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5811A - 초고층 건물용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초고층 건물용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5811A
KR20100085811A KR1020090041041A KR20090041041A KR20100085811A KR 20100085811 A KR20100085811 A KR 20100085811A KR 1020090041041 A KR1020090041041 A KR 1020090041041A KR 20090041041 A KR20090041041 A KR 20090041041A KR 20100085811 A KR20100085811 A KR 20100085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s
cage
pulley
rope
hoist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8095B1 (ko
Inventor
조항민
Original Assignee
조항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항민 filed Critical 조항민
Publication of KR20100085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5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8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8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07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an electrical linear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06Car frames
    • B66B11/0213Car frames for multi-deck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 B66B5/282Structur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고층 건물의 층간 운송을 위한 승강장치로서, 특히 건물 내 수직통로인 2열의 승강로 각각에 하나 이상 실장된 제 1 및 제 2 케이지를 주 로프(hoist rope)로 연결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하게 한 초고층 건물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2열의 승강로가 마련된 초고층 건물용 승강장치로서, 상기 승강로의 최상층에 장착되고 전동기(drive moter)의 동력으로 풀리(pulley)를 회전시키는 권상기(traction machine); 상기 권상기의 풀리에 도르래 식으로 감긴 주 로프(hoist rope); 상기 주 로프의 양 말단에 결합되어 상기 2열의 승강로 각각을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하는 제 1 및 제 2 케이지(cage);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지를 연결하는 발전 로프; 및 상기 발전 로프에 회전자(rotor)가 도르래 식으로 감겨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지의 승강 시(侍) 전력을 일으키는 발전기(generator)를 포함하는 초고층 건물용 승강장치를 제공한다.
승강장치, 케이지, 멀티데크, 권상기, 주 로프, 발전기, 발전 로프

Description

초고층 건물용 승강장치{elevator for high-rise buildings}
본 발명은 초고층 건물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초고층 건물의 층간 운송을 위한 승강장치로서, 건물 내 수직통로인 2열의 승강로 각각에 하나 이상 실장된 제 1 및 제 2 케이지(cage)를 주 로프(hoist rope)로 연결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하게 한 초고층 건물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장치(elevator 또는 lift)란 건물 내 수직 통로인 승강로를 따라 운행하는 케이지(cage)를 사용하여 사람 및/또는 화물을 수송하는 층간 운송수단을 총칭하며, 광의(廣義)로는 엘리베이터 이외에 에스컬레이터(escalator), 수평보행기(moving walkway), 휠체어리프트(wheelchair lift) 등을 포함하지만 통상의 협의(協議)로는 승객 또는 화물용 엘리베이터(elevator)를 지칭한다.
근래에 들어 주거와 업무를 위한 각종 생활환경이 고층화되면서 승강장치는 사람, 화물을 수송하는 단순한 운송수단에서 벗어나 일상생활에 필수불가결한 수직교통수단으로 자리 잡았고, 요사이에는 고객의 다양한 요구인 신속성, 쾌적성, 안 전성, 경제성, 편리성 등을 만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한편, 승강장치는 그 구동방식에 따라 유압식과 로프식으로 구분되는데, 전자의 유압식은 유압펌프(hydraulic pump)에 의해 상하 운동하는 플런저(plunger)로 케이지를 승강시킨다. 때문에 행정거리와 속도 등에서 큰 한계가 있어 현재로서는 20m 이하의 소형건물에만 한정적으로 활용된다.
반면, 후자의 로프식은 권상기(traction machine)의 풀리(pulley)에 도르래 식으로 감긴 주 로프(hoist rope)의 양 말단에 케이지와 균형추(count weight)를 연결해서 권상기의 회전력에 따른 풀리와 주 로프 사이의 마찰력으로 케이지를 승강시킨다. 때문에 행정거리의 한계가 적고 고속운행, 저전력 구동이 가능하여 현재 대부분의 고층건물에 적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승강장치'라 하면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로프식 승강장치의 엘리베이터를 지칭하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 일관되게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첨부된 도 1은 일반적인 승강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모식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승강로의 최상층에 자리 잡은 기계실에는 전동기(2)와 연결된 권상기(4) 및 이에 의해 회전하는 풀리(6)와 각종 제어기능을 담당하는 제어반(10) 등이 마련된다. 그리고 풀리(6)에는 케이지(20)와 균형추(30)를 연결하는 주 로프(12)가 도르래 식으로 감기는 한편 케이지(20)와 균형추(30)가 실장되는 승강로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케이지(20)와 균형추(30)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guide rail : 14)과 추 레일(weight rail : 16)이 각각 설치되고, 승강로의 최하층에는 케이지(20)와 균형추(30)의 하강 시 운동에너지를 흡수 및 분산하 기 위한 케이지 완충기(cage buffer : 42)와 추 완충기(weight buffer : 44)가 위치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승강장치는 주 로프(12)로 풀리(6)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케이지(20)와 균형추(30)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시키고, 케이지(20)가 원하는 층에 정차되면 케이지(20)의 케이지도어(22)와 해당 층의 승강도어(미도시)가 연동 개폐되어 사람, 화물이 승하차 한다.
하지만, 일반적인 승강장치는 하나의 승강로를 따라 하나의 케이지(20)가 운행하는 이른바 '싱글데크(single-deck)' 방식을 나타내므로 운송효율과 공간효율이 낮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하로 연결된 2대 또는 3대의 케이지가 하나의 승강로를 함께 운행하는 '더블 데크(double-deck)' 또는 '트리플 데크(triple-deck)'의 '멀티 데크(multy-deck)' 방식이 소개되기도 하였다. 이론적으로 더블 데크 방식은 싱글 데크 방식과 비교해서 2배 이상 운송효율이 높고, 개별부품의 통합 기능과 운전 및 보수비용, 생산성 등을 고려하면 약 2.5배 이상 효율이 향상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멀티 데크 방식의 승강장치 역시 싱글 데크 방식과 마찬가지로 균형추가 필수적이며, 복수의 케이지에 의한 무게증가를 수반하므로 상대적으로 높은 하중의 균형추가 사용된다. 따라서, 멀티 데크 방식의 승강장치는 싱글 데크 대비 단위거리 운행에 소요되는 전력소모가 월등히 많고, 100층 이상의 초고층 건물의 경우에는 절대적으로 높은 전력소모량을 나타낼 수밖에 없다.
아울러, 멀티 데크 방식의 승강장치는 해당 분야의 전통적인 문제점을 지적되어왔던 화재 위험성이 증가하는 등 예기치 못한 문제점을 보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운송효율이 높고 저전력 구동이 가능한 새로운 개념의 초고층 건물용 승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초고층 건물의 층간 운송을 위한 승강장치로서, 2열의 승강로 각각에 하나 이상 실장된 복수의 케이지를 주 로프로 연결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운행시키는 초고층 건물용 승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2열의 승강로가 마련된 초고층 건물용 승강장치로서, 상기 승강로의 최상층에 장착되고 전동기의 동력으로 풀리를 회전시키는 권상기; 상기 권상기의 풀리에 도르래식으로 감긴 주 로프; 상기 주 로프의 양 말단에 결합되어 상기 2열의 승강로 각각을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하는 제 1 및 제 2 케이지;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지를 연결하는 발전 로프; 및 상기 발전 로프에 회전자가 도르래 식으로 감겨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지의 승강 시(侍) 전력을 일으키는 발전기를 포함하는 초고층 건물용 승강장치를 제공한 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지 각각에 연결된 제 1 및 제 2 조속기 로프; 상기 승강로의 최상층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조속기 로프를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지 각각의 승강속도를 조절하는 제 1 및 제 2 조속기; 상기 2열의 승강로 각각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지의 승강을 가이드 하는 제 1 및 제 2 가이드레일; 상기 2열의 승강로 각각의 바닥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완충기; 및 상기 2열의 승강로 각각의 상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지의 최고, 최저 승강 높이를 제한하는 제 1 및 제 2 상하부리미트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지는 각각 상기 초고층 건물의 개별 층에 대응되는 서브케이지가 상하로 둘 이상 연결된 복층케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복층케이지는 상기 초고층 건물의 10개 층에 대응되도록 10개의 상기 서브케이지가 연속해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층케이지는 상기 초고층 건물의 2개 층에 대응되도록 2개의 상기 서브케이지가 연속해서 연결되고, 상기 복층케이지는 상기 주 로프 및 별도의 보조로프를 통해 상하로 둘 이상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지 각각의 천정에 관통 구비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지 내부로 산소를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산소공급장치; 및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지 각각의 천정에 관통 구비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지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제 1 및 제 2 공기정화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는 운송효율이 높고 저전력 구동이 가능한 장점을 나타낸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는 2열의 승강로 각각에 하나 이상 실장된 복수의 케이지를 주 로프로 연결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운행시키고, 각각의 케이지는 초고층 건물의 개별 층에 대응되는 싱글데크의 서브케이지가 하나 이상 상하로 연속해서 연결된 멀티데크 방식의 복층케이지를 이루는바, 운송효율이 높은 장점을 나탄낸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는 케이지의 구동에 따라 소정의 전력을 생성하여 재사용하므로 저전력 구동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는 화재 등 비상상황의 발생 시 케이지 내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충분한 안전설비를 갖추고 있어 안정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는 초고층 건물에 적용될 경우에 더욱 뛰어난 효과를 보이며, 특히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몇 가지 서로 다른 형태의 승강장치를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하는 동시에 건물 내 계단 및/또는 에스컬레이터 등을 병행 활용하면 운송효율이 한층 더 높아질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본격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초고층 건물용 승강장치(이하, 간략하게 승강장치라 한다.)는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몇 가지 실시예로 구분될 수 있으므로 각각을 나누어 살펴본다. 이때, 편의상 각 실시예 별로 공통된 내용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를 통해 자세히 살펴보는 대신 그 밖의 실시예에서는 차이점을 주로 살펴본다.
제 1 실시예
첨부된 도 2와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는 사시도, 도 3은 평면도에 해당된다.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사상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는 2열의 승강로(A,B)를 필요로 하고, 2열의 승강로(A,B)는 최상층의 기계실(C)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때, 기계실(C)에는 동력장치인 전동기(52)와 권상기(54), 제어장치인 제어반(60)과 더불어 승강장치의 작동 및 안전을 위한 각종 구성요소가 설치된다.
그리고 2열의 승강로(A,B)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케이지(80,90)가 실장되고, 제 1 및 제 2 케이지(80,90)는 권상기(54)의 풀리(56)에 도르래 식으로 감긴 주 로프(72)에 연결된다. 이때, 제 1 및 2 케이지(80,90)는 각각 초고층 건물의 개별 층에 대응되는 싱글데크의 서브케이지(임의로 82,92로 표시한다. 이하 동일하다.)가 하나 이상 상하로 연결된 복층케이지의 형태를 나타낼 수 있고, 각각의 서브케이지(82,92)에는 건물 내 층별 승강도어와 연동 개폐되는 케이지도어(84,94)가 설치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케이지(80,90)는 별도의 발전 로프(74)로 연결되고, 발 전 로프(74)는 승강로(A,B) 또는 기계실(C)에 설치된 발전기(generator : 100)의 전기자(rotor : 102)에 도르래 식으로 연결된다. 이때, 발전기(100)에서 생성된 전력은 전동기(52), 권상기(54), 제어반(60) 등 필요한 곳에 적절히 공급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는 전동기(52)와 권상기(54)에 의한 풀리(56)의 회전운동을 주 로프(72)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고, 이를 이용하여 2열의 승강로(A,B) 각각에 실장된 복층케이지인 제 1 및 제 2 케이지(80,90)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시키는바, 풀리(56)의 회전방향과 회전정도를 적절히 제어해서 제 1 및 제 2 케이지(80,90)를 원하는 층에 정차시키면 각각의 서브케이지(82,92)에 장착된 케이지도어(84,94)와 해당 층의 승강도어가 연동 개폐되어 복수의 층에서 사람, 화물이 동시에 승하차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과정 중에 제 1 및 제 2 케이지(80,90)의 승강에 의해 발전기(100)로부터 전력이 생성되어 전동기(52), 권상기(54), 제어반(60) 등으로 재공급된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는 운송효율이 높고 저전력 구동이 가능한 특징을 보인다.
이하에서는 앞서 살펴본 도 2, 도 3과 함께 별도 언급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세부적인 내용을 살펴본다.
먼저, 2열의 승강로(A,B)는 초고층 건물의 층간을 관통하는 수직통로로서, 편의상 제 1 및 제 2 승강로(A,B)로 구분하면, 이들은 도면에서와 같이 하나의 단일 수직통로를 좌우 또는 전후로 분할한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하지만 제 1 및 제 2 승강로(A,B)는 반드시 해당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최상층의 기계실(C) 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면 건물 내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두 개의 수직통로를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 대해서는 아래의 설명을 참조할 경우에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다음으로, 기계실(C)은 2열의 승강로(A,B)를 연결하는 최상층 공간으로서, 동력장치인 전동기(52)와 권상기(54), 제어장치인 제어반(60), 안전장치인 조속기(governer : 62,66) 등이 설치된다.
이때, 전동기(52)는 권상기(54)에 동력을 공급하고, 권상기(54)는 전동기의 동력으로 풀리(56)를 회전시켜 풀리(56)에 감긴 주 로프(72)를 매개로 제 1 및 제 2 케이지(80,90)를 승강시킨다. 그리고 제어반(60)은 직류(휘드레오나드, 정지레오나드 등) 또는 교류(교류일단속도제어, 교류이단속도제어, 교류귀환제어, 가변주파수가변전압제어 등)의 구동방식, 각종 센서의 감지신호, 소정 알고리즘에 따라 전동기(52) 및 권상기(54)를 제어한다.
또한, 조속기(62,66)는 제 1 및 2 케이지(80,90)의 승강속도를 조절하는 한편 필요 시 전동기(52)의 전원을 차단하고 브레이크(break)를 작동시킨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케이지(80,90) 각각의 승강속도를 조절하는 제 1 및 제 2 조속기(62,66)가 별도로 사용되며, 제 1 및 제 2 케이지(80,90)는 각각 주 로프(72)와 분리된 별도의 제 1 및 제 2 조속기 로프(74,76)를 통해 제 1 및 제 2 조속기(62,66)와 일대일 대응 연결된다.
참고로, 통상의 조속기는 디스크식과 플라이볼 방식으로 구분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 및 제 2 승강로(A,B)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케이지(80,90)가 실장되고, 이들은 권상기(54)의 풀리(56)에 도르래 식으로 감긴 주 로프(72)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승강로(A,B) 사이의 거리에 따라 풀리(56)와 연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풀리(58)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권상기(54)에 의해 풀리(56, 보조풀리(58)을 포함한다. 이하 동일하다.)가 회전하면 풀리(56)와 주 로프(72)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해 제 1 및 제 2 케이지(80,9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하고, 풀리(56)가 정지하면 제 1 및 제 2 케이지(80,90)가 정차한다.
이때, 특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의 제 1 및 제 2 케이지(80,90)는 각각 초고층 건물의 개별 층에 대응되는 싱글데크의 서브케이지(82,92)가 하나 이상 상하로 연속해서 연결된 멀티데크 방식의 복층케이지를 이룬다.
즉,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 중 임의로 제 1 케이지(80)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건물 내 각층에 대응되는 복수의 서브케이지(82)가 상하로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하로 연결된 서브케이지(82)의 수량은 2 이상 10대 이하인 것이 적절한데, 서브케이지(82)의 수가 적으면 운송효율이 낮은 반면 편의성이 높고, 서브케이지(82)의 수가 많으면 운송효율이 높은 반면 편의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10개의 서브케이지(82)가 상하로 연결되어 건물의 10개 층에 대응되는 형태를 제안하며, 해당 형태는 십진법에 익숙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 대해서는 해당부분에서 상세하게 살펴본다.
또한, 서브케이지(82) 각각에는 케이지도어(84)가 설치되어 건물 내의 각 층별 승강기 도어와 연동 개폐되고, 케이지도어(84)는 방화문의 설계규정에 따른 규격 및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서브케이지(82) 각각의 천정에는 산소공급장치(86)와 공기정화기(88)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어 화재 발생 등의 비상 시 해당 서브케이지(82) 내부로 산소를 공급하거나 해당 서브케이지(82) 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한다.
이상의 구조는 화재 등의 비상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의 제 1 및 제 2 케이지(80,90)는 싱글데크의 그것과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인원이 탑승할 수 있음을 감안한 것이다.
다음으로, 제 1 및 제 2 케이지(80,90)는 별도의 발전 로프(78)로 연결되고, 발전 로프(78)는 발전기(100)의 회전자(102)에 도르래식으로 감긴다.
이때, 발전기(100)는 둘 이상의 복수가 될 수도 있고, 각각의 회전자(102)에는 발전 로프(78)가 도르래 식으로 감겨 제 1 및 제 2 케이지(80,90)의 승강 시 함께 회전함으로써 소정의 전력을 생성한다. 그리고 발전기(100)에서 생성된 전력은 전동기(52), 권상기(54), 제어반(60) 등 필요한 곳으로 적절히 분배된다.
마지막으로, 제 1 및 제 2 승강로(A,B)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제 1 및 제 2 케이지(80,90)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제 1 및 제 2 가이드레일(112,114)이 설치되고, 제 1 및 제 2 승강로(A,B) 최하층에는 제 1 및 제 2 케이지(80,90) 각각의 운동에너지를 흡수 및 분산하여 안전한 정지를 도모하는 제 1 및 제 2 완충 기(122,124)가 설치되며, 그외 비록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제 1 및 제 2 승강로(A,B)의 내부 일측에는 제 1 및 제 2 케이지(80,90)의 최고, 최저 승강 높이를 제한하는 상하부 리미트스위치(limit switch)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레일(112,114), 완충기(122,124), 리미트스위치는 통상의 기술내용을 바탕으로 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실시예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를 나타낸 평면 모식도로서, 편의상 앞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불필요한 설명의 중복을 피한다.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의 제 1 및 제 2 케이지(80,90)는 각각 건물의 개별 층에 대응되는 싱글데크의 서브케이지(82,84)가 상하로 둘 씩 연속으로 연결된 멀티데크 방식의 복층케이지 형태를 나타내되, 제 1 및 제 2 케이지(80,90) 각각은 또다시 주 로프(72)를 비롯한 별도의 제 1 및 제 2 보조로프(132,134)를 통해 둘 이상이 상하로 연결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케이지(80,90) 각각은 2층의 더블데크 형태를 나타내고, 주 로프(72)와 제 1 및 제 2 보조로프(132,134)를 통해 각각의 승강로(A,B)에서 상하로 연결된 케이지 간 상하간격은 서로 일정하며, 풀리(56)를 중심으로 2열의 승강로(A,B)에 동수(同數)의 케이지가 실장된다.
또한, 임의로 제 1 케이지(80)를 나타낸 도 6을 참조하면, 각각의 서브케이 지(82)에는 앞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건물 내 층별 승강기 도어와 연동 개폐되는 방화문 규격의 케이지도어(84)가 설치되고, 천정에는 산소공급장치(86)와 공기정화기(88)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어 화재 발생 등의 비상 시 해당 서브케이지(82) 내부로 산소를 공급하거나 해당 서브케이지(82) 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한다.
한편,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는 운송효율과 편의성을 고려한 형태인바, 초 고층 건물의 경우에는 두 가지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를 병합 사용하면 더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첨부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의 운행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로서, 임의로 130층의 고층 건물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 두 대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 두 대가 함께 설치된 경우를 가정한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 순서로 (가), (나), (다), (라) 승강장치라 하고, 각각의 승강장치 중 도면상 좌측 승강로에 배치된 케이지를 (가-1), (나-1), (다-1-a,b,c...단, a,b,c..는 아래에서 위 순서), (라-1-a,b,c...단, a,b,c..는 아래에서 위 순서)이라 하며, 도면상 우측에 배치된 케이지를 (가-2), (나-2), (다-2-a,b,c...단, a,b,c..는 아래에서 위 순서), (라-2-a,b,c...단, a,b,c..는 아래에서 위 순서)라 한다.
먼저, (가) 승강장치의 (가-1), (가-2) 케이지는 각각 건물의 10개 층에 대응되는 복층케이지로서 (가-1) 케이지는 1~10 층에서 121~130 층으로 직행하고 (가-2) 케이지는 121~130 층에서 1~10층으로 직행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가) 승강 장치는 저층에서 고층, 고층에서 저층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편리하며, 건물 내 별도로 설치된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 등을 적절히 활용하면 상대적으로 빠른 운송이 가능하여 운송효율이 높다.
그리고 (나) 승강장치의 (나-1), (나-2) 케이지는 각각 건물의 10개 층에 대응되는 복층케이지로서 (나-1) 케이지는 1~10층에서 11~20층, 21~30층, 31~40층...에 각각 정차하고, (나-2) 케이지는 121~130층에서 111~120층, 101~110층, 91~100 층...에 각각 정차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나) 승강장치는 10층 이하의 층간 이동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편리하며, 건물 내 별도로 설치된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 등을 적절히 활용하거나 (가) 승강장치와 병합해서 사용하면 원하는 층에 보다 빠르게 도착할 수 있다.
또한, (다) 승강장치의 (다-1-a.b.c...), (다-2-a,b,c...) 케이지와 (라) 승강장치의 (라-1-a,b,c...),(라-2-a,b,c...) 케이지는 각각 건물의 2개 층에 대응되는 복층케이지가 일정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연결되며, 2개 층 간격으로 승강한다. 즉, (다-1-a) 케이지 중 맨 아래에 있는 서브케이지는 상승 시 1,3,5,7,9... 층에 정차하고 하강시 ... 9,7,5,3,1 층에 정차하며, (다-1-a) 케이지 중 위에 있는 서브케이지는 상승시 2,4,6,8,10... 층에 정차하고 하강시 ...10,8,6,4,2 층에 정차하는데, 이 관계는 (다-2-a) 케이지는 물론 (라) 승강장치의 (라-1-a,b,c...), (라-2-a,b,c...) 케이지 역시 마찬가지이다.
다만, (다) 승강장치의 (다-1-a.b.c...), (다-2-a,b,c...) 케이지와 (라) 승강장치의 (라-1-a,b,c...),(라-2-a,b,c...) 케이지의 최대 승강폭은 승강로 별로 상하 연결된 케이지의 숫자 및 간격에 따라 달라지는바, 건물환경에 적합하도록 조정하는 한편 건물 내 별도로 설치된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 또는 (가), (나), (다), (라) 승강장치를 적절히 병합 사용하면 운송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사용자는 목적하는 층에 보다 빨리 도착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몇 가지 양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만족시키는 여러 가지 변형이 있을 수 있지만 이들 변형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있다면 본 발명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를 통해 분명하게 명시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승강장치의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의 케이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의 케이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의 운행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2 : 전동기 54 : 권상기
56 : 풀리 58 : 보조풀리
60 : 제어반 62,66 : 조속기
72 : 주 로프 74,76 : 조속기 로프
80,90 : 케이지 112,114 : 가이드레일
82,92 : 서브케이지 86 : 산소공급장치
88 : 공기정화기 84,94 : 케이지도어
100 : 발전기 102 : 회전자
122,124 : 완충기 A,B : 승강로

Claims (6)

  1. 2열의 승강로가 마련된 초고층 건물용 승강장치로서,
    상기 승강로의 최상층에 장착되고 전동기의 동력으로 풀리를 회전시키는 권상기;
    상기 권상기의 풀리에 도르래식으로 감긴 주 로프;
    상기 주 로프의 양 말단에 결합되어 상기 2열의 승강로 각각을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하는 제 1 및 제 2 케이지;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지를 연결하는 발전 로프; 및
    상기 발전 로프에 회전자가 도르래 식으로 감겨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지의 승강 시(侍) 전력을 일으키는 발전기를 포함하는 초고층 건물용 승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지 각각에 연결된 제 1 및 제 2 조속기 로프;
    상기 승강로의 최상층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조속기 로프를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지 각각의 승강속도를 조절하는 제 1 및 제 2 조속기;
    상기 2열의 승강로 각각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지의 승강을 가이드 하는 제 1 및 제 2 가이드레일;
    상기 2열의 승강로 각각의 바닥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완충기; 및
    상기 2열의 승강로 각각의 상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지의 최고, 최저 승강 높이를 제한하는 제 1 및 제 2 상하부리미트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초고층 건물용 승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지는 각각 상기 초고층 건물의 개별 층에 대응되는 서브케이지가 상하로 둘 이상 연결된 복층케이지인 초고층 건물용 승강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층케이지는 상기 초고층 건물의 10개 층에 대응되도록 10개의 상기 서브케이지가 상하로 연결된 초고층 건물용 승강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층케이지는 상기 초고층 건물의 2개 층에 대응되도록 2개의 상기 서브케이지가 상하로 연결되고, 상기 복층케이지는 상기 주 로프 및 별도의 보조로프를 통해 상하로 둘 이상 연결된 초고층 건물용 승강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지 각각의 천정에 관통 구비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지 내부로 산소를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산소공급장치; 및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지 각각의 천정에 관통 구비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지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제 1 및 제 2 공기정화기를 더 포함하는 초고층 건물용 승강장치.
KR1020090041041A 2009-01-21 2009-05-12 초고층 건물용 승강장치 KR1011080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903 2009-01-21
KR20090004903 2009-01-21
KR20090015260 2009-02-24
KR1020090015260 2009-0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811A true KR20100085811A (ko) 2010-07-29
KR101108095B1 KR101108095B1 (ko) 2012-01-31

Family

ID=42644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041A KR101108095B1 (ko) 2009-01-21 2009-05-12 초고층 건물용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809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86256A (zh) * 2017-05-19 2017-07-28 西南交通大学 一种立体车库的电梯能量回收系统
CN111372885A (zh) * 2017-10-25 2020-07-03 蒂森克虏伯电梯创新与运营股份有限公司 具有井道改变单元的电梯系统和用于运行具有井道改变单元的电梯系统的方法
US20210139282A1 (en) * 2017-05-11 2021-05-13 Thyssenkrupp Elevator Innovation And Operations Gmbh Elevator system having two shafts
CN116545186A (zh) * 2023-04-25 2023-08-04 中国长江电力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发电机定子检修的环形滑轨轿厢作业车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9139A (ja) * 1994-08-26 1996-03-05 Hitachi Ltd エレベータ
JP3944482B2 (ja) * 2001-12-11 2007-07-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3267640A (ja) * 2002-03-19 2003-09-2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7153476A (ja) * 2005-12-01 2007-06-21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終端位置手動運転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39282A1 (en) * 2017-05-11 2021-05-13 Thyssenkrupp Elevator Innovation And Operations Gmbh Elevator system having two shafts
CN106986256A (zh) * 2017-05-19 2017-07-28 西南交通大学 一种立体车库的电梯能量回收系统
CN111372885A (zh) * 2017-10-25 2020-07-03 蒂森克虏伯电梯创新与运营股份有限公司 具有井道改变单元的电梯系统和用于运行具有井道改变单元的电梯系统的方法
CN111372885B (zh) * 2017-10-25 2022-05-03 蒂森克虏伯电梯创新与运营股份有限公司 具有井道改变单元的电梯系统和用于运行具有井道改变单元的电梯系统的方法
CN116545186A (zh) * 2023-04-25 2023-08-04 中国长江电力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发电机定子检修的环形滑轨轿厢作业车
CN116545186B (zh) * 2023-04-25 2024-03-29 中国长江电力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发电机定子检修的环形滑轨轿厢作业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8095B1 (ko) 2012-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21919B2 (en) Elevator group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vator group
CA2459293C (en) Elevator system
US9415974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moving a heavy load
US9950901B2 (en)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for re-adjusting the elevator arrangement
JP2014101230A (ja) エレベータ
KR101108095B1 (ko) 초고층 건물용 승강장치
KR20150133666A (ko) 쓰리웨이 엘리베이터 순환시스템
KR102308534B1 (ko) 기계실이 필요없는 로프식 자체구동 엘리베이터
WO2011138984A1 (ko) 초고층 건물용 승강장치
KR101377563B1 (ko) 중간이동식 엘리베이터 순환시스템
CN201002908Y (zh) 一种无机房曳引绳轮式电梯
AU2007254647B2 (en) Lift installation in a building with at least one transfer storey
KR20120043792A (ko) 카운터 웨이트가 없는 엘리베이터
JPH07112875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CN203048359U (zh) 一种单井道双轿厢电梯
CN103086231A (zh) 一种双井道四轿厢电梯
JPH02106570A (ja) エレベータ
JP2004137003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5591739B2 (ja) エレベータ排煙装置、エレベータ及びエレベータの排煙方法
JP2006188310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627234B1 (ko) 승강기 탑승자의 체중을 이용한 저층건물용 발전시스템
Akonyi Research Article The Design of A One-Man Passenger Electric Elevator
CN112960510B (zh) 一种升降梯
US20210371241A1 (en) Elevator safety monitoring system, elevator system, elevator drive unit,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levator
EP3730439B1 (en) A solution for operating an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