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5883U - 탈피기 - Google Patents

탈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883U
KR20080005883U KR2020070008902U KR20070008902U KR20080005883U KR 20080005883 U KR20080005883 U KR 20080005883U KR 2020070008902 U KR2020070008902 U KR 2020070008902U KR 20070008902 U KR20070008902 U KR 20070008902U KR 20080005883 U KR20080005883 U KR 200800058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gricultural products
nozzle tip
garlic
vertical pi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89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식
Original Assignee
남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식 filed Critical 남식
Priority to KR20200700089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5883U/ko
Publication of KR200800058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883U/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1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12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flui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늘과 같은 농산물을 손상 없이 껍질만을 탈피(脫皮)할 수 있게 한 탈피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기틀에 설치된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농산물을 향해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껍질을 벗기도록 한 것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노즐팁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공기를 분사할시 유발되는 압력상승효과, 농산물을 뒤집는 효과 등으로 인해 농산물의 탈피 작업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탈피기, 마늘, 노즐, 공기분사

Description

탈피기{Apparatus For Skinning Skin Of Garlic And So On}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탈피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탈피기만을 주변 장치를 배제한 채로 전방 좌측부에서 보아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도2에서 표시 A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4는 도3에서 표시 B부분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5는 도3에서 도면부호 134만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탈피기 110 : 기틀
120 : 컨베이어 122 : 순환벨트
124 : 순환벨트 구동수단 125,142 :제 1,제2모터
132 : 수직관부 134 : 수평관부
136 : 노즐팁 137 : 공기분사통로
141 : 노즐부 회전수단 146 : 공기압축기
150 : 비산방지판 152 : 구멍
본 고안은 마늘과 같은 껍질을 갖는 농산물의 탈피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껍질을 갖는 마늘이나 양파 등의 농산물을 투입하여 농산물의 껍질을 벗기는데 사용되는 농산물의 탈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늘이나 양파와 같은 농산물은 그 몸체의 주위를 보호층인 껍질이 감싸고 있으므로 이를 마늘 등의 몸체로부터 분리한 후 양념 또는 음식재료로 사용한다.
최근, 마늘이 건강에 좋다고하는 요인으로 마늘 소비가 늘어나면서 마늘의 껍질을 대량으로 탈피하기 위한 장치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 중 하나로 몰드컵 내부를 소정 압력으로 가압시킨 상태에서 방출밸브를 개방시켜 급속히 감압시킴으로써 몰드컵 내부의 다수의 마늘쪽들을 박피시키는 구조로 된 것이 있다.
그러나, 마늘쪽을 감싸고 있는 표피가 잘 탈피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감압시 다수의 마늘쪽이 한 곳으로 몰려 상호 충돌하여 마늘쪽을 감싸고 있는 속껍질이 마늘쪽으로부터 부분적으로 탈락되거나 마늘쪽에 멍이 들게 됨으로써 마늘쪽의 부패가 급속히 진행되어 마늘쪽의 상품가치가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외에 고압의 공기를 마늘 등으로 분사하여 껍질을 벗기는 마늘 탈피기도 있으나 공기분사가 거의 정적인 상태에서 이루어져 공기분사에 의한 탈피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압 공기의 분사를 동적으로 실행되게 하여 마늘과 같은 농산물의 탈피의 효율성을 극대화 시킨 탈피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틀; 상기 기틀에 설치되어 폐경로를 따라 순환하면서 탈피할 농산물을 탑재하여 소정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상기 기틀에 설치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기와, 그 중간이 상기 기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채로 상기 압축기와 연결된 고압호스의 끝단에 설치된 회전연결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수직관부와, 상기 수직관부의 끝단에 수평으로 연결된 막대 또는 원형상 중 어느하나의 수평관부와, 상기 수평관부에 다수개로 배열되어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농산물을 향해 상기 압축기로부터의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팁과, 상기 수직관부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상기 노즐팁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로 이루어진 공기분사수단; 및 상기 노즐팁과 컨베이어 사이에는 소정 반경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 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노즐팁에서 분사되는 공기의 통과를 허용하고 상기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서 탈피된 농산물의 껍질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비산방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농산물은 겉피가 제거된 땅콩, 잣, 은행과 마늘, 양파이며, 상기 은행은 냉동 처리된 것임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탈피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탈피기만을 주변 장치를 배제한 채로 전방 좌측부에서 보아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도2에서 표시 A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4는 도3에서 표시 B부분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5는 도3에서 도면부호 134만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탈피기(100)는 기틀(1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기틀(110)은 하기의 각 구성요소들이 필요한 위치에 설치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해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틀(110)의 전면으로는 껍질배출구(112)가 형성되어 있고, 그 배출구(112)에는 껍질을 원하는 장소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관(112a)이 연결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틀(110)에는 껍질을 벗기고자 하는 농산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1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껍질을 벗기고자하는 농산물은 딱딱한 겉피 즉, 겉껍질이 제거되어 얇은 속피만이 남은 땅콩, 잣, 은행과 마늘, 양파 등이다. 이때 은행은 속피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냉동 처리된 것을 사용함이 좋다. 이러한 농산물은 공급 컨베이어(3)를 따라 이송되어 상기 컨베이어(120)로 공급된다.
이처럼 공급받은 농산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상기 컨베이어(120)는 상기 기틀(110)에 폐경로를 따라 순환운동하는 순환벨트(122)와, 그 순환벨트(122)를 순환운동시키기 위한 순환벨트 구동수단(12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순환벨트(122)는 체인 등에 봉형태의 순환부재(123)를 간격을 두고 연결하여 벗겨진 껍질이 하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순환벨트 구동수단(124)은 제1모터(125)와 그 제1모터(125)의 회전동력을 순환벨트(122)의 회전축(126)에 전달하기 위한 전동벨트(127)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순환벨트(122)의 구동속도는 하기 노즐팁들(136)의 회전속도의 대략 1/60이 적당한데, 그 구동속도는 임의로 변형 가능하며, 특히 상기 순환벨트(122)의 구동속도를 상기 노즐팁들(136)의 회전속도 보다 느리게 한 이유는 마늘의 껍질을 골고루 효과적으로 탈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기틀(110)에는 하기 공기압축기(146)와 연결된 고압호스(147)의 끝에 설치된 회전연결부(148)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중공의 수직관부(132)가 설치되어 있고, 그 수직관부(132)의 단부에는 수평으로 연결된 중공의 수평관부(134)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수평관부(134)에서 수직관부(132)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좌우로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순환벨트(122)를 향해 연장된 공기분사통로(137)를 제공하는 노즐팁들(13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평관부(134)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bar), 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상 중 어느하나의 형태를 갖고 상기 수직관부(134)에 설치되는데, 후자의 형상인 경우 상기 노즐팁들(136)은 수직관부(132)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회전연결부(148)은 회전이 자유롭게 내부에 베어링을 채용하여 된 일반적인 연결구로서 여러가지의 구조가 채용될 수 있으므로 어느 하나만을 특정하여 설명하는 것은 생략한다.
상기 수직관부(132)는 별도의 지지부(138)들을 통해 기틀(1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공기분사수단은 본 고안에 따른 탈피기(100)의 큰 특징 을 이루는 부분으로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고압의 공기를 순환벨트(122)를 타고 이송되는 농산물 상으로 분사함에 따라 압력상승효과와 농산물을 뒤집는 효과와 다각도에서 분사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회전반경이 서로 다른 노즐팁들(136)은 그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보다 더 다양한 형태의 공기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준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탈피기(100)는 종래의 공기분사에 의한 탈피기에 비해 탈피 효율이 매우 우수하다.
상기 노즐팁들(136)의 회전속도는 농산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며, 또한 마늘의 예를 들어 건조도에 따라서도 선택하여 구동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노즐팁들(136)의 회전은 상기 수직관부(132)의 상방에 설치되는 제2모터(142)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모터(142)는 벨트(144)를 통해서 상기 수직관부(132)와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함으로서 상기 노즐팁들(136)을 회전시킨다. 물론, 이를 위해서 상기 수직관부(132)에는 벨트 풀리(139)가 설치된다.
상기 공기 압축기(146)는 상기 노즐팁들(136)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탈피기(100)는 비산방지판(150)을 구비하고 있다. 이 비산방지판(150)은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분사되는 고압의 압축공기에 의해 농산물이 흩어지거나 벗겨진 농산물의 껍질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비산방지판(150) 역시 본 고안의 큰 특징을 이루는 부분으로, 상기 노즐팁들(136)과 순환벨트(122)사이에 배치되며 노즐팁들(136)의 회전 반경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 구멍들(152)을 구비한다. 상기 수평관부(134)에 노즐팁들(136)이 좌, 우 대칭으 로 총 6개 설치되는 경우 큰 반경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 것들과 순차로 작은 반경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 것들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구멍(152)들은 상기 노즐팁들(136)에서 분사되는 공기의 통과를 허용하고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벗겨진 상기 농산물의 껍질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관부(132)와, 그 수직관부(132)의 하단에 대략 수평으로 연결된 수평관부(134)와, 그 수평관부(134)에 좌, 우 대칭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노즐팁들(136)로 이루어진 구조에서, 상기 노즐팁들(136)은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회전하면서 앞에서 설명한 비산방지판(150)에 형성된 구멍(152)들을 통해 순환벨트(122)를 타고 이송되는 상기 농산물을 향해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노즐팁(136)의 내부에는 공기분사통로(137)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탈피기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모터(125)등 순환벨트구동수단(124)을 구동하여 순환벨트(122)를 순환시키는 한편, 공기압축기(146)를 작동시킴과 아울러 제2모터(142) 등을 작동시켜 상기 수직관부(132)를 통해서 상기 노즐팁들(136)이 회전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노즐팁(136)은 상기 수직관부(132)를 중심으로 회전운동 하면서 비산방지판(150)에 형성된 구멍(152)들을 통해 순환벨트(122) 상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한다.
한편, 상기 공급 컨베이어(3)를 통해서 상기 순환벨트(122) 상으로 껍질이 벗겨지지 않은 상기 농산물을 공급하면, 그 농산물은 순환벨트(122)를 타고 상기 노즐팁들(136) 쪽으로 이송된다. 순환벨트(122) 상의 농산물이 비산방지판(150) 하 부로 들어가 상기 노즐팁들(136)의 아래쪽에 도달되면, 상기 노즐팁(136)은 수직관부(132)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구멍(152)을 통해 농산물을 향해 고압의 공기를 분사한다. 이때 상기 노즐팁들(136)은 고속 회전하면서 공기를 분사하므로 분사압력이 상승되는 효과와 아울러 농산물을 뒤집는 효과를 제공한다.
농산물이 뒤집히는 경우 마늘 전체에 골고루 공기분사가 이루어져 다각도에서 공기를 분사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회전반경이 서로 다른 노즐팁들(136)은 그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보다 더 다양한 형태의 공기분사가 이루어지게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탈피기에서는 상기 농산물의 탈피 효율을 매우 높게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탈피기(100)에서는 상기 노즐팁들(136)에서 동일한 농산물이 많게는 동일선상으로 배치되는 6개의 구멍(152)을 모두 차례대로 거치면서 공기분사를 받는다. 물론, 공기분사노즐부(130)는 고속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농산물이 1개의 구멍을 거치는 동안에도 여러 차례 공기분사를 받게 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탈피기(100)에서는 농산물에 십수차례 이상 공기분사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탈피 효율이 매우 뛰어나게 된다.
벗겨진 껍질은 순환벨트(122)를 구성하는 순환부재(123)들 사이의 틈새를 통해 하부로 떨어져 껍질배출구(1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탈피가 이루어진 농산물은 순환벨트(122)를 타고 이송되어 배출 컨베이어(7)를 통해서 본 고안의 탈피기(100)와는 별도로 만들어진 선별기 등으로 보내진다. 선별기 등에서 선별과정을 거쳐 불완전하게 탈피가 이루어진 농산물은 다시 순환벨트(122) 상으로 공급되어 앞에서 설명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노즐팁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공기를 분사하므로 분사압력이 상승되는 효과와 아울러 농산물이 뒤집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농산물이 뒤집히는 경우 농산물 전체에 골고루 공기분사가 이루어져 다각도에서 공기를 분사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회전반경이 서로 다른 노즐팁들은 그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보다 더 다양한 형태의 공기분사가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농산물의 탈피효율이 매우 높다.

Claims (2)

  1. 기틀;
    상기 기틀에 설치되어 폐경로를 따라 순환하면서 탈피할 농산물을 탑재하여 소정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상기 기틀에 설치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기와, 그 중간이 상기 기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채로 상기 압축기와 연결된 고압호스의 끝단에 설치된 회전연결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수직관부와, 상기 수직관부의 끝단에 수평으로 연결된 막대 또는 원형상 중 어느하나의 수평관부와, 상기 수평관부에 다수개로 배열되어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농산물을 향해 상기 압축기로부터의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팁과, 상기 수직관부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상기 노즐팁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로 이루어진 공기분사수단; 및
    상기 노즐팁과 컨베이어 사이에는 소정 반경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 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노즐팁에서 분사되는 공기의 통과를 허용하고 상기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서 탈피된 농산물의 껍질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비산방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피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산물은 겉피가 제거된 땅콩, 잣, 은행과 마늘, 양파이며, 상기 은행은 냉동 처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탈피기.
KR2020070008902U 2007-05-28 2007-05-30 탈피기 Ceased KR2008000588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902U KR20080005883U (ko) 2007-05-28 2007-05-30 탈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692 2007-05-28
KR2020070008902U KR20080005883U (ko) 2007-05-28 2007-05-30 탈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883U true KR20080005883U (ko) 2008-12-03

Family

ID=41326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8902U Ceased KR20080005883U (ko) 2007-05-28 2007-05-30 탈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5883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477B1 (ko) * 2007-08-23 2009-08-28 박춘성 열매의 내피 제거 장치
CN101966005A (zh) * 2010-10-28 2011-02-09 苏有刚 一种蒜瓣负压脱皮方法及其专用设备
KR101461806B1 (ko) * 2013-05-30 2014-11-13 최용석 고압을 이용한 마늘 껍질 박피장치
KR20150003791U (ko) 2014-04-08 2015-10-16 주식회사 우솔농산 탈피기
KR101956518B1 (ko) * 2018-11-28 2019-03-11 해나래 영농조합법인 마늘 박피 기능을 가진 마늘 가공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477B1 (ko) * 2007-08-23 2009-08-28 박춘성 열매의 내피 제거 장치
CN101966005A (zh) * 2010-10-28 2011-02-09 苏有刚 一种蒜瓣负压脱皮方法及其专用设备
KR101461806B1 (ko) * 2013-05-30 2014-11-13 최용석 고압을 이용한 마늘 껍질 박피장치
KR20150003791U (ko) 2014-04-08 2015-10-16 주식회사 우솔농산 탈피기
KR101956518B1 (ko) * 2018-11-28 2019-03-11 해나래 영농조합법인 마늘 박피 기능을 가진 마늘 가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2162A (en) Apparatus for peeling fruits and vegetables
KR20080005883U (ko) 탈피기
KR101296710B1 (ko) 현미 가공장치
KR100954634B1 (ko) 대파 탈피장치
KR101832391B1 (ko) 무 껍질 제거장치
US4977826A (en) Fluid impingement method &amp; apparatus for fruit meat extraction
KR100504086B1 (ko) 탈피기
KR20210006237A (ko) 양파껍질 탈피기
KR102019452B1 (ko) 마늘 탈피기
KR200335262Y1 (ko) 탈피기
KR200487611Y1 (ko) 탈피기
KR100708816B1 (ko) 밤 및 근채류의 탈피장치 및 방법
KR101155034B1 (ko) 밤 속껍질 박피기
KR20170133777A (ko) 마늘 탈피장치
KR200450380Y1 (ko) 더덕, 우엉 및 도라지 박피기
JP3819951B2 (ja) 連続加圧蒸煮装置用ロータリーバルブ
KR20130003277A (ko) 마이크로 버블식 농산물 세척기
KR100914477B1 (ko) 열매의 내피 제거 장치
CA1059399A (en) Peeling machine
KR20010053937A (ko) 마늘 박피장치
KR20030084298A (ko) 마늘 탈피기
KR100708464B1 (ko) 옥수수 껍질 제거 장치
US20100151094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or the removal of peels from agricultural produce
CN210988102U (zh) 高效水果加工消毒设备
TWM539799U (zh) 脫籽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053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80819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09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