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9254A - Filtering apparatus of breeding water - Google Patents
Filtering apparatus of breeding wa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49254A KR20100049254A KR1020080108348A KR20080108348A KR20100049254A KR 20100049254 A KR20100049254 A KR 20100049254A KR 1020080108348 A KR1020080108348 A KR 1020080108348A KR 20080108348 A KR20080108348 A KR 20080108348A KR 20100049254 A KR20100049254 A KR 2010004925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eeding water
- filter
- filtration
- drawer
- lay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0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7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1001148470 aerobic baci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360 aqua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4000144974 aquacultur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2651 NO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NHNBFGGVMKEFGY-UHFFFAOYSA-N Nitrate Chemical compound [O-][N+]([O-])=O NHNBFGGVMKEFG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18 caustic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34 epoxy coating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1231 less 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464 nitrogen compoun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30 nitrogen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84 rea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silver aluminum Chemical compound 0.000 description 1
- 208000011580 syndrom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족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사육수를 여과하는 사육수 여과장치에 있어서, 표면이 이중 에폭시 코팅된 알루미늄재질로 형성되되, 여러 개의 여과서랍이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각층에 끼워지며 바닥에 타공이 형성된 여과서랍틀; 상기 여과서랍틀의 일측 및 타측에 걸쳐 끼워지며, 사육수를 공급하는 공급밸브; 상기 여과서랍틀의 내측에 끼워지도록 측벽 및 여과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사육수를 여과하는 여과서랍 및 상기 여과서랍을 통해 여과된 사육수를 수족관으로 다시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육수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로 손쉽게 여과장치를 설치할 수 있고 비용과 인력을 최소화하여 관리 및 유지를 할 수 있으며, 여과설비의 확장성과 적용성을 높여 다양한 장소와 규모 및 생물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사육수 여과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breeding water filtration device for filtering breed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aquarium, the surface is formed of a double epoxy coated aluminum material, the main frame is configured to fit a plurality of filter drawers; A filter drawer fitted to each layer of the mainframe and having a perforation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A supply valve fitted over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ltration drawer to supply breeding water; Comprising a side wall and a filtration layer to be fitted to the inside of the filter drawer 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lter for filtering the breeding water and a pump for supplying the breeding water filtered through the filter drawer back to the aquarium It relates to a breeding water filtration device. With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stalled filtration device, can be managed and maintained by minimizing the cost and manpower, breeding water filtration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places, scales and organisms by increasing the scalability and applicability of the filtration facility A device can be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족관 또는 양식장에서 사용하는 사육수를 여과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filtering breeding water used in an aquarium or aquaculture farm.
근래 수자원 보존을 위하고 자원 확보를 위한 양식설비의 개발과 문화.생태학습의 활동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공공 수족관의 건설이 국내에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In recent years, various kinds of public aquariums have been increasing in Korea for the development of aquaculture facilities for the preservation of water resources and for the securing of resources, and for cultural and ecological learning activities.
이를 위해 여과기능이 우수하고 경제적이며 관리의 편이성이 높은 여과장치는 매우 중요한 장비로 여겨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여과 장치들은 다음과 같은 수요자들로부터의 요구조건들을 수용해야 한다.For this purpose, the filtration device with excellent filtration function, economical and easy management is considered to be a very important equipment. These filtration devices must accommodate the requirements from the following consumers.
첫째 공간의 집약화이다. 두 번째는 동일 여과재의 양을 이용할 때 더 높은 여과 효율을 가져야 한다. 세 번째는 동일 여과용량일 경우 설치가 경제적이어야 한다. 네 번째는 여과재와 여과설비의 내구성이 높아야 하며 관리가 쉬워야 한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환경과 생물에 적용이 가능하여야 하며 확장성이 높아야 한다.First is the concentration of space. The second should have higher filtration efficiency when using the same amount of filter media. Third, the installation should be economical with the same filtration capacity. Fourth, the filter media and filtration equipment must be durable and easy to manage. Finally, it should be applicable to various environments and creatures and should be highly scalable.
양식장 수족관의 여과설비의 기능은 크게 세가지로 구분되며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The filtration facilities of the aquarium are divided into three main functions.
먼저, 기능은 첫째 물리적 여과 기능으로 수조 내에서 발생하는 먹이 찌꺼기나 기타 고형물질들을 일차로 걸러내어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잘게 부셔서 박테리아가 분해하기 쉽게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First, the function means that the first physical filtration function is to filter food waste or other solid substances generated in the tank to be first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r crushed to make the bacteria easier to break down.
둘째 생물여과 기능은 여과장치의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 다양한 종류의 여과재를 이용하여 호기성 박테리아가 쉽게 여과재에 부착되어 물에서 발생하는 질소화합물 등을 빠르게 분해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이다.Second, the biofiltration function is the most important function of the filtration device, and by using various kinds of filter media, aerobic bacteria are easily attached to the filter media to quickly decompose nitrogen compounds generated in water and discharge them to the outside.
셋째 화학여과 기능은 물속에 용해되어 있는 중금속이나 화합물을 흡착하여 사육생물에 영향을 끼치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Third, the chemical filtration function means a function of adsorbing heavy metals or compounds dissolved in water so as not to affect the breeding organisms.
이외에도 부수기능으로 위해 박테리아나 세균 등을 죽이는 살균기능이나 공기방울을 이용한 기름이나 단백질 등을 제거하는 기능도 포함된다.In addition, it includes a function of killing bacteria or germs, etc. as a side effect, and of removing oil or protein using air bubbles.
일반적으로 수족관용 여과설비라 함은 위의 기능들을 복합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비들을 의미하며 기본 작동원리는 수조내의 물이 먼저 물리여과설비를 통과하며 대형 고형물질들을 제거하고 이 후 생물여과조내의 여과재를 통과하며 호기성 박테리아들에 의해 먹이 찌꺼기나 배설물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가 빠르게 분해되어 독성이 적은 질산염으로 변환되고 이 후 오존이나 UV살균 등을 통해 잔여 세균을 제거한 후 수조로 돌아가는 순환을 일정하게 반복하는 것을 의미한다.In general, an aquarium filtration facility means equipment that can process the above functions in a complex manner. The basic operation principle is that the water in the tank passes through the physical filtration system first, removes the large solid matter, and then the filter medium in the biofiltration tank. Through aerobic bacteria, ammonia from food waste or excreta is rapidly decomposed and converted to less toxic nitrate.Then, after removing residual bacteria through ozone or UV sterilization, the cycle returns to the tank constantly. Means that.
다만, 기존 여과장치들의 경우 이러한 기본 작동 원리를 따르도록 디자인되었으나 몇 가지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However, the existing filtration device is designed to follow this basic operating principle, but there are some problems.
첫째는 하수처리시설에서 주로 이용하는 압력식 폐쇄형 여과기의 경우 고형물질을 제거하는 물리적 기능은 뛰어나나 생물 사육용으로 적용할 경우 폐쇄 공간의 문제점으로 용존산소의 공급이 부족하며 역쇄를 통해 여과기내 찌꺼기를 제거하더라도 일정 찌꺼기가 잔류함으로써 여과재 사이가 막혀 궁극적으로는 여과재의 수명이 단축되고 여과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First, the pressure closed filter mainly used in sewage treatment facilities has excellent physical function of removing solid matter, but when applied for biological breeding, the supply of dissolved oxygen is insufficient due to the problem of closed space. Even if the removal of a certain residue remains clogged between the filter medium and ultimately has a problem that the life of the filter medium is shortened and the filtration efficiency is lowered.
둘째는 압력을 견디기 위해 여과조의 제작단가가 매우 높으며 여과재 교체 시 작동을 멈추고 전체 여과재를 교체해야 함으로써 교체비용과 관리가 어렵고 생성된 박테리아가 이때 함께 제거됨으로써 일정기간 동안 생물 여과기능이 멈추어 여과기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여과기능을 변화시키지 못하고 한 가지 기능에만 적용할 수 있어 적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Secondly, the fabrication cost of the filtration tank is very high to withstand the pressure, and when the filter medium is replaced, the operation stops and the entire filter medium needs to be replaced, which makes it difficult to replace and manage the bacteria. Problems may aris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pplicability is poor because it can be applied only to one function without changing the filtration function in various situations.
셋째는 암모니아타워로 불리는 건식 여과조의 경우 구조의 단순화로 인해 설치비용이 저렴하고 건식방식이라 여과재의 수명이 높은 장점이 있으나 필요환경에 따라 건식과 습식을 수시로 병행하여 사용할 수 없으며 압력식 폐쇄 여과장치와 같이 여과재 교체나 청소 시 작동을 멈추고 여과재 전체를 들어내는 문제점이 있다.Third, the dry filtration tank called ammonia tower has the advantage of low installation cost due to the simplified structure and the dry method, which has the advantage of long life of the filter media.However,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dry and wet can not be used in parallel and pressure closed filtration system. As such, there is a problem in stopping the operation when replacing or cleaning the filter medium and lifting the whole filter medium.
넷째는 저렴한 방식으로 인기가 있는 습건식 겸용 여과조의 경우 상기한 여과조와 같이 여과재 교체가 불편하여 관리가 힘들고 최악의 경우 생물여과 기능이 한동안 멈춤으로써 사육 생물의 폐사의 문제점이 있다.Fourth, in the case of a popular wet-dry combined filtration tank in a low-cost manner, it is difficult to manage the filter medium as in the above-described filtration tank is difficult to manage, and in the worst case, there is a problem of the death of breeding organisms by stopping the biofiltration function for a while.
다섯째는 상기한 여과장치들의 경우 사육생물의 종류나 사육 수조의 크기 또는 설치장소에 따라 편리하게 확장할 수 있는 기능이 부족하여 추가비용의 문제점과 다양한 적용을 할 수 없는 문제점들이 있다.Fifthly, the above filtration devices lack the ability to conveniently expand according to the type of breeding organism, the size of the breeding tank or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there are problems of additional costs and various applications.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먼저 단순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여과장치의 손쉬운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며 여과장치의 일상적 관리 시 최저의 비용과 최소인력을 통한 관리의 경제성을 높이고 여과재의 교체와 청소를 쉽게 하도록 설계하여 일관적인 여과효율을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first, having a simple structure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of the filtration device, and to improve the economics of management through the lowest cost and minimum personnel in the daily management of the filtration device and It is designed to be easy to replace and clean, and to maintain consistent filtration efficiency.
또한, 여과설비의 확장성과 적용성을 높여 다양한 장소와 규모 및 생물들에게 적용할 수 있고 경제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also aims to increase the scalability and applicability of the filtration system, and to apply it to various places, scales, and organisms, and to improve economics.
또한, 여과장치의 고유의 목적인 여과기능 또한 높여 목적하는 수질을 항상 유지하고 사육환경을 최적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ltration function, which is the inherent purpose of the filtration device, is also increased to maintain the desired water quality at all times and to optimize the breeding environmen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족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사육수를 여과하는 사육수 여과장치에 있어서, 표면이 이중 에폭시 코팅된 알루미늄재질로 형성되되, 여러 개의 여과서랍이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각층에 끼워지며 바닥에 타공이 형성된 여과서랍틀; 상기 여과서랍틀의 일측 및 타측에 걸쳐 끼워지며, 사육수를 공급하는 공급밸브; 상기 여과서랍틀의 내측에 끼워지도록 측벽 및 여과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사육수를 여과하는 여과서랍 및 상기 여과서랍을 통해 여과된 사육수를 수족관으로 다시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breeding water filtration device for filtering the breed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aquarium, the surface is formed of a double epoxy coated aluminum material, the main frame is configured to fit a plurality of filter drawers ; A filter drawer fitted to each layer of the mainframe and having a perforation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A supply valve fitted over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ltration drawer to supply breeding water; Comprising a side wall and a filtration layer to be fitted inside the filter drawer 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lter for filtering the breeding water and a pump for supplying the breeding water filtered through the filter drawer back to the aquarium. .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여과서랍의 여과층은, 상기 사육수를 여과하는 여과재층 및 상기 여과재층에 의해 여과된 사육수를 하부로 흘러보내는 타공판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식여과방식 인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lter layer of the filter draw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y filtration method comprising a filter medium layer for filtering the breeding water and a perforated plate layer for flowing the breeding water filtered by the filter medium layer to the bottom. .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여과서랍의 여과층은 상기 사육수를 여과하는 여과재층; 상기 여과재층에 의해 여과된 사육수를 하부로 흘러보내는 타공판층; 상기 타공판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불투수층 및 상기 불투수층에 잔류하는 사육수를 오버플로우방식에 의해 하부로 흘러보내는 오버플로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습식여과방식 인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lter layer of the filter draw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lter material layer for filtering the breeding water; A perforated plate layer flowing down the breeding water filtered by the filter medium lay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et filtration method comprising an impermeable layer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erforated plate layer and an overflower for flowing the breeding water remaining in the impermeable layer to the bottom by an overflow method.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여과서랍의 여과층은 사육수가 통과하는 타공판층; 상기 타공판층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사육수를 살균하는 자외선살균기; 상기 타공판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불투수층 및 상기 불투수층에 잔류하는 사육수를 오버플로우방식에 의해 하부로 흘러보내는 오버플로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외선살균방식 인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lter layer of the filter draw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forated plate layer through which breeding water; An ultraviolet sterilizer provided on the perforated plate layer to sterilize the breeding wat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V sterilization method comprising an impermeable layer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erforated plate layer and an overflower to flow the breeding water remaining in the impermeable layer to the bottom by an overflow method.
또한, 본 발명은 수족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사육수를 여과하는 사육수 여과장치에 있어서, 표면이 이중 에폭시코팅된 알루미늄재질로 형성되되, 여러 개의 여과서랍이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각층에 끼워지며 바닥에 타공이 형성된 여과서랍틀; 상기 여과서랍틀의 내측에 끼워지는 측벽, 상기 사육수를 여과하는 여과재층 및 상기 여과재층를 통과하여 여과된 사육수를 하부로 흘러보내는 타공판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식여과방식의 여과서랍; 상기 건식여과방식의 여과서랍의 하단의 여과서랍틀에 끼워지는 측벽, 사육수를 여과하는 여과재층, 상기 여과재층을 통과하여 여과된 사육수를 하부로 흘러보내는 타공판층 및 상기 파공판층을 통과한 사육수를 오버플로우방식에 의해 하부로 흘러보내는 오버플로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습식여과방식의 여과서랍; 상기 습식여과방식의 여과서랍의 하단의 여과서랍특에 끼워지는 측벽, 사육수가 통과하는 타공판층, 상기 타공판층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사육수를 살균하는 자외선살균기 및 상기 자외선살균기를 통하여 살균된 사육수를 오버플로우방식에 의해 하부로 흘러보내는 오버플로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외선살균방식의 여과서랍; 및 상기 자외선살균방식의 여과서랍을 통해 여과된 사육수를 수족관으로 다시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breeding water filtration device for filtering the breed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aquarium, the surface is formed of a double epoxy-coated aluminum material, the main frame is configured to fit a plurality of filter drawers; A filter drawer fitted to each layer of the frame and having a perforation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A dry filtration drawer comprising a sidewall fitted inside the filter drawer frame, a filter material layer for filtering the breeding water, and a perforated plate layer for flowing the filtered water through the filter material layer to the bottom; Pass through the side wall fitted to the filtration drawer of the bottom of the filter filtration of the dry filtration method, the filter medium layer for filtering the breeding water, the perforated plate layer and the perforated plate layer flowing the filtered breeding water through the filter medium layer to the bottom A wet filtration drawer comprising an overflower for flowing one breeding water down through the overflow method; A side wall fitted to the filter drawer of the bottom of the wet filtration drawer, the perforated plate layer through which breeding water passes, the upper part of the perforated plate layer is provided in the ultraviolet sterilizer for sterilizing the breeding water and the sterilized breeding through the ultraviolet sterilizer A filtration drawer of ultraviolet sterilization method comprising an overflower for flowing water down through the overflow method;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ump for supplying the breeding water filtered through the ultraviolet filter sterilization drawer back to the aquarium.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오버플로우어는 외주면의 하부에 상기 불투수층의 사육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외관; 상기 외관의 내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비되되, 상기 외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내관으로 구성되되, 상기 여과서랍틀에 채워지는 사육수의 깊이가 상기 내관의 높이 이상이 되는 경우, 사육수가 상기 외관의 내측과 상기 내관의 외측사이를 통과하여 오버플로방식에 의하여 상기 내관의 내측을 통해 하부로 흘러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verfl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inlet formed in the inlet for introducing the breeding water of the impermeable layer; The inner tube i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inside the outer appearance, and consists of an inner tube formed to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outer appearance. Passing between the inside of the inner tube and the outside of the inner tube is characterized in that flows downward through the inner side of the inner tube by the overflow method.
상기한 구성에 의한 실시로 발생하는 종래의 기술과 구별되는 특유의 효과 내지 유리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The distinctive and advantageous effects distinguished from the prior art generated by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re as follows.
첫째, 부식성 물질을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담수 해수 공용으로 사용가능하며 반영구적이고, 서랍식 구조로 취하여 필요에 따라 단수를 쉽게 높여 확장성이 높다.First, by using no corrosive substances can be used in freshwater seawater common and semi-permanent, take the drawer structure easily increase the number of stages as needed, high expandability.
둘째, 상기의 서랍식으로 인해 여과재 교체와 관리가 자유롭고 필요에 따라 일부만 교체 및 관리가 가능하여 생물 여과를 위한 호기성 박테리아의 손실을 막아 신 수조 증후군과 같은 문제 발생이 억제된다.Second, the drawer type is free to replace and manage the filter medium, and only a part can be replaced and managed as necessary to prevent the loss of aerobic bacteria for biological filtration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problems such as nephrotic tank syndrome.
셋째, 서랍식 구조를 통해 다양한 여과재를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여과재끼리 섞이는 것을 방지하며 특정 종류의 여과재만 교체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ird, it is possible to use a variety of filter media through the drawer structure, to prevent the mixing of the filter media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only manage the replacement of a specific type of filter media.
넷째, 보조 여과서랍의 교체를 통해 건식과 습식 여과를 병행할 수 있으며 또한, 쉽게 장착 가능하며 필요시에 수시로 전체 또는 일부만 교체가 가능하여 여과방식의 다양화와 기능성을 높이며 여과효율을 증가 시킬 수 있다.Fourth, dry and wet filtration can be performed in parallel through the replacement of the auxiliary filter drawer, and i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if necessary, it can be replaced in whole or in part at any time,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and diversification of the filtration method. have.
다섯째, 저렴한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하며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경제적인 여과설비를 할 수 있으며 고장 발생률이 매우 적어진다.Fifth, it is manufactured by using inexpensive materials and economical filtration facilities can be made by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the occurrence rate of failure is very small.
여섯째, 필요에 따라 확장할 때 단수를 높여 여과서랍의 개수를 늘리거나 여과설비를 옆에 조립식으로 설치하여 손쉬운 확장 및 이동, 제거가 가능하다.Sixth, it is possible to easily expand, move, and remove by increasing the number of stages when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filter drawers or by installing the filtration facilities in the form of a side.
일곱째, 여과기와 여과재의 관리및 교체가 여과기를 멈추지 않고 작동되는 과정 중에 이루어짐으로써 여과 박테리아와 사육생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Seventh, the management and replacement of the filter and the filter media are performed during the operation without stopping the filter, so as not to affect the filter bacteria and the breeding organisms.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요소의 작용 및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on and embodiment of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사용하는 여과서랍틀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mbodiment of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drawer used in the embodiment of Figure 1, Figure 4 is a It is a cross section.
본 발명인 사육수 여과장치(10)는 첨부된 도 1 및 도 2와 같이, 여러 개의 여과서랍(400)이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메인프레임(100);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끼워지며 바닥에 타공(225)이 형성된 여과서랍틀(200); 상기 여과서랍틀(200)의 일측 및 타측에 걸쳐 끼워지며, 사육수를 공급하는 공급밸브(300); 상기 여과서랍틀(200)의 내측에 끼워지도록 측벽(420) 및 여과층(440)으로 구성되고, 상기 사육수를 여과층(440)을 통하여 여과하는 여과서랍(400)으로 구성된다. Breeding
메인프레임(100)은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후술하는 여과서랍틀(200) 및 여과서랍(400)이 끼워지는 구성요소로서, 첨부된 도 1 및 도 2와 같이 전체가 직육면체 모양을 이루고, 재질은 알루미늄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메인프레임(100)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즉, 담수 및 해수에 이용할 수 있도록 표면을 이중 에폭시 코팅을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여과서랍이 끼워지는 구성으로 메인프레임을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여과서랍틀(200)은 후술하는 여과서랍(400)이 끼워지는 구성요소이다. 여과서랍틀(200)은 첨부된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부에는 수족관(20)으로부터 공급되는 여과대상인 사육수가 공급되는 공급밸브(300)가 구비되고, 여과서랍틀(200)의 바닥에는 타공(225)이 형성된 타공판(220)으로 구성되어 여과서랍(400)을 통해 여과된 사육수가 아래층으로 내려가도록 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여과서랍틀(200)은 유해물질의 분출이 거의 없는 PVC판으로 제작되고 부식방지를 위해 사면을 PVC용접으로 접합하며 금속성 물질은 전혀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여과서랍(400)은 본 발명인 사육수 여과장치(10)의 기술적 특징을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측벽(420) 및 여과층(440)으로 구성되고 사육수를 여과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여과서랍(400)은 실시목적에 따라 건식여과방식, 습식여과방식 및 자외선살균여과방식으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사육수가 여과서랍(400)내에 들어와 여과층(440)을 지나 하부의 여과서랍(400)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였다. 여과서랍(400)은 유해물질의 분출이 거의 없는 PVC판으로 제작되고 부식방지를 위해 사면을 PVC용접으로 접합하고, 가능한 부식가능성이 있는 금속성 물질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완전 방수처리되어 외부로 유수 차단되어 있어 유입 수는 여과재를 통과하여 즉시 골고루 아랫단 여과서랍(400)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부로 이동한 사육수는 펌프(Pump)에 의해 수조로 순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실시조건에 따라서는 맨 아래의 여과서랍(400)을 통과한 사육수를 도 13과 같이 여과된 사육수를 여과조(30)에 저장한 후 펌프를 이용 하여 다시 수족관(20)으로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공급밸브(300)는 수족관(20)에서 배출되는 여과대상이 되는 사육수를 공급하는 구성요소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 4와 같이 공급밸브(300)의 하부에 유출구(320)를 형성하여 여과서랍(400)에 사육수를 공급하도록 하였다.The
도 5는 도 1의 실시예에 사용하는 여과서랍 중 건식여과방식에 의한 여과서랍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의 단면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drawer by the dry filtration method of the filter drawer used in the embodiment of Figure 1,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BB 'of FIG.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여과서랍(400)의 여과층(440)을 상기 사육수를 여과하는 여과재층 (442) 및 상기 여과재층(442)에 의해 여과된 사육수를 하부로 흘러보내는 미세한 타공이 형성된 타공판층(444)을 포함하는 건식방식으로 구성하여 사육수를 여과하도록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사용하는 자외선살균방식 여과서랍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C-C'의 단면도이다.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ltraviolet sterilization filter drawer us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C 'of FIG.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여과서랍(400)의 여과층(440)을 상기 사육수를 살균하는 자외선살균기(449); 사육수를 오버플로우방식에 의해 하부로 흘러보내는 오버플로우어(44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외선살균방식에 의하여 사육수를 여과하도록 구성하였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n
그리고 상기 오버플로우어(448)는 첨부된 도 8과 같이, 외주면의 하부에 상 기 불투수층의 사육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외관(448-a); 상기 외관의 내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비되되, 상기 외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내관(448-b)으로 구성하되, 상기 사육수의 깊이(h)가 상기 내관의 높이(H2) 이상이 되는 경우, 사육수가 상기 외관의 내측(448-a in)과 상기 내관의 외측(448-b out)사이를 통과하여 오버플로방식에 의하여 상기 내관의 내측(448-b in)을 통해 하부로 흘러가도록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And the
즉, 내관의 높이(H2)에 따라 오버플로우되는 사육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원칙적으로 외관의 높이(H1)가 내관의 높이(H2)보다 커야 하고, 상기 사육수의 수위(h)는 최소한 내관의 높이(H2)보다 같거나 커야한다. 이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오버플로우어에서 오버플로우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mount of breeding water overflowed according to the height (H2) of the inner tube. In detail, in principle, the height H1 of the appearance should be larger than the height H2 of the inner tube, and the water level h of the breeding water should be at least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height H2 of the inner tube. When this condition is satisfied, overflow occurs in the overfl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자외선살균여과방식에 사용하는 자외선살균기(449)는 살균효과가 뛰어난 UV-C파장을 방출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UV-C파장은 길이가 253.7nm이고,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의 DNA에 치명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자외선살균기(449)를 이용하면 박테리아나 바이러스의 DNA에 영향을 주어 거의 죽이거나 무해하게 변화시켜 번식을 방지함으로써 사육수를 여과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특히, 자외선살균은 다른 살균법과 비교해 소독하는 시간이 짧으며(박테리아의 경우 2~7초), 약품을 사용하는 방식과 달리 소독 후에 잔존물이 남지 않는다는데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사용하는 습식여과방식 여과서랍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9의 D-D'의 단면도, 도 12는 도 9의 실시예에 사용하는 오버플로우어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t filtration type drawer us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9, Figure 11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ure 9, Figure 12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ther Example of the overflower used for an Exampl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여과서랍의 여과층(440)을 상기 사육수를 여과하는 여과재층(442); 상기 여과재층에 의해 여과된 사육수를 하부로 흘러보내는 타공판층(444); 상기 타공판층(444)의 하부에 형성되는 불투수층(446) 및 상기 불투수층에 잔류하는 사육수를 오버플로우방식에 의해 하부로 흘러보내는 오버플로우어(448)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오버플로우어는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사용상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면이 이중 에폭시코팅된 알루미늄재질로 형성되되, 여러 개의 여과서랍이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메인프레임(100); 상기 프레임의 각층에 끼워지며 바닥에 타공이 형성된 여과서랍틀(200); 상기 여과서랍틀(200)측에 끼워지는 측벽(420), 상기 사육수를 여과하는 여과재층(442) 및 상기 여과재층을 통과하여 여과된 사육수를 하부로 흘러보내는 타공판층(44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식여과방식의 여과서랍; 상기 건식여과방식의 여과서랍(440)의 하단의 여과서랍틀(200)에 끼워지는 측벽(420), 사육수를 여과하는 여과재층(442), 상기 여과재층(442)을 통과하여 여과된 사육수를 하부로 흘러보내는 타공판층(444) 및 상기 타공판층(444)을 통과한 사육수를 오버플로우방식에 의해 하부로 흘러보내는 오버플로우어(44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습식여과 방식의 여과서랍; 상기 습식여과방식의 여과서랍의 하단의 여과서랍틀(200)에 끼워지는 측벽(420), 사육수가 통과하는 타공판층(444), 상기 타공판층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사육수를 살균하는 자외선살균기(449) 및 상기 자외선살균기를 통하여 살균된 사육수를 오버플로우방식에 의해 하부로 흘러보내는 오버플로우어(44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외선살균방식의 여과서랍 및 상기 자외선살균방식의 여과서랍을 통해 여과된 사육수를 수족관으로 다시 공급하는 펌프(Pump)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Figure 13 is a preferred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rface is formed of a double epoxy-coated aluminum material, the
즉, 각 여과서랍을 건식, 습식, 자외선살균방식 중 어느 한가지만으로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각층을 실시조건에 따라 자유로이 구성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In other words, each filter drawer is not composed of any one of dry, wet, and UV sterilization method, but shows that each layer can be freely configured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condi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분해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mbodiment of FIG.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사용하는 여과서랍틀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ration drawer used in the embodiment of FIG.
도 4는 도 3의 A-A'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3;
도 5는 도 1의 실시예에 사용하는 건식여과방식 여과서랍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y filtration filtration drawer used in the embodiment of FIG.
도 6은 도 5의 B-B'의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 of FIG. 5;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사용하는 자외선여과방식 여과서랍의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ltraviolet filtration filtration drawer us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C-C'의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 of FIG. 7;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사용하는 습식여과방식 여과서랍의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t filtration filtration drawer us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의 분해사시도,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9;
도 11은 도 9의 D-D'의 단면도,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9;
도 12는 도 9의 실시예에 사용하는 오버플로우어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12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n overflower used in the embodiment of FIG. 9;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사용상태도이다.Figure 13 is a preferred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사육수 여과장치 20;수족관10; Breeding
30; 여과조30; Filtration tank
100; 메인프레임100; Mainframe
200; 여과서랍틀 220; 타공판200;
225; 타공225; Perforation
300; 공급밸브 320; 유출구300;
400; 여과서랍 420; 측벽400;
440; 여과층 442; 여과재층440;
444; 타공판층 446; 불투수층444; Perforated
447; 지지대447; support fixture
448; 오버플로우어(overflower) 448-a;외관448; Overflower 448-a; appearance
448-a in; 외관 내측 448-a out; 외관 외측448-a in; Exterior 448-a out; Exterior outside
448-b; 내관 448-b in; 내관 내측448-b; Inner tube 448-b in; Inner tube
448-b out; 내관 외측 448-in; 유입구448-b out; 448-in outside the inner tube; Inlet
449;자외선살균기449 ultraviolet sterilizer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8348A KR101039472B1 (en) | 2008-11-03 | 2008-11-03 | Filtering Apparatus of Breeding Wa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8348A KR101039472B1 (en) | 2008-11-03 | 2008-11-03 | Filtering Apparatus of Breeding Wat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49254A true KR20100049254A (en) | 2010-05-12 |
KR101039472B1 KR101039472B1 (en) | 2011-06-07 |
Family
ID=42275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08348A KR101039472B1 (en) | 2008-11-03 | 2008-11-03 | Filtering Apparatus of Breeding Wa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39472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4628B1 (en) * | 2013-08-16 | 2015-07-17 | 주식회사 에이앤엠 | Filtering tower |
CN105393959A (en) * | 2015-11-20 | 2016-03-16 | 上海第二工业大学 | Totally-enclosed high density small water body automatic intelligent aquatic product culture system |
CN108391615A (en) * | 2018-01-12 | 2018-08-14 | 蒋建媛 | Aquarium |
WO2019050201A1 (en) * | 2017-09-05 | 2019-03-14 | 주식회사 하이팟 | Bottom filtration apparatus of aquarium |
KR102385878B1 (en) * | 2021-05-31 | 2022-04-14 | 하태수 | Apparatus for adulteration treatmen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8336A (en) | 2015-07-13 | 2017-01-24 | 주식회사 반도산업개발 | Filtered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filtration apparatus enteric form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10000384Y1 (en) * | 1988-12-03 | 1991-01-21 | 김병대 | Water purifier of fish bowl |
JPH07112424B2 (en) * | 1992-01-14 | 1995-12-06 | 秀人 牧平 | Water filter for seaweed |
JPH05316899A (en) * | 1992-05-18 | 1993-12-03 | Janome Sewing Mach Co Ltd | Aquarium water filtration device for viewing fish |
KR19990046376A (en) * | 1999-03-03 | 1999-07-05 | 송만호 | The excrements filtering device for aquarium tank |
-
2008
- 2008-11-03 KR KR1020080108348A patent/KR101039472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4628B1 (en) * | 2013-08-16 | 2015-07-17 | 주식회사 에이앤엠 | Filtering tower |
CN105393959A (en) * | 2015-11-20 | 2016-03-16 | 上海第二工业大学 | Totally-enclosed high density small water body automatic intelligent aquatic product culture system |
WO2019050201A1 (en) * | 2017-09-05 | 2019-03-14 | 주식회사 하이팟 | Bottom filtration apparatus of aquarium |
CN108391615A (en) * | 2018-01-12 | 2018-08-14 | 蒋建媛 | Aquarium |
KR102385878B1 (en) * | 2021-05-31 | 2022-04-14 | 하태수 | Apparatus for adulteration treatm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39472B1 (en) | 2011-06-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S588812B2 (en) | How to purify water for fish tanks | |
KR101039472B1 (en) | Filtering Apparatus of Breeding Water | |
KR101610807B1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 |
KR101551856B1 (en) | Recirculating rearing system | |
JPH11290848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ration | |
WO2013046756A1 (en) | Wastewater treatment tank without mechanical power and without electric power source | |
KR20100020563A (en) | Water cleaning apparatus | |
KR20170056107A (en) | Aquatic plant | |
KR20100007835A (en) | A skimmer provide with sterilized filter for an aguarium | |
KR100928151B1 (en) | Aquarium with filtration | |
KR20120108585A (en) | Purification system of seawater for cistern | |
KR101507710B1 (en) | Sea water treatment system using micro-bubble and method thereof | |
KR101300655B1 (en) | Apparatus for purifying and sterilization saline water or washing water | |
JPH11197420A (en) | Filtration device | |
KR200431050Y1 (en) | Aquarium Wastewater Purifier | |
KR101088385B1 (en) | Natural pond water purification system | |
KR100983905B1 (en) | Live Fish Aquarium | |
JP5311301B2 (en) | Filtration device with foam separation tank | |
JP2001288783A (en) | Washing tank | |
KR20070001299U (en) | Sterilizing water purification device for live aquarium | |
JPH0515885A (en) |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water tank by ozone | |
KR101163207B1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 |
KR100851409B1 (en) | Apparatus for purifing reservoir water | |
KR100828143B1 (en) | Appeal cleaner using microbial materials | |
KR102265428B1 (en) | Box filter for aquariu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9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102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9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110324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2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10524 Appeal identifier: 2011101002289 Request date: 20110324 |
|
AMND | Amendment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03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24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100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061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
|
B701 | Decision to grant | ||
PB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Patent event date: 201105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426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5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5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5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5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