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7552A - 프리 캐스트 충전 강관 기둥의 연결 방법 및 구조 - Google Patents
프리 캐스트 충전 강관 기둥의 연결 방법 및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57552A KR20080057552A KR1020060130987A KR20060130987A KR20080057552A KR 20080057552 A KR20080057552 A KR 20080057552A KR 1020060130987 A KR1020060130987 A KR 1020060130987A KR 20060130987 A KR20060130987 A KR 20060130987A KR 20080057552 A KR20080057552 A KR 200800575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pipe
- filled
- space
- pillar
- concrete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5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5
- 239000011178 precast concrete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503 Joint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42 transportation engine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4—Columns; Pillars; Struts of concrete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permanent form elements,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 e.g. metal cover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1/58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 E04B1/5837—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of substantially circular form
- E04B1/5843—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of substantially circular form with ends provided with protuberan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6—Columns; Pillars; Strut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32 or E04C3/34;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프리 캐스트 충전 강관 기둥의 연결 구조는, 콘크리트가 내부에 충전 형성된 제1 강관 본체를 가지면서 상기 콘크리트가 상기 제1 강관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형성하는 제1 강관 기둥과, 콘크리트가 내부에 충전 형성된 제2 강관 본체를 가지면서 상기 제2 강관 본체의 단부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2 강관 기둥과, 상기 돌출부가 상기 공간부에 암수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공간부에 무수축 모르타르가 충전되어 이루어지는 접합부를 포함한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 강관본체, 돌출부, 공간부, 주입공, 무수축, 모르타르, 접합부
Description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프리 캐스트 충전 강관 기둥의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프리 캐스트 충전 강관 기둥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 캐스트 충전 강관 기둥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참조 부호의 설명>
10... 제1 강관 기둥 11... 제1 강관 본체
13, 23... 콘크리트 15... 돌출부
20... 제2 강관 기둥 21... 제2 강관 본체
25... 공간부 27... 모르타르 주입공
31... 모르타르 50... 접합부
본 발명은 프리 캐스트 충전 강관 기둥의 연결 방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가 충전된 강관 기둥을 간단하게 이음 접합할 수 있는 프리 캐스트 충전 강관 기둥의 연결 방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용 기둥 부재로 사용되는 콘크리트 충전 강관의 구조는 강관 기둥을 선 시공한 상태에서, 그 강관 기둥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공법은 강관 기둥 내부의 콘크리트 충전성을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바, 강관 기둥을 절단하지 않고서는 콘크리트의 충전성을 측정하기가 매우 힘들다.
이러한 측면에서 강관 기둥에 콘크리트를 먼저 충전한 후, 그 강관 기둥을 시공하는 프리 캐스트 콘크리트 충전 강관 공법이 있으나, 이 공법은 공장에서 생산되는 강관 사이즈의 한계와 운반시의 제약 조건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강관 기둥을 용접으로 접합하여 선 시공한 후 그 강관 기둥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하는 공법이 있으나, 이러한 공법은 시공 현장에서의 작업 시간이 증가하게 되어 공기 단축에 불리하고, 강관 기둥을 이음 접합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장비를 필요로 하므로 공사비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을 현장에서 간단하게 이음 접합할 수 있는 프리 캐스트 충전 강관 기둥의 연결 방법 및 그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프리 캐스트 충전 강관 기둥의 연결 구조는, 콘크리트가 내부에 충전 형성된 제1 강관 본체를 가지면서 상기 콘크리트가 상기 제1 강관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형성하는 제1 강관 기둥과, 콘크리트가 내부에 충전 형성된 제2 강관 본체를 가지면서 상기 제2 강관 본체의 단부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2 강관 기둥과, 상기 돌출부가 상기 공간부에 암수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공간부에 무수축 모르타르가 충전되어 이루어지는 접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리 캐스트 충전 강관 기둥의 연결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2 강관 기둥은 상기 공간부로 상기 모르타르를 주입할 수 있도록 상기 공간부와 상호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르타르 주입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리 캐스트 충전 강관 기둥의 연결 구조는, 상기 공간부의 단면적이 상기 돌출부의 단면적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리 캐스트 충전 강관 기둥의 연결 구조는, 상기 제1 강관 본체 및 상기 제2 강관 본체가 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리 캐스트 충전 강관 기둥의 연결 구조는, 상기 제1 강관 본체 및 상기 제2 강관 본체가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프리 캐스트 충전 강관 기둥의 연결 방법은, 콘크리트가 내부에 충전 형성된 제1 강관 본체를 가지면서 상기 콘크리 트가 상기 제1 강관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형성하고 있는 제1 강관 기둥을 준비하고, 콘크리트가 내부에 충전 형성된 제2 강관 본체를 가지면서 상기 제2 강관 본체의 단부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돌출부의 단면적 보다 큰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제2 강관 기둥을 준비하고, 상기 제1 강관 기둥의 상기 돌출부를 상기 제2 강관 기둥의 상기 공간부에 암수 결합하고, 상기 공간부로 무수축 모르타르를 충전하여 상기 제1 강관 기둥과 상기 제2 강관 기둥을 일체로 접합한다.
상기 프리 캐스트 충전 강관 기둥의 연결 방법은, 상기 제2 강관 본체에 형성된 모르타르 주입공을 통해 상기 모르타르를 상기 공간부로 주입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프리 캐스트 충전 강관 기둥의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프리 캐스트 충전 강관 기둥의 연결 방법은 공장에서 콘크리트 타설 등을 거쳐 미리 제작된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을 현장에서 별도의 이음장치 없이 모르타르 충전 방식으로서 손쉽게 이음 접합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프리 캐스트 충전 강관 기둥의 연결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 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13)가 충전 형성되며 그 콘크리트(13)가 외부로 돌출된 제1 강관 기둥(10)을 준비한다. 이 때, 제1 강관 기둥(10)은 공장에서 미리 제작되어 현장으로 운반된다.
제1 강관 기둥(10)은 내부에 콘크리트(13)가 충전 형성될 수 있는 제1 강관 본체(11)를 구비하고, 제1 강관 본체(11)의 일측 단부 외측으로 콘크리트(13)가 돌출된 돌출부(15)를 형성하고 있다.
제1 강관 본체(11)는 중공을 지니면서 사각형의 단면 구조로 이루어진 각형 강관으로서 구비된다(도 5 참조). 돌출부(15)는 제1 강관 본체(11)의 내부에 충전된 형성된 콘크리트(13)가 제1 강관 본체(11)의 일측 단부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1 강관 본체(11)의 중공 단면적 보다 작은 단면적으로서 형성된다.
이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23)가 충전 형성되며, 제1 강관 기둥(10: 이하 도 1 참조)의 돌출부(15: 이하 도 1 참조)가 삽입/결합 가능한 제2 강관 기둥(20)을 준비한다. 이 때, 제2 강관 기둥(20)은 공장에서 미리 제작되어 현장으로 운반된다.
제2 강관 기둥(20)은 내부에 콘크리트(23)가 충전 형성될 수 있는 제2 강관 본체(21)를 구비하고, 제1 강관 기둥(10)의 돌출부(15)가 삽입/결합되는 공간부(25)를 제2 강관 본체(21)의 일측 단부에 형성하고 있다.
제2 강관 본체(21)는 제1 강관 본체(11: 이하 도 1 참조)와 동일한 단면적의 중공을 지니면서 사각형의 단면 구조로 이루어진 각형 강관으로서 구비된다(도 5 참조). 공간부(25)는 제1 강관 기둥(10)의 돌출부(15)가 암수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즉, 제2 강관 기둥(20)은 제2 강관 본체(21)의 중공에 대해 제1 강관 기둥(10)의 돌출부(15)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콘크리트(23)가 충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강관 기둥(20)의 공간부(25)는 제1 강관 기둥(10)에 구비된 돌출부(15)의 단면적 보다 큰 단면적으로서 형성된다. 이에 더하여, 제2 강관 본체(21)에는 뒤에서 더욱 설명하는 무수축 모르타르를 주입하기 위한 모르타르 주입공(27)을 형성하고 있다.
이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강관 기둥(10)의 돌출부(15)를 제2 강관 기둥(20)의 공간부(25)에 암수식으로 삽입한다. 그러면, 제2 강관 기둥(20)의 공간부(25)가 제1 강관 기둥(10)의 돌출부(15) 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기 때문에, 돌출부(15)의 외벽면과 공간부(25)에 상응하는 제2 강관 본체(21)의 내벽면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 때, 제1 강관 본체(11)의 단부와 제2 강관 본체(21)의 단부는 서로 맞닿은 상태에 있으며, 상기한 공간은 제2 강관 본체(21)에 형성된 모르타르 주입공(27)과 상호 연통된다.
이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강관 본체(21)의 모르타르 주입공(27)을 통해 모르타르(31)를 제2 강관 기둥(20)의 공간부(25)로 주입한다. 그러면, 모르타르(31)는 돌출부(15)의 외벽면과 공간부(25)에 상응하는 제2 강관 본체(21)의 내벽면 사이의 공간으로 충전된다. 이 때, 모르타르(31)는 양생되는 과정에서 수축 변형되지 않는 통상적인 무수축 모르타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시간이 경과하면서 공간부(25)에 충전된 모르타르(31)가 양생됨으로써 그 모르타르(31)는 제1 강관 기둥(10)의 돌출부(15)와 제2 강관 본체(21)를 일체로 접합하는 접합부(50)로서 형성된다. 이 때, 접합부(50)는 제1 강관 기둥(10)과 제2 강관 기둥(20)과 최소한 동일한 구조적 성능을 갖는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의한 프리 캐스트 충전 강관 기둥의 연결 구조(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강관 기둥(10)과 제2 강관 기둥(20)이 별도의 이음장치 없이 모르타르(31)에 의해 일체로 이음 접합된 구성을 갖는다. 이 때, 제2 강관 기둥(20)에 형성된 모르타르 주입공(27)은 별도의 마감캡(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으로서 마감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강관 기둥(10) 및 제2 강관 기둥(20) 만을 모르타르(31)를 이용하여 이음 접합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강관 기둥(10)의 다른 일측 단부에 공간부 또는 돌출부를 형성하거나 제2 강관 기둥(20)의 다른 일측 단부에 돌출부 또는 공간부를 형성함으로써 다른 강관 기둥을 제1 강관 기둥(10) 및/또는 제2 강관 기둥(20)에 일체로 이음 접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을 현장에서 무수축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이음 접합할 수 있으므로, 응력의 불균형 없이 상부 기둥의 하중(축력 및 전단력)을 하부 기둥으로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프리 캐스트 충전 강관 기둥의 시공이 간편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 캐스트 충전 강관 기둥 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프리 캐스트 충전 강관 기둥의 연결 구조(200)는 전기 실시예의 구성을 기본으로 하면서, 제1 강관 본체(111)와 제2 강관 본체(121)가 원형의 단면을 지닌 제1 강관 기둥(110) 및 제2 강관 기둥(120)을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프리 캐스트 충전 강관 기둥의 연결 구조(200)의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전기 실시예와 같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을 현장에서 무수축 모르타르를 충전하는 방식으로 이음 접합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간편하며, 공기 단축의 효과를 거둘 수 있고, 종래에서와 같은 기둥 이음 설비 및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 콘크리트가 내부에 충전 형성된 제1 강관 본체를 가지면서 상기 콘크리트가 상기 제1 강관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형성하는 제1 강관 기둥;콘크리트가 내부에 충전 형성된 제2 강관 본체를 가지면서 상기 제2 강관 본체의 단부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2 강관 기둥; 및상기 돌출부가 상기 공간부에 암수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공간부에 무수축 모르타르가 충전되어 이루어지는 접합부를 포함하는 프리 캐스트 충전 강관 기둥의 연결 구조.
- 제1 항에 있어서,상기 제2 강관 기둥은 상기 공간부로 상기 모르타르를 주입할 수 있도록 상기 공간부와 상호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르타르 주입공을 형성하는 프리 캐스트 충전 강관 기둥의 연결 구조.
-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상기 공간부의 단면적이 상기 돌출부의 단면적 보다 큰 프리 캐스트 충전 강관 기둥의 연결 구조.
- 제1 항에 있어서,상기 제1 강관 본체 및 상기 제2 강관 본체가 각형인 프리 캐스트 충전 강관 기둥의 연결 구조.
- 제1 항에 있어서,상기 제1 강관 본체 및 상기 제2 강관 본체가 원형인 프리 캐스트 충전 강관 기둥의 연결 구조.
- 콘크리트가 내부에 충전 형성된 제1 강관 본체를 가지면서 상기 콘크리트가 상기 제1 강관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형성하고 있는 제1 강관 기둥을 준비하고;콘크리트가 내부에 충전 형성된 제2 강관 본체를 가지면서 상기 제2 강관 본체의 단부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돌출부의 단면적 보다 큰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제2 강관 기둥을 준비하고;상기 제1 강관 기둥의 상기 돌출부를 상기 제2 강관 기둥의 상기 공간부에 암수 결합하고; 및상기 공간부로 무수축 모르타르를 충전하여 상기 제1 강관 기둥과 상기 제2 강관 기둥을 일체로 접합하는프리 캐스트 충전 강관 기둥의 연결 방법.
- 제6 항에 있어서,상기 제2 강관 본체에 형성된 모르타르 주입공을 통해 상기 모르타르를 상기 공간부로 주입하는 프리 캐스트 충전 강관 기둥의 연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30987A KR20080057552A (ko) | 2006-12-20 | 2006-12-20 | 프리 캐스트 충전 강관 기둥의 연결 방법 및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30987A KR20080057552A (ko) | 2006-12-20 | 2006-12-20 | 프리 캐스트 충전 강관 기둥의 연결 방법 및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57552A true KR20080057552A (ko) | 2008-06-25 |
Family
ID=39803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30987A KR20080057552A (ko) | 2006-12-20 | 2006-12-20 | 프리 캐스트 충전 강관 기둥의 연결 방법 및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57552A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535746A (zh) * | 2011-12-30 | 2012-07-04 | 宁波建工股份有限公司 | 钢管混凝土柱及其浇筑方法 |
CN103276851A (zh) * | 2013-06-09 | 2013-09-04 | 中冶建筑研究总院有限公司 | 带肋钢管、带肋钢管混凝土柱及带肋钢管的设计方法 |
CN104746799A (zh) * | 2015-01-27 | 2015-07-01 | 清华大学 | 钢-frp-环境友好型混凝土组合柱及其建造方法 |
CN105672256A (zh) * | 2016-02-23 | 2016-06-15 | 中建三局集团有限公司 | 钢管混凝土立柱桩水下变标号同步连续浇筑方法及装置 |
CN107060216A (zh) * | 2017-02-16 | 2017-08-18 | 沈阳建筑大学 | 装配式frp增强钢管混凝土柱 |
CN107905091A (zh) * | 2017-04-06 | 2018-04-13 | 沈阳建筑大学 | 一种采用sma‑预应力筋系统的节段拼装frp增强钢管混凝土桥墩 |
CN110748086A (zh) * | 2019-11-04 | 2020-02-04 | 江苏千禧杭萧装配式建筑科技有限公司 | 一种装配式建筑的立柱模块 |
-
2006
- 2006-12-20 KR KR1020060130987A patent/KR2008005755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535746A (zh) * | 2011-12-30 | 2012-07-04 | 宁波建工股份有限公司 | 钢管混凝土柱及其浇筑方法 |
CN103276851A (zh) * | 2013-06-09 | 2013-09-04 | 中冶建筑研究总院有限公司 | 带肋钢管、带肋钢管混凝土柱及带肋钢管的设计方法 |
CN103276851B (zh) * | 2013-06-09 | 2016-06-22 | 中冶建筑研究总院有限公司 | 带肋钢管混凝土柱及其设计方法 |
CN104746799A (zh) * | 2015-01-27 | 2015-07-01 | 清华大学 | 钢-frp-环境友好型混凝土组合柱及其建造方法 |
CN104746799B (zh) * | 2015-01-27 | 2017-11-21 | 清华大学 | 钢‑frp‑环境友好型混凝土组合柱及其建造方法 |
CN105672256A (zh) * | 2016-02-23 | 2016-06-15 | 中建三局集团有限公司 | 钢管混凝土立柱桩水下变标号同步连续浇筑方法及装置 |
CN107060216A (zh) * | 2017-02-16 | 2017-08-18 | 沈阳建筑大学 | 装配式frp增强钢管混凝土柱 |
CN107905091A (zh) * | 2017-04-06 | 2018-04-13 | 沈阳建筑大学 | 一种采用sma‑预应力筋系统的节段拼装frp增强钢管混凝土桥墩 |
CN107905091B (zh) * | 2017-04-06 | 2019-09-13 | 沈阳建筑大学 | 一种采用sma-预应力筋系统的节段拼装frp增强钢管混凝土桥墩 |
CN110748086A (zh) * | 2019-11-04 | 2020-02-04 | 江苏千禧杭萧装配式建筑科技有限公司 | 一种装配式建筑的立柱模块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80057552A (ko) | 프리 캐스트 충전 강관 기둥의 연결 방법 및 구조 | |
JP2014055517A (ja) | プレキャスト柱梁の接合構造 | |
JP2008075251A (ja) | 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梁部材同士の接合方法及び接合構造 | |
JP2010065459A (ja)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造の柱梁接合部材と柱部材の接合構造と接合方法 | |
JP2018178365A (ja) | 鉄筋継手カプラー | |
JP4636538B2 (ja) | 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造建築物の構築方法 | |
JP2009121083A (ja) | プレキャスト柱梁の接合構造 | |
JP5431219B2 (ja) | グラウト注入方法、接合構造、及び建物 | |
JP2005200994A (ja) | 閉鎖断面部材の接合構造 | |
JP2011032637A (ja) | 鋼管柱の継手構造および継手方法 | |
KR20080057553A (ko) | 프리 캐스트 충전 강관 기둥의 연결 구조 | |
JP2005002585A (ja) | キャピタル部材及びこれを使用したrcft柱の施工方法 | |
KR101460559B1 (ko) | 텐던체어 기능의 연결 전단보강 철물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기둥과 현장타설 슬래브의 접합부 구조 및 접합부 시공방법 | |
JP5656657B2 (ja)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構造 | |
JP5717983B2 (ja) | 部材の接合構造、建物、及び部材の接合方法 | |
JP2020070681A (ja) | 鉄骨部材の接合構造、及び鉄骨部材の接合方法 | |
JP5601787B2 (ja) | 柱構造及び柱構造の施工方法 | |
JP5008522B2 (ja)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構造、建物、及び建物の施工方法 | |
KR100445112B1 (ko) | 콘크리트 흄관의 연결장치 | |
JP4010552B2 (ja) | 鉄筋継手部の構造 | |
JP2018178366A (ja)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梁部材の接合方法 | |
JP6997657B2 (ja) | 柱梁接合構造の構築工法および柱梁接合構造 | |
JP2012001936A (ja) | 架構の建方方法 | |
JP6327649B2 (ja) | コンクリート部材接合構造と、コンクリート部材接合構造用のスパイラル筋 | |
JP2004360398A (ja) | コンクリート製管体、コンクリートセグメン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