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3175A - 상황버섯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생산품 - Google Patents
상황버섯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생산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113175A KR20080113175A KR1020080114322A KR20080114322A KR20080113175A KR 20080113175 A KR20080113175 A KR 20080113175A KR 1020080114322 A KR1020080114322 A KR 1020080114322A KR 20080114322 A KR20080114322 A KR 20080114322A KR 20080113175 A KR20080113175 A KR 200801131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extracts
- mushroom
- drying
- micrometers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001727 Tropicoporus linteus Speci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7865 dilu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2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40000000249 Morus alb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8708 Morus alb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0000000019 Diospyros kaki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1508 Diospyros virginian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7334 Alcea rosea Nutrition 0.000 claims 1
- 240000000530 Alcea rosea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17303 Althaea rosea Nutrition 0.000 claims 1
- 240000006914 Aspalathus linearis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04936 Bromus mango Nutrition 0.000 claims 1
- 240000001358 Bromus mango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07516 Chrysanthemum Nutrition 0.000 claims 1
- 240000007646 Chrysanthemum x morifolium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05986 Chrysanthemum x morifolium Nutrition 0.000 claims 1
- 235000005979 Citrus limon Nutrition 0.000 claims 1
- 240000002268 Citrus limon Species 0.000 claims 1
- 240000008067 Cucumis sativus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10799 Cucumi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claims 1
- 229940067866 Dandelion Extract Drugs 0.000 claims 1
- 241000283074 Equus asinus Species 0.000 claims 1
- 229940068052 Ginkgo biloba extract Drugs 0.000 claims 1
- 239000009429 Ginkgo biloba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1
- 229940094952 Green Tea Extract Drugs 0.000 claims 1
- 235000010254 Jasminum officinale Nutrition 0.000 claims 1
- 240000005385 Jasminum sambac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14826 Mangifera indica Nutrition 0.000 claims 1
- 229940105902 Mint extract Drugs 0.000 claims 1
- 229940114496 Olive Leaf Extract Drugs 0.000 claims 1
- 241001248610 Ophiocordyceps sinensis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02789 Panax ginseng Nutrition 0.000 claims 1
- 241000220317 Rosa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08422 Schisandra chinensis Nutrition 0.000 claims 1
- 240000006079 Schisandra chinensis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03434 Sesamum indicum Nutrition 0.000 claims 1
- 240000003670 Sesamum indicum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09184 Spondias indica Nutrition 0.000 claims 1
- 235000006468 Thea sinensis Nutrition 0.000 claims 1
- 235000019714 Triticale Nutrition 0.000 claims 1
- 240000008042 Zea mays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02017 Zea mays subsp mays Nutrition 0.000 claims 1
- 229940069780 barley extract Drugs 0.000 claims 1
- 235000020279 black tea Nutrition 0.000 claims 1
- 235000021329 brown rice Nutrition 0.000 claims 1
- 235000005822 corn Nutrition 0.000 claims 1
- 235000005824 corn Nutrition 0.000 claims 1
- 235000020691 dandelion extract Nutrition 0.000 claims 1
- 235000020708 ginger extract Nutrition 0.000 claims 1
- 235000020686 ginkgo biloba extract Nutrition 0.000 claims 1
- 235000020710 ginseng extract Nutrition 0.000 claims 1
- 235000020687 goji berry extract Nutrition 0.000 claims 1
- 235000020688 green tea extract Nutrition 0.000 claims 1
- -1 mint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1
- 235000020712 soy bean extract Nutrition 0.000 claims 1
- 239000001845 taraxacum officinale leaf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1
- 241000228158 x Triticosecale Species 0.000 claims 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41000123330 Fomes fomentariu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41001633680 Polygonatum odoratum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3809 water extr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abstract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abstract 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5000020510 functional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WQZGKKKJIJFFOK-GASJEMHNSA-N D-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121 hard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description 3
- GNPVGFCGXDBREM-UHFFFAOYSA-N germanium Chemical compound [Ge] GNPVGFCGXDBR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32 germ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17758 Gastric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0599 Lentinula edod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34280 Lil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0155 Oesophageal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23113 Phellinus igniari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8000009205 Tinn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4101 esophageal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676 glycans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804 polysaccharides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1549 stomach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886 tinnitus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08000004998 Abdominal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8140 Acer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445 Ascit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99 Axill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495 Betul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218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7554 Cardiac failur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9944 Colon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0774 Constip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GZCGUPFRVQAUEE-KCDKBNATSA-N D-(+)-Galactose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GZCGUPFRVQAUEE-KCDKBNATSA-N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QTVWNMPRSA-N D-mannopyran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QTVWNMPR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5171 Dysmenorrh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3935 Dysmenorrho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615 Epidermi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09745 Ey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731 Fagus sylvat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099 Fagus sylvat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123326 Fom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8987 Haemorrhag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9280 Heart failur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9641 Hepatic cirrh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2653 Intestinal haemorrhag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22 Killer Cells, Natura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715 Lentinula edod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119 Malus pumi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430 Malus pumi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03 Malus silvest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693 NK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898 Ov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23107 Phellin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95852 Polygonatum robust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2383 Polyporal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880 Polyur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046342 Prorocentrum korean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128 Pulmonary Tubercul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7660 Pyre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976 Quercus macrolep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305267 Quercus macrolep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8038 Rectal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71263 Ribes grossula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357 Ribes grossular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268 Sarcoma 180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509 Scab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4184 Small intestine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2355 Trametes versicolor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6766 Uterine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62 Vein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96 anti-anti-diure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54 anti-pyre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59 anti-tum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089 arabinosyl group Chemical class C1([C@@H](O)[C@H](O)[C@H](O)CO1)*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27 ayra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28 ber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185 bi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212 bi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40 blee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19 bleeding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06 bottled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1000009030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15 cell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12 chemo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3 coastal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79 crud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249 digestive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82 diure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s Drug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0312 duodenum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3 food additiv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8 food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96 gastr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37 immune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68 intesti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7270 liver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4044 liver cirrh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45 natural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14626 natural product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29 palatabil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4 pharmac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180 public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1275 rectum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271 res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3 sens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15 spor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0000000019 wound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PHYPRBDBSA-N α-D-gala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PHYPRBDBSA-N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VFUOTHLCSA-N β-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72—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by filt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0—Preserving against microb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8—Fungi extra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0—Freezing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Abstract
본 발명은 상황버섯을 이용한 기능성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생산품에 관한 것으로서, (a) 상황버섯을 수분함유율 5% 이내로 건조하여 2 마이크로미터 내지 10 마이크로미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b) 말굽버섯을 수분함유율 5% 이내로 건조하여 2 마이크로미터 내지 10 마이크로미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c) 둥글레를 수분함유율 3% 이내로 건조하여 2 마이크로미터 내지 10 마이크로미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d) 상기의 분쇄된 상황버섯 분말 : 말굽버섯 분말 : 둥글레 분말을 50 : 40 : 10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e) 상기의 혼합된 재료 : 염도 0.3%내지 0.5% 해양심층수를 100 : 1 내지 100 :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20℃ 내지 35℃에서 3일 내지 7일간 발효하는 단계; (f) 상기의 발효된 재료를 120℃ 내지 170℃의 증기로 30초 내지 50초 동안 증열 처리하는 단계; (g) 상기의 증열 처리된 재료를 30℃ 내지40℃의 건조실에서 수분함유율 5% 내지 10%로 건조하는 단계; (h) 상기의 건조된 재료를 -15℃ 내지 -20℃로 급속히 냉각하여 준비하는 단계; (i) 상기의 재료 : 식용수를 10 : 100 내지 30 : 10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90℃ 내지 100℃의 온도로 3시간 내지 5시간동안 열수 추출하는 단계; (j) 상기의 추출이 완료된 재료를 여과하여 -1℃ 내지 5℃로 냉각하는 단계; (k) 상기의 추출물 : 식용수를 1 : 1000 내지 10 : 1000의 중량비로 희석하여 제품화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 상황버섯을 이용한 기능성음료는 상황버섯 및 말굽버섯, 둥글레의 유효성분을 음료에 함유하도록 하여 풍미를 향상시 켜 음용시 거부감이 없으며, 항산화작용으로 보존성이 강화되며, 각종 미네랄이 증가되어 국민건강에 도움을 준다.
상황버섯, 말굽버섯, 둥글레, 기능성음료, 음료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황버섯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생산품에 관한 것이다.
목질 진흙버섯(桑黃)은 분류학적으로 담자균아문(Basidiomycotina), 민주름버섯목(Aphyllophorales), 소나무비늘버섯과(Hymenochaetaceae)의 진흙버
섯속(Phellinus Quel. em. Imaz.)에 속하는 버섯으로서, 뽕나무줄기에 자생하
다. 상황은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上海科學技術)에 사과나무, 뽕나무 및 참나무 등의 수간에 자생하는 버섯이라 하여 상이(桑耳), 상신(桑臣), 호고안(胡孤眼)등의 이명을 가지고 있다. 또한 신농본초경(新農本草徑)에서 상이(桑
耳)는 상근백피(桑根白皮)(桑本, Morus alba L., 桑皮)의 항에 기록하고 있으며, 명대(明代)의 이시진(李時珍)은 본초강목(本草綱目)에서 목이(木耳)의 항으로 분류하여 상이(桑耳), 상유(桑孺), 상아(桑蛾), 상신(桑臣) 및 상황(桑黃) 등으로 기록하고 있고,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는 상이(桑耳), 상황(桑黃) 등으로 분류하고 있 다. 목질진흙(桑黃)은 Phellinus linteus(Berk. et Curt) Aoshima, P. igniarius(L. exFr.) Quel, P. yucatensis (Murr.) Imazek, Fomes yucatensis Murrill., Phropolyporus yucatensis Murr. 등의 여러 가지로 명명하고 있으나, 상목(桑木), 양(楊), 두명(杜鳴)등의 광엽수에 자생하는 말똥진흙버섯[Phellinus igniarius (Lex Fr.) Quel ] 은 광의적으로 해석한 상황버섯의 학명이고, 진정한 의미의 상황(桑黃)인 목질진흙버섯은 말똥진흙버섯과 달리 뽕나무(桑樹)에서만 자생하며, 학명은 Phellinus linteus(Berk. et Curt) Aoshima 이다(原色日本菌類圓鑑, 1975). 목질진흙(상황)버섯은 뽕나무의 그루터기에 자생하는 버섯으로 그 모양은 초기에는 노란 진흙 덩이가 뭉친 것 같은 형태를 유지하다가 다 자란 후의 형태는 그루터기에 혓바닥을 내민 모습이어서 수설(樹舌)이라고도 한다. 혓바닥같은 형태의 윗부분이 상황의 품종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나지만 진흙과 같은 색깔을 나타내기도 하고, 감나무의 표피와 같이 검게 갈라진 모습 등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목질진흙(상황)버섯의 약리작용은 소화기 계통의 암인 위암, 식도암, 십이지장암, 결장암, 직장암을 비롯한 간암의 절제수술후 화학요법을 병행할 때 면역기능을 항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자궁출혈 및 대하, 월경불순, 장출혈, 오장 및 위장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해독작용을 한다. Ikegawa 등(Gann, 59, 155, 1968)은 목질진흙(상황)버섯이 구름버섯(Coriolus versicolor)과 표고버섯(Lent inusedodes)보다 종양저지율이 높다고 보고하였으며, 메다 등(Protein Nucleic acid Enzyme, 21, 426, 1976)은 항암활성이 96.7%라고 보고하였다. 또한 정 등(약학회지, 38, 158, 1994)은 균사체의 단백다당체가 육종(Sarcoma) 180 복수암 및 고형암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고 하였으며, 김 등(Arch, Pharm. Res., 17, 337, 1994)은 항종양 활성을 갖는 다당류를 분석한 결과 글루코오스(Glucose)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외에 갈락토오스(Galactose), 만노오스(Mannose), 아라비노스(Arabinose) 등으로 이루어졌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공 등(생약학회지, 22, 233, 1991)은 목질진흙(상황)버섯균사체의 열수추출물은 NK 세포기능에 작용하여 숙주의 비특이적 면역능을 증강시킴으로써 항암활성을 나타내며, 또한 마우스에 투여한 결과 LD50은 1,500mg/kg이상으로 안전성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말굽버섯은 담자균류 구멍장이버섯과의 버섯으로 학명은 Fomes fomentarius, 분류는 구멍장이버섯과 말굽버섯속이고, 분포지역은 북반구,서식장소는 활엽수의 고목 또는 생목, 크기는 두께 10cm ~ 20cm, 지름 20cm ~ 50cm이다. 자작나무 , 너도밤나무 , 단풍나무류와 같은 활엽수의 고목 또는 생목(生木)에 발생하여 여러 해 동안 자란다. 버섯의 갓 모양은 반원형에서 종(鐘) 모양 또는 말굽 모양이다. 갓 두께는 10cm ~ 20cm이고, 지름은 20~50이지만, 작은 종(種)은 지름이 3cm ~ 5cm밖에 안 되는 것도 있다. 표면은 회색으로 두꺼우며, 단단한 껍질로 덮여 있고, 회황갈색이나 흑갈색 물결무늬 또는 가로로 심한 홈줄이 나 있다. 갓 둘레는 둔하고 황갈색이다. 표피는 황갈색이며 질긴 모피처럼 생겼다. 아랫면은 회백색이고, 줄기구멍은 여러 층이고 빽빽한 회색 또는 연주황색의 작은 구멍이 있다. 포자는 타원형으로 흰색 무늬가 있고, 크기는 16cm 내지 18cm이다. 목재를 백색으로 썩게 만드는 버섯이다. 일반적으로 껍질이 단단하여 식용이나 약용으로 사용할 때는 잘게 썰어 달여 차와 같은 형태로 사용하고, 간경변 , 발열 , 눈병 , 복통 , 감기 , 변비 , 폐결핵 , 소아식체 , 식도암 , 위암 , 자궁암 등에 약용한다. 해열과 이뇨 작용이 있으며, 히포크라테스도 상처의 뜸을 뜨는 데 이 버섯을 사용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맛은 약간 쓰고 밋밋하다. 기원전 8000년 전의 유적에서도 발견되어 현재 가장 오랜 된 버섯 가운데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북반구의 온대 이북에 널리 분포한다. 한반도에서는 안도 , 연도 등 다도해 해상국립공원 일대와 두륜산 방태산 발왕산 지리산 한라산 백두산 및 강원도에서 자생한다.
둥굴레는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은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분류는 백합과이며, 분포지역은 한국, 일본, 중국, 서식장소는 산과 들에 자라며, 크기는 높이 30∼60cm정도이다.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괴불꽃 ,황정(黃精), 황지(黃芝) ,소필관엽(小筆管葉) ,죽네풀, 진황정이라고도 한다. 산과 들에서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한쪽으로 치우쳐서 퍼진다. 이명으로 맥도둥굴레, 애기둥굴레, 좀둥굴레, 제주둥굴레 등이 있으며 약재명은 옥죽이다. 산과 들에서 자란다. 굵은 육질의 뿌리줄기는 옆으로 벋고 줄기는 6개의 능각(稜角)이 있으며 끝이 비스듬히 처진다. 높이는 30∼60cm이다. 잎은 어긋나고 한쪽으로 치우쳐서 퍼진다. 길이 5∼10cm, 나비 2∼5cm로 긴 타원형이고 잎자루가 없다. 6∼7월에 길이 15∼20mm의 녹색 빛을 띤 흰색 꽃이 1∼2개씩 잎겨드랑이에 달리며, 작은 꽃대는 밑 부분에서 서로 합쳐진다. 수술은 6개이고 통부(筒部) 위쪽에 붙으며 수술대에 잔 돌기가 있다. 꽃밥은 길이 4mm로서 수술대의 길이와 거의 같다. 열매는 장과로 둥글고 9∼10월에 검게 익는다. 봄철에 어린 잎과 뿌리줄기를 식용한다. 생약의 위유는 뿌리줄기를 건조시킨 것이며, 한방에서는 뿌리줄기를 번갈, 당 뇨병, 심장쇠약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한국,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잎 뒷면에 유리조각 같은 돌기가 있고 꽃의 길이가 2∼2.5cm인 것을 산둥굴레(var. thunbergii), 잎 뒷면 맥 위에 잔 돌기가 많고 꽃이 1∼4개씩 달리는 것을 큰둥굴레(var. maximowiczii), 잎은 길이 16cm, 나비 5cm 정도이고 꽃이 4개씩 달리는 것을 맥도둥굴레(P. koreanum), 전체가 크고 잎 뒷면에 털이 있으며 꽃이 2∼5개씩 달리는 것을 왕둥굴레(P. robustum)라고 한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각종 기능성음료에는 천연물의 유효성분을 통하여 건강기능성을 기대하지만, 색과 맛과 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각종 식품첨가물을 첨가하여 제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황버섯을 이용한 기능성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생산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단가 재료인 상황버섯, 말굽버섯, 둥글레의 유효성분을 이용하여 기능성음료의 제조방법으로서, 기존의 추출방법에 의한 음료제조는 수율이 낮아 생산원가가 높아져서, 시장성이 떨어진다. 또한 원재료의 좋지 않은 향을 없애기 위하여 첨가물을 첨가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수율을 높이고 잡향을 제거하면서 풍미를 향상시켜 국내 및 해외의 모든 수요자에게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황버섯을 이용한 기능성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생산품에 관한 것으로서, (a) 상황버섯을 수분함유율 5% 이내로 건조하여 2 마이크로미터 내지 10 마이크로미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b) 말굽버섯을 수분함유율 5% 이내로 건조하여 2 마이크로미터 내지 10 마이크로미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c) 둥글레를 수분함유율 3% 이내로 건조하여 2 마이크로미터 내지 10 마이크로미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d) 상기의 분쇄된 상황버섯 분말 : 말굽버섯 분말 : 둥글레 분말을 50 : 40 : 10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e) 상기의 혼합된 재료 : 염도 0.3%내지 0.5% 해양심층수를 100 : 1 내지 100 :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20℃ 내지 35℃에서 3일 내지 7일간 발효하는 단계; (f) 상기의 발효된 재료를 120℃ 내지 170℃의 증기로 30초 내지 50초 동안 증열 처리하는 단계; (g) 상기의 증열 처리된 재료를 30℃ 내지40℃의 건조실에서 수분함유율 5% 내지 10%로 건조하는 단계; (h) 상기의 건조된 재료를 -15℃ 내지 -20℃로 급속히 냉각하여 준비하는 단계; (i) 상기의 재료 : 식용수를 10 : 100 내지 30 : 10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90℃ 내지 100℃의 온도로 3시간 내지 5시간동안 열수 추출하는 단계; (j) 상기의 추출이 완료된 재료를 여과하여 -1℃ 내지 5℃로 냉각하는 단계; (k) 상기의 추출물 : 식용수를 1 : 1000 내지 10 : 1000의 중량비로 희석하여 제품화한다.
종래의 기술은 상황버섯을 열수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첨가하여 음료를 제조하는데 비하여, 본 발명은 상황버섯과 말굽버섯, 둥글레 분말을 발효과정을 통하여 원재료의 잡냄새를 제거하고, 수율을 높여 생산원가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어서 경제적이다. 또한 상황버섯 및 말굽버섯에 함유된 천연유기게르마늄을 음료에 함유하도록 하여 현대인의 건강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음료를 제조하여 국내시장은 물론 세계시장에 폭넓게 진출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상황버섯을 이용한 기능성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생산품에 관한 것으로서, (a) 상황버섯을 수분함유율 5% 이내로 건조하여 2 마이크로미터 내지 10 마이크로미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b) 말굽버섯을 수분함유율 5% 이내로 건조하여 2 마이크로미터 내지 10 마이크로미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c) 둥글레를 수분함유율 3% 이내로 건조하여 2 마이크로미터 내지 10 마이크로미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d) 상 기의 분쇄된 상황버섯 분말 : 말굽버섯 분말 : 둥글레 분말을 50 : 40 : 10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e) 상기의 혼합된 재료 : 염도 0.3%의 해양심층수를 100 : 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20℃ 내지 35℃에서 5일간 발효하는 단계; (f) 상기의 발효된 재료를 120℃ 내지 170℃의 증기로 40초 동안 증열 처리하는 단계; (g) 상기의 증열 처리된 재료를 30℃ 내지40℃의 건조실에서 수분함유율 10% 이내로 건조하는 단계; (h) 상기의 건조된 재료를 -15℃ 로 급속히 냉각하여 준비하는 단계; (i) 상기의 재료 : 식용수를 10 : 10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90℃ 내지 100℃의 온도로 4시간동안 열수 추출하는 단계; (j) 상기의 추출이 완료된 재료를 여과하여 -1℃ 내지 5℃로 냉각하는 단계; (k) 상기의 추출물 : 식용수를 5 : 1000의 중량비로 희석하여 제품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황버섯을 이용한 기능성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 기능성 음료는 발효과정을 통하여 원재료의 잡냄새를 제거하고, 수율을 높여 생산원가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어서 경제적이다. 또한 상황버섯 및 말굽버섯에 함유된 천연유기게르마늄 및 각종 미네랄을 음료에 함유하도록 하여 현대인의 건강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음료를 제조하여 국내시장은 물론 세계시장에 폭넓게 진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 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실시예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기능성 음료 100리터를 제조하여 준비하였다.
비교예
시중에서 판매되는 식용수 100리터를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음료의 맛과 향과 기호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30명의 관능검사요원에 대해 실시예 및 비교예의 음료를 3℃, 10℃, 20℃로 조정하여 시음하게 한 다음 맛과 향과 기호도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평가방법은 4점법에 따라 맛이 매우 좋으며, 향이 매우 좋으며 기호도가 매우 높음. : 4점, 맛이 좋으며, 향이 좋으며 기호도가 높음: 3점, 맛 과 향과 기호도 모두 보통임 : 2점, 맛과 향, 기호도가 낮음 : 1점, 맛과 향, 기호도에 대한 평균점수를 표1 - 표3에 나타냈다.
구 분 | 맛 | 향 | 기호도 |
실시예 | 4 | 3.8 | 4 |
비교예 | 3.1 | 2.6 | 3.0 |
구 분 | 맛 | 향 | 기호도 |
실시예 | 3.9 | 3.8 | 3.8 |
비교예 | 3.0 | 2.6 | 2.9 |
구 분 | 맛 | 향 | 기호도 |
실시예 | 3.5 | 3.7 | 3.6 |
비교예 | 2.6 | 2.5 | 2.5 |
구분 | 일반성분(1000ml당) | |||||||
Ge (ppb) | Glucose (ppb) | Ca (ppm) | Na (ppm) | K (ppm) | Mg (ppb) | Zn (ppb) | Fe (ppb) | |
실시예의 음료 | 65 | 32 | 2.0 | 36.4 | 20.6 | 5.1 | 3.5 | 86 |
표 1에서 표 3 까지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상황버섯을 이용한 기능성음료는 일반생수에 비하여 맛과 향이 향상되어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표4의 분석표에 보면 유기게르마늄 및 글루코오스와 각종 미네랄이 함유되어 국민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Claims (2)
- (a) 상황버섯을 수분함유율 5% 이내로 건조하여 2 마이크로미터 내지 10 마이크로미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b) 말굽버섯을 수분함유율 5% 이내로 건조하여 2 마이크로미터 내지 10 마이크로미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c) 둥글레를 수분함유율 3% 이내로 건조하여 2 마이크로미터 내지 10 마이크로미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d) 상기의 분쇄된 상황버섯 분말 : 말굽버섯 분말 : 둥글레 분말을 50 : 40 : 10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e) 상기의 혼합된 재료 : 염도 0.3%내지 0.5% 해양심층수를 100 : 1 내지 100 :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20℃ 내지 35℃에서 3일 내지 7일간 발효하는 단계;(f) 상기의 발효된 재료를 120℃ 내지 170℃의 증기로 30초 내지 50초 동안 증열 처리하는 단계;(g) 상기의 증열 처리된 재료를 30℃ 내지40℃의 건조실에서 수분함유율 5% 내지 10%로 건조하는 단계;(h) 상기의 건조된 재료를 -15℃ 내지 -20℃로 급속히 냉각하여 준비하는 단계;(i) 상기의 재료 : 식용수를 10 : 100 내지 30 : 10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90℃ 내지 100℃의 온도로 3시간 내지 5시간동안 열수 추출하는 단계;(j) 상기의 추출이 완료된 재료를 여과하여 -1℃ 내지 5℃로 냉각하는 단계;(k) 상기의 추출물 : 식용수를 1 : 1000 내지 10 : 1000의 중량비로 희석하여 제품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버섯을 이용한 기능성음료 제조방법.
- 제1항의 (j)단계의 추출물에 올리브잎추출물, 은행잎추출물, 차가버섯추출물, 영지버섯추출물, 동충하초추출물, 능이버섯추출물, 운지버섯추출물, 냉이추출물, 헛개나무추출물, 오미자추출물, 감잎추출물, 허브추출물, 녹차추출물, 황금추출물, 뽕잎추출물, 구기자추출물, 보리추출물, 현미추출물, 루이보스추출물, 케모마일추출물, 보이차추출물, 결명자추출물, 장미추출물, 민트추출물, 민들레추출물, 국화추출물, 옥수수추출물, 옥수수수염추출물, 대두추출물, 복분자추출물, 오가피추출물, 홍삼추출물, 인삼추출물, 더덕추출물, 갈근추출물, 당귀추출물, 두충추출물, 생강추출물, 삼백초추출물, 망고잎추출물, 쟈스민추출물, 레몬추출물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부재료로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4322A KR20080113175A (ko) | 2008-11-18 | 2008-11-18 | 상황버섯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생산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4322A KR20080113175A (ko) | 2008-11-18 | 2008-11-18 | 상황버섯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생산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13175A true KR20080113175A (ko) | 2008-12-29 |
Family
ID=40370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14322A KR20080113175A (ko) | 2008-11-18 | 2008-11-18 | 상황버섯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생산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113175A (ko)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0391B1 (ko) * | 2009-02-26 | 2012-03-27 | 영농조합법인 이도 | 상황버섯을 이용한 발효차의 제조방법 |
KR101145106B1 (ko) * | 2009-10-19 | 2012-05-15 | 장남수 |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
CN102919920A (zh) * | 2012-11-05 | 2013-02-13 | 南京润寿缘生物科技有限公司 | 一种可加热饮用的果汁的制备方法 |
CN103120344A (zh) * | 2013-03-11 | 2013-05-29 | 朱世超 | 蜜桑茶及其制备方法 |
CN103211264A (zh) * | 2013-01-28 | 2013-07-24 | 山东轻工业学院 | 一种甜玉米银杏饮料及其制备方法 |
CN103380839A (zh) * | 2013-06-29 | 2013-11-06 | 安徽皖山食品有限公司 | 一种护眼茶饮料及其制备方法 |
CN103451062A (zh) * | 2013-09-16 | 2013-12-18 | 曾丹 | 一种葛根茉莉花酒的制备方法 |
KR101359893B1 (ko) * | 2013-01-05 | 2014-02-12 | 박창하 | 상황버섯을 이용한 천연간수의 제조방법 |
CN103636848A (zh) * | 2013-12-23 | 2014-03-19 | 廖宣植 | 一种青果薄荷茶 |
CN103931816A (zh) * | 2014-03-31 | 2014-07-23 | 罗成 | 一种提神醒脑茶 |
CN104068438A (zh) * | 2014-06-30 | 2014-10-01 | 宋汉平 | 一种桑菊饮料的制作方式 |
CN104621659A (zh) * | 2015-01-22 | 2015-05-20 | 河北科技师范学院 | 玫瑰花超微粉饮料的制备方法 |
CN108185245A (zh) * | 2017-05-20 | 2018-06-22 | 郑毅男 | 一种人参菜用大豆饮品的制备方法 |
-
2008
- 2008-11-18 KR KR1020080114322A patent/KR2008011317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0391B1 (ko) * | 2009-02-26 | 2012-03-27 | 영농조합법인 이도 | 상황버섯을 이용한 발효차의 제조방법 |
KR101145106B1 (ko) * | 2009-10-19 | 2012-05-15 | 장남수 |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
CN102919920A (zh) * | 2012-11-05 | 2013-02-13 | 南京润寿缘生物科技有限公司 | 一种可加热饮用的果汁的制备方法 |
KR101359893B1 (ko) * | 2013-01-05 | 2014-02-12 | 박창하 | 상황버섯을 이용한 천연간수의 제조방법 |
CN103211264A (zh) * | 2013-01-28 | 2013-07-24 | 山东轻工业学院 | 一种甜玉米银杏饮料及其制备方法 |
CN103120344A (zh) * | 2013-03-11 | 2013-05-29 | 朱世超 | 蜜桑茶及其制备方法 |
CN103380839A (zh) * | 2013-06-29 | 2013-11-06 | 安徽皖山食品有限公司 | 一种护眼茶饮料及其制备方法 |
CN103451062A (zh) * | 2013-09-16 | 2013-12-18 | 曾丹 | 一种葛根茉莉花酒的制备方法 |
CN103636848A (zh) * | 2013-12-23 | 2014-03-19 | 廖宣植 | 一种青果薄荷茶 |
CN103931816A (zh) * | 2014-03-31 | 2014-07-23 | 罗成 | 一种提神醒脑茶 |
CN104068438A (zh) * | 2014-06-30 | 2014-10-01 | 宋汉平 | 一种桑菊饮料的制作方式 |
CN104621659A (zh) * | 2015-01-22 | 2015-05-20 | 河北科技师范学院 | 玫瑰花超微粉饮料的制备方法 |
CN108185245A (zh) * | 2017-05-20 | 2018-06-22 | 郑毅男 | 一种人参菜用大豆饮品的制备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80113175A (ko) | 상황버섯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생산품 | |
KR100814382B1 (ko) | 기능성 더덕 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457615B1 (ko) | 상황버섯으로 발효한 커피의 제조방법 | |
KR101598395B1 (ko) | 어성초, 삼백초 및 여주가 함유된 산야초 김치의 제조방법 | |
KR102187229B1 (ko) | 침향을 포함하여 항염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향상시킨 혼합차 제조방법 | |
KR101716297B1 (ko) | 생약성분이 함유된 노루궁뎅이버섯 추출 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음료 | |
KR102115622B1 (ko) | 약용 및 식용 천연물 복합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 |
KR20190060023A (ko) | 오미자와 아로니아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음료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음료 | |
KR101845388B1 (ko) | 흑양파 추출물 및 산양삼 열매 농축액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 | |
KR100858100B1 (ko) | 기능성 더덕 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 |
KR20140056123A (ko) | 어성초, 무화과, 유자를 함유하는 음료 및 그 제조방법 | |
KR102254420B1 (ko) | 약용 및 식용 천연물 복합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 |
KR101674405B1 (ko) | 토마토를 이용한 토마토 된장의 제조방법 | |
KR20090059270A (ko) | 상황버섯을 포함하는 과립차 및 그 제조방법 | |
KR20180049955A (ko) | 기능성 커피 음료 및 그 제조방법 | |
KR20080107334A (ko) | 상황버섯을 이용한 탁주의 제조방법 | |
KR20200053016A (ko) | 붓기 제거에 효과가 있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 |
CN109892508A (zh) | 一种具有润肠通便作用的桑黄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 |
KR101742010B1 (ko) | 참죽 새순을 이용한 차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차 음료 | |
KR102291342B1 (ko) | 차가버섯을 이용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 |
KR102428520B1 (ko) | 홍삼농축액, 당귀추출물, 클로렐라 및 소엽추출물을 이용한 리큐르주의 제조방법 | |
KR20070111732A (ko) | 천연물을 이용한 순환계 질환, 면역계질환, 염증성질환,간질환, 내과계질환, 산,소아과계질환, 내분비계질환,바이러스성질환, 각종 암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KR101955883B1 (ko) | 생물활성을 나타내는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20020071365A (ko) | 오죽 죽력을 함유하는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0435229B1 (ko) | 산마늘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