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1457A - 음성 또는 영상신호의 딜레이 컨트롤 기능을 가지는노래반주기 및 그의 컨트롤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또는 영상신호의 딜레이 컨트롤 기능을 가지는노래반주기 및 그의 컨트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1457A
KR20080011457A KR1020080004191A KR20080004191A KR20080011457A KR 20080011457 A KR20080011457 A KR 20080011457A KR 1020080004191 A KR1020080004191 A KR 1020080004191A KR 20080004191 A KR20080004191 A KR 20080004191A KR 20080011457 A KR20080011457 A KR 20080011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ideo signal
time
audio signal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4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터기술
이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터기술, 이경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터기술
Priority to KR1020080004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1457A/ko
Publication of KR20080011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1457A/ko
Priority to US12/103,926 priority patent/US8106282B2/en
Priority to EP08008026A priority patent/EP208118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8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displaying animated or moving pictures synchronized with the music or audio par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8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2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n the sam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1De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50/00Aspects of algorithms or signal processing methods without intrinsic musical character, yet specifically adapted for or used in electrophonic musical processing
    • G10H2250/041Delay lines applied to musical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또는 영상신호의 딜레이 컨트롤 기능을 가지는 노래반주기 및 그의 컨트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에 연결하여 음성 또는 영상신호를 재생하는 노래반주기는, 외부음성신호가 입력되는 음성입력부와; 내부에서 제공되는 반주신호 및 상기 음성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음성신호를 포함하는 음성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음성신호처리부와; 자막신호를 포함한 영상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영상신호처리부와; 체크신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에의 송신시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에서의 수신시점의 차이를 계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의 음성신호 또는 영상신호의 딜레이 정도를 나타내는 타임 딜레이를 계산하는 타임 딜레이 계산부와; 상기 체크신호의 발생 및 송수신을 포함하여 상기 노래반주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하고, 상기 타임 딜레이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신호 또는 상기 음성신호의 송신시점을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래반주기가 타임 딜레이가 있는 디지털 기기에 연결되는 경우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해진다.
노래반주기, 자막, 반주, 타임 딜레이, 디지털기기, 아날로그

Description

음성 또는 영상신호의 딜레이 컨트롤 기능을 가지는 노래반주기 및 그의 컨트롤 방법{Music accompaniment apparatus having delay control function of audio or video sig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노래반주기 및 그의 컨트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외부기기에 연결하여 음성 또는 영상신호를 재생하되, 음성 또는 영상신호의 딜레이가 있는 디지털 기기 등에 연결시 음성 또는 영상신호의 딜레이를 컨트롤할 수 있는 노래반주기 및 그의 컨트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래반주기는 외부기기인 비디오 모니터 및 오디오 앰프에 연결되어 노래반주와 함께 자막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노래반주기는 가정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가정에 일반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TV나 모니터, 오디오 앰프(스피커) 등의 가정용 디스플레이 기기에 연결하여 음성 및 영상을 재생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노래반주기는 가정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발전 방향이나 속도에 대응하여 그 구성이 변화되어야 한다.
상기 노래반주기에 연결되는 외부기기는 산업발전에 따라 그 구성이나 방식에 있어 지속적인 발전을 계속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노래반주기에 연결되는 외부기기들 중 TV의 경우, 흑백 TV에서부터 시작하여 컬러 TV로 발전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스테레오 음향, 리모트 컨트롤 장치, 자막방송, 데이터 방송 등이 일부 디지털 기술을 수용하게 되면서 고화질화 및 다기능화를 실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추세에 따라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의 음성 또는 영상 재생기기들이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변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외부기기에 연결되어 음성 또는 영상의 재생을 수행하는 노래반주기를 사용함에 있어, 디지털 방식의 외부기기들을 연결하여 사용함에 따라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의 외부기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발생하지 않았던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기기는 기존의 아날로그 기기들보다 회로가 복잡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 또는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 과정을 더 필요로 함에 의하여 신호 딜레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는 기존의 아날로그 기기와 디지털 기기에 동시에 신호를 송신하고, 이들 신호가 재생되는 시점을 비교함에 의해 딜레이가 있음을 간단히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의 TV와 디지털 방식의 TV의 경우에, 디지털 방식의 TV의 경우가 아날로그 방식의 TV의 경우보다 더 느리게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가 재생되는 것으로써 간단히 판단할 수 있다. 일부 디지털 기기에서 외부입력신호의 재생의 경우에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재생을 하도록 구현된 기기도 있으나 여기서는 디지털 방식으로 재생하는 디지털 기기만으로 한정한다.
일반적으로 노래반주기는 상기 노래반주기에 연결된 외부기기를 통해 재생되는 반주신호(음성신호) 및 자막신호(영상신호)에 맞춰 사용자가 노래를 부르면, 사용자의 노래에 의해 발생된 외부음성신호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신호는 상기 외부기기를 통해 재생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이 경우 외부기기는 음성신호 재생을 위한 외부기기와 영상신호의 재생을 위한 외부기기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고 하나의 기기(예를 들면, TV)에서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의 재생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디지털 기기의 외부입력단자에 연결하여 노래반주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문제점들 중 가장 큰 문제점은 디지털 기기의 타임 딜레이 때문에 발생된다.
특히 음성신호 재생을 위해서 종래와 같은 아날로그 외부기기(오디오 앰프)를 사용하고 영상신호의 재생을 위해서는 디지털 외부기기(TV)를 별도로 사용하는 경우의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디지털 기기의 경우에는, 노래반주기에서 전송되는 음성신호 또는 자막신호 등의 영상신호가 상기 디지털 기기의 외부입력단자를 통하여 디지털 기기에서 재생되는 경우에, 필수적으로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의 외부기기에 비하여 일정 타임 딜레이를 가진 후에 음성신호 또는 영상신호가 재생된다. 이에 반해 아날로그 기기의 경우에는 이러한 타임 딜레이 없이 음성 또는 영상신호가 재생된다. 여기서 이해의 편의를 위해 아날로그 기기의 타임 딜레이는 무시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음성신호 재생을 위해서는 종래와 같은 아날로그 외부기기(오디오 앰프)를 사용하고 영상신호의 재생을 위해서는 디지털 외부기기(TV)를 별도로 사용 하는 경우에, 상기 노래반주기 내부에 저장되어 있던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가 동시에 아날로그 외부기기 및 디지털 외부기기에 전송되더라도 각 기기에서의 음성신호의 재생시점과 영상신호의 재생시점은 상기 타임 딜레이만큼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음성신호의 재생시점과 영상신호의 재생시점이 동일해야하는 노래반주기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는 것이다.
다른 예로, 하나의 디지털기기(예를 들면, TV)에서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의 재생을 동시에 진행하는 경우의 문제점을 알아보자.
이 경우 상기 노래반주기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신호 또는 영상신호가 상기 디지털기기를 통해 재생되는 시점은 동일하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기기는 외부에서 동시에 입력되는 음성 및 영상신호의 재생시점을 동일하게 하는 회로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음성신호와 영상신호를 분리하여 재생하는 경우와는 달리 외부입력을 통해 제공되는 음성 신호 및 영상신호의 재생시점은 동일하다. 이때 사용자는 재생되는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에 맞춰 마이크를 통해 외부음성신호를 입력하게 된다. 즉 노래를 부르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외부음성신호는 상기 디지털 기기의 타임 딜레이만큼의 시간 경과 이후에 상기 디지털 기기를 통해 재생된다. 따라서, 노래반주기 내부에서 제공되는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의 재생시점과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외부음성신호의 재생시점이 달라지게 된다. 또한 상기 노래반주기 내부에서 제공되는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의 상기 외부기기로의 출력시점과도 무시할 수 없는 시간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아날로그 기기만으로 음성 및 영상이 재생되는 경우에는 타임 딜레이를 무시 할 수 있으므로, 노래 반주기 내부의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의 재생시점과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음성신호의 재생시점이 거의 동일하다.
노래반주기 내부에서 제공되는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의 재생시점 또는 노래반주기에서 상기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가 출력되는 출력시점과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외부음성신호의 재생시점이 달라지게 되면, 노래반주기의 평가시스템에 문제가 발생된다. 이 경우는 음성신호 재생을 위해서는 종래와 같은 아날로그 외부기기(오디오 앰프)를 사용하고 영상신호의 재생을 위해서는 디지털 외부기기(TV)를 별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 문제가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노래반주기의 평가시스템은 노래반주기 내부에서 제공되는 음성 신호(반주신호)와 영상신호(자막신호)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음성신호(A1)의 주파수, 음정, 음의 높낮이 등의 일치정도를 비교하여 점수화하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노래반주기 내부에서 제공되는 음성 신호(반주신호)와 영상신호(자막신호)의 재생시점과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음성신호(A1)의 입력시점이 서로 다르게 되면, 상기 노래반주기의 평가시스템에서는, 노래반주기 내부에서 제공되는 음성 신호(반주신호)와 영상신호(자막신호)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음성신호(A1)의 주파수, 음정, 음의 높낮이 등의 일치정도가 낮기 때문에 낮은 점수로 점수화를 수행하게 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노래반주기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가 디지털 기기일 경우에 발생되는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의 재생시점(출력시점)의 불 일치, 점수화를 위한 평가시스템의 점수화 오류 등의 여러 문제점을 개선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음성 또는 영상신호의 딜레이 컨트롤 기능을 가지는 노래반주기 및 그의 컨트롤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래반주기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음성 및 영상신호의 재생시점을 동일하게 할 수 있는 음성 또는 영상신호의 딜레이 컨트롤 기능을 가지는 노래반주기 및 그의 컨트롤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지털 기기의 타임 딜레이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노래에 대한 점수화를 수행할 수 있는 음성 또는 영상신호의 딜레이 컨트롤 기능을 가지는 노래반주기 및 그의 컨트롤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지털 기기와 아날로그 기기를 동시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음성 또는 영상신호의 딜레이 컨트롤 기능을 가지는 노래반주기 및 그의 컨트롤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에 연결하여 음성 또는 영상신호를 재생하는 노래반주기는, 외부음성신호가 입력되는 음성입력부와; 내부에서 제공되는 반주신호 및 상기 음성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음성신호를 포함하는 음성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음성신호처리부와; 자막신호를 포함한 영상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영상신호처리부와; 체크신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에의 송신시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에서의 수신시점의 차이를 계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의 음성신호 또는 영상신호의 딜레이 정도를 나타내는 타임딜레이를 계산하는 타임딜레이 계산부와; 상기 체크신호의 발생 및 송수신을 포함하여 상기 노래반주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하고, 상기 타임 딜레이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신호 또는 상기 음성신호의 송신시점을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신호 및 상기 음성신호 중 타임 딜레이가 큰 신호의 송신시점을 타임 딜레이가 작은 신호의 송신시점보다 일정시간만큼 앞서도록 컨트롤 하되, 상기 일정시간은 상기 영상신호와 상기 음성신호의 타임 딜레이 차이 만큼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영상신호의 재생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 중 디지털 기기를 통해 수행되고 상기 음성신호의 재생은 별도의 아날로그 기기를 통해 수행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신호의 송신시점이 상기 음성신호의 송신시점보다 상기 디지털 기기의 타임 딜레이만큼 앞서도록 컨트롤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기기는 디지털 TV, 모니터, 또는 기타 디스플레이기기들을 포함 하며, 상기 아날로그 기기는 아날로그 TV, 오디오앰프(스피커), 헤드폰, 또는 이어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래반주기는, 상기 음성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음성신호, 상기 자막을 포함하는 영상신호, 및 상기 반주신호를 비교하여 점수화하는 평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평가부는 상기 타임 딜레이를 반영하여 점수화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영상신호 및 상기 음성신호의 재생이 하나의 외부기기를 통해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신호 및 상기 음성신호의 송신시점을 동일하게 컨트롤할 수 있다.
상기 노래반주기는, 상기 음성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음성신호, 상기 자막신호를 포함하는 영상신호, 및 상기 반주신호의 일치정도를 비교하여 점수화하는 평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평가부는 상기 타임딜레이를 반영하여 점수화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체크신호는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노래반주기는, 상기 영상신호 및 반주신호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부, 상기 영상신호 및 반주신호의 추가를 위한 확장팩, 메모리 카드의 삽입을 위한 메모리 카드 삽입구, 및 외부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포트(USB)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노래반주기는 마이크 내부에 음성 및 영상의 재생관련 회로들이 내장된 구조의 마이크형 노래반주기일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두 개의 외부기기들에 각각 연결하여 음성신호 및 영상 신호를 분리 재생하는 노래반주기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외부기기들이 아날로그기기 및 디지털 기기를 적어도 하나씩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외부기기들에 각각 송신되는 상기 영상신호의 송신시점과 상기 음성신호의 송신시점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래반주기는, 상기 영상신호를 재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가 디지털 기기이고 상기 음성신호를 재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가 아날로그기기인 경우에는, 상기 영상신호의 송신시점이 상기 음성신호의 송신시점보다 일정시간 앞서도록 하고, 상기 영상신호를 재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가 아날로그 기기이고 상기 음성신호를 재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가 디지털기기인 경우에는, 상기 음성신호의 송신시점이 상기 영상신호의 송신시점보다 일정시간 앞서도록 컨트롤될 수 있다.
상기 영상신호 및 상기 음성신호의 송신시점의 차이는 상기 디지털 기기의 신호 타임 딜레이만큼 일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외부기기에 연결하여 자막신호를 포함한 영상신호를 재생하는 노래반주기의 컨트롤방법은, 체크신호의 상기 디지털 외부기기에의 송신시점과 상기 디지털 외부기기에서의 수신시점의 차이를 계산하여, 상기 디지털 외부기기의 영상신호의 딜레이 정도를 나타내는 타임딜레이를 정의하는 단계와; 상기 타임 딜레이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신호의 송신시점을 컨트롤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영상신호의 재생은 상기 디지털 외부기기를 통해 수행되고 상기 음성신호의 재생은 아날로그기기인 별도의 외부 오디오 앰프를 통해 수행되는 경우에의 상기 영상신호 또는 상기 음성신호의 송신시점의 컨트롤은, 상기 영상신호의 송신시점이 상기 음성신호의 송신시점보다 상기 타임 딜레이만큼 앞서도록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영상신호 또는 상기 음성신호의 송신시점을 컨트롤하는 단계이후에, 외부에서 외부음성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상기 외부오디오 앰프에 전송하고, 상기 외부음성신호, 상기 자막을 포함하는 영상신호, 및 상기 반주신호의 일치정도를 비교하여 이를 점수화하는 평가단계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점수화는 상기 타임 딜레이를 반영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외부기기는 디지털 TV, 모니터, 또는 기타 디스플레이기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 딜레이가 있는 디지털기기에 연결되더라도 노래반주기에 연결되는 디지털기기의 음성 및 영상신호의 재생시점을 동일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지털 기기의 타임 딜레이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노래에 대한 점수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디지털 기기와 아날로그 기기를 동시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음성신호는 가장 넓은 개념으로써 오디오 앰프나 기타 음성재생기기를 통해 재생될 수 있는 신호이면, 반주신호 등을 포함하여 모든 음성관련 신호들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영상신호는 자막신호, 동영상신호, 정지영상신호 등 비디오 디스플레이 기기를 통해 재생될 수 있는 신호이면 모든 영상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반주기(100)의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노래반주기에는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의 재생을 위한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 기기를 일체형으로 구비하고 있는 일체형의 노래반주기가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기는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기타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음성 또는 영상 재생기기(예를 들면, TV) 등의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에 연결하여 음성 및 영상을 재생(출력)하는 노래반주기에 한정된다.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에 연결하여 음성 및 영상을 재생하는 노래반주기는 마이크 내부에 노래반주기 관련 구성을 모두 내장시킨 마이크형 노래반주기와, 노래반주기관련구성이 내장된 본체와 외부음성입력을 위한 마이크로 분리되는 구성을 가지는 분리형 노래반주기로 구분된다. 본 발명은 상기 마이크형 노래반주기와 상 기 분리형 노래반주기 모두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반주기(100)는, 음성입력부(110), 음성신호처리부(120), 영상신호처리부(150), 타임딜레이 계산부(160), 및 제어부(130)를 구비한다. 상기 노래반주기(100)는 추가적으로 메모리부(140) 및 평가부(1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음성입력부(110)는, 외부음성신호(사용자의 음성신호)(A1)가 입력되면 이를 전기신호화하여 전송한다. 상기 음성입력부(110)는 통상적인 마이크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20)는 상기 메모리부(140) 등 상기 노래반주기(100)의 내부에서 제공되는 음성신호(A2) 및 상기 음성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음성신호(A1)를 신호처리하고 이를 외부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20)는 오디오 인코더 및 오디오 디코더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영상신호처리부(150)는 영상신호(V1,V2)를 신호처리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상기 영상신호(V1,V2)는 상기 메모리부(140) 등에 저장된 영상신호이거나 외부에서 입력된 영상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신호(V1,V2)는 자막신호(V1) 또는 동영상신호(V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신호(V1,V2)는 텔레비전 영상신호(CVBS; Composite Video Banking Sync)나 VGA 신호 일 수 있다.
상기 영상신호처리부(150)는 비디오 인코더 또는 비디오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고, 그래픽 엔진 등 영상신호(V1,V2)를 처리하기 위한 각종 컨트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타임딜레이 계산부(160)는, 체크신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에의 송신시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에서의 수신시점의 차이를 계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의 음성신호(A2) 또는 영상신호(V1,V2)의 딜레이 정도를 나타내는 타임딜레이를 정의한다.
상기 타임 딜레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되어 정의된다. 우선 상기 노래반주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가 디지털 기기일 경우에만 상기 타임딜레이 계산부(160)가 동작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외부기기가 아날로그 기기일 경우에도 타임 딜레이를 계산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우선 영상신호(V1,V2)와 음성신호(A2)의 재생을 동일한 하나의 디지털 기기(예를들면, 디지털TV)에 의해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노래반주기(100)에서는 영상신호(V1,V2) 또는 음성신호 형태를 가지는 어느 하나의 체크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체크신호는 음성신호일 경우에는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20)에서 발생될 수 있고, 영상신호(V1,V2)일 경우에는 상기 영상신호처리부(150)에서 발생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체크신호는 상기 메모리부140)에 미리 저장된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체크신호의 발생은 상기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된다. 여기서 상기 체크신호는 특정음성신호인 것으로 가정한다.
특정 영상신호를 상기 체크신호로 할 경우에도 상기 타임 딜레이 값은 같을 수 있다. 이는 대부분의 디지털 기기에서 영상신호(V1,V2)와 음성신호(A2)의 타임 딜레이가 동일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영상신호(V1,V2)와 음성신호(A2)의 타임 딜레이가 동일하지 않게 설계된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여 영상신 호(V1,V2) 및 음성신호(A2)에 대한 타임 딜레이를 별도로 계산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특정음성신호는 외부입력단자를 통해 상기 디지털 기기로 입력되어 상기 디지털 기기 내부의 재생회로를 통해 상기 디지털기기에 내장 또는 외장된 오디오 앰프를 통해 출력된다. 상기 타임딜레이 계산부(160)는 상기 특정음성신호의 상기 디지털 기기로의 입력시점과 상기 디지털 기기에서의 재생(출력)시점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타임 딜레이를 계산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지털 기기로 체크신호가 입력된 후 2초 후에 상기 디지털 기기에서 상기 체크신호에 대응되는 음성이 재생되었다면 상기 타임 딜레이는 2초이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기기에서의 상기 특정음성신호의 출력시점은, 상기 오디오 앰프에서 출력되는 특정음성신호를 상기 노래반주기의 음성입력부(110)를 통해 입력시킴으로써 파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영상신호(V1,V2)는 디지털 외부기기를 통해 재생하고, 음성신호(A2)는 아날로그 외부기기를 통해 재생하는 경우를 알아보자.
이 경우 상기 음성신호(A2)에 대한 타임 딜레이는 무시할 수 있으므로, 상기 영상신호(V1,V2)에 대한 타임 딜레이만을 계산한다. 이를 위해 상기 노래반주기(100)에서는 영상신호인 체크신호를 발생한다. 즉 특정영상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특정영상신호는 외부입력단자를 통해 상기 디지털 기기로 입력되어 상기 디지털 기기 내부의 재생회로를 통해 상기 디지털기기에 내장된 디스플레이 화면(TV화면, 모니터화면 등)을 통해 재생된다. 상기 타임딜레이 계산부(160)는 상기 특정영상신호의 상기 디지털 기기로의 입력시점과 상기 디지털 기기에서의 재생(출 력)시점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타임 딜레이를 계산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지털 기기로 체크신호가 입력된 후 2초 후에 상기 디지털 기기에서 상기 체크신호에 대응되는 음성이 재생되었다면 상기 타임 딜레이는 2초이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기기에서의 상기 특정영상신호의 재생시점은, 상기 디지털기기의 영상출력단자와 상기 노래반주기를 연결함에 의해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지털 기기로 체크신호가 입력된 후 2초 후에 상기 디지털 기기에서 상기 체크신호에 대응되는 음성이 재생되었다면 상기 타임 딜레이는 2초이다.
다음으로, 음성신호(A2)는 디지털 기기를 통해 재생하고 영상신호(V1,V2)는 아날로그 기기를 통해 재생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상기 영상신호(V1,V2)에 대한 타임 딜레이는 무시할 수 있으므로, 상기 음성신호(A2)에 대한 타임 딜레이만을 계산한다. 이를 위해 상기 노래반주기(100)에서는 음성신호 형태의 체크신호를 발생한다. 즉 특정음성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특정음성신호는 외부입력단자를 통해 상기 디지털 기기로 입력되어 상기 디지털 기기 내부의 재생회로를 통해 상기 디지털기기에 내장 또는 외장된 오디오 앰프를 통해 출력된다. 상기 타임딜레이 계산부(160)는 상기 특정음성신호의 상기 디지털 기기로의 입력시점과 상기 디지털 기기에서의 재생(출력)시점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타임 딜레이를 계산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지털 기기로 체크신호가 입력된 후 2초 후에 상기 디지털 기기에서 상기 체크신호에 대응되는 음성이 재생되었다면 상기 타임 딜레이는 2초이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기기에서의 상기 특정음성신호의 출력시점은, 상기 오디오 앰프에서 출력되는 특정음성신호를 상기 노래반주기의 음성입력부(110)를 통해 입력시킴으로써 파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영상신호(V1,V2)는 디지털 기기로 재생하고, 음성신호(A2)는 상기 영상신호(V1,V2)의 재생을 위한 디지털기기와는 다른 별도의 디지털 기기를 통해 재생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때는 영상신호(V1,V2)의 타임 딜레이 및 음성신호(A2)의 타임 딜레이를 별도로 계산한다. 영상신호(V1,V2)의 타임 딜레이 계산방식 및 음성신호(A2)의 타임 딜레이 방식은 앞서 설명한 3가지 경우와 동일한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기기는 디지털 TV, 모니터, 오디오 앰프 또는 기타 디스플레이기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아날로그 기기는 아날로그 TV, 오디오앰프(스피커), 헤드폰, 또는 이어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체크신호의 발생 및 송수신을 포함하여 상기 노래반주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하고, 상기 타임 딜레이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신호(V1,V2) 또는 상기 음성신호(A2)의 송신시점을 컨트롤한다.
상기 영상신호(V1,V2) 또는 상기 음성신호(A2)의 송신시점의 컨트롤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영상신호(V1,V2) 또는 상기 음성신호(A2)의 송신시점의 컨트롤은 상기 영상신호(V1,V2)에 대한 타임 딜레이와 상기 음성신호(A2)의 타임 딜레이의 크기에 달려있다.
원칙적으로, 상기 영상신호(V1,V2) 및 상기 음성신호(A2) 중 타임 딜레이가 큰 신호의 송신시점을 타임 딜레이가 작은 신호의 송신시점보다 일정시간만큼 앞서도록 상기 영상신호(V1,V2) 또는 상기 음성신호(A2)의 송신시점의 컨트롤이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아날로그 기기의 경우 타임 딜레이를 무시할 수 있으므로, 상기 노래반주기가 아날로그 기기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송신시점의 컨트롤이 수행될 필요가 없다. 또한 노래반주기의 영상신호(V1,V2) 및 음성신호(A2)의 재생을 위해서 하나의 디지털 기기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이러한 송신시점의 컨트롤이 수행될 필요가 없다. 그러나
그러나, 위의 두가지 경우를 제외하고, 상기 노래반주기의 영상신호(V1,V2) 또는 음성신호(A2)의 재생을 위해서, 상기 노래반주기에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기기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영상신호(V1,V2) 또는 상기 음성신호(A2)의 송신시점의 컨트롤은 필요하다.
우선 영상신호(V1,V2)는 디지털기기를 통해 재생하고, 음성신호(A2)는 아날로그 기기를 통해 재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영상신호(V1,V2)를 상기 음성신호(A2)보다 상기 영상신호(V1,V2)의 타임 딜레이만큼 상기 디지털 기기에 일찍 송신한다. 이렇게 하면, 상기 영상신호(V1,V2)와 음성신호(A2)의 재생시점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영상신호(V1,V2)는 아날로그 기기를 통해 재생하고 음성신호(A2) 를 디지털기기를 통해 재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음성신호(A2)를 상기 영상신호(V1,V2)보다 상기 음성신호(A2)의 타임 딜레이만큼 상기 디지털 기기에 일찍 송신한다.
다음으로, 상기 영상신호(V1,V2) 및 상기 음성신호(A2)의 재생을 각각 별도의 디지털 외부기기들을 통해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영상신호(V1,V2) 및 상기 음성신호(A2) 중 타임 딜레이가 큰 신호의 송신시점을 타임 딜레이가 작은 신호의 송신시점보다 일정시간만큼 앞서도록 상기 영상신호(V1,V2) 또는 상기 음성신호(A2)의 송신시점의 컨트롤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음성신호(A2)와 상기 영상신호(V1,V2)는 동일시점에 재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성신호(A2)의 타임 딜레이와 상기 영상신호(V1,V2)의 타임 딜레이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시간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음성신호(A2)의 타임 딜레이와 상기 영상신호(V1,V2)의 타임 딜레이는 서로 동일할 경우에는 송신시점이 동일하다.
상기 메모리부(140)는 상기 제어부(130)의 동작을 위한 각종 소프트웨어, 음성신호파일, 노래파일, 자막신호파일, 동영상파일을 포함하는 컨텐츠, 운영체제 등의 저장, 데이터 백업 등을 위한 것이다.
상기 메모리부(1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RAM을 구비하는 메인 메모리와,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이상의 ROM을 구비하는 저장메모리와, 데이터 백업을 위한 백업메모리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노래반주기(100)는 상기 영상신호(V1,V2) 및 반주신호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 상기 영상신호(V1,V2) 및 반주신호의 추가를 위한 확장팩, 메모 리 카드의 삽입을 위한 메모리 카드 삽입구, 및 외부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포트(USB)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카드 삽입부(미도시)는 외부메모리 카드의 정보 수신을 위한 외부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외부확장팩의 추가를 위한 복수의 확장슬롯을 포함하는 외부확장팩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메모리 카드는 SD메모리 카드 또는 MMC 메모리 카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평가부(170)는 노래반주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노래를 부른 경우, 사용자의 노래가 박자와 음정 등이 원곡과 얼마나 일치하는 정도를 평가하여 점수화하는 기능을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래반주기의 평가시스템은 노래반주기 내부에서 제공되는 음성 신호(반주신호)와 영상신호(자막신호)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음성신호(A1)의 주파수, 박자, 음정, 음의 높낮이 등의 일치정도를 비교하여 점수화하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노래반주기 내부에서 제공되는 음성 신호(반주신호)와 영상신호(자막신호)의 재생시점 또는 노래반주기에서 음성신호(A2) 또는 영상신호(V1,V2)가 출력되는 시점과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음성신호(A1)의 입력시점이 서로 다르게 되면, 상기 노래반주기의 평가시스템에서는, 노래반주기 내부에서 제공되는 음성 신호(반주신호)와 영상신호(V1,V2)(자막신호)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음성신호(A1)의 주파수, 박자, 음정, 음의 높낮이 등의 일치정도가 낮기 때문에 낮은 점수로 점수화를 수행하게 될 것이다. 즉, 상기 타임 딜레이를 반영하지 않는다면, 정상적인 평가가 불가능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평가부(170)의 평가 또한 상기 타임 딜레이를 반영하여야 한다.
우선적으로 상기 노래반주기(100)가 연결되는 외부기기가 아날로그 기기 인 경우에는 종래와 동일하다. 즉 타임 딜레이를 반영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상기 노래반주기(100)가 연결되는 외부기기에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기기가 포함된다면 상기 타임 딜레이는 반영되어야 한다.
상기 평가부(170)에서 타임 딜레이를 반영하여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노래반주기의 영상신호(V1,V2) 및 음성신호(A2)의 재생을 위해서 하나의 디지털 기기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영상신호(V1,V2) 및 상기 음성신호(A2)의 상기 노래반주기에서의 출력시점과 상기 영상신호(V1,V2) 및 상기 음성신호(A2)의 상기 디지털기기에서의 재생시점은 일정 타임 딜레이만큼의 차이가 생기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영상신호(V1,V2) 및 상기 음성신호(A2)의 상기 디지털기기에서의 재생시점에서 상기 음성입력부(110)를 통해 외부음성신호(A1)를 입력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 상기 평가부(170)에서는 상기 타임 딜레이를 반영하여 평가를 수행한다. 즉 상기 외부음성신호(A1)의 입력시점(상기 영상신호(V1,V2) 및 상기 음성신호(A2)의 상기 디지털 기기에서의 재생시점)을 기준으로 한다면, 상기 외부음성신호(A1)의 입력시점보다 상기 타임 딜레이 만큼에 해당하는 시간 이전에 상기 노래반주기에서 출력된 상기 영상신호(V1,V2) 및 상기 음성신호(A2)와 상기 외부음성신 호(A1)를 비교하여 그 일치정도에 따른 점수화를 수행한다.
상기 영상신호(V1,V2) 및 상기 음성신호(A2)의 상기 노래반주기에서의 출력시점을 기준으로 한다면, 이때의 상기 영상신호(V1,V2) 및 상기 음성신호(A2)의 상기 디지털 기기에서의 재생시점( 상기 영상신호(V1,V2) 및 상기 음성신호(A2)의 상기 노래반주기에서의 출력시점에서 상기 타임 딜레이에 해당하는 시간이 지난시간지점)에서 입력되는 상기 외부음성신호(A1)와, 상기 영상신호(V1,V2) 및 상기 음성신호(A2)를 비교하여 점수화를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음성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외부음성신호(A1)와, 상기 외부음성신호(A1)에서 상기 타임 딜레이만큼 이전에 상기 노래반주기를 통해 출력된 상기 영상신호(V1,V2) 및 음성신호(A2)를 비교하여 평가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노래반주기의 영상신호(V1,V2)의 재생을 위해서는 디지털기기가 사용되고. 상기 음성신호(A2)의 재생을 위해서는 아날로그 기기가 사용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때는 상기 영상신호(V1,V2)에 대해서만 타임 딜레이가 발생된다. 이 경우에는 음성신호(A2)의 타임 딜레이는 무시할 수 있다. 이때는 상기 음성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외부음성신호(A1)와, 상기 음성신호(A2)는 동일 시간대에서 비교하고, 상기 영상신호(V1,V2)는 상기 영상신호(V1,V2)의 재생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타임 딜레이 이전에 상기 노래반주기에서 출력된 상기 영상신호(V1,V2)를 비교 및 평가대상으로 하게 된다.
다음으로 노래반주기의 영상신호(V1,V2)의 재생을 위해서는 아날로그 기기가 사용되고. 상기 음성신호(A2)의 재생을 위해서는 디지털 기기가 사용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때는 외부음성신호(A1) 및 상기 음성신호(A2)에 대해서만 타임 딜레이가 발생된다. 이 경우에는 영상신호(V1,V2)의 타임 딜레이는 무시할 수 있다.
이때는 상기 음성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외부음성신호(A1)와, 상기 영상신호(V1,V2)는 동일 시점에서 비교하고, 상기 음성신호(A2)는 상기 음성신호(A2)의 재생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타임 딜레이 이전에 상기 노래반주기에서 출력된 상기 음성신호(A2)를 비교 및 평가대상으로 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영상신호(V1,V2)의 재생을 위해 디지털기기가 사용되고 상기 음성신호(A2)의 재생을 위해서는 상기 영상신호(V1,V2)의 재생을 위한 디지털기기와는 별도의 디지털기기가 사용되는 경우를 살펴보자.
이 경우에는 상기 음성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음성신호(A1)의 입력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음성신호(A2)의 타임 딜레이에 해당되는 시간이전에 상기 노래반주기(100)에서 출력된 상기 음성신호(A2), 및 상기 영상신호(V1,V2)의 타임 딜레이에 해당되는 시간이전에 상기 노래반주기에서 출력된 상기 영상신호(V1,V2)가 상기 외부음성신호(A1)의 비교 및 평가대상이 된다.
도 2는 도 1의 구성을 가지는 노래반주기의 동작순서도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순서도는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하나의 동일한 디지털 기기에서 재생하는 경우와,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기기에 연결되되 서로 별도의 외부기기를 통해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가 재생되는 경우를 동작순서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래반주기(10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의 영상신호 타임 딜레이 또는 음성신호 타임 딜레이 계산을 위해 체크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에 송신한다(S10). 이때 상기 외부기기가 아날로그 기기일 경우에는 상기 타임 딜레이를 무시할 수 있으므로 타임 딜레이 계산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송신된 상기 체크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에서 출력(재생)되는 체크신호를 수신한다(S12).
그리고 상기 체크신호의 상기 외부기기에의 송신시점과 수신시점을 통해 상기 영상신호(V1,V2) 또는 음성신호(A2)의 타임 딜레이를 계산한다(S14). 상기 제어부(130) 및 상기 평가부(170)의 동작설명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타임 딜레이는 경우에 따라 별도로 계산될 수도 있고, 음성신호(A2) 및 영상신호(V1,V2)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만 계산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음성신호(A2) 및 영상신호(V1,V2)의 출력대상 외부기기가 동일기기 인가 여부를 판단한다(S20). 즉 상기 음성신호(A2) 및 영상신호(V1,V2)의 재생을 하나의 외부기기를 통해 수행하는지 아니면 분리하여 별도로 수행하는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상기 외부기기가 동일기기 즉 하나의 디지털 외부기기를 통해 상기 음성신호(A2) 및 영상신호(V1,V2)의 재생을 수행하는 경우에는(YES), 상기 영상신호(V1,V2) 및 상기 음성신호(A)의 송신시점 조절없이 상기 영상신호(V1,V2) 및 상 기 음성신호(A)를 상기 디지털 외부기기에 송신한다(S22). 이후 마이크를 통해 외부음성신호(A1)가 입력되면, 상기 영상신호(V1,V2) 또는 상기 음성신호(A)의 타임 딜레이를 반영한 점수계산 및 출력 등을 통해 평가를 수행한다(S18).
판단결과, 상기 음성신호(A2) 및 영상신호(V1,V2)의 재생을 별도의 외부기기들을 통해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외부기기들에서 동일한 시점에 상기 음성신호(A2) 및 상기 영상신호(V1,V2)가 재생되도록, 타임 딜레이를 반영하여 상기 음성시노(A2) 및 상기 영상신호(V1,V2)의 상기 외부기기들에의 입력시점을 조절한다(S16). 이후 마이크를 통해 외부음성신호(A1)가 입력되면, 상기 영상신호(V1,V2) 또는 상기 음성신호(A)의 타임 딜레이를 반영한 점수계산 및 출력 등을 통해 평가를 수행한다(S18).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여 노래반주기의 음성신호 또는 영상신호를 재생하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기기의 딜레이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노래반주기가 일정딜레이가 있는 디지털기기에 연결되더라도 노래반주기에 연결되는 디지털기기의 음성 및 영상신호의 재생시점을 동일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지털 기기의 타임 딜레이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노래에 대한 점수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디지털 기기와 아날로그 기기를 동시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 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반주기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동작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음성입력부 120 : 음성신호처리부
130 : 제어부 140 : 메모리부
150 : 영상신호처리부 160 : 타임딜레이 계산부
170 : 평가부

Claims (17)

  1.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에 연결하여 음성 또는 영상신호를 재생하는 노래반주기에 있어서:
    외부음성신호가 입력되는 음성입력부와;
    내부에서 제공되는 반주신호 및 상기 음성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음성신호를 포함하는 음성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음성신호처리부와;
    자막신호를 포함한 영상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영상신호처리부와;
    체크신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에의 송신시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에서의 수신시점의 차이를 계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의 음성신호 또는 영상신호의 딜레이 정도를 나타내는 타임 딜레이를 계산하는 타임 딜레이 계산부와;
    상기 체크신호의 발생 및 송수신을 포함하여 상기 노래반주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하고, 상기 타임 딜레이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신호 또는 상기 음성신호의 송신시점을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신호 및 상기 음성신호 중 타임 딜레이가 큰 신호의 송신시점을 타 임 딜레이가 작은 신호의 송신시점보다 일정시간만큼 앞서도록 컨트롤 하되, 상기 일정시간은 상기 영상신호와 상기 음성신호의 타임 딜레이의 차이 만큼에 해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의 재생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 중 디지털 기기를 통해 수행되고 상기 음성신호의 재생은 별도의 아날로그 기기를 통해 수행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신호의 송신시점이 상기 음성신호의 송신시점보다 상기 디지털 기기의 타임 딜레이만큼 앞서도록 컨트롤함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기기는 디지털 TV, 모니터, 또는 기타 디스플레이기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아날로그 기기는 아날로그 TV, 오디오앰프(스피커), 헤드폰, 또는 이어폰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노래반주기는,
    상기 음성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음성신호, 상기 자막을 포함하는 영상신호, 및 상기 반주신호를 비교하여 점수화하는 평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평가부는 상기 타임 딜레이를 반영하여 점수화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및 상기 음성신호의 재생이 하나의 외부기기를 통해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신호 및 상기 음성신호의 송신시점을 동일하게 컨트롤함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노래반주기는,
    상기 음성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음성신호, 상기 자막신호를 포함하는 영상신호, 및 상기 반주신호의 일치정도를 비교하여 점수화하는 평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평가부는 상기 타임 딜레이를 반영하여 점수화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크신호는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 형태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래반주기는,
    상기 영상신호 및 반주신호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부, 상기 영상신호 및 반주신호의 추가를 위한 확장팩, 메모리 카드의 삽입을 위한 메모리 카드 삽입구, 및 외부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포트(USB)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래반주기는 마이크 내부에 음성 및 영상의 재생관련 회로들이 내장된 구조의 마이크형 노래반주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
  11. 적어도 두 개의 외부기기들에 각각 연결하여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를 분리 재생하는 노래반주기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외부기기들이 아날로그기기 및 디지털 기기를 적어도 하나씩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외부기기들에 각각 송신되는 상기 영상신호의 송신시점과 상기 음성신호의 송신시점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형 노래반주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노래반주기는,
    상기 영상신호를 재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가 디지털 기기이고 상기 음성신호를 재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가 아날로그기기인 경우에는, 상기 영상신호의 송신시점이 상기 음성신호의 송신시점보다 일정시간 앞서도록 하고, 상기 영상신호를 재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가 아날로그 기기이고 상기 음성신호를 재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가 디지털기기인 경우에는, 상기 음성신호의 송신시점이 상기 영상신호의 송신시점보다 일정시간 앞서도록 컨트롤됨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및 상기 음성신호의 송신시점의 차이는 상기 디지털 기기의 신호 타임 딜레이 만큼임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
  14.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외부기기에 연결하여 자막신호를 포함한 영상신호를 재생하는 노래반주기의 컨트롤방법에 있어서:
    체크신호의 상기 디지털 외부기기에의 송신시점과 상기 디지털 외부기기에서의 수신시점의 차이를 계산하여, 상기 디지털 외부기기의 영상신호의 딜레이 정도 를 나타내는 타임 딜레이를 정의하는 단계와;
    상기 타임 딜레이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신호의 송신시점을 컨트롤하는 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의 컨트롤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의 재생은 상기 디지털 외부기기를 통해 수행되고 상기 음성신호의 재생은 아날로그기기인 별도의 외부 오디오 앰프를 통해 수행되는 경우에의 상기 영상신호 또는 상기 음성신호의 송신시점의 컨트롤은, 상기 영상신호의 송신시점이 상기 음성신호의 송신시점보다 상기 타임 딜레이만큼 앞서도록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의 컨트롤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또는 상기 음성신호의 송신시점을 컨트롤하는 단계이후에,
    외부에서 외부음성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상기 외부오디오 앰프에 전송하고, 상기 외부음성신호, 상기 자막을 포함하는 영상신호, 및 상기 반주신호의 일치정도를 비교하여 이를 점수화하는 평가단계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점수화는 상기 타임 딜레이를 반영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의 컨트롤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외부기기는 디지털 TV, 모니터, 또는 기타 디스플레이기기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의 컨트롤 방법.
KR1020080004191A 2008-01-15 2008-01-15 음성 또는 영상신호의 딜레이 컨트롤 기능을 가지는노래반주기 및 그의 컨트롤 방법 KR2008001145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191A KR20080011457A (ko) 2008-01-15 2008-01-15 음성 또는 영상신호의 딜레이 컨트롤 기능을 가지는노래반주기 및 그의 컨트롤 방법
US12/103,926 US8106282B2 (en) 2008-01-15 2008-04-16 Music accompaniment apparatus having delay control function of audio or video sig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08008026A EP2081184A1 (en) 2008-01-15 2008-04-25 Music accompaniment apparatus having delay control function of audio or video sig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191A KR20080011457A (ko) 2008-01-15 2008-01-15 음성 또는 영상신호의 딜레이 컨트롤 기능을 가지는노래반주기 및 그의 컨트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457A true KR20080011457A (ko) 2008-02-04

Family

ID=39339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4191A KR20080011457A (ko) 2008-01-15 2008-01-15 음성 또는 영상신호의 딜레이 컨트롤 기능을 가지는노래반주기 및 그의 컨트롤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106282B2 (ko)
EP (1) EP2081184A1 (ko)
KR (1) KR2008001145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60709B2 (en) 2017-06-26 2019-10-29 The Intellectual Property Network, Inc. Enhanced system, method, and devices for utilizing inaudible tones with music
US11030983B2 (en) 2017-06-26 2021-06-08 Adio, Llc Enhanced system, method, and devices for communicating inaudible tones associated with audio files
CN108711415B (zh) * 2018-06-11 2021-10-08 广州酷狗计算机科技有限公司 纠正伴奏和干音之间的时延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2091850B2 (en) * 2020-10-01 2024-09-17 NPS Public Furniture Corp. Expandable room dividers
CN112669798B (zh) * 2020-12-15 2021-08-03 深圳芒果未来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对音乐信号主动跟随的伴奏方法及相关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6168A (ja) * 2001-06-12 2002-12-20 Takara Co Ltd カラオケシステム
TWI282970B (en) * 2003-11-28 2007-06-21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karaoke scoring
US7164076B2 (en) 2004-05-14 2007-01-16 Konami Digital Entertainment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a live musical performance with a reference performance
JP4517727B2 (ja) 2004-05-27 2010-08-04 ヤマハ株式会社 オーディオ・ビデオアンプ
EP1657929A1 (fr) 2004-11-16 2006-05-17 Thomson Licensing Dispositif et méthode de synchronisation de différentes parties d'un service numérique
US20060112812A1 (en) 2004-11-30 2006-06-01 Anand Venkatarama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ng original musical tracks for karaoke use
KR100584615B1 (ko) 2004-12-15 2006-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비디오 동기 자동 조정 장치 및 그 방법
US7636126B2 (en) 2005-06-22 2009-12-22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Delay matching in audio/video systems
US7563975B2 (en) * 2005-09-14 2009-07-21 Mattel, Inc. Music production system
FR2891651B1 (fr) 2005-10-05 2007-11-09 Sagem Comm Systeme de karaoke pour l'affichage du texte correspondant a la partie vocale d'un flux audiovisuel sur un ecran d'un systeme audiovisuel
US7970222B2 (en) 2005-10-26 2011-06-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termining a delay
KR20070114918A (ko) 2006-05-30 2007-12-05 주식회사 엔터기술 배경영상을 지정하는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형 노래반주기시스템
JP4487209B2 (ja) 2006-06-08 2010-06-2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およびカラオケ処理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06282B2 (en) 2012-01-31
US20090178543A1 (en) 2009-07-16
EP2081184A1 (en) 200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68714C1 (ru) Система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звука, внешнее допол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а также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звука
CN1973536A (zh) 视频-音频同步
JP2009130821A (ja) 音声処理装置、映像処理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
KR20080011457A (ko) 음성 또는 영상신호의 딜레이 컨트롤 기능을 가지는노래반주기 및 그의 컨트롤 방법
US20070276524A1 (en) Digital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20060034465A1 (en) Apparatus for selectively outputting audio and video signal or headphone signal using analog switch and method thereof
JP4487209B2 (ja) カラオケ装置およびカラオケ処理プログラム
US20030167906A1 (en) Musical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CN112073890B (zh) 音频数据处理方法、装置和终端设备
US20220059109A1 (en)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apparatus, and reception method
KR20210011916A (ko)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US20180183870A1 (en) Synchronization setting device and distribution system
KR100808201B1 (ko) 음성/영상 데이터의 동기화 방법
WO2009002195A2 (en) Integrated television karaoke device
WO2009144788A1 (ja) 音声出力機能を備えた映像表示装置、該映像表示装置で行う音量制御方法
CN114630065B (zh) 多媒体中继装置音讯转换装置及音讯处理方法
US20090279728A1 (en) Game controller with speaker
WO2023026555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12014709B2 (en)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device and reception method
KR100631651B1 (ko) 음악재생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이퀄라이저표시방법
US10555083B2 (en) Connection state determination system for speakers, acoustic device, and connection state determination method for speakers
KR20030022585A (ko) 영상신호 처리 시스템에서의 특수 효과 발생 방법 및 장치
US9025081B2 (en) Time lag determination between audio channels
US20040234078A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testing output audio signals
JP6061178B2 (ja) Avスイッチャ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624

Effective date: 2010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