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299A -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호 신호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호 신호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299A
KR20090010299A KR1020070073277A KR20070073277A KR20090010299A KR 20090010299 A KR20090010299 A KR 20090010299A KR 1020070073277 A KR1020070073277 A KR 1020070073277A KR 20070073277 A KR20070073277 A KR 20070073277A KR 20090010299 A KR20090010299 A KR 20090010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l
time data
input
video cal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3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6974B1 (ko
Inventor
최행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3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974B1/ko
Priority to US12/142,593 priority patent/US8736657B2/en
Priority to CN2008101315499A priority patent/CN101355757B/zh
Priority to EP08012955A priority patent/EP2019549A1/en
Publication of KR20090010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화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화상통화 호 신호를 수신하고, 실시간 데이터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수신된 화상 통화 호 신호가 연결된 경우, 음성 출력 없이 실시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게 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실시간 데이터의 입출력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실시간 데이터 입력을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호 신호 처리방법{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CALL SIGNAL IN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화상 통화를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상술한 휴대 단말기는 이용하여 화상 통화를 수행할 경우, 음성과 영상의 출력을 통해 화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음성 출력으로 인해 곤란한 경우가 발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최근 들어, 음성 출력 없이 화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 출력 없이 실시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호 신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매너모드 상태에서 화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호 신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화상통화 호 신호를 수신하고, 실시간 데이터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수신된 화상 통화 호 신호가 연결된 경우, 음성 출력 없이 실시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게 하는 제어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실시간 데이터의 입출력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실시간 데이터 입력을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화상통화 호 신호를 수신하고, 실시간 데이터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매너모드 상태에서 상기 수신된 화상 통화 호 신호가 연결된 경우, 음성 출력 없이 실시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게 하는 제어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실시간 데이터의 입출력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실시간 데이터 입력을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화상통화 호 신호를 전송하고, 실시간 데이터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전송된 화상 통화 호 신호가 상대 휴대 단말기가 매너모드 상태에서 연결된 경우, 음성 출력 없이 실시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게 하는 제어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실시간 데이터의 입출력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실시간 데이터 입력을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상통화 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화상통화 호 신호가 연결된 경우, 음성 출력 없이 실시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호 신호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호 신호 처리방법은 정숙을 요하는 상황에서도 음성 출력없이 화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은 화상 통화 시, 실시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조작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저장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GPS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 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5)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 모듈(121)과 마이크 모듈(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 모듈(122)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 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모듈(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조작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조작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 출력 모듈(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3)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 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 출력 모듈(153)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 출력 모듈(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 출력 모듈(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 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 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제1바디(100A)와, 상기 제1바디(100A)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100B)를 포함한다.
제1바디(100A)가 제2바디(100B)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00A)가 제2바디(100B)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제1바디(100A)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100A), 구체적으로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디스플레이모 듈(151), 제 1 음향출력모듈(152-1), 제1 카메라모듈(121-1) 또는 제1 조작부(130-1)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151)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이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음향출력모듈(152-1)은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카메라모듈(121-1)은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조작부(130-1)는 본 발명에 관련된 뮤직 비디오 생성에 관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다.
제1바디(100A)와 마찬가지로, 제 2 바디(100B)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와 제 2 리어 케이스(100B-2)에 의해 형성된다.
제2 바디(100B), 구체적으로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조작부(130-2)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 또는 제 2 리어 케이스(100B-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조작부(130-3), 마이크모듈(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조작부(130-1, 130-2, 130-3))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130)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30-1)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조작부(130-2)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조작부(130-3)는 상기 휴대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모듈(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70)에 대해서는 이미 전술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 2 리어 케이스(100B-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는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제2바디(100B)의 제 2 리어 케이스(100B-2)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모듈(121-2)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카메라모듈(121-2)은 제1 카메라모듈(121-1, 도 1 참조)과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모듈과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모듈(121-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카메라모듈(121-2)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게 구성할 수 있다.
제2 카메라모듈(121-2)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1-3)와 거울(121-4)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121-3)는 제2 카메라모듈(121-2)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상기 거울(121-4)는 사용자가 제2 카메라모듈(121-2)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 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 2 리어 케이스(100B-2)에는 제2 음향출력모듈 (152-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음향출력모듈(152-2)는 제1 음향출력모듈(152-1, 도2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리어 케이스(100B-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1-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11-1)는 제2바디(100B)(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바디(100A)의 제 1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제1바디(100A)와 제2바디(100B)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00C)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100C)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100B)의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모듈(121-2)) 등이 제2바디(100B)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카메라모듈(121-2) 등과 같이 제 2 리어 케이스(100B-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11-1, 121-2 내지 121-3, 152-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100A), 주로는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 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제 1 리어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100B)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 카메라모듈(121-2)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모듈(121-1)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모듈(121-2)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화상통화 호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화상통화 호 신호를 수신한 경우, 호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다음으로 화상 통화 호 신호 요청을 통해 화상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의 호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호 신호 처리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화상통화 호 신호를 수신한다(S10). 상기 화상 통화 호 신호는 매너모드 상태에서도 수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매너모드"라 함은 정숙을 요하는 상황에서 휴대 단말기상의 각종 이벤트 및 착신에 대한 알림 방법을 오디오 신호의 출력 외에 다른 방법을 통해 수행하는 모드를 말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신호의 출력 대신 진동이나 램프의 깜박거림 등을 통해 알림을 수행하는 방법이 있다.
매너모드 상태에서 화상 통화 호 신호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매너모드를 유지할 것인지 해제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S20). 제어부(180)는 상기 매 너모드 유지 여부 선택을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도 5a에 도시됨).
상기 S20 단계에서 매너모드를 해제한 경우(도 5a에서 "NO"를 선택한 경우)는 일반 화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S40). 여기서 "일반 화상 통화"라 함은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을 바라보면서 음성의 입출력을 이용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S20 단계에서 매너모드를 유지한 경우(도 5a에서 "YES"를 선택한 경우), 제어부(180)는 매너모드가 유지되었다는 정보를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S30). 이는 상대방 사용자는 매너모드가 유지가 상태에서 화상 통화가 진행됨을 인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S30 단계는 경우에 따라서는 생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매너모드가 유지된 상태에서 화상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자신의 영상 노출 여부를 선택할 수도 있다(S50). 이는 매너모드가 유지된 상황에서 자신의 영상을 전송하기 곤란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S50 단계 수행을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자신의 영상 노출 여부 선택을 위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만약, 자신의 영상 노출이 꺼려지면 사용자는 대체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S60). 대체 영상은 미리 설정된 것을 보낼 수도 있고, 저장부(160)에 저장된 영상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저장된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제어부(180)는 별도의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자신의 영상을 전송하든 대체 영상을 전송하든지 매너모드 상태에서 화상 통화가 연결되면 음성은 출력되지 않는다. 따라서 음성출력 없이 실시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S70).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실시간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주고 받을 수 있는 데이터를 말한다.
예를 들어, 실시간으로 주고 받는 문자,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주고 받는 멀티 미디어 메시지, 이모티콘, 채팅 내용, 메신저를 이용하여 주고 받는 데이터 등이 상기 실시간 데이터의 예가 될 수 있다. 상기 메신저의 예로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메신저가 있고, 상기 채팅은 화상 채팅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실시간 데이터의 전송 및 수신은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PS(Packet Service) 망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3GPP 기반의 CS(Curcuit) 망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IMS(IP Multimedia Subsystem) 메신저를 통해 주고 받는 실시간 데이터는 PS(Packet Service) 망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화상 채팅을 통해 주고 받는 실시간 데이터는 CS(Curcuit) 망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CS 망을 통해 실시간 데이터를 주고 받을 경우, 별도의 서버를 구축할 필요가 없다. 즉, 네트웍 리소스 및 비용 절약이 가능하다.
이하, 실시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상 통화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매너모드가 유지된 상태에서 음성 출력 없이 실시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상통화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a에서 "YES"를 선택한 경우, 제어부(180)는 도 5b 또는 도 5c와 같은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b는 실시간 데이터가 전송 또는 수신되는 상황이 상대방 영상과 오버랩되면서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고, 도 5c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별도 공간에 입력창이 표시되는 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5b 또는 도 5c에서는 채팅을 실시간 데이터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 채팅을 통해 문자, 데이터, 이모티콘 등을 상대방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기 실시간 데이터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60)에는 이모티콘, 상용 문구 등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된 실시간 데이터를 이용할 경우, 실시간 데이터의 내용 입력을 위해 조작부(130)를 조작하지 않기 때문에 간편하게 실시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데이터는 조작부(130)의 키 조작을 통해 입력될 수도 있다. 특히, 조작부(130)가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 존재할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를 터치함으로써, 조작부(130)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화상 통화 매너모드에 대한 아이콘(301)을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매너모드 상태라는 것을 인지시켜줄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매너모드와 무관하게 음성출력 없이 실시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상 통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그런 경우는 상기 S20 단계가 생략될 수 있다.
도 6은 실시간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실시간 데이터 입력할 때, 입력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입력모드의 활성화라 함은 실시간 데이터 입력을 할 수 있도록 설정된 상태를 말한다. 예를 들어, 입력모드의 활성화는 입력창(402)의 활성화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창(402)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되는 창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실시간 데이터의 입력 상황이나 수신되는 실시간 데이터의 수신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창을 말한다.
도 6a는 입력창(402)이 활성화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6b는 입력창(402)이 활성화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창(402)이 활성화되면, 실시간 데이터 입력 상황 및 수신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대방이 실시간 데이터를 입력 중인 경우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식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창(402)에 식별되게 표시할 수도 있고(미도시), 디스플레이되는 상대방 영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6b에서는 상대방 영상 테두리 부분에 라이트(403)를 켜서 식별되게 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상대방이 실시간 데이터 입력 중이라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 자신이 실시간 데이터를 입력 중인 경우에도 상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식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실시간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 다. 도 7a는 실시간 데이터가 전송 또는 수신되는 상황이 상대방 영상과 오버랩되면서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고, 도 7b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별도 공간에 입력창이 표시되는 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151)는 터치 스크린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특정 영역에 핸드 라이팅(Hand Wrighting)을 통해 실시간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특정 영역 상에 쓰여진 사용자의 핸드 라이팅(Hand Wrighting)을 인지할 수 있다. 상기의 특정 영역은 실시간 데이터 입력을 위해 마련된 소정의 영역을 말한다.
도 8은 실시간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는 실시간 데이터가 전송 또는 수신되는 상황이 상대방 영상과 오버랩되면서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고, 도 8b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별도 공간에 입력창이 표시되는 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151)는 터치 스크린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특정 영역에 표시된 키 패드(key pad)d의 키 신호 입력을 통해 실시간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키 신호 입력은 ㅋ표시된 키 패드의 터치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실시간 데이터는 다양한 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방법으로 입력된 실시간 데이터는 상대방에게 전송될 수 있다. 전송하는 방법도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간 데이터의 입력이 완 료된 경우, 사용자의 특정 키 입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키로는 핫키(hot key) 또는 단축키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경우는 터치를 통한 드래그를 이용하여 실시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터치를 통한 드래그를 이용하여 실시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실시간 데이터의 내용이 터치를 통해 상대방 화상으로 드래그된 경우(도 9a), 드래그된 실시간 데이터의 내용이 상대방 화상과 오버랩되면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도 9b). 이 경우, 드래그된 실시간 데이터의 내용은 상대방에게 전송된다.
한편, 사용자는 실시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상 통화를 하고자 할 경우, 카메라 모듈(121)를 통해 촬영한 자신의 화상을 전송할 수도 있지만 대체영상을 전송하면서 화상 통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대체 영상을 이용하여 화상 통화를 수행하는 방법이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카메라 모듈(121)를 통해 촬영된 자신의 영상을 전송하기 곤란한 경우 대체 영상을 전송하여 화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체 영상은 미리 설정된 것을 이용할 수도 있고, 저장부(160)에 저장된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저장된 영상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팝업 창을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화상 통화 호 신호 요청을 통해 화상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의 호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화상 통화 호 신호를 요청하여 호 신호를 처리할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으므로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100)의 블록도를 이용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호 신호 처리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화상 통화 호 신호 요청을 한다(S110). 상기 화상 통화 요청에 대한 호 신호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상 통화 요청을 위해 호 신호가 전송 중일 경우는 도 13a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화상 통화 요청 호 신호를 전송받은 상대방 단말기가 매너모드 상태에서 상기 화상 통화를 연결(S120)한 경우, 제어부(180)는 음성 출력없이 실시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상 통화를 수행하겠다는 정보를 상대방 휴대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대방 단말기가 매너모드 상태에서 연결되었다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할 수 있다. 그와 같이 표시된 예가 도 13b에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대방 단말기 매너모드 상태에서 화상 통화가 연결된 경우, 제어부(180)는 실시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상 통신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음성 출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대방 단말기가 매너모드인 점을 고려하여 오디오 신호가 전송되지 않게 할 수도 있다.
화상 통화 호 신호 요청을 통해 화상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화상 통화 호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간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 실시간 데이터 전송하는 방법, 실시간 데이터의 예, 실시간 데이터의 전송 망 등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 의하면, 화상 통화 시 매너모드가 구동될 경우 송신측과 수신측 단말에서는 사용자 데이터 조작부에 대한 활용여부를 세팅(setting)할 수 있으며, 이 때 사용자 데이터 조작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들은 H324의 User Data Applications Protocol을 이용하여 송수신되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실시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상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호 신호 처리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호 신호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호 신호 처리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호 신호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휴대 단말기 110: 무선 통신부
120: A/V 입력부 130: 조작부
140: 센싱부 150: A/V 출력부
160: 저장부 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 190: 전원 공급부

Claims (30)

  1. 화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화상통화 호 신호를 수신하고, 실시간 데이터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수신된 화상 통화 호 신호가 연결된 경우, 음성 출력 없이 실시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게 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실시간 데이터의 입출력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실시간 데이터 입력을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주고 받는 문자, 실시간으로 주고 받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채팅의 내용, 실시간으로 주고 받는 이모티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휴대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실시간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실시간 데이터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터치에 의한 정보 입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쓰여진 필기체를 실시간 데이터의 입력으로 인식하거나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키패드의 터치를 실시간 데이터 입력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시간 데이터 입력 시, 상기 실시간 데이터 입력을 위한 입력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드의 활성화는
    입력창의 활성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창은
    상대방 휴대 단말기가 상기 실시간 데이터를 입력 중인 경우 식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 단말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창에 입력된 실시간 데이터가 터치를 통해 상대방 화상에 드래그된 경우, 상기 입력된 실시간 데이터를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데이터의 전송 및 수신은
    회선 서비스(Circuit Service) 망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대방 또는 사용자가 상기 실시간 데이터를 입력 중인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식별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매너모드 상태에서 상기 화상통화 호 신호가 연결된 경우, 음성 출력 없이 상기 실시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화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화상통화 호 신호를 수신하고, 실시간 데이터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매너모드 상태에서 상기 수신된 화상 통화 호 신호가 연결된 경우, 음성 출력 없이 실시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게 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실시간 데이터의 입출력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실시간 데이터 입력을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매너모드 상태에서 상기 화상통화 호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매너모드 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통화 호 연결 시 매너모드가 유지된 경우, 매너모드가 유지된 상황을 상대 휴대 단말기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자신의 화상의 전송 여부 선택을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주고 받는 문자, 실시간으로 주고 받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채팅의 내용, 실시간으로 주고 받는 이모티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휴대 단말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실시간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실시간 데이터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터치에 의한 정보 입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쓰여진 필기체를 실시간 데이터의 입력으로 인식하거나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키패드의 터치를 실시간 데이터 입력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시간 데이터 입력 시, 상기 실시간 데이터 입력을 위한 입력모드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드의 활성화는
    입력창의 활성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창은
    상대방 휴대 단말기가 상기 실시간 데이터를 입력 중인 경우 식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 단말기.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창에 입력된 실시간 데이터가 터치를 통해 상대방 화상에 드래그된 경우, 상기 입력된 실시간 데이터를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5.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대방 휴대 단말기가 상기 실시간 데이터를 입력 중인 경우, 상대방 화상을 식별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6.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데이터의 전송 및 수신은
    회선 서비스(Circuit Service) 망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7. 화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화상통화 호 신호를 전송하고, 실시간 데이터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전송된 화상 통화 호 신호가 상대 휴대 단말기가 매너모드 상태에서 연결된 경우, 음성 출력 없이 실시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게 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실시간 데이터의 입출력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실시간 데이터 입력을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음성 출력 없이 상기 실시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겠다는 정보를 상대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9. 화상통화 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화상통화 호 신호가 연결된 경우, 음성 출력 없이 실시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호 신호 처리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행 단계는
    매너모드 상태에서 화상통화 호 신호가 연결된 경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호 신호 처리방법.
KR1020070073277A 2007-07-23 2007-07-23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호 신호 처리방법 KR101396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277A KR101396974B1 (ko) 2007-07-23 2007-07-23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호 신호 처리방법
US12/142,593 US8736657B2 (en) 2007-07-23 2008-06-19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processing call signal therein
CN2008101315499A CN101355757B (zh) 2007-07-23 2008-07-11 无线终端及其中处理呼叫信号的方法
EP08012955A EP2019549A1 (en) 2007-07-23 2008-07-17 Mobil terminal and method of processing call signal ther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277A KR101396974B1 (ko) 2007-07-23 2007-07-23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호 신호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299A true KR20090010299A (ko) 2009-01-30
KR101396974B1 KR101396974B1 (ko) 2014-05-20

Family

ID=39870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3277A KR101396974B1 (ko) 2007-07-23 2007-07-23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호 신호 처리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736657B2 (ko)
EP (1) EP2019549A1 (ko)
KR (1) KR101396974B1 (ko)
CN (1) CN10135575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444B1 (ko) * 2013-02-08 2013-11-2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단말
KR20160064565A (ko) * 2014-11-28 2016-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서버 및 음성출력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54580B2 (en) * 2008-11-21 2012-04-10 Creative Technology Ltd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user communication from a location
US9900280B2 (en) * 2009-03-30 2018-02-20 Avaya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coming requests for a communication session using a graphical connection metaphor
KR20110101587A (ko) * 2010-03-09 2011-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영상통화 방법 및 장치
US9559869B2 (en) 2010-05-04 2017-01-31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Video call handling
US8819566B2 (en) 2010-05-04 2014-08-26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Integrated multi-modal chat
US9356790B2 (en) 2010-05-04 2016-05-31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Multi-user integrated task list
US9003306B2 (en) 2010-05-04 2015-04-07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Doodle-in-chat-context
US9501802B2 (en) * 2010-05-04 2016-11-22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Conversation capture
US20140026070A1 (en) * 2012-07-17 2014-01-23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focus for conversation visualization environments
WO2014061715A1 (ja) 2012-10-19 2014-04-24 グリー株式会社 画像配信方法、画像配信サーバ装置及びチャットシステム
US20140222437A1 (en) * 2013-02-01 2014-08-07 Plantronics, Inc. Out-of-Band Notification of Muting During Voice Activity
US8918339B2 (en) * 2013-03-15 2014-12-23 Facebook, Inc. Associating an indication of user emotional reaction with content items presented by a social networking system
KR102135353B1 (ko) * 2013-08-30 2020-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계형 단말기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US10845982B2 (en) 2014-04-28 2020-11-24 Facebook, Inc. Providing intelligent transcriptions of sound messages in a messaging application
CN105049779A (zh) * 2015-07-10 2015-11-11 国家电网公司 电力多班组协同作业管理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6299A (ja) * 1995-01-26 1996-08-06 Tosoh Corp サーマルサイクリング反応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反応容器
US6852986B1 (en) * 1999-11-12 2005-02-0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luorometer with low heat-generating light source
KR20000054437A (ko) 2000-06-07 2000-09-05 홍충기 화상 채팅 처리 방법
US20030039340A1 (en) * 2001-08-24 2003-02-27 Intel Corporation Adaptive instant messaging
US7096037B2 (en) * 2002-01-29 2006-08-22 Palm, Inc. Videoconferencing bandwidth management for a handheld computer system and method
CN1685698A (zh) 2002-09-27 2005-10-19 银河网路股份有限公司 视频电话翻译系统及视频电话翻译方法
CN100380907C (zh) 2003-04-18 2008-04-09 张烂熳 一种使通信终端实现手写笔迹信息交流的方法
US7568167B2 (en) * 2003-06-26 2009-07-28 Microsoft Corporation Non-persistent user interface for real-time communication
KR100607028B1 (ko) * 2004-01-05 2006-07-31 김태유 입력창을 통한 정보 데이터 전송 방법.
US20050210394A1 (en) * 2004-03-16 2005-09-22 Crandall Evan S Method for providing concurrent audio-video and audio instant messaging sessions
KR20050094229A (ko) * 2004-03-22 2005-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채팅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4277207B2 (ja) 2004-04-06 2009-06-10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型tv電話の送受信方法および携帯型tv電話端末
US7917178B2 (en) 2005-03-22 2011-03-2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ith voice-to-text conversion
KR100799670B1 (ko) * 2006-06-30 2008-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을 이용한 방송수신 중 화면분할 방법 및 장치
KR20080002081A (ko) * 2006-06-30 2008-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VoIP를 이용한 화상통신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0827802B1 (ko) * 2006-10-24 2008-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화상 통화 장치 및 화상 통화 송수신방법
US20080307324A1 (en) * 2007-06-08 2008-12-11 Apple Inc. Sharing content in a videoconference session
FR2920142B1 (fr) 2007-08-20 2009-09-18 Aircelle Sa Dispositif et procede de commande de l'alimentation d'au moins un actionneur de maintenance d'un aerone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444B1 (ko) * 2013-02-08 2013-11-2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단말
US9338110B1 (en) 2013-02-08 2016-05-10 Sk Planet Co., Ltd. Method of providing instant messaging service, recording medium that records program therefore, and terminal
KR20160064565A (ko) * 2014-11-28 2016-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서버 및 음성출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19549A1 (en) 2009-01-28
US8736657B2 (en) 2014-05-27
KR101396974B1 (ko) 2014-05-20
CN101355757A (zh) 2009-01-28
US20090027480A1 (en) 2009-01-29
CN101355757B (zh) 201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6974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호 신호 처리방법
KR101405933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표시 방법
US8619004B2 (en) Mobile terminal using touch scree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435800B1 (ko) 휴대 단말기,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그리고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KR20090006563A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방법
KR20090032559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5759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포인터 제어방법
KR20090034215A (ko)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100030387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56209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00057358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41576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공지 방법
KR10141214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090035239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공유방법
KR10201865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451653B1 (ko) 휴대단말기 및 그 키패드 제어방법
KR20090020320A (ko) 휴대 단말기, 휴대 단말기의 정보 전송 방법 그리고 휴대단말기의 표시방법
KR10150468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61728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366266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신호 처리 방법
KR10150281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48839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60913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90011477A (ko) 단말기의 메시지 송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KR20090039188A (ko) 모드 설정키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