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5172A - 동축케이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동축케이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5172A
KR20080105172A KR1020087026310A KR20087026310A KR20080105172A KR 20080105172 A KR20080105172 A KR 20080105172A KR 1020087026310 A KR1020087026310 A KR 1020087026310A KR 20087026310 A KR20087026310 A KR 20087026310A KR 20080105172 A KR20080105172 A KR 20080105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axial cable
contact cell
wall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6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1065B1 (ko
Inventor
마이클 에프. 롭
리차드 제이. 페르코
씬 피. 맥카르씨
제리 에이치. 보거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80105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5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03Connection between two cable e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H01R13/6593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the shield being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7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contact of the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8Contacts for sliding cooperation with identically-shaped contact, e.g. for hermaphroditic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4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동축케이블 커넥터는 중심 컨덕터와 외부 컨덕터를 갖는 동축케이블을 상호접속하기 위해 제공된다. 동축케이블 커넥터는 동축케이블 커넥터를 통과하는 신호에 의해서 발생된 전기장에 적합한 스트립 라인 구조를 한정하는 콘택트 및 셀 배열체를 이용한다. 콘택트와 셀에는 중심 도전성 스트립이 판상형 접지 스트립들 사이에 샌드위치되고 이들 모두가 유전재료에 의해서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서로 평행하게 정렬된 판상형 컨덕터가 형성된다. 콘택트 평면과 접지 평면의 폭과 두께, 이들 사이의 간격 및 유전재료는 용이하고 신뢰성있고 비용효과적인 방법으로 제작가능하다.
Figure P1020087026310
절연 하우징, 콘택트 셀, 블레이드 콘택트, 리셉터클 콘택트

Description

동축케이블 커넥터{COAXIAL CABLE CONNECTOR}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 제하의 2001년 12월 5일 출원되고 공동계류중인 출원번호 제10/004,979호[타이코 관리번호 제17712호(MHM 관리번호 제13228US02)]에 관련된다. 공동계류중인 출원은 공동 출원인으로서 마이클 에프. 롭; 리차드 제이. 페르코; 존 피. 후스, 주니어; 그리고 챨스 알. 말스트롬을 지정하고, 본 출원과 동일한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명세서, 도면, 청구범위, 요약서 등을 포함하는 전체에 참조문헌으로서 여기에 합체된다.
본 발명의 소정 실시예는 동축케이블을 상호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고, 특히 스트립 라인 구조로 배열된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소정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커넥터용 접지차폐 및 중심 콘택트 배열체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 커넥터는 동축케이블을 상호접속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일반적으로, 동축케이블은 케이블 유전물질에 의해 둘러싸인 중심 컨덕터(하나 이상의 도전성 와이어로 이루어짐)가 형성된 원형 구조를 갖는다. 유전물질은 케이블 브레이드(cable braid; 하나 이상의 도전성 와이어로 이루어짐)로 둘러싸이고, 상기 케이 블 브레이드는 케이블 자켓(cable jacket)에 의해 둘러싸인다. 대부분의 동축케이블 분야에서, 동축케이블의 양단부에 위치된 발신 및 수신 전기부품(source and destination electrical components) 사이의 임피던스를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론적으로, 동축케이블의 구역이 상호연결된 때, 임피던스는 상호연결을 통해서 일치된 상태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동축 커넥터는 동축케이블의 원형 구조에 부합시키기 위하여 부분적으로는 일반적인 원형 부품으로부터 형성된다. 원형 부품은 실행하기가 어려운 스크류 가공 및 다이캐스트 공정을 사용하여 전형적으로 제작된다. 제작 공정의 어려움이 증가함에 따라, 개별 부품 각각을 제작하는 비용은 유사하게 증가한다. 따라서, 종래 동축 커넥터는 제작하기에 약간 비싸지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동축 커넥터용 원형 구조의 대부분은 군사적 요구에 기인된 인터페이스 기준에 근거되어 개발되었다. 이러한 원형 구조에 적합한 다소 값이 비싼 제작 공정은 군사 시스템 등과 마찬가지로 작은 부피의 고가인 응용에 만족스러웠다.
오늘날, 그러나, 동축케이블은 더욱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동축케이블의 폭넓은 응용은 동축케이블 커넥터에 적합한 큰부피의 저렴한 제작 공정을 요구한다. 최근에, 자동차 산업과 같은 분야에서 무선 주파수(RF) 동축케이블에 대한 요구가 발생하였다. 자동차 산업에서 RF 동축케이블에 대한 요구는 AM/FM 라디오, 셀룰러폰, GPS, 위성 라디오, Blue ToothTM 호환 시스템 등과 같이 자동차 내부의 증가된 전기부품에 부분적으로 기인된다. 또한, 동축케이블과 커넥터를 조립하기 위한 종래 기술은 자동화에 적합하지 않고, 시간소모적이고 고가이다. 종래 조립기술은 하기의 일반적인 과정을 포함한다:
a) 케이블 위의 페룰(ferrule)을 활주시킨 후에, 자켓을 벗겨서 외부 도전성 브레이드를 노출시키고,
b) 외부 도전성 브레이드를 페룰 위에서 후방으로 접어 유전층의 일부를 노출시키고,
c) 유전층의 노출된 부위를 벗겨서 내부 컨덕터의 일부를 노출시키고,
d) 콘택트를 내부 도전체에 접속시키고,
e) 콘택트를 외부 도전성 브레이드에 접속시킨다.
커넥터와 동축케이블을 조립하기 위한 상술된 과정은 용이하게 자동화되지 않고 시간 소모적이고 고비용인 공정이 되게 하는 여러번의 수동 단계를 요구한다.
동축케이블에 대한 오늘날의 증가된 요구는 동축 커넥터에 대한 설계와 그의 제작 및 조립의 방법을 개선시키는 필요성을 야기시킨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동축케이블 커넥터는 중심 컨덕터와 외부 컨덕터를 갖는 동축케이블을 상호접속하기 위해 제공된다. 커넥터는 서로 정합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동축케이블과 제2동축케이블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절연 하우징과 제2절연 하우징을 포함한다. 절연 하우징은 개별 동축케이블의 중심 컨덕터에 고정식으로 부착하도록 구성된 제1중심 콘택트와 제2중심 콘택트를 수용하는 공동부를 포함한다. 제1외부 접지 콘택트와 제2외부 접지 콘택트는 개별 동축케이블의 외부 컨덕터에 고정식으로 부착하도록 구성되고 제1절연 하우징과 제2절연 하우징에 각각 고정가능하다. 제1중심 콘택트와 제2중심 콘택트중 적어도 하나는 제1외부 접지 콘택트와 제2외부 접지 콘택트의 판상형 측면(planar side)들 사이에 배열된 판상형 본체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절연 하우징과 제2절연 하우징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상부벽, 바닥벽 및 측벽을 포함한다. 제1외부 접지 콘택트는 직사각형의 U자형인 양측벽이 형성되고 대응하는 절연 하우징 위에 삽입된 개방형 전방면을 갖는 후방벽을 포함한다. 제1절연 하우징과 제2절연 하우징은, 결합된 때, 제1외부 접지 콘택트와 제2외부 접지 콘택트의 판상형 측면에 연결되고 편평하게 마주하는 벽(opposed walls)을 한정한다. 임의적으로, 절연 하우징은 지그재그형 정합면(staggered mating face)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중심 콘택트에는 블레이드 콘택트와 리셉터클 콘택트가 형성된다. 블레이드 콘택트는 제1외부 접지 콘택트와 제2외부 접지 콘택트의 판상형 측면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접촉면에 배열된다. 제1외부 접지 콘택트 및 제2외부 접지 콘택트와 중심 콘택트는 스트립 라인 구조를 형성하도록 협력한다. 임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1중심 콘택트와 제2중심 콘택트의 판상형 측면은 제1외부 접지 콘택트와 제2외부 접지 콘택트의 판상형 측면들 사이에 샌드위치된다. 중심 콘택트와 외부 접지 콘택트는 블레이드 콘택트의 판상형 측면의 마주하는 측면 부근에 집중된 전기장을 생성한다. 전기장은 중심 콘택트와 외부 접지 콘택트의 판상형 측면에 수직인 축을 따라서 연장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중심 컨덕터와 외부 컨덕터를 갖는 동축케이블에 접속가능한 정합형 커넥터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커넥터는 동축케이블의 중심 컨덕터와 외부 컨덕터에 개별적으로 고정가능한 중심 콘택트와 외부 콘택트를 포함한다. 중심 컨덕터와 외부 컨덕터는 커넥터 하우징에 의해 고정식으로 지지되고 외부 콘택트들 사이에 샌드위치되는 중심 콘택트와 평행한 평면으로 배열된다.
임의적으로, 외부 콘택트에는 중심 콘택트를 둘러싸도록 서로 연결하는 U자형 직사각형 셀(shell)이 형성될 수 있다. 중심 컨덕터와 외부 컨덕터는 스트립 라인 구조를 형성하도록 협력할 수 있다. 전기장은 중심 콘택트의 마주하는 측면에 집속되고 콘택트들이 배열된 평행평면에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한 쌍의 동축케이블에 접속가능하도록 구성된 양단부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동축케이블 커넥터가 제공된다. 커넥터는 판상형 본체를 갖는 중심 콘택트를 포함한다. 중심 콘택트는 컨덕터와 한 쌍의 동축케이블에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커넥터는 한 쌍의 동축케이블의 접지 컨덕터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접지 콘택트를 더 포함한다. 접지 콘택트와 중심 콘택트는 하우징에 의해서 지지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임의적으로, 접지 콘택트는 판상형 본체들을 가질 수 있고 중심 콘택트의 판상형 본체의 양측면에 위치된다. 접지 콘택트의 판상형 본체들은 중심 콘택트의 판상형 본체에 평행하게 배열된다.
한 쌍의 동축케이블 각각은 동축케이블의 주위에서 원주상으로 대칭인 전기장을 형성한다. 동축케이블 커넥터의 중심 콘택트와 접지 콘택트는 접지 콘택트에 대해 중심 콘택트 주위에서 비대칭 분포를 갖는 전기장을 형성하여, 전기장 분포는 원주상으로 대칭인 분포(제1동축케이블 주위)에서 비대칭인 분포(접지 콘택트에 대해 중심 콘택트 주위)로 변형되고 다시 원주상으로 대칭인 분포(제2동축케이블 주위)로 변형된다. 접지 콘택트와 중심 콘택트에 의해서 형성된 전기장은 다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지만, 일반적으로 동축케이블 커넥터에서 블레이드 콘택트에 수직인 외향으로 연장하는 영역에 집속 또는 집중된다.
접지 콘택트는 중심 콘택트의 판상형 본체에 평행하게 배열된 본체구역을 포함하고 중심 콘택트의 판상형 본체에 수직으로 배열된 측벽을 더 포함하며, 이에 의해서 중심 콘택트를 전체적으로 둘러싸서 바람직한 전기장 분포를 더 제어하고 제공한다.
커넥터의 하우징에는 중심 콘택트를 수용하는 리세스형 슬롯을 내부에 갖는 직사각형 본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는 또한 접지 콘택트와 결합하는 편평한 양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는 중심 콘택트와 접지 콘택트 사이에 유전층을 형성한다. 더욱 일반적으로, 하우징은 유전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접지 콘택트와 결합하는 편평한 외부벽과 중심 콘택트를 수용하는 내부 공동부를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의 외부벽과 내부 공동부는 중심 콘택트와 접지 콘택트가 서로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떨어져 이격하기 위하여 서로에 대해 치수화된다. 하우징에서 내부 공동부는 하우징의 외부벽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슬롯을 나타낼 수 있다. 슬롯과 벽은 접지 콘택트와 중심 콘택트를 각각 평행한 평면상태로 유지하도록 협력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접지 차폐가 동축케이블 커넥터용으로 제공된다. 접지 차폐는 서로 정합가능한 콘택트 셀을 포함하여 콘택트 셀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연장하는 차폐형 챔버를 한정한다. 콘택트 셀은 콘택트 셀들이 서로 연결되는 경우에 차폐형 챔버의 주변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벽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 셀에는 차폐형 챔버의 양단부에 위치된 개방단부와 케이블 지지단부가 제공된다. 케이블 지지단부는 동축케이블을 수용하고 이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콘택트 셀은 개방단부와 케이블 지지단부 사이에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과 적어도 하나의 인접하는 개방측면을 포함한다. 개방측면은 콘택트 셀이 서로 결합된 때 정합형 콘택트 셀의 벽에 의해서 후속적으로 차폐된다.
콘택트 셀은 U자형, L자형, J자형 등일 수 있다. U자형으로 형성된 때, 각각의 콘택트 셀은 양측벽과 연결벽을 포함하고, 개방측면은 연결벽에 마주한다. 콘택트 셀이 결합된 때, 측벽과 연결벽은 개방단부로부터 케이블 지지단부까지 차폐형 챔버의 길이를 따라서 차폐형 챔버의 주변 주위를 360°차폐를 제공한다. 단일 콘택트 셀의 측벽은 차폐형 챔버의 마주하는 측면을 따라서 위치되고 연장하며 서로 평행하게 직선화된다.
임의적으로,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는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 셀의 케이블 지지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는 대응하는 콘택트 셀의 케이블 지지단부에 횡단해서 연장하고 교차하는 평면을 따라 동축케이블의 컨덕터에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종래기술보다 저렴한 비용 및 간단한 공정으로 제작할 수 있는 동축케이블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형성된 동축케이블 커넥터(10)를 나타낸다. 동축케이블 커넥터(10)는 동축케이블 커넥터(10)가 완전하게 조립된 때 서로 정합가능한 절연 하우징(12, 14)을 포함한다. 임의적으로, 절연 하우징(12, 14)은 2개 이상의 단편으로 조립되거나 또는 하나의 단일 구조체로서 함께 제작될 수 있다. 동축케이블 커넥터(10)는 동축케이블(도 1에 미도시)의 중심 컨덕터에 분리가 능하게 고정가능하고 동축케이블 커넥터(10)가 완전하게 조립되어 중심 컨덕터 사이에 전기통로를 형성한 때 마찰식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서로 결합하는 블레이드 콘택트(16)와 리셉터클 콘택트(18)를 더 포함한다. 임의적으로, 단지 하나의 블레이드 콘택트(16)와 리셉터클 콘택트(18)만이 동축케이블에 고정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블레이드 콘택트(16)와 리셉터클 콘택트(18)는 회로기판, 전기부품, 비동축케이블 등에 접속될 수 있다. 제1콘택트 셀과 제2콘택트 셀(20, 22)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때 콘택트 셀(20, 22)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연장하는 차폐형 챔버를 형성한다. 콘택트 셀(20, 22)은 절연 하우징(12, 14)의 주변을 실질적으로 둘러싼다. 콘택트 셀(20, 22)은 동축케이블의 외부 컨덕터에 전기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그 사이에 전기통로를 형성한다. 도 2는 동축케이블 없이 완전하게 조립된 동축케이블 커넥터(10)를 나타낸다.
절연 하우징(12, 14)은 동축케이블 커넥터(10)가 완전히 조립된 때 서로에 대해 인접하는 정합면(24, 26)을 각각 포함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정합면(24, 26)에는 절연 하우징(12, 14)들 사이에서 적절한 수직 정렬을 확보하도록 서로 결합하는 단(28, 30; shelf)을 한정하는 노치부(23, 25)가 각각 형성된다. 절연 하우징(12, 14)은 상부벽(36, 38), 하부벽(40, 42) 및 측벽(44, 46)에 의해서 각각 한정된 직사각형 본체부(32, 34)를 각각 포함한다. 본체부(32, 34)는 콘택트 셀(20, 22)에 의해서 둘러싸인다. 절연 하우징(12, 14)은 미리 정해진 두께의 유전재료로 제작되어 동축케이블 커넥터(10)를 통해 바람직한 임피던스를 제공한다.
절연 하우징(12)은 정합면(24)으로부터 본체부(32)의 길이를 따라서 후방으 로 연장하는 슬롯(48)을 포함한다. 슬롯(48)은 상부벽(36)으로 개방하는 상부에지를 갖는다. 슬롯(48)은 또한 상부벽(36)으로 개방하는 상부에지를 갖는 챔버(50)로 전개하고 후방구역을 포함한다. 챔버(50)는 본체부(32)의 후방단부(53)에서 균등하게 넓어지는 공동부(52)로 개방한다. 본체부(32)는 하부벽과 측벽(56, 58)을 각각 갖는 직사각형 U자형으로 형성된 측판(54; shroud)과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하부벽과 측벽(56, 58)은 공동부(52)의 일부를 한정하도록 협력한다.
본체부(32)와 측판(54)은 콘택트 셀(20)의 대응하는 형상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계면에서 연결된다(하기에 더 상세히 설명됨). 상기 계면에서, 수직 채널(55)은 측벽(58)의 선단에지(57)의 내부면과 측벽(44)의 후방단부(53)의 외부면 사이에 제공된다. 채널(55)은 콘택트 셀(20)의 단부를 수용한다.
채널(55)의 상부는 서로를 향해 지향되는 횡단 아암 릴리프 슬롯(59)과 소통된다. 아암 릴리프 슬롯(59)은 측벽(44)의 후방단부(53)와 측판(54)의 측벽(58)의 주본체부 사이에 위치된다. 아암 릴리프 슬롯(59)은 콘택트 셀(20, 22) 상의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138)와 같은 동축케이블 변위 부재를 수용하여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138)가 동축케이블에 삽입되고 관통하도록 한다.
블레이드 콘택트(16)는 동축케이블의 단부에 장착된다. 공동부(52)와, 챔버(50)와, 슬롯(48)은 동축케이블의 단부와 블레이드 콘택트(16)를 공통적으로 수용한다. 공동부(52)와, 챔버(50)와, 슬롯(48)은 개방형 상부에지를 구비하여 장착된 동축케이블과 블레이드 콘택트(16)가 용이하면서 자동적으로 절연 하우징(12) 쪽의 횡단방향에서 하방으로 삽입되도록 허용함으로써 동축케이블 커넥터(10)의 자 동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임의적으로, 동축케이블과 블레이드 콘택트(16)는 후방단부(60)를 통해서 절연 하우징(12)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3은 절연 하우징(14)을 더 자세히 나타낸다. 절연 하우징(14)은 또한 본체부(34)의 후방단부에 형성된 측판(62)을 포함한다. 측판(62)은 절연 하우징(14)의 후방단부(70)에 개방하는 U자형 채널 또는 공동부(68)를 한정하도록 협력하는 상부벽과 측벽(64, 66)을 각각 포함한다. 공동부(68)는 리셉터클 콘택트(18)가 장착되어 있는 동축케이블을 수용한다. 본체부(34)는 정합면(26) 측으로 개방하는 전방단부(74)를 갖는 챔버(72)를 포함한다. 전방단부(74)는 경사형 에지를 포함한다. 챔버(72)의 후방단부는 본체부(34)의 측판(62)와 후방단부(63)에 의해서 한정된 공동부(68)와 소통한다.
절연 하우징(14)은 또한 측벽(46)의 외부면과 측벽(66)의 선단에지(67)의 내부면 사이에서 본체부(34)의 후방단부(63)를 따라 연장하는 수직 채널(65)을 포함한다. 채널(65)은 콘택트 셀(22)의 단부를 수용할 정도의 충분한 깊이이다. 채널(65)은 서로를 향해 지향된 횡단 아암 릴리프 슬롯(69)과 소통한다. 아암 릴리프 슬롯(69)은 측벽(46)의 후방단부(63)와 측벽(66)의 단(71) 사이에 위치된다. 아암 릴리프 슬롯(69)은 콘택트 셀(22) 상의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138)를 수용하는 안내경로를 한정한다.
도 4는 블레이드 콘택트(16)를 더 상세히 나타낸다. 블레이드 콘택트(16)는 경사형인 선단에지(92)를 갖는 편평한 판상형 본체부(90)를 포함한다. 본체부(90)는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되고 블레이드 콘택트의 평면에 평행한 상부면 및 하부면(94, 96)을 포함한다. 측면에지(98)는 본체부(90)의 길이를 따라서 연장한다. 본체부(90)의 후방단부(100)에는 관통하는 개구(104)를 갖는 와이어 크림프(102; crimp)가 형성된다. 개구(104)는 동축케이블의 중심 컨덕터를 수용한다. 와이어 크림프(102)는 동축케이블의 중심 컨덕터와 고정식이면서 마찰식으로 결합하도록 압박되어 블레이드 콘택트(16)를 동축케이블의 단부에 장착시킨다.
도 5는 리셉터클 콘택트(18)를 더 상세히 나타낸다. 리셉터클 콘택트(18)는 한 쌍의 핑거(108)를 구비하여 C자형으로 형성된 분기형 본체부(106)를 포함한다. 핑거(108)의 외부팁은 블레이드 콘택트(16)의 본체부(90)의 폭보다 약간 작은 간격으로 서로로부터 이격된 접촉면(110)을 갖는다. 접촉면(110)은 접속된 때 블레이드 콘택트(16)의 상부면과 하부면(94, 96)에 전기적으로 결합한다. 분기형 본체부(106)의 후방단부에는 관통하는 개구(114)를 갖는 와이어 크림프(112)가 형성된다. 개구(114)는 동축케이블의 중심 컨덕터를 수용한다. 중심 컨덕터는 와이어 크림프(112)를 압박함으로써 리셉터클 콘택트(18)에 고정식으로 고착될 수 있다.
도 6~8은 콘택트 셀(20, 22)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다. 콘택트 셀(20, 22)은 유사하게 제작되고; 따라서 하기 설명은 단지 콘택트 셀(20)과 관련하여서만 이루어진다. 콘택트 셀(20, 22)은 도전성 재료의 시트로부터 U자형으로 스탬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콘택트 셀(20)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콘택트 셀(20)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한 평면을 따라서 연장하는 측벽(130)을 포함한다. 연결벽(132)은 측벽(130)을 상호접속시킨다. 연결벽(132)도 또한 설계상 판상형이고 콘택트 셀(20)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평면에 정렬되지만, 측벽(130)을 포함하는 평 면을 횡단한다. 개방면(134; 도 1에 양호하게 도시됨)은 연결벽(132)에 마주하는 측벽(130)을 따라서 연장한다. 개방단부(136)는 측벽과 연결벽(130, 132)의 일단부에 제공되고 케이블 지지단부(131)는 측벽과 연결벽(130, 132)의 반대편 단부에 제공된다.
콘택트 셀(20)의 개방면(134)은 측벽(130)의 전체 길이를 따라서 케이블 지지단부(131)로부터 개방단부(136)까지 연장하여 콘택트 셀의 제작과 커넥터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특히, 콘택트 셀(20)은 측벽과 연결벽(130, 132)을 재료의 공통 단편(common piece)로부터 스탬핑하고, 이후 연결벽(132)에 직각으로 측벽(130)을 포밍/벤딩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제작된다. 개방면(134)을 잔류시킴으로써, 스탬핑 또는 포밍 작업은 단순화된다. 조립동안, 콘택트 셀(20, 22) 각각의 개방면(134)은 동축케이블 뿐만 아니라 대응하는 블레이드 콘택트와 리셉터클 콘택트(16, 18)가 측방으로 선적되도록 허용한다. 측방 선적(side loading)은 콘택트 셀(20)의 길이방향 축을 횡단하는 방향에서 도 6의 화살표(A)에 의해 표시된 경로를 따라 동축케이블과 대응하는 블레이드 콘택트 및 리셉터클 콘택트(16 또는 18)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측벽과 연결벽(130, 132)에 의해 형성된 U자형 구조는 블레이드 콘택트와 리셉터클 콘택트(16, 18)의 주변을 따라서 360°차폐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콘택트 셀(20, 22)이 연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연결되는 경우에, 콘택트 셀(20, 22)은 동축케이블의 길이방향 축을 횡단하는 평면에서 360°차폐를 제공한다. 360°차폐는 동축케이블의 외부 컨덕터에 의해서 덮혀지지 않는 동축케이블의 내부 컨덕 터의 일부를 실질적으로 둘러싼다. 콘택트 셀(20, 22)이 연결된 때, 콘택트 셀(20)의 연결벽(132)은 콘택트 셀(22)의 개방면(134)을 덮는다. 유사하게, 콘택트 셀(22)의 연결벽(132)은 콘택트 셀(20)의 개방면(134)을 덮는다. 마주하는 콘택트 셀(20, 22)의 측벽(130)은 서로 겹쳐진다.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138)는 측벽(130)의 케이블 지지단부(131) 상에 형성된다.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138)는 서로 대면하도록 내측으로 만곡된다. 각 쌍의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138)는 콘택트 셀(20, 22)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인 평면에 놓인다. 한 쌍의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138)를 포함하는 평면은 대응하는 케이블 지지단부(131)에 결합한다.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138)는 갭(140) 만큼 떨어져 이격된다.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138)의 내부에지 사이의 갭(140)에는 콘택트 셀(20)과 연결되도록 동축케이블의 치수에 근거된 폭이 제공된다.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138)는 높이에 있어서 측벽(130)보다 짧아져서 절연 하우징(12)의 측벽(44)의 후방단부를 따라서 활주가능한 단(142)을 형성한다. 임의적으로,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138)와 같은 동축케이블 변위 부재는 그에 근접한 콘택트 셀(20, 22)의 다른 부분과 떨어져서 형성되거나 또는 그와 일체로 스탬프될 수 있다.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138)는 연결벽(132)의 전방구역에 형성된 구멍(146)에 느슨하게 수용되는 지지 돌기(144)를 갖는 베이스(139)를 포함한다. 조립공구(미도시)는 지지 돌기(144)를 눌러서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138)를 케이블에 장착시킨다. 각각의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138)는 베이스(139)로부터 상방으로 연 장하는 분기부를 포함한다.
측벽과 연결벽(130, 132)은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138)가 동축케이블과 결합하는 평면까지 연장한다. 여기에서, 콘택트 셀(20, 22)의 동축케이블 외부의 전체 길이는 외부 컨덕터와 함께 내부 컨덕터를 차폐시킨다. 콘택트 셀까지의 선도부(leading)를 제외하고 동축케이블 외부 부분은 자체 차폐된다. 노출된(예를 들어, 외부 컨덕터에 의해서 덮혀지지 않은) 내부 컨덕터의 일부만이 콘택트 셀(20, 22)을 정합함으로써 형성된 차폐형 챔버의 내부에 존재한다. 단(142; 도 9)은 케이블을 변위 빔(154)으로 지향시키는 도입부(lead-in portion)로서 작용하는 경사형 에지에서 브레이드 수용슬롯(156)과 연결된다. 단(142)과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138)는 각각의 절연 하우징(12, 14)에서 횡단 아암 릴리프 슬롯(59, 69)에 수용된다. 변위 빔(154)과 벽(159)은 브레이드 수용슬롯(156)에 끼어든 외부 컨덕터의 일부에 측방 지지력을 유도한다. 측판(62)의 공동부(68)와 수직 채널(65)은 서로에 대해 이격되어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138) 사이에서 동축케이블(미도시)을 중심일치시키고, 이에 의해서 동축케이블의 외부 컨덕터에 대해 변위 빔(154)을 적절하게 정렬시킨다.
연결벽(132)은 구멍(146)의 전방으로 연장하는 립부(148; lip section)를 포함한다. 립부(148)는 그의 중심을 향해 내측으로 테이퍼되고 그의 말단부에는 와이어 크림프(150)가 형성된다. 와이어 크림프(150)는 동축케이블에 클램프되도록 내측으로 포개진 때 서로 연결하는 스텝형 팁(152)을 포함한다. 또한, 와이어 크림프(150)는 스트레인 릴리프(strain relief)로서 작용하여 동축케이블과 동축케이 블 변위 콘택트(138) 사이의 이동을 방지한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138)는 브레이드 수용슬롯(156)에 의해서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138)의 벽부(159)로부터 분리된 변위 빔(154)을 그의 내부 에지 부근에 포함한다. 변위 빔(154)의 빔 팁(158)은 테이퍼되어 콘택트 셀(20, 22)이 동축케이블 상에 장착된 때 동축케이블로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도 9는 동축케이블(160)에 조립된 때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138)의 동작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한 쌍의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138)를 포함한다. 콘택트 셀(20, 22)이 동축케이블(160)에 장착된 때, 빔 팁(158)은 케이블 자켓(162)과 외부 케이블 브레이드(164)를 관통하여 케이블 유전체(166)로 연장한다. 블레이드 수용슬롯(156)은 지지력 또는 수직력으로 외부 케이블 브레이드(164)를 고정식으로 수용하고 결합하여, 콘택트 셀(20, 22)과 동축케이블(160)의 외부 컨덕터[즉 외부 케이블 브레이드(164)] 사이의 전기접속을 형성한다. 지지력 또는 수직력은 오랜 기간의 신뢰성있는 접촉계면을 제공하기에 충분히 큰 마찰력을 구성한다.
변위 빔(154)은 중심 컨덕터(168)의 외경보다 크지만 외부 케이블 브레이드(164)의 내경보다 작은 빔-대-빔 간격(170) 만큼 떨어져서 이격되어 변위 빔(154)이 중심 컨덕터(168)에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단지 외부 케이블 브레이드(164)를 관통하는 것을 보장한다. 변위 빔(154)이 외부 케이블 브레이드(164)를 관통하는 것을 확보하기 위하여, 외부 케이블 브레이드(164)의 내경과 외경에 근거해서 변위 빔(154)에는 미리 한정된 외부 빔 폭(172)이 형성되고 브레이드 수용슬 롯(156)에는 미리 한정된 슬롯 폭(174)이 형성되는 반면에, 브레이드 수용슬롯(156)은 외부 케이블 브레이드(164)를 견고하게 수용하고 그들 사이에 신뢰성있는 전기접속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폭을 갖는다. 케이블 브레이드(164)는 케이블 브레이드(164)의 내경과 외경 사이의 차이에 의해 한정된 폭, 또는 달리 말하면 케이블 브레이드(164)의 반경에 평행한 방향에서 측정되는 케이블 브레이드(164)의 폭을 갖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측벽(130)은 마주하는 콘택트 셀(20, 22)의 측벽(130)의 내부와 마찰식으로 정합하는 돌기(176)를 포함하여 콘택트 셀(20, 22) 사이에 적당한 수직력을 확보해서 신뢰성있는 전기계면을 확보한다.
임의적으로, 2개의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138)는 서로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측벽(130) 및/또는 연결벽(132) 중 하나에만 (일체형으로 또는 그 반대로) 부착된다.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된 때,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138)는 변위 빔(154)의 상단부 사이의 부분 노치[갭(140)의 상단부와 유사함]를 포함하여 변위 빔(154)에 의해서 관통되지 않은 동축케이블의 부분을 수용하는 영역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갭(140)은 변위 빔(154)의 전체 길이를 따라서 연장할 필요는 없지만, 대신에 그의 상부 근처에 제공되어야만 한다.
도 10a는 중심 컨덕터(181)를 포함하는 동축케이블 구조(180)의 도해적 표현을 나타낸다. 중심 컨덕터(181)는 원통형 외부 컨덕터(182)에 의해서 둘러싸인 중간 유전물질(183) 내에 중심일치되고, 이에 의해서 외부 컨덕터(182) 내에 내부 컨덕터(181)를 중심일치시킨다. 외부 컨덕터(182)는 브레이드 타입 컨덕터 등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중심 컨덕터(181)는 반경(Ri)을 갖는 반면에, 외부 컨덕터(182)는 내경(Ro)을 갖는다. 유전물질(183)은 εr의 상대유전상수를 갖는다. 동축케이블 구조(180)에 의해 발생된 임피던스를 정의하는 공식은 하기 방정식에 의해 표현된다;
Figure 112008074604711-PAT00001
방정식 (1)
도 10b는 동축케이블 커넥터(10)에 의해서 형성되는 스트립 라인 구조(186)의 단면의 도해적 표현을 나타낸다. 스트립 라인 구조(186)에서, 중심 컨덕터(187)는 2개의 광폭 접지 컨덕터(188) 사이에 샌드위치된다. 중심 컨덕터와 접지 컨덕터(187, 188)는 형상에 있어서 판상형이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평면에 정렬된다. 중심 컨덕터(187)는 폭(W)과 두께(T)를 갖는다. 접지 컨덕터(188)는 중심 컨덕터(187)로부터 간격(H, H1) 만큼 이격된다. 중심 컨덕터(187)는 접지 컨덕터(188) 사이의 공극을 충진하는 유전물질(189)로 둘러싸인다. 유전물질(189)은 εr의 상대유전상수를 갖는다. 스트립 라인 구조(186)에 의해 발생된 임피던스를 정의하는 공식은 하기 방정식에 의해 표현된다;
Figure 112008074604711-PAT00002
방정식 (2)
스트립 라인 구조(186)는 더욱 용이하게 제작되고 설계변수는 대칭 전기장 분포를 생성하는 원형 구조 또는 다른 구조를 유지하는 커넥터에 비교하여 생산공정 동안 더 용이하게 제어된다. 예시의 목적으로, 스트립 라인 구조(186)를 갖는 동축케이블 커넥터(10)의 제작 동안, 제작공정은 간격(H, H1), 두께(T), 폭(W) 및 상대유전상수(εr)을 더욱 용이하게 제어한다. 스트립 라인 구조(186)를 형성하는 구조체는 동축케이블 커넥터의 임피던스가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능력은 제작비용 절감으로 전환된다.
도 11은 동축케이블과 동축케이블에 연결된 동축케이블 커넥터(10) 주위에 형성된 전기장 분포를 나타낸다. 일련의 평행 라인(190)은 동축케이블의 구조를 지칭한다. 큰 직사각형 박스(192)는 동축케이블 커넥터(10)에 적합한 일반적인 구조를 지칭한다. 작은 음영 박스(193; shadow box)는 콘택트 블레이드(16, 216)와 같은 콘택트 블레이드의 일반적인 구조를 지칭한다. 음영 박스(193)는 리셉터클 콘택트(18 또는 218)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과 같은 리셉터클 콘택트를 나타낼 수 있다.
전기장 분포(191)는 동축케이블에 의해서 생성된다. 전기장 분포(191)는 동축케이블의 주변 주위에서 대칭적으로 분포되고 강도에 있어서는 동축케이블의 중심 컨덕터로부터 반경 간격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전기장 분포(191)의 대표적인 크기분포는 동축케이블을 횡단하는(예를 들어, 케이블 축에 수직인) 단일 평면에서 정렬되는 일련의 동심적 음영 링으로서 예시된다. 동축케이블 구조 주위에 형성된 전기장의 특징은 전기장의 크기/강도 분포가 원주상으로 균일하고 반경 방향에서만 변한다는 것이다.
전기장 분포(195)는 동축케이블 커넥터(10)에 의해서 형성된다. 전기장 분 포(195)는 동축케이블 커넥터(10)의 주위에서 비대칭적으로 분포되고 (도 10b와 함께 상술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 콘택트(16, 216)와 대응하는 측벽(130, 237, 239) 사이에 생성된 스트립 라인 구조(186)에 특별히 관련하여 배향된다. 전기장 분포(195)의 크기 또는 강도의 분포는 음영 박스(193)을 둘러싸는 비대칭 음영 영역에 의해 지칭된다. 전기장(195)은 음영 박스(193)의 평면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횡단축(197)을 따라서 음영 박스(193)의 마주하는 측면의 근처에서 배향된다. 전기장(195)의 음영 영역에 의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 또는 플럭스 밀도는 횡단축(197) 주위에 중심일치되고 반대방향으로 연장하는 주요 영역(198)에 주로 집중된다. 전기장(195)의 크기 또는 플럭스 밀도는 음영 박스(193)의 측면 에지[블레이드 콘택트(16, 216)의 측면에지를 나타냄] 근처의 측방 영역에서 상당히 적은 양으로 부수적으로 집중된다. 다른 방식으로 언급하면, 전기장(195)의 크기 또는 플럭스 밀도는 주요 영역(198)에 주로 집중되는 반면에, 측방 영역(199)에 더 적은 양이 집중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블레이드 콘택트(16)는 중심 컨덕터(187)를 나타낸다. 블레이드 콘택트(16)의 두께와 폭은 공지된 두께의 편평한 판상의 금속시트로부터 블레이드 콘택트(16)를 스탬핑한 때 용이하게 제어된다. 콘택트 셀(20, 22)의 측벽(130)은 접지 컨턱더(188)를 나타낸다. 상부벽(36)의 폭은 블레이드 콘택트(16)와 측벽(130) 사이의 간격(H, H1)을 한정한다. 각각의 콘택트 셀(20, 22)에서 블레이드 콘택트(16)와 연결벽(132) 사이의 거리는 연결벽(132)이 동축케이블 커넥터(10)의 임피던스에 최소한의 영향력을 미치도록 충분히 폭넓게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콘택트 셀(20, 22)은 크림핑 공정동안 동축케이블[예를 들어, 케이블(160)]을 완전하게 유지하도록 "스터퍼"(stuffer)로서 절연 하우징(12, 14)을 사용하는 단품(one-piece)의 콘택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절연 하우징(12, 14)은 또한 동축케이블(160)을 위치설정하는 데 조력한다. 브레이드 수용슬롯의 폭은 도전성 브레이드의 직경에 의존한다.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하여, 브레이드 수용슬롯의 폭은 브레이드의 다중 컨덕터가 각각의 브레이드 수용슬롯에 있는 상태에서 도전성 브레이드의 직경보다 약간(예를 들어, 수천 인치) 커질 수 있다. 이것은 조립과정 동안 상당한 양의 소성변형을 허용한다. 조립동안 발생하는 와이핑 동작(wiping action)과 함께 도전성 브레이드의 변형은 다중 컨덕터와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138) 사이에 소정량의 잔류 탄성력을 유지하는 동안 도전성 브레이드의 다중 컨덕터의 명백한 금속표면이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138)와 접촉하도록 한다. 브레이드 컨덕터와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138) 사이에서 소정의 잔류 탄성력을 유지하는 것은 안정적인 장기간의 낮은 저항 접촉계면을 제공한다.
임의적으로, 변위 빔과 변위 빔 팁의 형상은 가변된다. 변위 빔 팁에는 변위 빔이 동축 케이블의 유전재료로 삽입된 때 변위 빔이 직선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확보하도록 사용된 이중 에지(double edge)가 제공된다. 변위 빔을 테이퍼하는 것은 설치동안 변위 빔의 불필요한 변형을 감소시키는 반면에 부가적인 강도를 제공한다.
동축케이블 커넥터와 2개 케이블의 조립동안, 하기 단계들이 수행될 수 있 다. 초기에, 상호연결되려는 2개 동축케이블의 단부는 벗겨져서 그들 각각의 중심 컨덕터의 단부를 노출시킨다. 그리고, 중심 컨덕터의 노출된 단부는 블레이드 콘택트(16)와 리셉터클 콘택트(18) 각각의 개구(104, 114)에 삽입된다. 와이어 크림프(102, 112)는 눌러져서 중심 컨덕터의 노출된 단부를 고정식으로 지지한다. 다음, 동축 케이블과 블레이드 컨덕터 및 리셉터클 컨덕터(16, 18)는 개별 절연하우징(12, 14)으로 삽입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블레이드 콘택트(16)의 본체부(90)는 슬롯(48)에 (측방으로 또는 길이방향으로) 삽입되고, 와이어 크림프(102)는 챔버(50)로 삽입된다. 노출된 중심 컨덕터의 뒤에 있는 동축케이블의 벗겨지지 않은 부분은 유전물질, 케이블 브레이드 및 케이블 자켓의 선단에지가 측벽(44)의 후방단부(53) 근처의 단(51)에 인접할 때까지 공동부(52)로 삽입된다. 일단 삽입되면, 블레이드 콘택트(16)의 본체부(90)의 선단 립부는 정합면(24)의 노치형 부분(23)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다. 블레이드 콘택트(16)와 리셉터클 콘택트(18)는 절연하우징(12, 14)이 결합되는 경우에 연결된다.
각각의 콘택트 셀(20, 22)은 절연 하우징(12, 14) 중 대응하는 하나에 분리식으로 장착된다. 장착동안, 콘택트 셀(20, 22)은 동축케이블 커넥터(10)의 길이방향 축(13)에 수직으로 정렬된 축(11; 도 1)을 따라서 분리식으로 삽입된다. 콘택트 셀(20, 22)이 삽입됨에 따라,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138)는 대응하는 동축케이블(160)을 관통하고 변위 빔(154)은 외부 케이블 브레이드(164)에 결합한다(도 9에 예시되는 바와 같음). 다음, 외부 하우징은 동축 케이블 커넥터(10)에 조립된다.
일단 조립되면, 절연 하우징(12, 14), 블레이드 콘택트 및 리셉터클 콘택트(16, 18), 그리고 콘택트 셀(20, 22)은 도 10b와 연계해서 상술된 바와 같이 스트립 라인 콘택트 구조를 한정하도록 협력하여 동축케이블 커넥터(10)를 통해 전송된 신호에 적합한 소정의 임피던스를 제공한다. 동축케이블 커넥터(10)의 조립과정은 용이하게 자동화되고, 신뢰성있고, 비용절감형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동축케이블 커넥터(200)를 예시한다. 동축케이블 커넥터(200)는 절연 하우징(212, 214), 블레이드 콘택트(216), 리셉터클 콘택트(218), 콘택트 셀(220, 222)를 포함한다. 콘택트 셀(220, 222)은 측벽(237, 239)과 연결벽(233, 235)를 각각 포함한다. 블레이드 콘택트(216)는 기능적으로 블레이드 콘택트(16)를 대체하는 반면에, 리셉터클 콘택트(218)는 기능적으로 리셉터클 콘택트(18)를 대체한다. 제1절연 하우징 및 제2절연 하우징(212, 214)은 더 뚜렷한 노치부(223, 225)와 단(228, 230)을 각각 갖는 정합면(224, 225)을 각각 포함한다. 단(228)은 리셉터클 콘택트(218)의 본체부(290)를 수용하는 노치(229)를 포함한다. 단(228)은 또한 블레이드 콘택트(216)의 핑거(219)를 수용하는 슬롯(231)을 포함한다.
측벽(237, 239)과, 대응하는 연결벽(233, 235)은 U자형으로 형성되고 개방면(201, 207)을 각각 갖는다. 측벽(237, 239)는 서로 마주하는 콘택트 지지단부(203, 209)와 개방단부(205, 211)를 각각 포함한다. 개방면(201, 207)은 콘택트 지지단부(203, 209)로부터 개방단부(205, 211)까지 각각 연장하여 콘택트 셀(20, 22)과 관련해서 상술된 장점을 제공한다.
블레이드 콘택트(216)는 도 13에 더 상세히 예시된다. 블레이드 콘택트(216)는 연장하는 핑거(217, 219)를 구비한 본체부(215)를 포함한다. 핑거(217, 219)는 본체부(215)의 길이를 따라서 선단에지(213)로부터 후방으로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슬롯(221)에 의해 분리된다. 본체부(215)의 후방단부는 접속된 동축케이블의 중심 컨덕터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하는 개구(225)를 구비한 와이어 크림프(223)에 고정된다.
블레이드 콘택트(216)와 리셉터클 콘택트(218)은 연결되는 경우에 수직 평면에 정렬된다. 블레이드 콘택트(216)의 핑거(217, 219)를 포함하는 평면은 콘택트 셀(220, 222)의 측벽(237, 239)에 각각 평행하게 정렬된다. 리셉터클 콘택트(218)의 본체부를 포함하는 평면은 콘택트 셀(220, 222)의 연결벽(233, 235)에 평행하게 각각 정렬된다.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트(218)의 본체부(290)는 인접하는 크림프(291)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된다.
임의적으로, 본체부(290)는 도 12에 도시된 것과 상이할 수 있다. 본체부(290)는 연결벽(233, 235)와 협력하도록 치수화되어 제2스트립 라인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제2스트립 라인 구조는 블레이드 콘택트(216)와 측벽(237, 239)에 의해서 형성된 스트립 라인 구조에 수직형으로 되어서 2중 스트립 라인 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이중 스트립 라인 구조에 있어서, 블레이드 콘택트(216)와 리셉터클 콘택트(218)는 교차배열을 형성한다.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 콘택트(16, 216)와 리셉터클 콘택트(18, 218)는 서로 유사하게 형성되고 평행 또는 수직으로 배향된 다중 콘택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의 목적으로, 2개의 콘택트는 서로 평행하게 적층될 수 있거나 또는 2개의 콘택트는 서로 수직으로 배향될 수 있다.
연결벽(132, 233, 235)과 측벽(130, 237, 239)은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접지 콘택트를 구성한다. 달리 말하면, 각각의 연결벽(132, 233, 235)은 개별적인 접지 콘택트를 구성한다. 마주하는 연결벽(132, 233, 235)의 조합은 접지 콘택트를 구성하도록 고려될 수 있다. 마주하는 연결벽(132, 233, 235)의 조합은 접지 콘택트를 구성하도록 고려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인접하는 측벽(130, 237, 239)과 조합하고 있는 각각의 연결벽(132, 233, 235)은 접지 콘택트로 고려될 수 있다.
절연 하우징(214)은 상부벽(264)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래치(241)를 포함한다. 래치(241)는 동축케이블 커넥터(200)를 다른 구조체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채널(243)은 또한 래치(241)의 양측면에서 상부벽(264)에 제공되어 주조가능성을 향상시키고 사용된 재료양의 감소시킬 수 있도록 균일한 벽두께를 제공한다.
도 14는 대응하는 하우징(212, 214)과 조립된 콘택트 셀(220, 222)을 예시한다.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조립동안, 콘택트 셀(220, 222)은 절연 하우징(212, 214)이 서로 정합되기 전에 대응하는 동축 케이블과 절연 하우징(212, 214)과 접속될 수 있다.
도 15와 도 16은 블레이드 콘택트와 리셉터클 콘택트(316, 318)을 각각 예시한다. 도 15에서, 블레이드 콘택트(316)는 핑거(321, 322)를 갖는 포크를 형성하 도록 그의 외측단부에서 절단된 슬롯(319)를 갖는 판상형 본체부(317)를 갖도록 예시된다. 핑거(321, 322)의 외측단부에서, 둥근 돌기(323)는 슬롯(319) 측의 개구에 제공되고 서로 대면하도록 배향된다. 돌기(323)는 리셉터클 콘택트(318)가 슬롯(319)에 삽입되는 경우에 블레이드 콘택트(316) 및 결합되는 리셉터클 콘택트(318) 사이에서 견고한 마찰식이면서 전기적인 상호접속을 확보한다. 본체부(317)의 마주하는 단부는 동축케이블의 중심 컨덕터를 수용하는 개구(325)를 갖는 크림프(324)를 포함한다. 크림프(324)는 동축케이블의 중심 컨덕터에 고정식으로 파지된다.
도 16은 블레이드 콘택트(316) 상에서 돌기(323)들 사이에 삽입하기 위한 경사형 외측단부(328)를 구비한 판상형 본체부(326)를 갖는 리셉터클 콘택트(318)를 예시한다. 본체부(326)의 마주하는 단부는 대응하는 동축케이블의 중심 컨덕터를 수용하는 개구(332)를 갖는 크림프(330)를 포함한다. 크림프(330)는 동축케이블의 중심 컨덕터에 고정식으로 부착하도록 형성된다.
도 17과 도 18은 콘택트 셀에 적합한 다른 구조의 도면을 예시한다. 각각의 콘택트 셀(340)은 측벽(344)과 연결벽(348)을 포함한다. 돌기(352)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344)에 제공되어 정합하는 콘택트 셀(340) 사이의 적절한 전기접속을 확보한다.
연결벽(348)은 측방으로 확장된 분리판(360)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병목부위(356)를 그의 후방단부에 포함한다. 분리판(360)은 조립동안 분리판(360)의 절단을 용이하게 하는 슬롯(363)을 포함한다. 분리판(360)은 순차적으로 스트레인 릴리프 크림프(364)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조립동안, 스트레인 릴리프 크림프(364)는 스탬핑 작업을 통해서 병목부위(356)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되고, 이 후에 동축케이블에 고정된다.
스트레인 릴리프 크림프(364)는 U자형이고 분리판(360)에 연결되는 측방으로 확장된 본체부(361)를 포함한다. 본체부(361)의 마주하는 단부에는 서로 평행하면서 본체부(361)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하는 아암(365)이 고정된다. 아암(365)은 그의 양측면 에지를 따르는 리브(367)를 포함한다. 본체부(361)는 아암(365)들 사이에서 중심일치된 케이블 그립(369)을 포함한다. 케이블 그립(369)은 동축케이블에 대면하도록 내향으로 지향된 치형부(371; teeth)를 포함한다. 치형부(371)는 스트레인 릴리프 크림프(364)가 동축케이블에 고정되는 경우에 동축케이블의 자켓을 관통하고 외부 컨덕터에 결합한다. 케이블 그립(369)은 스탬프되고 내향으로 대면하도록 굽어진 다수의 치형부(371)를 갖는 펀치형 스타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치형부(371)는 단일 치형부 또는 하나 이상의 바브(barb)로 대체될 수 있다. 임의적으로, 케이블 그립(369)은 외부 컨덕터와 결합할 필요는 없지만, 대신에 예상되는 케이블 스트레스를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자켓의 표면을 관통하여야만 한다.
도 19는 콘택트 셀(340)의 단부도를 예시한다.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368)는 연결벽(348)의 구멍에 느슨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형성된 지지돌기(370)를 포함한다. 변위 빔(372)은 상방으로 연장하고 갭(374) 만큼 서로로부터 분리된다. 변위 빔(372)은 대응하는 동축케이블의 자켓과 외부 컨덕터의 관통 을 용이하게 하는 뾰족한 팁(376; pointed tip)을 포함한다. 브레이드 수용슬롯(378)은 하방으로 연장하고 저부골(373; base well)에서 갭(374)으로부터 멀어지는 외측으로 전개되어 후크형상을 형성한다.
접촉벽(375)은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368)의 상부를 따라서 연장하는 테이퍼형 절취에지(377; undercut edge)를 포함한다. 절취에지(377)는 서로 대면하고 브라이드 수용슬롯(378)의 입구(381)에 위치되는 선단답(379)에서 종단한다. 접촉벽(375)은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368)이 동축케이블과 결합하고 관통함에 따라 케이블 자켓을 외부 컨덕터로부터 멀어지게 전단시킨다. 절취에지(377)는 변위 빔(372)의 중심의 길이방향 축과 예각을 형성한다. 절취에지(377)는 수평선(점선으로 표시됨)에 대해 예각(383)으로 선단팁(379)으로부터 하방으로 멀어지게 테이퍼되어 외부 컨덕터가 브레이드 수용슬롯(378)으로 끼워짐에 따라 과도한 케이블 자켓 재료에 적합한 집합구역을 형성하고 전단을 용이하게 한다. 입구(381)에 진입하기 전에 외부 컨덕터로부터 멀어지게 케이블 자켓을 전단시킴으로써,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368)는 케이블 자켓이 브레이드 수용슬롯(378)에 끼워지는 것을 방지한다. 케이블 자켓이 브레이드 수용슬롯(378)에 끼워지면, 외부 컨덕터와 브레이드 수용슬롯(378) 사이의 전기접속과 간섭할 수 있다.
도 20과 도 21은 커넥터의 하나 또는 2개 반쪽에 사용될 수 있는 절연 하우징용 다른 실시예의 도면을 예시한다. 절연 하우징(400)은 직사각형 본체부(404)의 전방단부에 정합면(402)을 포함한다. 본체부(404)의 후방단부에는 연결구역(408)을 지나서 측판(406)이 형성된다. 측판(406)은 동축케이블을 수용하는 그 들 사이의 U자형 챔버(414)를 한정하도록 협력하는 대면하는 측벽(410, 412)을 포함한다. 측벽(410, 412)의 내부면은 절연 하우징(400)의 길이를 횡단하는 방향에서 서로 대면하고 수직으로 연장하는 노치(416, 418)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노치(416, 418)는 대응하는 노치(416, 418)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한 쌍의 평행리브(420)를 포함한다.
본체부(404)는 부착된 동축케이블의 도입단부와 블레이드 콘택트 또는 리셉터클 콘택트(316 또는 318)의 크림프를 수용하도록 채택된 챔버(405)를 포함한다. 본체부(402)의 전방단부는 블레이드 콘택트와 리셉터클 콘택트(316, 318) 중 관련된 하나를 수용하는 슬롯(407)을 포함한다.
측판(406)의 후방단부(424)는 U자형 노치(428)를 구비한 베이스(419)를 갖는 스트레인 릴리프 부재(426)와 연결된다. 스트레인 릴리프 부재(426)의 노치(428)는 가로지른 아치형 홈(423)을 구비한 내측면(421)을 포함한다. 노치(428)의 양단부는 리지(425; ledge)를 형성한다. 측벽(427)은 리지(425)로부터 노치(428)의 양측면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한다. 채널(430)은 각각의 리지(425)에 형성되고 스트레인 릴리프 부재(426)를 통해서 후방측면(431)까지 연장한다. 채널(430)은 콘택트 셀(340)이 화살표(434; 도 21)의 방향으로 절연 하우징(400)과 측방으로 연결되는 경우에 아암(365)와 정렬하여 수용하도록 떨어져서 이격된다. 각 채널(430)의 길이는 아암(365)이 채널(430)으로 눌려짐에 따라 리브(367)가 리지(425)와 결합하여 스트레인 릴리프 크림프(364)와 스트레인 릴리프 부재(426)를 지지하도록 리브(367)의 외측 치수보다 약간 작다.
스트레인 릴리프 크림프(364)와 스트레인 릴리프 부재(426)가 함께 눌려짐에 따라, 케이블 그립(369)의 치형부(371)는 동축 케이블의 자켓을 관통하고 외부 컨덕터와 결합한다. 케이블 그립(369)은 스트레인 릴리프 크림프(364)를 동축케이블에 고정시키고 그들 사이의 상대적 축상이동을 방지한다.
케이블 그립(369)는 동축케이블의 원형단면을 변형시키지 않고 동축케이블과 절연 하우징 사이의 축상이동을 방지한다. 스트레인 릴리프 크림프(364)와 스트레인 릴리프 부재(426)는 다른 방식으로는 임피던스와 신호성능을 간섭할 수 있는 압축된 구조로의 동축케이블의 압축을 최소화시킨다. 채널(430)과 아암(365)은 직사각형 단면을 가질 필요가 없지만, 대신에 원형, 사각형, 아치형 삼각형 등으로 될 수 있다. 임의적으로, 채널(430)과 아암(365)의 갯수는 2개 이하 또는 이상일 수 있다.
도 22는 대응하는 절연 하우징(400)에 정합된 셀(340)을 예시한다.
도 23과 도 24는 절연 하우징(400)에 장착된 하나의 셀(340) 위에 제공된 외부 하우징(450)을 예시한다. 외부 하우징(450)은 절연재료로 이루어진다. 외부 하우징(450)은 그의 외면에 래치 빔(452; latch beam)을 포함한다. 래치 빔(452)은 래치 돌기(451)를 포함한다. 제2체결 부재(454)는 외부 하우징(450)의 일단부에 제공된다.
도 25와 도 26은 절연 하우징(400)에 장착된 다른 셀(340) 위에 제공된 외부 하우징(460)을 예시한다. 외부 하우징(460)은 외부 하우징(450)과 정합하도록 구성된다. 외부 하우징(460)은 외부 하우징(450)의 단부(453)을 수용하도록 채택된 정합단부(462)를 포함한다. 슬롯(464)은 외부 하우징(450)의 래치 빔(452)의 래치 돌기(451)을 수용하도록 외부 하우징(460)의 일측면에 제공된다. 도 26은 외부 하우징(460) 내의 내부챔버(466)를 예시하고, 여기에서 고정식으로 지지된 셀(340)은 관찰가능하다. 외부 하우징(460)의 반대측 단부(468)에는 제2체결 부재(470)이 형성된다.
도 27은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다.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538)는 측벽(130) 또는 연결벽(132)(도 1) 중 하나와 같은 하나의 측벽 또는 연결벽에 형성될 수 있다.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538)는 콘택트 셀(20; 도 1)과 같은 대응하는 콘택트 셀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인 평면에서 정렬된다. 도 27의 실시예에서,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538)는 에지(539)를 따라서 연결벽(132)과 같은 연결벽에 연결된다.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538)는 분기형 변위구역(541, 543) 사이에 채널을 한정하는 갭(540)을 포함한다. 각각의 변위구역(541, 543)은 슬롯(548)에 의해서 분리된 변위 빔(544)과 접촉벽(546)을 포함한다. 접촉벽(546)의 상단부는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538)의 외측에지(552)로부터 내향의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도입에지(550)를 포함한다. 도입에지(550)는 변위 빔(544)의 상단부에 팁(556)에 근접한 슬롯(548)의 입구(554)에 연결하도록 내향의 하방으로 경사진다. 도입에지(550)는 케이블 자켓을 변위 빔(544)으로 지향시킨다. 슬롯(548)의 하단부는 변위 빔(544)이 외부 자켓과 외부 케이블을 관통하는 경우에 동축 케이블의 외부 컨덕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골(558; well)을 포함한다. 변위 빔(544)과 슬롯(548) 사이의 간격은 고정되려는 동축케이블의 치수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도 28과 도 29는 콘택트 셀에 적합한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다. 콘택트 셀(560)은 측벽(562)과 연결벽(564)을 포함한다. 측벽(562)의 콘택트 지지단부(566)는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568)를 포함한다. 연결벽(564)은 병목부위(572)를 통해서 분리판(570)에 연결된다. 분리판(570)은 병목부위(590)를 통해서 스트레인 릴리프 크림프(574)에 순차적으로 접속된다. 분리판(570)은 슬롯(576)을 포함하여 분리판(570)의 절단을 용이하게 한다.
스트레인 릴리프 크림프(574)는 U자형이고, 양측면에서 상방으로 연장하는 아암(578)을 구비한 본체부(577)를 포함한다. 아암(578)은 양측면에 리브(580)를 포함한다. 스트레인 릴리프 크림프(574)는 정합하는 스트레인 릴리프 부재의 채널[도 20과 도 21에서 스트레인 릴리프 부재(426)의 챔버(430)와 같음]에 마찰식으로 결합하도록 스트레인 릴리프 크림프(364; 도 17과 도 18과 관련하여 상술됨)와 동일 방식으로 작동한다.
*스트레인 릴리프 크림프(574)는 케이블 그립(582, 584)과 바브(586~588)와 같은 다중의 케이블 파지특성을 갖는다. 케이블 그립(582, 584)은 본체부(577)의 길이를 따라서 제공되고, 본체부(577)에 스타패턴을 펀칭하고 본체부(577)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치형부의 원형링을 제공하도록 상기 스타패턴을 벤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바브(586~588)는 본체부(577)의 양단부에 제공된다. 도 28과 도 29의 예에서, 단일 바브(586)는 스트레인 릴리프 크림프(574)를 분리판(570)에 접속하는 병목부위(590)에서 본체부(577)의 선단에지에 스탬프되고 이에 근접해서 상방으로 굽혀진다. 한 쌍의 바브(587, 588)는 본체부(577)의 후방단부에 근접하여 서로 이웃해서 제공된다. 케이블 그립(582, 584)과 바브(586~587)는 스트레인 릴리프 크림프(574)가 대응하는 스트레인 릴리프 부재와 연결되는 경우에 동축케이블을 관통한다. 케이블 그립(582, 584)과 바브(586~587)는 외부 자켓을 완전히 관통해서 결합하고 및/또는 외부 컨덕터도 관통하도록 동축케이블 측으로 연장하여 스트레인 릴리프 크림프(574)와 동축케이블 사이의 견고한 접속을 제공한다.
임의적으로, 동축케이블 커넥터(10)는 일단부에서만 동축케이블에 접속되는 반면에, 반대 단부에서는 동축케이블이외의 구조체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축케이블 커넥터는 개별 부품, 인쇄회로기판, 회로기판, 플렉스 기판, 차동형 쌍(differential pair), 꼬임 쌍선(twisted pair of wires), 2개 와이어, 배면판 등에 접속되도록 채택된 일단부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비동축 구조체(non-coaxial structure)에 접속된 동축케이블 커넥터(10)의 단부는 상술된 바와 같은 셀 또는 동축케이블 변위 크림프를 포함할 필요가 없다.
임의적으로, 콘택트 셀(20, 22, 220, 222)은 U자형 이외의 다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대신에, 한 쌍인 콘택트 셀 모두[예를 들어, 콘택트 셀(20, 22)]는 2개의 L자형 콘택트 셀이 연결되는 경우에 케이블 축의 축을 가로지른 평면에서 360°차폐를 둘러싸서 제공하는 차폐형 박스를 형성하도록 L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360°차폐는 내부 콘택트(내부 동축케이블 컨덕터를 내부 곤택트에 부착시키는 크림프를 포함함)를 실질적으로 둘러싼다. L자형인 경우에, 각각의 콘택트 셀은 상 이하거나 동일한 길이인 2개의 벽을 포함한다. 따라서, 콘택트 셀은 변형된 J자형, 즉 L자형의 하부벽의 외측단부에서 만곡된 플랜지를 구비한 L자형을 가질 수 있다. 각 콘택트 셀의 하부벽의 플랜지는 정합하는 콘택트 셀 상의 인접하는 상부벽에 겹쳐진다.
임의적으로, 한 쌍인 콘택트 셀 모두는 2개의 콘택트 셀이 정합되는 경우에 케이블 축의 축을 가로지른 평면에서 360°차폐를 둘러싸서 제공하는 한 동일 단면형상을 가질 필요가 없다. 360°차폐는 내부 콘택트의 주변과 노출된 내부 컨덕터의 위를 실질적으로 둘러싼다. 대신에, 하나의 콘택트 셀이 내부 콘택트/내부 컨덕터의 3면에 적합한 차폐를 제공하는 반면에 다른 콘택트 셀은 3면 이하의 차폐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콘택트 셀은 U자형인 반면에 다른 콘택트 셀은 L자형, 변형된 J자형 또는 정합된 U자형 콘택트 셀의 개방면을 덮는 단순한 편평 벽일 수 있다. 콘택트 셀 각각은 최대 3개의 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조립된 커넥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절연 하우징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콘택트 블레이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리셉터클 콘택트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콘택트 셀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콘택트 셀의 단부도(end view)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선 8-8을 따라서 취한 콘택트 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동축케이블에 장착된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커넥터에 접속하기 에 적합한 동축케이블용 동축케이블 구조를 나타낸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커넥터용 스트립 라인 구조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서 부착된 동축케이블과 커넥터를 둘러싸는 전기장 분포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조립된 커넥터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중심 콘택트를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중심 콘택트를 나타낸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셀의 단부도를 나타낸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절연 하우징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절연 하우징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부분적으로 조립된 커넥터를 나타낸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연결된 외부 하우징과 동축케이블을 나타낸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연결된 외부 하우징과 동축케이블을 나타낸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연결된 외부 하우징과 동축케이블을 나타낸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연결된 외부 하우징과 동축케이블을 나타낸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를 나타낸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콘택트 셀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콘택트 셀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Claims (11)

  1. 동축케이블 커넥터용 접지 차폐에 있어서,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연장하는 차폐형 챔버를 한정하도록 서로 정합가능한 콘택트 셀들을 포함하고;
    상기 콘택트 셀들은 상기 콘택트 셀들이 서로 연결된 때 상기 차폐형 챔버의 주변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벽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 셀은 상기 차폐형 챔버의 양단부에 위치된 개방단부와 케이블 지지단부를 갖고, 상기 케이블 지지단부는 상기 동축케이블을 수용하고 접속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 셀은 상기 개방단부로부터 상기 케이블 지지단부까지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을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 셀은 상기 개방단부로부터 상기 케이블 지지단부까지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측면을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방측면은 상기 콘택트 셀들이 서로 연결된 때 상기 벽 중 하나에 의해 차폐되는 접지 차폐.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콘택트 셀은 개방측면을 갖는 U자형으로 형성된 측벽과 연결벽을 포함하고, 상기 콘택트 셀은 서로 대면하는 상기 U자형으로 연결되고 상기 측벽은 서로 겹쳐지는 접지 차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에는 상기 개방단부로부터 상기 케이블 지지단부까지 상기 차폐형 챔버의 주변 주위에 360°의 차페가 제공되는 접지 차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 셀은 상기 케이블 지지단부에 제공된 동축케이블 변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동축케이블 변위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의 상기 케이블 지지단부를 횡단하여 연장하고 교차하는 평면을 따라서 동축케이블의 컨덕터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접지 차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 셀은 개방단부 및 케이블 지지단부를 갖는 벽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지지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벽을 횡단하는 평면을 따라서 연장하는 동축케이블 변위 콘택트를 포함하는 접지 차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형 챔버는 상기 길이방향 축을 가로지르는 양단부와 상기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평행하게 연장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콘택트 셀의 벽은 상기 차폐형 챔버의 전체 주변 주위와 전체 길이를 따라서 차폐되도록 상기 측면의 전체 길이를 따라서 연장하는 접지 차폐.
  7.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콘택트 셀은 연결벽에 의해서 연결된 마주하는 측벽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콘택트 셀은 상기 연결벽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측벽의 길이를 따라서 연장하는 개방측면을 갖는 접지 차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셀은 상기 차폐형 챔버의 전체 길이를 따라서 연장하는 적어도 2개의 측벽과 적어도 하나의 개방측면을 갖고, 상기 콘택트 셀은 상기 제1콘택트 셀과 제2콘택트 셀이 서로 결합된 때 상기 제1콘택트 셀의 상기 개방측면을 덮는 적어도 하나의 벽을 갖는 접지 차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 셀은 3면에서 상기 차페형 챔버를 둘러싸도록 연결벽에 의해서 상호결합된 마주하는 측벽을 갖는 제1콘택트 셀을 포함하고, 상기 마주하는 측벽과 상기 연결벽은 3면에서 상기 차페형 챔버를 둘러싸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방측면은 상기 연결벽에 마주하여 위치되고 상기 케이블 지지단부로부터 상기 개방단부까지 상기 측벽의 개방에지를 따라서 연장하는 접지 차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 셀은 상기 차폐형 챔버의 마주하는 측면에 위치된 마주하는 측벽을 갖는 제1콘택트 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콘택트 셀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방측면은 상기 마주하는 측벽의 길이를 따라서 연장하는 접지 차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방측면은 동축케이블과 동축케이블에 접속된 콘택트가 상기 길이방향 축을 횡단하는 방향에서 측방으로 선적되도록 구성되는 접지 차폐.
KR1020087026310A 2001-12-05 2002-11-26 동축케이블 커넥터 KR1009010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005,625 2001-12-05
US10/005,625 US6746277B2 (en) 2001-12-05 2001-12-05 Coaxial cable connect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8725A Division KR100875060B1 (ko) 2001-12-05 2002-11-26 동축케이블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172A true KR20080105172A (ko) 2008-12-03
KR100901065B1 KR100901065B1 (ko) 2009-06-04

Family

ID=217168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6310A KR100901065B1 (ko) 2001-12-05 2002-11-26 동축케이블 커넥터
KR1020047008725A KR100875060B1 (ko) 2001-12-05 2002-11-26 동축케이블 커넥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8725A KR100875060B1 (ko) 2001-12-05 2002-11-26 동축케이블 커넥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3) US6746277B2 (ko)
EP (3) EP1930994B1 (ko)
JP (2) JP4262095B2 (ko)
KR (2) KR100901065B1 (ko)
CN (2) CN101272023B (ko)
AU (1) AU2002362077A1 (ko)
DE (2) DE60229314D1 (ko)
TW (1) TW586261B (ko)
WO (1) WO20030492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6277B2 (en) * 2001-12-05 2004-06-0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axial cable connector
JP2003297493A (ja) * 2002-04-05 2003-10-17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同軸コネクタ
US6840822B1 (en) * 2003-08-25 2005-01-1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able connector
JP4084292B2 (ja) * 2003-11-21 2008-04-3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の圧接構造
JP4102295B2 (ja) * 2003-11-21 2008-06-18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用ピアシング端子
US6988911B2 (en) * 2004-03-02 2006-01-2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improved shielding
US6916201B1 (en) * 2004-03-03 2005-07-12 Speed Tech Corp. Micro coaxial cable connecting device
JP4086246B2 (ja) * 2004-11-19 2008-05-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864340B2 (ja) * 2005-04-14 2012-02-0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の電気コネクタ
US7384306B2 (en) * 2006-07-26 2008-06-1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RF connector with adjacent shielded modules
KR100968327B1 (ko) * 2007-03-14 2010-07-08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다극동축커넥터
US7766696B2 (en) * 2007-07-26 2010-08-0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axial cable connector assembly
US7785118B2 (en) * 2007-07-31 2010-08-3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axial cable connector having a compensating tab
JP5008492B2 (ja) * 2007-08-01 2012-08-2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シールドコネクタ
ES2356935T3 (es) * 2007-10-04 2011-04-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lindaje que se puede fijar a un conector en el campo de las telecomunicaciones, combinación de un conector y al menos un blindaje y método para blindar un conector.
KR200447913Y1 (ko) * 2007-12-26 2010-03-0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하우징 이탈방지 커넥터
US7789703B2 (en) * 2008-10-21 2010-09-0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having a shield electrically coupled to a cable shield
CN102044812B (zh) * 2009-10-12 2014-04-02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射频连接器、基站及传输射频信号的方法
JP5629495B2 (ja) * 2010-06-01 2014-11-19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US7980894B1 (en) * 2010-08-23 2011-07-1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axial connector with a cable receptor with an outer contact
JP5666242B2 (ja) * 2010-10-22 2015-02-12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カバー及びシールド構造
US20130037299A1 (en) * 2011-08-12 2013-02-14 Andrew Llc Stripline RF Transmission Cable
JP5740200B2 (ja) * 2011-04-22 2015-06-24 矢崎総業株式会社 共鳴式非接触給電システム、受電側装置及び送電側装置
JP5771094B2 (ja) * 2011-08-25 2015-08-26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US8475212B1 (en) * 2012-02-21 2013-07-02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harging connector
JP5864351B2 (ja) 2012-04-26 2016-02-17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CN102842838B (zh) * 2012-08-01 2015-01-07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线缆连接器的制造方法及其线缆连接器
US9293874B2 (en) * 2014-06-17 2016-03-2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High speed radio frequency connector
KR101643218B1 (ko) * 2014-10-10 2016-07-28 주식회사 조우스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커넥터
CN105628981B (zh) * 2014-10-30 2018-09-25 上海电缆研究所有限公司 高频电缆测试平台
JP6951200B2 (ja) * 2017-11-10 2021-10-2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09004387B (zh) * 2018-07-31 2024-01-19 浙江正导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微细同轴电缆快插连接器
CN110265838B (zh) * 2019-07-05 2024-03-22 上海航天科工电器研究院有限公司 一种射频同轴连接器
CN110277705B (zh) * 2019-07-05 2020-12-22 上海航天科工电器研究院有限公司 一种高容错性射频同轴连接器及组件
CN113937447B (zh) * 2020-07-13 2022-12-27 华为技术有限公司 转接装置、馈电装置和天线
US11903124B2 (en) 2021-08-10 2024-02-13 Rockwell Collins, Inc. Wide band printed circuit board through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85387A (en) * 1955-03-25 1957-03-12 Kent Mfg Corp Electrical connector
US3179914A (en) * 1962-11-06 1965-04-20 Ibm Coaxial line connector
US3670293A (en) * 1970-08-20 1972-06-13 Amp Inc Shielded wire connectors
US3828298A (en) * 1973-01-22 1974-08-06 Amp Inc Electrical terminal for a braided shield on a coaxial cable
US3958851A (en) * 1974-12-30 1976-05-25 Ibm Corporation Shielded connector
ZA765757B (en) * 1976-09-27 1978-05-30 Aeci Ltd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and connectors therefor
DE3308383A1 (de) * 1983-03-09 1984-09-13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Hochfrequenzdichte kabelmuffe
EP0209046A3 (de) 1985-07-10 1989-07-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zweigergehäuse für Nachrichtenkabel
US5066928A (en) * 1990-05-02 1991-11-19 General Atomics Soliton pulse compressor
JP2597637Y2 (ja) * 1992-09-09 1999-07-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DE9311781U1 (de) 1992-10-29 1993-09-30 Siemens AG, 80333 München Kabelstecker für vieladrige Kabel
US6030237A (en) 1993-03-23 2000-02-29 Siemens Aktiengesellschaft Plug connector having a lead exit duct
NO312868B1 (no) 1994-09-28 2002-07-08 Siemens Ag Tilkoblingsinnretning for knivklemme
JP3089189B2 (ja) * 1995-06-20 2000-09-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US6019627A (en) 1996-06-25 2000-02-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Plug connector having a connecting cable
DE19630939C1 (de) 1996-07-31 1997-12-11 Siemens Ag Kontaktfeder
DE19631152C1 (de) 1996-08-01 1998-01-02 Siemens Ag Vorrichtung zum Anschlagen von Einzelleitungen an IDC-Kontakte
JPH10162872A (ja) * 1996-12-02 1998-06-19 Sumitomo Wiring Syst Ltd 圧接型端子金具
JP3417782B2 (ja) * 1997-02-05 2003-06-16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部材を有するコネクタ
DE19705509C2 (de) 1997-02-13 1999-04-29 Siemens Ag Einstückige Kontaktfeder
JP3446989B2 (ja) * 1997-05-29 2003-09-16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JP3417544B2 (ja) 1997-06-17 2003-06-16 矢崎総業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用コンタクト
US5864090A (en) 1997-09-03 1999-01-26 Osram Sylvania Inc. Ground device and method of grounding a cable using same
US6149460A (en) 1998-09-25 2000-11-21 Tyco Electronics Logistics Ag RF plug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RF plug connection system
JP3532428B2 (ja) 1998-11-27 2004-05-31 住友電装株式会社 端 子
CN1175530C (zh) 1998-11-19 2004-11-10 住友电装株式会社 屏蔽连接器和屏蔽连接器组
JP3365549B2 (ja) 1998-11-19 2003-01-14 住友電装株式会社 シールド端子
JP3108057B2 (ja) * 1998-12-02 2000-11-13 住友電装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US6065998A (en) * 1998-12-29 2000-05-23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coaxial cable
JP4204750B2 (ja) * 2000-10-25 2009-01-0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02190356A (ja) * 2000-12-22 2002-07-0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シールドコネクタの接続構造
US6746277B2 (en) * 2001-12-05 2004-06-0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axial cable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29314D1 (de) 2008-11-20
EP1454384A1 (en) 2004-09-08
CN101272023A (zh) 2008-09-24
US20030104723A1 (en) 2003-06-05
EP1791226B1 (en) 2008-10-08
JP4262095B2 (ja) 2009-05-13
EP1791226A1 (en) 2007-05-30
EP1930994A1 (en) 2008-06-11
CN1618149A (zh) 2005-05-18
JP4716339B2 (ja) 2011-07-06
KR100901065B1 (ko) 2009-06-04
KR100875060B1 (ko) 2008-12-18
TW586261B (en) 2004-05-01
JP2009110964A (ja) 2009-05-21
CN101272023B (zh) 2010-06-02
JP2005529449A (ja) 2005-09-29
DE60219949T2 (de) 2008-01-17
EP1930994B1 (en) 2012-10-10
US20040161972A1 (en) 2004-08-19
AU2002362077A1 (en) 2003-06-17
EP1454384B1 (en) 2007-05-02
DE60219949D1 (de) 2007-06-14
CN100403604C (zh) 2008-07-16
KR20050058281A (ko) 2005-06-16
US6814615B2 (en) 2004-11-09
US6878011B2 (en) 2005-04-12
US6746277B2 (en) 2004-06-08
WO2003049237A1 (en) 2003-06-12
US20040161973A1 (en) 2004-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1065B1 (ko) 동축케이블 커넥터
KR100910713B1 (ko) 동축 케이블 콘택트
EP2174386B1 (en) Coaxial cable connector having a compensating tab
US4692121A (en) Dual slot electrical contact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250959B1 (en) Connector for coaxial cables with very fine conductors
JP4632454B2 (ja) ケーブルコネクタ
US6200163B1 (en)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means for terminating the shield of a high speed cable
US6186828B1 (en)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coaxial cable management system
EP0951092A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axial cables
WO2024165959A1 (en) Angled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