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5380A -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5380A
KR20090045380A KR1020097006056A KR20097006056A KR20090045380A KR 20090045380 A KR20090045380 A KR 20090045380A KR 1020097006056 A KR1020097006056 A KR 1020097006056A KR 20097006056 A KR20097006056 A KR 20097006056A KR 20090045380 A KR20090045380 A KR 20090045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housing
key
substrat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6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0030B1 (ko
Inventor
시로 아리타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45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5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2003/0293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with an integrated touch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소형화하면서 센서의 감지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휴대 전화기(1)는 하우징 개구(2h)를 갖는 제 1 하우징(2)과, 제 1 하우징(2)의 내부에 배치되는 커넥터(67)와, 커넥터(67)를 덮도록 하우징 개구(2h)에 대향해서 배치된 보강 프레임(31)과, 보강 프레임(31) 중 하우징 개구(2h)에 대향하는 면에 배치된 센서 기판(39)과, 센서 기판(39)의 하우징 개구(2h)에 대향하는 면에 마련되는 터치 센서 전극(47)을 구비하고, 보강 프레임(31)은 터치 센서 전극(47) 및 커넥터(67)에 대응하는 영역에 오목부(31d)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전자 기기{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 음악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프린터 등의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서는 터치 센서를 구비한 휴대 전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터치 센서는, 예컨대 손가락이 터치 센서에 근접하면, 터치 센서 주위의 전계가 변화되고, 터치 센서의 정전 용량이 변화되는 것을 이용하여 조작의 유무를 검출한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표 특허 공보 제 2005-522797 호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터치 센서를 휴대 전자 기기와 같은 소형의 전자 기기에 조립하면, 터치 센서의 근방에 유전율이 높은 금속 등의 부재가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이들의 부재가 터치 센서의 주위의 전계에 영향을 미쳐서 터치 센서의 오동작이나 감지 능력의 저하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오동작이나 감지 능력의 저하는 유전율이 높은 부재와 터치 센서의 거리를 떼어놓는 것으로 해소할 수 있지만, 이 경우 전자 기기가 대형화한다.
따라서, 소형화하면서 센서의 감지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 기기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개구부를 갖는 케이스 부재와, 상기 케이스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자 부품과, 상기 전자 부품을 덮도록 상기 개구부에 대향해서 배치되는 프레임 부재와, 상기 프레임 부재의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면에 배치된 제 1 회로 기판과, 상기 제 1 회로 기판의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면에 마련되는, 정전 용량식의 터치 센서를 위한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부재는 상기 전극과 상기 전자 부품의 적어도 한쪽에 대응하는 영역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 부재는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 내에 상기 프레임 부재보다도 작은 유전율을 갖는 중실(中實)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목부는 상기 프레임 부재의 상기 제 1 회로 기판이 배치되는 측의 면에 형성되고, 상기 중실 부재는 그 표면이 상기 면과 동일 평면이 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회로 기판의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면에 배치되는 스위치 부재와, 상기 개구부로부터 노출해서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부재와 상기 전극에 대향해서 배치되는 조작 부재를 더 갖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프레임 부재의 상기 스위치 부재에 대응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 부재는 상기 전자 부품으로부터 상기 개구부측으로 이간해서 배치되는 판형상부를 갖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판형상부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목부는 상기 판형상부의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측의 면의 상기 전극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목부는 상기 판형상부의 상기 전자 부품에 대향하는 측의 면의 상기 전자 부품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에 대향한 위치에 상기 전자 부품이 배치되는 제 2 회로 기판을 갖고, 상기 프레임 부재는 상기 제 2 회로 기판의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측의 면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 기기를 소형화하면서 센서의 감지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휴대 전화기의 제 1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제 1 하우징에 있어서의 트림 플레이트(trim plate)의 배치 방법을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제 1 하우징에 있어서의 센서 기판의 배치 방법을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제 1 하우징에 있어서의 프레임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2의 제 1 하우징에 있어서의 링 키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2의 제 1 하우징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8은 도 7의 (b)의 영역 Ⅷ의 확대도,
도 9는 도 8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및 도 7의 (c)의 영역 IXb의 확대도,
도 10은 도 7의 (a)의 Xa-Xa선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 및 도 7의 (a)의 Xb-Xb선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
도 11은 도 2의 제 1 하우징에 있어서의 링 키 내연(內緣)에 있어서의 방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도 2의 제 1 하우징에 있어서의 링 키의 조명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도 1의 휴대 전화기의 신호 처리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부호의 설명
1 : 휴대 전화기(전자 기기) 2 : 제 1 하우징(케이스 부재)
2' : 제 3 하우징(케이스 부재) 2h : 하우징 개구(개구부)
7 : 링 키(조작 부재)
7c : 경사면[챔퍼링된 면(chamfered surface)]
23 : 리어 케이스 23h : 케이스 개구
25 : 장식 패널(커버 부재) 25h : 패널 개구(커버 개구)
27 : 표시용 기판(제 2 회로 기판)
29 : 서브 표시 장치(표시 소자, 표시 장치)
29a : 표시면
31 : 보강 프레임(프레임 부재) 31a : 판형상부
31d : 오목부 31h : 프레임 개구
35 : 트림 플레이트(장식 부재, 투광 부재)
39 : 센서 기판(제 1 회로 기판) 39h : 기판 개구
41 : 키 시트(key sheet)(시트 부재) 41c : 피협지부
41d : 접촉부 45 : 돔 스위치(택트 스위치)
45a : 가동 접점(스위치 부재) 45c : 고정 접점(스위치 부재)
47 : 터치 센서 전극
48 : 터치 센서(정전 용량식 센서) 67 : 커넥터(전자 부품)
69 : IC(전자 부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로서의 휴대 전화기(1)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도 1의 (a)는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의 (b)는 폐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휴대 전화기(1)는 이른바 접기식(flip-open type)의 휴대 전화기로서 구성되어 있고,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의 사이에서 서로 회동(回動)가능하게 연결된 제 1 하우징(2) 및 제 2 하우징(3)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하우징(2) 및 제 2 하우징(3)은 각각의 단부가 회동의 중심이 되는 연결부(4)에 의해 연결되는 것에 의해 휴대 전화기(1) 전체의 하우징을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제 1 하우징(2) 및 제 2 하우징(3)은 각각 대략 박형(薄型)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폐쇄 상태에서는 서로 겹쳐져서 상호의 윤곽이 대략 일치한다.
제 1 하우징(2)은 폐쇄 상태에 있어서 제 2 하우징(3)과 대향하는 대향면(2a) 및 그 배면이 되는 배면(2b)을 갖고 있다. 제 1 하우징(2)에는, 예컨대 대향면(2a)에 개구하는 도시하지 않는 방음구로부터 방음하는 통화용의 스피커(107)(도 13 참조), 대향면(2a)에 화상이나 문자를 표시하는 메인 표시부(6)(도 8 참조), 배면(2b)에 화상이나 문자를 표시하는 서브 표시부(5), 서브 표시부(5)의 외주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접수하는 링 키(조작 부재)(7), 배면(2b)으로부터 촬상하는 촬상부(9), 배면(2b)측을 조명하는 플래쉬(11)가 마련되어 있다.
배면(2b)에는 하우징 개구(2h)가 형성되어 있다. 링 키(7)는 하우징 개구(2h)로부터 노출하고 있다. 서브 표시부(5)는 링 키(7)의 키 개구(7h)로부터 노출하고 있다. 하우징 개구(2h), 키 개구(7h)의 형상은 예컨대 원형이다.
제 2 하우징(3)은 폐쇄 상태에 있어서 제 1 하우징(2)과 대향하는 대향면(3a) 및 그 배면이 되는 배면(3b)을 갖고 있다. 제 2 하우징(3)에는, 예컨대 대향면(3a)에 개구하는 도시하지 않는 수음구로부터 수음하는 통화용의 마이크로폰(108)(도 13 참조), 전파를 이용한 무선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송수신용의 내장 안테나(105)(도 13 참조), 대향면(3a)에 배열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접수하는 도시하지 않는 다이얼키가 마련되어 있다.
도 2는 제 1 하우징(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의 지면 상방측이 배면(2b) 측이고, 지면 하방측이 대향면(2a)측이다.
제 1 하우징(2)은 대향면(2a)을 구성하는 프론트 케이스(21)와, 프론트 케이스(21)의 사이에 여러가지 전자 부품 등을 수납하도록 프론트 케이스(21)와 고정되는 리어 케이스(23)와, 리어 케이스(23)에 덮여 배면(2b)을 구성하는 장식 패널(25)을 갖고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2)은 프론트 케이스(21)와 리어 케이스(23)를 갖는 제 3 하우징(2')에 장식 패널(25)이 덮여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프론트 케이스(21)와 리어 케이스(23)의 사이에는, 프론트 케이스(21)측으로부터, 메인 표시 장치(49), 표시용 기판(27), 서브 표시 장치(29), 보강 프레임(31), 양면 테이프(33), 트림 플레이트(투광 부재)(35), 양면 테이프(37), 센서 기판(39)이 순차로 적층적으로(엄밀하게는 일부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리어 케이스(23)와 장식 패널(25)의 사이에는, 키 시트(41)와 링 키(7)가 적층적으로 일체화되어서 배치되어 있다. 센서 기판(39)의 리어 케이스(23)측의 장착면(39a)에는 링 키(7)를 거쳐서 사용자의 조작을 검출하는 복수의 돔 스위치(45)나 터치 센서 전극(47), 링 키(7)를 조명하는 발광 소자(5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서브 표시 장치(29) 및 트림 플레이트(35)는 서브 표시부(5)를 구성하고 있다.
프론트 케이스(21), 리어 케이스(23) 및 장식 패널(25)은 예를 들면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프론트 케이스(21)와 리어 케이스(23)는, 예컨대 일방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는 나사 보스에 타방에 삽입통과된 도시하지 않는 나사가 나사결합되어 있는 것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프론트 케이스(21)와 리어 케이스(23)가 서로 고정되는 것에 의해, 메인 표시 장치(49), 표시용 기판(27), 서브 표시 장치(29), 보강 프레임(31) 및 센서 기판(39)은 서로 적층된 상태(엄밀하게는 일부 병렬로 배치된 상태)에서, 프론트 케이스(21)와 리어 케이스(23)에 협지(挾持)된다.
메인 표시 장치(49)는 예를 들면 유기 EL 디스플레이나 액정 표시 디스플레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메인 표시 장치(49)는 메인 표시부(6)를 구성하고, 프론트 케이스(21)의 대향면(2a)의 내측면에 대향하는 표시면(49a)(도 8 참조)을 갖고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메인 표시 장치(49)의 배면의 일부가 표시용 기판(27)의 기판 개구(27h)로부터 노출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표시용 기판(27)은 예를 들면 수지를 베이스로 한 프린트 배선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표시용 기판(27)에는 메인 표시 장치(49)나 서브 표시 장치(29)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 등이 마련되어 있다.
표시용 기판(27)은 프론트 케이스(21)나 리어 케이스(23)의 측면 내측이나, 프론트 케이스(21)나 리어 케이스(23)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는 보스에 접촉함으로써, 프론트 케이스(21)나 리어 케이스(23)에 대하여 장착면을 따르는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표시용 기판(27)은 프론트 케이스(21) 측의 장착면이 프론트 케이스(21)의 내측면에 마련된 리브나 메인 표시 장치(49)의 배면에 접촉하고, 리어 케이스(23) 측의 장착면이 보강 프레임(31)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프론트 케이스(21)나 리어 케이스(23)에 대하여 장착면에 직교하는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서브 표시 장치(29)는 예를 들면 유기 EL 디스플레이나 액정 표시 디스플레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서브 표시 장치(29)는 하우징 개구(2h)에 대향하는 표시면(29a)을 갖고 있다. 서브 표시 장치(29)는 예를 들면 박형의 직육면체 형상이다. 표시면(29a)은 예를 들면 직사각형이다. 서브 표시 장치(29)는 표시용 기판(27)에 마련된 기판 개구(27h)에 끼워맞춤 삽입되고, 서브 표시 장치(29)의 배면은 메인 표시 장치(49)의 배면에 접촉한다.
도 3은 트림 플레이트(35)의 배치 방법을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트림 플레이트(35)는 서브 표시 장치(29)의 표시면(29a)을 먼지나 물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마련되는 투광 부재이다.
종래의 휴대 전화기에서는 서브 표시부의 주위에 링 키는 마련되어 있지 않고, 트림 플레이트는 리어 케이스의 개구를 막도록 리어 케이스에 직접 고정된다. 그러나, 휴대 전화기(1)에서는 서브 표시부(5)의 주위에 링 키(7)가 배치되는 것으로부터, 트림 플레이트(35)와 하우징 개구(2h)의 사이에 링 키(7)를 배치하기 위한 간극을 마련해야만 하고, 트림 플레이트(35)를 리어 케이스(23) 또는 장식 패널(25)에 직접 고정하는 것은 어렵다.
그래서, 휴대 전화기(1)는 리어 케이스(23)와 서브 표시 장치(29)의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 프레임(31)에 트림 플레이트(35)를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보강 프레임(31)을 프론트 케이스(21)와 리어 케이스(23)에 의해 협지함으로써, 간접적으로 트림 플레이트(35)를 리어 케이스(23)에 대하여 고정하고 있다.
도 4는 센서 기판(39)의 배치 방법을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센서 기판(39)에는 기판 개구(39h)가 형성되어 있다. 기판 개구(39h)는 예컨대 트림 플레이트(35)를 끼워넣음 가능한 형상(예컨대 대략 원형)이다. 센서 기판(39)은 트림 플레이트(35)를 기판 개구(39h)에 삽입시키면서, 보강 프레임(31)의 하우징 개구(2h)에 대향하는 면에 적층된다. 따라서, 트림 플레이트(35)를 거쳐 서브 표시 장치(29)의 표시면(29a)을 노출시키면서, 리어 케이스(23)의 내측면에 대향해서 센서 기판(39)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꿔 말하면, 표시면(29a)을 노출시키면서, 링 키(7)에 대향하여 돔 스위치(택트 스위치)(45)나 터치 센서 전극(47)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에서는 보강 프레임(31), 트림 플레이트(35), 센서 기판(39)의 조합을 프레임 어셈블리(51)라고 하는 일이 있다.
도 5는 프레임 어셈블리(5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에 있어서, 지면 상방측이 프론트 케이스(21)측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프레임 어셈블리(51)의 상세를 설명한다.
보강 프레임(31)은 예를 들면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강 프레임(31)은 표시용 기판(27)이나 표시면(29a)에 대향하는 판형상부(31a)와, 판형상부(31a)로부터 표시용 기판(27) 측으로 돌출하는 리브(31b)를 갖고 있다.
판형상부(31a)는 예를 들면 서브 표시 장치(29)보다도 넓은 면적을 갖고 있고, 표시용 기판(27)의 대부분을 덮고 있다. 판형상부(31a)에는 표시면(29a)을 하우징 개구(2h)측에 노출시키기 위한 프레임 개구(31h)(도 5)가 형성되어 있다. 프 레임 개구(31h)는 예를 들면 직사각형으로 하고 있지만 적절히 필요에 따라 원형이나 타원형으로 해도 상관없다.
리브(31b)는 표시용 기판(27)에 접촉하고, 표시용 기판(27)과 판형상부(31a)의 사이에 전자 부품 등을 배치가능한 스페이스를 형성한다(도 8 참조). 리브(31b)는, 예컨대 서브 표시 장치(29)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연장하고 있다. 또한, 리브(31b)는 판형상부(31a)의 외주연의 일부를 따르도록 연장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형상부(31a)는 하우징 개구(2h) 측에 트림 플레이트(35)와 대략 동일 형상(예컨대, 대략 원형)의 오목부(31e)를 갖고 있다. 오목부(31e)의 깊이는 양면 테이프(33)의 두께보다도 크고, 양면 테이프(33)의 두께와 트림 플레이트(35)의 두께를 가산한 두께보다도 작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형상부(31a)의 서브 표시 장치(29)측의 면에는 더스트 시트(dust sheet)(43)가 배치된다. 더스트 시트(43)는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탄성 부재는 예컨대 스폰지, 고무이다. 더스트 시트(43)에는 프레임 개구(31h)와 대략 동일 형상의 시트 개구(43h)가 형성되어 있다. 더스트 시트(43)의 외연은 서브 표시 장치(29)와 대략 동일 형상(예컨대, 직사각형)이고, 서브 표시 장치(29)를 둘러싸는 리브(31b)에 의해 보강 프레임(31)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어 있다.
도 2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면 테이프(33)는, 예컨대 외연의 형상은 트림 플레이트(35)의 외연과 대략 동일 형상(예컨대, 대략 원형)이고, 프레임 개구(31h)와 대략 동일 형상(예컨대, 대략 직사각형)의 테이프 개구(33h)를 갖고 있다. 양면 테이프(33)는, 예컨대 고무 등의 탄성 부재에 접착제가 도포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트림 플레이트(35)는 예를 들면 투광성을 갖는 수지, 유리, 세라믹스, 단결정체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트림 플레이트(35)의 형상은 예를 들면 원반형상이다. 트림 플레이트(35)의 직경은 하우징 개구(2h)보다도 작고, 트림 플레이트(35)와 하우징 개구(2h)의 사이에는 링 키(7)를 배치가능한 간극이 형성된다. 트림 플레이트(35)의 외주면에는 위치 결정 돌기부(35d)(도 5)가 반경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도 2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면 테이프(37)는, 예컨대 외연의 형상은 센서 기판(39)의 일부와 대략 동일 형상[예를 들면, 센서 기판(39)과 3변이 일치하는 직사각형)이고, 후술하는 기판 개구(39h)와 대략 동일 형상(예컨대, 대략 원형)의 테이프 개구(37h)를 갖고 있다. 양면 테이프(37)는, 예컨대 고무 등의 탄성 부재에 접착제가 도포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센서 기판(39)은 예를 들면 수지를 베이스로 한 프린트 배선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기판 개구(39h)의 직경은 트림 플레이트(35)보다도 크고, 하우징 개구(2h)보다도 작다. 돔 스위치(45), 터치 센서 전극(47) 및 발광 소자(53)는 기판 개구(39h)의 주위에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돔 스위치(45)는 제 1 하우징(2)의 길이 방향[연결부(4) 측의 단부로부터 반대측의 단부로의 방향]에 있어서 기판 개구(39h)의 양측에 2개, 제 1 하우징(2)의 짧은 쪽 방향에 있어서 기판 개구(39h)의 양측에 2개, 합계 4개가 마 련되어 있다. 발광 소자(53)는 돔 스위치(45)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합계 4개가 마련되어 있다. 터치 센서 전극(47)은 돔 스위치(45)와 발광 소자(53)의 사이에 각각 1개씩, 합계 8개가 마련되어 있다. 즉, 돔 스위치(45) 및 터치 센서 전극(47)은 기판 개구(39h)를 둘러싸도록 교대로 복수 배열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 요소를 갖는 프레임 어셈블리(51)에서는, 보강 프레임(31)과 트림 플레이트(35)는 양면 테이프(33)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이 때, 트림 플레이트(35)는 보강 프레임(31)의 오목부(31e)에 끼워맞춤 삽입되어서 보강 프레임(31)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트림 플레이트(35)의 둘레 방향의 위치 결정은 돌기부(35d)가 오목부(31e)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우묵한 곳에 끼워맞춤됨으로써 실행된다.
또한, 보강 프레임(31)과 센서 기판(39)은 양면 테이프(37)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이 때, 센서 기판(39)은 트림 플레이트(35)가 기판 개구(39h)에 삽입되어서 위치 결정된다. 트림 플레이트(35)의 둘레방향의 위치 결정은 돌기부(35d)가 기판 개구(39h)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우묵한 곳에 끼워맞춤됨으로써 실행된다.
또한, 보강 프레임(31)에 센서 기판(39)을 고정한 후에 트림 플레이트(35)를 고정해도 좋다. 오목부(31e)는 양면 테이프(33)의 두께와 동등한 깊이만을 갖고, 트림 플레이트(35)는 오목부(31e)에 의해 위치 결정되지 않아도 좋다.
도 6은 링 키(7)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리어 케이스(23)는 배면과 배면의 주위를 둘러싸는 경사진 측면을 갖는 대략 상자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어 케이스(23)의 배면측에는 장식 패널(25)이 끼워맞춤되는 패널용 오목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패널용 오목부(23a)의 깊이는 예컨대 장식 패널(25)의 두께와 동등하다. 패널용 오목부(23a)의 바닥부에는 키 시트(41)가 끼워맞춤되는 시트용 오목부(23b)가 형성되어 있다. 시트용 오목부(23b)의 깊이는 예를 들면 키 시트(41)의 두께와 동등하다. 시트용 오목부(23b)의 바닥부에는 서브 표시 장치(29)의 표시면(29a)을 노출시키기 위한 케이스 개구(23h)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개구(23h)는 예를 들면 원형이다. 또한, 시트용 오목부(23b)의 바닥부 중 케이스 개구(23h)의 주위에는 키 시트(41)측에 돌출하는 위치 결정 돌기부(23c)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키 시트(41)는 예를 들면 투광성을 갖는 실리콘 고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키 시트(41)는 예를 들면 둥근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키 시트(41)에는 서브 표시 장치(29)의 표시면(29a)을 노출시키기 위한 시트 개구(41h)가 형성되어 있다. 시트 개구(41h)는 예를 들면 원형이다. 키 시트(41) 중 링 키(7)의 설치 위치보다도 외주측에는, 위치 결정 구멍부(41a)가 복수 마련되어 있다. 위치 결정 구멍부(41a)는 예컨대 4개의 모서리에 마련되어 있다.
장식 패널(25)은 예를 들면 리어 케이스(23)의 배면 전체 및 연결부(4)와 반대측 단부(도 6의 지면 좌측)의 측면을 덮는 크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식 패널(25)의 배면은 제 1 하우징(2)의 배면(2b)을 구성한다. 장식 패널(25)에는 서브 표시 장치(29)의 표시면(29a)을 노출시키기 위한 패널 개구(25h)가 형성되어 있다. 패널 개구(25h)는 예를 들면 원형이다.
링 키(7)는 예를 들면 ABS(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틸렌), PC(폴리카보 네이트) 등의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링 키(7)는 키 시트(41)의 장식 패널(25)측의 면에 키 개구(7h)와 시트 개구(41h)가 겹치도록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키 시트(41)는 위치 결정 구멍부(41a)에 리어 케이스(23)의 위치 결정 돌기부(23c)가 삽입되어서 위치 결정되면서, 리어 케이스(23)의 시트용 오목부(23b) 내에 배치된다. 장식 패널(25)은 리어 케이스(23)의 패널용 오목부(23a)에 끼워맞춤되어서 위치 결정되는 동시에, 접착제에 의해 리어 케이스(23)에 대하여 고정된다. 키 시트(41)는 리어 케이스(23)와 장식 패널(25)에 의해 협지된다. 링 키(7)는 패널 개구(25h)로부터 노출한다. 또한, 케이스 개구(23h) 및 패널 개구(25h)는 하우징 개구(2h)를 구성한다.
도 7의 (a)는 제 1 하우징(2)의 평면도이고, 도 7의 (b)는 도 7의 (a)의 Ⅶb-Ⅶb선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이며, 도 7의 (c)는 도 7의 (a)의 Ⅶc-Ⅶc선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7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론트 케이스(21)에는 제 2 하우징(3) 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21a)는 제 2 하우징(3)의 단부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는 절결부(recess)에 끼워맞춤되어 연결부(4)를 구성한다.
도 8은 도 7의 (b)의 영역 Ⅷ의 확대도이다.
메인 표시 장치(49)의 표시면(49a) 측(도 8의 지면 하방측)에는 표시면(49a)을 보호하기 위한 투광성을 갖는 트림 플레이트(61)가 배치되어 있다. 메인 표시 장치(49)의 배면측(도 8의 지면 상방측)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용 기판(27) 및 서브 표시 장치(29)가 배치되어 있다.
서브 표시 장치(29)의 표시면(29a) 상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더스트 시트(43), 보강 프레임(31), 양면 테이프(33), 트림 플레이트(35), 양면 테이프(37)(도 8에서는 도시하지 않음), 센서 기판(39), 리어 케이스(23), 키 시트(41), 링 키(7), 장식 패널(25)이 적층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단지, 양면 테이프(33) 및 트림 플레이트(35)는 센서 기판(39), 리어 케이스(23), 키 시트(41), 장식 패널(25)에 대하여 병렬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표시면(29a)은 이들의 각 부재에 형성된 시트 개구(43h), 프레임 개구(31h), 테이프 개구(33h), 테이프 개구(37h)(도 8에서는 도시하지 않음), 기판 개구(39h), 케이스 개구(23h), 시트 개구(41h)[하우징 개구(2h)], 키 개구(7h), 패널 개구(25h)[하우징 개구(2h)]와, 투광성을 갖는 트림 플레이트(35)를 거쳐서 제 1 하우징(2)의 배면측에 노출한다.
도 9의 (a)는 도 8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9의 (b)는 도 7의 (c)의 영역 IXb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10의 (a)는 도 7의 (a)의 Xa-Xa선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10의 (b)는 도 7의 (a)의 Xb-Xb선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이다.
기판 개구(39h)는 트림 플레이트(35)보다도 직경이 크고, 케이스 개구(23h)보다도 직경이 작다. 따라서, 센서 기판(39)은, 기판 개구(39h)의 주위에, 트림 플레이트(35)의 가장자리와 케이스 개구(23h)의 가장자리의 사이에 위치하는 환형상 영역(39c)을 갖고 있다.
도 9의 (a) 및 도 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돔 스위치(45)는 센서 기 판(39)의 장착면(39a) 중 환형상 영역(39c)에 마련되어 있다. 돔 스위치(45)는 돔 형상의 판금으로 이루어지는 가동 접점(45a)을 갖고 있다. 가동 접점(45a)의 가장자리(45b)는 센서 기판(39)의 도전 패턴과 접속되어 있다. 센서 기판(39) 중 가동 접점(45a)의 중앙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고정 접점(45c)이 마련되어 있다. 가동 접점(45a)은 그 돌출 방향에 대항하여 가압되면, 반전해서 클릭감을 발생시키면서 고정 접점(45c)에 접촉한다. 이로써 돔 스위치(45)는 온(on) 된다. 가압이 해제되면, 가동 접점(45a)은 그 복원력에 의해 고정 접점(45c)으로부터 멀어지고, 돔 스위치(45)는 오프(off) 된다.
도 10의 (a) 및 도 1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전극(47)은 센서 기판(39)의 환형상 영역(39c) 및 환형상 영역(39c)의 외주측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다. 터치 센서 전극(47)은 예를 들면 정전 용량식의 터치 센서(48)(도 13 참조)를 구성하는 전극이다. 터치 센서 전극(47)은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센서 기판(39)을 따라 배치되는 제 1 전극과, 제 1 전극과 유전체를 거쳐서 대향 배치되는 제 2 전극을 갖고 있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센서 전극(47)에 가까이 가면, 사용자의 손가락이 어스(earth)로서(또는 유전체로서) 기능함으로써, 제 1 전극과 제 2 전극간의 정전 용량이 변화된다. 터치 센서(48)는 그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을 검출한다. 또한,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출하는 회로는 예컨대 기판(39)의 적절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도 9의 (a), 도 9의 (b), 도 10의 (a) 및 도 1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키 시트(41)는 센서 기판(39)의 환형상 영역(39c)의 외주측의 대부분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키 시트(41)의 외연은 리어 케이스(23)의 케이스 개구(23h)보다도 외주측에 위치하고, 키 시트(41)의 내연은 기판 개구(39h)의 외주측이며 돔 스위치(45)나 터치 센서 전극(47)보다도 내주측에 위치하고 있다.
키 시트(41)의 외연측에는 리어 케이스(23)의 시트용 오목부(23b)의 바닥부와 장식 패널(25)의 사이에 협지되는 피협지부(41c)가 형성되어 있다. 피협지부(41c)는 케이스 개구(23h) 및 패널 개구(25h)의 외주에 걸쳐서 협지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피협지부(41c)는 케이스 개구(23h) 및 패널 개구(25h)를 둘러싸도록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피협지부(41c)는 장식 패널(25) 측으로 돌출하도록 두툼하게 형성되어 있다. 피협지부(41c)의 두께는 예를 들면 0.2mm이다. 또한, 도면에서는 피협지부(41c)는 장식 패널(25)과 이간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장식 패널(25)과 밀착한다.
키 시트(41)의 내연측에는, 기판 개구(39h)의 외주측이고 돔 스위치(45)나 터치 센서 전극(47)보다도 내주측의 위치에서 센서 기판(39)의 장착면(39a)에 접촉하는 접촉부(41d)가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41d)는 센서 기판(39) 측으로 돌출하도록 두툼하게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41d)는 기판 개구(39h)를 둘러싸도록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41d)는 링 키(7)와 겹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피협지부(41c)와 접촉부(41d)의 사이의 피복부(41e)는 돔 스위치(45), 터치 센서 전극(47) 및 발광 소자(53)를 덮고 있다. 피복부(41e)는 접촉부(41d) 및 피협지부(41c)와 센서 기판(39) 사이의 리어 케이스(23)가 스페이서로서 기능하는 것에 의해, 센서 기판(39)의 장착면(39a)으로부터 이간되어 있다.
도 9의 (a) 및 도 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복부(41e) 중 돔 스위치(45)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돔 스위치(45)의 가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가압자(41b)가 형성되어 있다. 가압자(41b)는 돔 스위치(45) 측으로 돌출하여 두툼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0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전극(47)의 배치 위치에는 가압자(41b)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도 9의 (a), 도 9의 (b), 도 10의 (a) 및 도 1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키(7)는 패널 개구(25h)로부터 노출하는 노출면(7a)을 갖고 있다. 도 6, 도 9의 (a), 도 10의 (a) 및 도 1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출면(7a)은 외주측의 정상면(7b)과, 내주측의 경사면(7c)을 갖고 있다. 또한, 도 9의 (b)에서는 노출면(7a)에 마련되어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홈 때문에 정상면(7b) 및 경사면(7c)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9의 (a), 도 9의 (b), 도 10의 (a) 및 도 1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상면(7b)은 트림 플레이트(35)의 노출면(35a)보다도 케이스 외부측(지면 상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정상면(7b)은 제 1 하우징(2)의 배면(2b), 트림 플레이트(35), 센서 기판(39) 등에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9의 (a) 및 도 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상면(7b)의 외연[노출면(35a)의 외연], 바꿔 말하면 정상면(7b)의 스트로크가 가장 큰 위치는 가압자(41b) 및 돔 스위치(45)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도 9의 (a), 도 9의 (b), 도 10의 (a) 및 도 1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면(7c)은 트림 플레이트(35)의 노출면(35a)보다도 케이스 외부측(지면 상 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경사면(7c)은 내주측만큼 케이스 내부측에 위치하도록 경사하고 있다. 경사면(7c)은, 도 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돔 스위치(45)보다도 내주측에 위치하고 있고, 경사면(7c)에 가해지는 경사면(7c)에 직교하는 방향의 힘은 돔 스위치(45) 측에 전해지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경사면(7c)은 패널 개구(25h)로부터 노출하는 노출면으로서의 정상면(7b)과, 링 키(7)의 내주면의 모서리부에 마련된 챔퍼링된 면으로 생각할 수 있다.
도 9의 (a) 및 도 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키(7)의 외주측에는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랜지(7f)가 형성되어 있다(또한 도 12 참조). 플랜지(7f)는 장식 패널(25)의 패널 개구(25h)의 가장자리에 패널 내부측에서 맞물리고, 링 키(7)의 패널 개구(25h)로부터의 빠짐을 방지하는 빠짐 방지부(stopper)로서 기능한다. 플랜지(7f)는 가압자(41b)[돔 스위치(45)]의 배치 위치와 마찬가지로 4방에 배치되어 있다[도 12의 (a) 참조]. 가압자(41b)는 플랜지(7f)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9의 (a), 도 9의 (b), 도 10의 (a) 및 도 1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키(7)의 케이스 내부측의 면은 외주측의 고정면(7d)과, 내주측의 대향면(7e)을 갖고 있다. 링 키(7)는 고정면(7d)이 키 시트(41)의 피복부(41e)에 접착재나 양면 테이프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것에 의해, 키 시트(41)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대향면(7e)은 키 시트(41)의 접촉부(41d)와 대향하고 있다. 대향면(7e)은 고정면(7d)보다도 키 시트(41)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에(지면 상방측에) 위치하고 있 다. 즉, 링 키(7)의 키 시트(41)에 대향하는 면에는, 내주측이 외주측보다도 키 시트(41)로부터 이간하도록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대향면(7e)은 키 시트(41)와 소정의 간극으로 이간하고 있고, 링 키(7)는 접촉부(41d)에 의해 내리누름이 방해되기 어렵게 된다.
대향면(7e)은 트림 플레이트(35)의 노출면(35a)의 외주측의 부분과 대향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링 키(7)는 트림 플레이트(35)의 노출면(35a)의 외주부를 덮는 환형상의 중첩부(7g)를 갖고 있다. 대향면(7e)은 링 키(7)에 대하여 눌러넣음 조작이 이루어진 때에 트림 플레이트(35)의 노출면(35a)에 접촉한다. 이로써, 눌러넣음 조작시에 링 키(7)를 거쳐서 돔 스위치(45), 터치 센서 전극(47), 발광 소자(53)에 지나친 부하가 가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트림 플레이트(35)의 노출면(35a)은 노출면(35a)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정상면(35b)과, 그 외주측의 경사면(35c)을 갖고 있다. 정상면(35b)은 장식 패널(25)이나 센서 기판(39) 등에 평행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35c)은 외주측만큼 케이스 내부측에 위치하도록 경사하고 있다. 또한, 경사면(35c)은 패널 개구(25h)로부터 노출하는 노출면으로서의 정상면(35b)과, 트림 플레이트(35)의 내주면의 모서리부에 마련된 챔퍼링된 면으로 생각할 수 있다. 경사면(35c)은 링 키(7)에 대하여 눌러넣음 조작이 이루어진 때에 대향면(7e)이 접촉한다.
도 1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강 프레임(31)은 프론트 케이스(21)의 측면(21c)을 따르는 리브(31b)로부터, 측면(21c)을 향해서 돌출하는 맞물림부(31c)(또한 도 4 참조)를 갖고 있다. 한편, 측면(21c)의 내측면에는 맞물림 부(31c)에 맞물림 가능한 피맞물림부(21d)가 형성되어 있다. 피맞물림부(21d)는 측면(21c)의 내측면에 맞물림부(31c)의 돌기부가 수납되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어셈블리(51)는 맞물림부(31c) 및 피맞물림부(21d)가 맞물림으로써, 프론트 케이스(21)에 대하여 고정된다. 이 때, 더스트 시트(43)는 서브 표시 장치(29)의 표시면(29a)의 주위에 접촉한다. 즉, 서브 표시 장치(29)는 맞물림부(31c)가 피맞물림부(21d)에 맞물리고, 보강 프레임(31)이 프론트 케이스(21)에 대하여 고정되는 것에 의해, 보강 프레임(31)과 프론트 케이스(21)에 협지되어 있다.
도 11은 링 키(7)의 내주측의 방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1의 (a)는 링 키(7)의 주변의 확대도, 도 11의 (b)는 도 11의 (a)의 영역 XIb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키 시트(41)의 피복부(41e)의 케이스 외측 방향으로의 한계 위치(지면 상방측으로의 상한 위치)는 링 키(7)의 고정면(7d)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링 키(7)의 케이스 외측 방향으로의 한계 위치(지면 상방측으로의 상한 위치)는 플랜지(7f)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도 1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키 시트(41)는 제 1 하우징(2)에 부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내주측 부분이 센서 기판(39) 측으로 구부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구체적으로는, 피복부(41e)에는 접촉부(41d)가 센서 기판(39) 측에 위치하도록 굴곡부(41f)가 형성되어 있다. 굴곡부(41f)는, 예컨대 링 키(7)의 고정 면(7d)과 대향면(7e)의 경계 부근에 마련되어 있다.
굴곡부(41f)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접촉부(41d)는 피복부(41e) 중 고정면(7d)이 고정되는 부분으로부터의 돌출량이, 해당 고정되는 부분의 상한 위치와 센서 기판(39)의 장착면(39a)의 거리(DS1)보다도 커진다.
따라서, 도 11의 (b)에 있어서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2)에 부착되기 전에 굴곡하고 있었던 피복부(41e)는, 도 11의 (b)에 있어서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2)에 설치되면, 구부러짐을 교정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여, 복원력을 발행시킨다. 접촉부(41d)는 그 복원력을 바이어싱력(biasing force)으로 하여 센서 기판(39)에 가압된다.
또한, 접촉부(41d)의 피복부(41e)로부터의 돌출량과, 리어 케이스(23) 중 피협지부(41c)와 센서 기판(39)의 사이에 끼워지는 부분의 두께는 거리(DS1)와 동등 하게 설정되어 있고, 키 시트(41)가 제 1 하우징(2)에 부착되면, 피복부(41e)는 대략 평면 형상이 된다.
도 4 및 도 10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강 프레임(31)의 판형상부(31a)에는 터치 센서 전극(47)과 겹치는 위치에 오목부(31d)가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31d)는 복수의 터치 센서 전극(47) 중, 근방에 전자 부품이 배치되는 것에 대응해서 선택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도 4에서는 지면 우측의 터치 센서 전극(47)과 지면 좌측의 터치 센서 전극(47)에 대응해서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오목부(31d)는 모든 터치 센서 전극(47) 각각에 대응해서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오목부(31d)는 보강 프레임(31)의 판형상부(31a) 중 센서 기판(39)이 탑재되는 면에 있어서 이른바 우묵한 곳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1d) 내는 공동(空洞)으로 되어 있고, 공기가 존재하고 있다. 또한, 보강 프레임(31)을 형성하는 수지의 유전율(예를 들면, 2.0 내지 6.0)은 공기의 유전율(약 1.0)보다도 크다. 따라서, 보강 프레임(31)은 터치 센서 전극(47)과 겹치는 영역이 다른 영역과 비교해서 유전율이 낮아져 있고, 보강 프레임(31)에 대하여 터치 센서 전극(47)과는 반대측에 있어서의 전기 용량의 변화는 터치 센서 전극(47) 측의 전기 용량에 변화를 끼치기 어렵게 되어 있다.
표시용 기판(27)의 오목부(31d)와 겹치는 위치에는 전자 부품이 배치되어 있다. 전자 부품은 금속체 등의 비교적 유전율이 높은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도 4에서는 전자 부품으로서, 지면 우측의 오목부(31d)와 겹치는 위치에 커넥터(67)(또한 도 3 참조)가 지면 좌측의 오목부(31d)와 겹치는 위치에 IC(69)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10의 (a)에서는 전자 부품으로서 커넥터(67)를 예시하고 있다.커넥터(67)는 표시용 기판(27)과 제 2 하우징(3)의 도시하지 않는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것이고, 제 2 하우징(3)의 회로 기판으로부터 연장하는 도시하지 않는 신호선이 접속된다.
도 10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67)는 하우징 개구(2h)[케이스 개구(23h) 및 /또는 패널 개구(25h)]에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67)에는 지지 부재(71)가 덮여 있다. 지지 부재(71)는 보강 프레임(31)이나 커넥터(67)보다도 유전율이 낮은 부재이다. 지지 부재(71) 중 커넥터(67)와 보강 프레임(31)의 사이에 끼워지는 부분의 두께는 보강 프레임(31)에 하중이 걸려 있지 않은 경우의 커넥터(67)와 보강 프레임(31)의 거리와 동등하다. 따라서, 링 키(7)의 내리누름에 의해 센서 기판(39) 및 보강 프레임(31)이 표시용 기판(27) 측으로 휘어도 지지 부재(71)가 스페이서로서 기능하여, 터치 센서 전극(47)과 커넥터(67)의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지지 부재(71)는 커넥터(67)를 거치지 않고 표시용 기판(27)에 지지되어 있어도 좋다.
도 12는 발광 소자(53)에 의한 링 키(7)의 조명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2의 (a)는 링 키(7) 및 키 시트(41)의 평면도이며, 도 12의 (b)는 링 키(7)가 패널 개구(25h)로부터 노출한 상태에 있어서의 도 12의 (a)의 영역 XⅡb의 확대도이다.
발광 소자(53)는 예를 들면 LE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10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광 소자(53)는 링 키(7)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링 키(7)나 장식 패널(25)은 비투광성의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및/또는 비투광성의 도료가 도포되어 있다. 키 시트(41)는 투광성의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발광 소자(53)로부터의 광은 키 시트(41)를 거쳐서 링 키(7)의 외연(7k)과 패널 개구(25h)의 간극(65)으로부터 제 1 하우징(2)의 외부로 안내된다.
도 1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간극(65)은 플랜지(7f)에 가까이 갈수록 서서히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키(7)의 외연(7k)[간극(65)의 내연]은 플랜지(7f)가 마련되어 있는 이외의 영역에서는 완전한 원인 것에 대해, 패널 개구(25h)의 형상[간극(65)의 외연]은 완전한 원이 아니고, 플랜지(7f)에 가까이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7f)로부터 어느 정도 이간한 위치에서는 간극(65)이 일정한 폭으로 유지되어 있어도 좋다.
도 13은 휴대 전화기(1)의 신호 처리계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휴대 전화기(1)는 제어부(101), 통신 처리부(104), 음향 처리부(106) 및 화상 처리부(103)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101)는 조작부(111) 등의 각종 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고, 그 신호에 근거해서 소정의 연산을 실행하며, 화상 처리부(103), 통신 처리부(104), 음향 처리부(106) 등의 각종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 등의 각종의 신호를 각종 수단에 출력한다.
통신 처리부(104)는 고주파 회로를 포함해서 구성되고, 전파를 이용한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 제어부(101)에서 처리된 음성 데이터, 화상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변조하여, 안테나(105)를 거쳐서 송신한다. 또한, 통신 처리부(104)는 안테나(105)를 거쳐서 수신한 신호를 원상 회복해서 제어부(101)에 출력한다.
음향 처리부(106)는 제어부(101)로부터의 음향 데이터를 음향 신호로 변환해서 통화용의 스피커(107), 보지(報知)나 음악 재생용의 스피커(109)(또한 도 4 참조)에 출력한다. 음향 처리부(106)는 마이크로폰(108)으로부터의 음향 신호를 음향 데이터로 변환해서 제어부(101)에 출력한다.
화상 처리부(103)는 제어부(101)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화상 신호로 변환해 서 메인 표시 장치(49), 서브 표시 장치(29)에 출력한다. 또한, 촬상부(9)로부터 출력되는 촬상 신호(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포맷의 화상 데이터로 변환해서 제어부(101)에 출력한다.
조작부(111)는 돔 스위치(45) 및 터치 센서 전극(47)을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돔 스위치(45)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링 키(7)를 거쳐서 가압 조작이 이루어지면, 가동 접점(45a)이 고정 접점(45c)에 접촉해서 온 신호를 출력한다. 터치 센서 전극(47)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48)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링 키(7)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근접 또는 접촉하는 것에 의한 정전 용량의 변화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해당 신호는 정전 용량이 소정의 역치를 넘은 때에 온 신호로서 출력되는 것이어도 좋고, 정전 용량의 크기에 비례한 연속적 또는 단계적인 레벨을 갖는 신호여도 좋다.
돔 스위치(45) 및 터치 센서 전극(47)은 링 키(7)를 따라 원주 상에 복수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제어부(101)는 돔 스위치(45) 및 터치 센서 전극(47)으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해서 사용자의 링 키(7) 상의 손가락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예컨대, 4방(예를 들면, 상 하 좌 우)에 배치된 돔 스위치(45) 중 어느 하나로부터 온 신호가 출력되어 있으면, 그 4방 중 한쪽의 방향의 위치가 눌러넣음 조작되어 있는 것이 특정된다. 4방(예를 들면, 상 하 좌 우)에 배치된 돔 스위치(45) 중 인접하는 두개로부터 온 신호가 출력되어 있으면, 상기 4방의 사이의 4방향(경사 방향) 중 한쪽의 방향의 위치가 눌러넣음 조작되어 있는 것이 특정된다.
마찬가지로, 예컨대 4방(예를 들면, 상 하 좌 우)에 배치된 터치 센서 전 극(47)의 어느 하나로부터 온 신호가 출력되어 있으면, 그 4방 중 한쪽의 방향의 위치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고 있는 것이 특정된다. 4방(예를 들면, 상 하 좌 우)에 배치된 터치 센서 전극(47) 중 인접하는 두개로부터 온 신호가 출력되어 있으면, 상기 4방의 사이의 4방향(경사 방향) 중 한쪽의 방향의 위치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고 있는 것이 특정된다.
제어부(101)는 또한, 특정한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의 이력을 기록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의 시계열 변화를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링 키(7)를 따라 손가락을 미끄러지게 해서 손가락을 연속 이동시키는 회전 조작, 즉, 링 키(7)를 트레이싱(tracing)하는 조작을 특정할 수 있다. 이로써, 예컨대 손가락을 링 키(7)를 따라 연속 이동시킨 주위를 돈 횟수나 각도에 따라 스피커(109)로부터 출력하는 음량을 증감하거나, 서브 표시 장치(29)의 휘도를 증감하거나, 서브 표시 장치(29)의 표시 내용을 소정의 사이클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1)는 손가락이 링 키(7)에 접촉하고 있지만 눌러넣음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접촉만의 조작과 눌러넣음 조작(당연히 접촉도 하고 있음)을 구별하도록, 터치 센서 전극(47) 및 돔 스위치(45)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한다.
즉, 제어부(101)는 터치 센서 전극(47)만으로부터의 온 신호가 출력되어 있고, 돔 스위치(45)로부터 온 신호가 출력되어 있지 않은 때는 접촉만의 조작으로 판단하고, 돔 스위치(45)[및 터치 센서 전극(47)]로부터 온 신호가 출력되어 있는 때는 눌러넣음 조작이 이루어져 있다고 판단함으로써, 양쪽 조작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표시부와 조작 부재의 일체감을 갖는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하우징 개구(2h)를 갖는 제 1 하우징(2)과, 제 1 하우징(2) 내에 마련되고 하우징 개구(2h)로부터 노출하는 표시면(29a)을 갖는 서브 표시 장치(29)와, 하우징 개구(2h)와 서브 표시 장치(29)의 사이에 배치되고 표시면(29a)을 하우징 개구(2h) 측으로 노출시키는 프레임 개구(31h)를 갖고, 제 1 하우징(2)에 고정되는 보강 프레임(31)과, 보강 프레임(31) 중 하우징 개구(2h)에 대향하는 면에 고정되고, 프레임 개구(31h)를 막으며, 하우징 개구(2h) 내에 배치되는 트림 플레이트(35)와, 보강 프레임(31) 중 하우징 개구(2h)에 대향하는 면에 배치되고, 트림 플레이트(35)가 삽입통과되는 기판 개구(39h)를 갖는 센서 기판(39)과, 센서 기판(39) 중 하우징 개구(2h)에 대향하는 장착면(39a)에 마련된 돔 스위치(45)와, 하우징 개구(2h)와 트림 플레이트(35)의 간극으로부터 노출하고, 돔 스위치(45)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 환형상의 링 키(7)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서브 표시 장치(29) 및 트림 플레이트(35)를 포함하는 서브 표시부(5)와 링 키(7)는 동일한 개구[하우징 개구(2h)]로부터 노출하고, 서브 표시부(5)와 링 키(7)의 일체감이 증대한다. 또한, 링 키(7)와 겹치는 위치에는 돔 스위치(45)가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서브 표시 장치(29) 상에 터치 패널을 마련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클릭감이 있어서 조작하기 쉽다. 보강 프레임(31)은 트림 플레이트(35)를 지지하는 것만이 아니고, 돔 스위치(45)를 가압하는 힘이 가해지는 센서 기판(39)을 지지하며, 센서 기판(39)의 강도의 보강에 겸용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 전화기(1)의 소형화가 도모 된다. 표시용 기판(27)을 덮는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갖고 있는 것으로부터 표시용 기판(27)의 강도의 보강에도 겸용된다.
서브 표시 장치(29)는 제 1 하우징(2) 중 하우징 개구(2h)가 마련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프론트 케이스(21)의 내측면]과 보강 프레임(31)에 협지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보강 프레임(31)은 서브 표시 장치(29)의 보지(保持)나 강도 보강에도 겸용되는 것이 되어, 휴대 전화기(1)의 소형화가 도모된다. 또한, 보강 프레임(31)을 맞물림부(31c)와 프론트 케이스(21)에 마련된 피맞물림부(21d)에 의해 프론트 케이스(21)에 대하여 고정가능하게 한 것에 의해, 프론트 케이스(21)와 리어 케이스(23)의 합체 전에 서브 표시 장치(29)나 보강 프레임(31)을 프론트 케이스(2J)에 고정할 수 있어서 조립 공정도가 용이화된다. 서브 표시 장치(29)의 표시면(29a)과 보강 프레임(31)의 사이에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더스트 시트(43)가 개재하는 것으로부터, 서브 표시 장치(29)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소정의 가압력으로 확실하게 서브 표시 장치(29)를 협지할 수 있고, 또한 표시면(29a)으로의 물이나 먼지의 침입이 방지된다.
센서 기판(39)의 하우징 개구(2h)에 대향하는 장착면(39a)에 마련되고, 링 키(7)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 터치 센서 전극(47)을 더 갖는 것으로부터, 링 키(7)의 눌러넣음 조작뿐만 아니라, 링 키(7)에 손가락을 근접 또는 접촉시키는 조작이 가능해진다.
돔 스위치(45)는 기판 개구(39h)를 둘러싸도록 복수개 마련되고, 터치 센서 전극(47)은 기판 개구(39h)를 둘러싸도록 복수개 마련되며, 돔 스위치(45) 및 터치 센서 전극(47)은 기판 개구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배열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링 키(7)를 트레이싱하는 조작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해당 조작에 택트 스위치에 의한 클릭감을 부여할 수 있다. 즉, 조작 부재로서 서브 표시부(5)를 둘러싸는 링 키(7)가 마련되는 것에 의해, 조작 부재와 표시부의 일체감이 향상할뿐만 아니라, 조작 부재에 링 키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시킴으로써, 사용 방법의 다양화나 조작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센서 기판(39)의 하우징 개구(2h)에 대향하는 장착면(39a)에 마련된 발광 소자(53)를 더 구비하고, 링 키(7)와 하우징 개구(2h)의 사이에는 발광 소자(53)로부터의 광을 제 1 하우징(2)의 외부로 투과시키는 것이 가능한 간극(65)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링 키(7)의 내연을 서브 표시부(5)로부터의 광에 의해, 링 키(7)의 외연를 발광 소자(53)로부터의 광에 의해 시인(視認)할 수 있어서 부품 점수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야간에 있어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발광 소자(53)는 링 키(7)에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센서 기판(39)의 장착면(39a) 중 링 키(7)와 겹치는 영역이 유효하게 이용되어, 휴대 전화기(1)의 소형화가 도모된다.
링 키(7)는 제 1 하우징(2) 중 하우징 개구(2h)의 가장자리에 하우징 내부측으로부터 맞물림 가능한 빠짐 방지부로서의 플랜지(7f)를 복수개 갖고, 링 키(7)와 하우징 개구(2h)의 간극(65)은 복수의 플랜지(7f)에 가까이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발광 소자(53)로부터의 광은 플랜지(7f)에 가까이 갈수록 서서히 광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되어서, 플랜지(7f)에 의해 차단되어 있는 개소가 눈에 뛰지 않는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디자인의 자유도 및 방수성이나 방진성이 높은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케이스 개구(23h)를 갖는 리어 케이스(23) 및 프론트 케이스(21)로 이루어지는 제 3 하우징(2')과 패널 개구(25h)를 갖고, 패널 개구(25h)가 케이스 개구(23h)와 겹치도록 제 3 하우징(2')에 덮이는 장식 패널(25)과, 제 3 하우징(2') 내에 마련된 보강 프레임(31)과, 보강 프레임(31) 중 하우징 개구(2h)에 대향하는 면에 고정되고, 케이스 개구(23h) 및 패널 개구(25h) 내에 배치되는 트림 플레이트(35)와, 보강 프레임(31) 중 케이스 개구(23h)에 대향하는 면에 마련되고, 트림 플레이트(35)가 삽입통과되는 기판 개구(39h)를 갖는 센서 기판(39)과, 센서 기판(39) 중 케이스 개구(23h)에 대향하는 장착면(39a)에 마련된 터치 센서 전극(47)과, 터치 센서 전극(47)을 덮도록 센서 기판(39) 중 케이스 개구(23h)에 대향하는 면에 마련되고, 케이스 개구(23h) 및 패널 개구(25h)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트림 플레이트(35)가 삽입통과되는 시트 개구(41h)를 갖는 키 시트(41)와, 키 시트(41) 중 케이스 개구(23h)에 대향하는 면에 있어서 터치 센서 전극(47)과 겹치는 위치에 마련되고, 케이스 개구(23h) 및 패널 개구(25h)와 트림 플레이트(35)의 간극으로부터 노출하는 환형상의 링 키(7)를 갖고, 키 시트(41)는 제 3 하우징(2')과 장식 패널(25)에 협지되어, 케이스 개구(23h) 및 패널 개구(25h)를 둘러싸는 환형상의 피협지부(41c)와, 센서 기판(39) 중 케이스 개구(23h)에 대향하는 장착면(39a)에 대하여, 기판 개구(39h)를 둘러싸도록 터치 센서 전극(47)보다도 내주측의 위치에서 접촉하는 환형상의 접촉부(41d)를 갖는 것으로부터, 패널 개구(25h)와 링 키(7)의 외연의 간극으로부터 침입하는 물이나 먼지는 키 시트(41)와 장식 패널(25)의 사이 및 키 시트(41)와 리어 케이스(23)의 사이의 2개소에 있어서 피협지부(41c)에서 차단되고, 또한 트림 플레이트(35)와 링 키(7)의 내연의 간극으로부터 침입하는 물이나 먼지는 키 시트(41)와 센서 기판(39)의 사이에 있어서 접촉부(41d)에서 차단된다. 즉, 링 키(7)의 내연 또는 외연으로부터 침입하는 물이나 먼지는 키 시트(41)에 의해 차단되어 제 3 하우징(2') 내부에 침입할 수 없다. 그 결과, 링 키(7)와 트림 플레이트(35)의 사이나, 링 키(7)와 패널 개구(25h)의 사이에는 간극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링 키(7)를 트림 플레이트(35)나 장식 패널(25)에 대하여 가동하는 부재로 하거나, 링 키(7)와 장식 패널(25)의 간극(65)으로부터 발광 소자(53)로부터의 광을 투과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트림 플레이트(35)와 보강 프레임(31)은 양면 테이프(33) 등의 밀착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양쪽 부재 사이로의 물이나 먼지의 침입이 방지되고, 센서 기판(39)과 보강 프레임(31)은 양면 테이프(37) 등의 밀착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양쪽 부재 사이로의 물이나 먼지의 침입이 방지된다. 또한, 키 시트(41)의 외주부를 협지해서 키 시트(41)를 케이스에 부착하는 구조인 것으로부터 종래와 비교하여 키 시트(41)를 얇게 할 수 있다. 보강 프레임(31)을 제 1 하우징(2') 내부의 사용하지 않는 스페이스에 적절히 배치함으로써, 제 1 하우징(2')의 두께를 늘리는 일 없이 제 1 하우징(2')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키 시트(41)에는 위치 결정 구멍부(41a)가 마련되고, 리어 케이스(23)에는 위치 결정 구멍부(41a)에 삽입되는 위치 결정 돌기부(23c)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화되는 동시에 링 키(7)의 조작에 의한 키 시트(41)의 어긋남도 방지된다.
키 시트(41)는 제 3 하우징(2')에 부착되어 있지 않은 때에는 내주측이 외주측보다도 센서 기판(39) 측에 위치하도록 구부러져 있고, 제 3 하우징(2')에 부착되어 있는 때는 접촉부(41d)가 센서 기판(39)으로부터 받는 힘에 의해, 구부러짐을 교정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해서 접촉부(41d)를 센서 기판(39)에 가압하는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부터 접촉부(41d)와 센서 기판(39)의 접촉압을 높이고, 보다 확실하게 물이나 먼지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부러져 있지 않은 키 시트를 접촉부가 센서 기판(39)으로부터 받는 힘에 의해 센서 기판(39)측에 볼록하게 되도록 탄성 변형시키면서 설치하여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링 키(7)의 눌러넣음 조작시의 가동 범위의 확보가 용이하다.
접촉부(41d)는 링 키(7)와 겹치는 위치에 있어서 센서 기판(39) 측으로 돌출해서 마련되고, 링 키(7) 중 키 시트(41)에 대향하는 면은 접촉부(41d)보다도 외주측에 마련되며, 키 시트(41)에 고정되는 고정면(7d)과, 고정면(7d)의 내주측에 마련되고, 고정면보다도 키 시트(41)로부터 이간하는 위치에 있어서 접촉부(41d)에 대향하는 대향면(7c)을 갖고 있는 것으로부터, 접촉부(41d)를 마련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링 키(7)의 배치 영역 외에 확보할 필요가 없고, 또한 링 키(7)의 내리누름도 방해되지 않는다.
보강 프레임(31)에 대하여 케이스 개구(23h)와는 반대측에 서브 표시 장 치(29)가 마련되고, 보강 프레임(31)에는 서브 표시 장치(29)로부터의 광을 케이스 개구(23h)측으로 투과시키는 프레임 개구(31h)가 마련되며, 케이스 개구(23h) 및 패널 개구(25h)에 배치되는 장식 부재는 프레임 개구(31h)를 막는 투광 부재로서의 트림 플레이트(35)인 것으로부터, 방수성 및 방진성이 높고, 표시부와 조작 부재의 일체감을 갖는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센서 기판(39) 중 케이스 개구에 대향하는 장착면(39a)에 링 키(7)와 겹치는 위치에 마련된 택트 스위치로서의 돔 스위치(45)를 더 갖고, 키 시트(41)는 링 키(7)와 돔 스위치(45)의 사이에 돌출형의 가압자(41b)를 갖는다. 즉, 키 시트(41)는 단순한 방수용의 시트가 아니라, 링 키(7)의 눌러넣음 조작에 의해 적합하게 돔 스위치(45)를 눌러넣음 조작 가능하게 하는 시트와 겸용되어 있어서 부재 점수의 삭감, 휴대 전화기(1)의 박형화가 도모된다.
링 키(7)는 장식 패널(25) 중 패널 개구(25)의 가장자리에 장식 패널 내부측에서 맞물림 가능한 플랜지(7f)를 갖고, 가압자(41b)는 플랜지(7f)와 겹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플랜지(7f)에 의해 가압자(41b)를 내리누르는 스페이스가 확보되어서 링 키(7)의 직경을 작게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소형화하면서 센서의 감지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하우징 개구(2h)를 갖는 제 1 하우징(2)과, 제 1 하우징(2) 내에 하우징 개구(2h)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표시용 기판(27)과, 표시용 기판(27) 중 하우징 개구(2h)에 대향하는 면에 배치된 전자 부품[IC(69)나 커넥터(67)]과, 그 전자 부품 을 덮도록 표시용 기판(27) 중 하우징 개구(2h)에 대향하는 면에 배치된 보강 프레임(31)과, 보강 프레임(31) 중 하우징 개구(2h)에 대향하는 면에 배치된 센서 기판(39)과, 센서 기판(39)의 하우징 개구(2h)에 대향하는 면에 마련되고, 하우징 개구(2h)측으로부터의 물체의 근접 또는 이간에 따르는 정전 용량을 검출하는 터치 센서 전극(47)을 구비하고, 보강 프레임(31)은 표시 기판(27)에 대향하고, 표시용 기판(27)으로부터 전자 부품의 두께 이상 이간한 면 및 센서 기판(39)에 접촉하는 면을 갖는 판형상부(31a)를 갖고, 판형상부(31a)의 센서 기판(39)에 접촉하는 면에는 터치 센서 전극(47) 및 전자 부품에 겹치는 영역에 오목부(31d)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오목부(31d)의 내부의 유전율을 보강 프레임(31)의 유전율보다도 낮춰서, 전자 부품이 터치 센서 전극(47)에 미치는 영향을 경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전자 부품을 터치 센서 전극(47)에 가까이 하는 것도 가능해져서 소형화가 도모된다.
센서 기판(39) 중 하우징 개구(2h)에 대향하는 면에 마련된 돔 스위치(45)와 하우징 개구(2h)로부터 노출하고, 돔 스위치(45) 및 터치 센서 전극(47)에 겹치는 환형상의 링 키(7)를 더 갖고, 보강 프레임(31) 중 돔 스위치(45)와 겹치는 영역은 오목부(31d)의 비(非)배치 위치이기 때문에, 링 키(7)를 트레이싱하는 등의 터치 센서 특유의 조작에 클릭감을 부여할 수 있는 동시에, 돔 스위치(45)의 배치 위치에 있어서의 가압 조작시의 휘어짐을 억제하여, 돔 스위치(45)의 감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디자인성 및 조작성이 높은 환형상의 조작 부재를 갖는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하우징 개구(2h)를 갖는 제 1 하우징(2)과, 하우징 개구(2h) 내에 배치된 장식 부재로서의 트림 플레이트(35)와, 하우징 개구(2h)와 트림 플레이트(35)의 사이에 배치된 환형상의 링 키(7)를 갖고, 링 키(7) 중 하우징 개구(2h)로부터 노출하는 노출면[정상면(7b)]과 링 키(7)의 내주면의 모서리부에는 C면이나 R면 등의 챔퍼링된 면으로서의 경사면(7c)이 마련되고, 경사면(7c)은 트림 플레이트(35) 중 하우징 개구(2h)로부터 노출하는 노출면(35a)보다도 케이스 외부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링 키(7)의 내주측에 장식 부재가 배치되어서 디자인성이 향상한다. 또한, 경사면(7c)에 손가락을 접촉시키고, 링 키(7)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의 힘과 링 키(7)를 하우징 내부측으로 눌러 넣는 힘을 가하면서, 링 키(7)를 트레이싱하는 조작을 실행할 수 있어서 주위를 도는 조작이나 내리누름 조작 등의 조작성이 향상한다. 경사면(7c)은 트림 플레이트(35)의 노출면(35a)보다도 하우징 외부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촉각에 의해 링 키(7)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또한 손가락이 트림 플레이트(35)에 접촉하기 어려우며, 트림 플레이트(35)에 더러움이 부착되기 어렵다.
링 키(7)는 트림 플레이트(35)의 노출면(35a) 중 외주부를 덮는 환형상의 중첩부(7g)를 갖고 있는 것으로부터, 트림 플레이트(35)와 링 키(7)의 간극을 거쳐서 하우징 내부가 노출하는 것이 방지되고, 물이나 먼지의 침입이 방지되는 동시에 디자인성도 향상한다.
트림 플레이트(35)의 노출면(35a)과 외주면의 모서리부에는 링 키(7)가 내리 눌린 때에 중첩부(7g)가 접촉하는 C면이나 R면 등의 챔퍼링된 면으로서의 경사면(35c)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링 키(7)가 트림 플레이트(35)에 접촉한 때의 감촉이 부드러워져서 조작성이 향상한다.
제 1 하우징(2) 내에 마련된 센서 기판(39)과, 센서 기판(39) 중 하우징 개구(2h)에 대향하는 면에 마련된 돔 스위치(45) 및 터치 센서 전극(47)과, 돔 스위치(45) 및 터치 센서 전극(47)을 덮도록 센서 기판(39) 중 하우징 개구(2h)에 대향하는 장착면(39a)에 배치되고, 돔 스위치(45)에 대향하는 위치에 돌출형의 가압자(41b)를 갖는 키 시트(41)를 더 갖고, 링 키(7)는 키 시트(41)의 하우징 개구(2h)에 대향하는 면에 있어서 돔 스위치(45) 및 터치 센서 전극(47)에 겹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링 키(7)의 사용 방법의 다양화나 조작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예를 들면, 링 키(7)를 트레이싱하는 조작에 클릭감을 부여할 수 있다.
트림 플레이트(35)는 제 1 하우징(2) 내부에 마련된 서브 표시 장치(29)로부터의 광을 투과시키는 투광 부재이기 때문에 조작성이 높고, 표시부와 조작 부재의 일체감을 갖는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휴대 전화기(1)는 본 발명의 전자 기기의 일 예이고, 제 3 하우징(2') 또는 제 1 하우징(2)은 본 발명의 케이스 부재의 일 예이며, 하우징 개구(2h) 또는 케이스 개구(23h)는 본 발명의 개구부의 일 예이고, 표시용 기판(27)은 본 발명의 제 2 회로 기판의 일 예이며, 커넥터(67) 및 IC(69)는 각각 본 발명의 전자 부품의 일 예이며, 보강 프레임(31)은 본 발명의 프레임 부재의 일 예이며, 센서 기판(39)은 본 발명의 제 1 회로 기판의 일 예이며, 터치 센서 전극(47)은 본 발명의 전극의 일 예이며, 돔 스위치(45)의 가동 접점(45a) 및 고정 접점(45c)은 각각 본 발명의 스위치 부재의 일 예이며, 링 키(7)는 본 발명의 조작 부재의 일 예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태양으로 실시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휴대 전화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프린터라도 좋다.
택트 스위치는 눌러넣음 조작에 따라 클릭감을 발생시키는 것이면 좋고, 돔 스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택트 스위치는 가동 접점에 금속 재료를 사용한 기계적 접점 타입의 것이어도 좋고, 도전 고무를 사용한 탄성 접점 타입의 것이어도 좋다. 또한, 히스테리시스한 감(hysteresis feeling)을 갖는 것이라도 좋다.
터치 센서 전극이나 터치 센서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는 손가락 등의 인체의 일부나 전자 펜 등의 조작용 부재의 근접 또는 접촉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예를 들면, 전자 유도식의 것이어도 좋다.
조작 부재(조작부)는 환형상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환형상의 조작 부재는 장식 부재 등을 노출시키는 개구를 갖고 있으면 좋고, 원형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타원이나 다각형이어도 좋다. 또한, 조작 부재의 단면 형상도 적당히 설정되면 좋다. 환형상의 조작 부재의 개구로부터는 적당한 장식 부재를 노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순한 장식용의 패널이어도 좋고, 다른 조작 부재이어도 좋다.
시트 부재[키 시트(41)]는 실시형태와 같이 케이스 부재[리어 케이스(23)]와 커버 부재[장식 패널(25)]에 직접적으로 협지되어도 좋고, 다른 부재를 거쳐서 간접적으로 협지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시트 부재와 커버 부재의 사이에 시트 부재 및 커버 부재에 밀착하는 방수 부재(제 1 밀착 부재)를 마련하고, 시트 부재와 케이스 부재의 사이에 시트 부재 및 케이스 부재에 밀착하는 방수 부재(제 2 밀착 부재)를 마련해도 좋다. 이 경우, 시트 부재와 커버 부재 등과의 밀착성이 향상하고, 보다 방수 효과가 높아진다. 방수 부재는, 예를 들면 고무나 양면 테이프 등의 탄성을 갖는 시트에 의해 구성된다.
시트 부재[키 시트(41)]의 피맞물림부[위치 결정 구멍부(41a)]에 맞물리는 맞물림부(위치 결정 돌기부)는 케이스 부재[리어 케이스(23)]에 마련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커버 부재[장식 패널(25)]에 마련되고 있어도 좋고, 케이스 부재와 커버 부재의 쌍방에 마련되어도 좋다. 단지, 커버 부재 중 케이스 부재에 대향하는 면전체에 요철 모양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면에 위치 결정 돌기부를 마련하는 것은 곤란하기 때문에, 실시형태와 같이 케이스 부재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 부재[키 시트(41)]가 내주측이 센서 기판측에 위치하도록 구부려서 형성하는 경우는 시트 부재는 굴곡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만곡하는 것이어도 좋다.
프레임 부재[보강 프레임(31)]의 판형상부의 유전율을 낮추기 위한 오목부(31d)는 터치 센서 전극이 마련되는 센서 기판에 대향하는 면에 마련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배면에 마련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해당 오목부는 터치 센서 전극 및 전자 부품의 쌍방에 겹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터치 센서 전극 및 전자 부품 중 어느 한쪽에 겹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프레임 부재[보강 프레임(31)]의 오목부(31d) 내부는 공동(공기층)으로 하는 대신에, 프레임 부재를 형성하는 재료보다도 유전율이 작은 중실 부재가 배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오목부가 마련되는 것에 의한 프레임 부재의 강도의 저하가 억제된다. 따라서, 가압 조작시의 센서 기판(39)이나 프레임 부재의 구부림 변형이 억제된다. 중실 부재는 예를 들면 수지, 유리, 고무, 석면, 직물이다.
상기의 중실 부재는 외측에 노출하는 면이 프레임 부재[보강 프레임(31)]의 판형상부(31a) 중 센서 기판이 탑재되는 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센서 기판(39)이 자중에 의해 오목부(31d) 내측으로 미소 변형하는 것을 방지하고, 센서 기판의 터치 센서 전극(47)과 환형상의 조작 부재[링 키(7)]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터치 센서에 의한 감도를 유지할 수 있다.
환형상의 조작 부재[링 키(7)]나 장식 부재[투명부재, 트림 플레이트(35)]의 챔퍼링된 면[경사면(7c), 경사면(35c)]은 여러가지 면취 형상으로 해도 좋으며, 평면(C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R면이어도 좋다.

Claims (8)

  1. 전자 기기에 있어서,
    개구부를 갖는 케이스 부재와,
    상기 케이스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자 부품과,
    상기 전자 부품을 덮도록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프레임 부재와,
    상기 프레임 부재의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면에 배치된 제 1 회로 기판과,
    상기 제 1 회로 기판의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면에 마련되는, 정전 용량식의 터치 센서를 위한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부재는 상기 전극과 상기 전자 부품 중 적어도 한쪽에 대응하는 영역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는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 내에 상기 프레임 부재보다도 작은 유전율을 갖는 중실(中實)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프레임 부재의 상기 제 1 회로 기판이 배치되는 측의 면에 형성되고,
    상기 중실 부재는 그 표면이 상기 면과 동일 평면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로 기판의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면에 배치되는 스위치 부재와,
    상기 개구부로부터 노출하여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부재와 상기 전극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조작 부재를 더 갖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프레임 부재의 상기 스위치 부재에 대응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는 상기 전자 부품으로부터 상기 개구부측으로 이간하여 배치되는 판형상부를 갖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판형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판형상부의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측의 면의 상기 전극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판형상부의 상기 전자 부품에 대향하는 측의 면의 상기 전자 부품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에 대향한 위치에 상기 전자 부품이 배치되는 제 2 회로 기판을 갖고,
    상기 프레임 부재는 상기 제 2 회로 기판의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측의 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097006056A 2006-08-25 2007-08-24 전자 기기 KR1010500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29935 2006-08-25
JP2006229935A JP4584210B2 (ja) 2006-08-25 2006-08-25 電子機器
PCT/JP2007/066442 WO2008023788A1 (fr) 2006-08-25 2007-08-24 Dispositif électron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5380A true KR20090045380A (ko) 2009-05-07
KR101050030B1 KR101050030B1 (ko) 2011-07-19

Family

ID=39106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6056A KR101050030B1 (ko) 2006-08-25 2007-08-24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02644B2 (ko)
JP (1) JP4584210B2 (ko)
KR (1) KR101050030B1 (ko)
CN (1) CN101529545B (ko)
WO (1) WO20080237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954B1 (ko) * 2009-04-28 2013-08-14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휴대형 전자 기기의 케이스 구조, 휴대형 전자 기기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92804B (zh) * 2009-02-12 2013-04-11 King Slide Works Co Ltd 電子裝置之殼體組裝構造
JP5282904B2 (ja) * 2009-10-22 2013-09-04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壁スイッチ装置
TWI615743B (zh) * 2010-03-25 2018-02-21 Winsky Tech Limited 觸控面板及其製造方法
JP5065431B2 (ja) * 2010-03-31 2012-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および操作パネル
FR2959382B1 (fr) * 2010-04-21 2022-01-28 Valeo Systemes Thermiques Interface homme-machine a boitier renforce
JP5062919B2 (ja) * 2010-08-24 2012-10-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
US20120075233A1 (en) * 2010-09-28 2012-03-29 Symbol Technologies, Inc. Device display with a touch sensor
JP5375854B2 (ja) * 2011-02-22 2013-12-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3034376A (zh) * 2011-09-30 2013-04-10 索尼爱立信移动通讯有限公司 声音控制装置、方法及电子设备
US8870403B2 (en) * 2011-12-23 2014-10-28 Htc Corporation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flashlight module
KR101397084B1 (ko) 2012-07-02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9052754B2 (en) * 2012-08-08 2015-06-09 Felipe Sergio Schapira Computer mouse oriented to disabled people or with movement disorders
US10095192B2 (en) 2012-11-28 2018-10-09 Montres Rado S.A. Portable touch electronic object
US9170659B2 (en) 2013-05-23 2015-10-2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JP2015018971A (ja) * 2013-07-11 2015-01-29 富士通株式会社 放熱板、及び海中機器
US9547338B2 (en) * 2013-08-15 2017-01-17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injection molded display trim
US10779411B2 (en) * 2014-01-28 2020-09-15 Sekisui Polymatech Co., Ltd. Sensor sheet-containing exterior component, sensor sheet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nsor sheet-containing exterior component
EP3002932B1 (en) * 2014-09-19 2017-11-0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cover
US9671828B2 (en) 2014-09-19 2017-06-0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dual touch sensors located on different sides of terminal bod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525764B1 (en) 2015-10-30 2016-12-20 Essential Products, Inc. Co-mold features on a chassis shell of a mobile device
US9736383B2 (en) 2015-10-30 2017-08-15 Essential Products, Inc. Apparatus and method to maximize the display area of a mobile device
US9723114B2 (en) * 2015-10-30 2017-08-01 Essential Products, Inc. Unibody contact features on a chassis shell of a mobile device
US9762781B2 (en) 2015-10-30 2017-09-12 Essential Products, Inc. Apparatus and method to maximize the display area of a mobile device 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display without necessarily increasing the size of the phone
JP6729849B2 (ja) * 2016-07-22 2020-07-29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操作ユニットの組み付け構造
CN109863736B (zh) 2016-10-20 2021-08-17 讯宝科技有限责任公司 具有边缘激活的移动设备
JP2018159646A (ja) * 2017-03-23 2018-10-11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漏水検出器
CN109710098B (zh) * 2017-10-26 2022-03-22 迪尔阿扣基金两合公司 具有显示屏的触控按钮及家用电器
KR102473627B1 (ko) * 2018-05-17 2022-1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압력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82316B1 (ko) 2018-08-20 2023-09-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2398B2 (ja) * 1992-11-06 2001-03-07 三菱電機株式会社 携帯用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93674A (ja) * 1995-09-26 1997-04-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操作用端末器
JP2001100907A (ja) * 1999-09-30 2001-04-13 Mitsumi Electric Co Ltd 情報入力装置
US6587097B1 (en) * 2000-11-28 2003-07-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 Display system
TWI262365B (en) * 2001-12-27 2006-09-21 Asulab Sa Electronic watch and manual control device for executing functions thereof
US7466307B2 (en) 2002-04-11 2008-12-16 Synaptics Incorporated Closed-loop sensor on a solid-state object position detector
JP3972834B2 (ja) * 2003-02-21 2007-09-05 ソニー株式会社 入力装置、携帯型電子機器及び携帯型電子機器の入力方法
US20050020325A1 (en) * 2003-07-24 2005-01-27 Motorola, Inc. Multi-configu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2006049271A (ja) * 2004-07-01 2006-0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透過性タッチパネル及びこれを用いた検出装置
US20060001655A1 (en) * 2004-07-01 2006-01-05 Koji Tanabe Light-transmitting touch panel and detection device
US8031273B2 (en) * 2004-09-17 2011-10-04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viewing angle contro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4364286B1 (ja) * 2008-05-26 2009-11-11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954B1 (ko) * 2009-04-28 2013-08-14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휴대형 전자 기기의 케이스 구조, 휴대형 전자 기기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29545A (zh) 2009-09-09
KR101050030B1 (ko) 2011-07-19
US20090323262A1 (en) 2009-12-31
US8102644B2 (en) 2012-01-24
JP2008054142A (ja) 2008-03-06
JP4584210B2 (ja) 2010-11-17
WO2008023788A1 (fr) 2008-02-28
CN101529545B (zh) 201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0030B1 (ko) 전자 기기
KR101020464B1 (ko) 전자 기기
JP7335927B2 (ja)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を伴う電子装置
EP1901321B1 (en) Key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JP6945311B2 (ja) カバー
JP4932385B2 (ja) 携帯電子機器
JP4498999B2 (ja) 携帯端末装置
CN115039393A (zh) 包括键按钮的电子装置
EP4141613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JP4767792B2 (ja) 電子機器
JP2010108749A (ja) 携帯電子装置
JP2007073445A (ja) キー操作部及び電子機器
EP2615529A2 (en) Touch screen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JP4767793B2 (ja) 電子機器
US7679015B2 (en) Keypad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JP2008108558A (ja) 電子機器
KR101266679B1 (ko) 전자 기기 및 프린트 기판 모듈
JP2007207686A (ja) キーラバー、キー操作部及び電子機器
JP4699404B2 (ja) 携帯電子機器
JP2008136046A (ja) 電子機器
JP4826576B2 (ja) 電子機器、及び、配線シートの積層構造
JP4818954B2 (ja) 携帯電子機器
JP5188456B2 (ja) 電子機器におけるキー操作装置および操作シート
TW201022901A (en) Touch panel with click butto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2007073446A (ja) キー操作部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