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9837A - 염증 억제 및 면역조절 활성을 함유하는 사마귀 추출물 및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염증 억제 및 면역조절 활성을 함유하는 사마귀 추출물 및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9837A
KR20080019837A KR1020060082266A KR20060082266A KR20080019837A KR 20080019837 A KR20080019837 A KR 20080019837A KR 1020060082266 A KR1020060082266 A KR 1020060082266A KR 20060082266 A KR20060082266 A KR 20060082266A KR 20080019837 A KR20080019837 A KR 20080019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mantis
composition
disease
inflamma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2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한
허진철
강석우
황재삼
윤치영
이진만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82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9837A/ko
Publication of KR20080019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98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12N15/113Non-coding nucleic acids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genes, e.g. antisense oligonucleotides; Antisense DNA or RNA; Triplex- forming oligonucleotides; Catalytic nucleic acids, e.g. ribozymes; Nucleic acids used in co-suppression or gene silenc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염증 및 면역조절 활성을 갖는 사마귀(Tenodera angustipennis Saussure), 좀사마귀(Statilia maculata Thunberg), 왕사마귀(Tenodera aridifolia Stoll)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마귀류를 액체질소로 얼린 다음, 극성 또는 비극성용매로 열수 추출하여 수득되는 항염증 및 면역조절 활성을 갖는 사마귀류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치료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마귀류 추출물은 인체의 면역체계를 조절하는 중요한 인자인 산화질소(nitric oxide, NO)의 생성을 억제하고, 염증유발 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의 발현과 관련된 COX-2(cyclooxygenase-2)의 활성을 저해하여 탁월한 항염증 및 면역조절 효과를 나타내므로,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산화질소나 COX-2 활성화에 의해 야기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치료에 효과적인 의약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사마귀, 좀사마귀, 왕사마귀, 항염증, 면역조절, 산화질소, COX-2

Description

염증 억제 및 면역조절 활성을 함유하는 사마귀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An Extract of Mantodea Having Anti-inflammatory and Immuno-modulating Activity,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사마귀류 추출물의 항산화 실험인 FRAP 활성을 시간에 따른 활성 증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사마귀류 추출물의 항산화 실험인 DPPH 활성의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사마귀류 추출물의 산화물에 의한 세포사멸의 억제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마귀류 추출물의 산화질소 생성 억제 기능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마귀류 추출물의 COX-2 promoter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항염증 및 면역조절 활성을 갖는 사마귀(Tenodera angustipennis Saussure), 좀사마귀(Statilia maculata Thunberg), 왕사마귀(Tenodera aridifolia Stoll)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마귀류를 액체질소로 얼린 다음, 극성 또는 비극성용매로 열수 추출하여 수득되는 항염증 및 면역조절 활성을 갖는 사마귀류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치료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산화스트레스(oxidant stress)는 대표적으로 superoxide anion(O2 -)와 hydro radical(OH) 등이 있는데 이들 물질은 공유전자쌍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매우 불안정한 분자들이다. 생물학적으로 산화스트레스에 노출이 되면 전자전달계(mitochondria의 전자전달계, phagocyte의 활성)에 이상을 유발할 수 있는데, 이는 외부적인 요인(꽃가루, 담배연기 등)에 의한 경우가 많다. 생물체 내에서는 허파나 산소의 2차대사에 영향을 주게 되며, 최종적으로 이는 단백질, DNA, 지방 등의 대사에 영향을 준다(Lee, I. et al.. J. Biol. Chem., 280: 6094-100, 2005). 산화스트레스는 천식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염증반응이다. 염증반응은 천식의 초기에 나타나는 대표적인 증상이다. 호흡기 질환 환자에 있어 산화제(oxidant)와 항산화제(anti-oxidant)의 비율이 정상인에 비해 불균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는데, 치료의 면에서 superoxide의 저해물질인 superoxide dismutase(SOD)가 호흡기 질환 을 완화시켜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치료의 목적으로 anti-oxidant가 이용될 수 있다는 보고도 있다. Reactive oxygen species(ROS)는 면역계통에서도 이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를 억제하는 물질을 식품에 첨가하려는 보고도 많이 있다. 그러나 천식에 대한 치료 방법으로는 많은 경우 대증요법에 의존하여, 기관지 천식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기관지 확장제를 사용하거나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하여도 일시적으로 증세를 완화시켜주는 작용만이 있을 뿐이며, 근원적인 치료방법이 알려져 있지 않다. Hydrogen peroxide에 의한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염증유발 물질인 PGE 2 , PGF 2a 및 PGI 2와 같은 프로스타글란딘은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에서 유래한 일종의 호르몬으로 다양한 생리활성에 관여하고 프로스타글란딘 생산의 율속효소인 사이클로옥시게나아제(COX)에 의해 발현이 조절된다. COX의 활성을 저해하여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을 저해하는 아스피린, 인도메타신과 같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는 관절염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의 COX 억제 작용은 발암물질 활성화의 억제 및 세포증식의 억제와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COX는 두 개의 유전자(COX-1, COX-2)가 알려져 있다. COX-1은 대부분의 조직에 존재하며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하고, COX-2는 염증 부위에서의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에 관여한다. 이러한 COX 유전자의 억제는 면역관련 세포나 암세포의 효과적인 조절 및 제어에 이용되고 있다. 산화물과 염증과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사마귀(Tenodera angustipennis Saussure), 좀사마귀 (Statilia maculata Thunberg), 왕사마귀(Tenodera aridifolia Stoll)는 사마귀목 사마기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몸길이 약 47-65mm이고, 연한 녹색이나 연한 갈색을 띄며, 들이나 개천가의 풀밭에 서식한다. 먹이는 곤충이나 작은 척추동물을 먹고 살며, 각종 해충을 잡아먹고 살기 때문에 사람에게는 유익하다.
그러나, 사마귀류를 이용한 항산화, 항염증 또는 면역조절 활성에 대하여는 어떠한 보고나 개시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곤충 유래의 추출물을 대상으로 초고속 스크리닝을 수행하여 세포면역 억제활성을 검색한 결과, 본 발명의 사마귀류 추출물이 항산화 효과와 산화물에 의한 세포손상의 억제효과와 COX-2 활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난 바, 우수한 항산화, 항염증 및 면역조절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항산화, 항염증 및 면역조절 효과를 갖는 사마귀류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제와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항산화 및 염증 저해능을 가지는 물질을 빠르고 간편하게 검색할 수 있는 초고속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마귀류(Mantodea)를 액체질소로 얼린 다음, 극성 또는 비극성용매로 열수 추출하여 수득되는 항염증 및 면역조절 활성을 갖는 사마귀류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마귀류는 사마귀(Tenodera angustipennis Saussure), 좀사마귀(Statilia maculata Thunberg), 왕사마귀(Tenodera aridifolia Stoll)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마귀류 추출물은 항산화제로서 산화물을 억제하며, 산화제에 의한 세포손상을 억제하고, 세포내 COX-2 유전자의 발현을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사마귀류(Mantode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제,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은 관절염, 패혈증, 염증 또는 자가면역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은 항히스타민제, 소염진통제, 항암제, 항생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약제와 함께 제제화하거나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a) COX-2 프로모터 유전자를 루시퍼레이즈 발현 벡터에 클로닝하여 암세포를 형질전환하는 단계; 및(b) 상기 형질전환된 암세포에 후보물질을 처리하여 루시퍼레이즈의 발현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저해능을 가지는 물질의 초고속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암세포는 글리오마세포 또는 뉴로블라스토마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사마귀류 추출물은 하기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마귀류를 채집하여 분말화한 후, 사마귀류의 시료 중량의 약 2~10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및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과 같은 C1~C4의 저급알콜의 극성 용매 또는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메틸설폭사이드(DMSO)와 같은 비극성 용매를 가하여 20~80℃에서 약 12시간~3일 동안 열수추출, 냉침 추출, 환류냉각추출 또는 초음파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사마귀류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의 제법으로 수득된 본 발명의 사마귀류 추출물을 FRAP, DPPH를 이용한 항산화관련 실험을 한 결과 탁월한 항산화 효과와 함께 산화물에 의한 세포손상을 탁월하게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루시퍼레이즈 프로모터 에세이를 통한 초고속 스크리닝 기법에 의하여 염증 억제 활성을 검색한 결과, 탁월한 항염증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항산화와 항염증 및 면역조절 활성을 갖는 사마귀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제,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마귀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이미 사용되고 있는 항산화제, 항히스타민제, 소염진통제, 항암제 및 항생제 등의 약제와 함께 제제화하거나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 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마귀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001 내지 10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사마귀류 추출물의 제조
전북 무주군 설천면에서 채집한 사마귀(Tenodera angustipennis Saussure), 좀사마귀(Statilia maculata Thunberg), 왕사마귀(Tenodera aridifolia Stoll) 각각을 액체질소에 얼린 다음 막자사발(100㎖ 용)을 이용하여 잘게 갈아 분말화 하였다. 상기 사마귀류 분말 각각을 0.1g 취한 다음, 추출용매로 물, DMSO, 에탄올 및 메탄올을 각각 1㎖씩 첨가하여 추출하였으며, 추출용매로 물을 사용한 경우에는 60℃에서 24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였고, DMSO, 에탄올 및 메탄올을 사용한 경우에는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회전기(rotator)에서 추출하였다. 추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분당 5,000회전으로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회수하여 사마귀류의 물추출물, DMSO추출물, 에탄올추출물 및 메탄올 추출물을 각각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초고속 스크리닝에 의한 사마귀류 추출물의 FRAP 항산화 활성 검색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각각의 사마귀류 추출물의 시험관내(in vitro)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FRAP, DPPH를 이용한 항산화 실험을 하였다.
FRAP assay는 화합물의 환원력(ferric reducing ability)을 측정하는 것이 다. 3.6의 낮은 pH에서 철3가이온 TPTZ(Fe-TPTZ, tripyridyltriazine) 복합체가 환원제에 의해서 파란색의 철2가이온 TPTZ(Fe-TPTZ) 복합체로 될 때 흡광도를 측정하여 검색하고자 하는 화합물에 대한 환원력을 보는 것이다. 먼저 3.1 g의 C2H3NaO2 × 3H2O와 16 ㎖의 아세틱애시드(C2H4O2)를 넣어서 1 L의 아세테이트버퍼(pH 3.6, 300 mM)를 만든 다음, 40 mM 염산으로 10 mM의 TPTZ(2,4,6-tripyridyl -s-triazine)와 증류수로 20 mM의 FeCl3 × 6H2O를 각각 만들어 사용하였다(Benzie and Stratin, 1996). 그 후 FRAP assay을 위한 반응액은 100 ㎖ 아세테이트버퍼, 10 ㎖ TPTZ solution, 10 ㎖ FeCl3 × 6H2O를 혼합하여 즉 각각 10 : 1 : 1의 비율로 섞어 실험에 사용하였다. 그리고 96 well plate에 FRAP 반응액 190 ㎕를 추출물 10 ㎕를 넣었다. 그 후 30분 동안 5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FRAP 반응액은 실험 전에 만들어 사용하였다(도 1a 내지 도 1d).
그 결과, 도 1a 내지 도 1d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산화 관련 FRAP 실험에서는 사마귀, 좀사마귀, 왕사마귀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시간에 따른 높은 활성이 나타남을 포지티브컨트롤인 trolox와 비교하여 알 수 있었다.
DPPH(1,1-Di(4-tert-octylphenyl)-1-picrylhydrazyl, free radical)는 보라색의 화합물로서 그 자체가 매우 안정한 자유라디칼이며, 라디칼억제제에 의하여 노란색의 디페닐피크로하이잔(diphenylpicrylhydrazine)으로 되므로 이 실험에서는 여러 가지 항산화 기작 중 전자공여능을 추출물을 대상으로 확인 하였다. DPPH를 100%의 에탄올에 녹인 다음 증류수로 희석하여 200 μM의 DPPH 190 ㎕를 96 웰플레이트에 넣은 다음 10 ㎕의 추출물을 넣고 잘 혼합한 후 30분 동안 반응시키고 53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 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아래의 식으로부터 계산하였다.
Figure 112006062331386-PAT00001
그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DPPH 활성의 경우 사마귀의 물(DW)과 에탄올 추출물에서 80 % 이상의 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초고속 스크리닝에 의한 사마귀류 추출물의 세포사멸 저해 활성 검색
실험에서는 H2O2(100 μM)로 산화 스트레스를 주어서 세포사멸을 유도한 다음 세포의 생존율을 이용하여 각각의 추출물이 가지는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먼저 3×103/100 ㎕개의 에스에이치-에스와이오와이(SH-SY5Y) 세포를 96 웰플레이트에 넣고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최종 농도 100 μM의 H2O2 와 10 ㎕의 추출물을 넣고 다시 이산화탄소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 한 후 MTT 용액을 을 이용하여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세포의 생존율(%)은 다음의 계산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Figure 112006062331386-PAT00002
MTT를 이용한 세포생존율 실험에서 사마귀, 왕사마귀, 좀사마귀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이를 넣지 않은 군에 비해 약 2~3배 가량의 세포손상이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도 3).
실시예 4: 초고속 스크리닝에 의한 사마귀류 추출물의 산화질소(nitric oxide, NO)생성 억제 기능
산화질소의 생성 시험은 미세 플레이트 내에서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100 ng/ml)에 의해 RAW264.7의 활성에 따른 산화질소의 생성량을 Greiss 반응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먼저 RAW264.7을 DMEM 배지에 우태아혈청(FBS)을 10% 첨가하여 배양한 다음, 96 well에 2×105/well 단위로 세포를 분주하고, 리포폴리사카라이드를 넣어 세포를 활성 시켰다.
또한, 상기 96 well에 산화질소 생성 억제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DW, DMSO, Ethanol Methanol 및 상기 용매들과 사마귀류 추출물의 혼합물을 각각 2 μl/200 μl를 추가로 첨가한 다음 36시간 동안 추가 배양 하였다. 상기 배양된 배지 100 μl당 동량의 Greiss 시약(0.1% naphthylenediamine -dihydrochloride in water, 1% sulfanilamide, 5% phosphoric acid)를 넣은 후 10 분간 반응 시켰다.
상기 반응이 끝난 다음, Victor3(Wallac, Finland)를 이용하여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 하였다. 총 산화질소의 값은 NaNO2를 이용하여 표준 정량곡선을 구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각 흡광도로부터 직접 NO의 양을 정량적으로 구하였다(도 4). 그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마귀와 좀사마귀의 DMSO 처리구에서 NO의 양이 각각 28, 40 μM로 나타나서 음성 대조구(65 μM)에 비하여 각각 79.8, 54.2% 정도 억제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초고속 스크리닝에 의한 사마귀류 추출물의 COX-2 promoter 저해 활성 검색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사마귀류 추출물의 시험관내(in vitro) COX-2 저해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즉, 암세포의 하나인 글리오마세포에 COX-2 promoter 유전자의 프로모터 부분을 유전자 클로닝을 통하여 루시퍼레이즈를 발현하는 벡터에 넣은 다음 세포내에 삽입시켜 세포를 안정화시켰으며, 최종으로 안정화 된 세포를 선별하였다. 10% 우태아혈청(FBS)를 포함한 RPMI 1640 배지에 상기 루시퍼레이즈를 선별하는 벡터가 들어간 글리오마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이식시킨 후, 세포가 플레이트의 바닥에 붙은 것을 확인한 다음,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사마귀류, 물, DMSO, 에탄올 및 메탄올 추출물을 각각 처리하여 COX-2 promoter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상기의 모든 과정은 초고속 스크리닝의 종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정한 후, 본 발명자가 보유한 곤충 추출물의 라이브러리에 대한 초고속 스크니링을 수행하였다. 초고속 스크리닝에 사용한 곤충 추출물은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제조되었으며, 제조된 곤충 추출물은 각각 96웰 플레이트의 11번과 12번 위치의 12개 구멍을 비워 두고 각각 100㎕ 씩 첨가하여 -70도에서 보존한 후, 각각의 곤충 추출물에 대한 어세이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가 보유한 곤충 추출물의 라이브러리 중 본 발명의 사마귀류 추출물에서 면역염증 활성이 매우 우수한 것을 검색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사마귀류 추출물을 최종적으로 선별하였다.
실시예 6: 사마귀류 추출물의 COX-2 promoter 저해 활성 확인
상기 실시예 5로부터 선별된 사마귀류 추출물의 COX-2 promoter의 저해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5의 루시퍼레이즈 발현을 이용한 실험방법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COX-2 promoter 저해 활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사마귀의 DMSO 추출물과 좀사마귀의 DMSO 추출물에서 대조구보다 루시퍼레이즈의 발현을 완전히 억제하여 유의적인 COX-2 promoter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 즉, polarity index가 7.2인 DMSO를 사용하여 사마귀류를 추출할 경우, COX-2 promoter assay에서 저해활성이 매우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마귀류 추출물은 인체의 산화스트레스를 상쇄시켜주며, 염증유발 물질이 프로스타글란딘의 발현과 관련된 COX-2 promoter의 활성을 저해하여 탁월한 항염증 및 면역조절 효과를 나타내므로,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산화질소나 COX-2 promoter 활성화에 의해 야기되는 염증질환 및 면역질환의 치료에 효과적인 의약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염증 저해능을 가지는 물질을 빠르고 간편하게 검색할 수 있는 초고속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사마귀류(Mantodea)를 액체질소로 얼린 다음, 극성 또는 비극성용매로 열수 추출하여 수득되는 항염증 및 면역조절 활성을 갖는 사마귀류 추출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마귀류는 사마귀(Tenodera angustipennis Saussure), 좀사마귀(Statilia maculata Thunberg), 왕사마귀(Tenodera aridifolia Stoll)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마귀류 추출물은 항산화제로서 산화물을 억제하며, 산화제에 의한 세포손상을 억제하고, 세포내 COX-2 promoter 유전자의 발현을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사마귀류(Mantode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제,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치료용 약학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은 관절염, 패혈증, 염증 또는 자가면역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히스타민제, 소염진통제, 항암제, 항생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약제와 함께 제제화하거나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저해능을 가지는 물질의 초고속 스크리닝 방법:
    (a) COX-2 프로모터 유전자를 루시퍼레이즈 발현 벡터에 클로닝하여 암세포를 형질전환하는 단계; 및
    (b) 상기 형질전환된 암세포에 후보물질을 처리하여 루시퍼레이즈의 발현을 확인하는 단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암세포는 글리오마세포 또는 뉴로블라스토마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60082266A 2006-08-29 2006-08-29 염증 억제 및 면역조절 활성을 함유하는 사마귀 추출물 및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0800198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266A KR20080019837A (ko) 2006-08-29 2006-08-29 염증 억제 및 면역조절 활성을 함유하는 사마귀 추출물 및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266A KR20080019837A (ko) 2006-08-29 2006-08-29 염증 억제 및 면역조절 활성을 함유하는 사마귀 추출물 및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9837A true KR20080019837A (ko) 2008-03-05

Family

ID=39394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2266A KR20080019837A (ko) 2006-08-29 2006-08-29 염증 억제 및 면역조절 활성을 함유하는 사마귀 추출물 및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983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13823B2 (en) 2011-10-18 2018-03-13 Amorepacific Corporation SIRT 1 activator including syringaresinol
KR20200071414A (ko) 2018-12-11 2020-06-1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왕사마귀로부터 유래된 테노데라신-1 펩타이드,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진균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243315B1 (ko) * 2019-11-19 2021-04-23 대한민국 왕사마귀 유래 항균 펩타이드인 테노데라신-2 및 이의 용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13823B2 (en) 2011-10-18 2018-03-13 Amorepacific Corporation SIRT 1 activator including syringaresinol
US9999611B2 (en) 2011-10-18 2018-06-19 Amorepacific Corporation SIRT 1 activator including syringaresinol
US10022351B2 (en) 2011-10-18 2018-07-17 Amorepacific Corporation SIRT 1 activator including syringaresinol
US11096921B2 (en) 2011-10-18 2021-08-24 Amorepacific Corporation SIRT 1 activator including syringaresinol
KR20200071414A (ko) 2018-12-11 2020-06-1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왕사마귀로부터 유래된 테노데라신-1 펩타이드,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진균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243315B1 (ko) * 2019-11-19 2021-04-23 대한민국 왕사마귀 유래 항균 펩타이드인 테노데라신-2 및 이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wa et al. 2-methoxycinnamaldehyde from Cinnamomum cassia reduces rat myocardial ischemia and reperfusion injury in vivo due to HO-1 induction
Jalalpure et al. Antiarthritic activity of various extracts of Mesua ferrea Linn. seed
Liu et al. Pods of Khejri (Prosopis cineraria) consumed as a vegetable showed functional food properties
Bernatoniene et al. The effect of Leonurus cardiaca herb extract and some of its flavonoids on mitochondrial oxidative phosphorylation in the heart
KR101929074B1 (ko) 프티로스틸벤의 항불안 효과
Onasanwo et al. Anti-ulcerogenic and proton pump (H+, K+ ATPase) inhibitory activity of Kolaviron from Garcinia kola Heckel in rodents
Njamen et al.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rycristagallin, a pterocarpene from Erythrina mildbraedii
WO2005112965A2 (en) Botanical anti-inflammatory compositions and methods
Escobedo-Hinojosa et al. Contribution to the ethnopharmacological and anti-Helicobacter pylori knowledge of Cyrtocarpa procera Kunth (Anacardiaceae)
Erdemoglu et al. Estimation of anti-inflammatory, antinociceptive and antioxidant activities on Arctium minus (Hill) Bernh. ssp. minus
Toma et al. Preventive activity of pyrrolizidine alkaloids from Senecio brasiliensis (Asteraceae) on gastric and duodenal induced ulcer on mice and rats
Niu et al. Esculentic acid, a novel and selective COX-2 inhibitor with anti-inflammatory effect in vivo and in vitro
Rajaram et al. Anti-inflammatory profile of Aegle marmelos (L) Correa (Bilva) with special reference to young roots grown in different parts of India
Banerjee et al. Myricitrin–a flavonoid isolated from the Indian olive tree (Elaeocarpus floribundus)–inhibits Monoamine oxidase in the brain and elevates striatal dopamine levels: therapeutic implications against Parkinson's disease
KR20080019837A (ko) 염증 억제 및 면역조절 활성을 함유하는 사마귀 추출물 및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Melo et al. Comparison of the gastroprotective effect of a diterpene lactone isolated from Croton cajucara with its synthetic derivatives
KR100697236B1 (ko) 오보바톨 또는 오보바탈을 포함하는 항암제 조성물
Lategan et al. The bioactivity of novel furanoterpenoids isolated from Siphonochilus aethiopicus
KR101179966B1 (ko) 항염증 효과를 갖는 관절염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JP2013542196A (ja) ロパルルス・ジュンセウスサソリの毒由来のペプチド及び医薬組成物
Hsieh et al. Epigallocatechin gallate attenuates partial bladder outlet obstruction-induced bladder injury via suppression of endoplasmic reticulum stress-related apoptosis—in vivo study
KR100439425B1 (ko) 잔토리졸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용도
CN110088073B (zh) 用于治疗特应性皮炎的方法和组合物
Sokeng et al. Anti-inflammatory effect of Abyssinone V-4’-methyl ether on acute and chronic inflammation models
Inchab et al. Evaluation of anti-inflammatory, analgesic, and antipyretic activities of Pseuderanthemum palatifer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