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3905A - 세면욕조실 배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세면욕조실 배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3905A
KR20080083905A KR1020070024729A KR20070024729A KR20080083905A KR 20080083905 A KR20080083905 A KR 20080083905A KR 1020070024729 A KR1020070024729 A KR 1020070024729A KR 20070024729 A KR20070024729 A KR 20070024729A KR 20080083905 A KR20080083905 A KR 20080083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rain
drain pipe
fastened
doub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4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0459B1 (ko
Inventor
최해권
신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완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완,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완
Priority to KR1020070024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0459B1/ko
Publication of KR20080083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3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45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면욕조실의 바닥에 매설되고 세면기와 욕조로부터 방출되는 하수와 세면욕조실 바닥의 하수를 집수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세면욕조실 배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닥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층에 매설되어도 세면대와 욕조로부터 배수관장치에 연결된 집수관 및 배수관의 보수가 용이하고 배수관장치 내에 오물이 적재된 경우 이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세면욕조실의 배수 시스템을 제공한다.
세면욕조실, 배수 시스템, 배수관장치, 상부기틀

Description

세면욕조실 배수 시스템{Bathroom Drainage System}
도1은 종래의 세면욕조실 배수 시스템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욕조실 배수 시스템을 구성하는 이중관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욕조실 배수 시스템을 구성하는 도2의 이중관을 체결하는 체결구와 세면대 또는 욕조의 배수구에 체결되는 L형 이음관을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욕조실 배수 시스템을 구성하는 배수관장치의 상부기틀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욕조실 배수 시스템의 배수관장치에 도2의 이중관이 체결되어 매설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욕조실 배수 시스템의 배수관장치에 체결되는 착탈식 배수트랩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500 : 배수관장치 본체 11 : 배수관 체결부
12 : 집수관 체결부 20,510 : 궤도홈 본체
21,511 : 궤도홈 30,520 : 슬라이더
40,400 : 상부기틀 51,531 : 외통
52,532 : 내통 53,533 : 관체
60 : 상부기틀판 70 : 집수관
80 : 배수관 100 : 이중 집/배수관
110,110' : 보호관 120,120' : 내관
121 : L형 접속관 체결부 122 : 고무패킹
123,123' : 리브 200 : L형 접속관
210 : 이중 집/배수관 체결구 삽입부 300 : 이중 집배수관 체결구
310 : L형 접속관 체결부 320 : 보호관 삽입부
330 : 내관 체결부 340 : 내관 유도부
410 : 외틀 411 : 내틀 체결부
420 : 내틀 421 : 외틀 체결부
422 : 고무패킹 삽입홈 423 : 고무패킹
424 : 취기역류 방지구 삽입구 425 : 취기역류 방지구 걸림턱
501 : 집수관 체결부 502 : 배수관 체결부
600 : 배수트랩 610 : 배수트랩 몸체
611 : 제1구획판 삽입부 612 : 제2구획판 삽입부
620 : 집수관 체결부 삽입관 621 : 고무패킹
630 : 제1구획판 640 : 제2구획판
650 : 손잡이 A : 기초 바닥 콘크리트층
B : 마감 콘크리트 층 C : 바닥 마감제
본 발명은 세면욕조실의 바닥에 매설되고 세면기와 욕조로부터 방출되는 하수와 세면욕조실 바닥의 하수를 집수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세면욕조실 배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닥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층에 매설되어도 세면대와 욕조로부터 배수관장치에 연결된 집수관 및 배수관의 보수가 용이하고 배수관장치 내에 오물이 적재된 경우 이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세면욕조실의 배수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세면대와 욕조가 설치되어 있는 세면욕조실의 배수 시스템은 세면대 및 욕조실과, 상기 세면대 및 욕조와 하수관에 의해 연결되며 세면대 및 욕조에서 사용한 하수와 바닥의 하수를 집수하여 배출하는 배수관장치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수관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욕조실 바닥 시공시 규격화된 철근의 간격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세면대와 욕조로부터 배출되는 하수를 집수하기 위해 세면대 또는 욕조의 하수를 집수하는 집수관(70)을 삽입 체결하기 위한 집수관 체결부(12)와, 상기 집수관(70)으로부터 유입된 하수와 세면욕조 실 바닥으로부터 유입된 하수를 배출하는 배수관(80)을 체결하기 위한 배수관 체결부(11)를 갖는 배수관장치 본체(10)와, 상기 배수관장치 본체(10) 상부에 삽입되고 배수관장치 본체 상단에 삽입 고정되는 궤도홈 본체(20)와, 상기 궤도홈 본체(20)의 궤도홈(21)에 삽입되어 사방으로 유동 가능한 슬라이더(30)와, 상기 슬라이더(30)의 상부기틀 결합부에 결합되며 중앙에 취기역류 방지구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결합된 슬라이더(30)에 의해 사방으로 유동 가능한 상부기틀(40)과, 상기 상부기틀(40)의 취기역류 방지구 삽입부에 삽입 고정되는 취기역류 방지구 내,외통(52,51) 그리고 내부 관체(53)로 이루어진 취기역류 방지구와, 상기 상부기틀 상부에 삽입 고정되는 상부기틀판(6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세면욕조실 배수관장치를 사용하여 세면욕조실의 배수 시스템을 형성하는 방법은, 먼저 배수관장치 본체(10)를 바닥의 철근 사이에 설치한 후, 세면대와 욕조로부터 연결된 집수관(70)을 상기 집수관 체결부(12)에 체결한 다음, 배수관장치 본체(10)의 상면과 집수관의 일단이 노출되도록 기초 바닥 콘크리트를 부어 양생시킴으써 배수관장치와 집수관을 매설하였다. 다음에, 기초 바닥 콘크리트층(A)이 양생되면 상기 배수관장치 본체(10) 상단에 궤도홈 본체(20)와, 슬라이더(30), 그리고 상부기틀(40)을 체결한 다음, 슬라이더(30)의 위치를 조정하여 바닥 마감제인 타일의 위치와 일치하도록 위치시키고, 세면대와 집수관이 연결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노출된 집수관의 일단에 욕조를 설치하였다. 다음에, 상기 궤도홈 본체(20)와 슬라이더(30) 그리고 상부기틀(40)의 밑면, 그리고 욕조 하단의 일부분이 매설되도록 마감용 콘크리트층(B)을 양생시켰다. 다음에, 상기 마감용 콘크리트 층(B)에 타일 등의 마감재를 이용하여 바닥 마감공사를 실시하고, 상기 상부기틀(40)에 취기역류 방지구와 상부기틀판(60)을 체결한 다음, 하층으로부터 상기 배수관 본체(10)의 배수관 체결부(11)에 배수관(30)을 체결함으로써 세면욕조실 배수 시스템을 완성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배수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하수를 배출하는 배수관이 저층의 천장에 구성되기 때문에 상층으로부터 하수가 배출되는 소음이 그대로 하층으로 유입되고, 상층과 하층이 배수관장치와 배수관 등의 얇은 PVC 막으로 막힌 형태이기 때문에 상층의 세면욕조실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변기의 물내리는 소리, 소변보는 소리, 샤워하는 소리 등)이 그대로 하층으로 전달되어 상층의 세면욕조실을 사용하는 사람의 플라이버시를 침해할 수 있고, 하층의 사람들에게는 그 소리로 인해 불쾌감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집수관이 콘크리트에 매설되기 때문에 바닥 공사시 집수관이 파손되어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그대로 하층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하층의 사람들이 피해를 볼 수 있고, 집수관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를 모두 제거하고 다시 시공해야 하는 등 보수비용이 많이 들고 하층 사람들에게까지 피해를 준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종래의 세면욕조실 배수관장치는 상부기틀의 상면을 제외하고 모두 콘크리트에 매설되기 때문에 배수관장치 본체 내부에 이물질이 적체되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취기역류 방지구를 해체한 후 취기역류 방지구 삽입구로 손이나 도구를 넣어 이물질을 제거해야만 하였다.
그러나, 상기 취기역류 방지구 삽입구의 직경이 작기 때문에 성인의 경우 손을 넣기가 용이하지 않고, 집게 등을 사용하더라도 공간이 작아 배수관장치 본체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세면대의 경우 취기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P트랩을 사용하기 때문에 세면대 하부 공간에 P트랩을 포함하는 배수관이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고 세면욕조실의 활용공간이 감소되며, 욕조의 경우 취기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별다른 구성이 없으므로 세면욕조실 내부로 취기가 역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초 바닥용 콘크리트층 상부에 방수처리를 실시하고, 그 방수 처리된 바닥 콘크리트층 상부에 세면욕조실 배수 시스템을 설치함으로써 배수관장치와 배수관을 통해 하층으로 유입되는 소음을 사전에 차단하여 세면욕조실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개인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고, 하층 사람들을 상층의 세면욕조실에서 발생하는 소음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수관과 배수관을 경질의 보호관과 플렉시블하게 형성된 하수가 흐르는 내관으로 형성함으로써 바닥 마감 공사시 집수관 또는 하수관을 구성하는 보호관이 파손되더라도 내관을 보호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관의 일단을 회전에 의해 세면대와 욕조의 배수구에 체결되도록 하고, 타단은 배수관장치의 집수관 체결부와 배수관 체결부 내부에 결합되도록하여 상기 배관 파손시 배수관장치 본체 내부를 통해 플렉시블한 내관을 제거하거나 새로운 내관을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집수관 및 배수관 파손시 콘크리트의 제거없이 내관을 교체하는 것만으로도 용이하게 보수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 시스템 시공후 내관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 취기역류 방지구 삽입구만으로는 내관 교체작업이 불가능하므로, 상기 배수관장치의 상부기틀을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외틀과, 상기 외틀 내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중앙에 취기역류 방지구가 설치되는 내틀로 구성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내틀을 외틀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관의 교체 및 보수작업이 용이하게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배수관장치의 상부기틀을 외틀과 분리 가능한 내틀로 구성함으로써 배수관장치 본체 내부에 이물질이 적체될 경우 이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면대와 욕조로 취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이중 집/배수관의 내관을 집수관 체결부에 체결 및 해체할 수 있도록 착탈식 배수트랩을 사용하여 취기의 역류를 방지하면서도 이중 집/배수관의 내관을 용이하게 체결 및 해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면대와 욕조 그리고 세면욕조실 바닥의 하수를 집수하여 배출하기 위한 세면욕조실 배수 시스템에 있어서, 세면욕조실 기초 바닥용 콘크리트층 상부에 설치되고, 그 기초 바닥용 콘크리트층 상부에 타설되는 마감용 콘크리트에 매설되며, 측면 일측에 각각 형성된 집수관 체결부와 배수관 체결부를 갖는 배수관장치 본체와; 상기 배수관장치 본체의 집수관 체결부에 일단이 체결되고 타단은 세면대 또는 욕조의 배수구에 체결되는 보호관과 내관으로 형성된 이중 집수관과; 상기 배수관장치 본체의 하수관 체결부에 일단이 체결되며 타단은 그 건물의 통합 배수관에 연결되는 보호관과 내관으로 형성된 이중 배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욕조실의 배수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욕조실 배수 시스템을 구성하는 이중 집/배수관(100)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후술하는 배수관장치의 집수관 체결부에 내경이 삽입되도록 경질의 재질로 형성된 보호관(110)과; 상기 보호관(110) 내부에 안치되며 일단은 후술하는 세면대 또는 욕조의 배수구에 체결된 L형 접속관 체결구및 건물의 하수를 배출하는 주 배수관에 체결되도록 피치가 형성된 L형 접속관 체결부(121)와 그 타단에 체결되어 배수관장치의 집수관 체결부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고무패킹(122)과, 상기 고무패킹이 설치된 내주면에 적어도 두개 이상의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손가락을 잡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리브(123)를 갖는 내관(12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내관(120)은 회절이 용이한 연질의 물질을 사 용하여 플렉시블하게 형성함으로써 보호관(110)이 굴곡지게 설치되더라도 삽입 및 해체와 회전이 용이하도록 한다.
다음에,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욕조실 배수 시스템을 구성하며 세면대 또는 욕조의 배수구에 체결되는 L형 접속관(200)과 그 L형 접속관(200)에 체결되어 이중 집/배수관을 체결하는 이중 집/배수관 체결구(300)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L형 접속관은 세면대 또는 욕조의 배수구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이중 집/배수관 체결구(300)가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피치가 형성된 이중 집배수관 체결구 삽입부(210)를 갖는다.
또한, 상기 이중 집/배수관 체결구(300)는 전단 일부분과 후단 일부분에 각각 홈이 형성되어 일단면이 'ㄹ'자 형상을 가지며, 외주면으로부터 L형 접속관 체결부(310), 보호관 삽입부(320), 그리고 내관 체결부(330) 순으로 구성된다. 상기 L형 접속관 체결부(310)는 후방이 개방되고, 상기 이중 집배수관 체결구 삽입부(210)에 형성된 피치에 대응되도록 내주면에 피치를 형성하여 회전결합에 의해 L형 접속관(200)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중간층을 형성하는 보호관 삽입부(320)의 두께는 상기 보호관(110)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전단이 개방되어 강제삽입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고, 내측에 고무패킹을 삽입함으로써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내관 체결부(330)는 내주면에 도2의 내관(120) 일단에 형성된 L형 접속관 체결부(121)의 피치에 대응되도록 피치를 형성하여 상기 내관(120)의 회 전에 의해 체결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형성한다. 이때, 상기 내관 체결부(330)의 전단은 보호관 삽입부(320)의 개방된 부분으로 외경이 넓어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내관 유도부(340)를 더 형성함으로써 보호관(110)이 매설된 상태에서도 상기 내관(120)의 L형 접속관 체결부(121)가 상기 내관 체결부(330)에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에, 종래의 배수관 장치를 통해서는 도2 및 도3과 같은 보호관(110)과 L형 접속관(200)이 매설된 상태에서 종래의 배수관장치를 통해 내관(120)을 해체 또는 보수하기가 용이하지 못하였다. 이는 종래 배수관장치는 취기역류 방지구만이 분리되기 때문에 그 취기역류 방지구로 손을 넣기 어렵기 때문이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배수관장치의 상부기틀을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욕조실 바닥에 매설되고 상단이 노출되는 외틀(410)과, 상기 외틀(410) 내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중앙에 취기역류 방지구가 설치되는 취기역류 방지구 삽입부(424)를 갖는 내틀(420)로 구성된다. 상기 내틀(420)의 외주면의 형태는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하고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외틀 체결부(421)를 형성하며, 상기 외틀 체결부(421)의 외주면 중간에 일정한 깊이의 홈(422)을 형성하여 그 홈에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고무패킹(423)을 장착한다.
또한, 상기 외틀(410)은 내틀(420)이 장착되는 부분에 종래의 배수관장치와 같은 슬라이더의 상부기틀 결합부에 삽입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한 높이로 슬라이더 결합부(411)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내틀은 상기 슬라이더 결합부(411)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 결합부의 내주면 하단에 상기 내틀 걸림턱을 더 형성하여 내틀이 배수관장치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욕조실 배수 시스템에 있어서 배수관장치에 도2의 이중 집/배수관과 도4의 상부기틀이 체결되어 매설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세면욕조실 바닥 시공시 상부가 개방되고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집수관 체결부(501)와 하나의 배수관 체결부(502)가 형성된 배수관장치 본체(500)와; 상기 배수관장치 본체(500) 상부에 삽입 고정되는 궤도홈 본체(510)와; 상기 궤도홈 본체(510)의 궤도홈(511)에 삽입되어 사방으로 유동 가능한 슬라이더(520)와; 상기 슬라이더(520)의 상부기틀 결합부(521)에 체결되는 외틀(410)과, 상기 외틀(410) 내부에 설치되어 외통(531)과 내통(532) 그리고 관체(543)으로 구성된 취기역류 방지구(530)가 결합되는 내틀(420)을 구비한 상부기틀(400)을 포함한다.
상기 배수관장치는 배수관장치 본체(500)를 기초 바닥 콘크리트층(A) 상면에 고정한 다음, 세면대 배수구와 욕조 배수구에 도3의 L형 접속관(200)을 체결하고, 상기 L형 접속관(200)과 상기 배수관장치의 본체(500)의 집수관 체결부(501) 사이에 도2의 이중 집/배수관(100)을 체결한다. 이때, L형 접속관(200)에 이중 집배수관 체결구(300)를 회전결합 시키고, 상기 보호관(110)의 일단을 삽입한 다음, 그 타단을 상기 배수관장치 본체(500)의 집수관 체결부(501)에 체결한다. 다음에 상기 배수관장치 몸체 안쪽부터 집수관 체결부(501) 내부로 내관을 삽입한 다음, 내관(120)의 리브(123)를 잡고 회전시켜 상기 이중 집수관 체결구(300)에 체결하고, 고무패킹을 내관(120)의 끝부분에 설치한 후 밀어넣어 내관(120)과 집수관 체결 부(501)의 내주면이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배수관장치 본체(500)의 배수관 체결부(502)와 건물의 주 집수관에도 이중 집/배수관의 보호관(110')과 내관(120)을 연결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이중 집배수관이 집수관 체결부(501)와 배수관 체결부(502)에 연결되면 상기 배수관장치 본체 상단에 궤도홈 본체(510)를 체결하고, 상기 궤도홈 본체(510)의 궤도홈(511)에 슬라이더(520)를 체결한 다음, 상기 슬라이더(520)에 상부기틀(400)의 외틀(410)을 체결하고, 슬라이더를 움직여 최적의 위치에 고정한다. 다음에, 상기 배수관장치 본체에 체결된 외틀(410)이 일정 높이까지 매설되도록 마감용 콘크리트층(B)을 양생시킨다. 물론 이중 집배수관과 욕조의 일부분도 함께 매설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배수관장치의 매설이 완료된 후, 취기역류 방지구가 설치된 내틀(420)을 상기 외틀(410)에 체결하고, 상부기틀판을 상기 외틀에 설치함으로써 배수관장치의 설치를 완료한다.
다음에,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욕조실 배수 시스템의 배수관장치에 체결되어 세면대 또는 욕조로 하수의 취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착탈식 배수트랩을 나타낸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배수관 장치 본체의 집수관 체결부에 이중 집/배수관의 내관을 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배수트랩을 조립과 해체가 간단한 착탈식으로 구성하여야만 한다.
상기 배수트랩(600)은 배수관장치 본체(500)의 내주면의 직경과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주벽판과 주벽판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단이 수평하게 절단된 초승달 형상의 바닥으로 구성되고, 상기 주벽판 상단에는 제1구획판 삽입부(611)가 형성되며, 바닥의 끝단에는 제2구획판 삽입부(612)가 형성된 배수트랩 몸체(610)와; 상기 배수트랩 몸체의 주벽판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장치 본체의 집수관 체결부에 결합되는 접속관 체결부 삽입관(620)과; 상기 배수트랩 몸체의 주벽판 상단에 형성된 제1구획판 삽입부(611)에 삽입 체결되며 상면은 초승달 형상으로 형성되고 구획판이 배수트랩 몸체의 바닥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일체로 하향 형성된 제1구획판(630)과; 상기 배수트랩 몸체의 바닥 일단에 형성된 제2구획판 삽입부(612)에 삽입 체결되며 상기 제1구획판(630)과 같은 높이를 갖도록 연질의 재질로 형성된 제2구획판(640)과; 상기 배수트랩 몸체(610)의 바닥 일측 중앙에 형성되어 손가락을 걸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손잡이(65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배수관장치 본체의 집수관 체결부 삽입관(620) 외주면 일단에는 고무패킹 삽입홈을 형성하고, 그 고무패킹 삽입홈에 고무패킹(621)을 체결하여 집수관 체결부에 삽입 체결함으로써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수트랩은 상기 배수관장치의 상부기틀을 구성하는 내틀을 분리한 후 배수관장치 본체의 집수관 체결부에 삽입 및 해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세면욕조실 배수 시스템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바닥 마감공사시 이중 집/배수관중 내관이 파손되어 누수가 발생하거나 내관이 오물에 의해 막히는 경우의 보수작업은, 먼저 배수관장치의 상부 기틀판을 제거한 다음, 상기 취기역류 방지구가 설치된 내틀을 상부기틀의 외틀로부터 분리한다.
다음에, 상기 배수관장치 본체로 손을 넣어 손가락으로 배수트랩의 손잡이를 잡고 집수관 체결부로부터 배수트랩을 분리하여 제거하고, 집수관 체결부 또는 배수관 체결부에 체결된 내관의 끝단에 형성된 리브를 손가락으로 잡고 회전시켜 L형 접속관에 체결되어 있는 이중 집배수관 체결구로부터 내관을 분리하여 뽑아낸다, 다음에, 뽑아낸 내관과 같은 크기의 내관을 상기 집수관 체결부 또는 배수관 체결부로 밀어넣은 후 회전시켜 상기 이중 집배수관 체결부에 체결하고, 상기 배수트렙을 집수관 체결부에 결합한 다음, 상기 내틀을 상부기틀의 외틀에 체결하고 상부기틀을 체결함으로써 보수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면욕조실 배수 시스템은 바닥용 콘크리트층 상부에 방수처리를 실시하고, 그 방수 처리된 바닥 콘크리트층 상부에 세면욕조실 배수 시스템을 설치함으로써 배수관장치와 배수관을 통해 하층으로 유입되는 소음을 사전에 차단하여 세면욕조실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개인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고, 하층 사람들을 상층의 세면욕조실에서 발생하는 소음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수관과 배수관을 경질의 보호관과 플렉시블하게 형성되고 하수가 흐르는 내관으로 형성함으로써 바닥 마감 공사시 집수관 또는 하수관을 구성하는 보호관이 파손되더라도 내관을 보호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관은 일단이 회전에 의해 세면대와 욕조의 배수구에 체결되도 록 하고, 타단은 배수관장치의 집수관 체결부와 배수관 체결부 내부에 설치하여 상기 배관 파손시 배수관장치 본체 내부를 통해 플렉시블한 내관을 제거하거나 새로운 내관을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집수관 및 배수관 파손시 콘크리트의 제거없이 내관을 교체하는 것만으로도 용이하게 보수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관장치의 상부기틀을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외틀과, 상기 외틀 내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중앙에 취기역류 방지구가 설치되는 내틀로 구성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내틀을 외틀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관의 교체 및 보수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배수관장치의 상부기틀을 외틀과 분리 가능한 내틀로 구성함으로써 배수관장치 본체 내부에 이물질이 적체될 경우 이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탈식 배수트랩을 사용하여 세면대와 욕조로 역류하는 취기를 방지하면서도 이중 집/배수관의 내관을 용이하게 체결 및 해체할 수 있다.

Claims (13)

  1. 세면대와 욕조 그리고 세면욕조실 바닥의 하수를 집수하여 배출하기 위한 세면욕조실 배수 시스템에 있어서,
    세면욕조실 기초 바닥용 콘크리트 상부에 설치되고, 그 기초 바닥용 콘크리트 상부에 타설되는 마감용 콘크리트에 매설되며, 측면 일측에 각각 형성된 집수관 체결부와 배수관 체결부를 갖는 배수관장치 본체와;
    상기 배수관장치 본체의 집수관 체결부에 일단이 체결되고 타단은 세면대 또는 욕조의 배수구에 체결되는 보호관과 내관으로 형성된 이중 집수관과;
    상기 배수관장치 본체의 하수관 체결부에 일단이 체결되며 타단은 그 건물의 통합 배수관에 연결되는 보호관과 내관으로 형성된 이중 배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욕조실의 배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바닥용 콘크리트 상부에 방수처리를 실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욕조실의 배수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집/배수관은,
    경질의 재질로 형성된 보호관과;
    일단에는 피치가 형성되고, 타단의 끝 부분에는 고무 패킹이 설치되며 그 타단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리브가 형성되며 플렉시블한 연질의 내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욕조실 배수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면대 또는 욕조의 배수구에 집수관을 체결하기 위해 일단 외주면에 피치가 형성된 이중 집/배수관 체결구 삽입부를 구비한 L형 접속관과;
    상기 L형 접속관의 이중 집/배수관 체결구 삽입부에 체결되어 이중 집/배수관을 체결 고정하는 이중 집/배수관 체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욕조실의 배수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집/배수관 체결구는,
    전단 일부분과 후단 일부분에 홈이 형성되어 일단면이 'ㄹ'자 형상을 가지며, 외주면에 형성되고 후방이 개방되어 상기 이중 집배수관 체결구 삽입부에 형성된 피치에 대응되도록 내주면에 피치를 형성하여 회전결합에 의해 L형 접속관에 체결되는 L형 접속관 체결부와;
    전단이 개방되고 이중 집/배수관의 보호관의 두께와 동일한 폭을 가지며, 강제삽입에 의해 상기 보호관을 체결하는 보호관 삽입부와;
    내주면에 형성되며 양단이 개방되고 상기 내관의 일단에 형성된 피치에 대응 되도록 피치가 형성되어 내관을 회전결합 및 해체하는 내관 체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욕조실 배수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집/배수관 체결구는,
    상기 내관 체결부의 전단에 보호관 삽입부의 개방된 부분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한 내관 유도부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욕조실 배수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면욕조실 배수관장치는,
    상기 배수관 장치 본체에 체결되어 세면욕조실 바닥에 밑면과 하단 일부분이 매성되고 상단이 노출되는 외틀과,
    상기 외틀 내부에 탈착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중앙에 취기역류 방지구가 설치되는 내틀로 구성된 상부기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욕조실 배수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틀은 내주면에 하단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배수관장치를 구성하는 슬라이더에 체결되는 슬라이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욕조 실 배수관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틀의 슬라이더 결합부는 내주면 하단에 안쪽으로 형성된 내틀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욕조실 배수관장치.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내틀은 외주면에 슬라이더 결합부에 밀착되도록 연장형성된 외틀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욕조실 배수관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내틀의 외틀 결합부 외주면에는 링 형태의 고무 패킹을 삽입하기 위한 고무패킹 삽입홈과, 그 고무패킹 삽입홈에 체결된 고무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욕조실 배수관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장치 본체의 내주면의 직경과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주벽판과 주벽판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단이 수평하게 절단된 초승달 형상의 바닥으로 구성되고, 상기 주벽판 상단에는 제1구획판 삽입부가 형성되며, 바닥의 끝단에는 제2구획판 삽입부가 형성된 배수트랩 몸체와;
    상기 배수트랩 몸체의 주벽판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장치 본체의 집수관 체결부에 결합되는 접속관 체결부 삽입관과;
    상기 배수트랩 몸체의 주벽판 상단에 형성된 제1구획판 삽입부에 삽입 체결되며 상면은 초승달 형상으로 형성되고 구획판이 배수트랩 몸체의 바닥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향 형성된 제1구획판과;
    상기 배수트랩 몸체의 바닥 일단에 형성된 제2구획판 삽입부에 삽입 체결되며 상기 제1구획판과 같은 높이를 갖도록 연질의 재질로 형성된 제2구획판으로 구성된 착탈식 배수트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욕조실 배수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트랩은 배수트랩 몸체의 바닥 일측 중앙에 손가락을 걸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욕조실 배수 시스템.
KR1020070024729A 2007-03-13 2007-03-13 세면욕조실 배수 시스템 Active KR100880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729A KR100880459B1 (ko) 2007-03-13 2007-03-13 세면욕조실 배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729A KR100880459B1 (ko) 2007-03-13 2007-03-13 세면욕조실 배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3905A true KR20080083905A (ko) 2008-09-19
KR100880459B1 KR100880459B1 (ko) 2009-01-30

Family

ID=40024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4729A Active KR100880459B1 (ko) 2007-03-13 2007-03-13 세면욕조실 배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04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699U (ko) 2019-09-19 2021-03-29 (주)경동하이테크판매 유지보수가 용이한 욕조배수유도장치
CN113356311A (zh) * 2021-05-14 2021-09-07 长沙理工大学 一种高层建筑用防堵塞的排水管
KR102370423B1 (ko) * 2020-08-30 2022-03-04 연규문 사이펀식 바닥배수장치
KR102511120B1 (ko) * 2022-08-03 2023-03-17 주식회사 디자인쉐어랩 이중 배수구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851B1 (ko) * 2009-02-24 2011-10-14 주식회사 청완 층상 배수관 장치
KR101130189B1 (ko) * 2009-08-03 2012-03-26 주식회사 청완 서랍형 배수트랩을 갖는 배수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7363Y2 (ja) * 1991-06-19 1997-02-26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Icカード挿抜装置
JP2000160622A (ja) * 1998-11-30 2000-06-13 Maruichi Kk 排水装置
KR200334325Y1 (ko) 2003-09-05 2003-11-21 최해권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용 임시커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699U (ko) 2019-09-19 2021-03-29 (주)경동하이테크판매 유지보수가 용이한 욕조배수유도장치
KR102370423B1 (ko) * 2020-08-30 2022-03-04 연규문 사이펀식 바닥배수장치
CN113356311A (zh) * 2021-05-14 2021-09-07 长沙理工大学 一种高层建筑用防堵塞的排水管
KR102511120B1 (ko) * 2022-08-03 2023-03-17 주식회사 디자인쉐어랩 이중 배수구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0459B1 (ko) 200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77452B2 (en) Drainage channel
KR100880459B1 (ko) 세면욕조실 배수 시스템
KR20110137931A (ko) 층상 배관 방식의 욕실 배수시스템의 배수받이
KR100880460B1 (ko) 세면욕조실 이중 배수관 배수 시스템
KR100999117B1 (ko) 층상배관용 배수관장치
KR101150282B1 (ko) 층상 배수 시스템
KR200372522Y1 (ko) 아파트 욕실의 오수 배수장치
KR100913781B1 (ko)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바닥배수관 장치
KR101312216B1 (ko) 층상 배수장치
KR101111528B1 (ko)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용 봉수 구조를 갖는 배수 트랩
KR200206787Y1 (ko) 탈착식 오물거름부재가 구비된 배수전
KR101058940B1 (ko) 층상 배관용 배수관 장치
KR101177495B1 (ko) 배관 연결이 용이한 배수트랩
KR100943995B1 (ko) 점검기능을 갖춘 트렌치 배수관 장치
KR20120043317A (ko) 층상배관용 배수관 장치
KR101073851B1 (ko) 층상 배수관 장치
KR101130189B1 (ko) 서랍형 배수트랩을 갖는 배수관 장치
KR101208089B1 (ko) 배수트랩의 결합구조
KR101130190B1 (ko) 세면욕실의 층상배관 시스템
KR101219057B1 (ko) 층상배관용 배수관 장치
KR102569017B1 (ko) 씽크 이중배관을 이용한 주방 및 세탁실 통합 배수 시스템
KR101487394B1 (ko) 욕실용 통합 배수트랩
KR100947107B1 (ko) 점검기능을 갖춘 트렌치 배수관 장치
KR100448228B1 (ko) 세면욕조실의 트렌치 배수관용 배수관 장치
KR100356543B1 (ko) 배수트랩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13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4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3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1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1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0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