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0302A - 만능 전자 국어사전 및 그 만능 전자 국어사전이 기록된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만능 전자 국어사전 및 그 만능 전자 국어사전이 기록된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0302A
KR20080040302A KR1020060108064A KR20060108064A KR20080040302A KR 20080040302 A KR20080040302 A KR 20080040302A KR 1020060108064 A KR1020060108064 A KR 1020060108064A KR 20060108064 A KR20060108064 A KR 20060108064A KR 20080040302 A KR20080040302 A KR 20080040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branch
words
search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8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0179B1 (ko
Inventor
박용수
Original Assignee
박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수 filed Critical 박용수
Priority to KR1020060108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0179B1/ko
Publication of KR20080040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0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0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0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5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 G06F15/0283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for data storage and retriev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2Query formulation
    • G06F16/2428Query predicate definition us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including menus and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어 관련 사전의 다양한 기능들을 컴퓨터 장치 등을 통해 하나의 창으로 나타내어 검색할 수 있는 만능 전자 국어사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찾고자 하는 하나의 낱말과 그 낱말에 딸린 품사, 어근, 해석문, 동의어, 준말, 반대어, 버릴말, 바른말, 말맛 등의 기초자료와; 파생어, 역순어, 관련어, 방언, 은어, 활용, 관용구, 용례, 문헌용례, 속담, 사진과 그림으로 제작한 삽화, 표준어와 방언, 여러 계층어를 녹음한 발음 등과 같은 여러 분야의 국어문화와 관련된 정보를 간단한 마우스 클릭만으로 표시함으로써 분야별로 독립된 사전을 갖출 필요가 없이, 국어와 관련된 원하는 모든 자료를 검색할 수 있는 만능 전자 국어사전 및 만능 국어사전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만능 전자 국어사전

Description

만능 전자 국어사전 및 그 만능 전자 국어사전이 기록된 기록매체{Universal Electronic Korean Language Dictionary and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the Sam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만능 전자 국어사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2a 내지 도2d는 본 발명에 따른 만능 전자 국어사전의 갈래틀 검색수단에 의해 모니터에 표시되는 갈래틀 검색창을 이용하여 낱말을 검색하는 절차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만능 전자 국어사전에 의해 모니터에 표시되는 종합 검색창을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만능 전자 국어사전의 상세내용 검색수단에 의해 모니터에 표시되는 상세 검색창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데이터 저장수단 110 : 갈래틀 데이터베이스
120 : 낱말정보 데이터베이스 200 : 검색엔진
210 : 갈래틀 검색수단 220 : 상세내용 입력수단
230 : 입력내용 분석수단
240 : 갈래경로 탐색 및 낱말 추출수단
250 : 낱말정보 출력수단 300 : 갈래틀 검색창
310 : 제1화면 320 : 제2화면
321 : 보조화면 330 : 제3화면
400 : 종합 검색창 410 : 갈래틀 표시부
420 : 갈래경로 표시부 430 : 낱말 입력부
440 : 검색낱말 정렬부 450 : 검색낱말 표시부
460 : 정보선택 버튼부 470 : 낱말정보 표시부
500 : 상세 검색창 510 : 입력낱말정보 선택부
520 : 낱말 입력부 530 : 갈래 분류부
540 : 낱말 조합부 550 : 낱말정렬방법 선택부
560 : 검색버튼
본 발명은 국어 관련 사전의 다양한 기능들을 컴퓨터 장치 등을 통해 하나의 창으로 나타내어 검색할 수 있는 만능 전자 국어사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찾고자 하는 하나의 낱말과 그 낱말에 딸린 품사, 어근, 해석문, 동의어, 준말, 반대어, 버릴말, 바른말, 말맛 등의 기초자료와; 파생어, 역순어, 관련어, 방언, 은어, 활용, 관용구, 용례, 문헌용례, 속담, 사진과 그림으로 제작한 삽화, 표준어와 방언, 여러 계층어를 녹음한 발음 등과 같은 여러 분야의 국어문화와 관련된 정보를 간단한 마우스 클릭만으로 표시함으로써 분야별로 독립된 사전을 갖출 필요가 없이, 국어와 관련된 원하는 모든 자료를 검색할 수 있는 만능 전자 국어사전 및 만능 국어사전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국어사전은 독서 등을 하다가 부딪치는 낯선 낱말의 뜻을 찾아보도록 가나다 순서대로 엮은 사전이어서 말하기와 글짓기 같은 용어생활에는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국어문화 발전이 용어생활을 통해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우리 국어사전은 국어 발전에 대한 기여도가 극히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국어사전은 자음을 큰 카테고리로 하고, 모음을 자음 카테고리 안에서 작은 카테고리로 하여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대부분 낱말이 앞부분에 기재되고 뒷부분에는 그 낱말에 대한 풀이와 한자, 비슷한 말, 반대말 등 국어기초자료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국어사전은 통상 낱말의 정확한 뜻을 찾고자 할 때 사용되며, 책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자음과 모음의 순서에 따라 일일이 책장을 넘기면서 원하는 낱말을 찾아 그 뜻을 확인하게 된다. 또한, 전자 국어사전의 경우에는 찾고자 하는 낱말을 검색창에 입력한 후, 검색버튼을 클릭하여 그 낱말의 뜻이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국어사전은 낱말을 알고 있는 경우에 한하여 그 낱말의 뜻을 정확히 파악하고자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낱말의 의미만을 알고 정작 그 낱말이 쓰이는 여러 분야를 두루 살펴 보려면 다른 방법을 찾아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부분 검색한 낱말의 뜻과 품사, 동의어, 반대말, 한자 따위 국어기초자료를 갖추어 둔 정도가 고작이기 때문에 파생어, 역순어, 관련어, 방언, 삽화, 발음 등과 같이 민족 언어 특질이 담긴 광범위한 국어자료에 접근할 수 없고, 이를 찾기 위해서는 그와 관련된 별도의 사전을 구비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만능 전자 국어사전은 외국어 중심으로 교육을 박아 국어 문맹률이 높은 지식인들에게, 우리말에 딸린 어문자료를 모두 기억하고 있는 것과 같이 쉽게 접근하도록 이끌어,우리말을 쉽게 찾아 쓸 수 있도록 하여 국어문맹이라는 남부끄러운 처지를 벗어나도록 돕고, 여러 계층에서 쓰는 말씨발음을 저장하여 우리 고유의 말씨를 지켜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말을 하거나 글을 지으려는 속뜻을 우리말로 나타낼 수 있도록 이끌며, 우리 말에 대한 어문자료를 마음껏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낱말에 딸린 여러 국어문화자료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자연어를 성상별로 분류한 갈래틀을 제공함으로써 낱말을 찾는 과정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만능 전자 국어사전은 컴퓨터를 통해 구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 낱말의 품사, 어근, 해석문, 동의어, 버릴말, 바른말, 말맛, 준말, 반대어 등의 기초자료와; 파생어, 역순어, 관련어, 방언, 은어, 활용, 관용구, 용례, 문헌용례, 속담 및 사진과 그림으로 제작한 삽화, 표준어와 방언 및 여러 계층어를 녹음한 발음 등과 같은 여러 분야의 국어 문화에 관련된 정보를 마우스 클릭만으로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자연어 성상방식에 따른 분류와 분야별 사전의 통합, 사용의 편리성 등으로부터 우리말을 쉽고 용이하게 검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동체 언어의 원형을 되찾고 분단언어의 이질성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연어의 성상에 따라 제1갈래 내지 제N갈래까지의 갈래틀을 구성하는 낱말들을 갈래별로 분류 저장하는 갈래틀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갈래틀의 제N갈래에 포함된 낱말들의 낱말정보를 각각 분류 저장하는 낱말정보 데이베이스를 구비한 데이터 저장수단과; 찾고자 하는 낱말의 의미에 해당하는 품사로부터 마우스 클릭만으로 찾아가도록 하기 위한 갈래틀 검색창을 모니터에 표시하여 갈래경로를 순차적으로 입력받는 갈래틀 검색수단과, 낱말을 알고 뜻을 모를 경우 낱말정보를 분야별로 상세하게 입력하기 위해 상세 검색창을 모니터에 표시하여 낱말의 상세정보를 입력받는 상세내용 검색수단과, 상기 상세내용 검색수단을 통해 입력된 내용에 대하여 갈래틀에서 그 낱말의 위치를 분석하는 입력내용 분석부와, 상기 갈래틀 검색수단과 입력내용 분석수단에 의해 갈래틀에서의 위치를 분석하여 낱말의 경로를 탐색하고 해당 낱말을 추출하는 갈래경로 탐색 및 낱말 추출수단과, 상기 갈래경로 탐색 및 낱말 추출수단에서 추출된 단어의 갈래경로와 낱말정보를 종합 검색창을 통해 모니터에 표시하는 낱말정보 출력수단으로 구성된 검색엔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 전자 국어사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과 검색엔진이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에 설치될 수 있도록 만능 전자 국어사전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만능 전자 국어사전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컴퓨터 장치 등에 설치되어 구동되며, 제1갈래 내지 제N갈래까지의 갈래틀을 구성하는 낱말들을 갈래별로 분류 저장하는 갈래틀 데이터베이스(110)와, 상기 갈래틀의 제N갈래에 포함된 낱말에 딸린 품사, 어근, 해석문, 동의어, 버릴말, 바른말, 준말, 반대어 등의 기초자료와; 파생어, 역순어, 관련어, 방언, 은어, 활용, 관용구, 용례, 속담 및 사진과 그림으로 제작한 삽화, 표준어와 방언을 녹음한 발음 등과 같은 여러 분야 국어자료 등의 낱말정보를 각각 분류 저장하는 낱말정보 데이베이스(120)를 구비한 데이터 저장수단(100)과; 찾고자 하는 낱말의 의미에 해당하는 품사로부터 마우스 클릭만으로 찾아가도록 하기 위한 갈래틀 검색창(300)을 모니터 에 표시하여 갈래경로를 순차적으로 입력받는 갈래틀 검색수단(210)과, 낱말을 알고 뜻을 모를 경우 낱말정보를 분야별로 상세하게 입력하기 위해 상세 검색창(500)을 모니터에 표시하여 낱말의 상세정보를 입력받는 상세내용 검색수단(220)과, 상기 상세내용 검색수단(220)을 통해 입력된 내용에 대하여 갈래틀에서 그 낱말의 위치를 분석하는 입력내용 분석부(230)와, 상기 갈래틀 검색수단(210)과 입력내용 분석수단(230)에 의해 갈래틀에서의 위치를 분석한 낱말의 경로를 탐색하고 해당 낱말을 추출하는 갈래경로 탐색 및 낱말 추출수단(240)과, 상기 갈래경로 탐색 및 낱말 추출수단(240)에서 추출된 단어의 갈래경로와 낱말정보를 종합 검색창(400)을 통해 모니터에 표시하는 낱말정보 출력수단(250)을 구비한 검색엔진(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갈래틀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되는 갈래틀 분류테이블은 표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1갈래부터 제N갈래까지 각 갈래별로 분류되는 낱말들의 확장범위에 따라 결정된다. 여기서 갈래는 "한 사물에서 둘 이상으로 갈라져 나간 가닥이나 부분'을 뜻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갈래틀은 9개의 품사를 기초로 각 품사에 속하는 낱말들과 그 낱말들과 관련된 단어들을 순차적으로 갈래지어 연결한 틀을 나타낸다.
표1은 제1갈래로 명사를 선택하고, 제1갈래의 하위 갈래인 제2갈래의 '사람'으로부터 제6갈래인 뒤통수를 뜻하는'꼭뒤'의 갈래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제1갈래 제2갈래 제3갈래 제4갈래 제5갈래 낱말
보통명사 → 사람 → 몸 → 머리 → 머리통 종류와 각 부위 → 꼭뒤
대명사 생활 인품 머리카락 종류와 각 부위 뒤통수
수사 문화 행위 머리 다듬기와 모양새 머리꼭지
동사 산업 부름말 머리 움직임과 가짐새 머리빼기
형용사 사물 머리에 나는 각종 탈 머리통
관형사 동물 머리에서 나오는 분비물 머릿살
부사 식물 얼굴 머리 특징에 따른 별명
감탄사 자연 팔,다리 머리에 쓰는 물건 번대머리
온 겉몸 머리에 대한 풍속 앞머리
온 속몸 옆머리
물질대사 옆통수
생식기능 윗머리
감각기능 정수리
체력기능 제비초리
· · · 조짐머리 - -
통상적으로 모든 낱말은 품사로 가름되어 있기 때문에 찾고자 하는 속뜻에 맞는 낱말의 품사 파악이 먼저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 품사갈래가 제1갈래이며, 순수한 국어분야로 볼 수 없는 고유명사를 제외한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조사 등의 9품사로 한정한다.
다음 예로, 9품사의 제1갈래에서 명사를 클릭하면, 사람, 생활, 문화, 산업, 사물, 동물, 식물, 자연 등의 8개 항목으로 제2갈래를 분류한다. 그러나 제2갈래에서 찾으려는 낱말을 만나기에는 범위가 너무 넓어 한 단계 더 하위로 내려가도록 이끈다. 이때 찾으려는 분야가 '사람'에 관련된 낱말일 때, 제3갈래는 몸, 인품, 행위, 호칭 등의 4개항목으로 분류한다. 단계적으로 분류된 갈래는 찾으려는 낱말에 가깝게 이끌어 주는 길라잡이로서 제3갈래의 4개항목 가운데 찾으려는 낱말이 '몸'에 관련되어 있다면, 제4갈래는 제3갈래의 몸과 관련된 머리, 눈, 귀, 코, 입, 목, 얼굴, 팔다리, 온 겉몸, 온 속몸, 물질대사, 생식기능, 감각기능, 체력기능 등의 14 가지로 분류하며, 상기 각 항목은 섞일 수 없는 성상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을 통해 찾으려는 낱말의 성상을 뚜렷하게 알게 되는 국어교육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 과정은 고작 1~2초 밖에 걸리지 않으므로 머리에 기억하고 있는 많은 낱말 속에서 하나를 생각해 내는 시간보다 훨씬 짧을 것이다.
끝으로 제4갈래 14항목 속에서 찾으려는 낱말이 '머리' 부분에 들어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머리'를 선택하면, 제5갈래는 머리 종류와 각 부위, 머리카락 종류와 각 부위, 머리 다듬기와 모양새, 머리 움직임과 머리 자세, 머리에 나는 각종 탈, 머리에서 나오는 분비물, 머리 특징에 따른 별명, 머리에 쓰는 물건, 머리에 대한 풍속 등의 9가지 항목으로 분류한다. 다음에, 찾고자 하는 낱말이 "머리의 한 부분 명칭"이라면 제6갈래는 '꼭뒤' 등과 같은 머리의 한부분 명칭을 나타내는 낱말들의 조합으로 분류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갈래틀을 구성하는 제1갈래는 9품사로 한정하고, 제2갈래는 그 품사에 해당하는 낱말들 중 가장 큰 범위를 갖는 낱말들로 분류하며, 제3갈래는 상기 제2갈래에 포함된 각각의 낱말들을 구성하는 낱말이나 그로부터 연상되는 낱말들로 분류한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제4갈래로부터 그 갈래에 해당하는 낱말들로부터 더 이상 분류되지 않는 제N갈래까지 분류한다. 상기와 같이 갈래 데이터베이스에는 9개 품사를 제1갈래로 하여 제N갈래까지의 낱말들이 갈래별로 분류 저장된다.
다음으로, 상기 낱말정보 데이터베이스(120)는 제1갈래 내지 제N갈래를 구성하는 낱말 정보가 저장관리되는 수단으로, 품사를 가름해 주는 품사 저장부, 어근과 갈래틀을 구성하는 모든 낱말들의 뜻을 낱말별로 저장하는 해석문 저장부, 동의어를 저장하는 동의어 저장부, 준말을 저장하는 준말 저장부, 반대말을 저장하는 반대말 저장부, 쓰지 말아야 할 한자어와 잘못된 말을 저장하는 버릴말 저장부, 바른말을 저장하는 바른말 저장부, 큰말 · 작은말 · 센말 · 여린말 따위의 말맛을 저장하는 말맛 저장부 등의 '기초자료 저장부'들과; 파생어를 저장하는 파생어 저장부, 역순파생어를 저장하는 역순어 저장부, 관련어를 저장하는 관련어 저장부, 방언을 고장말별로 정리해서 저장하는 방언 저장부, 계층에 따라 독특하게 쓰는 계층말을 계층별로 정리하여 저장하는 은어 저장부, 용언의 어미변화를 저장하는 활용 저장부, 두 개 이상이 모여 특수의미를 나타내는 어구를 저장하는 관용구 저장부, 표제어의 용례를 저장하는 용례 저장부, 표제어와 관련된 속담을 저장하는 속담 저장부 등의 '어문관계 자료 저장부'들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낱말 정보 데이터베이스(120)는 표제어에 관련된 사진과 삽화를 저장하는 삽화 저장부, 표제어의 표준어 발음과 고장에 따라 고장말 나름의 독특한 음색을 보이는 고장말 발음과 다양한 계층에 따라 다양한 계층음성을 녹음하는 발음 저장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만능 전자 국어사전을 구성하는 검색엔진(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갈래틀 검색수단(210)과, 상세내용 입력수단(220)과, 입력내용 분석수단(230)과, 갈래경로 탐색 및 낱말 추출수단(240)과, 낱말정보 출력수단(250)으로 구성되고 각 수단들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갈래틀 검색수단(210)은 의미와 품사만을 알고 있을 경우 해당되는 낱말을 찾기 위해 사용되는 수단으로, 만능 전자 국어사전이 컴퓨터에서 구동되면, 도2a 내지 도2d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갈래틀 검색수단으로부터 모니터에 갈래틀 검색창(300)을 표시하게 되고, 이를 이용하여 원하는 단말을 검색한다. 도2a는 9품사와 각각의 품사의 제2갈래에 해당되는 낱말들이 기재된 제1화면(310)이 표시된 갈래틀 검색창의 한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낱말을 찾아가는 과정에 따라, 제1갈래인 9품사와 그 품사들마다 제2갈래에 해당하는 낱말들이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화면으로부터 '사람'을 클릭하면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갈래틀 검색창에 제2갈래의 낱말(사람)에 해당하는 제3갈래의 낱말들이 횡으로 배열되고, 그 배열된 제3갈래 낱말들의 하부에 종으로 배열되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제4갈래 낱말들이 배열된 제2화면(320)이 표시된다. 다음에 상기 제2화면(320)에서 제4갈래의 낱말들에 마우스의 커서를 위치할 경우 도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화면상에서 제5갈래에 해당하는 낱말들이 별도의 보조화면(321)으로 표시된다. 다음에, 상기 보조화면(321)의 제5갈래에 해당하는 낱말들을 선택할 경우, 제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제5갈래 낱말과 연관된 제6갈래(제N갈래)의 낱말이 기재된 제3화면(330)이 표시됨으로써 최종 갈래에 포함되는 낱말을 검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그 낱말의 정보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3화면의 낱말을 클릭하면 갈래경로 탐색 및 표시수단을 통해 그 경로를 검색하여 종합 검색창을 통해 표시하고 해당 낱말의 풀이가 상기 종합 검색창의 낱말정보 표시부(470)에 표시되며, 이때 정보선택 버튼부(460)의 원하는 버튼을 클릭하여 낱말정보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상세내용 입력수단(220)은 낱말은 알고 있으나 그 뜻을 모를 경우 또는 낱말과 그 뜻을 알고 있으나 그 이외의 기타 낱말정보가 필요한 경우 낱말을 직접 입력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찾고자 하는 낱말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입력낱말정보 선택부(510)와, 찾고자 하는 낱말을 입력하는 낱말 입력부(520)와, 그 낱말에 대해 알고 있는 갈래를 분류하는 갈래 분류부(530)와, 하나 이상의 낱말을 검색할 경우 그 낱말들의 조합(그리고/또는)을 선택하는 낱말 조합부(540)와, 검색된 낱말의 정렬방법을 표시하는 낱말 정렬방법 선택부(550)와, 모든 또는 일부 사항이 입력되고 그 입력된 정보만으로 검색을 요청하기 위한 검색버튼(560)으로 구성된 상세 검색창(500)을 모니터로 표시한다. 이때, 상기 낱말 입력부(520)를 제외한 다른 구성부들은 찾고자 하는 낱말을 정확히 모를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상세내용 입력수단(220)을 이용하는 방법은 먼저 낱말을 알고 있거나 낱말 정보를 알고 있을 경우, 상세 검색창(500)에 그 정보를 구성부별로 입력하면, 입력내용 분석수단(230)을 통해 해당 낱말이 어느 갈래에 포함되어 있는 지를 분석한 후, 갈래경로 탐색 및 낱말추출수단(240)과 낱말정보 출력수단(250)을 통해 종합 검색창(400)에 표시한다. 이때, 분석한 낱말이 최종갈래에 포함되지 않고 제2갈래 내지 제N-1갈래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종합 검색창(400)의 갈래경로 표시부의 폴더들을 순차적으로 검색하여 클릭함으로써 원하는 낱말 및 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입력내용 분석수단(230)은 상기 상세 검색창(500)을 통해 상세내용 입력수단(220)으로 입력된 내용을 분석하여 그 낱말이 어떤 갈래에 따라 분류되며, 어느 갈래에 포함되어 있는 지를 분석하는 수단이다.
다음에, 상기 갈래경로 탐색 및 낱말 추출수단(240)과, 낱말정보 출력수단(250)은 상기 갈래틀 검색수단(210)으로부터 검색된 최종 제N갈래의 낱말에 대한 갈래경로를 탐색하여 출력하고, 그 낱말의 낱말정보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수단으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합 검색창(400)을 통해 모니터로 출력된다. 상기 종합 검색창(400)은 하나의 창을 분할하여 좌측으로부터 윈도우 시스템에 적용되는 탐색기의 폴더 가지구조와 같이 명사, 대명사 등 9품사를 기본폴더로 하고, 각 품사의 하위 폴더로 제2갈래에 포함된 낱말들을 표시하며, 제2갈래에 포함되는 낱말들은 차하위 폴더인 제3갈래에 표시하는 방법으로 모든 갈래들을 가지 경로로 표시하는 갈래틀 표시부(410)와, 상기 갈래틀 표시부(410)에서 선택한 최종 제N-1갈래까지의 갈래경로를 한줄로 표시하도록 갈래틀 표시부(410) 우측 상단에 형성된 갈래경로 표시부(420)와, 의미를 모르는 낱말 또는 그 낱말의 다른 정보를 얻기 위해 낱말을 직접 입력하여 검색을 요청하는 낱말 입력부(430)와, 상기 제N-1갈래의 낱말 폴더를 선택할 경우, 그 제N-1갈래틀에 포함된 최종(N) 갈래의 낱말들이 갈래틀 표시부(420) 아래에 표시되는 검색낱말 표시부(450)와, 상기 검색낱말 표시부(450) 상단에 형성되며 검색낱말 표시부(450)에 기재된 낱말들을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도록 하기 위한 검색낱말 정렬부(440)와, 상기 검색낱말 표시부(450) 우측 그리고 낱말 입력부(430) 하부에 형성되며 검색낱말 표시부(450)에 기재된 낱말들에 대한 원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낱말의 풀이 버튼, 한뜻말 버튼, 준말 버튼, 맞선말 버튼, 이웃말 버튼, 가지말 버튼, 역가지말 버튼, 고장말 버튼, 곁말 버튼, 관용구 버튼, 쓰임 버튼, 속담 버튼, 보임 버튼, 버릴말 버튼 등으로 구성된 정보선택 버튼부(460)와, 상기 정보선택 버튼부(460)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버튼의 클릭에 따라 해당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낱말정보 표시부(470)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만능 전자 국어사전은 컴퓨터를 통해 구동된다. 이때 상기 만능 전자 국어사전은 PCI형 카드 형태의 모듈 제공되어 하드웨어 방식으로 컴퓨터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만능 전자 국어사전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여 컴퓨터에 프로그램 형태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만능 전자 국어사전을 구성하는 데이터베이스들과 검색엔진을 별도의 서버로 구축하고 인터넷 망을 통해 연결하여 인터넷 접속한 회원들에게만 제공할 수도 있다. 단, 상기 하드웨어 방식, 소프트웨어 방식, 또는 인터넷을 이용한 서버 방식의 모든 구성은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그 기술적 사상은 동일하며, 컴퓨터의 모니터를 통해 입력과 출력되는 구성들은 상술한 하드웨어 방식의 만능 전자 국어사전과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만능 전자 국어사전은 의미와 낱말 어느 하나만을 알고 있더라도 갈래틀을 이용하여 원하는 낱말 및 그 낱말의 각종 정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만능 국어사전은 찾고자 하는 낱말의 갈래들을 자연어 성상방식에 따라 이끌어 줌으로써 마음 속 뜻에 맞는 낱말을 쉽게 찾아 우리의 용어생활을 윤택하게 가꿀 수 있다.
또한, 해당 낱말을 검색한 경우, 낱말과 연관된 품사, 어근, 해석문, 동의어, 준말, 반대어, 버릴말, 바른말, 말맛, 파생어, 역순어, 관련어, 방언, 은어 따위를 마우스 클릭만으로 하나의 모니터에서 두루 살펴 보게 함으로써 분야별로 복잡다양한 사전을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상기 만능 국어사전은 컴퓨터를 통해 구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떠한 낱말이라도 검색창에 입력하여 마우스 클릭만 하면 국어에 대한 방대한 자료를 한 자리에서 두루 살펴 볼 수 있다.
또한, 사진과 그림으로 삽화를 제작하여 올리면 지식 수준이 낮은 계층이나 한국어를 모르는 외국인도 삽화만 보고 한국어를 익힐 수 있게 된다.
또한, 컴퓨터의 3D 음성출력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낱말의 표준 발음,각 계층의 은어 발음, 각 고장 방언 발음을 녹음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면 민족문화의 귀중한 자산을 영구보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자연어 성상방식에 따른 분류와 분야별 사전의 통합, 사용의 편리성 등에 의하여 나라말을 쉽고 용이하게 검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동체 언어의 원형을 되찾고 분단언어의 이질성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검색된 낱말창에 활용예, 관용구, 용례, 속담 등을 나타내는 창을 더 구비함으로써 해당 낱말에 대한 국어 자료의 활용 폭을 극대화시켜 국어사용의 폭을 넓힐 수 있다.

Claims (10)

  1. 자연어 성상방식에 의해 제1갈래 내지 제N갈래까지의 갈래틀을 구성하는 낱말들을 갈래별로 분류 저장하는 갈래틀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갈래틀의 제N갈래에 포함된 낱말들의 정보를 각각 분류 저장하는 낱말정보 데이베이스를 구비한 데이터 저장수단과;
    찾고자 하는 낱말의 의미에 해당하는 품사로부터 마우스 클릭만으로 찾아가도록 하기 위한 갈래틀 검색창을 모니터에 표시하고 갈래경로를 순차적으로 입력받는 갈래틀 검색수단과, 낱말을 알고 뜻을 모를 경우 낱말정보를 분야별로 상세하게 입력하기 위해 상세 검색창을 모니터에 표시하여 낱말의 상세정보를 입력받는 상세내용 입력수단과, 상기 상세내용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내용에 대하여 갈래틀에서 그 낱말의 위치를 분석하는 입력내용 분석수단과, 상기 갈래틀 검색수단과 입력내용 분석수단에 의해 갈래틀에서의 위치를 분석한 낱말의 경로를 탐색하고 해당 낱말을 추출하는 갈래경로 탐색 및 낱말 추출수단과, 상기 갈래경로 탐색 및 낱말 추출수단에서 추출된 단어의 갈래경로와 낱말정보를 종합 검색창을 통해 모니터에 표시하는 낱말정보 출력수단으로 구성된 검색엔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 전자 국어사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갈래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갈래틀은,
    9개의 기본 품사로 한정된 제1갈래와,
    상기 제1갈래의 각 품사에 포함되는 자연어 성상방식에 따라 가장 큰 범위를 갖는 낱말들로 분류된 제2갈래와,
    상기 제2갈래에 포함된 낱말들을 구성하는 낱말들이나 그로부터 연상되는 낱말들로 분류된 제3갈래와,
    상기 제3갈래와 같은 분류방법으로 상위갈래의 해당하는 낱말들로부터 더 이상 분류되지 않는 낱말들로 분류되는 제N갈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 전자 국어사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낱말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제N갈래로 분류된 낱말들의 품사를 가름해 주는 품사 저장부, 어근과 동식물 학명을 한 괄호에 묶어 나란히 저장하는 어근 저장부, 갈래틀을 구성하는 모든 낱말들의 뜻을 낱말별로 저장하는 해석문 저장부, 동의어를 저장하는 동의어 저장부, 준말을 저장하는 준말 저장부, 반대말을 저장하는 반대말 저장부, 쓰지 말아야 할 한자어와 잘못된 말을 저장하는 버릴말 저장부, 바른말을 저장하는 바른말 저장부, 큰말·작은말·센말·여린말 따위의 말맛을 저장하는 말맛 저장부를 포함하는 기초자료 저장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 전자 국어사전.
  4. 제 1 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낱말정보 데이터 베이스는,
    파생어를 저장하는 파생어 저장부, 역순파생어를 저장하는 역순어 저장부, 관련어를 저장하는 관련어 저장부, 방언을 고장말별로 정리해서 저장하는 방언 저장부, 계층에 따라 독특하게 쓰는 계층말을 계층별로 정리하여 저장하는 은어 저장부, 용언의 어미변화를 저장하는 활용 저장부, 두 개 이상이 모여 특수의미를 나타내는 어구를 저장하는 관용구 저장부, 표제어의 용례를 저장하는 용례 저장부, 표제어와 관련된 속담을 저장하는 속담 저장부 등의 어문관계 자료 저장부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 전자 국어사전.
  5. 제 1 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낱말정보 데이터베이스는,
    표제어에 관련된 사진과 삽화를 저장하는 삽화 저장부, 표제어의 표준어 발음과 고장에 따라 고장말 나름의 독특한 음색을 보이는 고장말 발음을 녹음하여 저장하는 발음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증 전자 국어사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갈래틀 검색수단에 의해 모니터에 표시되는 갈래틀 검색창은,
    제1갈래와 제2갈래가 함께 표시되어 제2갈래의 낱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제1화면과;
    상기 제2갈래로 분류되어 선택된 낱말의 하위 갈래인 제3갈래와 제4갈래를 표시하여 제4갈래의 낱말을 선택하도록 하는 제2화면과;
    상기 제2화면에 제4갈래로 분류되어 표시된 낱말들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경우 제5갈래로 분류된 낱말들이 제2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보조화면과;
    상기 보조화면에서 선택한 낱말들의 하위 갈래에 포함되는 낱말들이 표시되는 제3화면이 각 갈래의 낱말을 선택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 전자 국어사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갈래경로 탐색 및 낱말추출수단과 낱말정보 출력수단에 의해 모니터에 표시되는 종합 검색창은,
    하나의 창을 분할하여 좌측으로부터 기본 9품사를 기본폴더로 하고, 각 품사의 하위 폴더로 제2갈래에 포함된 낱말들을 표시하며, 제2갈래에 포함되는 낱말들이 차하위 폴더인 제3갈래에 포함된 낱말들을 표시하고, 이 방법으로 제N갈래를 최하위 폴더로 하여 모든 갈래들을 가지경로로 표시하는 갈래틀 표시부와,
    상기 갈래틀 표시부에서 선택한 최종 제N-1갈래까지의 갈래경로를 한줄로 표시하도록 갈래틀 표시부 우측 상단에 형성된 갈래경로 표시부과,
    의미를 모르는 낱말 또는 그 낱말의 다른 정보를 얻기 위해 낱말을 직접 입력하여 검색을 요청하는 낱말 입력부와,
    상기 제N-1갈래의 낱말 폴더를 선택할 경우, 그 제N-1갈래틀에 포함된 최종갈래의 낱말들이 갈래틀 표시부 우측에 표시되는 검색낱말 표시부와,
    상기 검색낱말 표시부 상단에 형성되며 검색낱말 표시부에 기재된 낱말들을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도록 하기 위한 검색낱말 정렬부와,
    상기 검색낱말 표시부 우측 그리고 낱말 입력부 하부에 형성되며 검색낱말 표시부에 기재된 낱말들에 대한 원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정보선택 버튼부와,
    상기 정보선택 버튼부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버튼의 클릭에 따라 해당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낱말정보 표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 전자 국어사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선택 버튼부는,
    낱말의 풀이버튼, 한뜻말버튼, 준말버튼, 맞선말버튼, 이웃말버튼, 가지말버튼, 역가지말버튼, 고장말버튼, 곁말버튼, 관용구버튼, 쓰임버튼, 속담버튼, 보임버튼, 버릴말버튼, 말맛버튼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 전자 국어사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내용 입력수단에 의해 모니터에 표시되는 상세 검색창은,
    검색하고자 하는 낱말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낱말정보 표시부와,
    검색하고자 하는 낱말을 입력하는 낱말 입력부와,
    그 낱말에 대해 알고 있는 갈래를 분류하는 갈래 분류부와,
    하나 이상의 낱말을 검색할 경우 그 낱말들의 조합(그리고/또는)을 선택하는 낱말 조합부와,
    검색된 낱말의 정렬방법을 표시하는 낱말 정렬방법 선택부와,
    모든 또는 일부 사항이 입력되고 그 입력된 정보만으로 검색을 요청하기 위한 검색버튼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 전자 국어사전.
  10. 제 1 항의 만능 전자 국어사전이 기록되고 컴퓨터에서 구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 전자 국어사전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060108064A 2006-11-03 2006-11-03 만능 전자 국어사전 및 그 만능 전자 국어사전이 기록된기록매체 KR100830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064A KR100830179B1 (ko) 2006-11-03 2006-11-03 만능 전자 국어사전 및 그 만능 전자 국어사전이 기록된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064A KR100830179B1 (ko) 2006-11-03 2006-11-03 만능 전자 국어사전 및 그 만능 전자 국어사전이 기록된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0302A true KR20080040302A (ko) 2008-05-08
KR100830179B1 KR100830179B1 (ko) 2008-05-19

Family

ID=39647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8064A KR100830179B1 (ko) 2006-11-03 2006-11-03 만능 전자 국어사전 및 그 만능 전자 국어사전이 기록된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0179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9771B2 (ja) * 1992-03-17 1999-02-24 株式会社学習情報通信システム研究所 動的概念辞書を用いた類似検索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323595B1 (ko) * 1998-12-17 2002-03-08 이계철 전자사전의표제어에대한결합구조정보구성방법및그를이용한전자사전검색방법
KR100386804B1 (ko) * 2000-08-19 2003-06-09 (주) 지식공학 유의어 전자사전 및 그 전자사전을 이용한 유의어 검색방법
KR100426785B1 (ko) * 2001-08-24 2004-04-14 박종원 트리구조를 갖는 전자사전시스템과 그 출력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0179B1 (ko) 2008-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nder Linguistic fundamentals for natural language processing: 100 essentials from morphology and syntax
Schroeder et al. childLex: A lexical database of German read by children
Oostdijk Corpus linguistics and the automatic analysis of English
Baker Glossary of corpus linguistics
Meletis The nature of writing: A theory of grapholinguistics
US20070112554A1 (en) System of interactive dictionary
Heid et al. Dictionary and corpus data in a common portal: state of the art and requirements for the future
Louis et al. A corpus of science journalism for analyzing writing quality
Larner A preliminary investigation into the use of fixed formulaic sequences as a marker of authorship
Kipfer Glossary of lexicographic terms
Syeda et al. The Noun phrase structure rules as comparative study of English and Urdu language
Akinlotan A corpus-based study of the structure of the noun phrase in Nigerian English
Feng Evolution and present situation of corpus research in China
Kjellander Ambiguity at work: lexical blends in an American English web news context
Wahyuni et al. Lexical and Grammatical Cohesion in The Lion King Movie Script
Dash The art of lexicography
Aziza Analysis of the Registers in Sport Articles in the Jakarta Post Online Newspaper
KR100830179B1 (ko) 만능 전자 국어사전 및 그 만능 전자 국어사전이 기록된기록매체
Sawaguchi et al. Exploring the use of make+ noun collocations by Japanese EFL learners through a bilingual essay corpus
Elgemark To the Very End. A contrastive study of N-Rhemes in English and Swedish translations
Kung Exploring the non-substantive aspect of translation through a translanguaging lens
Ylisirniö To be or not to be: a case study of formulaic sequences in Finnish EFL texbooks for upper secondary school
Althobaiti Minimally-supervised Methods for Arabic Named Entity Recognition
Suliman Types of Deixis Used in The Doum-Tree of Wad hamid: A Corpus-based Study
RU2769427C1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анализа текста и подбора релевантных рекомендаций по улучшению его читабельност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