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309U - 다목적 작물 지지대 - Google Patents
다목적 작물 지지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02309U KR20090002309U KR2020070014700U KR20070014700U KR20090002309U KR 20090002309 U KR20090002309 U KR 20090002309U KR 2020070014700 U KR2020070014700 U KR 2020070014700U KR 20070014700 U KR20070014700 U KR 20070014700U KR 20090002309 U KR20090002309 U KR 20090002309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crop
- holder
- crops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1847 Jaw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5000002566 Capsicum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40000008067 Cucumis sativu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0799 Cucumi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6002 Pepp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6761 Piper aduncum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7804 Piper guineens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08184 Piper nigrum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40000002686 Solanum melongen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02597 Solanum melongena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40000000129 Piper nigrum Species 0.000 abstract 1
- 241000722363 Piper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966 trim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2—Stak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Abstract
본 고안은 다목적 작물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추, 오이, 가지 등의 작물이 바람 등의 외부의 물리적 요인에 의하여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며, 작물이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자랄 수 있도록 작물의 줄기를 지지하는 다목적 작물 지지대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지면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일단에 날카로운 형상의 인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 다른 지지대가 삽입되어 연장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복수의 환형의 걸림턱이 형성된 지지대와, 일단에 복수의 걸림턱 사이의 지지대의 외주면이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고정탄성편과, 타단에 작물의 줄기가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지지탄성편을 구비한 홀더를 포함하는 다목적 작물 지지대이다.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작물 지지대에 의하면, 홀더를 구비하여 작물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지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을 절감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홀더에 의하여 작물의 크기와 성장 정도에 따라 작물의 지지부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보다 견고하게 작물을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작물, 지지대, 홀더
Description
본 고안은 다목적 작물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추, 오이, 가지 등의 작물이 바람 등의 외부의 물리적 요인에 의하여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며 , 작물이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자랄 수 있도록 작물의 줄기를 지지하는 다목적 작물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물 지지대는 고추, 오이, 가지 등의 작물이 어느 정도 성장하였을 때 그 줄기가 연약하여 강한 바람에 의하여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또한, 작물 지지대는 작물에 맺히는 열매의 무게에 의하여 작물이 일측으로 기울어져 자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가진 종래기술의 작물 지지대는 대부분 나뭇가지를 다듬어 사용하거나 기타 지지대를 사용하여 작물의 인접한 지점의 지면에 설치한다. 그런 후 작물 지지대에 끈으로 지지대와 작물의 줄기를 서로 묶어서 작물을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작물 지지대는 작물의 줄기와 끈으로 묶여지므로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작물 지지대는 대부분 나무를 다듬어서 제조된 것이므로 그 사용 수명이 짧으며, 그해에 사용한 작물 지지대를 다음해에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추, 오이, 가지 등의 작물과 과수목 등의 다양한 작물을 지지할 수 있으며, 작물의 크기와 성장 정도에 따라 작물의 지지부위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다목적 작물 지지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작물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지지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목적 작물 지지대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지면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일단에 날카로운 형상의 인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 다른 지지대가 삽입되어 연장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복수의 환형의 걸림턱이 형성된 지지대와, 일단에 복수의 걸림턱 사이의 지지대의 외주면이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고정탄성편과, 타단에 작물의 줄기가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지지탄성편을 구비한 홀더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한 목적들과 그 외의 목적들과 신규한 특징은 상세한 설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읽어 보면, 보다 완전하고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면은 설명을 위한 것일 뿐이며,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작물 지지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 된 도면들인 도 1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작물 지지대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1 실시예는 지지대(10), 홀더로 구성되어 있다. 홀더는 복수로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의 홀더 각각은 제1 홀더(20), 제2 홀더(30)라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대(10)는 원통형의 길이가 긴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지대(10)의 일단은 지면(50)으로 쉽게 인입될 수 있도록 날카로운 형상의 인입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대(10)의 타단은 다른 지지대가 삽입되어 연장될 수 있도록 구멍(1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대(10)에는 복수의 환형의 걸림턱(13)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걸림턱(13)은 지지대(1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되어 있다. 지지대(10)는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어 제조된다.
제1 홀더(20)는 한 쌍의 고정탄성편(21)과 한 쌍의 지지탄성편(23)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탄성편(21)은 지지대(10)의 두 개의 걸림턱(13)들 사이에 위치하고, 지지대(10)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된다. 또한, 고정탄성편(21)의 높이는 지지대(10)의 걸림턱(13) 사이의 간격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고정탄성편(21)이 걸림턱(13) 사이에 끼워져서 쉽게 탈락되지 않는다. 지지탄성편(23)은 홀딩 홀(Holding Hole; 25)을 구비한 포크(Fork)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용되는 작물(40, 40a)의 줄기(41, 41a)를 견고히 홀딩(Holding)하기 위하여 내측면에 연속된 요철(27)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홀더(30)는 제1 홀더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고정탄성편(31)과 한 쌍의 지지탄성편(33)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 홀더(30)의 고정탄성편(31)은 제1 홀더(20)의 상방에 위치하고, 지지대(10)에 형성되어 있는 다른 두 개의 걸림턱(13)들 사이의 지지대(10)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된다. 제2 홀더(30)는 작물(40, 40a)의 줄기(41, 41a)를 수용할 수 있는 홀딩 홀(35)을 가지며, 이 홀딩 홀(31)에 작물(40, 40a)의 줄기(41, 41a)가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벌어져 있다. 제2 홀더(30)에는 제1 홀더(20)의 요철(23)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은 제1 홀더와 제2 홀더에 의하여 작물의 크기와 성장 정도에 따라 작물의 지지부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보다 견고하게 작물을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작물 지지대에 대한 작용을 도 2, 도 3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는 하나의 작물(40)에 설치되어 있는 다목적 작물 지지대를 나타내고 있다. 다목적 작물 지지대의 지지대(10)는 작물(40)의 근접 지점의 지면(50)에 인입된다. 다목적 작물 지지대(10)의 장착되어 있는 제1 및 제2 홀더(20, 30)는 지지할 작물이 있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회전된 홀더(20, 30) 각각은 작물(40)의 줄기(41)를 홀딩 홀(21, 31)에 수용한 후 작물(40)의 줄기(41)를 지지한다.
도 3은 하나의 다목적 작물 지지대가 두 그루의 작물(40, 40a)을 지지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지지대(10)는 두 작물(40, 40a) 사이의 가운데 지점의 지면(50)에 인입된다. 제1 및 제2 홀더(20, 30) 각각은 지지대(10)를 기준으로 하여 지지할 작물(40, 40a)이 있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1 홀더(20)가 하나의 작물(40a)의 줄기(41a)를 홀딩 홀(21)에 수용하여 작물을 지지하면, 제2 홀더(30)가 나머지 다른 작물(40)의 줄기(41)를 홀딩 홀(31)에 수용하여 작물을 지지한다. 또는 이와 반대의 순으로 될 수도 있다.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작물 지지대의 두 개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하나의 지지대(10)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15)에 다른 하나의 다목적 작물 지지대의 인입부(11)가 삽입되어 두 개의 다목적 작물 지지대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여러 개의 다목적 작물 지지대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여러 개의 다목적 작물 지지대가 결합되어 작물뿐만 아니라 과수목 등에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작물 지지대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제2 홀더(30)를 장착하지 않고, 제1 홀더(20)를 복수로 구비한 것이다. 제2 실시예의 지지대와 복수의 홀더는 제1 실시예의 지지대와 제2 홀더와 기본적인 구성이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작물 지지대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제1 홀더(20)를 장착하지 않고, 제2 홀더(30)를 복수로 구비하고 있다. 제3 실시예의 지지대와 복수의 홀더는 제1 실시예의 지지대와 제1 홀더와 기본적인 구성이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 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작물 지지대에 의하면, 홀더를 구비하여 작물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지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을 절감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홀더에 의하여 작물의 크기와 성장 정도에 따라 작물의 지지부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보다 견고하게 작물을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작물 지지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작물 지지대의 제1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작물 지지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작물 지지대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지지대 20: 제1 홀더
30: 제2 홀더 40: 작물
50: 지면
Claims (5)
- 지면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일단에 날카로운 형상의 인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 다른 지지대가 삽입되어 연장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복수의 환형의 걸림턱이 형성된 지지대와;일단에 상기 복수의 걸림턱 사이의 지지대의 외주면이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고정탄성편과, 타단에 작물의 줄기가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지지탄성편을 구비한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작물 지지대.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고정탄성편 및/또는 지지탄성편의 단부는 지지대나 작물이 끼워지기 용이하도록 외측으로 벌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작물 지지대.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지지대의 걸림턱 사이의 높이는 일정하고, 상기 홀더의 높이는 상기 걸림턱 사이의 높이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홀더가 이웃하는 걸림턱 사이에 끼워져서 탈락 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작물 지지대.
- 제3항에 있어서,상기 고정탄성편 및/또는 지지탄성편의 내측면에는 작물의 줄기를 견고하게 홀딩하도록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작물 지지대.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지지대 및 홀더는 각각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작물 지지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4700U KR20090002309U (ko) | 2007-09-03 | 2007-09-03 | 다목적 작물 지지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4700U KR20090002309U (ko) | 2007-09-03 | 2007-09-03 | 다목적 작물 지지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2309U true KR20090002309U (ko) | 2009-03-06 |
Family
ID=41288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14700U KR20090002309U (ko) | 2007-09-03 | 2007-09-03 | 다목적 작물 지지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02309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081976A (zh) * | 2014-06-30 | 2014-10-08 | 镇江瑞繁农艺有限公司 | 一种南方大棚辣椒早熟抗倒伏栽培方法 |
CN109392534A (zh) * | 2018-11-27 | 2019-03-01 | 璧甸福 | 一种番茄支撑架 |
-
2007
- 2007-09-03 KR KR2020070014700U patent/KR20090002309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081976A (zh) * | 2014-06-30 | 2014-10-08 | 镇江瑞繁农艺有限公司 | 一种南方大棚辣椒早熟抗倒伏栽培方法 |
CN109392534A (zh) * | 2018-11-27 | 2019-03-01 | 璧甸福 | 一种番茄支撑架 |
CN109392534B (zh) * | 2018-11-27 | 2021-04-13 | 赵鸣 | 一种番茄支撑架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013190B1 (en) | Pot device and method related thereto | |
US8201783B1 (en) | Potted plant holder assembly | |
US20140352209A1 (en) | Plant support frame, plant support frame system, and use of a plant support frame and plant support frame system | |
US1377832A (en) | Tree or plant support | |
KR20110032703A (ko) | 화분 고정용 받침대 | |
KR20090002309U (ko) | 다목적 작물 지지대 | |
CN105794522A (zh) | 一种花盆花架一体装置 | |
CN105768724A (zh) | 一种具有吸盘的花架 | |
KR20140091792A (ko) | 농작물용 집게 | |
KR101685969B1 (ko) | 화분용 식물지지대 | |
CN210580307U (zh) | 一种苗木固定装置 | |
US20110167720A1 (en) | Fruit and vegetable shaping device and method of use | |
CN105768725A (zh) | 一种带有把手的一体式花架 | |
US20170105364A1 (en) | Plant Support | |
CN105830771A (zh) | 一种具有收集功能的一体式花架 | |
KR200432124Y1 (ko) | 농작물 지지 결합구조 | |
US6978574B1 (en) | Flower bouquet support | |
CN210275331U (zh) | 一种苹果种植枝干支撑器 | |
KR20200002316U (ko) | 접목용 집게 | |
JP2009131230A (ja) | 幼苗の接ぎ木具 | |
JP3187316U (ja) | 農園芸用支柱のテープ係止具 | |
KR20170003481U (ko) | 농작물 도복 방지용 지지대 | |
CN212116476U (zh) | 一种果木苗栽种辅助支撑装置 | |
KR200321002Y1 (ko) | 나무 가지보호 받침대 | |
KR20110101545A (ko) |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