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5204A - 우산 - Google Patents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5204A
KR20100015204A KR1020080076145A KR20080076145A KR20100015204A KR 20100015204 A KR20100015204 A KR 20100015204A KR 1020080076145 A KR1020080076145 A KR 1020080076145A KR 20080076145 A KR20080076145 A KR 20080076145A KR 20100015204 A KR20100015204 A KR 20100015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hole
auxiliary
spring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6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2792B1 (ko
Inventor
부일 이
Original Assignee
부일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일 이 filed Critical 부일 이
Priority to KR1020080076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2792B1/ko
Priority to JP2011522002A priority patent/JP5507560B2/ja
Priority to PCT/KR2009/004291 priority patent/WO2010016691A2/ko
Priority to EP09805152.7A priority patent/EP2319350A4/en
Priority to CN200980131062.3A priority patent/CN102118986B/zh
Priority to US13/057,711 priority patent/US8567422B2/en
Publication of KR20100015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5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4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19/1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with collapsible ri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2Umbrella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0Umbrella crowns
    • A45B2025/105Umbrella crowns movable with respect to th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81Umbrella handle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펴고 접기가 편한 우산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손잡이가 하단에 결합된 외관과, 외관의 내측에 결합되는 내관으로 구성한 우산대와; 상기 외관과 내관의 상단에 설치한 보조살고정부재 및 메인살고정부재와; 상기 보조살고정부재와 메인살고정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다수개의 보조우산살과 메인우산살로 구성한 우산살 어셈블리와; 손잡이 상측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외관에 마주보게 형성한 작동구멍과; 외관의 외부를 따라서 승강하며 작동구멍을 통해서 내관과 핀으로 조립되는 작동손잡이와;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손잡이에 설치되며 외관의 하단에 형성한 작동구멍으로 내입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조작버튼과; 작동손잡이의 아래쪽으로 내관이 승강 이동되는 상사점과 하사점에 부합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조작버튼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걸림구멍을 포함하는 우산,
또는 손잡이가 하단에 결합된 외관과, 외관의 내측에 결합되는 내관으로 구성한 우산대와; 상기 외관의 상단에 결합한 메인살고정부재와; 상기 메인살고정부재 하측으로 외관에 상하 길게 형성한 작동구멍을 통해 내관 상단에 결합한 핀 및 핀에 결합되어 외관을 따라서 승강하는 보조살고정부재와; 상기 보조살고정부재와 메인살고정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다수개의 보조우산살과 메인우산살로 구성한 우산살 어셈블리와;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손잡이에 설치되며 외관 의 하단에 형성한 작동구멍으로 내입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조작버튼과; 상기 내관의 하단에 확관된 상태로 형성되어 손잡이에 결합되고, 우산이 펼 때 인출되고, 접을 때 들어가는 출몰부와; 상기 내관이 승강 이동되는 상사점과 하사점에 부합토록 출몰부에 형성되며, 상기 조작버튼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걸림구멍을 포함하는 우산을 구성하며,
상기 우산들을 접고 펴기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코일스프링 및 보조코일스프링과, 제2보조코일스프링을 부가 구성한 것으로, 구성이 간단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우산을 펴고 접기가 편리한 효과가 있으며, 내구성이 우수하여 고장 염려를 일소할 수 있다.
우산, 우산살 어셈블리, 조작버튼, 보조코일스프링, 스프링 받침구

Description

우산{An umbrella}
본 발명은 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펴고 접기가 편한 우산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비가 내릴 때 신체를 보호할 목적으로 우산을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우산은 사용자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우산대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손잡이에 마련된 버튼을 누르는 수고로움만으로 우산살대가 펼쳐질 수 있게 한 구성으로 발전해 왔다.
상기 우산은 사용한 후 우산을 접을 때 우산대의 상단에 위치한 보조살고정부재를 손으로 잡고 우산대 아래로 내려야 한다.
이러한 작동은 우산 사용에 많은 불편을 주며, 특히 작동과정에서 우산살대의 바깥쪽에 결합되어 있는 우산포에 묻어 있는 빗물에 의해 사용자의 인체나 의복이 젖게 되는 등의 불편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우산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코자 본 발명을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펴고 접기가 편한 우산을 제공함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하기와 같은 다수의 과제 해결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첫째, 손잡이가 하단에 결합된 외관과, 외관의 내측에 결합되는 내관으로 구성한 우산대와; 상기 외관과 내관의 상단에 설치한 보조살고정부재 및 메인살고정부재와; 상기 보조살고정부재와 메인살고정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다수개의 보조우산살과 메인우산살로 구성한 우산살 어셈블리와; 손잡이 상측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외관에 마주보게 형성한 작동구멍과; 외관의 외부를 따라서 승강하며 작동구멍을 통해서 내관과 핀으로 조립되는 작동손잡이와;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손잡이에 설치되며 외관의 하단에 형성한 작동구멍으로 내입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조작버튼과; 작동손잡이의 아래쪽으로 내관이 승강 이동되는 상사점과 하사점에 부합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조작버튼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걸림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둘째, 손잡이가 하단에 결합된 외관과, 외관의 내측에 결합되는 내관으로 구성한 우산대와; 상기 외관과 내관의 상단에 설치한 보조살고정부재 및 메인살고정 부재와; 상기 보조살고정부재와 메인살고정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다수개의 보조우산살과 메인우산살로 구성한 우산살 어셈블리와; 상기 내관의 하단에 내관과 일체로 형성한 확관부와;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이 확관부의 상단에 걸림되도록 결합되며 손잡이 하측으로 출몰되는 스프링 가압관과; 스프링 가압관의 하단에 형성된 받침턱과; 보조살고정부재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내관의 중상단에 형성한 스토퍼돌기와 스프링 가압관의 걸림턱 사이에 설치한 코일스프링과;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손잡이에 설치한 조작버튼 및 조작버튼에 일체 형성되는 가압편에 의해 가압 작동하는 보조버튼과; 상기 조작버튼과 보조버튼에 스프링 쪽으로 각각 형성한 걸림돌기 및 조작버튼의 걸림돌기 반대쪽과 가압편의 하단에 각각 형성한 승강방지용 돌기 및 지지돌기와; 조작버튼의 걸림돌기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한 안내면 및 보조버튼의 걸림돌기에 상향 경사지게 형성한 안내면과; 상기 조작버튼과 보조버튼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확관부의 상측에 짧게 형성한 걸림구멍 및 그 하측으로 길게 형성한 작동구멍, 그리고 이들과 겹쳐지도록 스프링 가압관의 상측에 길게 형성한 작동구멍 및 그 하측으로 짧게 형성한 걸림구멍과; 상기 조작버튼과 가압편에 형성한 승강방지용 돌기 및 지지돌기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확관부의 상측에 걸림구멍과 작동구멍에 겹쳐지게 형성한 스토퍼구멍과, 스프링 가압관에 형성된 걸림구멍과 작동구멍에 겹쳐지도록 확관부의 하측과 스프링 가압관에 동일한 크기로 형성한 스토퍼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셋째, 상기 메인살고정부재에 결합되는 메인우산살의 결합부 직경은 보조살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보조우산살의 결합부의 직경보다 큰 치수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넷째, 상기 보조살고정부재와 메인살고정부재 사이에 설치한 보조코일스프링과; 우산을 접은 상태에서 코일스프링이 내장되게 메인살고정부재에 일체 형성된 스프링 하우징을 결합한 구성과; 상기 손잡이의 내측으로 하향 개구되게 형성한 공간과; 손잡이와 스프링 가압관의 하단에 형성된 받침턱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공간에 내입 설치한 제2보조코일스프링을 결합한 구성을 단독 혹은 복합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섯째, 상기 손잡이 내측에 형성한 공간의 아래쪽에 설치공을 형성하고, 설치공에는 스프링 받침구가 외관의 외부에 끼워진 상태로 배치되며, 스프링 받침구에는 측면이 개구된 내입공을 형성하고, 내입공에는 마주보게 돌기가 형성되는 스토퍼를 외관의 외부에 끼워진 상태가 되도록 결합하며, 상기 스토퍼에 형성된 돌기들 중 한쪽은 상하측으로 경사면을 형성하여 외관의 걸림구멍과 스프링 가압관에 형성된 제2작동구멍에 내입되게 하고, 다른 쪽은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여 제2작동구멍의 반대쪽에 위치하며 제2작동구멍의 상단과 중심에 위치되게 형성한 제2걸림구멍에 외관의 작동구멍을 통하여 내입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섯째, 상기 보조살고정부재와 메인살고정부재 사이에 설치한 보조코일스프링과, 우산을 접은 상태에서 보조코일스프링이 내장되도록 메인살고정부재에 일체 형성한 스프링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곱째, 우산을 구성함에 있어서; 손잡이가 하단에 결합된 외관과, 외관의 내측에 결합되는 내관으로 구성한 우산대와; 상기 외관의 상단에 결합한 메인살고정부재와; 상기 메인살고정부재 하측으로 외관에 상하 길게 형성한 작동구멍을 통해 내관 상단에 결합한 핀 및 핀에 결합되어 외관을 따라서 승강하는 보조살고정부재와; 상기 보조살고정부재와 메인살고정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다수개의 보조우산살과 메인우산살로 구성한 우산살 어셈블리와;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손잡이에 설치되며 외관의 하단에 형성한 작동구멍으로 내입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조작버튼과; 상기 내관의 하단에 확관된 상태로 형성되어 손잡이에 결합되고, 우산이 펼 때 인출되고, 접을 때 들어가는 출몰부와; 출몰부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내관이 승강 이동되는 상사점과 하사점에 부합토록 출몰부에 형성되며, 상기 조작버튼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걸림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덟째, 우산을 구성함에 있어서; 손잡이가 하단에 결합되고 상단에 메인살고정부재가 결합된 외관과, 메인살고정부재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조립되어 외관의 내측에 결합되며 손잡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단에 걸림턱을 형성한 지지관을 갖는 내관으로 구성한 우산대와; 상기 내관의 상단 외부에 씌워서 일체로 결합되며 하부에 턱이 형성된 스프링지지관과; 상기 메인살고정부재 하측의 외관에 상하 길게 형성한 작동구멍, 내관 및 내관에 결합되는 스프링지지관에 작동구멍과 연통되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한 작동구멍과; 상기 내관과 스프링지지관 사이에 상단이 끼워지는 작동관과; 상기 작동구멍을 통해서 작동관 상단에 끼워지는 핀 및 핀에 결합되어 외관을 따라서 승강하는 보조살고정부재와; 상기 보조살고정부재와 메인살고정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다수개의 보조우산살과 메인우산살로 구성한 우산살 어셈블리와; 상기 내관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림되는 단턱과 손잡이 외부에 위치하는 걸림턱이 상하로 형성되게 작동관의 하단에 일체 형성한 출몰부와; 상기 내관에 일체로 형성한 스프링 지지관의 턱과, 작동관과 출몰부의 경계에 형성한 단턱 사이에 설치한 코일스프링과;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손잡이에 설치한 조작버튼 및 조작버튼에 일체 형성되는 가압편에 의해 가압 작동하는 보조버튼과; 상기 조작버튼과 보조버튼에 스프링 쪽으로 각각 형성한 걸림돌기, 조작버튼의 걸림돌기 반대쪽과 가압편의 상단에 각각 형성한 승강방지용 돌기 및 지지돌기와; 조작버튼의 걸림돌기에 상향 경사지게 형성한 안내면 및 보조버튼의 걸림돌기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한 안내면과; 상기 조작버튼과 보조버튼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내관에는 상측에 짧게 형성한 걸림구멍 및 그 하측으로 길게 형성한 작동구멍, 그리고 이들과 겹쳐지도록 출몰부 상측에 길게 형성한 작동구멍 및 그 하측으로 짧게 형성한 걸림구멍과; 상기 조작버튼과 가압편에 형성한 승강방지용 돌기 및 지지돌기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출몰부의 걸림구멍과 작동구멍에 겹쳐지게 위치되며 조작버튼을 가압할 때 지지돌기가 내입되지 않게 작게 형성한 출몰부 하측의 스토퍼구멍 및 내관에 형성된 걸림구멍과 작동구멍에 겹쳐지게 위치되며 조작버튼을 가압할 때 지지돌기가 내입되게 길게 형성한 출몰부 상측의 스토퍼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홉째, 상기 내관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에는 작동관의 하단에 일체 형성된 출몰부의 하단 단턱이 걸림되게 하고; 상기 손잡이의 내측으로 하향 개 구되게 형성되어 있는 공간의 하부를 밀폐하는 커버와; 상기 공간에 내장되며 커버와 내관 하단에 형성된 지지관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제2보조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째, 상기 손잡이 내측에 형성한 공간과; 상기 공간에 내입 설치된 제2보조코일스프링과; 손잡이 내부의 공간 아래쪽에 설치공을 형성하고, 설치공에는 상기 제2보조코일스프링을 받치는 스프링 받침구가 외관 외부에 끼워진 상태로 배치되며, 스프링 받침구에는 측면이 개구된 내입공을 형성하고, 내입공에는 마주보게 돌기가 형성되는 스토퍼를 외관의 외부에 끼워진 상태가 되도록 결합하며; 상기 내입공의 하측에는 설치공의 일측 하단에 형성된 경사 안내면이 내입되는 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스토퍼에 형성된 돌기들 중 한쪽은 상하측으로 경사면을 형성하여 외관에 형성된 걸림구멍과 내관의 지지관에 형성된 제2작동구멍에 내입되게 하고; 다른 쪽은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여 외관에 형성된 작동구멍과, 내관의 지지관에 형성한 제2걸림구멍에 내입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하나째, 상기 보조살고정부재와 메인살고정부재 사이에 설치한 보조코일스프링과; 우산을 접은 상태에서 보조코일스프링이 내장되도록 메인살고정부재에 일체 형성한 스프링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두째, 상기 메인살고정부재에 결합되는 메인우산살의 결합부 직경은 보조살고정부재에 결합되는 보조우산살의 결합부의 직경보다 큰 치수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은 구성이 간단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우산을 펴고 접기가 편리한 효과가 있으며, 내구성이 우수하여 고장 염려를 일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은 메인우산살이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이 보조우산살이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보다 큰 치수로 구성되어 있어 작은 힘으로도 우산을 쉽게 펴고 접을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실시예들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로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로 우산이 접혀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요부 발췌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1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우산(1)은 후술할 제2 내지 제8실시예들의 기본적인 개념을 갖는 구성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우산대(2)를 손잡이(3)가 하단에 결합된 외관(4)과, 외관(4)의 내측에 결합되는 내관(5)으로 구성한다.
상기 외관(4)과 내관(5)의 상단에는 각각 보조살고정부재(6)와 메인살고정부 재(7)를 설치하고, 이들에는 각각 우산살 어셈블리(8)의 보조우산살(8a)과 메인우산살(8b)을 회동가능하게 조립한다. 이때 메인살고정부재(7)에 형성되며 메인우산살(8b)이 결합되는 결합부(7a)의 직경은 보조살고정부재(6)에 형성되며 보조우산살(8a)이 결합되는 결합부(6a)의 직경보다 큰 치수로 구성된다.
이런 구성은 적은 힘으로 우산(1)을 펴고 접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메인우산살(8b)이 결합되는 결합부(7a)의 직경이 보조우산살(8a)이 결합되는 결합부(6a)의 직경보다 작거나 동일하면 우산(1)을 펴고 접을 수 없으며, 메인우산살(8b)이 결합되는 결합부(7a)의 직경이 커질수록 우산(1)을 보다 쉽게 펴고 접을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핵심 기술이고, 후술할 각 실시예에서 공통으로 적용되는 구성이다.
상기 외관(4)에는 손잡이(3) 상측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작동구멍(4a)을 마주보게 형성하고, 작동구멍(4a)에는 내관(5)을 관통하는 핀(9)을 끼워서 외관(4)의 외부를 따라서 승강하는 작동손잡이(10)와 일체로 조립한다.
상기 손잡이(3) 내측에 위치하는 외관(4)의 하단에는 작동구멍(4b)을 형성하며, 이 작동구멍(4b)에는 스프링(11)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손잡이(3)에 설치되는 조작버튼(12)에 형성한 걸림돌기(12a)가 내입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내관(5)에는 작동손잡이(10)의 아래쪽으로 내관(5)이 승강 이동되는 상사점과 하사점에 부합하는 위치에 걸림구멍(5a,5b)을 형성하여 상기 조작버튼(12)에 형성된 걸림돌기(12a)가 선택적으로 결합되게 한다.
그리고 내관(5)의 중상단에는 내관(5)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스토퍼돌기(5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제1실시예의 우산(1)을 펴는 방법은 도 2와 같이 우산(1)이 접혀진 상태에서 먼저 손잡이(3)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버튼(12)을 스프링(11) 쪽으로 가압한다.
상기와 같이 조작버튼(12)이 가압되면 조작버튼(12)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12a)가 내관(5)의 상측 걸림구멍(5a)에서 이탈되는데, 이때 작동손잡이(10)를 손으로 잡고 위쪽으로 조금만 이동시키면 내관(5)이 상승하면서 우산(1)을 펴게 되고, 가압력이 제거된 조작버튼(12)은 스프링(11)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원되면서 내관(5)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구멍(5b)에 걸림돌기(12a)가 내입되어 우산(1)을 편 상태로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우산(1)을 사용 후 접고자 할 시에는 먼저 손잡이(3)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버튼(12)을 스프링(11) 쪽으로 가압한다.
조작버튼(12)이 가압되면 걸림돌기(12a)가 내관(5)의 하측 걸림구멍(5b)에서 이탈되는데, 이때 우산포의 장력과 우산살 어셈블리(8)의 무게에 의해 우산대(2)의 내관(5)이 하향 이동하게 되어 우산(1)이 거의 접힌 상태가 되므로 작동손잡이(10)를 손으로 잡고 조금만 아래쪽으로 당기면 내관(5)의 상측에 형성된 걸림구멍(5a)으로 조작버튼(12)에 형성된 걸림돌기(12a)가 내입되어 우산(1)을 접은 상태로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우산(1)을 구성할 경우 우산(1)을 펴고 접는 작동이 손잡이(3) 의 근처에서 외관(4)을 따라서 승강하는 작동손잡이(10)의 짧은 행정거리 내에서 이루어지고 또 메인살고정부재(7)에 형성되며 메인우산살(8b)이 결합하는 결합부(7a)의 직경을 보조살고정부재(6)에 형성되며 보조우산살(8a)이 결합하는 결합부(6a)의 직경보다 크게 하면 적은 힘으로 우산을 펼 수 있으므로 우산(1)을 펴고 접기가 편리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 우산이 접혀지기 전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 우산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은 구성으로 우산(1)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외관(4)과 내관(5)의 상단에 각각 보조살고정부재(6)와 메인살고정부재(7)를 설치하고, 이들에는 각각 우산살 어셈블리(8)의 보조우산살(8a)과 메인우산살(8b)을 회동가능하게 조립함에 있어서,
상기 보조살고정부재(6)와 메인살고정부재(7) 사이에는 보조코일스프링(13)을 설치하고, 우산(1)을 접은 상태에서 메인살고정부재(7)에 일체 형성된 스프링 하우징(14)에 보조코일스프링(13)이 내장되게 한 구성이다.
상기 보조코일스프링(13)의 탄성력은 우산(1)을 1/3 내지 1/2 정도 펴지게 할 정도가 바람직하다. 보조코일스프링(13)의 장력을 높여서 우산(1)을 완전히 펴지게 할 수도 있으나, 이런 구성은 향후 우산(1)을 접기가 어렵고, 보조코일스프링(13) 장력을 줄일 경우 보조코일스프링(13)을 삽입하는 의미가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제2실시예와 같이 구성할 경우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이 우산(1)을 펴기 위해 조작버튼(12)을 가압할 경우 외관(4)과 내관(5)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보조살고정부재(6)와 메인살고정부재(7) 사이에 있는 보조코일스프링(13)이 팽창하면서 우산포의 장력과 우산살 어셈블리(8)의 자중이 평형을 이루어 우산(1)을 1/3내지 1/2정도 펴주므로 작동손잡이(10)를 손으로 잡고 위쪽으로 조금만 이동시키면 내관(5)이 상승하면서 메인살고정부재(7)를 밀어 올려 우산(1)을 펼 수 있게 된다. 이때 보조코일스프링(13)의 잔여 탄성력이 작용하므로 우산(1)을 적은 힘으로 펼 수가 있다.
우산(1)을 접을 경우는 우산포의 장력과 우산살 어셈블리(8)의 자중과 보조코일스프링(13)의 탄성력이 평형을 이루어 우산(1)이 1/3 내지 1/2정도 접혀지므로 작동손잡이(10)를 잡고 조금만 아래로 당기면 내관(5)이 하강하면서 메인살고정부재(7)를 잡아 당겨 우산(1)을 접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우산살 어셈블리(8)의 자중이 작용하므로 우산(1)을 적은 힘으로 접을 수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 우산이 접혀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 우산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코일스프링을 압축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 제3실시예의 요부 발췌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1)의 제3실시예에 의하면 우산대(2)를 손잡이(3)가 하단에 결합된 외관(4)과, 외관(4)의 내측에 결합되는 내관(5)으로 구성한다.
상기 외관(4)과 내관(5)의 상단에는 각각 보조살고정부재(6)와 메인살고정부재(7)를 설치하고, 이들에는 각각 우산살 어셈블리(8)의 보조우산살(8a)과 메인우산살(8b)을 회동가능하게 조립한다. 이때 메인살고정부재(7)에 형성되며 메인우산살(8b)이 결합되는 결합부(7a)의 직경은 보조살고정부재(6)에 형성되며 보조우산살(8a)이 결합되는 결합부(6a)의 직경보다 큰 치수로 구성된다.
상기 내관(5)의 하단에는 확관부(15)가 일체 형성되고, 확관부(15)의 외부에는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17)이 확관부(15)의 상단에 걸림되며 하측에 받침턱(16d)이 일체로 형성된 스프링 가압관(16)을 결합하여 손잡이(3) 하측으로 출몰되게 구성하며, 보조살고정부재(6)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내관(5)의 중상단에 형성한 스토퍼돌기(5c)와 스프링 가압구(16)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7) 사이에는 외관(4)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코일스프링(18)을 설치한다.
상기 코일스프링(18)은 압축된 상태에서 팽창될 때 우산(1)을 펴는 힘보다 조금 강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손잡이(3)에는 스프링(11)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조작버튼(12)과, 스프링(11)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조작버튼(12)에 일체 형성되는 가압편(12b)에 의해 가압 작동하는 보조버튼(19)을 설치하되, 조작버튼(12)과 보조버튼(19)에는 스프링(11) 쪽으로 각각 걸림돌기(12a,19a)를 형성하고, 조작버튼(12)에는 걸림돌기(12a)의 반대쪽에 승강방지용 돌기(12c)를 형성하고, 가압편(12b)의 하단에는 지지돌기(12d)를 형성한다.
상기 걸림돌기(12a,19a)의 반대쪽에 형성된 승강방지용 돌기(12c)는 조작버 튼(12)을 가압한 상태에서 조작버튼(12)이 보조버튼(19)을 가압하기 전에 후술할 상하부 스토퍼구멍(15c)으로 내입하도록 설계하며, 가압편(12b)의 하단에 형성된 지지돌기(12d)는 우산(1)이 접힌 상태에서 보조버튼(19)을 가압한 경우 확관부(15)의 상측 스토퍼구멍(15c)에는 내입되지 않고, 우산(1)이 펴진 상태에서 보조버튼(19)을 가압한 경우 확관부(15)의 하측 스토퍼구멍(15c)에는 내입되는 부재이다.
조작버튼(12)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12a)는 하향 경사진 안내면(12a')을 형성하며, 보조버튼(19)에 형성된 걸림돌기(19a)는 상향 경사진 안내면(19a')을 형성한다. 이들 경사면(12a', 19a')들은 후술할 확관부(15) 및 스프링 가압관(16)에 형성된 걸림구멍(15a,16a)에 접할 때 조작버튼(12)과 보조버튼(19)이 자연스럽게 후퇴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확관부(15)에는 상측에 걸림구멍(15a)을 작게 형성하고, 그 하측으로 작동구멍(15b)을 길게 형성하며, 스프링 가압관(16)에는 확관부(15)와는 반대로 상측에 작동구멍(16b)을 길게 형성하고, 그 하측으로 걸림구멍(16a)을 짧게 형성하는 것으로, 이들 걸림구멍(15a,16a)과 작동구멍(15b,16b)은 포개어진 상태로 위치하며, 상기 조작버튼(12)과 보조버튼(19)에 형성된 걸림돌기(12a,19a)가 이들 걸림구멍(15a,16a)과 작동구멍(15b,16b)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확관부(15)에는 작동구멍(15a)과 걸림구멍(15b)의 반대쪽 상측과 하측에 조작버튼(12)에 형성된 승강방지용 돌기(12c) 및 지지돌기(12d)가 내입되는 스토퍼구멍(15c)을 형성하며, 스프링 가압관(16)에는 하측에 스토퍼구멍(16c)을 형성한다.
상기 확관부(15)의 상측에 형성된 스토퍼구멍(15c)은 확관부(15)의 걸림구멍(15a)과 작동구멍(15b)에 겹쳐지게 짧게 형성되며, 확관부(15)의 하측과 스프링 가압관(16)에 형성된 스토퍼구멍(15c,16c)은 스프링 가압관(16)에 형성된 걸림구멍(16a)과 작동구멍(16b)에 겹쳐지게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고 상기 확관부(15)의 상측에 형성된 스토퍼구멍(15c) 보다 조금 길게 형성한다.
제3실시예와 같이 구성된 우산(1)을 펴고자 할 시에는 도 9와 같이 우산(1)이 접어진 상태에서 손잡이(3)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버튼(12)을 가압한다.
상기와 같이 조작버튼(12)을 가압하면 스프링 가압관(16)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구멍(16c)을 통해서 확관부(15)의 상단에 형성된 스토퍼구멍(15c)으로 조작버튼(12)에 형성된 승강방지용 돌기(12c)가 내입될 때 확관부(15)의 걸림구멍(15a)에 내입되어 있는 걸림돌기(12a)가 스프링 가압관(16)에 형성되어 있는 작동구멍(16b)으로 이동되면서 코일스프링(18)이 내관(5)을 밀어 올리게 된다.
이때 조작버튼(12)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돌기(12d)는 확관부(15)의 외면에 접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스프링 가압관(16)의 하측에 형성된 걸림구멍(16a)에 내입되어 스프링 가압관(16)을 고정한 상태로 유지하는 보조버튼(19)과 접촉되지 않으며, 조작버튼(12)을 가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면 우산(1)은 더 이상 펴지지 않는다.
즉, 조작버튼(12)을 가압한 상태일 때 조작버튼(12)에 형성된 승강방지용 돌기(12c)가 확관부(15)의 상단에 형성된 스토퍼구멍(15c)에 내입된 상태로 내관(5)의 상승을 잡아주고 있기 때문이며, 스프링 가압관(16)에 형성되어 있는 작동구 멍(16b)으로 이동한 걸림돌기(12a)는 확관부(15)에 형성되어 있는 작동구멍(15b)의 외측에 위치된다.
상기와 같이 조작버튼(12)을 먼저 누른 다음 가압력을 해제하면 스프링(11)의 탄성력에 의해 조작버튼(12)이 후퇴하면서 승강방지용 돌기(12c)가 확관부(15)의 상단에 형성된 스토퍼구멍(15c)에서 빠지고 걸림돌기(12a)가 확관부(15)에 형성되어 있는 작동구멍(15b)의 내측에 내입되는데, 이때 압축 상태로 있는 코일스프링(18)이 내관(15)을 완전히 밀어 올려서 우산(2)이 펴지게 된다.
우산(2)이 펴진 상태일 때 내관(5)이 상승한 상태이므로 확관부(15)의 하단에 형성된 스토퍼구멍(15c)과 스프링 가압관(16)에 형성된 스토퍼구멍(16c)이 일치하게 되고, 조작버튼(12)의 가압편(12b) 하단에 형성된 지지돌기(12d)도 스토퍼구멍(15c,16c)에 내입 가능한 상태로 있다.
상기와 같이 우산(1)을 사용 후 우산(1)을 접고자 할 시에도 상기와 같이 조작버튼(12)을 누르면 된다.
즉, 조작버튼(12)을 가압하면 조작버튼(12)에 형성된 승강방지용 돌기(12c)가 확관부(15) 하부의 스토퍼구멍(15c)과 스토퍼 가압관(16)의 스토퍼구멍(16e)으로 내입되고, 가압편(12b)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돌기(12d)도 함께 스토퍼구멍(15c,16e)으로 내입되는데, 이때 가압편(12b)이 보조버튼(19)을 가압하게 되므로 스프링 가압관(16)의 걸림구멍(16a)에 내입되어 있는 걸림돌기(19a)가 이탈된다.
이때 스프링 가압관(16)은 내관(5)과 같이 하측으로 조금 이동하여 스토퍼구멍(15c,16e)의 상단이 승강방지용 돌기(12c)에 걸려 정지하고, 조작버튼(12) 및 보 조버튼(19)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12a,19a)는 스프링 가압관(16)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작동구멍(15c)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런 상태에서 조작버튼(12)에서 가압력을 해제하면 조작버튼(12)과 보조버튼(19)이 스프링(11)의 장력에 의해 함께 복원되면서 걸림돌기(12a,19a)들이 스프링 가압관(16)에 형성된 작동구멍(16b)을 통해서 확관부(15)에 형성되어 있는 작동구멍(15b)으로 내입되고, 스프링 가압관(16)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7)과 내관(5)의 중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돌기(5c) 사이에서 팽창된 상태로 끼어 있는 코일스프링(18)과 스프링 가압관(16)과 내관(5)은 일체가 되어 걸림돌기(12a,19a)의 간섭을 받지 않고 우산포의 장력과 우산살 어셈블리(8)의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게 된다.
즉, 우산(1)이 접힐 때는 코일스프링(18)의 작용이 전혀 없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 가압관(16)이 하강하지만 우산(1)이 완전히 접힌 상태가 아니므로, 상기한 상태에서 스프링 가압관(16)을 아래로 조금 잡아 당겨 확장관(15)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구멍(15a)에 조작버튼(12)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12a)가 내입되게 하여 우산(1)이 접힌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상태에서 향후 우산(1)을 펼 수 있도록 스프링 가압관(16)을 손잡이(3) 쪽으로 밀어 넣어 코일스프링(18)을 압축한다.
이때 스프링 가압관(16)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구멍(16a)에 보조버튼(19)의 걸림돌기(19a)가 내입되어 고정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 우산이 1/3 내지 1/2정도 접혀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 우산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 우산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코일스프링을 압축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4실시예 본 발명 제3실시예와 같이 우산(1)을 조립 구성함에 있어서, 우산(1)을 쉽게 펴지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보조살고정부재(6)와 메인살고정부재(7) 사이에는 보조코일스프링(13)을 설치하고, 우산(1)을 접은 상태에서 메인살고정부재(7)에 일체 형성된 스프링 하우징(14)에 코일스프링(13)이 내장되게 한 구성이다.
상기 보조코일스프링(13)은 내관(5)의 중상단에 형성한 스토퍼돌기(5c)와 스프링 가압구(16)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7) 사이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18)의 탄성력을 보강하여 우산(1)을 보다 쉽게 펴지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제4실시예와 같이 우산(1)을 구성할 경우 상기 제3실시예에서와 같이 우산(1)을 펼 때 코일스프링(18)과 함께 보조코일스프링(13)이 팽창되므로 우산(1)을 쉽게 펴 주게 되는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로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로 우산이 접혀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로 우산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코일스프링과 제2보조코일스프링을 압축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5실시예는 본 발명 제3실시예와 같이 우산(1)을 조립 구성함에 있어서, 우산(1)을 보다 쉽게 접어지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손잡이(3)의 내측으로 하향 개구 된 공간(3a)을 형성하고, 이 공간(3a)에는 손잡이(3)와 스프링 가압관(16)의 하단에 형성된 받침턱(16d)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2보조코일스프링(20)을 설치한 구성이다.
상기 제2보조코일스프링(20)은 우산(1)을 접을 때 보다 효과적으로 접어지도록 한 것이다.
즉, 제3실시예서와 같이 우산(1)을 구성한 상태로 펴진 우산(1)을 접기 위해 조작버튼(12)을 가압하면 조작버튼(12)에 형성된 승강방지용 돌기(12c)가 확관부(15) 하부의 스토퍼구멍(15c)과 스프링 가압관(16)에 형성된 스토퍼구멍(16c)으로 내입되고, 가압편(12b)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돌기(12d)도 함께 스토퍼구멍(15c,16c)으로 내입되는데, 이때 가압편(12b)이 보조버튼(19)을 가압하게 되므로 스프링 가압관(16)의 걸림구멍(16a)에 내입되어 있는 걸림돌기(19a)가 이탈된다.
이때 스프링 가압관(16)은 내관(5)과 같이 하측으로 조금 이동하여 스토퍼구멍(15c,16c)의 상단이 조작버튼(12)에 형성된 걸림돌기(12a)에 걸려 정지하고, 조작버튼(12) 및 보조버튼(19)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12a,19a)는 스프링 가압관(16)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작동구멍(16b)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런 상태에서 조작버튼(12)에서 가압력을 해제하면 조작버튼(12)과 보조버튼(19)이 스프링(11)의 장력에 의해 함께 복원되면서 걸림돌기(12a,19a)들이 스프링 가압관(16)에 형성된 작동구멍(16b)을 통해서 확관부(15)에 형성되어 있는 작동구멍(15b)으로 내입되고, 스프링 가압관(16)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7)과 내관(5)의 중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돌기(5c) 사이에서 팽창된 상태로 끼어 있는 코일스프 링(18)과 스프링 가압관(16)과 내관(5)은 일체가 되어 걸림돌기(12a,19a)의 간섭을 받지 않고 우산포의 장력과 우산살 어셈블리(8)의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고 더불어 손잡이(3)와 스프링 가압관(16)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받침턱(16d) 사이에 위치한 제2보조코일스프링(20)이 팽창되면서 우산(1)을 접게 되므로 제3실시예에서 우산(1)을 접을 때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내관(5)도 같이 하향 이동해서 내관의 확장관(15)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구멍(15a)에 조작버튼(12)의 걸림돌기(12a)가 내입되어 우산(1)이 접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우산(1)을 접은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우산(1)을 펴고 접기 위해서는 상기 코일스프링 및 제2보조코일스프링을 함께 압축해 두어야 하며, 이들의 압축은 스프링 가압관(16)을 가압하면 된다.
즉, 손잡이(3)를 파지한 상태에서 스프링 가압관(16)을 다른 손으로 누르면 되는데, 이때 스프링 가압관(16)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17)은 코일스프링(18)을 받친 상태이고, 스프링 가압관(16)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받침턱(16b)은 제2보조코일스프링(20)을 받친 상태이므로, 스프링 가압관(16)은 2개의 스프링을 동시에 가압하면서 상승하고, 스프링 가압관(16)의 하단 걸림구멍(16a)에 보조버튼(19)의 걸림돌기(19a)가 내입 걸림되면서 스프링 가압관(16)을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로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로 우산이 접혀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로 우산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코일스프링과 제2보조코일스프링을 압축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6실시예는 본 발명 제3실시예에 제4실시예의 보조코일스프링(13)과, 제5실시예의 제2보조코일스프링(20)을 복합적으로 적용한 것으로, 우산(1)을 펴고 접기가 쉽게 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와 같이 우산(1)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보조살고정부재(6)와 메인살고정부재(7) 사이에는 보조코일스프링(13)을 설치하고, 우산(1)을 접은 상태에서 메인살고정부재(7)에 일체 형성된 스프링 하우징(14)에 보조코일스프링(13)이 내장되게 구성구성하고, 상기 손잡이(3)의 내측으로 하향 개구된 공간(3a)을 형성하고, 이 공간(3a)에는 손잡이(3)와 스프링 가압관(16)의 하단에 형성된 받침턱(16d)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2보조코일스프링(20)을 설치한 구성이다.
제 6실시예와 같이 우산(1)을 구성할 경우 우산(1)을 펼 때는 신속하게 펴지고 우산(1)을 접을 때는 제2보조코일스프링(20)에 의하여 우산이 급격히 접어지지 않게 보조코일스프링(20)이 완충 작용을 하여 서서히 접어지게 되는 바, 상기 제4,5실시예에서와 같은 사용 편리성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로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로 우산이 접혀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로 우산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코일스프링과 제2보조코일스프링을 압축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24는 본 발명 제7실시예의 요부 발췌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7실시예는 상기 제5,6실시예와 같이 우산(1)을 구성함에 있어서, 특히 우 산(1)이 자동으로 접어질 수 있게 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에 의하면 손잡이(3) 내측에 공간(3a)을 형성하고 제2보조코일스프링(20)을 결합하여 스프링 가압관(16)에 의해 가압되게 한 제2보조코일스프링(20)의 가압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제2보조코일스프링(20)이 결합되는 손잡이(3) 내부의 공간(3a) 아래쪽에 설치공(3b)을 형성하고, 설치공(3b)에는 스프링 받침구(21)가 외관(4)의 외부에 끼워진 상태로 배치되며, 스프링 받침구(21)에는 측면이 개구된 내입공(21a)을 형성하고, 내입공(21)에는 마주보게 돌기(22a,22b)가 형성되는 스토퍼(22)를 외관(4)의 외부에 끼워진 상태가 되도록 결합하여 스프링 받침구(2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스토퍼(22)에 형성된 돌기(22a,22b)들 중 한쪽은 상하측으로 경사면(22a')을 갖는 삼각형이고, 다른 쪽은 하향 경사진 경사면(22b')을 갖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내입공(21a)의 상측에는 설치공(3b)의 일측 상단에 형성된 경사안내면(3c)이 내입되는 구멍(21b)을 형성하여 스프링 받침구(21)가 상승할 때 경사안내면(3c)이 구멍(21b)을 통하여 스토퍼(22)를 밀어서 움직여 스토퍼(22)에 형성된 돌기(22a)를 외관(4)에 형성된 걸림구멍(4d)을 통과하여 스프링가압관(16)에 형성된 제2작동구멍(16e)에 내입되게 하고, 스토퍼(22)에 형성된 돌기(22b)를 스프링가압관(16)에 형성된 제2걸림구멍(16f)에서 이탈시켜 외관(4)에 형성된 작동구멍(4c)의 외측에 있게 한다. 또한 스프링 가압관(16)이 하강할 때 스프링 가압 관(16)에 형성된 제2작동구멍(16e)의 상단이 스토퍼(22)에 형성된 돌기(22a)의 경사면(22a')을 밀어 스토퍼(22)를 움직이게 하여 돌기(22a)를 외관(4)에 형성된 걸림구멍(4d)에서 이탈되게 하고 스토퍼(22)에 형성된 돌기(22b)를 외관(4)에 형성된 작동구멍(4c)을 통과하여 스프링 가압관(16)에 형성된 제2걸림구멍(16f)에 내입되게 한다.
제7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우산(1)을 도 23과 같이 접은 상태에서 우산을 펴고자 할 시에는 먼저 손잡이(3)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버튼(12)을 가압하여 상기 제3실시예에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우산을 편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제3실시예를 참조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우산(1)을 사용 후 우산(1)을 접고자 할 시에도 상기와 같이 조작버튼(12)을 누르면 된다.
즉, 조작버튼(12)을 가압하면 조작버튼(12)에 형성된 승강방지용 돌기(12c)와 가압편(12b)에 형성된 지지돌기(12d)도 함께 확장관(15)과 스프링 가압관(16)에 형성된 스토퍼구멍(15c,16c)으로 내입되는데, 이때 스토퍼(22)에 형성된 가압편(12b)이 보조버튼(19)을 가압하게 되므로 스프링 가압관(16)에 형성된 걸림구멍(16a)에 내입되어 있는 보조버튼(19)에 형성된 걸림돌기(19a)가 이탈된다.
이때 스프링 가압관(16)은 하측으로 조금 이동하여 스토퍼구멍(15c,16c)의 상단이 조작버튼(12)에 형성된 승강방지용 돌기(12c)에 걸려 정지하게 되고, 조작버튼(12) 및 보조버튼(19)에 형성된 걸림돌기(12a,19a)는 스프링 가압관(16)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작동구멍(16b)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런 상태에서 조작 버튼(12)에서 가압력을 해제하면 조작버튼(12)과 보조버튼(19)이 스프링의 장력에 의해 함께 복원되면서 걸림돌기(12a,19a)들이 스프링 가압관(16)에 형성된 작동구멍(16b)을 통해서 확장관(15)에 형성되어 있는 작동구멍(15b)으로 내입되고, 스프링 가압관(16)에 형성된 상부 걸림턱(17)과 내관(5)의 중상단에 형성된 스토퍼돌기(5c) 사이에서 팽창된 상태로 끼어 있는 코일스프링(18)과 스프링 가압관(16)과 내관(5)은 일체가 되어 조작버튼(12)과 보조버튼(19)에 형성된 걸림돌기(12a,19a)의 간섭을 받지 않고 우산포의 장력과 우산살 어셈블리(8)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우산(1)이 접혀진다.
이때 스프링 가압관(16)은 하강하다가 외관(4)에 형성된 걸림구멍(4d)에 걸려서 스프링 가압관(16)에 형성된 제2작동구멍 (16e)에 내입해 있는 스토퍼(22)에 형성된 돌기(22a)의 경사면(22a')이 스프링 가압관(16)에 형성된 작동구멍(16e)의 상단에 닿으면 밀려 이동하여 스토퍼(22)에 형성된 돌기(22a)는 외관(4)에 형성된 걸림구멍(4d)에서 이탈하고 동시에 스토퍼(220에 형성된 돌기(22b)가 외관(4)에 형성된 작동구멍(4c)를 통하여 스프링 가압관(16)에 형성된 제2걸림구멍(16f)에 내입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토퍼(22)에 형성된 돌기(22a)가 외관(4)에 형성된 걸림구멍(4d)에서 이탈되고 스토퍼(22)에 형성된 돌기(22b)가 스프링 가압관(16)에 형성된 제2걸림구멍(16f)에 내입되면 제2코일스프링(20)의 탄성에 의하여 스프링 받침구(21)와 함께 스프링 가압관(16)이 하강하면서 내관(5)을 잡아 당겨 거의 접혀 있는 우산을 완전히 접혀지게 된다. 이때 내관(5) 하부의 확관부(15)에 형성된 걸림 구멍(15a)에 조작버튼(12)에 형성된 걸림돌기(12a)가 내입되어 고정하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우산(1)을 펴고 접기 위해서는 상기 코일스프링(18)과 제2보조스프링(20)을 함께 압축해 두어야 하며, 이들의 압축은 스프링 가압관(16)을 가압하면 되는데, 제5,6실시에의 경우 제2보조스프링(20)을 코일스프링(18)과 같은 행정거리로 동시에 압축하므로 압축에 많은 힘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 제7실시예에 의하면, 제22도에서 스프링 가압관(16)을 압축하면 스토퍼(22)에 형성된 돌기(22b)가 외관(4)에 형성된 작동구멍(4c)을 통하여 스프링 가압관(16)에 형성된 제2걸림구멍(16f)의 하단에 걸려 있으므로 스프링 가압관(16)은 스프링 받침구(21)와 같이 상승하여 코일스프링(18)과 제2보조스프링(20)이 같이 압축된다. 이때 스프링 받침구(21)에 형성된 내입공(21a)의 상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멍(21b)를 통하여 손잡이(3)의 내부에 설치된 설치공(3b)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안내면(3c)이 내입되면서 스토퍼(22)는 돌기(22b)쪽으로 가압되어 이동하여서 스토퍼(22)에 형성된 돌기(22a)는 외관(4)의 걸림구멍(4d)을 통하여 스프링 가압관(16)에 형성된 제2작동구멍(16e)에 내입되게 하고, 스토퍼(22)에 형성된 돌기(22b)는 제2걸림구멍(16f)에서 이탈하여 외관의 작동구멍(4c)의 외측에 있게 한다.
이때 스프링 가압관(16)과 스토퍼(22)의 접촉은 없어져 스프링 가압관(16)은 코일스프링(18)의 압축에만 사용된다. 이때 압축된 제2보조코일스프링(20)은 압축된 체로 상기의 돌기(22a)에 의하여 외관(4)의 걸림구멍(4d)의 하부에 걸려 고정된다.
이런 상태에서 스프링 가압관(16)은 코일스프링(18)만 압축하면서 상승하다 스프링 가압관(16)의 걸림구멍(16a)에 보조버튼(19)의 걸림돌기(19a)가 내입 걸림 되면서 스프링 가압관(16)은 고정되어 스프링의 압축은 완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 가압관(16)은 초기에 손잡이(3)의 내부의 설치공(3b)에 형성된 경사 안내면(3c) 까지 짧은 거리로 가압하여 제2보조코일스프링(20)을 압축하여 외관(4)의 걸림구멍(4d)에 고정하고 난 다음에 코일스프링(18)을 압축하므로 스프링 가압관(16)을 압축하는 데 제5실시예에 비하여 힘이 적게 든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로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로 우산이 접혀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로 우산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코일스프링과 제2보조스프링을 압축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8실시예는 상기 제 7실시예와 같이 우산을 구성함에 있어서, 우산(1)을 쉽게 펴지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보조살고정부재(6)와 메인살고정부재(7) 사이에는 보조코일스프링(13)을 설치하고, 우산(1)을 접은 상태에서 메인살고정부재(7)에 일체 형성된 스프링 하우징(14)에 코일스프링(13)이 내장되게 한 구성이다.
상기 보조코일스프링(13)은 내관(5)의 중상단에 형성한 스토퍼돌기(5c)와 스프링 가압구(16)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7) 사이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18)의 탄성력을 보강하여 우산(1)을 보다 쉽게 펴지게 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손잡이(3) 내측에 내장 설치되는 제2보조코일스프링(20) 보다 탄성력이 약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토록 한다.
제8실시예와 같이 구성한 경우 우산(1)을 펼 때는 신속하게 펴지고, 제2보조코일스프링(20)에 의해 우산이 접어질 때 보조코일스프링(13)이 완충하는 역할을 하여 우산이 급격하게 접어지지 않고 서서히 접어지게 된다.
도 2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9실시예로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9실시예로 우산이 접혀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0은 본 발명 제9실시예의 요부 발췌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9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우산(101)은 후술할 제10 내지 제16실시예들의 기본적인 개념을 갖는 구성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우산대(102)를 손잡이(103)가 하단에 결합된 외관(104)과, 외관(104)의 내측에 결합되는 내관(105)으로 구성한다.
상기 외관(104)의 상단에는 메인살고정부재(107)가 결합되고, 메인살고정부재(107) 하측으로는 상하 길게 작동구멍(104a)을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작동구멍(104a)으로는 내관(105) 상단에 끼워져 고정된 핀(109)이 결합되며, 이 핀(109)에는 외관(104)을 따라서 승강하도록 보조살고정부재(106)를 결합한다.
상기 외관(104)과 내관(105)의 상단에는 설치되어 있는 메인살고정부재(107)와 보조살부재(106)에는 각각 우산살 어셈블리(108)의 메인우산살(108b)과 보조우산살(108a)을 회동가능하게 조립한다. 이때 외관(104) 상단에 설치되는 메인살고정부재(107)에 형성되며 메인우산살(108b)이 결합되는 결합부(107a)의 직경은 내 관(105) 상단에 핀(109)으로 결합되는 보조살고정부재(106)에 형성되며 보조우산살(108a)이 결합되는 결합부(106a)의 직경보다 큰 치수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103) 내측에 위치하는 외관(104)의 하단에는 작동구멍(104b)을 형성하며, 이 작동구멍(104b)에는 스프링(111)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손잡이(103)에 설치되는 조작버튼(112)에 형성한 걸림돌기(112a)가 내입되게 한다.
상기 내관(105)은 우산(101)이 펴진 상태일 때 손잡이(103) 내측에서 인출되고, 우산(101)을 접을 때 손잡이(103) 내측으로 들어가는 출몰부(123)가 확관된 상태로 형성되며, 출몰부(123)에는 상기 조작버튼(112)의 걸림돌기(112a)에 걸림될 수 있도록 우산(101)이 펴진 상사점과, 우산(101)이 접어진 하사점에 위치하도록 걸림구멍(123a,123b)을 형성하며, 출몰부(123) 하단부에는 걸림턱(123c)을 형성한 구성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제9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우산(101)을 도 29와 같이 접은 상태에서 펴고자 할 시에는 먼저 손잡이(103)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버튼(112)을 스프링(111) 쪽으로 가압하여 출몰부(123)의 하사점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구멍(123b)에서 조작버튼(112)의 걸림돌기(112a)가 분리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걸림구멍(123b)에서 걸림돌기(112a)를 분리한 상태에서 손잡이(103) 하측에 위치하는 출몰부(123) 하단의 걸림턱(123c)을 손으로 잡고 하측 방향으로 당기면 내관(105) 상단에 핀(109)으로 결합되어 있는 보조살고정부재(106)가 외관(104)에 형성된 작동구멍(104a)을 따라서 아래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우산살 어셈블리(108)의 메인우산살(108b)과 보조우산살(108a)이 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우산(101)이 펴진 상태에서 조작버튼(112)은 스프링(111)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 상태로 복원되면서 걸림돌기(112a)가 출몰부(123)의 상사점에 형성된 걸림구멍(123a)에 내입되어 우산(101)을 편 상태로 고정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와 같이 우산(101)을 편 상태로 사용 후 우산(101)을 접고자 할 시에는 우산(101)을 펼 때와 같이 조작버튼(112)을 가압하면 출몰부(123)의 상사점에 형성된 걸림구멍(123a)에 내입되어 있는 걸림돌기(112a)가 빠지게 된다.
이때 우산포의 장력과 우산살 어셈블리(108)의 자중에 의하여 내관(105) 상단에 핀(109)으로 결합되어 있는 보조살고정부재(106)가 외관(104)에 형성된 작동구멍(104a)을 따라서 위로 이동하게 되고, 우산살 어셈블리(108)의 메인우산살(108b)과 보조우산살(108a)이 접어지며, 우산(101)이 거의 접어진 상태에서 손잡이(103)의 하단에 거의 근접해 있는 출몰부(123)의 걸림턱(123c)을 조금만 밀어 올리면 조작버튼(112)은 스프링(111)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 상태로 복원되면서 걸림돌기(112a)가 출몰부(123)의 하사점에 형성된 걸림구멍(123b)에 내입되어 우산(101)을 접은 상태로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우산(101)을 구성할 경우 우산(101)을 펴고 접는 작동이 손잡이(103)의 아래에 출몰하는 출몰부(123)의 짧은 행정거리 내에서 이루어지고, 또 상기와 같이 외관(104)의 상단에 설치되는 메인살고정부재(107)에 형성되며 메인우산살(108b)이 결합되는 결합부(107a)의 직경을 내관(105)의 상단에 핀(109)으로 결합되는 보조살고정부재(106)에 형성되며 보조우산살(108a)이 결합되는 결합부(106a)의 직경보다 크게 하면 적은 힘으로 우산(101)을 펼 수가 있으므로 우 산(101)을 펴고 접기가 용이하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로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2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로 우산이 접혀지기 전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33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로 우산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제10실시예는 상기 제9실시예와 같은 구성으로 우산(101)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외관(104)과 내관(105)의 상단에 각각 메인살고정부재(107)와 보조살고정부재(106)를 설치하고, 이들에는 각각 우산살 어셈블리(108)의 메인우산살(108b)과 보조우산살(108a)을 회동가능하게 조립함에 있어서,
상기 메인살고정부재(107)와 보조살고정부재(106) 사이에는 보조코일스프링(113)을 설치하고, 우산(101)을 접은 상태에서 메인살고정부재(107)에 일체 형성된 스프링 하우징(114)에 코일스프링(113)이 내장되게 한 구성이다.
상기 보조코일스프링(113)의 탄성력은 우산(101)을 1/3 내지 1/2 정도 펴지게 할 정도가 바람직하다. 보조코일스프링(113)의 장력을 높여서 우산(101)을 완전히 펴지게 할 수도 있으나, 이런 구성은 향후 우산(101)을 접기가 어렵고, 보조코일스프링(113) 장력을 줄일 경우 보조코일스프링(113)을 삽입하는 의미가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제10실시예와 같이 우산(101)을 구성할 경우 상기 제9실시예에서와 같이 우산(101)을 펴기 위해 조작버튼(112)을 가압하게 되면 보조코일스프링(113)이 팽창하면서 보조살고정부재(106)를 아래쪽으로 밀게 되는데, 이때 우산(101)이 1/3 내지 1/2 정도 펴지게 되므로 이런 상태에서 출몰부(123) 하단의 걸림턱(123c)을 손으로 잡고 하측 방향으로 당기면 우산(101)이 완전하게 펴지는 것으로, 우산(101)을 쉽게 펼 수 있는 사용 편리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제10실시예와 같이 구성할 경우 상기 제9실시예와 같이 우산(101)을 펴기 위해 조작버튼(112)을 가압할 경우 외관(104)과 내관(105)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메인살고정부재(108b)와 보조살고정부재(108a)사이에 있는 보조코일스프링(113)이 팽창하면서 우산포의 장력과 우산살 어셈블리(108)의 자중과 평형을 이루어 우산(101)을 1/3내지1/2정도 펴지게 되므로 이런 상태에서 출몰부(123)의 하단의 걸림턱(123c)을 조금만 당기면 내관(105)의 상단에 핀(109)으로 결합되어 있는 보조살고정부재(106)가 외관(104)에 형성된 작동구멍(104a)을 따라서 아래로 이동하여 우산(101)을 펼 수 있게 한다. 이때 보조코일스프링(113)의 잔여 탄성력이 작용하므로 우산(101)을 적은 힘으로 펼 수가 있다.
그리고 우산(101)을 접을 경우는 우산포의 장력과 우산살 어셈블리(108)의 자중과 보조코일스프링(113)의 탄성력이 평형을 이루어 우산(101)이 1/3내지 1/2정도 접혀 지므로 출몰부(123)의 하단의 걸림턱(123c)을 조금만 밀어 주면 우산(101)을 접을 수 있게 한다. 이때 우산살 어셈블리(108)의 자중이 작용하므로 우산(101)을 적은 힘으로 접을 수가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로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5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로 우산이 접혀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36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로 우산이 접혀진 상태에서 코일스프링을 압축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37, 도 38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의 요부 발췌 단면도들 도시한 것이다.
제11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우산(101)은 우산대(102)를 손잡이(103)가 하단에 결합된 외관(104)과, 외관(104)의 내측에 결합되는 내관(105)으로 구성한다.
상기 외관(104)의 상단에는 메인살고정부재(107)를 결합하며, 상기 내관(105)은 메인살고정부재(107)에 형성된 관통공(107b)에 조립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되게 결합된 상태로 손잡이(103) 내측에 위치하는 하단에 걸림턱(105a)이 형성되게 지지관(105b)을 형성한다.
상기 내관(105)의 상단 외부에는 하부에 턱(124a)이 형성된 스프링지지관(124)을 씌워서 일체로 결합하며, 메인살고정부재(107) 하측의 외관(104)에는 상하 길게 작동구멍(104a)을 마주보게 형성하고, 내관(105) 및 내관(105)에 결합되는 스프링지지관(124)에는 상기 작동구멍(104a)과 연통되도록 상하로 길게 작동구멍(125)을 형성한다.
상기 내관(105)과 스프링지지관(124) 사이에는 작동관(126)의 상단을 끼우고, 상기 작동구멍(104a,125)으로는 작동관(126) 상단에 끼워져 고정된 핀(109)이 결합되며, 이 핀(109)에는 외관(104)을 따라서 승강하도록 보조살고정부재(106)를 결합한다.
상기 외관(104)과 작동관(126)에 각각 설치되는 메인살고정부재(107)와 보조살고정부재(106)에는 각각 우산살 어셈블리(108)의 메인우산살(108b)과 보조우산살(108a)을 회동가능하게 조립한다. 이때 메인살고정부재(107)에 형성되며 메인우 산살(108b)이 결합되는 결합부(107a)의 직경은 보조살고정부재(106)에 형성되며 보조우산살(108a)이 결합되는 결합부(106a)의 직경보다 큰 치수로 구성된다.
상기 내관(105)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05a)에는 작동관(126)의 하단에 일체 형성된 출몰부(127)의 상단 단턱(127a)이 걸림되며, 출몰부(127)의 하단에는 걸림턱(127b)을 형성하여 손잡이(103)에 걸림되게 한다.
상기 내관(105)에 일체로 형성되는 스프링 지지관(124)의 턱(124a)과, 내관(105)의 걸림턱(105a)에 걸리도록 작동관(126)과 출몰부(127)의 경계에 형성한 단턱(127a) 사이에는 외관(104)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코일스프링(118)을 설치한다.
상기 코일스프링(118)은 압축된 상태에서 팽창될 때 우산(101)을 펴는 힘보다 조금 강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손잡이(103)에는 스프링(111)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조작버튼(112)과, 스프링(111)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조작버튼(112)에 일체 형성되는 가압편(112b)에 의해 가압 작동하는 보조버튼(119)을 설치하되, 조작버튼(112)과 보조버튼(119)에는 스프링(111) 쪽으로 각각 걸림돌기(112a,119a)를 형성하고, 조작버튼(112)에는 걸림돌기(112a)의 반대쪽에 승강방지용 돌기(112c)를 형성하고, 가압편(112b)의 상단에는 지지돌기(112d)를 형성한다.
상기 걸림돌기(112a,119a)의 반대쪽에 형성된 승강방지용 돌기(112c)는 조작버튼(112)을 가압한 상태에서 후술할 작동관(126)의 하측 출몰부(127)에 형성한 하측 스토퍼구멍(127c)과 상측 스토퍼구멍(127d)으로 내입하도록 설계하며, 가압편(112b)에 형성된 지지돌기(112d)는 출몰부(127)의 하측 스토퍼구멍(127c)에는 내 입되지 않고, 출몰부(127)의 상측 스토퍼구멍(127d)에는 내입되는 부재이다.
조작버튼(112)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112a)는 상향 경사진 안내면(112a')을 형성하며, 보조버튼(119)에 형성된 걸림돌기(119a)는 하향 경사진 안내면(119a')을 형성한다. 이들 경사면(112a', 119a')들은 후술할 내관(105)의 하측과 작동관(126) 하단의 출몰부(127)에 형성된 걸림구멍(105c,127e)과 작동구멍(105d,127f)에 접할 때 조작버튼(112)과 보조버튼(119)이 자연스럽게 후퇴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내관(105)에는 상측 걸림구멍(105c)을 작게 형성하고, 그 하측으로 작동구멍(105d)을 길게 형성하며, 작동관(126)의 하단에 형성된 출몰부(127)에는 내관(105)과는 반대로 상측에 작동구멍(127f)을 길게 형성하고, 그 하측으로 걸림구멍(127e)을 짧게 형성하는 것으로, 이들 걸림구멍(105c,127e)과 작동구멍(105d,127f)은 포개어진 상태로 위치하며, 상기 조작버튼(112)과 보조버튼(119)에 형성된 걸림돌기(112a,119a)가 이들 걸림구멍(105c,127e)과 작동구멍(105d,127f)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출몰부(127)에 형성된 작동구멍(127f)과 걸림구멍(127e)의 반대쪽 상측에 조작버튼(112)에 형성된 승강방지용 돌기(112c) 및 지지돌기(112d)가 내입되는 스토퍼구멍(127d)을 형성하고 하측에는 조작버튼(112c)에 형성된 승강방지용 돌기(112c)만 내입되고 지지돌기(112d)는 내입되지 못하게 하는 스토퍼구멍(127c)을 출몰부(127)의 걸림구멍(127e)과 작동구멍(127f)에 겹쳐지게 상측의 스토퍼구멍(127d)보다 짧게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11실시예로 구성되는 우산(101)을 사용코자 할 시에는 도 36과 같이 접어진 상태에서 손잡이(103)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버튼(112)을 가압한다.
상기와 같이 조작버튼(112)을 가압하면 작동관(126)에 형성된 출몰부(127)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구멍(127c)으로 조작버튼(112)에 형성된 승강방지용 돌기(112c)가 내입될 때 출몰부(127)의 걸림구멍(127e)에 내입되어 있는 걸림돌기(112a)가 이탈되면서 코일스프링(118)이 작동관(126)을 아래쪽으로 밀어 내리게 된다.
이때 조작버튼(112)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돌기(112d)는 출몰부(127)의 외면에 접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내관(105)의 상측에 형성된 걸림구멍(105c)에 내입되어 내관(105)을 고정한 상태로 유지하는 보조버튼(119)과 접촉되지 않으며, 조작버튼(112)을 가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면 우산(101)은 더 이상 펴지지 않는다.
즉, 조작버튼(112)을 가압한 상태일 때 조작버튼(112)에 형성된 승강방지용 돌기(112c)가 출몰부(127)의 하단에 형성된 스토퍼구멍(127c)에 내입된 상태로 작동관(126)의 상승을 잡아주고 있기 때문이며, 출몰부(127)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구멍(127e)에서 이탈한 걸림돌기(112a)는 출몰부(127)에 형성되어 있는 작동구멍(127f)의 외측에 위치된다.
상기와 같이 조작버튼(112)을 먼저 누른 다음 가압력을 해제하면 스프링(111)의 탄성력에 의해 조작버튼(112)이 후퇴하면서 승강방지용 돌기(112c)가 출 몰부(127)의 하단에 형성된 스토퍼구멍(127c)에서 빠지고 걸림돌기(112a)가 출몰부(127)에 형성되어 있는 작동구멍(127f)의 내측에 내입되며, 압축 상태로 있는 코일스프링(118)이 작동관(126)을 완전히 밀어 내리게 되는데, 이때 보조우산살(108a)이 고정되어 있는 보조살고정부재(106)가 작동관(126)에 핀(119)으로 결합된 상태로 하향 이동하면서 우산(101)이 펴지게 된다.
우산(101)이 펴진 상태일 때 작동관(126)의 출몰부(127)가 하강한 상태이므로 출몰부(127)의 상단에 형성된 스토퍼구멍(127d) 내에 조작버튼(112)의 가압편(112b)에 형성된 지지돌기(112d)도 스토퍼구멍(127d)에 내입 가능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우산(101)을 사용 후 우산(101)을 접고자 할 시에도 상기와 같이 조작버튼(112)을 누르면 된다.
즉, 조작버튼(112)을 가압하면 조작버튼(112)에 형성된 승강방지용 돌기(112c)가 출몰부(127)의 상측 스토퍼구멍(127d)으로 내입되고, 가압편(112b)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돌기(112d)도 함께 스토퍼구멍(127d)으로 내입되는데, 이때 가압편(112b)이 보조버튼(119)을 가압하게 되므로 내관(105)의 걸림구멍(105c)에 내입되어 있는 걸림돌기(119a)가 이탈된다.
이때 출몰부(127)는 상측으로 조금 이동하여 조작버튼(112)에 형성된 승강방지용 돌기(112c)가 출몰부(127)에 형성된 스토퍼구멍(127d)의 하단에 걸려 정지하고, 조작버튼(112)에 형성된 걸림돌기(112a)는 출몰부(127)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작동구멍(127f)의 외측에 위치하고 보조버튼(119)에 형성된 걸림돌기(119a)는 작동구멍(127f)을 통해서 내관의 작동구멍(105d)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런 상태에서 조작버튼(112)에서 가압력을 해제하면 조작버튼(112)과 보조버튼(119)이 스프링(111)의 장력에 의해 함께 복원되면서 조작버튼(112)에 형성된 걸림돌기(112a)는 출몰부(127)에 형성된 작동구멍(127f)로 내입되고 보조버튼(119)에 형성된 걸림돌기(119a)는 출몰부에 형성된 작동구멍(127f)을 통해서 내관(105)에 형성된 작동구멍(105d)으로 내입되고, 내관에 일체로 형성되는 스프링 지지관(124)의 턱(124a)과 작동관(126)과 출몰부(127)의 경계에 형성한 단턱(127a)사이에 팽창된 상태로 끼어 있는 코일스프링(118)과 작동관(126)과 내관(105)은 일체가 되어 조작버튼(112)과 보조버튼(119)에 형성된 걸림돌기(112a,119a)의 간섭을 받지 않고 우산포의 장력과 우산살 어셈블리(108)의 자중에 의하여 상승하여 우산(101)아 접혀지게 된다. 즉, 우산(1)을 접을 경우 코일스프링(118)의 작용은 전혀 없다.
상기와 같이 내관(105)이 상승하지만 우산(101)이 완전히 접힌 상태는 아니므로, 상기한 상태에서 손잡이(103)의 하단과 거의 근접해 있는 출몰부(127)를 상측으로 밀어 올려 출몰부(127)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구멍(127e)이 조작버튼(112)의 걸림돌기(112a)에 걸리면 우산(101)이 접히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향후 우산(101)을 펼 수 있도록 메인살고정부재(107)를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내관(105)의 상단을 손잡이(103) 쪽으로 밀어 넣어 코일스프링(118)을 압축한다.
이때 내관(105)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구멍(105c)에 보조버튼(119)의 걸림돌기(119a)가 내입되어 내관(105)을 고정하게 된다.
도 39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로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0은 본 발명의 제12실시예로 우산이 1/3 내지 1/2 정도 접혀지거나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1은 본 발명의 제12실시예로 우산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2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로 우산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코일스프링을 압축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12실시예 본 발명 제11실시예와 같이 우산(101)을 조립 구성함에 있어서, 우산(101)을 쉽게 펴지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보조살고정부재(106)와 메인살고정부재(107) 사이에는 보조코일스프링(113)을 설치하고, 우산(101)을 접은 상태에서 메인살고정부재(107)에 일체 형성된 스프링 하우징(114)에 코일스프링(113)이 내장되게 외관(104)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설치한 구성이다.
상기 보조코일스프링(113)은 내장되어 있는 코일스프링(118)의 탄성력을 보강하여 우산(101)을 보다 쉽게 펴지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제12실시예와 같이 우산(101)을 구성할 경우 상기 제11실시예에서와 같이 우산(101)을 펼 때 코일스프링(118)과 함께 보조코일스프링(113)이 팽창되므로 우산(101)을 쉽게 펴 주게 되는 것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제13실시예로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4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로 우산이 접혀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5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로 우산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코일스프링과 제2보조코일스프링을 압축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13실시예는 본 발명 제11실시예와 같이 우산(101)을 조립 구성함에 있어 서, 우산(101)을 보다 쉽게 접어지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손잡이(103)의 내측으로 하향 개구되게 형성되어 있는 공간(103a)의 하부를 커버(128)로 밀폐하고, 이 공간(103a)에는 커버(128)와 내관(105) 하단의 지지관(105b)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2보조코일스프링(120)을 설치한 구성이다.
상기 제2보조코일스프링(120)은 우산(101)을 접을 때 보다 효과적으로 접어지도록 한 것이다.
즉, 제11실시예서와 같이 우산(101)을 구성한 상태로 펴진 우산(101)을 접기 위해 조작버튼(112)을 가압하면 조작버튼(112)에 형성된 승강방지용 돌기(112c)가 출몰부(127)의 상측 스토퍼구멍(127d)으로 내입되고, 가압편(112b)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돌기(112d)도 함께 스토퍼구멍(127d)으로 내입되는데, 이때 가압편(112b)이 보조버튼(119)을 가압하게 되므로 내관(105)의 걸림구멍(105c)에 내입되어 있는 걸림돌기(119a)가 이탈된다.
이때 출몰부(127)는 상측으로 조금 이동하여 조작버튼(112)에 형성된 승강방지용 돌기(112c)가 출몰부(127)에 형성된 스토퍼구멍(127d)의 하단에 걸려 정지하고, 조작버튼(112)에 형성된 걸림돌기(112a)는 출몰부(127)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작동구멍(127f)의 외측에 위치하고 보조버튼(119)에 형성된 걸림돌기(119a)는 출몰부(127)에 형성된 작동구멍(127f)을 통해서 내관(105)에 형성된 작동구멍(105d)의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조작버튼(112)에서 가압력을 해제하면 조작버튼(112)과 보조버튼(119)이 스프링(111)의 장력에 의해 함께 복원되면서 조작버튼(112)에 형성된 걸림돌기(112a)는 출몰부(127)에 형성된 작동구멍(127f)으로 내입되고 보조버튼(119)에 형성된 걸림돌기(119a)는 출몰부(127)에 형성된 작동구멍(127f)을 통해서 내관(105)에 형성된 작동구멍(105d)으로 내입되고, 내관(105)에 일체로 형성되는 스프링 지지관(124)의 턱(124a)과 작동관(126)과 출몰부(127)의 경계에 형성한 단턱(127a)사이에 팽창된 상태로 끼어 있는 코일스프링(118)과 작동관(126)과 내관(105)은 일체가 되어 걸림돌기(112a,119a)의 간섭을 받지 않고 우산포의 장력과 우산살 어셈블리(108)의 자중에 의하여 상승하고 더불어 손잡이(103)에 형성된 커버(128)와 내관(105)의 하단의 지지관(105b)사이에 위치한 제2보조코일스프링(120)이 팽창하면서 우산을 접게 되고, 출몰부(127)의 걸림구멍(127e)에 조작버튼(112)의 걸림돌기(112a)가 걸려 우산(101)이 접힌 채로 고정된다.
이런 상태에서 향후 우산(101)을 펼 수 있도록 메인살고정부재(107)를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내관(105)의 상단을 손잡이(103) 쪽으로 밀어 넣으면, 내관(105)과 작동관(126) 사이의 코일스프링(118)과 손잡이(103)에 내장되며, 내관(105)의 하부지지관(105b)과 손잡이에 결합된 커버(128) 사이의 제2보조코일스프링(120)이 함께 압축되며, 내관(105)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구멍(105c)에 보조버튼(119)의 걸림돌기(119a)가 내입되어 내관(105)을 고정하게 된다.
이런 구성은 우산(101)을 쉽게 접고 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제14실시예로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7은 본 발명의 제14실시예로 우산이 접혀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8은 본 발명의 제15실시예로 우산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코일스프링과 제2코일스프링을 압축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14실시예는 본 발명 제11실시예에 제12실시예의 보조코일스프링(113)과, 제13실시예의 제2보조코일스프링(120)을 복합적으로 적용한 것으로, 우산(101)을 펴고 접기가 쉽게 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1실시예와 같이 우산(101)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보조살고정부재(106)와 메인살고정부재(107) 사이에는 보조코일스프링(113)을 설치하고, 우산(101)을 접은 상태에서 메인살고정부재(107)에 일체 형성된 스프링 하우징(114)에 보조코일스프링(113)이 내장되게 구성하고,
상기 손잡이(103)의 내측으로 하향 개구된 공간(103a)을 형성하여 커버(128)로 밀폐하고, 이 공간(103a)에는 내관(105)의 하단에 형성한 지지관(105b)과 커버(128)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2보조코일스프링(120)을 설치한 구성이다.
제14실시예와 같이 우산(101)을 구성할 경우 우산(101)을 펼 때는 신속하게 펴지고 우산(101)을 접을 때는 제2보조코일스프링(120)에 의하여 급격하게 접어지지 않게 보조코일스프링(113)이 완충작용을 하여 서서히 접히게 되는 것으로 사용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제15실시예로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0은 본 발명의 제15실시예로 우산이 접혀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51은 본 발명의 제15실시예로 우산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코일스프링과 제2코일스프링을 압축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2는 본 발명 제15실시예의 요부 발 췌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15실시예는 상기 제12,13실시예와 같이 우산(101)을 구성함에 있어서, 특히 우산(101)이 자동으로 접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본 발명 실시예는 도시된 바에 의하면 손잡이(103) 내측에 공간(103a)을 형성하고 제2보조코일스프링(120)을 결합하여 내관(105)에 의해 가압되게 한 제2보조코일스프링(120)의 가압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제2보조코일스프링(120)이 결합되는 손잡이(103) 내부의 공간(103a) 아래쪽에 설치공(103b)을 형성하고, 설치공(103b)에는 스프링 받침구(121)가 외관(104)의 외부에 끼워진 상태로 배치되며, 스프링 받침구(121)에는 측면이 개구된 내입공(121a)을 형성하고, 내입공(121)에는 마주보게 돌기(122a,122b)가 형성되는 스토퍼(122)를 외관(104)의 외부에 끼워진 상태가 되도록 결합하여 스프링 받침구(12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스토퍼(122)에 형성된 돌기(122a,122b)들 중 한쪽은 상하측으로 경사면(122a')를 갖는 삼각형이고, 다른 쪽은 상향 경사진 경사면(123b')을 갖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내입공(121a)의 하측에는 손잡이(103)의 내부의 설치공(103b) 일측 하단에 형성된 경사안내면(103c)이 내입되는 구멍(121b)을 형성하여 내관(105)의 하단의 지지관(105b)이 하강하여 스프링 받침구(121)가 하강할 때 경사안내면(103c)이 상기 구멍(121b)을 통과하여 스토퍼(122)를 밀어서 움직여 스토퍼(122)에 형성된 돌기(122a)를 외관(4)에 형성된 걸림구멍(104d)을 통과하여 내 관(105)의 하단의 지지관(105b)에 형성된 작동구멍(105e)에 내입되게 하고, 상기 돌기(122b)를 내관(105)의 하단의 지지관(105b)에 형성된 제2걸림구멍(105f)에서 이탈시켜 외관(104)에 형성된 작동구멍(104c)의 외측에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지지관(105b)이 상승할 때 상기 지지관(105b)에 형성된 제2작동구멍(105e)의 하단이 돌기(122a)의 경사면(122a')의 하측을 밀어 스토퍼(122)를 밀어 움직여 상기 돌기(122a)를 외관의 걸림구멍(104d)에서 이탈하게 하고 상기 돌기(122b)를 외관의 작동구멍(104c)를 통과하여 내관의 지지관(105b)의 제2걸림구멍(105f)에 내입되게 한다.
제15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우산(101)을 도51과 같이 접은 상태에서 우산(101)을 펴고자 할 시에는 손잡이(103)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버튼(112)을 가압하여 상기 제11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우산(101)을 편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제11실시예를 참조하면 된다.
상가와 같이 우산을 사용한 후 우산(101)을 접고자 할 시에도 상기와 같이 조작버튼(112)을 누르면 된다. 즉 조작버튼(112)을 가압하면 조작버튼(112)에 형성된 승강방지용 돌기(112c)와 가압편(112b)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돌기(112d)도 함께 출몰부(127)의 상측 스토퍼구멍(127d)에 내입되는데 이때 가압편(112b)이 보조버튼(119)을 가압하게 되므로 내관에 형성된 걸림구멍(105c)에 내입되어 있는 보조버튼(119)에 형성된 걸림돌기(119a)가 이탈된다.
이때 출몰부(127)는 상측으로 조금 이동하여 조작버튼(112)에 형성된 승강용 돌기(112c)가 출몰부(127)에 형성된 스토퍼구멍(127d)의 하단에 걸려 정지하고, 조 작버튼(112)에 형성된 걸림돌기(112a)는 출몰부(127)의 상측에 형성된 작동구멍(127f)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런 상태에서 조작버튼(112)의 가압력을 해제하면 조작버튼(112)과 보조버튼(119)이 스프링(111)의 장력에 의해 함께 복원되면서 상기 걸림돌기(112a,119a)들이 출몰부(127)에 형성된 작동구멍(127f)을 통해서 내관(105)에 형성된 작동구멍(105d)으로 내입되고 내관에 일체로 형성된 스프링 지지관(124)의 턱(124a)과 작동관(126)과 출몰부(127)의 경계에 형성된 단턱(127a) 사이에 확장된 상태로 끼어있는 코일 스프링(118)과 작동관(126)과 내관(105)은 일체가 되어 상기 걸림돌기(112a,119a)의 간섭을 받지 않고 우산포의 탄성과 우산살 어셈블리(108)의 자중에 의하여 상승하여 우산이 접혀지게 된다.
이때 내관(105)의 하단의 지지관(105b)이 상승하면서 외관(105)에 형성된 걸림구멍(104d)에 걸려서 내관(105)에 형성된 제2작동구멍(105e)에 내입되어 있는 스토퍼(122)에 형성된 돌기(122a)의 경사면(122a')을 상기 지지관(105b)의 제2작동구멍(105e)의 하단이 밀어 이동시켜 상기 돌기(122a)를 상기 걸림구멍(104d)에서 이탈하고 동시에 스토퍼(122)에 형성된 돌기(122b)는 외관의 작동구멍(104c)을 통하여 내관의 제2걸림구멍(105f)에 내입되면 제2코일스프링(120)의 탄성에 의하여 내관의 지지관(105b)과 함께 스프링 가압관(121)이 상승하면서 내관(105)을 상승시켜 거의 접혀있는 우산을 완전히 접혀지게 한다. 이때 작동관(127)의 걸림구멍(127e)에 걸림돌기(112a)가 내입되어 고정된다.
이런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우산(101)을 펴고 접기 위해서는 상기 코일 스프링(118)과 제2보조코일 스프링(120)을 함께 압축해 두어야 하며, 이들의 압축은 메인살고정부재(107)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내관(105)의 상단을 손잡이(103)쪽으로 밀어 넣어야 되는데 제13,14실시에의 경우는 제2보조코일스프링(120)은 코일스프링(118)과 같은 행정거리로 동시에 압축하므로 압축에 많은 힘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 제15실시예에 의하면, 도 50에서 메인살고정부재(107)를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내관(105)의 상단을 압축하면, 상기 스토퍼돌기(122b)가 외관의 작동구멍(104c)를 통하여 내관의 지지관(105b)의 제2걸림구멍(105f)에 내입되어 있으므로 내관(105)과 함께 스프링 받침구(121)가 하강하여 코일스프링(118)과 제2보조코일스프링(120)이 같이 압축된다.
이때 스프링 받침구(121)에 형성된 내입공(121a)의 하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멍(121b)을 통하여 손잡이(103) 내의 설치공(103b)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안내면(103c)이 내입되면서 스토퍼(122)는 돌기(122b)쪽으로 가압되어 이동하여서 스토퍼(122)에 형성된 돌기(122a)를 외관의 걸림구멍(104d)을 통하여 상기 지지관(105)의 제2작동구멍(105e)에 내입되게 하고, 상기 돌기(122b)는 지지관(105)에 형성된 제2걸림구멍(105f)에서 이탈하여 외관의 작동구멍(104c)의 외측에 있게 되어 상기 내관(105)의 지지관(105b)과 스토퍼(122)의 접촉이 없어져 내관(105)은 코일스프링(118)만 압축한다.
이때 압축된 제2보조코일스프링(120)은 압축된 상태로 상기 돌기(122a)에 의하여 외관(104)에 형성된 걸림구멍(104d)의 상부에 고정된다. 이런 상태에서 내관(105)은 코일스프링(118)만 압축하면서 하강하다 내관(105)에 형성된 걸림구 멍(105c)에 보조버튼(119)에 형성된 걸림돌기(119a)가 내입되면서 내관(105)은 고정되어 코일스프링의 압축은 끝난다.
상기와 같이 내관(105)을 초기에 설치공(103b)에 형성된 경사안내면(103c)까지 짧은 거리로 가압하여 제2보조코일스프링(120)을 압축하여 외관(104)에 형성된 걸림구멍(104d)에 고정하고 난 다음에 코일스프링(118)을 압축하므로 내관(105)을 압축하는데 제13실시예에 비하여 힘이 적게 든다.
도 53은 본 발명의 제16실시예로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4는 본 발명의 제16실시예로 우산이 접혀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55는 본 발명의 제16실시예로 우산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코일스프링과 제2보조코일스프링을 압축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16실시예는 상기 제 15실시예와 같이 우산(101)을 구성함에 있어서, 우산(101)을 쉽게 펴지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보조살고정부재(106)와 메인살고정부재(107) 사이에는 보조코일스프링(113)을 설치하고, 우산(101)을 접은 상태에서 메인살고정부재(107)에 일체 형성된 스프링 하우징(114)에 보조코일스프링(113)이 내장되게 한 구성이다.
재16실시예와 같이 구성한 경우 우산(1)을 펼 때는 신속하게 펴지고, 제2보조코일스프링(120)에 의해 우산(101)이 접어질 때 보조코일스프링(113)이 완충하는 역할을 하여 우산(101)이 급격하게 접어지지 않고 서서히 접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단순한 설계변경이나 관용수단의 치환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로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로 우산이 접혀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요부 발췌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 우산이 접혀지기 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 우산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 우산이 접혀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 우산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코일스프링을 압축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제3실시예의 요부 발췌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 우산이 1/3 내지 1/2정도 접혀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 우산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 우산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코일스프링을 압축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로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로 우산이 접혀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로 우산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코일스프링과 제2보조코일스프링을 압축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로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로 우산이 접혀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로 우산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코일스프링과 제2보조코일스프링을 압축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로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로 우산이 접혀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로 우산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코일스프링과 제2보조코일스프링을 압축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 제7실시예의 요부 발췌 확대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로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로 우산이 접혀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로 우산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코일스프링과 제2보조스프링을 압축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9실시예로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9실시예로 우산이 접혀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 제9실시예의 요부 발췌 분해 사시도
도 31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로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2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로 우산이 접혀지기 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로 우산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로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로 우산이 접혀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6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로 우산이 접혀진 상태에서 코일스프링을 압축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7, 도 38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의 요부 발췌 단면도
도 39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로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0은 본 발명의 제12실시예로 우산이 1/3 내지 1/2 정도 접혀지거나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1은 본 발명의 제12실시예로 우산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2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로 우산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코일스프링을 압축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3은 본 발명의 제13실시예로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4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로 우산이 접혀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5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로 우산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코일스프링과 제2보조코일스프링을 압축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6은 본 발명의 제14실시예로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7은 본 발명의 제14실시예로 우산이 접혀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8은 본 발명의 제15실시예로 우산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코일스프링과 제2코일스프링을 압축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9는 본 발명의 제15실시예로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0은 본 발명의 제15실시예로 우산이 접혀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1은 본 발명의 제15실시예로 우산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코일스프링과 제2코일스프링을 압축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2는 본 발명 제15실시예의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
도 53은 본 발명의 제16실시예로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4는 본 발명의 제16실시예로 우산이 접혀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5는 본 발명의 제16실시예로 우산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코일스프링과 제2보조코일스프링을 압축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우산 2:우산대 3:손잡이
3a:공간 3b:설치공 4:외관
4a,4b,4c:작동구멍 4d:걸림구멍 5:내관
5a,5b:걸림구멍 5c:스토퍼돌기
6:보조살고정부재 6a,7a:결합부 7:메인살고정부재
8:우산살 어셈블리 8a:보조우산살 8b:메인우산살
9:핀 10:작동손잡이 11:스프링
12:조작버튼 12a,19a:걸림돌기 12a',19a':안내면
12b:가압편 12c:승강방지용 돌기 12d:지지돌기
13:보조코일스프링 14:스프링 하우징 15:확관부
15,a16a:걸림구멍 15b,16b:작동구멍 15c,16c:스토퍼구멍
16:스프링 가압관 16d:받침턱 16e:제2작동구멍
16f:제2걸림구멍 17:걸림턱 18:코일스프링
19:보조버튼 20:제2보조코일스프링 21:스프링 받침구
21a:내입공 22a,22b:돌기 22:스토퍼
22a',22b':경사면
101:우산 102:우산대 103:손잡이
103a:공간 103b:설치공 104:외관
104a,104b,104c,125:작동구멍 104d:걸림구멍
105:내관 105a:걸림턱 105b:지지관
105c:걸림구멍 105d:작동구멍 105e:제2작동구멍
105f:제2걸림구멍 106:보조살고정부재 106a,107a:결합부
107:메인살고정부재 107b:관통공 108:우산살 어셈블리
108a:보조우산살 108b:메인우산살 109:핀
111:스프링 112:조작버튼 113:보조코일스프링
114:스프링 하우징 112a,119a:걸림돌기 112a',119a':안내면
112b:가압편 112c:승강방지용 돌기 112d:지지돌기
118:코일스프링 119:보조버튼 120:제2보조코일스프링
121:스프링 받침구 121a:내입공 122a,122b:돌기
122a',122b':경사면 122:스토퍼 123:출몰부
123a,123b:걸림구멍 123c:걸림턱 124:스프링지지관
124a:턱 126:작동관 127:출몰부
127a:단턱 127b:걸림턱 127c,127d:스토퍼구멍
127e:걸림구멍 127f:작동구멍 128:커버

Claims (12)

  1. 우산(1)을 구성함에 있어서;
    손잡이(3)가 하단에 결합된 외관(4)과, 외관(4)의 내측에 결합되는 내관(5)으로 구성한 우산대(2)와;
    상기 외관(4)과 내관(5)의 상단에 설치한 보조살고정부재(6) 및 메인살고정부재(7)와;
    상기 보조살고정부재(6)와 메인살고정부재(7)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다수개의 보조우산살(8a)과 메인우산살(8b)로 구성한 우산살 어셈블리(8)와;
    손잡이(3) 상측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외관(4)에 마주보게 형성한 작동구멍(4a)과;
    외관(4)의 외부를 따라서 승강하며 작동구멍(4a)을 통해서 내관(5)과 핀(9)으로 조립되는 작동손잡이(10)와;
    스프링(11)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손잡이(3)에 설치되며 외관(4)의 하단에 형성한 작동구멍(4b)으로 내입되는 걸림돌기(12a)가 형성된 조작버튼(12)과;
    작동손잡이(10)의 아래쪽으로 내관(5)이 승강 이동되는 상사점과 하사점에 부합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조작버튼(12)에 형성된 걸림돌기(12a)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걸림구멍(5a,5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2. 우산(1)을 구성함에 있어서;
    손잡이(3)가 하단에 결합된 외관(4)과, 외관(4)의 내측에 결합되는 내관(5)으로 구성한 우산대(2)와;
    상기 외관(4)과 내관(5)의 상단에 설치한 보조살고정부재(6) 및 메인살고정부재(7)와;
    상기 보조살고정부재(6)와 메인살고정부재(7)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다수개의 보조우산살(8a)과 메인우산살(8b)로 구성한 우산살 어셈블리(8)와;
    상기 내관(5)의 하단에 내관(5)과 일체로 형성한 확관부(15)와;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17)이 확관부(15)의 상단에 걸림되도록 결합되며 손잡이(3) 하측으로 출몰되며 하단에 받침턱(16d)이 형성된 스프링 가압관(16)과;
    보조살고정부재(6)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내관(5)의 중상단에 형성한 스토퍼돌기(5c)와, 스프링 가압관(16)의 걸림턱(17) 사이에 설치한 코일스프링(18)과;
    스프링(11)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손잡이(3)에 설치한 조작버튼(12) 및 조작버튼(12)에 일체 형성된 가압편(12b)에 의해 가압 작동하는 보조버튼(19)과;
    상기 조작버튼(12)과 보조버튼(19)에 스프링(11) 쪽으로 각각 형성한 걸림돌기(12a,19a), 조작버튼(12)의 걸림돌기(12a) 반대쪽과 가압편(12b)의 하단에 각각 형성한 승강방지용 돌기(12c) 및 지지돌기(12d)와;
    조작버튼(12)의 걸림돌기(12a)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한 안내면(12a') 및 보조버튼(19)의 걸림돌기(19a)에 상향 경사지게 형성한 안내면(19a')과;
    상기 조작버튼(12)과 보조버튼(19)에 형성된 걸림돌기(12a,19a)가 선택적으 로 결합되도록 상기 확관부(15)의 상측에 짧게 형성한 걸림구멍(15a) 및 그 하측으로 길게 형성한 작동구멍(15b), 그리고 이들과 겹쳐지도록 스프링 가압관(16)의 상측에 길게 형성한 작동구멍(16b) 및 그 하측으로 짧게 형성한 걸림구멍(16a)과;
    상기 조작버튼(12)과 가압편(12b)에 형성한 승강방지용 돌기(12c) 및 지지돌기(12d)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확관부(15)의 상측에 걸림구멍(15a)과 작동구멍(15b)에 겹쳐지게 위치하며 조작버튼(12)을 가압할 때 지지돌기(12d)가 내입되지 않게 작게 형성한 스토퍼구멍(15c)과, 스프링 가압관(16)에 형성된 걸림구멍(16a)과 작동구멍(16b)에 겹쳐지도록 확관부(15)의 하측과 스프링 가압관(16)에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며, 조작버튼(12)을 가압할 때 지지돌기(12d)가 내입되게 길게 형성한 한 스토퍼구멍(15c,16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3)의 내측으로 하향 개구되게 형성한 공간(3a)과;
    손잡이(3)와 스프링 가압관(16)의 하단에 형성된 받침턱(16d)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공간(3a)에 내입 설치한 제2보조코일스프링(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3) 내측에 형성한 공간(3a)과;
    상기 공간(3a)에 내입 설치한 제2보조스프링(20)과;
    손잡이(3) 내부의 공간(3a) 아래쪽에 설치공(3b)을 형성하고, 설치공(3b)에는 상기 제2보조코일스프링(20)을 받치는 스프링 받침구(21)가 외관(4)의 외부에 끼워진 상태로 배치되며, 스프링 받침구(21)에는 측면이 개구된 내입공(21a)을 형성하고, 상기 내입공(21a)에는 마주보게 돌기(22a,22b)가 형성되는 스토퍼(22)를 외관(4)의 외부에 끼워진 상태가 되도록 결합하며;
    상기 내입공(21a)의 상측에는 설치공(3b)의 일측 상단에 형성된 경사 안내면(3c)이 내입되는 구멍(21b)을 형성하고, 상기 스토퍼(22)에 형성된 돌기(22a,22b)들 중 한쪽은 상하측으로 경사면(22a')을 형성하여 외관(4)에 형성된 걸림구멍(4d)과 스프링 가압관(16)에 형성된 제2작동구멍(16e)에 내입되게 하고;
    다른 쪽은 하향 경사진 경사면(22b')을 형성하여 외관(4)에 형성된 작동구멍(4c)과 스프링 가압관(16)에 형성된 제2걸림구멍(16f)에 내입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5.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살고정부재(7)에 결합되는 메인우산살(8b)의 결합부(7a) 직경은 보조살고정부재(6)에 결합되는 보조우산살(8a)의 결합부(6b)의 직경보다 큰 치수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살고정부재(6)와 메인살고정부재(7) 사이에 설치한 보조코일스프링(13)과;
    우산(1)을 접은 상태에서 보조코일스프링(13)이 내장되도록 메인살고정부재(7)에 일체 형성한 스프링 하우징(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7. 우산(101)을 구성함에 있어서;
    손잡이(103)가 하단에 결합된 외관(104)과, 외관(104)의 내측에 결합되는 내관(105)으로 구성한 우산대(102)와;
    상기 외관(104)의 상단에 결합한 메인살고정부재(107)와;
    상기 메인살고정부재(107) 하측으로 외관(104)에 상하 길게 형성한 작동구멍(104a)을 통해 내관(105) 상단에 결합한 핀(109) 및 핀(109)에 결합되어 외관(104)을 따라서 승강하는 보조살고정부재(106)와;
    상기 보조살고정부재(106)와 메인살고정부재(107)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다수개의 보조우산살(108a)과 메인우산살(108b)로 구성한 우산살 어셈블리(108)와;
    스프링(111)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손잡이(103)에 설치되며 외관(104)의 하단에 형성한 작동구멍(104b)으로 내입되는 걸림돌기(112a)가 형성된 조작버 튼(112)과;
    상기 내관(105)의 하단에 확관된 상태로 형성되어 손잡이(103)에 결합되고, 우산(101)이 펼 때 인출되고, 접을 때 들어가도록 하단에 걸림턱(123c)을 형성한 출몰부(123)와;
    상기 내관(105)이 승강 이동되는 상사점과 하사점에 부합토록 출몰부(123)에 형성되며, 상기 조작버튼(112)에 형성된 걸림돌기(112a)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걸림구멍(123a,123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8. 우산(101)을 구성함에 있어서;
    손잡이(103)가 하단에 결합되고 상단에 메인살고정부재(107)가 결합된 외관(104)과, 메인살고정부재(107)에 형성된 관통공(107b)으로 조립되어 외관(104)의 내측에 결합되며 손잡이(103)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단에 걸림턱(105a)을 형성한 지지관(105b)을 갖는 내관(105)으로 구성한 우산대(102)와;
    상기 내관(105)의 상단 외부에 씌워서 일체로 결합되며 하부에 턱(124a)이 형성된 스프링지지관(124)과,
    상기 메인살고정부재(107) 하측의 외관(104)에 상하 길게 형성한 작동구멍(104a) 및 내관(105) 및 내관(105)에 결합되는 스프링지지관(124)에 작동구멍(104a)과 연통되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한 작동구멍(125)과;
    상기 내관(105)과 스프링지지관(124) 사이에 상단이 끼워지는 작동관(126) 과;
    상기 작동구멍(104c,125)을 통해서 작동관(126) 상단에 끼워지는 핀(109) 및 핀(109)에 결합되어 외관(104)을 따라서 승강하는 보조살고정부재(106)와;
    상기 보조살고정부재(106)와 메인살고정부재(107)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다수개의 보조우산살(108a)과 메인우산살(108b)로 구성한 우산살 어셈블리(108)와;
    상기 내관(105)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105a)에 걸림되는 단턱(127a)과 손잡이(103) 외부에 위치하는 걸림턱(127b)이 상하로 형성되게 작동관(126)의 하단에 일체 형성한 출몰부(127)와;
    상기 내관(105)에 일체로 형성한 스프링 지지관(124)의 턱(124a)과, 작동관(126)과 출몰부(127)의 경계에 형성한 단턱(127a) 사이에 설치한 코일스프링(118)과;
    스프링(111)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손잡이(103)에 설치한 조작버튼(112) 및 조작버튼(112)에 일체 형성되는 가압편(112b)에 의해 가압 작동하는 보조버튼(119)과;
    상기 조작버튼(112)과 보조버튼(119)에 스프링(111) 쪽으로 각각 형성한 걸림돌기(112a,119a), 조작버튼(112)의 걸림돌기(112a) 반대쪽과 가압편(112b)의 상단에 각각 형성한 승강방지용 돌기(112c) 및 지지돌기(112d)와;
    조작버튼(112)의 걸림돌기(112a)에 상향 경사지게 형성한 안내면(112a') 및 보조버튼(119)의 걸림돌기(119a)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한 안내면(119a')과;
    상기 조작버튼(112)과 보조버튼(119)에 형성된 걸림돌기(112a,119a)가 선택 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내관(105)에는 상측 짧게 형성한 걸림구멍(105c) 및 그 하측으로 길게 형성한 작동구멍(105d), 그리고 이들과 겹쳐지도록 출몰부(127) 상측에 길게 형성한 작동구멍(127f) 및 그 하측으로 짧게 형성한 걸림구멍(127e)과;
    상기 조작버튼(112)과 가압편(112b)에 형성한 승강방지용 돌기(112c) 및 지지돌기(112d)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출몰부(127)의 걸림구멍(127e)과 작동구멍(127f)에 겹쳐지게 위치되며 조작버튼(112)을 가압할 때 지지돌기(112d)가 내입되지 않게 작게 형성한 출몰부(127) 하측의 스토퍼구멍(127c) 및 내관(105)에 형성된 걸림구멍(105c)과 작동구멍(105d)에 겹쳐지게 위치되며 조작버튼(112)을 가압할 때 지지돌기(112d)가 내입되게 길게 형성한 출몰부(127) 상측의 스토퍼구멍(127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105)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05a)에는 작동관(126)의 하단에 일체 형성된 출몰부(127)의 하단 단턱(127a)이 걸림되게 하고;
    상기 손잡이(103)의 내측으로 하향 개구되게 형성되어 있는 공간(103a)의 하부를 밀폐하는 커버(128)와;
    상기 공간(103a)에 내장되며 커버(128)와 내관(127) 하단에 형성된 지지관(105b)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제2보조코일스프링(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03) 내측에 형성한 공간(103a)과;
    상기 공간(103a)에 내입 설치된 제2보조코일스프링(120)과;
    손잡이(103) 내부의 공간(103a) 아래쪽에 설치공(103b)을 형성하고, 설치공(103b)에는 상기 제2보조코일스프링(120)을 받치는 스프링 받침구(121)가 외관(104) 외부에 끼워진 상태로 배치되며, 스프링 받침구(121)에는 측면이 개구된 내입공(121a)을 형성하고, 내입공(121a)에는 마주보게 돌기(122a,122b)가 형성되는 스토퍼(122)를 외관(104)의 외부에 끼워진 상태가 되도록 결합하며;
    상기 내입공(121a)의 하측에는 설치공(103b)의 일측 하단에 형성된 경사 안내면(103c)이 내입되는 구멍(121b)을 형성하며;
    상기 스토퍼(122)에 형성된 돌기(122a,22b)들 중 한쪽은 상하측으로 경사면(122a')을 형성하여 외관(104)에 형성된 걸림구멍(104d)과 내관(105)의 지지관(105b)에 형성된 제2작동구멍(105e)에 내입되게 하고;
    다른 쪽은 상향 경사진 경사면(122b')을 형성하여 외관(104)에 형성된 작동구멍(104c)과, 내관(105)의 지지관(105b)에 형성한 제2걸림구멍(105f)에 내입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11. 제 7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살고정부재(106)와 메인살고정부재(107) 사이에 설치한 보조코일스프링(113)과;
    우산(101)을 접은 상태에서 보조코일스프링(113)이 내장되도록 메인살고정부재(107)에 일체 형성한 스프링 하우징(1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12. 제7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살고정부재(107)에 결합되는 메인우산살(108b)의 결합부(107a)는 직경이 보조살고정부재(106)에 결합되는 보조우산살(108a)의 결합부(106a)의 직경보다 큰 치수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KR1020080076145A 2008-08-04 2008-08-04 우산 KR100982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145A KR100982792B1 (ko) 2008-08-04 2008-08-04 우산
JP2011522002A JP5507560B2 (ja) 2008-08-04 2009-07-31
PCT/KR2009/004291 WO2010016691A2 (ko) 2008-08-04 2009-07-31 우산
EP09805152.7A EP2319350A4 (en) 2008-08-04 2009-07-31 UMBRELLA
CN200980131062.3A CN102118986B (zh) 2008-08-04 2009-07-31 雨伞
US13/057,711 US8567422B2 (en) 2008-08-04 2009-07-31 Umbrell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145A KR100982792B1 (ko) 2008-08-04 2008-08-04 우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5204A true KR20100015204A (ko) 2010-02-12
KR100982792B1 KR100982792B1 (ko) 2010-09-20

Family

ID=41664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6145A KR100982792B1 (ko) 2008-08-04 2008-08-04 우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67422B2 (ko)
EP (1) EP2319350A4 (ko)
JP (1) JP5507560B2 (ko)
KR (1) KR100982792B1 (ko)
CN (1) CN102118986B (ko)
WO (1) WO201001669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2231A (zh) * 2012-08-23 2014-03-12 李富一 雨伞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844B1 (ko) 2010-10-19 2013-04-17 부일 이 우산
US8733378B2 (en) * 2011-10-12 2014-05-27 Sean K. Tayebi Umbrella mechanism and methods of use
GB201217411D0 (en) * 2012-09-28 2012-11-14 Kazim Jenan Inside out umbrella
AU2016273947B1 (en) * 2016-12-15 2017-05-25 Mark Andrew Fraser An Expandable Shelter
US9888751B2 (en) * 2016-07-01 2018-02-13 Justin Nagelberg Umbrella
CN108003161B (zh) * 2016-10-28 2020-10-09 正大天晴药业集团股份有限公司 神经营养因子酪氨酸激酶受体抑制剂
US11044972B2 (en) * 2018-10-16 2021-06-29 Mr. Christmas Incorporated Umbrella having an exterior stretcher frame
CN110192698B (zh) * 2019-06-06 2020-11-24 惠州市华美鸿基伞业制品有限公司 伞巢结构和伞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944113B (it) * 1970-12-30 1973-04-20 Omerello a perdere
JPS4942978B2 (ko) * 1971-09-08 1974-11-18
US4041966A (en) * 1976-06-25 1977-08-16 Seiya Sakurai One hand operated umbrella capable of self-opening
US4766920A (en) * 1983-04-07 1988-08-30 Christianson Manufacturing Corp. Internal action improved gas powered umbrella
JPS6090502A (ja) * 1983-10-24 1985-05-21 永井 久男 片手開閉可能傘
US5213122A (en) * 1988-06-14 1993-05-25 Grady Ii Clyde C Electric umbrella
US4936332A (en) * 1989-10-23 1990-06-26 Wu Tsun Zong Simply-constructed automatic umbrella for preventing false operation
US4934394A (en) * 1989-11-28 1990-06-19 Terry Hermanson Umbrella with hollow staff and spring influenced canopy chords
AU632448B2 (en) * 1991-07-26 1992-12-24 Day, Sheng-Tong Lightly operable fully automatic umbrella
JPH0690810A (ja) * 1992-08-14 1994-04-05 Fukuta Yosan Kosho Kofun Yugenkoshi 自動開閉洋傘
US5247955A (en) * 1992-08-17 1993-09-28 Wu Woh Wen Ergonomically operating automatic umbrella
JP2632632B2 (ja) * 1992-09-08 1997-07-23 旭工業株式会社 洋 傘
US5224505A (en) * 1992-09-08 1993-07-06 Fu Tai Umbrella Works, Ltd. Automatic umbrella with upwardly and downwardly thrusted push button
US5297571A (en) * 1992-09-22 1994-03-29 Chu Chin Tang Two button safety umbrella
CN2259081Y (zh) * 1996-08-23 1997-08-13 李敏 拉簧四销式自动开合伞
US6082383A (en) * 1998-07-28 2000-07-04 Wilson; Robert Joe Umbrella with actuator sleeve for manual and automatic operation
US6273111B1 (en) * 1999-11-04 2001-08-14 David Weiss Retractable umbrella
US6810894B2 (en) * 2003-01-06 2004-11-02 Shiow-Hui Chen Automatic folding umbrella
CN2643712Y (zh) * 2003-07-30 2004-09-29 张珍满 直骨自动开收伞拉伸动力结构
CN2684624Y (zh) * 2004-03-12 2005-03-16 周龙交 自动开收伞手把控制机构
KR20080001848U (ko) * 2006-12-12 2008-06-17 박희숙 회전우산
EP2107877B1 (en) * 2007-02-02 2012-08-01 Yong Kyun Oh A portable and compact umbrella
KR100784765B1 (ko) * 2007-03-06 2007-12-14 임형준 자동개폐용 우산
US7588041B2 (en) * 2008-02-20 2009-09-15 Lu Tsai Huang Control device for umbrell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2231A (zh) * 2012-08-23 2014-03-12 李富一 雨伞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19350A2 (en) 2011-05-11
US20110132417A1 (en) 2011-06-09
WO2010016691A3 (ko) 2010-05-14
JP5507560B2 (ja) 2014-05-28
WO2010016691A2 (ko) 2010-02-11
CN102118986B (zh) 2014-09-03
KR100982792B1 (ko) 2010-09-20
CN102118986A (zh) 2011-07-06
EP2319350A4 (en) 2014-10-08
JP2011529768A (ja) 2011-12-15
US8567422B2 (en) 2013-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792B1 (ko) 우산
KR101069825B1 (ko) 우산살어셈블리 및 접이식 우산
US20060289048A1 (en) Top localization mechanism of bell folding tent frame
KR200470587Y1 (ko) 접이식 자동 우산
KR101106270B1 (ko) 우산살 어셈블리 및 접이식 우산
KR200372631Y1 (ko) 텐트 프레임
KR101255844B1 (ko) 우산
KR200437933Y1 (ko) 자동 우산
US7311110B2 (en) Automatic close umbrella with automatic resetting feature
CN205866237U (zh) 一种自动折伞的开合控制装置
KR101366756B1 (ko) 우산
KR101349308B1 (ko) 우산
KR20090132764A (ko) 펼침 및 접힘 가능한 자동우산
KR200437932Y1 (ko) 자동우산
KR20100029614A (ko) 자동우산
US10813426B2 (en) Middle rod structure of automatic umbrella, umbrella frame, and automatic umbrella
KR200432921Y1 (ko) 자동 접이식 우산
CN210539376U (zh) 滑套式自动开收伞结构及伞柄
KR101255473B1 (ko) 접힘 시 펼침을 방지하는 안전형 자동우산
KR200432922Y1 (ko) 자동우산
KR20100127052A (ko) 우산
JP3205300U (ja) 折り畳みテント
KR200275642Y1 (ko) 케이스가 구비되는 우산
WO2014030970A2 (ko) 우산
KR20080098870A (ko) 자동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