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8033A -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 혼합시스템 - Google Patents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 혼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8033A
KR20080018033A KR1020060080080A KR20060080080A KR20080018033A KR 20080018033 A KR20080018033 A KR 20080018033A KR 1020060080080 A KR1020060080080 A KR 1020060080080A KR 20060080080 A KR20060080080 A KR 20060080080A KR 20080018033 A KR20080018033 A KR 20080018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inorganic
inorganic material
polyolefin
polyolefin resin
mix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0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1562B1 (ko
Inventor
김희삼
Original Assignee
김희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삼 filed Critical 김희삼
Priority to KR1020060080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1562B1/ko
Publication of KR20080018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8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56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 B29B7/06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10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1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single shaft
    • B29B7/16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single shaft with paddles 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 B29B7/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2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for feeding
    • B29B7/2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for feeding in measured doses
    • B29B7/24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for feeding in measured doses of several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 B29B7/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2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for 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e.g. viscosity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01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805Mixing plastics, polymer material ingredients, monomers or oligo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 혼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최종적으로 필름상 또는 슬릿사 형태로 성형되어 주로 곡물류 및 식품포장재 등에 이용되는 일라이트 등의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물성 변화없이 폴리머 상태로 균일하게 혼합시키는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 혼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능성 무기물, 폴리올레핀계, 혼합시스템, 와류, 폴리머

Description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 혼합시스템{FUNCTIONAL INORGANIC MATERIAL AND POLYOLEFIN RESIN MIX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 혼합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시스템에서 분쇄 롤러의 구성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 혼합시스템
10. 호퍼부 11. 제 1 호퍼
11a. 배출구
12. 제 2 호퍼 12a. 배출구
20. 분쇄부 21. 분쇄롤러
21A. 구동롤러 21A-a. 요철
21B. 종동롤러 21B-a. 요철
22. 배출구
30. 와류 순환부 31. 나선형 이송관
32. 압축기
40. 교반부 41. 혼합 용융조
41a. 배출구 41b. 공기배출구
42. 교반날개부 42a. 교반로드 축
43a. 상부 교반날개 43b. 하부 교반날개
50. 리드 스크루
본 발명은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 혼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최종적으로 필름상 또는 슬릿사 형태로 성형되어, 주로 곡물류 및 식품포장재 등에 이용되는 일라이트 등의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물성 변화없이 폴리머 상태로 균일하게 혼합시키는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 혼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고분자량과 고결정성을 겸비하여 융점이 비교적 높고, 연화온도가 비교적 높을 뿐만 아니라, 비중이 매우 낮고, 강도 및 내구성이 매우 우수하다.
특히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투명도가 뛰어난 편이기 때문에 포장재로서 매우 적합한 소재여서, 주로 곡물류, 해조류, 육류 등의 각종 식품류의 저장 및 운송용 포대의 소재로 사용하고 있다.
최근, 일라이트 등 다양한 기능성 무기물의 연구가 일부 이루어져 고유한 효능이 밝혀진 바 있고, 특히 일라이트는 원적외선 방사효율이 우수하여 식품의 보관성을 향상시키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런데 이러한 기능성 무기물들의 효능에도 불구하고, 상기 기능성 무기물을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물성 변화없이 균일하게 혼합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제품화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로는 기능성 무기물을 다량 함유한 마스터배치 칩을 일반 폴리올레핀계 칩에 혼합하여 성형하는 방식이 채용되고 있으나, 이는 그 제조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전력소비가 많아 제조원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또 상호 균일한 혼합상태의 유지가 어려워, 고품질의 제품이나 정밀도를 요하는 제품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진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라이트 등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물성 변화없이 균일하게 혼합시켜 폴리머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 혼합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 혼합시스템은,
정량밸브가 마련된 배출구를 통해, 충입된 기능성 무기물을 정량씩 자중 낙하시키는 제 1 호퍼와, 정량밸브가 마련된 배출구를 통해, 충입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정량씩 자중 낙하시키는 제 2 호퍼를 포함하는 호퍼부와;
상기 호퍼부로부터 정량씩 투입된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분쇄롤러를 통해 분쇄하고, 이렇게 분쇄된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정량밸브가 마련된 배출구를 통해 정량씩 배출하는 분쇄부와;
상기 분쇄부에서 배출된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이송경로인 나선형 이송관 및 상기 나선형 이송관에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이송압을 제공하는 압축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와류 순환부와;
정량밸브가 마련된 배출구가 마련되며, 상기 와류 순환부의 나선형 이송관의 말단이 상부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나선형 이송관을 통해 배출된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혼합 용융조와, 상기 혼합 용융조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나선형 이송관에서 배출되어 자중 낙하하는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혼합시키며, 바닥면에 적층된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마찰열을 통해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기능성 무기물을 혼합 용융시킨 폴리머를 형성하는 교반날개부를 포함하는 교반부; 및
상기 혼합 용융조에서 정량밸브가 마련된 배출구를 통해 정량씩 배출된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기능성 무기물로 이루어진 폴리머를, 일방향으로 이송시켜 배출하는 리드 스크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나선형 이송관이 연통되게 설치되는 혼합 용융 조의 상부에 공기배출구를 형성하여, 나선형 이송관을 통해 배출된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자중에 의해 낙하되고, 압축기에 의해 공급되어 배출되는 압축공기는 공기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과,
상기 분쇄부의 분쇄롤러를 외경면이 밀착하여 회전되는 구동롤러와 종동롤러로 구성하고, 이들 구동롤러와 종동롤러의 표면에는 요철을 형성하여, 요철에 의해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분쇄가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교반 날개부는 혼합 용융조에 직교하여 설치된 교반로드 축과, 상기 교반로드 축의 상측에 설치되어 혼합 용융조내에 와류를 형성하여 자중 낙하되는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혼합하는 상부 교반날개와, 상기 교반로드 축의 바닥면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바닥면에 가라앉은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마찰열을 통해 이들을 용융시켜 폴리머를 형성하는 하부 교반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 혼합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 혼합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시스템에서 분쇄 롤러의 구성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혼합시스템(1)은, 일 라이트 등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분쇄하고 이들을 혼합시킨 다음, 마찰열을 통하여 용융시켜 물성 변화가 최소화된 상태의 폴리머를 얻도록 고안된 것이다.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혼합시스템(1)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충입된 기능성 무기물을 정량밸브가 마련된 배출구(11a)를 통해, 정량씩 자중 낙하시키는 제 1 호퍼(11)와, 충입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정량밸브가 마련된 배출구(12a)를 통해, 정량씩 자중 낙하시키는 제 2 호퍼(12)를 포함하는 호퍼부(10)와; 상기 호퍼부(10)에서 정량씩 투입된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분쇄롤러(21)를 통해 분쇄하고, 이렇게 분쇄된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정량밸브가 마련된 배출구(22)를 통해 정량씩 배출하는 분쇄부(20)와; 상기 분쇄부(20)에서 배출된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이송경로인 나선형 이송관(31)과, 상기 나선형 이송관(31)에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이송압을 제공하는 압축기(32)를 포함하여 구성된 와류 순환부(30)와; 정량밸브가 마련된 배출구(41a)가 마련되며, 상기 와류 순환부(30)의 나선형 이송관(31)의 말단이 상부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나선형 이송관(31)을 통해 배출된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혼합 용융조(41)와, 상기 혼합 용융조(41)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나선형 이송관(31)에서 배출되어 자중 낙하하는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혼합시키며, 바닥면에 쌓인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마찰열을 통해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기능성 무기물을 혼합 용융시킨 폴리머를 형성하는 교반날개부(42)를 포함하는 교반부(40); 및 상기 혼합 용융조(41)에서 정량밸브가 마련된 배출구(41a)를 통해 정량씩 배출된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기능성 무기물로 이루어진 폴리머를 일방향으로 이송시켜 배출하는 리드 스크루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호퍼부(10)의 하부에 설치되어서, 정량씩 투하된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분쇄하는 분쇄롤러(21)는, 외경면이 각각 밀착하여 회전되는 구동롤러(21A)와 종동롤러(21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 구동롤러(21A)와 종동롤러(21B)의 표면에 복수의 요철(21A-a, 21B-a)을 형성하여, 요철(21A-a, 21B-a)에 의해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분쇄작용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호퍼부(10)에 마련된 정량밸브의 제어로 배출구(11a, 12a)를 통해 정량씩 자중 낙하하여 분쇄부(20)에 공급된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구동롤러(21A)와 종동롤러(21B)로 이루어진 분쇄롤러(21)에 의하여 미세하게 분쇄된다.
그리고, 이렇게 분쇄된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상기 분쇄부(20)의 하부에 설치된 와류 순환부(30)에 공급되어 이송되면서, 압축공기에 의해 발생되는 와류작용에 의해 신속하게 혼합된다.
즉,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압착공기에 의해 나선형 이송 관(31)을 이송하면서, 압축공기에 의해 발생되는 와류에 의하여 상호간의 혼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와류 순환부(30)를 거치면서 혼합된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혼합 용융조(41)의 내부에 교반날개부(42)가 형성된 형태의 교반부(40)로 배출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나선형 이송관(31)이 연통되게 설치된 혼합 용융조(41)의 상부에 공기배출구(41b)를 별도 형성하여, 나선형 이송관(31)을 통해 배출된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자중에 의해 낙하하고, 압축기(32)에 의해 공급된 압축공기는 공기배출구(41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소위, 사이클론 집진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와류 순환부(30)와 교반부(40) 간에 사이클론 집진구조를 형성하게 되면, 압축공기의 무단 유입에 따른 혼합 용융조(41)의 내부 온도가 급격히 하강하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혼합 용융조(41)에 마련되는 교반날개부(42)는, 혼합 용융조(41)내에 직교하여 설치되는 교반로드 축(42a)과, 이 교반로드 축(42a)에 상하 이격되게 설치되는 상부 교반날개(43a)와 하부 교반날개(43b)를 포함한다. (***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M은, 교반로드 축을 회전시키는 모터임***)
이들 상부 교반날개(43a)와 하부 교반날개(43b)는, 본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교반로드 축(42a)에 상하 이격되게 설치할 수도 있고, 혼합 용융조 내에 독립적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교반로드 축을 상하 대향되게 마련하고, 이 축에 상부 교반날개와 하부 교반날개를 각각 설치하여서, 상부 교반날개와 하부 교반날개가 서로 다 른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교반날개(43a)는 혼합 용융조(41) 내에 와류를 일으켜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균일하게 혼합시키는 교반작용을 수행하게 되며, 하부 교반날개(43b)는 바닥면에 가라앉은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교반함과 동시에, 발생된 마찰열을 통해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용융되어 균일하게 혼합된 폴리머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용융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하부 교반날개(43b)의 회전에 의해 생성되는 마찰열을 통해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용융시키게 되면, 가온을 위한 히터를 별도 마련하지 아니하여도 되므로, 구조의 간소화와 전력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류 순환부(30)를 거쳐 교반부(40)에 유입된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상부 교반날개(43a)와 하부 교반날개(43b)에 의해 혼합 및 용융되어서, 기능성 무기물이 균일하게 혼입된 형태의 폴리머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폴리머 상태를 이룬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정량밸브가 마련된 배출구(41a)를 통해 정량씩 배출되고, 이후 정량 기능성 무기물이 혼입된 폴리머는, 리드 스크루(50)로 유입되어 더욱 균일하게 혼합 및 배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리드 스크루(50)에 의해 혼합 및 배출된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진 폴리머는 냉각되어서,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 지가 균일하게 혼합된 폴리머 칩 형태로 제작되어, 필름상, 슬릿사상, 섬유사상 등의 각종 형태로 성형하기 위한 원료로서 사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분쇄하고 이들을 균일하게 혼합시킨 다음 마찰열을 통해 용융시켜서, 균일한 혼합상태를 이룬 폴리머를 얻도록 고안된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히터를 마련하지 아니하고,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용융이 마찰열에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구조의 간소화를 꾀함과 동시에, 소재의 물성 변화가 억제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시스템이 생산에 실지 적용되면, 생산성의 향상을 통한 제품의 저렴화를 꾀할 수 있게 되고, 또 품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정량밸브가 마련된 배출구를 통해, 충입된 기능성 무기물을 정량씩 자중 낙하시키는 제 1 호퍼와, 정량밸브가 마련된 배출구를 통해, 충입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정량씩 자중 낙하시키는 제 2 호퍼를 포함하는 호퍼부와;
    상기 호퍼부로부터 정량씩 투입된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분쇄롤러를 통해 분쇄하고, 이렇게 분쇄된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정량밸브가 마련된 배출구를 통해 정량씩 배출하는 분쇄부와;
    상기 분쇄부에서 배출된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이송경로인 나선형 이송관 및 상기 나선형 이송관에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이송압을 제공하는 압축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와류 순환부와;
    정량밸브가 마련된 배출구가 마련되며, 상기 와류 순환부의 나선형 이송관의 말단이 상부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나선형 이송관을 통해 배출된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혼합 용융조와, 상기 혼합 용융조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나선형 이송관에서 배출되어 자중 낙하하는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혼합시키며, 바닥면에 적층된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마찰열을 통해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기능성 무기물을 혼합 용융시킨 폴리머를 형성하는 교반날개부를 포함하는 교반부; 및
    상기 혼합 용융조에서 정량밸브가 마련된 배출구를 통해 정량씩 배출된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기능성 무기물로 이루어진 폴리머를, 일방향으로 이송시켜 배출하 는 리드 스크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
    레핀계 수지 혼합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이송관이 연통되게 설치되는 혼합 용융조의 상부에 공기배출구를 형성하여, 나선형 이송관을 통해 배출된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자중에 의해 낙하되고, 압축기에 의해 공급되어 배출되는 압축공기는 공기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 혼합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의 분쇄롤러는, 외경면이 밀착하여 회전되는 구동롤러와 종동롤러로 구성되며, 이들 구동롤러와 종동롤러의 표면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요철에 의해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분쇄가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 혼합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날개부는, 혼합 용융조에 직교하여 설치된 교반로드 축과, 상기 교반로드 축의 상측에 설치되어 혼합 용융조내에 와류를 형성하여 자중 낙하되는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혼합하는 상부 교반날개와, 상기 교반로드 축의 바닥면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바닥면에 가라앉은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마찰열을 통해 이들을 용융시켜 폴리 머를 형성하는 하부 교반날개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 혼합시스템.
KR1020060080080A 2006-08-23 2006-08-23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 혼합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0811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080A KR100811562B1 (ko) 2006-08-23 2006-08-23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 혼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080A KR100811562B1 (ko) 2006-08-23 2006-08-23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 혼합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033A true KR20080018033A (ko) 2008-02-27
KR100811562B1 KR100811562B1 (ko) 2008-03-07

Family

ID=39385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0080A Expired - Fee Related KR100811562B1 (ko) 2006-08-23 2006-08-23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 혼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156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07125A (zh) * 2018-04-05 2018-08-17 海宁市冲达机械设计有限公司 一种配料装置的配料机构
CN108722217A (zh) * 2018-04-05 2018-11-02 海宁市冲达机械设计有限公司 一种配料装置的搅拌机构
KR102240957B1 (ko) * 2020-04-10 2021-04-16 이서영 친환경 합성수지 조성물의 교반 및 성형장치
CN116040916A (zh) * 2023-01-10 2023-05-02 南京工业大学 一种用于流态泥浆深度改性方法的轻量化配套装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253B1 (ko) 2015-08-06 2017-04-28 이서영 폴리에틸렌과 강모 교반장치
CN213055700U (zh) * 2020-06-02 2021-04-27 鄂州市兴方磨具有限公司 一种碾米砂辊树脂液称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17752C2 (de) * 1980-05-09 1984-08-23 Sapco Systemanalyse und Projektcontrol GmbH, 4000 Düsseldorf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pulverförmigen Gemisches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und mineralischem oder organischem Füllstoff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07125A (zh) * 2018-04-05 2018-08-17 海宁市冲达机械设计有限公司 一种配料装置的配料机构
CN108722217A (zh) * 2018-04-05 2018-11-02 海宁市冲达机械设计有限公司 一种配料装置的搅拌机构
KR102240957B1 (ko) * 2020-04-10 2021-04-16 이서영 친환경 합성수지 조성물의 교반 및 성형장치
CN116040916A (zh) * 2023-01-10 2023-05-02 南京工业大学 一种用于流态泥浆深度改性方法的轻量化配套装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1562B1 (ko) 200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1562B1 (ko) 기능성 무기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 혼합시스템
TWI397463B (zh) 塑膠材料處理之裝置及過程
JP5961696B2 (ja) プラスチック材料処理装置
DK2689908T3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plastic material
KR101744271B1 (ko) 플라스틱 재료의 처리를 위한 장치
JP6356067B2 (ja) プラスチック材料処理装置
CN204799215U (zh) 一种滚圆造粒机
CN103857502B (zh) 用于预处理并且随后塑化塑料材料的装置
CN103857504A (zh) 用于准备塑料材料的装置
CN103857506A (zh) 用于对塑料材料进行预处理的装置
KR20040014553A (ko) 하우징에 지지되는 스크류를 충전하는 장치 및 이러한타입의 장치를 작동하는 방법
KR20140079481A (ko) 플라스틱 재료의 처리를 위한 장치
KR20140078744A (ko) 플라스틱 재료의 처리를 위한 장치
CN103874567A (zh) 用于对塑料材料进行预处理的装置
EP3970937B1 (en) Method of producing a composite
KR101347255B1 (ko) 사출 잔여수지 재활용장치
KR101953999B1 (ko) 동물사료용 펠릿제조장치
KR20220027051A (ko) 플라스틱 처리 장치 및 관련 방법
KR102076284B1 (ko) 발포 폴리카보네이트 제품의 제조 장치
CN201819519U (zh) 一种连续回转式断条干燥机
TWI667977B (zh) 纖維吸管之製造方法及其設備
KR102416760B1 (ko) 3d프린터용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한 원료의 연속 직공급장치
CN204604640U (zh) 塑料回收料粉碎装置以及塑料回收料造粒装置
KR20120065881A (ko) 수지 재활용을 위한 용융압출유닛
CN213412585U (zh) 一种塑料造粒用的熔融混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3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