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851U - 변좌 및 유체의 동시 살균이 가능한 양변기 - Google Patents

변좌 및 유체의 동시 살균이 가능한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851U
KR20100000851U KR2020080009499U KR20080009499U KR20100000851U KR 20100000851 U KR20100000851 U KR 20100000851U KR 2020080009499 U KR2020080009499 U KR 2020080009499U KR 20080009499 U KR20080009499 U KR 20080009499U KR 20100000851 U KR20100000851 U KR 201000008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toilet seat
sterilization
seat
steriliz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4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명기
Original Assignee
홍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명기 filed Critical 홍명기
Priority to KR20200800094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0851U/ko
Publication of KR201000008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851U/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2Seats with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2009/028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using a liquid subst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oilet Supplie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대의 세균 박멸은 물론 배설물의 유도배출을 위한 공급수 및 담수의 살균과 아울러 악취제거에 따른 쾌적한 화장실 환경을 도모토록 한 변좌 및 유체의 동시 살균이 가능한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용변시 인체의 배설기관으로부터 배설되는 대·소변을 받아두기 위한 배설공간이 마련된 변기몸체와; 용변을 위한 사용자가 착석하게 되는 좌대와; 상기 배설공간 내에 담긴 배설물을 외부로 유도배출토록 하기 위한 공급수가 저장된 로우탱크와; 사용자의 둔부가 닿게 되는 상기 좌대의 표면살균을 위한 변좌살균수단과; 배설물로부터 풍겨난 악취를 그 즉시 강제흡입함과 동시에 유해성분을 분해한 후 청정 기체로써 살균하여 실내로 재배출시키게 된 기체살균수단과; 그리고, 상기 로우탱크 내에 담긴 공급수의 지속적 살균을 위한 액체살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변기, 좌변기, 살균기, 세균, 박멸, 살균, 청정, 정화, 악취제거, 유체

Description

변좌 및 유체의 동시 살균이 가능한 양변기{A toilet stool for concurrent sterilizing of toilet seat and fluid}
본 고안은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대의 세균 박멸은 물론 배설물의 유도배출을 위한 공급수 및 담수의 살균과 아울러 악취제거에 따른 쾌적한 화장실 환경을 도모토록 한 변좌 및 유체의 동시 살균이 가능한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양변기(洋便器, A toilet stool / 좌변기)는 사람이 걸터앉아 용변(用便 : 대변이나 소변을 배출하는 행위)을 보게 된 서양(西洋)식의 수세식 변기를 일컫는 것으로써, 사용자가 용변을 위해 착석할 수 있는 좌대와, 배설물을 공급수와 함께 정화조로 배출시키기 위한 변기몸체와, 변기몸체의 일측 상단에 마련된 채 공급수를 공급·저장·배수시켜 배설물을 정화조로 배출토록 하는 로우탱크(저수조)로 구성된 것은 이미 주지된 사실이다.
이러한 양변기는 화장실(또는 욕실) 내에 설치되는바, 이와 같은 화장실은 대부분 개인 단독 이용시설이 아니라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하는 공통시설이어서 청결함을 요한다. 하지만, 공공시설에 마련된 화장실의 경우 수많은 사람들이 수시로 드나들기 때문에 철저한 위생관리가 미흡한 현실에 있다.
특히, 병원 등과 같이 여러 가지 질병을 수반한 환자들이 공통으로 이용하게 되는 화장실과 양변기의 경우, 용변을 위해 둔부(臀部, Hip)가 직접 닿게 되는 좌대의 변좌 표면 및 화장실 내의 공기 중에 각종 피부질환 또는 호흡기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균(病原菌, Pathogenic bacteria)의 번식이 과다할 수밖에 없다.
또한, 상술한 각종 병원균이 아니더라도, 용변시 사용자 체내의 배설기관(排泄器官, Eliminatory organ)으로부터 배출(배설)되는 대·소변은 그 즉시 심한 악취를 풍기기 마련이어서, 여러 사람이 수시로 이용시 계속적으로 풍겨나는 악취로 인하여 다음 이용자들이 심한 불쾌감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제반문제점을 다소나마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7-0000068호를 통해, 변좌덮개에 각종 병원균을 살균처리할 수 있는 적외선램프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둔부가 접촉되는 변좌 표면의 위생상태를 청결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양변기용 살균장치가 제공된바 있다.
도 1은 종래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살균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종래의 양변기용 살균장치(900)는, 통상의 양변기에 있어서, 변좌덮개(901)의 내면에 다수개의 살균램프(910)가 등간격으로 장착되어 점등시 적외선을 변좌(902) 표면에 방사토록 구성되고, 상기 변좌(902) 내부에는 상기한 살균램프(910)를 점등시키기 위한 전원부(911) 및 제어부(912)가 설치되며, 상기 살균램프(910)는 상기 변좌덮 개(901)의 내면에 설치되는 감지스위치(913)에 의해 전력공급에 의한 ON/OFF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종래 고안에 따르면, 용변을 마친 후 변좌덮개(901)를 덮는 것으로 상기 변좌(902)를 차폐하게 되면, 상기 전원부(911)로부터 외부전력이 공급되어 살균램프(910)가 점등과 동시에 적외선을 방사됨에 따라, 둔부가 접촉하는 변좌(902)의 표면을 살균하여 청결한 위생상태가 유지토록 한다.
하지만, 용변행위로써 배출된 배설물을 정화조로 배출시키기 위해 로우탱크(904) 내부에 저장된 공급수 및 배설물이 침수되는 변기몸체(903)의 배설공간(903a) 내 담수까지 살균하는데 한계가 뒤따랐다.
또한, 용변 후 상기 변좌덮개(901)를 닫을 시에만 상기의 살균장치(910)가 작동을 하는 관계로, 사용자가 변좌(902)에 착석한 채 용변행위로써 낙하하는 배설물로부터 그 즉시 풍겨나 실내 전체로 퍼진 악취는 제거가 불가능하여, 이후 사용자 및 주변인에게 심한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 역시 완전히 해소할 수 없어 왔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여러 사용자의 둔부 접촉으로 피부질환을 일으키는 각종 세균 박멸을 위한 변좌살균수단을 변좌덮개 내부면에 장착하여 변좌 표면을 자외선 방사로써 살균토록 하고, 배설물로부터 풍겨나는 악취를 흡입 후 청정 기체로 재배출하기 위한 기체살균수단을 좌대본체 내에 설치하여 유해성분을 분해 제거에 따른 화장실 내부 공기를 쾌적하게 이루도록 한 변좌 및 유체의 동시 살균이 가능한 양변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배설물의 정화조 유도배출을 위한 공급수가 저장되는 로우탱크 내의 수질오염을 방지하도록 한 액체살균수단을 통해 양변기의 청결이 지속적으로 유지가능토록 하는 변좌 및 유체의 동시 살균이 가능한 양변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변좌 및 유체의 동시 살균이 가능한 양변기는, 용변시 인체의 배설기관으로부터 배설되는 대·소변을 받아두기 위한 배설공간이 마련된 변기몸체와; 용변을 위한 사용자가 착석하게 되는 좌대와; 상기 배설공간 내에 담긴 배설물을 외부로 유도배출토록 하기 위한 공급수가 저장된 로우탱크와; 사용자의 둔부가 닿게 되는 상기 좌대의 표면살균을 위한 변좌살균수단과; 배설물로부터 풍겨난 악취를 그 즉시 강제흡입함과 동시에 유해성분을 분 해한 후 청정 기체로써 살균하여 실내로 재배출시키게 된 기체살균수단과; 그리고, 상기 로우탱크 내에 담긴 공급수의 지속적 살균을 위한 액체살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변좌 및 유체의 동시 살균이 가능한 양변기는, 용변행위를 위한 사용자 착석으로 둔부가 직접 접촉하는 좌대의 변좌 표면에 번식할 수 있는 세균의 박멸과 함께 배설물을 정화조로 유도배출하기 위한 로우탱크 내의 공급수 및 변기몸체의 배설공간 내 담수까지 자외선 살균기를 이용하여 정화함과 같은 동시 살균에 따른 양변기의 청결상태 유지를 통해, 접촉성 피부질환 전염우려의 방지 및 여러 사람이 공통으로 이용함에 따른 불쾌한 느낌과 거부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배설물의 배출과 동시에 풍겨나는 악취(냄새)를 흡입 후 청정 기체로 재배출함을 통해, 많은 이들이 수시로 이용하게 되는 화장실 환경상 끊이지 않는 악취의 발생을 억제시켜 실내 공기 중에 떠다니는 유해성분으로 인한 호흡기질환 발병우려의 해소와 더불어 다음 이용자들이 상쾌한 느낌을 가지고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른 공공시설 이용환경의 개선효과를 발휘하는 아주 유용한 고안이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변좌 및 유체의 동시 살균이 가능한 양변기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요부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변좌 및 유체의 동시 살균이 가능한 양변기에 있어서, 좌대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변좌 및 유체의 동시 살균이 가능한 양변기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사용상태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변좌 및 유체의 동시 살균이 가능한 양변기(A)는, 용변시 인체의 배설기관으로부터 배설되는 대·소변을 받아두기 위한 배설공간(1a)이 마련된 변기몸체(1)와, 용변을 위한 사용자가 착석하게 되는 좌대(2)와, 상기 배설공간(1a) 내에 담긴 배설물을 외부로 유도 배출토록 하기 위한 공급수가 저장된 로우탱크(3)와, 사용자의 둔부가 닿게 되는 상기 좌대(2)의 표면살균을 위한 변좌살균수단(4)과, 배설물로부터 풍겨난 악취를 그 즉시 강제흡입함과 동시에 유해성분을 분해한 후 청정 기체로써 살균하여 실내로 재배출시키게 된 기체살균수단(5)과, 상기 로우탱크(3) 내에 담긴 공급수의 지속적 살균을 위한 액체살균수단(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변기몸체(1) 및 좌대(2)와 로우탱크(3)는 통상의 양변기(A)를 이루는 구성요소로써, 상기 변기몸체(1)에는, 용변시 배설된 대·소변을 받아두기 위한 배설공간(1a)의 그 내부에 담긴 배설물(대,소변)을 정화조로 배출시키기 위한 트랩관(11)이 더 구성된다.
상기 좌대(2)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착석하여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상기 변기몸체(1)의 배설공간(1a) 상단부를 둘러 덮어 조립결합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기몸체(1)의 일 상단에 별도의 결합볼트(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일체로 조립되는 한편 상기 기체살균수단(5)의 내재장착 및 기체의 흡입과 배출의 흐름 안내를 위한 기체유도공간(21a)이 내부에 마련된 좌대본체(21)와, 상기 좌대본체(21)의 일측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배설공간(1a) 상에 사용자가 걸터앉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변좌(22)와, 상기 변좌(22)의 상부를 개폐시킬 수 있는 변좌덮개(23)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좌덮개(23)의 내측 상단에는, 사용자가 용변을 위해 덮개를 들어올리거나 상기 변좌(22) 상에 착석하는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여, 상기 변좌살균수단(4) 및 기체살균수단(5)이 번갈아가며 교대로 작동이 가능토록 스위치 역할을 하는 근접센서(231)가 더 장착된다.
상기 로우탱크(3)는, 배설물의 정화조 배출을 위하는데 적당량의 공급수를 담아 저장해둘 수 있는 물저장공간(3a)이 내부에 마련된 탱크본체(31)와, 상기 물저장공간(3a)의 상측 개구부를 밀폐하기 위한 탱크덮개(32)와, 상기 물저장공간(3a) 내로 공급 저장된 공급수의 배수를 통해 상기 배설공간(1a) 내에 담긴 대·소변이 배수된 공급수와 함께 상기 트랩관(11)을 거쳐 정화조로 배출시키도록 한 누름버튼(33)이 외부 일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 좌대(2) 측방의 상기 로우탱크(3) 일측 벽면에는, 상기 액체살균수단(6)의 고정조립을 위한 소정지름의 통공(31a)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변좌살균수단(4)은, 사용자 둔부의 직접 접촉으로 인한 각종 세균의 번식 방지를 목적으로 상기 변좌(22)의 그 표면을 살균하기 위한 것으로, 자외선 방사를 통한 세균의 박멸이 가능토록 된 제1살균기(41)와, 상기 제1살균기(41)와 상기 변좌덮개(23) 사이에 더 결합되어 자외선 방사에 의한 상기 변좌덮개(23)의 부식을 차단함과 동시에 냄새(악취)의 탈취(脫臭)효과를 함께 거둘 수 있도록 된 광촉매패널(42)로 구성된다.
기체살균수단(5)은, 용변시 체내로부터 배출되는 배설물로부터 풍겨나는 악취의 정화를 통한 화장실 내부 공기를 쾌적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배설물의 배출과 동시에 풍기는 악취를 그 즉시 상기 좌대본체(21) 내로 강제흡입토록 된 흡입덕트(51)와, 상기 흡입덕트(51)를 통해 흡입된 기체 내에 혼합된 유해성분(악취)을 필터링(Filtering)하여 분해 제거시키기 위한 제2살균기(52)와, 상기 흡입덕트(51)의 흡입작용 및 상기 제2살균기(52)에 의해 유해성분이 제거된 청정 기체를 실내로 재배출토록 하는 배풍기(排風機, 53)와, 상기 변좌덮개(23)에 장착된 상기 근접센서(231)로부터 송출된 인체의 접근 신호를 받아 상기 변좌살균수단(4)의 작동정지 및 상기 배풍기(53)의 구동시작을 컨트롤하기 위한 주회로기판(54)으로 구성된다.
액체살균수단(6)은, 배설물을 정화조로 유도배출시키기 위한 공급수가 저장된 상기 로우탱크(3) 내부를 청결케 정화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주회로기판(54)에 연결된 상태로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여 자외선을 방사토록 된 제3살균기(61)이다.
더하여, 상기 제3살균기(61)의 본체 일측으로부터 소정길이 볼트봉(611)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볼트봉(611) 선단에 나사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 조임너트(612)가 더 구비된다.
더불어, 상기 볼트봉(611)의 중앙부가 관통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3살균기(61) 내로 외부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선(도시하지 않음)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볼트봉(611)을 탱크본체(31)의 상기 통공(31a)에 끼움하여 선단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조임너트(612)를 이용하여 상기 제3살균기(61)가 로우탱크(3)의 내벽면에 고정설치 가능한 것이며, 상기 볼트봉(611) 선단의 외부돌출로 인해 상기 제3살균기(61)로의 전력공급을 위한 전기선을 상기 좌대본체(21) 내에 장착된 주회로기판(54)에 간단히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제1,2,3살균기(41)(52)(61)는, 자외선을 방사하여 대장균 및 일반세균을 99.9% 박멸할 수 있으면서도 유체(流體 : 기체와 액체)의 동시 살균(殺菌, Sterilization)이 가능한 통상의 UV살균기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 (62)는 상기 제3살균기의 장착시 상기 로우탱크의 외부로 공급수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패드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고안에 따른 변좌 및 유체의 동시 살균이 가능한 양변기(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대(2)의 변좌덮개(23)가 상기 변좌(22)의 상단부를 덮어 차폐시킨 상태로 상기 변좌살균수단(4)의 제1살균기(41)가 작동하는 것으로, 상기 변좌(22)의 그 표면에 번식할 수 있는 세균의 박멸이 가능케 되는 것이며, 상기 변기몸체(1)의 배설공간(1a) 내 담수까지도 살균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변을 위한 사용자가 상기 변좌덮개(23) 끝을 잡고 들어올려 회동 개방시킨 후, 상기 변좌(22) 상에 둔부를 밀착시켜 걸터앉은 것으로 용변행위를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변좌덮개(23)를 개방작업의 실시 및 상기 변좌(22) 상에 착석하게 되면, 상기 변좌덮개(23)의 내부측 상단에 장착된 상기 근접센서(231)가 인체의 접근을 감지함과 동시에 그 신호를 상기 기체살균수단(5)의 주회로기판(54)에 송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송출 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주회로기판(54)은, 그 즉시 상기 변좌살균수단(4)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반면 상기 기체살균수단(5)의 구동이 시작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살균기(41)의 자외선 방사를 중지시켜 인체에 유해를 끼치지 않도록 하고, 반대로 상기 배풍기(53)의 회전작동 진행을 통한 기체의 흐름을 유도하여 상기 흡입덕트(51)가 악취를 흡입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용변행위와 동시에 배설물로부터 풍겨나 상기 변기몸체(1)의 배설공간에 머무르게 된 악취가 그 즉시 상기 좌대본체(21) 내의 기체유동공간(21a)으로 빨려들어가게 된다.
이렇게 흡입된 악취는, 상기 제2살균기(52)에 의해 기체에 함유된 유해성분(악취)을 분해 및 제거한 후, 다시 상기 배풍기(53)에 의해 재배출됨으로써 화장실의 공기를 쾌적하고 청정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음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액체살균수단(6)의 제3살균기(61)는, 용변 이전에 미리 공급 저 장된 공급수를 계속적으로 살균(정화)함에 따라, 배설물을 정화조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급수와 함께 변기몸체(1)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시켜주는 것으로 인체에 유해한 그 어떠한 세균의 증식도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들이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A)의 이용에 불쾌감과 거부감을 느끼지 않게 된다.
참고로, 상기 변좌덮개(23)를 수직으로 세워 상기 변좌(22)를 개방해 놓은 상태에서 사람이 접근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살균기(41)가 작동토록 상기 주회로기판(54)에 프로그래밍하여, 화장실 내부 공기의 지속적 정화가 가능토록 함에 따른 쾌적한 화장실이 환경을 항시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상술한 제1,2,3살균기(41)(52)(61)의 자외선 방사에 따른 유체의 살균효과는 아래의 <대장균의 환경별 유효 자외선 조사량> 통계표를 통하여 확연히 파악할 수 있다.
살균율 (%) 생존율 (%) 상대온도 35%일 경우 (㎼·min/㎠) 광활성을 고려한 경우 (㎼·min/㎠) 수중의 경우 (㎼·min/㎠)
63.2 36.8 5 12.5 38
90 10 11.5 28.8 87.5
99 1 23.5 57.5 175.0
99.9 0.1 34.5 86.3 262.5
99.99 0.01 46.1 115.3 350.0
99.999 0.001 57.8 144.0 437.5
<대장균의 환경별 유효 자외선 조사량>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살균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변좌 및 유체의 동시 살균이 가능한 양변기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요부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변좌 및 유체의 동시 살균이 가능한 양변기에 있어서, 좌대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변좌 및 유체의 동시 살균이 가능한 양변기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사용상태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 양변기, 1 : 변기몸체, 1a : 배설공간
2 : 좌대, 3 : 로우탱크, 3a : 물저장공간
4 : 변좌살균수단, 5 : 기체살균수단, 6 : 액체살균수단
11 : 트랩관, 21 : 좌대본체, 21a : 기체유도공간
22 : 변좌, 23 : 변좌덮개, 31 : 탱크본체
31a : 통공, 32 : 탱크덮개, 33 : 누름버튼
41 : 제1살균기, 42 : 광촉매패널, 51 : 흡입덕트
52 : 제2살균기, 53 : 배풍기, 54 : 주회로기판
61 : 제3살균기, 62 : 패킹판, 231 : 근접센서
611 : 볼트봉, 612 : 조임너트

Claims (8)

  1. 용변시 인체의 배설기관으로부터 배설되는 대·소변을 받아두기 위한 배설공간이 마련된 변기몸체와;
    용변을 위한 사용자가 착석하게 되는 좌대와;
    상기 배설공간 내에 담긴 배설물을 외부로 유도배출토록 하기 위한 공급수가 저장된 로우탱크와;
    사용자의 둔부가 닿게 되는 상기 좌대의 표면살균을 위한 변좌살균수단과;
    배설물로부터 풍겨난 악취를 그 즉시 강제흡입함과 동시에 유해성분을 분해 제거한 후 청정 기체로써 살균하여 실내로 재배출시키게 된 기체살균수단과; 그리고,
    상기 로우탱크 내에 담긴 공급수의 지속적 살균을 위한 액체살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및 유체의 동시 살균이 가능한 양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는, 상기 변기몸체의 일 상단에 별도의 결합볼트를 통해 일체로 조립되는 한편 상기 기체살균수단의 내재장착 및 기체의 흡입과 배출의 흐름 안내를 위한 기체유도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좌대본체와, 상기 좌대본체의 일측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배설공간 상에 사용자가 걸터앉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변좌와, 상기 변 좌의 상부를 개폐시킬 수 있는 변좌덮개로 구성되되,
    상기 변좌덮개의 내측 상단에는, 사용자가 용변을 위해 덮개를 들어올리거나 상기 변좌 상에 착석하는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여, 상기 변좌살균수단 및 기체살균수단이 번갈아가며 교대로 작동이 가능토록 스위치 역할을 하는 근접센서가 더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및 유체의 동시 살균이 가능한 양변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변좌살균수단은, 자외선 방사를 통한 세균의 박멸이 가능토록 된 제1살균기와,
    상기 제1살균기와 상기 변좌덮개 사이에 더 결합되어 자외선 방사에 의한 상기 변좌덮개의 부식을 차단함과 동시에, 냄새의 탈취효과를 함께 거둘 수 있도록 된 광촉매패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및 유체의 동시 살균이 가능한 양변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살균수단은, 배설물의 배출과 동시에 풍기는 악취를 그 즉시 상기 좌대본체 내로 강제흡입토록 된 흡입덕트와,
    상기 흡입덕트를 통해 흡입된 기체 내에 혼합된 유해성분을 필터링하여 분해 제거시키기 위한 제2살균기와,
    상기 흡입덕트의 흡입작용 및 상기 제2살균기에 의해 유해성분이 제거된 청정 기체를 실내로 재배출토록 하는 배풍기와,
    상기 변좌덮개에 장착된 상기 근접센서로부터 송출된 인체의 접근 신호를 받아, 상기 변좌살균수단의 작동정지 및 상기 배풍기의 구동시작을 컨트롤하기 위한 주회로기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및 유체의 동시 살균이 가능한 양변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살균수단은, 상기 주회로기판에 전기적 연결상태로 외부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여, 상기 로우탱크 내부를 정화하도록 된 제3살균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및 유체의 동시 살균이 가능한 양변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살균기는, 자외선을 방사하여 대장균 및 일반세균을 99.9% 박멸할 수 있으면서도, 유체(流體)의 살균을 이룰 수 있는 UV살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및 유체의 동시 살균이 가능한 양변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살균기는, 자외선을 방사하여 대장균 및 일반세균을 99.9% 박멸할 수 있으면서도, 유체(流體)의 살균을 이룰 수 있는 UV살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및 유체의 동시 살균이 가능한 양변기.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3살균기는, 자외선을 방사하여 대장균 및 일반세균을 99.9% 박멸할 수 있으면서도, 유체(流體)의 살균을 이룰 수 있는 UV살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및 유체의 동시 살균이 가능한 양변기.
KR2020080009499U 2008-07-17 2008-07-17 변좌 및 유체의 동시 살균이 가능한 양변기 Abandoned KR2010000085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499U KR20100000851U (ko) 2008-07-17 2008-07-17 변좌 및 유체의 동시 살균이 가능한 양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499U KR20100000851U (ko) 2008-07-17 2008-07-17 변좌 및 유체의 동시 살균이 가능한 양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851U true KR20100000851U (ko) 2010-01-27

Family

ID=44196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499U Abandoned KR20100000851U (ko) 2008-07-17 2008-07-17 변좌 및 유체의 동시 살균이 가능한 양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0851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5894A (ko) * 2012-02-21 2013-08-29 김규민 변기 탈취 및 공기 여과장치
KR101683725B1 (ko) * 2015-08-26 2016-12-20 설효정 좌변기 악취제거 및 살균제 투입장치
KR101724070B1 (ko) 2015-12-23 2017-04-05 황우원 살균 가능한 양변기
KR102257794B1 (ko) * 2019-12-10 2021-05-28 정양기 변기커버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5894A (ko) * 2012-02-21 2013-08-29 김규민 변기 탈취 및 공기 여과장치
KR101683725B1 (ko) * 2015-08-26 2016-12-20 설효정 좌변기 악취제거 및 살균제 투입장치
KR101724070B1 (ko) 2015-12-23 2017-04-05 황우원 살균 가능한 양변기
KR102257794B1 (ko) * 2019-12-10 2021-05-28 정양기 변기커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265529A (ja) 収納式便器
KR102249345B1 (ko) 세척 및 살균 기능을 가진 양변기
KR20100000851U (ko) 변좌 및 유체의 동시 살균이 가능한 양변기
KR101409515B1 (ko) 위생 변기
CN206875624U (zh) 一种公共厕所使用的高效空气净化装置
CN212926343U (zh) 一种粪口防控气溶胶传播真空厕所
CN201078017Y (zh) 便器卫生装置
JP7471036B2 (ja) 洋式トイレ殺菌装置
KR20120007399A (ko) 싱크대
CN215937187U (zh) 一种杀菌马桶盖
CN217480333U (zh) 卫浴设备杀菌装置
KR200443128Y1 (ko) 위생 좌변기
KR20090058653A (ko) 살균탈취제가 수납 가능한 좌변기 덮개
KR102668877B1 (ko) 좌변기의 위생용 물때 및 곰팡이 발생방지장치
CN216195212U (zh) 一种用于马桶的自动消毒装置
CN217960799U (zh) 一种厕所空气消毒装置
JP2004267706A (ja) 通気孔付ポットを具備する消臭殺菌装置付ポータブルトイレ
JP3014922U (ja) 携帯水洗便器
CN211499083U (zh) 一种防臭消毒马桶盖
KR200263475Y1 (ko) 좌변기
CN212866204U (zh) 蹲便器消毒除臭装置
CN215053630U (zh) 一种隐藏式坐便器柜体的通风杀菌装置
CN210460072U (zh) 一种负压无味无臭系统环保公厕
CN214259790U (zh) 一种用于传染病危重患者的卧床便盆装置
CN213329290U (zh) 一种多功能智能除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8071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17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80918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2D

Patent event date: 2009031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1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U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