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558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558A
KR20090004558A KR1020080060573A KR20080060573A KR20090004558A KR 20090004558 A KR20090004558 A KR 20090004558A KR 1020080060573 A KR1020080060573 A KR 1020080060573A KR 20080060573 A KR20080060573 A KR 20080060573A KR 20090004558 A KR20090004558 A KR 20090004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nector
shell
plu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0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7569B1 (ko
Inventor
토시하루 미요시
켄지 미키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4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45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strain relief being achieved by molding parts around cable an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70)과 접속되는 콘택트(20)를 가지며, 상기 콘택트(20)가 절연성의 보디(40)에 유지되고, 상기 보디(40)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쉘(80)에 의해 차폐된 플러그 본체(10)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본체(10)의 일부가 오버몰드되어 있는 플러그에 있어서, 오버몰드가공을 실행할 경우에 용융수지가 쉘(80)의 불가피한 극간(88, 89)으로부터 안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여러 가지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과제로 한 것이며, 그 해결수단에 있어서, 보디(40)는, 쉘(80)이 인접하는 측벽(82, 83, 84)의 사이에 형성되는 극간(88, 89)에 끼여서 상기 극간(88, 89)을 막는 실링부(41, 42)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케이블과 접속되는 콘택트를 가지며, 상기 콘택트가, 플러그(커넥터)의 리셉터클(상대쪽 커넥터)에의 삽입방향 뒤쪽에 형성하는 플러그의 파지(把持)부와, 상기 파지부로부터 상기 삽입방향 앞쪽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리셉터클에 삽입하는 상기 파지부보다 얇은 끼워맞춤부를 가지는 절연성의 보디에 유지되고, 상기 보디의 파지부 및 끼워맞춤부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쉘에 의해 차폐된 플러그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의 단부로부터 상기 플러그 본체의 상기 보디의 파지부를 경유해서 끼워맞춤부의 근원부까지가 오버몰드되어 있는 USB 커넥터 플러그가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표2001-517360호 공보
상기 종래의 플러그의 쉘은, 금속판을 타발(打拔)가공한 후, 타발한 금속판을 절곡가공함으로써 형성되지만, 절곡가공을 실행할 경우에 에지를 형성하는 것은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여 비용면에서 수지가 맞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재료가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이거나, 판두께가 얇은 것 등에 의해 실행할 수 없으며, 반드시 둥글게 휘어진다(아르(round)). 이런 연유로, 쉘의 베이스의 연장부를 꺾어 세워서 이루어지는 측판 중, 인접하는 측판의 사이에 극간이 형성되고, 오버몰드가공(인서트성형)을 실행할 경우에 용융수지가 쉘의 극간으로부터 안쪽으로 유입되며, 예를 들면 콘택트의 가동부가 가동되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쉘이 인접하는 측판이 각각 베이스의 연장부를 굽힘 각도 90˚로 꺾어 세워진 것인 경우에, 이 인접하는 측판의 사이에 형성되는 극간은 최소로 되지만, 이 최소의 극간일지라도 용융수지의 유입에 대해서는 충분해진다. 더구나 인접하는 측판의 한쪽이 베이스의 연장부를 굽힘 각도 90˚로 꺾어 세워진 것이며, 다른 쪽이 베이스의 연장부를 90˚보다 작은 굽힘 각도로 꺾어 세워진 것인 경우는, 이 인접하는 측판의 사이에 형성되는 극간은 굽힘 각도의 차에 비례해서 커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버몰드가공을 실행할 경우에 용융수지가 쉘의 극간으로부터 안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여러 가지의 문제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커넥터는, 케이블과 접속되는 콘택트를 가지며, 상기 콘택트가 절연성의 보디에 유지되고, 상기 보디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쉘에 의해 차폐된 플러그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본체의 일부가 오버몰드되어 있는 커넥터로서, 상기 쉘은, 직사각형상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연장부를 꺾어 세워서 이루어지는 복수의 측판을 가지며, 상기 보디는, 상기 쉘이 인접하는 상기 측판의 사이에 형성되는 극간에 끼여서 상기 극간을 막는 실링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커넥터 플러그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보디는, 커넥터의 상대쪽 커넥터에의 삽입방향 뒤쪽에 형성하는 커넥터의 파지(把持)부와, 상기 파지부로부터 상기 삽입방향 앞쪽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상대쪽 커넥터에 삽입하는 상기 파지부보다 얇은 끼워맞춤부를 가지며, 상기 쉘은, 상기 파지부의 상기 삽입방향 앞쪽의 전단부면을 덮는 전측판(前側板)과, 상기 파지부의 전단부면에 인접하는 좌우측면을 따르는 좌우측판과, 상기 전측판의 연장부를 절곡해서 이루어지며 상기 끼워맞춤부를 덮는 통형상부를 가지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전측판과 좌우측판의 사이에 형성되는 극간에 끼여서 상기 극간을 막고, 상기 플러그 본체의 상기 보디의 파지부에서 끼워맞춤부의 근원부까지가 오버몰드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커넥터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보디의 끼워맞춤부를 상대쪽 커넥터에 삽입한 경우에 해 당 상대쪽 커넥터에 걸어 맞추는 래치(latch)를 가지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커넥터 플러그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쉘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삽입방향 뒤쪽에 위치하는 연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콘택트에 접속된 상기 케이블과 결합하는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케이블의 단부로부터 상기 플러그 본체의 상기 보디의 파지부를 경유해서 끼워맞춤부의 근원부까지가 오버몰드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의 커넥터 플러그는,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서로 대향하는 다른 베이스와, 상기 다른 베이스의 연장부를 꺾어 세워서 이루어지며 상기 좌우측판과 겹치는 다른 좌우측판을 가지며, 상기 쉘에 의해 상기 보디의 파지부의 전체 주위를 덮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쉘커버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의 커넥터는,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의 커넥터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쉘커버는, 상기 다른 베이스의 상기 삽입방향 뒤쪽에 위치하는 연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콘택트에 접속된 상기 케이블과 결합하는 다른 고정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의 커넥터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마이크로 USB 커넥터 규격 준거의 마이크로 USB 플러그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쉘의 불가피한 극간을 보디의 실링부에 의해 막으므로, 오버몰드가공을 실행할 경우에 용융수지가 쉘의 극간으로부터 안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콘택트의 가동부가 가동되지 않게 되는, 래치를 가지는 경우는 이 가동부도 가동되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의거해서 상술한다.
도 1(A)은 본 발명의 1실시의 형태에 관련되는 커넥터의 정면도이고, 도 1(B)은 동일커넥터의 우측면도이며, 도 1(C)은 동일커넥터의 저면도이고, 도 2(A)는 동일커넥터의 오버몰드만 절반 단면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2(B)는 동일커넥터의 오버몰드만 전체 단면한 상태의 우측면도이고, 도 3은 동일커넥터의 플러그 본체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케이블은 도시하지 않음)이고,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우측면도이며, 도 5는 동일커넥터의 보디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동일커넥터의 배면, 평면 및 좌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동일커넥터의 보디의 배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A부 확대도이고, 도 9(A)는 도 7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9(B)는 도 7의 C-C선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7의 D-D선 단면도이고, 도 11은 동일커넥터의 제1 콘택트의 배면, 평면 및 좌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A)는 동일커넥터의 제1 콘택트의 우측면도 및 배면도이고, 도 12(B)는 동일커넥터의 다른 제1 콘택트의 우측면도 및 배면도이며, 도 12(C)는 동일커넥터의 제2 콘택트의 우측면도 및 배면도이고, 도 13은 동일커넥 터의 쉘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4(A)는 동일커넥터의 쉘의 정면도이고, 도 14(B)는 동일커넥터의 쉘의 평면도이며, 도 14(C)는 동일커넥터의 쉘의 측면도이며, 도 14(D)는 도 14(B)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15(A)는 동일커넥터의 쉘커버의 정면도이며, 도 15(B)는 동일커넥터의 쉘커버의 평면도이고, 도 15(C)는 동일커넥터의 쉘커버의 우측면도이고, 도 15(D)는 도 15(B)의 A-A선 단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특별한 단서가 없는 경우, 도 3에 있어서의 화살표 a-b방향을 커넥터의 상대쪽 커넥터에의 삽발(揷拔)방향이 되는 전후방향(커넥터의 길이방향), 화살표 c-d방향을 상기 삽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피치방향이 되는 좌우방향(커넥터의 폭방향), 화살표 e-f방향을 상기 삽발방향과 피치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 되는 상하방향(커넥터의 두께방향)으로서 설명한다.
도 1(A), 도 1(B), 도 1(C), 도 2(A), 도 2(B)에 있어서, 부호(1)는 마이크로 USB 커넥터 규격 준거의 마이크로 USB 커넥터를, 예를 들면 휴대전화, 디지털카메라, PDA, 휴대음악 플레이어 등에 설치되는 도시하지 않은 AB타입의 리셉터클(상대쪽 커넥터)로 구성하는 A타입의 마이크로 USB 플러그(케이블 하네스(harness)용)로서, 도 5,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콘택트(20)와 복수의 래치(록 스프링(lock spring))(30)를 절연성의 보디(40)에 장착하고, 그리고 나서 케이블(70)의 단부로부터 인출된 복수의 리드선(71, 72, 73, 74)의 말단부를 소정의 콘택트(20)의 뒤쪽에 납땜으로 접속하고, 다음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쉘(80)과 쉘커버(90)에 의해 보디(40)를 차폐해서, 케이블(70)의 단부에 플러그 본체(10)를 조립하고, 마지막에 사출성형용 금형의 캐비티 내에 플러그 본체(10)와 이 플러그 본체(10)의 뒤쪽으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케이블(70)이 있는 길이(인서트 품)를 장전하고, 절연성의 수지를 주입해서 케이블(70)의 단부로부터 플러그 본체(10)의 뒤쪽 파지부를 경유해서 플러그 본체(10)의 앞쪽 끼워맞춤부의 근원부까지를 용융수지로 감싸서 고체화하고, 일체화되는 오버몰드가공(인서트성형)을 실행하여, 제품으로서 완성되는 것이다.
또, 부호(2)는 플러그(1)의 오버몰드수지(외피)이며, 부호(3)는 플러그(1)의 뒤쪽 파지부 주위에 있는 오버몰드수지(2)의 좌우측면에 형성된 미끄러짐 방지이다. 또한, 플러그(1)의 뒤쪽 파지부 주위에 있는 오버몰드수지(2)의 상하부면에는, 플러그(1)가 이 상대 커넥터인 리셉터클에 정규 삽입되도록 플러그(1)의 종류나 삽입방향을 표시하는 아이콘 등 도시하지 않은 조각을 덧붙일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1)는, 케이블(70)이 접속되는 복수의 콘택트(20)와, 복수의 래치(30)와, 이들 콘택트(20) 및 래치(30)를 유지하는 절연성의 보디(40)와, 이 보디(40)를 덮는 차폐용 쉘(80)(2피스구조)과, 이들 복수의 콘택트(20), 복수의 래치(30), 보디(40), 쉘(80)을 구비해서 구성되는 플러그 본체(10)와 케이블(70)에 일체화되어서, 케이블(70)의 단부로부터 플러그 본체(10)의 뒤쪽 파지부를 경유해서 플러그 본체(10)의 앞쪽 끼워맞춤부의 근원부까지를 연속적으로 덮는 오버몰드수지(2)를 구비해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오버몰드된 플러그(1)는, 케이블(70)의 내굴곡성 및 인장강도, 플러그 본체(10)의 견뢰성이 향상되고, 케이블(70)을 인장하면서의 이탈이나 경사지 게 비틀면서의 이탈 등의 부적정한 이탈에 강하며, 또한, 경사지게 비틀면서의 삽입이나 무리한 압입식 삽입, 역삽입 등의 부적정한 삽입에 강하고, 거친 취급에 강하다.
다음에, 플러그(1)의 각 부품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콘택트(20)는 1번 ~ n번(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1번 ~ 5번) 콘택트(20a, 20b, 20c, 20d, 20e)로 구성되고, 도 5에 있어서, 우단부가 1번 콘택트(20a), 우측에서 2번째, 3번째, 4번째가 2번 콘택트(20b), 3번 콘택트(20c), 4번 콘택트(20d), 좌단부가 5번 콘택트(20e)이다. 또한, 콘택트(20)는 뒤쪽의 결선부 형상이 다른 2종류의 콘택트, 즉 도 11, 도 12(A)에 도시한 제1 콘택트 및 이 제1 콘택트와 동일종류인 도 12(B)에 도시한 다른 제1 콘택트와, 도 12(C)에 도시한 제2 콘택트의 2종류를 포함하고, 2번, 5번 콘택트(20b, 20e)에 제1 콘택트를 이용하고, 4번 콘택트(20d)에 다른 제1 콘택트를, 1번, 3번 콘택트(20a, 20c)에 제2 콘택트를 이용한다. 이와 같은 콘택트(20)는 양호한 도전성의 얇은 금속평판을 타발가공한 후, 타발한 금속평판을 절곡가공함으로써 형성되고, 판두께방향(타발방향)을 플러그(1)의 좌우방향에 일치시켜서 사용하는 것으로서, 플러그(1)의 전후방향을 따른 길이와, 좌우방향을 따른 폭과, 상하방향을 따른 높이를 가진다.
도 11, 도 12(A), 도 12(B), 도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택트(20)는 뒤쪽에 보디(40)에 유지되는 유지부(21)를 가지며, 앞쪽에 스프링부(22)를 가진다. 유지부(21)는 상부에 이탈방지용 걸어맞춤클로(23)를 설치한다. 스프링부(22)는 유지부(21)로부터 앞쪽을 향해서 연설(延說)되고, 뒷부분의 근원부(유지부(21)의 앞 부분)를 지점(支點)으로 앞부분이 상하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한 캔틸레버구조를 가진다.
또, 콘택트(20)는 앞쪽에 리셉터클이 구비되는 도시하지 않은 콘택트와 접촉시키는 접촉부(24)를 가지고, 뒤쪽에 케이블(70)과 접속하는 단자부(25)를 가진다. 접촉부(24)는 스프링부(22)의 전단부로부터 위쪽을 향해 돌출되어서 산형상으로 형성된다. 단자부(25)는 유지부(21)로부터 뒤쪽을 향해서 연설된다.
또한, 콘택트(20)는 단자부(25)에 상하방향을 따라서 V자 형상으로 개확(開擴)해서 리드선(71, 72, 73, 74)이 납땜되는 결선부를 가진다. 결선부는 개확방향이 상향인 제1 결선부(26) 및 다른 제1 결선부(27)와, 개확방향이 하향인 제2 결선부(28)의 2종류를 포함한다.
제1 결선부(26)는 제1 콘택트인 2번, 5번 콘택트(20b, 20e)에 형성되고, 단자부(25)의 상부를 대략 55˚의 굽힘 각도로 뒷면에서 보면 좌측을 경사지게 구부려서 형성한 경사부(25a)로부터 뒤쪽을 향해서 동일면으로 연설된 한쪽의 사변(26a)과, 한쪽의 사변(26a)의 하부로부터 굽힘 각도 대략 70˚의 굴곡부(26b)를 개재해서 뒷면에서 보면 우측이 위쪽을 향해서 경사져 연설된 다른 쪽의 사변(26c)을 가지며, 2번, 5번 콘택트(20b, 20e)의 수직인 중심선 위에 중심을 가지고, 뒷면에서 보면 단자부(25)의 바로 위쪽에서 상향으로 대략 110˚로 개확하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른 제1 결선부(27)는 다른 제1 콘택트인 4번 콘택트(20d)에 형성되고, 한쪽의 사변(27a)의 하부로부터 굽힘 각도 대략 35˚의 굴곡부(27b)를 개재해서 다른 쪽의 사변(27c)이 뒷면에서 보면 우측을 향해서 대략 수평으로 연설되고, 각 사변(27a, 27c) 사이의 개확각도가 약간 큰 것, 다른 쪽의 사변(27c)의 폭이 약간 짧은 것 이외는 제1 결선부(26)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제2 결선부(28)는 제2 콘택트인 1번, 3번 콘택트(20a, 20c)에 형성되고, 단자부(25)의 하부를 대략 55˚의 굽힘 각도로 뒷면에서 보면 우측을 경사지게 구부려서 형성한 경사부(25b)로부터 뒤쪽을 향해서 동일면으로 연설된 한쪽의 사변(28a)과, 한쪽의 사변(28a)의 상부로부터 굽힘 각도 대략 70˚의 굴곡부(28b)를 개재해서 뒷면에서 보면 좌측이 아래쪽을 향해서 경사져 연설된 다른 쪽의 사변(28c)을 가지며, 1번, 3번 콘택트(20a, 20c)의 수직인 중심선 위에 중심을 가지고, 뒷면에서 보면 단자부(25)의 바로 아래에서 하향으로 대략 110˚로 개확하는 역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콘택트인 2번, 5번 콘택트(20b, 20e) 및 다른 제1 콘택트인 4번 콘택트(20d)는 뒤쪽 단부의 상부에 상향으로 개확하는 V자 형상의 제1 결선부(26) 및 제2 결선부(27)를 가지고 뒷면에서 본 형상이 Y자형이 되며, 제2 콘택트인 1번, 3번 콘택트(20a, 20c)는 뒤쪽 단부의 하부에 하향으로 개확하는 역V자 형상의 제2 결선부(28)를 가지고 뒷면에서 본 형상이, 2번, 5번 및 4번 콘택트(20b, 20e, 20d)의 뒷면에서 본 형상과 점대칭의 역Y자형이 된다.
계속해서, 래치(30)는 대칭구조인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된다. 래치(30)는 콘택트(20)의 대략 2 ~ 3배의 판두께를 가지는 스프링용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평판을 타발가공한 후, 타발한 금속평판을 절곡가공함으로써 형성되고, 콘택트(20)와 마찬 가지로 판두께방향(타발방향)을 플러그(1)의 좌우방향에 일치시켜서 사용하는 것으로서, 플러그(1)의 전후방향을 따른 길이와, 좌우방향을 따른 폭과, 상하방향을 따른 높이를 가진다.
도 5, 도 6, 도 7,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30)는 뒤쪽에 보디(40)에 유지되는 유지부(31)를 가지며, 앞쪽에 스프링부(32)를 가진다. 유지부(31)는 측면에서 보면 앞쪽을 향해서 개구된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하부에 이탈방지용 걸어맞춤클로(33)를 형성한다. 스프링부(32)는 유지부(31)의 위쪽 편부로부터 앞쪽을 향해서 연설되고, 유지부(31)의 위쪽 편부의 뒷부분의 근원부를 지점으로 앞부분이 상하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한 캔틸레버구조를 가진다.
또, 래치(30)는 앞쪽에 리셉터클이 구비하는 도시하지 않은 걸어맞춤부와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부(34)를 가지며, 좌우대칭구조인 한 쌍의 회전규제부(35, 36)의 한쪽을 한쪽의 래치(30)의 뒤쪽에 형성하고, 다른 쪽을 다른 쪽의 래치(30)의 뒤쪽에 형성한다. 걸어맞춤부(34)는 스프링부(32)의 전단부로부터 위쪽을 향해 돌출되어서 산형상으로 형성된다. 한쪽의 회전규제부(35)는 도 5에 있어서 좌측의 래치(30)의 유지부(31)로부터 뒤쪽을 향해서 동일면으로 연설되는 수직편(35a)과, 수직편(35a)의 하부로부터 뒷면에서 보면 우측을 향해서 대략 수평으로 연설되는 걸어맞춤편(35b)을 가지며, L형으로 형성되고, 다른 쪽의 회전규제부(36)는 도 5에 있어서 우측의 래치(30)의 유지부(31)로부터 뒤쪽을 향해서 동일면으로 연설되는 수직편(36a)과, 수직편(36a)의 하부로부터 뒷면에서 보면 좌측을 향해서 대략 수평으로 연설되는 걸어맞춤편(36b)을 가지며, 한쪽의 회전규제부(35)와 좌우대칭의 L 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한 쌍의 래치(30)는 뒤쪽의 회전규제부 형상만이 다르며, 좌우대칭구조를 가진다.
계속해서, 보디(40)는 절연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사출성형품이며, 도 5, 도 6, 도 7, 도 9(A), 도 9(B),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뒤쪽에 플러그(1)를 삽발할 경우에 손으로 파지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파지부(40a)를 가지며, 앞쪽에 리셉터클에 삽입하는 끼워맞춤부(40b)를 가진다. 끼워맞춤부(40b)는 파지부(4Oa)보다 얇은 직육면체 형상이며, 파지부(40a)의 상하중간위치에서 앞쪽을 향해서 일체로 연설된다. 파지부(40a)의 상부면과 끼워맞춤부(40b)의 상부면의 단차면이 되는 끼워맞춤부(40b)보다 위쪽인 파지부(40a)의 전단부면은 뒤쪽에 대략 45˚의 경사로 경사지는 경사면(4Oc)으로 형성된다.
또, 보디(40)는, 파지부(4Oa)의 뒷부분 상부면에 형성되는 절개된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제1 결선부(26)에 납땜되는 리드선(72, 74)의 말단부를 수용하는 위쪽과 뒤쪽에 개방된 제1 납땜공간(40d)과, 파지부(40a)의 뒷부분 하부면에 형성되는 절개된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제2 결선부(28)에 납땜되는 리드선(71, 73)의 말단부를 수용하는 아래쪽과 뒤쪽에 개방된 제2 땜납공간(40e)과, 각 공간(40d, 40e)의 사이에 형성되는 격벽(40f)과, 끼워맞춤부(40b)의 앞부분 상부면에 형성되는 절개된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리셉터클에 구비하는 콘택트가 삽입되는 위쪽과 앞쪽에 개방된 오목부(40g)를 가진다. 끼워맞춤부(4Ob)의 정면형상은 오목부(40g)에 의해 오목형으로 형성된다.
또, 보디(40)는 경사면(40c)의 좌우 양쪽 측면부에, 쉘(80)의 후술하는 극간에 끼여서 상기 극간을 막기 위한 좌우의 실링부(41, 42)를 가진다. 또한, 실링부(41, 42)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또한, 보디(40)는 콘택트(20)를 장착하는 복수의 콘택트장착홈(43)을 가지는 동시에, 래치(30)를 장착하는 좌우대칭구조인 한 쌍의 래치장착홈(44a, 44b)을 가진다. 콘택트장착홈(43)은 콘택트(20)에 대응해서 1번 ~ 5번 콘택트장착홈(43a, 43b, 43c, 43d, 43e)으로 구성되고, 도 5에 있어서, 우단부가 1번 콘택트장착홈(43a), 우측에서 2번째, 3번째, 4번째가 2번 콘택트장착홈(43b), 3번 콘택트장착홈(43c), 4번 콘택트장착홈(43d), 좌단부가 5번 콘택트장착홈(43e)이다. 또, 콘택트장착홈(43)은 콘택트(20)에 대응해서 뒤쪽의 콘택트삽입구형상이 다른 2종류의 콘택트장착홈, 즉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뒷면에서 본 형상이, 제1 콘택트 및 다른 제1 콘택트에 대응한 Y자형의 제1 콘택트장착홈 및 다른 제1 콘택트장착홈과, 제2 콘택트에 대응한 역Y자형의 제2 콘택트장착홈의 2종류를 포함하고, 2번, 5번 콘택트장착홈(43b, 43e)에 제1 콘택트장착홈을 이용하고, 4번 콘택트장착홈(43d)에 다른 제1 콘택트장착홈을, 1번, 3번 콘택트장착홈(43a, 43c)에 제2 콘택트장착홈을 이용한다.
이와 같은 콘택트장착홈(43)은 콘택트(20)의 판두께보다 약간 큰 홈 폭을 가지며, 보디(40)의 격벽(40f)의 폭 내, 또한 오목부(40g)의 폭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피치 간격을 두고 병설되고, 격벽(40f)의 후단부면으로부터 끼워맞춤부(40g)의 전단부면을 걸쳐서 전후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설되어서 보디(40)의 전체 길이에 형성되고, 보디(40)의 뒤쪽에서 대응하는 콘택트(20)의 전체길이가 삽입되어서 장착된다.
콘택트장착홈(43)은 뒤쪽에 콘택트(20)의 유지부(21)를 고정유지하는 유지부 장착부(44)를 가지며, 앞쪽에 콘택트(20)의 스프링부(22)를 수용하는 스프링부 장착부(45)를 가진다. 유지부 장착부(44)는 주위가 파지부(40a)의 수지에 의해 폐쇄된 구멍구조를 가진다. 스프링부 장착부(45)는 유지부 장착부(44)로부터 앞쪽을 향해 연설되어서 끼워맞춤부(40b)에 형성되고, 전단부가 끼워맞춤부(40b)의 전단부면에 개방되고, 상부가 오목부(40g) 내에 개방된다.
또, 콘택트장착홈(43)은 뒤쪽에 콘택트(20)의 단자부(25) 및 결선부를 유지하는 콘택트삽입구를 가진다. 콘택트삽입구는 제1 콘택트인 2번, 5번 콘택트(20b, 20e)를 삽입하는 제1 콘택트삽입구(46) 및 다른 제1 콘택트인 4번 콘택트(20d)를 삽입하는 다른 제1 콘택트삽입구(47)와, 제2 콘택트인 1번, 3번 콘택트(20a, 20c)를 삽입하는 제2 콘택트삽입구(48)의 2종류를 포함한다.
제1 콘택트삽입구(46)는 2번, 5번 콘택트(20b, 20e)의 뒷면에서 본 형상에 대응한 Y자형으로 형성되며, 제1 콘택트장착홈인 2번, 5번 콘택트장착홈(43b, 43e)에 형성된다. 제1 콘택트삽입구(46)는 2번, 5번 콘택트장착홈(43b, 43e)의 유지부 장착부(44)로부터 뒤쪽을 향해 연설되어서 격벽(40f)에 형성되며, 후단부가 격벽(40f)의 후단부면에 개방되고, 상부가 제1 납땜공간(40d)에 개방되어서 격벽(40f)의 상부면(제1 납땜공간(40d)의 바닥면)에 2번, 5번 콘택트(20b, 20e)의 단자부(25)의 상부의 경사부(25a) 및 제1 결선부(26)를 뒤쪽(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 는 V자형의 제1 홈(49)을 형성한다.
다른 제1 콘택트삽입구(47)는 4번 콘택트(20d)의 뒷면에서 본 형상에 대응한 Y자형으로 형성되며, 다른 제1 콘택트장착홈인 4번 콘택트장착홈(43d)에 형성된다. 다른 제1 콘택트삽입구(47)는 4번 콘택트장착홈(43d)의 유지부 장착부(44)로부터 뒤쪽을 향해 연설되어서 격벽(40f)에 형성되며, 후단부가 격벽(40f)의 후단부면에 개방되고, 상부가 제1 납땜공간(40d)에 개방되어서 격벽(40f)의 상부면에 4번 콘택트(20d)의 단자부(25)의 상부의 경사부(25a) 및 다른 제1 결선부(27)를 뒤쪽으로부터 지지하는 V자형의 다른 제1 홈(50)을 형성한다.
제2 콘택트삽입구(48)는 1번, 3번 콘택트(20a, 20c)의 뒷면에서 본 형상에 대응한 역V자형으로 형성되며, 제2 콘택트장착홈인 1번, 3번 콘택트장착홈(43a, 43c)에 형성된다. 제2 콘택트삽입구(48)는 1번, 3번 콘택트장착홈(43a, 43c)의 유지부 장착부(44)로부터 뒤쪽을 향해 연설되어서 격벽(40f)에 형성되며, 후단부가 격벽(40f)의 후단부면에 개방되고, 하부가 제2 납땜공간(40e)에 개방되어서 격벽(40f)의 하부면(제2 납땜공간(40e)의 천정면)에 1번, 3번 콘택트(20a, 20c)의 단자부(25)의 하부의 경사부(25b) 및 제2 결선부(28)를 뒤쪽(위쪽)으로부터 지지하는 역V자형의 제2 홈(51)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1 콘택트장착홈인 5번 콘택트장착홈(43e)은, 제1 콘택트삽입구(46)의 하부 I자부(제1 콘택트인 2번, 5번 콘택트(20b, 20e)의 유지부(21), 스프링부(22), 접촉부(24), 단자부(25)가 삽입되는 부분)에, 제2 콘택트삽입구(48)의 상부 I자부(제2 콘택트인 1번, 3번 콘택트(20a, 20c)의 유지부(41), 스프링부(42), 접촉부(43), 단자부(44)가 삽입되는 부분)를 겹쳐서, 제2 콘택트삽입구(48)를 가지고 있다. 단적으로 말하면 5번 콘택트장착홈(43e)은 제1 콘택트삽입구(46)와 제2 콘택트삽입구(48)를 겸비한 제1ㆍ제2 콘택트 공통삽입구(52)를 가지는 동시에, 제1ㆍ제2 콘택트 공통삽입구(52)의 상부가 제1 납땜공간(40d)에 개방되어서 격벽(40f)의 상부면에 제1 홈(50)을 형성하고, 또한 제1ㆍ제2 콘택트공통삽입구(52)의 하부가 제2 납땜공간(40e)에 개방되어서 격벽(40f)의 하부면에 제2 홈(51)을 형성하는, 제1 콘택트장착홈과 제2 콘택트장착홈을 겸비하는 제1ㆍ제2 콘택트공통장착홈으로 하고, 제1 콘택트와 제2 콘택트의 전체길이가 택일적으로 삽입 가능하다.
래치장착홈(44a, 44b)은 래치(30)의 판두께보다 약간 큰 홈 폭을 가지며, 보디(40)의 콘택트장착홈(43)을 사이에 두는 좌우 양쪽 측면부에 형성되고, 콘택트장착홈(43)과 평행하게 전후방향으로 연설되고, 보디(40)의 뒤쪽에서 대응하는 래치(30)의 전체길이가 삽입되어서 장착된다.
래치장착홈(44a, 44b)은 래치(30)의 유지부(31)를 고정유지하는 유지부 장착부(53)를 가지며, 앞쪽에 래치(30)의 스프링부(32)를 수용하는 스프링부 장착부(54)를 가진다. 유지부 장착부(53)는 주위가 파지부(40a)의 수지에 의해 폐쇄된 구멍구조를 가진다. 스프링부 장착부(54)는 유지부 장착부(53)로부터 앞쪽을 향해 연설되어서 끼워맞춤부(40b)의 오목부(40g)로부터 좌우 외부 측면부에 형성되고, 상하부가 끼워맞춤부(4Ob)의 상하부면에 개방되고, 전단부는 끼워맞춤부(40b)의 전단부면에 이르지 못하고, 조금 뒤쪽에 위치한다.
또, 래치장착홈(44a, 44b)은 래치(30)의 회전규제부(35, 36)를 수용하는 좌우대칭구조인 한 쌍의 래치삽입구(55, 56)의 한쪽을 한쪽의 래치장착홈(44a)의 뒤쪽에 형성하고, 다른 쪽을 다른 쪽의 래치장착홈(44b)의 뒤쪽에 형성한다. 한쪽의 래치삽입구(55)는 도 5에 있어서 좌측의 래치(30)의 회전규제부(35)의 형상에 대응한 L형으로 형성되며, 도 5에 있어서 좌측의 래치장착홈(44a)의 유지부 장착부(53)로부터 뒤쪽을 향해 연설되어서 격벽(40f)으로부터 좌측에 형성되며, 후단부가 보디(40)의 후단부면에 개방되고, 하부가 보디(40)의 하부면에 개방되어서 보디(40)의 뒤쪽 하부면에 한쪽의 회전규제부(35)의 걸어맞춤편(35b)을 아래쪽으로부터 접촉시키는 걸어맞춤면(57)을 형성한다. 다른 쪽의 래치삽입구(44b)는 도 5에 있어서 우측의 래치(30)의 회전규제부(36)의 형상에 대응한 L형으로 형성되며, 도 5에 있어서 우측의 래치장착홈(44b)의 유지부 장착부(53)로부터 뒤쪽을 향해 연설되어서 격벽(40f)으로부터 우측에 형성되며, 후단부가 보디(40)의 후단부면에 개방되고, 하부가 보디(4O)의 하부면에 개방되어서 보디(40)의 뒤쪽 하부면에 다른 쪽의 회전규제부(36)의 걸어맞춤편(36b)을 아래쪽으로부터 접촉시키는 걸어맞춤면(58)을 형성한다.
그리고, 1번 ~ 5번 콘택트(20a, 20b, 20c, 20d, 20e)의 전체길이를 보디(40)의 뒤쪽으로부터 제1, 다른 제1, 제2 콘택트삽입구(46, 47, 48)를 통과해서 1번 ~ 5번 콘택트장착홈(43a, 43b, 43c, 43d, 43e)에 삽입하고, 보디(40)에 복수의 콘택트(20)를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피치 간격을 두고 병렬로 장착하는 동시에, 좌우 한 쌍인 래치(30)의 전체길이를 보디(40)의 뒤쪽으로부터 래치삽입구(55, 56)를 통과 해서 좌우 한 쌍인 래치장착홈(44a, 44b)에 삽입하고, 보디(40)에 한 쌍의 래치(30)를 복수의 콘택트(20)를 사이에 두고 병렬로 장착한다.
장착상태에서는 콘택트(20)는, 유지부(21)가 유지부 장착부(44)에 압입되어서 걸어맞춤클로(23)의 파지부(40a)의 수지로의 침투에 의해 이탈방지된 상태에서 보디(40)에 고정유지되고, 스프링부(22)가 스프링부 장착부(45)에 상하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수용되고, 접촉부(24)가 끼워맞춤부(40b)의 오목부(40g) 내에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피치 간격을 두고 병렬로 돌출 배치된다.
또, 2번, 5번 콘택트(20b, 20e)의 단자부(25) 및 제1 결선부(26)는 단자부(25)의 경사부(25a)의 전단부면이 제1 납땜공간(40d)의 앞쪽 둘레의 벽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2번, 5번 콘택트장착홈(43b, 43e)의 제1 콘택트삽입구(46)에 삽입 배치되고, 단자부(25)의 경사부(25a) 및 제1 결선부(26)의 뒷면이 제1 홈(49)에 의해서 뒤쪽으로부터 지지되고, 표면이 제1 납땜공간(40d)의 하부에 노출된다. 4번 콘택트(20d)의 단자부(25) 및 다른 제1 결선부(27)는 단자부(25)의 경사부(25a)의 전단부면이 제1 납땜공간(40d)의 앞쪽 둘레의 벽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4번 콘택트장착홈(43d)의 다른 제1 콘택트삽입구(47)에 삽입 배치되고, 단자부(25)의 경사부(25a) 및 다른 제1 결선부(27)의 뒷면이 다른 제1 홈(50)에 의해서 뒤쪽으로부터 지지되고, 표면이 제1 납땜공간(40d)의 하부에 노출된다. 1번, 3번 콘택트(20a, 20c)의 단자부(25) 및 제2 결선부(28)는 단자부(25)의 경사부(25b)의 전단부면이 제2 납땜공간(40e)의 앞쪽 둘레의 벽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1번, 3번 콘택트장착홈(43a, 43c)의 제2 콘택트삽입구(48)에 삽입 배치되고, 단자부(25)의 경사부(25b) 및 제2 결선부(28)의 뒷면이 제2 홈(51)에 의해서 뒤쪽으로부터 지지되고, 표면이 제2 납땜공간(40e)의 상부에 노출된다. 이에 의해, 피치방향으로 병설된 복수의 콘택트(20)의 뒤쪽에 각각의 결선부(26, 27, 28)가 상하 2단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피치방향 한쪽의 최외측의 단부 콘택트로서의 5번 콘택트(20e)에는, 이것의 1개 안쪽의 4번 콘택트(20d)와 동일종류인 제1 콘택트가 배치된다. 5번 콘택트(20e)의 제1 결선부(26)는 4번 콘택트(20d)쪽인 한쪽의 사변(26a)이 4번 콘택트(20d)의 다른 제1 결선부(27)의 5번 콘택트(20e)쪽인 다른 쪽의 사변(27c)의 위쪽으로 경사지게 돌출된다.
이와 같이 보디(40)에 장착된 콘택트(20)에의 리드선(71, 72, 73, 74)의 결선작업은, 제1 결선부(26) 및 다른 제1 결선부(27)가 상향으로 개확하는 상태(도 7의 상태)로 보디(40)를 유지하고, 제1 납땜공간(40d) 내에서 제1 결선부(26) 위에 대응하는 리드선(72, 74)의 말단부(박리처리에 의해 절연성의 외피(72b, 74b)가 제거된 심선(72a, 74a))를 재치(載置)해서 땜납을 접합함으로써, 2번, 5번 콘택트(20b, 20e)에 대응하는 리드선(72, 74)을 접속하는 동시에, 이때에 다른 제1 결선부(27)에도 땜납을 접합해서 4번, 5번 콘택트(20d, 20e)의 제1 결선부(27, 26)를 서로 단락하는 공정과, 제2 결선부(28)가 상향으로 개확하는 상태(도 7의 상태에서 보디(40)를 뒤집은 상태)로 보디(40)를 유지하고, 제2 납땜공간(40e) 내에서 제2 결선부(28) 위에 대응하는 리드선(71, 73)의 말단부(박리처리에 의해 절연성의 외피(71b, 73b)가 제거된 심선(71a, 73a))를 재치해서 땜납을 접합함으로써, 1번, 3번 콘택트(20a, 20c)에 대응하는 리드선(71, 73)을 접속하는 공정에 의해서 실행된 다.
여기서, 도 5, 도 6, 도 7,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디(40)에는, 2번 콘택트장착홈(43b)의 제1 콘택트삽입구(46)에 의해서 형성된 제1 홈(49)과 4번 콘택트장착홈(43d)의 다른 제1 콘택트삽입구(47)에 의해서 형성된 다른 제1 홈(50)의 사이에, 이들 제1 홈(49)과 다른 제1 홈(50)에 지지되는 2번 콘택트(20b)의 단자부(25)의 상부의 경사부(25a) 및 제1 결선부(26)와 4번 콘택트(20d)의 단자부(25)의 상부의 경사부(25a) 및 다른 제1 결선부(27)의 사이에서, 이들 경사부(25a) 및 제1, 다른 제1 결선부(26, 27)보다도 위쪽으로 돌출하는 제1 제방(59)을 가지는 동시에, 1번, 3번, 5번 콘택트장착홈(43a, 43c, 43e)의 제2 콘택트삽입구(48)에 의해서 형성된 3개의 제2 홈(51)의 각각의 사이에, 이들 제2 홈(51)에 지지되는 1번, 3번 콘택트의 단자부(25)의 하부의 경사부(25b) 및 제2 결선부(28)의 사이와, 3번 콘택트의 단자부(25)의 하부의 경사부(25b) 및 제2 결선부(28)의 5번 콘택트(20e)쪽에서, 이들 경사부(25b) 및 제2 결선부(28)보다도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제2 제방(60)을 가진다. 제1 제방(59)은 2번 콘택트(20b)의 제1 결선부(26)에 리드선(72)의 말단부를 납땜하는 경우에, 이 제1 결선부(26)와 이것에 인접하는 다른 제1 결선부(27)의 상호간에 솔더 브릿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인접하는 제2 결선부(28)의 상호간으로부터 돌출된 제2 제방(60)은 1번 콘택트(20a)의 제2 결선부(45) 및 3번 콘택트(20c)의 제2 결선부(28)에 리드선(71, 73)의 말단부를 납땜하는 경우에, 이 인접하는 제2 결선부(28)의 상호간에 솔더 브릿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 3번 콘택트의 단자부(25)의 하부의 경사부(25b) 및 제2 결선부(28)의 5번 콘택트(20e)쪽에 있는 제2 제방(60)은 3번 콘택트(20c)의 제2 결선부(28)에 리드선(73)의 말단부를 납땜하는 경우에, 일부의 땜납이 빈 제2 홈(51)에서 5번 콘택트장착홈(43e)의 제1ㆍ제2 콘택트공통삽입구(5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제1 제방(59)의 양쪽 측면은, 이 제1 제방(59)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한쪽의 제1 결선부(26)의 다른 쪽의 사변(26c) 표면과 다른 쪽의 다른 제1 결선부(27)의 한쪽의 사변(27a) 표면으로부터 이들 각 사변(26c, 27a)보다도 급격한 경사각을 가지고 돌기하는 경사면(59a, 59b)으로 형성되고, 인접하는 제2 결선부(28)의 상호간으로부터 돌출된 제2 제방(60)의 양쪽 측면은, 이 제2 제방(60)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한쪽의 제2 결선부(28)의 한쪽의 사변(28a) 표면과 다른 쪽의 제2 결선부(28)의 다른 쪽의 사변(28c) 표면으로부터 이들 각 사변(28a, 28c)보다도 급격한 경사각을 가지고 돌기하는 경사면(60a, 60b)으로 형성되고, 이것과 동일한 경사면(60a, 60b)이 3번 콘택트의 단자부(25)의 하부의 경사부(25b) 및 제2 결선부(28)의 5번 콘택트(20e)쪽에 있는 제2 제방(60)의 양쪽 측면에도 형성된다.
또한, 보디(40)에는, 4번 콘택트장착홈(43d)의 다른 제1 콘택트삽입구(47)에 의해서 형성된 다른 제1 홈(50)과 5번 콘택트장착홈(43e)의 제1 콘택트삽입구(46)에 의해서 형성된 제1 홈(49)의 사이에는 제1 제방(59)은 가지고 있지 않다. 이에 의해, 5번 콘택트(20e)의 제1 결선부(26)에 리드선(74)의 말단부를 납땜하는 경우에, 일부의 땜납을 4번 콘택트(20d)의 다른 제1 결선부(27)에 유입하고, 이 일부의 땜납에 의해서 4번, 5번 콘택트(20d, 20e)의 제1 결선부(27, 26)를 서로 단락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플러그(1)는, 피치방향으로 병설된 복수의 콘택트(20)와, 상기 콘택트(20)를 유지하는 절연성의 보디(40)를 구비하고, 상기 콘택트(20)는, 리셉터클이 구비되는 콘택트와 접촉시키는 접촉부(24)와, 상기 보디(40)에 유지되는 유지부(21)와, 케이블(70)로부터 인출된 리드선(71, 72, 73, 74)과 접속하는 단자부(25)를 가지며, 상기 단자부(25)는, 플러그(1)의 리셉터클에의 삽발방향과 상기 삽발방향에 직교하는 상기 피치방향에 직교하는 플러그(1)의 두께방향을 따라 개확해서 상기 리드선(71, 72, 73, 74)이 납땜되는 결선부(26, 27, 28)를 가진다. 이와 같이, 결선부(26, 27, 28)가 플러그(1)의 두께방향을 따라 개확하므로, 용융된 땜납이 결선부로부터 적하되어서 인접하는 콘택트 사이에 솔더 브릿지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면서, 리드선(71, 72, 73, 74)의 납땜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납땜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콘택트(20)의 피치 간격을 확장하거나, 결선부(26, 27, 28)의 위치를 플러그(1)의 두께방향으로 간격을 두지 않고, 종래와 동등한 플러그의 크기로 결선부(26, 27, 28)를 플러그(1)의 두께방향을 따라 개확할 수 있다.
또, 상기 결선부(26, 27, 28)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플러그(1)의 두께방향을 따라 개확하고 있다. 결선부 형상의 V자화에 의해서, 용융된 땜납이 결선부(26, 27, 28)로부터 적하되어서 인접하는 콘택트의 사이에 솔더 브릿지를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리드선(71, 72, 73, 74)의 납땜 작업성을 향상하는 동시에, 납땜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콘택트(20)의 피치 간격을 확장하거나, 결선부(26, 27, 28)의 위치를 플러그(1)의 두께방향으로 간격을 두지 않고, 종래와 동등한 플 러그의 크기로 결선부 형상을 V자화할 수 있다.
또, 상기 콘택트(20)는, 플러그(1)의 리셉터클에의 삽입방향 뒤쪽의 상부에 제1 결선부(26, 27)를 가지고 상기 삽입방향 뒤쪽에서 본 형상이 Y자형의 제1 콘택트(20b, 20d, 20e)와, 상기 삽입방향 뒤쪽의 하부에 제2 결선부(28)를 가지고 상기 삽입방향 뒤쪽에서 본 형상이 역Y자형의 제2 콘택트(20a, 20c)의 2종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콘택트(20b, 20d, 20e)와 제2 콘택트(20a, 20c)가 상기 피치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콘택트(20)에 리드선(71, 72, 73, 74)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속할 수 있고, 콘택트(20)의 협피치화를 도모하면서, 리드선(71, 72, 73, 74)의 선직경을 대경화할 수 있고, 소형ㆍ박형으로 전기특성이 우수한 협피치의 플러그(1)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결선부(26, 27)는, 상기 제1 콘택트(20b, 20d, 20e)의 단자부(25)의 상부를 경사지게 구부린 경사부(25a)로부터 상기 삽입방향 뒤쪽으로 연설된 한쪽의 사변(26a, 27a)과, 상기 한쪽의 사변(26a, 27a)의 하부로부터 굴곡부(26b, 27b)를 개재해서 위쪽으로 경사져 연설된 다른 쪽의 사변(26c, 27c)을 가지며, 상기 제2 결선부(28)는, 상기 제2 콘택트(20a, 20c)의 단자부(25)의 하부를 경사지게 구부린 경사부(25b)로부터 상기 삽입방향 뒤쪽으로 연설된 한쪽의 사변(28a)과, 상기 한쪽의 사변(28a)의 상부로부터 굴곡부(28b)를 개재해서 아래쪽으로 경사져 연설된 다른 쪽의 사변(28c)을 가지므로, 결선부 형상을 V자화한 콘택트(20)를 종래와 동일한 제조방법에 의해 간단하며, 또한 염가로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피치방향 한쪽의 최외측의 단부 콘택트(20e)는, 이것의 1개 안쪽의 콘택트(20d)와 동일종류로 하고, 상기 단부 콘택트(20e)와 이것의 1개 안쪽의 콘택트(20d)의 결선부(26, 27)가 서로 단락되어 있으므로, 부품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단부 콘택트(20e)와 이것의 1개 안쪽의 콘택트(20d)의 결선부(26, 27)를 납땜에 의해 단락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콘택트(20)는, 리드선(71, 72, 73, 74)의 개수보다 1개 많은 수를 가지며, 단락되는 상기 결선부(26, 27) 중 상기 단부 콘택트(20e)의 결선부(26)에만 리드선(74)이 납땜되어 있으므로, 리드선(71, 72, 73, 74)에 접속되지 않은 나머지의 콘택트를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보디(40)는, 상기 삽입방향 뒤쪽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어서 상기 리드선(71, 72, 73, 74)의 말단부를 수용하는 제1 납땜공간(40d) 및 제2 납땜공간(40e)과, 상기 제1 납땜공간(4Od) 및 제2 납땜공간(40e)의 사이에 형성되는 격벽(4Of)과, 상기 격벽(40f)의 단부면으로부터 상기 삽입방향으로 연설해서 콘택트(20)의 전체길이를 삽입 가능한 복수의 콘택트장착홈(43)을 가지며, 상기 콘택트장착홈(43)은, Y자형의 제1 콘택트삽입구(46, 47)를 가지고 상기 제1 콘택트(20b, 20d, 20e)의 전체길이가 삽입되는 제1 콘택트장착홈(43b, 43d, 43e)과, 역Y자형의 제2 콘택트삽입구(48)를 가지고 상기 제2 콘택트(20a, 20c)의 전체길이가 삽입되는 제2 콘택트장착홈(43a, 43c)의 2종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콘택트장착홈(43b, 43d, 43e)과 제2 콘택트장착홈(43a, 43c)이 상기 피치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1 콘택트장착홈(43b, 43d, 43e)은, 상기 제1 콘택트삽입구(46, 47) 상부가 상기 제1 납땜공간(40d)에 개방되어서 상기 격벽(40f)의 상부면에 상기 제1 결선부(26, 27)를 뒤쪽으로부터 지지하는 V자형의 제1 홈(49, 50)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콘택트장착홈(43a, 43c)은, 상기 제2 콘택트삽입구(48) 하부가 상기 제2 납땜공간(40e)에 개방되어서 상기 격벽(40f)의 하부면에 상기 제2 결선부(28)를 뒤쪽으로부터 지지하는 역V자형의 제2 홈(51)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결선부 형상을 V자화한 콘택트(20)의 유지부(21)뿐만이 아니라 단자부(25) 및 결선부(26, 27, 28)를 포함해서 보디(40)에 유지시킬 수 있으며, 결선부 형상을 V자화한 콘택트(20)의 유지력을 높일 수 있다. 또, 리드선(71, 72, 73, 74)의 납땜공간(40d, 40e)을 결선부 형상의 V자화에 의해서 침범하지 않고 필요 충분히 확보하면서, 결선부(26, 27, 28)를 위치 고정한 상태에서 리드선(71, 72, 73, 74)의 납땜공간(40d, 40e)에 위치 정밀도 좋게 노출할 수 있으며, 리드선(71, 72, 73, 74)의 납땜 작업성을 보다 향상하는 동시에, 납땜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단부 콘택트(20e)의 콘택트장착홈(43e)은, 상기 제1 콘택트삽입구(46)와 상기 제2 콘택트삽입구(48)를 겸비하는 제1ㆍ제2 콘택트공통삽입구(52)를 가지는 동시에, 상기 제1ㆍ제2 콘택트공통삽입구(52) 상부가 상기 제1 납땜공간(40d)에 개방되어서 상기 격벽(40f)의 상부면에 상기 제1 홈(49)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제1ㆍ제2 콘택트 공통삽입구(52) 하부가 상기 제2 납땜공간(40e)에 개방되어서 상기 격벽(40f)의 하부면에 상기 제2 홈(51)을 형성하는, 상기 제1 콘택트장착홈과 제2 콘택트장착홈을 겸비하는 제1ㆍ제2 콘택트공통장착홈(43e)으로 하고, 상기 제1ㆍ제2 콘택트공통장착홈(43e)에 상기 단부 콘택트(20e)의 전체길이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단부 콘택트(20e)가 제1 콘택트, 제2 콘택트 중 어느 한 종류이어도 대응할 수 있어서, 설계의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보디(40)는, 인접하는 상기 제1 결선부(26, 27)의 사이에서 제1 결선부(26, 27)보다 위쪽으로 돌출하는 제1 제방(59)과, 인접하는 상기 제2 결선부(28)의 사이에서 제2 결선부(28)보다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제2 제방(60)을 가지므로, 인접하는 제1 결선부(26, 27)의 사이 및 인접하는 제2 결선부(28)의 사이에 솔더 브릿지를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인접하는 제1 결선부(26, 27)의 간격 및 인접하는 제2 결선부(28)의 간격은 최소한으로 해결된다. 이에 의해, 결선부(26, 27, 28)를 크기를 작게 하지 않고 콘택트(20)의 피치 간격을 좁게 할 수 있으므로, 플러그(1)를 보다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콘택트(20)의 피치 간격을 확장하지 않고 결선부(26, 27, 28)를 크기를 크게 할 수 있어서, 리드선(71, 72, 73, 74)의 납땜 작업성을 한층 더 향상하는 동시에, 납땜 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또, 상기 제1 제방(59)의 양쪽 측면은, 인접하는 한쪽의 상기 제1 결선부(27)의 한쪽의 사변(27a) 표면과 다른 쪽의 상기 제1 결선부(26)의 다른 쪽의 사변(26c) 표면으로부터 이들 각 사변(27a, 26c)보다도 급격한 경사각을 가지고 돌기하는 경사면(59a, 59b)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제방(60)의 양쪽 측면은, 인접하는 한쪽의 상기 제2 결선부(28)의 한쪽의 사변(28a) 표면과 다른 쪽의 상기 제2 결선부(28)의 다른 쪽의 사변(28c) 표면으로부터 이들 각 사변(28a, 28c)보다도 급격한 경사각을 가지고 돌기하는 경사면(60a, 60b)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제방(59) 및 제2 제방(60)을 용융된 땜납이 더욱더 넘어가기 어려워지며, 높은 솔더 브릿지 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리드선(71, 72, 73, 74)의 말단부를 제1 결선부(26, 27) 및 제2 결선부(28)에 재치할 경우에 제1 제방(59) 및 제2 제방(60)이 장해가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1 제방(59)의 경사면(59a, 59b) 및 제2 제방(60)의 경사면(60a, 60b)이 리드선(71, 72, 73, 74)의 말단부의 제1 결선부(26, 27) 및 제2 결선부(28)에의 도입가이드가 되며, 리드선(71, 72, 73, 74)의 납땜 작업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또, 플러그(1)는 USB 커넥터 중에 현시점에서 가장 소형ㆍ박형인 마이크로 USB 커넥터 규격 준거의 마이크로 USB 플러그이지만, 이 크기를 손상시키지 않고, 콘택트(20)의 결선부 형상의 V자화에 의해서, 용융된 땜납이 결선부(26, 27, 28)로부터 적하되어서 인접하는 콘택트 사이에 솔더 브릿지를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리드선(71, 72, 73, 74)의 납땜 작업성을 향상하는 동시에, 납땜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1)는, 종래와 동등한 소형ㆍ박형화를 도모하면서, 용융된 땜납이 결선부(26, 27, 28)로부터 적하되어서 인접하는 콘택트 사이에 솔더 브릿지를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리드선(71, 72, 73, 74)을 결선부(26, 27, 28)에 작업성 좋게, 또한 높은 강도로 납땜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장착상태에서는 래치(30)는, 유지부(31)가 유지부 장착부(53)에 압입되어서 걸어맞춤클로(33)의 파지부(40a)의 수지에의 침투에 의해 이탈방지된 상태에서 고정유지되고, 스프링부(32)가 스프링부 장착부(54)에 상하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수용되고, 걸어맞춤부(34)가 끼워맞춤부(40b)의 오목부(40g)로부터 좌우 바깥 측면부의 좌우 양쪽 상부면으로 돌출 배치된다.
또, 좌측의 래치(30)의 회전규제부(35)는 좌측의 래치장착홈(44a)의 래치삽입구(55)에 삽입 배치되고, 걸어맞춤편(35b)이 보디(40)의 걸어맞춤면(57)에 아래쪽으로부터 접촉되어 걸어 맞춘다. 우측의 래치(30)의 회전규제부(36)는 우측의 래치장착홈(44a)의 래치삽입구(56)에 삽입 배치되고, 걸어맞춤편(36b)이 보디(40)의 걸어맞춤면(58)에 아래쪽으로부터 접촉되어 걸어 맞춘다. 이에 의해, 플러그(1)의 리셉터클에의 삽발 시에 래치(30)가 걸어맞춤부(34)의 압하에 수반해서 도 10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고, 유지부 장착부(53)의 주위에 있는 수지가 마모되어서 보디(40)의 래치유지력이 저하되는 것에 의한 플러그(1)의 록 기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 도 13, 도 14(A), 도 14(B), 도 14(C), 도 1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쉘(80)은 콘택트(20)보다 약간 두꺼운 판두께를 가지는 스프링용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평판을 타발가공한 후, 타발한 금속평판을 절곡가공함으로써 형성되며, 보디(40)의 파지부(40a)의 상부면을 덮는 직사각형의 베이스(81)와, 이 베이스(81)의 연장부를 꺾어 세워서 이루어지는 복수의 측판을 가진다. 측판은, 베이스(81)의 앞쪽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연장부가, 보디(40)의 파지부(40a)의 상부면과 끼워맞춤부(40b)의 상부면의 단차면이 되는 끼워맞춤부(40b)보다 위쪽인 파지부(40a)의 전단부면이 뒤쪽에 대략 45˚ 경사로 경사진 경사면(40c)을 따르도록, 대략 45˚의 굽힘 각도로 구부려 꺾어 세워진 전측판(82)과, 베이스(81)의 좌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연장부가, 보디(40)의 파지부(40a)의 좌우측면을 따르도록 대략 90˚의 굽힘 각도로 꺾어 세워진 좌우측판(83, 84)을 포함한다.
또, 쉘(80)은, 전측판(82)의 앞쪽 가장자리로부터 한층 더 연장된 베이스(81) 및 전측판(82)보다 폭이 넓은 연장부가, 보디(40)의 끼워맞춤부(40b)의 주위 측면을 따르도록, 사각통형으로 절곡된 통형상부(85)와, 베이스(81)의 뒤쪽 가장자리 중앙부에서 뒤쪽으로 연설편(86)을 개재해서 돌출 형성된 케이블압압판(87)을 가진다.
또한, 쉘(80)은, 좌우측판(83, 84)의 전후 2개소에서 바깥쪽으로 절단해서 세워 형성된 스프링편으로 이루어지는 걸어맞춤클로(83a, 83b, 84a, 84b)와, 통형상부(85)의 주위의 벽 상부의 좌우 측면부에 개구 형성된 래치창(85a, 85b)과, 통형상부(85)의 주위의 벽 하부의 좌우 2개소에서 아래쪽으로 절단해서 세워 형성된 가늘고 긴 스프링편으로 이루어지는 그라운드용 접편(85c, 85d)을 가진다.
여기서, 타발한 금속평판을 절곡가공해서 쉘(80)을 형성할 경우, 각 절곡부가 둥글게 휘어지기(아르(round)) 때문에, 베이스(81)의 연장부를 꺾어 세워서 이루어지는 측판 중, 전측판(82)의 좌우측 가장자리와 이 전측판(82)에 인접하는 좌우측판(83, 84)의 앞쪽 가장자리의 사이에 극간(88, 89)이 형성되며, 또한 전측판(82)이 베이스(81)의 연장부를 굽힘 각도 45˚로 꺾어 세워지고, 좌우측판(83, 84)이 베이스(81)의 연장부를 굽힘 각도 90˚로 꺾어 세워진 것이기 때문에, 극간(88, 89)은 슬릿형상의 가는 극간이 아니라 삼각형상으로 크게 개방한다.
보디(40)의 앞쪽과 쉘(80)의 뒤쪽을 서로 대향한 상태에서, 보디(40)를 쉘(80)의 안쪽으로 압입하면서, 보디(40)의 끼워맞춤부(40a)를 쉘(80)의 통형상 부(85)에 압입함으로써, 보디(40)의 바깥쪽에 쉘(80)이 장착된다.
장착상태에서는 쉘(80)은, 보디(40)의 끼워맞춤부(40a)의 주위를 통형상부(85)에 의해 덮고, 끼워맞춤부(40a)의 오목부(4Og)를 덮는 동시에, 보디(4O)의 파지부(40a)의 상부면 및 좌우측면을 베이스(81) 및 좌우측판(83, 84)에 의해 덮는다. 또, 보디(40)의 파지부(40a)의 상부면과 끼워맞춤부(4Ob)의 상부면의 단차면이 되는 끼워맞춤부(40b)보다 위쪽인 파지부(40a)의 전단부면이 뒤쪽에 대략 45˚의 경사로 경사진 경사면(40c)이 전측판(82)에 의해서 덮인다. 또, 쉘(80)의 연설편(86) 및 케이블압압판(87)은 보디(40)의 뒤쪽 상부로부터 케이블(70)의 단부 위 표면으로 연장된다. 이에 의해, 보디(40)의 끼워맞춤부(40b)는 앞쪽만이 개방되고, 이 끼워맞춤부(40b) 내에 콘택트(20)의 접촉부(24)가 좌우방향으로는 일정한 피치 간격을 두고 병렬로 돌출 배치되는 동시에, 끼워맞춤부(40b)의 상부 금속 표면의 좌우 측면부에 통형상부(85)의 좌우의 래치창(85a, 85b)을 통과시켜서 좌우의 래치(30)의 걸어맞춤부(34)가 돌출 배치된다.
그리고, 도 3, 도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서 이미 기재된 보디(40)의 좌우의 실링부(41, 42)는, 경사면(40c)의 좌우 양쪽 측면부로부터 앞쪽을 향해서 돌출 형성되고, 쉘(80)의 극간(83, 84)의 좌우 폭, 상하 폭에 상당하는 두께, 높이를 가지는 동시에, 극간(83, 84)의 전후 폭보다 약간 긴 길이를 가진다. 또, 좌우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좌우의 실링부(41, 42)의 내부면(41a, 42a)은 평탄면으로 형성되고, 이 서로 대향하는 내부면(41a, 42a)간의 거리는 쉘(80)의 전측판(82)의 좌우 폭과 대략 동일한 치수로 설정된다. 좌우의 실링부(41, 42)의 외부 면(41b, 42b)은 보디(40)의 파지부(40a)의 좌우측면과 동일면이다.
이와 같은 좌우의 실링부(41, 42)는, 쉘(80)의 보디(40)에의 장착완료 직전에, 이 전단부쪽으로부터 쉘(80)의 좌우의 극간(88, 89)에 끼이고, 장착이 진행됨에 수반해서, 이 서로 대향하는 내부면(41a, 42a)을 쉘(80)의 전측판(82)의 좌우 단부면과 슬라이딩식 접촉하면서, 한층 더 쉘(80)의 좌우의 극간(88, 89)에 끼이고, 장착완료에 의해서 쉘(80)의 좌우의 극간(88, 89)을 완전히 막는다. 이에 의해서, 플러그(1)를 제조할 경우의 최종공정에서 실행되는 오버몰드가공 시에, 용융수지가 쉘(80)의 좌우의 극간(88, 89)으로부터 안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용융수지가 쉘(80)의 좌우의 극간(88, 89)으로부터 안쪽의 보디(40)의 끼워맞춤부(40b)로 유입되고, 콘택트(20)의 스프링부(22) 및 접촉부(24)나 래치(30)의 스프링부(32) 및 걸어맞춤부(34)가 가동되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 도 15(A), 도 15(B), 도 15(C), 도 1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쉘커버(90)는 쉘(80)보다 약간 두꺼운 판두께를 가지는 스프링용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평판을 타발가공한 후, 타발한 금속평판을 절곡가공함으로써 형성되고, 보디(40)의 파지부(40a)의 하부면을 덮는 직사각형의 다른 베이스(91)와, 이 다른 베이스(91)의 연장부를 꺾어 세워서 이루어지는 복수의 측판을 가진다. 측판은, 다른 베이스(91)의 좌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연장부가, 쉘(80)의 좌우측판(83, 84)의 외부면을 따르도록 대략 90˚의 굽힘 각도로 꺾어 세워진 다른 좌우측판(92, 93)을 포함한다.
또, 쉘커버(90)는, 다른 베이스(91)의 뒤쪽 가장자리 중앙부에서 뒤쪽으로 돌출 형성된 연설편(94)의 단부에 상향으로 개확한 U자 형상의 케이블고정판(95)을 가진다. 또한, 쉘커버(90)는, 다른 좌우측판(92, 93)의 전후 2개소에 개구 형성된 걸어맞춤구멍(92a, 92b, 93a, 93b)을 가진다.
쉘(80)이 장착된 보디(40)의 하부면과 쉘커버(90)의 다른 베이스(91) 내부면을 서로 대향한 상태에서, 보디(40)를 쉘커버(90)의 안쪽으로 압입하면서, 쉘(80)의 좌우측판(83, 84)을 쉘커버(90)의 다른 좌우측판(92, 93)의 안쪽에 겹침으로써, 쉘(80)의 걸어맞춤클로(83a, 83b, 84a, 84b)가 쉘커버(90)의 걸어맞춤구멍(92a, 92b, 93a, 93b)에 끼이고, 보디(40) 바깥쪽에 쉘(80)에 대해서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쉘커버(90)가 장착된다.
장착상태에서는 쉘커버(90)는, 보디(40)의 파지부(40a)의 하부면을 쉘(80)의 베이스(81)와 서로 대향하는 다른 베이스(91)에 의해 덮고, 쉘(80)에 의해 보디(40)의 주위 전체 면을 에워싸고, 높은 차폐효과를 얻는 동시에, 플러그 본체(10)의 견뢰성을 향상한다.
또, 쉘커버(90)의 장착 후, 케이블고정판(95)의 안쪽에 케이블(70)의 단부를 재치한 상태에서, 케이블(70)의 단부 및 쉘(80)의 케이블압압판(87)을 감싸도록 케이블고정판(95)을 클램핑가공함으로써, 플러그 본체(10)의 뒤쪽에 케이블(70)의 단부가 강고히 결합 고정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플러그(1)는, 케이블(70)과 접속되는 콘택트(20)를 가지고, 상기 콘택트(20)가 절연성의 보디(40)에 유지되고, 상기 보디(40)가 금속판 으로 이루어지는 쉘(80)에 의해 차폐된 플러그 본체(10)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본체(10)의 일부가 오버몰드되어 있는 플러그로서, 상기 쉘(80)은, 직사각형상의 베이스(81)와, 상기 베이스(81)의 연장부를 꺾어 세워서 이루어지는 복수의 측판(82, 83, 84)을 가지고, 상기 보디(40)는, 상기 쉘(80)이 인접하는 상기 측판(82, 83, 84)의 사이에 형성되는 극간(88, 89)에 끼여서 상기 극간(88, 89)을 막는 실링부(41, 42)를 가진다.
또, 상기 보디(4O)는, 플러그(1)의 리셉터클에의 삽입방향 뒤쪽에 형성하는 플러그(1)의 파지부(4Oa)와, 상기 파지부(40a)로부터 상기 삽입방향 앞쪽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리셉터클에 삽입하는 상기 파지부(40a)보다 얇은 끼워맞춤부(40b)를 가지며, 상기 쉘(80)은, 상기 파지부(40a)의 상기 삽입방향 앞쪽의 전단부면(40c)을 덮는 전측판(82)과, 상기 파지부(40a)의 전단부면(40c)에 인접하는 좌우측면을 따르는 좌우측판(83, 84)과, 상기 전측판(82)의 연장부를 절곡해서 이루어지며 상기 끼워맞춤부(40b)를 덮는 통형상부(85)를 가지며, 상기 실링부(41, 42)는, 상기 전측판(82)과 좌우측판(83, 84)의 사이에 형성되는 극간(88, 89)에 끼여서 상기 극간(88, 89)을 막고, 상기 플러그 본체(10)의 상기 보디(40)의 파지부(40a)에서 끼워맞춤부(4Ob)의 근원부까지가 오버몰드되어 있다.
또, 상기 보디(40)의 끼워맞춤부(40b)를 리셉터클에 삽입한 경우에 상기 리셉터클에 걸어 맞추는 래치(30)를 가진다.
또, 상기 쉘(80)은, 상기 베이스(81)의 상기 삽입방향 뒤쪽에 위치하는 연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콘택트(20)에 접속된 상기 케이블(70)과 결합하는 고정 부(87)를 가지며, 상기 케이블(70)의 단부로부터 상기 플러그 본체(10)의 상기 보디(40)의 파지부(40a)를 경유해서 끼워맞춤부(40b)의 근원부까지가 오버몰드되어 있다.
또, 상기 베이스(81)와 서로 대향하는 다른 베이스(91)와, 상기 다른 베이스(91)의 연장부를 꺾어 세워서 이루어지며 상기 좌우측판(82, 84)과 겹치는 다른 좌우측판(92, 93)을 가지며, 상기 쉘(80)에 의해 상기 보디(40)의 파지부(40a)의 전체 주위를 덮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쉘커버(90)를 구비한다.
또, 상기 쉘커버(90)는, 상기 다른 베이스(91)의 상기 삽입방향 뒤쪽에 위치하는 연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콘택트(20)에 접속된 상기 케이블(70)과 결합하는 다른 고정부(95)를 가진다.
따라서 플러그(1)는, 쉘(80)의 불가피한 극간(88, 89)을 보디(40)의 실링부(41, 42)에 의해 막으므로, 오버몰드가공을 실행할 경우에 용융수지가 쉘(80)의 극간(88, 89)으로부터 안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콘택트(20)나 래치(30)의 가동부가 가동되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의 형태는 본 발명의 커넥터(플러그)의 매우 적합한 1실시의 형태를 마이크로 USB 커넥터의 플러그(1)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할 수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1실시의 형태에 관련되는 커넥터의 정면도이고, 도 1(B)은 동일커넥터의 우측면도이며, 도 1(C)은 동일커넥터의 저면도;
도 2(A)는 동일커넥터의 오버몰드만 절반 단면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2(B)는 동일커넥터의 오버몰드만 전체 단면한 상태의 우측면도;
도 3은 동일커넥터의 플러그 본체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케이블은 도시하지 않음);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우측면도;
도 5는 동일커넥터의 보디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동일커넥터의 배면, 평면 및 좌측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동일커넥터의 보디의 배면도;
도 8은 도 7의 A부 확대도;
도 9(A)는 도 7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9(B)는 도 7의 C-C선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D-D선 단면도;
도 11은 동일커넥터의 제1 콘택트의 배면, 평면 및 좌측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A)는 동일커넥터의 제1 콘택트의 우측면도 및 배면도이고, 도 12(B)는 다른 제1 콘택트의 우측면도 및 배면도이며, 도 12(C)는 제2 콘택트의 우측면도 및 배면도;
도 13은 동일커넥터의 쉘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14(A)는 동일커넥터의 쉘의 정면도이고, 도 14(B)는 쉘의 평면도, 도 14(C)는 쉘의 측면도이며, 도 14(D)는 (B)의 A-A선 단면도;
도 15(A)는 동일커넥터의 쉘커버의 정면도이고, 도 15(B)는 쉘커버의 평면도, 도 15(C)는 쉘커버의 우측면도이며, 도 15(D)는 (B)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플러그(마이크로 USB 플러그) 2: 오버몰드수지
10: 플러그 본체 20: 콘택트
30: 래치 4O: 보디
4Oa: 파지부 4Ob: 끼워맞춤부
41, 42: 실링부 70: 케이블
80: 쉘 81: 베이스
82: 전측판 83, 84: 좌우측판
85: 통형상부 87: 케이블압압판(고정부)
88, 89: 극간 90: 쉘커버
91: 다른 베이스 92, 93: 다른 좌우측판
95: 케이블고정판(고정부)

Claims (7)

  1. 케이블과 접속되는 콘택트를 가지며, 상기 콘택트가 절연성의 보디에 유지되고, 상기 보디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쉘에 의해 차폐된 플러그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본체의 일부가 오버몰드되어 있는 커넥터로서, 상기 쉘은, 직사각형상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연장부를 꺾어 세워서 이루어지는 복수의 측판을 가지며, 상기 보디는, 상기 쉘이 인접하는 상기 측판의 사이에 형성되는 극간에 끼여서 상기 극간을 막는 실링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는, 커넥터의 상대쪽 커넥터에의 삽입방향 뒤쪽에 형성하는 커넥터의 파지(把持)부와, 상기 파지부로부터 상기 삽입방향 앞쪽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상대쪽 커넥터에 삽입되는 상기 파지부보다 얇은 끼워맞춤부를 가지고, 상기 쉘은, 상기 파지부의 상기 삽입방향 앞쪽의 전단부면을 덮는 전측판(前側板)과, 상기 파지부의 전단부면에 인접하는 좌우측면을 따르는 좌우측판과, 상기 전측판의 연장부를 절곡해서 이루어지며 상기 끼워맞춤부를 덮는 통형상부를 가지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전측판과 좌우측판의 사이에 형성되는 극간에 끼여서 상기 극간을 막고, 상기 플러그 본체의 상기 보디의 파지부로부터 끼워맞춤부의 근원부까지가 오버몰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의 끼워맞춤부를 상대쪽 커넥터에 삽입한 경우에 상기 상대쪽 커넥터에 걸어 맞추는 래치(latch)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삽입방향 뒤쪽에 위치하는 연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콘택트에 접속된 상기 케이블과 결합하는 고정부를 가지고, 상기 케이블의 단부로부터 상기 플러그 본체의 상기 보디의 파지부를 경유해서 끼워맞춤부의 근원부까지가 오버몰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서로 대향하는 다른 베이스와, 상기 다른 베이스의 연장부를 꺾어 세워서 이루어지며 상기 좌우측판과 겹치는 다른 좌우측판을 가지고, 상기 쉘에 의해 상기 보디의 파지부의 전체주위를 덮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쉘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쉘커버는, 상기 다른 베이스의 상기 삽입방향 뒤쪽에 위치하는 연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콘택트에 접속된 상기 케이블과 결합하는 다른 고정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 USB 커넥터 규격 준거의 마이크로 USB 플러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80060573A 2007-06-29 2008-06-26 커넥터 KR1009875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72303 2007-06-29
JP2007172303A JP4445982B2 (ja) 2007-06-29 2007-06-29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558A true KR20090004558A (ko) 2009-01-12
KR100987569B1 KR100987569B1 (ko) 2010-10-12

Family

ID=39709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0573A KR100987569B1 (ko) 2007-06-29 2008-06-26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24222B2 (ko)
EP (1) EP2009750B1 (ko)
JP (1) JP4445982B2 (ko)
KR (1) KR100987569B1 (ko)
CN (1) CN101335401B (ko)
CA (1) CA2633711C (ko)
TW (1) TW20090157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0009599U1 (de) * 2010-06-28 2010-09-16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verbinder
CN201829739U (zh) * 2010-07-30 2011-05-1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US8328578B2 (en) 2010-08-13 2012-12-11 Lex Products Corp Electrical connecto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5099566B2 (ja) * 2010-09-06 2012-12-19 Smk株式会社 防水機能付きコネクタ
US8152563B1 (en) 2010-12-28 2012-04-10 Lex Product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pin ring, a pre-mold and an over-mold
US8152566B1 (en) 2011-02-16 2012-04-1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resilient arm configured in fixed ended beam manner formed on metal shell
CN102655293B (zh) * 2011-03-02 2015-02-2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2684011B (zh) * 2011-03-15 2017-03-01 湖南城市学院 Usb接头固定装置
US8439708B2 (en) 2011-03-28 2013-05-14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cantilevered arm integrally formed on metal shell
JP5373864B2 (ja) * 2011-08-11 2013-12-18 タツタ電線株式会社 多心ケーブルと多心コネクタとの接続構造
KR20130059111A (ko) * 2011-11-28 2013-06-05 타이코에이엠피(유)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
US8845356B2 (en) * 2012-01-31 2014-09-30 Invue Security Products Inc. Power adapter cord having locking connector
US8475212B1 (en) * 2012-02-21 2013-07-02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harging connector
US9190763B2 (en) 2012-03-14 2015-11-17 Lex Product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pre-molded and an over-molded material
DE102012215377B4 (de) * 2012-08-30 2017-10-19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Elektronische Buchsenschnittstelle
TWI642244B (zh) 2013-01-16 2018-11-21 莫仕有限公司 Plug connector and socket connector
CN203225381U (zh) 2013-03-22 2013-10-02 欧姆龙株式会社 端子台和本体的连接机构、包括其的电子设备和温度调节器
KR101507856B1 (ko) * 2014-10-14 2015-04-07 (주)금오전자 전자기기 도난 방지용 커넥터
WO2016080524A1 (ja) * 2014-11-21 2016-05-26 株式会社フジクラ 超電導コイル
CN204633015U (zh) * 2015-05-27 2015-09-09 深圳市和宏实业股份有限公司 插头连接器及其屏蔽外壳
US9472873B1 (en) * 2015-08-12 2016-10-18 Lattice Semiconductor Corporation Reversible receptacle connector
JP6757572B2 (ja) 2016-02-26 2020-09-2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ロック機構を有するシェルを備えた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CN107565229B (zh) * 2017-07-21 2020-06-09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7404024A (zh) * 2017-07-24 2017-11-28 花银昌 一种连接器
JP7202866B2 (ja) * 2018-12-03 2023-01-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基板接続コネクタ向けの端子、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製造方法
TWM580272U (zh) * 2019-01-18 2019-07-01 貿聯國際股份有限公司 線纜連接器
JP7151639B2 (ja) * 2019-06-26 2022-10-1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20204913A1 (de) * 2020-04-17 2021-10-21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Miniaturisierter Stecker
USD997103S1 (en) * 2021-07-07 2023-08-29 Interconnect Solutions Company, Llc Electrical connector jacket
CN117954902B (zh) * 2024-03-18 2024-06-25 成都中科四点零科技有限公司 一种连接稳定的smp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18938B (en) * 1993-04-12 1994-01-11 Whitaker Corp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5725395A (en) * 1996-08-12 1998-03-10 Lee; Su-Lan Yang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US6004160A (en) 1997-03-25 1999-12-21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insert molded housing
US5938476A (en) * 1997-04-29 1999-08-17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connector assembly
TW435872U (en) * 1998-09-25 2001-05-16 Hon Hai Prec Ind Co Ltd Cable connector
US6210231B1 (en) * 1999-11-29 2001-04-0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6280252B1 (en) * 2000-01-27 2001-08-2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firmly retaining an insulative housing
JP3405961B2 (ja) * 2000-05-24 2003-05-1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リセプタクルタイプの中継用コネクタ
TW519323U (en) * 2002-01-22 2003-01-21 Shu-Lan Yangli Connector
WO2004107257A1 (ja) * 2003-05-30 2004-12-09 Fujitsu Limited 帳票処理プログラム、方法及び装置
US6966800B2 (en) * 2004-03-22 2005-11-22 Fci Americas Technology, Inc. Overmolded electrical connector
JP4451386B2 (ja) 2005-12-20 2010-04-1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2906973Y (zh) 2006-04-27 2007-05-30 深圳君泽电子有限公司 微型usb线端接插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04916A1 (en) 2009-01-01
JP2009009896A (ja) 2009-01-15
EP2009750B1 (en) 2012-10-31
TW200901575A (en) 2009-01-01
KR100987569B1 (ko) 2010-10-12
CN101335401A (zh) 2008-12-31
JP4445982B2 (ja) 2010-04-07
TWI358860B (ko) 2012-02-21
CA2633711A1 (en) 2008-12-29
CN101335401B (zh) 2013-05-29
US7824222B2 (en) 2010-11-02
CA2633711C (en) 2015-07-07
EP2009750A1 (en) 200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569B1 (ko) 커넥터
KR101006290B1 (ko) 커넥터
US773619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EP1626464B1 (en) Shield connector
JP5033651B2 (ja) ワイヤハーネス及びワイヤハーネス組立方法
US11682852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105226424B (zh) 连接器端子和包括该连接器端子的连接器
EP3096409A1 (en) A contact for electrical connectors
CN101183756B (zh) 具有电线对准功能且尺寸可减小的电连接器
JP5542238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及びジョイントコネクタにおけるバスバーパターン識別方法
JP5598849B2 (ja) コネクタ、コネクタハウジング、およ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5134098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コネクタ組立体
JP2006066291A (ja) 多極コネクタ
CN107834317B (zh) 一种母头连接器、公头连接器及组合
JP3727233B2 (ja) 電気コネクタ
CN213184691U (zh) 具有遮蔽壳体的电连接器
JP7444131B2 (ja) コネクタ
JP7522011B2 (ja) 合体コネクタ
WO2023218926A1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KR20130080006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2023159994A (ja) コネクタ
CN118117373A (zh) 连接器和连接器制造方法
JP2005149905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