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22375A - A method and apparatus using auxiliary leaf spring to stabilize vehicle chassis - Google Patents
A method and apparatus using auxiliary leaf spring to stabilize vehicle chassi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122375A KR20070122375A KR1020070060290A KR20070060290A KR20070122375A KR 20070122375 A KR20070122375 A KR 20070122375A KR 1020070060290 A KR1020070060290 A KR 1020070060290A KR 20070060290 A KR20070060290 A KR 20070060290A KR 20070122375 A KR20070122375 A KR 200701223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af spring
- auxiliary leaf
- vehicle
- spring
- auxiliary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2943 EPDM rubb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250 Clearanc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512 clearanc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9203 Road traffic accid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260 weight control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1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0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30—Rigid axle suspensions
- B60G2200/34—Stabilising mechanisms, e.g. for lateral stabilit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1—Mounting of leaf spr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8—Leaf springs
- F16F1/182—Leaf springs with inter-engaging portions between leaves or between leaves and mountings, e.g. ridges, notches, ripples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통상의 후방 차축 및 판 스프링 현가장치의 좌측 후방 부분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eft rear portion of a conventional rear axle and leaf spring suspension.
도 2는 차량을 안정화하도록 보조 판 스프링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2 shows a method of the invention using an auxiliary leaf spring to stabilize a vehicle.
도 3은 보조 판 스프링을 차량 현가 장치 스프링 위에 유지시키는 조절 가능한 걸쇠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3 is an exploded view of an adjustable clasp assembly that maintains an auxiliary leaf spring over a vehicle suspension sprin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통상의 차량 현가장치 스프링 1: ordinary vehicle suspension spring
2: 차량 현가장치 스프링의 전방 단부에 위치하는 전방 걸쇠 장착 브래킷2: front latch mounting bracket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vehicle suspension spring
3: 차량 현가장치 스프링의 후방 단부에 위치하는 후방 걸쇠 장착 브래킷3: rear latch mounting bracket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vehicle suspension spring
4(5): 차축 6: 차축의 단부의 제동 조립체4 (5): Axle 6: Braking assembly at the end of the axle
7: 좌측 후방 유압 완충장치 8: 섀시 프레임 레일7: Left rear hydraulic shock absorber 8: Chassis frame rail
9: 섀시 크로스 부재 10: 보조 판 스프링9: chassis cross member 10: auxiliary leaf spring
11F; 전방 조절가능한 걸쇠 조립체11F; Front adjustable latch assembly
11R: 후방 조절가능한 걸쇠 조립체11R: Rear Adjustable Clasp Assembly
12: EPDM 고무 블록 13: 조절 가능한 걸쇠 부재12: EPDM rubber block 13: adjustable clasp member
14: 체결 볼트 15: 체결 너트14: fastening bolt 15: fastening nut
16: 고무 금속 부싱 17: 클립16: rubber metal bushing 17: clip
18: 볼트 19: 캡18: Bolt 19: Cap
20: 튜브형 롤러 21: U-형 갈고리20: tubular roller 21: U-shaped hook
22: 코터 핀 23: 보조 판 스프링의 체결 구멍22: cotter pin 23: fastening hole of auxiliary leaf spring
본 발명은 차량 섀시를 안정화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조 판 스프링을 사용하여 상기 차량 섀시를 안정화시키는 장치 및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stabilizing a vehicle chassi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an adjustment method for stabilizing the vehicle chassis using an auxiliary leaf spring.
최근, 트럭, 버스 및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과 같은 무게중심이 높은 차량의 도로상에서의 전복으로 인한 치명적인 교통사고가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는 부분적으로는 이러한 차량의 보다 높은 최저 지상고에 대한 요구로 인한 것이지만, 대부분은 차량의 고유의 불안정성 및 역학 관계와 승용차보다 현저하게 높은 무게 중심 때문이다.In recent years, fatal traffic accidents due to overturning on the road of heavy-weight vehicles such as trucks, buses and sport utility vehicles (SUVs)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This is partly due to the demand for higher ground clearance of these vehicles, but most are due to the inherent instability and dynamics of the vehicle and a significantly higher center of gravity than passenger cars.
이러한 모든 차량의 하나의 중요한 장치는 현가 장치의 판 스프링인바, 이는 최근에는 그다지 많은 개발이 이루어진 부분은 아니다. 수년간에 걸쳐, 불규칙한 도로에서의 쿠션을 위해 판 스프링 방식 현가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키며, 코너링 중의 차량 스프링 무게 제어는 이러한 방식 차량의 제조 업자들에게 있어서 표준 실무가 되어 있다. 통상적인 차량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판 스프링 방식의 현가장치는 쿠션으로서 작용하며, 섀시 및 바디 조립체의 무게에 의해 그에 가해지는 부하에 의해 압축된다. 바닥 단부에서 차축에 체결되고 상단부에서 섀시에 체결되는 유압 완충장치로부터 획득되는 감쇠 효과는 별문제로 하더라도, 이는 차량이 상기 섀시의 전방/후방 중심 차축에 대해 옆으로 또는 측방향으로 롤링하기 시작하는 경우 겪게 되는 섀시의 상향 이동을 제어하는 것일 뿐이다. 이는 현재 사용되는 전 세계의 차량의 모든 현가장치 중 대표적인 것으로서, 차량용 현가장치의 최신 기술이라 할 수 있다.One important device of all these vehicles is the leaf spring of the suspension, which has not been much developed in recent years. Over the years, the use of leaf spring suspensions for cushioning on irregular roads improves ride comfort, and vehicle spring weight control during cornering has become standard practice for manufacturers of such vehicles. In a typical vehicle suspension, the leaf spring type suspension acts as a cushion and is compressed by the load applied to it by the weight of the chassis and body assembly. The damping effect obtained from the hydraulic shock absorber fastened to the axle at the bottom end and fastened to the chassis at the top is a matter of course, but this is when the vehicle starts rolling sideways or laterally relative to the front / rear center axles of the chassis. It just controls the upward movement of the chassis. This is representative of all suspensions of vehicles around the world that are currently used, and can be said to be the latest technology of vehicle suspensions.
현재,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 및 트럭은 높은 무게 중심 및 큰 최저 지상고를 가지며, 그에 따라, 급작스런 차선 변경 및 급속한 조향 기동 중에 크게 흔들리거나 전복할 가능성이 크게 된다. 현가장치의 스프링 및 관련 완충장치는 흔들림을 줄이고, 종방향 이동은 바디 및 섀시로 전송된다. 많은 차량이 흔들림/롤링 방지 바를 구비하지만, 반대쪽까지 가로지르는 바퀴의 덜컹거림은 그대로 전달할 뿐이며, 흔들림 비율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조 판 스프링을 통해 차량을 안정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t present, sport utility vehicles (SUVs) and trucks have a high center of gravity and a large minimum ground clearance, thus increasing the likelihood of large shaking or overturning during sudden lane changes and rapid steering maneuvers. Suspension springs and associated shock absorbers reduce shaking and longitudinal movement is transmitted to the body and chassis. Many vehicles are equipped with anti-shake / rolling bars, but the rattling of the wheels running across to the opposite side just transmits as it is, with little effect on the rate of shak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stabilizing a vehicle through an auxiliary leaf spring.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섀시를 안정화시키는 보조 판 스프링을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n auxiliary leaf spring to stabilize a vehicle chassis.
a) 상기 보조 판 스프링은 차량의 후방 차축 양단부 상의 차량 현가장치 스프링 위에 위치되며,a) the auxiliary leaf spring is located above the vehicle suspension springs on both rear axle ends of the vehicle,
b) 상기 차량 현가장치 스프링 및 보조 판 스프링은 상기 차량 후방 차축을 그 사이에 유지시키며, 상기 보조 판 스프링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조절 가능한 걸쇠 조립체는 상기 보조 판 스프링을 상기 차량 현가장치 스프링에 연결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및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b) the vehicle suspension spring and the auxiliary leaf spring retain the vehicle rear axle therebetween, and the adjustable latch assembly located at both ends of the auxiliary leaf spring to connect the auxiliary leaf spring to the vehicle suspension spring. Achieved by a method and an apparatus characterized by being located.
본 발명에 따른 보조 판 스프링을 통해 상기 차량 섀시를 안정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걸쇠들이 상기 보조 판 스프링을 지지하여 항상 인장 상태의 부하를 받도록 하는 고무 블록이 상기 차량 후방 차축 및 상기 보조 스프링 중앙 사이에 위치된다.In a method for stabilizing the vehicle chassis through an auxiliary leaf spring according to the invention, a rubber block is provided between the vehicle rear axle and the center of the auxiliary spring so that the latches support the auxiliary leaf spring so that it is always under tension. Is located in.
본 발명에 따른 보조 판 스프링을 통해 상기 차량 섀시를 안정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무 블록은 EPDM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고무이다.In the method of stabilizing the vehicle chassis through the auxiliary leaf sp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ubber block is EPDM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
본 발명에 따른 보조 판 스프링을 통해 상기 차량 섀시를 안정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두 개의 클립은 상기 보조 판 스프링의 양단부의 구멍을 통해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상기 판 스프링에 별도로 고정되며, 중앙 구멍을 갖는 고무 금속 (rubber type metalastic) 부싱은 상기 클립 안쪽에 위치하며, 체결 볼트는 상기 걸쇠의 측면 부재의 상부에 있는 구멍 및 상기 고무 금속 부싱의 중앙 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걸쇠의 측면 부재가 상기 고무 금속 부싱 및 클립의 두 측면에 체결되도 록 하며, 상기 걸쇠의 하단부는 상기 차량 현가장치 스프링 아래에 위치되고 튜브형 롤러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되며, 상기 튜브형 롤러는 상기 걸쇠 하프들 사이에 U-형 갈고리 및 코터 핀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스프링이 이동되는 경우 회전되도록 한다.In the method of stabilizing the vehicle chassis through the auxiliary leaf sp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wo clips are separately fixed to the leaf spring by bolts and nuts through holes in both ends of the auxiliary leaf spring, and having a central hole. A rubber type metalastic bushing is located inside the clip, and a fastening bolt passes through a hole in the top of the side member of the clasp and a central hole of the rubber metal bushing so that the side member of the clasp And fasten to two sides of the clip, the lower end of the latch being positioned under the vehicle suspension spring and held in place by a tubular roller, the tubular roller being U-shaped hook and coater between the clasp halves. It is fastened by a pin, and rotates when the spring is moved.
본 발명에 따른 보조 판 스프링을 통해 상기 차량 섀시를 안정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클립의 위치설정을 위해 상기 보조 판 스프링의 각 단부에는 세 개의 구멍이 있으며, 상기 클립은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상기 보조 판 스프링의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튜브형 롤러의 위치설정을 위해 두 개의 걸쇠 부재의 하부에는 세 개의 구멍이 형성된다.In the method of stabilizing the vehicle chassis through the auxiliary leaf spring according to the invention, each end of the auxiliary leaf spring for positioning of the clip has three holes, the clip is bolted and the nut by the auxiliary It is fixed to the end of the leaf spring, and three holes ar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two clasp members for positioning of the tubular roller.
본 발명에 따른 보조 판 스프링을 통해 상기 차량 섀시를 안정화하는 조절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조 판 스프링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걸쇠는 상기 고무 블록의 높이를 변경시킴으로써 항상 인장 부하를 받게 되며, 상기 보조 판 스프링의 중앙부를 상향 가압한다.In the adjustment method for stabilizing the vehicle chassis through the auxiliary leaf sp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che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auxiliary leaf spring is always subjected to a tensile load by changing the height of the rubber block, the auxiliary leaf spring Press the center of the upward.
본 발명에 따른 보조 판 스프링을 통해 상기 차량 섀시를 안정화하는 조절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조 판 스프링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걸쇠는 상기 클립을 위치설정하기 위해 상기 보조 판 스프링의 양단부에서 각기 다른 구멍을 선택하거나 상기 튜브형 롤러의 위치설정을 위해 상기 걸쇠 측면 부재의 하단부에서 각기 다른 구멍을 선택함으로써 항상 인장 부하를 받는다.In the adjustment method for stabilizing the vehicle chassis through the auxiliary leaf sp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che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auxiliary leaf spring select different holes at both ends of the auxiliary leaf spring to position the clip. Or by selecting different holes in the lower end of the clasp side member for positioning of the tubular roller.
전술한 본 발명의 장점은 이하와 같다.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차량의 후방 차축의 양단부에서 차량 현가장치 스프링 위에 보조 판 스프링 을 위치시키고 상기 보조 판 스프링을 차량 현가장치 스프링에 조절 가능한 걸쇠를 사용하여 연결함으로써 구조를 간단하게 한다. 인장 U-형 갈고리 및 롤러에 대한 다양한 위치를 수용하도록 걸쇠 측면 부재 내의 조절 가능한 걸쇠 인장 구멍에 의해 또는 중앙 고무 위치설정 부재의 높이를 변경함으로써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중간에서 고속으로의 코너링 중에 겪게 되는 롤링 개시 도중의 차량 중량 이동을 감소시키며, 그에 따라, 롤링의 전체 양이 초기 차량 롤링 모멘텀의 감소와 함께 감소 된다. 이러한 보조 스프링들이 사용되는 경우 후방 차축 제동 효율이 상승하는바, 이는 보조 스프링들이 차량의 후단부를 피칭 업(pitching up) 되지 않게 하거나 전방 휠에 대한 제동 모멘트의 증가로 인해 무게가 가벼워지기 때문이다.The structure is simplified by placing an auxiliary leaf spring on the vehicle suspension spring at both ends of the rear axle of the vehicle and connecting the auxiliary leaf spring to the vehicle suspension spring using an adjustable latch. Easily adjustable by means of adjustable latch tension holes in the clasp side members or by changing the height of the central rubber positioning member to accommodate various positions relative to the tension U-shaped hook and roller. Reduces vehicle weight movement during rolling initiation experienced during cornering from intermediate to high speed, so that the total amount of rolling is reduced with a decrease in initial vehicle rolling momentum. When such auxiliary springs are used, the rear axle braking efficiency is increased because the auxiliary springs do not pitch up the rear end of the vehicle or are lighter due to an increase in the braking moment for the front wheel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현가장치 스프링(1)은 차축(4) 아래에 설치되며, 전방 걸쇠(2) 및 후방 걸쇠(3)에 의해 섀시 프레임 레일(8)에 고정된다. 차량 후방 차축(5) 및 섀시 크로스 멤버(9) 사이에는 완충 장치(7)가 설치된다. 후방 차축(4)의 단부에는 브레이크 조립체(6)가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 the vehicle suspension spring 1 is installed under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보조 판 스프링(10)은 차량 차축(4) 상의 차량 현가장치 스프링(1) 위에 위치된다. 전방 조절 가능한 걸쇠(11F) 및 후방 조절 가능한 걸쇠(11R)는 보조 판 스프링(10)의 양단부에서 상기 보조 판 스프링(10)을 차량 현가장치 스프링(1) 위에 제자리에 유지시킨다. 상기 차량 후방 차축(4) 및 상기 보조 판 스프링(10)의 중앙 사이에는 고무 블록(12)이 설치된다. 이러한 보조 판 스프링(10)은 상기 중앙 위치 고무 블록(12) 위에 상향 굽힘 되어 상기 전방 조절 가능한 걸쇠(11F) 및 상기 후방 조절 가능한 걸쇠(11R)가 항상 인장 상태로 부하를 받도록 한다. 이러한 여분의 인장이 이러한 방식으로 작용하는 경우, 차량 스프링(1)에 추가의 감쇠 효과가 생긴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감쇠 효과는 그들이 하중을 받거나 받지 않는 경우 과도하게 굽혀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량 섀시를 안정화시키고 차량이 전복하는 것을 방지한다.As shown in FIG. 2,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클립(17)은 보조 판 스프링(10)의 양단부에 있는 구멍을 통해 볼트(18)와 너트(19)에 의해 보조 판 스프링(10)에 별도로 고정된다. 중앙 구멍을 갖는 상기 고무 금속 부싱(16)은 클립(17) 안으로 들어간다. 체결 볼트(14)는 걸쇠 측면 부재(13)의 상부에 있는 구멍과 고무 금속 부싱(16)의 중앙 구멍을 통과함으로써 걸쇠 측면 부재(13)가 고무 금속 부싱(16) 및 클립(17)의 양측에 체결되도록 한다. 걸쇠(13)의 하단부는 차량 현가장치 스프링(1)의 아래에 위치되어 튜브형 롤러(20)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되는바, 상기 롤러는 U-형 갈고리(21) 및 코터 핀(22)에 의해 걸쇠 하프들(13) 사이에서 체결되며 스프링 이동을 겪게 되는 경우 회전하도록 허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클립(17)의 위치설정을 위해 보조 판 스프링(10)의 단부에 세 개의 구멍(23)이 형성된다. 튜브형 롤러(20)의 위치설정을 위해 두 개의 각각의 조절 가능한 걸쇠 부재(13)의 하부에도 세 개의 구멍이 형성된다. 튜브형 롤러(20)는 차량 현가장치 스프링(1) 아래에 위 치되어야 하며, 차량 현가장치 스프링(1)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two
보조 판 스프링(10)의 조절은 고무 블록(12)의 높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며, 보조 판 스프링(10)의 양단부에 있는 전방 조절 가능한 걸쇠(11F) 및 후방 조절 가능한 걸쇠(11R)가 항상 인장 부하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The adjustment of the
또한, 보조 판 스프링(10)의 조절은 클립(17)의 위치설정을 위해 보조 판 스프링(10)의 양단부에 있는 각기 다른 구멍을 선택하거나 튜브형 롤러(20)의 위치설정을 위해 걸쇠 측면 부재(13)의 하부에 있는 각기 다른 구멍을 선택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며, 보조 판 스프링(10)의 양단부에 있는 전방 조절 가능한 걸쇠(11F) 및 후방 조절 가능한 걸쇠(11R)가 항상 인장 부하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adjustment of the
본 발명에 따라, 차량의 후방 차축의 양단부에서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 위에 보조 판 스프링을 위치시키고 상기 보조 판 스프링을 차량 현가장치 스프링에 조절 가능한 걸쇠를 사용하여 연결함으로써 구조를 간단하게 한다. 인장 U-형 갈고리 및 롤러에 대한 다양한 위치를 수용하도록 걸쇠 측면 부재 내의 조절 가능한 걸쇠 인장 구멍에 의해 또는 중앙 고무 위치설정 부재의 높이를 변경함으로써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tructure is simplified by placing the auxiliary leaf spring on the spring of the vehicle suspension at both ends of the rear axle of the vehicle and connecting the auxiliary leaf spring to the vehicle suspension spring using an adjustable latch. Easily adjustable by means of adjustable latch tension holes in the clasp side members or by changing the height of the central rubber positioning member to accommodate various positions relative to the tension U-shaped hook and roller.
Claims (7)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B2006100946822A CN100448705C (en) | 2006-06-26 | 2006-06-26 | Device for stabilizing car chassis through assistant spring steel plate and its regulation method |
CN200610094682.2 | 2006-06-2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22375A true KR20070122375A (en) | 2007-12-31 |
Family
ID=37509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60290A KR20070122375A (en) | 2006-06-26 | 2007-06-20 | A method and apparatus using auxiliary leaf spring to stabilize vehicle chassis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2008007105A (en) |
KR (1) | KR20070122375A (en) |
CN (1) | CN100448705C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139610A (en) * | 2010-01-29 | 2011-08-03 | 江苏九龙汽车制造有限公司 | Swing arm of steel plate spring system |
FR2956713B1 (en) * | 2010-02-24 | 2012-03-23 | Hutchinson | ARTICULATED COMPOSITE SPRING BLADE FOR MOTOR VEHICLE FLOOR CONNEC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GROUND CONNECTION |
CN105437899B (en) * | 2015-12-18 | 2018-08-24 | 长春孔辉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variation rigidity leaf spring staggered form equalizing type of suspension |
DE102018206023B4 (en) * | 2017-06-07 | 2019-03-21 |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 Leaf spr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suspension and vehicle suspension with such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ZA9892B (en) * | 1997-01-09 | 1998-07-08 | Antonette Irene Lamberti | Leaf spring stabiliser |
US6273441B1 (en) * | 1999-04-27 | 2001-08-14 | Thomas Neavitt | Vehicle suspension stabilizing device |
US20030080527A1 (en) * | 2001-10-26 | 2003-05-01 | Bryant Peter E. | Opposing spring rebound tension suspension system |
-
2006
- 2006-06-26 CN CNB2006100946822A patent/CN100448705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
- 2007-06-20 KR KR1020070060290A patent/KR20070122375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7-06-26 JP JP2007167527A patent/JP2008007105A/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876414A (en) | 2006-12-13 |
CN100448705C (en) | 2009-01-07 |
JP2008007105A (en) | 2008-0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60776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bound control | |
US7249776B2 (en) | Opposing spring resilient tension suspension system | |
US5427404A (en) | Stiff beam suspension system | |
US20060071441A1 (en) | Lower control arm kit for vehicle with four link rear suspension | |
US5351986A (en) | Vehicle air suspension system | |
CN111791659B (en) | Air suspension system | |
US6273441B1 (en) | Vehicle suspension stabilizing device | |
US6676160B2 (en) | Rear frame rail that incorporates leaf spring clearance zone | |
KR20070122375A (en) | A method and apparatus using auxiliary leaf spring to stabilize vehicle chassis | |
US4181324A (en) | Overload stabilizer unit for vehicle | |
KR102253495B1 (en) | Coil Spring Device for Automobile Suspension | |
US10759245B2 (en) | Axle/suspension system with down stop | |
US6206391B1 (en) | Rear suspension using a torsional spring integral with trailing arm | |
CN204749783U (en) | Front suspension structure suitable for light card | |
CN217598263U (en) | Front suspension damping system of motor home | |
US4280710A (en) | Third axle attachment for motor vehicles | |
KR200155765Y1 (en) | Upper arm sticking bracket of rear suspension | |
KR20090060559A (en) | Rear toe controlling device for coupled torsion beam axle using hydraulic pressure | |
KR20080054815A (en) | Strut type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 |
JP4047145B2 (en) | Air suspension structure | |
KR20110062642A (en) | Rear suspension system of vehicle | |
KR200374202Y1 (en) | Position Compensation Device of Suspension Member for Vehicle | |
KR100422553B1 (en) | Upper portion mounting structure of suspension in vehicle | |
KR20070032139A (en) | Strut type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 |
KR19980035595A (en) | Suspension strut bar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