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6862A -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6862A
KR20100056862A KR1020080115856A KR20080115856A KR20100056862A KR 20100056862 A KR20100056862 A KR 20100056862A KR 1020080115856 A KR1020080115856 A KR 1020080115856A KR 20080115856 A KR20080115856 A KR 20080115856A KR 20100056862 A KR20100056862 A KR 20100056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agnetic body
guide rail
guide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8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5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6862A/en
Publication of KR20100056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6862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08Magnet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한 상태로 결합되어 직선 왕복운동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에 장착된 가이드 레일; 상기 제1 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게 제공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을 상기 제1 하우징에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결속시키는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는 제1 자성체; 및 상기 가이드 부재에 설치되는 제2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안내를 받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1, 제2 자성체 사이에서 척력이 발생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와 가이드 레일을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는 마찰로 인한 소음과 마모가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first housing and a second housing coupled to face the first housing and linearly reciprocating. A guide rail mounted on the second housing; A guide member mounted to the first housing and provid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guide rail to linearly reciprocate the second housing to the first housing; A first magnetic body installed on the guide rail; And a second magnetic body installed on the guide member, wherein the guide rail moves upward or downward by the guide member, and a repulsive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bodies to guide the guide member and the guide. Disclosed is a portable terminal for keeping a rail spaced apart. The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n advantage of improving noise and abrasion due to friction.

Description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Sliding Portable Terminal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 쌍의 하우징들이 서로 대면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의 구동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ive structure of a sliding portable terminal in which a pair of housings are slidably coupled in a state in which they face each other.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이동통신 기능 등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기기로서, 외형에 따라 바형(bar type)과 플립형(flip type)과 폴더형(folder type) 단말기로 분류될 수 있다. In general, a portable terminal is a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carry and use a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classified into a bar type, a flip type, and a folder type terminal according to its appearance.

바형 단말기는 하나의 본체 하우징(housing)에 데이터 입출력 수단과 송, 수화부가 장착되는 형태로서, 데이터 입력 수단이 되는 키패드(keypad)가 항시 노출되어 있어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고 송화부와 수화부 사이의 거리확보 문제로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다.The bar-type terminal is a type in which a data input / output means,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are mounted in a main body housing, and a keypad, which is a data input means, is exposed at all times, which may cause a malfunctio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There is a limit to miniaturization due to securing problems.

플립형 단말기는 본체와, 플립과, 상기 본체와 플립을 연결시키는 힌지 모듈(hinge module)로 구성된 형태로서, 상기 본체에 데이터 입출력 수단과 송수화부가 설치되며, 상기 플립이 상기 데이터 입력 수단인 키패드를 덮어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나, 플립형 단말기 역시 송화부와 수화부의 거리확보 문제로 인하여 소 형화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The flip terminal comprises a main body, a flip, and a hinge module that connects the main body and the flip. The flip terminal is provided with a data input / output means and a handset, and the flip is a keypad for the data input means. Although the malfunction can be prevented, the flip type terminal also has a limitation in miniaturization due to the problem of sec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폴더형 단말기는 본체와, 폴더와, 상기 본체와 폴더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 모듈로 구성되어 상기 폴더가 회동하여 개폐되는 형태로서, 상기 폴더가 본체에 밀착된 통화대기 모드에서는 키패드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통화모드에서는 상기 폴더가 펼쳐져 송화부와 수화부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소형화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폴더형 단말기가 점차 휴대용 단말기의 주종을 이루어 가는 추세이다.The folder-type terminal includes a main body, a folder, and a hinge module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folder so that the folder is rotated and opened and closed. In the call mode, the folder is opened to secure a sufficient distance between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which is advantageous in miniaturization. For this reason, the foldable terminal is gradually becoming the mainstream of the portable terminal.

한편, 휴대용 단말기의 디자인이 다양화되면서 두 개의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하우징이 다른 하나의 하우징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개폐되는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가 점차 폴더형 단말기의 시장 점유율을 추월하는 추세이다. On the other hand, as the desig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diversified, a sliding portable terminal composed of two housings and one housing being opened and closed by slidingly moving on another housing is gradually overtaking the market share of the folding terminal.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는 한 쌍의 하우징들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면서,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개폐 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개폐 장치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6-63684호(국내 공개 특허 제2008-0005087호, 미국 공개특허 제2008/0007878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The sliding portable terminal provides a switchgear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for sliding movement while coupling the pair of housings in a sliding movement. Such a switchgear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6-63684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8-0005087, US Patent Publication No. 2008/0007878) and the like.

상기한 출원 특허에 개시된 슬라이딩 개폐 장치는 안내 부재와 슬라이드 부재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그 사이에는 토션 스프링 등의 탄성 요소를 설치함으로써, 덮개(cover)를 본체(body)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disclosed in the above-described patent patent allows sliding of the guide member and the slide member so as to be slidably movable, and by providing an elastic element such as a torsion spring therebetween, the cover can be slidably moved with respect to the body. It is configured.

그러나 종래의 슬라이딩형 단말기는 탄성 요소를 설치함으로써 안내 부재와 슬라이드 부재 간의 마찰이 불가피한 단점이 있다. 즉, 개폐 동작에서 커버가 본체 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고 할 때, 탄성 요소에 의해 발생된 탄성력의 일부는 좌우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개폐 동작에서 안내 부재와 슬라이드 부재 간의 마찰을 피할 수 없는 것이다. 안내 부재와 슬라이드 부재의 마찰은 단말기의 개폐 동작에서 소음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마찰로 인한 마모와 이물질의 발생을 유발하고 개폐 장치의 내구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However, the conventional sliding type terminal has a disadvantage that friction between the guide member and the slide member is inevitable by installing the elastic element. That is, when the cover is mov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in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part of the elastic force generated by the elastic element act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t is inevitable to friction between the guide member and the slide member in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The friction between the guide member and the slide member not only generates noise in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terminal, but also causes wear and foreign substances due to the friction and reduces durability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또한, 슬라이딩 이동의 원활함을 위하여, 안내 부재와 슬라이드 부재 사이에 일정 간격을 확보하게 되는데, 이는 본체에 대한 커버의 전후 방향으로의 유동을 유발하여, 개폐 동작의 안정성을 저해함과 아울러, 소음과 마모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smooth the sliding movement, a certain distance is secured between the guide member and the slide member, which causes a flow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over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which hinders the stability of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and also makes noise. There is a problem that increases the wear and tear.

이에, 본 발명은 한 쌍의 하우징들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킴에 있어 개폐 동작에서의 마찰을 줄일 수 있는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that can reduce the friction in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in coupling the pair of housings to the sliding movement.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딩 개폐 동작에서의 마찰을 줄여 소음을 줄이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ing portable terminal that can reduce the friction in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to reduce noise and improve durability.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딩 개폐 동작을 원활하게 하면서, 불필요한 방향으로의 유동을 제한함으로써 개폐 동작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는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that can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by smoothly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by restricting the flow in an unnecessary direc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한 상태로 결합되어 직선 왕복운동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first housing and a second housing coupled to a state facing the first housing and linearly reciprocating.

상기 제2 하우징에 장착된 가이드 레일;A guide rail mounted to the second housing;

상기 제1 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게 제공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을 상기 제1 하우징에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결속시키는 가이드 부재;A guide member mounted to the first housing and provid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guide rail to linearly reciprocate the second housing to the first housing;

상기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는 제1 자성체; 및A first magnetic body installed on the guide rail; And

상기 가이드 부재에 설치되는 제2 자성체를 포함하고,A second magnetic body installed on the guide member,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안내를 받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 동하며, 상기 제1, 제2 자성체 사이에서 척력이 발생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와 가이드 레일을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The guide rail is guided by the guide member to move to the upper or lower side, the repulsive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material to maintain a portable terminal for keeping the guide member and the guide rail spaced apart .

이때, 상기 제1 자성체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중앙부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1, 제2 자성체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킴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magnetic body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guide rail,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bodies generate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guide rail upward or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guide member.

상기한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는 제3 자성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자성체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중앙부에, 상기 제3 자성체는 상기 제1 자성체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제2 자성체와 제3 자성체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함으로써, 상기 가이드 레일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further includes a third magnetic body installed on the guide rail, wherein the first magnetic body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guide rail, and the third magnetic body is located above and below the first magnetic body, respectively. The attraction force acts between the second magnetic body and the third magnetic body, thereby increasing the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guide rail upward or downward.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제2 하우징의 양 측단에 인접하게 각각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그 양 측단에 각각 제공된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며,In the portable terminal, the guide rails are respectively provided adjacent to both side ends of the second housing, and the guide member includes guide ribs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side ends thereof.

상기 가이드 리브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감싸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자성체는 상기 가이드 리브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The guide rib may be configured to surround the guide rail. In this case, the second magnetic body is preferably installed on the guide rib.

한편,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제2 하우징에 장착되는 슬라이드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양 측단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의 양 측단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감싸게 절곡된 가이드 리브들이 형성될 수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slide member mounted to the second housing, and the guide rails may be provided at both side ends of the slide member, respectively. In addition, guide ribs bent to surround the guide rail may be formed at both side ends of the guide member.

이때, 상기 제1 자성체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중앙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2 자성체가 상기 가이드 리브들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1, 제2 자성체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In this case, the first magnetic body is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guide rail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is installed in the guide ribs,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material is the upper or lower side of the guide rail with respect to the guide member It generates a driving force to move to.

또한, 상기 제2 자성체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전, 후 양면에서 각각 상기 제1 자성체와 대면함에 따라, 상기 제2 하우징이 전, 후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magnetic body may limit the flow of the second hous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s the first magnetic body faces each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guide rail, respectively.

더욱이, 상기 제2 자성체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양 측단에서 각각 상기 제1 자성체와 대면함에 따라, 상기 제2 하우징이 좌, 우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magnetic body may limit the flow of the second hous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the second magnetic body faces the first magnetic body at both side ends of the slide member, respectively.

아울러,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각각 설치되는 제3 자성체들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 자성체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중앙부에, 상기 제3 자성체는 상기 제1 자성체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2 자성체와 제3 자성체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third magnetic bodies that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guide rails, wherein the first magnetic body is in the center of the guide rail, and the third magnetic body is above and below the first magnetic body. It is disposed in each of the, it is preferable that the attraction force acts between the second magnetic body and the third magnetic body.

이때, 상기 제2 자성체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전, 후 양면에서 각각 상기 제1 자성체 또는 제3 자성체와 대면함에 따라, 상기 제2 하우징이 전, 후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cond magnetic body may limit the flow of the second hous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s the first magnetic body or the third magnetic body faces each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guide rail,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제2 자성체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양 측단에서 각각 상기 제1 자성체 또는 제3 자성체와 대면함에 따라, 상기 제2 하우징이 좌, 우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magnetic body may restrict the flow of the second housing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the second magnetic body faces the first magnetic body or the third magnetic body at both side ends of the slide member, respectively.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는 제1, 제2 자성체 사이의 척력으로 인하여 제1, 제2 하우징을 직접 결합시키는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부재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확보되기 때문에 슬라이딩 개폐 동작에서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 동작 중에 발생되는 소음과 마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이드 레일의 양면에서 제1, 제2 자성체가 서로 대면하고, 또한, 가이드 레일이 제2 하우징의 양 측단에 서로 인접하게 설치된 경우에는, 제1, 제2 자성체가 제2 하우징의 양 측단에서도 서로 대면하게 되므로 제2 하우징이 개폐되는 상, 하 방향으로 구동력이 발생되고,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 궁극적으로는 제2 하우징이 유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잇다. The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guide rail and the guide member for directly coupling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due to the repulsive for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bodies, thereby preventing friction in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It can preven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noise and wear generated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sliding portable terminal. In addition, when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bodies face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guide rail, and the guide rail is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at both side ends of the second housing,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bodies are both side ends of the second housing. Since the driving force is generat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in which the second housing is opened and closed, the guide rail, and ultimately, the second housing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can be restricted.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한 쌍의 하우징들 중, 제1의 하우징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와, 제2의 하우징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이 제1, 제2 하우징을 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속시키며, 상기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부재에는 각각 자성체들이 설치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부재가 직접 마찰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uide member installed in a first housing and a guide rail installed in a second housing of the pair of housings bind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so as to be slidably movable to each other. Magnetic materials are installed on the rail and the guide member, respectively,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sliding the second housing and to prevent direct friction between the guide rail and the guide memb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7을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제1 하우징(101)의 일면(101a)에 장착된 가이드 부재(201)에 제2 하우징(102)의 후면 커버(102b)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구성이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하우징(10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101a) 일부분을 개폐시키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이 서로 중첩되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이 완전히 가려진 상태를 폐쇄된 것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 일부분이 열려진 상태를 개방된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7,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ar cover 102b of the second housing 102 on a guide member 201 mounted on one surface 101a of the first housing 101. Is configured to be slidably movable. The second housing 102 slid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101 to open and close a portion of one surface 101a of the first housing 101. Hereinafter,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01 and 102 overlap each other so that one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01 is completely covered is defined as closed, and the second housing 102 is slidably moved to the closed state. A part of one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01 is defined as being open.

상기 제1 하우징(101)은 그 일면에 키패드(111)와 송화부(11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키패드(111)와 송화부(113)는 상기 제2 하우징(102)에 의해 개폐되는 구성이다. 도시된 상기 키패드(111)는 일반 개인용 컴퓨터 자판과 같은 형태의 쿼티(qwerty) 배열의 키패드로서, 상기 단말기(100)의 작동 모드에 따라 일부의 키들은 숫자 입력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대방의 전화번호 등을 입력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키패드(111)는 일반적인 이동 전화기의 키패드와 같이, 숫자 키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키패드(111)가 숫자 키들로 구성된 경우, 각 키들에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신호 값이 추가로 할당되어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키패드(111)를 쿼티 자판 배열로 구성함으로써, 장문의 메일이나 간단한 문서의 작성, 게임 등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e first housing 101 is provided with a keypad 111 and a talker 113 on one surface thereof, and the keypad 111 and the talker 113 are opened and closed by the second housing 102. to be. The keypad 111 shown is a keypad of a qwerty arrangement in the same form as a general personal computer keyboard, and some keys are configured to allow numeric input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of the terminal 100, so that the other party's telephone number Etc. can be used to enter. In addition, the keypad 111 may be composed of numeric keys, like a keypad of a general mobile phone. When the keypad 111 is composed of numeric keys, a signal value for inputting a letter may be additionally assigned to each key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function.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at the keypad 111 is configured in a qwerty keyboard arrangement, and thus it can be conveniently used for creating a long mail, a simple document, a game, and the like.

상기 송화부(113)는 마이크로 폰을 내장하여, 음성 통화시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거나, 동영상 촬영을 하는 때 녹음을 가능하게 한다. The transmitter 113 has a built-in microphone to convert a user's voice into an electrical signal during a voice call or to record a video when shooting a video.

상기 제2 하우징(102)은 그 일면에 디스플레이 장치(121)와 기능성 키패드(125) 및 수화부(12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는 기지국과의 송수신 상태, 배터리 잔량, 시간 등의 정보와 상기 기능성 키패드(125) 및 키패드(111)의 조작에 따른 화면 등을 표시하며, 상기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에 따라 동영상, 사진, 간단한 애니메이션 화면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기능성 키패드(125)는 상기 단말기(100)의 기능을 검색, 호출, 선택하거나, 음성 통화를 시작, 종료시키는 등의 조작에 이용된다. 아울러, 상기 기능성 키패드(125)는 상기 키패드(111)와 함께 조합되어 문자의 입력, 게임에 필요한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수화부(123)는 음성 통화시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고,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때 음향을 출력시키게 된다. The second housing 102 is provided with a display device 121, a functional keypad 125, and a receiver 123 on one surface thereof. The display apparatus 121 displays information such as a transmission / reception state with a base station, a battery remaining amount, time, and a scree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unctional keypad 125 and the keypad 111, and an operation mode of the terminal 100. Depending on the video, photos, and simple animation screens are displayed. The functional keypad 125 is used for operations such as searching for, calling, selecting a function of the terminal 100, or starting or ending a voice call. In addition, the functional keypad 125 may be combined with the keypad 111 to perform an operation of inputting a character and a game. The receiver 123 outputs a voice of the other party during a voice call, and outputs a sound when playing a music file or a video file.

한편, 도 1과 도 2에서는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기 위하여, 상기 제2 하우징(102)은 그의 후면 커버(102b)만 도시되고 있음에 유의한다. 상기 제2 하우징(102) 후면 커버(102b)의 내측에는 상기 수화부(123)의 스피커 모듈(미도시)을 설치하기 위한 안착면(121b)과 카메라 홀(123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02)에는 도시되지 않은 카메라 장치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 장치가 상기 카메라 홀(123b)을 통해 피사체를 촬영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피커 모듈과 카메라 장치는 서로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피커 모듈과 카메라 장치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후면 커버(102b)의 상단은 후방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Meanwhile, in FIGS. 1 and 2, only the rear cover 102b of the second housing 102 is illustrated in order to show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01 and 102. A mounting surface 121b and a camera hole 123b for installing a speaker module (not shown) of the receiver 123 are formed inside the rear cover 102b of the second housing 102. A camera device (not shown)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housing 102, and the camera device photographs a subject through the camera hole 123b. In this case, the speaker module and the camera device may be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an upper end of the rear cover 102b may protrude rearward to secure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speaker module and the camera device.

상기 제1 하우징(101)이 폐쇄된 때,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중첩되므로,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전면 상단에는 상기 후면 커버(102b)의 돌출된 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홈(115)이 형성된다. Since the second housing 102 overlaps the first housing 101 when the first housing 101 is closed, the front cover of the first housing 101 protrudes from the rear cover 102b. Grooves 115 are formed that can accommodate the broken portions.

이하에서는 다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의 결합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01 and 10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again.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상기 제1 하우징(101)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상기 가이드 부재(201)가 장착된다. In order to couple the second housing 102 to the first housing 101, the guide member 201 is mounted to the first housing 101.

상기 가이드 부재(201)는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에 장착되면서 상기 키패드(111)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후면 커버(102b)의 양 측단을 감싸게 결합되어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201)를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에는 상기 키패드(111)에 인접하는 장착홈(119)이 형성되어 있다. The guide member 201 is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01 and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keypad 111. The guide member 201 is coupled to enclose both side ends of the rear cover 102b and the second housing 102. The sliding movement of the will be guided. In order to mount the guide member 201, a mounting groove 119 adjacent to the keypad 111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01.

상기 가이드 부재(201)의 양 측단에는 내측으로 절곡 연장된 가이드 리브(211)들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211)들은 상기 가이드 부재(201)의 양 측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실질적으로 상기 가이드 리브(211)들이 상기 후면 커버(102b)의 양 측단을 감싸게 결합되어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Both side ends of the guide member 201 are provided with guide ribs 211 extending inwardly. The guide ribs 211 are formed at both side ends of the guide member 201, and the guide ribs 211 are substantially coupled to cover both side ends of the rear cover 102b so that the second housing 102 is formed. Guide the sliding movement of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후면 커버(102b)에는 가이드 레일(221)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221)들은 하나 또는 다수가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후면 커버의 양 측단에 각각 형성된 예가 개시되고 있다. 필요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가이드 레일(221)들 사이에서 상기 후면 커버(102b)의 일면에 추가의 가이드 레일을 설치할 수도 있으며, 상기 가이드 레일(221)의 수는 실제 제품의 제작 과정에서 제조 업자가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Guide rails 221 are formed on the rear cover 102b of the second housing 102. One or more of the guide rails 221 may be formed,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example is formed at both side ends of the rear cover. If necessary, additional guide rails may be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rear cover 102b between the guide rails 221 shown in FIG. 1, and the number of the guide rails 221 may be manufactured in a manufacturing process of an actual product. The vendor may set this up appropriately.

상기 가이드 레일(221)들은 각각 상기 후면 커버(102b)의 양 측단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이며,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201)의 양 측단,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이드 리브(211)가 상기 가이드 레일(221)들을 감싸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속된다. Each of the guide rails 221 protrudes from both side ends of the rear cover 102b and extends along a moving direction of the second housing 102. Both side ends of the guide member 201, specifically, the guide ribs 211 are coupled to enclose the guide rails 221 so that the second housing 102 is slidably moved to the first housing 101. Bound.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221)은 상기 후면 커버(102)b)에 형성된 예를 개시하고 있지만, 상기 후면 커버(102b)와는 별도로 양 측단에 가이드 레일을 형성한 슬라이드 부재를 상기 후면 커버(102b)에 장착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가이드 레일이 후면 커버에 형성된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본 실시 예의 후면 커버는 실제 제품 제작에서는 별도의 슬라이드 부재가 장착되는 구성이거나 별도로 제작된 슬라이드 부재로 대체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uide rail 221 is an example formed in the rear cover 102b, but the rear side of the slide member having guide rail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cover 102b separately from the rear cover 102b. I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ver 102b can be mounted. 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uide rail is formed on the rear cover as an example, but the rear cover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replaced with a slide member manufactured by a separate slide member or manufactured separately in actual production. .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가이드 레일(221)과 가이드 부재(201)에 각각 설치된 자성체(221a, 211a)들을 구비하며, 상기 자성체들 사이에는 척력이 작용하여 상 기 제2 하우징(102)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킴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레일(221)과 가이드 부재(201)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키게 된다. 이하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221)에 설치되는 자성체를 '제1 자성체(221a)'라 칭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201)에 설치되는 자성체를 '제2 자성체(211a)'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221)에는 제3 자성체(221b)가 더 설치될 수 있으나, 상기 제3 자성체(221b)가 반드시 설치될 필요는 없음에 유의한다. The terminal 100 includes magnetic bodies 221a and 211a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guide rail 221 and the guide member 201, and a repulsive force is applied between the magnetic bodies to slide the second housing 102. In addition to generating a driving force to move, it maintains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guide rail 221 and the guide member 201. Hereinafter, the magnetic body installed on the guide rail 221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magnetic body 221a', and the magnetic body installed on the guide member 201 will be referred to as a 'second magnetic body 211a'. The third magnetic body 221b may be further installed on the guide rail 221, but the third magnetic body 221b may not necessarily be installed.

상기 제1 자성체(221a)는 상기 가이드 레일(221)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자성체(211a)는 상기 가이드 부재(201),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이드 리브(211)에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상기 자성체들은 상기 가이드 레일(221)과 가이드 리브(211) 자체를 자화시켜 구성한 예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별도의 자성체를 상기 가이드 레일(221)이나 가이드 리브(211)에 부착하여 구성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The first magnetic body 221a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guide rail 221,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211a is installed at the guide member 201, more specifically, the guide rib 211. The magnetic bodies illustrated in FIG. 1 disclose an example in which the guide rails 221 and the guide ribs 211 themselves are magnetized. However, it is apparent that a separate magnetic body may be formed by attaching to the guide rail 221 or the guide rib 211.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2 자성체(221a)가 상기 제1 자성체(211a)를 감싸는 지점에 위치되면, 상기 제1, 제2 자성체(221a, 211a) 사이에서 발생되는 척력이 최대가 된다. 이때, 상기 제1 자성체(221a)는 상기 제2 자성체(211a)에 의해 감싸지 지점으로부터 벗어나 이동하려는 성향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레일(221), 후면 커버(102b) 및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제2 자성체들(221a, 211a) 사이에서 발생된 척력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When the second housing 102 slides and is positioned at a point at which the second magnetic body 221a surrounds the first magnetic body 211a, a repulsive forc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bodies 221a and 211a. This is the maximum. In this case, the first magnetic body 221a has a tendency to move away from the point covered by the second magnetic body 211a. Therefore, the guide rail 221, the rear cover 102b and the second housing 102 are slidably moved by the repulsive forc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bodies 221a and 211a.

한편, 상기 가이드 레일(221)의 양면에서, 상기 제2 자성체(211a)가 상기 제 1 자성체(221a)에 각각 대면하여 척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가이드 레일(221)은 상기 가이드 부재(201)나 가이드 리브(211)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단말기(100)의 개폐 동작에서 마찰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전, 후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2 자성체(211a)는 상기 후면 커버(102b)의 양 측단에서도 상기 제1 자성체(221a)에 대면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후면 커버(102b)의 양 측단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221)의 측방향 단부가 상기 가이드 리브(221)에 마찰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on both sides of the guide rail 221, the second magnetic body 211a respectively faces the first magnetic body 221a to generate a repulsive force, so that the guide rail 221 is the guide member 201 or The non-contact with the guide rib 211 may be maintained. As a result, friction may be prevented from occurring in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terminal 100, and the second housing 102 may be prevented from flow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n addition, the second magnetic material 211a faces the first magnetic material 221a at both side ends of the rear cover 102b, which are at both side ends of the rear cover 102b, and the guide rails 221. Prevents the lateral end of rubbing against the guide rib 221.

이는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되고 있는 상기 단말기(100)의 개폐 동작을 통해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terminal 100 shown in FIGS. 2 to 10.

상기 제3 자성체(221b)는 상기 가이드 레일(221)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자성체(211a)와 상호 작용하여 인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제3 자성체(221b)는 상기 가이드 레일(221)의 상단, 하단, 즉, 상기 제1 자성체(221a)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레일(221)은 상기 가이드 부재(201) 상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는 구동력을 제공받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제2 자성체(221a, 211a)에 의해 발생되는 척력만으로도 상기 가이드 레일(221)은 상기 가이드 부재(201)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는 구동력을 제공받게 되는데, 상기 제3 자성체(221b)가 설치되어 상기 제2 자성체(211a)와 함께 인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국, 상기 제3 자성체(221b)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향상시 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3 자성체(221b)가 없더라도 상기 제1, 제2 자성체(221a, 211a) 사이에서 발생되는 척력만으로도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음에 유의한다. The third magnetic body 221b is installed on the guide rail 221 and interacts with the second magnetic body 211a to generate an attractive force. The third magnetic body 221b is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guide rail 221, that is,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first magnetic body 221a, respectively. Therefore, the guide rail 221 is provided with a driving force moving upward or downward on the guide member 201. On the other hand, the guide rail 221 is provided with the driving force to move to the upper or lower side of the guide member 201 only by the repulsive force generated by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bodies (221a, 211a), the third magnetic body 221b is installed to generate an attractive force together with the second magnetic body 211a, thereby improving driving force for sliding the second housing 102. As a result, the third magnetic material 221b is to improve the driving force for slidingly moving the second housing 102. Even if the third magnetic material 221b is not present,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materials 221a and 211a do not exist. Note that the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second housing 102 can be generated only by the repulsive force generated therebetween.

한편, 상기 제2, 제3 자성체(211a, 221b)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221)의 양면 및 상기 후면 커버(102b)의 양 측단에서 서로 대면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econd and third magnetic bodies 211a and 221b are also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t both sides of the guide rail 221 and both side ends of the rear cover 102b, so that the second housing 102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After that, the flow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can be restricted.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단말기(100)의 개폐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10.

우선, 도 2 내지 도 4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중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중첩된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221)은 상기 가이드 리브(211)의 하측으로 이동한 상태이며, 상기 제2 자성체(211a)는 상측의 상기 제3 자성체(221b)를 감싸게 위치된다. 이때, 상기 제1 자성체(221a)와 제2 자성체(211a) 사이의 척력은 상기 가이드 레일(221)을 더 하향 이동시키는 구동력으로 작용하지만, 상기 가이드 리브(211)가 상기 후면 커버(102b)의 상단부 일부분에 간섭되어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안정된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중첩된 때, 상기 제2, 제3 자성체(211a, 221b)의 극성 배치를 예시하고 있지만, 상기 제2, 제3 자성체(211a, 221b)가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면 도 3에 도시된 극성 배치와 다르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First, FIGS. 2 to 4 show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ousing 102 overlaps the first housing 101. In a position where the second housing 102 overlaps the first housing 101, the guide rail 221 is moved to the lower side of the guide rib 211,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211a is It is positioned to surround the third magnetic material (221b) of the upper side. At this time, the repulsive force between the first magnetic body (221a)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211a) acts as a driving force for further moving the guide rail 221, the guide rib 211 of the rear cover (102b) Interfering with a portion of the upper end, the second housing 102 may maintain a stable stationary state. FIG. 3 illustrates the polar arrangement of the second and third magnetic bodies 211a and 221b when the second housing 102 overlaps the first housing 101, but the second and third magnetic bodies are illustrated. If the 211a, 221b can generate an attraction force, it may be changed from the polar arrangement shown in FIG.

도 5 내지 도 7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제2 자성체(211a)가 상기 제1 자성체(221a)를 감싸는 지점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2 자성체(211a)가 상기 제1 자성체(221a)를 감싸는 지점에서 상기 제1, 제2 자성체(221a, 211a) 사이의 척력이 최대가 되며,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하우징(101)의 하측 또는 상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구동력을 제공 받는다. 따라서 상기 제2 자성체(211a)가 상기 제1 자성체(221a)를 감싸는 지점에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제2 하우징(102)를 약간만 이동시키면 상기 제1, 제2 자성체(221a, 211a) 사이의 척력에 의해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사용자가 의도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 제2 자성체(211a)와 제3 자성체(221b) 사이에서 발생된 인력이 작용하게 된다. 도 6은 상기 제2 자성체(211a)가 상기 제1 자성체(221a)를 감싸는 지점에서 상기 제1, 제2 자성체(221a, 211a)의 극성 배치가 도시되어 있다.5 to 7 illustrate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ousing 102 slides, and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magnetic body 211a surrounds the first magnetic body 221a. At the point where the second magnetic body 211a surrounds the first magnetic body 221a, the repulsive for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bodies 221a and 211a is maximized, and the second housing 102 is configured as the first magnetic body 221a. The driving force acting in the lower or upper direction of the housing 101 is provided. Therefore, at the point where the second magnetic body 211a surrounds the first magnetic body 221a, the user may move the second housing 102 slightly if necessary,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bodies 221a and 211a.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second housing 102 is moved in the direction intended by the user. Of course, even at this time, the attraction force generated between the second magnetic body 211a and the third magnetic body 221b acts. FIG. 6 illustrates a polar arrang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bodies 221a and 211a at a point where the second magnetic body 211a surrounds the first magnetic body 221a.

도 8 내지 도 10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제2 자성체(211a)는 하측에 배치된 상기 제3 자성체(221b)를 감싸게 위치된다. 이때, 상기 제1, 제2 자성체(221a, 211a) 사이의 척력이 여전히 작용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221)을 상향 이동시키는 구동력이 발생된다. 그러나 상기 가이드 리브(211)가 도시되지 않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의 내벽에 간섭되어 상기 제2 하우징(102)은 더 이상 상향 이동하지 않고 정지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9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한 때, 상기 제2, 제3 자성체(211a, 221b)의 극성 배치를 도시하고 있다.8 to 10 illustrate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ousing 102 slides upwardly of the first housing 101,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211a is disposed below the third magnetic body ( 221b). At this time, the repulsive for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bodies 221a and 211a still acts to generate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guide rail 221 upward. However, the guide rib 211 may interfere with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housing 102, which is not shown, so that the second housing 102 may no longer move upward and stably maintain the stationary state. FIG. 9 illustrates a polar arrangement of the second and third magnetic bodies 211a and 221b when the second housing 102 slides upwardly to the first housing 101.

한편,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정지되거나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2 자성체(211a)는 상기 제1, 제3 자성체(221a, 221b) 중 어느 하나를 감싸게 위치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레일(221)의 양면에서, 또한 상기 후면 커버(102b)의 양 측단에서 상기 제2 자성체(211a)가 각각 상기 제1 또는 제3 자성체(221a, 221b)에 대면함으로써, 상기 자성체들에 의해 발생되는 구동력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상향 또는 하향 이동시키는 구동력으로만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자성체들 간에 발생되는 힘은 상기 가이드 레일(221)을 상기 가이드 부재(201),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이드 리브(211)에 접촉되지 않고 이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단말기(100)는 자기 부상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된다. Meanwhile, while the second housing 102 is stopped or slidingly moved, the second magnetic body 211a is positioned to surround any one of the first and third magnetic bodies 221a and 221b. In this case, the second magnetic material 211a faces the first or third magnetic material 221a and 221b on both surfaces of the guide rail 221 and at both side ends of the rear cover 102b, thereby providing the magnetic material.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field acts only as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second housing 102 upward or downward. In addition, the force generated between the magnetic material is the terminal by keeping the guide rail 221 spaced apart from the guide member 201, more specifically, the guide rib 211 without contacting the terminal 100. Is opened and closed in a magnetically levitated slide manner.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Figure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부분 A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3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portion A shown in FIG.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지점에서의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terminal at the point shown in FIG. 2;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 중, 제2 하우징의 후면 케이스가 상향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rear case of the second housing moves upward among the portable terminals illustrated in FIG. 2;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부분 B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FIG. 6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part B shown in FIG. 5;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지점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housing of a portable terminal moves at a point illustrated in FIG. 5;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 중, 제2 하우징의 후면 케이스가 상향 이동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rear case of the second housing is moved upward among the portable terminals shown in FIG. 2;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부분 C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FIG. 9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view showing a portion C shown in FIG. 8; FIG.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지점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정지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is stopped at the point shown in FIG. 8;

Claims (13)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한 상태로 결합되어 직선 왕복운동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In the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first housing and a second housing coupled to face the first housing and linearly reciprocates; 상기 제2 하우징에 장착된 가이드 레일;A guide rail mounted to the second housing; 상기 제1 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게 제공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을 상기 제1 하우징에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결속시키는 가이드 부재;A guide member mounted to the first housing and provid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guide rail to linearly reciprocate the second housing to the first housing; 상기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는 제1 자성체; 및A first magnetic body installed on the guide rail; And 상기 가이드 부재에 설치되는 제2 자성체를 포함하고,A second magnetic body installed on the guide member,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안내를 받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1, 제2 자성체 사이에서 척력이 발생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와 가이드 레일을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The guide rail is guided by the guide member and moves upward or downward, and a repulsive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bodies to keep the guide member and the guide rail spaced apart.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체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중앙부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1, 제2 자성체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magnetic material is install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guide rail,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material generates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guide rail up or down relative to the guide member Portable terminal. 제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는 제3 자성체를 더 구비하고,Further provided with a third magnetic material installed on the guide rail, 상기 제1 자성체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중앙부에, 상기 제3 자성체는 상기 제1 자성체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위치되며,The first magnetic body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guide rail, the third magnetic body is located above and below the first magnetic body, respectively 상기 제2 자성체와 제3 자성체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Handheld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attraction force acts between the second magnetic material and the third magnetic material.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제2 하우징의 양 측단에 인접하게 각각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그 양 측단에 각각 제공된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며,The guide rails are respectively provided adjacent to both side ends of the second housing, and the guide member includes guide ribs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side ends thereof. 상기 가이드 리브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감싸게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The guide rib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guide rail.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성체는 상기 가이드 리브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4, wherein the second magnetic material is installed in the guide rib. 제1 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2 하우징에 장착되는 슬라이드 부재를 더 구비하고,Further comprising a slide member mounted to the second housing,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양 측단에 각각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The guide rails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side ends of the slide member. 제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가이드 부재의 양 측단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감싸게 절곡된 가이드 리브들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ribs are bent to surround the guide rail at both side ends of the guide member.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체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중앙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2 자성체가 상기 가이드 리브들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1, 제2 자성체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8. The guide rail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magnetic body is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guide rail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is installed at the guide ribs, respectively.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upper or lower side.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성체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전, 후 양면에서 각각 상기 제1 자성체와 대면함에 따라, 상기 제2 하우징이 전, 후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제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The portable device of claim 8, wherein the second magnetic body restricts the flow of the second hous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s the second magnetic body faces the first magnetic body on both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guide rail, respectively. terminal.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성체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양 측단에서 각각 상기 제1 자성체와 대면함에 따라, 상기 제2 하우징이 좌, 우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제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The portable terminal as claimed in claim 8, wherein the second magnetic body restricts the flow of the second housing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the second magnetic body faces the first magnetic body at both side ends of the slide member, respectively. 제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가이드 레일에 각각 설치되는 제3 자성체들을 더 구비하고,Further provided with third magnetic bodies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guide rail, 상기 제1 자성체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중앙부에, 상기 제3 자성체는 상기 제1 자성체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위치되며,The first magnetic body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guide rail, the third magnetic body is located above and below the first magnetic body, respectively 상기 제2 자성체와 제3 자성체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Handheld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attraction force acts between the second magnetic material and the third magnetic material.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성체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전, 후 양면에서 각각 상기 제1 자성체 또는 제3 자성체와 대면함에 따라, 상기 제2 하우징이 전, 후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제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econd magnetic body faces the first magnetic body or the third magnetic body on both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guide rail, respectively, thereby limiting the flow of the second hous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by the above.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성체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양 측단에서 각 각 상기 제1 자성체 또는 제3 자성체와 대면함에 따라, 상기 제2 하우징이 좌, 우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제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econd magnetic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housing is limited to flow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each facing the first magnetic body or the third magnetic body at both side ends of the slide member. Portable terminal made with.
KR1020080115856A 2008-11-20 2008-11-20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Ceased KR2010005686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856A KR20100056862A (en) 2008-11-20 2008-11-20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856A KR20100056862A (en) 2008-11-20 2008-11-20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862A true KR20100056862A (en) 2010-05-28

Family

ID=42280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856A Ceased KR20100056862A (en) 2008-11-20 2008-11-20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6862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00675A (en) * 2018-11-16 2020-05-2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Electronic device
US11994914B2 (en) 2020-10-12 2024-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riction reducing struc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00675A (en) * 2018-11-16 2020-05-2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Electronic device
US11994914B2 (en) 2020-10-12 2024-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riction reducing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4806B2 (en) Sliding module for mobile terminal
KR100689410B1 (en) Semi automatic sliding device of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US8634884B2 (en)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EP1988691B1 (en)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US8180416B2 (en) Sliding-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00843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its sliding module
EP1879362B1 (en)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CN101631441A (en) Portable terminal
KR100689511B1 (en) Sliding Module of Portable Terminal
EP1903754A1 (en) Sliding module for double slid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10267B1 (en) Sliding Handheld Terminal
CN101141500B (en)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KR100819284B1 (en) Portable terminal with sliding module
KR20100056862A (en)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KR20080078187A (en) Sliding Handheld Terminal
US20090052145A1 (en) Sliding type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90028952A (en) Handheld terminal
KR101469969B1 (en)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KR100860678B1 (en) Sliding Handheld Terminal
US7499266B2 (en)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KR200388393Y1 (en) Sliding assembly and portable phone having the same
KR100800839B1 (en) Portable terminal with sliding module
KR20080006728A (en) Sliding Type Handheld Terminal
KR20090003845A (en) Sliding Handheld Terminal
KR20120066867A (en)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11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11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0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12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10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