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8720A - 천연재료를 이용한 건축물 내장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내장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재료를 이용한 건축물 내장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내장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8720A
KR20090088720A KR1020080014169A KR20080014169A KR20090088720A KR 20090088720 A KR20090088720 A KR 20090088720A KR 1020080014169 A KR1020080014169 A KR 1020080014169A KR 20080014169 A KR20080014169 A KR 20080014169A KR 20090088720 A KR20090088720 A KR 20090088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mixture
composition
interior materi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4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9954B1 (ko
Inventor
진강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이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이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이앤피
Priority to KR1020080014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9954B1/ko
Publication of KR20090088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8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20Mica; Vermicul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26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lip-casting, i.e. by casting a suspension or dispersion of the material in a liquid-absorbent or porous mould, the liquid being allowed to soak into or pass through the walls of the mould; Moulds therefor ; specially for manufacturing articles starting from a ceramic slip; Mould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36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4B14/022 and C04B14/04 - C04B14/34
    • C04B14/361Soil, e.g. late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4Carboxylic acids; Salts, anhydrides or est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97Anion- and far-infrared-emitting materials

Abstract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탈취, 습도조절, 항균, 항곰팡이, 실온유지, 방열의 기능성이 포함되어 건축내장재 뿐만 아니라 미관을 감안한 실내소품 및 장식용품과 탈취제품 등에 이용할 수 있는 건축물 내장재용 조성물 및 건축물 내장재가 개시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물과 운모와 산청토 및 백자토를 포함하는 천연재료를 이용한 건축물 내장재용 조성물 및 건축물 내장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물 내장재는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습도조절, 항곰팡이, 건축물 내부의 실온 유지의 효과가 있다. 또한, 항균 기능 및 탈취 기능 또한 탁월하여 최근에 문제가 되고 있는 새집 증후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천연재료를 이용한 건축물 내장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내장재의 제조방법{INTERIOR MATERIALS COMPOSITION OF NATURAL MATERIAL AND METHOD OF PREPARING INTERIOR MATERIAL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천연재료를 이용한 건축물 내장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내장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다량 방출하여 새집 증후군을 억제할 수 있고, 탈취력, 습도조절력, 항균성, 항곰팡이성, 단열성을 개선하는 천연재료를 이용한 건축물 내장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내장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문화가 발달함에 따라 공간의 편리성과 미관을 감안한 각종 화학건축내장재 및 도료를 사용함으로써 그 폐해가 심각한 상황인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각종 건축내장재 및 도료는 그 대부분이 화학적인 물질 혹은 화학공정을 거쳐 생산된 가공물이며, 유독한 가스나 악취를 배출하는 인체에 유독한 물질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환경문제가 중요하게 대두되면서 인체의 무해한 천연의 소재가 선호되고 있어, 인체에 친화적이고 건강에 도움을 주는 내장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고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을 방출하는 맥반석, 황토, 세라믹, 숯 등을 응용하여 건강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여러 가지 기능성 제품이 출현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가공성이나 생산의 어려움으로 인한 고가의 제품가격 및 시공비에 의해 그 사용의 폭이 넓지 못하고 제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건축 내장재 및 도료 자체를 인체에 무해한 물질로 대체하거나 유해한 물질을 배출하지 못하도록 표면을 광촉매나 기타 보호재로 코팅하는 시공법 등이 알려져 있으나, 아직도 그 기능성이 부족하여 완벽한 무공해 상품이 되지 못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점토, 바람직하게는 생황토에 모래를 섞어 반죽하여 활용하였던 물리적인 방법과 황토에 회분을 섞어서 황토의 물성을 강하게 만드는 화학적인 방법을 주로 이용하였으나, 내구성이 떨어지며 건조 시에 점착력 저하 및 수축에 따른 균열이 발생하여 주기적으로 보수작업을 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균열방지 및 강도의 물성을 부여하기 위해 주로 생황토 및 그 첨가물을 열간 소성방법으로 제조하여 타일, 벽돌, 타일 등과 같은 건축제로 활용하였으나 이는 각종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점착성 저하와 균열발생에 따라 실내소품 및 장식용품으로 활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일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6-59110호(2006년6월1일 공개)는 장석, 일라이트, 분말 세라믹을 액상 바인더와 혼합하여 건물의 벽체, 바닥, 천정에 분사하는 건축마감재 제조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건축마감재 제조 방법은 액상 바인더로부터 유기화합물, 휘발성 물질이 방출되어 거주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른 일예로서, 대한민국 특허 제 0667371호(2006년5월18일 공개)에는 숯 보드의 일측에 인쇄된 박엽지 또는 화학섬유부직포를 부착시켜 미적 효과를 부여하면서도 제습, 보수, 통기, 흡착 등의 성질을 갖고 있어 나쁜 냄새, 유해가스를 흡착하여 공기 정화작용은 물론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사하고 소음방지, 전자파 및 유해 파장까지 차단하며 혈액순환과 신진대사 및 심신안정을 주는 등의 숯의 기능이 저하되지 않는 특징이 있는 기능성 숯 보드 적층체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능성 숯 보드 적층체는 미적 효과 등을 부여하기 위해 박엽지 또는 화학섬유부직포를 필수적으로 부착하여야 하므로 제조공정이 늘어나고, 제조비도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탈취, 습도조절, 항균, 항곰팡이, 실온유지, 방열의 기능성이 포함되어 건축내장재 뿐만 아니라 미관을 감안한 실내소품 및 장식용품과 탈취제품 등에 이용할 수 있는 건축물 내장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탈취, 습도조절, 항균, 항곰팡이, 실온유지, 방열의 기능성이 포함되어 건축내장재 뿐만 아니라 미관을 감안한 실내소품 및 장식용품과 탈취제품 등에 이용할 수 있는 건축물 내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탈취, 습도조절, 항균, 항곰팡이, 실온유지, 방열의 기능성이 포함되어 건축내장재 뿐만 아니라 미관을 감안한 실내소품 및 장식용품과 탈취제품 등에 이용할 수 있는 건축물 내장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물 100 중량부, 운모 60 내지 70 중량부와, 산청토 20 내지 30 중량부, 및 백자토 10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천연재료를 이용한 건축물 내장재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물 100 중량부, 운모 60 내지 70 중량부와, 산청토 20 내지 30 중량부, 및 백자토 10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천연재료를 이용한 건축물 내장재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물 100 중량부, 운모 60 내지 70 중량부, 산청토 20 내지 30 중량부 및 백자토 10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교반하는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단계를 통해 생성된 혼합물을 15 내지 25℃에서 24 내지 30시간 동안 숙성하는 숙성단계와, 상기 숙성단계를 통해 숙성된 혼합물을 성형틀에 삽입한 후 건조하는 성형단계와, 상기 성형단계를 통해 건조된 혼합물을 600 내지 700℃로 16 내지 24시간 동안 가열한 후 8 내지 12시간 동안 상온까지 자연 냉각시키는 초벌구이단계, 및 상기 초벌구이단계를 통해 초벌구이한 혼합물을 1,000 내지 1,800℃로 8 내지 12시간 동안 가열한 후 상온까지 자연 냉각시키는 재벌구이단계를 포함하는 천연재료를 이용한 건축물 내장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물 내장재용 조성물은 용도에 따라 성형틀을 변경시켜 음이온을 다량 발산하는 타일, 벽돌, 판넬 등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건축물 내장재는 겨울철에는 열을 흡수하여 내부 공간을 따뜻하게 하고, 여름철에는 열을 방출하여 내부 공간을 시원하게 하며, 일정기간 사용 후 폐기 시에 환경오염이 없고, 반영구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방출하고, 항균 성분으로 인하여 세균의 서식이나 번식을 억제하며, 방음 및 방습이 우수하다.
그리고 항균 기능 및 탈취 기능 또한 탁월하여 최근에 문제가 되고 있는 새 집 증후군을 방지할 수 있고, 수려한 미감을 가지고 있어 시공 후 별도의 마감처리가 불필요하므로 전체적인 건축물의 제조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천연재료를 이용한 건축물 내장재용 조성물(이하, "내장재용 조성물"이라 한다.) 및 이를 이용한 내장재의 제조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장재용 조성물은 물, 운모, 산청토 및 백자토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귀양석 및 유산소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장재용 조성물은 물을 포함한다.
상기 물은 환경 친화적이며, 무색·무미·무취하고, 연수, 증류수, 탈이온수 또는 정제수를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정제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물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성요소의 종류 및 그 사용량이나, 목적으로 하는 내장재용 조성물의 성형방법 또는 용도 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물의 사용량은 넓은 범위, 예컨대 내장재용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20 내지 80 중량% 정도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내장재용 조성물에 물의 함량이 30 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면 내장재의 각 구성성분이 용이하게 혼합되지 않고, 70 중량% 초과로 사용되면 내장재의 강도가 저하된다.
본 발명에 의한 내장재용 조성물은 상기 물이 포함되어 액체상태로 형성됨으로써 특정 형태의 성형틀에 주입하고 분리시키는 과정을 통해 동일한 형태의 제품을 대량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장재용 조성물은 운모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되는 운모는 건축물 내장재의 일반적인 물성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325 내지 1,000 메쉬의 입도로 분쇄된 분말을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800 메쉬,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00 메쉬가 적합하다. 325 메쉬 미만의 운모 분말을 사용할 시에는 큰 입자의 운모 분말로 인하여 산청토 및 백자토와의 혼합이 원활하지 않다. 또한, 1,000 메쉬 초과의 운모 분말은 추가적인 분쇄단계가 필요하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되는데, 비용 증가에 비해 그 효율성이 낮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운모로는 백운모, 흑운모, 금운모, 소다운모(Palagonite), 진왈다이트(zinnwaldite), 홍운모(lithia mica) 등의 다양한 광물종이 사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견운모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운모는 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60 내지 7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운모의 함량이 6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음이온 방사율이 저하되고, 항균, 습도조절, 탈취 등의 효과가 저하되며, 상기 운모의 함량이 70 중량부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산청토 및 백자토와의 결합력이 저하되어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축조시 구조물의 강도가 저하된다.
여기서, 운모는 완벽한 판상의 쪼개짐을 가지는 층상구조형 규산염 광물들에 대한 총칭으로서, 그 결정구조는 대체로 단사정계(單斜晶系)에 속하나 육방정계(六方晶系) 또는 사방정계(斜方晶系)에 속하는 것도 있다. 또한, 운모의 비중은 종류에 따라, 또는 동일 종류에 있어서도 각 성분의 함량에 따라서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2.5 내지 3.3 정도이고, 경도는 1.5 내지 3.0 정도이다. 아울러, 운모는 열과 전기의 전도도가 낮고, 요곡성(橈曲性)이 있으며, 고열에 견디는 성질이 있고, 입자의 크기에 따라 미립의 운모편(雲母片)과 조립의 운모엽(雲母葉)으로 구분된다.
또한, 견운모는 점토광물의 일종으로, 색깔은 은백색으로 견사광택이 강하게 나타난다. 광물학적으로는 운모족에 속하고 화학 조성과 결정구조는 백운모와 흡사하고, 원적외선 방사율이 93% 내외이며, 음이온 발생량이 700개/cc 내외이고, 가장 안전한 음이온, 예컨대 저선량 자연방사선을 방사하며, 각종 유해 물질을 흡착하는 기능을 지닌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장재용 조성물은 산청토를 포함한다.
상기 산청토는 상기 운모 및 백자토와 혼합되어 성형 시 내장재용 조성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쪼개짐 현상을 방지하며, 강도를 향상시킨다. 그리고 상기 운모 및 백자토와 혼합되어 내장재용 조성물에 붉은 색을 제공한다.
상기 산청토는 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0 내지 3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산청토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내장재용 조성물의 결합력이 저하되고, 건축물 내장재의 강도가 저하되며, 상기 산청토의 함량이 30 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건축물 내장재가 짙은 붉은색을 나타내어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착색 산화물 또는 안료가 필요하거나 벽지 부착 등의 마감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여기서, 산청토란 일반적으로 경상도 산청에서 생산되고 있는 태토 중 하나로서, 점토의 철분함량에 따라 연한 갈색부터 짙은 갈색까지 다양한 차이를 나타낸다. 또한, 산청토는 철분 함량이 많고, 백자토나 청자토에 비해 흙 입자가 거친 편이며, 주로 다른 점토와 섞여서 사용되며, 약 1,200 내지 1,260℃의 환원소성에서 붉은색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성질을 가지는 산청토는 철분을 이용한 다기제작 및 특수한 용도의 조각 작품 등에 사용되고, 흙 자체의 질감을 이용한 화분이나 화병 제작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장재용 조성물은 백자토를 포함한다.
상기 백자토는 상기 운모 및 산청토와 혼합되어 성형 시 내장재용 조성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쪼개짐 현상을 방지하며,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운모 및 산청토와 혼합되어 내장재용 조성물에 흰색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백자토는 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2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백자토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내장 재용 조성물의 결합력이 저하되고, 건축물 내장재의 강도가 저하되며, 상기 백자청토의 함량이 20 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건축물 내장재가 짙은 흰색을 나타내어 다른 물질의 접촉에 따라 용이하게 오염될 수 있으므로 벽지 부착 등의 추가적인 마감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여기서, 백자토란 백자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태토 중 하나로서, 백색도가 좋아서 소성한 뒤 유백색의 흰색을 나타내며 1,300℃의 근처에서 소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장재용 조성물은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귀양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귀양석은 장석계 중에서 음이온을 가장 많이 방사(24.140ed/cc초당)하는 물질로서, 원적외선 방사율이 상온(25℃)에서 96%로 천연광석물 중에서 제일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고,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인체의 세포를 따뜻하게 함으로써 혈류량을 4.9%정도 증가, 혈류속도를 7.2% 감소시키며,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세포를 활성화시킨다. 또한, 귀양석은 높은 계면활성효과(101%증가)를 보이고, 뇌파 중 알파파를 다량 증가시킨다.
본 발명에서 포함되는 귀양석은 인체에 유익한 전류,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325 내지 1,000 메쉬의 입도로 분쇄된 분말을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800 메쉬,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00 메쉬가 적합하다. 325 메쉬 미만의 귀양석 분말을 사용할 시에는 큰 입자의 귀양석 분말로 인하여 운모, 산청토 및 백자토와의 혼합이 원활하지 않 다. 또한, 1,000 메쉬 초과의 귀양석 분말은 추가적인 분쇄단계가 필요하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되는데, 비용 증가에 비해 그 효율성이 낮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귀양석은 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2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귀양석을 1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면, 원적외선 방사 효과, 혈류 개선 효과를 충분히 기대하기 어렵고, 귀양석은 고가이기 때문에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것은 경제적인 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장재용 조성물은 유산소다(sodium sulphat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산소다는 내장재용 조성물의 교반 및 숙성 시 발생하는 기포를 방지하여 조직을 치밀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서, 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2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유산소다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내장재용 조성물의 교반 및 숙성 시 기포가 발생되어 내장재의 조직이 치밀하게 결합되지 않고, 상기 유산소다의 함량이 2 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내장재용 조성물의 결합력은 향상되지 않고 도리어 다른 물성에 나쁜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내장재용 조성물을 이용한 건축물 내장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재용 조성물을 이용한 건축물 내장재의 제조방법의 제조 공정을 순서도로 표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내장재의 제조방법은 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운모 60 내지 70 중량부, 산청토 20 내지 30 중량부 및 백자토 10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교반하는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단계를 통해 생성된 혼합물을 15 내지 25℃에서 24 내지 30시간 동안 숙성하는 숙성단계와, 상기 숙성단계를 통해 숙성된 혼합물을 성형틀에 삽입한 후 건조하는 성형단계와, 상기 성형단계를 통해 건조된 혼합물을 600 내지 700℃로 16 내지 24시간 동안 가열한 후 8 내지 12시간 동안 상온까지 자연 냉각시키는 초벌구이단계, 및 상기 초벌구이단계를 통해 초벌구이한 혼합물을 1,000 내지 1,800℃로 8 내지 12시간 동안 가열한 후 상온까지 자연 냉각시키는 재벌구이단계를 포함한다.
첫 번째 단계는 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운모 60 내지 70 중량부, 산청토 20 내지 30 중량부 및 백자토 10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로서, 상기 물, 운모, 산청토, 백자토를 교반기에 투입하고, 30 내지 60분 동안 혼합시켜 혼합물을 형성한다. 이때, 교반기의 교반속도는 1,000 내지 1,300rpm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혼합물에는 10 내지 20 중량부의 귀양석, 1 내지 2 중량부의 유산소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두 번째 단계는 첫 번째 단계를 통해 생성된 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혼합물을 15 내지 25℃에서 24 내지 30시간 동안 숙성시킨다. 상기 숙성 단 계는 제조된 내장재의 변질, 예컨대 곰팡이나 색바램 현상이 발생하고 내장재가 쪼개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행되는 것이다.
세 번째 단계는 두 번째 단계를 통해 숙성된 혼합물을 성형틀에 삽입한 후 건조하는 단계로서, 상기 건조는 일광건조법으로 2 내지 3일 동안 수행되거나, 90 내지 110℃의 온도로 1 내지 5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일광건조법에 따라 2일 미만으로 건조하거나 90 내지 110℃의 온도에 따라 1 분 미만으로 건조하면 본 발명의 내장재는 조직이 치밀하지 못하여 틈새가 발생될 수 있고, 일광건조법에 따라 3일 초과로 건조하거나 90 내지 110℃의 온도에 따라 5분 초과로 건조하면 본 발명의 내장재는 변형 또는 변색이 발생될 수 있다.
네 번째 단계는 세 번째 단계를 통해 건조된 혼합물을 초벌구이하는 단계로서, 건조된 혼합물을 열가마 등의 가열수단에 넣어두고 600 내지 700℃로 16 내지 24시간 동안 가열한 후 8 내지 12시간 동안 상온까지 자연 냉각시킨다.
상기 초벌구이 단계는 조직을 치밀하도록 구성하여 고온 성형에 따른 혼합물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수행되는 것이다.
다섯 번째 단계는 네 번째 단계를 통해 초벌구이된 혼합물을 재벌구이하는 단계로서, 초벌구이한 혼합물을 1,000 내지 1,800℃로 8 내지 12시간 동안 가열한 후 상온까지 자연 냉각시켜 본 발명의 건축물 내장재를 제조한다.
이상의 방법에 의하면, 상술을 조성물을 이용하여 다양한 건축물 내장재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성형단계에서 금형 등의 성형틀을 변경하여 타일, 판넬, 벽돌 등의 내장재를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술한 제조방법으로 생산된 건축물 내장재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백색을 나타내어 그대로 사용되어도 뛰어난 미감을 가지므로, 내장재용 조성물에는 착색 산화물 또는 안료가 필수적으로 포함되지 않는바, 본 발명에 따른 내장재용 조성물 및 건축물 내장재는 착색 산화물 또는 안료를 첨가하거나, 벽지의 부착 등 추가적인 마감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내장재는 천연재료인 물, 운모, 백색토, 산청토로 형성되어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탈취, 습도조절, 항균, 항곰팡이, 실온유지, 방열의 기능성이 포함되므로 건축내장재, 바람직하게는 타일뿐만 아니라 미관을 감안한 실내소품 및 장식용품과 탈취제품 등에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다음에서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것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상온 1기압 하에서, 정제수 10㎏과 경북 봉화에서 채굴하여 약 500 메쉬로 분쇄한 견운모 6㎏[금남견운모, 한국], 산청토[생초세라믹, 한국] 2㎏, 백자토[광주토토, 한국] 1㎏, 약 500 메쉬의 귀양석 1㎏, 유산소다[우신상사, 한국] 0.1 ㎏을 반응기에 투입하고 1,200 rpm으로 45분 교반하여 혼합물을 형성한 다음, 20℃로 26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2. 상온 1기압 하에서, 상기 숙성된 혼합물을 타일형의 성형틀에 삽입하고, 타일모양으로 성형한 다음, 약 100℃로 3분 동안 건조하였다.
3. 건조가 완료된 혼합물을 가스 열가마에 넣고 약 650℃로 20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가스 밸브를 막아 가열을 정지시킨 후, 그대로 10시간 동안 가마를 냉각시켰다.
4. 초벌구이를 수행한 혼합물을 가스 열가마에 넣고 약 1,400℃로 10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가스 밸브를 막아 가열을 정지시킨 후, 그대로 10시간 동안 가마를 냉각시켜 천연재료를 이용한 건물용 내장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제조된 건축물 내장재의 음이온 방출량 및 탈취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기능 평가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의 표 1에 나타내었다.
< 표 1 > 건축물 내장재의 기능 평가 실험 결과
구 분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
탈취력 1 2 3 3 4 4 5
음이온 600개/cc
1) 탈취력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건축물 내장재에 대한 탈취력 실험을 실시하였다. 상기 탈취력 실험은 상기 건축물 내장재의 일부를 냉장고에 넣어둔 상태로 1주일 동안 냉장고 내부의 냄새를 후각을 이용하여 판단하였고, 냄새 호전에 대한 평가를 5단계로 나눠 평가하였다. 즉, 무취한 단계는 5로 나타내었고, 악취 발생단계는 1로 나타내었다.
이러한 탈취력 측정 실험 결과, 본 발명의 건축물 내장재는 우수한 탈취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음이온 방출량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형성된 건축물 내장재의 음이온 방출량을 음이온 측정기[Com-3010 Pro, Com System, 일본]를 이용하여 계측하였다.
이러한 음이온 방출량 측정 실험 결과, 본 발명의 건축물 내장재는 600개/㏄의 음이온을 방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천연재료를 이용한 내장재용 조성물 및 건축물 내장재는 음이온을 다량 방출하며, 탈취력이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통해 그 물성의 우수성이 입증되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의해서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연재료를 이용한 건축물 내장재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연재료를 이용한 건축물 내장재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천연재료를 이용한 건축물 내장재를 나타내는 도이다.

Claims (8)

  1. 물 100 중량부,
    운모 60 내지 70 중량부;
    산청토 20 내지 30 중량부; 및
    백자토 10 내지 20 중량부;
    를 포함하는 천연재료를 이용한 건축물 내장재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모가 견운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재료를 이용한 건축물 내장재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 내장재용 조성물에 10 내지 20 중량부의 귀양석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재료를 이용한 건축물 내장재용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 내장재용 조성물에 1 내지 2 중량부의 유산소다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재료를 이용한 건축물 내장재용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건축물 내장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천연재료를 이용한 건축물 내장재.
  6. 물 100 중량부, 운모 60 내지 70 중량부, 산청토 20 내지 30 중량부 및 백자토 10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교반하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단계를 통해 생성된 혼합물을 15 내지 25℃에서 24 내지 30시간 동안 숙성하는 숙성단계;
    상기 숙성단계를 통해 숙성된 혼합물을 성형틀에 삽입한 후 건조하는 성형단계;
    상기 성형단계를 통해 건조된 혼합물을 600 내지 700℃로 16 내지 24시간 동안 가열한 후 8 내지 12시간 동안 상온까지 자연 냉각시키는 초벌구이단계; 및
    상기 초벌구이단계를 통해 초벌구이한 혼합물을 1,000 내지 1,800℃로 8 내지 12시간 동안 가열한 후 상온까지 자연 냉각시키는 재벌구이단계를 포함하는 천연재료를 이용한 건축물 내장재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단계의 혼합물이 10 내지 20 중량부의 귀양석, 1 내지 2 중량부의 유산소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재료를 이용한 건축물 내장재의 제조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단계의 건조는 일광건조법으로 2 내지 3일 동안 수행되거나, 90 내지 110℃의 온도로 1 내지 5 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재료를 이용한 건축물 내장재의 제조방법.
KR1020080014169A 2008-02-15 2008-02-15 천연재료를 이용한 건축물 내장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내장재의 제조방법 KR100919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169A KR100919954B1 (ko) 2008-02-15 2008-02-15 천연재료를 이용한 건축물 내장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내장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169A KR100919954B1 (ko) 2008-02-15 2008-02-15 천연재료를 이용한 건축물 내장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내장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720A true KR20090088720A (ko) 2009-08-20
KR100919954B1 KR100919954B1 (ko) 2009-10-01

Family

ID=41207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4169A KR100919954B1 (ko) 2008-02-15 2008-02-15 천연재료를 이용한 건축물 내장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내장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99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0568A (ko) * 2018-10-10 2020-04-20 유미숙 분청혼합소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6885B1 (ko) * 1998-09-24 2001-10-27 김선국 원적외선 방사체 세라믹스 및 그 제조방법
KR100802083B1 (ko) * 2005-10-21 2008-02-11 주식회사 코인엠엔씨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스의 제조방법.
KR20070046254A (ko) * 2005-10-29 2007-05-03 조성휘 도전성 천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세라믹 바닥재
KR100709064B1 (ko) * 2006-04-07 2007-04-18 주식회사 대성아이디 도자 블록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0568A (ko) * 2018-10-10 2020-04-20 유미숙 분청혼합소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9954B1 (ko) 200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167287A (ja) 多孔性焼成物
CN106396618A (zh) 一种还原气氛烧制高温亚光紫金釉瓷的制造方法
KR20050110849A (ko) 원적외선 황토 도자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19954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건축물 내장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내장재의 제조방법
KR102232816B1 (ko) 친환경 게르마늄 힐링타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타일
KR101145174B1 (ko) 고풍스러운 느낌을 주는 점토벽돌과 점토바닥벽돌 및 그 제조방법
KR101215068B1 (ko) 유골 성형물의 제조방법
KR101891370B1 (ko) 천연석 외관을 구현하는 다공성 세라믹 타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77953B1 (ko) 숯이 포함된 천정 마감용 황토패널 제조방법 및 그 황토패널
KR20150063653A (ko) 숯이 내장된 경량 황토 내외장재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20090129636A (ko) 친환경 황토를 이용한 벽돌 및 비석, 경계석 제조방법
KR100842942B1 (ko) 숯 타일 제조방법 및 숯 타일 유약
KR100629992B1 (ko)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 특성을 구비한 분청 성형물 및이의 제조방법
KR20140008682A (ko) 황토 숯 보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0736191B1 (ko) 건축물 내장재
KR100674196B1 (ko) 황토 타일 및 황토 타일 제조 방법
KR100837495B1 (ko) 음 이온을 방출하는 인체에 유익한 몰딩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06682A (ko) 건축 내장용 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12600A (ko) 백토와 천연 소재를 이용한 건강 모르타르와 건강 모르타르 패널의 제조방법
KR101233075B1 (ko) 시트 몰딩 컴파운드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시트 몰딩 컴파운드를 이용한 친환경 욕실 천장재의 설치 방법
KR20130101599A (ko) 숯가루를 함유한 침대용 황토보드의 제조방법
KR100983695B1 (ko) 숯과 황토를 주성분으로 하는 판재의 제조방법
KR200358013Y1 (ko)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 특성을 구비한 분청 성형물
KR100799929B1 (ko) 황토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84790A (ko) 건축용 마감재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축용 마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