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2946A -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베어러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베어러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2946A
KR20080112946A KR1020080053328A KR20080053328A KR20080112946A KR 20080112946 A KR20080112946 A KR 20080112946A KR 1020080053328 A KR1020080053328 A KR 1020080053328A KR 20080053328 A KR20080053328 A KR 20080053328A KR 20080112946 A KR20080112946 A KR 20080112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er
network node
terminal
request message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3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4967B1 (ko
Inventor
김현숙
송재승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112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2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5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베어러 설정 및 수정 시에 베어러 관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말과 네트워크(네트워크 노드, 또는 네트워크 서버) 간에 베어러 설정 및/또는 베어러 수정(갱신 또는 삭제) 의 주체를 관리하여 자원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QoS의 융통성을 제공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단말과 네트워크 간에 베어러 설정 또는 수정을 요청하는 메시지에 추가될 일명, 베어러 설정 주체를 가리키는 정보가 있는 BIS (bearer initiation Subjection) 필드와 베어러 수정 주체를 가리키는 정보가 있는 BMS (bearer modification Subjection) 필드를 정의한다.
이동통신, 베어러, 베어러 설정, 베어러 수정, QoS, 3GPP, 단말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베어러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BEARER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베어러 설정 및 수정에 관한 것이다.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술 규격을 제정하는 3GPP에서는 4세대 이동통신과 관련된 여러 포럼들 및 새로운 기술에 대응하기 위하여, 2004년 말경부터 3GPP 기술들의 성능을 최적화 시키고 향상시키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LTE/SAE (Long Term Evolution/System Architecture Evolution) 기술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였다. 3GPP SA WG2을 중심으로 진행된 SAE는 3GPP TSG RAN의 LTE 작업과 병행하여 네트워크의 구조를 결정하고 이 기종 망간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망 기술에 관한 연구이며, 최근 3GPP의 중요한 표준화 이슈들 중 하나이다. 이는 3GPP 시스템을 IP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발전 시키기 위한 작업으로, 보다 향상된 데이터 전송 능력으로 전송 지연을 최소화 하는, 최적화된 패킷 기반 시스템을 목표로 작업이 진행되어 왔다.
3GPP SA WG2에서 정의한 SAE 상위 수준 참조 모델(reference model)은 비로 밍 케이스(non-roaming case) 및 다양한 시나리오의 로밍 케이스(roaming case)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세 내용은 3GPP 표준문서 TS 23.401과 TS 23.402에서 참조할 수 있다. 도 1의 네트워크 구조도는 이를 간략하게 재구성 한 것이다.
도 1의 네트워크 구조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진화(Evolved) UTRAN의 eNodeB와 핵심 네트워크(Core Network)의 게이트웨이(Gateway)의 2 계층 모델(2 Tier Model)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며,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니나 eNodeB는 기존 UMTS 시스템의 NodeB와 RNC의 기능과 유사하며, 게이트웨이는 기존 시스템의 SGSN/GGSN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 하나 중요한 특징으로는 접속 네트워크(Access network)과 핵심 네트워크 사이의 제어평면(Control Plane)과 사용자평면(User Plane)이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Interface)로 교환된다는 점이다. 기존의 UMTS 시스템에서는 RNC와 SGSN사이에 Iu 하나의 인터페이스가 존재했었던 반면 제어신호(Control Signal)의 처리를 담당하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가 GW(Gateway)와 분리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S1-MME, S1-U 두 개의 인터페이스가 각각 사용되게 되었다.
다음으로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PDN(Packet Data Network) 게이트웨이의 두 개의 게이트웨이 유형(Gateway type)을 볼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서빙 게이트웨이는 3GPP 망 안에서의 이동성 관리를 위한 앵커 포인트(anchor point)로, PDN 게이트웨이는 3GPP망과 non-3GPP 망과의 이동성 관리를 위한 앵커 포인트(anchor point)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두 개의 게이트웨이는 단일 게이트웨이 구성 옵션(Single Gateway Configuration Option)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SAE(System Architecture Evolution)란 3GPP의 Rel-8 네트워크 구조(Network Architecture), 즉 3GPP 시스템 구조의 핵심 네트워크(core network)를 진화시켜 Evolved RAN을 지원하고 패킷 망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네트워크 노드를 단순화 신킨 효율적인 망 구조이다. 참고로 SAE는 3GPP에서 연구 단계(study phase)에서 사용하던 용어이며, SAE는 EPC(Evolved Packet Core)와, LTE는 E-UTRAN와, SAE/LTE는 EPC(Evolved packet system)와 각각 혼용하여 사용된다. 현재 표준의 공식적인 용어는 EPC, E-UTRAN, EPC 이다.
PCRF(Policy and Charging Rule Function)란 사업자(operator)의 규칙(policy) 혹은 과금에 관한 rule을 가지고 잇는 기능적 네트워크 노드이다.
PCEF(Policy and Charging Enforcement Function)란 사업자의 규칙(Operator Policy) 혹은 과금(charging)에 기반하여 실제 망에서 규칙 및 과금 관련 규정(rule)을 적용시켜 운용하는 기능적 네트워크 노드이다.
베어러(bearer)란 엔티티 간에 세션이 설정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통로(경로)가 설정된 상태를 말한다.
도 2은 SAE QoS를 제공하기 위한 EPC 베어러의 개념도이다. 도 1의 EPC 베어러의 개념도는 3GPP 표준문서 TS 23.401 v8.0.0 (2007, 12)에 따른 것이다.
도 3은 종래 베어러의 설정 및 수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3GPP Release 7 이전의 베어러의 설정 및 수정을 나타낸다. 도 3에서, 단말(UE)이 베어러 설정을 개시하고, 베어러 수정(갱신)은 단말 또는 네트워크에서 개신할 수 있다.
도 4는 또 다른 종래 베어러의 설정 및 수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3GPP Release 7 이후의 베어러의 설정 및 수정을 나타낸다. 도 4에서, 도 3의 경우와 같은 베어러 설정 및 수정 이외에 네트워크가 베어러 설정을 할 수 있는 것이 도입되었다. 즉, 도 4에서 베어러의 설정 주체가 단말 뿐아니라 네트워크도 할 수 있도록 도입되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베어러의 설정 주체를 구체적으로 관리하는 것에 대하여 제안하고 있지 않아, 실제 시스템을 운용 시에 자원의 관리 문제, 서비스 품질(QoS)를 네트워크 및 통신 조건에 따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시스템(예를 들어, 3GPP 시스템)에서 베어러 설정 및 수정(Bearer Establishment/Modification)의 주체를 관리하는 것이다.
종래 이동통신시스템(3GPP 시스템)은 단말(UE)이 베어러의 설정 주체가 되어 베어러 설정 절차(bearer establishment process)를 시작하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다. 또한, 3GPP Rel-7에서 네트워크가 베어러 설정의 주체가 될 수 있는 방법이 도입되었고, 현재 SAE 구조(architecture)가 도입된 3GPP Rel-8에서 베어러의 설정 주체로서 네트워크가 될 수 있음이 정의되었다.
따라서, 현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베어러 설정/수정을 개시하는 주체는, 두 개로서 즉. 단말(UE)와 네트워크이다. 또한 베어러는 설정하는 절차와 또는 이미 설정된 베어러를 수정하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따라서, 베어러의 주체(즉, 단말 또는 네트워크)가 누구이고, 베어러의 설정인가 또는 수정인가에 따라 다음 네가지의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1) 네트워크가 개시하여 베어러 설정(Network initiated bearer establishment), 그리고 이후 네트워크의 베어러 수정(Network initiated bearer modification);
2) 네트워크가 개시하여 베어러 설정(Network initiated bearer establishment), 이후 단말이 베어러 수정(UE initiated bearer modification);
3) 단말이 개시하여 베어러 설정(UE initiated bearer establishment), 이후 단말이 베어러 수정(UE initiated bearer modification);
4) 단말이 개시하여 베어러 설정(UE initiated bearer establishment), 이후 네트워크가 베어러 수정(Network iniitated bearer modification)
이와 같은 네 가지의 경우를 고려하여, 네트워크에서 망의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이하 ‘QoS’라 약칭함)를 제어하고 자원을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베어러 설정 및 수정의 관리할 기술적 필요성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베어러 관리 방법은,
네트워크 노드가 베어러 관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베어러 설정 요청메시지를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베어러 정보를 관리하는 테이블을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요청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에게 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PCEF(Policy and Charging Enforcement Function) 또는 PCRF(Policy and Charging Rule Function)와 상호작용을 하여 사업자 규칙을 조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과 베어러가 설 정된 후,
상기 설정된 베어러의 QoS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상기 설정된 베어러를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BMS 필드가 포함된 베어러 수정 요청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요청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에게 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에 BMS 필드가 포함된 베어러 수정 요청메시지를 보내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요청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베어러 관리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에 BMS 필드가 포함된 베어러 수정 요청메시지를 보내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요청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PCEF(Policy and Charging Enforcement Function) 또는 PCRF(Policy and Charging Rule Function)와 상호작용을 하여 사업자 규칙을 조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과 베어러가 설 정된 후, 상기 설정된 베어러의 QoS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상기 설정된 베어러를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BMS 필드가 포함된 베어러 수정 요청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요청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에게 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에 BMS 필드가 포함된 베어러 수정 요청메시지를 보내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요청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네트워크 노드가 전송한 베어러 설정요청 메시지에 BIS 필드가 있는지를 검사(확인)하고, 그 BIS 필드의 설정값을 분석하여 베어러 설정의 주체가 단말인지 네트워크 노드인지를 검사하고,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전송한 베어러 수정요청 메시지에 BMS 필드가 있는지를 검사(확인)하고 그 BIS 필드의 설정값을 분석하여 베어러 설정의 주체가 단말인지 네트워크 노드인지를 검사하는 처리부와;
상기 BIS 필드를 포함하는 베어러 설정 요청메시지 및/또는 상기 BMS 필드를 포함하는 베어러 수정 요청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예를 들어, 3GPP 시스템)에서 베어러 설정 및 수정의 주체를 보다 세밀하게 관리함으로써, 네트워크에서 망의 서비스 품질 관리(QoS)의 융통성을 제공하고, 또한 자원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새로이 정의한 베어러 관리에 관한 정보, 즉 BIS와 BMS를 이용함으로써, 베어러의 설정 주체에 따라, 또는 베어러의 수정 주체에 따라, 또는 QoS 클래스 레벨에 따라 등등 다양하고 효율적으로 베어러를 관리할 수 있다. 이는 네트워크 관점에서 망의 자원을 네트워크의 환경에 따라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네트워크 망 관점에서 QoS를 관리 시, 동일한 레벨의 QoS 클래스 레벨을 부여 받은 베어러라 하더라도, 네트워크이 주도한 베어러(Network-initiated bearer) 와 단말이 주도한 베어러(UE initiated bearer)를 차등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업자 기반 서비스(Operator-based service)와 단말 어플리케이션 기반 서비스(UE application-based service)의 경우, N개의 QoS class를 사용하는 네트워크에서, 2*N개의 class를 가진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즉 적은 수의 class를 유지하면서도 융통성 있고 다양한 조합의 QoS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서 예측하기 어려운 단말 어플리케이션 서비스(UE application service)에 대한 베어러를 별도로 모니터링 및 관리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업자 기반 서비스에 대한 베어러를 별도로 모니터링 및 관리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3GPP 이동통신시스템에 적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차세대 이동통신 및 다른 유무선 통신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복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 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지칭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현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예를 들어, UE(User Equipment), 핸드폰, 휴대폰, DMB 폰, 게임폰, 카메라폰, 스마트폰 등등)과, 그 이외 노트북, 데스크탑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백색 가전 제품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이다.
어태치(attach)란, 단말이 네트워크 노드와 접속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써, 넓은 의미로 핸드오버(handover)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단말과 네트워크(네트워크 노드, 또는 네트워크 서버) 간에 베어러 설정 및/또는 베어러 수정(갱신 또는 삭제)의 주체를 관리하여 자원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QoS의 융통성을 제공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단말과 네트워크 간에 베어러 설정 또는 수정을 요청하는 메시지에 추가될 일명, BIS 필드와 BMS 필드를 정의한다. BIS(bearer initiation subjection)는 베어러 설정의 주체가 누구인지(즉, 단말 또는 네트워크)를 가리키는 정보가 있는 필드(또는 파라미터, 또는 엘리먼트)이고, BMS(bearer modification subjection)는 베어러 수정의 주체가 누구인지(즉, 단말 또는 네트워크)를 가리키는 정보가 있는 필드이다.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정보(즉, BIS 및 BMS)가 단말과 네트워크 간에 해당 메시지를 통해 전달된다. 베어러의 설정(또는 수정)주체인 즉, 단말 및 네트워크의 측면에서 상기 정보가 사용되는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네트워크가 전송 및 수신하는 메시지의 추가 사항 및 네트워크의 동작
-네트워크가 베어러 설정 시, 베러어 설정 요청 메시지에 BIS 필드(또는 파라미터, 또는 엘리먼트)를 ‘BIS = NW’로 설정하여 단말에 전송한다;
- 네트워크가 베어러 수정 시,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에 BMS 필드(또는 파라미터, 또는 엘리먼트)를 ‘BMS = NW’로 설정하여 단말에 전송한다;
-네트워크가 단말로부터 받는 베어러 설정 요청메시지(bearer establishment request message) 에 ‘BIS = UE’으로 설정된 것을 수신하고, 만약 네트워크가 단말로부터의 그 요청메시지를 승인(accept)할 경우 BIS 정보를 베어러 정보 콘텍스트 테이블(bearer information context table)에 저장한다;
- 네트워크가 단말로부터 받는 베어러 수정 요청메시지(bearer modification request message) 에 ‘BMS = UE’으로 설정된 것을 수신하고, 만약 네트워크가 단말로부터의 그 요청메시지를 승인(accept)할 경우 BMS 정보를 베어러 정보 콘텍스트 테이블(bearer information context table)에 저장한다;
-베어러 정보 콘텍스트(bearer information context)에 BIS를 저장하기 위한 필드가 추가된다;
-베어러 정보 콘텍스트에 BMS 및 히스토리(history)를 저장하기 위한 필드를 추가할 수 있다;
-사업자 규칙에 근거하여, 베어러 관련 요청에 관한 결정을 수행한다.
2) 단말이 전송 및 수신하는 메시지의 추가 사항 및 단말의 동작
-단말이 베어러 설정 시, 베러어 설정 요청 메시지에 BIS 필드(또는 파라미터, 또는 엘리먼트)를 ‘BIS = UE’로 설정하여 단말에 전송한다;
-단말이 베어러 수정 시,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에 BMS 필드(또는 파라미터, 또는 엘리먼트)를 ‘BMS = UE’로 설정하여 단말에 전송한다;
-단말이 네트워크에 보낸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에 의해 베어러가 설정되면, 단말은 베어러 정보 콘텍스트 테이블에 BIS 필드 값(즉, BIS = UE)을 저장할 수 있다;
-단말이 네트워크에 보낸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에 의해 베어러가 수정되면, 단말은 베어러 정보 콘텍스트 테이블에 BMS 필드 값(즉, BMS = UE)을 저장할 수 있다;
-단말이 네트워크로부터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그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BIS = NW’로 설정된 BIS를 확인한다. 그리고 이를 단말이 승인(accept)하면 그 정보(즉, BIS 가 NW으로 설정된 것)를 베어러 정보에 관한 베어러 정보 콘텍스트 테이블에 저장할 수 있다;
-단말은 베어러 정보 콘텍스트에 BMS 및 히스토리를 저장하기 위한 필드를 추가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단말 또는 네트워크가 전송하는 베어러 설정 요청메시지 또는 베어러 수정 요청메시지는, BIS 필드 및/또는 BMS 필드를 포함하고 있어, 이 필드의 정보를 통하여 어떤 엔티티(즉, 단말 또는 네트워크)가 베어러 설정 (또는 수정)의 주체인지 알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네트워크 관리 시, 종래의 방식과 같이 클래스(clsss) 별로 QoS 조정을 할 수도 있으며, 그룹 별로 QoS 조정을 위한 시도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정의한 BIS 필드 및/또는 BMS 필드를 적용하여 다양한 조합의 그룹별로 QoS를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베어러 정보 콘텍스트 테이블의 예시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베어러가 1 에서 n 까지 설정된 것이고, 각각의 베어러에 할당된 클래스가 있다. 여기서, 클래스란 QoS가 서로 다른 그룹을 의미한다.
또한, 각 베어러에 설정의 주체를 가리키는 필드(파라미터 또는 엘리먼트), 즉 BIS 가 있고, 베어러가 수정(갱신)된 경우 그 수정의 주체를 가리키는 필드, BMS가 있다. 한편, BMS 필드는 선택사양으로 베어러 정보 콘텍스트 테이블에 추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설정된 베어러 중 ‘Bearer 1’는 QoS의 클래스가 ‘Class 1’이고, ‘Bearer 1’의 설정 주체가 단말(즉, UE)이고, 또한 ‘Bearer 1’의 수정 주체는 네트워크(즉, NW)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베어러 설정 주체를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7의 제1 실시 예에서, 크게 3개의 절차로 설명할 수 있다: 1) 일련의 절차 S1 ~ S4는 단말(100)과 네트워크 노드(200) 간의 디폴트 베어러(default bearer)가 설정되는 절차이고; 그 디폴트 베어러가 설정된 후, S10 및 S20은 전용 베어러(Dedicated Bearer)를 설정하는 절차로서, 2) 먼저, S10은 단말(100)이 베어러 설정 주체를 단말로 설정(즉, ‘BIS = UE’ 로 설정)하여 네트워크 노드(200)에 전용 베어러 개시 요청메시지(Dedicated bearer initiated request)를 보내는 일련의 절차이고; 3) S20은 네트워크 노드(200)가 베어러 설정 주체를 네트워크로 설정(즉, ‘BIS = NW’ 로 설정)하여 단말(100)에 전용 베어러 개시 요청메시지(Dedicated bearer initiated request)를 보내는 일련의 절차이다. 한편, 도 7에서, 네트워크 노드(200)는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W), 또는 PDN GW, 또는 PCEF를 포함한 노드 일 수 있다. 이하, 네트워크 노드(200)는 PCEF를 포함한 노드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한편, ‘전용 베어러 개시 요청메시지(Dedicated bearer initiated request message)’란 특정 서비스를 위한 전 용의 베어러 설정을 요청하는 메시지(즉, dedicated establishment request message)이다.
이하,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디폴트 베어러가 설정되는 절차를 설명한다(S1 ~ S4).
단말(100)가 네트워크(즉, PCEF)에 어태치(attach) 시 디폴트 베어러 개시 요청메시지(default bearer initiated request)를 보냄으로써, 디폴트 베어러 설정(default bearer setup)을 시작한다(S1). 이때, 네트워크 노드(200)인, 게이트웨이(즉, PCEF)는 PCRF(300)에게 사업자 규칙(operator policy)를 요청할 수도 있다(S2). 그러나, 만일 PCEF(200)가 위치한 노드에 이미 사업자 규칙(operator policy)이 저장되어 있다면, 상기 절차(S2)는 수행되지 않을 것이다.
네트워크 노드(200)는 단말(100)이 요청한 디폴트 베어러를 설정할 수 있는지를 사업자 규칙 및 네트워크의 상황 등에 기초하여 판단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단말(100)에게 보낸다(S3).
상기 단계(S3)의 응답이 디폴트 베어러를 설정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응답이 왔다면, 단말(100)와 네트워크 노드(200) 사이에 디폴트 베어러(default bearer)가 생긴다(S4).
이하, 상기 S1 ~ S4를 통하여 디폴트 베어러가 설정된 후, 단말(100)이 네트워크 노드(200)와 전용 베어러를 설정하는 절차이다(S10).
단말(100)은 특정 어플리케이션 서비스(application service)를 위한 전용베어러(dedicated bearer)를 만들고자, 베어러 개시 요청메시지(Dedicated bearer initiated request message)를 네트워크 노드(200)로 보낸다(S11). 이때, 상기 요청메시지는 BIS 필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BIS 필드는 ‘BIS = UE’로 세팅된다. 즉, BIS 필드가 단말(UE)로 세팅된 것은, 곧 단말(100)이 상기 전용 베어러 설정의 주체임을 가리킨다. 따라서, 상기 단계(S11)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네트워크 노드(200)는, 상기 요청메시지에 포함된 BIS 필드를 검사함으로써, 베어러 설정의 주체가 단말임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네트워크 노드(200)는 자신이 이미 저장하고 있는 사업자 규칙을 참조할 수도 있지만, 반면 필요한 경우 사업자 규칙에 대한 정보를 PCRF(300)와의 상호 동작(interaction)을 통해 얻을 수 있다(S12). 즉, 상기 단계(S12)는 선택사양에 해당된다.
네트워크 노드(200)가 사업자 규칙과 네트워크 상황 등을 고려한 결과, 단말의 상기 요청(즉, S11의 전용 베어러 개시 요청메시지)을 승인(accept)하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네트워크 노드(200)는 해당 베어러(bearer)에 대한 베어러 정보 콘텍스트 테이블(bearer information context table)에 여러 가지 베어러 관련 정보를 기록한다(S13). 이때, BIS 필드도 포함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상기 해당 베어러가 ‘Bearer 1’이고 클래스가 ‘Class 1’이라면, 도 6의 베어러 정보 콘텍스트 테이블과 같이, ‘Bearer 1’에 ‘Class 1’과 ‘BIS’ 필드는 ‘UE’ 로 기록될 것이다. 또한, 상기 해당 베어러가 ‘Bearer 3’ 또는 ‘Bearer 4’라면, 도 6의 ‘Bearer 3’과 ‘Bearer 4’ 각각의 라인과 같이 기록될 것이다. 한편, 이러한 네트워크 노드(200)의 기능은 네트워크 노드(200) 내에 구성된 일명 처리부 (또는 제어부)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단계(S12 및 S13)를 통하여, 네트워크 노드(200)가 단말(100)이 요청한 전용 베어러(dedicated bearer)를 설정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Dedicated bearer initiated response)를 단말(100)에게 보낸다(S14). 이때, 상기 응답 메시지가 긍정적인 응답이라면, 즉 네트워크 노드(200)가 단말(100)의 요청(즉, S11에 해당함)을 승인하는 것이라면, 단말(100)이 베어러 정보 콘텍스트 테이블의 BIS 필드를 ‘UE’로 기록할 수 있다(S15). 상기 단계(S15)는 선택사항(optional)일 수 있다.
단말(100)이 상기 단계(S14)의 응답메시지를 확인하여 네트워크 노드(200)가 단말(100)의 상기 요청(즉, S11에 해당함)을 승인하는 것이라면, 단말(100)과 네트워크 노드(200) 간에 해당 전용 베어러(dedicated bearer)가 생긴다(S16).
이하, 일련의 절차, S20을 설명한다. S20은 또 다른 실시 예이다. 즉, 상기 S1 ~ S4를 통하여 디폴트 베어러가 설정된 후, 네트워크 노드(200)가 단말(100)에 전용 베어러를 설정을 요청하는 일련의 절차이다(S10).
네트워크 노드(200)는 자신이 이미 저장하고 있는 사업자 규칙을 참조할 수도 있지만, 반면 필요한 경우 사업자 규칙에 대한 정보를 PCRF(300)와의 상호 동작(interaction)을 통해 얻을 수 있다(S21). 상기 단계(S21)는 필수(madatory)가 아닌 선택(optional)적인 절차일 수 있다.
사업자 규칙 및 네트워크 상황 등을 고려한 후, 네트워크 노드(200)는 특정 사업자 기반 서비스(operator-based service)를 위한 전용 베어러(dedicated bearer)를 만들고자 할 때, 네트워크 노드 (200)는 전용 베어러 개시 요청메시지(Dedicated bearer initiated request message)를 단말(100)로 보낸다(S22). 이때, 상기 요청메시지는 BIS 필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BIS 필드는 ‘BIS = NW’로 세팅된다. 즉, BIS 필드가 네트워크(NW)로 세팅된 것은, 곧 네트워크 노드(200)가 상기 전용 베어러 설정의 주체임을 가리킨다. 상기 단계(S22)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100)은 상기 요청메시지에 포함된 BIS 필드를 검사함으로써, 베어러 설정의 주체가 네트워크임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단말(100)이 네트워크 노드(200)의 전용 베어러 설정에 대한 요청(즉, S22에 해당함)를 승인(accept) 할 수 있는 경우, 해당 베어러의 대한 베어러 정보 콘텍스트 테이블에 여러 가지 bearer 관련 정보를 기록한다(S23). 이때, BIS 필드도 기록될 것이다. 상기 단계(S23)는 필수(madatory)가 아닌 선택(optional)적인 절차일 수 있다.
단말(100)은 상기 단계(S22)에서 네트워크 노드(200)가 요청한 전용 베어러(dedicated bearer)를 설정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즉, Dedicated bearer initiated response)를 네트워크 노드(200)에게 보낸다(S24).
만일 단말(100)로부터 긍정적인 응답이 수신되면, 네트워크 노드(200)는 BIS 필드를 ‘NW’로 기록한다(즉, BIS = UE)(S25). 그리고, 단말(100)와 네트워크 노드(200) 간에 해당 전용 베어러(dedicated bearer)가 생긴다(S26).
이상, 도 7의 실시 예에서, 베어러의 설정의 주체는 베어러 설정 요청메시지(즉, 도 7에서, S11 및 S22에 해당함) 내의 BIS 필드에 셋팅된 값(즉, BIS = UE 또는 BIS = NW)을 통하여 알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베어러 수정 주체를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8의 제2 실시 예는, 도 7의 S10 또는 S20을 통하여 단말(100)과 네트워크 노드(200) 간의 전용 베어러가 생성된 상태를 전제로 하고, 크게 2개의 절차로 설명할 수 있다: 즉, 1) 단말(100)이 주체가 되어 베어러 수정을 개시하는 일련의 절차 S30과; 2) 네트워크 노드(200)가 주체가 되어 베어러 수정을 일련의 절차 S40은 이다. 한편, 도 8에서, 네트워크 노드(200)는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W), 또는 PDN GW, 또는 PCEF를 포함한 노드 일 수 있다. 이하, 네트워크 노드(200)는 PCEF를 포함한 노드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한편, 도 8에서 베어러의 수정이란, 도 7의 S10 또는 S20을 통하여 생긴 단말(100)과 네트워크 노드(300) 간에 전용 베어러에 대하여 QoS를 업데이트 시키는 것이고, 본 발명은 이미 설정된 전용 베어러의 QoS의 업데이트의 주체가 어떤 엔티티인지를 가리키는 정보, 즉 BMS 필드를 정의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단말(100) 또는 네트워크 노드(200)가 주체가 되어 개시한 전용 베어러(dedicated bearer)가 단말(100)과 네트워크 노드(200) 간에 설정(setup)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하, 단말(100)이 주체가 되어 개시하는 베어러 수정 절차(S30)를 설명한다.
단말(100)은 특정 어플리케이션 서비스(application service)를 위한 현재 설정되어 있는 전용 베어러(dedicated bearer)의 QoS를 업데이트하려는 경우, 베어 러 수정 요청메시지(즉, 도 8에서 Dedicated bearer modification message)를 네트워크 노드(200)로 보낸다(S31). 이때, 상기 베어러 수정 요청메시지는 BMS 필드를 포함하고 있고, 이 BMS 필드의 값은 ‘UE’로 설정된다(즉, BMS = UE). 이와 같이 설정된 BMS필드를 포함하고 베어러 수정 요청메시지를 통하여, 단말(100)이 전용 베어러를 업데이트 시키는 주체임을 알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노드(200)는 자신이 이미 저장하고 있는 사업자 규칙을 참조할 수도 있지만, 반면 필요한 경우 사업자 규칙에 대한 정보를 PCRF(300)와의 상호 동작(interaction)을 통해 얻을 수 있다(S32). 즉, 상기 단계(S32)는 필수(madatory)가 아닌 선택(optional)적인 절차일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200)가 사업자 규칙과 네트워크 상황 등을 고려한 결과, 단말의 상기 요청(즉, S31의 베어러 수정 요청메시지)을 승인(accept)하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네트워크 노드(200)는 해당 베어러(bearer)에 대한 베어러 정보 콘텍스트 테이블(bearer information context table)에 여러 가지 베어러 관련 정보를 기록한다(S33). 이때, BMS 필드의 값도 ‘UE’로 업데이트된다. 한편, 이러한 네트워크 노드(200)의 기능(즉, 베어러 정보 콘텍스트 테이블에 베어러 관련 정보를 기록하는 것)은 네트워크 노드(200) 내에 구성된 일명 처리부(또는 제어부)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단계(S31 및 S32)를 통하여, 네트워크 노드(200)가 단말(100)이 요청한 전용 베어러(dedicated bearer)를 수정(예를 들어, 전용 베어러의 QoS의 업데이트)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즉, 도 8에서 Dedicated bearer modification response message)를 단말(100)에게 보낸다(S34). 이때, 상기 응답 메시지가 긍정적인 응답이라면, 즉 네트워크 노드(200)가 단말(100)의 요청(즉, S31에 해당함)을 승인하는 것이라면, 단말(100)이 베어러 정보 콘텍스트 테이블의 BMS 필드를 ‘UE’로 기록할 수 있다(S35). 상기 단계(S15)는 필수(madatory)가 아닌 선택(optional)적인 절차일 수 있다.
단말(100)이 상기 단계(S34)의 응답메시지를 확인하여 네트워크 노드(200)가 단말(100)의 상기 요청(즉, S31에 해당함)을 승인하는 것이라면, 단말(100)과 네트워크 노드(200) 간에 해당 전용 베어러(dedicated bearer)가 업데이트된다(S36).
이하, 일련의 절차, S40을 설명한다. S40은 또 다른 실시 예이다. 즉, 상기 단말(100)과 네트워크 노드(200) 간에 특정 서비스(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또는 사업자 기반 서비스)에 대한 전용 베어러가 설정된 후, 네트워크 노드(200)가 단말(100)에 현재 설정되어 있는 전용 베어러의 QoS를 업데이트하는 일련의 절차이다(S40).
네트워크 노드(200)는 자신이 이미 저장하고 있는 사업자 규칙을 참조할 수도 있지만, 반면 필요한 경우 사업자 규칙에 대한 정보를 PCRF(300)와의 상호 동작(interaction)을 통해 얻을 수 있다(S41). 상기 단계(S41)는 필수(madatory)가 아닌 선택(optional)적인 절차일 수 있다.
사업자 규칙 및 네트워크 상황 등을 고려한 후, 네트워크 노드(200)는 특정 사업자 기반 서비스(operator-based service)를 위해 이미 설정된 전용 베어러(dedicated bearer)의 QoS를 업데이트시키고자 할 때, 네트워크 노드 (200)는 베 어러 수정 요청메시지(즉, 도 8에서 Dedicated bearer modification request message)를 단말(100)로 보낸다(S42). 이때, 상기 요청메시지는 BMS 필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BIS 필드는 ‘BMS = NW’로 세팅된다. 즉, BMS 필드가 네트워크(NW)로 세팅되어 있다는 것은, 곧 네트워크 노드(200)가 상기 전용 베어러 수정의 주체임을 가리킨다. 따라서, 상기 단계(S42)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100)은 상기 요청메시지에 포함된 BMS 필드를 검사함으로써, 베어러 수정의 주체가 네트워크임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베어러 수정 요청메시지 내의 BMS 필드를 통하여 베어러 수정의 주체를 어떤 엔티티인지를 알 수 있고, 이를 근거로 베어러의 QoS를 관리할 수 있다.
단말(100)이 네트워크 노드(200)의 전용 베어러의 수정(즉, 특정 전용 베어러에 대한 QoS의 업데이트)에 대한 요청(즉, S22에 해당함)를 승인(accept) 할 수 있는 경우, 해당 베어러의 대한 베어러 정보 콘텍스트 테이블에 여러 가지 베어러 관련 정보를 기록한다(S43). 이때, BMS 필드도 ‘NW’로 기록될 것이다. 상기 단계(S43)는 필수가 아닌 선택적인 절차일 수 있다.
단말(100)은 상기 단계(S42)에서 네트워크 노드(200)가 요청한 전용 베어러(dedicated bearer)를 수정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즉, Dedicated bearer modification response message)를 네트워크 노드(200)에게 보낸다(S44).
만일 단말(100)로부터 긍정적인 응답이 수신되면, 네트워크 노드(200)는 BMS 필드를 ‘NW’로 기록한다(즉, BMS = UE)(S45). 한편, 상기 단계(S45)는 필수 절차가 아닌 선택적인 절차일 수 있다.
그리고, 단말(100)와 네트워크 노드(200) 간에 해당 전용 베어러(dedicated bearer)가 수정된다(S46).
이상, 도 8의 제2 실시 예에서, 베어러의 수정의 주체는 베어러 수정 요청메시지(즉, 도 8에서, S31 및 S42에 해당함) 내의 BMS 필드에 셋팅된 값(즉, BMS = UE 또는 BMS = NW)을 통하여 알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로서, 다수의 단말들과 형성된 복수의 베어러를 수정하여 QoS를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다만, 도 9의 제3 실시 예에서, Class X에 속한 베어러들 중 BIS=NW로 설정되어 있는 베어러들에 대해서 QoS를 update 시키는 것으로 전제한다. 또한, 도 9의 제3 실시 예는 네트워크 노드(200)가 베어러 수정의 주체가 되는 것으로 전제한다.
도 7의 S10 또는 S20 절차를 통하여, 단말1(100)과, 단말2(101)과, 단말3(102)와 네트워크 노드(200) 사이에, 각 단말 또는 네트워크가 개시한 전용 베어러(dedicated bearer)가 설정(setup) 되어 있는 상태이다(S51).
네트워크 노드(200)는 어떤 사업자 규칙(operator policy)을 참조하여(S52) 특정 그룹에 속한 전용 베어러(dedicated bearers)들에 대한 QoS를 업데이트시키고자 한다(S53). 한편, 사업자 규칙은 네트워크 노드(200)가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경우, PCEF를 참조할 수도 있고, PCRF(300)와 상호작용을 통하여 참조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노드(200)는 Class X 중 BIS필드가 ‘NW’로 설정된 단말1(100)과 단말2(101)로 베어러 수정 요청메시지(도 9에서, Dedicated bearer modification request message)를 보낸다(S54). 이때, 각 베어러 수정 요청메시지 내의 BMS 필드는 ‘NW’로 설정하여 보낸다. 따라서, BMS 필드의 값(즉, NW)을 통하여 상기 베어러 수정 요청의 주체가 네트워크 노드(200)임을 알 수가 있다.
상기 베어러 수정 요청메시지를 수신한 각 단말, 즉 단말1(100)과 단말2(101)은 네트워크 노드(200)가 요청한 전용 베어러를 수정(또는 갱신, 또는 삭제)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네트워크 노드(200)에 보낸다(S55).
단말(100)은 상기 단계(S54)에서 네트워크 노드(200)가 요청한 전용 베어러(dedicated bearer)를 수정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즉, Dedicated bearer modification response message)를 네트워크 노드(200)에게 보낸다(S55).
만일 단말(100)로부터 긍정적인 응답이 수신되면, 네트워크 노드(200)는 BMS 필드 또는 히스토리 필드를 ‘NW’로 갱신(또는 기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절차를 통하여, 단말1(100) 및 단말2(101)와 네트워크 노드(200) 간에 해당 전용 베어러(dedicated bearer)가 업데이트된다.
도 9의 제1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베어러 설정 및/또는 수정의 주체가 누구인지를 가리키는 BIS 필드 및/BMS 필드를 이용함으로써, 클래스 별, 그룹별, 베어러 설정 또는 수정의 주체에 따라 네트워크 환경 및 상황을 고려하여 여러가지 방법으로 해당 베어러의 QoS를 관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단말(100)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도 6 내지 도 9의 실시 예를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또 는 그 소프트웨어가 장착된 모듈을 포함한다. 이러한 모듈은, 단말의 일 구성요소로서, 처리부 또는 제어부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100)은,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실행하기 필요한 필수적인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단말의 처리부는, 네트워크 노드(200)가 전송한 베어러 설정요청 메시지에 BIS 필드가 있는지를 검사(확인)하고 그 BIS 필드의 설정값을 분석하여 베어러 설정의 주체가 단말인지 네트워크 노드인지를 검사하고, 또는 네트워크 노드(200)가 전송한 베어러 수정요청 메시지에 BMS 필드가 있는지를 검사(확인)하고 그 BIS 필드의 설정값을 분석하여 베어러 설정의 주체가 단말인지 네트워크 노드인지를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부는 베어러 설정에 대한 정보 또는 베어러 수정에 대한 정보를 베어러 정보 콘텍스트 테이블에 기록(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부는 네트워크에 베어러 설정 또는 수정 요청메시지를 보낼 때, 그 요청메시지에 BIS필드(또는 BMS 필드)의 값(예를 들어, BIS = UE, BMS = UE)을 설정하여 네트워크로 보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상기 BIS 필드를 포함하는 베어러 설정 요청메시지와, 상기 BMS 필드를 포함하는 베어러 수정 요청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그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출력장치로서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와; 입력장치로서 키패드 및 마이크와; 단말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단말이 지원 가능한 이동성 프로토콜 목록 등이 저장된 저장장치(메모리) 등과 같이 단말의 기본적인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또는 그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모듈)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의 각 기능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바, 이를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200)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200)는 도 6 내지 도 9의 실시 예를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그 소프트웨어가 장착된 모듈을 포함한다. 이러한 모듈은 처리부 또는 제어부라고 칭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또는 서버, 또는 게이트웨이, 또는 장치)의 처리부는 단말로부터 수신한 베어러 설정/수정 요청메시지 내의 BIS필드/BMS 필드를 검사하여 베어러의 설정 또는 수정의 주체가 단말인지 또는 네트워크인지를 검사(확인)하고, 베어러 설정/수정 요청메시지 내의 BIS필드/BMS 필드의 값을 세팅하여 단말에게 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처리부는 베어러 사업자 규칙을 특정 엔티티(예를 들어, PCEF 또는 PCRF)와 상호작용을 통하여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의 노드의 처리부는 BIS 필드 및/또는 BMS 필드와, 클래스 별로, 그룹 별로 분류 또는 통합하여, 베어러들의 QoS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이미 설정되어 있는 베어러들을 수정 및 관리한다.
그 외에도,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메시지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한편, 여기까지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저장 매체(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 내부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하드 디스크, 기타 등등)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 내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내에 코드들 또는 명령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3GPP 네트워크의 참조 모델(reference model)이다.
도 2는 SAE QoS를 제공하기 위한 EPC 베어러의 개념도이다.
도 3은 종래 베어러의 설정 및 수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또 다른 종래 베어러의 설정 및 수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단말 및 네트워크의 QoS 클래스와 그롭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베어러 정보 콘텍스트 테이블의 예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베어러 설정 주체를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베어러 수정 주체를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로서, 다수의 단말들과 형성된 복수의 베어러를 수정하여 QoS를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Claims (24)

  1. 네트워크 노드가 베어러 관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베어러 설정 요청메시지를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베어러 정보를 관리하는 테이블을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요청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에게 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베어러 관리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PCEF(Policy and Charging Enforcement Function) 또는 PCRF(Policy and Charging Rule Function)와 상호작용을 하여
    사업자 규칙을 조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베어러 관리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러 관리에 대한 정보를
    BIS(Bearer Initiation Subjection) 필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베어러 관리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BIS 필드는
    단말(UE)로 셋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베어러 관리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BIS 필드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단말 간에 생성될 베어러의 설정 주체가 상기단말인지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인지를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베어러 관리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러 정보와 관련된 테이블은
    베어러 정보 콘텍스트 테이블(Bearer information context tab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베어러 관리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러 정보 콘텍스트 테이블은
    BIS 필드와 BMS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베어러 관리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또는 PDN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 또는 PCEF를 포함하는 노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 스템에서의 베어러 관리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과 베어러가 설정된 후,
    상기 설정된 베어러의 QoS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상기 설정된 베어러를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베어러 관리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BMS 필드가 포함된 베어러 수정 요청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요청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에게 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베어러 관리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BMS 필드
    단말(UE)로 셋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베어러 관리 방법.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에 BMS 필드가 포함된 베어러 수정 요청메시지를 보내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요청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베어러 관리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BMS 필드
    네트워크(NW)로 셋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베어러 관리 방법.
  14. 네트워크 노드가 베어러 관리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베어러 설정 요청메시지를 하나 이상의 단말에 보내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요청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베어러 관리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PCEF(Policy and Charging Enforcement Function) 또는 PCRF(Policy and Charging Rule Function)와 상호작용을 하여
    사업자 규칙을 조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 스템에서의 베어러 관리 방법.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러 관리에 대한 정보를
    BIS(Bearer Initiation Subjection) 필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베어러 관리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BIS 필드는
    네트워크(NW)로 셋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베어러 관리 방법.
  18.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과 베어러가 설정된 후,
    상기 설정된 베어러의 QoS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상기 설정된 베어러를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베어러 관리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BMS 필드가 포함된 베어러 수정 요청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요청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하나 이 상의 단말에게 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베어러 관리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BMS 필드
    단말(UE)로 셋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베어러 관리 방법.
  21.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에 BMS 필드가 포함된 베어러 수정 요청메시지를 보내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요청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베어러 관리 방법.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BMS 필드
    네트워크(NW)로 셋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베어러 관리 방법.
  23. 네트워크 노드가 전송한 베어러 설정요청 메시지에 BIS 필드가 있는지를 검사(확인)하고, 그 BIS 필드의 설정값을 분석하여 베어러 설정의 주체가 단말인지 네트워크 노드인지를 검사하고,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전송한 베어러 수정요청 메시지에 BMS 필드가 있는지를 검사(확인)하고 그 BIS 필드의 설정값을 분석하여 베어러 설정의 주체가 단말인지 네트워크 노드인지를 검사하는 처리부와;
    상기 BIS 필드를 포함하는 베어러 설정 요청메시지 및/또는 상기 BMS 필드를 포함하는 베어러 수정 요청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베어러 설정에 대한 정보 또는 베어러 수정에 대한 정보를 베어러 정보 콘텍스트 테이블에 기록하고,
    상기 베어러 설정 요청메시지를 보낼 때 그 베어러 설정 요청메시지에 BIS필드를 설정하여 포함시키고,
    또한 상기 베어러 수정 요청메시지를 보낼 때 그 베어러 수정 요청메시지에 BMS필드를 설정하여 포함시켜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080053328A 2007-06-22 2008-06-05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베어러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0549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4576107P 2007-06-22 2007-06-22
US60/945,761 2007-06-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2946A true KR20080112946A (ko) 2008-12-26
KR101054967B1 KR101054967B1 (ko) 2011-08-05

Family

ID=40548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3328A KR101054967B1 (ko) 2007-06-22 2008-06-05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베어러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496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8815A3 (en) * 2009-05-08 2011-0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upporting pdn gw selection
KR20110034943A (ko) * 2009-09-29 2011-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Ims 망에서 ip-can 세션 변경 장치 및 방법
WO2011055966A3 (en) * 2009-11-06 2011-10-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uplink common bearer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20120010553A (ko) * 2010-07-26 2012-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2025031A1 (zh) * 2010-08-23 2012-03-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本地接入的承载建立方法及系统
WO2013048187A2 (en) * 2011-09-28 2013-04-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crf and pcc rule setting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844B1 (ko) * 2006-02-10 2012-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알에이비 설정장치 및 방법
KR101192491B1 (ko) * 2006-08-31 2012-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0835286B1 (ko) 2006-12-22 2008-06-05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무선 베어러 설정을 위한 재전송 시퀀스 설정 시스템 및 그방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56410B2 (en) 2009-05-08 2016-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upporting PDN GW selection
WO2010128815A3 (en) * 2009-05-08 2011-0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upporting pdn gw selection
KR20110034943A (ko) * 2009-09-29 2011-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Ims 망에서 ip-can 세션 변경 장치 및 방법
WO2011040740A2 (en) * 2009-09-29 2011-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session in a packet switched network
WO2011040740A3 (en) * 2009-09-29 2011-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session in a packet switched network
US9497791B2 (en) 2009-09-29 2016-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session in a packet switched network
WO2011055966A3 (en) * 2009-11-06 2011-10-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uplink common bearer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379657B2 (en) 2009-11-06 2013-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uplink common bearer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9668247B2 (en) 2009-11-06 2017-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uplink common bearer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9042393B2 (en) 2009-11-06 2015-05-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uplink common bearer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20120010553A (ko) * 2010-07-26 2012-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2025031A1 (zh) * 2010-08-23 2012-03-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本地接入的承载建立方法及系统
US9450767B2 (en) 2011-09-28 2016-09-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CRF and PCC rule setting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O2013048187A3 (en) * 2011-09-28 2013-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Pcrf and pcc rule setting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O2013048187A2 (en) * 2011-09-28 2013-04-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crf and pcc rule setting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4967B1 (ko) 2011-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37093A1 (en) Method for supporting and providing ladn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EP2938131B1 (en) Capability exposure system, gateway, proxy, and method of wireless network
JP5793812B2 (ja) データオフロードをトリガするための方法、ネットワーク側デバイス、ユーザ機器、およ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9277522B2 (en) Exchanging rich communication suite capability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s system
KR20200035146A (ko)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데이터 애널리틱스
US8750140B2 (en) Support of home network base station local internet protocol access
US94082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amless Wi-Fi to UMTS handover
EP2760244A1 (en) Dynamic optimization of radio network resources based on user equipment type smartphone
US20190124496A1 (en) Private mobile edge computing data center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CN105340301A (zh) 在通信网络上更新富通信套件能力信息
KR101054967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베어러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140211619A1 (en) Probabilistic retention of the quality of service (qos) bearer for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service as voice over long term evolution (volte)
KR102476193B1 (ko) 레이트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9642109B2 (en) Single network registration where multiple applications access the network using separate processors
US20190313234A1 (en) Interception aware access node selection
US20220360670A1 (en) System and method to enable charging and policies for a ue with one or more user identities
US20140068064A1 (en) Method for qos management in home and roaming scenarios based on location/app server assistance
JP2021530149A (ja) リダイレクション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
KR2021002962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자동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88956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ging over WiFi for mobile terminating calls
KR10101365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성 프로토콜 선택 및 관리 방법및 장치
CN113169884B (zh) 移除应用标识符
JP2022524738A (ja) 課金方法および装置
EP4401464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WO2021208659A1 (zh) 通信接口切换的方法和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