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127U - Foot mop - Google Patents
Foot mo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03127U KR20100003127U KR2020080012289U KR20080012289U KR20100003127U KR 20100003127 U KR20100003127 U KR 20100003127U KR 2020080012289 U KR2020080012289 U KR 2020080012289U KR 20080012289 U KR20080012289 U KR 20080012289U KR 20100003127 U KR20100003127 U KR 20100003127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p
- scaffold
- foot
- footrest
- tub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410 Micro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8 micro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5 synerg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8—Polishing implements
- A47L13/282—Polishing implements mounted under footwear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8—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characterised by the sol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2—Mops with liquid-feeding device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판 아래에 부착된 상태에서 바닥면을 청소하는 걸레부재로 세척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바닥면을 보다 청결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한 발 걸레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p for cleaning the floor more cleanly by supplying the cleaning liquid to the mop member that cleans the floor while attached under the footrest.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발판과, 상기 발판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걸레부재로 구성한 발 걸레에 있어서, 상기 발판의 상면 일측에는 세척액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과, 상기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세척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출구가 형성된 튜브가 설치되고, 상기 발판의 내부에는 상기 튜브의 출구에 연결되며, 상기 튜브를 눌러주는 동작에 따라 상기 출구로 배출되는 세척액을 공급받는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발판의 저면에는 상기 유로로 공급된 세척액을 상기 걸레부재로 배출시키는 배출홀들이 관통 형성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is, in the foot mop consisting of the scaffold and the mop member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scaffold, the upper surface of the scaffold on one side to store the cleaning liquid, and the cleaning liquid stored in the space The tube is formed with an outlet for discharging to the outside, the inside of the scaffold is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tube, the flow path for receiving the cleaning liquid discharged to the outlet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to press the tube is formed, the scaffold It is a technical gist that the bottom of the through-holes discharge holes for discharging the cleaning liquid supplied to the passage member through the mop member.
발 걸레, 발판, 걸레부재, 튜브, 세척액, 유로 Foot mop, scaffolding, mop member, tube, cleaning liquid, flow path
Description
본 고안은 발 걸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판 아래에 부착된 상태에서 바닥면을 청소하는 걸레부재로 세척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바닥면을 보다 청결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한 발 걸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t mop,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ot mop to clean the bottom surface to be able to supply the cleaning liquid to the mop member for cleaning the bottom in the state attached to the footrest.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발 걸레는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 일어선 상태에서 발에 걸레를 착용한 후, 걸어가는 과정에서 바닥을 청소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서, 이러한 발 걸레와 관련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367559 호(명칭: 발 걸레)(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가 있다.As is well known, the foot mop is designed to clean the floor during the walking process after wearing the mop on the feet without standing at the waist, and a representative prior art related to such a foot mop is registered with the Korean Patent Offic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67559 (name: foot mop)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상기 선행기술은 슬리퍼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의 하면에 부착되는 걸레로 이루어지는 발걸레에 있어서, 상기 저면부는 발바닥의 형상으로 재단되는 폴리에틸렌재질의 중창과, 상기 중창의 상부에 위치하는 쿠션재와, 상기 쿠션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레는 초극세사로 직조 된 직조사를 상기 중창과 일체로 봉제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The prior art is a foot mop consisting of a bottom portion forming a bottom surface of the slipper, and a mop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wherein the bottom portion is a polyethylene midsole that is cut in the shape of the sol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midsole It is made of a cushion material to be located, and the fabric material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ushion material, the mop is made by sewing a microfiber woven direct irradiation integrally with the midsole.
상기한 구성을 통해 선행기술은 별도의 걸레를 사용하지 않고, 발의 움직임만으로 바닥에 떨어져 있는 물이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슬리퍼의 바닥에 설치된 쿠션재를 통해 발바닥이나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구현하게 된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prior art can remove water or foreign substances falling on the floor by only moving the feet, without using a separate mop, as well as the impact applied to the soles or knees through the cushioning material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lippers. The effect will be to mitigate.
그러나, 선행기술은 세척액을 배출시켜 가며 바닥을 청소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슬리퍼의 저면부에 부착된 걸레로 바닥을 닦아내는 것만으로 청소작업을 행하게 됨으로서 바닥을 보다 청결하게 관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does not clean the floor by discharging the cleaning liquid, but the cleaning operation is performed simply by wiping the floor with a mop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slipper, thereby preventing the floor from being more cleanly managed. .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발판 아래에 부착된 상태에서 바닥면을 청소하는 걸레부재로 세척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바닥면을 보다 청결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한 발 걸레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s to provide a cleaning solution to the mop member for cleaning the bottom in the stat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foot mop to clean the floor more clean In providing.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발판의 상면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보다 적은 힘으로 걸레질을 행할 수 있도록 한 발 걸레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p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scaffold may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outer side to the inner side to mop with less force.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걸레가 진입하기 힘든 바닥 모서리면 까지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도록 한 발 걸레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ngle mop so that the mop can be effectively cleaned to the bottom edge surface that is difficult to enter.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걸레질을 행하는 과정에서 발바닥의 지압효과까지 함께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발 걸레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t mop to implement the acupressure effect of the sole in the process of mopping.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발판과, 상기 발판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걸레부재로 구성한 발 걸레에 있어서, 상기 발판의 상면 일측에는 세척액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과, 상기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세척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출구가 형성된 튜브가 설치되고, 상기 발판의 내부에는 상기 튜브의 출구에 연결되며, 상기 튜브를 눌러주는 동작에 따라 상기 출구로 배출되는 세척액을 공급받는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발판의 저면에는 상기 유로로 공급된 세척액을 상 기 걸레부재로 배출시키는 배출홀들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oot mop consisting of a footrest and a mop member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ootrest, the upper surface of the footrest on one side of the space for storing the cleaning liquid, and stored in the space A tube is formed in which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washing liquid to the outside is installed, and a flow path for receiving the washing liquid discharged to the outlet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scaffold,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tube, and pressing the tub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caffol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holes for discharging the cleaning liquid supplied to the flow path through the mop member.
상기 발판의 상면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The upper surface of the scaffold is preferably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from the inner side to the outer side.
상기 발판의 전방은 내측단부에서 외측단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The front of the scaffold is preferably configured to protrude gradually from the inner end to the outer end.
본 고안에 따른 발 걸레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들을 구현한다.Foot m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the following effects.
첫 번째로, 본 고안은 발판 아래에 부착된 상태에서 바닥면을 청소하는 걸레부재로 세척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바닥면을 보다 청결하게 청소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구현한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the effect of cleaning the bottom surface more cleanly by supplying the cleaning liquid to the mop member for cleaning the bottom surface in the state attached to the footrest.
두 번째로, 발판의 상면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발판을 보다 안정적이고 적은 힘으로 바깥방향으로 밀어가며 청소작업을 행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구현한다.Secondly, the upper surface of the scaffold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outer side to the inner side, thereby realizing the effect of cleaning the scaffold while moving outward with more stable and less force.
세 번째로, 발판의 외측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를 바닥 모서리면으로 진입시켜 청소하도록 함으로서 바다면 전체를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를 달성한다.Third, by entering the bottom edge of the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end of the scaffold to clean the sea surface to achieve a synergistic effect that can be easily cleaned.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발 걸레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들이다.1 to 3 are views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foot mop to be implem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발 걸레(100)는 발판(10) 및 걸레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As shown, the
상기 발판(10)은 직사각의 평판타입으로 사출 성형되는 것으로서, 상기 발판(10)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발이 안착될 수 있도록 발안착부(12)가 함몰 형성된다. 상기 발안착부(12)에는 전체면에 걸쳐 다수개의 돌기(14)들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돌기(14)들은 발안착부(12)에 안착된 사용자의 발바닥에 접촉하며 지압효과를 구현시키게 된다.The
상기 발판(10)의 상면은 내측에서 외측(즉, 발판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상향으로 경사(S)지게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S)은 발 걸레(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청소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발판(10)를 바깥방향으로 밀어줄 때, 사용자의 하중이 발판(10)으로 보다 안정적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적은 힘으로도 발 걸레(100)를 밀어가며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경사면(S)의 각도는 대략 7~8°사이의 각도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The upper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발판(10)의 전방은 외측단부에서 내측단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돌출(16)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바닥 모서리면(코너부)을 청소할 때, 상기 모서리면으로 돌출부(16)가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바닥면을 보다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front of the
그리고 상기 발판(10)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사선테(32)들이 서로 엇갈려가며 마름모 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사선테(32)들은 발판(10)의 저면으로 걸레부재(40)를 부착할 때, 발판(10)이 걸레부재(40)에서 슬립되는 것을 방지시키게 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한편, 상기 발판(10)의 상면 일측에는 수축 및 팽창성을 가지는 튜브(20)가 설치된다. 상기 튜브(20)는 내부로 일정량의 세척액(24)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22)이 형성되고, 아래로는 상기 튜브(20)를 눌러주는 동작에 따라 상기 공간(22)에서 밀려나는 세척액(24)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출구(26)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발판(10)의 내부에는 유로(28)가 형성된다. 상기 유로(28)의 일단은 상기 튜브(20)의 출구(26)에 연결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튜브(20)의 누름압력에 따라 상기 출구(2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세척액(24)을 공급받게 된다.In addition, a
또한 상기 발판(10)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배출홀(30)들이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배출홀(30)들은 상기 유로(28)에 각각 개별적으로 연결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유로(28)로 공급된 세척액(24)을 발판(10)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걸레부재(40)로 배출시키게 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상기 걸레부재(40)는 발판(10)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며, 실내 바닥면에 직접 접촉된 상태에서 발판(10)을 밀어주는 동작에 따라 바닥면에 떨어져 있는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걸레부재(40)는 바닥면(G)을 청소하는 과정에서 발판(10)의 배출홀(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세척액(24)에 적셔진 상태에서 세척액(24)을 바닥면에 묻혀가며 청소작업을 수행하게 됨으로서 바닥면(G) 을 보다 청결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The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발 걸레의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oot m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먼저, 본 고안에서 제안된 발 걸레(100)의 사용은 발판(10)을 사용자의 양쪽 발에 각각 착용한 상태에서 바깥방향으로 발판을 밀어가며 청소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데, 이때 발판(10)의 상면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으로 경사(S)지게 형성함으로서 발판(10)을 밀어줄 때, 보다 안정적이고 적은 힘으로 발판(10)을 밀어가며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First, the use of the
또한 바닥 모서리면을 청소할 때에는 발판(10)의 내측단부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16)를 모서리면으로 진입시켜 청소하도록 함으로서 바닥면(G) 전체를 보다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cleaning the bottom edge surface by entering the protrusions protruding to the inner end of the
한편, 바닥면(G)을 청소하는 과정에서 발판(1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튜브(20)를 눌러주게 되면 튜브(20)내 공간(22)에 저장되어 있는 세척액(24)은 튜브(20)의 누름압력에 따라 출구(26)를 통해 발판(10)의 유로(28)로 공급된 후, 배출홀(30)을 통해 걸레부재(40)로 배출되며 걸레부재(40)를 적셔주게 됨으로서 세척액(24)을 바닥면(G)에 묻혀가며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바닥면(G)을 보다 청결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ocess of cleaning the bottom surface (G) is pressed the
한편, 첨부된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의 발 걸레에 대한 제 3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Meanwhile, FIGS. 5 and 6 are views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foot m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5와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는 제 2실시 예의 발 걸레(200)는 전술 한 제 1실시 예에서 기술하고 있는 발 걸레(100)와 동일한 구조로 제작하되, 발판(10)의 상면에 발안착부를 형성하지 않고, 별도의 슬리퍼(120)를 발판(10)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시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리퍼(120)를 착탈시키기 위한 수단으로는 벨크로테이프(130a, 130b)를 사용함이 가장 바람직하다.5 and 6 attached to the foot mop 200 of the second embodiment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상기와 같은 슬리퍼(120)의 착탈 구조를 통해 슬리퍼(120)의 부착시에는 발을 상기 슬리퍼(120)에 착용시켜 걸레질을 행하도록 하고, 또한 슬리퍼(120)의 탈착시에는 손으로 발판(10)을 직접 잡은 상태에서 걸레질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슬리퍼(120)에 구비된 상태에서 발이 걸려지도록 하는 벨트(120a)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의 발 치수에 맞추어 슬리퍼(120)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When the
한편, 상기 벨크로테이프(130b)가 부착되는 걸레의 상면 중앙에는 체결홈(140)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홈(140)으로는 봉체 형상의 밀대(150)를 나사식으로 체결되도록 구성하여 슬리퍼(120)를 탈착한 후, 상기 체결홈(140)으로 밀대(150)를 결합시키도록 함으로서 발 걸레(200)를 일반적인 청소기구인 밀대용 걸레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발 걸레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in three dimensions the configuration of the foot mo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2 is a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발판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3 is a view showing a plane of the scaffold shown in FIG.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발판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4 is a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scaffold shown in FIG.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 걸레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5 is a view three-dimension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oot mo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 걸레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6 is a view three-dimension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oot mo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발판 20: 튜브10: scaffold 20: tube
28: 유로 30: 배출홀28: Euro 30: discharge hole
40: 걸레부재40: mop member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2289U KR20100003127U (en) | 2008-09-10 | 2008-09-10 | Foot mop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2289U KR20100003127U (en) | 2008-09-10 | 2008-09-10 | Foot mop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3127U true KR20100003127U (en) | 2010-03-18 |
Family
ID=44198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12289U Abandoned KR20100003127U (en) | 2008-09-10 | 2008-09-10 | Foot mop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03127U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5723Y1 (en) * | 2013-03-09 | 2014-12-26 | 홍광희 | velcro, bias combination for pad |
KR20190045627A (en) * | 2017-10-24 | 2019-05-03 | 류상억 | Indoor cleaner consisting of slippers and cloth |
KR20190046319A (en) * | 2017-10-26 | 2019-05-07 | 류상억 | Wiping-type cleaner |
-
2008
- 2008-09-10 KR KR2020080012289U patent/KR20100003127U/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5723Y1 (en) * | 2013-03-09 | 2014-12-26 | 홍광희 | velcro, bias combination for pad |
KR20190045627A (en) * | 2017-10-24 | 2019-05-03 | 류상억 | Indoor cleaner consisting of slippers and cloth |
KR20190046319A (en) * | 2017-10-26 | 2019-05-07 | 류상억 | Wiping-type clean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71428B1 (en) | Cleaning bucket system for flat mops | |
US8438696B2 (en) | Surface cleaner including a cleaning pad | |
US9339165B2 (en) | Replaceable cleaning pads for cleaning device | |
US20070022527A1 (en) | Foot scrubbing and massaging assembly | |
US20150040945A1 (en) | Floor cleaning tool having a mechanically operated pump | |
US8871029B1 (en) | Shoe cleaning device and method | |
USD618874S1 (en) | Foot mounted cleaning device | |
KR20100003127U (en) | Foot mop | |
JP2007037967A (en) | Cleaning appliance | |
KR200416348Y1 (en) | steam cleaner | |
US9591960B2 (en) | Surface-cleaning apparatus | |
CN204635203U (en) | A kind of for clean footwear | |
US8715422B2 (en) | Shoe sole cleaning system and method | |
KR100643872B1 (en) | Towel for bathing and scraping off dirt and scrubbing things | |
KR20080001672U (en) | Steam cleaner with integral mop plate | |
KR101805707B1 (en) | Mop | |
AU2009100412A4 (en) | Foot Worn Cleaning Apparatus | |
US20230218138A1 (en) | Foot or Footwear Cleaner | |
KR101174229B1 (en) | The washing device of mop pad | |
KR20090005773U (en) | Scrubber with detergent box | |
KR200413665Y1 (en) | Base adapter fastening structure of steam cleaner | |
KR19980060396U (en) | Vacuum cleaner brush | |
KR200485093Y1 (en) | Toilet cleaner | |
KR200406778Y1 (en) | Steam cleaner pad | |
KR200465162Y1 (en) | Scuff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80910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0113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6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U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