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6518A - Mobile terminal having rotatable menu display por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having rotatable menu display por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6518A
KR20080046518A KR1020060116074A KR20060116074A KR20080046518A KR 20080046518 A KR20080046518 A KR 20080046518A KR 1020060116074 A KR1020060116074 A KR 1020060116074A KR 20060116074 A KR20060116074 A KR 20060116074A KR 20080046518 A KR20080046518 A KR 20080046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main menu
display area
submenu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60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03976B1 (en
Inventor
김경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6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3976B1/en
Priority to EP07009696A priority patent/EP1860534A1/en
Priority to US11/802,187 priority patent/US20070271528A1/en
Priority to CN2007101051049A priority patent/CN101080068B/en
Publication of KR20080046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65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9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Abstract

A mobile terminal having a rotatable menu display unit and its operation method are provided to improve user's concentration in selecting a menu and reduce fatigue of the user's eyes. An input unit is provided on one of bodies. A display unit(120) is provided on one of the bodies. An annular main menu display region(121) includes a plurality of arranged main menus which are rotatable according to a signal generated by the input unit. An annular sub-menu display region(124) includes a plurality of sub-menus selectively arranged at an inner side of the main menu display region. A selected menu display region(122) displays a main menu or a sub-menu selected from the main menu display region or the sub-menu display region at the center of the annular main menu display region.

Description

회전 가능한 메뉴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작동방법{MOBILE TERMINAL HAVING ROTATABLE MENU DISPLAY POR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A mobile terminal having a rotatable menu display unit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MOBILE TERMINAL HAVING ROTATABLE MENU DISPLAY POR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메뉴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rotatable menu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메뉴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rotatable menu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메뉴 표시영역이 구비되는 표시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unit having a rotatable menu display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메뉴 표시영역이 구비되는 표시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4A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unit having a rotatable menu display area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선택메뉴 표시영역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4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selection menu display area shown in FIG. 4A.

도 5a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메뉴 표시영역이 구비되는 표시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5A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unit having a rotatable menu display area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선택메뉴 표시영역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5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selection menu display area illustrated in FIG. 5A.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메뉴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작동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rotatable menu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흐름도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flowchart illustrated in FIG. 6.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휴대 단말기 100 ... 바디10 ... mobile terminal 100 ... body

110 ... 입력부 130 ... 오디오 처리부110 ... Input section 130 ... Audio processing section

130a ... 음향 출력부 130b ... 음향 입력부130a ... sound output 130b ... sound input

140 ... 통신처리부 140a ... 안테나140 ... communication processor 140a ... antenna

150 ... 메모리 160 ... 제어부150 ... memory 160 ... control unit

120 ... 표시부 120a ... 주 표시영역120 ... Display section 120a ... Main display area

120b ... 보조 표시영역 121 ... 주메뉴 표시영역120b ... Auxiliary display area 121 ... Main menu display area

121a ... 주메뉴 121b ... 주메뉴 구획부121a ... Main Menu 121b ... Main Menu Section

122 ... 선택메뉴 표시영역 122a ... 선택메뉴122 ... Selection menu display area 122a ... Selection menu

123,123a ... 지시부 124 ... 서브메뉴 표시영역123,123a ... indicator 124 ... submenu display area

124a ... 서브메뉴 124b ... 서브메뉴 구획부124a ... submenu 124b ... submenu compartment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메뉴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rotatable menu display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등과 같이 무선 통신과 정보 처리 기능을 결합한 차세대 개인 휴대 기기를 일컫는 통칭이다.In general, a portable terminal is a general term for a next-generation personal portable device that combines wireless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functions, such as a mobile phone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ce (PDA).

이는 기본적으로 각종 데이터의 입력, 저장, 처리 및 출력 등 기존의 개인용 컴퓨터의 기능을 수행하며, 무선 인터넷 통신, 전화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어, 이동 중에도 각종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래의 산업사회의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가장 큰 기술적 요인 중의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It basically performs the functions of the existing personal computer such as input, storage, processing and output of various data, and adds various functions such as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and telephone function, so that it can perform various tasks on the go. It is positioned as one of the biggest technological factors that can bring about fundamental changes in the industrial society.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음성통화 이외에도 문자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문자메시지를 서비스한다. 이에 상대방과 음성으로 통화할 수 없는 경우에도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종래의 휴대 단말기들은 카메라 기능, MP3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일정관리 기능, 인터넷 기능 등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들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Such a mobile terminal services a text message to enable communication by text in addition to voice calls. Therefore, even if it is not possible to talk to the other party by voice,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using a text message.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s are configured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in addition to a camera function, an MP3 function, a multimedia function, a schedule management function, an Internet function, and the like, for the convenience of users.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들은 내장된 기능의 사용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가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표시부에 메뉴 리스트를 출력하고 있다. Such mobile terminals output a menu list on a display unit to allow a user to select a function in various forms for use of built-in functions.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메뉴들에 대한 출력방식은 일반적으로 바 형태의 리스트가 나열되는 구성을 가졌다. 그러나 이와 같이 바 형태의 메뉴 리스트들은 표시부의 영역에 모두 표시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였고,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메뉴 리스트들이 격자 형태로 구성되는 기술이 제안된바 있다. 이 경우에도 각 메뉴들을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커서가 각각의 선택 대상의 메뉴로 이동되어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시선은 한곳 에 집중되지 못하고 선택하고자 하는 대상의 메뉴와 커서를 번갈아 확인하면서, 이동되는 커서에 시선이 집중되어야하는 문제로 인하여 선택 조작에 대한 집중력이 떨어지게 되는 것은 물론 사용시 눈의 피로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the output method for menus for using such a conventional function generally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list of bars is arranged. However, it is inconvenient to use the bar-type menu lists because they cannot be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To improve this problem, a technique of configuring the menu lists in a grid form has been proposed. Even in this case, when the user wants to select each menu, the cursor moves to the menu of each selection target so that the user's eyes are not concentrated in one place and the user checks the menu and the cursor alternately. Due to the problem that the eyes should be focused on the cursor being moved, the concentration of the selection operation is reduced, as well as a problem of eye fatigue when used.

더욱이, 종래의 메뉴 출력 형태는 주메뉴에 대한 서브메뉴들의 출력은 전체 표시부의 출력화면이 전환되어 표시되기 때문에 각 기능의 수행을 위한 정확한 메뉴를 알지 못하는 경우에는 사용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Moreover, the conventional menu output form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output of the submenus for the main menu is inconvenient when the user does not know the correct menu for performing each function because the output screen of the entire display is switched.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주메뉴에 대한 서브메뉴가 동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된바 있으나, 이와 같은 기술에 있어서도 주메뉴와 서브메뉴에 대한 표시영역이 서로 분리되어 떨어진 위치에 영역에 별도로 표시되도록 출력되어 사용자는 각 메뉴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서로 떨어진 거리에 배치되는 주메뉴와 서브메뉴의 공간을 번갈아 확인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사용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작동에 대한 집중력이 더욱 떨어지게 되며, 눈의 피로함은 그만큼 더 빨리 피로하게 되는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technique for allowing the submenus for the main menu to be checked at the same time has been proposed, but in such a technique, the display areas for the main menu and the submenu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user wants to select each menu, the user has to check the spaces of the main menu and the sub-menu which are arrang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so it is not only cumbersome to use, but also reduces the concentration on the operation. The problem of getting tired so quickly remains.

따라서, 휴대 단말기가 다양한 기능을 가질수록 더욱 메뉴들의 선택이 용이하면서, 사용자의 시선이 보다 작은 범위 내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다. Therefore, as the portable terminal has various functions, it is easier to select menus, and there is a need for a portable terminal to maintain a user's gaze within a smaller range.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일 목적은 메뉴에 대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의 시선에 대한 변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데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event a change in the user's gaze when a menu is selected to use a function of the menu.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메뉴선택시 집중력을 향상시키며, 사용자의 눈에 대한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concentration when selecting a menu, and to reduce fatigue for the user's eyes.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주메뉴와 주메뉴의 선택에 의해 제공되는 서브메뉴의 정보가 동시에 확인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information of the main menu and the submenu provided by the selection of the main menu to be checked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사용자가 선택한 상위 메뉴와 서브메뉴가 어떠한 것을 선택하였는지를 항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선택하고자 하는 기능의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user to always check what the upper menu and the sub-menu selected by the user to facilitate selection of a function to be selec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선택되는 메뉴에 대한 정보의 표시가 메뉴 리스트의 일부 영역에 겹쳐지는 상태로 표시되어 선택된 메뉴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play information on a selected menu in a state where the display of the information on the menu is overlaid so that the selected menu can be easily check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고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목적들을 이루기 위한 회전 가능한 메뉴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작동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 problems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rotatable menu display for achieving the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회전 가능한 메뉴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바디와; 어느 일 바디에 구비되는 입력부와; 복수개의 주메뉴가 나열되고, 입력부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의해 주메뉴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링 형상의 주메뉴 표시영역이 구비되며, 어느 일 바디에 구비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rotatable menu display unit includes at least one body; An input unit provided at any one body; A plurality of main menus are listed, and a ring-shaped main menu display area in which the main menu is rotatably configured by a signal generated by the input unit is provided, and may include a display unit provided in any one body.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회전 가능한 메뉴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바디와; 어느 일 바디에 구비되는 입력부와; 어느 일 바디에 구비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기서 표시부는 복수개의 주메뉴가 나열되고, 입력부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의해 주메뉴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링 형상의 주메뉴 표시영역과; 주메뉴 표시영역 내부에 선택되는 주메뉴에 대한 복수개의 서브메뉴가 나열되는 링 형상의 서브메뉴 표시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rotatable menu display unit includes: at least one body; An input unit provided at any one body; A display unit provided in one body, wherein the display unit includes a ring-shaped main menu display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main menus are arranged and the main menu is rotatably configured by a signal generated by the input uni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ing-shaped submenu display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submenus for the main menu selected in the main menu display area are arranged.

여기서, 표시부는 링 형상의 주메뉴 표시영역 중앙에 링 형상의 주메뉴 표시영역 또는 서브메뉴 표시영역으로부터 선택된 주메뉴 또는 서브메뉴가 표시되는 선택메뉴 표시영역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The display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lection menu display area in which a main menu or submenu selected from a ring-shaped main menu display area or a submenu display area is displayed at the center of the ring-shaped main menu display area.

그리고, 선택메뉴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주메뉴 또는 서브메뉴는 아이콘 형태 또는 문자형태로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또한, 표시되는 아이콘 또는 문자가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main menu or submenu displayed in the selection menu display area may be configured to be output in the form of an icon or a character, or may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by overlaying the displayed icon or character.

여기서, 주메뉴는 회전되는 주메뉴가 선택지점에 도달할 때, 선택지점에 도달된 주메뉴의 색상이 달라지거나 주메뉴의 크기가 확대되도록 활성화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Here, the main menu may be configured to be activated such that when the rotated main menu reaches the selection point, the color of the main menu reaching the selection point is changed or the size of the main menu is enlarged.

그리고, 서브메뉴는 링 형상의 서브 메뉴 표시영역에 나열되는 어느 일 서브메뉴의 선택을 위하여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나열되는 일 서브메뉴에서 인접한 다른 서브메뉴로 이동되는 커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서브메뉴는 회전되는 서브메뉴가 선택지점에 도달될 때, 선택지점에 도달된 서브메뉴의 색상이 달라지거나 서브메뉴의 크기가 확대되도록 활성화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ubmenu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ursor that is moved from one submenu listed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for selection of one submenu listed in the ring-shaped submenu display area to another adjacent submenu. On the other hand, the submenu may be configured to be activated such that when the rotated submenu reaches the selection point, the color of the submenu reaching the selection point is changed or the size of the submenu is enlarged.

또한, 주메뉴 표시영역의 일 측에는 지시부를 더 포함하고, 지시부는 선택되 는 메뉴를 지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지시부는 바 또는 화살표 형상의 아이콘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지시부는 주메뉴가 선택된 후에는 선택되는 서브메뉴를 지시하도록 더 길어지게 구성될 수도 있다. The display may further include an indicator on one side of the main menu display area, and the indicator may be configured to indicate a selected menu. Here, the indicator may be composed of a bar or arrow icon. Also, the indicator may be configured to be longer to indicate the submenu to be selected after the main menu is selected.

그리고, 지시부는 입력신호에 의해 주메뉴 또는 서브메뉴 표시영역이 회전하여 복수개의 주메뉴 또는 서브메뉴를 구획하는 주메뉴 구획부 또는 서브메뉴 구획부가 지시부를 지날 때, 주메뉴 구획부 또는 서브메뉴 구획부에 의해 지시부가 회전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거나 또는 휘어지도록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And, when the main menu or sub-menu display area is rotated by the input signal to partition the plurality of main menus or sub-menus by the input signal, the main menu partition or sub-menu partition The indicator may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to be rotated or curved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by the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회전 가능한 메뉴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바디와; 바디에 구비되어 표시부에 메뉴를 선택하기 위하여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 입력부와; 바디에 구비되어 복수개의 주메뉴가 나열되어 주메뉴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링 형상의 주메뉴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부와; 입력부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를 통해 주메뉴가 회전되게 하며, 선택하고자 하는 주메뉴가 선택지점에 도달할 때, 선택지점에 도달된 주메뉴가 선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rotatable menu display unit; An input unit provided in the body to generate a signal for selecting a menu on the display unit; A display unit provided on the body, the display unit including a ring-shaped main menu display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main menus are arranged and rotatably configured;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rotate the main menu through a signal generated by the input unit, and to control the main menu to be selected when the main menu to be selected reaches the selection point.

여기서, 제어부는 주메뉴가 선택될 때, 선택되는 주메뉴에 대한 복수개의 서브메뉴가 나열되는 링 형상의 서브메뉴 표시영역이 표시부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Here, when the main menu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ring-shaped submenu display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submenus for the selected main menu are listed.

그리고, 표시부는 주메뉴 표시영역 또는 서브메뉴 표시영역 중앙에 선택메뉴 표시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어부는 주메뉴 표시영역에서 선택된 주메뉴가 선 택메뉴 표시영역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거나 서브메뉴 표시영역에서 선택된 서브메뉴가 선택메뉴 표시영역에 출력되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a selection menu display area in the center of the main menu display area or a submenu display area, and the controller may control a main menu selected in the main menu display area to be output to the selection menu display area or may be a submenu display area. The selected submenu may be configured to be controlled to be output to the selection menu display area.

또한, 서브메뉴 표시영역은 서브메뉴의 선택시 회전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Also, the submenu display area may be controlled to rotate when the submenu is selected.

그리고, 표시부는 주메뉴 표시영역의 일 측에는 지시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지시부에 의해 지시되는 메뉴가 선택되게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display unit may further include an indicator on one side of the main menu display area, and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menu indicated by the indicator to be selected.

여기서, 제어부는 지시부가 주메뉴 또는 서브메뉴 표시영역이 회전되어 복수개의 주메뉴 또는 서브메뉴를 구획하는 주메뉴 구획부 또는 서브메뉴 구획부가 지시부를 지날 때, 주메뉴 구획부 또는 서브메뉴 구획부에 의해 지시부가 회전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거나 또는 휘어지게 표시되게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main menu partition or a submenu partition when the main menu or submenu display area rotates so that the main menu partition or submenu partition that partitions a plurality of main menus or submenus passes through the indicator. The indicator may be configured to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or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회전 가능한 메뉴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작동방법은 입력부에 의해 발생된 입력신호에 따라 복수개의 주메뉴가 링 형상으로 나열된 주메뉴 영역이 회전되어 주메뉴가 선택되는 단계와; 선택되는 주메뉴가 실행되는 단계와; 실행되는 주메뉴에 대하여 복수개의 서브메뉴가 링 형상으로 나열되게 표시되는 서브메뉴 영역이 회전되어 서브메뉴가 선택되는 단계와; 선택되는 서브메뉴가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rotatable menu display unit, in which a main menu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main menus are arranged in a ring shape is rotated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generated by the input unit. Becoming a step; Executing the selected main menu; Selecting a submenu by rotating a submenu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submenus are arranged in a ring shape with respect to a main menu to be executed; The selected submenu may be executed.

여기서, 주메뉴가 선택되는 단계는 주메뉴 선택을 위한 입력신호가 발생 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입력신호에 의해 주메뉴가 회전되어 실행하고자 하는 주메뉴가 선택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Here, the selecting of the main menu may include checking whether an input signal for selecting the main menu is generated; The main menu may be rotated by an input signal to select a main menu to be executed.

그리고, 선택되는 주메뉴가 선택메뉴 표시영역에 출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main menu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selected menu display area.

한편, 서브메뉴가 선택되는 단계는 서브메뉴 선택을 위한 입력신호가 발생 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입력신호에 의해 서브메뉴가 회전되어 실행하고자 하는 서브메뉴가 선택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tep of selecting the submenu is a step of confirming whether an input signal for selecting the submenu is generated; The submenu may be rotated by an input signal to select a submenu to be executed.

여기서, 선택되는 서브메뉴가 선택메뉴 표시영역에 출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selected submenu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to the selection menu display area.

한편, 선택메뉴 표시영역에 출력되는 서브메뉴는 오버레이 형태로 출력될 수도 있다. The submenu output to the selection menu display area may be output in an overlay form.

그리고, 주메뉴 또는 서브메뉴의 선택은 주메뉴 표시영역의 일 측에 구비되는 지시부에 의해 지시되는 주메뉴 또는 서브메뉴가 선택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main menu or the sub menu may be selected so that the main menu or the sub menu indicated by the indicat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menu display area is select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회전 가능한 메뉴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To help understand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mobile terminal having a rotatable menu display unit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아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요지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요지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n example as described below.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such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the reference numeral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mong the components that will act the same in each embodiment, the related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extension line numbers.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most suitable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와 같이 설명된 회전 가능한 메뉴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가 도시되어 있다. 1 and 2, there is show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rotatable menu display as described above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휴대 단말기(10)는 바디(100)의 내부에 휴대 단말기(10)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160)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각각의 입력부(110), 음향 출력부(130a)와 음향 입력부(130b)를 구비하는 오디오 처리부(130), 그리고, 각 기능에 대한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150), 외부의 기기와 통신을 위한 안테나(140a)를 구비하는 통신 처리부(140),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입력부(110), 각 기능에 대한 데이터 등을 출력하는 표시부(120)를 구비한다. The portable terminal 10 includes a control unit 160 for controlling a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 in the body 100, an input unit 110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 audio output unit 130a, and an audio input unit. The audio processor 130 includes an audio processor 130 including a 130b, a memory 150 for storing programs and data for controlling functions, and an antenna 140a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 An input unit 110 for inputting data, and a display unit 120 for outputting data for each function.

상기 제어부(160)에 연결되는 메모리(150)에는 이하 설명되는 표시부(120)에 출력되는 각 표시영역에 대한 출력형태의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5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은 휴대용 단말기의 일반적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함께 저장될 수 있으며, 입력부(110)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에 의해 이하 설명되는 주메뉴(121a)가 나열되는 주메뉴 표시영역(121)과 서브메뉴(124a)가 나열되는 서브메뉴 표시영역(124)이 회전될 수 있도록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emory 150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60 may store a program for controlling an output form of each display area output to the display unit 120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50 may be stored with programs that can control the general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main menu 121a described below by a signal generated by the input unit 110 is It may include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main menu display area 121 to be listed and the sub-menu display area 124 to which the submenu 124a is arranged to rotate.

이하 설명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120)는 주 표시영역(120a)과 보조 표시영역(120b)을 구비하는 것을 기초로 하여 설명되나, 이는 본 발명이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최적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주 표시영역(120a)에 출력되는 각 표시영역의 구성을 갖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isplay unit 120 is described on the basis of having a main display area 120a and an auxiliary display area 120b, but this shows an exemplary embodiment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general portable terminal. To bet, but not limited to.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has a configuration of each display area output to the main display area 120a.

도 3 을 참조하여 가장 기본적인 본원발명의 일 특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Figure 3 will be described one feature of the most basic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참고로, 보조 표시영역(120b)에는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와 같이 통신신호의 송수신 상태, 베터리 잔량, 시간, 메세지 수신 상태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b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a transmission / reception state of the communication signal, a battery remaining time, a time, a message reception state, and the like as a general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특징이 되는 주 표시영역(120a)에는 링 형상의 주메뉴 표시영역(121)이 구비된다. 상기 링 형상의 주메뉴 표시영역(121)에는 복수개의 주메뉴 구획부(121b)에 의해 각각의 영역을 가지는 복수개의 주메뉴(121a)가 상기 링 형상의 주메뉴 표시영역(121)에 나열된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주메뉴(121a)들은 아이콘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고, 문자로 표시될 수도 있다. In the main display area 120a which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ring-shaped main menu display area 121 is provided. In the ring-shaped main menu display area 121, a plurality of main menus 121a having respective areas are arranged in the ring-shaped main menu display area 121 by the plurality of main menu partitions 121b. . Here, each of the main menus 121a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n icon or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 letter.

또한, 상기 주메뉴 표시영역(121)은 입력부(111)에 의해 발생되는 메뉴 선택 신호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주메뉴 표시영역(121)에 구비되는 각 주메뉴(121a)가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진행 방향을 따라 바로 앞에 위치되는 각 주메뉴(121a)의 위치로 이동되어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되어 표시된다. In addition, the main menu display area 121 is rotatably configured by a menu sel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input unit 111. That is, the control unit so that each main menu 121a provided in the main menu display area 121 is moved to the position of each main menu 121a located immediately in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long the moving direction. Controlled by 160 is displayed.

이와 같이 상기 주메뉴 표시영역(121)의 회전에 의해 복수개의 각 주메뉴(121a) 중 어느 일 주메뉴(121a)가 선택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선택은 회전되는 주메뉴(121a)가 어느 일 지점(선택지점으로 지정된 지점)에 도달할 때, 상기 일 지점에 도달된 주메뉴(121a)의 색상이 달라지거나 주메뉴(121a)의 크기가 확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제어부(160)에 의해 설정된 일 지점에 대한 출력이 다른 주메뉴 표시영역(121)에 대한 출력과 다른 형태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ny one of the main menus 121a is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main menus 121a by the rotation of the main menu display area 121. Such selection is performed at any one point of the main menu 121a being rotated. When reaching (a point designated as a selection point), the color of the main menu 121a reaching the one point may be changed or the size of the main menu 121a may be enlarged. Such a configuration may be achieved by allowing the output of one point set by the controller 160 to be output in a form different from that of the other main menu display area 121.

한편, 이와는 달리 상기 링 형상의 주메뉴 표시영역(121)의 일 측에 지시부(123)를 더 구성하여 상기 지시부(123)에 의해 지시되는 해당 주메뉴(121a)가 선택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 역시, 제어부(160)에 의해 지시부(123)가 위치된 지점에 해당 주메뉴(121a)가 위치되는 경우 다른 주메뉴 표시영역(121)에 대한 출력과 다른 형태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display unit 123 may be further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ring-shaped main menu display area 121 so that the corresponding main menu 121a indicated by the indicator 123 may be selected. have. In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main menu 121a is located at the point where the indicating unit 123 is positioned by the controller 160, the configuration may be output in a form different from that of the other main menu display area 121. It may be done.

여기서, 상기 지시부(123)는 바 또는 화살표 형상의 아이콘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지시부(123)는 입력부(110)에 의해 발생되는 입력신호에 의해 주메뉴 표시영역(121)이 회전되어 복수개의 주메뉴(121a)를 구획하는 주메뉴 구획부(121b)가 상기 지시부(123)를 지날 때, 상기 주메뉴 구획부(121b)에 의해 상기 지시부(123)가 주메뉴 표시영역(121)의 회전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거나 또는 휘어지는 상태로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indicator 123 may be configured as an icon of a bar or arrow shape. In addition, the indicating unit 123 rotates the main menu display area 121 in response to an input signal generated by the input unit 110 so that the main menu partitioning unit 121b partitions the plurality of main menus 121a. When passing (123), the main menu section 121b is configured such that the display section 123 can be displayed to be rotated or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ain menu display area 121 May be

상기 지시부(123)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거나 휘어지는 상태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은 주메뉴 구획부(121a)에 의해 구획된 각 주메뉴(121a)의 영역이 상기 지 시부(123)에 의해 지시되는 것을 나타내는 시각적 효과를 주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주메뉴 표시영역(121)의 회전에 의해 해당 주메뉴(121a)가 선택되는 것을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The display unit 123 may be rotated or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area of each main menu 121a partitioned by the main menu partition 121a is indicated by the display unit 123. To give a visual effect to represent.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the user can reliably recognize that the main menu 121a is selected by the rotation of the main menu display area 121.

한편, 상기 주메뉴 표시영역(121)의 중앙 위치에는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선택되는 주메뉴(121a)가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는 선택메뉴 표시영역(122)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선택메뉴 표시영역(122)에는 상기 설명과 같이 선택되는 해당 주메뉴(121a)의 정보, 즉, 선택메뉴(122a)가 표시될 수 있다. The main menu display area 121 may further include a selection menu display area 122 in which the main menu 121a selected as described above may be enlarged and displayed. In the selection menu display area 122, information of the main menu 121a selected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selection menu 122a may be displayed.

그리고, 상기 선택메뉴 표시영역(122)에 표시되는 선택메뉴(122a)는 선택되는 주메뉴(121a)와 동일한 형태(아이콘 또는 문자)로 표시되거나, 또는 선택되는 주메뉴(121a)에 대한 부가 정보(예를 들어 아이콘+문자 형태)를 더 포함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election menu 122a displayed in the selection menu display area 122 is displayed in the same form (icon or character) as the main menu 121a to be selected, or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main menu 121a to be selected. (Eg, an icon + letter form) may be further included.

이와 같이 주메뉴 표시영역(121)이 회전되어 해당 주메뉴(121a)가 선택되면, 선택되는 해당 주메뉴(121a)를 실행시켜 해당 주메뉴(121a)에 대한 서브메뉴에 대한 정보(리스트)를 상기 주메뉴 표시영역(121)과 함께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더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When the main menu display area 121 is rotated and the main menu 121a is selected as described above, the selected main menu 121a is executed to display information (list) of the submenu of the main menu 121a. The main menu display area 121 may be configured to be further displayed for the user to check.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이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An embodiment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and 4B.

이하 설명되는 메뉴 리스트에 대한 표시영역에 대한 설명은 상기 설명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링 형상의 주메뉴 표시영역(121)으로부터 선택되는 주메뉴(121a)에 대하여 서브메뉴 표시영역(124)이 더 출력되는 구성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주메뉴 표시영역(121)에 대한 설명은 상기 첫 번째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하 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이하 설명은 상기 주메뉴 표시영역(121)과 함께 표시되는 서브메뉴 표시영역(124)에 관한 설명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For the description of the display area for the menu list described below, the sub-menu display area 124 is further described for the main menu 121a selected from the rotatable ring-shaped main menu display area 121 described above. It is about the output configuration.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main menu display area 121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refore,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description of the submenu display area 124 displayed together with the main menu display area 121.

상기 복수개의 주메뉴 구획부(121b)에 의해 각각의 영역을 가지는 복수개의 주메뉴(121a)가 나열되는 링 형상의 주메뉴 표시영역(121)의 내부에는 주메뉴 표시영역(121) 내부에 선택되는 주메뉴(121a)에 대한 복수개의 서브메뉴(124a)가 나열되는 링 형상의 서브메뉴 표시영역(12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The inside of the main menu display area 121 is selected inside the ring-shaped main menu display area 121 in which the plurality of main menus 121a having respective areas are arranged by the plurality of main menu partitions 121b. A ring-shaped submenu display area 124 in which a plurality of submenus 124a for the main menu 121a are arranged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서브메뉴 표시영역(124)은 상기 주메뉴 표시영역(121)으로부터 선택되는 주메뉴(121a)에 대한 서브메뉴(124a)로 선택되는 주메뉴(121a)에 따라 서브메뉴 표시영역(124)에 나열되는 각 서브메뉴(124a)들은 달리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메뉴 표시영역(124)은 주메뉴 표시영역(121)으로부터 어느 일 주메뉴(121a)가 선택되어 실행되었을 때,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항상 주메뉴 표시영역(121)과 함께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submenu display area 124 is configured in the submenu display area 124 according to the main menu 121a selected as the submenu 124a for the main menu 121a selected from the main menu display area 121. Each submenu 124a listed may be displayed differently. The sub-menu display area 124 may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when any one of the main menus 121a is selected and executed from the main menu display area 121, or is always connected to the main menu display area 121. It may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together.

또한, 상기 각각의 서브메뉴(124a)들은 아이콘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고, 문자로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메뉴 표시영역(124)은 입력부(111)에 의해 발생하는 메뉴 선택 신호에 의해 링 형상의 주메뉴 표시영역(121)에 나열되는 일 서브메뉴(124a)에서 인접한 다른 서브메뉴(124a)로 커서(도면부호 미표시)가 이동하여 해당 서브메뉴(124a)가 선택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서브메뉴 표시영역(124)은 상기 설명된 첫 번째 실시예와 같이 회전되지 않는다. In addition, each of the submenus 124a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n icon or may be displayed in text. In addition, the submenu display area 124 is adjacent to another submenu 124a of one submenu 124a listed in the ring-shaped main menu display area 121 by a menu sel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input unit 111. The cursor (not shown) may be moved so that the corresponding submenu 124a is selected. At this time, the submenu display area 124 is not rotated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한편, 상기 서브메뉴 표시영역(124)의 중앙 위치에는 상기 설명된 첫 번째 실시예와 같이 선택되는 서브메뉴(124a)가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는 선택메뉴 표시영역(122)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선택메뉴 표시영역(122)에는 상기 설명과 같이 선택되는 해당 서브메뉴(124a)의 정보, 즉, 선택메뉴(122a)가 표시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ub-menu display area 124 may further include a selection menu display area 122 in which the sub-menu 124a selected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may be enlarged and displayed. . In the selection menu display area 122,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submenu 124a selected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selection menu 122a may be displayed.

그리고, 상기 선택메뉴 표시영역(122)에 표시되는 선택메뉴(122a)는 선택되는 서브메뉴(124a)와 동일한 형태(아이콘 또는 문자)로 표시되거나, 또는 선택되는 서브메뉴(124a)에 대한 부가 정보(예를 들어 아이콘+문자 형태)를 더 포함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선택메뉴 표시영역(122)에 표시되는 선택메뉴(122a)는 사용자가 선택되는 서브메뉴(124a)의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표시되는 아이콘 및/또는 문자가 서브메뉴 표시영역(124)의 범위까지 오버레이되어 표시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election menu 122a displayed in the selection menu display area 122 is displayed in the same form (icon or character) as the selected submenu 124a or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submenu 124a. (Eg, an icon + letter form) may be further included. Here, the selection menu 122a displayed in the selection menu display area 122 may display icons and / or characters displayed in the submenu display area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submenu 124a. It may be configured to be overlaid and displayed to the extent of 124.

상기 두 번째 실시예와는 다른 실시예로, 첫 번째 실시예에서와 같이 주메뉴 표시영역(121)이 회전되어 해당 주메뉴(121a)가 선택되면, 선택되는 해당 주메뉴(121a)를 실행시켜 해당 주메뉴(121a)에 대한 서브메뉴에 대한 정보(리스트)를 상기 주메뉴 표시영역(121)과 함께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더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different from the second embodiment, when the main menu display area 121 is rotated and the main menu 121a is selected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selected main menu 121a is executed. The information (list) of the submenu of the main menu 121a may be further displayed together with the main menu display area 121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information.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이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An embodiment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and 5B.

이하 설명되는 메뉴 리스트에 대한 표시영역에 대한 설명은 상기 설명된 첫 번째 실시예 및 두 번째 실시예와 같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링 형상의 주메뉴 표시영역(121)으로부터 선택되는 주메뉴(121a)에 대하여 서브메뉴 표시영역(124)이 더 출력되는 구성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주메뉴 표시영역(121)에 대한 설명은 상기 첫 번째 및 두 번째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이하 설명은 상기 주메뉴 표시영역(121)과 함께 표시되는 서브메뉴 표시영역(124)에 관한 설명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The description of the display area for the menu list described below is performed by selecting the main menu 121a selected from the ring-shaped main menu display area 121 that is rotatably configured a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sub menu display area 124 is further output. Therefore,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main menu display area 121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refore,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description of the submenu display area 124 displayed together with the main menu display area 121.

이 실시예에서도 두 번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주메뉴 구획부(121b)에 의해 각각의 영역을 가지는 복수개의 주메뉴(121a)가 나열되는 링 형상의 주메뉴 표시영역(121)의 내부에는 주메뉴 표시영역(121) 내부에 선택되는 주메뉴(121a)에 대한 복수개의 서브메뉴(124a)가 나열되는 링 형상의 서브메뉴 표시영역(12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Also in this embodiment, as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inside of the ring-shaped main menu display area 121 in which a plurality of main menus 121a having respective areas are arranged by the plurality of main menu partitions 121b. The sub-menu display area 124 of a ring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sub-menus 124a for the main menu 121a selected in the main menu display area 121 are arranged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주메뉴 표시영역(121)에 나열되는 주메뉴(121a)의 선택에 의하여 선택되는 해당 주메뉴(121a)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서브메뉴 표시영역(124)은 입력부(111)에 의해 발생하는 메뉴 선택 신호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첫 번째 실시예에서와 같이 서브메뉴 표시영역(124)에 구비되는 각 서브메뉴(124a)가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진행 방향을 따라 바로 앞에 위치되는 각 서브메뉴(124a)의 위치로 이동되어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The sub-menu display area 124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main menu 121a selected by the selection of the main menu 121a listed in the main menu display area 121 is generated by the input unit 111. It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by the menu selection signal. That is, as in the first embodiment, each submenu 124a provided in the submenu display area 124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submenu 124a immediately located in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long the moving direction. It may be controlled and displayed by the control unit 160 to be moved to the output.

상기와 같이 서브메뉴 표시영역(124)이 회전될 수 있는 구성을 갖는 경우에는 상기 서브메뉴 표시영역(124)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일 서브메뉴(124a)도 상기 첫 번째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회전되는 서브메뉴(124a)가 어느 일 지점(선 택지점으로 지정된 지점)에 도달할 때, 상기 일 지점에 도달된 서브메뉴(124a)의 색상이 달라지거나 서브메뉴(124a)의 크기가 확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제어부(160)에 의해 설정된 일 지점에 대한 출력이 다른 주메뉴 표시영역(121)에 대한 출력과 다른 형태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When the submenu display area 124 is rotated as described above, any one submenu 124a selected from the submenu display area 124 is rotated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submenu 124a reaches one point (a point designated as a selection point), the color of the submenu 124a reaching the one point is changed or the size of the submenu 124a is enlarged. You may. Such a configuration may be achieved by allowing the output of one point set by the controller 160 to be output in a form different from that of the other main menu display area 121.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상기 링 형상의 주메뉴 표시영역(121)의 일 측에 지시부(123)를 더 구성하여 상기 지시부(123)에 의해 지시되는 해당 주메뉴(121a)가 선택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 역시, 제어부(160)에 의해 지시부(123)가 위치된 지점에 해당 주메뉴(121a)가 위치되는 경우 다른 주메뉴 표시영역(121)에 대한 출력과 다른 형태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In this case, as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main menu 121a indicated by the indicator 123 is further configured by configuring the indicator 123 on one side of the ring-shaped main menu display area 121. ) Can be configured to be selected. In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main menu 121a is located at the point where the indicating unit 123 is positioned by the controller 160, the configuration may be output in a form different from that of the other main menu display area 121. It may be done.

여기서, 상기 선택되는 주메뉴(121a)에 대한 실행으로 인해 해당 주메뉴(121a)에 대한 서브메뉴(124a)가 표시되는 경우 서브메뉴 표시영역(124)까지 연장되는 지시부(123a)가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Here, when the submenu 124a for the main menu 121a is displayed due to the execution of the selected main menu 121a, the indicator 123a extending to the submenu display area 124 is provided. You may.

상기 설명된 첫 번째 실시예에서와 같이 여기서도, 상기 지시부(123a)는 바 또는 화살표 형상의 아이콘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지시부(123a)는 입력부(110)에 의해 발생되는 입력신호에 의해 서브메뉴 표시영역(124)이 회전되어 복수개의 서브메뉴(124a)를 구획하는 서브메뉴 구획부(124b)가 상기 지시부(123a)를 지날 때, 상기 서브메뉴 구획부(124b)에 의해 상기 지시부(123a)가 서브메뉴 표시영역(124)의 회전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거나 또는 휘어지는 상태로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indicator 123a may also be configured as a bar or arrow icon. In addition, the indicator 123a is rotated by the input signal generated by the input unit 110 so that the submenu display area 124 partitions the plurality of submenus 124a into the indicator. When passing 123a, the sub-menu partition 124b is configured such that the indicator 123a can be displayed to be rotated or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ub-menu display area 124. May be

한편, 상기 서브메뉴 표시영역(124)의 중앙 위치에는 상기 설명된 첫 번째 실시예와 같이 선택되는 서브메뉴(124a)가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는 선택메뉴 표시영역(122)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주메뉴(121a)의 선택과정과 동일하게 서브메뉴(124a)의 선택에 있어서도 제어부(160)에 의해 지시부(123a)가 위치된 지점에 해당 서브메뉴(124a)가 위치되는 경우 선택되는 서브메뉴(124a)의 정보, 즉, 선택메뉴(122a)가 표시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ub-menu display area 124 may further include a selection menu display area 122 in which the sub-menu 124a selected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may be enlarged and displayed. . In the same way as the main menu 121a selection process, the sub-menu 124a is selected when the sub-menu 124a is located at the point where the instruction unit 123a is positioned by the controller 160. Information of the submenu 124a, that is, the selection menu 122a may be displayed.

또한, 상기 첫 번째 실시예에서와 같이 선택메뉴 표시영역(122)에 표시되는 선택메뉴(122a)는 사용자가 선택되는 서브메뉴(124a)의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표시되는 아이콘 및/또는 문자가 서브메뉴 표시영역(124)의 범위까지 오버레이되어 표시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the selection menu 122a displayed in the selection menu display area 122 is an icon and / or display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submenu 124a. Characters may also be configured to be overlaid and displayed to the extent of the submenu display area 12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메뉴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겠다. A method of operating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rotatable menu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처음 단계(S1)는 주메뉴 선택모드 수행단계로 입력부(110)에 의해 발생된 입력신호에 따라 제어부(160)는 복수개의 주메뉴가 링 형상으로 나열된 주메뉴 표시영역(121)이 회전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어에 의해 설정된 선택영역 또는 지시부(123)의 위치에 해당 주메뉴(121a)가 위치되어 선택되게 된다. The first step (S1) is a main menu selection mode performing step.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main menu display area 121 in which a plurality of main menus are arranged in a ring shape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generated by the input unit 110. Done. The main menu 121a is positioned and selected at the position of the selection area or the indicator 123 set by such control.

상기 주메뉴 선택모드 수행단계(S1)에 대한 일 실시예로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주메뉴 선택모드 수행단계(S11)와 주메뉴 선택을 위한 입력신호 발생확인단계(S12), 그리고 메뉴 선택을 위한 주메뉴 회전단계(S13) 및 선택된 주메뉴 표시단계(S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As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main menu selection mode performing step S1, as shown in FIG. 7, a main menu selection mode performing step S11, an input signal generation checking step S12 for selecting a main menu, and a menu are shown. A main menu rotation step S13 for selection and a selected main menu display step S14 may be included.

상기 각 단계(S11 내지 S14)들에 대한 구체적인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휴대 단말기(10)에 저장된 어느 일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주메뉴 선택모드를 수행하게 된다(S11). Referring to the specific operation process for each of the steps (S11 to S14), to perform a main menu selection mode to execute any function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 (S11).

상기 주메뉴 선택모드의 수행에 과정 중 입력부(110)에 의해 주메뉴(121a)를 선택하고자 하는 입력신호가 발생되는지 확인하게 된다(S12). 이 과정(S12)에서 입력신호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는 계속 주메뉴 선택모드를 수행하게 되고, 입력신호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의 선택을 위하여 주메뉴(121a)를 회전시키게 된다(S13). 상기 주메뉴(121a)의 회전은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설정된 선택영역 또는 지시부(123)에 해당 주메뉴(121a)가 위치되므로 선택되어진다. During the execution of the main menu selection mode, the input unit 110 checks whether an input signal for selecting the main menu 121a is generated (S12). If the input signal is not generated in this process (S12), the main menu selection mode is continued. If the input signal is generated, the main menu 121a is rotated to select a menu for executing a function. (S13). The rotation of the main menu 121a is selected because the main menu 121a is located in the selected region or the indicator 123 set as described above.

상기 과정(S13)에 의해 어느 일 주메뉴(121a)가 선택되는 경우에는 선택되는 해당 주메뉴(121a)가 표시된다(S14). 상기 선택되는 주메뉴(121a)의 표시는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주메뉴 표시영역(121)의 중앙에 위치되는 선택메뉴 표시영역(122)에 표시된다. When one main menu 121a is selected by the process S13, the corresponding main menu 121a is displayed (S14). The display of the selected main menu 121a is displayed in the selection menu display area 122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main menu display area 121 as described above.

다음 단계(S2)에서는 상기와 같이 선택된 주메뉴(121a)에 대한 기능이 수행되는지 확인하게 되는데, 이는 입력부(110)에 의해 선택된 주메뉴(121a)를 실행시키는 입력신호가 발생되는지 여부의 확인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 단계(S2)에서 선택되는 주메뉴(121a)에 대한 실행을 위한 입력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계속하여 메뉴 선택을 위한 주메뉴(121a)를 회전시켜 주메뉴(121a)를 선택하게 된다. In the next step (S2) it is checked whether the function for the main menu 121a selected as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which is to determine whether an input signal for executing the main menu 121a selected by the input unit 110 is generated. Will be done. If no input signal for execution for the main menu 121a selected in this step S2 is generated, the main menu 121a is selected by rotating the main menu 121a for menu selection.

상기 단계(S2)에서 선택되는 주메뉴(121a)가 실행되는 경우에는 그 다음 단 계(S3)에 의해 해당 주메뉴(121a)에 대한 서브메뉴(124a)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가 수행된다. When the main menu 121a selected in step S2 is executed, a mode for selecting the submenu 124a for the main menu 121a is performed by the next step S3.

상기 실행된 주메뉴(121a)에 대한 서브메뉴 선택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한 일 실시예로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브메뉴 표시영역 활성/서브메뉴 선택모드 수행단계(S31), 서브메뉴 선택을 위한 입력신호 발생확인단계(S32), 그리고 메뉴 선택을 위한 서브메뉴 회전단계(S33) 및 선택된 서브메뉴 표시단계(S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As an example of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submenu selection mode for the executed main menu 121a, as shown in FIG. 7, the submenu display area activation / submenu selection mode performing step (S31) and the submenu are shown. An input signal generation confirmation step S32 for selection, and a submenu rotation step S33 for menu selection and a selected submenu display step S34 may be included.

상기 각 단계(S31 내지 S34)들에 대한 구체적인 작동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단계(S2)에 의해 선택된 주메뉴(121a)의 실행에 의해 단계 S31에서는 서브메뉴 표시영역(124)에 선택되는 해당 주메뉴(121a)에 대한 해당 서브메뉴(124a)를 표시하게 되고, 이와 함께 서브메뉴 선택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An embodiment of a specific operation process for each of the steps S31 to S34 will be described. In step S31, the submenu display area 124 is executed by executing the main menu 121a selected by the step S2. The corresponding submenu 124a for the selected main menu 121a is displayed, and the submenu selection mode is performed together with the corresponding submenu 124a.

상기 단계 S31의 수행에 과정 중 입력부(110)에 의해 서브메뉴(124a)를 선택하고자 하는 입력신호가 발생되는지 확인하게 된다(S32). 이 과정(S32)에서 입력신호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는 계속 서브메뉴 선택모드를 수행하게 되고, 입력신호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의 선택을 위하여 서브메뉴(124a)를 회전시키게 된다(S33). 상기 서브메뉴(124a)의 회전은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커서가 이동하여 해당 서브메뉴(124a)가 선택되어질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설정된 선택영역 또는 지시부(123,123a)에 해당 서브메뉴(124a)가 위치되므로 선택되어질 수도 있다. In operation S31, the input unit 110 determines whether an input signal for selecting the submenu 124a is generated (S32). If no input signal is generated in this process (S32), the submenu selection mode is continued. If the input signal is generated, the submenu 124a is rotated to select a menu for executing a function. (S33). Rotation of the submenu 124a may move the cursor to select the submenu 124a as described above. Alternatively, since the corresponding submenu 124a is positioned in the selected selection area or the indicators 123 and 123a, it may be selected.

상기 과정(S33)에 의해 어느 일 서브메뉴(124a)가 선택되는 경우에는 선택되 는 해당 서브메뉴(124a)가 표시된다(S14). 상기 선택되는 서브메뉴(124a)의 표시는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주메뉴 표시영역(121)의 중앙에 위치되는 선택메뉴 표시영역(122)에 표시된다. When any one submenu 124a is selected by the step S33, the corresponding submenu 124a is displayed (S14). The display of the selected submenu 124a is displayed in the selection menu display area 122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main menu display area 121 as described above.

다음 단계(S4)에서는 상기와 같이 선택된 서브메뉴(124a)에 대한 기능이 수행되는지 확인하게 되는데, 이는 입력부(110)에 의해 선택된 서브메뉴(124a)를 실행시키는 입력신호가 발생되는지 여부의 확인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 단계(S4)에서 선택되는 서브메뉴(124a)에 대한 실행을 위한 입력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계속하여 메뉴 선택을 위한 서브메뉴(124a)를 회전시켜 서브메뉴(124a)를 선택하게 된다. In the next step (S4) it is checked whether the function for the selected sub-menu 124a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which is to determine whether an input signal for executing the sub-menu 124a selected by the input unit 110 is generated. Will be done. If no input signal for execution for the submenu 124a selected in this step S4 is generated, the submenu 124a is continuously selected by rotating the submenu 124a for menu selection.

상기 선택되는 서브메뉴의 실행 단계(S4)에서 선택되는 서브메뉴(124a)가 실행되는 경우에는 그 다음 단계(S5)에 의해 해당 서브메뉴(124a)에 대한 작동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즉 휴대 단말기(10)에 내장된 기능이 수행된다. 이때, 상기 서브 메뉴(124a)에 대한 서브메뉴를 더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When the selected submenu 124a is executed in the execution step S4 of the selected submenu, the operation mode for the corresponding submenu 124a is performed by the next step S5. That is, a function built in the portable terminal 10 is performed. In this case, the submenu 124a may be configured to be further selected.

상기와 같이 설명된 회전 가능한 메뉴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작동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을 포함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혼용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rotatable menu display unit described abov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It may be optionally mixed to be performed to includ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기능의 사용을 위한 메뉴의 선택 시 사용자의 시선에 대한 변화가 선택되는 메뉴 리스트의 각 메뉴 를 따라 이동되지 않게 되어 사용이 편리하게 되며, 메뉴선택시 집중력을 향상될 수 있고, 또한 눈에 대한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enu for the use of the function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is selected, a change in the user's gaze is not moved along each menu of the menu list to be selected, which makes the use of the menu convenient. It is possible to improve visual concentration and to reduce eye fatigu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메뉴와 주메뉴의 선택에 의해 제공되는 서브메뉴의 정보가 동시에 확인되기 때문에 메뉴의 선택시 이미 선택된 상위 메뉴와 하위 메뉴의 동시 확인이 가능하여 선택하고자 하는 기능의 선택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formation of the submenu provided by the selection of the main menu and the main menu is checke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check the selected upper menu and the lower menu at the time of selection of the menu, thereby selecting the function to be selected. Can be facilitated.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선택되는 메뉴에 대한 정보의 표시가 메뉴 리스트의 중앙 영역에 표시되어 선택된 메뉴의 확인이 용이하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of information on the selected menu is displayed in the center area of the menu list, so that the selected menu can be easily confirmed.

Claims (9)

하나 이상의 바디와; One or more bodies; 상기 어느 일 바디에 구비되는 입력부와; An input unit provided at any one body; 상기 어느 일 바디에 구비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isplay unit provided in any one body, 상기 표시부는 The display unit 복수개의 주메뉴가 나열되고, 입력부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의해 주메뉴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링 형상의 주메뉴 표시영역과; A ring-shaped main menu display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main menus are arranged and the main menu is rotatably configured by a signal generated by the input unit; 주메뉴 표시영역 내부에 선택되는 주메뉴에 대한 복수개의 서브메뉴가 나열되는 링 형상의 서브메뉴 표시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메뉴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 And a ring-shaped submenu display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submenus for a main menu selected in the main menu display area are arrang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링 형상의 주메뉴 표시영역 중앙에 링 형상의 주메뉴 표시영역 또는 서브메뉴 표시영역으로부터 선택된 주메뉴 또는 서브메뉴가 표시되는 선택메뉴 표시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메뉴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 The display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 unit further comprises a selection menu display area in which a main menu or a submenu selected from a ring-shaped main menu display area or a sub-menu display area is displayed at the center of the ring-shaped main menu display area.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rotatable menu display sec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메뉴 표시영역은 선택메뉴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아이콘 또는 문자가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메뉴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 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2, wherein the selection menu display area is displayed by overlaying icons or characters displayed on the selection menu display are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메뉴 표시영역의 일 측에는 지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시부는 선택되는 메뉴를 지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메뉴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 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dicator on one side of the main menu display area, wherein the indicator is configured to indicate a menu to be select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부는 주메뉴가 선택된 후에는 선택되는 서브메뉴를 지시하도록 더 길어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메뉴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 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4, wherein the indicator is configured to be longer to indicate a submenu to be selected after the main menu is selected. 입력부에 의해 발생된 입력신호에 따라 복수개의 주메뉴가 링 형상으로 나열된 주메뉴 영역이 회전되어 주메뉴가 선택되는 단계와; Selecting a main menu by rotating a main menu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main menus are arranged in a ring shape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generated by the input unit; 선택되는 주메뉴가 실행되는 단계와; Executing the selected main menu; 실행되는 주메뉴에 대하여 주메뉴와 함께 표시되는 상태로 복수개의 서브메뉴가 링 형상으로 나열되게 표시되는 서브메뉴 영역이 회전되어 서브메뉴가 선택되는 단계와; Selecting a submenu by rotating a submenu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submenus are arranged in a ring shape in a state of being displayed together with the main menu with respect to the main menu to be executed; 선택되는 서브메뉴가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메뉴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작동방법. A method of operating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rotatable menu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executing the selected sub-menu. 제 6 항에 있어서, 선택되는 주메뉴 또는 서브메뉴가 선택메뉴 표시영역에 출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메뉴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작동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outputting the selected main menu or submenu to the selection menu display area.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메뉴 표시영역에 출력되는 서브메뉴는 오버레이 형태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메뉴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작동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ubmenu output to the selection menu display area is output in the form of an overla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메뉴 또는 서브메뉴의 선택은 주메뉴 표시영역의 일 측에 구비되는 지시부에 의해 지시되는 주메뉴 또는 서브메뉴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메뉴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작동방법. 7. 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6, wherein the main menu or the sub menu is selected by selecting a main menu or a sub menu indicated by an indicat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menu display area. How does it work?
KR1020060116074A 2006-05-22 2006-11-22 Mobile terminal having rotatable menu display por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2039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074A KR101203976B1 (en) 2006-11-22 2006-11-22 Mobile terminal having rotatable menu display por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07009696A EP1860534A1 (en) 2006-05-22 2007-05-15 Mobile terminal and menu display method thereof
US11/802,187 US20070271528A1 (en) 2006-05-22 2007-05-21 Mobile terminal and menu display method thereof
CN2007101051049A CN101080068B (en) 2006-05-22 2007-05-22 Mobile terminal and menu display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074A KR101203976B1 (en) 2006-11-22 2006-11-22 Mobile terminal having rotatable menu display por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518A true KR20080046518A (en) 2008-05-27
KR101203976B1 KR101203976B1 (en) 2012-11-23

Family

ID=39663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6074A KR101203976B1 (en) 2006-05-22 2006-11-22 Mobile terminal having rotatable menu display por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3976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1848A2 (en) * 2009-09-09 2011-03-17 Mattel, Inc. A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navigating and selecting electronically stored content on a multifunction handheld device
KR20110068068A (en) * 2009-12-15 2011-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US9294751B2 (en) 2009-09-09 2016-03-22 Mattel,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parity adjustment during stereoscopic zoo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14874B2 (en) 2003-09-19 2009-01-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Electronic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1848A2 (en) * 2009-09-09 2011-03-17 Mattel, Inc. A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navigating and selecting electronically stored content on a multifunction handheld device
WO2011031848A3 (en) * 2009-09-09 2011-06-23 Mattel, Inc. A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navigating and selecting electronically stored content on a multifunction handheld device
GB2485489A (en) * 2009-09-09 2012-05-16 Mattel Inc A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navigating and selecting electronically stored content on a multifunction handheld device
US8468460B2 (en) 2009-09-09 2013-06-18 Mattel,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navigating and selecting electronically stored content on a multifunction handheld device
US9294751B2 (en) 2009-09-09 2016-03-22 Mattel,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parity adjustment during stereoscopic zoom
KR20110068068A (en) * 2009-12-15 2011-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3976B1 (en) 2012-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3997B2 (en) Electronics
EP1865408B1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menu icons
EP1677182B1 (en) Display method,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display program
KR101146042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rotary type menu facility and the menu controlling method
JP4360496B2 (en) Display method,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display program
US7984381B2 (en) User interface
KR10079007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ast access to application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70271528A1 (en) Mobile terminal and menu display method thereof
EP1983733B1 (en) Displaying active cursor in mobile terminal
US10684760B2 (e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hanging a configuration of a screen displaying function items
JP2012155408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10167380A1 (en) Mobile device color-based content mapping and navigation
KR20070120569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horizontal and vertical display of the menu and submenu structure
WO2001061443A2 (en) Mobile telephone with improved man machine interface
KR2003008643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on with a user interface
US20060139328A1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a method therefor
CN101689254A (en) Be used to realize the apparatus and method of the active graphical user interface objects of modularization, context-aware
KR20090018173A (en) Displaying browsing history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4509612B2 (en) Electronic device and icon display control method
JP4285740B2 (en) Portable information input device
KR10160879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ving object display dial of in portable terminal
KR101203976B1 (en) Mobile terminal having rotatable menu display por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09294885A (en) Portable terminal equipment, preview display method and program equipped with display function
JP2013186525A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JP2008293243A (en)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