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0563A - Water clean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Water clean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20563A KR20100020563A KR1020080079210A KR20080079210A KR20100020563A KR 20100020563 A KR20100020563 A KR 20100020563A KR 1020080079210 A KR1020080079210 A KR 1020080079210A KR 20080079210 A KR20080079210 A KR 20080079210A KR 20100020563 A KR20100020563 A KR 201000205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unit
- purifying
- washing
- bri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8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12267 bri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HPALAKNZSZLMCH-UHFFFAOYSA-M sodium;chloride;hydrate Chemical compound O.[Na+].[Cl-] HPALAKNZSZLMCH-UHFFFAOYSA-M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0249 desinf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3204 osmo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1001 back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1223 reverse osmosi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865 dilut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9969 flowable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JEGUKCSWCFPDGT-UHFFFAOYSA-N h2o hydrate Chemical compound O.O JEGUKCSWCFPDGT-UHFFFAOYSA-N 0.000 claims 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747 cardia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645 desinfe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651 NO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NHNBFGGVMKEFGY-UHFFFAOYSA-N Nitrate Chemical compound [O-][N+]([O-])=O NHNBFGGVMKEFG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OVCWXUNBOPUCH-UHFFFAOYSA-M Nitrite anion Chemical compound [O-]N=O IOVCWXUNBOPUCH-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MDJDBSEMBIJBB-UHFFFAOYSA-N [O-][N+]([O-])=O.[O-][N+]([O-])=O.[O-][N+]([O-])=O.[NH6+3] Chemical compound [O-][N+]([O-])=O.[O-][N+]([O-])=O.[O-][N+]([O-])=O.[NH6+3] MMDJDBSEMBIJB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21 anti-sep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10 char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40 industrial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10 inorganic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71 livestock man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어촌 및 산간 벽지 마을이나, 식수가 부족한 마을에, 마을 단위로 설치되어 계곡수 및 지하수를 정화하여 식수 및 생활 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그 주요 구성은 유동성 활성탄이 채워져 하부에서 유입된 계곡물, 지하수에 포함된 협잡물 및 냄새를 제거하여 상부로 배출하는 제 1정수부와, 상기 제 1정수부을 통과한 물을 정화하되, 체 걸음 방식으로 상부에서 유입된 물을 정화하여 배출하는 제 2정수부와, 상기 제 2정수부를 통과한 물을 일시 저장하는 처리수 일시 저장 탱크와, 상기 일시 저장 탱크의 물을 제 1역세 펌프로 펌핑하여 상기 제 1,2정수부를 세척하되, 송풍팬을 가동시켜 활성탄은 상부로 띄워 세척하고 걸음 망은 공극을 확대하는 제 1역세척부와, 상기 일시저장 탱크에 저수된 물을 강제로 끌어들여 정화하되, 반투막을 사이에 두고 염수와 담수를 두어 염수 방향으로 삼투압 이상의 압력을 가해 염수 방향에서 담수 방향으로 물만 투과시켜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 3정수부와, 역 세정 탱크를 두어 이 탱크에 저수된 세척수를 상기 제 3정수부에 공급하여 세척하는 제 2세척부와, 상기 제 3정수부를 통과한 물을 소독하는 소독부;로 구성되며,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villages and farming villages, or villages lacking drinking water, and installed in the village unit to clean the valley water and groundwater to be used as drinking water and living water, the main composition is filled with the liquid activated carbon introduced from the bottom The first water purification unit for removing the valley water, contaminants and odor contained in the ground water and discharged to the upper portion, and the second water purification unit for purifying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water purification portion, purifying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upper by a sieve method And, temporarily treating the treated water storage tank for temporarily storing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purified water unit, and pumping the water from the temporary storage tank with the first backwash pump to wash the first and second purified water portions, and to operate the blower fan. Activated charcoal floats to the upper part, and the washing net is forced to draw and purify the water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tank and the first backwash part to enlarge the voids. A third water purifying portion having a brine and fresh water across the membrane to apply osmotic pressure in the brine direction to penetrate water only from the brine direction to the fresh water to purify the water, and a wash water stored in the tank by having a reverse washing tank. Consists of a second washing unit for supplying and washing 3 water purification unit, and a disinfection unit for disinfecting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third water purification unit;
식수 및 생활 용수가 부족한 마을에서 계곡수나 지하수 등을 정화하여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정화 효율이 우수하여 어떠한 환경에서도 식수를 공급할 수 있는 정수 장치이다. It is a water purification device that can supply drinking water in any environment because of its efficiency in purifying valley water or ground water, etc. in villages that lack drinking water and living water.
Description
본 발명은 마을 정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어촌 및 산간 벽지 마을이나, 식수가 부족한 마을에, 마을 단위로 설치되어 계곡수 및 지하수를 정화하여 식수 및 생활 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llage 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purification device that can be used as a drinking water and living water by purifying valley water and ground water installed in village units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mountain villages, or villages lacking drinking water. It is about.
향후, 우리나라도 물부족 국가가 될 것이라는 발표가 있었다. 그런데 국내의 실정을 살펴보면, 지하수의 의존도가 5%선 미만에 머무르고 있는 현상황에서 지하수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지하수 자원을 허드렛물 또는 보조용수로 인식하고 있는 기존 물관리 정책에 획기적인 사고의 전환이 시급한 설정이다.In the future, it was announced that Korea would be a water shortage country. However, if you look at the domestic situation, in order to utilize the groundwater efficiently in the situation where the dependence of the groundwater is less than 5%, it is urgent to change the accident accident to the existing water management policy that recognizes the groundwater resource as the head water or auxiliary water. to be.
이를 위해서는 지하수가 가뭄, 홍수, 수질사고, 핵사고 혹은 테러 등 비상사태에 대비한 비상용수라는 의식 전환이 필요함과 아울러 양질의 음용수로서 국민의 건강과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생명수로서 석유, 석탄 자원과는 다른 적절한 개발 및 상시 이용관리를 필요로 하는 순환형 전략 자원이 되어야 한다.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consciousness that groundwater is emergency water for emergencies such as drought, flood, water quality accident, nuclear accident or terrorism, and it is a water of high quality drinking water that can improve people's health and quality of life. It should be a recurring strategic resource that requires appropriate development and ongoing use management that is different from the resource.
현재 국내의 지하수에 함유된 가장 주된 오염물질은 질산성 질소와 인이다. At present, the main pollutants contained in domestic groundwater are nitrate nitrogen and phosphorus.
질산염은 비료의 사용과 부패식품과 동물 및 가축 분비물, 불법 투기된 오물, 산업폐기물, 거름, 대기 중의 유실물 등이 주요 발생 요인이고 장기간의 삼투로 인하여 오염되며, 오염된 물에서는 일반적으로 질산염의 농도가 아질산염 농도보다 높게 나타난다. Nitrate is a major contributor to the use of fertilizers, spoiled food and animal and livestock waste, illegally dumped waste, industrial waste, manure, and airborne debris, and is contaminated by prolonged osmosis. Is higher than the nitrite concentration.
따라서 최근에는 지하수는 물론, 호소 및 강, 계곡수 등을 정수하여 음용할 수 있는 장치가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devices that can be purified by drinking water, lakes, rivers, valleys, etc. as well as groundwater has been actively developed.
여컨대, 본 원인에 의해 개발된 정수 장치는 계곡수 및 지하수를 정수하여 음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or example, the water purifier developed by the present cause is to be used as drinking water by purifying valley water and ground water, the configuration is as follows.
국내 특허 등록제623929호의 이러한 정수장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연이어 배치되는 제 1,2,3 정수 탱크와, 상기 제 1,2,3 정수 탱크의 하부에 계곡수를 급수하여 계곡수가 탱크 바닥에서부터 차오르며 정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송관과, 상기 각각의 정수 탱크 내측벽 중앙 부위에 상하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각각은 상편과 하편으로 이루어진 "ㄷ" 형상으로 상편의 폭이 하편 폭 보다 작게 구성된 상,하부 받침턱과 상기 상부 받침턱과 하부 받침턱 각각에 끼워지고, 상면에 손잡이가 갖추어짐과 아울러, 외주연에 상기 받침턱의 상편을 통과하여 하편에 안착되도록 끼움홈이 형성되며, 계곡수가 통과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을 가지는 다공판 및 상기 다공판들 사이에 채워져 계곡수를 정수하되, 협잡물을 여과하는 자갈과, 미세 잔류물 및 악취를 흡착하는 참숯, 그리고 극미세 잔류물을 흡착하는 섬유단사가 제 1정수탱크로부터 제 3정수탱크에 순차적으로 채워지는 제 1,2,3 여과층과 정수된 계곡수를 저수하는 저장탱크의 상면에 설치되고, 계곡수가 유입됨에 따 라 물레방아 형태의 회전동력발생부가 회전하며, 이 회전력이 감속기에 의해 조절부에 전달되어 이와 연결된 펌프 형태의 투입부를 회전시켜 상기 투입 펌프가 저장통에 담아진 소독약을 펌핑하여 소독약을 공급하는 소독제 공급부;로 구성되어 있다.This water purifying device of Korean Patent No. 623929 has a first, second and third water purification tanks arranged in a row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valley water is filled from the bottom of the tank by supplying valley water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and second water purification tanks. The upper and lower support jaw is provided with a transfer pipe to be built, and the upper and lower intervals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wall of each water purification tank, each of which has a "c" shape consisting of the upper and lower pieces, the width of the upper piece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lower piece. The upper support jaw and the lower support jaw is fitted to each, and the handle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tting groove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jaw to be seated on the lower side, so that a number of valleys can pass through Filled between the porous plate and the porous plate having a through hole to purify the valley water, and absorbs gravel to filter the contaminants, fine residue and odor To the top and bottom of the storage tank to store the first, second and third filtration layers sequentially filled from the first water purification tank to the third water purification tank and the purified valley water adsorbing the fine charcoal As the valley water flows, a watermill-type rotary power generator rotates, and this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by the reducer to rotate the pump-type input unit connected thereto to pump the disinfectant contained in the reservoir. It consists of; disinfectant supply unit for supplying disinfectant.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음용수를 충분히 확보하고, 여과층의 교환 및 보충은 용이하였으나, 장치가 복잡하고 고가인 단점이 있다. However, such a device sufficiently secures drinking water and facilitates replacement and replenishment of the filtration layer. However, the device is complicated and expensiv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활성탄과 여과지를 통과하며 2차에 걸쳐 정화가 이루어지고, 다시 역삼투압 방식으로 정화하여 계곡수, 지하수 등을 식수, 생활 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ts object is to pass through activated carbon and filter paper and purify through the secondary, and then purify by reverse osmosis to use valley water, groundwater, etc. as drinking water and living water. It is to provide a water purification device that allow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농어촌 및 산간 벽지에 마을 단위로 설치되어 부족한 식수를 보충하며, 물 부족한 우리 나라의 식수원에 크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정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cation device that can be installed in the farm and fishing villages and mountain wallpaper to supplement the lack of drinking water, and greatly help the drinking water source of our country lacking wat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하수, 계곡수는 물론, 하천, 호소의 물을 정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장치의 설치가 간편하여 다양한 용처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정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cation device that can be used in a variety of applications to facilitate the purification of water in ground water, valley water, rivers, lakes, as well as easy installation of the device.
본 발명은 계곡물, 지하수를 정화하여 물이 부족한 마을에서 식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을 정수장치에 있어서, 유동성 활성탄이 채워져 하부에서 유입된 계곡물, 지하수에 포함된 협잡물 및 냄새를 제거하여 상부로 배출하는 제 1정수부; 상기 제 1정수부을 통과한 물을 정화하되, 체 걸음 방식으로 상부에서 유입된 물을 정화하여 배출하는 제 2정수부; 상기 제 2정수부를 통과한 물을 일시 저장하는 처리수 일시 저장 탱크; 상기 일시 저장 탱크의 물을 제 1역세 펌프로 펌핑하여 상기 제 1,2정수부를 세척하되, 송풍팬을 가동시켜 활성탄은 상부로 띄워 세척하고 걸음 망은 공극을 확대하는 제 1역세척부; 상기 일시저장 탱크에 저수된 물을 강제로 끌어들여 정화하되, 반투막을 사이에 두고 염수와 담수를 두어 염수 방향으로 삼투압 이상의 압력을 가해 염수 방향에서 담수 방향으로 물만 투과시켜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 3정수부; 역 세정 탱크를 두어 이 탱크에 저수된 세척수를 상기 제 3정수부에 공급하여 세척하는 제 2세척부; 상기 제 3정수부를 통과한 물을 소독하는 소독부;로 구성된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것으로 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purifies the valley water, ground water in the village water purification device to be used as drinking water in the village lacking water, the liquid activated carbon is filled in to remove the valley water, th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ground water and odor to the top A first water purifying part discharged; A second water purifying part purify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water purifying part and purifying and discharging water introduced from the upper part in a sieve step method; A temporary storage tank for treating water temporarily storing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water purification unit; A first backwashing unit for pumping water from the temporary storage tank with a first backwash pump to wash the first and second water purification parts, and operating a blower fan to float the activated carbon to the upper part and to expand the air gap; A third to forcibly draw water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tank to purify, but pressurizes the osmotic pressure in the brine direction with the brine and fresh water in between the semi-permeable membrane so as to permeate only the water from the brine direction to the fresh water direction Water purification unit; A second washing unit having a reverse washing tank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tank to the third water purifying unit for washing; It is achieved to have a technical feature consisting of; disinfection unit for disinfecting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third water purification unit.
본 발명은 계곡수, 지하수 등의 물을 정화하여 식수 혹은 생활 용수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으로 물이 부족한 산간 벽지 혹은 농어촌 마을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that can be utilized as drinking water or living water by purifying water such as valley water, ground water, etc., which can be usefully used in mountain wallpaper or farming and fishing village lacking water.
또한 본 발명은 마을 단위로 공동으로 설치되어 설치 자금을 절약하고 구조는 간단하면서도 3차에 걸쳐 정화가 이루어짐으로써 깨끗한 물을 얻을 수 있고, 설치가 간단한 발명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jointly installed in the village unit to save the installation funds, and the structure is simple, but the purification is made three times, clean water is obtained, the installation is simple.
또, 본 발명은 1차 2차 정화 과정에서 협잡물, 냄새를 제거하고, 콜로이드 입자, 현탁질, 조류, 박테리아를 제거하며, 3차 정화에서 이온이나 오염 분자를 제거하면 또한 살균 소독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화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치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moves contaminants, odors in the first secondary purification process, removes colloidal particles, suspensions, algae, bacteria, and by removing the ions or contaminating molecules in the third purification also to be sterilized by disinfection It is a device that can enhance the purification effec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 장치의 계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 장치의 정수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 장치의 드레인 및 역세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water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water purification process of a water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drain and backwashing process of the water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ample.
또한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 장치의 요부를 확대한 도면이다.In addition,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wate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 본 발명의 정수 장치는 탱크(110)의 내부에 유동성 활성탄이 채워진 제 1정수부(100)와, 상기 제 1정수부(100)를 통과한 물을 정화하되 체 걸음 방식으로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 2정수부(200)와, 상기 제 1, 2정수부(100)(200)를 역 세척하는 제 1역세척부(400)와, 역삼투압 방식으로 제 2정수부를 통과한 물을 정화하는 제 3정수부(300)와, 상기 제 3정수부(300)를 역 세척하는 제 2역세척부(500)와, 자외선을 조사하여 정화된 물을 살균 처리하는 소독보(600)로 구성된다.In the drawing, the water purif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purifies wa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purified
상기 제 1정수부(100)는 직립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제 1정수 탱크(110)의 하부에 원수 즉 계곡수, 지하수 혹은 하천 호소 등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20)를 구비하고, 상부에 배수구(130)가 구비되어 하부로 유입된 물이 상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first
다시 말해, 상기 제 1정수 탱크(110)의 내부에는 활성탄이 충진되는데, 이 활성탄은 유동성으로 물 혹은 후술하는 공기 주입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물을 정 화토록 하는 구성으로, 심정 펌프(20)를 통해 펌핑된 물은 제 1정수 탱크의 하부 유입구(110)로 유입되어 활성탄을 통과하며 협잡물, 냄새 및 미세 먼지가 제거되고, 상부 배수구(130)를 통해 제 2정수부(200)로 유입되는 구성이다.In other words, activated carbon is filled in the first purified
상기 심정 펌프(20)는 계곡수, 지하수를 끌어올려 공급하는 것으로 이외에 하천, 호소 등의 물을 펌핑하여 공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심정 펌프(20)는 상기 제 1정수 탱크 및 후술하는 제 2정수 탱크의 내부 수위에 따라 자동으로 on, off 되어 동작한다.The
상기 제 2정수부(200)는 상기 제 1정수부(100)의 제 1정수 탱크와 유사한 형태로 직립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제 2정수 탱크(210)를 구비하고, 이 제 2정수 탱크(210)의 내부에 체 걸음 형식으로 물이 정화될 수 있도록 여과지(240)가 구비된 구성이다.The second
상기 제 2정수 탱크(210)의 상부에는 상기 배수구(120)와 연결되어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입수구(220)가 구비되고, 하부에 여과지(240)를 통과한 물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배출구(230)가 갖추어진 구성이다.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상기 여과지(240)는 0.01∼10㎛ 정도의 입자를 분리 여과하는 것으로 조작 압력은 1kg/㎠이며, 콜로이드 입자, 현탁질, 조류, 박테리아를 제거한다.The
상기 여과지(240)는 도면과 같이 복수로 중첩되어 설치되는 것이나, 정화되는 물의 조건에 따라서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2정수 탱크(210)를 통과한 물은 제 2정수부(200)와 인접하게 설치된 저장 탱크 즉 일시 저장탱크(700)로 유입되어 저수되고, 저수된 물은 제 3정수 부(300)로 보내진다.Wa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또한, 상기 일시 저장 탱크(700)에는 상기 제 1역세척부(400)가 연결되어 저수된 물을 이용하여 제1,2정수부를 세척한다.In addition, the
상기 제 1역세척부(400)는 상기 일시 저장탱크에 저수된 물을 펌핑하여 공급하는 역세 펌프(410)와 세척관(420)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세척관(420)은 제1, 2정수 탱크(110)(210)의 하부에 연결되어 역세 펌프(410)를 통해 공급된 물을 각 탱크 내부에 분사 공급하여 세척하되, 이때 공기가 주입되어 공극을 확대하게 된다. The
다시 말해, 상기 제 1역세척부(400)와 인접하여 공기 주입부(450)가 설치되는데, 이 공기 주입부(450)는 송풍기(452)를 통해 각 탱크(110)(210) 내부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유동성 활성탄을 상부로 이동 즉 공중에 띄움으로써 물 분사를 용이하게 하고, 원활한 세척이 가능하도록 하며, 동시에 여과지의 공극을 확대할 수 있는 구성이다. In other words, an
한편, 상기 일시 저장탱크(720)에는 수위를 감지하는 감지부(800)가 설치되어 수위에 따라 상기 심정 펌프(20)를 동작시켜 일정 수위를 유지하되, 제 1, 2정수 탱크에도 감지부가 설치되어 정화 속도 및 정화 량을 조절한다. 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제 3정수부(300)는 역삼투압막 형식이다. 0.001㎛ 정도의 물질을 분리 대상으로 하며, 물은 통과시키지만 물에 용해된 용질 즉 이온이나 분자는 통과시키지 않는다.The third
이를 위해 상기 제 3정수부(300)는 제 3정수 탱크(310) 내부에 반투명막을 마련하고 이를 중심으로 염수와 담수가 접하면, 담수는 염수 쪽으로 이동해서 염수 를 희석시키려 하는데, 이 관계와 역으로 염수 쪽에 삼투압 이상의 압력을 가하면 염수 쪽에서 담수 쪽으로 물만 투과하는 방식이다.To this end, the third
이때 제 3정수부(300)의 고압펌프(320)는 40∼100kg/㎠의 조작 압력으로 작용하며, 반투명막의 구멍 크기는 0.0001㎛이고, 처리 대상은 무기성 이온류, 저분자 유기물이며, 막이 폐색되면 자동으로 제 2역세척부(500)가 동작한다.At this time, the high-
상기 제 2역세척부(500)는 별도의 역세정 탱크(510)를 갖는다, 이 역세정 탱크는 정화가 완료된 최종 정수가 저수되는 배수저장탱크(720)와 연결되어 여기서 물을 공급받아 저수하고, 저수된 물은 제 2역세 펌프(520)를 통해 제 3정수부에 공급 분사되는 구성이다. The
상기 소독부(600)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제 3정수부(300)를 통과한 물을 살균처리한다.The disinfecting
보통 자외선은 세군과 곰팡이류를 사멸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250∼280nm의 파장을 조사하여 3차에 걸쳐 정화된 물에 살균 처리한다. Ultraviolet rays usually kill three groups and fungi. In the present invention, a wavelength of 250 to 280 nm is irradiated to sterilize the purified water in three steps.
상기 배수저장탱크(720)는 제 3정수부(300)를 통과한 물을 최종 저수하여 식수 및 생활 용수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 배수저장탱크(720)에 상기 감지부(800)가 설치되어 수위가 낮아지는 경우 제 3정수부를 가동시켜 일정 수위를 유지한다. The
한편, 본 발명의 정수 장치에는 상기 드레인 회수부(900)와 바이 패스관(950)이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드레인 회수부(900)는 제1,2,3정수부를 연결하는 정수관(30)에 연결되어 필 요에 따라 물을 빼내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파이 패스관 역시 소독부를 통관한 물의 량을 조절하여 배수저장탱크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The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계곡수, 지하수 혹은 하천, 호소의 물을 정화하여 식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먼저 심정 펌프(20)는 계곡수 혹은 지하수를 제 1정수부(100)에 공급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to be used as drinking water to purify the water of the valley water, ground water or rivers, lakes, first the
제 1정수부(100)는 활성탄을 통해 물을 정화하여 제 2정수부에 공급하고, 제 2정수부에서는 체 걸음 방식으로 물 속에 포함된 콜로이드 입자, 현탁질, 박테리아를 제거하며 제 3정수부(300)는 반투명막을 이용한 역삼투압 방식으로 물을 정화하게 되는 것이다.The first
이러한 과정에서 제 1역 세척부(400)와 제 2역세척부(500)는 제1, 2정수부와 제 3정수부를 세척하며 공기 주입부(450)는 공기를 주입하여 세척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In this process, the firs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 장치의 계통도,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wate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 장치의 정수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water purification process of the wate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 장치의 드레인 및 역세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rain and backwashing process of the wate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 장치의 요부를 확대한 일측면도.Figure 4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wate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정수 장치 100 : 제 1정수부10: water purification device 100: first water purification unit
200 : 제 2정수부 300 : 제 3정수부200: second integer part 300: third integer part
400 : 제 1역세척부 500 : 제 2역세척부400: first station washing unit 500: second station washing unit
600 : 소독부 700 : 일시 저장탱크600: disinfection unit 700: temporary storage tank
720 : 배수저장탱크 800 : 감지부720: drainage storage tank 800: detector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79210A KR20100020563A (en) | 2008-08-13 | 2008-08-13 | Water clean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79210A KR20100020563A (en) | 2008-08-13 | 2008-08-13 | Water cleaning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20563A true KR20100020563A (en) | 2010-02-23 |
Family
ID=42090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79210A Withdrawn KR20100020563A (en) | 2008-08-13 | 2008-08-13 | Water clean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20563A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3633B1 (en) * | 2014-01-23 | 2014-07-04 | 케이엠네이쳐 주식회사 | Water purification system with self-development capabilities |
KR101535713B1 (en) * | 2013-06-05 | 2015-07-09 | 태광에이텍 주식회사 | A percolater filter cleaning device |
KR101685929B1 (en) | 2016-05-26 | 2016-12-14 | (주) 삼진정밀 | Simple water purification appratus having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 for water quality measuring and confirmation |
KR101687571B1 (en) | 2016-05-26 | 2016-12-20 | (주) 삼진정밀 | Portabl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of assembly type according to ingredients of water |
KR101697155B1 (en) | 2016-05-26 | 2017-01-18 | (주) 삼진정밀 | Simple water purification appratus having central management and control system |
WO2019117370A1 (en) * | 2017-12-14 | 2019-06-20 | 디에이치테크 주식회사 | Cassette-type filter device |
-
2008
- 2008-08-13 KR KR1020080079210A patent/KR20100020563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5713B1 (en) * | 2013-06-05 | 2015-07-09 | 태광에이텍 주식회사 | A percolater filter cleaning device |
KR101413633B1 (en) * | 2014-01-23 | 2014-07-04 | 케이엠네이쳐 주식회사 | Water purification system with self-development capabilities |
KR101685929B1 (en) | 2016-05-26 | 2016-12-14 | (주) 삼진정밀 | Simple water purification appratus having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 for water quality measuring and confirmation |
KR101687571B1 (en) | 2016-05-26 | 2016-12-20 | (주) 삼진정밀 | Portabl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of assembly type according to ingredients of water |
KR101697155B1 (en) | 2016-05-26 | 2017-01-18 | (주) 삼진정밀 | Simple water purification appratus having central management and control system |
WO2019117370A1 (en) * | 2017-12-14 | 2019-06-20 | 디에이치테크 주식회사 | Cassette-type filter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Zhai et al. | One-step reverse osmosis based on riverbank filtration for future drinking water purification | |
US11111165B2 (en) | Process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ter | |
KR100972448B1 (en) | Rain purification apparatus and rain reuse system the same | |
CN101514060B (en) | Device for treating emergency drinking water | |
KR100876347B1 (en) | Membrane Modules and Water Treatment Systems | |
KR20100020563A (en) | Water cleaning apparatus | |
KR100971536B1 (en) |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for waterworks | |
JP2004025018A (en) | Seawater desalination equipment by reverse osmosis | |
KR101063800B1 (en) | Water treatment system | |
KR200445428Y1 (en) | Portable heavy water and water purification system | |
KR101743540B1 (en) | recycling system of rain water | |
CN201395538Y (en) | Emergency drinking water treatment equipment | |
KR100857421B1 (en) | Water purifier | |
KR101250076B1 (en) | Rainwater and Sewage Recycling System | |
CN205933456U (en) | Straight drinking water system of full embrane method | |
KR100773810B1 (en) | Ecological pond water treatment device | |
KR100853452B1 (en) | Riverside Filtrate Treatment System Including Iron and Manganese | |
KR101973740B1 (en) | Method for injection of ozone in ceramic membrane filtration process using submerged membrane and pressurized membrane | |
JP2008086852A (en) | Water treating device | |
KR100808388B1 (en) | High Efficiency Central Water Purification System Using Hybrid Process | |
KR101413633B1 (en) | Water purification system with self-development capabilities | |
KR101206477B1 (en) | Method for Reusing The Agricultural Water of Wastewater Effluent and Water of River Using The Agricultural Water Apparatus | |
KR102368131B1 (en) | Photocatalytic oxidation of OH radical hydroxyl group to remove odor, improve water quality, and regenerate filter media | |
CN202022827U (en) | Novel MBR water treatment system | |
KR200435202Y1 (en) | Ecological pond water treatment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1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