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9637A - Cleaning system for waste-water purifier - Google Patents
Cleaning system for waste-water purifi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89637A KR20100089637A KR1020090008973A KR20090008973A KR20100089637A KR 20100089637 A KR20100089637 A KR 20100089637A KR 1020090008973 A KR1020090008973 A KR 1020090008973A KR 20090008973 A KR20090008973 A KR 20090008973A KR 20100089637 A KR20100089637 A KR 201000896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mbrane
- tank
- membrane separation
- water
- wastewa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8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7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8000007872 dega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8235 industrial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13019 agi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809 Tefl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6362 Teflo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BZHJMEDXRYGGRV-UHFFFAOYSA-N Vin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 BZHJMEDXRYGGRV-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XECAHXYUAAWDEL-UHFFFAOYSA-N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C.C=CC#N.C=CC1=CC=CC=C1 XECAHXYUAAWDEL-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0122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676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249 desinf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3618 particulate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104 soli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76 aerato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42 industrial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1240 inorganic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3690 Bos tau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49 advanced processing technolog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01 back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49 chemical water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58 re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12 sanit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31 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88 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43 water by ty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5—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 C02F3/108—Immobilising gels, polymers or the lik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9—Characterized by the shap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BNR(Biological Nutrient Removal) 공정과 막분리 공정 및 오존접촉 공정으로 이루어진 폐수처리 시스템을 통해 분리막 처리용량에 따라 탄력적으로 처리유량을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처리대상업체의 조업율에 따른 폐수 발생유량에 연동되도록 분리막의 처리유량을 결정하여 운전시간에 따른 막의 차압상승을 최소화하여 결과적으로 강제적 세정을 필요로 하는 기간을 늘려줄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원폐수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유량조정조; 수중교반과 표면폭기를 통한 무산소조건 또는 호기조건을 조성하여 질소를 제거하는 BNR 반응조; BNR 반응조 상의 원폐수를 수중교반하거나 표면폭기를 수중교반 표면폭기기; 유량조정조 내부의 원폐수를 BNR 반응조의 내부로 이송하는 원폐수 이송수단; BNR 반응조로부터 이송된 폐수에 산기를 통해 산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호기조건하에서 질산화에 의한 질소의 제거와 미생물의 과잉 섭취에 의한 인성분의 제거 및 고액분리가 이루어지는 막분리조; 막분리조의 내부에 용존산소를 공급하는 산기수단; 막분리조 내부의 폐수에 침지되어 폐수를 고액분리하는 막분리수단; BNR 반응조와 막분리조의 잉여슬러지를 인발하는 잉여슬러지 인발수단; 막분리조로부터 상등수를 유입시켜 용존산소의 감소를 통해 탈질을 유도하는 탈기조; 탈기 처리수를 BNR 반응조로 반송시키는 탈기 처리수 반송수단; 막분리수단을 통해 고액분리가 이루어진 막처리수를 저장하는 막처리수 저장조; 막처리수 저장조의 방류수계로 방류하는 막처리수 방류관; 막처리수 방류관을 통해 방류되는 막처리수를 유입시켜 오존(O3)과의 접촉을 통해 살균 소독 및 유·무기성 오염물질을 산화 제거하여 공업용수로 재이용될 수 있는 재이용수를 생성하는 오존접촉수단; 및 막분리수단을 세정하여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막분리 세정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membrane separation, by allowing the treatment flow rate to be flexibly adjusted according to the membrane treatment capacity through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consisting of a BNR (Biological Nutrient Removal) process, a membrane separation process, and an ozone contact process. The purpose is to determine the treatment flow rate of the membrane to be linked to the wastewater generation flow r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rate of the treatment company, to minimize the differential pressure increase of the membrane according to the operating time, and consequently to increase the period for which the forced cleaning is required.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for this purpose is a flow rate adjustment tank made of inflow of raw waste water; A BNR reactor for removing nitrogen by forming anoxic conditions or aerobic conditions through water stirring and surface aeration; Stirring the wastewater in the BNR reactor in water or stirring the surface aeration; Raw waste water transfer means for transferring the raw waste water inside the flow rate adjustment tank into the BNR reactor; A membrane separation tank for continuously supplying oxygen to the wastewater transferred from the BNR reaction tank through an acid group to remove nitrogen by nitrification and to remove phosphorus by excessive intake of microorganisms and to separate solid-liquid separation under aerobic conditions; Diffuser means for supplying dissolved oxygen into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Membrane separation means for immersing in the wastewater inside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for solid-liquid separation of the wastewater; Excess sludge drawing means for drawing excess sludge from the BNR reactor and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Degassing tank for introducing the supernatant from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to induce denitrification through the reduction of dissolved oxygen; Degassed water returning means for returning degassed water to a BNR reactor; A membrane treated water storage tank for storing membrane treated water in which solid-liquid separation is performed through membrane separation means; A membran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discharged into the discharge water system of the membrane treated water storage tank; The membrane treat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membran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is introduced to disinfect and disinfect and remove organic and inorganic contaminants through contact with ozone (O 3 ) to generate recycled water that can be reused as industrial water. Ozone contact means; And a membrane separation means for cleaning the membrane separation means to remove the adhered foreign matt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폐수의 고도처리를 통해 안정적인 처리수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BNR(Biological Nutrient Removal) 공정과 막분리 공정 및 오존접촉 공정을 통해 오·폐수를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세정모듈을 통한 평막모듈의 세정을 시스템 내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a membrane separation to ensure a stable treatment water through the advanced treatment of wastewater, more specifically, BNR (Biological Nutrient Removal) process, membrane separation process and ozone contact proces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membrane separation that enables to stably treat wastewater and wastewater, as well as to allow cleaning of the flat membrane module through the cleaning module in the system.
일반적으로 급격한 경제발전 과정에서 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였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처럼 환경보전에 대한 인식의 부족으로 인하여 대기는 물론 수질 또한 그 오염의 정도가 매우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다. 특히, 생활하수, 농·축산폐수 및 산업폐수 등은 호소·내만 및 내해 등의 공용 수역과 도시 중소 하천 등의 수질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It is well known that there is a lack of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 in the course of rapid economic development. Due to this lack of awareness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the level of pollution as well as air quality has reached a very serious level. In particular, domestic sewage, agricultural and livestock wastewater, and industrial wastewater cause pollution of public waters such as appeals, inner bays and inland seas, and urban small and medium rivers.
근래에 들어서 급속한 산업의 발전과 인구증가 및 도시의 인구집중으로 인하여 각종 용수량의 증가와 함께 오·폐수 중에는 무기 및 유기성분이 차지하는 비율 이 점차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오·폐수의 경우 COD(Chemical Oxygen Demand),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SS(현탁물질), 질소, 인 등 고농도의 유기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하천, 호소 및 댐 등에 그대로 흘러들어가면 부영양화 등 수자원의 오염은 물론, 독성으로 인한 생태계의 파괴 등으로 이어져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오·폐수는 일정의 기준을 정해 놓고 일정의 기준치 이하로 정화시켜 배수하도록 되어 있다.In recent years, due to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population growth, and urban population concentration, the proportion of inorganic and organic components in wastewater and wastewater is gradually increasing along with the increase of various water volumes. Such waste water contains high concentrations of organic substances such as chemical oxygen demand (COD),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suspended solids (SS), nitrogen and phosphorus, and flows into rivers, lakes, dams, etc. Pollution, as well as the destruction of the ecosystem due to toxicity will adversely affect the environment. Therefore, the waste water and waste water are set to a predetermined standard, and purified and drained to below a predetermined standard value.
한편, 수질환경오염 제어기술로서 막을 이용한 수처리 기술은 다양한 유독성 오염물질의 출현과 이를 제거하기 위한 고도처리기술 및 기존 처리시설의 제거효율을 높이기 위한 기술로써 그 활용성이 매우 커지고 있다. 특히, 이러한 막을 이용한 수처리 기술은 1) 화학적 처리와 생물학적 처리 및 막을 병용한 기술, 2) 화학적 처리와 막을 병용한 기술, 3) 물리적 처리와 막을 병용한 기술 등의 복합적인 방법으로 수처리 시스템 상에 적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treatment technology using the membrane as a water pollution control technology has emerged a variety of toxic contaminants, advanced processing technology for removing them and technology to increase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existing treatment facility has been very useful. In particular, the water treatment technology using the membrane is a combination of 1) chemical treatment, biological treatment and membrane, 2) chemical treatment and membrane, and 3) physical treatment and membrane. Is being applied.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막을 이용한 수처리 기술은 정수처리, 난분해성의 산업폐수처리, 축산폐수처리, 매립지 침출수의 2차 처리 및 오염된 지하수 처리를 위한 막 공정의 응용이 확대되고 있으나 막의 막힘 현상(fouling)이 쉽게 일어나는 것이 활용성에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However, the water treatment technology using the membrane as described above is expanding the application of the membrane process for water treatment, hardly decomposable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livestock wastewater treatment, secondary treatment of landfill leachate, and contaminated groundwater treatment. Easily fouling is a major problem for usability.
전술한 바와 같이 막의 성능지표인 투과속도(투과율)가 저하되면 다양한 세정과정을 거쳐 재이용되지만 세정약품이나 압축공기 및 세정수 등을 활용하는 기존의 세정방법에 의해서는 막의 성능이 100% 회복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세정과정에서 이용된 약품 등에 의해 또 다른 2차 오염을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기존 의 세정방법은 막의 운전시 흐름을 일시적으로 단절시킨 역세척 방법을 대부분 채택하고 있어 주기적으로 공정의 흐름을 멈추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permeation rate (permeability), which is a performance indicator of the membrane, is reduced, it is reused through various cleaning processes, but the membrane performance cannot be recovered 100% by the conventional cleaning method utilizing cleaning chemicals, compressed air, and washing water.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generates another secondary pollution by the chemicals used in the cleaning process. In particular, the conventional cleaning method adopts most of the backwashing method which temporarily cuts off the flow during operation of the membrane, and thus stops the flow of the process periodically.
다시 말해서, 종래의 기술에 따른 막을 이용한 수처리 기술은 오·폐수의 처리과정에서 오·폐수의 이물질은 분리막에 달라붙어 미세공을 차단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시 원활하고 안정적인 처리수량의 확보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와 막 모듈의 세정시 오·폐수처리 과정을 전면 중단시킨 상태에서 관리자가 각 평막모듈을 직접 분리하고 세척해야 하기 때문에 오·폐수처리가 지연될 뿐 아니라 작업이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음은 물론, 막 모듈을 분리하고 세척하는 과정에서 분리막이 손상되는 문제와 화학적 약품세정으로 인한 2차 오염물질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관리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In other words, the water treatment technology using the membra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because the foreign matter in the waste water is stuck to the separation membrane in the process of waste water treatment to block the micropores, so that a smooth and stable amount of treated water is not secured during long-term use. The problem is that the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is not only delayed, but also inconvenient because the manager has to remove and clean each flat membrane module in a state where the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is completely stopped when cleaning the membrane module.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and cleaning the membrane modu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embrane is damaged and a secondary pollutant caused by chemical cleaning may be caused, thereby increasing the management cost.
따라서, 유체 흐름의 단절없이 연속적으로 막을 운전하면서 세정할 수 있는 방법과 막의 오염에 의한 막힘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즉, 오·폐수를 안정적으로 처리하는 가운데 막 모듈을 동시에 세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ethod capable of cleaning the membrane continuously without interruption of the fluid flow and a technique capable of suppressing the clogging caused by the contamination of the membrane. In other words,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that enables the membrane module to be cleaned simultaneously while stably treating wastewater.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BNR(Biological Nutrient Removal) 공정과 막분리 공정 및 오존접촉 공정으로 이루어진 폐수처리 시스템을 통해 분리막 처리용량에 따라 탄력적으로 처리유량을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처리대상업체의 조업율에 따른 폐수 발생유량에 연동되도록 분리막의 처리유량을 결정하여 운전시간에 따른 막의 차압상승을 최소화하여 결과적으로 강제적 세정을 필요로 하는 기간을 늘려줄 수 있도록 한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flexibly increase the treatment flow rate according to the membrane treatment capacity through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consisting of a Biological Nutrient Removal (BNR) process, a membrane separation process and an ozone contact process. By adjusting it, the treatment flow rate of the membrane is determined so as to be linked to the wastewater generation flow according to the operation rate of the treatment compan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separation.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폐수처리 시스템 내에 막의 세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세정수단을 구성함으로써 폐수의 처리와 막의 세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유체 흐름의 단절없이 연속적으로 막을 운전하면서 세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the cleaning means using ultrasonic waves to allow the cleaning of the membrane in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so that the treatment of the wastewater and the membrane can be simultaneously performed while operating the membrane continuously without interruption of the fluid flow. To allow cleaning to take place.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또 다른 목적은 폐수처리 시스템 내에 막의 세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세정수단의 구성을 통해 폐수의 처리와 막의 세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유체 흐름의 단절없이 연속적으로 막을 운전하면서 세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막의 투과속도를 지속적으로 개선하여 폐수처리 시스템의 운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ing means using ultrasonic waves to clean the membrane in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so that the wastewater can be simultaneously treated and the membrane can be cleaned at the same time without the flow of flui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by continuously improving the permeation rate of the membrane by allowing the cleaning to be performed during operation.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초음파를 이용한 세정모듈의 구성을 통해 평막모듈의 분리막에 부착된 물때나 부유물 등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화학적 세정주기를 늘려주어 약품세정으로 인한 2차 오염물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chemical cleaning cycle b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scales and suspended solids attached to the separator of the flat membrane module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cleaning module using ultrasonic waves to minimize the generation of secondary pollutants due to chemical cleaning The purpose is to make it possible.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은 원폐수의 유입이 이루어져 유기물이나 무기물 등의 초기 침전이 이루어지는 유량조정조; 유량조정조로부터 이 송된 원폐수를 수중교반과 표면폭기를 통한 무산소조건 또는 호기조건을 조성하여 원수 중에 포함된 유기물의 제거 및 탈질·질산화를 통한 질소를 제거하는 BNR 반응조; BNR 반응조 상에 설치되어 이송된 원폐수를 수중교반을 통한 무산소조건을 조성하거나 원폐수의 표면폭기를 통한 산소의 공급을 통해 호기조건을 조성하는 수중교반 표면폭기기; 유량조정조 내부의 원폐수를 BNR 반응조의 내부로 이송하는 원폐수 이송수단; BNR 반응조로부터 이송된 폐수에 산기를 통해 산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호기조건하에서 질산화에 의한 질소의 제거와 미생물의 과잉 섭취에 의한 인성분의 제거 및 고액분리가 이루어지는 막분리조; 막분리조의 내부에 산기를 통한 용존산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호기조건이 조성되도록 하는 산기수단; 막분리조 내부의 폐수에 침지되어 폐수를 고액분리하는 막분리수단; BNR 반응조와 막분리조의 내부에 침전된 잉여슬러지를 인발하는 잉여슬러지 인발수단; 막분리조로부터 상등수를 유입시켜 상등수에 포함된 용존산소의 감소를 통해 탈질을 유도하는 탈기조; 탈기조의 내부에서 탈기된 탈기 처리수를 BNR 반응조로 반송시키는 탈기 처리수 반송수단; 막분리수단을 통해 고액분리가 이루어진 막처리수를 저장하는 막처리수 저장조; 막처리수 저장조의 방류수계로 방류하는 막처리수 방류관; 막처리수 방류관을 통해 방류되는 막처리수를 유입시켜 오존(O3)과의 접촉을 통해 살균 소독 및 유·무기성 오염물질을 산화 제거하여 공업용수로 재이용될 수 있는 재이용수를 생성하는 오존접촉수단; 및 막분리수단을 세정하여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막분리 세정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That is,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the membrane s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low rate adjustment tank in which the initial inflow of the wastewater is made, the initial precipitation of organic or inorganic substances; A BNR reactor for removing the organic matter contained in the raw water and nitrogen through denitrification and nitrification by forming anoxic conditions or aerobic conditions through the stirring and surface aeration of the raw waste water transferred from the flow adjusting tank; Underwater agitation surface aeration equipment installed on the BNR reaction tank to form an aerobic condition through the agitation of the raw waste water transported or through the supply of oxygen through the surface aeration of the raw waste water; Raw waste water transfer means for transferring the raw waste water inside the flow rate adjustment tank into the BNR reactor; A membrane separation tank for continuously supplying oxygen to the wastewater transferred from the BNR reaction tank through an acid group to remove nitrogen by nitrification and to remove phosphorus by excessive intake of microorganisms and to separate solid-liquid separation under aerobic conditions; An aerobic means for continuously supplying dissolved oxygen through an acid group into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so that aerobic conditions are established; Membrane separation means for immersing in the wastewater inside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for solid-liquid separation of the wastewater; Excess sludge drawing means for drawing excess sludge precipitated inside the BNR reactor and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Degassing tank for introducing the supernatant from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to induce denitrification through the reduction of dissolved oxygen contained in the supernatant; Degassing water conveying means for conveying the degassing water degassed in the degassing tank to the BNR reactor; A membrane treated water storage tank for storing membrane treated water in which solid-liquid separation is performed through membrane separation means; A membran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discharged into the discharge water system of the membrane treated water storage tank; The membrane treat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membran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is introduced to disinfect and disinfect and remove organic and inorganic contaminants through contact with ozone (O 3 ) to generate recycled water that can be reused as industrial water. Ozone contact means; And a membrane separation means for cleaning the membrane separation means to remove the adhered foreign matter.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원폐수 이송수단은 유량조정조로부터 BNR 반응조로 연결된 원폐수 이송관; 및 유량조정조에 유입된 원폐수를 원폐수 이송관을 통해 BNR 반응조의 내부로 이송시키는 원폐수 이송펌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Raw wastewater transfer means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 wastewater transfer pipe connected to the BNR reaction tank from the flow rate adjustment tank; And it may be made of a raw waste water transfer pump for transferring the raw waste water introduced into the flow rate adjustment tank into the interior of the BNR reactor through the raw waste water transfer pipe.
본 발명을 구성하는 산기수단은 막분리조의 내측 바닥면 상에 설치되어지되 산소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산기공이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산기관; 및 산기관에 지속적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블로워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air dispersing mean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cid pore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f the oxygen pores are supplied; And a blower that continuously supplies oxygen to the diffuser.
본 발명을 구성하는 막분리수단은 막분리조 내부의 산기관 상부측에 설치되는 막분리 모듈조립체; 막분리 모듈조립체에 의해 막분리된 처리수를 처리수 저장조로 이송하는 처리수 이송관; 및 처리수 이송관 상에 설치되어 흡인압력을 통해 막분리 모듈조립체에서 고액의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흡인펌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Membrane separation mean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mbrane separation module assembly which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ffuser in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A treated water conveying tube for transferring the treated water separated by the membrane separating module assembly to the treated water storage tank; And a suction pump installed on the treated water transport pipe to separate solid solution from the membrane separation module assembly through suction pressure.
전술한 막분리수단을 구성하는 막분리 모듈조립체는 막분리조 내부의 산기관 상부측에 설치되어지되 상하로 개방된 조립체 하우징; 및 조립체 하우징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흡인펌프에 의한 흡인과정에서 이물질을 걸러내어 고액분리하는 다수의 평막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embrane separation module assembly constituting the membrane separation means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ffuser in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the assembly housing opened up and down; And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assembly hous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flat membrane modules to filter off the foreign matter in the suction process by the suction pump to separate the liquid.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잉여슬러지 인발수단은 BNR 반응조와 막분리조 각각에 설치되어 합관되는 슬러지 인발관; BNR 반응조와 막분리조 각각의 슬러지 인발관 상에 설치되어 선택적인 잉여슬러지의 인발이 가능하도록 하는 온/오프 밸브; 및 합관된 슬러지 인발관 상에 설치되어 흡인압력을 통해 BNR 반응조와 막분리조의 내 측 하부에 침전된 잉여슬러지를 흡인하여 배출시키는 슬러지 흡인펌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excess sludge drawing mean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a sludge drawing pipe which is installed in each of the BNR reaction tank and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and piped; An on / off valve installed on the sludge drawing pipe of each of the BNR reactor and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to enable the selective drawing of the excess sludge; And a sludge suction pump installed on the combined sludge drawing pipe to suck and discharge excess sludge settled in the lower side of the BNR reaction tank and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through suction pressure.
본 발명을 구성하는 탈기 처리수 반송수단은 탈기조로부터 BNR 반응조로 연결된 탈기 처리수 반송관; 및 탈기 처리수 반송관 상에 설치되어 탈기조의 탈기 처리된 탈기 처리수를 BNR 반응조로 반송하는 탈기 처리수 반송펌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Degassing water conveying mean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egassing water conveying pipe connected to the BNR reaction tank from the degassing tank; And a degassing water return pump installed on the degassing water return pipe to return the degassed water in the degassing tank to the BNR reactor.
그리고, 본 발명을 구성하는 오존접촉수단은 막처리수 방류관을 통해 방류되는 막처리수를 유입시키는 막처리수 유입펌프; 및 막처리수 유입펌프를 통해 유입된 막처리수에 오존(O3)을 주입 접촉시켜 오존(O3)에 의한 살균 소독 및 유·무기성 오염물질을 산화 제거하여 공업용수로 재이용될 수 있는 재이용수를 생성하는 오존접촉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ozone contact mean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mbrane treated water inflow pump for introducing the membrane treat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membran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And a film contacting the treated injecting ozone (O 3) to the number of films processed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ump ozone (O 3) by removing the oxidation of sterilization and wire and inorganic pollutants by which can be reused as industrial water It may consist of an ozone contactor for producing recycled water.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막분리 세정수단은 막분리조 상의 막분리 모듈조립체를 내부로 옮겨 세정하는 세정조; 오존접촉기를 통해 생성된 재이용수를 세정조의 내부로 공급하여 세정조의 내부로 옮겨진 막분리 모듈조립체를 침지시키는 재이용수 공급관; 세정조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지되 산기를 통해 공기방울을 형성하여 상부에 위치된 막분리 모듈조립체의 내측으로 공급하는 세정용 산기수단; 세정조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초음파의 발진에 의한 초음파 진동을 통해 모듈조립체를 구성하는 평막모듈의 분리막에 부착된 물때나 오염물질을 분리하거나 그 부착력을 약화시키는 초음파 진동자; 및 초음파 진동자에 의한 초음파 진동을 통해 세 정한 후 세정조 내부의 세정수를 유량조정조로 반송시키는 세정수 반송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membrane separation cleaning mean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leaning tank for moving the membrane separation module assembly on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therein; A reuse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recycled water generated through an ozone contactor to the inside of the cleaning tank to immerse the membrane separation module assembly transferred into the cleaning tank; An air dispersing means installed at an inner lower portion of the washing tank and forming air bubbles through the air disperser to supply the inside of the membrane separation module assembly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 ultrasonic vibrator installed at an inner lower portion of the cleaning tank to separate the scales or contaminants attached to the separator of the flat membrane module constituting the module assembly through ultrasonic vibration by the oscillation of the ultrasonic wave or to weaken the adhesion thereof; And washing water conveying means for conveying the washing water inside the washing tank to the flow rate adjusting tank after washing through the ultrasonic vibration by the ultrasonic vibrator.
전술한 막분리 세정수단의 구성에서 세정용 산기수단은 세정조의 내측 바닥면 상에 설치되어지되 산소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산기공이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산기관; 및 산기관에 지속적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블로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세정용 산기수단의 산기관은 막분리조의 내부에 용존산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산기수단의 산기관이 연장 구성된 것이고, 세정용 산기수단의 블로워 역시 막분리조의 내부에 용존산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산기수단의 블로워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structure of the membrane separation cleaning means described above, the air dispersing means for cleaning is provid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leaning tank, the air diffuser having a plurality of acid pores through which oxygen is suppli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blower that continuously supplies oxygen to the diffuser. At this time, the diffuser of the dispersing means for cleaning is an extension of the diffuser means for continuously supplying dissolved oxygen into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and the blower of the dispersing means for cleaning continuously supplies the dissolved oxygen to the inside of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It can be made of a configuration of the blower of the diffuser.
그리고, 전술한 막분리 세정수단의 구성에서 세정수 반송수단은 세정조로부터 유량조정조로 연결된 세정수 반송관; 및 세정수 반송관 상에 설치되어 세정조로부터 세정수 반송관을 통해 유량조정조로 세정수를 반송시키는 세정수 반송펌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An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membrane separation washing means described above, the washing water conveying means comprises: a washing water conveying pipe connected to the flow rate adjusting tank from the washing tank; And a washing water conveying pump installed on the washing water conveying pipe and conveying the washing water from the washing tank to the flow rate adjusting tank through the washing water conveying pip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막분리조와 모듈조립체의 내부에는 산기관으로부터 발생하는 기포에 유동되어 평막모듈의 분리막과 간섭을 통해 분리막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분리하는 다수의 메디아 볼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즉, 메디아 볼은 기포와 함께 상승하는 가운데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평막모듈 사이를 유동하면서 분리막을 간섭하여 이물질이 표면에 부착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상승 후에는 수류를 따라 다시 모듈조립체의 하측으로 재순환하여 연속적으로 분리막을 세정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와 무게를 갖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media balls may be further formed inside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and the module assembly to separate foreign substances adhering to the separation membrane through the interference with the separation membrane of the flat membrane module. have. That is, the media ball flows between the flat membrane module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while rising with bubbles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adhering to the surface by interfering with the separator, and after rising, the media ball is recycled back to the lower side of the module assembly continuously after the flow. It may be made of a configuration having a constant size and weight to clean the separator.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메디아 볼은 외면 전체가 둥근 구형 또는 별 형태의 각 끝단에 날개판이 일체로 형성된 다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메디아 볼은 폴리에틸렌, 아크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테프론, 염화비닐 및 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media bal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olygon with a wing plate integrally formed at each end of a spherical or star shape with an entire outer surface, and the media ball may be polyethylene,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teflon, vinyl chloride and poly It may be formed of any one material of the urethane.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BNR(Biological Nutrient Removal) 공정과 막분리 공정 및 오존접촉 공정으로 이루어진 폐수처리 시스템을 통해 분리막 처리용량에 따라 탄력적으로 처리유량을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처리대상업체의 조업율에 따른 폐수 발생유량에 연동되도록 분리막의 처리유량을 결정하여 운전시간에 따른 막의 차압상승을 최소화하여 결과적으로 강제적 세정을 필요로 하는 기간을 늘려줄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lexibly adjust the treatment flow rate according to the membrane treatment capacity through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consisting of a Biological Nutrient Removal (BNR) process, a membrane separation process, and an ozone contact process. The treatment flow rate of the membrane is determined so as to be linked to the wastewater generation flow rate to minimize the differential pressure increase of the membrane according to the operation time, and consequently to increase the period for which the forced cleaning is required.
또한,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폐수처리 시스템 내에 막의 세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세정수단을 구성함으로써 폐수의 처리와 막의 세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유체 흐름의 단절없이 연속적으로 막을 운전하면서 세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guring the cleaning means using ultrasonic waves to allow the cleaning of the membrane in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so that the treatment of the wastewater and the membrane can be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while cleaning the membrane continuously without operating the flow of fluid This can be done.
아울러,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폐수처리 시스템 내에 막의 세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세정수단의 구성을 통해 폐수의 처리와 막의 세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유체 흐름의 단절없이 연속적으로 막을 운전하면서 세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막의 투과속도를 지속적으로 개선하여 폐수처리 시스템의 운전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configuration of the cleaning means using ultrasonic waves to allow the membrane to be cleaned in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to allow the treatment of the wastewater and the membrane at the same time to operate the membrane continuously without interruption of the fluid flow By allowing the cleaning to be performed,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improve the permeation rate of the membrane to improve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초음파를 이용한 세정모듈의 구성을 통해 평막모듈의 분리막에 부착된 물때나 부유물 등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화학적 세정주기를 늘려주어 약품세정으로 인한 2차 오염물질 발생을 최소화할 수가 있다.Furthermore, the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chemical cleaning cycle b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scales and suspended matter attached to the separator of the flat membrane module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cleaning module using ultrasonic waves to minimize the generation of secondary pollutants due to chemical cleaning. You can do it.
이하에는 본 발명에 따른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membrane s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을 보인 공정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을 보인 블록 구성도, 도 3a 는 본 발명에 따른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의 구성에서 막분리조의 구성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의 구성에서 막분리조의 구성을 보인 평면 구성도, 도 3c 는 본 발명에 따른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의 구성에서 막분리조의 구성을 보인 단면 구성도, 도 3d 는 본 발명에 따른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의 구성에서 막분리조의 구성을 보인 확대 단면 구성도, 도 4a 는 본 발명에 따른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의 구성에서 세정수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 구성도, 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의 구성에서 세정수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a membrane s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a membrane s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membrane s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in the configuration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Figure 3b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in the configuration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the membrane s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c 3D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in the configuration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the membrane s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D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in the configuration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the membrane s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ure 4a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leaning means in the configuration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the membrane s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 membrane s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cross-section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cleaning means in the configuration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100)은 원폐수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유량조정조(110), 유량조정조(110)로부터 이송된 원폐수를 무산소조건/호기조건하에서 원수 중에 포함된 유기 물의 제거 및 탈질·질산화를 통해 질소를 제거하는 BNR 반응조(120), BNR 반응조(120) 상에 설치되어 이송된 원폐수를 수중교반 또는 표면폭기를 통해 무산소조건 또는 호기조건을 조성하는 수중교반 표면폭기기(122), 유량조정조(110)의 원폐수를 BNR 반응조(120)로 이송하는 원폐수 이송수단, BNR 반응조(120)로부터 이송된 폐수에 산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호기조건하에서 질산화에 의한 질소의 제거와 미생물의 과잉 섭취에 의한 인성분의 제거 및 고액분리가 이루어지는 막분리조(130), 막분리조(130)의 내부에 산기를 통한 용존산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호기조건이 조성되도록 하는 산기수단, 막분리조(130) 내부의 폐수에 침지되어 폐수를 고액분리하는 막분리수단, BNR 반응조(120)와 막분리조(130)의 내부에 침전된 잉여슬러지를 인발하는 잉여슬러지 인발수단, 막분리조(130)로부터 상등수를 유입시켜 상등수에 포함된 용존산소의 감소를 통해 탈질을 유도하는 탈기조(150), 탈기조(150)의 내부에서 탈기된 탈기 처리수를 BNR 반응조(120)로 반송시키는 탈기 처리수 반송수단, 막분리수단을 통해 고액분리가 이루어진 막처리수를 저장하는 막처리수 저장조(160), 막처리수 저장조(160)의 상등수를 집수하거나 방류수계로 방류하는 막처리수 방류관(162), 막처리수 방류관(162)을 통해 방류되는 막처리수를 유입시켜 오존(O3)과의 접촉을 통해 살균 소독 및 유·무기성 오염물질을 산화 제거하여 공업용수로 재이용될 수 있는 재이용수를 생성하는 오존접촉수단 및 막분리수단을 세정하여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막분리 세정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1 to 4,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100 using the membrane s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noxic condition for the raw wastewater transferred from the flow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100)을 통한 폐수처리 과정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폐수 등의 원폐수는 유량조정조(110)로 유입되어 입자성 물질이나 원폐수에 포함된 유·무기성 오염물질의 초기 침전이 이루어진다. 물론, 이러한 유량조정소(110) 폐수의 처리용량에 따른 원폐수의 유입 유량을 조정하여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한다.The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through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100 using the membrane s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raw wastewater, such as waste water flows into th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유량조정조(110)를 통해 초기 침전이 이루어진 원폐수는 원폐수 이송수단을 통해 BNR 반응조(120)의 내부로 이송된다. 이처럼 BNR 반응조(120)의 내부로 이송된 원폐수를 수중교반 표면폭기기(122)에 의한 수중교반을 통해 무산소조건 또는 원폐수의 표면폭기에 따른 호기조건으로 조성함으로써 혐기적 소화와 탈질반응 및 질산화를 통해 질소를 제거하게 된다. 즉, 수중교반을 통한 무산소조건을 조성하여 유기물을 배양기로 한 혐기적 소화와 탈질반응이 연속적으로 일어나도록 하여 질소를 제거하는 한편, 표면폭기를 통해 호기조건을 조성하여 원폐수에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원폐수 속에 존재하는 질소를 질산화를 통하여 제거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raw waste water in which the initial precipitation is made through the
전술한 바와 같이 BNR 반응조(120)의 내부에서 혐기적 소화와 탈질반응 및 질산화를 통해 질소가 되는 과정에서 잉여슬러지는 BNR 반응조(120)의 하부로 침전되어진다. 이처럼 BNR 반응조(120)의 내부에서 혐기적 소화와 탈질반응 및 질산화를 통해 질소가 어느 정도 제거된 상태의 폐수는 막분리조(130)로 유입된다. 이때, 막분리조(130)로 유입되는 폐수는 수위차에 의해 유입되고, 유입되는 폐수는 BNR 반응조(120) 상의 상등액이다.As described above, excess sludge is precipita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전술한 바와 같이 BNR 반응조(120)로부터 수위차에 의해 막분리조(130)로 유입된 상등수인 폐수는 산기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산소에 의해 호기조건으로 조성되어 폐수에 포함된 질소와 인성분의 제거가 이루어진다. 즉, 산기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용존산소의 조건하에서 폐수 속에 존재하는 질소를 질산화를 통하여 제거하는 한편 폐수 속에 포함된 각종 유기물을 배양기로 하여 용존산소의 존재하에서 미생물의 혼합집단을 연속 배양하여 질소와 인성분을 제거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wastewater, which is the supernatant introduced into the
또한, 막분리조(130)에 유입된 폐수는 막분리수단을 통해 고액이 분리되어 입자성 물질이나 폐수에 포함된 유·무기성 오염물질은 막분리수단에 의해 걸러지게 되고, 액만이 막분리수단을 통과하여 후술하는 막처리수 저장조(160)로 저장되어진다. 즉, 막분리조(130)에 유입된 폐수는 막분리수단을 통해 막분리된 처리수만이 막처리수 저장조(160)로 저장되어진다.In addition, the wastewater introduced into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막분리조(130)의 내부에서 산기수단과 막분리수단을 통해 질소 및 인성분의 제거와 고액분리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걸러진 입자성 물질이나 폐수에 포함된 유·무기성 오염물질 등의 잉여슬러지는 막분리조(130)의 내측 하부에 침전되어진다.As described above, particulate matter or organic / inorganic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wastewater filtered in the process of removing nitrogen and phosphorus components and solid-liquid separation through an acid means and a membrane separation means in the
한편, 막분리조(130)에 내부의 폐수 중에 상등수는 수위차에 의해 탈기조(150)로 유입되어 탈기조(150) 내부에서 탈기과정을 통해 상등수에 포함된 용존산소의 감소가 이루어진다. 즉, 탈기조(150)에서는 유입된 상등수의 탈기가 이루어져 상등수에 포함된 용존산소의 감소가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supernatant in the wastewater inside the
전술한 바와 같이 탈기과정을 거쳐 용존산소의 감소가 이루어진 상등수는 탈 기 처리수 반송수단을 통해 BNR 반응조(120)의 내부로 반송되어 BNR 반응조(120) 내부의 폐수와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혐기적 소화와 탈질반응 및 질산화를 통한 질소의 제거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upernatant of which dissolved oxygen is reduced through the degassing process is returned to the inside of the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폐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BNR 반응조(120)와 막분리조(130)의 내측 하부에 침전된 잉여슬러지는 잉여슬러지 인발수단을 통해 인발되어 슬러지 처리시설로 모여지게 된다. 이때, BNR 반응조(120)와 막분리조(130)의 내측 하부에 침전된 잉여슬러지 각각은 선택적으로 인발되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excess sludge precipitated in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막분리수단을 통해 고액분리되어 막처리수 저장조(160)에 저장된 막처리수는 막처리수 방류관(162)을 통해 방류수계로 방류되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membrane treated water separated through the membrane separation means and stored in the membrane treated
본 발명을 구성하는 오존접촉수단은 막분리수단을 통해 고액분리되어 막처리수 저장조(160)에 저장된 막처리수를 공업용수 등에 재이용하기 위한 재이용수를 생성한다. 즉, 오존접촉수단은 막처리수 방류관(162)을 통해 방류수계로 방류되는 막처리수를 유입시켜 오존(O3)과의 접촉을 통해 살균 소독 및 유·무기성 오염물질을 산화 제거하여 공업용수로 재이용될 수 있는 재이용수를 생성한다.The ozone contact mean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solid-liquid separation through the membrane separation means to generate reused water for recycling the membrane treated water stored in the membrane treat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100)의 특징 중 하나인 막분리 세정수단에서는 막분리조(130)에 설치되어 고액분리하는 막분리수단의 막분리 모듈조립체(134)를 세정하기 위해 초음파를 이용한다. 이때, 세정수로는 오존접촉수단을 통해 생성된 재이용수를 이용하고, 막분리수단의 막분리 모듈조립체(134)를 세정하는데 이용된 세정수는 유량조정조(110)의 내부로 반송되어 앞서의 폐수처리 과정을 거쳐 정수처리 되어진다.On the other hand, in the membrane separation cleaning means which is one of the features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100 using the membrane s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본 발명에 따른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량조정조(110)는 원폐수의 유입에 따른 처리유량을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유량조정조(110)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폐수의 유입이 이루어져 저장되는 한편 원폐수에 포함된 입자성 물질이나 유·무기성 오염물질 등의 초기 침전이 이루어진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100 using the membrane s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rst, the
전술한 바와 같은 유량조정조(110)는 본 발명에 따른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100)의 처리용량에 따라 설계되기 때문에 유입되는 유량이 자연스럽게 조정되어진다. 그리고, 유량조정조(110)로 유입된 원폐수를 일정시간 방치하게 되면 원폐수에 포함된 입자성 물질이나 유·무기성 오염물질 등의 초기 침전이 이루어진다.Since the flow
본 발명을 구성하는 BNR 반응조(120)는 무산소조건 및 호기조건하에서 원수 중에 포함된 유기물의 제거 및 탈질·질산화를 통해 질소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BNR 반응조(120)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조정조(110)로부터 이송된 원폐수를 수중교반과 표면폭기를 통한 무산소조건과 호기조건을 조성하여 원수 중에 포함된 유기물의 제거 및 탈질·질산화를 통해 질소를 제거한다.Th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BNR 반응조(120)에는 BNR 반응조(120)의 내부로 유입된 폐수를 수중교반하거나 표면폭기를 하는 수중교반 표면폭기기(122)가 구성된다. 이러한 수중교반 표면폭기기(122)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BNR 반응조(120)의 내부로 유입된 폐수를 수중교반을 통해 무산소소건을 조성하는 한편 폐수의 표면폭기를 통해 폐수에 산소를 공급하여 호기조건을 조성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수중교반 표면폭기기(122)에 의한 폐수의 수중교반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폐수 중의 유기물을 배양기로 한 혐기적 소화와 탈질반응이 연속적으로 일어나 질소의 제거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수중교반 표면폭기기(122)에 의한 폐수의 표면폭기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산소의 공급에 따른 질산화에 의해 질소의 제거가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agitation of the wastewater by the underwater aeration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BNR 반응조(120)는 무산소 또는 호기조건의 가변적인 운전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수중교반 표면폭기기(122)를 통해 순수한 수중교반시의 무산소조건의 경우 탈질에 필요한 유기탄소원을 공급하고, 표면폭기의 호기조건의 경우에는 원활한 DO 공급을 통한 질산화 조건의 형성으로 생물학적인 질소처리가 가능한 기술을 제공한다.In other words, the
전술한 바와 같이 BNR 반응조(120)의 내부에서 무산소조건과 호기조건하에서 혐기적 소화와 탈질반응 및 질산화를 통해 질소의 제거가 어느 정도 이루어진 폐수는 막분리조(130)로 유입된다. 이때, 막분리조(130)로 유입되는 폐수는 수위차에 의해 유입되고, 유입되는 폐수는 BNR 반응조(120) 상의 상등액이다.As described above, wastewater in which nitrogen is removed to some extent through anaerobic digestion, denitrification, and nitrification under anoxic and aerobic conditions is introduced into the
본 발명을 구성하는 원폐수 이송수단은 유량조정조(110)의 내부에 저장된 원폐수를 BNR 반응조(120)의 내부로 강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원폐수 이송수단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조정조(110)로부터 BNR 반응조(120)로 연결된 원폐수 이송관(112) 및 유량조정조(110)에 유입된 원폐수를 원폐수 이송관(112)을 통해 BNR 반응조(120)의 내부로 이송시키는 원폐수 이송펌프(114)로 이 루어진다.The wastewater conveying mean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forcibly conveying the wastewater stored in the
한편, 본 발명을 구성하는 막분리조(130)는 BNR 반응조로부터 이송된 폐수에 산기를 통해 산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호기조건하에서 질산화에 의한 질소의 제거와 미생물의 과잉 섭취에 의한 인성분의 제거 및 고액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막분리조(130)에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분리조(130)의 내부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기수단과 고액분리를 통해 막처리수를 생성하는 막분리수단이 구성되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막분리조(130)의 내부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기수단은 도 1, 도 3a 내지 도 3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분리조(130)의 내측 바닥면 상에 설치되어지되 산소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산기공(132-1)이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산기관(132) 및 산기관(132)에 지속적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블로워(132a)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블로워(132a)에 의해 공급되는 산소는 산기관(132)의 산기공(132-1)을 통해 공기방울 형태로 막분리조(130) 내의 폐수에 공급되어 막분리조(130) 내부를 호기조건으로 조성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air dispersing means for supplying oxygen into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산기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산소에 의해 호기조건으로 조성되면 폐수에 포함된 질소와 인성분의 제거가 이루어진다. 즉, 산기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용존산소의 조건하에서 폐수 속에 존재하는 질소를 질산화를 통하여 제거하는 한편 폐수 속에 포함된 각종 유기물을 배양기로 하여 용존산소의 존재하에서 미생물의 혼합집단을 연속 배양하여 질소와 인성분을 제거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mposition is formed under aerobic conditions by oxygen supplied through the acidic means, the nitrogen and phosphorus components contained in the waste water are removed. In other words, the nitrogen present in the wastewater is removed through nitrification under the conditions of dissolved oxygen supplied by the acidic means, and various organic matters contained in the wastewater are incubated to continuously incubate a mixed group of microorganisms in the presence of dissolved oxygen. Phosphorus is removed.
그리고, 막분리수단은 폐수에 포함된 입자성 물질이나 유·무기성 오염물질 을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막분리수단은 도 1, 도 3a 내지 도 3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분리조(130) 내부의 산기관(132) 상부측에 설치되는 막분리 모듈조립체(134), 막분리 모듈조립체(134)에 의해 막분리된 처리수를 처리수 저장조(160)로 이송하는 처리수 이송관(136); 및 처리수 이송관(136) 상에 설치되어 흡인압력을 통해 막분리 모듈조립체(134)에서 고액의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흡인펌프(138)로 이루어진다.The membrane separation means is for separating particulate matter or organic / inorganic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wastewater. The membrane separation means is a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막분리수단의 구성에서 막분리 모듈조립체(134)는 막분리조(130) 내부의 산기관(132) 상부측에 설치되어지되 상하로 개방된 조립체 하우징(134a) 및 조립체 하우징(134a)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흡인펌프(138)에 의한 흡인과정에서 이물질을 걸러내어 고액분리하는 다수의 평막모듈(134b)로 이루어진다. 이때, 평막모듈(134b)은 양측에 구성된 분리막(134b-1)을 통해 흡인펌프(138)의 흡입과정에서 고액을 분리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onfiguration of the membrane separation means as described above, the membrane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막분리수단은 흡인펌프(138)의 가동이 이루어지면 흡인펌프(138)의 흡인압력에 의해 평막모듈(134b)의 분리막(134b-1)에서는 모듈조립체(134) 내부의 오·폐수로부터 이물질의 분리가 이루어지면서 이물질이 분리된 상태의 처리수는 평막모듈(134b) 상부의 처리수 유출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처리수 이송관(136)으로 배출되어진다. 이때, 처리수 이송관(136)으로 유입된 막처리수는 흡인펌프(138)를 통해 막처리수 저장조(160)로 집수되어진다.When the membrane separation mean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operated by the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잉여슬러지 인발수단은 BNR 반응조(120)와 막분리조(130)의 내측 하부에 침전된 잉여슬러지를 인발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잉 여슬러지 인발수단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BNR 반응조(120)와 막분리조(130) 각각에 설치되어 합관되는 슬러지 인발관(140), BNR 반응조(120)와 막분리조(130) 각각의 슬러지 인발관(140) 상에 설치되어 선택적인 잉여슬러지의 인발이 가능하도록 하는 온/오프 밸브(142a, 142b) 및 합관된 슬러지 인발관(140) 상에 설치되어 흡인압력을 통해 BNR 반응조(120)와 막분리조(130)의 내측 하부에 침전된 잉여슬러지를 흡인하여 배출시키는 슬러지 흡인펌프(144)로 이루어진다.The excess sludge drawing mean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drawing the excess sludge precipitated in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BNR 반응조(120)의 탈질반응 및 질산화 과정을 통해 질소를 제거하는 과정과 막분리조(130)의 고액분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잉여슬러지는 BNR 반응조(120)와 막분리조(130) 각각의 내측 하부에 침전되어지기 때문에 이를 주기적으로 인발하여 주어야 한다. 이에 따른 본 발명에서는 주기적으로 잉여슬러지를 인발하는 잉여슬러지 인발수단을 구성하였다. 이때, 잉여슬러지의 발생 정도에 따라 BNR 반응조(120)와 막분리조(130)의 잉여슬러지를 온/오프 밸브(142a, 142b)의 개폐를 통해 선택적으로 인발할 수 있도록 하였다.As described above, the excess sludg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moving nitrogen through the denitrification and nitrification of the
본 발명을 구성하는 탈기조(150)는 탈기과정을 통해 막분리조(130)로부터 유입된 폐수에 포함된 용존산소의 감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탈기조(150)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분리조(130)로부터 상등수를 유입시켜 상등수에 포함된 용존산소의 감소를 통해 탈질을 유도한다.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막분리조(130)로부터 탈기조(150)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등수는 막분리조(130)와 탈기조(150)의 수위차를 통해 유입된다. 즉, 막분리조(130)에 내부의 폐수 중에 상등수는 수위차에 의해 탈기조(150)로 유입되어 탈기조(150) 내부에서 탈기과정을 통해 상등수에 포함된 용존산소의 감소가 이루어진다. 즉, 탈기조(150)에서는 수위차를 통해 유입된 상등수의 탈기가 이루어져 상등수에 포함된 용존산소의 감소가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supernatant introduced into the
전술한 바와 같이 탈기과정을 거쳐 용존산소의 감소가 이루어진 상등수는 탈기 처리수 반송수단을 통해 BNR 반응조(120)의 내부로 반송되어 BNR 반응조(120) 내부의 폐수와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혐기적 소화와 탈질반응 및 질산화를 통한 질소의 제거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탈기 처리수 반송수단은 탈기조(150)로부터 BNR 반응조(120)로 연결된 탈기 처리수 반송관(152) 및 탈기 처리수 반송관(152) 상에 설치되어 탈기조(150)의 탈기 처리된 탈기 처리수를 BNR 반응조(120)로 반송하는 탈기 처리수 반송펌프(154)로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supernatant of which dissolved oxygen is reduced through the degassing process is returned to the inside of the
본 발명을 구성하는 막처리수 저장조(160)는 막분리조(130)의 막분리수단을 통해 막분리된 막처리수가 저장되는 것으로, 이러한 막처리수 저장조(16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분리조(130)의 막분리수단을 통해 막분리된 막처리수를 방류수계로 방류하기 전에 일정시간 집수하여 방치함으로써 미세 이물질의 침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membrane treated
전술한 바와 같이 막분리수단을 통해 막분리된 막처리수를 방류수계로 방류하기 전에 일정시간 집수 저장한 후에는 막처리수 방류관(162)을 통해 방류수계로 방류한다. 물론, 막처리수 저장조(160)에 저장된 막처리수를 방류수계로 방류할 수도 있지만 공업용수로 재이용되기도 한다. 이때, 공업용수로 재이용하기 위해서는 막처리수를 보다 깨끗하게 정화할 필요성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membrane treated water separated through the membrane separation means is collected and stored for a predetermined time before being discharged into the discharge system, the membrane treated water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system through the membrane treated
전술한 바와 같이 막처리수 저장조(160)에 저장된 막처리수를 공업용수로 재이용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오존접촉수단이 구성되어진다. 이러한 오존접촉수단은 막처리수를 살균 소독 및 유·무기성 오염물질을 산화 제거하여 정화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처리수를 유입시켜 오존(O3)과의 접촉을 통해 살균 소독 및 유·무기성 오염물질을 산화 제거하여 공업용수로 재이용될 수 있는 재이용수를 생성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ozone contact means is configured to reuse the membrane treated water stored in the membrane treate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오존접촉수단의 구성을 살펴보면 막처리수 방류관(162)을 통해 방류되는 막처리수를 유입시키는 막처리수 유입펌프(170) 및 막처리수 유입펌프(170)를 통해 유입된 막처리수에 오존(O3)을 주입 접촉시켜 오존(O3)에 의한 살균 소독 및 유·무기성 오염물질을 산화 제거하여 공업용수로 재이용될 수 있는 재이용수를 생성하는 오존접촉기(172)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ozone contact means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membrane treated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100)은 폐수를 연속적으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평막모듈(134b)의 분리막(134b-1) 외측면 상에 부착되어 원활하고 안정적인 처리수량을 확보하는데 있어 장해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평막모듈(134b)을 주기적으로 세정하여 평막모듈(134b)에 부착된 물때나 부유물 등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원활하고 안정적인 처리수량을 확보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막분리조(130) 상에서 고액분리를 하는 막분리 모듈조립체(134)를 세정하기 위한 막분리 세정수단이 구성되어진다.In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100 using the membrane s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wastewater in the process of continuously treating the wastewater on the
본 발명에 따른 막분리 세정수단은 막분리조(130) 상에서 고액분리를 하는 막분리 모듈조립체(134)를 분리하여 막분리 세정수단으로 옮긴 상태에서 세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막분리 세정수단의 구성을 살펴보면 막분리조(130) 상의 막분리 모듈조립체(134)를 내부로 옮겨 세정하는 세정조(180), 오존접촉기(172)를 통해 생성된 재이용수를 세정조(180)의 내부로 공급하여 세정조(180)의 내부로 옮겨진 막분리 모듈조립체(134)를 침지시키는 재이용수 공급관(182), 세정조(18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지되 산기를 통해 공기방울을 형성하여 상부에 위치된 막분리 모듈조립체(134)의 내측으로 공급하는 세정용 산기수단, 세정조(18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초음파의 발진에 의한 초음파 진동을 통해 막분리 모듈조립체(134)를 구성하는 평막모듈(134b)의 분리막(134b-1)에 부착된 물때나 오염물질을 분리하거나 그 부착력을 약화시키는 초음파 진동자(184) 및 초음파 진동자(184)에 의한 초음파 진동을 통해 세정한 후 세정조(180) 내부의 세정수를 유량조정조(110)로 반송시키는 세정수 반송수단으로 이루어진다.Membrane separation clean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out in a state in which the membrane
전술한 바와 같은 막분리 세정수단의 구성에서 초음파 진동자(184)는 도 4a 및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조(180)의 바닥면과 모듈조립체(134)의 하부면 사이에 설치되어지되 더욱 정확하게는 세정용 산기관(132)의 사이에 포크와 같은 형태로 설치된다. 이처럼 설치된 초음파 진동자(184)는 초음파 발생장치에 의한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켜 평막모듈(134b)의 분리막(134b-1) 외측면 상에 부착된 물때나 부유물 등의 이물질을 분리되도록 하거나 그 부착력을 약화시켜 세정용 산기관(132)에 의한 수류에 의해 분리막(134b-1)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In the configuration of the membrane separation cleaning means as described above, the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막분리 세정수단의 구성에서 세정용 산기수단은 세정조(180)의 내측 바닥면 상에 설치되어지되 산소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산기공(132-1)이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산기관(132) 및 산기관(132)에 지속적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블로워(132a)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in the configuration of the membrane separation cleaning means as described above, the cleaning air dispersing means is install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전술한 바와 같은 세정용 산기수단의 산기관(132)은 막분리조(130)의 내부에 용존산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산기수단의 산기관(132)이 연장 구성된 것이고, 세정용 산기수단의 블로워(132a) 역시 막분리조의 내부에 용존산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산기수단의 블로워(132a)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막분리 세정수단의 구성에서 세정수 반송수단은 세정조(180)로부터 유량조정조(110)로 연결된 세정수 반송관(186) 및 세정수 반송관(186) 상에 설치되어 세정조(180)로부터 세정수 반송관(186)을 통해 유량조정조(110)로 세정수를 반송시키는 세정수 반송펌프(186a)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in the configuration of the membrane separation cleaning means described above, the washing water conveying means is provided on the washing
전술한 바와 같이 막분리 세정수단을 통해 막분리 모듈조립체(134)를 세정한 후에 발생되는 세정수는 오염물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세정수 반송수단을 통해 유량조정조(110)로 반송시켜 재처리할 필요성이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ashing water generated after washing the membran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막분리조(130)와 모듈조립체(134)의 내부에는 산기관(132)으로부터 발생하는 기포에 유동되어 평막모듈(134b)의 분리막(134b-1)과 간섭을 통해 분리막(134b-1)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다수의 메디아 볼(190)이 더 구성되어진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lows into the bubbles generated from the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메디아 볼(190)은 기포와 함께 상승하는 가운데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평막모듈(134b) 사이를 유동하면서 분리막(134b-1)을 간섭하여 이물질이 표면에 부착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상승 후에는 수류를 따라 다시 모듈조립체(134)의 하측으로 재순환하여 연속적으로 분리막(134b-1)을 세정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와 무게를 갖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에는 평막모듈(134b)의 분리막(134b-1)과 간섭을 통해 분리막(134b-1)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다수의 메디아 볼(190)이 더 구성되어진다. 즉, 막분리 모듈조립체(134)의 내부에는 산기관(132)으로부터 발생하는 기포에 유동되어 평막모듈(134b)의 분리막(134b-1)과 간섭을 통해 분리막(134b-1)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분리하는 다수의 메디아 볼(190)이 더 구성된다.In other words, th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메디아 볼(190)은 기포와 함께 상승하는 가운데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평막모듈(134b) 사이를 유동하면서 분리막(134b-1)을 간섭하여 분리막(134b-1) 표면에 이물질이 달라붙지 않도록 하는 한편 달라붙은 이물질은 분리되도록 한다. 이처럼 작용하는 메디아 볼(190)은 상승 후에는 수류를 따라 다시 모듈조립체(134)의 하측으로 재순환하여 연속적으로 분리막(134b-1)을 세정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와 무게를 갖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메디아 볼(190)은 외면 전체가 둥근 구형 또는 별 형태의 각 끝단에 날개판이 일체로 형성된 다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재질은 폴리에틸렌, 아크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테프론, 염화비닐 및 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다.The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메디아 볼(190)은 막분리조(130) 내부에서 수류를 따라 상하로 순환하면서 연속적으로 각 평막모듈(134b)의 분리막(134b-1)을 두드릴 수 있도록 많은 수로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메디아 볼(190)은 산기관(132)으로부터 발생되는 기포에 의해 상승되는 한편, 기포가 없는 곳에서는 자체 하중에 의해 하부로 가라앉을 수 있도록 일정한 무게로 형성된다. 또한, 메디아 볼(190)은 기포에 의해 원활하게 상승하면서 분리막(134b-1)을 두드려 이물질을 떨어트릴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진다.In other words, the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을 보인 공정 구성도.1 is a process diagram showing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a membrane s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을 보인 블록 구성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a membrane sepa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는 본 발명에 따른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의 구성에서 막분리조의 구성을 보인 사시 구성도.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in the configuration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the membrane s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의 구성에서 막분리조의 구성을 보인 평면 구성도.Figure 3b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in the configuration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the membrane s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c 는 본 발명에 따른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의 구성에서 막분리조의 구성을 보인 단면 구성도.Figure 3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in the configuration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the membrane s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d 는 본 발명에 따른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의 구성에서 막분리조의 구성을 보인 확대 단면 구성도.Figure 3d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in the configuration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the membrane s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는 본 발명에 따른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의 구성에서 세정수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 구성도.Figure 4a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leaning means in the configuration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membrane s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의 구성에서 세정수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 구성도.Figure 4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leaning means in the configuration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membrane s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Simple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폐수처리 시스템 110. 유량조정조100.
112. 원폐수 이송관 114. 원폐수 이송펌프112.
120. BNR 반응조 122. 수중교반 표면폭기기120.
130. 막분리조 132. 산기관130.
132a. 블로워 134. 막분리 모듈조립체132a.
134a. 조립체 하우징 134b. 평막모듈134a.
134b-1. 분리막 136. 처리수 이송관134b-1.
138. 흡인펌프 140. 슬러지 인발관138.
142. 온/오프 밸브 144. 슬러지 흡인펌프142. On /
150. 탈기조 152. 탈기 처리수 반송관150.
154. 탈기 처리수 반송펌프 160. 막처리수 저장조154. Degassed
162. 막처리수 방류관 170. 막처리수 유입펌프162.
172. 오존접촉기 180. 세정조172.
182. 재이용수 공급관 184. 초음파 진동자182. Recycled
186. 세정수 반송관 186a. 세정수 반송펌프186. Washing
190. 메디아 볼190.Media Ball
Claims (1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8973A KR100992827B1 (en) | 2009-02-04 | 2009-02-04 |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Membrane Separ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8973A KR100992827B1 (en) | 2009-02-04 | 2009-02-04 |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Membrane Separa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9637A true KR20100089637A (en) | 2010-08-12 |
KR100992827B1 KR100992827B1 (en) | 2010-11-09 |
Family
ID=42755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08973A Active KR100992827B1 (en) | 2009-02-04 | 2009-02-04 |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Membrane Separ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92827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980090B2 (en) | 2011-07-15 | 2015-03-17 |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Apparatus and method for alternative aeration-effluent wastewater treatment using ceramic membrane |
CN107973393A (en) * | 2017-12-20 | 2018-05-01 | 武汉芳笛环保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flat placed type low pressure membrane filter bioreactor |
CN119638143A (en) * | 2025-02-18 | 2025-03-18 | 鄂尔多斯市安信泰环保科技有限公司 | Biological coupling treatment device and method for high-salt organic wastewat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84448B1 (en) | 2018-04-11 | 2018-08-01 | 주식회사 장산이엔지 | advanced water treating apparatus using ozone |
KR102122549B1 (en) | 2019-05-14 | 2020-06-12 | 덕인환경주식회사 | water treating apparatus for sewage and wastewater |
KR102289941B1 (en) | 2021-04-14 | 2021-08-13 | 주식회사 장산이엔지 | water treating apparatus for sewage and wastewater |
KR102670533B1 (en) | 2023-11-02 | 2024-05-29 | 주식회사 장산이엔지 | advanced water-treating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37572B1 (en) * | 2005-07-07 | 2005-12-19 | 주식회사 유성건설 | Advanced treatment of sewage 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chemical component such as nitrogen and phosphorus and fog reducing sludge |
KR100540012B1 (en) * | 2005-07-26 | 2005-12-29 | (주)대성그린테크 | Ds-lt system |
-
2009
- 2009-02-04 KR KR1020090008973A patent/KR100992827B1/en active Active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980090B2 (en) | 2011-07-15 | 2015-03-17 |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Apparatus and method for alternative aeration-effluent wastewater treatment using ceramic membrane |
CN107973393A (en) * | 2017-12-20 | 2018-05-01 | 武汉芳笛环保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flat placed type low pressure membrane filter bioreactor |
CN119638143A (en) * | 2025-02-18 | 2025-03-18 | 鄂尔多斯市安信泰环保科技有限公司 | Biological coupling treatment device and method for high-salt organic wastewa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92827B1 (en) | 2010-1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274800B (en) | Membrane Separation Activated Sludge Plant | |
US8910799B2 (en) | Integrated membrane system for distributed water treatment | |
KR100992827B1 (en) |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Membrane Separation | |
KR0180853B1 (en) | An ultrapure water producing device equipped with a pretreatment device for performing both organic and anaerobic treatment | |
KR100927629B1 (en) | Wastewater treatment method and device | |
KR101210536B1 (en) | Sewage treat device for marine use | |
KR20160074305A (en) | Apparatus for sewage treatment of ship using moving bed bio reactor | |
KR20140114586A (en) | Sludge and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of High Density and nitrogen treatment process using the same | |
KR100989414B1 (en) | Equipment for the treatment of waste liquid using water-purifier tank | |
KR101069773B1 (en) | Membrane bioreactor, water disposa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
KR200336701Y1 (en) | Polluted river-water purification system using direct aeration | |
KR101204395B1 (en) | The apparatus to treat municipal and industrial wastewater | |
JP6371970B2 (en) | Water treatment equipment | |
KR102122549B1 (en) | water treating apparatus for sewage and wastewater | |
KR101181800B1 (en) | The method and apparatus to treat municipal and industrial wastewater | |
KR20150057501A (en) |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Using Membrane with a single reactor | |
JP2006205155A (en) | Anaerobic tank and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 |
KR20150081920A (en) | advanced treatment device of wastewater and advanced treatment method of wastewater | |
KR100344848B1 (en) | apparatus for preventing pollution using membrane of immersed type and method for cleaning membrane of immerced type | |
JP2006289153A (en) | Sewage pur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 |
JP2007136378A (en) | Septic tank | |
CN219429833U (en) | Oilfield fracturing fluid advanced treatment equipment | |
KR102670533B1 (en) | advanced water-treating system | |
CN211734105U (en) | Broken deironing tails washing effluent disposal system of scraped car | |
KR101341306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Waste Water of Fo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004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5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1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2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0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2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2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