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0790A - 보석 연마장치 - Google Patents

보석 연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0790A
KR20090090790A KR1020080016255A KR20080016255A KR20090090790A KR 20090090790 A KR20090090790 A KR 20090090790A KR 1020080016255 A KR1020080016255 A KR 1020080016255A KR 20080016255 A KR20080016255 A KR 20080016255A KR 20090090790 A KR20090090790 A KR 20090090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holder
fixed
stage
jewel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6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8839B1 (ko
Inventor
도영숙
Original Assignee
도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영숙 filed Critical 도영숙
Priority to KR1020080016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8839B1/ko
Publication of KR20090090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24B9/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24B9/1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diamonds; of jewels or the like; Diamond grinders' dops; Dop holders or to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084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the grinding wheel support being angularly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연마대상물이 장착되는 홀더의 연마각도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마공정 및 광택공정을 일원화하여 홀더를 다시 장착하여야만 하는 번거로움을 개선하여 불량률을 최소화하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라도 누구나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자를 최소화할 수 있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보석 연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석 연마장치는, 상부에 수평하게 고정스테이지가 제공되는 본체와, 고정스테이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홀더가 장착되는 이동스테이지를 가지며, 본체의 일측에는 컨트롤러가 배치되는 프레임부; 고정스테이지의 하부에서 상부로 수직 관통되고 상부에는 통상의 연마휠, 광택휠이 장착되는 안치디스크가 일체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작업축과,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작업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가지는 연마구동부; 및 작업축을 감쌀 수 있도록 상기 고정스테이지의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수직 관통되어 고정스테이지에 장착되는 고정케이스와, 작업축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게 고정케이스와 작업축 사이에 배치되면서 방사상 일측에는 고정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게 수직하게 래크기어가 형성된 이동케이스와, 본체의 외부에서 고정케이스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됨과 아울러 래크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가 형성되는 작동바아를 가지면서 연마구동부를 승,하강시키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석 연마장치{GRINDING MACHINE FOR JEWELERY}
본 발명은 보석 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마대상물이 장착되는 홀더의 연마각도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마공정 및 광택공정을 일원화하여 홀더를 다시 장착하여야만 하는 번거로움을 개선하여 불량률을 최소화하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라도 누구나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자를 최소화할 수 있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보석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머리핀이나 가방 등의 액세서리나 의류 등에는 모조보석이 많이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모조보석에는 빛을 반사시키는 여러 개의 반사면이 형성되어 있어 반짝임으로써 아름다움을 연출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모조보석의 직경은 2㎜에서 크게는 10㎜ 정도 이상까지 다양하며, 액세서리나 옷에 부착될 때에는 수십 개 또는 수백 개 단위로 부착된다.
전술한 모조보석은 금형에 의하여 한번에 수백 개 단위씩 생산되고 있다. 그런데 금형에 의하여 생상된 모조보석은 반사면 및 부착면이 거칠기 때문에, 반사면이나 부착면을 연마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거친 상태의 모조보석을 홀 더에 부착시킨 후, 연마장치에 의해서 연마공정을 수행하는데, 이때, 모조보석을 연마하는 과정은, 크게 거친 연마공정 및 광택공정으로 나누어지게 된다.
종래 연마장치는 지지대판 상면 일측에 연마대상물이 장착되는 핸드스틱이 설치되고 그 전방에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연마휠이 설치되는 구조로 제공되며, 핸드스틱의 끝단부에는 연마대상물이 고정되는 클립이 착설됨과 아울러 핸드스틱은 상, 하, 좌우로 이동이 용이한 구조로 제공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연마장치는 연마휠을 통해 연마공정이 완료되면, 연마휠을 분리하고 다시 광택휠을 장착하여 광택공정을 수행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광택공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연마가 완료된 연마대상물을 다시 셋팅하여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 연마장치에서 연마대상물을 파지하고 있는 핸드스틱은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해 작동되기 때문에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면 동일한 제품을 생산하기 어렵고, 짧은 시간에 대량의 제품을 생산하지 못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작업자가 투입되어야 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마대상물이 장착되는 홀더의 연마각도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마공정 및 광택공정을 일원화하여 홀더를 다시 장착하여야만 하는 번거로움을 개선하여 불량률을 최소화하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라도 누구나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자를 최소화할 수 있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보석 연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연마대상물을 파지하는 홀더를 가지는 보석 연마장치에 있어서,
연마장치는,
상부에 수평하게 고정스테이지가 제공되는 본체와, 고정스테이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홀더가 장착되는 이동스테이지를 가지며, 본체의 일측에는 컨트롤러가 배치되는 프레임부;
고정스테이지의 하부에서 상부로 수직 관통되고 상부에는 통상의 연마휠 또는 통상의 광택휠이 장착되는 안치디스크가 일체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작업축과,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작업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가지는 연마구동부; 및
작업축을 감쌀 수 있도록 상기 고정스테이지의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수직 관통되어 고정스테이지에 장착되는 고정케이스와, 작업축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게 고정케이스와 작업축 사이에 배치되면서 방사상 일측에는 고정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게 수직하게 래크기어가 형성된 이동케이스와, 본체의 외부에서 고정케이스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됨과 아울러 래크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가 형성되는 작동바아를 가지면서 연마구동부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보석 연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보석 연마장치는, 홀더가 고정되는 고정수단을 더 구비하며, 고정수단은,
이동스테이지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과, 지지브라켓 사이에 마주보게 배치되면서 다수의 홀더가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공이 형성되는 홀더장착블록을 가지는 홀더장착부;
장착공에 선회가능하게 삽입되고 홀더장착블록의 상부로 노출된 원주면 상에는 회전기어가 장착되는 고정대와, 고정대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하부에는 상부측으로 연마대상물이 인입되는 인입홈이 형성되고 인입홈의 외주면 상에는 다수의 절개공이 형성되며, 인입홈의 외주면 상에는 상부측으로 방사상 좁아지게 걸림턱이 일체로 형성된 척으로 이루어진 홀더;
홀더장착블록의 양단에서 홀더장착블록의 상부로 연장되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과, 양단이 상기 고정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면서 회전기어와 맞물리는 회전기어축과, 회전기어축을 회전시키는 홀더회전모터를 가지는 홀더회전부; 및
홀더장착블록의 일측면 양단에 인접하게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조절레버와, 선회된 홀더장착블록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조절레버의 작동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지지브라켓에 가압 삽입되는 조절핀을 가지는 각도조절부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보석 연마장치는 연마대상물이 파지된 다수의 홀더가 장착되고 일측으로 선회되는 홀더장착부와, 홀더장착부에 장착된 홀더를 회전시키는 홀더회전부를 구비함으로써, 연마각도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어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라도 용이하게 연마대상물을 연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본체에 연마휠 및 광택휠을 장착할 수 있고, 홀더가 장착된 이동스테이지가 연마공정이 완료되면 광택공정으로 슬라이딩 안내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연마공정이 완료된 연마대상물을 광택공정을 위해 다시 홀더에 장착하는 번거 로움을 개선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석 연마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석 연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석 연마장치(100)는 프레임부(110)와, 프레임부(110)에 장착되고 연마휠(도시되지 않음) 및 광택휠(도시되지 않음)이 장착되는 연마구동부(130)와, 연마구동부(130)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위치조절부(150)와, 프레임부(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연마대상물이 장착되는 고정수단(21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프레임부(110)는 고정스테이지(114)가 제공되는 사각 함체 형상의 본체(112)와, 고정스테이지(1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스테이지(116)를 구비한다. 또한 프레임부(110)는 본체(112)의 일측에 연마구동부(130) 및 고정수단(210)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18)를 더 구비한다.
고정스테이지(114)는 본체(112)의 상부에 수평하게 제공되고, 고정스테이지(114)의 상부면 상에는 한 쌍의 제 1 가이드레일(120)이 제공된다. 한 쌍의 제 1 가이드레일(120)은 고정스테이지(1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이동스테이지(116)는 대략 사각 링 형상을 가진다. 이동스테이지(116)의 각각의 모서리에 인접하게는 제 1 가이드레일(120) 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다리(122)가 장착된다. 이러한 각각이 다리(122)에는 제 1 가이드레일(120)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제 1 가이드블록(124)이 장착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프레임부(110)에는 연마구동부(130), 위치조절부(150) 및 고정수단(210)이 장착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석 연마장치의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연마구동부(130)는 하나 이상의 작업축(132)과, 작업축(132)을 회전시키는 하나 이상의 구동모터(134)를 구비한다. 즉, 하나의 작업축(132)에는 하나의 구동모터(134)가 연결되고, 도 1 및 도 2에는 2개의 작업축(132) 및 2개의 구동모터(134)가 도시되어 있다.
작업축(132)은 고정스테이지(114)의 하부에서 고정스테이지(114)의 상부로 수직 관통되며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작업축(132)의 상부에는 통상의 연마휠(도시되지 않음) 또는, 통상의 광택휠(도시되지 않음)이 장착되는 안치디스크(136)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작업축(132)의 하부에 인접한 외주면 상에는 작업축(132)의 원주면을 따라 통상의 스플라인홈(138)이 작업축(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스플라인홈(138)에는 전달풀리(140)가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작업축(132)이 구비되는 경우, 하나의 작업축(132)에는 연마휠을 또 다른 작업축(132)에는 광택휠을 장착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작업축(132)만이 제공될 경우에는 연마휠 및 광택휠을 선택적으로 장착한다.
한편, 구동모터(134)는 작업축(132)에 인접한 본체(112)의 일측면 외측에 장 착된다. 이러한 구동모터(134)에서 연장되는 구동축(142)에는 구동풀리(144)가 장착되고, 구동풀리(144)와 전달풀리(140)는 벨트(146)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위치조절부(150)는 작업축(132)을 감싸는 고정케이스(152)와, 작업축(132)을 승강 및 하강시키는 이동케이스(154)와, 이동케이스(154)를 승강 및 하강 시키는 작동바아(156)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위치조절부(150)는 작업축(132)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제공된다.
고정케이스(152)는 수직한 관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고정케이스(152)는 고정스테이지(152)의 하부에서 고정스테이지(152)의 상부로 수직 관통되며, 고정케이스(152)에 고정 장착된다.
이동케이스(154)는 작업축(132)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게 고정케이스(152)와 작업축(132)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이동케이스(154)의 상부는 고정케이스(152)의 상부 외측으로 노출되고, 이동케이스(154)의 상부에는 안치디스크(136)에 장착되는 연마휠 또는 광택휠을 보호하는 보호통(158)이 고정 장착된다. 누구나 알 수 있듯이 보호통(158)의 상부는 개방되며, 안치디스크(136)의 직경은 이동케이스(154)의 외주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한편, 이동케이스(154)의 방사상 일측에는 이동케이스(154)를 따라 수직하게 래크기어(rack gear; 160)가 형성되며, 고정케이스(152)에는 래크기어(160)가 노출될 수 있도록 수직한 장공형상의 이송안내공(162)이 형성된다.
한편, 작동바아(156)는 본체(112)의 외부에서 고정케이스(152)의 이송안내공(162)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본체(112) 내부로 연장된 작동바아(156)의 외 주면 상에는 이송안내공(162)을 관통하여 래크기어(160)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164)가 장착되고, 본체(112)의 외부에 배치된 작동바아(156)에는 작동손잡이(166)가 일체로 형성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고정수단(210)은 이동스테이지(116)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선회가능하게 배치되는 홀더장착부(220)와, 홀더장착부(220)에 장착되는 다수의 홀더(240)와, 홀더장착부(220)에 장착되고 다수의 홀더(240)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홀더회전부(260) 및 선회된 홀더장착부(220)를 고정하는 각도조절부(280)로 이루어진다.
홀더장착부(220)는 이동스테이지(116)의 상부면 양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222)과, 지지브라켓(222)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홀더장착블록(224)을 구비한다.
지지브라켓(222)은 수직한 판 형상을 가진다. 지지브라켓(222)의 하부에는 제 2 가이드블록(226)이 장착되고, 이동스테이지(116)의 상부면 양측에는 한 쌍의 제 2 가이드레일(228)이 배치된다. 제 2 가이드레일(228)은 제 1 가이드레일(120)과 직교되게 배치된다. 한편, 홀더장착블록(224)은 한 쌍의 지지브라켓(222) 사이에 마주보게 장착된다. 이러한 홀더장착블록(224)에는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관통하는 다수의 장착공(230)이 형성되는데, 장착공(230)에는 홀더(240)가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홀더(240)는 고정대(242) 및 고정대(242)의 내부에 배치되는 막대형상의 척(chuck; 244)을 구비한 다.
고정대(242)는 수직한 원통형상을 가지며, 홀더장착블록(224)에 형성된 장착공(230)에 선회가능하게 삽입되는데, 홀더장착블록(224)의 상부로 노출된 고정대(242)의 외주면 상에는 회전기어(246)가 장착된다. 척(244)은 고정대(242)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진다. 이러한 척(244)의 하부에는 상부측으로 연마대상물이 인입되는 인입홈(248)이 형성되고, 인입홈(248)의 외주면 상에는 인입홈(248)을 따라 다수의 절개공(250)이 형성되며, 인입홈(248)의 외주면 상에는 척(244)의 하부에서부터 척(244)의 상부측으로 좁아지게 연장되는 걸림턱(252)이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고정대(242)의 상부를 관통하여 노출된 척(244)의 상부에 인접한 원주면 상에는 척(244)을 고정대(242)에 고정시키는 고정암나사(254)가 형성되며, 고정암나사(254)에는 고정너트(256)가 체결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홀더회전부(260)는 홀더장착블록(224)의 양단에서 홀더장착블록(224)의 상부로 연장되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262)과, 양단이 고정브라켓(26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면서 회전기어(246)와 맞물리는 회전기어축(264)과, 회전기어축(264)을 회전시키는 홀더회전모터(266)를 구비하는데, 홀더회전모터(266)에서 연장되는 회전축(268)에는 제 1 서브기어(270)가 장착되고 회전기어축(264)의 일단에는 제 1 서브기어(270)와 맞물리는 제 2 서브기어(272)가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기어(246)와 회전기어축(264)은 한 쌍의 웜기어를 채택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각도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조절부(280)는 홀더장착블록(224)의 일측면 양단에 인접하게 배치되 는 조절레버(282)와, 조절레버(282)의 작동에 의해서 지지브라켓(222)에 가압 삽입되는 조절핀(284)으로 이루어진다. 조절레버(282)는 홀더장착블록(224)의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조절레버(282)의 회전중심부에는 캠 형상의 조절판(286)이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조절핀(284)은 조절레버(282)의 일측으로 배치되는 조절블록(288) 내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일단은 조절판(286)의 외주면과 접촉되며, 타단은 지지브라켓(222)에 가압 삽입된다. 즉, 조절핀(284)의 일단이 조절판(286)의 돌출부와 접촉하게 되면, 조절핀(284)의 타단은 지지브라켓(222)에 가압 삽입되고, 반대로 조절핀(284)의 일단이 조절판(286)의 침강부와 접촉하면 조절핀(284)의 타단은 지지브라켓(222)에서 이탈된다. 이때, 조절블록(288) 내에는 조절핀(284)을 지지브라켓(222)에서 이탈시킬 수 있도록 복귀스프링(290)이 내장되고, 지지브라켓(222)에는 조절핀(284)의 타단이 가압 삽입되는 곡률형상의 삽입공(292)이 형성된다. 삽입공(292)의 곡률의 중심은 지지브라켓(222)에 장착된 홀더장착블록(224)의 회전중심과 동일하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보석 연마장치(100)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보석 연마장치(100)는 2개의 연마구동부(130)가 제공되며, 하나의 작업축(132)에는 연마휠이, 또 다른 작업축(132)에는 광택휠이 장착된다.
우선, 연마대상물을 연마하기 위해서는 이동스테이지(116)를 연마휠의 상부 측에 배치되도록 이동시키는데, 이동스테이지(116)는 고정스테이지(114)에 배치된 제 1 가이드레일(120)을 따라 안내된다. 이렇게 이동스테이지(116)가 연마휠의 상부에 배치되면, 연마대상물을 고정수단(210)의 각각의 홀더(240)에 장착한다. 연마대상물을 홀더(24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척(244)에 형성된 인입홈(248)에 연마대상물을 삽입 한 상태에서 고정너트(256)를 고정암나사(254)에 체결한다. 이렇게 고정암나사(254)에 고정너트(256)가 체결되면, 척(244)에 형성된 걸림턱(252)은 고정대(242) 내부로 삽입되어 연마대상물을 파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마대상물이 홀더(240)에 장착되면, 위치조절부(150)를 작동시켜 연마휠과 연마대상물을 접촉시킨다. 연마휠을 연마대상물까지 승강시키기 위해서는, 작동손잡이(166)를 일측으로 선회시키는데, 작동손잡이(166)가 선회되면 작동바아(156) 및 피니언기어(164)가 선회되고, 피니언기어(164)와 맞물려 있는 래크기어(160)는 승강함에 따라 이동케이스(154) 및 작업축(132)은 승강하게 된다. 이때, 작업축(132)의 하부는 스플라인홈(138)이 형성되어 있어 전달풀리(140)에 간섭되지 않게 슬라이딩되며, 작업축(132)에 장착된 전달풀리(140)는 고정케이스(152)의 하부에 간섭되기 때문에 승강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마대상물과 연마휠이 접촉되면, 작업자는 컨트롤러(118)를 조작하여 구동모터(134)를 작동시켜 연마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한편, 연마휠과 연마대상물의 연마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각도조절부(280)의 조절레버(282)를 회전시켜 조절핀(284)을 지지브라켓(222)에서 이탈시킨 후, 홀더장착부(220)를 선회시킨다. 홀더장착부(220)의 선회가 완료되면, 조절 판(284)의 돌출부가 조절핀(284)의 일단과 접촉되게 조절레버(282)를 반대로 회전시킨다. 이렇게 조절판(284)의 돌출부가 조절핀(284)의 일단과 접촉되면, 조절핀(284)은 타단은 삽입공(292)에 가압 삽입된다.
또한, 연마대상물과 연마휠의 연마각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연마대상물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컨트롤러(118)를 조작하여 홀더회전부(260)의 홀더회전모터(266)를 작동시킨다. 홀더회전모터(266)가 작동하면, 홀더회전모터(266)와 연결된 제 1 서브기어(270) 및 제 2 서브기어(272)가 회전하게 되고, 제 2 서브기어(272)의 회전함에 따라 회전기어축(264)이 회전되며, 회전기어축(264)과 맞물려 있는 회전기어(246)가 회전하게 된다. 그 결과, 홀더(240)의 고정대(242) 및 척(244)은 회전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홀더회전모터(266)는 미리 설정된 회전각만큼만 회전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연마대상물의 연마가 완료되면, 연마휠을 하강시키고, 이동스테이지(116)를 광택휠의 상부에 배치 상태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광택휠을 상승시켜 연마대상물에 광택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석 연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석 연마장치의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홀더의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각도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보석 연마장치 110 : 프레임부
114 : 고정스테이지 116 : 이동스테이지
130 : 연마구동부 132 : 작업축
134 : 구동모터 150 : 위치조절부
152 : 고정케이스 154 : 이동케이스
210 : 고정수단 220 : 홀더장착부
240 : 홀더 242 : 고정대
244 : 척 260 : 홀더회전부
280 : 각도조절부

Claims (8)

  1. 연마대상물을 파지하는 홀더를 가지는 보석 연마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마장치는,
    상부에 수평하게 고정스테이지가 제공되는 본체와, 상기 고정스테이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홀더가 장착되는 이동스테이지를 가지며,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컨트롤러가 배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고정스테이지의 하부에서 상부로 수직 관통되고 상부에는 통상의 연마휠 또는 통상의 광택휠이 장착되는 안치디스크가 일체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작업축과, 상기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작업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가지는 연마구동부; 및
    상기 작업축을 감쌀 수 있도록 상기 고정스테이지의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수직 관통되어 상기 고정스테이지에 장착되는 고정케이스와, 상기 작업축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게 상기 고정케이스와 상기 작업축 사이에 배치되면서 방사상 일측에는 상기 고정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게 수직하게 래크기어가 형성된 이동케이스와,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고정케이스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래크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가 형성되는 작동바아를 가지면서 상기 연마구동부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연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스테이지의 상부면 상에는 상기 고정스테이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 1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스테이지는 사각 링 형상을 가지며 각각의 모서리에 인접하게는 상기 제 1 가이드레일 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다리가 장착되고, 상기 다리에는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제 1 가이드블록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연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축의 하부에 인접한 외주면 상에는 상기 작업축의 원주면을 따라 통상의 스플라인홈이 상기 작업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스플라인홈에는 전달풀리가 장착되며, 상기 전달풀리는 상기 구동모터에서 연장되는 구동축에 장착되는 구동풀리와 벨트에 의해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연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케이스의 상부에는 상기 안치디스크에 장착되는 상기 연마휠 또는 상기 광택휠을 보호하는 보호통이 고정 장착되고, 상기 고정케이스에는 상기 래크기어가 노출될 수 있도록 수직한 장공형상의 이송안내공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외부에 배치된 상기 작동바아에는 작동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연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석 연마장치는, 상기 홀더가 고정되는 고정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이동스테이지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브라 켓과, 상기 지지브라켓 사이에 마주보게 배치되면서 다수의 상기 홀더가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공이 형성되는 홀더장착블록을 가지는 홀더장착부;
    상기 장착공에 선회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홀더장착블록의 상부로 노출된 원주면 상에는 회전기어가 장착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하부에는 상부측으로 상기 연마대상물이 인입되는 인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인입홈의 외주면 상에는 다수의 절개공이 형성되며, 상기 인입홈의 외주면 상에는 상부측으로 방사상 좁아지게 걸림턱이 일체로 형성된 척으로 이루어진 상기 홀더;
    상기 홀더장착블록의 양단에서 상기 홀더장착블록의 상부로 연장되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과, 양단이 상기 고정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상기 회전기어와 맞물리는 회전기어축과, 상기 회전기어축을 회전시키는 홀더회전모터를 가지는 홀더회전부; 및
    상기 홀더장착블록의 일측면 양단에 인접하게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조절레버와, 선회된 상기 홀더장착블록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기 조절레버의 작동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브라켓에 가압 삽입되는 조절핀을 가지는 각도조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연마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의 하부에는 제 2 가이드블록이 장착되고 상기 이동스테이지의 상부면 양측에는 상기 제 2 가이드블록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연마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의 상부를 관통하여 노출된 상기 척의 상부에 인접한 원주면 상에는 상기 척을 상기 고정대에 고정시키는 고정암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암나사에는 상기 고정너트가 체결되고, 상기 홀더회전모터에서 연장되는 회전축에는 제 1 서브기어가 장착되며, 상기 회전기어축의 일단에는 상기 제 1 서브기어와 맞물리는 제 2 서브기어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연마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레버의 회전중심부에는 캠 형상의 조절판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조절핀은 상기 조절레버의 일측으로 배치되는 조절블록 내에 수평하게 배치되며, 일단은 상기 조절판의 외주면과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브라켓에 가압 삽입되고, 상기 조절블록 내에는 상기 조절핀을 상기 지지브라켓에서 이탈시킬 수 있도록 복귀스프링이 내장되며, 상기 지지브라켓에는 상기 조절핀의 타단이 가압 삽입되는 곡률형상의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연마장치.
KR1020080016255A 2008-02-22 2008-02-22 보석 연마장치 KR100918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255A KR100918839B1 (ko) 2008-02-22 2008-02-22 보석 연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255A KR100918839B1 (ko) 2008-02-22 2008-02-22 보석 연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790A true KR20090090790A (ko) 2009-08-26
KR100918839B1 KR100918839B1 (ko) 2009-09-28

Family

ID=41208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6255A KR100918839B1 (ko) 2008-02-22 2008-02-22 보석 연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8839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03280A (zh) * 2011-08-24 2012-01-04 温州奥昌医疗针头设备有限公司 一种研磨针头装卸机
CN102366913A (zh) * 2011-07-15 2012-03-07 夏锡华 横向双夹具转接装置
CN102380808A (zh) * 2011-10-28 2012-03-21 方文成 数控全自动宝石研磨成型机
CN102672573A (zh) * 2012-06-06 2012-09-19 浙江欧源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水晶坯件自动磨抛系统及其辅助机械
CN107717716A (zh) * 2017-11-16 2018-02-23 刘永红 一种精度高的宝石研磨成型机
CN108115510A (zh) * 2017-12-15 2018-06-05 重庆友拓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零件加工用精密打磨装置
CN110871379A (zh) * 2019-11-13 2020-03-10 利辛县雨果家居有限公司 一种钢针打磨平台
CN111843690A (zh) * 2020-07-14 2020-10-30 安徽省裕康铝业有限公司 一种铝制品加工用去毛刺装置
CN116423331A (zh) * 2023-06-14 2023-07-14 河北德航玻璃制品有限公司 一种钢化玻璃自动输送磨边机
CN116944888A (zh) * 2023-08-21 2023-10-27 重庆致煌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加长型转向器长壳体齿条孔加工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259B1 (ko) * 2010-10-07 2011-11-14 유지헌 판재를 재사용하기 위한 연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7124Y1 (ko) * 1986-09-16 1989-10-16 박영욱 인조보석 가공기의 분각 동력 전달장치
KR900001244Y1 (ko) * 1987-05-28 1990-02-20 김흥순 귀금속 표면 광택기
KR900008483B1 (ko) * 1988-05-17 1990-11-22 조영구 보석의 반사면 연마장치
JP4242249B2 (ja) * 2003-10-22 2009-03-25 東芝機械株式会社 ダイヤモンドの加工方法および装置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66913A (zh) * 2011-07-15 2012-03-07 夏锡华 横向双夹具转接装置
CN102303280A (zh) * 2011-08-24 2012-01-04 温州奥昌医疗针头设备有限公司 一种研磨针头装卸机
CN102380808A (zh) * 2011-10-28 2012-03-21 方文成 数控全自动宝石研磨成型机
CN102672573A (zh) * 2012-06-06 2012-09-19 浙江欧源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水晶坯件自动磨抛系统及其辅助机械
CN102672573B (zh) * 2012-06-06 2014-04-02 浙江欧源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水晶坯件自动磨抛系统及其辅助机械
CN107717716A (zh) * 2017-11-16 2018-02-23 刘永红 一种精度高的宝石研磨成型机
CN108115510A (zh) * 2017-12-15 2018-06-05 重庆友拓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零件加工用精密打磨装置
CN110871379A (zh) * 2019-11-13 2020-03-10 利辛县雨果家居有限公司 一种钢针打磨平台
CN111843690A (zh) * 2020-07-14 2020-10-30 安徽省裕康铝业有限公司 一种铝制品加工用去毛刺装置
CN116423331A (zh) * 2023-06-14 2023-07-14 河北德航玻璃制品有限公司 一种钢化玻璃自动输送磨边机
CN116423331B (zh) * 2023-06-14 2023-08-11 河北德航玻璃制品有限公司 一种钢化玻璃自动输送磨边机
CN116944888A (zh) * 2023-08-21 2023-10-27 重庆致煌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加长型转向器长壳体齿条孔加工装置
CN116944888B (zh) * 2023-08-21 2024-04-02 重庆致煌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加长型转向器长壳体齿条孔加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8839B1 (ko) 2009-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8839B1 (ko) 보석 연마장치
KR101363778B1 (ko) 곡면 연마기
FR2567784A1 (fr) Appareil a chantourner
KR101763825B1 (ko) 원형 가공식 경면기
CN112025523A (zh) 一种瓷砖表面抛光装置
KR100987321B1 (ko) 인조 보석류 자동 부착장치
CN110315422A (zh) 一种自动五金抛光机及其使用方法
CN114619303A (zh) 一种带有自动补偿装置的数控磨床
CN111843677B (zh) 一种立式石材打磨设备
CN110814996B (zh) 一种可缓解磨削裂纹的磨削机器
CN1810446B (zh) 磨削方法及磨削装置
CN216883208U (zh) 一种高效打磨装置
KR100510273B1 (ko) 글래스 패널 연마장치
CN213136062U (zh) 一种万能刀具磨床
US3673742A (en) Lapidary machine
CN113352487A (zh) 一种大理石加工辅助设备
JP3457073B2 (ja) 石材加工機械
CN220554918U (zh) 一种圆钢切割机
CN219542753U (zh) 一种用于珠宝表面打磨的抛光机
CN215470110U (zh) 一种立式外表处理装置
KR200339791Y1 (ko) 글래스 패널 연마장치
CN214322920U (zh) 一种自动化单磨装置
CN112355787B (zh) 一种五角支架顶部抛光打磨装置
CN221953088U (zh) 一种改良型打磨装置
CN220450035U (zh) 一种全自动异型玻璃切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9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9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