembly and installatio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road guardrail using the core reinforcement column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의한 심재 보강 원주목을 이용한 도로용 가드레일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조립 및 설치사시도이다.6a to 6c is an assembly and installation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road guardrail using the core reinforcement column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원주목 20 : 심재10: column tree 20: heartwood
110 : 공간부 111 : 암나사산110: space portion 111: female thread
120 : 암나사끼움홈 130 : 숫나사끼움부120: female thread groove 130: male thread portion
211 : 숫나사산 211: male thread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1472A KR101121054B1 (en) | 2009-06-10 | 2009-06-10 | Round logs within reinforcement pi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1472A KR101121054B1 (en) | 2009-06-10 | 2009-06-10 | Round logs within reinforcement pip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2721A true KR20100132721A (en) | 2010-12-20 |
KR101121054B1 KR101121054B1 (en) | 2012-06-27 |
Family
ID=43508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51472A KR101121054B1 (en) | 2009-06-10 | 2009-06-10 | Round logs within reinforcement pip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21054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8697B1 (en) * | 2011-12-12 | 2013-12-06 | 문중묵 | A post for a wood fe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
JP2018009398A (en) * | 2016-07-15 | 2018-01-18 | 和光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 Guard fence and connecting metal fitting |
IT201900023064A1 (en) * | 2019-12-05 | 2021-06-05 | M P M S R L | PROTECTION BARRI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28441B1 (en) * | 2012-10-26 | 2013-01-31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Strength reinforce type guardrail structur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24217A (en) * | 1998-05-21 | 1999-11-26 | Masato Fujihata | Building material |
ITVR20010034A1 (en) | 2001-03-16 | 2002-09-16 | Maurizio Piazza | METHOD OF PRODUCTION OF AN REINFORCED WOODEN BEAM AND REINFORCED BEAM SO OBTAINED |
KR20080076646A (en) * | 2007-02-16 | 2008-08-20 | 지앤에스건설 주식회사 | Coupler for ground reinforcement core member |
-
2009
- 2009-06-10 KR KR1020090051472A patent/KR101121054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8697B1 (en) * | 2011-12-12 | 2013-12-06 | 문중묵 | A post for a wood fe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
JP2018009398A (en) * | 2016-07-15 | 2018-01-18 | 和光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 Guard fence and connecting metal fitting |
IT201900023064A1 (en) * | 2019-12-05 | 2021-06-05 | M P M S R L | PROTECTION BARRIER |
EP3832024A1 (en) * | 2019-12-05 | 2021-06-09 | M.P.M. S.R.L. | Protection barri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21054B1 (en) | 2012-06-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21054B1 (en) | Round logs within reinforcement pipe | |
KR100800595B1 (en) | A pedestrian protection assembling fence | |
CN202324688U (en) | Disaster relief placement mobile house | |
US20110134653A1 (en) | Pultruded/extruded utility lighting, mounting and climbing structures | |
CN207177459U (en) | A kind of construction protection column | |
KR102022286B1 (en) | Design type fence with excellent protection performance | |
CN202831782U (en) | Connection structure of wooden fence | |
KR102213111B1 (en) | Environment street light sculpture | |
CN204627013U (en) | A kind of telescopic stair faces bound defence rail | |
KR20110137644A (en) | A fixing structure of pilla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CN105178220B (en) | Reinforced column for guardrail structure | |
JP2014025218A (en) | Joint for wooden protection fence | |
KR200479334Y1 (en) | Prefabricated Fence | |
CN202068784U (en) | Economic, practical and multi-purpose greenhouse shed | |
CN1247905C (en) | Assembling member made of scaffold tubes | |
CN205296889U (en) | Roof truss post is consolidated, fixing device | |
KR200322223Y1 (en) | Fixing structure of timber column for construction | |
CN205530707U (en) | Assembled flitch overlap joint combined member | |
KR100928946B1 (en) | Street light pole with wood type cover | |
CN206173766U (en) | People's bank of china's plank road | |
CN102124920A (en) | Economical and practical type multifunctional greenhouse shed | |
KR20140016684A (en) | Dome-shaped vinyl house | |
CN208486655U (en) | One kind being used for guardrail around edges of foundation pit bar | |
KR200152671Y1 (en) | Assembled balustrade | |
CN106939565B (en) | Protective fen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