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0868A - Earthing device - Google Patents
Earth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90868A KR20090090868A KR1020080016392A KR20080016392A KR20090090868A KR 20090090868 A KR20090090868 A KR 20090090868A KR 1020080016392 A KR1020080016392 A KR 1020080016392A KR 20080016392 A KR20080016392 A KR 20080016392A KR 20090090868 A KR20090090868 A KR 200900908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und
- rod
- grounding
- ground rod
- wi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0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01052 transi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08000028659 discharge Diseases 0.000 description 15
- 229910000906 Bronz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9
- 229910000881 Cu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0974 bronz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KUNSUQLRTQLHQQ-UHFFFAOYSA-N copper tin Chemical compound [Cu].[Sn] KUNSUQLRTQLHQ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29910001128 Sn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29910021536 Zeo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HNPSIPDUKPIQMN-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Si]=O.O=[Al]O[Al]=O HNPSIPDUKPIQM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1369 Bras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51 br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32 lus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900 soi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104 soli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40 benton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278 benton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SVPXDRXYRYOSEX-UHFFFAOYSA-N bentoquatam Chemical compound O.O=[Si]=O.O=[Al]O[Al]=O SVPXDRXYRYOSE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01 coagu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GUJOJGAPFQRJSV-UHFFFAOYSA-N dialuminum;dioxosilane;oxygen(2-);hydrate Chemical compound O.[O-2].[O-2].[O-2].[Al+3].[Al+3].O=[Si]=O.O=[Si]=O.O=[Si]=O.O=[Si]=O GUJOJGAPFQRJS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901 montmorillon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13 electro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단과 하단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중공파이프의 형상으로 상단의 일측면에 타공된 형태의 공기순환구와, 하단의 일측면에 타공된 형태의 배수구를 구비하는 접지봉, 상기 접지봉 내부에 충진되는 접지저감제, 밴드의 형상으로 상기 접지봉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일개 이상 구비되는 고정밴드, 원뿔의 형태로 상기 고정밴드의 외주연에 일개 이상 부착하여 구비되는 방사침, 원판의 형상으로 상기 접지봉의 외주연에 삽입 부착되는 방사판, 상기 접지봉의 상단과 하단의 개구부를 밀봉하도록 구비되는 커버, 접지선의 일단부를 접지봉의 외주연에 용접하여 구비되는 용접부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며, 접지장치의 개별적인 접지 넓이 및 효율을 높여 적은 수의 접지장치로도 보다 넓은 면적의 효율적인 접지가 가능토록 하고, 접지 면적에 해당하는 접지장치의 설치 개수를 줄여 설치 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보다 간편하게 시공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접지봉과 접지선이 용접결합됨에 따라 접지성능이 현저히 향상되고, 과전류 또는 과전압이 흐르게 될 경우에도 접지선이 대지에 매설된 접지봉에서 분리되지 않고 견고히 유지되어 분리된 접지선을 접지봉에 재연결하기 위한 보수작업이 시행되지 않아, 유지비 및 보수비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으며, 접지장치의 구체적인 소재를 제시하여, 접지장치의 소재로 인한 접지효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ing device, a grounding rod having an air circulation port having a perforated shape on one side of the top and a drain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ttom in the shape of a hollow pipe having openings at the top and bottom thereof, A grounding reducer filled in the grounding rod, a fixed band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ground rod in the shape of a band, a spinning needle, provided with one or more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xing band in the form of a cone The radiation plate is inserted in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ground rod in the shape of the cover, the cover is provided to seal the opening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ground rod, a configuration consisting of a welding portion provided by welding one end of the ground wire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ground rod, Increasing the efficiency and individual grounding of the device allows for more efficient grounding with a smaller area In addition to reducing the installation cost by reducing the number of installations of the ground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ground area, the construction work can be carried out more easily, and the grounding performance is remarkably improved as the ground rod and the ground wire are welded together, and the overcurrent or overvoltage is reduced. Even if it flows, the grounding wire is not separated from the grounding rod embedded in the ground, so the maintenance work for reconnecting the separated grounding wire to the grounding rod is not carried out, which significantly reduces the maintenance and maintenance costs. By presenting,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xpected to improve the grounding efficiency due to the material of the grounding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지선과 접지봉을 용접결합하고, 접지봉의 내부에 접지저감제를 충진하되, 상기 접지봉의 외주연에 방사판을 부착하고, 다수의 방사침과 방사판을 구비하여 상기 방사침과 방사판의 구성으로 본 발명 접지장치가 접지할 수 있는 대지면적을 최대화하고, 접지장치의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용접결합된 접지선과 접지봉의 구성이 보다 견고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도성이 향상되어 접촉저항을 최소화함에 따라 보다 효율적인 접지가 가능하도록 한 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by welding a grounding wire and a grounding rod, and filling a ground reducing agent in the grounding rod, and attaching a radiation plate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grounding rod, The radiation needle and the radiation plate is provided with a plate to maximize the ground area of the groun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acilitate the construction of the grounding device, and the construction of the welded ground wire and the ground rod is more robus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ing device that can be maintained in a state as well as improve conductivity, thereby minimizing contact resistance, thereby enabling more efficient grounding.
일반적으로 과부하나 낙뢰, 서지전압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 재해는 누구도 쉽게 예측함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건축용 구조물이나 혹은 고가의 전기 전자통신 장비들의 화재의 원인과 아울러 각종 기기들의 고장 원인이 되게 하며, 이 때문에 과부하나 낙뢰 등과 같은 서지전압의 발생 시에는 그로 인한 과전압 및 과전류를 지표면으로 유도하여 안전하게 확산되어, 과전압 및 과전류에 의해 중요 장비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접지장치가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disaster caused by an overload, a lightning strike, or a surge voltage can hardly be predicted by anyone, which causes a fire of a building structure or expensive electrical and electronic communication equipment and a failure of various devices. Therefore, when a surge voltage such as an overload or a lightning strike occurs, the grounding device is used as a means for preventing the overvoltage and overcurrent from being induced and spreading safely to the ground,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important equipment due to the overvoltage and overcurrent.
일반적인 접지장치의 구조는 땅속에 매설되어 고압선철탑이나 고층건물, 통 신장비나 전자계측장비, 전산장비, 기차레일 등을 대지에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과부하나 낙뢰 등과 같은 서지전압을 대지로 안전하게 확산시키게 되고, 이로써 상기와 같은 장비가 과부하나 낙뢰 등과 같은 서지전압에 의해 손상되는 현상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The general structure of the grounding device is buried in the ground, and the surge voltage such as overload or lightning strike is safely spread to the ground 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high-voltage wire tower, high-rise building, barrel extension, electronic measuring equipment, computer equipment, and train rail to the ground. Thus, such equipment is configured to block the phenomenon of damage caused by surge voltage such as overload or lightning.
기존에 제공된 접지방법으로는 일정깊이로 동판을 매설하고 동판을 일정간격으로 삽입 후 접지저항 저감제를 도포하는 동판 접지방법을 비롯하여 적당한 위치에 동봉을 다수 개 박아서 연결하는 접지방법과, 접지봉을 전기 햄머를 이용하여 타입하는 것으로, 필요한 길이 만큼 연결하면서 타입하여 접지저항 저감제가 접지봉 끝까지 스며들도록 하는 접지방법과, 굴착기를 이용하여 굴착한 다음 준비된 접지 봉을 한개 또는 2개를 연결 삽입하고 접지저감제를 유입하는 접지방법과, 접지 저감제 통로가 있는 추를 접지 봉 하단에 연결하여 지하수의 표면에 닿도록 접지 봉을 지중으로 밀어 넣는 접지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Existing grounding methods include copper plate grounding method in which copper plate is embedded to a certain depth, copper plate is insert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n the ground resistance reduction agent is applied. Type using electric hammer, which is connected to the required length and grounding method, so that the grounding resistance reducing agent penetrates to the end of the grounding rod. Excavation is carried out using an excavator, and then one or two prepared grounding rods are connected and reduced. Grounding method for introducing the agent and grounding method for connecting the weight with the ground reducing agent passage to the bottom of the grounding rod to push the grounding rod into the ground to reach the surface of the groundwater.
또한, 내부에 나동선을 관통시키고 겔상태의 접지저항저감제를 충전한 후, 그 양단에 각각 파이프덮개를 고정 결합하여 밀폐시킨 동파이프와, 흑연과 시멘트, 모래로 조성된 혼합물을 성형몰드에서 상기 동파이프를 감싸도록 성형시킨 성형몸체와, 상기 파이프덮개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나동선의 양단에 각각 고정 결합시킨 연결터미널로 구성되는 접지장치를 비롯하여, 땅속에 매설되어 낙뢰와 같은 서지전압을 대지로 확산시키도록 설치되는 접지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볼트축과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하되, 상기 볼트축에 간격유지관을 끼워 서로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동메시바와, 상기 동메시바의 양단측에 각각 나동선에 의해 연 결 설치되는 연결어댑터로 구성되는 접지장치와 같은 다양한 접지장치가 제공된 바 있다.In addition, after penetrating a bare copper wire inside and filling a ground resistance reducing agent in a gel state, a copper pipe and a mixture composed of graphite, cement, and sand, each of which is sealed by fixing a pipe cover at both ends thereof, are formed in the molding mold. A grounding device composed of a molded body formed to surround a copper pipe and a connecting terminal fixed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are wi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ipe cover, and buried in the ground to provide surge voltage such as lightning In the grounding device is installed to be spread, the plurality of bolt shafts and nuts are coupled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copper mesh bars coupled to maintain the distance between each other by inserting the gap retaining tube on the bolt shaft, both ends of the copper mesh bar Various grounding devices have been provided on the side, such as grounding devices consisting of connecting adapters each connected by a bare copper wir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접지방법은 지중에 매설된 동판이 이동될 경우 접지 저항값이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고, 암반, 토사가 많거나 산악 등지에 접지 망의 시공 및 보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접지하는 면적이 넓어져서 추가 접지를 할 수 있는 장소가 없게 되며, 접지저감제의 보충이 어려워 필요로 하는 접지저항 값을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고, 시공 면적이 규정치보다 넓어서 효과적인 낙뢰방지를 할 수가 없고, 또 굴착 작업에 과대한 노력과 경비가 소요되고, 특히 접지저항 저감제는 강 전해질을 많이 함유하는 데 넓은 시공 면적으로 인한 그 만큼 많은 접지저항 저감제가 소요되어 접지 봉을 심하게 부식시키는 등의 접지 장치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로 인해 설치 비용이 상승됨과 아울러 설치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외부에서 유입되는 과도전류의 방전이 비교적 크기가 작은 접지침들과 접지봉을 통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작은 접지 면적으로 인해 접지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접지 면적을 늘리기 위해 접지봉의 길이를 길게 하고, 상기 접지봉에 보다 많은 수의 접지침을 장착함에 따라 천공 깊이가 매우 깊어져야 함으로써, 천공작업이 어려워지는 폐단도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ground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the grounding resistance value increases when the copper plate embedded in the ground is moved, and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and repair the grounding network in rock, soil, or mountainous land. The area becomes wider, so there is no place for additional grounding,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upplement the grounding reducing agent, so that the required grounding resistance value cannot be obtained, and the construction area is larger than the prescribed value, so that effective lightning protection is not possible. In addition, the excavation work requires a great deal of effort and expense, especially the grounding resistance reducing agent contains a lot of steel electrolyte, so a lot of grounding resistance reducing agent due to the large construction area, so that the grounding rod is severely corroded. There was a problem of shortening the service life of the product, which increases the installation cost and lengthens the installation time. There. The discharge of the transient current flowing from the outside is made through the ground rods and the ground rods, which are relatively small, and the grounding efficiency decreases due to the small ground area, and the length of the ground rod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ground area, and With the large number of earthing needles, the depth of drilling had to be very deep, making the drilling difficult.
또한, 종래의 접지봉과 접지선의 연결방법이 미흡하여 과전류 또는 과전압이 흐르게 될 경우 접지선이 대지에 매설된 접지봉에서 분리되어 접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분리된 접지선을 접지봉에 재연결하기 위하여 보수작업이 시행되어야 했으며 이에 따라 유지비 상승 및 인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접지장치 및 접지봉의 내부에 충진되는 접지저감제의 구체적인 소재를 제시하지 않고, 단순히 외적인 구성만 제시함에 따라 접지장치의 소재로 인한 접지효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f the connection method between the grounding rod and the grounding wire is insufficient, and the current or overvoltage flows, the grounding wire is separated from the grounding rod embedded in the ground, and the grounding is not performed properly. Therefore, maintenance work is performed to reconnect the separated grounding wire to the grounding rod. As a resul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maintenance cost was increased and manpower was consumed, and the grounding efficiency due to the material of the grounding device was not presented by merely presenting an external configuration, without presenting the concrete material of the grounding device and the grounding reducer filled in the grounding rod.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be expected to improve.
본 발명 접지장치는 상기와 종래 접지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접지장치의 개별적인 접지 넓이 및 효율을 높여 적은 수의 접지장치로도 보다 넓은 면적의 효율적인 접지가 가능토록 하고, 접지 면적에 해당하는 접지장치의 설치 개수를 줄여 설치 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보다 간편하게 시공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과전류 또는 과전압이 흐르게 될 경우에도 접지선이 대지에 매설된 접지봉에서 분리되지 않고 견고히 유지되어 분리된 접지선을 접지봉에 재연결하기 위한 보수작업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고, 접지장치의 구체적인 소재를 제시하여, 접지장치의 소재로 인한 접지효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접지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groun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above and the conventional grounding device, and to increase the individual grounding area and efficiency of the grounding device to enable efficient grounding of a larger area even with a small number of grounding devices, and corresponds to the grounding area. This reduces the installation cost by reducing the number of installations of the grounding device, and makes it easier to perform the construction work.The grounding wire is not separated from the ground rod embedded in the ground even when overcurrent or overvoltage flow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ounding device capable of eliminating the maintenance work for reconnection to the grounding rod, and by presenting a specific material of the grounding device so that an improvement in the grounding efficiency due to the material of the grounding device can be expect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접지장치는 접지선과 연결되어 고주파 및 저주파 과도전류를 접지하기 위해 대지에 매설되는 접지장치에 있어서, 상단과 하단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중공파이프의 형상으로 상단의 일측면에 타공된 형태의 공기순환구와, 하단의 일측면에 타공된 형태의 배수구를 구비하는 접지봉, 상기 접지봉 내부에 충진되는 접지저감제, 원뿔의 형태로 상기 접지봉의 외면에 일개 이상 부착하여 구비되는 방사침, 원판의 형상으로 상기 접지봉의 외주연에 삽입 부착되는 방사판, 상기 접지봉의 상단과 하단의 개구부를 밀봉하도록 구비되는 커버, 접지선의 일단부를 접지봉의 외주연에 용접하여 구비되는 용접부로 구성되는 접지장치를 제공한다.The groun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 the grounding device connected to the ground wire and embedded in the ground to ground the high frequency and low frequency transient current, the top and bottom of the hollow pipe having an opening in the shape of the top A ground rod having a perforated air circulation hole on one side, and a drain hole of a perforated shape on one side of the bottom, a ground reducing agent filled in the ground rod, and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ground rod in the form of a cone Radiating needle which is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ground rod in the shape of a circular plate, a cover provided to seal the opening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ground rod, a welding portion provided by welding one end of the ground wire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ground rod Provides a grounding device configured.
또한, 상단과 하단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중공파이프의 형상으로 상단의 일측면에 타공된 형태의 공기순환구와, 하단의 일측면에 타공된 형태의 배수구를 구비하는 접지봉, 상기 접지봉 내부에 충진되는 접지저감제, 원뿔의 형태로 상기 접지봉 외면에 일개 이상 부착하여 구비되는 방사침, 원판의 형상으로 상기 접지선에 삽입 부착되는 방사판, 상기 접지봉의 상단과 하단의 개구부를 밀봉하도록 구비되는 커버, 접지선의 일단부를 접지봉의 외주연에 용접하여 구비되는 용접부로 구성되는 접지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ground rod having an air circulation port of the form perforated on one side of the top and the drain hole of the form perforated on one side of the bottom in the shape of a hollow pipe having an opening at the top and bottom, the ground filled in the ground rod A radiation needle provided with one or more attachment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ground rod in the form of a reducing agent, a cone, a radiation plate inserted into the ground line in the shape of a disc, a cover provided to seal the openings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ground rod, and the ground wire. It provides a grounding device consisting of a welded portion provided by welding one en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ground rod.
또한, 상단과 하단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중공파이프의 형상으로 상단의 일측면에 타공된 형태의 공기순환구와, 하단의 일측면에 타공된 형태의 배수구를 구비하는 접지봉, 상기 접지봉 내부에 충진되는 접지저감제, 원뿔의 형태로 상기 접지봉의 외면에 일개 이상 부착되는 방사침, 상기 접지봉의 상단과 하단의 개구부를 밀봉하도록 구비되는 커버, 상기 접지봉의 상단에 부착되는 막대형상의 보조봉, 원판의 형상으로 상기 보조봉의 외주연에 삽입 부착되는 방사판, 접지선의 일단부를 보조봉의 외주연에 용접하여 구비되는 용접부로 이루어지는 접지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ground rod having an air circulation port of the form perforated on one side of the top and the drain hole of the form perforated on one side of the bottom in the shape of a hollow pipe having an opening at the top and bottom, the ground filled in the ground rod Reducing agent, one or more spinning needle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ground rod in the form of a cone, a cover provided to seal the opening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ground rod, a rod-shaped auxiliary rod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ground rod, the shape of the disc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rounding device including a radiating plate inserted into and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auxiliary rod, and a welding part provided by welding one end of the ground wire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auxiliary rod.
또한, 상기 접지봉은 접지선의 용접되지 않은 자유단부를 접지봉의 외주연에 고정하기 위해 U자형볼트를 구비하고, 너트와 체결하여 접지선을 접지봉에 고정하는 접지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ground rod is provided with a U-shaped bolt to fix the non-welded free end of the ground wire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ground rod, and provides a grounding device for fastening the ground wire to the ground rod by fastening with a nut.
또한, 상기 접지봉은 밴드의 형상으로 상기 접지봉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고정밴드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밴드의 외면에 방사침을 부착하는 접지장치를 제공한 다.In addition, the ground rod is provided with a fixing ban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ground rod in the shape of a band, and provides a grounding device for attaching a radiating needl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band.
또한, 상기 방사침과 고정밴드는 구리와 주석의 합금재질로 구비되는 접지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pinning needle and the fixing band provides a grounding device provided with an alloy material of copper and tin.
또한, 상기 접지선, 접지봉, 방사침, 방사판, 커버, 용접부, 고정밴드, 보조봉은 구리로 구비되는 접지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ground wire, ground rod, spinning needle, spinning plate, cover, welded portion, fixing band, auxiliary rods are provided with a grounding device is provided with copper.
본 발명 접지장치는 접지장치의 개별적인 접지 넓이 및 효율을 높여 적은 수의 접지장치로도 보다 넓은 면적의 효율적인 접지가 가능토록 하고, 접지 면적에 해당하는 접지장치의 설치 개수를 줄여 설치 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보다 간편하게 시공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접지봉과 접지선이 용접결합됨에 따라 접지성능이 현저히 향상되고, 과전류 또는 과전압이 흐르게 될 경우에도 접지선이 대지에 매설된 접지봉에서 분리되지 않고 견고히 유지되어 분리된 접지선을 접지봉에 재연결하기 위한 보수작업이 시행되지 않아, 유지비 및 보수비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으며, 접지장치의 구체적인 소재를 제시하여, 접지장치의 소재로 인한 접지효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The groun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grounding efficiency and the grounding efficiency of the grounding device individually, so that a smaller number of grounding devices can be efficiently grounded. In addition to making construction easier, the grounding performance is greatly improved by the welding of the ground rod and the ground wire, and even when an overcurrent or overvoltage flows, the ground wire is not detached from the ground rod embedded in the ground, The maintenance work for reconnecting the ground wire to the ground rod is not carried out, which can significantly reduce maintenance and repair costs. By presenting the specific material of the grounding device,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improvement of the grounding efficiency due to the material of the grounding device. It is a useful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 접지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groun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more detail.
도 1은 본 발명 접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U자형 볼트가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a는 방사판이 접지선에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방사판이 접지선에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a는 본 발명 접지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 접지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groun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U-shaped bolts are fastened, 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adiation plate attached to the ground wire, Figure 3b is a radiation plate 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groun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groun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t is sectional drawing A-A 'of FIG.
본 발명 접지방치는 접지선(1)과 연결되어 고주파 및 저주파 과도전류를 접지하기 위해 대지에 매설되는 접지장치에 있어서, 상단과 하단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중공파이프의 형상으로 상단의 일측면에 타공된 형태의 공기순환구(11)와, 하단의 일측면에 타공된 형태의 배수구(12)를 구비하는 접지봉(10), 상기 접지봉(10) 내부에 충진되는 접지저감제(20), 원뿔의 형태로 상기 접지봉(10)의 외면에 일개 이상 부착하여 구비되는 방사침(30), 원판의 형상으로 상기 접지봉(10)의 외주연에 삽입 부착되는 방사판(40), 상기 접지봉(10)의 상단과 하단의 개구부를 밀봉하도록 구비되는 커버(50), 접지선(1)의 일단부를 접지봉(10)의 외주연에 용접하여 구비되는 용접부(6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The groun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ground wire (1) in the grounding device embedded in the ground for grounding the high frequency and low frequency transient current, in the shape of a hollow pipe having an opening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perforated on one side of the top
접지봉(10)은 상단과 하단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중공파이프의 형상으로 상단의 일측면에 타공된 형태의 공기순환구(11)와, 하단의 일측면에 타공된 형태의 배수구(12)를 구비한다.The
개구부는 접지봉(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에 접지저감제(20)를 충진하는 출입구 역할을 하기 위한 구성으로 외부와 입출이 용이하도록 개통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pening is preferably provided in a shape that is opened to facilitate entry and exit from the outside as a configuration for serving as a doorway for filling the
공기순환구(11)는 접지봉(10) 내부에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접지봉(10)의 상단에 타공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배수 구(12)는 접지봉(10)의 하단에 타공된 형태로 입출이 용이하도록 구비되어 접지봉(10) 내부에 수분을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접지저감제(20)는 상기 접지봉(10) 내부에 충진되는 구성으로, 수분 흡수 및 능력이 우수하여 접지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는 능력을 구비한 벤토나이트(bentinite) 또는 제올라이트(zeolite) 및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등과, 상기 재료와 혼합되는 결합제 및 응결제와 같은 혼합제로 이루어진 다양한 접지저감제(20)를 사용할 수 있음을 분명히 밝혀두는 바이고, 본 발명에 따른 접지저감제(20)는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이 우수하고, 흡수한 수분에 의해 팽창되어 수분을 저장할 수 있는 능력이 우수하며, 상기와 같이 흡수된 수분에 의해 전기적으로 훌륭한 도체로 전환되어 유입된 전기적 충격을 완충할 수 있고, 흡수된 수분에 의해 접착성을 구비한 겔(gel)을 형성하여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며, 장시간 수분을 함유함으로 인해 안정적인 접지저항 수치를 유지할 수 있고, 접지전극에 공극형성으로 인한 부식이나 전식을 방지할 수 있고, 이물질의 침입에 의한 접지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능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환경적으로도 안정적이어서 접지저감제(20) 자체의 구성으로 인한 토양오염을 유발하지 아니하고, 접지시공이 완료된 후에도 시간변화에 따른 접지성능의 저하를 우려하지 않도록 한다.Grounding reducing
방사침(30)은 원뿔의 형태로 상기 접지봉(10)의 외면에 일개 이상 부착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접지봉(10)에 유입된 과도전류를 방전시키는 역할을 하고, 유입된 과도전류가 신속 정확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끝단부가 날카로운 원뿔 또는 다 양한 각뿔 및 침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밖에도 끝단부가 날카롭게 가공된 다양한 형태의 방사침(30)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방사침(30)은 고정봉의 외주연 뿐 아니라, 고정봉의 하단에 구비되는 커버(50)에 부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일반적으로는 원뿔형의 방사침(30)의 표면에 또 다른 원뿔형의 방사침(30)을 부착하여 구성되며, 부착의 방법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특히 용접하여 부착시킬 수 있다.The
또한, 상기 방사침(30)이 뾰족하게 형성되는 이유는 낙뢰나 서지는 접지장치에 유입하였을 경우 특성상 표면적이 좁은 부분으로 집중되어 방전되는 성질이 있기 때문이며, 다수개의 방전침을 부착하여 가능한 많은 방전경로를 제공하고 유입된 서지전압이 신속히 유출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방사판(40)은 원판의 형상으로 상기 접지봉(10)의 외주연에 삽입 부착되는 구성으로, 원형 뿐 아니라 장방형을 비롯한 박판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설치 환경 및 접지 용도 및 성능에 따라서 그 크기 및 형상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접지봉(10)으로 유입된 서지전압이 접지봉(10)의 방사침(30) 뿐 아니라 방사판(40)을 통해 빠져나가 접지성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비된다.The
또한, 방사판(40)은 접지봉(10)의 외주연에 삽입된 후, 접지봉(10)과 방사판(40)의 이음부위를 용접 등과 같은 연결방법을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으며, 상기 방사판(40)의 테두리는 유입된 전류가 쉽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날카롭게 가공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방사침(30)을 방사판(40)의 테두리에 부착하여 접지성능 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커버(50)는 상기 접지봉(10)의 상단과 하단의 개구부를 밀봉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개구부에 접지저감제(20)를 충진한 후 개구부를 봉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과 방법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지봉(10)의 내부에 충진된 접지저감제(2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음과 함께 외부의 이물질이 접지봉(10)의 내부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기위한 구성이다.The
용접부(60)는 접지선(1)의 일단부를 접지봉(10)의 외주연에 용접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용접방법은 접지선(1)과 접지봉(10)이 과전류 및 과전압의 유입에도 쉽게 분리되지 않고 부착된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시행딜 수 있음을 분명히 밝혀두는 바이다.The
상기와 같이 접지선(1)과 접지봉(10)을 용접결합하는 이유는 접지선(1)과 접지봉(10)을 기계적인 결합방법으로 결합시킬 경우 접촉저항이 발생하게 되고, 외부에서 대용량의 낙롸 또는 서지전압이 발생하였을 경우 접지선(1)과 접지봉(10)의 연결부위가 과열로 파손될 수 있으며, 파손된 부위에 이물질이 침투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며, 용접결합을 할 경우에는 용융하여 부착된 접지선(1)과 접지봉(10)가 일체화되어 접합부위가 견고하고, 과열에 의한 파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전도성이 우수하고 접촉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접지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The reason for welding the
또한, 상기 접지봉(10)은 접지선(1)의 용접되지 않은 자유단부를 접지봉(10)의 외주연에 고정하기 위해 U자형볼트(70)를 구비하고, 너트와 체결하여 접지선(1)을 접지봉(10)에 고정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접지선(1)은 접지봉(10)의 외주연에 용접결합하여 견고하게 고정되었으나, 접지장치를 시공하거나 이동할 때와 같이 접지선(1)과 접지봉(10)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는 용접부(60)가 외력에 의해 손상될 수 있고, 접지봉(10)의 하중에 의해 접지선(1)에서 접지봉(10)이 분리될 우려가 있으므로 접지봉(10)의 상단에 U자형볼트(70)를 구비하여 접지선(1)을 접지봉(10)에 재차 고정하는 것이며, U자형볼트(70) 외에 또 다른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접지선(1)과 접지봉(10)을 고정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상기 접지봉(10)은 밴드의 형상으로 상기 접지봉(1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고정밴드(80)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밴드(80)의 외면에 방사침(30)을 부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고정밴드(80)는 밴드의 형상으로 상기 접지봉(1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일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지봉(10)의 중간에 끼워진 링 형태의 고정밴드(80)가 이탈되거나 이동하지 않도록 나사 또는 용접 및 고정밴드(80)가 고정봉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견고히 부착하고, 설치 환경 및 접지 용도 및 성능에 따라서 일개 이상 구비할 수 있으며, 이때 방사침(30)은 상기 고정밴드(80)의 외주연에 일개 이상 부착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xing
또한, 상기 방사침(30)과 고정밴드(80)는 구리와 주석의 합금재질로 구비된다.In addition, the spinning
구리와 주석의 합금은 청동(靑銅, bronze)이라 하며, 구리합금 중에서 가장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왔던 구리와 주석의 합금으로 어느 양까지는 주석이 구리의 결정격자 속에 균일하게 녹아 있는 고용체로 되어 있으며, 구리의 우수한 전연성을 크게 손상시키지 않고 강화되어 있는데, 구리의 성질인 높은 전기전도도와 열전도도를 보유하면서 주석의 첨가하여 외력에 견디는 강도의 세기를 현저히 증가시켜, 방사친과 고정밴드(80)의 형상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가공이 용이하도록 하며,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열처리가 시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alloy of copper and tin is called bronze. It is the alloy of copper and tin that has been used for the longest time among the copper alloys. To some extent, tin is a solid solution in which copper is uniformly dissolved in the crystal lattice of copper. It is strengthened without impairing the excellent malleability of copper, and it has a high electrical and thermal conductivity, which is a property of copper.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shape can be firmly fixed, easy to process, and heat treatment can be performed to increase the strength.
또한, 상기 접지선(1), 접지봉(10), 방사침(30), 방사판(40), 커버(50), 용접부(60), 고정밴드(80)는 구리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구리(copper)는 적색 광택을 가진 금속으로, 전연성이 뛰어나 비교적 가공하기가 쉽고 적당한 강도도 가지고 있으며, 열 및 전기전도율은 은 다음으로 금속 중에서 두 번째로 커서 전선이나 열선의 주재료로 쓰이며, 그 자체로도 널리 이용되지만 아연을 첨가한 황동, 주석을 첨가한 청동, 주석과 알루미늄을 첨가한 알루미늄청동 등 합금으로도 많이 쓰인다. 특히 구리선은 높은 전도성이 있어 전선에 많이 쓰이며, 일반적으로 접지선(1)이 동선으로 형성되므로 접지선(1)과 같은 소재로 형성되어 전위차가 있는 금속간에 발생할 수 있는 부식을 예방하고, 접지선(1)의 서지전압이 보다 신속하게 유입되고 방사침(30)으로 이동하여 접지성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구리를 사용하여 접지선(1), 접지봉(10), 방사침(30), 방사판(40), 커버(50), 용접부(60), 고정밴드(80)를 형성하는 것이다.Copper is a metal with red luster. It has excellent malleability and is relatively easy to process and has moderate strength. It is the second largest among metals after heat and is used as the main material of electric wires or heating wires. It is also widely used as an alloy, such as brass with zinc, bronze with tin, and aluminum bronze with tin and aluminum. In particular, copper wire has high conductivity and is widely used for wires. In general, since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접지장치의 작용과 그에 따른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groun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effects thereof in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의 접지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접지하고자 하는 위치에 접지장치 를 매설할 공간을 천공하여 형성하되 방사판(40)이 접지봉(10)과 고정되어져 있는 상태이므로 방사판(40)이 매설될 수 있도록 방사판(40)의 넓이보다 크게 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install the groun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a perforated space for embedding the grounding device in the position to be grounded because the
또한, 접지하고자 하는 접지면적 또는 접지하고자하는 건축물의 크기, 작업여건, 통신장비 등과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방사판(40)을 비롯한 접지장치의 크기를 용도에 맞게 탄력적으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such as the ground area to be grounded or the size of the building to be grounded, work conditions, communication equipment, etc., it is preferable to make and use the size of the grounding device including the radiating
본 발명 접지장치와 같이 방사판(40)이 접지봉(10)과 일체로 형성된 경우, 유입된 낙롸 및 서지전압이 방사판(40)과 접지봉(10)으로 동시에 방전되어 접지효율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으며, 종래보다 적은 양의 접지장치를 사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접지를 시행할 수 있어 접지장치의 제작비용을 비롯하여 설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일체로 구비된 접지방치를 천공하고 매설하여 설치가 완료되므로 작업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시공시간을 획기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When the radiating
상기와 같이 본 발명 접지장치가 지중에 매설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과도전류가 유입되면, 접지선(1)을 통해 방사침(30)과 방사판(40)을 통해 토양으로 방전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과도전류가 고주파일 경우 방사침(30)으로 전류가 집중되어 급속히 방전이 이루어지며, 과도전류가 저주파일 경우 방사판(40) 및 접지봉(10)을 통해 토양으로 방전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when a transient current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while the groun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uried in the ground, the ground is discharged into the soil through the
본 발명 접지장치는 접지선(1)과 연결되어 고주파 및 저주파 과도전류를 접지하기 위해 대지에 매설되는 접지장치에 있어서, 상단과 하단에 개구부를 구비하 는 중공파이프의 형상으로 상단의 일측면에 타공된 형태의 공기순환구(111)와, 하단의 일측면에 타공된 형태의 배수구(112)를 구비하는 접지봉(110), 상기 접지봉(110) 내부에 충진되는 접지저감제(120), 원뿔의 형태로 상기 접지봉(110) 외면에 일개 이상 부착하여 구비되는 방사침(130), 원판의 형상으로 상기 접지선(1)에 삽입 부착되는 방사판(140), 상기 접지봉(110)의 상단과 하단의 개구부를 밀봉하도록 구비되는 커버(150), 접지선(1)의 일단부를 접지봉(110)의 외주연에 용접하여 구비되는 용접부(16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The groun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ground wire (1) in the grounding device embedded in the ground to ground the high frequency and low frequency transient current, the perforated on one side of the top in the shape of a hollow pipe having an opening on the top and
접지봉(110)은 상단과 하단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중공파이프의 형상으로 상단의 일측면에 타공된 형태의 공기순환구(111)와, 하단의 일측면에 타공된 형태의 배수구(112)를 구비한다.The grounding
개구부는 접지봉(1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에 접지저감제(120)를 충진하는 출입구 역할을 하기 위한 구성으로 외부와 입출이 용이하도록 개통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pening is preferably provided in a shape that is opened to facilitate entry and exit from the outside as a configuration for serving as a doorway for filling the
공기순환구(111)는 접지봉(110) 내부에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접지봉(110)의 상단에 타공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배수구(112)는 접지봉(110)의 하단에 타공된 형태로 입출이 용이하도록 구비되어 접지봉(110) 내부에 수분을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Air circulation port 111 is preferably provided in a perforated form on the top of the
접지저감제(120)는 상기 접지봉(110) 내부에 충진되는 구성으로,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이 우수하고, 흡수한 수분에 의해 팽창되어 수분을 저장할 수 있는 능력이 우수하며, 상기와 같이 흡수된 수분에 의해 전기적으로 훌륭한 도체로 전환되어 유입된 전기적 충격을 완충할 수 있고, 흡수된 수분에 의해 접착성을 구비한 겔(gel)을 형성하여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며, 장시간 수분을 함유함으로 인해 안정적인 접지저항 수치를 유지할 수 있고, 접지전극에 공극형성으로 인한 부식이나 전식을 방지할 수 있고, 이물질의 침입에 의한 접지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능력을 구비하는 다양한 소재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환경적으로도 안정적이어서 접지저감제(120) 자체의 구성으로 인한 토양오염을 유발하지 아니하고, 접지시공이 완료된 후에도 시간변화에 따른 접지성능의 저하를 우려하지 않도록 한다.Grounding reducing
방사침(130)은 원뿔의 형태로 상기 접지봉(110)의 외면에 일개 이상 부착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접지봉(110)에 유입된 과도전류를 방전시키는 역할을 하고, 유입된 과도전류가 신속 정확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끝단부가 날카로운 원뿔 또는 다양한 각뿔 및 침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밖에도 끝단부가 날카롭게 가공된 다양한 형태의 방사침(130)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방사침(130)은 고정봉의 외주연 뿐 아니라, 고정봉의 하단에 구비되는 커버(150)에 부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일반적으로는 원뿔형의 방사침(130)의 표면에 또 다른 원뿔형의 방사침(130)을 부착하여 구성되며, 부착의 방법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특히 용접하여 부착시킬 수 있다.The
또한, 상기 방사침(130)이 뾰족하게 형성되는 이유는 낙뢰나 서지는 접지장치에 유입하였을 경우 특성상 표면적이 좁은 부분으로 집중되어 방전되는 성질이 있기 때문이며, 다수개의 방전침을 부착하여 가능한 많은 방전경로를 제공하고 유 입된 서지전압이 신속히 유출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방사판(140)은 원판의 형상으로 상기 접지선(1)에 삽입 부착되는 구성으로, 원형 뿐 아니라 장방형을 비롯한 박판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설치 환경 및 접지 용도 및 성능에 따라서 그 크기 및 형상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접지선(1)으로 유입된 서지전압이 접지봉(110)의 방사침(130) 뿐 아니라 방사판(140)을 통해 빠져나가 접지성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비된다.The
또한, 방사판(140)은 접지선(1)에 삽입된 후, 접지선(1)과 방사판(140)의 이음부위를 용접 등과 같은 연결방법을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으며,상기 방사판(140)의 테두리는 유입된 전류가 쉽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날카롭게 가공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방사침(130)을 방사판(140)의 테두리에 부착하여 접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접지선(1)과 방사판(140)이 직접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방사판(140)의 접지효율은 보다 향상될 수 있으며, 접지장치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커버(150)는 상기 접지봉(110)의 상단과 하단의 개구부를 밀봉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개구부에 접지저감제(120)를 충진한 후 개구부를 봉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과 방법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지봉(110)의 내부에 충진된 접지저감제(12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음과 함께 외부의 이물질이 접지봉(110)의 내부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용접부(160)는 접지선(1)의 일단부를 접지봉(110)의 외주연에 용접하여 구비 되는 것으로, 용접방법은 접지선(1)과 접지봉(110)이 과전류 및 과전압의 유입에도 쉽게 분리되지 않고 부착된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시행딜 수 있음을 분명히 밝혀두는 바이다.The
또한, 상기 접지봉(110)은 접지선(1)의 용접되지 않은 자유단부를 접지봉(110)의 외주연에 고정하기 위해 U자형볼트(170)를 구비하고, 너트와 체결하여 접지선(1)을 접지봉(110)에 고정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접지선(1)은 접지봉(110)의 외주연에 용접결합하여 견고하게 고정되었으나, 접지장치를 시공하거나 이동할 때와 같이 접지선(1)과 접지봉(110)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는 용접부(160)가 외력에 의해 손상될 수 있고, 접지봉(110)의 하중에 의해 접지선(1)에서 접지봉(110)이 분리될 우려가 있으므로 접지봉(110)의 상단에 U자형볼트(170)를 구비하여 접지선(1)을 접지봉(110)에 재차 고정하는 것이며, U자형볼트(170) 외에 또 다른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접지선(1)과 접지봉(110)을 고정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상기 접지봉(110)은 밴드의 형상으로 상기 접지봉(11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고정밴드(180)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밴드(180)의 외면에 방사침(130)을 부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고정밴드(180)는 밴드의 형상으로 상기 접지봉(11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일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지봉(110)의 중간에 끼워진 링 형태의 고정밴드(180)가 이탈되거나 이동하지 않도록 나사 또는 용접 및 고정밴드(180)가 고정봉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견고히 부착하고, 설치 환경 및 접 지 용도 및 성능에 따라서 일개 이상 구비할 수 있으며, 이때 방사침(130)은 상기 고정밴드(180)의 외주연에 일개 이상 부착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xing
또한, 상기 방사침(130)과 고정밴드(180)는 구리와 주석의 합금재질로 구비된다.In addition, the spinning
구리와 주석의 합금은 청동(靑銅, bronze)이라 하며, 구리합금 중에서 가장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왔던 구리와 주석의 합금으로 어느 양까지는 주석이 구리의 결정격자 속에 균일하게 녹아 있는 고용체로 되어 있으며, 구리의 우수한 전연성을 크게 손상시키지 않고 강화되어 있는데, 구리의 성질인 높은 전기전도도와 열전도도를 보유하면서 주석의 첨가하여 외력에 견디는 강도의 세기를 현저히 증가시켜, 방사친과 고정밴드(180)의 형상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가공이 용이하도록 하며,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열처리가 시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alloy of copper and tin is called bronze. It is the alloy of copper and tin that has been used for the longest time among the copper alloys. To some extent, tin is a solid solution in which copper is uniformly dissolved in the crystal lattice of copper. It is strengthened without impairing the excellent malleability of copper, and it has a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hermal conductivity, which is a property of copper.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shape can be firmly fixed, easy to process, and heat treatment can be performed to increase the strength.
또한, 상기 접지선(1), 접지봉(110), 방사침(130), 방사판(140), 커버(150), 용접부(160), 고정밴드(180)는 구리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구리(copper)는 적색 광택을 가진 금속으로, 전연성이 뛰어나 비교적 가공하기가 쉽고 적당한 강도도 가지고 있으며, 열 및 전기전도율은 은 다음으로 금속 중에서 두 번째로 커서 전선이나 열선의 주재료로 쓰이며, 그 자체로도 널리 이용되지만 아연을 첨가한 황동, 주석을 첨가한 청동, 주석과 알루미늄을 첨가한 알루미늄청동 등 합금으로도 많이 쓰인다. 특히 구리선은 높은 전도성이 있어 전선에 많이 쓰이며, 일반적으로 접지선(1)이 동선으로 형성되므로 접지선(1)과 같은 소재로 형성되어 전위차가 있는 금속간에 발생할 수 있는 부식을 예방하고, 접지선(1)의 서지전압이 보다 신속하게 유입되고 방사침(130)으로 이동하여 접지성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구리를 사용하여 접지선(1), 접지봉(110), 방사침(130), 방사판(140), 커버(150), 용접부(160), 고정밴드(180)를 형성하는 것이다.Copper is a metal with red luster. It has excellent malleability and is relatively easy to process and has moderate strength. It is the second largest among metals after heat and is used as the main material of electric wires or heating wires. It is also widely used as an alloy, such as brass with zinc, bronze with tin, and aluminum bronze with tin and aluminum. In particular, copper wire has high conductivity and is widely used for wires. In general, since the
본 발명 접지장치는 접지선(1)과 연결되어 고주파 및 저주파 과도전류를 접지하기 위해 대지에 매설되는 접지장치에 있어서, 상단과 하단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중공파이프의 형상으로 상단의 일측면에 타공된 형태의 공기순환구(911)와, 하단의 일측면에 타공된 형태의 배수구(912)를 구비하는 접지봉(910), 상기 접지봉(910) 내부에 충진되는 접지저감제(920), 원뿔의 형태로 상기 접지봉(910)의 외면에 일개 이상 부착되는 방사침(930), 상기 접지봉(100)의 상단과 하단의 개구부를 밀봉하도록 구비되는 커버(950), 상기 접지봉(910)의 상단에 부착되는 막대형상의 보조봉(990), 원판의 형상으로 상기 보조봉(990)의 외주연에 삽입 부착되는 방사판(940), 접지선(1)의 일단부를 보조봉(990)의 외주연에 용접하여 구비되는 용접부(960)로 구성된다.The groun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ground wire (1) in the grounding device embedded in the ground for grounding the high frequency and low frequency transient current, in the shape of a hollow pipe having an opening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perforated on one side of the top A
접지봉(910)은 상단과 하단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중공파이프의 형상으로 상단의 일측면에 타공된 형태의 공기순환구(911)와, 하단의 일측면에 타공된 형태의 배수구(912)를 구비한다.The grounding
개구부는 접지봉(9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에 접지저감제(920)를 충진하는 출입구 역할을 하기 위한 구성으로 외부와 입출이 용이하도록 개통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pening is preferably provided in a shape that is opened to facilitate entry and exit from the outside as a configuration for serving as an entrance to fill the
공기순환구(911)는 접지봉(910) 내부에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접지봉(910)의 상단에 타공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배수구(912)는 접지봉(910)의 하단에 타공된 형태로 입출이 용이하도록 구비되어 접지봉(910) 내부에 수분을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The
접지저감제(920)는 상기 접지봉(910) 내부에 충진되는 구성으로, 수분 흡수 및 능력이 우수하여 접지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는 능력을 구비한 벤토나이트(bentinite) 또는 제올라이트(zeolite) 및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등과, 상기 재료와 혼합되는 결합제 및 응결제와 같은 혼합제로 이루어진 다양한 접지저감제(920)를 사용할 수 있음을 분명히 밝혀두는 바이고, 본 발명에 따른 접지저감제(920)는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이 우수하고, 흡수한 수분에 의해 팽창되어 수분을 저장할 수 있는 능력이 우수하며, 상기와 같이 흡수된 수분에 의해 전기적으로 훌륭한 도체로 전환되어 유입된 전기적 충격을 완충할 수 있고, 흡수된 수분에 의해 접착성을 구비한 겔(gel)을 형성하여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며, 장시간 수분을 함유함으로 인해 안정적인 접지저항 수치를 유지할 수 있고, 접지전극에 공극형성으로 인한 부식이나 전식을 방지할 수 있고, 이물질의 침입에 의한 접지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능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환경적으로도 안정적이어서 접지저감제(920) 자체의 구성으로 인한 토양오염을 유발하지 아니하고, 접지시공이 완료된 후에도 시간변화에 따른 접지성능의 저하를 우려하지 않도록 한다.
방사침(930)은 원뿔의 형태로 상기 접지봉(910)의 외면에 일개 이상 부착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접지봉(910)에 유입된 과도전류를 방전시키는 역할을 하고, 유입된 과도전류가 신속 정확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끝단부가 날카로운 원뿔 또는 다양한 각뿔 및 침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밖에도 끝단부가 날카롭게 가공된 다양한 형태의 방사침(930)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방사침(930)은 고정봉의 외주연 뿐 아니라, 고정봉의 하단에 구비되는 커버(950)에 부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일반적으로는 원뿔형의 방사침(930)의 표면에 또 다른 원뿔형의 방사침(930)을 부착하여 구성되며, 부착의 방법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특히 용접하여 부착시킬 수 있다.The radiating
또한, 상기 방사침(930)이 뾰족하게 형성되는 이유는 낙뢰나 서지는 접지장치에 유입하였을 경우 특성상 표면적이 좁은 부분으로 집중되어 방전되는 성질이 있기 때문이며, 다수개의 방전침을 부착하여 가능한 많은 방전경로를 제공하고 유입된 서지전압이 신속히 유출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reason why the
커버(950)는 상기 접지봉(910)의 상단과 하단의 개구부를 밀봉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개구부에 접지저감제(920)를 충진한 후 개구부를 봉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과 방법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지봉(910)의 내부에 충진된 접지저감제(92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음과 함께 외부의 이물질이 접지봉(910)의 내부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보조봉(990)은 상기 접지봉(910)의 상단에 부착되는 구성으로, 상기 보조봉(990)은 접지봉(910)과 용접결합하여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접지봉(910)과 보조봉(990)이 견고히 부착되고 보조봉(990)으로 유입된 과전류 및 과전압이 접지봉(910)에 효과적으로 전달되고 부착된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범 위내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부착할 수 있음을 분명히 밝혀두는 바이다. The
방사판(940)은 원판의 형상으로 상기 보조봉(990)의 외주연에 삽입 부착되는 구성으로, 원형 뿐 아니라 장방형을 비롯한 박판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설치 환경 및 접지 용도 및 성능에 따라서 그 크기 및 형상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보조봉(990)으로 유입된 서지전압 중에 방사침(930)을 통해 빼져나가지 못한 잔류전압이 접지봉(910)의 상단으로 역류할 경우 접지봉(910)과 연결된 보조봉(990)의 외주연에 부착된 방사판(940)의 테두리로 빠져나가도록 하기 위해 구비된다.The radiating
또한, 방사판(940)은 보조봉(990)의 외주연에 삽입된 후, 보조봉(990)과 방사판(940)의 이음부위를 용접 등과 같은 연결방법을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으며, 상기 방사판(940)의 테두리는 유입된 전류가 쉽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날카롭게 가공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방사침(930)을 방사판(940)의 테두리에 부착하여 접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용접부(960)는 접지선(1)의 일단부를 보조봉(990)의 외주연에 용접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용접방법은 접지선(1)과 보조봉(990)이 과전류 및 과전압의 유입에도 쉽게 분리되지 않고 부착된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시행딜 수 있음을 분명히 밝혀두는 바이다.The
상기와 같이 접지선(1)과 보조봉(990)을 용접결합하는 이유는 접지선(1)과 보조봉(990)을 기계적인 결합방법으로 결합시킬 경우 접촉저항이 발생하게 되고, 외부에서 대용량의 낙뢰 또는 서지전압이 발생하였을 경우 접지선(1)과 보조 봉(990)의 연결부위가 과열로 파손될 수 있으며, 파손된 부위에 이물질이 침투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며, 용접결합을 할 경우에는 용융하여 부착된 접지선(1)과 보조봉(990)이 일체화되어 접합부위가 견고하고, 과열에 의한 파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전도성이 우수하고 접촉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접지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The reason for welding the
또한, 상기 보조봉(990)은 접지선(1)의 용접되지 않은 자유단부를 보조봉(990)의 외주연에 고정하기 위해 U자형볼트(970)를 구비하고, 너트와 체결하여 접지선(1)을 보조봉(990)에 고정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접지선(1)은 보조봉(990)의 외주연에 용접결합하여 견고하게 고정되었으나, 접지장치를 시공하거나 이동할 때와 같이 접지선(1)과 보조봉(990)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는 용접부(960)가 외력에 의해 손상될 수 있고, 보조봉(990)과 접지봉(910)의 하중에 의해 접지선(1)에서 보조봉(990)이 분리될 우려가 있으므로 보조봉(990)의 상단에 U자형볼트(970)를 구비하여 접지선(1)을 보조봉(990)에 재차 고정하는 것이며, U자형볼트(970) 외에 또 다른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접지선(1)과 보조봉(990)을 고정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상기 접지봉(910)은 밴드의 형상으로 상기 접지봉(91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고정밴드(980)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밴드(980)의 외면에 방사침(930)을 부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고정밴드(980)는 밴드의 형상으로 상기 접지봉(91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일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지봉(910)의 중간에 끼워진 링 형태의 고정 밴드(980)가 이탈되거나 이동하지 않도록 나사 또는 용접 및 고정밴드(980)가 고정봉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견고히 부착하고, 설치 환경 및 접지 용도 및 성능에 따라서 일개 이상 구비할 수 있으며, 이때 방사침(930)은 상기 고정밴드(980)의 외주연에 일개 이상 부착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xing
또한, 상기 방사침(930)과 고정밴드(980)는 구리와 주석의 합금재질로 구비된다.In addition, the spinning
구리와 주석의 합금은 청동(靑銅, bronze)이라 하며, 구리합금 중에서 가장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왔던 구리와 주석의 합금으로 어느 양까지는 주석이 구리의 결정격자 속에 균일하게 녹아 있는 고용체로 되어 있으며, 구리의 우수한 전연성을 크게 손상시키지 않고 강화되어 있는데, 구리의 성질인 높은 전기전도도와 열전도도를 보유하면서 주석의 첨가하여 외력에 견디는 강도의 세기를 현저히 증가시켜, 방사친과 고정밴드(980)의 형상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가공이 용이하도록 하며,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열처리가 시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alloy of copper and tin is called bronze. It is the alloy of copper and tin that has been used for the longest time among the copper alloys. To some extent, tin is a solid solution in which copper is uniformly dissolved in the crystal lattice of copper. It has been strengthened without significantly impairing the excellent malleability of copper, and has a high electrical and thermal conductivity, which is a property of copper, and significantly increases the strength of the strength to withstand external forces by adding tin, thereby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radiated parent and the fixed
또한, 상기 접지선(1), 접지봉(910), 방사침(930), 방사판(940), 커버(950), 용접부(960), 고정밴드(980), 보조봉(990)은 구리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구리(copper)는 적색 광택을 가진 금속으로, 전연성이 뛰어나 비교적 가공하기가 쉽고 적당한 강도도 가지고 있으며, 열 및 전기전도율은 은 다음으로 금속 중에서 두 번째로 커서 전선이나 열선의 주재료로 쓰이며, 그 자체로도 널리 이용되지만 아연을 첨가한 황동, 주석을 첨가한 청동, 주석과 알루미늄을 첨가한 알루미늄청동 등 합금으로도 많이 쓰인다. 특히 구리선은 높은 전도성이 있어 전선에 많 이 쓰이며, 일반적으로 접지선(1)이 동선으로 형성되므로 접지선(1)과 같은 소재로 형성되어 전위차가 있는 금속간에 발생할 수 있는 부식을 예방하고, 접지선(1)의 서지전압이 보다 신속하게 유입되고 방사침(930)으로 이동하여 접지성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구리를 사용하여 접지선(1), 접지봉(910), 방사침(930), 방사판(940), 커버(950), 용접부(960), 고정밴드(980), 보조봉(990)을 형성하는 것이다.Copper is a metal with red luster. It has excellent malleability and is relatively easy to process and has moderate strength. It is the second largest among metals after heat and is used as the main material of electric wires or heating wires. It is also widely used as an alloy, such as brass with zinc, bronze with tin, and aluminum bronze with tin and aluminum. In particular, copper wire has high conductivity and is used for electric wires. In general, since the ground wire (1) is formed of copper wire, it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ground wire (1) to prevent corrosion between metals with potential difference, and the ground wire (1 Ground wire (1), ground rod (910), radiating needle (930), radiating plate (940) using copper to improve the grounding performance by introducing a surge voltage of ,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접지장치의 작용과 그에 따른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groun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effects thereof in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의 접지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접지하고자 하는 위치에 접지장치를 매설할 공간을 천공하여 형성하되 방사판(940)이 보조봉(990)에 부착되어져 있고, 상기 보조봉(990)은 접지봉(910)에 고정되어져 있는 상태이므로 고정봉이 매설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로 천공을 시행하여 접지봉(910)을 매설하고 방사판(940)과 보조봉(990)이 매설될 수 있도록 방사판(940)의 넓이보다 크게 천공하여 접지봉(910)과 보조봉(990)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install the groun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a perforated space for embedding the grounding device in the position to be grounded, the
또한, 접지하고자 하는 접지면적 또는 접지하고자하는 건축물의 크기, 작업여건, 통신장비 등과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방사판(940)을 비롯한 접지장치의 크기를 용도에 맞게 탄력적으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such as the ground area to be grounded or the size of the building to be grounded, work conditions, communication equipment, etc., it is preferable to make and use the size of the grounding device including the radiating
본 발명 접지장치와 같이 방사판(940)이 보조봉(990)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봉(990)은 접지봉(910)에 부착할 경우, 유입된 낙뢰 및 서지전압이 접지봉(910)으로 이동하여 방사침(930)을 통해 외부로 방전되고, 방전되지 않은 잔류전류가 역류하여 접지봉(910) 상단으로 이동할 경우 접지봉(910)에 연결된 보조 봉(990)의 외주연에 구비된 방사판(940)을 통해 2차적인 방전이 이루어져 접지효율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접지장치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grounding device,
도 2는 본 발명 U자형 볼트가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U-shaped bolts are fastened,
도 3a는 방사판이 접지선에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adiation plate is attached to the ground wire,
도 3b는 방사판이 접지선에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Figure 3b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adiation plate is attached to the ground wire,
도 4a는 본 발명 접지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groun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본 발명 접지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Figure 4b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groun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1의 A-A'선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1.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접지선1: ground wire
10, 110, 910 : 접지봉10, 110, 910: ground rod
11, 111, 911 : 공기순환구11, 111, 911: air circulation port
12, 112, 912 : 배수구12, 112, 912: drain
20, 120, 920 : 접지저감제20, 120, 920: ground reducing agent
30, 130, 930 : 방사침30, 130, 930: Spinning needle
40, 140, 940 : 방사판40, 140, 940: spin plate
50, 150, 950 : 커버50, 150, 950: Cover
60, 160, 960 : 용접부60, 160, 960: welded portion
70, 170, 970 : U자형볼트70, 170, 970: U-bolt
80, 180, 980 : 고정밴드80, 180, 980: fixed band
990 : 보조봉990: auxiliary rod
Claims (1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16392A KR20090090868A (en) | 2008-02-22 | 2008-02-22 | Earth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16392A KR20090090868A (en) | 2008-02-22 | 2008-02-22 | Earthing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90868A true KR20090090868A (en) | 2009-08-26 |
Family
ID=41208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16392A Ceased KR20090090868A (en) | 2008-02-22 | 2008-02-22 | Earth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90868A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9841B1 (en) * | 2011-11-29 | 2012-04-30 | 주식회사 엔투비 | Grounding device having projecting parts on the body and including ceramic carriers therein |
CN106684585A (en) * | 2017-01-23 | 2017-05-17 | 武汉昱仝科技有限公司 | Carbon fiber graphite grounding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N108521031A (en) * | 2018-07-03 | 2018-09-11 | 国网山东省电力公司惠民县供电公司 | A tower grounding device |
CN108933341A (en) * | 2018-07-03 | 2018-12-04 | 国网山东省电力公司惠民县供电公司 | A kind of tower grounding device |
CN112941574A (en) * | 2021-01-27 | 2021-06-11 | 许继电源有限公司 | Method for tin plating of external welding grounding copper conductor of cabinet |
CN113937520A (en) * | 2021-09-29 | 2022-01-14 | 华能通辽风力发电有限公司 | Electricity tower earthing device |
-
2008
- 2008-02-22 KR KR1020080016392A patent/KR20090090868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9841B1 (en) * | 2011-11-29 | 2012-04-30 | 주식회사 엔투비 | Grounding device having projecting parts on the body and including ceramic carriers therein |
CN106684585A (en) * | 2017-01-23 | 2017-05-17 | 武汉昱仝科技有限公司 | Carbon fiber graphite grounding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N108521031A (en) * | 2018-07-03 | 2018-09-11 | 国网山东省电力公司惠民县供电公司 | A tower grounding device |
CN108933341A (en) * | 2018-07-03 | 2018-12-04 | 国网山东省电力公司惠民县供电公司 | A kind of tower grounding device |
CN108521031B (en) * | 2018-07-03 | 2019-10-11 | 国网山东省电力公司惠民县供电公司 | A tower grounding device |
CN112941574A (en) * | 2021-01-27 | 2021-06-11 | 许继电源有限公司 | Method for tin plating of external welding grounding copper conductor of cabinet |
CN113937520A (en) * | 2021-09-29 | 2022-01-14 | 华能通辽风力发电有限公司 | Electricity tower earthing device |
CN113937520B (en) * | 2021-09-29 | 2024-06-04 | 华能通辽风力发电有限公司 | Electric tower ground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901873B2 (en) | Deep grounding rod installation structure | |
KR20090090868A (en) | Earthing device | |
KR100818938B1 (en) | Electric pole ground plate | |
KR101029710B1 (en) | Electrolytic Filled High Radiation Carbon Grounding Device and Installation Method | |
KR100681450B1 (en) | Complex grounding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477460B1 (en) | Grounding apparatus | |
KR100931811B1 (en) | Octagonal irregularities carbon forming distributed spinning needle ground rod | |
CN203475926U (en) | Expanded type tower insulator crossarm assembly | |
KR101084483B1 (en) | Mesh ground structure | |
CN101740886A (en) | Anti-corrosion ground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0814741B1 (en) | Grounding device attached to the channel | |
CN201753538U (en) | Prestress electric pole with ground wire | |
KR100598466B1 (en) | Electric pole integrated grounding device | |
KR101056724B1 (en) | High Radiation Carbon Grounding Device and Installation Method | |
KR100866027B1 (en) | Tubular cross sleeves for spiral wire bonding of mesh electrodes | |
KR200422395Y1 (en) | Carbon ground rod | |
KR100993472B1 (en) | Metal Foam Grounding Device | |
KR101515332B1 (en) | Grounding rod | |
KR200253293Y1 (en) | Copper Pipe with Holes for Grounding | |
CN210404074U (en) | Waterproof lightning protection of conductive concrete hits ground net | |
RU98004U1 (en) | DEPTH ANODE EARTH | |
KR200375219Y1 (en) | A discharge arrester combination structure of a surge electric discharge earth | |
KR20130033622A (en) | Ground plate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refor | |
KR101234047B1 (en) | The electrolyte low resistance a carbon ground rod | |
KR200474080Y1 (en) | Grounding member mounting for lower part of electric po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2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5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2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009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5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002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101022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9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11229 Appeal identifier: 2010101008127 Request date: 20101022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102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022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0629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042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
|
B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
PB0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 Report of Result of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01126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1022 Effective date: 20111229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11229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01022 Decision date: 20111229 Appeal identifier: 2010101008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