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3839A - 회전단자기구 - Google Patents

회전단자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3839A
KR20090033839A KR1020087031382A KR20087031382A KR20090033839A KR 20090033839 A KR20090033839 A KR 20090033839A KR 1020087031382 A KR1020087031382 A KR 1020087031382A KR 20087031382 A KR20087031382 A KR 20087031382A KR 20090033839 A KR20090033839 A KR 20090033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ircumferential surface
circular
side case
conductiv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1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지 고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하모닉 드라이브 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하모닉 드라이브 시스템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하모닉 드라이브 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087031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3839A/ko
Publication of KR20090033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38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Landscapes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회전단자기구(1)에서는, 동심원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는 제1외측전극(8)의 원형내주면(81)과 제1내측전극(7)의 원형외주면(71)의 사이에, 약간 찌그러진 상태로 제1도전성 링(14)을 삽입하고 있다. 제1도전성 링(14)은, 그 탄성복귀력에 의하여 제1외측전극(8) 및 제1내측전극(7)에 접촉한 상태가 유지되어 있다. 제1외측전극(8) 및 제1내측전극(7)이 상대적으로 회전하면, 제1도전성 링(14)은, 이러한 원형내주면(81) 및 원형외주면(71)에 탄성력에 의하여 눌려진 상태를 유지한 채로 이들 면을 따라 전동한다. 따라서 제1외측전극(8) 및 제1내측전극(7)이 상대회전 하더라도 이들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항상 형성된다. 따라서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수도 적게 되는 소형화에 유리한 회전단자기구를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단자기구{ROTARY TERMINAL MECHANISM}
본 발명은, 두개의 회전하는 요소의 사이에서 전력이나 신호의 전달을 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소형화에 유리한 구조의 회전단자(回轉端子)(슬립 링; slip ring)기구에 관한 것이다.
회전측 부재와 고정측 부재의 사이를 항상 전기적으로 접속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슬립 링이 사용되고 있다. 슬립 링에서는, 극수가 증가하면, 그것에 대응한 매수의 슬립 링을 동축상태(同軸狀態)로 적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접촉점의 수가 적을 경우에 있어서 전송용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슬립 링의 폭을 넓혀서 접촉면적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어느 쪽의 경우에도 축선방향으로 길어지므로 슬립 링의 박형화(薄型化)에는 불리하다.
박형화에 적당한 슬립 링이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 개시된 슬립 링에서는, 동심원 모양으로 배치된 가동측의 내측 링과 고정측의 외측 링의 사이에, 이들에 접촉하면서 자전 및 공전하는 유성판(遊星板)을 배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양쪽 링과 유성판의 접촉상태를 확보하기 위하여, 양쪽 링을, 이들의 중심축선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유성판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협지(挾持)하도록 하고 있다. 이 구조의 슬립 링에서는, 동심원 모양으로 내측 링 및 외측 링으로 이루어지는 링 쌍을 복수배치 함으로써 다극화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유성판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접촉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슬립 링의 박형화에 유리하다.
특허문헌1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5-82223호 공보
그러나 이 구조의 유성판을 구비한 슬립 링에서는, 내측 링 및 외측 링이 탄성판을 구비한 유성판에 의하여 양측에서 지지될 필요가 있다. 또한 유성판이 이러한 링 사이의 고리 모양 공간에 있어서 자전 및 공전할 수 있도록, 고리 모양 혹은 원호 모양의 리테이너(retainer)를 링 사이에 배치하고, 당해 리테이너에 축을 부착하고, 당해 축에 의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로 유성판을 지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도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수도 적게 되는 소형화에 유리한 회전단자기구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회전단자기구는,
원형내주면을 구비한 외측전극과,
상기 원형내주면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동심원 모양으로 배치된 원형외주면을 구비한 내측전극과,
상기 원형내주면 및 상기 원형외주면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고 지름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이 가능한 복수개의 도전성 링을 구비하고,
상기 도전성 링의 외경은 상기 원형내주면 및 상기 원형외주면의 간격보다 크고,
각 도전성 링은, 타원으로 휘어진 상태로 상기 원형내주면 및 상기 원형외주면의 사이에 삽입되고, 그 탄성복귀력에 의하여 상기 원형내주면 및 상기 원형외주면에 가압되며, 이 상태에서 이들 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외측전극 및 상기 내측전극 중, 일방이 고정측 전극이고 타방이 회전측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회전단자기구에서는, 동심원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는 외측전극의 원형내주면과 내측전극의 원형외주면의 사이에 약간 휘어진 상태로 도전성 링을 삽입하고 있다. 도전성 링은, 그 탄성복귀력에 의하여 외측전극 및 내측전극과 접촉한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외측전극 및 내측전극이 상대적으로 회전하면, 도전성 링은, 이러한 원형내주면 및 원형외주면에 탄성력에 의하여 가압된 상태를 유지한 채로 이들 면을 따라 전동(자전 및 공전)한다. 따라서 외측전극 및 내측전극이 상대적으로 회전하더라도 이들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항상 형성된다.
본 발명의 회전단자기구에서는, 고정측 부재에 부착한 고정측 전극과 회전측 부재에 부착한 회전측 전극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이들의 사이에 약간 찌그러진 상태로 삽입된 도전성 링을 사용하여 확보하고 있다. 롤러 베어링 기구(roller bearing mechanism)에 있어서 외륜 및 내륜의 사이에 전동체를 삽입하는 경우와 같이, 양쪽 전극 사이에 도전성 링을 넣는 것만으로 된다. 따라서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수가 적은 회전단자기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고정측 전극 및 회전측 전극의 세트를 동심원 모양으로 다수 세트 배치함으로써 다극화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링의 개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양쪽 전극 사이의 접촉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소형화, 특히 중심축선방향의 두께를 얇게 하는데 유리한 회전단자기구를 실현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서는, 각 도전성 링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마찰 로스를 저감하기 위하여 각 도전성 링의 사이에 배치된 리테이너 스페이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각 리테이너 스페이서로서는, 상기 원형내주면 및 상기 원형외주면을 따라 전동 가능한 상태로 이들 면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원기둥형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리테이너 스페이서를 배치함으로써 각 도전성 링을 동일한 각도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외측전극 및 상기 내측전극은 링 모양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링 모양 전극을 동심원 모양으로 배치함으로써 회전단자기구의 다극화를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고정측 케이스와, 당해 고정측 케이스의 내측단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동축상태로 대향하고 있는 내측단면을 구비한 회전측 케이스를 구비하고, 당해 회전측 케이스는,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로 상기 고정측 케이스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고, 상기 고정측 케이스의 상기 내측단면에 상기 고정측 전극이 부착되고, 상기 회전측 케이스의 상기 내측단면에는 상기 회전측 전극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측 케이스 및 상기 회전측 케이스의 일방에는, 상기 도전성 링 및 상기 리테이너 스페이서를 상기 외측전극의 상기 원형내주면 및 상기 내측전극의 상기 원형외주면의 사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용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당해 삽입용 개구부가 뚜껑부재에 의하여 봉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롤러 베어링 기구의 롤러 삽입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도전성 링이 삽입된 회전단자기구를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회전단자기구에서는, 상기 외측전극 및 상기 내측전극의 쌍이 동심원 모양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고, 각 쌍의 상기 외측전극 및 상기 내측전극의 사이에 상기 도전성 링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중심축선방향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 회전단자기구의 다극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회전단자기구의 외경을 증가시키지 않고 다극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이들 외측전극 및 내측전극의 중심축선의 방향으로 상기 외측전극 및 상기 내측전극의 쌍을 복수 세트 배치하고, 각 쌍의 상기 외측전극 및 상기 내측전극 사이에 상기 도전성 링을 삽입하면 된다.
본 발명의 회전단자기구에서는, 고정측 부재에 부착한 고정측 전극과 회전측 부재에 부착한 회전측 전극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이들의 사이에 약간 찌그러진 상태로 삽입된 도전성 링을 사용하여 확보하고 있다. 롤러 베어링 기구에 있어서 외륜 및 내륜의 사이에 전동체를 삽입하는 경우와 같이, 양쪽 전극의 사이에 도전성 링을 넣는 것만으로 된다. 따라서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수가 적은 회전단자기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고정측 전극 및 회전측 전극의 세트를, 동심원 모양으로 다수 세트 배치함으로써 다극화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링의 개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양쪽 전극 사이의 접촉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소형화, 특히 중심축선방향의 두께를 얇게 하는데 유리한 회전단자기구를 실현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을 적용한 2극용의 회전단자기구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II-II선에서 절단한 부분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회전단자기구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을 적용한 2극용의 회전단자기구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2는 그 II-II선에서 절단한 부분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이러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회전단자기구(1)는 중공회전축(中空回轉軸)(2)을 구비하고, 이 중공회전축(2)의 외주에 동축상태(同軸狀態)로 절연성의 회전측 케이스(3)가 나사(18)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회전측 케이스(3)에는, 중공회전축(2)이 끼워져 있는 중공부를 구비한 원통 모양 보스(31)와, 이 원통 모양 보스(31)의 외주면에서 중공회전축(2)의 중심축선(2a)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펼쳐져 있는 회전측 원판(3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공회전축(2)의 외주에는, 동축상태로 절연성의 고정측 케이스(4)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고정측 케이스(4)에는, 베어링(5)을 통하여 중공회전축(2)의 외주면 부분에 의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원통 모양 보스(41)와, 이 원통 모양 보스(41)의 일단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펼쳐져 있는 고정측 원판(4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측 원판(42)은 회전측 원판(32)에 대하여 중심축선(2a)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고, 그 외주 둘레로부터는 회전측 원판(32)을 향하여 직각으로 구부러져 연장되어 있는 원기둥(4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원기둥(43)의 선단면(先端面)은, 회전측 원판(32)의 내측단 면(34)에 있어서의 외주 둘레 부분에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접촉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측 케이스(3) 및 고정측 케이스(4)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폐쇄되고 세로가 긴 사각형 단면을 가진 고리 모양 공간(6)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리 모양 공간(6)의 내부에, 동심원 모양으로 중심측으로부터 제1내측전극(7), 제1외측전극(8), 제2내측전극(9) 및 제2외측전극(10)이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제1내측전극(7)은 전체로서 링 모양의 전극이고, 고정측 원판(42)에 있어서의 내측단면(內側端面)(44)의 내주 둘레의 부분에 복수개의 나사(11)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1내측전극(7)은 고정측 전극이다. 이 제1내측전극(7)은 L자 모양의 단면형상을 하고 있어, 그 내주 둘레 부분만이 고리 모양 공간(6)과 대략 동일한 광폭이 되고, 당해 광폭부분에 원형외주면(71)이 형성되어 있다.
제1외측전극(8)은, 제1내측전극(7)의 원형외주면(71)과 대략 동일한 폭의 링 모양의 전극이고, 회전측 원판(32)의 내측단면(34)에 복수개의 나사(12)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1외측전극(8)은 회전측 전극이다. 이 제1외측전극(8)의 원형내주면(81)과 제1내측전극(7)의 원형외주면(71)의 사이에 소정의 폭 및 두께의 제1고리 모양 공간(13)이 형성되어 있다.
제1고리 모양 공간(13)에는, 반경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이 가능한 복수개의 제1도전성 링, 도면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8개의 제1도전성 링(14)이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제1도전성 링(14)의 폭은, 제1고리 모양 공간(13)의 두께(중심축선(2a)의 방향의 치수)보다 약간 좁다. 그런데 도전성 링(14)의 외경은, 제1고리 모양 공간(13)의 폭, 즉 원형외주면(71)과 원형내주면(81)의 반경방향의 간격보다 약간 크다. 따라서 이러한 제1도전성 링(14)은, 타원 모양으로 약간 휘어진 상태에서 제1고리 모양 공간(13)에 삽입되어 있고, 이들의 탄성복귀력에 의하여 제1내측전극(7)의 원형외주면(71) 및 제1외측전극(8)의 원형내주면(81)에 가압되어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도전성 링(14)은, 상기 면(71, 81)을 따라 전동(轉動; 자전 및 공전)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각 제1도전성 링(14)을, 제1고리 모양 공간(13) 내에 있어서 그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한 각도간격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각 제1도전성 링(14)의 사이에는, 편평한 원기둥 모양의 제1리테이너 스페이서(15)가 이들에 접촉한 상태로 삽입되어 있다. 리테이너 스페이서(retainer spacer)(15)는, 제1도전성 링(14)과 대략 동일한 폭이고, 그 외경은 제1내측전극(7)의 원형외주면(71)과 제1외측전극(8)의 원형내주면(81)의 간격과 동일하거나 또는 약간 작다. 따라서 각 제1리테이너 스페이서(15)는, 제1고리 모양 공간(13) 내에 있어서, 원형외주면(71) 및 원형내주면(81)을 따라 전동 가능하다. 이러한 제1리테이너 스페이서(15)는 절연성의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제1외측전극(8)의 외측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2내측전 극(9)이 배치되어 있다. 제2내측전극(9)은 제1외측전극(8)과 동일한 단면형상이고, 회전측 원판(32)에 복수개의 나사(16)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2내측전극(9)은 회전측 전극이다. 이 제2내측전극(9)의 외측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2외측전극(10)이 배치되어 있다. 제2외측전극(10)은 제1내측전극(7)과 동일한 단면형상이지만, 외주 둘레 측에 폭이 넓은 부분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제2외측전극(10)은 고정측 원판(42)에 나사(17)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2외측전극(10)은 고정측 전극이다.
이러한 제2내측전극(9)의 원형외주면(91) 및 제2외측전극(10)의 원형내주면(101)의 사이에는, 제1고리 모양 공간(13)과 동일한 단면의 제2고리 모양 공간(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고리 모양 공간(23)에는, 복수개의, 도면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17개의 제2도전성 링(24)이 삽입되어 있다. 제2도전성 링(24)은 제1도전성 링(14)과 동일한 형상이고, 약간 타원형으로 휘어져 제2고리 모양 공간(23)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각 제2도전성 링(24)의 사이에는, 수지제의 편평한 원기둥 모양의 제2리테이너 스페이서(25)가 배치되어 있다. 제2리테이너 스페이서(25)는 제1리테이너 스페이서(15)와 동일한 형상이다.
이와 같이 본 예의 회전단자기구(1)에서는, 동심원 모양으로 제1내측전극(7), 제1외측전극(8), 도전성 링(14) 및 리테이너 스페이서(15)로 이루어지는 세트와, 제2내측전극(9), 제2외측전극(10), 제2도전성 링(24) 및 제2리 테이너 스페이서(25)로 이루어지는 세트가 배열되어 있다.
여기에서 회전측 케이스(3)에 있어서의 회전측 원판(32)에는, 도2에 있어서 상상선(想像線)으로 나타내는 위치 A에, 반경방향으로 길게 되어 있는 긴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긴구멍(35)은, 제1도전성 링(14) 및 제1리테이너 스페이서(15) 및 제2도전성 링(24) 및 제2리테이너 스페이서(25)를, 각각 제1고리 모양 공간(13) 및 제2고리 모양 공간(23)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용 개구부이다. 이 긴구멍(35)은, 동일윤곽형상으로 동일 두께의 타원형의 봉쇄판(36)에 의하여 봉쇄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회전측 원판(32)에 고정된 제1외측전극(8) 및 제2내측전극(9)에 2개의 나사(12, 16)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한 2극용의 회전단자기구(1)에서는, 제1내측전극(7)으로부터 제1고정측 리드선(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이 인출되고, 제1외측전극(8)으로부터 제1회전측 리드선(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이 인출된다. 이들 사이의 전기적 접속상태가, 제1내측전극(7), 제1외측전극(8) 및 이들 사이에 타원 모양으로 휘어져서 삽입된 복수개의 제1도전성 링(14)에 의하여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외측전극(10)으로부터 제2고정측 리드선(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이 인출되고, 제2내측전극(9)으로부터 제2회전측 리드선(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이 인출된다. 이들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제2외측전극(10), 제2내측전극(9) 및 이들의 사이에 타원 모양으로 휘어져서 삽입된 복수개의 제2도전성 링(24)에 의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동심원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는 제1외측전극(8)의 원형내주면(81)과 제1내측전극(7)의 원형외주면(71)의 사이에는, 약간 눌려 찌그러진 상태로 제1도전성 링(14)이 삽입되어 있다. 제1도전성 링(14)은, 그 탄성복귀력에 의하여 제1외측전극(8) 및 제1내측전극(7)에 항상 접촉한 상태로 유지된다. 제1외측전극(8) 및 제1내측전극(7)이 상대적으로 회전하면, 제1도전성 링(14)은, 상기 원형내주면(81) 및 원형외주면(71)에 탄성력에 의하여 눌려진 상태를 유지한 채로, 이들 면(81, 71)을 따라 전동(자전 및 공전)한다. 따라서 제1외측전극(8) 및 제1내측전극(7)이 상대적으로 회전하더라도, 이들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항상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예의 회전단자기구(1)는, 롤러 베어링 기구에 있어서 외륜 및 내륜의 사이에 전동체(轉動體)를 삽입하는 경우와 같이, 양쪽 전극(7, 8)의 사이 및 양쪽 전극(9, 10)의 사이에 각각 도전성 링(14, 24)을 넣는 것 만으로 구축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수가 적은 회전단자기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와 같이, 고정측 전극 및 회전측 전극의 쌍을 동심원 모양으로 다수 세트 배치함으로써 중심축선방향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 다극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링의 개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양쪽 전극 사이의 접촉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소형화, 특히, 중심축선방향의 두께를 얇게 하는데 유리한 회전단자기구를 실현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예)
상기한 예는 2극용의 회전단자기구이지만, 본 발명은 1극용, 3극 이상의 다극용의 회전단자기구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내측전극 및 외측전극의 쌍을 동심원 모양으로 복수 배치하는 대신에, 중심축선의 방향으로 내측전극 및 외측전극의 쌍을 적층하여 다극의 회전단자기구를 구축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외경치수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고 다극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는, 회전단자기구(1)의 중공회전축(2)을 모터의 출력축이나 회전 액추에이터의 회전 출력축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유니트이다. 이 대신에, 모터나 회전 액추에이터 등의 회전기구에 직접적으로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중공회전축(2)을 생략하여 모터의 회전축에 직접적으로 조립할 수 있다.

Claims (7)

  1. 원형내주면(圓形內周面)을 구비한 외측전극(外側電極)과,
    상기 원형내주면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동심원 모양으로 배치된 원형외주면(圓形外周面)을 구비한 내측전극(內側電極)과,
    상기 원형내주면 및 상기 원형외주면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고 지름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이 가능한 복수개의 도전성 링(導電性 ring)을 구비하고,
    상기 도전성 링의 외경은 상기 원형내주면 및 상기 원형외주면의 간격보다 크고,
    각 도전성 링은, 타원으로 휘어진 상태로 상기 원형내주면 및 상기 원형외주면의 사이에 삽입되고, 그 탄성복귀력(彈性復歸力)에 의하여 상기 원형내주면 및 상기 원형외주면에 가압되며, 이 상태에서 이들 면을 따라 전동(轉動) 가능하고,
    상기 외측전극 및 상기 내측전극 중, 일방이 고정측 전극(固定側 電極)이고 타방이 회전측 전극(回轉側 電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단자기구(回轉端子機構).
  2. 제1항에 있어서,
    각 도전성 링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각 도전성 링의 사이에 배치된 리테이너 스페이서(retainer spacer)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단자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전극 및 상기 내측전극은 링 모양의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단자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고정측 케이스와,
    상기 고정측 케이스의 내측단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동축상태(同軸狀態)로 대향하고 있는 내측단면을 구비한 회전측 케이스를 구비하고,
    당해 회전측 케이스는,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로 상기 고정측 케이스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고,
    상기 고정측 케이스의 상기 내측단면에 상기 고정측 전극이 부착되고, 상기 회전측 케이스의 상기 내측단면에는 상기 회전측 전극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단자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케이스 및 상기 회전측 케이스의 일방에는, 상기 도전성 링 및 상기 리테이너 스페이서를 상기 외측전극의 상기 원형내주면 및 상기 내측전극의 상기 원형외주면의 사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용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당해 삽입용 개구부가 뚜껑부재에 의하여 봉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단자기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전극 및 상기 내측전극의 쌍이 동심원 모양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고,
    각 쌍의 상기 외측전극 및 상기 내측전극의 사이에 상기 도전성 링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단자기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전극 및 상기 내측전극의 쌍이, 상기 외측전극 및 내측전극의 중심축선의 방향으로 복수 세트 배치되어 있고,
    각 쌍의 상기 외측전극 및 상기 내측전극의 사이에 상기 도전성 링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단자기구.
KR1020087031382A 2008-12-24 2006-07-26 회전단자기구 KR200900338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7031382A KR20090033839A (ko) 2008-12-24 2006-07-26 회전단자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7031382A KR20090033839A (ko) 2008-12-24 2006-07-26 회전단자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3839A true KR20090033839A (ko) 2009-04-06

Family

ID=40759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1382A KR20090033839A (ko) 2008-12-24 2006-07-26 회전단자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38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672B1 (ko) * 2022-04-22 2022-08-26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건물 일체형 태양광 패널용 창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672B1 (ko) * 2022-04-22 2022-08-26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건물 일체형 태양광 패널용 창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1091B2 (en) Rotary terminal mechanism
JP5774691B2 (ja) ユニット型波動歯車装置
US20080122303A1 (en) Direct-current moto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direct-current motor
WO2014054236A1 (ja) モータ
CN104903987B (zh) 旋转操作型电子部件
JP5002859B2 (ja) バリアブルリラクタンス型レゾルバロータ及びブラシレスモータ
CN107069367B (zh) 一种同时具有转动和滑环两种接触功能的导电滑环
JP3116084U (ja) 光軸ステッピングモータ構造
JP2006244885A (ja) ダイヤル操作具
US7307368B2 (en) DC motor
KR20090033839A (ko) 회전단자기구
KR850002932A (ko) 기어 모우터
JP2008181724A (ja) 多極用回転端子機構
JP6232335B2 (ja) ロータリージョイント
US10404111B2 (en) Motor and stator crush resistance device
KR101086930B1 (ko) 회전자의 축 방향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기기
JP2019201468A (ja) ロータ
JP7204027B1 (ja) 回転電機及びそのローター
WO2019039085A1 (ja) スリップリング装置
US20230387745A1 (en) Cover and motor comprising same
JP4896610B2 (ja) 整流子、電機子及び直流モータ
JP2003184976A (ja) 摩擦ローラ式変速機
JP4417589B2 (ja) ブラシ装置の支持構造
JP2016220467A (ja) モータ
JP2014030352A (ja) ロー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