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3442A - 점착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점착체 - Google Patents

점착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점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3442A
KR20080113442A KR1020087027697A KR20087027697A KR20080113442A KR 20080113442 A KR20080113442 A KR 20080113442A KR 1020087027697 A KR1020087027697 A KR 1020087027697A KR 20087027697 A KR20087027697 A KR 20087027697A KR 20080113442 A KR20080113442 A KR 20080113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olymer
polymer block
mass
component
conjugated di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7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8750B1 (ko
Inventor
요시오 시모우라
가쯔노리 도요시마
아쯔히로 나가오
다까시 도요이즈미
마사시 시마까게
이와까즈 하또리
Original Assignee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13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3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7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3/00Adhesives based on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53/005Modified block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 C08F297/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anionic type
    • C08F297/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anionic type polymerising 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08F297/04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anionic type polymerising 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using a coupl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04Reduction, e.g. hydroge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7Block-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53/00Presence of block co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78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 Y10T428/2883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including addition polymer of diene monomer [e.g., SBR, SIS,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 성분: [A-B]n의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 (I')를 수소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공중합체 (I)과, (나) 성분: 말단이 중합체 블록 A이고, 중간 부분에 중합체 블록 B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II')를 수소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공중합체 (II)를 구성성분으로서 함유하고, (가) 성분과 (나) 성분의 질량비와, 공중합체 (I') 및 공중합체 (II')에 포함되는 중합체 블록 A의 총량과 중합체 블록 B의 총량의 질량비가 소정의 범위 내이고, 공중합체 (I') 및 공중합체 (II')에 포함되는 공액 디엔 화합물 유래의 이중 결합 중 80% 이상이 수소 첨가되어 있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중합체 블록 A]: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단위의 함유율이 80질량% 이상인 중합체 블록,
[중합체 블록 B]: 공액 디엔 화합물 단위의 함유율이 50 질량% 이상, 공액 디엔 화합물 유래의 비닐 결합의 함유율이 50% 이상인 중합체 블록.
점착제, 점착제 조성물, 중합체 블록

Description

점착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점착체{ADHESIVE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ADHESIVE BODY}
본 발명은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단위를 주요한 반복 단위로 하는 중합체 블록과 공액 디엔 화합물 단위를 주요한 반복 단위로 하는 중합체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를 수소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를 구성성분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점착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금속판, 피복 도장 강판, 합성 수지판, 화장 합판, 명판, 유리판 등의 각종 재료의 표면을 오염이나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이들 재료의 표면을 표면 보호 필름으로 피복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표면 보호 필름은 필름형의 기재와 그 기재의 표면에 형성된 점착층을 구비한 구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표면 보호 필름은 점착층을 이용하여 필름형의 기재를 피보호체의 표면에 점착시킴으로써, 피보호체의 표면을 오염이나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와 같은 표면 보호 필름의 점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 조성물로서는, 예를 들면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단위를 주요한 반복 단위로 하는 중합체 블록 A와 공액 디엔 화합물 단위를 주요한 반복 단위로 하는 중합체 블록 B를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를 수소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를 구성성분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A-B]형의 블록 공중합체나 [A-B-A]형의 블록 공중합체를 수소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표면 보호 필름용의 점착제 조성물(단, "A"는 중합체 블록 A, "B"는 중합체 블록 B를 나타냄)이 이미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1 및 2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고 (평)6-23365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제2713519호 공보
<발명의 개시>
그러나, 특허 문헌 1 및 2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은 피착체의 표면에 필름을 점착한 후,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피착체의 표면으로부터 점착층이 들떠 필름이 박리되게 되는 문제점이나(이 문제점을 "들뜸"이라 칭하기로 함), 피착체의 표면으로부터 필름을 박리시킬 때에 피착체의 표면에 점착제가 잔존하여 피착체의 표면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문제점을 "점착제 잔류"라 칭하기로 함)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어 충분히 만족할 만한 것은 아니었다. 즉, 특허 문헌 1 및 2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은 들뜸이나 점착제 잔류와 같은 문제점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개선의 여지를 남기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들뜸이나 점착제 잔류 등의 문제점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점착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블록 공중합체의 구조, 조성, 물성을 정밀히 제어함으로써 상기 과제가 해결되는 것에 생각이 이르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의해 이하의 점착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점착체가 제공된다.
[1] (가) 성분: 하기 중합체 블록 A 및 하기 중합체 블록 B를 포함하고, [A-B]n의 구조를 갖고, 그의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단위의 함유율이 5 질량% 이상, 30 질량% 미만의 범위 내인 공중합체 (I')(단, "A"는 중합체 블록 A, "B"는 중합체 블록 B, "n"은 1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냄)의 공액 디엔 화합물 유래의 이중 결합이 수소 첨가되어 있는 공중합체 (I)과, (나) 성분: 하기 중합체 블록 A 및 하기 중합체 블록 B를 포함하고, 2개 이상의 말단이 하기 중합체 블록 A이고, 중간 부분에 1개 이상의 하기 중합체 블록 B를 포함하고, 그의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단위의 함유율이 5 질량% 이상, 30 질량% 미만의 범위 내인 공중합체 (II')의 공액 디엔 화합물 유래의 이중 결합이 수소 첨가되어 있는 공중합체 (II)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조성물을 구성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이며, 상기 (가) 성분과 상기 (나) 성분의 질량비가 90:10 내지 10:90의 범위 내이고, 상기 공중합체 (I') 및 상기 공중합체 (II')에 포함되는 하기 중합체 블록 A의 총량과 하기 중합체 블록 B의 총량의 질량비가 5:95 내지 29:71의 범위 내이고, 상기 공중합체 (I') 및 상기 공중합체 (II')에 포함되는 공액 디엔 화합물 유래의 이중 결합 중 80% 이상이 수소 첨가되어 있는 점착제 조성물.
[중합체 블록 A]: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단위의 함유율이 80 질량% 이상인 중합체 블록,
[중합체 블록 B]: 공액 디엔 화합물 단위의 함유율이 50 질량% 이상, 공액 디엔 화합물 유래의 비닐 결합의 함유율이 50% 이상인 중합체 블록.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 (I') 및 상기 공중합체 (II')가, 그의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단위의 함유율이 5 질량% 이상, 25 질량% 미만의 범위 내인 공중합체인 점착제 조성물.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 (I')가 [A-B]의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이고, 상기 공중합체 (II')가 [A-B-A]의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이고, 상기 (가) 성분과 상기 (나) 성분의 질량비가 80:20 내지 20:80의 범위 내인 점착제 조성물.
(단, "A" 및 "B"는 각각이 상이한 중합체 블록일 수도 있고, 동일한 중합체 블록일 수도 있음)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 (I')가 [A-B]의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이고, 상기 공중합체 (II')가 {[A-B]x-Y}의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이고, 상기 (가) 성분과 상기 (나) 성분의 질량비가 50:50 내지 20:80의 범위 내인 점착제 조성물.
(단, "x"는 2 이상의 정수, "Y"는 커플링제 잔기를 나타내고, 또한 "A" 및 "B"는 각각이 상이한 중합체 블록일 수도 있고, 동일한 중합체 블록일 수도 있음)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블록 A가, 상기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단위로서 스티렌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중합체 블록 B가, 상기 공액 디엔 화합물 단위로서 1,3-부타디엔 단위 및 이소프렌 단위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것인 점착제 조성물.
[6]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 성분 및 상기 (나) 성분에 더하여, (다) 성분: 점착 부여제를 구성성분으로서 더 함유하고, 상기 (가) 성분 및 상기 (나) 성분의 총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다) 성분을 2 내지 50 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
[7]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 조성물이 230℃에서 21.2N의 하중으로 측정한 MFR의 값이 1 내지 100 g/10분의 범위 내이고, 점탄성 스펙트럼에서의 손실 정접 tanδ(20℃)의 값이 0.15 이하이고, tanδ(80℃)의 값이 0.10 이상이고, 저장 탄성률 G'(20℃)의 값이 1.8×106 Pa 이하인 점착제 조성물.
[8]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며, 제1 공정: [A-B]의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 (I'-1)을 블록 중합에 의해 합성하는 공정과, 제2 공정: 상기 [A-B]의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 (I'-1)의 일부를 커플링제 Y-Zx(단, "Y"는 커플링제 잔기, "Z"는 이탈기, "X"는 2 이상의 정수를 나타냄)에 의해 커플링시켜 {[A-B]x-Y}의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 (II'-1)을 합성하는 공정과, 제3 공정: 상기 [A-B]의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 (I'-1) 및 상기 {[A-B]x-Y}의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 (II'-1)에 수소 첨가함으로써, 상기 공중합체 (I'-1) 및 상기 공중합체 (II'-1)에 포함되는 공액 디엔 화합물 유래의 이중 결합 중 80% 이상이 수소 첨가되어 있는 공중합체 조성물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중합체 블록 A]: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단위의 함유율이 80 질량% 이상인 중합체 블록,
[중합체 블록 B]: 공액 디엔 화합물 단위의 함유율이 50 질량% 이상, 공액 디엔 화합물 유래의 비닐 결합의 함유율이 50% 이상인 중합체.
[9] 기재와, 이 기재의 표면에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한 점착체이며, 상기 점착층이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의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인 점착체.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체는, 피착체의 표면에 필름을 점착한 후,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피착체의 표면으로부터 점착층이 들떠 필름이 박리되는 문제점(들뜸)이나 피착체의 표면으로부터 필름을 박리시킬 때에 피착체의 표면에 점착제가 잔존하여 피착체의 표면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점착제 잔류)을 유효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그의 발명 특정 사항을 구비하는 모든 실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단량체 X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를 단순히 "X 단위"라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1] 점착제 조성물: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필수 성분으로서 (가) 성분 및 (나) 성분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조성물을 구성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조성물이다. 그리고, 상기 (가) 성분과 (나) 성분은 모두 하기 중합체 블록 A 및 하기 중합체 블록 B를 구성 블록으로서 포함하는 블록 중합체의 공액 디엔 화합물 유래의 이중 결합이 수소 첨가되어 있는 공중합체이다. 우선, 중합체 블록 A와 중합체 블록 B에 대하여 설명한다.
[중합체 블록 A]: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단위의 함유율이 80 질량% 이상인 중합체 블록,
[중합체 블록 B]: 공액 디엔 화합물 단위의 함유율이 50 질량% 이상, 공액 디엔 화합물 유래의 비닐 결합의 함유율이 50% 이상인 중합체 블록.
[1-1] 중합체 블록 A:
"중합체 블록 A"는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단위의 함유율이 80 질량% 이상인 중합체 블록이다.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단위"란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이다.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 tert-부틸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에틸스티렌, 디비닐벤젠, 1,1-디페닐에틸렌, 비닐나프탈렌, 비닐안트라센, N,N-디에틸-p-아미노에틸스티렌 및 비닐피리딘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원료를 공업적으로 입수하기 쉽다는 이유에서,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단위"는 스티렌 단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체 블록 A"는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단위를 주요한 반복 단위로 하여 구성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단위의 함유율이 80 질량% 이상이면 좋다.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단위의 함유율을 80 질량% 이상으로 높게 함으로써, 점착제 조성물의 열가소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점착제 조성물의 재활용이 보다 용이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20 질량% 미만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는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단위 이외의 반복 단위로서는,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과 공중합 가능한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 예를 들면 공액 디엔 화합물이나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1,3-부타디엔, 이소프렌이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과의 공중합성이 높다는 이유에서 바람직하다.
[1-2] 중합체 블록 B:
"중합체 블록 B"는 공액 디엔 화합물 단위의 함유율이 50 질량% 이상, 공액 디엔 화합물 유래의 비닐 결합의 함유율이 50% 이상인 중합체 블록이다.
"중합체 블록 B"를 구성하는 "공액 디엔 화합물 단위"란 공액 디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이다. "공액 디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1,3-부타디엔, 이소프렌, 2,3-디메틸-1,3-부타디엔, 1,3-펜타디엔, 2-메틸-1,3-옥타디엔, 1,3-헥사디엔, 1,3-시클로헥사디엔, 4,5-디에틸-1,3-옥타디엔, 3-부틸-1,3-옥타디엔, 미르센 및 클로로프렌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중합 반응성이 높고, 원료를 공업적으로 입수하기 쉽다는 이유에서, "공액 디엔 화합물 단위"는 1,3-부타디엔 단위 및 이소프렌 단위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반복 단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체 블록 B"는 공액 디엔 화합물 단위를 주요한 반복 단위로 하여 구성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공액 디엔 화합물 단위의 함유율이 50 질량% 이상(50 내지 100 질량%의 범위 내)일 필요가 있고, 70 내지 100 질량%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내지 100 질량%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공액 디엔 화합물 단위의 함유율을 50 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점착제 조성물의 유연성이 향상된다는 바람직한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50 질량% 미만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는 공액 디엔 화합물 단위 이외의 반복 단위로서는, 공액 디엔 화합물과 공중합 가능한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 예를 들면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스티렌이 공액 디엔 화합물과의 공중합성이 높다는 이유에서 바람직하다.
"중합체 블록 B"는 비닐 결합의 함유율(즉, 1,2-비닐 결합 및 3,4-비닐 결합의 총 함유율. 이하, "비닐 함량"이라 기재함)이 50% 이상일 필요가 있고, 50 내지 9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내지 80%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비닐 함량을 50% 이상으로 함으로써, 점착성(tack)과 접착력의 균형이 우수한 점착제 조성물을 구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중합체 블록 A와 상기 중합체 블록 B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의 공액 디엔 화합물 유래의 이중 결합이 수소 첨가되어 있는 공중합체인 (가) 성분 및 (나) 성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1-3] (가) 성분:
"(가) 성분"은 중합체 블록 A 및 중합체 블록 B를 포함하고, [A-B]n의 구조를 갖고, 그의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단위의 함유율이 5 질량% 이상, 30 질량% 미만의 범위 내인 공중합체 (I')의 공액 디엔 화합물 유래의 이중 결합이 수소 첨가되어 있는 공중합체 (I)이다(단, "A"는 중합체 블록 A, "B"는 중합체 블록 B, "n"은 1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냄).
"n"이 1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내는 점에서, "[A-B]n의 구조를 갖는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A-B], [A-B-A-B], [A-B-A-B-A-B]의 구조를 갖는 블록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들 블록 공중합체에서는, 예를 들면 [A1-B1-A2-B2]와 같이 각각이 상이한 중합체 블록일 수도 있고, 동일한 중합체 블록일 수도 있다. 또한, 이들 블록 공중합체는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단위 또는 공액 디엔 화합물 단위의 함유율이 블록 중에서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테이퍼형 또는 랜덤형일 수도 있다.
[A-B]n의 구조에서, 말단의 중합체 블록 B는 공중합체 전체의 2 질량%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체 블록 B의 효과를 확실하게 발휘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말단이 [-B-A]의 구조를 갖고 있더라도 말단의 중합체 블록 A의 함유율이 공중합체 전체의 2 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말단이 중합체 블록 B인 것과 동일한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구조는 실질적으로 말단이 중합체 블록 B라고 볼 수 있다.
"n"은 1 내지 3의 정수인 것이 요구된다. n을 이 범위 내로 함으로써, 공업적인 생산성이 양호해진다. 한편, n을 4 이상으로 하면, 공업적인 생산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접착력 및 재료 강도를 향상시킨다는 측면에서, n이 1 내지 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즉, "[A-B]n의 구조를 갖는 중합체"로서는 [A-B]의 구조를 갖는 블록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공중합체 (I')는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단위의 함유율이 5 질량% 이상, 30 질량% 미만의 범위 내인 것이 요구된다.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단위의 함유율을 5 질량% 이상, 30 질량% 미만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적절한 유지력과 피착체 표면의 요철 가공면으로의 추종성을 겸비한 점착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피착체 표면의 요철 가공면으로의 추종성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단위의 함유율을 5 질량% 이상, 25 질량% 미만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20 질량%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7 내지 20 질량%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가) 성분의 분자량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중량 평균 분자량이 3만 내지 50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8만 내지 30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0만 내지 20만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을 3만 내지 50만의 범위로 함으로써, (가) 성분, 나아가서는 (가) 성분과 (나) 성분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조성물의 공업적인 생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3만 미만이면, 중합체를 탈용매, 건조시키는 공정에서 제조 설비 등에 중합체가 부착되어 (가) 성분 등의 공업적 생산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만 이상이면, 용제로의 용해성이나 열 용융성이 나빠져 점착체로의 가공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말하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1-4] (나) 성분:
"(나) 성분"은 중합체 블록 A 및 중합체 블록 B를 포함하고, 2개 이상의 말단이 중합체 블록 A이고, 중간 부분에 1개 이상의 중합체 블록 B를 포함하고, 그의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단위의 함유율이 5 질량% 이상, 30 질량% 미만의 범위 내인 공중합체 (II')의 공액 디엔 화합물 유래의 이중 결합이 수소 첨가되어 있는 공중합체 (II)이다.
"2개 이상의 말단이 중합체 블록 A이고, 중간 부분에 1개 이상의 중합체 블록 B를 포함하는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A1-B-A2], [A1-B1-B2-A2], [A1-B-A2-A3], [A1-B1-B2-B1-A2] 등의 구조를 갖는 블록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단, "A1", "A2", "A3"은 중합체 블록 A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중합체 블록, "B1", "B2"는 중합체 블록 B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중합체 블록을 나타냄). 이들 블록 공중합체에서는, 예를 들면 A1, A2, A3 내지 B1, B2는 각각이 상이한 중합체 블록일 수도 있고, 동일한 중합체 블록일 수도 있다. 또한, 이들 블록 공중합체는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단위 또는 공액 디엔 화합물 단위의 함유율이 블록 내에서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테이퍼형 또는 랜덤형일 수 있다.
또한, 말단의 중합체 블록 A는 공중합체 전체의 2 질량%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체 블록 A의 효과를 확실하게 발휘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말단이 [-A-B]의 구조를 갖고 있더라도, 말단의 중합체 블록 B의 함유율이 공중합체 전체의 2 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말단이 중합체 블록 A인 것과 동일한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구조는 실질적으로 말단이 중합체 블록 A라고 볼 수 있다.
"2개 이상의 말단이 중합체 블록 A이고, 중간 부분에 1개 이상의 중합체 블록 B를 포함하는 중합체"로서는, {[A-B]x-Y}의 구조를 갖는 중합체도 바람직하다(단, "A"는 중합체 블록 A, "B"는 중합체 블록 B, "x"는 2 이상의 정수, "Y"는 커플링제 잔기를 나타내고, 또한 "A" 및 "B"는 각각이 상이한 중합체 블록일 수도 있고, 동일한 중합체 블록일 수도 있음).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중합체는, 예를 들면 [A-B-A] 구조의 "B"의 부분이 [B-Y-B]의 구조를 갖고 있고, [A-B]의 구조를 갖는 중합체를 커플링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가) 성분과 (나) 성분을 1 포트로 합성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커플링 방법 등의 상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제조 방법의 항목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x"는 2 이상의 정수인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커플링제의 종류에 따라는 2 분자의 커플링체뿐만 아니라, 3 분자 이상의 커플링체(이른바 별형 중합체)도 포함된다. 단, 지나치게 다수의 중합체를 커플링시켜서 (나) 성분을 제조하는 것은 부반응을 수반하게 되어 중합체의 물성을 제어하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x"를 2 내지 4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중합체 (II')도 공중합체 (I')와 동일한 이유에서,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단위의 함유율이 5 질량% 이상, 30 질량% 미만의 범위 내인 것이 필요하고, 5 질량% 이상, 25 질량% 미만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 내지 20 질량%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나) 성분의 분자량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중량 평균 분자량이 5만 내지 50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5만 내지 30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을 5만 내지 50만의 범위로 함으로써, (나) 성분, 나아가서는 (가) 성분과 (나) 성분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조성물의 공업적인 생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3만 미만이면, 중합체를 탈용매, 건조시키는 공정에서 제조 설비 등에 중합체가 부착되어 (나) 성분 등의 공업적 생산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만 이상이면, 용제로의 용해성이나 열 용융성이 나빠져 점착체로의 가공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1-5] 공중합체 조성물: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가) 성분과 (나) 성분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조성물을 구성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이다. 이 공중합체 조성물에서, (가) 성분과 (나) 성분의 질량비는 90:10 내지 10:90의 범위 내인 것이 요구된다. (가) 성분과 (나) 성분의 총량 100 질량부 중 (가) 성분을 10 질량부 이상 포함시킴으로써, 피착체의 표면으로부터 점착층이 들떠 필름이 박리되는 문제점(들뜸)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는 바람직한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한편, (가) 성분과 (나) 성분의 총량 100 질량부 중 (나) 성분을 10 질량부 이상 포함시킴으로써, 피착체의 표면으로부터 필름을 박리시킬 때에 피착체의 표면에 점착제가 잔존하여 피착체의 표면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점착제 잔류)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는 바람직한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점착층의 들뜸이나 점착제 잔류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한다는 측면에서, (가) 성분과 (나) 성분의 질량비는 50:50 내지 20:8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공중합체 조성물은 상기 공중합체 (I')와 상기 공중합체 (II')에 포함되는 중합체 블록 A의 총량과 중합체 블록 B의 총량의 질량비가 5:95 내지 29:71의 범위 내인 것이 요구된다. 중합체 블록 A와 중합체 블록 B의 총량 100 질량부 중 중합체 블록 A를 5 질량부 이상 포함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점착층에 적절한 유지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중합체 블록 A와 중합체 블록 B의 총량 100 질량부 중 중합체 블록 B를 71 질량부 이상 포함시킴으로써, 피착체 표면에 요철 가공면이 존재하는 경우라도, 형성되는 점착층이 요철 가공면에 대하여 양호한 추종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피착체 표면을 확실하게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피착체 표면의 요철 가공면으로의 추종성, 점착성 및 성형 가공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중합체 블록 A의 총량과 중합체 블록 B의 총량의 질량비는 5:95 내지 25:75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5:95 내지 20:80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95 내지 15:85의 범위 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공중합체 (I') 및 상기 공중합체 (II')에 포함되는 공액 디엔 화합물 유래의 이중 결합 중 80% 이상이 수소 첨가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공중합체 (I') 및 상기 공중합체 (II') 전체의 수소 첨가율이 80 내지 100%의 범위 내로 요구되고, 90 내지 10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며, 95 내지 100%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수소 첨가율은 80% 이상, 특히 95% 이상으로 함으로써, 내열성이 우수한 점착제 조성물을 구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수소 첨가율"이라 할 때에는, 사염화탄소를 용매로서 이용하여 270 MHz, 1H-NMR 스펙트럼으로부터 산출한 수소 첨가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공중합체 조성물의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단위의 함유율은 5 질량% 이상, 25 질량% 미만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20 질량%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7 내지 20 질량%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단위의 함유율을 5 질량% 이상, 25 질량% 미만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적절한 유지력과 피착체 표면의 요철 가공면으로의 추종성을 겸비한 점착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피착체 표면의 요철 가공면으로의 추종성도 양호해진다.
공중합체 조성물의 분자량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중량 평균 분자량이 3만 내지 50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8만 내지 30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만 내지 20만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을 3만 내지 50만의 범위로 함으로써, 공중합체 조성물의 공업적인 생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3분 미만이면, 중합체를 탈용매, 건조시키는 공정에서 제조 설비 등에 중합체가 부착되어 공중합체 조성물의 공업적 생산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만 이상이면, 용제로의 용해성이나 열 용융성이 나빠져 점착체로의 가공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 공중합체 조성물은 230℃, 21.2N의 하중으로 측정한 MFR(이하, "MFR230℃, 21.2N"이라 기재함)의 값이 1 내지 100 g/10분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MFR230℃, 21.2N의 값을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점착제 조성물의 압출 성형성, 나아가서는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압출 성형성을 더욱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는, MFR230℃, 21.2N의 값을 1 내지 50 g/10분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MFR230℃, 21.2N의 값을 1 내지 100 g/10분의 범위 내로 하기 위해서는, 중량 평균 분자량, (가) 성분과 (나) 성분의 질량비,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단위의 함유량, (가) 성분이나 (나) 성분에 포함되는 중합체 블록 B의 공액 디엔 화합물 단위의 비닐 함량 및 수소 첨가율 등의 조건을 적절히 제어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MFR230℃, 21.2N"이라 할 때에는 JIS K7210에 기재된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한 MFR의 값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 공중합체 조성물은 tanδ(80℃)의 값이 0.10 이상인 것이 필요하다. tanδ(80℃)의 값을 0.10 이상으로 함으로써, 점착층의 들뜸과 같은 문제점을 개선시킬 수 있다. 내열성과의 균형을 고려하면, tanδ(80℃)의 값이 0.10 내지 0.5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0.10 내지 0.20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tanδ(80℃)의 값을 0.10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단위의 함유량, (가) 성분이나 (나) 성분에 포함되는 중합체 블록 B의 공액 디엔 화합물 단위의 비닐 함량 및 수소 첨가율 등의 조건을 적절히 제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 공중합체 조성물은 tanδ(20℃)의 값이 0.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tanδ(20℃)의 값을 0.15 이하로 함으로써, 고속 박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tanδ(20℃)의 값을 0.15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가) 성분이나 (나) 성분에 포함되는 중합체 블록 B의 공액 디엔 화합물 단위의 비닐 함량 및 수소 첨가율 등의 조건을 적절히 제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 공중합체 조성물은 G'(20℃)의 값이 1.8×106 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G'(20℃)의 값을 1.8×106 Pa 이하로 함으로써, 적절한 접착력을 얻을 수 있다. 단, 생산성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G'(20℃)의 값이 1.0×105 내지 1.5×106 Pa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G'(20℃)의 값을 1.8×106 Pa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단위의 함유량, (가) 성분이나 (나) 성분에 포함되는 중합체 블록 B의 공액 디엔 화합물 단위의 비닐 함량 및 수소 첨가율 등의 조건을 적절히 제어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tanδ(80℃)", "tanδ(20℃)", "G'(20℃)"이라 할 때에는, 상품명: ARES 측정기(티 에스 인스트루먼츠사 제조)를 이용하여 온도 분산 범위 -60 내지 100℃, 승온 속도 5℃/분, 변형 0.14%, 주파수 10 Hz의 조건하에서 측정한 동적 점탄성의 값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1-6] (다) 성분: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다) 성분: 점착 부여제를 구성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수 성분인 (가) 성분 및 (나) 성분에 더하여 추가로 (다) 성분을 함유시킴으로써, 점착제 조성물의 초기 점착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점착 부여제로서는, 예를 들면 지방족계 공중합체, 방향족계 공중합체, 지방족·방향족계 공중합체계나 지환식계 공중합체 등의 석유계 수지, 쿠마론-인덴계 수지, 테르펜계 수지, 테르펜페놀계 수지, 중합 로진 등의 로진계 수지, (알킬)페놀계 수지, 크실렌계 수지 또는 이들의 수소 첨가물 등, 일반적으로 점착제에 사용되는 것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점착 부여제는 1종만을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다) 성분의 양으로서는, 점착제 조성물 중에서, (가) 성분과 (나) 성분의 총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2 내지 50 질량부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40 질량부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 내지 30 질량부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다) 성분의 함유량을 2 질량부 이상으로 함으로써, 들뜸을 방지한다는 바람직한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한편, 50 질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점착제 잔류를 방지한다는 바람직한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1-7] 그 밖의 첨가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는, (가) 성분, (나) 성분, (다) 성분 외에도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착색제, 광 안정제, 열 중합 금지제, 소포제, 레벨링제, 대전 방지제, 계면활성제, 보존 안정제, 충전재 등, 점착제 조성물에 배합될 수 있는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2]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방법(블렌드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단, 이하의 문장 중 "A", "B"는 각각 하기 중합체 블록 A, 하기 중합체 블록 B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블렌드법은 (가) 성분, (나) 성분 각각을 최적의 구조로 합성하는 것이 가능한 점에서 바람직한 제조 방법이다.
(1) [A-B]의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 (I'-1)을 블록 중합에 의해 합성하고, 이와는 별도로 [A-B-A]의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 (II'-1)을 블록 중합에 의해 합성하고, 이들을 소정의 질량비로 블렌드한 후에 수소 첨가를 행하여, 공중합체 (I'-1) 및 공중합체 (II'-1)에 포함되는 공액 디엔 화합물 유래의 이중 결합이 수소 첨가되어 있는 공중합체 조성물을 얻고, 원한다면 다른 성분을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얻는다.
(2) [A-B]의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 (I'-1)을 블록 중합에 의해 합성한 후, 수소 첨가를 행하여, 공중합체 (I'-1)에 포함되는 공액 디엔 화합물 유래의 이중 결합이 수소 첨가된 공중합체 (I-1)을 얻고, 이와는 별도로 [A-B-A]의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 (II'-1)을 블록 중합에 의해 합성한 후에 수소 첨가를 행하여, 공중합체 (II'-1)에 포함되는 공액 디엔 화합물 유래의 이중 결합이 수소 첨가된 공중합체 (II-1)을 얻고, 이들을 소정의 질량비로 블렌드함으로써, (가) 성분과 (나) 성분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조성물을 얻고, 원한다면 다른 성분을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얻는다.
수소 첨가 촉매로서는, 원소 주기표 Ib, IVb, Vb, VIb, VIIb, VIII족 금속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Ti, V, Co, Ni, Zr, Ru, Rh, Pd, Hf, Re, Pt 원자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들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Ti, Zr, Hf, Co, Ni, Rh, Ru 등의 메탈로센계 화합물, Pd, Ni, Pt, Rh, Ru 등의 금속을 카본, 실리카, 알루미나, 규조토, 염기성 활성탄 등의 담체에 담지시킨 담지형 불균일계 촉매를 들 수 있다.
또한, 메탈로센계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시클로펜타디에닐환(Cp환) 또는 Cp환 상의 수소를 알킬기로 치환한 배위자를 2개 갖는 카민스키(Kaminsky) 촉매, 안사(ansa)형 메탈로센 촉매, 비가교 하프 메탈로센 촉매, 가교 하프 메탈로센 촉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Ni, Co 등의 금속 원소의 유기염 또는 아세틸아세톤염과, 유기 알루미늄 등의 환원제를 조합한 균일계 지글러형 촉매, Ru, Rh 등의 유기 금속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소 첨가 촉매 중에서는 Ti, Zr, Hf, Ni, Co, Ru, Rh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메탈로센계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Ti, Zr, Hf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메탈로센계 화합물이 더욱 바람직하고, 티타노센 화합물과 알콕시리튬을 반응시킨 촉매는 저렴하고 공업적으로 특히 유용한 촉매여서 특히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1-27560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5-27132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5-27132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5-22211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1-29292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763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59-13320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63-540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62-21840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7-9001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고 (소)43-1996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고 (소)47-40473호 공보에 기재된 촉매를 들 수 있다. 이들 각종 촉매는 1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단,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방법(커플링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플링법은 (가) 성분과 (나) 성분을 1 포트로 합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간소하고, 제조 비용이 저렴하며, 커플링제의 종류나 양에 의해 (가) 성분과 (나) 성분의 비율을 제어할 수 있는 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커플링법은 제1 공정: [A-B]의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 (I'-1)을 블록 중합에 의해 합성하는 공정과, 제2 공정: 상기 [A-B]의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 (I'-1)의 일부를 커플링제 Y-Zx(단, "Y"는 커플링제 잔기, "Z"는 이탈기, "X"는 2 이상의 정수를 나타냄)에 의해 커플링시켜 {[A-B]x-Y}의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 (II'-1)을 합성하는 공정과, 제3 공정: 상기 [A-B]의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 (I'-1) 및 상기 {[A-B]x-Y}의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 (II'-1)에 수소 첨가함으로써, 상기 공중합체 (I'-1) 및 상기 공중합체 (II'-1)에 포함되는 공액 디엔 화합물 유래의 이중 결합 중 80% 이상이 수소 첨가되어 있는 공중합체 조성물을 얻는 공정을 구비한다.
"커플링제"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디클로로실란, 디메틸디클로로실란, 메틸트리클로로실란, 부틸트리클로로실란, 테트라클로로실란, 디브로모에탄, 테트라클로로주석, 부틸트리클로로주석, 테트라클로로게르마늄, 비스(트리클로로실릴)에탄 등의 할로겐 화합물; 에폭시화 대두유 등의 에폭시 화합물; 아디프산디에틸, 아디프산디메틸, 디메틸테레프탈산, 디에틸테레프탈산 등의 카르보닐 화합물, 디비닐벤젠 등의 폴리비닐 화합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공업적으로 입수하고 쉽고, 반응성도 높다는 이유에서, 메틸디클로로실란, 디메틸디클로로실란, 메틸트리클로로실란, 테트라클로로실란이 바람직하다.
[3] 점착체:
본 발명의 점착체는 기재와, 기재의 표면에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한 점착체로서, 그 점착층이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기재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 유리 등의 무기 재료;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의 합성 수지 재료; 기타 셀룰로오스계 재료 등의 재료를 포함하는 기재를 들 수 있다. 이들 기재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의 기재를 적층한 적층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기재 중에서도 생산성, 취급성, 비용적인 측면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점착층과 기재를 롤형 등과 같이 변형시켜 취급하는 경우에는, 1.0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0 ㎛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하한은 실용적으로 20 ㎛ 정도라고 생각된다.
상기 점착체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성막된 합성 수지제 기재의 표면에 점착제를 적층하여 기재와 점착층을 적층 일체화하는 방법, 또는 점착층을 구성하는 점착제 조성물과 합성 수지제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을 공압출함으로써, 기재와 점착층을 적층 일체화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를 합성 수지제 기재에 적층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점착제 용액을 도공하는 용액 도공법, 드라이 라미네이션법, T 다이를 이용한 압출 코팅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재층과 점착제층 사이의 접합 강도를 높이기 위해, 합성 수지제 기재에 미리 프라이머 도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합성 수지제 기재와 점착제를 공압출에 의해 적층 일체화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인플레이션법이나 T 다이법 등, 종래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방법 중에서도 고품질의 점착체를 경제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T 다이법에 의한 공압출법이 가장 바람직하다.
점착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3 내지 50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3 ㎛ 미만이면, 점착력이 부족한 경우가 있고, 50 ㎛를 초과하면, 비용이 비싸질 우려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체에 대하여 실시예를 이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데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실시예, 비교예 중의 부 및 %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질량 기준이다.
〔1〕 (가) 성분, (나) 성분의 합성 및 공중합체 조성물의 평가:
본 발명의 점착체를 설명하기에 앞서 그의 원료가 되는 (가) 성분, (나) 성분을 합성하였다. 그의 합성 방법을 나타낸다. 또한, (가) 성분, (나) 성분 내지 공중합체 조성물의 물성치에 대해서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고, 평가하였다.
(1) (가) 성분과 (나) 성분의 분자량 및 질량비((가)/(나) 질량비):
커플링법에 의해 (가) 성분과 (나) 성분을 1 포트로 제조하여 공중합체 조성물을 얻은 경우에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 상품명: HLC-8120GPC, 도소 파인켐사 제조)를 이용하여 측정을 행하여 폴리스티렌 환산의 분자량을 구하였다. 또한, 그 측정으로 얻어진 파형을 파형 분리함으로써, (가)/(나) 질량비를 산출하였다. 또한, 블렌드법에 의해 (가) 성분과 (나) 성분의 혼합물을 제조한 경우에는 그의 블렌드비로부터 (가)/(나) 질량비를 산출하였다.
(2) 중합체 블록 A와 중합체 블록 B의 질량비(A/B비):
(가) 성분 및 (나) 성분을 구성하는 공중합체를 제조할 때의 원료의 투입량으로부터 중합체 블록 A와 중합체 블록 B의 질량비를 산출하였다.
(3) 1,2-비닐 결합 및 3,4-비닐 결합의 함유율(비닐 함량):
적외 흡수 스펙트럼법을 이용하여 모렐로(Morello)법에 의해 산출하였다.
(4) 공액 디엔 화합물 단위의 수소 첨가율(수소 첨가율):
사염화탄소를 용매로서 이용하여 270 MHz, 1H-NMR 스펙트럼으로부터 산출하였다.
(5) MFR230℃, 21.2N(용융 유속):
JIS K7210에 기재된 방법에 준거하여 230℃, 21.2N 하중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6) tanδ(80℃), tanδ(20℃), G'(20℃):
상품명: ARES 측정기(티 에이 인스트루먼츠사 제조)를 이용하여 온도 분산 범위 -60 내지 100℃, 승온 속도 5℃/분, 변형 0.14%, 주파수 10 Hz의 조건하에서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질소 치환된 반응 용기에, 탈기·탈수된 시클로헥산 500 질량부, 스티렌 10 질량부 및 테트라히드로푸란 5 질량부를 투입하고, 중합 개시 온도 40℃에서 n-부틸리튬 0.13 질량부를 첨가하여 승온 중합을 행하였다. 중합 전환율이 대략 100% 에 도달한 후, 반응액을 15℃로 냉각하고, 이어서 1,3-부타디엔 90 질량부를 가하고, 추가로 승온 중합을 행하였다.
중합 전환율이 대략 100%에 도달한 후, 커플링제로서 메틸디클로로실란 0.07 질량부를 가하여 커플링 반응을 행하였다. 커플링 반응이 완결된 후, 수소 가스를 0.4 MPa-게이지의 압력으로 공급하면서 10분간 방치하였다. 일부 취출한 중합체를 GPC 분석한 바, 중량 평균 분자량은 약 17만이었다.
그 후, 반응 용기 내에, 디에틸알루미늄클로라이드 0.03 질량부 및 비스(시클로펜타디에닐)티타늄푸르푸릴옥시클로라이드 0.06 질량부를 가하고, 교반하였다. 수소 가스 공급압 0.7 MPa-게이지, 반응 온도 80℃에서 수소 첨가 반응을 개시하고, 수소의 흡수가 종료된 시점에 반응 용액을 상온, 상압으로 되돌리고, 반응 용기로부터 추출함으로써, (가) 성분과 (나) 성분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조성물을 얻었다. 이 공중합체 조성물의 물성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78236558-PCT00001
(실시예 2)
질소 치환된 반응 용기에, 탈기·탈수된 시클로헥산 500 질량부, 스티렌 15 질량부 및 테트라히드로푸란 5 질량부를 투입하고, 중합 개시 온도 40℃에서 n-부틸리튬 0.10 질량부를 첨가하여 승온 중합을 행하였다. 중합 전환율이 대략 100%에 도달한 후, 반응액을 25℃로 냉각하고, 이어서 1,3-부타디엔 85 질량부를 가하고, 추가로 승온 중합을 행하였다.
중합 전환율이 대략 100%에 도달한 후, 수소 가스를 0.4 MPa-게이지의 압력으로 공급하면서 10분간 방치하였다. 일부 취출한 중합체를 GPC 분석한 바, 중량 평균 분자량은 약 13만이었다. 그 후, 반응 용기 내에 테트라클로로실란 0.04 질량부를 가하고, 교반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수소 첨가 반응을 행하고, 수소의 흡수가 종료된 시점에 반응 용액을 상온, 상압으로 되돌리고, 반응 용기로부터 추출함으로써, [A-B]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의 공액 디엔 화합물 유래의 이중 결합이 수소 첨가되어 있는 공중합체를 얻었다((가) 성분). 이 공중합체의 물성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이와는 별도로, 질소 치환된 반응 용기에, 탈기·탈수된 시클로헥산 500 질량부, 스티렌 7.5 질량부 및 테트라히드로푸란 5 질량부를 투입하고, 중합 개시 온도 40℃에서 n-부틸리튬 0.10 질량부를 첨가하여 승온 중합을 행하였다. 중합 전환율이 대략 100%에 도달한 후, 반응액을 15℃로 냉각하고, 이어서 1,3-부타디엔 85 질량부를 가하고, 추가로 승온 중합을 행하였다.
중합 전환율이 대략 100%에 도달한 후, 스티렌 7.5 질량부를 가하고, 추가로 중합을 행하였다. 중합 전환율이 대략 100%에 도달한 후, 수소 가스를 0.4 MPa-게이지의 압력으로 공급하면서 10분간 방치하였다. 일부 취출한 중합체를 GPC 분석한 바, 중량 평균 분자량은 약 13만이었다. 그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수소 첨가 반응을 행하고, 수소의 흡수가 종료된 시점에 반응 용액을 상온, 상압으로 되돌리고, 반응 용기로부터 추출함으로써, [A-B-A]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의 공액 디엔 화합물 유래의 이중 결합이 수소 첨가되어 있는 공중합체를 얻었다((나) 성분). 이 공중합체의 물성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2종의 중합체는 40/60의 질량비가 되도록 중합체 용액끼리 블렌드한 후, 수중에 교반 투입하여 스팀 스트리핑에 의해 용매를 제거하고, 건조함으로써, (가) 성분과 (나) 성분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조성물을 얻었다. 이 공중합체 조성물의 물성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질소 치환된 반응 용기에, 탈기·탈수된 시클로헥산 500 질량부, 스티렌 10 질량부 및 테트라히드로푸란 5 질량부를 투입하고, 중합 개시 온도 40℃에서 n-부틸리튬 0.12 질량부를 첨가하여 승온 중합을 행하였다. 중합 전환율이 대략 100%에 도달한 후, 반응액을 15℃로 냉각하고, 이어서 1,3-부타디엔 90 질량부를 가하고, 추가로 승온 중합을 행하였다.
중합 전환율이 대략 100%에 도달한 후, 커플링제로서 메틸디클로로실란 0.10 질량부를 가하고, 커플링 반응을 행하였다.
커플링 반응이 완결된 후, 수소 가스를 0.4 MPa-게이지의 압력으로 공급하면서 10분간 방치하였다. 일부 취출한 중합체를 GPC 분석한 바, 중량 평균 분자량은 약 18만이었다. 그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수소 첨가 반응을 행하고, 수소의 흡수가 종료된 시점에 반응 용액을 상온, 상압으로 되돌리고, 반응 용기로부터 추출함으로써, (가) 성분과 (나) 성분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조성물을 얻었다. 이 공중합체 조성물의 물성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질소 치환된 반응 용기에, 탈기·탈수된 시클로헥산 500 질량부, 스티렌 20 질량부 및 테트라히드로푸란 5 질량부를 투입하고, 중합 개시 온도 40℃에서 n-부틸리튬 0.19 질량부를 첨가하여 승온 중합을 행하였다. 중합 전환율이 대략 100%에 도달한 후, 반응액을 15℃로 냉각하고, 이어서 1,3-부타디엔 80 질량부를 가하고, 추가로 승온 중합을 행하였다.
중합 전환율이 대략 100%에 도달한 후, 커플링제로서 디메틸디클로로실란 0.13 질량부를 가하고, 커플링 반응을 행하였다.
커플링 반응이 완결된 후, 수소 가스를 0.4 MPa-게이지의 압력으로 공급하면서 10분간 방치하였다. 일부 취출한 중합체를 GPC 분석한 바, 중량 평균 분자량은 약 10만이었다. 그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수소 첨가 반응을 행하고, 수소의 흡수가 종료된 시점에 반응 용액을 상온, 상압으로 되돌리고, 반응 용기로부터 추출함으로써, (가) 성분과 (나) 성분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조성물을 얻었다. 이 공중합체 조성물의 물성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질소 치환된 반응 용기에, 탈기·탈수된 시클로헥산 500 질량부, 스티렌 7.5 질량부 및 테트라히드로푸란 5 질량부를 투입하고, 중합 개시 온도 40℃에서 n-부틸리튬 0.10 질량부를 첨가하여 승온 중합을 행하였다. 중합 전환율이 대략 100%에 도달한 후, 반응액을 15℃로 냉각하고, 이어서 1,3-부타디엔 85 질량부를 가하고, 추가로 승온 중합을 행하였다.
중합 전환율이 대략 100%에 도달한 후, 반응액을 80℃로 하고, 이어서 스티렌 7.5 질량부를 가하고, 추가로 승온 중합을 행하였다. 중합 전환율이 대략 100%에 도달한 후, 수소 가스를 0.4 MPa-게이지의 압력으로 공급하면서 10분간 방치하였다. 일부 취출한 중합체를 GPC 분석한 바, 중량 평균 분자량은 약 13만이었다. 그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수소 첨가 반응을 행하고, 수소의 흡수가 종료된 시점에 반응 용액을 상온, 상압으로 되돌리고, 반응 용기로부터 추출함으로써, [A-B-A]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의 공액 디엔 화합물 유래의 이중 결합이 수소 첨가되어 있는 공중합체를 얻었다((나) 성분). 이 공중합체의 물성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질소 치환된 반응 용기에, 탈기·탈수된 시클로헥산 500 질량부, 스티렌 10 질량부 및 테트라히드로푸란 2 질량부를 투입하고, 중합 개시 온도 40℃에서 n-부틸리튬 0.13 질량부를 첨가하여 등온 중합을 행하였다. 중합 전환율이 대략 100%에 도달한 후, 반응액을 25℃로 냉각하고, 이어서 1,3-부타디엔 80 질량부를 가하고, 추가로 승온 중합을 행하였다.
중합 전환율이 대략 100%에 도달한 후, 반응액을 80℃로 하고, 이어서 스티렌 10 질량부를 가하고, 추가로 승온 중합을 행하였다. 중합 전환율이 대략 100%에 도달한 후, 수소 가스를 0.4 MPa-게이지의 압력으로 공급하면서 10분간 방치하였다. 일부 취출한 중합체를 GPC 분석한 바, 중량 평균 분자량은 약 9만이었다. 그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수소 첨가 반응을 행하고, 수소의 흡수가 종료된 시점에 반응 용액을 상온, 상압으로 되돌리고, 반응 용기로부터 추출함으로써, [A-B-A]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의 공액 디엔 화합물 유래의 이중 결합이 수소 첨가되어 있는 공중합체를 얻었다((나) 성분). 이 공중합체의 물성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질소 치환된 반응 용기에, 탈기·탈수된 시클로헥산 500 질량부, 스티렌 5 질량부 및 테트라히드로푸란 2 질량부를 투입하고, 중합 개시 온도 40℃에서 n-부틸리튬 0.13 질량부를 첨가하여 등온 중합을 행하였다. 중합 전환율이 대략 100%에 도달한 후, 반응액을 25℃로 하고, 이어서 1,3-부타디엔 90 질량부를 가하고, 추가로 승온 중합을 행하였다.
중합 전환율이 대략 100%에 도달한 후, 반응액을 80℃로 하고, 이어서 스티렌 5 질량부를 가하고, 추가로 승온 중합을 행하였다. 중합 전환율이 대략 100%에 도달한 후, 수소 가스를 0.4 MPa-게이지의 압력으로 공급하면서 10분간 방치하였다. 일부 취출한 중합체를 GPC 분석한 바, 중량 평균 분자량은 약 10만이었다. 그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수소 첨가 반응을 행하고, 수소의 흡수가 종료된 시점에 반응 용액을 상온, 상압으로 되돌리고, 반응 용기로부터 추출함으로써, [A-B-A]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의 공액 디엔 화합물 유래의 이중 결합이 수소 첨가되어 있는 공중합체를 얻었다((나) 성분). 이 공중합체의 물성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질소 치환된 반응 용기에, 탈기·탈수된 시클로헥산 500 질량부, 스티렌 10 질량부 및 테트라히드로푸란 5 질량부를 투입하고, 중합 개시 온도 40℃에서 n-부틸리튬 0.10 질량부를 첨가하여 승온 중합을 행하였다. 중합 전환율이 대략 100%에 도달한 후, 반응액을 25℃로 냉각하고, 이어서 1,3-부타디엔 90 질량부를 가하고, 추가로 승온 중합을 행하였다.
중합 전환율이 대략 100%에 도달한 후, 수소 가스를 0.4 MPa-게이지의 압력으로 공급하면서 10분간 방치하였다. 일부 취출한 중합체를 GPC 분석한 바, 중량 평균 분자량은 약 13만이었다. 그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수소 첨가 반응을 행하고, 수소의 흡수가 종료된 시점에 반응 용액을 상온, 상압으로 되돌리고, 반응 용기로부터 추출함으로써, [A-B]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의 공액 디엔 화합물 유래의 이중 결합이 수소 첨가되어 있는 공중합체를 얻었다((가) 성분). 이 공중합체의 물성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
질소 치환된 반응 용기에, 탈기·탈수된 시클로헥산 500 질량부, 스티렌 12 질량부 및 테트라히드로푸란 2 질량부를 투입하고, 중합 개시 온도 40℃에서 n-부틸리튬 0.18 질량부를 첨가하여 등온 중합을 행하였다. 중합 전환율이 대략 100%에 도달한 후, 반응액을 25℃로 냉각하고, 이어서 1,3-부타디엔 88 질량부를 가하고, 추가로 승온 중합을 행하였다.
중합 전환율이 대략 100%에 도달한 후, 커플링제로서 디메틸디클로로실란 0.11 질량부를 가하여 커플링 반응을 행하였다.
커플링 반응이 완결된 후, 수소 가스를 0.4 MPa-게이지의 압력으로 공급하면서 10분간 방치하였다. 일부 취출한 중합체를 GPC 분석한 바, 중량 평균 분자량은 약 11만이었다. 그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수소 첨가 반응을 행하고, 수소의 흡수가 종료된 시점에 반응 용액을 상온, 상압으로 되돌리고, 반응 용기로부터 추출함으로써, (가) 및 (나) 성분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조성물을 얻었다. 이 공중합체 조성물의 물성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2〕 점착체의 물성 평가:
(실시예 5 내지 8, 비교예 6 내지 10)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5의 공중합체 내지 공중합체 조성물을 이용하여, 그의 공중합체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점착 부여제(지환족 포화 탄화수소계 수지, 상품명: 아르콘 P125, 아라카와 가가꾸 고교사 제조) 5 질량부, 산화 방지제(상품명: 이르가녹스 1010,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 제조) 1 질량부, 자외선 흡수제(상품명: 티누빈 326,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 제조) 0.5 질량부에 톨루엔을 가하여 톨루엔 용액으로 만들었다. 그 후, 미리 표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한 기재(두께 25 ㎛의 PET 필름)를 준비하고, 그 기재의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한 표면에 상기 톨루엔 용액을 도공하고, 건조하여 두께 10 ㎛의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기재의 표면에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체(표면 보호 필름)를 얻었다. 이 점착체에 대해서는 롤형의 권회체로 하여 그의 물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이들 물성치에 대해서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고,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78236558-PCT00002
(1) 접착력:
JIS ZO237에 기재된 방법에 준거하여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이 때, 인장 속도를 300 mm/분(저속)으로 했을 경우의 접착력(저속 박리성)과, 인장 속도를 30 m/분(고속)으로 했을 경우의 접착력(고속 박리성)을 측정하였다. 저속 박리성에 대해서는, 저속시의 접착력이 2 내지 10 N/25 mm인 경우, "○(양호)", 2 N/25 mm 미만인 경우에는 접착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10 N/25 mm 초과인 경우에는 반대로 접착력이 너무 강하기 때문에 모두 "×(불량)"으로서 평가하였다. 고속 박리성에 대해서는, 고속시의 접착력이 2 내지 10 N/25 mm인 경우, "○(양호)", 2 N/25 mm 미만인 경우 및 10 N/25 mm 초과인 경우, "×(불량)"으로서 평가하였다.
(2) 유지력:
우선, JIS Z0237에 규정하는 SUS304 강판에, 25 mm 폭으로 재단한 시험편을 실온에서 무게 2 kg의 롤러로 매분 300 mm의 속도로 1왕복 압착하여 접합시키고, 이것을 23℃에서 30분의 조건으로 방치하였다. 이어서, 시험편의 길이 방향의 한쪽 단부를 약간 박리하여 그립부를 형성함과 함께, 박리 경계부에 표선을 넣고, 접합면을 세로 방향으로 하여 시험판을 수평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40℃의 분위기하에 30분간 방치하였다. 그 후, 시험편의 그립부 부분에 30 g의 방추를 부착하고, 수직 하강시켜서 시험을 개시하고, 30분 경과 후의 박리 길이를 측정하였다. 이 박리 길이를 저하중일 때의 유지력(저하중 유지력)으로 하였다. 마찬가지로 하여 60 g의 방추를 부착하고, 수직 하강시켜 시험을 개시하고, 30분 경과 후의 박리 길이를 측정하였다. 이 박리 길이를 고하중일 때의 유지력(고하중 유지력)으로 하였다.
저하중 유지력에 대해서는, 저하중시의 박리 길이가 10 mm 이하인 경우, "○(양호)", 10 mm 초과인 경우, "×(불량)"로서 평가하였다. 고하중 유지력에 대해서는, 고하중시의 박리 길이가 20 mm 이하인 경우, "○(양호)", 20 mm 초과인 경우, "×(불량)"으로서 평가하였다.
(3) 들뜸: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을 피착체(두께 2 mm의 아크릴판, 상품명: 파라글라스 캐스트판, 쿠라레사 제조)에 점착하고, 40℃에서 1주일간 경시시킨 후의 모습을 관찰하였다. 피착체로부터 점착층이 박리된 개소가 없는 경우, "○(양호)", 피착체로부터 점착층이 박리된 개소가 1개소라도 있는 경우, "×(불량)"으로서 평가하였다.
(4) 점착제 잔류 :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을 피착체(상기 아크릴판)에 점착하고, 40℃에서 1 주일간 경시시켜 박리한 후의 모습을 관찰하였다. 표면 보호 필름을 피착체로부터 박리한 후에 피착체 표면에 아무것도 남지 않고 오염되지 않은 경우, "○(양호)", 표면 보호 필름을 피착체로부터 박리한 후에 피착체 표면에 점착층이 잔존하여 오염되어 있는 경우, "×(불량)"으로서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실시예 5 내지 8의 점착체(표면 보호 필름)는 접착력, 유지력 등의 통상의 점착 특성이 우수한 점에 더하여, 들뜸, 점착제 잔류 면에서도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에 반해, 비교예 5 내지 7, 9의 점착체(표면 보호 필름)는 피착체의 표면에 필름을 점착한 후 1주일이 경과하자 피착체의 표면으로부터 점착층이 들떠 필름이 박리되는 문제를 일으켰다. 또한, 비교예 8의 점착체(표면 보호 필름)는 피착체의 표면으로부터 필름을 박리시킬 때에 피착체의 표면에 점착제가 잔존하여 피착체의 표면을 오염시키는 문제를 일으켰다. 또한, 비교예 6의 점착체는 고하중 유지력이 불량으로 유지력이 너무 크다는 문제가 있고, 비교예 9의 점착체는 고속 박리성, 저속 박리성 모두 불량으로 접착력이 너무 강하다는(박리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체는 유지력이나 점착력 등의 점착 특성이 우수함은 물론이거니와, 들뜸이나 점착제 잔류와 같은 문제점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그의 표면을 보호할 필요가 있는 경면 마무리 부재나 광 투과성 부재 등의 표면 보호 필름의 점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 조성물로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9)

  1. (가) 성분: 하기 중합체 블록 A 및 하기 중합체 블록 B를 포함하고, [A-B]n의 구조를 갖고, 그의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단위의 함유율이 5 질량% 이상, 30 질량% 미만의 범위 내인 공중합체 (I')(단, "A"는 중합체 블록 A이고, "B"는 중합체 블록 B이고, "n"은 1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냄)의 공액 디엔 화합물 유래의 이중 결합이 수소 첨가되어 있는 공중합체 (I)과,
    (나) 성분: 하기 중합체 블록 A 및 하기 중합체 블록 B를 포함하고, 2개 이상의 말단이 하기 중합체 블록 A이고, 중간 부분에 1개 이상의 하기 중합체 블록 B를 포함하고, 그의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단위의 함유율이 5 질량% 이상, 30 질량% 미만의 범위 내인 공중합체 (II')의 공액 디엔 화합물 유래의 이중 결합이 수소 첨가되어 있는 공중합체 (II)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조성물을 구성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이며,
    상기 (가) 성분과 상기 (나) 성분의 질량비가 90:10 내지 10:90의 범위 내이고,
    상기 공중합체 (I') 및 상기 공중합체 (II')에 포함되는 하기 중합체 블록 A의 총량과 하기 중합체 블록 B의 총량의 질량비가 5:95 내지 29:71의 범위 내이고,
    상기 공중합체 (I') 및 상기 공중합체 (II')에 포함되는 공액 디엔 화합물 유래의 이중 결합 중 80% 이상이 수소 첨가되어 있는 점착제 조성물.
    [중합체 블록 A]: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단위의 함유율이 80 질량% 이상인 중합체 블록,
    [중합체 블록 B]: 공액 디엔 화합물 단위의 함유율이 50 질량% 이상이고, 공액 디엔 화합물 유래의 비닐 결합의 함유율이 50% 이상인 중합체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 (I') 및 상기 공중합체 (II')가, 그의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단위의 함유율이 5 질량% 이상, 25 질량% 미만의 범위 내인 공중합체인 점착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 (I')가 [A-B]의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이고,
    상기 공중합체 (II')가 [A-B-A]의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이고,
    상기 (가) 성분과 상기 (나) 성분의 질량비가 80:20 내지 20:80의 범위 내이되, 단 "A" 및 "B"는 각각이 상이한 중합체 블록일 수도 있고, 동일한 중합체 블록일 수도 있는 점착제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 (I')가 [A-B]의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이고,
    상기 공중합체 (II')가 {[A-B]x-Y}의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이고,
    상기 (가) 성분과 상기 (나) 성분의 질량비가 50:50 내지 20:80의 범위 내이되, 단 "x"는 2 이상의 정수이고, "Y"는 커플링제 잔기를 나타내고, "A" 및 "B"는 각각이 상이한 중합체 블록일 수도 있고, 동일한 중합체 블록일 수도 있는 점착제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블록 A가 상기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단위로서 스티렌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중합체 블록 B가 상기 공액 디엔 화합물 단위로서 1,3-부타디엔 단위 및 이소프렌 단위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것인 점착제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 성분 및 상기 (나) 성분에 더하여,
    (다) 성분: 점착 부여제를 구성성분으로서 더 함유하고,
    상기 (가) 성분 및 상기 (나) 성분의 총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다) 성분을 2 내지 50 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 조성물이 230℃, 21.2N의 하중으로 측정한 MFR의 값이 1 내지 100 g/10분의 범위 내이고, 점탄성 스펙트럼에서의 손실 정접 tanδ(20℃)의 값이 0.15 이하이고, tanδ(80℃)의 값이 0.10 이상이고, 저장 탄성률 G'(20℃)의 값이 1.8×106 Pa 이하인 점착제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며,
    제1 공정: [A-B]의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 (I'-1)을 블록 중합에 의해 합성하는 공정과,
    제2 공정: 상기 [A-B]의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 (I'-1)의 일부를 커플링제 Y-Zx(단, "Y"는 커플링제 잔기이고, "Z"는 이탈기이고, "X"는 2 이상의 정수를 나타냄)에 의해 커플링시켜 {[A-B]x-Y}의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 (II'-1)을 합성하는 공정과,
    제3 공정: 상기 [A-B]의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 (I'-1) 및 상기 {[A-B]x-Y}의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 (II'-1)에 수소 첨가함으로써, 상기 공중합체 (I'-1) 및 상기 공중합체 (II'-1)에 포함되는 공액 디엔 화합물 유래의 이중 결합 중 80% 이상이 수소 첨가되어 있는 공중합체 조성물을 얻는 공정
    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중합체 블록 A]: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단위의 함유율이 80 질량% 이상인 중합체 블록,
    [중합체 블록 B]: 공액 디엔 화합물 단위의 함유율이 50 질량% 이상이고, 공액 디엔 화합물 유래의 비닐 결합의 함유율이 50% 이상인 중합체.
  9. 기재와, 이 기재의 표면에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한 점착체이며, 상기 점착층이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인 점착체.
KR1020087027697A 2006-04-28 2007-04-27 점착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점착체 KR1012887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24646 2006-04-28
JP2006124646 2006-04-28
PCT/JP2007/059247 WO2007126081A1 (ja) 2006-04-28 2007-04-27 粘着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粘着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3442A true KR20080113442A (ko) 2008-12-30
KR101288750B1 KR101288750B1 (ko) 2013-07-23

Family

ID=38655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7697A KR101288750B1 (ko) 2006-04-28 2007-04-27 점착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점착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015442A1 (ko)
JP (1) JP4571689B2 (ko)
KR (1) KR101288750B1 (ko)
CN (1) CN101466810B (ko)
TW (1) TWI427131B (ko)
WO (1) WO2007126081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7110A (ko) * 2011-12-22 2014-09-04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
KR20150095654A (ko) * 2012-12-07 2015-08-21 크레이튼 폴리머즈 유.에스. 엘엘씨 도장 면의 보호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9525B1 (ko) * 2014-04-02 2018-07-18 크레이튼 폴리머즈 유.에스. 엘엘씨 공중합체 미르센 블록을 함유하는 블록 공중합체
US10323164B2 (en) 2014-05-19 2019-06-18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Hydrogenated block copolymer composition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4211A (ja) * 2007-03-30 2008-11-13 Jsr Corp 粘着剤組成物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8274212A (ja) * 2007-03-30 2008-11-13 Jsr Corp 粘着剤組成物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KR101179358B1 (ko) * 2008-04-14 2012-09-03 닛뽕 엘라스토마 가부시끼가이샤 점접착성 조성물
JP4620806B2 (ja) * 2008-09-11 2011-01-2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WO2011086983A1 (ja) * 2010-01-15 2013-05-20 Jsr株式会社 全固体型電池用バインダー組成物および全固体型電池電極用スラリー
JP5534878B2 (ja) * 2010-03-15 2014-07-0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EP2648253A4 (en) * 2010-11-29 2017-04-19 JSR Corporation Binder composition for batteries, slurry for battery electrodes,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electrodes, and all-solid-state batteries
JP2014169347A (ja) * 2011-07-07 2014-09-18 Sekisui Chem Co Ltd 粘着剤組成物及び表面保護用粘着シート
JP2013142138A (ja) * 2012-01-12 2013-07-22 Nitto Denko Corp 表面保護フィルム
JP6026255B2 (ja) * 2012-12-07 2016-11-16 クレイトン・ポリマーズ・ユー・エス・エル・エル・シー 塗装面の保護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の調製方法
KR101842818B1 (ko) 2014-01-23 2018-03-27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블록 공중합체 및 점접착제 조성물
US9458362B2 (en) 2014-04-02 2016-10-04 Kraton Polymers U.S. Llc Adhesive compositions containing a block copolymer with polymyrcene
JP6259074B2 (ja) 2014-04-08 2018-01-10 旭化成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US9556743B2 (en) * 2014-07-03 2017-01-31 Rolls-Royce Corporation Visual indicator of coating thickness
JP6808998B2 (ja) * 2016-06-24 2021-01-06 Jsr株式会社 粘着フィルム
FR3104487B1 (fr) * 2019-12-17 2021-11-05 Michelin & Cie Stratifie elastomeriqu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4489B2 (ja) * 1987-08-11 1994-10-26 三井石油化学工業株式会社 ホットメルト型接着剤組成物
US5286781A (en) * 1991-04-18 1994-02-15 Sekisui Chemical Co., Lt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ape or sheet making use of the same
JP3168632B2 (ja) * 1991-10-02 2001-05-21 旭化成株式会社 ホットメルト型粘着剤組成物
US5589542A (en) * 1993-11-03 1996-12-31 Shell Oil Company Multiblock hydrogenated polymers for adhesives
US5719226A (en) * 1995-09-15 1998-02-17 Shell Oil Company Low viscosity hot melt disposables adhesive composition
WO1999058604A1 (fr) * 1998-05-13 1999-11-18 Nippon Zeon Co., Ltd. Composition de copolymeres blocs de poly(vinyle aromatique)/polyisoprene leur procede de production et composition d'adhesif de contact
AU2002224054A1 (en) * 2000-11-20 2002-05-27 Kuraray Co. Ltd. Pressure-sensitive adhesive/adhesive and block copolymer suitable for use therein
DE60226659D1 (de) * 2001-03-26 2008-07-03 Jsr Corp Hydriertes modifiziertes Polymer,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dieses enthaltende Zusammensetzung
JP3988495B2 (ja) * 2001-03-26 2007-10-10 Jsr株式会社 水添変性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含む組成物
JP4745983B2 (ja) * 2003-12-22 2011-08-10 クレイトン・ポリマーズ・リサーチ・ベー・ベー ラジアル(s−i/b)xポリマーからの接着剤配合物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7110A (ko) * 2011-12-22 2014-09-04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
KR20150095654A (ko) * 2012-12-07 2015-08-21 크레이튼 폴리머즈 유.에스. 엘엘씨 도장 면의 보호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9525B1 (ko) * 2014-04-02 2018-07-18 크레이튼 폴리머즈 유.에스. 엘엘씨 공중합체 미르센 블록을 함유하는 블록 공중합체
US10323164B2 (en) 2014-05-19 2019-06-18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Hydrogenated block copolymer composition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66810B (zh) 2011-04-27
JP4571689B2 (ja) 2010-10-27
JPWO2007126081A1 (ja) 2009-09-10
WO2007126081A1 (ja) 2007-11-08
TW200804552A (en) 2008-01-16
US20100015442A1 (en) 2010-01-21
KR101288750B1 (ko) 2013-07-23
TWI427131B (zh) 2014-02-21
CN101466810A (zh) 200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8750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점착체
CN102149779B (zh) 表面保护膜
JP6094217B2 (ja) ブロック共重合体
CN106414643B (zh) 粘合剂组合物及其制造方法、粘合剂层及其制造方法
JP5879111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KR101429286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표면 보호 필름
KR102166386B1 (ko) 특히 스트립퍼블 접착 스트립을 위한 접착제 매스 및 코팅된 우드칩 벽지에 부착시키기 위한 용도
JP5719151B2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表面保護粘着フィルム
JP6507009B2 (ja) 粘着剤組成物、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付きプリズムシート
JP2012117013A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表面保護粘着フィルム
JP5753667B2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5879110B2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KR101812436B1 (ko) 조성물 및 표면 보호 필름
JP5623872B2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表面保護粘着フィルム
JP6454183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付きプリズムシート
JP2008274212A (ja) 粘着剤組成物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4250682A (ja) 熱収縮性フィルム
JP5534878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WO2013005830A1 (ja) 粘着剤組成物及び表面保護用粘着シート
JP2011202146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9137867A (ja) 粘着剤組成物、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付きプリズムシート
JP2012111047A (ja) 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