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7235A - 롤스크린 - Google Patents
롤스크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117235A KR20090117235A KR1020080043183A KR20080043183A KR20090117235A KR 20090117235 A KR20090117235 A KR 20090117235A KR 1020080043183 A KR1020080043183 A KR 1020080043183A KR 20080043183 A KR20080043183 A KR 20080043183A KR 20090117235 A KR20090117235 A KR 200901172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ring support
- support rod
- guide
- roll screen
- spr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475 sunscreen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516 sunscreening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Mechanism for actuation by hand, e.g. cranks or curtain cor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41—Blind sheets, e.g. shape of sheets, reinforcements in sheets, material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52—Gui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3—Mounting arrangements for roller blind or its storage box, e.g. integration into beltline or window fram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75—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fixed windows
- B60J1/2083—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fixed windows for side windows, e.g. quarte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햇빛차단용 롤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기차 등의 유리창 측면에 설치되어 햇빛가리개로 사용되는 롤스크린을 자유롭게 올리고 내리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햇빛차단용 롤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기차 등의 유리창 측면에 설치되어 햇빛가리개로 사용되는 롤스크린을 자유롭게 올리고 내리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차 유리창 안쪽면에 설치하여 햇빛 가리개로 사용되는 롤스크린은 대부분 스크린 하단부에 장착된 지지봉의 양단부를 유리창의 창틀 양측에서 수개의 걸림턱이 형성된 수직 안내홈에 상하로 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하여 사용시에는 지지봉을 잡고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지지봉의 양단부를 걸림턱에 걸어서 롤스크린을 정지시키는 것이 있으나, 이런 장치는 롤스크린의 수평을 유지하기가 곤란하였으며, 구조가 복잡하여 고장의 염려가 많은 문제가 있다.
이보다 개량된 것으로 양쪽 창틀의 안내레일에 톱니가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설치하고, 스크린 지지봉에 랙을 장착하여 스크린을 승강시키는 장치가 있으나, 이 장치 역시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가 증가하며 고장이 잦은 문제가 있다.
또, 본 발명자가 1999년 9월 13일자로 출원한 실용신안 1999-19492호에 소개된 롤스크린은 창틀 양쪽과 롤스크린 하단부를 거치면서 서로 교차하는 2개의 스트 링을 도르래 방식으로 오르락 내리락 하면서 롤스크린을 원하는 위치에 정지시키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으며, 이 방식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가 저렴하고 고장이 거의 없는 장점은 있지만, 주로 대형의 창틀에 적합한 구조이고, 도르래(풀리)가 스트링을 타고 구름운동을 하면서 롤스크린이 승강운동을 하게 되어, 도르래의 움직임에 의한 소음이 상당히 심하고, 또한 롤스크린을 세탁이나 교체를 위해 분리해야 할 경우에도 전체 장치를 모두 분해해야만 하여 유지관리도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특히, 국내에서도 고속열차가 보급되어 실내의 정숙이 더욱 요구되는 추세에서는 이렇게 소음이 심한 롤스크린은 사용이 점차 자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대형이 창이 아닌 소형이나 중형의 창에 특히 적합한 롤스크린을 개발하는데 안점을 두고, 또한 정숙성이 요구되는 실내에서 소음이 거의 없으며, 분해조립도 간단한 구조를 채택한 롤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 의하면, 유리창(1)의 창틀(2)중 상단 창틀에 설치된 롤지지대(5)에 롤스크린(4)을 감아두고 양측 창틀(2)에 설치된 안내레일(3)을 따라 이동하는 안내대(10)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면서 외부 햇빛을 차단하는 롤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안내대(1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기다란 원통형 스프링지지봉(20);
상기 스프링지지봉(20)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고, 양단부는 상기 레일(3)에 맞물리도록 스프링지지봉(20)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스토퍼(22);
상기 스프링지지봉(20)의 안쪽 단부를 통해 스프링지지봉에 체결되어 스프링지지봉과 일체로 움직이고, 일단부에 스프링지지턱(32)이 달려있는 체결봉(30);
상기 안내레일(3)을 따라 움직이도록 설치되고, 스프링지지봉(20)이 관통되어 있어, 안내레일을 따라 승강하면서 스프링지지봉의 움직임도 안내하는 가이드(G); 및
상기 스프링지지봉(20)과 체결봉(30) 둘레에 감겨있고, 일단부는 가이드(G) 의 측면에 지지되며, 타단부는 스프링지지턱(32)에 지지되는 스프링(S);을 포함하고,
평상시 스프링(S)의 인장력에 의해 스프링지지봉(20)이 가이드(G)가 반대쪽으로 밀리고, 스프링지지봉에 연결된 스토퍼(22)도 같이 움직여 레일(3)에 맞물리고, 이렇게 맞물린 마찰력에 의해 롤스크린(4)의 상하 이동이 정지상태에 있지만, 이 마찰력이 사람이 손으로 밀어 올리거나 내리는 힘보다 작아서 수동으로 롤스크린을 자유자재로 올렸다 내릴 수 있는 롤스크린이 제공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롤스크린은, 도르래의 구름운동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의 도르래식 롤스크린에 비해 소음이 크게 줄어든다. 또, 구조가 간단하고, 스트링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필요한 부품만 분해하고 교체할 수 있으므로, 부품교체작업과 시간이 종래에 비해 크게 단축되어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열차 유리창(1)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롤스크린(4)의 사용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창(1)을 지지하는 좌우창틀(2) 각각에는 상단부터 하단까지 내부에 롤스크린(4)의 양단을 안내하는 안내레일(3)이 각각 설치된다. 안내레일(3)은 좌우측의 2개의 레일로 구성된다. 상부 창틀(2)에는 롤스크린(4)을 감기위한 롤지지대(5)가 설치되고, 롤지지대(5)의 하단에는 안내대(10)가 부착되며, 안 내대(10)의 양단은 안내레일(3)의 내부에 삽입되어, 승강하는 롤스크린을 안내레일을 통해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안내대(10)의 양단에 각각 본 발명의 롤스크린 고정기구가 설치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핵심이 되는 롤스크린 고정구조를 자세히 보여주기 위해 안내대와 그 일단부만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확대부분의 평면도로서, 편의상 필요한 부분만 도시하였고, 스프링(S)도 설명의 편의상 일부분만 도시하였다. 도 5는 도 4의 롤스크린 고정구조의 이해를 돕기위한 사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롤스크린 고정구조는 안내대(1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데, 설명의 편의상 좌측의 고정구조만 예를 들어 설명하고, 우측 고정구조는 좌측 고정구조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안내대(10)의 일단부에 기다란 원통형 스프링지지봉(20)이 설치된다. 이 스프링지지봉(20)은 속이 빈 구조이고, 일단부에는 볼트 등의 체결봉(30)이 끼워져 결합되고, 체결봉은 스프링지지봉(20)과 함께 일체로 움직이며, 체결봉의 일단부에는 스프링지지턱(32)이 결합된다. 스프링지지봉(20)의 외측 단부에 스토퍼(22)가 일체로 부착되는데, 스토퍼(22)의 양단부는 스프링지지봉(20) 밖으로 돌출하여 레일(3)에 맞물릴 수 있다. 스프링(S)의 인장력에 의해 당겨져 스토퍼(22)가 레일(3)에 맞물리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안내레일(3)을 따라 움직이도록 가이드(G)가 설치된다. 이 가이드(G)를 스프링지지봉(20)이 관통하고, 스프링지지봉(20)의 일단부에 스토퍼(22)가 결합된다. 가이드(G)는 안내레일을 따라 승강함과 동시에 스프링지지봉을 따라 움직일 수 있 다. 또한, 스토퍼(22)는 가이드(G)를 따라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G)는 롤스크린의 상하운동과 스토퍼(22)의 좌우 측면운동을 모두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스프링(S)이 스프링지지봉(20)과 체결봉(30) 둘레에 감긴채 일단부는 가이드(G)의 측면에 지지되며, 타단부는 스프링지지턱(32)에 지지된다. 따라서, 평상시 스프링(S)의 인장력에 의해 가이드(G)로부터 스프링지지봉(20)이 도면에서 우측으로 움직이고, 이에 따라 스프링지지봉(20)에 연결된 스토퍼(22) 역시 우측으로 움직이면서 안내레일(3)에 맞물린다. 이렇게 스토퍼(22)가 안내레일(3)에 맞물린 마찰력에 의해 롤스크린(4)의 상하 이동이 정지한다. 그러나, 이런 정지마찰력은 사람이 손으로 밀어 올리거나 내리는 힘보다 작아서 수동으로 롤스크린을 자유자재로 올렸다 내릴 수 있다.
이때 정지마찰력을 극복하여 쉽게 롤스크린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스토퍼(22)의 재질은 가급적 미끄럼 마찰이 약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한다. 또한, 사람이 손으로 안내대(10)를 쥐고 올리거나 내리면 스토퍼(22) 자체가 윗쪽으로나 아랫쪽으로 약간 기울이게 되어, 접촉면 전체가 아닌 접촉면 일부분만 레일과 접촉하게 된다. 즉, 마찰면적의 축소로 인해 정지마찰력이 축소되고, 이에 따라 승강운동이 더 원활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롤스크린은 열차에 사용하도록 안출된 것이지만, 승강 동작의 편의성 때문에 열차는 물론, 버스와 일반 건물의 창틀에서 설 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열차 유리창(1)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롤스크린(4)의 사용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핵심이 되는 롤스크린 고정구조를 자세히 보여주기 위해 안내대와 그 일단부만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확대부분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롤스크린 고정구조를 자세히 보여주는 사진.
Claims (1)
- 유리창(1)의 창틀(2)중 상단 창틀에 설치된 롤지지대(5)에 롤스크린(4)을 감아두고 양측 창틀(2)에 설치된 안내레일(3)을 따라 이동하는 안내대(10)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면서 외부 햇빛을 차단하는 롤스크린에 있어서:상기 안내대(1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기다란 원통형 스프링지지봉(20);상기 스프링지지봉(20)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고, 양단부는 상기 레일(3)에 맞물리도록 스프링지지봉(20)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스토퍼(22);상기 스프링지지봉(20)의 안쪽 단부를 통해 스프링지지봉에 체결되어 스프링지지봉과 일체로 움직이고, 일단부에 스프링지지턱(32)이 달려있는 체결봉(30);상기 안내레일(3)을 따라 움직이도록 설치되고, 스프링지지봉(20)이 관통되어 있어, 안내레일을 따라 승강하면서 스프링지지봉의 움직임도 안내하는 가이드(G); 및상기 스프링지지봉(20)과 체결봉(30) 둘레에 감겨있고, 일단부는 가이드(G)의 측면에 지지되며, 타단부는 스프링지지턱(32)에 지지되는 스프링(S);을 포함하고,평상시 스프링(S)의 인장력에 의해 스프링지지봉(20)이 가이드(G)가 반대쪽으로 밀리고, 스프링지지봉에 연결된 스토퍼(22)도 같이 움직여 레일(3)에 맞물리고, 이렇게 맞물린 마찰력에 의해 롤스크린(4)의 상하 이동이 정지상태에 있지만, 이 마찰력이 사람이 손으로 밀어 올리거나 내리는 힘보다 작아서 수동으로 롤스크 린을 자유자재로 올렸다 내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스크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43183A KR20090117235A (ko) | 2008-05-09 | 2008-05-09 | 롤스크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43183A KR20090117235A (ko) | 2008-05-09 | 2008-05-09 | 롤스크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7235A true KR20090117235A (ko) | 2009-11-12 |
Family
ID=41601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43183A Withdrawn KR20090117235A (ko) | 2008-05-09 | 2008-05-09 | 롤스크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117235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139953A (zh) * | 2017-05-17 | 2017-09-08 |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 一种轨道车辆遮阳帘 |
WO2021190061A1 (zh) * | 2020-03-23 | 2021-09-30 | 深圳光峰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可升降的屏幕 |
-
2008
- 2008-05-09 KR KR1020080043183A patent/KR20090117235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139953A (zh) * | 2017-05-17 | 2017-09-08 |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 一种轨道车辆遮阳帘 |
CN107139953B (zh) * | 2017-05-17 | 2019-01-11 |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 一种轨道车辆遮阳帘 |
WO2021190061A1 (zh) * | 2020-03-23 | 2021-09-30 | 深圳光峰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可升降的屏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46509B2 (en) | Blind with looped blind sheet for adjusting opacity | |
US20140083630A1 (en) | Cordless blind assembly | |
CN100535378C (zh) | 结构改良的中空玻璃内的百叶窗 | |
US20150041073A1 (en) | Control unit for window curtain assembly | |
KR200469501Y1 (ko) | 패브릭 텐션 시스템의 차양막 처짐 방지 장치 | |
KR200469122Y1 (ko) | 전동 차양 장치용 장력 조절 장치 | |
US20150101767A1 (en) | Non-cord window blind assembly | |
CN103806822A (zh) | 卷帘 | |
KR100912609B1 (ko) | 전동식 차양 시스템 | |
KR102296902B1 (ko) | 전동 롤 블라인드 | |
KR20090117235A (ko) | 롤스크린 | |
KR101571106B1 (ko) | 상하, 좌우 개폐가 가능한 스마트커튼장치 | |
KR101250232B1 (ko) | 로프식 유압수문 | |
JP2016199969A (ja) | 日射遮蔽装置 | |
JP2009243085A (ja) | ガイド付きロールスクリーン | |
CN102877768B (zh) | 一种防风式卷帘门 | |
KR20120067006A (ko) | 시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산업용 자동문 | |
JP5623770B2 (ja) | すだれ及びすだれの隙間制御システム | |
KR102669666B1 (ko) | 수직, 수평, 경사각으로 설치 가능한 전동식 롤 블라인드 | |
CN221481810U (zh) | 一种防风卷帘的防坠落机构 | |
JPH0137107Y2 (ko) | ||
CN209780728U (zh) | 一种卷帘门抗风装置 | |
JPH0354311Y2 (ko) | ||
CN216894042U (zh) | 一种具有吸附锁紧功能的铝合金窗 | |
JPH0387794U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0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