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8927A - 반단면 바닥판 슬래브를 가지는 합성형 p.s.c 제작거더의 제작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반단면 바닥판 슬래브를 가지는 합성형 p.s.c 제작거더의 제작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8927A
KR20100108927A KR1020090027259A KR20090027259A KR20100108927A KR 20100108927 A KR20100108927 A KR 20100108927A KR 1020090027259 A KR1020090027259 A KR 1020090027259A KR 20090027259 A KR20090027259 A KR 20090027259A KR 20100108927 A KR20100108927 A KR 20100108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bottom plate
section
web
cro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7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권
Original Assignee
김학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권 filed Critical 김학권
Priority to KR1020090027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8927A/ko
Publication of KR20100108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892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4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box-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용 합성형 P.S.C거더교의 제작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판 설계두께(100)보다 작은 임의의 바닥판 두께;개략 바닥판 전 설계두께의 절반정도의 두께, 이하 반단면 바닥판이라 호칭함.;를 가지며, 교축직각방향의 폭은 바닥판 유효폭정도의 광폭으로 하여 반단면 바닥판(99)을 형성할 때, 상기 반단면 바닥판을 거더제작시에 합성전 단면의 일부가 되도록 일체로 제작하며 상기 반단면 바닥판의 상면에 전단연결재(101)를 돌출시켜 설치하여 합성전 단면인 제작거더를 형성하며 상기 제작된 거더를 종방향의 두지점부(3)에 거치후 상기 반단면 바닥판(99)을 제외한 나머지 바닥판(110)을 현장타설로 시공하는 합성형 P.S.C거더교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9501256417-PAT00001
교량 , 반단면 바닥판, T형 거더교, 합성형 P.S.C거더교, 크레인 공법, 상자형 거더교,U형거더

Description

반단면 바닥판 슬래브를 가지는 합성형 P.S.C 제작거더의 제작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The method of manufacturing for manufactured girder of composition style P.S.C form that have Half section slab and the method of constructing for bridge by using the upper method}
본 발명은 교량용 합성형 P.S.C거더교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작된 거더와 바닥판 슬래브의 연결을 거더에 설치된 전단연결재(101)에 의해 합성시키는 합성형 P.S.C거더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종래의 합성형 P.S.C거더교가 가지는 제작단면 즉, 합성전 단면의 작음과 제작단면의 한계로 인한 자중이 작아 도입할수 있는 최대 1차 긴장력이 작아서 생기는 한계들을 극복하기 위해, 교량 전체의 정해진 고정하중의 증가없이, 제작단면 즉, 합성전 단면적을 최대로 하고 제작되는 거더(1) 자중을 최대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발명은,
제작장에서, 거더를 제작시에 바닥판의 전 설계두께(100)중 임의의 두께를 가지며 형성되는 상기 반단면 바닥판(99)이 1차 긴장시 합성전 단면의 일부가 되도록 하며, 반단면 바닥판의 상면에 전단연결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거더의 상부에서 일체로 제작되며, 제작된 거더를 교대및 교각위의 종방향의 두지점(3)위에 거치한후, 상기 제작장에서 제작거더의 일부로 기 시공된 반단면 바닥판을 제외한 나머지 바닥판 슬래브(110)를 현장타설로 일괄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이외에 합성형P.S.C거더의 거더 제작시와 바닥판 슬래브 타설시의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방법및 상기 본발명을 통해 적용될수 있는 교량 단면의 형상을 제시하며, 상기 제시한 교량형식에 적합한 시공방법을 고안하고자 한다.
통상적으로 종래의 합성형 P.S.C거더교의 시공방법은 프리캐스트 빔(105)을 바닥판(100)과는 별도로 합성전 단면으로 제작하며 1차 긴장후 크레인으로 인상하여 교대및 교각위의 두지점(3)상에 거치한후에 전 바닥판 슬래브(100)를 현장타설로 일괄시공하여 교량을 완성하고 있다.
관심의 관건은 주어진 하중조건이며 교량의 필수적인 구성요소들 즉, 거더(1), 바닥판(100), 포장, 방호벽(47), 활하중등이 재하되는 조건하에서, 거더자중을 최소로하는 것에 있다.
또한 거더자중은 최소로 하면서 합성전 단면은 최대로 하거나, 합성전 단면하에서 최대로 긴장력을 도입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교량은 장지간화 할수있게 된다.
문제는 종래의 합성형 PSC거더교량들의 대부분이 자체 빔단면을 크게 하지 않는 이상, 빔의 합성전 단면을 증가시킬수 없고, 또한 1차긴장시 빔자중의 한계 때문에 도입되는 긴장력도 작은게 현실이다.
한편, 종래의 합성형P.S.C거더교량은 바닥판 슬래브 타설시 별도의 거푸집및 동바리작업이 고공작업하에서 요구되므로 이로 인한 시공성이 좋지 못한 측면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시공성 개선 방안등을 제시하며, 교량의 장지간화를 위한 필요 요건이 되는, 합성형 형식의 거더교에서, 거더자중을 절감하는 효과적인 공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첫째, 구조적인 개선 과제는 상기 반단면 바닥판(99)을 거더제작시에, 상부플랜지(950),웨브(7) , 하부플랜지(8)로 조합된 빔단면 또는 별도의 상부플랜지(950)가 없이 웨브(7), 하부플랜지(8)로 조합된 빔단면의 상단에서 일체시켜, 강결로 제작하여 합성전 단면의 상태에서 반단면 바닥판을 가지는 합성형 구조형식인 P.S.C거더를 일체로 제작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서, 차후에 반드시 가설해야하는 교량 바닥판의 일부를 미리 제작시에 시공하여 별도의 자중증가 없이 합성전 단면의 강성이 증가되고 또한 반단면 바닥판(99)의 자중증가로 인한 프리스트레스 상쇄효과가 발생하여 1차 긴장력을 더 많이 도입할수 있어 장지간화에 유리하게 된다.
둘째, 상기 구조적인 개선방안을 통해 실현할수 있는 효율적인 거더의 형상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도 2-1과 같이 종래의 합성형 P.S.C I형 거더의 형식에 상기 반단면 바닥판(99)을 상부에 강결시켜 제작하는 방법이며, 그다음은 도 2-3과 같이 상자형 거더의 상부에 상기 반단면 바닥판(99)을 강결시켜 제작하는 방법이다.
상기에서 I형은 상기 반단면 바닥판(99)의 하면에 I형의 상부플랜지(950)가 있는 경우(도2-1)와 없는 경우(도2-2)로 구별하여 각각 적용 가능하며, 상자형 단면의 형식은 반단면 바닥판의 하면에 상부플랜지가 있어 폐합된 형상을 가진 경우(도2-3)와 상부플랜지가 없어 상면이 개방된 U형의 거더 경우(도2-4)로 구별하여 각각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네가지 형태로 구체화된 합성형 P.S.C거더교를 제시하며 이와는 별도로, 도 6-1또는 도7-4와 같이 교량의 전체적인 자중을 줄여 장지간화에 유리하도록, 거더의 웨브(26)를 강재; 강관또는 H-BEAM;로 이루어진 상자형 거더에 상기 반단면 바닥판(99)을 거더의 상면에 일체로 제작하여 합성전 단면의 강성을 충분히 확보하여 합성전단면의 증가와 1차 도입긴장력의 증대및 강재 사용으로 인한 거더자중의 감소등을 통해 장지간화에 유리하게 한다. 또 한편의 구조적측면의 개선 과제로는 거더 제작시에 1차긴장의 단계에 더하여, 거더를 교대및 교각위의 두지점(3)상에 거치한후, 교량을 완성한후에 2차긴장하여 단계별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긴장력의 증대를 도모하고자 한다. 이것은 종래의 거더교의 단계별 2차긴장시 시공단계가 바닥판(100) 타설직후나 바닥판 양생후인데 반해 상기 본 발명의 단계별 긴장의 2차긴장시 시공단계가 포장,방호벽(47), 중분대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상의 시공이 완료된 후에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본 발명으로 구체화된 거더가 반단면 바닥판(99)의 추가로 합성전 단면 능력이 증가되기 때문에 또한 프리스트레스 상쇄효과로 인해 도입되는 1차긴장력이 커지게 된다. 이런 상태로 나머지 바닥판 슬래브(110) 시공시 종래대로 단계별 2차 긴장을 실시한다면 나머지 바닥판 슬래브(110) 자중이 이미 작아졌으므로 상쇄효과가 크지않아 1차에 더하여 더욱 커지게 되므로 불리해진다. 따라서 포장 방호벽(47)등 추가 고정하중에 의해 충분히 1차긴장력이 상쇄된 이후에 추가 긴장하여 2차 긴장력을 증가시킬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2차 긴장재(20)를 부착긴장재로 시공할 뿐만 아니라 비부착상태로도 시공하여 유지관리에 유리하게 할수 있다.
셋째, 합성형 P.S.C거더교의 시공시 시공성을 개선하고자 한다.
먼저, 거더 제작시의 시공성 개선 항목은 상자형 거더의 내부 중공부(16)의 거푸집의 조립시 공간 협소로 인해 시공성이 좋지 못한 측면이 있다. 이에 영구존치용 스티로폴(15)등으로 이루어진 경량체(15)를 충진하여 시공하는 방법및 상기 시공시 충진된 경량체를 재활용을 위해 쉽게 해체하는 방법을 제시하며, 또한 반단면 바닥판(99)의 내민부(9) 의 마감부(18)의 노출철근(17) 시공시 거푸집작업이 불리하므로 쉽게 시공할수 있는 천공된 스티로폴(19)등으로 만든 구조체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방법을 고안하고자 한다.
그다음, 바닥판 슬래브(110)의 타설시에 양 거더에서 형성된 광폭의 내민 반단면 바닥판(99)의 사이에 고공시에 거푸집및 동바리설치를 생략하여 시공성을 개선하기 위해 제작시에 미리 내민 반단면 바닥판(99) 끝에 돌출판(23)을 강결시켜 시공하는 방법을 고안하며, 또한 거더 제작시에 미리 반절정도의 길이를 가진 내민보 형식의 가로보(32)를 거더(1)에 강결시켜 제작하며 차후 고공에서 별도의 가로보의 거푸집작업이 필요없이 중앙부에 있는 현장연결부(58)만 시공하게하며, 횡방 향의 바닥판 지간의 장대화를 위해 상기 본 발명의 합성형 P.S.C거더교의 형식에 세로보(24)구조를 추가하는 방안을 고안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첫째,
거더의 제작장에서 프리캐스트 포스트텐션 프리스트레스트 거더를 제작하며, 상기 제작된 거더를 거치할 장소에 운반및 크레인으로 인상하여 교대및 교각위의 두 지점 사이에 상기 거더를 거치하며, 거치된 거더위에 바닥판슬래브를 현장타설로 시공하며, 거더와 바닥판의 연결을 전단연결재로 연결하는 합성형 P.S.C 거더교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제작장에서 거더를 제작할 때, 교량 바닥판의 전체 설계두께(100)보다 작은 임의의 두께(99);개략 바닥판 절반정도의 두께;를 가지며 교축직각방향으로는 광폭의 폭을 갖도록 하여 반단면 바닥판(99)의 형상을 가지며,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는 상부플랜지(950)와 웨브(7)및 하부플랜지(8)로 이루어진 거더단면의 상부플랜지(950)의 상면에 상기 반단면 바닥판(99)의 하면을 강결하여, 반단면 바닥판(99), 상부플랜지(950), 웨브(7)및 하부플랜지(8)의 구성요소를 가지는 조합 또는 반단면 바닥판(99)과 별도의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는 상부플랜지(950)가 없이 웨브(7)및 하부플랜지(8)를 구성요소로 하는 조합으로 상기 반단면 바닥판이 제작거더의 단면 즉 합성전 단면의 일부가 되도록, 반단면 바닥판(99)을 거더의 제작시에 일체로 제작하는 것을 포함하며,
제작장의 지반상에서 각재(49)를 설치한후 상기 각재위에 거더의 하면 거푸집판(50)을 설치하여 거더 제작대(51)를 구성하는 단계;
거더의 내민부 반단면 바닥판(99)에서 교량 바닥판 하면의 주철근(17)을 외부로 노출되게 해서 철근을 가공조립하며 긴장재(27)의 쉬스관(21)을 설치하는 단계;
반단면 바닥판(99)의 상면부에서 전단연결재(10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단연결재를 시공하는 단계;
미리 제작된 분절된 강재거푸집(53)을 상기 제작대(51)의 상면에 설치 조립하여 상기의 반단면 바닥판과 상부플랜지, 웨브, 하부플랜지의 구성요소 또는 반단면 바닥판과 웨브, 하부플랜지의 구성요소를 가지는 단면의 형상을 일체시공 하기 위해 반단면 바닥판(99)부까지 포함하여 강재거푸집(53)을 구성하는 단계;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양생후 긴장재(27)를 쉬스관(21)의 내부에 내삽하여 긴장하고 정착시키며 긴장재의 쉬스관의 내부에 그라우팅(46)으로 충진하여 거더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제작된 거더를 교대및 교각위(3)에 크레인으로 인상및 거치하는 단계;
상기 거치된 거더간에 가로보(4,32)를 시공하는 단계;
상기 거치된 거더간의 바닥판의 연결부(5)에서 내민부 반단면 바닥판(99) 끝의 노출철근(17)을 이음하여 반단면 바닥판(99)을 제외한 나머지 바닥판 슬래브(110) 전폭에 걸쳐 일괄타설하는 단계;
바닥판 슬래브 양생후 포장,방호벽(47)및 중분대를 시공하는 단계;
등의 상기 시공단계를 포함하여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둘째,
거더 제작시에,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는 상부플랜지와 한 개의 웨브 및 하부플랜지로 이루어진 조합이나 별도의 상부플랜지가 없이 웨브와 하부플랜지로 이루어지는 조합으로 구성되는 통상의 I형 형상을 가진 빔의 상부플랜지(950)의 상면에서 상기 반단면 바닥판(99)이 합성전 I형거더 단면의 일부가 되도록 상기 반단면 바닥판(99)을 I형거더와 일체로 제작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셋째,
거더 제작시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2개열의 웨브와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는 상부플랜지(950)가 웨브상단에서 강결로 연결되고 상기 2개열의 웨브(7)를 하부플랜지(8)로 폐합하여 구성되는 조합 또는 별도의 상부플랜지(950)가 없이 2개열의 웨브(7)와 하부플랜지(8)로 이루어지는 조합으로 구성되는, 내부에 중공부(16)를 가지는 통상의 상자형 단면에서 상기 상자형단면의 상부플랜지(950)의 상면에서 상기 반단면 바닥판(99)이 합성전 상자형거더의 단면의 일부가 되도록 일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넷째, 상기 상자형 단면의 거더(1)를 단일 거더 형태로 제작장에서 제작시에 단면의 내부 중공부(16)의 시공시에 거푸집및 동바리 역할을 할수 있도록 상기 거더의 중공부(16)에 해당하는 위치에 영구 존치용 스티로폴(15)등으로 구성된 경량체(15)를 충진하여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섯번째, 거더의 중공부(16)에 철거가 가능한 충진 구조체를 시공하기 위해 서, 거더의 양쪽 단부(800)에 소정의 크기를 가진 개구부(801)가 설치되며, 상기 중공부(16)에 다수개의 강관을 거더 전길이중에 중간부에서 절단된 길이로 하여 상기 강관을 철선으로 묶어 다발을 형성한후 심부(700,701)를 구성하며 상기 심부(700,701)주변에 스티로폴로 이루어진 블록의 경량체를 결합시켜 만든 채움구조체를 형성하여 콘크리트 타설및 양생후 상기 심부를 양쪽의 단부(800)의 개구부(801)에서 인발하여 상기 블록(15)을 해체한후 철거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여섯번째, 상기의 완성된 상자형거더교의 차량 통행시에 바닥판의 연결부(5)의 구조적 안전성의 불리함을 개선하기 위하여, 바닥판의 연결부(5)를 시공하기 전에 연결부(5) 바닥판의 하면에 지지보로 세로보(24)를 가설하여 구조적으로 연결부(5)가 정모멘트부에 위치하지 않고 지점이 되는 부모멘트부에 위치하여 연결부(5) 바닥판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증가시키며 바닥판의 연결부(5) 타설시에는 세로보(24)가 거푸집의 역할을 하게 하여 시공성을 개선하는데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연결부(5)의 하면에 지지보로서 교량 전길이로 연속적으로 설치되며 가로보(32)에 지지시켜 형성된 세로보(24)를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곱번째, 상기 상자형 거더의 가로보(32)를 시공하는데 있어서, 거더 제작시에 가로보(32) 설치위치에 해당되는 상기 바닥판의 연결부(5)의 시공을 위한 돌출판(23)이 설치되지 않는 개구부(31)를 형성하며 설치할 가로보(32) 위치의 거더의 웨브(7)와 일체가 되도록 내민보의 구조 형식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내민 가로보(32)를 형성하며 상기 내민 가로보(32)의 끝단부의 하면에 차후 거더(1) 거치후 상기 내민 가로보(32)를 가로보의 지간 중앙에서 연결할 때 현장타설되는 콘 크리트의 거푸집및 동바리역할을 하도록 외부로 내민형식의 돌출판(33)을 소정의 폭을 가지고 내민 가로보(32)와 일체로 제작하며, 거더를 거치한후 병렬로 거치된 거더사이의 양쪽의 내민 구조 형식의 내민 가로보(32)를 연결할 때 상기 가로보(32)의 끝에 설치되어 있는 돌출판(33)의 상면에 프리캐스트 거푸집(34)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가로보(32)의 현장연결부(35)의 공간을 구성하여 상기 형성된 바닥판 연결부(5)의 시공을 위한 돌출판(23)의 개구부(31)를 통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덟 번째,
거더의 제작장에서 반단면 바닥판(2)과 웨브(7)및 하부플랜지(8)를 구성요소로 하는 조합 또는 반단면 바닥판(2)과 별도의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는 상부플랜지(950), 웨브(7)및 하부플랜지(8)를 구성요소로 하는 조합으로 상기 반단면 바닥판(99)을 합성전 단면의 일부가 되도록 일체로 하여 단일거더의 단위로 합성형 P.S.C 거더를 제작하며, 상기 제작된 거더를 거치할 장소에 운반및 크레인으로 인상하여 교대및 교각위의 두 지점(3) 사이에 상기 거더를 거치하며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병렬로 거치된 거더위에 바닥판슬래브(100)를 현장타설로 일괄시공하는 합성형 P.S.C 거더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제작장에서 거더(1)를 제작할 때, 적어도 한개이상의 열로 구성되는 강재로 제작되는 웨브(26)가, 상기 합성전 단면에서 상부플랜지(950)가 없는 조합에서는 상기 웨브(26)의 상부에서, 그리고 별도의 상부플랜지(950)가 있는 조합에서는 상부플랜지(950)의 상면에서, 소정의 폭을 가진 반단면 바닥판(99)과 일체로 시공되 어 상부 플랜지(950)내에 정착되며, 웨브(26)의 하부에서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이상의 열을 가진 웨브(26)가 하부플랜지(8)와 일체로 시공되어 하부플랜지(8) 내에 정착되어, 교량의 횡단면상으로 볼때에 단일 거더의 단면 형상이, 내민형상의 반단면 바닥판(99)을 가지며 단일 웨브와 하부플랜지로 이루어진 I형보 또는 내민형상의 반단면 바닥판(99)을 가지며 단면 내부에 중공부(16)를 가진 상자형 단면으로 형성되며, 교축방향으로는 상기 강재로 구성된 웨브부재(26)가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설치되며, 경사부재(26)의 상부정점과 하부정점에서,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경사 웨브부재(26)의 단부(400)에서 단면의 직각으로 맞대어 연결되며 연결부재(28)와 경사진 웨브(26)와의 연결부가 상기 상부와 하부에서 콘크리트속에 묻혀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설치되어 거더 길이 방향으로 연속된 트러스 구조체(300)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며,
제작장의 지반상에서 각재를 설치한후 상기 각재(49)위에 거더의 하면 거푸집판(50)을 설치하여 거더 제작대(51)를 구성하는 단계;
하부플랜지(8)의 철근 조립및 쉬스관(21)을 설치하며 육상에서 상기 경사 웨브부재(26)에, 연결부재(28)의 상부플랜지(500) 상면에 전단연결재(101)를 강결시켜 상부플랜지(500) 상면위로 전단연결재(101)가 돌출된 형상으로 제작되며 절곡된 형상의 연결부재(28)를 연결하여 소정의 길이로 분절된 트러스 구조체(300)를 형성한후, 상기 분절된 트러스 구조체(300)를 상기 제작대(51)의 하부플랜지(8) 내부에 고정한후 상기 분절된 구조체(300)와 또다른 분절된 구조체(300)를 연결및 조립하여 트러스 구조체(300)를 연속으로 설치하며, 상기 트러스구조체(300)의 상부에서 돌출된 전단연결재(101)가 반단면 바닥판(99)을 제외한 나머지 바닥판 슬래브(110)의 내부에 정착될수 있도록 반단면 바닥판(99)의 상면부에서 전단연결재(10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하며, 하부플랜지(8)의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거더의 내민부 반단면 바닥판의 노출 철근(17)을 거더의 외부로 노출되게 해서 철근을 가공조립하며 강재거푸집(53)을 반단면 바닥판(99)부까지 포함하여 하면부에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콘크리트를 양생후 긴장재(27)를 쉬스관(21)의 내부에 내삽하여 긴장하고 정착시키며 긴장재(27)의 쉬스관(21)의 내부에 그라우팅(46)으로 충진하여 거더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제작된 거더를 교대및 교각(3)위에 크레인으로 인상및 거치하는 단계;
상기 거치된 거더간의 바닥판의 연결부(5)에서 상기 내민부 반단면 바닥판 끝의 노출철근(17)을 이음하여 반단면 바닥판(99)을 제외한 나머지 전폭의 바닥판 슬래브(110)를 현장타설로 일괄 시공하는 단계;
바닥판 슬래브의 양생후 포장,방호벽(47)및 중분대를 시공하는 단계;
등의 상기 시공단계를 포함하여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합성형 P.S.C 거더교의 시공방법.
아홉 번째,
하나의 경사웨브 부재(26)의 양단부(400)는 부재 길이에 직각으로 단부단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재(26)의 단부(400) 단면에 구멍뚫린 보강판(30)이 용접이음으로 연결되어 직선의 경사 웨브부재(26)를 구성하며, 상기 과정으로 형성된 양 쪽의 두 개의 경사 웨브 부재(26) 사이에, 두 번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상부플랜지(500)및 웨브(501) 등을 가진 beam :h-beam,t-beam등:으로 구성되어 연결부재(28)를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상부플랜지(500)의 상면에 강재나 철근으로 된 전단연결재(101)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경사웨브 부재(26)의 단부의 단면 방향과 같은 방향의 연결부재(28)의 단부 단면을 형성하여, 구멍뚫린 판을 연결부재의 단부에 결합하여 맞댐판(200)을 형성하며, 상기 구비된 연결부재(28)를 경사웨브 부재(26)의 단부 보강판(30)에 맞대어 볼트(210)로 연결하거나, 상기 웨브 경사부재(26)의 단부 보강판(30)과 연결부재(28)의 맞댐판(200)을 용접하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의 트러스 웨브를 가지는 합성형 P.S.C 거더교의 시공방법.
열번째, 상기 거더(1)를 단일 거더 형태로 제작장에서 제작시에 거더의 내민부(9)의 바닥판의 측면 마무리면(18)에서 외부로 노출될 철근(17)을 노출하여 시공하기 위해서 스치로폴등으로 구성된 경량체(19)를 바닥판의 측면부 마무리면(18)의 형상대로 가공하며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분절되며 노출될 철근(17)의 위치대로 스티로폴(19)을 천공하여 철근(17)에 내삽하여 콘크리트를 타설시 상기 스티로폴(19)이 거푸집의 역할을 하도록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한번째, 거더 제작시에 2차 긴장재(20)용 쉬스관(21)을 미리 설치해 둔후 차후 거더(1)를 교대및 교각(3)위에 거치후 거더간의 바닥판 슬래브(110)를 현장타설하며, 포장,방호벽(47)및 중분대를 시공한후에 상기의 거더제작시에 설치해 둔 쉬스관(21)의 내부에 2차 긴장재(20)를 배치하여 상기의 포장,방호벽(47)등의 고정 하중이 선행하중으로 재하된 상태에서 2차 긴장을 실시하여 효율적으로 시공단계별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두번째, 상기의 2차긴장재(20)의 쉬스관(21)내에 그라우팅(46)으로 충진하지 않고 쉬스관(21)과 긴장재(20)사이에 공간을 갖도록 비워두어 비부착긴장재(900)로 시공하여, 장래에 프리스트레스의 손실이 발생시 재긴장할수 있게 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세번째, 상기 병렬로 거치된 거더(1) 사이의 반단면 바닥판(99)의 연결부(5) 시공시 고공에서의 작업으로 인한 시공성의 불리함을 개선하기 위해 육상의 제작장에서 거더를 제작시에 거더의 내민부(9) 반단면 바닥판(99)의 단부의 하면에 외부로 내민형상의 돌출판(23)을 바닥판(2)과 일체로 설치하며, 상기 돌출판(23)은 바닥판 단부의 하면을 기준으로 상기 돌출판의 상면(600)이 바닥판의 하면이거나 바닥판의 하면보다 아래로 설치되며, 양측거더의 내민 바닥판의 끝에 설치한 두 돌출판(23)이 서로 거의 맞닿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네번째, 상기 병렬로 거치된 거더(1) 사이의 반단면 바닥판(99) 연결부(5) 시공시 고공에서의 작업으로 인한 시공성의 불리함을 개선하기 위해 육상의 제작장에서 거더를 제작시에 거더의 내민부(9) 반단면 바닥판(99)의 단부의 하면에 외부로 내민형상의 돌출판(23)을 형성하며 상기 돌출판(23)의 상면(600)에 프리캐스트 거푸집(40)을 단순지지가 되도록 거치하여 거더간의 바닥판의 연결부(5)를 시공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종래의 합성형 P.S.C거더교의 단점인 합성전 단면의 작음과 이로인한 도입 가능한 1차 긴장력의 작음 등의 문제점을, 반단면의 바닥판(99)을 거더제작시에 미리 거더에 일체로 제작하여 해결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고안한 새로운 형식의 거더로 인해 2차 긴장의 도입시점을 종래의 방법과 다르게 교량 완성 후에 실시하여 장지간화에 유리하게 된다.
고공에서 바닥판의 현장타설 연결부(5)에 대한 시공성을 향상하기 위해 거더 제작시 반단면 바닥판(99) 끝단의 하면에 내민형식의 돌출판(23)을 가설하며 가로보(32)및 세로보(24)를 제작하여 연결부(5)를 현장타설로 시공하게 하여 시공성향상을 도모하였다.
또한, 거더 제작시에 거푸집 작업등의 시공성을 개선하기 위해 상자형 단면의 중공부(16)에 영구 존치용 스티로폴(15)등으로 이루어진 경량체(15)를 충진하여 거푸집및 동바리를 대신하게 하였으며, 철거가 가능한 심부(700,701)와 스티로폴(15)을 결합해서 만든 채움구조체를 설치해서 시공성과 자재환수를 통한 자재 절감을 꾀하였다. 거더의 바닥판부 마무리면(18)의 철근(17)노출용 거푸집 작업의 시공성을 개선하기 위해 스티로폴등으로 이루어진 경량체(19)에 천공하여 철근(17)에 삽입하고 설치하게 한다.
또한, 바닥판의 연결부(5)의 하면에 세로보(24)를 가설하여 바닥판 연결부(5)가 바닥판 경간부가 아닌 지점부에 설치되도록 하여 바닥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두 개열의 웨브(7)를 강관 또는 H-BEAM등의 강재재료의 부재로 구성된 경사 웨브부재(26)를 웨브(7)로 설치하며 교축방향으로 연속된 파형의 트러스 구조체 (300)를 설치하여 거더자중을 감소시키게 한다.
한편, 상기 고안된 반단면 바닥판을 거더에 일체로하여 거더 제작시에 시공하는 형식은, 교량구조물의 용도뿐만 아니라 상기 제작및 시공방법을 동일하게 하여 건축구조물용으로 적용시킬수 있어 적용분야가 광범위하다.
도1은 본 발명의 한 예가 되는 반단면 바닥판을 가지며, 사다리꼴의 상자형 단면을 가지는 2주형 거더 단면을 가진 교량의 입체도이며 도10-1는 종래의 합성형 P.S.C 거더교이며, 도10-2는 T형 거더교의 횡단면도에 해당된다. 본발명은 구조적으로 종래의 합성형 PSC빔교(13)가 거더를 제작장에서 제작한후 크레인으로 인상하여 거치한후 바닥판(100) 전체를 현장타설로하며, 거더에 설치된 전단연결재(101)로 바닥판과 거더를 연결하여 합성시키는 합성형 형식으로, 본 발명의 형식과 동일하며, 차이점은 본발명은 바닥판(2)의 절반두께정도와 광폭에 해당하는 반단면 바닥판(99)을 제작장에서 거더(1)와 일체로 제작하여 거치후 나머지 바닥판 슬래브(110)를 현장타설로 일괄시공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한편, 도10-2의 T형거더교의 형식은 합성전단면과 바닥판 슬래브(100)의 합성이 없는 비합성의 구조형식이며, 제작시에 바닥판 전 두께(100)를 거더(1)에 일체로 제작하여 별도의 독립적인 바닥판 연결부(5)만 2차타설을 하므로 본 발명과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첫째,
제작장에서 거더를 제작할 때, 교량 바닥판의 전체 설계두께보다 작은 임의의 두께; 개략 바닥판 절반정도의 두께;를 가지며 교축직각방향으로는 바닥판 유효폭 정도가 되는 광폭의 폭으로 형성되는 바닥판부의 단면적및 체적으로 이루어지는 공간(99); 이하 반단면 바닥판(99)으로 호칭함;이 제작거더의 일부가 되도록 상기 반단면 바닥판(99)을 제작거더와 일체로 제작할때, 반단면 바닥판(99)과 별도의 상부플랜지(950)가 없이 웨브(7)및 하부플랜지(8)를 구성요소로 하는 조합 또는 반단면 바닥판(99)과 별도의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는 상부플랜지(950), 웨브(7)및 하부플랜지(8)를 구성요소로 하는 조합으로 상기 반단면 바닥판(99)이 제작거더의 단면 즉 합성전 단면의 일부가 되도록, 반단면 바닥판(99)을 거더의 제작시에 일체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한 실시를 위해서,
지반위에 각재(49)를 설치하며 각재(49) 위에 거더의 하면 거푸집판(50)을 설치하여 제작대(51)를 구성하며, L형강이나 보강재(52)로 거푸집판을 보강하여 단위길이로 분절하여 공장에서 제작된 강제거푸집(53)의 구성채를 현장으로 운반하여 상기 제작대(51)의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하여 상자형 거더의 외측부를 형성하며 거더 길이 방향으로는 상기 분절된 강재거푸집(53)을 거더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며 분절된 강재거푸집의 끝단에 설치되어 있는 L형강이나 수직보강재(52)의 볼트구멍(54)에 볼트를 삽입하여 분절된 강재거푸집(53)을 길이 방향으로 연속시켜 상기의 상자형 단면으로 강재거푸집(53)을 구성하여 단일거더의 단위로 거더를 제작할때에,
제작장의 지반상에서 각재(49)를 설치한후 상기 각재위에 거더의 하면 거푸 집판(50)을 설치하여 거더 제작대(51)를 구성하는 단계;
거더의 내민부 반단면 바닥판(99)에서 교량 바닥판 하면의 주철근(17)을 외부로 노출되게 해서 철근을 가공조립하며 긴장재(27)의 쉬스관(21)을 설치하는 단계;
반단면 바닥판(99)의 상면부에서 전단연결재(10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단연결재(101)를 시공하는 단게;
미리 제작된 분절된 강제거푸집을 상기 제작대의 상면에 설치 조립하여 상기의 반단면 바닥판과 상부플랜지, 웨브, 하부플랜지의 구성요소 또는 반단면 바닥판과 웨브, 하부플랜지의 구성요소를 가지는 단면의 형상을 일체시공 하기 위해 반단면 바닥판부까지 포함하여 강재거푸집을 구성하는 단계;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양생후 긴장재(27)를 쉬스관(21)의 내부에 내삽하여 긴장하고 정착시키며 긴장재의 쉬스관(21)의 내부에 그라우팅(46)으로 충진하여 거더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제작된 거더(1)를 교대및 교각(3)위에 크레인으로 인상및 거치하는 단계;
상기 거치된 거더간에 가로보(4,32)를 시공하는 단계;
상기 거치된 거더간의 바닥판의 연결부(5)에서 내민부(9) 반단면 바닥판(99) 끝의 노출철근(17)을 이음하여 기 시공된 반단면 바닥판을 제외한 나머지 바닥판 슬래브(110) 전폭에 걸쳐 일괄타설하는 단계;
바닥판 슬래브(110) 양생후 포장,방호벽(47)및 중분대를 시공하는 단계;
등의 상기 시공단계를 포함하여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상기 반단면 바닥판(99)을 제작 거더(1)에 일체로 하여 제작할수 있게 된다.
둘째,도2-1에서,
거더 제작시에,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는 상부플랜지(950)와 한 개의 웨브(7) 및 하부플랜지(8)로 이루어진 조합이나 별도의 상부플랜지(950)가 없이 웨브(7)와 하부플랜지(8)로 이루어지는 조합으로 구성되는 통상의 I형 형상을 가진 빔의 상부플랜지(950)나 웨브(7)의 상면에서 상기 반단면 바닥판(99)이 합성전 I형거더 단면의 일부가 되도록 상기 반단면 바닥판(99)을 I형거더와 일체로 제작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한 실시를 위해서, 거더의 내민부 반단면 바닥판(99)에서 교량 바닥판 하면의 주철근(17)을 외부로 노출되게 해서 철근을 가공조립하며 긴장재(27)의 쉬스관(21)을 설치하는 단계;
반단면 바닥판(99)의 상면부에서 전단연결재(10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단연결재(101)를 시공하는 단계;
미리 제작된 분절된 강제거푸집(53)을 상기 제작대(51)의 상면에 설치 조립하여 상기의 반단면 바닥판(99)과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는 상부플랜지(950), 하나의 웨브(7), 하부플랜지(8)의 구성요소나 별도의 상부플랜지(950)가 없이 웨브(7)와 하부플랜지(8)로 이루어지는 구성요소를 가지는 단면의 형상을 일체시공 하기 위해 반단면 바닥판(99)부까지 포함하여 강재거푸집(53)을 구성하는 단계;
등의 상기 시공과정이 필요하다. 이렇게 함으로서, 통상적으로 시공되는1형의 PSC빔계열의 교량에서 쉽게 교량의 성능을 크게 증가시키게 된다.
셋째,도2-3에서,
거더 제작시에, 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2개열의 웨브와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는 상부플랜지(950)가 웨브상단에서 강결로 연결되고 상기 2개열의 웨브(7)를 하부플랜지(8)로 폐합하여 구성되는 조합 또는 별도의 상부플랜지(950)가 없이 2개열의 웨브(7)와 하부플랜지(8)로 이루어지는 조합으로 구성되는, 내부에 중공부(16)를 가지는 통상의 상자형 단면에서 상기 상자형단면의 상부플랜지(950)나 웨브(7)의 상면에서 상기 반단면 바닥판(99)이 합성전 상자형거더의 단면의 일부가 되도록 일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한 실시를 위해서, 거더의 내민부 반단면 바닥판(99)에서 교량 바닥판 하면의 주철근(17)을 외부로 노출되게 해서 철근을 가공조립하며 긴장재(27)의 쉬스관(21)을 설치하는 단계;
반단면 바닥판(99)의 상면부에서 전단연결재(10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단연결재(101)를 시공하는 단계;
미리 제작된 분절된 강재거푸집(53)을 상기 제작대(51)의 상면에 설치 조립하여 상기의 반단면 바닥판(99)과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는 상부플랜지(950), 두 개열의 웨브(7), 하부플랜지(8)의 구성요소나 별도의 상부플랜지(950)가 없이 두 개의 웨브(7)와 하부플랜지(8)로 이루어지는 구성요소를 가지는 단면의 형상을 일체시공 하기 위해 반단면 바닥판(99)부까지 포함하여 강재거푸집(53)을 구성하는 단계;
등의 상기 시공과정이 필요하다. 이렇게 함으로서, 통상적으로 시공되는 상자형의 P.S.C 거더 계열의 교량에서 쉽게 교량의 성능을 크게 증가시키게 된다.
네번째, 도5-2와 도5-3에서, 거더의 내측부 중공부(16)에 스치로폴등으로 구성하여 만든 경량체(15)를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한 실시를 위해서, 거더 내측의 중공부(16)의 형상대로 소정의 길이 단위로 상기 경량체(15)를 분절하여 제작하며, 상기 제작대위에서 하부 플랜지(8)와 웨브벽체(7)의 철공가공 조립을 한후에 상기 제작된 분절의 경량체(15)를 거더의 중공부(16)에 설치및 형성하며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며 상기 제작대에 거더의 외측에 해당하는 수직의 강재거푸집(53)을 형성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서,공간이 협소한 중공부(16)의 거푸집및 동바리 설치 작업을 대신하게 할수 있으며 별도의 해체가 필요없어 시공성이 개선된다.
다섯번째, 거더 제작시에, 거더의 중공부에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의 역할과 타설후 해체가 가능한 채움구조체를 충진한후 시공한후 상기 채움구조체를 철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한 실시를 위해서, 도5-2와 도5-4및 도5-5와 도5-6, 도8-1, 도8-2에서, 상자형거더교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충진재의 중심에 심부(700,701)를 가지며 블록(15)의 형상을 가진 스티로폴등의 경량체(15)를 상기 심부(700,701) 주변에 결합시켜 충진구조체를 구성하며 상자형거더의 내부(16)에 해당하는 위치에 상기 충진 구조체를 충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자형거더를 제작하며, 양생후 심부(700,701)를 거더의 양 단부(800)에서 미리 설치해놓은 단부 개구부(801)를 통해 인발하여 상기 충진 구조체를 해체및 철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충진 구조체는 심부(700,701)에 대구경 강관(700)과 다수개의 소구경 강관(701)의 조 합(도5-6) 또는 소구경 강관(701)으로 구성된 다발체(도5-5)를 형성하며 상기 심부(700,701)를 구성하며 심부(700,701)주변과 상자형거더의 내부 중공부(16)의 사이의 공간부에 소정의 길이와 두께를 가진 경량의 블록(15)이 쌓여져 ,상기 쌓여진 블록의 주변을 철선(702)으로 묶어 고정시키며 상기 블록의 최외측면에 해체시 분리가 잘 되도록 유성의 분리제를 도포하여 상기 심부와 경량의 블록의 결합체인 충진구조체를 형성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상기 충진체를 내삽하여 쉽게 콘크리트를 타설할수 있어 시공성이 좋아지고 강관(700,701)등의 심부(700,701)를 인발하여 쉽게 상기 충진재가 해체되어 자재 비용절감에도 유리하게 된다.
여섯번째, 바닥판 열결부(5)의 연결시에 바닥판(100) 하면에 지지보로 세로보(24)를 가로보(32)에 지지시켜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한 실시를 위해서, 도2-6에서와 같이, 제작장에서 제작된 모든 거더(1)를 교대및 교각(3)위에 병렬로 거치한후 병렬로 거치된 거더와 거더사이에 소정개소의 가로보(32)를 거더(1)와 강결로 시공하며, 상기 방법으로 설치된 가로보(32)의 중앙부에서 세로보(24)가 강결로 교차되며 고정되고, 세로보(24)의 상부플랜지를 상기 거치된 거더의캔틸레버(9) 바닥판의 하면에 위치하도록 세로보(24)를 설치한후 바닥판 현장타설 연결부(5)를 현장타설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구조적으로 갖는 의미는 바닥판의 연결부(5)를 바닥판의 경간부(10)에 설치하지 않고 세로보(24)위의 지점부에 설치하여 구조적인 안전성을 증가시키며 시공시 세로보(24)의 상부플랜지가 바닥판 연결부(5)의 거푸집 역할을 하여 시공상 이롭게 된다.
일곱번째, 상기 상자형 거더의 가로보(32)를 시공하는데 있어서, 거더(1) 제 작시에 가로보(1)를 거더의 웨브(7)와 강결로 하여 일체로 제작하되, 횡단상에서 바닥판 연결부(5)의 위치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제작된 내민 가로보(32) 끝단부의 하면에 가로보(32)의 연결을 위한 내민보 형식의 돌출판(33)을 형성한채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한 실시를 위해서, 도 3의 도3-1,도3-2,도3-3에서와 같이, 거더 제작시에 가로보(32) 설치위치에 해당되는 상기 바닥판의 연결부(5)의 시공을 위한 돌출판(23)이 설치되지 않는 개구부(31)를 형성하며, 설치할 가로보(32) 위치의 거더의 웨브(7)와 일체가 되도록 내민보의 구조 형식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내민 가로보(32)를 형성하며 가로보의 끝단부의 하면에 차후 거더 거치후 가로보(32)를 가로보의 지간 중앙에서 연결할 때 현장타설되는 콘크리트의 거푸집및 동바리역할을 하도록 외부로 내민형식의 돌출판(33)을 소정의 폭을 가지고 상기 가로보(32)와 일체로 제작하며, 현장타설 가로보의 이음부(58)의 연결철근(59)을 미리 내민보 형식의 가로보(32)로부터 외부로 노출시켜 가로보와 일체로 제작한다. 거더를 병렬로 거치한후 병렬로 거치된 거더사이의 양쪽의 내민 구조 형식의 가로보(32)를 연결할 때 가로보 연결철근(59)을 용접 연결하며, 상기 가로보의 끝에 설치되어 있는 돌출판(33)의 상면에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 거푸집(34)을 상기 가로보의 현장타설 연결부(58)의 양측면에 수직으로 설치하여 가로보의 현장타설 연결부(58)의 타설 공간을 구성하여 상기 형성된 바닥판 연결부(5)의 시공을 위한 돌출판(23)의 개구부(31)를 통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가지는 의미는 종래의 가로보의 거푸집및 동바리작업이 대부분 고공에서 현장타설로 이루어 지는 공정인데 반해 본 발명의 가로보는 거더 제작시에 대부분의 가로보가 제작되며 고공작업은 가로보의 중앙의 연결부(58)만 바닥판의 개구부(31)를 통해서 현장타설되므로 시공성이 개선된다.
여덟번째, 거더의 제작장에서 반단면 바닥판(2)과 웨브(7)및 하부플랜지(8)를 구성요소로 하는 조합(도2-2,도2-4) 또는 반단면 바닥판(2)과 별도의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는 상부플랜지(950), 웨브(7)및 하부플랜지(8)를 구성요소로 하는 조합(도2-1,도2-3)으로 상기 반단면 바닥판(99)을 합성전 단면의 일부가 되도록 일체로 하여 단일거더의 단위로 합성형 P.S.C 거더를 제작하며, 상기 제작된 거더를 거치할 장소에 운반및 크레인으로 인상하여 교대및 교각위의 두 지점(3) 사이에 상기 거더를 거치하며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병렬로 거치된 거더위에 바닥판슬래브(100)를 현장타설로 일괄시공하는 합성형 P.S.C 거더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제작장에서 거더(1)를 제작할 때, 도6의 도6-1부터 도6-7까지의 그림에서, 적어도 한개이상의 열로 구성되는 강재로 제작되는 웨브(26)가, 상기 합성전 단면에서 상부플랜지(950)가 없는 조합에서는 상기 웨브(26)의 상부에서, 그리고 별도의 상부플랜지(950)가 있는 조합에서는 상부플랜지(950)의 상면에서, 소정의 폭을 가진 반단면 바닥판(99)과 일체로 시공되어 상부 플랜지(950)내에 정착되며, 웨브(26)의 하부에서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이상의 열을 가진 웨브(26)가 하부플랜지(8)와 일체로 시공되어 하부플랜지(8) 내에 정착되어, 교량의 횡단면상으로 볼때에 단일 거더의 단면 형상이, 도7-5에서와 같이 내민형상의 반단면 바닥판(99)을 가지며 단일 웨브(26)와 하부플랜지(8)로 이루어진 I형보 또는 도7-4에서와 같이 내민형상 의 반단면 바닥판(99)을 가지며 단면 내부에 중공부(16)를 가진 상자형 단면으로 형성되며, 교축방향으로는 상기 강재로 구성된 웨브부재(26)가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설치되며, 경사부재(26)의 상부정점과 하부정점에서,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경사 웨브부재(26)의 단부(400)에서 단면의 직각으로 맞대어 연결되며 연결부가 상기 상부와 하부에서 콘크리트속에 묻혀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설치되어 거더 길이 방향으로 연속된 트러스 구조체(300)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며,
제작장의 지반상에서 각재를 설치한후 상기 각재(49)위에 거더의 하면 거푸집판(50)을 설치하여 거더 제작대(51)를 구성하는 단계;
하부플랜지(8)의 철근 조립및 쉬스관(21)을 설치하며 육상에서 상기 경사 웨브부재(26)에, 연결부재(28)의 상부플랜지(500) 상면에 전단연결재(101)를 강결시켜 상부플랜지(500) 상면위로 전단연결재(101)가 돌출된 형상으로 제작되며 절곡된 형상의 연결부재(28)를 연결하여 소정의 길이로 분절된 트러스 구조체(300)를 형성한후, 상기 분절된 트러스 구조체(300)를 상기 제작대(51)의 하부플랜지(8) 내부에 고정한후 상기 분절된 구조체(300)와 또다른 분절된 구조체(300)를 연결및 조립하여 트러스 구조체(300)를 연속으로 설치하며, 상기 트러스구조체(300)의 상부에서 돌출된 전단연결재(101)가 반단면 바닥판(99)을 제외한 나머지 바닥판 슬래브(110)의 내부에 정착될수 있도록 반단면 바닥판(99)의 상면부에서 전단연결재(10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하며, 하부플랜지(8)의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거더의 내민부 반단면 바닥판의 노출 철근(17)을 거더의 외부로 노출되게 해서 철근을 가공조립하며 강재거푸집(53)을 반단면 바닥판(99)부까지 포함하여 하면 부에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콘크리트를 양생후 긴장재(27)를 쉬스관(21)의 내부에 내삽하여 긴장하고 정착시키며 긴장재(27)의 쉬스관(21)의 내부에 그라우팅(46)으로 충진하여 거더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제작된 거더를 교대및 교각(3)위에 크레인으로 인상및 거치하는 단계;
상기 거치된 거더간의 바닥판의 연결부(5)에서 상기 내민부 반단면 바닥판 끝의 노출철근(17)을 이음하여 반단면 바닥판(99)을 제외한 나머지 전폭의 바닥판 슬래브(110)를 현장타설로 일괄 시공하는 단계;
바닥판 슬래브의 양생후 포장,방호벽(47)및 중분대를 시공하는 단계;
등의 상기 시공단계를 포함하여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상기 반단면 바닥판을 제작 거더에 일체로 하여 제작할수 있게 된다.
아홉번째, 도6-4,도6-5,도6-6,도6-7에 있어서,
하나의 경사웨브 부재(26)의 양단부(400)는 부재 길이에 직각으로 단부단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재(26)의 단부(400) 단면에 구멍뚫린 보강판(30)이 용접이음으로 연결되어 직선의 경사 웨브부재(26)를 구성하며, 상기 과정으로 형성된 양쪽의 두 개의 경사 웨브 부재(26) 사이에,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경사웨브 부재(26)의 단부의 단면 방향과 같은 방향의 연결부재(28)의 단부 단면을 형성하여, 구멍뚫린 판을 연결부재의 단부에 결합하여 맞댐판(200)을 형성하여, 상기 구비된 연결부재(28)를 경사웨브 부재(26)의 단부 보강판(30)에 맞대어 볼트(210)로 연결하거나, 상기 웨브 경사부재(26)의 단부 보강판(30)과 연결부재(28)의 맞댐판(200) 을 용접하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28)는 두 번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상부플랜지(500)및 웨브(501) 등을 가진 beam :h-beam,t-beam등:으로 구성되어 연결부재(28)를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상부플랜지(500)의 상면에 강재나 철근으로 된 전단연결재(101)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이렇게 함으로서, 상기 트러스 구조체를 쉽게 조립하여 시공할수 있게 된다.
열번째, 도5-1,도5-2에서,
거더 제작시에 반단면 바닥판(99) 내민부(9)의 마무리면(18)에서 철근(17)을 노출시켜 시공하기 위해서 철근의 간격으로 철근이 내삽될 구멍을 스티로폴(19)에 천공하여 상기 스티로폴(19)이 바닥판의 측면의 마무리면부(18)의 거푸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한 실시를 위해서 스치로폴등으로 구성하며 소정의 길이로 분절하여 만든 경량체(19)에 철근의 간격과 직경에 맞게 천공한후 상기 경량체(19)의 천공구멍을 노출될 철근(17)에 끼우며 상기 경량체(19)의 뒷면에 상기 제작된 강재거푸집(53)을 지지시켜 고정하여 거더(1)를 제작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설치된 철근의 간격과 측면 마무리면(18)의 복잡한 형상에 맞도록 쉽게 대처해서 거푸집을 제작할수 있어 시공성과 정밀도가 좋은 시공을 기대할수 있다.
열한번째, 도8의 도8-1에서,
단계별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데 있어서, 2차긴장재(20)의 긴장력 도입시점을 교량 완성후 즉, 포장 방호벽(47)및 중분대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시공한후에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한 실시를 위해서, 거더 제작시 2차긴장재(20)의 쉬스관(21)을 소정의 길이에 걸쳐 배치하며 거더 제작후에 거더(1)를 교대 및 교각(3)위에 거치하며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병렬로 교량 전체의 거더(1)를 거치 완료하며 상기 거치 완료된 거더간의 바닥판슬래브(110)를 현장타설하고 양생후 포장 방호벽(47)및 중분대를 설치한후에 상기 거더 제작시에 설치해놓은 2차긴장재용의 쉬스관(21)의 내부에 2차 긴장재(20)를 내삽하여 설치하며 2차 긴장재를 긴장하며 긴장 완료후 쉬스관(21)의 내부를 그라우팅(46)으로 충진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다음과 같은 구조적인 의미를 가진다. 본발명으로 형성된 교량은 반단면 바닥판 자중이 그대로 선행하중으로 되어 1차긴장력이 크게 도입된다 하지만 종래의 합성형 PSC빔교(13)에 적용되고 있는 2차 긴장에 의한 단계별 프리스트레스 도입은 그 도입시점이 바닥판 양생 직후 인데 반해 본발명은 나머지 바닥판 슬래브의 자중이 작아 상기 종래의 합성형 PSC빔교(13)의 경우대로 바닥판 연결 직후 2차 긴장을 하게 되면 자중에 의한 거더 하단부에 도입된 큰 1차 압축력에 대한 상쇄 효과가 적기 때문에 2차 긴장에 의해 압축력이 증가하게 되므로 더 불리해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2차 긴장의 도입시점을 포장(111), 방호벽(47)및 중분대주의 시공단계중에 적어도 하나이상을 시공한후에 실시하여 상기 추가 고정하중들이 거더 제작시에 도입된 큰 1차 압축력을 하면에서 상쇄시킨 상태에서 2차 긴장하여 더 많은 긴장력 도입에 의해 교량의 내하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열두번째, 도8의 도8-4에서,
상기의 2차긴장재(20)의 쉬스관(21)내에 그라우팅(46)으로 충진하지 않고 쉬스관(21)과 긴장재(900)사이에 공간을 갖도록 비워두어 비부착긴장재(900)로 시공하여, 장래에 프리스트레스의 손실이 발생시 재긴장할수 있게 되어 유지관리가 가 능하게 된다. 이것은 본 발명의 2차 긴장 작업이 교량 완성직후인 포장등의 시공후에 실시되기 때문에, 재긴장시 교통통제만 한다면 재긴장상태의 조건과 교량 완성직후에 2차긴장하는 조건이 동일하기 때문에 가능한것이다.
열세번째,도7의 도7-1에서,
거더 제작시 형성되는 반단면 바닥판(99)의 내민부(9) 끝단에, 현장타설하여 연결부(5)를 시공할 때 필요한, 돌출판(23)을 반단면 바닥판(99)에 강결시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대한 실시를 위해서, 공장에서 강재거푸집(53)을, 제작시에 바닥판 하면을 기준으로 돌출판(23)이 아래로 단차를 가지며 돌출하며, 제작될 거더의 캔틸레버(9) 끝단에서 외부로 내민부를 갖도록 돌출하는 형상을 갖도록 강재거푸집(53)을 구성하여 상기 돌출판(23)을 거더(1)와 일체가 되도록 하여 일괄 제작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거더(1)를 교대및 교각(3)위에 거치한후 고공에서 연결부(5)의 바닥판을 타설할 때 나머지 바닥판 슬래브(110)를 타설을 위한 추가적인 거푸집작업이 필요없게 되어 시공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열네번째, 도7의 도7-2에서,
거치된 거더위에 바닥판슬래브(110)를 현장타설할 때 양쪽의 거더의 캔틸레버(9) 반단면 바닥판(99) 끝단의 돌출판(23)의 상면(600)에 프리캐스트 거푸집을 단순 지지하여 연결부(5)를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대한 실시를 위해서, 거더 제작시 형성되는 캔틸레버(9) 반단면 바닥판(99)의 단부에 돌출판(23)을 형성하며, 상기 돌출판(23)의 끝에서 돌출판 상면(600)에 프리캐스트 거푸집(40)을 양쪽의 거더에 설치된 상기 내민부 형상의 돌출판(23)에 단순지지로 거치한후 바닥 판슬래브(110)를 시공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교량의 횡단경사나 시공오차에 따른 거더간의 높이와 간격의 이격을 무리없이 프리캐스트 거푸집(40)을 거치하는 작업만으로 바닥판슬래브(110)의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도1은 본발명의 한 예인 반단면 바닥판을 가지는 합성형 PSC 거더교의 입체도.
°도2의 도2-1은 반단면바닥판, 별도의 상부플랜지,웨브,하부플랜지로 구성된 I형단면을 가진 제작거더의 횡단면도.
°도2의 도2-2는 반단면바닥판, 웨브, 하부플랜지로 구성된 I형단면을 가진 제작거더의 횡단면도.
°도2의 도2-3는 반단면바닥판, 별도의 상부플랜지,웨브,하부플랜지로 구성된 상자형단면을 가진 제작거더의 횡단면도.
°도2의 도2-4는 반단면바닥판, 웨브, 하부플랜지로 구성된 상자형단면을 가진 제작거더의 횡단면도.
°도2의 도2-5는 반단면바닥판, 별도의 상부플랜지, 웨브, 하부플랜지로 구성된 I형단면을 가진 제작거더로 시공되는 교량의 횡단면도.
°도2의 도2-6는 반단면바닥판, 별도의 상부플랜지, 웨브, 하부플랜지로 구성된 상자형단면을 가진 제작거더로 시공되는 교량의 횡단면도.
°도3의 도3-1은 가로보의 중앙부 연결부를 보인 평면도.
°도3의 도3-2은 가로보의 중앙부 연결부를 보인 측면도.
°도3의 도3-3은 가로보의 중앙부 연결부를 보인 단면도.
°도5의 도5-1은 제작거더의 반단면 바닥판부 노출철근을 시공하기 위한 경량체의 입체도.
°도5의 도5-2은 상자형 거더를 단일거더 단위로 제작할때의 강재거푸집의 설치도를 보인 단면도.
°도5의 도5-3은 제작 거더의 중공부에 충진될 영구존치용 경량체의 입체도.
°도5의 도5-4은 제작 거더의 중공부에 충진되며 해체가능한 심부,블록의 결합체인 충진 구 조체의 입체도.
°도5의 도5-5은 소구경의 강관다발로 구성된 심부의 단면도.
°도5의 도5-6은 대구경과 소구경의 조합으로 구성된 심부의 단면도.
°도5의 도5-7은 제작 거더의 중공부에 충진되며 해체가능한 심부,블록,합판이 결합된 충진 구조체의 입체도.
°도6의 도6-1은 본 발명의 한예인 두 개 열의 웨브가 강재 특히 강관이나 H-BEAM으로 이루어진 다주형 상자형 거더교의 횡단면도.
°도6의 도6-2은 경사웨브부재가 강재로 설치되며,교축방향으로 트러스구조체를 형성하여 설치되는 다주형 상자형 거더교의 종단면도.
°도6의 도6-3은 연속해서 연결된 경사웨브부재의 소정의 길이를 가진 한 세그먼트의 측면 도.
°도6의 도6-4은 경사웨브부재가 H-BEAM이며 연결재가 H-BEAM인경우의 연결부 상세 의 평면도.
°도6의 도6-5은 경사웨브부재가 H-BEAM이며 절곡부를 가진 연결재가 H-BEAM인 경우 의 연결부 상세의 측면도.
°도6의 도6-6은 경사웨브부재가 강관구조이며 절곡부를 가진 연결재가 H- BEAM인경우의 연결부 상세의 평면도
°도6의 도6-7은 경사웨브부재가 강관구조이며 절곡부를 가진 연결재가 H-BEAM인경우의 연결부 상세의 측면도
°도7의 도7-1은 바닥판의 연결부의 시공을 위한 거푸집의 역할을 하는 돌출판의 단면도.
°도7의 도7-2은 바닥판의 연결부의 시공을 위해, 돌출판위에 프리캐스트 거푸집을 거치하는 시공방법에 대한 상세의 단면도.
°도7의 도7-3은 상부플랜지를 가지며 콘크리트 웨브를 가지는 상자형거더와 반단면 바닥판이 강결된 단면도.
°도7의 도7-4은 상부플랜지를 가지며 강재로 된 2열의 웨브를 가지는 상자형거더와 반단면 바닥판이 강결된 단면도.
°도7의 도7-5은 상부플랜지를 가지며 강재로 된 1열의 웨브를 가지는 I형거더와 반단면 바닥판이 강결된 단면도.
°도8의 도8-1은 거더를 교대및 교각위의 두지점에 거치한 도면이며 1차긴장재와 2차긴장재가 배치된 단경간의 교량의 종단면도.
°도8의 도8-2은 거더의 단부의 개구부 상세 단면도.
°도8의 도8-3은 그라우팅으로 부착된 긴장재의 쉬스관 내부의 단면 상세도.
°도8의 도8-4은 비부착된 긴장재의 쉬스관 내부의 단면 상세도.
°도9는 긴장작업이 2차긴장 단계까지 필요한 경우, 본발명으로 제작되는 교량의 시공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거더
100:바닥판 슬래브, 바닥판 전 설계두께
3:교대및 교각, 교대및 교각위의 두지점
4:가로보
5:바닥판의 연결부
6:상부 플랜지
7:웨브
8:하부 플랜지
9:바닥판 내민부
10:바닥판의 경간부
12:T형 거더교
13:PSC합성형 빔교
14:다주형 PC박스교
15:중공부의 경량체
16:중공부
17:반단면 바닥판의 노출철근, 바닥판 하면 주철근
18:반단면 바닥판 측면의 마무리면
19:노출철근부의 천공된 스티로폴
20:2차긴장재
21쉬스관
23:반단면 바닥판의 단부에 설치되는 돌출판
24:세로보
25:절곡부
26:경사웨브 부재
27:1차긴장재
28:트러스 구조체의 구성요소인 절곡된 연결부재
29:천공구멍
30:보강판
200:맞댐판
210:볼트
300:연결되어 분절된 트러스 구조체
400:경사웨브부재의 양단부
31:가로보용 개구부
32: 내민 가로보
33:가로보의 돌출판
34:가로보용 수직의 프리캐스트 거푸집
35:가로보와 세로보의 교차부
36:세로보용 개구부
37:세로보 거치대
38:분절된 프리캐스트 세로보
40:바닥판의 단부 돌출판의 상면에 거치되는 프리캐스트 거푸집
46:그라우팅
47:방호벽
49:각재
50:하면 거푸집
51:제작대
52:L형강,보강재
53:강재거푸집
54:볼트구멍
600:돌출판의 상면
57: 프리캐스트 거푸집의 거치용 거치대
58:가로보의 이음부
59:가로보의 이음부의 연결철근
60:세로보의 연결철근
61:프리캐스트 세로보의 노출철근
62:세로보용 프리캐스트 수직의 거푸집
63:세로보의 현장타설 연결부
700:대구경강관으로 된 심부
701:소구경 강관으로 된 심부
702:철선
703:소구경 강관의 다발로 형성된 심부
800:거더의 양 단부
801:양 단부의 개구부
704:브록의 외측표면을 둘러쌓은 합판
900:비부착 2차긴장재
950:합성전단면의 별도의 상부플랜지
99:반단면 바닥판
101:전단연결재
105:종래의 I형거더
110:반단면 바닥판을 제외한 나머지 바닥판 슬래브
111:교면
500:트러스구조체의 구성요소인 절곡된 형상의 연결부재의 상부플랜지
501:트러스구조체의 구성요소인 절곡된 형상의 연결부재의 웨브
111:교면,포장

Claims (14)

  1. 거더의 제작장에서 프리캐스트 포스트텐션 프리스트레스트 거더를 제작하며, 상기 제작된 거더를 거치할 장소에 운반및 크레인으로 인상하여 교대및 교각위의 두 지점 사이에 상기 거더를 거치하며, 거치된 거더위에 바닥판슬래브를 현장타설로 시공하며, 거더와 바닥판의 연결을 전단연결재로 연결하는 합성형 P.S.C 거더교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제작장에서 거더를 제작할 때, 교량 바닥판의 전체 설계두께보다 작은 임의의 두께; 개략 바닥판 절반정도의 두께;를 가지며 교축직각방향으로는 바닥판 유효폭 정도가 되는 광폭의 폭으로 형성되는 바닥판부의 단면적및 체적으로 이루어지는 공간(99); 이하 반단면 바닥판(99)으로 호칭함;이 제작거더의 일부가 되도록 상기 반단면 바닥판(99)을 제작거더와 일체로 제작할때, 반단면 바닥판(99)과 별도의 상부플랜지(950)가 없이 웨브(7)및 하부플랜지(8)를 구성요소로 하는 조합 또는 반단면 바닥판(99)과 별도의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는 상부플랜지(950), 웨브(7)및 하부플랜지(8)를 구성요소로 하는 조합으로 상기 반단면 바닥판(99)이 제작거더의 단면 즉 합성전 단면의 일부가 되도록, 반단면 바닥판(99)을 거더의 제작시에 일체로 제작하는 것을 포함하며,
    제작장의 지반상에서 각재를 설치한후 상기 각재위에 거더의 하면 거푸집판을 설치하여 거더 제작대를 구성하는 단계;
    거더의 내민부 반단면 바닥판에서 교량 바닥판 하면의 주철근을 외부로 노출 되게 해서 철근을 가공조립하며 긴장재의 쉬스관을 설치하는 단계;
    반단면 바닥판의 상면부에서 전단연결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단연결재를 시공하는 단계;
    미리 제작된 분절된 강재거푸집을 상기 제작대의 상면에 설치 조립하여 상기의 반단면 바닥판과 상부플랜지, 웨브, 하부플랜지의 구성요소 또는 반단면 바닥판과 웨브, 하부플랜지의 구성요소를 가지는 단면의 형상을 일체시공 하기 위해 반단면 바닥판부까지 포함하여 강재거푸집을 구성하는 단계;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양생후 긴장재를 쉬스관의 내부에 내삽하여 긴장하고 정착시키며 긴장재의 쉬스관의 내부에 그라우팅으로 충진하여 거더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제작된 거더를 교대및 교각위에 크레인으로 인상및 거치하는 단게;
    상기 거치된 거더간에 가로보를 시공하는 단계;
    상기 거치된 거더간의 바닥판의 연결부에서 내민부 반단면 바닥판 끝의 노출철근을 이음하여 반단면 바닥판을 제외한 나머지 전폭의 바닥판 슬래브(110)에 걸쳐 일괄타설하는 단계;
    바닥판 슬래브 양생후 포장,방호벽및 중분대를 시공하는 단계;
    등의 상기 시공단계를 포함하여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형 P.S.C 거더교의 시공방법.
  2. 상기 청구항1에 있어서, 거더 제작시에,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는 상부플 랜지와 한 개의 웨브 및 하부플랜지로 이루어진 조합이나 별도의 상부플랜지가 없이 웨브와 하부플랜지로 이루어지는 조합으로 구성되는 통상의 I형 형상을 가진 빔의 상부플랜지나 웨브의 상면에서 상기 반단면 바닥판이 합성전 I형거더 단면의 일부가 되도록 상기 반단면 바닥판을 I형거더와 일체로 제작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형 P.S.C I형 거더교의 제작방법.
  3. 상기 청구항1에 있어서, 거더 제작시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2개열의 웨브와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는 상부플랜지(950)가 웨브상단에서 강결로 연결되고 상기 2개열의 웨브(7)를 하부플랜지(8)로 폐합하여 구성되는 조합 또는 별도의 상부플랜지(950)가 없이 2개열의 웨브(7)와 하부플랜지(8)로 이루어지는 조합으로 구성되는, 내부에 중공부(16)를 가지는 통상의 상자형 단면에서 상기 상자형단면의 상부플랜지(950)나 웨브(7)의 상면에서 상기 반단면 바닥판(99)이 합성전 상자형거더의 단면의 일부가 되도록 일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형 P.S.C 상자형 거더교의 제작방법.
  4. 상기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상자형 단면의 거더를 단일 거더 형태로 제작장에서 제작시 단면의 내부 중공부의 시공시에 거푸집및 동바리 역할을 할수 있도록 상기 거더의 중공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스치로폴및 EPS블록등으로 구성된 경량체를 충진하여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형 P.S.C 상자형 거더교의 시공방법.
  5. 상기 청구항3에 있어서, 상자형거더교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충진재의 중심에 심부(700,701)를 가지며 블록(15)의 형상을 가진 스티로폴및 EPS블록등의 경량체를 상기 심부 주변에 결합시켜 충진구조체를 구성하며 상자형 거더의 내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상기 충진구조체를 충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자형거더를 제작하며, 양생후 심부(700,701)를 거더의 양 단부(800)에서 미리 설치해놓은 단부 개구부(801)를 통해 인발하여 상기 충진 구조체를 해체및 철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형 P.S.C 상자형 거더교의 시공방법
  6. 바닥판의 일부 즉, 반단면 바닥판을 거더 제작시에 제작거더에 일체로 하여 제작하고, 제작된 거더를 교대및 교각위에 거치한후, 나머지 바닥판 슬래브를 현장타설로 일괄시공하는 I형단면의 거더및 상자형 단면의 거더로 이루어진 교량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바닥판슬래브를 현장타설로 시공하기 전에 연결부 바닥판의 하면에 지지보로서, 세로보를 교량 전길이에 걸쳐 연속적으로 설치하며 수개의 가로보에 강결로 교차시켜 지지하는 구조로하여 세로보를 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형 P.S.C 거더교의 시공방법
  7. 바닥판의 일부 즉, 반단면 바닥판을 거더 제작시에 제작거더에 일체로 하여 제작하고, 제작된 거더를 교대및 교각위에 거치한후, 나머지 바닥판슬래브를 현장타설로 시공하는 I형단면의 거더및 상자형 단면의 거더로 이루어진 교량의 시공방 법에 있어서,
    거더 제작시에 가로보 설치위치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상기 바닥판의 연결부의 시공을 위한 돌출판이 설치되지 않는 개구부를 형성하며 설치할 가로보 위치의 거더의 웨브와 일체가 되도록 내민보의 구조 형식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가로보를 형성하며 가로보의 끝단부의 하면에 차후 거더 거치후 가로보를 가로보의 지간 중앙에서 연결할 때 현장타설되는 콘크리트의 거푸집및 동바리역할을 하도록 외부로 내민형식의 돌출판을 소정의 폭을 가지고 내민 가로보와 일체로 제작하며, 거더를 거치한후 병렬로 거치된 거더사이의 양쪽의 내민 구조 형식의 가로보를 연결할 때 상기 가로보의 끝에 설치되어 있는 돌출판의 상면에 프리캐스트 거푸집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현장이음부의 측면을 막아 가로보의 현장연결부의 공간을 구성하며 상기 형성된 바닥판 연결부의 시공을 위한 돌출판의 개구부를 통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가로보를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형 P.S.C 거더교의 시공방법
  8. 거더의 제작장에서 별도의 상부플랜지(950)가 없이 반단면 바닥판(2)과 웨브(7)및 하부플랜지(8)를 구성요소로 하는 조합 또는 반단면 바닥판(2)과 별도의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는 상부플랜지(950), 웨브(7)및 하부플랜지(8)를 구성요소로 하는 조합으로 상기 반단면 바닥판(99)을 합성전 단면의 일부가 되도록 일체로 하여 단일거더의 단위로 합성형 P.S.C 거더를 제작하며, 상기 제작된 거더를 거치할 장소에 운반및 크레인으로 인상하여 교대및 교각위의 두 지점(3) 사이에 상기 거더를 거치하며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병렬로 거치된 거더위에 바닥판슬래브(100)를 현장타설로 일괄시공하는 합성형 P.S.C 거더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제작장에서 거더(1)를 제작할 때, 적어도 한개이상의 열로 구성되는 강재로 제작되는 웨브(26)가, 상기 합성전 단면에서 상부플랜지(950)가 없는 조합에서는 상기 웨브(26)의 상부에서, 그리고 별도의 상부플랜지(950)가 있는 조합에서는 상부플랜지(950)의 상면에서, 소정의 폭을 가진 반단면 바닥판(99)과 일체로 시공되어 상부 플랜지(950)내에 정착되며, 웨브(26)의 하부에서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이상의 열을 가진 웨브(26)가 하부플랜지(8)와 일체로 시공되어 하부플랜지(8) 내에 정착되어, 교량의 횡단면상으로 볼때에 단일 거더의 단면 형상이, 내민형상의 반단면 바닥판(99)을 가지며 단일 웨브와 하부플랜지로 이루어진 I형보 또는 내민형상의 반단면 바닥판(99)을 가지며 단면 내부에 중공부(16)를 가진 상자형 단면으로 형성되며, 교축방향으로는 상기 강재로 구성된 웨브부재(26)가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설치되며, 경사부재(26)의 상부정점과 하부정점에서,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경사 웨브부재(26)의 단부(400)에서 단면의 직각으로 맞대어 연결되며 연결부재(28)와 경사진 웨브(26)와의 연결부가 상기 상부와 하부에서 콘크리트속에 묻혀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설치되어 거더 길이 방향으로 연속된 트러스 구조체(300)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며,
    제작장의 지반상에서 각재를 설치한후 상기 각재(49)위에 거더의 하면 거푸집판(50)을 설치하여 거더 제작대(51)를 구성하는 단계;
    하부플랜지(8)의 철근 조립및 쉬스관(21)을 설치하며 육상에서 상기 경사 웨브부재(26)에, 연결부재(28)의 상부플랜지(500) 상면에 전단연결재(101)를 강결시 켜 상부플랜지(500) 상면위로 전단연결재(101)가 돌출된 형상으로 제작되며 절곡된 형상의 연결부재(28)를 연결하여 소정의 길이로 분절된 트러스 구조체(300)를 형성한후, 상기 분절된 트러스 구조체(300)를 상기 제작대(51)의 하부플랜지(8) 내부에 고정한후 상기 분절된 구조체(300)와 또다른 분절된 구조체(300)를 연결및 조립하여 트러스 구조체(300)를 연속으로 설치하며, 상기 트러스구조체(300)의 상부에서 돌출된 전단연결재(101)가 반단면 바닥판(99)을 제외한 나머지 바닥판 슬래브(110)의 내부에 정착될수 있도록 반단면 바닥판(99)의 상면부에서 전단연결재(10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하며, 하부플랜지(8)의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거더의 내민부 반단면 바닥판의 노출 철근(17)을 거더의 외부로 노출되게 해서 철근을 가공조립하며 강재거푸집(53)을 반단면 바닥판(99)부까지 포함하여 하면부에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콘크리트를 양생후 긴장재(27)를 쉬스관(21)의 내부에 내삽하여 긴장하고 정착시키며 긴장재(27)의 쉬스관(21)의 내부에 그라우팅(46)으로 충진하여 거더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제작된 거더를 교대및 교각(3)위에 크레인으로 인상및 거치하는 단계;
    상기 거치된 거더간의 바닥판의 연결부(5)에서 상기 내민부 반단면 바닥판 끝의 노출철근(17)을 이음하여 반단면 바닥판(99)을 제외한 나머지 전폭의 바닥판 슬래브(110)를 현장타설로 일괄 시공하는 단계;
    바닥판 슬래브의 양생후 포장,방호벽(47)및 중분대를 시공하는 단계;
    등의 상기 시공단계를 포함하여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합성형 P.S.C 거더 교의 시공방법.
  9. 상기 청구항 8에 있어서, 하나의 경사웨브 부재(26)의 양단부(400)는 부재 길이에 직각으로 단부단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재(26)의 단부(400) 단면에 구멍뚫린 보강판(30)이 용접이음으로 연결되어 직선의 경사 웨브부재(26)를 구성하며, 상기 과정으로 형성된 양쪽의 두 개의 경사 웨브 부재(26) 사이에, 두 번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상부플랜지(500)및 웨브(501) 등을 가진 beam :h-beam,t-beam등:으로 구성되어 연결부재(28)를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상부플랜지(500)의 상면에 강재나 철근으로 된 전단연결재(101)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경사웨브 부재(26)의 단부의 단면 방향과 같은 방향의 연결부재(28)의 단부 단면을 형성하여, 구멍뚫린 판을 연결부재의 단부에 결합하여 맞댐판(200)을 형성하며, 상기 구비된 연결부재(28)를 경사웨브 부재(26)의 단부 보강판(30)에 맞대어 볼트(210)로 연결하거나, 상기 웨브 경사부재(26)의 단부 보강판(30)과 연결부재(28)의 맞댐판(200)을 용접하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의 트러스 웨브를 가지는 합성형 P.S.C 거더교의 시공방법.
  10. 바닥판의 일부 즉, 반단면 바닥판을 거더 제작시에 거더에 일체로 하여 제작하고, 제작된 거더를 교대및 교각위에 거치한후, 나머지 바닥판 슬래브를 현장타설로 시공하는 I형단면의 거더및 상자형 단면의 거더로 이루어진 교량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거더를 단일 거더 형태로 제작장에서 제작시에 내민부의 반단면 바닥 판의 측면 마무리면에서 외부로 노출될 철근을 노출하여 시공하기 위해서 스티로폴및 EPS블록등으로 구성된 경량체를 반단면 바닥판의 측면부 마무리면의 형상대로 가공하며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분절되며 노출될 철근의 위치대로 스티로폴및 EPS블록을 천공하여 상기 스티로폴및 EPS블록으로 구성된 경량체를 노출될 철근에 내삽하여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형 P.S.C 거더교의 시공방법.
  11. 바닥판의 일부 즉, 반단면 바닥판을 거더 제작시에 거더에 일체로 하여 제작하고 제작된 거더를 교대및 교각위에 거치한후, 나머지 바닥판 슬래브를 현장타설로 시공하는 I형단면의 거더및 상자형 단면의 거더로 이루어진 교량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거더의 제작시에 도입한 1차 긴장에 더하여, 거더 제작시에 2차 긴장재용 쉬스관을 미리 설치해 둔후, 거더를 교대및 교각위에 거치후 거더간의 바닥판 슬래브를 현장타설로 시공하며, 포장,방호벽및 중분대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시공한후에 상기의 거더제작시에 설치해 둔 쉬스관의 내부에 2차 긴장재를 배치하여 상기의 포장등의 고정하중이 선행하중으로 재하된 상태에서 2차 긴장을 실시하여 시공단계별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형 P.S.C 거더교의 시공방법.
  12. 상기 청구항11에 있어서, 포장,방호벽및 중분대중 어느 하나이상을 시공한후에 2차 긴장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시공방법에 있어서, 2차긴장후 2차긴장재의 쉬스관의 내부에 그라우팅을 충진하지 않는 비부착상태로 2차긴장재를 설치및 긴장하며, 교량을 완성한다음 장래에 프리스트레스의 손실이 클경우에 상기 비부착 긴장재(900)를 재긴장할수 있도록 비부착 상태로 2차긴장재를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형 P.S.C 거더교의 시공방법.
  13. 바닥판의 일부 즉, 반단면 바닥판을 거더 제작시에 거더에 일체로 하여 제작하고, 제작된 거더를 교대및 교각위에 거치한후, 나머지 바닥판 슬래브를 현장타설로 시공하는 I형단면의 거더및 상자형 단면의 거더로 이루어진교량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병렬로 거치된 거더 사이의 바닥판 슬래브의 시공을 위해, 제작장에서 거더를 제작시에 거더의 내민부 반단면 바닥판의 단부에서 외부로 내민 형상의 돌출판을 반단면 바닥판과 일체로 제작하며, 상기 돌출판은 바닥판 단부의 바닥판의 설계두께의 하면을 기준으로 상기 돌출판의 상면이 바닥판의 설계두께의 하면과 같은 높이이거나 바닥판의 설계두께의 하면보다 아래로 설치되며, 양측거더의 내민 반단면 바닥판의 끝에 설치한 두 돌출판이 서로 거의 맞닿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형 P.S.C 거더교의 시공방법.
  14. 상기 청구항13에 있어서, 상기 병렬로 거치된 거더 사이의 양쪽의 바닥판 연결을 위해, 제작장에서 거더를 제작시에 거더의 내민부 반단면 바닥판의 단부하면에 상기 청구항 13의 외부로 내민형상의 돌출판을, 양쪽에서 돌출판의 끝이 공간을 갖도록 이격시켜 상기 돌출판을 형성하며 상기 돌출판의 상면에 프리캐스트 거푸집 을 단순지지가 되도록 거치하여 거더간의 바닥판의 연결부를 시공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형 P.S.C 거더교의 시공방법.
KR1020090027259A 2009-03-31 2009-03-31 반단면 바닥판 슬래브를 가지는 합성형 p.s.c 제작거더의 제작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Ceased KR201001089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259A KR20100108927A (ko) 2009-03-31 2009-03-31 반단면 바닥판 슬래브를 가지는 합성형 p.s.c 제작거더의 제작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259A KR20100108927A (ko) 2009-03-31 2009-03-31 반단면 바닥판 슬래브를 가지는 합성형 p.s.c 제작거더의 제작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927A true KR20100108927A (ko) 2010-10-08

Family

ID=43130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7259A Ceased KR20100108927A (ko) 2009-03-31 2009-03-31 반단면 바닥판 슬래브를 가지는 합성형 p.s.c 제작거더의 제작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892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66689A (zh) * 2014-03-30 2014-06-18 长安大学 一种桥梁加宽用新旧桥连接加固构造
CN106638258A (zh) * 2016-10-26 2017-05-10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一种槽型梁
CN109577169A (zh) * 2019-01-28 2019-04-05 福州大学 一种基于钢结构横向联结系的装配式混凝土箱形梁结构与施工方法
CN113059685A (zh) * 2021-03-31 2021-07-02 武汉联展达岩土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预制梁施工系统及施工方法
KR102720603B1 (ko) * 2023-12-26 2024-10-21 엘에스알스코 주식회사 분절형 강재 반단면 데크 합성구조를 이용한 교량 급속 시공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66689A (zh) * 2014-03-30 2014-06-18 长安大学 一种桥梁加宽用新旧桥连接加固构造
CN103866689B (zh) * 2014-03-30 2015-12-30 长安大学 一种桥梁加宽用新旧桥连接加固构造
CN106638258A (zh) * 2016-10-26 2017-05-10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一种槽型梁
CN109577169A (zh) * 2019-01-28 2019-04-05 福州大学 一种基于钢结构横向联结系的装配式混凝土箱形梁结构与施工方法
CN109577169B (zh) * 2019-01-28 2024-02-06 福州大学 一种基于钢结构横向联结系的装配式混凝土箱形梁结构与施工方法
CN113059685A (zh) * 2021-03-31 2021-07-02 武汉联展达岩土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预制梁施工系统及施工方法
CN113059685B (zh) * 2021-03-31 2023-07-21 武汉联展达岩土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预制梁施工系统及施工方法
KR102720603B1 (ko) * 2023-12-26 2024-10-21 엘에스알스코 주식회사 분절형 강재 반단면 데크 합성구조를 이용한 교량 급속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40980B2 (ja) プレストレスト合成トラス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108928A (ko) 상자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비합성형 p.s.c 거더의 제작및 이를 이용한 비합성형 p.s.c 거더교의 시공방법
KR101018824B1 (ko) 티형 강재를 이용한 합성보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1270733B1 (ko) 강상판데크 일체식 복합구조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박스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KR101582599B1 (ko) 교각 연속지점부를 거더 연결형 코핑부로 형성하는 교량 시공 방법
KR20140144035A (ko) 외적 프리스트레싱 긴장정착 메커니즘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복합거더 구조체 시공방법
JP2010242390A (ja) 鉄骨ブレースを有する柱・梁の接合部の接合方法とその構造
KR101263370B1 (ko) 거더연결재가 형성된 프리캐스트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20100108927A (ko) 반단면 바닥판 슬래브를 가지는 합성형 p.s.c 제작거더의 제작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KR101458435B1 (ko) 안장형 띠철근과 이중 대근을 이용한 hpc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198897B1 (ko) 개구형 프리스트레스드 강합성 단경간 유-거더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80103678A (ko) 강합성거더 제작방법 및 강합성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1117497B1 (ko) 연속경간의 아치형상 복합거더 교량의 시공방법
KR100911148B1 (ko) 교량의 경량화된 코핑
KR100891933B1 (ko) 티형 강재를 이용한 합성보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구조물 시공방법
KR101286112B1 (ko) 수직강관을 복부재로 이용한 합성거더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KR20010005431A (ko) 강콘크리트 구조시스템
KR100937252B1 (ko) 프리스트레스 강합성빔 및 그 제작 방법
KR100593664B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합성바닥판 시공방법
KR20140125754A (ko) 교각 연속지점부를 거더 연결형 코핑부로 형성하는 교량 시공 방법
CN112144412A (zh) 预制装配式柱间系梁的施工方法
KR20090075484A (ko) 프리플렉스 합성형 중ㆍ하로거더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878762B1 (ko) 보춤을 줄일 수 있는 기둥과 보의 이중 결합 구조
KR100946715B1 (ko) 시공단계를 고려한 단일 경간 스플라이스드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 거더 교량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80004752U (ko) 초간편시공이 가능한 강합성 교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1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7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1104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103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102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120713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20130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